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MBTI 성격유형이 기업가 정신과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이지영 경상국립대학교 창업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COVID19, AI, 4차 산업, IT산업 등의 발달로 자동화가 인간을 대체하는 돌 발적 상황을 맞으면서 안정된 일자리가 사라지고 새로운 일자리와 직업을 창출해야 하 는 불안한 뉴노멀 시대의 당면 과제인 창업을 위해 개인의 성격 특성인 MBTI 성격유 형이 기업가정신과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과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직업적 차원 에서 미래 공동체를 이어가는 일자리를 창출을 위해 창업은 유일한 과정이며 이를 위 해 기업가정신과 창업의지는 당연한 준비사항이 되었다(윤병선 외, 2020). 선행연구에 서는 MBTI 성격유형과 기업가정신과의 관계, MBTI 성격유형과 창업의지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가 다루어져 왔지만 MBTI 성격유형이 기업가정신과 창업의지 두 가지 모두 에게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가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다. MBTI 성격유형이 창업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전국 303명의 설문자들을 기반으로 조사한 결과 MBTI 성격유형에 따라 기업가정신 및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이 각각 다르게 나타났 다. E(외향)형의 사람들은 I(내향)형에 비해 위험감수성, 개방적 사고, 창업의지가 높게 나타났고 N(직관)형은 S형(감각)형에 비해 위험감수성, 창업의지가 높게 나타났으며 다 른 유형들은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예비창업자들과 창업 인들이 MBTI 성격유형에 맞는 창업 교육 및 준비를 통해 도전정신을 키우고 성공 가 능성을 높일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지속적인 창업생태계 발전을 위한 노 력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personality traits, as represented by the Myers-Briggs Type Indicator (MBTI), and entrepreneurial spirit and intention in the uncertain era of the New Normal, characterized by the rapid developments in COVID-19, AI,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IT industry. With the disappearance of stable jobs due to automation replacing human labor, the imperative challenge of the current era is to foster entrepreneurship, creating new jobs and professions. In the realm of professional dimensions, entrepreneurship has become an essential preparation for generating jobs that will connect future communities (Yoon, B.S. et al., 2020). Previous research has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MBTI personality types and entrepreneurial spirit, as well as the connection between MBTI personality types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However, there is a considerable lack of research investigating how MBTI personality types influence both entrepreneurial spirit and intention simultaneously.- 61 - To understand the impact of MBTI personality types on entrepreneurship, a survey was conducted with 303 participants nationwide.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influence of MBTI personality types on entrepreneurial spirit and intention varies. Extroverted (E) individuals showed higher levels of risk tolerance, open-mindedness,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compared to introverted (I) individuals. Intuitive (N) individuals exhibited higher levels of risk tolerance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compared to Sensing (S) individuals.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among other personality type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aims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prospective entrepreneurs and current business owners. It suggests that tailoring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preparation to align with MBTI personality types can enhance the entrepreneurial spirit and increase the likelihood of success. By doing so, it contributes to ongoing efforts to foster the development of a sustainable entrepreneurial ecosystem. Key words: MBTI personality type,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ial intention

      • 온라인 플랫폼 활용이 창업기업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장유선 경상국립대학교 창업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63

