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음악전공 대학생의 완벽주의와 연주 몰입의 관계 : 연주 동기와 연주 불안의 매개효과

        고봉균 경상국립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31

        음악가에게 있어 연주에 대한 태도는 자신의 커리어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기존 연구는 연주 태도 중 연주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연주 불안에 대해 이루어 진 것이 많았고 긍정심리학적 관점에서 연주에 몰입함으로써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방식에 주목하는 시도가 필요해 보이지만 선행 연구가 부족하였다. 음악에서 몰입은 연주에 주의력과 편암함을 유지시키고 즐거움과 성취감을 준다고 한다. 따라서 음악가의 기질적인 부분이 음악에서 성취하고 싶은 것에 대한 내·외적 동기에 영향을 주고, 내·외적 동기는 연주 불안과 연주 몰입과 어떤 관계를 가지는지 구조적인 문제를 밝히는데 집중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완벽주의를 긍정적 완벽주의와 부정적 완벽주의로 나누어 살펴보면서도 이 둘을 합친 전체 완벽주의는 어떻게 관계를 가지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은 전국 대학의 음악 전공자로 하였다. 특히 선행연구에서 여러 가지 어려움으로 전국적인 조사를 하지 못한 점을 보완하여 전국에 있는 음악전공 대학생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문제와 가설은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음악전공 대학생의 완벽주의, 연주 동기, 연주 불안과 연주 몰입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가설 1-1. 전체 완벽주의는 연주 동기, 연주 불안, 연주 몰입과 유의미한 상관이 있을 것이다. 가설 1-2. 긍정적 완벽주의는 연주 동기, 연주 불안, 연주 몰입과 유의미한 상관이 있을 것이다. 가설 1-3. 부정적 완벽주의는 연주 동기, 연주 불안, 연주 몰입과 유의미한 상관이 있을 것이다. 가설 1-4. 연주 동기와 연주 불안은 부적 상관이 있을 것이다. 가설 1-5. 연주 동기와 연주 몰입은 정적 상관이 있을 것이다. 가설 1-6. 연주 불안과 연주 몰입은 부적 상관이 있을 것이다. [연구문제 2] 음악전공 대학생의 완벽주의와 연주 몰입의 관계에서 연주 동기와 연주 불안은 어떤 효과가 있을 것인가? 가설 2-1. 전체 완벽주의와 연주 몰입의 관계에서 연주 동기와 연주 불안은 이중매개효과가 있을 것이다. 가설 2-2. 긍정적 완벽주의와 연주 몰입의 관계에서 연주 동기와 연주 불안은 이중매개효과가 있을 것이다. 가설 2-3. 부정적 완벽주의와 연주 몰입의 관계에서 연주 동기와 연주 불안은 이중매개효과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완벽주의와 완벽주의 하위 요소 중 긍정적 완벽주의는 연주 동기, 연주 불안, 연주 몰입과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내었다. 하지만 부정적 완벽주의는 연주 불안을 제외하고는 유의미한 관계를 보이지 못했다. 전체 완벽주의와 완벽주의 하위 요소 중 긍정적 완벽주의는 연주 불안과의 관계에서 차이를 보였는데 완벽주의 전체는 정적 상관을 보였고 긍정적 완벽주의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전체 완벽주의와 완벽주의의 하위 요소인 긍정적 완벽주의는 둘 모두 연주 몰입과의 관계에서 연주 동기와 연주 불안과 이중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긍정적 완벽주의는 이중매개효과에서 연주 동기가 매개되는 경우 연주 불안으로 가는 효과가 사라진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그간 완벽주의와 몰입간의 관계에서 결과가 상이했던 부분에 대해 탐색적으로 살펴 봄으로써 후속 연구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다음으로 완벽주의와 연주 몰입과의 관계에서 각종 변수가 어떤 과정을 통해 영향을 주고 받는지에 대한 경로를 제시하였다. 그럼으로 인해 상담과정에서 적절한 개입을 시도할 수 있는 함의를 제공한 의의가 있다.

