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디지털교과서의 UI디자인 분석 및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스마트패드 기반 UI디자인을 중심으로

        강평화 경성대학교 디지털디자인전문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0671

        급변하는 21세기 정보화의 흐름에 발맞추어 교육도 변화하고 있다. 정부는 2011년 스마트교육 추진전략 실행계획을 발표하고, 디지털교과서를 개발하고 2015년까지 전체 학교 교육에 적용하고자 추진하고 있다. 현재 디지털교과서(e-교과서 3.0)는 웹 기반과 스마트패드 기반으로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으나, 콘텐츠의 형식과 인터랙션 방식, 시각적인 표현이 일관되어 있지 않고 사용하기 불편하여 잦은 실수나 오류를 발생시키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의 디지털교과서(e-교과서 3.0)가 가진 UI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웹 기반과는 달라질 스마트패드 기반의 터치미디어형식에 적합한 UI 디자인 개선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를 통해 스마트교육과 디지털교과서에 대한 내용을 고찰하고, 국내 디지털교과서의 개발현황을 파악하였다. 2013년 현재 사용하고 있는 디지털교과서(e-교과서3.0)와 애플디지털교과서 iBook2의 콘텐츠와 UI를 분석하였다. 사용자 조사는 교사 인터뷰와 학생 사용성평가를 실시하였다. 먼저, 스마트모델학교에서 스마트교실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 개별인터뷰를 통해 교실에서의 디지털교과서 활용도와 장단점을 파악하였다. 초등학교 5,6학년들을 대상으로 웹 기반 e-교과서3.0의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여 문제점 및 요구사항과 개선사항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로 도출된 스마트패드 기반의 디지털교과서 UI 디자인 개선사항은 다음과 같이 크게 4가지 방향으로 제안되었다. 스마트 패드에서 직접 조작이 가능해지므로 메뉴 및 콘텐츠를 간소화한다. 국어, 영어, 수학 교과목의 보여지는 화면과 메뉴를 일관된 UI 디자인으로 제안하였다. 조작과정을 단순화하고 명확하게 제시하여 사용자의 실수를 최소화하였다. SNS를 통한 상호작용을 할 수 있게 하였다.