        창업시장은 경제성장과 사회발전 기여에 큰 역할을 수행하는 분야로 자리잡았다. 정부와 지자체에서 창업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과 사업을 추진하는 현상이 점차 보편화되고 확대되고 있다. 나아가 기존에는 사회경험 및 업무경력이 풍부한 5060세대의 창업가 연령대가 2030세대의 청년 창업가로 다양해지며 창업 시장은 전통적인 프레임에서 벗어나 많은 변화에 적응하고 시대의 흐름에 편승함으로써 기업 성장을 추구해야 한다. 현재는 전례 없는 COVID-19 위기와 팬데믹을 거치며 보다 창업 시장의 변화가 급격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특성을 가지며 비대면 거래, 전자상거래 시장의 확대와 택배업 활성화 등 기존의 온라인 시장과는 다른 특성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온라인 플랫폼은 더 기존의단편적인 홈페이지, 오픈마켓, 소셜미디어 네트워크 서비스 등의 정보제공 또는 거래 공간이라는 의미와 더불어 기업 성장의 중추적인 구실을 하고 있다. 이는 국내 유니콘 기업으로 선정된 당근마켓과 더불어 크몽(Kmong), 마켓컬리 등의 사례분석을 통해 파악할 수 있으며 해당 기업들은 온라인 플랫폼을 기업 성장에 필요한 브랜딩, 판로확장, 사업의 유형 등으로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성장하였음을 살펴본다. 이를 통해 창업기업의 성장에 필요한 온라인 플랫폼 활용을 비즈니스 모델 측면에서 특성화하여 분류하고 이를 적용하여 전략적 기업 성장의 도구로써 활용할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창업기업 성장 관점에서 온라인 플랫폼 활용 방법을 전략적으로 선택하고 운용할 수 있게 하도록 다양한 문헌분석과 사례연구를 통해 온라인 플랫폼 활용방안과 기업 성장 간의 영향성을 언급하며 창업기업들의 온라인 플랫폼 활용 촉진을 제시하고 있다. 온라인 플랫폼 활용과 관련 인프라, 인재 등의 확보와 구축을 비롯하여 관련 정책 및 지원제도 등의 적극적인 참여와 활용을 통해 온라인 플랫폼 활용으로 창업기업의 성장을 위한 체계적이고 능률적인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음을 언급한다. The start-up market has become a field that plays a major role in contributing to economic growth and social development. The phenomenon of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promoting various policies and projects to revitalize start-ups is gradually becoming common and expanding. Furthermore, the age range of entrepreneurs in their 50s and 60s, who have abundant social experience and work experience, will be diversified to young entrepreneurs in their 20s and 30s, and the start-up market should pursue corporate growth by adapting to many changes and jumping on the trend of the traditional frame. Currently, the start-up market is changing more rapidly after the unprecedented COVID-19 crisis and pandemic, and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the existing online market such as non-face-to-face transactions, expansion of the e-commerce market, and revitalization of the delivery industry are emerging. In addition, online platforms are no longer playing a pivotal role in corporate growth, along with the meaning of information provision or transaction spaces such as existing fragmentary homepages, open markets, and social media network services. This can be seen through case analysis of Kmong and Market Kurly along with Carrot Market, which was selected as a domestic unicorn company, and the companies have grown by actively utilizing online platforms as branding, market expansion, and business types essential for corporate growth. Through this, the use of online platforms necessary for the growth of start-ups is characterized and classified in terms of business models, and the direction of using them as a tool for strategic corporate growth is presented. In order to strategically select and operate online platform utilization methods from the perspective of start-ups' growth, this paper mentions the influence between online platform utilization methods and corporate growth through various literature analysis and case studies. It is mentioned that the use of online platforms, securing and building related infrastructure and human resources, and actively participating and utilizing related policies and support systems can lay a systematic and effective foundation for the growth of start-ups. *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degree of Master of Business & Entrepreneurship in February 2023

      • 경남형 그린 스타트업 타운의 구축 필요성과 창업 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이준호 경상국립대학교 창업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지역 불균형 및 지역경제 쇠퇴의 현실에서 지역경제 활성화와 지역의 산업, 일자리, 창업 생태계 문제 해결을 위해 경남형 그린 스타트업 타운의 구축 필요성과 창업 지원방안을 제시하고자 경남지역 창업여건현황과 입주의향에 대한 빈도 분석을 진행하였고, 기업 입주 여건과 창업 지원 서비스에 대해 중요도-만족도 분석 (IPA)기법을 활용하여 실증 분석을 하였다. 1) 지역 산업이 직면한 가장 어려운 점 23%가 우수인력조달의 어려움으로 꼽았다. 2) 입주 시 고려사항으로 36%가 저렴한 임대료를 선택하였다. 3) 입주 혜택으로 29.0%가 기술개발자금지원을 선택하였다. 중요도 만족도 분석에서 ‘숙련노동력 접근성’, ‘우수연구인력 접근성’, ‘협력업체와의 접근성’, ‘정보 및 지식 교류 기회’ 의 4개 항목이 최우선적으로 개선의 노력이 요구되는 영역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지역의 기관ㆍ지자체 등 협력을 통해 금융ㆍ인력ㆍ기술 지원에 대한 전 방위적 지원이 이루어지는 지역의 창업 생태계 구축 등 창업 집적화를 이루어야 함을 알 수 있고, 경남지역 창업 인프라의 현주소 를 파악하여 지역특성에 맞는 지원정책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a Gyeongnam green start-up town and a plan to support start-ups in order to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and solve the problems of the local industry, job, and start-up ecosystem in the reality of regional imbalance and decline in the local economy. A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status of start-up conditions and intentions to move in the Gyeongnam region, and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importance-satisfaction analysis (IPA) technique for the conditions for moving in and start-up support services. 1) 23% of the difficulties faced by the local industry were the difficulties in procuring excellent human resources. 2) As a consideration when moving in, 36% chose the low rent. 3) As a move-in benefit, 29.0% chose technology development fund support. In the importance satisfaction analysis, four items: 'Accessibility to skilled labor', 'Access to excellent research personnel', 'Access to suppliers', and 'opportunities to exchange information and knowledge' were found to be areas that require priority improvement effort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achieve entrepreneurial integration such as establishment of a local entrepreneurial ecosystem where omnidirectional support for finance, human resources, and technical support is provided through cooperation with local institutions and local governments, and to identify the current address of the entrepreneurial infrastructure in Gyeongsangnam-do. This suggests the need for a support policy suitable for regional characteristics.

