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스마트패드 기반의 디지털 음악교과서 UI디자인에 관한 연구 : 국악교육용 콘텐츠를 중심으로

        김민정 경성대학교 디지털디자인전문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learning environment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society in 21st century is changing rapidly due to the development of fusion technology. Until now, the learning activities of primary school textbooks have been performed mainly consisting of books and publications, whereas recently those activities are transformed into new educational environments related to such new technologies as cloud computing, etc. l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Smart pad-based digital textbooks are being developed into the direction of using various terminals, while UI design considering usability and accessibility haven’t been much studied. Thus, this paper attempts to propose the UI design that offers convenient operation and friendly images through self-directed and experiential elements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Music education, which allows the user to utilize multimedia best in smart pads and use sensory organs of the five senses most, plays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for children in 4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who are in a concrete operational stage to decide their musical taste. This paper aims to provide the contents that enable the children to operate and experience various traditional Korean musical instruments using a smart pad that makes it possible to directly manipulate and go through. Based on this, it appears that this paper will make a contribution to rise children's familiarity with classical music and their learning effects in terms of teaching Korean traditional music. This study reviewed the contents on digital textbooks and smart pads, examining the smart pad app UI design for teaching music in experiential and non-experiential types, and conducting a case study as a text-typed educational app through Heuristic guideline assessment. Then, needs were drawn through having a personal interview and FGI with Korean traditional music teachers. The UI design proceeded in the order of design concept, menu tree, contents organization, design scenarios and wireframe for pages based on users’ needs and requirements for desig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presenting UI design in a form that enables a user-centered, self-directed experience with smart pad-based educational content at the time of smart education, not in a form of the existing original textbooks or digital text books. The learning through smart education offered in elementary schools should be designed into the development of creative, self-directed contents to prepare for the future education, and thus further studies should be conducted to develop interface centering on the user for the improvement of educational and learning effects. 21세기 지식 정보화 사회의 교육환경은 융합기술의 발전으로 급격히 변화되고 있다. 지금까지 초등교육의 학습활동은 서책형 교과서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반면, 교육과학기술부의 주도하에 디지털 교과서를 활용화하는 것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최근 스마트 단말기, 클라우드 컴퓨팅 등의 새로운 기술 변화에 따라 새로운 교육환경으로 변모하게 되었다. 스마트패드기반의 디지털 교과서는 다양한 단말기를 활용하기 위한 방향으로 빠르게 개발되고 있는 반면 사용성과 접근성을 고려한 스마트패드의 UI디자인 연구는 저조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패드를 활용한 교육의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자기 주도적이고 체험적인 요소로 편리한 조작과 친숙한 UI디자인을 제안하고자 한다. 스마트패드에서 멀티미디어를 가장 잘 활용할 수 있으며, 오감의 감각기관을 가장 많이 사용할 수 있는 음악교육은 초등학교 4학년 구체적 조작기인 어린이들에게 음악적 기호를 결정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직접 조작과 체험이 가능한 스마트패드를 활용하여 다양한 국악기를 경험하고 연주할 수 있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우리 전통 음악에 대한 친밀도와 학습 효과를 향상 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교과서와 스마트패드에 대한 내용을 고찰, 음악 교육용 스마트패드의 앱 UI디자인 연구, 초등학교 4학년 국악 음악에 관한 문헌연구를 하였다. 체험형·비체험형 음악 스마트패드 앱 UI디자인 분석, 교과서형 교육 앱 휴리스틱(Heuristic) 가이드 평가인 사례분석과 국악 음악 전담 선생님 개별 인터뷰 및 F.G.I의 사용자 조사를 통해 요구사항을 도출하였다. UI디자인은 요구사항 및 개선방안을 도출한 결과를 중심으로 디자인 컨셉, Menu Tree, 콘텐츠 구성, 콘텐츠 시나리오 작성의 순서로 진행한 후 설계하였다. UI디자인 수정 및 가이드라인을 도출하고, 연구의 결론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기존 원형교과서나 디지털 교과서의 모습이 아닌 스마트 교육시대의 스마트패드 기반 교육 콘텐츠를 사용자 중심의 자기 주도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형태로 UI디자인을 제안하는데 의미가 있다. 초등학교 교실에서 이루어질 스마트교육의 학습은 미래교육을 대비하여 창의적이고 자기 주도적인 콘텐츠로 개발되어야 하며, 교육의 흥미와 학습 능률을 증대시킬 수 있는 사용자 중심의 인터페이스 디자인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디지털교과서의 UI디자인 분석 및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스마트패드 기반 UI디자인을 중심으로