      • 이주의 공간정치 : 경상남도 남해군 학교 매개 이주 사례를 중심으로

        서은수 경상국립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31

        This study analyzes the case of school-mediated migration in Namhae-gun, Gyeongsangnam-do, through the lens of the politics of the space with the aim of identifying the intrinsic migration motives and spatial production patterns of family-based urban-rural migration consisting of parents in their 30s and 40s and school-age children. One of the most persuasive explanations for the surge in urban-rural migration in the late 2000s, driven by people in their 30s and 40s, has been the “cultural value theory” which views migration as a journey away from spaces dominated by the mainstream order and toward a ‘Heterotopia’. However, this study challenges this view and attempts to find the underlying causes of the phenomenon of pre-retirement family migration by analyzing a case of school-mediated migration in Namhae-gun. This study considers the beginning, process, and outcome of migration as a process of the politics of the space between the local government and the school, local people, and migrants as agents in the migration space, and identifies the spatial production strategies and spatial practices of each agent through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interview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n effort to overcome the situation of rural areas whose maintenance or abolition has become uncertain without a net influx of people from outside, agents in Namhae-Gun(local government, school, and local people) have chosen a spatial production strategy to maintain and reproduce the local government, the school, and village communities by attracting migrants. However, what they hoped to achieve by attracting migrants differed. For the local government and the school, the population and the number of school-age children to sustain their organizations and institutions was paramount. On the other hand, the village community needed workers to maintain and reproduce the village community and promote the development of the village rather than increasing the number of people. On the surface, the spatial production strategy of attracting migration has been effective in that the local government have experienced a net influx of people, the school have been saved from closure, and villages have been able to accommodate new residents. However, local people's views on the project were divided into two camps: the positive view that more children and fewer vacant houses would revitalize the village, and the negative view that the project would attract people who would not help the village and would leave after a short time. Second, the migrants' motivations for migrating varied from fatigue with the hectic pace of daily life in the city, which encourages comparison and competition, to longing for rural life and rural schools, to enjoying the benefits and comparative advantages of small rural schools, and to changing their livelihoods. These migrants, with varying motivations, enjoyed the benefits of Namhae, but did not feel a sense of belonging or obligation to the community. They took up residence in an empty houses in the village, but maintained a superficial neighborly relationship with the locals and showed no desire to become part of the community. The migrants also formed a community around the school at the beginning of the migration, but it broke up with a bang. Since then, they have casually socialized with others who share a similar habitus. They migrated as families, so they did not feel the need to actively create new relationships in the migration space. And most of the migrants stayed in Namhae as strangers and travelers from the city, planning to return to the city after their children finished their studies. But they envisioned Namhae as a place where they could better fulfill their desires. The portrayal of Namhae as trendy, rich in attractions such as theme parks, easy to get to and from the city due to convenient transportation, and specialized in education reflected the habitus and desires of the migrants and resembled the city they had left behind. Based on these findings, here's what we found. First, the agents in Namhae chose the spatial production strategy of 'migration attraction' to overcome the crisis of disappearance of organizations and communities and to maintain and reproduce the space of Namhae. They offered hospitality to migrants, but this hospitality was offered in exchange for the migrants' bodies and participation in the community. In other words, hospitality was utilized as a kind of transaction tool. Second, for the urban migrants who responded to Namhae's invitation, migration was also part of a spatial production strategy. The migrants who fled from the city to Namhae in the wake of the 'Save the Schools' movement appropriated the space in a way that allowed them to 'consume' it according to their own desires. However, as resident strangers, they did not feel a sense of belonging or obligation to the local and village communities, and they sought to preserve their habitus and their identity