      • 스마트패드 기반의 디지털 음악교과서 UI디자인에 관한 연구 : 국악교육용 콘텐츠를 중심으로

        김민정 경성대학교 디지털디자인전문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0671

        The learning environment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society in 21st century is changing rapidly due to the development of fusion technology. Until now, the learning activities of primary school textbooks have been performed mainly consisting of books and publications, whereas recently those activities are transformed into new educational environments related to such new technologies as cloud computing, etc. l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Smart pad-based digital textbooks are being developed into the direction of using various terminals, while UI design considering usability and accessibility haven’t been much studied. Thus, this paper attempts to propose the UI design that offers convenient operation and friendly images through self-directed and experiential elements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Music education, which allows the user to utilize multimedia best in smart pads and use sensory organs of the five senses most, plays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for children in 4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who are in a concrete operational stage to decide their musical taste. This paper aims to provide the contents that enable the children to operate and experience various traditional Korean musical instruments using a smart pad that makes it possible to directly manipulate and go through. Based on this, it appears that this paper will make a contribution to rise children's familiarity with classical music and their learning effects in terms of teaching Korean traditional music. This study reviewed the contents on digital textbooks and smart pads, examining the smart pad app UI design for teaching music in experiential and non-experiential types, and conducting a case study as a text-typed educational app through Heuristic guideline assessment. Then, needs were drawn through having a personal interview and FGI with Korean traditional music teachers. The UI design proceeded in the order of design concept, menu tree, contents organization, design scenarios and wireframe for pages based on users’ needs and requirements for desig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presenting UI design in a form that enables a user-centered, self-directed experience with smart pad-based educational content at the time of smart education, not in a form of the existing original textbooks or digital text books. The learning through smart education offered in elementary schools should be designed into the development of creative, self-directed contents to prepare for the future education, and thus further studies should be conducted to develop interface centering on the user for the improvement of educational and learning effects. 21세기 지식 정보화 사회의 교육환경은 융합기술의 발전으로 급격히 변화되고 있다. 지금까지 초등교육의 학습활동은 서책형 교과서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반면, 교육과학기술부의 주도하에 디지털 교과서를 활용화하는 것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최근 스마트 단말기, 클라우드 컴퓨팅 등의 새로운 기술 변화에 따라 새로운 교육환경으로 변모하게 되었다. 스마트패드기반의 디지털 교과서는 다양한 단말기를 활용하기 위한 방향으로 빠르게 개발되고 있는 반면 사용성과 접근성을 고려한 스마트패드의 UI디자인 연구는 저조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패드를 활용한 교육의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자기 주도적이고 체험적인 요소로 편리한 조작과 친숙한 UI디자인을 제안하고자 한다. 스마트패드에서 멀티미디어를 가장 잘 활용할 수 있으며, 오감의 감각기관을 가장 많이 사용할 수 있는 음악교육은 초등학교 4학년 구체적 조작기인 어린이들에게 음악적 기호를 결정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직접 조작과 체험이 가능한 스마트패드를 활용하여 다양한 국악기를 경험하고 연주할 수 있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우리 전통 음악에 대한 친밀도와 학습 효과를 향상 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교과서와 스마트패드에 대한 내용을 고찰, 음악 교육용 스마트패드의 앱 UI디자인 연구, 초등학교 4학년 국악 음악에 관한 문헌연구를 하였다. 체험형·비체험형 음악 스마트패드 앱 UI디자인 분석, 교과서형 교육 앱 휴리스틱(Heuristic) 가이드 평가인 사례분석과 국악 음악 전담 선생님 개별 인터뷰 및 F.G.I의 사용자 조사를 통해 요구사항을 도출하였다. UI디자인은 요구사항 및 개선방안을 도출한 결과를 중심으로 디자인 컨셉, Menu Tree, 콘텐츠 구성, 콘텐츠 시나리오 작성의 순서로 진행한 후 설계하였다. UI디자인 수정 및 가이드라인을 도출하고, 연구의 결론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기존 원형교과서나 디지털 교과서의 모습이 아닌 스마트 교육시대의 스마트패드 기반 교육 콘텐츠를 사용자 중심의 자기 주도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형태로 UI디자인을 제안하는데 의미가 있다. 초등학교 교실에서 이루어질 스마트교육의 학습은 미래교육을 대비하여 창의적이고 자기 주도적인 콘텐츠로 개발되어야 하며, 교육의 흥미와 학습 능률을 증대시킬 수 있는 사용자 중심의 인터페이스 디자인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치유(therapy)디자인 개념을 적용한 욕실 공간 연구 : 자연 이미지 디자인 연출이 놔파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김태혁 경성대학교 디지털디자인전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655