      • 온라인 플랫폼 유형이 창업 성공전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함성호 경상국립대학교 창업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e-커머스(온라인 플랫폼) 시장이 창업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성공적인 사례를 통해 e-커머스 시장의 성장 전략과 결과를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에서는 온라인 플랫폼의 정의, e-커머스의 정의, 성장, 물류 유형, e-커머스(온라인 플랫폼)의 창업생태계와 e-커머스가 창업 기회와 장벽에 미치는 영향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였으며, 이에 따른 사례로 밀리의 서재, 쿠팡, 에어비앤비, 네이버를 서비스 중심형, 제품 중심형, 공유경제형, 판매 채널형 총 4가지의 유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창업가들이 e-커머스의 성장과 창업생태계의 변화를 이해하고 온라인 플랫폼 유형별 적절한 전략을 수립할 수 있도록 활용되어 경쟁력을 확보하고 미래의 e-커머스 시장과 창업생태계에 지속적인 성장과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he rapidly growing e-commerce (online platform) market on the start-up ecosystem and to analyze the growth strategies and results of the e-commerce market through successful cases. Millie's Library, Coupang, Airbnb, and Naver were analyzed in four types: service-oriented, product-oriented, shared economy, and sales channel. The definition of online platform, growth, logistics type, and e-commerce's start-up ecosystem and e-commerce impact on start-up opportunities and barriers were comprehensively examined.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entrepreneurs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 growth of e-commerce and changes in the start-up ecosystem and establish appropriate strategies for each online platform type to secure competitiveness and contribute to continued growth and development in the future e-commerce market and start-up ecosystem.

      • 경상남도 진주지역의 창업자와 창업유관기관 종사자가 인식하는 창업 생태계 실태연구

        이원경 경상국립대학교 창업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경상남도 진주지역의 창업자와 창업유관기관 종사자가 인식하는 창업 생태계 실태에 대해 고찰하였다. 진주지역의 창업생태계 전반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해 창업자와 창업유관기관 종사자로 구분하여 인터뷰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의 혁신창업생태계 성과 진단 및 대시보드 개발(김영환·김지은, 2020)”의 성과 부분 구성요소를 활용하여 질문지를 개발하였다. 인터뷰를 분석하여 창업자와 창업유관기관 종사자가 경상남도 진주의 창업생태계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경상남도 진주 창업 생태계 12영역에 대한 창업자와 창업유관기관 종사자의 사례와 경험은 경상남도 진주의 창업 생태계 실태를 알 수 있는 여러 가지 제안을 제공하고 있다. 경상남도 진주의 창업생태계는 많은 변화와 성장을 거치며 발전해 오고 있었다. 진주의 창업생태계를 판교밸리와 비교해 본다면 진주 창업정주환경 5단계 중 3.5단계에서 4단계로 넘어가는 단계로 진단된다. 진주가 4단계로 넘어가기 위해서는 창업인프라 확대와 투자유치가 활성화 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status of the startup ecosystem perceived by founders and entrepreneurs related to startups in Jinju, Gyeongsangnam-do. We divided the founders and employees of startup-related organizations and conducted a survey through interview in order to investigate overall startup ecosystem in Jinju. In this study,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using the performance components of the previous research “Diagnosing the performance of Korea’s innovative startup ecosystem and developing a dashboard (Young-Hwan Kim, Ji-Eun Kim, 2020)”. We analyzed how founders and employees of startup-related organizations perceive the startup ecosystem in Jinju, Gyeongsangnam-do.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following, the cases and experiences of founders and entrepreneurs related to startups in the 12 areas of the Jinju startup ecosystem provide important clues to the status of the startup ecosystem in Jinju, Gyeongnam. For about 20 years, the startup ecosystem of Jinju, Gyeongnam has been developing through many changes and growth. If we compare the startup ecosystem of Jinju with that of Pangyo Valley, it is diagnosed as a stage moving from stage 3.5 to stage 4 of the 5 stages of the Jinju entrepreneurship and settlement environment. the startup ecosystem of Jinju can grow in the following fourth stage by expanding startup infrastructure and investment attraction.

