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체육교육전공 교육대학원생들이 임용고사 준비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 탐색

        조인진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교육전공 교육대학원생들이 임용고사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을 탐색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 체육교육전공 교육대학원생의 삶을 이해하고 진로의 제약 문제들의 대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교육대학원 졸업생 중 임용고사를 준비 중인 준비생 2명, 임용고사를 합격한 교사 2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자료는 심층면담을 통해 수집하였으며, 수집 된 자료는 귀납적 범주분석을 통해 요인들을 추출하였다. 연구결과 체육교육전공 교육대학원생들이 임용고사 준비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은 ‘실기수업 부재’, ‘교육과정 혼재’, ‘심리적 불안감’으로 범주화 되었다. 교육대학원의 교육과정에 실기수업이 부족하여 2차 실기시험을 준비하는데 어려움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재교육과 교사양성교육의 교육과정 혼재로 인해 교사재교육에 관련된 수업을 듣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로 인해 인터넷 강의와 사설학원을 통해서 임용고사에 관련된 내용을 보충하고 있었다. 또한 인터넷 강의와 사설학원 등록비와 학부생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나이로 인해 심리적인 불안감을 격고 있었으며, 이로 인해 임용고사를 준비하는데 어려움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참여자들의 어려움은 교육대학원생 개인적인 수준에서 해결하기에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체육교육전공 교육대학원생이 임용고사를 준비하는데 경험하는 어려움의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의 교육과정에 실기교육과정 추가와 교사양성과정과 교사재교육의 분리하여 운영 할 것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graduate students who major in physical education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the process to prepare for the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understanding life of graduate students who major in physical education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preparing alternatives career constraint issues through this.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study, 2 students who are preparing for the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and 2 teachers who passed the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of the graduates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in the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factors were extracted from the collected data through an inductive analysis of categories. I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graduate students who major in physical education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the process to prepare for the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were categorized as 'absence of practice classes', ‘the mixture of curriculums’, and‘psychological anxiety.’Lack of practice classes in curriculums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as found that the subjects experience difficulties in preparing for the second practical examination. The mixture of teachers' reeducation and education curriculums has found that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take classes related to teachers' reeducation and supplement contents related to the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through lectures on the internet and private institutes due to this. And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suffer psychological anxiety due to tuition fees of lectures on the internet and private institutes and their older age than undergraduates and have found to experience difficulties in preparing for the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due to this. These difficulties of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have found to have limits to be solved on an individual level of graduate students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Finally, the study suggested the addition of practice classes to curriculums for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separation and operation of teachers' education from their reeducation as plans to solv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graduate students who major in physical education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hile preparing for the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 日本語敎育と敎科書硏究 : 일본어교육과 교과서연구