        20세기 비약적인 발전은 여러분야의 복합적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져 왔으며, 환경디자인 분야 또한 심미성과 예술성, 기능적 편리성을 중시하는 경향으로 발전되어왔다. 시 지각적 감각을 중시하는 현대 환경디자인의 특징은 21세기의 정보화, 창조화 사회의 발전을 수용하는 패러다임의 변화로 인해 다 감각적이며 다차원적의 요구의 가치를 수용하는 방법으로 발전적 기대가 요구된다. 20세기 환경디자인은 급격히 변화하는 시대적 요구를 수용하는 수많은 제품(재료)들의 다양한 조합·구성으로 다원적 가치의 발전과 함께 여러 가지 효율성과 편리성, 경제성을 가져다주었다. 이로 인해 풍요로운 라이프스타일을 영위할 수 있는 수단으로 진보「進步」되어 왔으며, 환경디자인의 역사적 관점에서 가장 번창하였고, 풍요로운 혜택을 보다 많은 사람들이 누릴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21세기의 진전된 패러다임(환경과 사람의 상호작용)의 견해로 접근해 보면, 급속히 변화했던 산업사회의 시기에서 환경디자인은 여러 가지 오류를 범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기능과 편리성에 치중한 제품의 조합은 시지각적 완성에 치중되어, 조합의 완성이 이루는 결과물이 인간의 감각, 인지기능을 통해 신체적, 정서적, 행위적 활동의 범주에서 사용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이며, 포괄적 범주로 접근, 발전시킬 필요성이 요구된다. 20세기의 인위적 환경과 제품은 사용상의 편리성을 기능성으로 인식 할 만큼 그것의 지원성을 단순화시켜 왔으며, 지원성을 환경디자인의 시각적 창조활동으로 혹은 외형적 특성으로 인식하게 할 정도로 그 활동범위와 책임을 좁혀 놓았다. 시대적 변화와 더불어 21세기의 환경, 제품디자인 패러다임의 변화방향은 여러 가지로 예측할 수 있으며, 다 감각적 자극을 통한 환경과 제품의 기능을 인간의 건강과 정서에 순응하며,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고, 행동과 감정의 요구를 복합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체계적인 균형 및 발전이 요구된다. 이 중 특히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심신의 건강을 증진시키고 질병을 예방할 수 있는 휴식과 치유(therapy)에 대한 관심 또한 높아지면서 여러 가지 치유(therapy)요법 및 치유(therapy)제품·치유(therapy)환경 개발이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다. 현대인들의 불규칙하고 빠르게 변화하는 여러 가지 상황의 일상에서, 보다 효율적이며 자신에게 맞는 심신의 건강을 지키는 방법 중에 하나로 주목받고 있는 여러 가지 형태의 치유(therapy)요법은 실생활 속에 꾸준히 시행되어, 지난 몇 년간 꾸준히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는 실정이며, 또한 환경과 치유(therapy)의 융합「融合」적용에 관한 학문적 시도와 생활에서 사용되고 있는 여러 가지 건강과 관련된 제품 및 치유(therapy)환경의 증가는 현대인들이 건강에 대한 관심이 얼마나 큰 것인가를 알 수 있게 한다. 또한, 고령화 사회로 진입한 현 시점의 우리나라에서는 중·장년 및 고령자의 인구비율이 꾸준히 늘어나고 있는 상황에서 노년기주택, 생애전환기 시점의 주택에 대한 관심과 주거환경이 건강에 미치는 여러 가지 요소들에 대한 건강주택 지원성의 선행연구가 여러 관점으로 진행되어 왔다. 환경과 공간의 휴식과 치유(therapy)에 관한접근방법은 다양한 견해와 이론이 있을 수 있으나, 치유(therapy)디자인 관한 환경적 적용이론은 실생활의 치유요법의 적용요구에 미치고 있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에 치유(therapy)디자인에 관한 명확한 개념과 다양한 접근방법, 이를 통한 제품개발 또한 필요한 시점으로 사료 된다. 이와 더불어 건강 및 치유(therapy)환경에 적합한 환경구성요소인 친환경 자재와 건강을 지원하는 다양한 분야의 연구개발 필요성은 선행 연구사례를 통해 알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우리가 추구해야할 미래 환경에 관한 거시적 접근으로 다양성을 존중하며, 사회 소회계층 및 소수 사용자(minority)가 함께 혜택을 누릴 수 있는 보다 포용적이고 균형 있는 발전은 미래 환경디자인의 가치를 좀 더 충족 되게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환경 디자인의 발전적인 여러 분야 중 심·신의 건강에 관한 지원성을 목적으로 하는 디자인 구성을 “치유(therapy)디자인” 개념으로 접근하여, 치유(therapy)디자인 요소(자연 이미지 연출-visual therapy)가 심신의 건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고, 뇌파실험 분석하여, 건강 및 치유(therapy)를 지향하는 환경 디자인의 실천적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20th century had different types of the rapidly developing economic growth along with educational standards and the development of the medical fields. Accordingly, the 20th century environmental design brought the efficiency, convenience, and afford ability to meet the demands of the generation by using different types of materials in a summing and configuration through development of pluralistic values. But the 21st century is approached through an advanced paradigm. It can be seen that the environmental design was committing many errors during the rapidly changing industrial society of the time. The designs with an emphasis on functionality and usability were more focused on visual completion so the final combination piece needed to be developed into pieces where they can affect the users in a more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categories in physical, emotional, and behavior categories of activities through human feeling and cognitive functions. Through more emotional stimulants, the environmental design will develop by adapting the environment and the functions of the products to human's health and emotions, meet a variety of needs, and accept the combination of behavioral and emotional needs. Among this, there have been many different efforts to develop the environmental products that would help through therapeutic methods and therapy products since there have been much attention on health as well as rest and therapy but it is evident that the therapy design applied with environmental theory is not affecting the applicable requirements of the real healing therapy methods. It is true that there needs to be a clear concept and consideration of variety of approaching