      • 지역의 청년창업 현상과 의미에 대한 근거이론 분석 : 서부경남 청년창업 사례를 중심으로

        조재희 경상국립대학교 창업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지역에서의 청년창업 현상에 대한 분석과 지역청년창업이 가지는 의미에 대한 연구이다. 지역에서의 청년창업은 현재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지역소멸문제, 그리고 청년 실업 문제의 대안책으로 제시되고 있다. 저출산과 고령화로 인구수는 매년 줄어들고 있고, 특히 2020년은 사망자 수가 출생자 수보다 많아져서 처음으로 자연 감소하는 해가 되었다. 2020년에는 또한 수도권 인구가 비수도권 인구보다 많아지는 해이기도 하다. 즉 지역의 인구가 갈수록 줄어듦을 뜻하고, 지역소멸이라는 말까지 등장하였다. 특히 청년의 수도권으로의 유출은 심각하다. 지역에서 청년이 사라지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지역소멸 문제와 청년 유출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방안의 하나인 지역청년창업에 대한 관심이 늘고 있으며 정부와 지자체에서도 각종 정책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하지만 지역창업, 지역청년창업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에서 청년이 창업을 하는 현상에 대한 전반적인 분석을 통해 지역청년창업의 동기와 그 가치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부경남에서 활동하고 있는 지역청년창업자 10명을 심층 인터뷰하여 사례에 대한 자료 수집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근거이론접근법을 통해 사례들 간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여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내용을 범주화하여 의미 있는 주제를 찾아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지역청년창업의 배경과 동기, 그리고 지역에서 지속가능한 창업이 되기 위한 여러 전략들과 지역청년창업이 지역에 미치는 영향과 가치에 대해 도출하였다.

      • 대학 창업지원 프로그램이 기업가적 특성과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민준홍 경상국립대학교 창업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대학 창업지원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기업 가적 특성과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고자 했 다. 창업지원 프로그램의 요인을 창업지원 교과, 비교 과, 창업 사업화지원 3가지로 설정하고. 학생들의 기업 가적 태도, 역량을 매개변수로, 창업의지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기업가적 특성은은 창업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학생들의 기 업가적 태도와 역량의 변화는 현재 그리고 향후의 창 업의지에 많은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해석된다. 또한 창업 사업화 지원은 창업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창업지원 교과, 비교 과 프로그램은 사업화 지원보다 낮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해당 결과로부터 파악되는 바는 학생들이 현재 시점에서의 사업화 지원을 높이 평가한 다는 점이며, 이에 대학은 교과 및 비교과 프로그램을 더욱 다양하게 제공하여 학생들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해야 한다는 것이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대학 창업지원 프로그 램은 학생들의 기업가적 태도와 역량, 창업의지에 영 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또한, 대학, 정부, 창업 유관기관은 대상에 따른 다양 하고 체계적인 창업 지원 프로그램 운영이 필요하며, 향후 연구에서는 국내 광범위한 학생 대상으로 분석이 확장되어야 할 것으로 보여진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impact of university entrepreneurship support programs on students' entrepreneurial characteristics and intentions. The factors of entrepreneurship support program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components: entrepreneurship support courses,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entrepreneurship business support. The students' entrepreneurial attitudes and competencies were considered as mediating variables, while entrepreneurial intentions were set as the dependent variable for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d that entrepreneurial characteristics positively influenced entrepreneurial intentions. This implies that changes in students' entrepreneurial attitudes and competencies can significantly affect current and future entrepreneurial intentions. Furthermore, entrepreneurship business support showed a positive impac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s. However, entrepreneurship support courses and extracurricular programs were found to have a lower impact compared to business suppor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tudents highly value current business support, prompting universities to diversify and cater to various demands through different courses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 conclusion, this study revealed that university entrepreneurship support programs influence students' entrepreneurial attitudes, competencies, and intentions. It underscores the importance for universities, government bodies, and entrepreneurship-related institutions to operate diverse and systematic entrepreneurship support programs tailored to specific target groups. Future research should consider expanding the analysis to a broader spectrum of students nationwide.