as urbanites. They were strangers in Namhae, time-limited inhabitants who stayed as long as their desires could be fulfilled, but they also hoped that Namhae would become a space more conducive to their habitus and consumption needs. As a result, Eventually, in Namhae, locals and migrants had different dreams: the locals expecting the reproduction of community and migrants expecting the production of consumption space. Third, the case of school-mediated migration in Namhae showed a paradoxical situation in which homotopia(the city) and heterotopia(Namhae) became hierarchical rather than oppositional, with Heterotopia contributing to the reproduction of Homotopia, and migrants coming to Heterotopia expanding Homotopia. In the end, the migrants set out for the Heterotopian Namhae, but their destination was the Homotopian city, and their strategy of spatial production, migration, was both a reproduction of Homotopia and an extension of Homotopia. This study attempts to explain the causes beyond the ostensible motivations for family-based urban-rural migration of the pre-retirement generation since the 2010s, and reveals that the various migration motivations stated by migrants themselves converge on the desire to produce the social space they need. Based on concrete examples, the study also suggests the changes that the influx of migrants through school-mediated migration policies will bring to rural spaces. School-mediated migration is more likely to be aimed at a period of stay rather than settlement, and schools are more likely to function to encourage circulation rather than settlement. In other words, the cases of school-mediated migration examined in this study suggest that rural areas may become spaces that are sustained through a period of stay or circulation of urbanites rather than the settlement of migrants. Keywords: local extinction, return to the farm and rural, urban-rural migration, school-mediated migration, small school, spatial production, the politics of the space 이 글은 30-40대 부모와 학령기 자녀로 이루어진 가족 단위 도시-농촌 이주의 본질적인 이주 동기와 공간 생산 양상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경상남도 남해군의 학교 매개 이주 사례를 공간정치의 구도로 분석하였다. 2000년대 후반 급증한 도시-농촌 이주를 30-40대가 주도하는 현상의 원인에 대해서는 이들의 이주를 주류적 질서가 지배하는 공간에서 벗어나 ‘헤테로토피아(Heterotopia)’로 향하는 여정으로 보는 “문화가치설”(김이선 2022a: 20)이 가장 설득력 있는 설명으로 통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 글은 이러한 관점에 문제를 제기하고, 남해군의 한 학교 매개 이주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은퇴 전 세대의 가족 단위 이주 현상의 본질적 원인을 찾고자 시도하였다. 이 글은 이주의 시작과 과정, 결과를 이주공간의 행위자인 지자체 및 학교, 지역민, 이주민 사이의 공간정치의 과정으로 상정하고 참여관찰과 인터뷰 등을 통해 각 행위자의 공간 생산 전략과 공간 실천 양상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해군의 ‘학교살리기 운동’은 외부의 인구 순유입이 없이는 그 존폐 자체가 불투명해진 농촌의 현실 극복 노력의 일환으로서, 남해의 행위자들(지자체, 학교, 지역민)은 이주민을 유치함으로써 지자체, 학교, 마을공동체를 유지하고 재생산하려는 공간 생산 전략을 선택하였다. 그러나 이들이 이주민 유치를 통해 이루고자 한 목적은 각기 달랐다. 지자체와 학교는 조직과 기관을 유지하기 위한 인구와 학령기 아동의 수 자체가 가장 중요했다. 반면 마을공동체는 인구 수 자체의 증가보다 마을의 대소사를 함께하며 마을공동체를 유지·재생산하고 마을 발전을 도모할 일꾼을 필요로 했다. ‘학교살리기 운동’ 결과 지자체에는 인구 순유입이 일어났고 학교는 폐교의 위기에서 벗어났으며 마을에서는 이주민들을 새로운 주민들로 받아들일 수 있었다는 점에서 표면적으로 이주 유치라는 공간 생산 전략은 유효했다. 하지만 이를 바라보는 지역민들의 시각은 아이들이 늘고 빈집이 줄어 마을에 활기가 돈다는 긍정적인 시각과, 마을에 도움을 주지도 않고 얼마 살지도 않고 나갈 사람들을 애써 유치한다는 부정적인 시각으로 갈리었다. 둘째, 이주민들의 이주 동기는 팍팍한 일상과 비교와 경쟁을 부추기는 도시생활에 대한 피로감, 전원생활과 시골학교에 대한 로망, 시골의 작은학교에서 누릴 수 있는 혜택과 비교우위의 향유, 생계 방식의 전환 등으로 다양했다. 이처럼 다양한 동기를 갖고 이주한 이들은 남해라는 공간이 주는 여러 혜택들을 향유했지만 마을공동체에 대한 소속감이나 의무감은 갖지 않았다. 이들은 마을의 빈집에 자리를 잡았지만 지역민들과 피상적인 이웃 관계를 유지할 뿐 마을공동체의 일원이 되고자 하는 모습은 보이지 않았다. 또한 이주민들은 이주 초반 학교를 중심으로 커뮤니티를 형성했지만 파열음을 내며 이합집산했고, 이후 비슷한 아비투스를 공유하는 이들끼리 가볍게 어울렸다. 가족 단위로 이주한 이들은 이주공간에서 새로운 관계를 적극적으로 맺을 필요를 느끼지 않았다. 그리고 이주민들 대부분은 아이들이 학업을 마친 후 도시로 돌아갈 계획을 세우면서 도시에서 온 이방인이자 여행자로서 남해에 머물렀다. 하지만 이들은 남해가 자신들의 욕망을 더 잘 구현할 수 있는 공간이 되기를 꿈꾸었다. 트렌디하고, 테마파크와 같은 풍성한 즐길거리가 있으며, 교통이 편리하여 도시를 쉽게 오갈 수 있고, 교육이 특화된 공간으로 그려진 남해의 모습은 이주민들의 아비투스와 욕망을 반영하였으며, 그들이 떠나온 도시의 모습과 닮아 있었다. 위와 같은 조사 결과를 토대로 분석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남해의 행위자들은 조직과 공동체의 소멸 위기를 극복하고 남해라는 공간을 유지·재생산하기 위해 ‘이주 유치’라는 공간 생산 전략을 선택하였다. 이들은 이주민들을 환대하지만 이 환대는 이들이 인구로서의 몸을 제공하고 공동체에 참여하는 데 대한 반대급부로서의 환대였다. 즉 환대는 일종의 거래도구로 활용되었다. 둘째, 남해의 초대에 응한 도시의 이주민들에게도 이주는 공간 생산 전략의 일환이었다. ‘학교살리기 운동’을 계기로 도시에서 남해로 탈주한 이주민들은 남해라는 공간을 자신들의 욕망에 따라 ‘소비’하는 방식으로 전유했다. 하지만 이들은 정주하는 이방인으로서 지역과 마을공동체에 소속감이나 의무감을 갖지 않았으며, 빗장을 치고 자신들의 아비투스에 맞는 생활방식과 도시민으로서의 정체성을 지키고자 하였다. 이들은 남해의 이방인이자 욕망 충족이 가능한 시간까지 머무르는 시한부 정주민이면서도 남해가 자신들의 아비투스와 소비 욕구에 보다 충실한 공간이 되기를 기대하였다. 결과적으로 남해는 공동체의 재생산을 기대하는 지역민과 소비공간의 생산을 기대하는 이주민이 서로 다른 꿈을 꾸는 동상이몽의 공간이 된 것이다. 셋째, 남해의 학교 매개 이주 사례는 호모토피아(도시)와 헤테로토피아(남해)가 대항관계가 아닌 서열관계가 되어 헤테로토피아가 호모토피아의 재생산에 기여하고, 헤테로토피아를 찾아온 이주민들이 호모토피아를 확장하는 역설적인 상황을 보여주었다. 결국 이주민들은 헤테로토피아인 남해를 향해 출발했지만 그들의 도착지는 호모토피아인 도시이며, 이들의 공간 생산 전략인 이주는 호모토피아의 재생산이자 호모토피아의 확장이라는 결과를 노정하고 있었다. 이 글은 2010년대 이후 은퇴 이전 세대의 가족 단위 도시-농촌 이주의 표면적 동기 너머의 원인을 설명하고자 하는 시도를 통해 이주민들 스스로가 말하는 다양한 이주 동기가 자신들에게 필요한 사회적 공간을 생산하고자 하는 욕망으로 수렴됨을 밝힐 수 있었다. 또한 이 글은 구체적인 사례를 토대로 학교 매개 이주정책을 통한 이주민 유입이 농촌 공간에 가져올 변화를 시사해준다. 학교를 매개로 한 이주는 정착보다는 일정 기간의 정주를 목적으로 할 가능성이 높으며, 학교는 정주민의 정착이 아닌 순환을 유도하는 기능을 할 가능성이 높다. 즉 이 연구에서 살펴본 학교 매개 이주 사례는 농촌이 이주민의 정착이 아닌 도시민의 정주 또는 순환을 통해 유지되는 공간이 될 가능성을 암시하고 있다.