        강평화 경성대학교 디지털디자인전문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63

        급변하는 21세기 정보화의 흐름에 발맞추어 교육도 변화하고 있다. 정부는 2011년 스마트교육 추진전략 실행계획을 발표하고, 디지털교과서를 개발하고 2015년까지 전체 학교 교육에 적용하고자 추진하고 있다. 현재 디지털교과서(e-교과서 3.0)는 웹 기반과 스마트패드 기반으로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으나, 콘텐츠의 형식과 인터랙션 방식, 시각적인 표현이 일관되어 있지 않고 사용하기 불편하여 잦은 실수나 오류를 발생시키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의 디지털교과서(e-교과서 3.0)가 가진 UI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웹 기반과는 달라질 스마트패드 기반의 터치미디어형식에 적합한 UI 디자인 개선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를 통해 스마트교육과 디지털교과서에 대한 내용을 고찰하고, 국내 디지털교과서의 개발현황을 파악하였다. 2013년 현재 사용하고 있는 디지털교과서(e-교과서3.0)와 애플디지털교과서 iBook2의 콘텐츠와 UI를 분석하였다. 사용자 조사는 교사 인터뷰와 학생 사용성평가를 실시하였다. 먼저, 스마트모델학교에서 스마트교실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 개별인터뷰를 통해 교실에서의 디지털교과서 활용도와 장단점을 파악하였다. 초등학교 5,6학년들을 대상으로 웹 기반 e-교과서3.0의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여 문제점 및 요구사항과 개선사항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로 도출된 스마트패드 기반의 디지털교과서 UI 디자인 개선사항은 다음과 같이 크게 4가지 방향으로 제안되었다. 스마트 패드에서 직접 조작이 가능해지므로 메뉴 및 콘텐츠를 간소화한다. 국어, 영어, 수학 교과목의 보여지는 화면과 메뉴를 일관된 UI 디자인으로 제안하였다. 조작과정을 단순화하고 명확하게 제시하여 사용자의 실수를 최소화하였다. SNS를 통한 상호작용을 할 수 있게 하였다.

      • 고령자 배려형 가전제품 디자인 방향에 관한 연구

        김용철 경성대학교 디지털디자인전문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47

        현재 급속한 기술발전으로 인해 가전제품의 개발기간이 단축되어 지고 있으며, 복잡하고 다기능의 가전제품이 많이 출시되고 있다. 이에 대한 가전제품의 부적응 현상으로 원활한 조작에 대한 어려움을 느끼는 고령자가 늘어나고 있다.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를 대비한 가전제품에 대해 고령자의 요구사항에 접근하여 체계적인 제품 개발을 할 수 있도록 사용자 중심 디자인 프로세스에 입각하여 고령자 배려형 가전제품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고령자 사용정황조사를 통해 도출된 특이사항과 불편요소를 정리 분석하여 가전제품의 사용정황요인을 감각적, 물리적, 인지적, 심리적, 사회·환경적 요인으로 크게 5가지 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사용정황조사에 나타난 고령자의 잠재적 필요 가전제품과 웰빙문화에 따른 식생활 가전제품, 노화로 인한 필요 가전제품, 중소기업 개발 제품대상으로 4가지 가전제품을 선정하였다. 각 가전제품에 대한 과업수행을 하는 과정을 분석하는 사용행동관찰조사를 실시하여, 고령자의 사용행동특성과 요구사항을 도출하였다. 문헌조사를 통해 고령자의 신체적, 인지적, 심리적 특성에 대해 이해하고, 고령자 배려 디자인 참조표준을 기초로 하여, 사용자 조사를 통해 얻어진 고령자의 요구사항에 대한 가전제품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항목은 고령자 사용정황조사를 통해 정리된 앞서 제시된 5가지 요인으로 분류하고 이들의 세부항목에 따른 디자인 배려사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고령자를 배려한 가전제품 디자인에 참고자료로 활용되며, 특히 고령친화산업에 속한 중소기업들의 제품 개발에 기여하여, 가전제품의 이용의 어려움을 겪는 고령자에게 사용 편의성을 높여줄 것이라고 기대한다.