        김 성균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抄錄) 日本語教科書에 대한 分析硏究는 敎育人的資源部에서 정한 “敎育課程”을 準用하고 있는 高等學校 日本語教科書에 集中되고 있다. 본 論文은 이러한 狀況을 直視하면서 日本語와 日本에 관한 一般的인 敎養의 習得을 目標로 하는 大學校 日本語敎養教科書 使用語彙의 バラツキ를 實證하고 語彙選定의 妥當性의 度合い를 明確히 하는 것을 目的으로 하고 있다. 지금 까지, 語彙分析에 있어서 先行硏究의 對象은 私立大學校의 日本語敎養教科書에 限定되어 있었지만, 본 論文는 2007年 現在 日本語 關聯學科가 設置되어 있는 國立 5個 大學校 즉, 慶北大學校(KB), 慶尙大學校(KS), 釜山大學校(PS), 全南大學校(CN), 全北大學校(CB)의 教養科目 『日本語Ⅰ』과 『日本語Ⅱ』를 對象으로 했다. 一般的으로 前者는 1學期, 後者는 2學期에 使用하는 敎科書를 意味한다. 大學校 日本語敎養敎科書는 高等學校 日本語敎科書와 달리 日本語 關聯學科의 敎授의 主觀的인 觀點에서 執筆한 敎材나 特定 出版社가 製作한 敎材를 그대로 敎科書로 使用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使用語彙의 選定基準이 없기 때문에, 語彙分析의 基準으로 삼을 만한 根據가 없다. 따라서, 본 論文에서는 2007年3月 敎育人的資源部가 第7次 敎育課程을 修整・補完한 『2007年 改訂敎育課程』의 基本語彙1,023字를 語彙分析의 基準으로 設定하여, 大學校 日本語敎養敎科書의 使用語彙와 함께 名詞, 動詞, 形容詞, 形容動詞, 副詞, 連體詞, 接續詞, 感動詞, 助動詞, 助詞, 連語, 接頭語, 接尾語 등의 13品詞로 分類한 後, 兩者의 語彙를 總語彙一致數와 總語彙一致率, 品詞別一致數와 品詞別一致率, 換算品詞別一致率과 偏差値, 種數別共通語彙數와 種數別共通語彙率 側面에서 各各 比較分析하였다. 以下 본 硏究을 통해서 얻은 結果를 敍述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総語彙一致數에서 얻은 総語彙一致率를 보면, 慶北大學校(KB)ー釜山大學校(PS)ー慶尙大學校(KS)ー全北大學校(CB)ー全南大學校(CN) 順이고, 各各의 數値는 「54.1%」「49.5%」「39%」「35.3%」「26.2%」이며, 平均的으로는「40.8%」程度이다. 이 結果는, 各教養教科書 使用語彙의 総語彙數에 따른 順序, 釜山大學校(PS)ー慶北大學校(KB)ー全北大學校(CB)ー慶尙大學校(KS)ー全南大學校(CN)와는 一致하지 않는다. 이것은 各教養教科書 使用語彙의 総語彙数와 改訂教育課程 基本語彙와의 一致語彙數는 반드시 比例하지 않는다는 것을 意味한다. 즉, 教養教科書의 使用語彙數가 많다고 해서 改訂教育課程의 基本語彙와의 一致語彙數가 많아 진다고는 断定할 수 없는 것이다. 다음으로, 品詞別一致數로 얻은 品詞別一致率을 보면,「名詞」「形容詞」「形容動詞」「副詞」「連体詞」「感動詞」「接頭語」「接尾語」의 8個 品詞에서는慶北大學校(KB),「動詞」「助動詞」「助詞」「連語」의 4個 品詞에서는 釜山大學校(PS)、「接続詞」에서는 慶尙大學校(KS)가 各各 가장 높은 一致率을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結果를 基準으로 判斷하면, 総語彙一致數와 品詞別一致數는 대체로 比例한다고 말할 수 있다. 다음으로, 品詞別偏差値の合計を基準으로, 가장 偏差値가 작은 것부터 順序대로 敍述하면, 慶北大學校(KB)ー全北大學校(CB)ー慶尙大學校(KS)ー全南大學校(CN)ー釜山大學校(PS)이고, 各各의 數値는「0%」「-0.1%」「0.2%」「-2.1%」「3%」가 된다. 이것은 総語彙一致率에 의한 妥当性에 따른 順序와는 전혀 一致하지 않으며, 특히, 釜山大學校(PS)의 경우, 総語彙一致率에 따른 順序에서는 2位임에도 불구하고 여기서는 最下位에 位置하고 있다. 이와 같은 現象은 教養教科書 使用語彙의 品詞別構成比率에도 バラツキ가 存在하고 있다는 좋은 證據라 말할 수 있다. 또한, 平均偏差値을 보면,「接尾語」ー「動詞」ー「形容動詞」ー「助詞」ー「名詞」ー「感動詞」ー「副詞」ー「接続詞」ー「連体詞」ー「接頭語」ー「連語」ー「形容詞」ー「助動詞」順이며, 各各의 數値는 「-1.3」「+0.8」「-0.8」「+0.7」「-0.7」「-0.4」「+0.3」「+0.2」「-0.2」「+0.1」「-0.1」이 된다. 이것을 合計하면 플러스数値「+2.8%」, 마이너스数値「-2.9%」이고, 兩者의 差를 計算하면, 마이너스「-0.1%」로、基準數値「0%」에서 보면, 教養教科書 使用語彙속의 改訂教育課程 基本語彙의 採用程度가 各 品詞別側面에서도 여전히 마이너스傾向을 띄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다음으로, 教養教科書 使用語彙의 種数別共通語數에 있어서는, 3種,4種,5種 語彙數는 적고, 2種과 1種 語彙數가 차지하는 比率이 3.5%로 半 以上이나 된다. 이 數値는, 가령, 種數別共通語率87.7%를 100%로 換算할 경우, 61%에 이르고, 3種,4種,5種 語彙數는 극히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結局, 各 大學校 日本語教養教科書 使用語彙에 バラツキ가 그 만큼 크다는 것을 意味한다. 以上과 같은 結果에서 国立 5個 大學校의 教養教科書 使用語彙는, 그 選定基準이 없기 때문에 使用語彙의 種類나 數에 있어서 큰 差가 생긴다는 것을 確認할 수 있었다. 이것은 國立 5個 大學校의 敎養敎科書는 使用語彙에 バラツキ가 큰 教材를 授業에 使用하고 있다는 것을 意味한다. 이와 같은 教材를 使用해서는 教養科目 本来의 目的에 適合한 授業은 期待하기 어렵기 때문에 教材의 改善이 시급히 要求되고 있다. 따라서, 教養教科書 使用語彙의 現況을 直視하고, 이와 같은 諸問題를 解決하기 위해서라도 第7次 改訂教育課程 基本語彙를 大學校 日本語教養教科書 使用語彙의 選定基準으로 삼는 것을 하나의 方案으로 들 수 있을 것이다. 以上과 같이, 大學校 日本語教養教科書의 語彙分析을 中心으로 多樣한 分析方法을 利用하여, 使用語彙의 バラツキ를 實證하고 語彙選定의 妥當性의 度合い를 明確히 하고자 努力하였다. 그러나, 본 論文의 對象을 벗어난 그 밖의 大學校 日本語敎養敎科書에 대한 보다 폭넓고 深度있는 分析硏究가 이루어질 必要가 있다고 思料되지만 이 部分은 今後의 課題로 남기고 싶다.