      • 고유압장비용 노벨 평면접촉식 퀵 멀티 커플링 시스템의 설계 및 최적화에 관한 연구 : 경상국립대학교를 중심으로

        우위팅 경상국립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9631

        유압 커플링 시스템은 유압 동력 전달 장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평면 커플링 시스템은 친환경 특성으로 최근 몇 년 동안 광범위하게 연구되었다. 유압 장비의 필요한 작동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연결 프로세스가 점점 어려워진다. 고압에서 편리한 연결을 위해 본 논문에서 노벨 평면접촉식 커플링 시스템을 제안하게 된다. 기존의 평면 커플링 시스템을 기반으로 노벨 설계에서는 순간 압력 제거 모듈을 추가하여 커플링 시 높은 유압으로 인한 저항을 대폭 감소 시키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노벨 설계의 작동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해 시스템 운동학의 이론적 모델을 설정하고, 노벨 동적 메쉬 기술과 ANSYS Mosaic 메쉬 기술을 기반으로 한 일련의 전산 유체 역학 수치 조사를 구현하여 설계의 합리성을 확인하게 되었다. 유압 에너지 전달 과정 중 에너지 손실이 최소화 시키기 위해 노벨 평면접촉식 커플링 시스템의 최적 설계가 탐구하게 되었다. 노벨 편면접촉시 커플링 최적된 설계를 바탕으로 유체와 구조 결합된 수치 연구 방법과 실험적 검증 방법을 활용하여 CFFCS와 NFFCS 시스템의 작업 안전성 및 구조적인 안정성을 연구하고 비교하게 되었다. 또한 NFFCS 기술을 기반으로 한 4 회로 및 6 회로 유압 퀵 액션 멀티 커플링 구동부 설계를 제안하게 됬어다. 빠르고 안전한 연결의 기구학 원리를 설명하게 되었다. 유한요소법을 기반으로 한 일련의 구조 안정성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안전성과 신뢰성에 대해 평가하였다. The coupling system plays a vital role in hydraulic power transmission equipment. Flat-face coupling systems have been extensively studied in recent years due to their environmental friendly features. As the working pressure of hydraulic equipment is increased, their connection process becomes difficult.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making high-pressure connections, a novel flat-face coupling system is proposed in this article. In the proposed design, which is based on the conventional flat-face coupling system, the resistance caused by high hydraulic fluid pressure during coupling is drastically reduced by adding an instantaneous pressure relief module. In this study, the theoretical model of the system kinetics is established to illustrate the operational mechanism of the novel design, and a series of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numerical investigations based on the novel dynamic mesh technology and ANSYS Mosaic meshing technology are implemented to verify the rationality of the proposed design. Additionally, an optimal design of the novel flat-face coupling system is proposed to reduce the energy loss during hydraulic power transmission. On the basis of this design, based on the fluid-structure coupling numerical research method and experimental verification method, the construction safety and stability of the NFFCS system are studied, and the safety level of construction stability is compared with that of CFFCS. In addition, the mechanical design of 4-circuit and 6-circuit hydraulic quick action multi-coupling drive part based on NFFCS technology is also proposed, and the kinematics principle of its rapid and safe connection is explained. A series of structural stability simulations based on finite element method were implement, and the safety and reliability were discussed.

      • 전통 책가도의 해석을 통한 현대적 표현 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박다현 경상국립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31