      • 통합도시공공디자인의 기본개념정립에 관한 연구

        김미영 경성대학교 디지털디자인전문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9647

        공공디자인과 같은 도시디자인은 끊임없이 변화되어 왔고 앞으로 계속적으로 변화할 것이다. 도시공공디자인은 역사와 전통의 시간축과 공간축 속에서 종합적으로 계획되고 체계적으로 실천되어야 한다. 또한 이와 더불어 도시공공디자인은 기업과 도시경관 형성을 위한 연대를 구축하고, 시민들과 함께하는 방향으로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그러나 도시공공디자인을 추진하는 현실은 사업기간이나 예산 등과 같은 여건에 제약받으며, 보여주기 위한 결과물 도출에 급급하여 도시공공디자인의 개념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채 무분별하게 진행되어 왔다. 각 지자체에서 수립하는 도시공공디자인 기본계획은 도시공공디자인의 방향인 기본개념을 수립하는 것으로부터 출발하여, 이 기본개념이 디자인 계획방향을 구체화하는 단계까지 일관성있게 적용되어야 한다. 그러나 각 지자체별로 다양한 개념들이 혼재되어 있으며, 기본계획 수립의 하위 단계에서 의미가 다르게 해석되어 적용되는 경우가 다반사이다. 이는 도시공공디자인의 기본계획 프로세스 상에서 “기본개념”에 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인식과 접근이 부족하기 때문이며, 이러한 지침에 대한 연구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공공의 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도시공공디자인에서는 다양한 사용자 측면에 대한 배려가 기반이 되어야 한다. 최근 유니버설디자인 개념이 “접근이념” 중 하나로써 도시공공디자인의 기본개념에 포함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점에서 유니버설디자인은 사용자들에 대한 본질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필수항목으로 도시공공디자인에 보다 적극적으로 적용될 필요가 있다. 도시공공디자인의 “기본개념”은 도시공공디자인의 규범으로 반드시 지켜야 하는 최소한의 기준이 되어야 하므로 종합적인 관점에서 체계적으로 연구되어져야 하며, 이를 기반으로 일관성 있게 도시공공디자인에 적용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도시디자인, 공공디자인, 유니버설디자인을 통합하는 도시공공디자인 기본 개념을 설정하고자 한다. 도시공공디자인의 통합적인 기본개념 정립을 통하여 궁극적으로 도시공공디자인에 대한 올바른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다양하고 혼재하는 도시공공디자인 개념들과의 상관성을 규명하여 체계화함을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진행과정은 1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에 대한 배경과 목적 및 연구방향에 대한 내용을 서술하였다. 2장은, 도시공공디자인의 개념을 이해하기 위한 도시공공디자인의 정의와 접근이념, 기본계획 수립 프로세스를 통해 이론적 기틀을 마련하였다. 또한 사회적 디자인(Social Design)으로 대표되는 유니버설디자인에 대한 배경과 국내자치단체의 동향을 살펴보고 도시공공디자인의 기본개념 설정의 방향성을 모색하였다. 3장은 문헌연구로 유니버설디자인과 도시공공디자인 관련 학술 및 학위 논문을 분석하여 개념들을 추출하고 체계화하여 각각 기본 개념 모델을 제시하였다. 또한 각 개념의 의미에 대해 조작적 정의를 내렸다. 4장은 사례연구로, 국내지자체의 도시공공디자인 관련 자치법규인 조례와 국내지자체의 도시공공디자인 관련 기본계획 및 가이드라인을 분석한 후 개념들을 추출하고, 체계화하여 기본개념을 도출하였다. 5장은 3, 4장의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통합적 기본개념체계를 도출하고, 이 결과를 전문가의 평가를 통해 적정성 검증을 하였다. 검증의 결과를 반영하여 통합도시공공디자인의 기본개념체계를 제안하였다. 6장은 결론부분으로 통합도시공공디자인의 기본개념정립에 대한 의의를 종합하고, 본 연구의 한계점을 밝혔다.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체계적으로 분석․종합하여 통합도시공공디자인의 기본개념체계를 정립한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공공디자인의 개념 및 항목파악을 위해 문헌연구와 사례분석을 기초자료로 하여 “경관성, 정체성, 사용편의성, 보편성, 지속가능성, 통합성‘ 6개의 기본개념을 도출하였다. 각 기본개념 별로 하위개념은 다음과 같이 도출되었다. 경관성 기본개념은 ’심미성, 쾌적성‘, 정체성 기본개념은 ’지역성, 맥락성, 상징성‘, 사용편의성 기본개념은 ’기능성, 융통성, 인지성, 안전성, 접근성‘, 보편성 기본개념은 ’범용성, 소통성‘, 지속가능성 기본개념은 ’친환경성, 유지관리성‘, 통합성 기본개념은 ’일관성, 체계성, 경제성‘으로 총 17개의 하위개념이 도출되었다. 둘째, 본 연구에서 도출된 기본개념체계와 이에 따른 조작적 정의를 통해 제시된 모델은 도시공공디자인을 위한 방향성, 즉 기본적인 개념을 통합적인 관점에서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도시공공디자인을 통합적 관점에서 기본개념을 정립함으로서 궁극적으로 도시공공디자인에 대한 올바른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정부 관련자는 물론 도시공공디자인 관련자들이 도시공공디자인에 대한 이해와 중요성을 인식하고, 향후 본 연구의 결과를 도시공공디자인의 관련 계획 수립 또는 가이드라인 개발 시 또는 이미 수립된 도시공공디자인 관련 계획 및 가이드라인의 기본지침이 될 수 있는 자료로 활용하기를 기대한다.