methods regarding therapy design. The thesis has approached the therapy design idea among the several developing areas of the environmental designs which focus more on the purpose of supporting the mental and physical health and researched and analyzed what types of effects the therapy design factors (natural image direction- visual therapy) have on the mental and physical health of people. The eeg experiments were analyzed, and the thesis proposed a practical orientation methods of the environmental design which is oriented in health and therapy. With the above background, the thesis was based on literature and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the type of therapy study was surveyed and analyzed. With the previous research (health house, consumer demand analysis, healing environment) of bathroom environment as foundation, the research tools were developed. The concept of therapy design was set, and in order to apply the bathroom environment design therapy elements, the general information, requirements, and healing (therapy) environmental ratings were researched and analyzed. The survey was conducted on 200 healthy people who were not affected in anyway in their everyday lives. There were 23 categories and they were based on four kinds of categories- age category (teens, 20s, 30s, 40s, 50s and up), sex category (male -100, female-100), blood type category (A, B, AB, O), and interest on health care category. In order to access the purpose of researching and analyzing the awareness and demand for healing residential bathroom designs, 23 categories were proposed as 3 kinds of concepts and 7 kinds of sub-concepts in order to be researched and analyzed. The categories are as follows. First, general actions of using the bathroom, second, mental state when using the bathroom, third, additional function other than general bathroom functions, fourth, the effect of bathroom design on the consumer's stress relief and physical and metal health, fifth, the most sought after therapy types of stimuli among the bathroom designs, sixth, the emotional association with natural image, seventh, the effects of lights and illumination on the psychological stability. Based on the researched results, experimental bathroom was designed and built. Then the results of experiments with brain wave analysis and the conclusions were drawn. Based on the experimental analysis, the 20 subjects were tested and measured in the experiment progress by experiment bathroom 1 and 2 in an order and the results of the eeg changes in statistical results of experiment bathroom 1 and 2 were as follows. In each condition and channel (Fp1, Fpz, FP2) showed a great difference and in the experiment bathroom 2 showed a decrease in δ wave and increase in α wave compared to the experiment bathroom 1. This was a result of increase in the frontal lobe of the vitality which shows that there was a revitalization of the part of decision-making and cognitive abilities to observe and remember. Additionally, the δ wave proves the increase in the healing growth hormones physically and this proves that the body is ready for a healing process. First of all,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crease in α wave and a decrease in δ wave. This can be proven as stimulate healing is having a positive effect on the brain function which was the purpose of this thesis. Secondly, in the comparison of sex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crease amount of women's α wave compared to the men's α wave. And in the case men, the decrease in δ wave was bigger compared to the decrease rate in women's δ wave. Third of all, in comparison of ages, the 40s showed the highest in decrease amount in δ wave. The results of the reaction was highest in 40s, then 30s, then 50s, 20s, and teens after the 40s. In the α wave increase reac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rder of 30s, 50s, 40s, 20s and teens. Additionally, there was a conflicting influences in reaction becaus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δ wave reduction among the 20s and teens and the 20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α wave increase responses. Hereafter, it is expected to have research and development in environmental design and healing field not only approaching therapy deigns environment through visual stimulus but also through five senses (sight, hearing, smell, touch, taste) stimulus.