        책가도는 쌓아놓은 책 더미와 서재의 일상용품을 적절히 어울리게 배치해 놓은 그림으로 책거리 혹은 서가도(書架圖), 문방도(文房圖) 등 여러 이름으로 불린다. 책장의 형태를 가진 것을 책가도, 책장의 형태가 아닌 것을 책거리 그림이라 부르기도 한다. 책가도는 원래 책 읽기를 즐기고 학문의 길을 추구하던 선비의 방을 장식하고, 책을 아끼고 늘 가까이하겠다는 그들의 마음을 반영한 그림이었다. 하지만 조선 후기 민화의 주제 중 하나로 등장하면서 서적의 수량이 줄고 서민들의 소박한 소망에서부터 부귀영화(富貴榮華)를 꿈꾸는 대중들에게까지 기복축사(起福逐邪)의 주술적(呪術的) 의미를 내포한 상징적인 그림으로 인식되어 왔다. 이렇게 연구자의 작업 소재 ‘책가도’ 속에는 화려한 사치품에 대한 열망, 기복적 요소, 가치에 대한 ‘욕망’이 모두 담겨있다. 책가도에 진열된 물건들은 그 시대의 역사, 사상, 생활, 심지어는 사회의식까지 읽어낼 수 있는 수단이다. 겉으로 보기에는 단순한 물건이지만 내면을 들여다보면 사람들이 살아가는 모습이 담겨 있는 풍속화로 볼 수도 있다. 그래서 조선 후기의 사회적 양상을 추정할 수 있는 자료 역할을 하고 있다. 책가도의 표현기법은 수묵화의 담담함보다는 채색화의 화려함으로 채색되었다. 사물의 가치를 재인식함과 더불어 현실적인 욕망을 표현할 수 있는 채색화를 선택한 것이다. 화려한 색채는 현실을 돋보이게 할 뿐만 아니라 자신이 꿈꾸는 미래의 세계로 전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연구자의 작품에서 표준적으로 높은 채도의 짙은 원색이 사용되었고 이들의 대비 효과를 강조하였다. 이러한 작업들은 연구자의 작품에서 크게 두 가지 형태로 분류하였다. 첫째 인간의 일대기에 따라 책가도의 형식을 재해석하였다. 순수함과 자유로움을 상징하는 영·유아기, 사회적 규범을 벗어나고자 하는 청소년기, 성인이 되어 성숙한 사랑과 이별의 아픔을 겪게 되는 대학생과 처음으로 사회라는 집단 속에 들어가 어려움에 부딪히는 사회 초년생, 마지막은 자신보다는 가족을 위해 희생하는 엄마의 단계이다. 이와 같이 일대기를 총 5단계로 나누었고, 그 시기를 확인할 수 있는 기물들을 재배치하여 현대인들의 욕망과 소망을 간접적으로 표현하였다. 둘째 일상 속 소재를 통해 시대 상황을 나타냈다.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현실을 떠나고 싶은 마음을 여행 관련 책, 캐리어, 여권, 카메라 등의 사물을 사용해 상징화시켜 표현하였다. 또한 현대사회에서 변하지 않은 여성의 사회적 위치와 역할을 담아내고자 했다. 본 논문은 전통 책가도에 나타나는 예술성을 파악하고 각 시대와 문화를 상징하는 매개체를 선택하여 현대인의 공감대를 형성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이 밖에도 책가도에 드러나는 조형적 요소와 전통 민화의 표현양식이 앞으로도 연구자의 작업 방향을 다방면으로 인도(引導)해 주고 이를 통한 구상적인 조형방법에 대해서 좀 더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Chaekgado is a painting in which stacks of books and daily necessities in the study are properly arranged, and is called by various names such as Chaekgeori, Seogado, and Moonbangdo. The one with the form of a Chaekgado is called a bookcase, and the one that is not in the form of a bookcase is also called a Chaekgeori painting. Chaekgado was originally a painting that decorated the room of scholars who enjoyed reading books and pursued the path of learning, and reflected their desire to cherish books and always be close to them. However, as it appeared as one of the subjects of folk paintings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number of books decreased, and it has been recognized as a symbolic picture that contains shamanistic meanings from simple wishes of the common people to the public who dream of wealth and glory. In this way, the researcher's work material 'Chaekgado' contains all the desire for splendid luxury items, elements of ups and downs, and 'desire' for value. The objects on display in Chaekgado are a means to read the history, ideology, life, and even social consciousness of that era. It looks simple from the outside, but if you look inside, you can see it as a genre painting that contains people's lives. Therefore, it serves as a material for estimating the social aspects of the late Joseon Dynasty. Chaekgado's expression technique was colored with the splendor of colored paintings rather than the calmness of ink-and-wash paintings. In addition to re-recognizing the value of objects, they chose color painting that can express realistic desires. Flamboyant colors not only make reality stand out, but also play a role in transforming it into the future world of one's dreams. Therefore, primary colors with high chroma were used standard in the researcher's work, and their contrast effects were emphasized. These works are largely classified into two types in the researcher's works. First, the form of Chaekgado was reinterpreted according to the human life story. Infancy symbolizing innocence and freedom, adolescence trying to break free from social norms, college students experiencing the pain of separation from love and separation as adults, newcomers entering society for the first time and encountering difficulties, and the final step is mother's life. In this way, the life cycle was divided into five stages, and the desires and wishes of modern people were indirectly expressed by rearranging the objects that can confirm the period. Second, the situation of the times was shown through daily subjects. The desire to leave reality due to the coronavirus was symbolized and expressed using objects such as travel-related books, carriers, passports, and cameras. It also tried to capture the social position and role of women who have not changed in modern society. This paper is meaningful in forming a consensus among modern people by identifying the artistry shown in traditional Chaekgado and selecting a medium that symbolizes each era and culture. In addition, the formative elements revealed in Chaekgado and the expressive style of traditional folk painting guide the researcher's work direction in various directions in the future, and more continuous research is needed on the figurative formative method through this.

      • 대학기술지주회사 설립에 미치는 대학 산학협력 주요 요인 분석

        박성수 경상국립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의 목적은 기술지주회사의 존재와 산학협력의 다양한 요인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최근 대학기술지주회사의 활성화가 강조되고 있는 대학 환경에서 선행연구와 문헌연구를 통해 변수를 설정하고, 대학 산학협력의 주요 요인을 독립변수로 선정하여 기초통계와의 상관관계, 로지스틱 분석 등을 진행하고 있다. 자료는 대학 알림 사이트와 연구재단 메일 서비스를 통해 조사했다. 기술지주회사가 있는 대학과 없는 대학의 중복 점검을 위해 한국기술지주협회(KATH)가 집계한 자료와 교차 점검했다. 분석 결과, 대학기술지주회사 설립에 대한 산학협력의 주요 요인은 산업분야 경험이 있는 전임교원 수와 논문수였다.

      • 항공기 임무 시스템의 적외선 장치를 위한 개방형 소프트웨어 구조

        안우성 경상국립대학교 항공우주특성화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31

        IRST(InfraRed Search and Track)는 전파를 방사하지 않고 표적이 방사한 적외선을 수신하여 표적의 탐지 및 추적을 수행하여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표적 의 식별이 가능하기 때문에 현대 센서장비에서 중요성이 부각 되고 있다. IRST 를 임무 시스템에 통합하기 위해서는 IRST 관리 소프트웨어가 필요하며, 기존의 특정 플랫폼에 맞춰 개발된 IRST 관리 소프트웨어는 모듈간의 의존성으로 인해 다양한 플랫폼에 적용하기가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개방형 소프트웨어 구조를 적용하여 다른 플랫폼에서 동작할 경우, 소프트웨어의 수정을 최소화하여 이식성 을 향상된 IRST 관리 소프트웨어를 구현하였다. 이를 위해 FACE 표준 아키텍 처를 적용한 IRST 관리 소프트웨어를 구조를 제시하였으며, 다른 입출력 통신 모듈을 가지는 플랫폼에 이식 가능함을 보였다. 결국, 이식성이 보장되는 IRST 관리 소프트웨어 구조는 플랫폼 변경에 따른 소프트웨어의 수정과 추가 개발을 최소화하여 소프트웨어 개발 비용을 절감하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이다.