      • 초등학교 미술 현장학습과 연계한 경북대학교 박물관 셀프가이드 연구

        김아라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A museum can be said to be a treasure house of educational resources and a field of history and culture class to awaken a viewer's intelligence and emotion and enhance the level of culture and the quality of life through the exhibition, a collection of art works and relics. Recently, the educational role of the museum tends to get bigger and the museum gets its function emphasized as a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 and cultural institution for all walks of people, and especially becomes a place of field study connected to school education. The strongest merit of museum field study lies in that students can see the works directly instead of seeing them only through subject illustrations, and the museum presents the environment of appreciation to understand the arts in a big context through ‥exhibition…. Therefore, the museum needs to grope for positive and diverse methods to reflect students' tastes and dispositions and induce their interest in developing the appreciation program and educational materials considering students' interest. What is most important for the activation of the educational function of the museum is to prepare and use the educational materials to induce an active participation in appreciating and understanding the exhibitions and collections of the museum. Hence the museum requires 'a Self-guide' fitted for the students' eye level as an educational means placed in the museum for the service. The Self-guide plays the role to help the students themselves to become the study subjects, learn to be fitted for their own level and necessity and make a meaningful view in their field trips. The field trips using a Self-guide will help the students understand the museum themselves and also make out the exhibitions and collections of the museum in the social cultural context. This student's problem awareness starts from here. Usually schools make field trips of the museum to get over the limitation of the appreciation activities in the school classrooms, but the museum and the schools have neglected the efforts for the systematic appreciative education. This student hereby intended to personally develop a Self-guide as an educational means for the students to express and criticize the reason of their favorite works through a field study and approach them closely. The Self-guide of this research is to help the students learn the museum and understand the appreciation widely and draw students' originative and creative ideas, and focus on their diverse activities with an active attitude to express ?E appreciate the works fully and evaluate themselves together with aesthetic experiences. In addition, this Self-guide aimed at analyzing the self-guide previously developed by the art gallery and the museum at diverse angles, complementing and differentiating insufficient parts in the museum appreciation activities, first of all, developing an integrating class to induce a creative idea and thinking as well as history study based on objective facts. The objective of this thesis is to argue the necessity of a Self-guide as an educational means to heighten the importance of the museum field trips and the appreciation effects thereon, design ?E develop the Self-guide of the museum of Kungpook National University with a high educational value as a district museum and find out a method of the use of the Self-guide. In addition, it intended to analyze the problems of the self-guide of the existing art gallery and museum and seek for the progressive direction of the self-guide to be developed in future. It also attempted to contribute to arousing viewers' interest and lifting the efficiency of the appreciative education of the museum through a fresh self-guide development needed in inducing a variety of activities in the museum field trips.