      • 지하철 안전사고에 대응한 객차 내 정보디자인 개선방향 연구 : 부산 지하철을 대상으로

        박성신 경성대학교 디지털디자인전문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0655

        최근 국내외적으로 지진과 풍수해 등으로 인한 자연재난을 비롯하여 화재, 붕괴, 폭발 등 인적재난 발생이 증가하고 있다. 지하공간의 개발은 도시공간의 효율성이 강조되는 오늘날에 대안 공간자원으로 개발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그리고 섬세하게 건설된 지하철 노선망은 현대인의 기본 교통수단이자 도시의 핵심 인프라 기능을 하고 있다. 한편으로는 지하철역 공간 내의 각종 상업시설 및 기타 용도의 시설설비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는 현실에 비해 대형재해 발생 시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거나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방재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지난 2003년 2월 18일에 발생한 대구지하철화재참사(Daegu subway fire)로 인한 인명 피해는 사망자 192명, 부상자 148명으로 총 340명이였다. 열차 내 사망자가 142명으로 대형화재의 직접적인 원인은 방화였지만 대피시기를 놓친 점도 하나의 원인으로 볼 수 있다. 이와 유사한 지하공간의 대형화재 재발 시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화재발생 초기에 인명을 최우선으로 하는 적극적인 피난지시가 중요하다. 그리고 피난자의 대피가 능동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평상시에 안전 관련 정보가 습득되어야 한다. 또한 불특정 다수가 이용하는 지하철의 특성상 재해 시 자기보호 기능이 약한 재해약자(vulnerable people to disaster)는 상대적으로 희생 확률이 높을 수 있으므로 피난 유도, 구호․구제 대책 등 방재대책 수립에서 이들을 우선 배려해야만 한다. 특히 객차 내 비치되어있는 안전장비들이 대부분 노약자석 주변공간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일반 승객들을 대상으로 더욱 효과적인 안전 관련 정보제공과 이해가 필요하다. 성공적인 안전 관련 정보디자인을 위해서는 사용자가 안전사고에 대한 경각성을 유지하고 있도록 고지될 필요가 있다. 그에 따라 위기발생 시에 객차 내에 제시된 대처요령에 대한 학습된 기억이나 정보 이해를 바탕으로 문제 해결이 용이해야만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지하철 객차 내 부착 혹은 설치되어있는 안전 관련 정보디자인에 관해 정보디자인 요건과 안전 관련 참조표준(reference standards)에 입각한 평가항목을 도출하여 현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현장조사와 분석에 비중을 두어 진행하였다. 기존 보다 개선된 안전 관련 정보디자인의 개선방향을 제시하여 일상시를 비롯하여 비상시나 화재 시 객차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 대응방법을 신속히 습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거시적으로는 방재관련 디자인부문의 사회적 공헌에 목적을 두었으며 이는 재난 발생규모의 대형화 추세에 처하여 위기관리디자인(crisis management design)의 개념 조성을 위한 계기가 될 것이다. Recently, occurrence of an artificial disaster such as fire, collapse, explosion, etc., and of a natural disaster caused by earthquake, damage from storm and flood, etc. is increasing in and out of country. Necessity of development for underground space is also increasing these days when efficiency of urban space is emphasized, as the alternative space resources. Further, delicately constructed subway system serve the basic traffic means of the modern people as well as the core infrastructure functions of a city. Meanwhile, in comparison with the reality which demand for various commercial facilities and equipment for other purposes within the space of a subway station is increasing, we are in such situation that the study of disaster prevention for minimizing the life damage at the time when great disaster occurs, or preventing the same in advance has been lacking. The life damage caused by the disaster of Daegu subway fire occurred on February 18, 2003 shows the damage of 340 persons in total where 192 persons were killed and 148 persons were injured. The direct cause of the large sized fire where 142 persons were killed in the train was arson, but what time for evacuation was missed is another cause of the fire. To minimize the life damage at the time when the large sized fire of underground space similar to said fire occurs again, active evacuation instructions for dealing with lives as the first priority at the initial stage of the fire are important. The fugitives shall be familiarized with safety related information at normal times so that they can be actively evacuated. Further, in view of the characteristics of subway being used by unspecified individuals, the vulnerable people to disaster whose protection functions at the time of disaster are weak may have high probability of sacrifice, relatively, and accordingly, such people shall be preferentially considered in establishment of disaster protection measures such as evacuee guidance, relief and salvation measures, etc. Especially because that most of safety equipment kept in the passenger carriage are located at the space around seating for the handicapped, elderly and pregnant women,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 general passengers with more effective safety related information so that they can be understood. For the successful safety related information designs, it is necessary for the users to be informed so that negligent accidents can be alerted by them. Then, the users shall be able to resolve problems easily based upon learned memory or understanding of information regarding measurement methods presented in the passenger carriage at the time of crisis. To improve such problems, the current problems were analyzed in this paper by drawing evaluation items based on safety related reference standards and the requirements of information designs regarding safety related information designs attached or erected in the subway passenger carriage, and were done so by giving weight to a field survey and analysis. An object of this paper is to promptly learn methods for coping with the negligent accidents which may occur in the passenger carriage at the time of fire or emergency, or at normal times, by presenting more improved safety related information designs than the existing ones. In a broad view, it is aimed at the social contribution of design fields related to disaster protection and this will become an opportunity for creating the concept of crisis management designs in accordance with the trends of large sized disaster.