      • 고등학교 과학 학습경험이 일반화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구민주 경상국립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경남 소재의 G대학교 사범대학 화학교육과 1~4학년 재학생 51명을 대상으로, 고등학교 화학 과목에 대한 교수-학습 경험이 일반화학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인식 조사한 후, 그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분석된 교수-학습 요인들이 일반화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및 효과를 연구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고등학교 화학 과목 (화학Ⅰ, 화학Ⅱ)과 일반화학과의 내용 연계성에 대한 인식 정도, 화학 과목에 대한 흥미도, 고등학교 화학 과목 이수가 일반화학 내용이해에 도움을 주는 정도, 일반화학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 정도, 대학입학전형 (수시, 정시)에서 화학Ⅰ등급, 등과 일반화학 학업성취도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비대면 교수-학습에서의 행동통제, 인지적 학습, 상호작용, 학습만족도, 등의 요인과 일반화학 학업성취도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인식조사에서 학생들이 답변한 문항의 이유를 기술하도록 함으로써 학생들이 선택한 이유를 확인하였다. SPSS 2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고등학교 화학 과목에 대한 교수-학습 경험 요인들과 일반화학 학업성취도와 사이의 Pearson 상관 계수를 구하고, 그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요인에 따라 학생들의 인식정도 차이가 나타나는 원인을 알아보기 위해 답변한 문항의 이유를 분석하였다. 또한, 개별 요인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정도와 일반화학 학업성취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인식정도와 일반화학 학업성취도 사이의 일치성을 분석하였다. 1. 고등학교 화학 과목에 대한 학습경험이 일반화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고등학교 화학 과목 (화학Ⅰ, 화학Ⅱ)과 일반화학 사이의 내용 연계성에 대한 인식 정도(.488), 화학 과목에 대한 흥미도(.712), 고등학교 화학 과목 이수가 일반화학 내용이해에 도움이 되는 정도(.039), 등은 일반화학 학업성취 평균 등급과 정적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90.2%의 학생들이 고등학교 화학 과목과 일반화학 사이의 내용 연계성이 높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이들의 내용 연계성에 대한 인식 정도와 일반화학 학업성취 평균 등급 사이의 밀접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생들의 인식 정도에 대한 응답과 일반화학 학업성취 평균 등급 사이에 일관성을 나타내고 있다. 화학 과목에 대한 흥미는 교과 내용에 대한 재미, 성적이 높게 나와서, 일상생활과의 연계성, 전공 및 진로와의 연계성, 등의 이유로 흥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71.2%). 반면, 내용이해의 어려움, 문제 풀이 및 암기, 등과 같은 입시 위주의 수업으로 흥미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12.6%). 고등학교 화학 과목 내용에 대한 흥미 정도와 그들의 학업성취 평균 등급 사이에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82.8%의 학생들이 고등학교 화학 과목 이수가 일반화학 내용이해에 대한 도움 정도가 높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고등학교 화학 과목 이수와 일반화학 학업성취 평균 등급 사이에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화학Ⅱ를 이수한 84.4%의 학생들이 화학Ⅱ가 일반화학 내용이해에 큰 도움이 된다고 응답하였다. 37.9%의 학생들이 일반화학 내용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크다’고 응답하였으며, ‘기초지식 부족’, ‘문제풀이 부족’ 등과 같은 이유로 화학Ⅰ만 이수한 학생(23.0%)들이 화학Ⅱ를 이수한 학생(14.9%)보다 더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시전형 화학Ⅰ 등급(-.723) 및 정시전형 화학Ⅰ 등급(-.679)은 일반화학 학업성취 평균 등급과 부적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수시 및 정시 등급은 1등급이 가장 상위 등급이고 9등급이 가장 하위 등급이므로, 대학입학전형의 화학Ⅰ등급이 높을수록 일반화학 학업성취 평균 등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시모집 전형에서 화학Ⅰ (50.1%) 및 화학Ⅱ (46.2%) 등급이 높으면 일반화학 A. B 등급이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화학Ⅰ 및 화학Ⅱ 등급이 낮으면 일반화학 C, D 등급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정시모집 전형으로 입학한 학생은 수시모집으로 입학한 학생과 비교하여, 일반화학 학업성취에서 A, B 등급이 더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고등학교의 화학 과목의 교수-학습경험이 일반화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내용 연계성에 대한 인식 정도, 화학 과목에 대한 흥미도, 일반화학 내용이해 도움 정도, 등의 요인들에 대해 설문조사 후, 일반화학 학업성취도와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들을 분석한 결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내용의 연계성에 대한 인식 조사에서 연계성이 ‘매우 크다’와 ‘크다’라고 응답한 학생들의 비율이 90.2%로 높게 나타났다. 흥미도에 대한 인식 조사에서 ‘매우 높다’, ‘높다’라고 응답한 학생들의 비율이 71.2%로 높게 나타났다. 