      • 중장년 창업자의 유형과 창업유형이 창업동기, 창업역량,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성춘 경상국립대학교 창업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63

        최근 중장년층의 조기 퇴직이 늘어나고 있으며 퇴직자의 노후준비는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나 현재 퇴직자의 재취업은 매우 어렵고 노동시장은 열악한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중장년층의 창업은 계속 늘어나고 있지만 중장년 창업자에 관한 연구와 지원은 청년창업에 비해서 부족하다. 이러한 중장년 창업자의 창업성공에 기여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중장년 창업자의 유형과 창업유형을 독립변수로 하고 창업동기, 창업역량, 창업성과를 종속변수로 하여 독립변수의 영향에 따라 종속변수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창업자 유형은 창업횟수, 창업경과년수, 정부지원사업경험으로 구성하였다. 창업동기는 자아실현동기, 경제적 동기로 구성하였으며, 창업역량은 네트워크역량, 신기술수용역량, 자금조달역량, 마케팅역량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시행하여 수집한 130명의 표본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시행하였다. 타당성 검증과 신뢰성 분석을 시행하였으며, 가설검증을 위하여 다변량 분산분석을 시행하였다. 실증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창업동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확인되지 않았다. 창업역량은 창업자 유형에서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쳤고, 창업유형은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창업성과는 창업자 유형만 일부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얻었다. 이러한 실증분석 결과들을 통해 창업 전보다 창업 이후의 요인들이 창업성공에 영향을 미치고, 창업자의 창업경험과 창업지속성은 창업을 성공시킬 수 있는 요인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중장년 창업자의 창업을 독려하고 창업 이후에도 창업 대한 지원을 지속해서 실시한다면 창업자의 안정적 성장에 기여할 것이다. Recently, early retirement among middle-aged people has been increasing, and retirees' preparation for retirement is insufficient. However, it is currently very difficult for retirees to find re-employment, and the labor market is in poor condition. In this situation, the number of startups among middle-aged people continues to increase, but research and support for middle-aged entrepreneurs are insufficient compared to young people's startup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tribute to the success of these middle-aged entrepreneurs' start-ups. The types of middle-aged entrepreneurs and start-up types were used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start-up motivation, start-up capabilities, and start-up performance were used as dependent variables to verify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dependent variables depending on the influence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Entrepreneur type was composed of the number of startups, number of years since startup, and experience in government-supported business. The motivation for starting a business was composed of self-actualization motivation and economic motivation, and the start-up competency was comprised of network competency, new technology acceptance competency, financing competency, and marketing competency. Data collection for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 survey targeting middle-aged people and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a sample of 130 people. Validity verification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performed, and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was performed to verify the hypothesis.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 No factors were identified that had a significant impact on motivation to start a business. Entrepreneurship capabilities were partially influenced by the type of entrepreneur, and all types of startups were confirme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The results showed that only the type of founder had a partial effect on startup performance. These empirical analysis results show that factors after starting a business more than before starting a business affect the success of a start-up, and that the entrepreneur's start-up experience and persistence in starting a business can be factors that can make a start-up successful. Therefore, encouraging middle-aged entrepreneurs to start businesses and continuing to provide support for them even after starting a business will contribute to the stable growth of entrepreneurs.

      • ESG 정책 환경이 창업기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윤현 경상국립대학교 창업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63