      • 전기밥솥 표면디자인 변화에 나타나는 환경요인에 관한 연구

        남영우 경성대학교 디지털디자인전문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47

        인간사회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을 ‘자연환경’, ‘인공적 물리환경’, ‘사회환경’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들 환경요소들은 상호연관성을 갖추어 인간사회에 필요한 특정한 결과물을 생성할 수 있다. 특히 디자인된 결과물로서의 조형물은 3가지 환경 가운데 인공적 물리환경에 속하며 제시된 환경이라는 큰 틀 안에서 직‧간접적인 영향을 받는 존재라고 볼 수 있다. 인공적 물리환경 요소 중 전기밥솥은 쌀을 주식물로 섭취하는 문화권인 한국에 있어 식생활유지를 위한 도구로서 지속성이 강한 제품이다. 디자인 관점에서는 주방공간에서 주변 가전제품군과 함께 조형적 가치가 중시되는 제품이며 특히 감성적 품질을 좌우하는 표면디자인은 소비자에게 상품의 매력성을 직접 호소할 수 있는 디자인 영역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1970~2012년 상반기 사이에 국내에서 시판된 전기밥솥의 표면디자인 변화에 영향을 미친 환경요인을 규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기밥솥의 표면디자인에 영향을 미친 환경을 ‘사회환경’과 ‘인공적 물리환경’으로 규정한다. 그리고 표면디자인 요소는 ‘색채’, ‘배색효과’, ‘소재감’, ‘문양’으로 규정한다. 이를 위한 연구 방법은 1970~2012년 상반기 사이에 출시된 전기밥솥 이미지를 수집한 후 ‘한국표준색 색채분석(Korea Standard Color Analysis)’ 도구를 활용하여 앞서 제시한 표면디자인 요소를 조사한다. 그리고 표면디자인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을 사회환경과 인공적 물리환경으로 규정한 후 관련된 자료를 조사하여 인과적 관계를 규명한다.

      • 유아 이유식 조리기기 디자인개발

        김기영 경성대학교 디지털디자인전문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47

        As global world has been integrated into one commercial market, consumers are able to buy new overseas products quickly. Baby Food Cooking Equipment on this study is the new product which emphasizes both convenience and functionality in accordance with several problems such as increase of the number of working moms, 'Gold-kids' phenomenon due to low birth rate problem and organic syndrome have arisen at the same time. Although demands of infant baby food cooking equipment have been increased in domestic market with its popularity in the USA, Netherlands, and France, we are still depend on imported products. Thus the necessity of localization has been raised with increasing the number of users who are complaining of sanitation problem. This study went proceeded in consideration of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n infant baby, methods and tools of making baby food by growing period, principle and structural analysis of cookwares from market research, and structural analysis according to the extent of rights by finding the design limita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 of product specific. Through the online reviews of products, we can also identify the needs of consumers. For analyzing problems of existing products objectively, we applied consumers' needs to design of product through PPP(Product Performance Program) evaluation standard system and limited the research scope to manufacturing experimental product. Main result of study is based on the solution of structure and formative contents with focusing on developing sanitation, convenience, application. Among three design proposals, the one is made into an experimental product. Through this, we selected the final design with examining both application and productivity and proceeded with metal molding and test injection molding for producing. Through this study, we expect both supplementation and completion of product before producing and we also expect to increase our product competitiveness and improve the level of baby food culture in the coun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