내용이해에 대한 도움 정도에서 화학Ⅰ 내용이 일반화학 학습에서 기초지식으로 활용되기 때문에 ‘매우 크다’와 ‘크다’라는 응답이 49.4%로 높게 나타났다. 대학입학전형에 의한 일반화학 학업성취도 분석에서 화학Ⅰ 및 화학Ⅱ 내신 등급이 높은 학생들이 일반화학의 학업성취 평균 등급도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연계성, 흥미도, 도움 정도, 대학입학전형, 등의 화학 과목 교수-학습 경험 요인들이 일반화학 학업성취도가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비대면 교수-학습에서 일반화학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비대면 교수-학습에서 행동통제(.576), 인지적 학습(.522), 상호작용(학습자-학습자, 교수자-학습자, 학습자-콘텐츠, 학습자-시스템, .508), 학습만족도(.742), 등의 요인과 일반화학 학업성취 평균 등급 사이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대면 교수-학습에서 행동통제의 세부요소 중 과제 집착에서 ‘매우 그렇다’라는 긍정적인 응답 (27.5%)이 상대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학습 과제를 충실히 수행하면 일반화학 학업성취 평균 등급이 높게 나타났다. 비대면 강의에서 학습자료, 과제물, 보고서, 등을 통하여 학업성취도를 평가하기 때문에, 학생들이 학습과제를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인지적 학습의 모든 세부요소에서 긍정적인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지식이해’ 요소에 대한 응답이 ‘교수자의 학습내용 전달’ 수준에 머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새로운 지식에 대한 창출 가능성이 높은 ‘지식 확장 (21.6%)’, ‘지식 응용 (25.5%)’, ‘지식 창출 (27.5%)’ ,등에서 ‘매우 그렇다’는 긍정적인 응답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인지적 학습 세부요소 중 ‘지식 정교화’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정도와 학업성취 평균 등급 사이에 비교적 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호작용과 일반화학 학업성취 평균 등급 사이의 상관관계는 교수자-학습자 상호작용이 .638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518), 학습자-콘텐츠 상호작용(.441),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교수자-학습자 상호작용의 세부요소 중 ‘내용이해 확인’에 대한 긍정적인 응답 (80.4%)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수업활동 관련’, ‘내용이해 확인’, ‘피드백 제공’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일수록 일반화학 학업성취 평균 등급이 높게 나타났다. 이들 요소들과 일반화학 학업성취 평균 등급 사이에 높은 일치성이 나타난 반면, 학습자들의 눈치 보기, 교수자 중심의 수업을 선호하는 소극적 특성을 내포하는 ‘수업 내용 관련’ 요소와 일반화학 학업성취 평균 등급과의 일치성은 낮게 나타났다. 비대면 강의의 학습만족도 세부요소에서 ‘매우 아니다’라는 부정적 응답이 11.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특히, 비대면 강의가 학생들을 만족시키지 못하므로 ‘타인에게 권유’에서 부정적 응답(19.6%)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반면, 학습만족도 세부요소 인식조사 결과와 일반화학 학업성취 평균 등급 사이에 일치도가 높게 나타났다. 대면 및 비대면 강의에 따른 일반화학 학업성취 평균 등급 비교에서, 대면 강의에 의한 일반화학 평균 등급은 A, B로 나타났으며, 이는 비대면 강의 결과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특히, C, D 등급은 나타나지 않았다. 비대면 교수-학습에서의 행동통제, 인지적 학습, 상호작용, 학습만족도, 등의 요인들에 대해 설문조사한 후, 일반화학 학업성취도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들을 분석한 결과,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행동통제 세부요소인 과제 집착에서 ‘매우 그렇다’라는 긍정적인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학습 과제를 충실히 수행하면 일반화학 학업성취 평균 등급이 높게 나타났다. 인지적 학습의 모든 세부요소에서 긍정적인 응답이 높게 나타났으며, 비대면 수업에서 인지적 학습이 ‘교수자의 학습내용 전달’ 수준에 머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호작용과 일반화학 학업성취도 사이의 상관관계에서 교수자-학습자 상호작용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또 그 세부요소인 ‘내용이해 확인’에 대한 긍정적인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고등학교 과학 학습경험이 일반화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대면 강의에서 내용 연계성, 흥미도, 도움 정도, 대학입학전형, 등의 화학 과목 교수-학습 경험에 대한 요인들이 일반화학 학업성취도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비대면 강의에서 ‘학습 만족도’ 및 ‘학업성취도’에 대해 인식 조사를 하였다. 비대면 교수-학습에서 조사한 결과, 강의만족도에 대한 학생들의 긍정적인 응답이 23.5%로 낮게 나타났다. 이는 비대면 강의가 학습자들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대면 및 비대면 강의에 따른 일반화학 학업성취 평균 등급 비교에서, 대면 강의에 의한 일반화학 학업성취도가 A, B등급으로 나타났으며, 비대면 강의 결과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대면 강의는 학습자들의 학습 내용을 이해를 위한 즉각적인 피드백이 가능한 반면, 비대면 강의는 피드백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교수자의 강의가 일방적으로 진행되므로 학습만족도 및 학업성취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 식민지기 경상남도 통영읍의 행정구역 확장에 관한 연구 : 통영군 『山陽面 面區域變更書』를 중심으로