        ESG의 관심이 대두되면서 정부, 기업, 시민단체 등 사회의 모든 곳에서 ESG에 대한 준비 를 하고 있다. ESG는 기업의 비재무적 요소로 환경, 사회, 지배구조로 사회적 책임 혹은 지속할 수 있는 시점에서 투자의사를 결정할 때 기업의 재무적 요소도 같이 고려되는 요소 이다. ESG가 기업 경영에서 중요성이 주목받는 것은 서구 선진국과 기업들이 상대방에게 ESG에 대해 지속적으로 요구를 하고 있으며, 대규모 자금을 투자하는 국내외 기관투자사들 이 투자 결정에서 ESG를 주요 의사결정 요소로 고려하기 때문이다. 최근 기업에 대해 ESG와 관련된 사항들을 공시하는 것을 법령으로 의무화하고자 하는 국가들이 늘어나며, 이 를 요구하는 기관투자자들이 증가하고 있다. 위와 같은 상황에서 기업들에게 전문적인 서비 스로 ESG 평가를 제공해야 한다는 평가 기관들이 등장하여 활동하고 있으며 규모 있는 투 자를 원하는 기관투자사들은 자체적으로 기획한 ESG 평가 기준을 활용하여 자금 운용을 전개 할 것이다. 이처럼 창업기업에서도 ESG에 대해 미리 대비하여 운영해야 한다. 이제 사업을 시작하는 초기 창업기업들도 ESG에 대해 준비하여 시작하여야 한다. 이러한 준비를 통해 투자 및 협업의 기회가 많아 질 것이고, 초기뿐만 아니라 중, 장기적인 관점에서도 기 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해 나갈 것이다. 본 논문은 ESG 정책 환경이 창업기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창업기업들이 국내외 기업들 의 사례 및 어떻게 준비하는지에 대해 알 수 있도록 다양한 문헌분석과 사례연구를 통해 ESG 정책 환경이 창업기업에 미치는 영향 및 대비에 대해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아직 ESG의 도입이 시작전이지만, 앞으로 다가올 ESG시대에 대해 창업기업도 지금부터 준비하 고, 방안을 모색한다면 더욱 성장가능성이 큰 기업이 될 것임을 언급한다. As ESG's interest increases, governments, companies, and civic groups are preparing for ESG throughout society. ESG is a non-financial element of a company, and financial factors of the company are also considered in determining social responsibility or investment intentions for the environment, society, and governance. ESG's importance in corporate management is drawing attention because advanced Western countries and companies continue to demand ESG from their counterparts, and large institutional investors at home and abroad cite ESG as a major determinant of investment decisions. Recently, more and more countries are trying to make it mandatory for companies to disclose ESG-related matters by law, and more and more institutional investors are demanding it. In the above situation, evaluation institutions that need to provide ESG evaluation as a professional service to companies have emerged and are actively working, and institutional investors who want to make large-scale investments will use ESG evaluation criteria to manage funds. As such, start-up companies should prepare and operate ESG in advance. Now, even early founders should start their own businesses in preparation for ESG. Through this preparation, there will be more opportunities for investment and collaboration, and the company will continue to grow not only in the early stages but also in the mid to long term. This paper presents the impact and preparation process of ESG policy environment on startups through various literature analysis and case studies so that startups can know the cases and preparation processes of domestic and foreign companies. ESG has not yet been introduced, but it is said that the growth potential of startups will increase if they prepare for the upcoming ESG era and seek ways.

      • 청년 농업 창업인의 성공 사례 연구 : ERIS 모델을 중심으로

        강호열 경상국립대학교 창업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47

        청년이 농업 창업에서 성공할 수 있었던 요인을 사례분석을 통해 찾는 것이 본 연구의 내용이다. 창업가들에게 필요한 특성 E(창업가 정신,성취욕구,위험감수성,혁신성,자율욕구,자기효능감), 농업창업을 위한 자원 R(기술적지지, 정서적지지, 그 외 자본 관련 요소), 산업환경의 특성 I(농업 창업의 특성,작물 관련 특성) 성공 전략 S(창업성공을 위한 총체성, 모든 전략)를 다루고 있다. E요소에 해당하는 창업가 특성요인이다. 창업인들의 특성요소는 크게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한 가지 유의미한 사실은 혁신성과 자기효능감이 높은 창업자는 타 사례자들에 비해 생산 뿐 아니라 가공과 유통 영역에 대한 확장 의지를 가지고 보다 적극적이고 진취적인 태도로 창업 전략을 수립하고 실천하고 있었다. 또 성공사례자의 공통점으로 창업 유형이 모두 동기중심형(생계유지형)창업이었다는 것을 통해, 성공의지가 매우 중요한 요건임을 알 수 있다. R요소는 모든 사례자마다 정서적 지지와, 자기 명의의 토지가 있었다. 부모의 사회자본이 있는 경우 도움이 되었으나 없는 경우도 실패 요인으로 작용하지는 않았다. I에 있어 작물 자체의 특수성보다 그 해의 농작물 작황에 따른 시세 변동, 지자체와 연계된 작물 등 작물의 상대적 가치가 높았다. S 전략은 특정 시기에 이루어지는 활약이 아니고 ERI가 연계된 종합적 성취로서 시작부터 끝까지 매 단계마다 적용되는 창업가의 성공전략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