      • 공공주택단지 필로티공간 CPTED 현황과 분석 : 부산 정관신도시를 대상으로

        김종철 경성대학교 디지털디자인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655

        There has been various types of development of housing style since humankind had civilization. Housing style (dwelling pattern) has developed as means of keeping safe and effective life from various dangerous conditions, but there has been many problems along with this regardless of era. Overcrowding modern residential environment has required collective residential area that are allowed to have more people in limited area. Thus, desire that human seek, the quality of life, has been threatened. Reckless building of apartments concentrated on logic of development priority and value of wealth, and causing various problems, they have tried to satisfy consumer's qualitative desire and CPTED certification apartm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cus on making safe residential environment from threatening elements that degrade quality of life and safety, aiming at apartments, modern representative a collective residential area, and to suggest improvement direction of existing structural problems, grafting depression effect of unethical behavior restrained from lowered wall, being conscious of surrounding eyes. The pilot of latest an apartment house is used one of the differentiated strategies, connecting outside space closed by block arrangement and increasing community and public concern. It has assessment of openness due to securement of sight of outside space allowing flow of traffic to go on smoothly. on the other hand, some of pilotis space have problems of visual dirty, a fire, inappropriate position and facilities connection. Also, one of the complaints that residents have is incompletion of piloti design and the importance of design is increasing to improve quality of outside environments. We selected apartment houses of Busan Junggwan Newtown in the paper,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 of piloti through organization of space and using pattern of piloti, applying a basic principle of CPTED. First, we analyzed piloti of an apartment house in terms of organization of space and using pattern and found that the factor of organization of space and using pattern maximized functional property of piloti as application of complementary cooperation rather than independent application. Second, the target area of Junggwan Newtown was analyzed by year, by size. we found that a component ratio of piloti in the complex was designed about 50% and the later an apartment was built and the bigger the size of complex is, the better the basic principle of CPTED was applied. Third, the fundamental purpose of an environment design on the crime prevention is to improve the quality of an environment house has shown the importance lately, enabling natural activities by connecting internal working and external activities by constituting community activity in the reflexive space except piloti installed in the entrance of living unit in the target area. Most householder of an apartment house had interest of having private space, living unit possessed by individual unit, but now we have more interest about outside space (public space) because of introduction of improvement effort on outside space, environment friendly construction concept. Thus, we are expecting the social role of an apartment house because we will recognize the importance of piloti, reflexive space. As mentioned above, we will have to suggest the guideline by the organization on the low-rise family surroundings being left out items about domestic crime prevention environment design guideli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