      • 대학 기술이전 체계 개선방안 : 경북대학교를 중심으로

        손영수 경북대학교 산업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case of technology licensing transfer, such as patents and/or intellectual rights, from universities to industries has recently increased every year, but it hasn't been actively done yet except a few case in some universities. So far, it has been done only recently for the government and universities to enforce the policies of technology licensing, and moreover the government and universities have enforced many different sorts of policies.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for the officers in charge of technology licensing to facilitate in universities on doing their projects, since there are not enough practical case-oriented analyses data of the universities' technology licensing projects.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provide some useful practical information to policy makers and hands-on staffs in charge of technology licensing projects in universities. So, various data related to technology licensing systems, such as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labor forces in the related office, and their activities for 3 years (2006~2008) of other universities in Korea and those of th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as the major source are reviewed, and some ideas are suggested how to improve their activities effectively. 대학의 지적재산인 신기술이나 특허 등이 산업체로 이전(이하 “기술이전”이라 함)되는 건수는 최근 들어 매년 증가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일부 대학을 제외하고는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기술이전에 관한 정부와 대학 자체의 정책이 시행된 것은 얼마 되지 않았다. 그 동안 정부와 대학은 기술이전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여러 가지 정책을 추진해 오고 있으나, 이에 관한 사례 중심의 실증적 분석이 충분치 않아서 업무 담당자들이 기술이전을 촉진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대학에서 기술이전 업무를 담당하는 정책입안자와 실무자들에게 실무적인 정보를 제공하고자 기술이전과 관련된 3년 동안(2006~2008)의 각종 자료들을 재정리하여 경북대학교를 중심으로 기술이전 전담부서의 조직 구조 및 인력, 제도에 대한 실증적 비교 􍾳 분석을 통하여 기술이전 체계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 경북 한우산업의 실태와 발전방안

        복정석 경북대학교 농업개발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23

        경북도의 한우산업의 실태를 조사 분석하여 애로사항 및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를 토대로 경북 한우산업의 발전방안에 대하여 연구 As a native genetic resource, Hanwoo has overcome the unfavorable situation with Korean race from an agrarian society up to this day of proud high-tech industry. Dashing into the age of limitless competition on livestock products, we are suffering from the raise of feed price based on the raise of recent international grain price, FTA between Korea and America, and reopening of American beef import. The import of livestock products has increased and the world market has been simplified resulting in the aggravated difficulties of our farm family. The urgent problem at this time in Kyungbuk Hanwoo Industry is to strengthen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by cutting down the cost of production, and create high-quality brand meat with product differentiation and improvement to meet the consumer's expectation. Therefore, investigating the Hanwoo breeding realities and considering the problems at issue, I suggest the development Plan of Hanwoo industry in Kyungbuk area as follows, First, we need to enlarge the scale to produce high-quality Hanwoo meat. Second, we have to intensify the technique education on livestock farm family with the help of Kyungbuk Livestock Technology Institute. Third, we need to develop new feed resource using natural resources in the area to cut down the production cost, and build up a Feed Crops Cultivation Complex on a large scale making good use of environment-friendly Nature Circulation Agriculture. Fourth, we have to promote Kyungbuk Livestock Technology Institute as a Hanwoo breeding improvement base. Fifth, we need to come up with the promoting measure for the small-sized management system bearing various problems. Six, we have to do our best for the high quality of the product and the promotion of Brand Image. Seventh, we have to set up a Public-Relations strategy to make “Champum Hanwoo”, our own provincial brand, the best brand of beef. Eighth, we have to do our best for the different distribution of Kyungbuk Hanwoo, the increase in consumption of beef, and the promotion on value-added. Ninth, we have to do our best for the safe sanitary conditions by checking if the facilities, transportation process, and the display in retail store are completely equipped with the cold storage chain system.