        박광선 경상국립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31

        이 논문에서는 통영의 지역 유력자들의 성장과 그들이 지역 발전을 위해 시행한 ‘통영읍 확장 계획’의 성격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그것을 중심으로 통영의 지역 개발이 어떻게 전개 되었는지 살펴보았다. 이 연구의 중심이 되는『山陽面 面區域變更書』와『統營邑 區域擴張 計劃案』을 통해서 통영읍 구역확장의 의도와 목적, 그리고 행정 과정과 후속 조치 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 1939년에 이루어진 ‘통영읍 행정구역 확장’ 사례가 연구의 중심이 되었다. 왜냐하면 총독부에 의한 행정체계의 변화가 식민통치의 효율성과 편의성을 위해서 시행되었다면, 지역민에 의한 행정구역 확대와 지역의 승격운동은 지역민들의 이해와 목적에 따른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당시 지역의 승격은 도시로 발전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었다. 지역의 승격은 총독부의 정책으로 이루어지기도 했지만 지역민의 請願과 승격 운동을 통해서 실현되기도 하였다. ‘통영읍 구역 확장’은 지역 유력자가 중심이 되어 추진한 것이었다. 식민지 통영은 일본인의 경제적 상황이 조선인보다 독보적으로 우위인 상황이었다. 일본인들이 경제적으로 강세인 시점과 통영의 도시화의 시작 시점이 맞물려 있다. 통영의 도시화 중심에는 일본인이 있었으며 그들의 의지가 지역 개발에 반영되었다. ‘府制’ 실시를 준비하기 위한 통영읍의 확장계획도 그러했다. 하지만 통영운하와 해저도로와 같은 대형 공사들이 주민의 의견보다는 몇몇 공직인의 意思에 따라 이루어졌으며, 통영읍 확장에서도 산양면 11개 里의 주민들의 意思는 지역 발전의 주도권을 가진 유력자들의 의사에 가려졌다. 이 연구를 통해서 식민지 통영의 지역 발전 모색안과 그것의 중심에 있는 지역 유력자들의 특성에 대한 이해를 제공할 것이다. This study identifies the growth of influential figures in the Tongyeong region and the nature of the 'Tongyeong-eup expansion plan' they implement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region. And focusing on that, this study examined the deployment pattern of the Tongyeong region development. Through the 󰡒Archives for Sanyang-myeon District Boundary Change Documents (山陽面 面區域變更書)󰡓 and the 󰡒Draft Documents for Tongyeong-eup District Boundary Expansion (統營邑 區域擴張 計劃案)󰡓, which are the focus of this study, we can find out the intention and purpose of Tongyeong-eup district boundary expansion, as well as the administrative process and follow-up measures. In particular, the case of 'Tongyeong-eup administrative district boundary expansion' in 1939 became the center of this research. Here, if the change in the administrative system by the Government General was implemented for the efficiency and convenience of colonial rule, it is because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expansion of administrative districts by the people of the region and the movement to promote the region (administrative unit) in that they are based on the interests and goals of the people of the region. At that time, the promotion of the region (administrative unit) could have been an opportunity for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into a city. The promotion of a region (administrative unit) was sometimes achieved through the policy of the Government General, but it was also realized through the petitions of the region's citizens and the promotion movement (administrative unit). The 'Tongyeong-eup district boundary expansion' was promoted by influential figures in the Tongyeong region. In fact, in the colonial land of Tongyeong, the economic situation of the Japanese was incomparably superior to that of the Koreans. The time when the Japanese were economically strong coincided with the starting time of Tongyeong's urbanization. At the center of Tongyeong's urbanization were the Japanese, and their will was reflected in the development of the region. Tongyeong-eup's district expansion plan to prepare for the implementation of 'Buje' is also part of it. However, large-scale construction projects such as the Tongyeong Canal and undersea roads were carried out based on the wishes of some public officials rather than the opinions of residents, and even in the district expansion of Tongyeong-eup, the will of the residents of 11 sub-counties (Ri) of Sanyang-myeon district was overshadowed by the will of influential people who took the lead in the development of the region. Here, through this study, we will explore the colonial land of Tongyeong's search for regional development and an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s influential figures at the center of it.

      • 성인애착, 정서처리과정에 따른 집단분류와 대인관계만족, 대학생활적응의 집단간 차이

        윤일광 경상국립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natural grouping according to adult attachment, affect intensity, emotional attention, emotional clarity,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s a result of cluster analysis using university student sample (N=425), there were 4 clusters. The "stable-honest group" showed that both attachment avoidance and attachment anxiety were below average, emotional intensity, emotional attention and emotional clarity were high,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was low, and college life adjustment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were the highest. The "anxiety-confusion group" showed high attachment anxiety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the emotional experience was not clear The level of college life adapt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of this group was lower than that of "stable-honest group" and "low anxiety-silence group". The "avoidance-oppression group" showed high attachment avoidance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did not pay attention to their emotions. The "low anxiety-depression group" showed low attachment anxiety and no confusion in emotional recognition and expression. "low anxiety-depression group" showed high college life adapt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after "stable-honest group".

      • 압력 하중을 받는 곡면 패널의 3차원 비선형 구조해석의 신뢰성 연구

        유형선 경상국립대학교 항공우주특성화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31

        Recently, in the aerospace industry, the importance about analysis is increasing, demanding more accurate and reliable results for structural integrity. Therefore, one common approach in the aerospace industry is to evaluate the structural integrity of the structures using commercial FEM programs, which are based on the finite element method. Sheet metal components such as the aircraft's external skin or inlet duct skin are usually designed with curvature to enhance aerodynamic efficiency. Additionally, for weight reduction, the process of Chemical Milling, which involves controlled corrosion to adjust the thickness, is applied. In such cases, stress concentration occurs in the area for rapidly decreased thickness due to chemical milling. However, these challenges can be mitigated by applying reinforcement measures such as application of stiffeners or thickness increase to ensure structural integrity. Generally, when analyzing panel with curvature subjected to pressure loads normal to the surface, linear analysis results in the same stress distribution regardless of the load direction, with internally applied loads yielding results with opposite signs. However, in nonlinear analysis, if the panel is subjected to bursting loads (positive pressure, acting from the concave side outboard), it exhibits similar behavior to the linear analysis. On the other hand, when subjected to crushing loads (negative pressure, acting from the convex side inboard), the panel's displacement changes abruptly even with a slight increase in pressure, leading to the occurrence of oil canning phenomena, which depend on the panel's curvature, thickness, load magnitude, and shap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difference between linear and nonlinear analyses when applying pressure normal to the surface of panels with curvature and chemical milling. Furthermore, we examined stress concentrations at the edge, which is the weak point, when oil canning phenomena occur. We also evaluated the structural effect for reinforced designs, such as a application of stiffeners or thickness increase, to prevent oil canning. Finally, reliability of the analysis is confirmed by comparing the predicted values with structural tes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