      • 18세기 경북지역 사찰의 수륙재 설행과 공간이용

        홍지현 경북대학교 산업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는 조선 후기 사찰들이 추구한 배치가 중정형 가람인 점과 조선후기 수륙재의문이 제시하는 가람배치가 유사한 점에 주목하였다. 그래서 조선 후기의 수륙재 설행 방법을 고찰하여 경북지역 사찰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의 대상은 경북지역 사찰 중에서 수륙재를 설행하였을 것으로 추측되는 안동 봉정사, 영천 은해사, 영주 부석사, 문경 김룡사, 청도 운문사, 청도 적천사, 김천 직지사, 상주 남장사, 구미 대둔사로 총 9 개소이다. 시간의 범위는 18세기로 하였다. 경북지역은 다른 지역과 달리 조선후기 수륙재의 방증인 괘불도가 주로 18세기에 제작되었기 때문이다. 연구대상 사찰배치에 영향을 준 수륙재의문은 지반문과 자기문으로 중정형 배치를 추구하는 점은 같으나 각 배치의 중심축 순서는 지반문은 법당-정문-종루-해탈문이고, 자기문은 법당-종루-천왕문이었다. 두 배치의 차이로 보아 경북지역의 수륙재는 지반문의 수륙재와 자기문의 수륙재가 각각 전각배치에 맞게 설행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대상 주불전은 후대로 갈수록 규모가 줄어들며 불벽 후면의 공간도 축소되었다. 이는 경제적 요인 외에도 수륙재 절차의 간소화와 예능화가 원인인 것으로 추측되었다. 또한 연구대상 주불전은 후대로 갈수록 벽면의 수가 증가하였다. 이는 수륙재의 의식화 봉안으로 시작된 다양한 신앙의 봉안이 주불전의 공간이용 방식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정착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수륙재의 설행방법이 경북지역 사찰의 공간 구성에 영향을 준 것을 증명하였다. 또한 현존 수륙재의문의 소장 결과와는 달리 자기문의 영향력이 지반문의 영향력과 비슷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기존 연구가 현존 판본수를 중심으로 한 것에 재고를 요한다고 생각되었다. 그리고 현존 자기문이 모두 경상도에서 간행된 것으로 보아 향후 연구에는 전국적인 조사가 필요하다고 생각되었다.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the points that the arrangement pursued by the late Joseon Dynasty Buddhist temples was courtyard temple buildings and the arrangement of temple buildings presented by the late Joseon dynasty Suryuk ritual sentences was similar. Thus, this study examined the method of performance of Suryuk ritual ceremony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looked into the relationship with Buddhist temples in the Kyungpook region. Subjects of study were nine Buddhist temples in the Kyungpook region: Bongjeongsa Temple in Andong, Eunhaesa Temple in Yeongcheon, Busuksa Temple in Youngju, Kimryongsa Temple in Mungyeong, Unmunsa Temple in Cheongdo, Jeokcheonsa Temple in Cheongdo, Jikjisa Temple in Gimcheon, Namjangsa Temple in Sangju, Daedunsa Temple in Gumi, which are assumed to have performed Suryuk ritual ceremony. A time range was set to the 18th century. This is because unlike other regions, in the Kyungpook region, Gwaebuldo (hanging painting), circumstantial evidence of Suryuk ritual ceremony in the late Joseon Period had been produced mostly in the 18th century. Suryuk ritual sentences that affected the arrangement of the target Buddhist temples were Jibanmun(志磐文) and Jagimun(仔夔文), which commonly pursued courtyard arrangement, but as the order of the central axis of each arrangement was Buddhist sanctuary(法堂)-front door(正門)-bell tower(鐘閣)-Haetalmun(解脫門) in Jibanmun while Buddhist sanctuary(法堂)-bell tower(鐘閣)-Cheonwangmun(天王門) (the temple gate dedicated to the Four Devas) in the Jagimun. Judging from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arrangements, in Suryuk ritual ceremony in the Kyungpook region, Suryuk ritual ceremony of Jibanmun and Suryuk ritual ceremony in Jagimun were performed for each building layout. The target Jubuljeon(法堂) became smaller to the generations to come, and the space on the back side of the Buddhist mural painting became reduced. This was deemed to be caused by the simplification and entertainment of Suryuk ritual ceremony procedures as well as economic factors. In addition, the number of walls increased in the target Jubuljeon as time went by. It was found that the enshrinement of various faiths starting from the ritualized enshrinement of Suryuk ritual ceremony settled as a new paradigm of method of space utilization in Jubuljeon. This study proved that the method of performance of Suryuk ritual ceremony influenced spatial configuration of Buddhist temples in the Kyungsang region. Also, it was found that in spite of the result of holding the existing Suryuk ritual sentences, the impact of Jagimun was similar to that of Jibanmun. It should be reconsidered that the existing research focused on the number of editions in existence. Moreover, judging from the fact that all Jagimun in existence was published in Kyungsang Province, it is judged that studies on a nationwide scale should be carried out in the future.

      •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의 조직문화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을 중심으로

        정종기 경북대학교 행정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23

        우리가 살고 있는 현대사회의 가장 큰 특징은 사회 환경의 급격한 변화와 그 변화의 속도이다. 이러한 급격한 변화 속에서 수많은 조직들이 새로이 생겨나고 변화하고 도태되어 사라져 가기도 한다. 이런 변화의 현대사회에서 “어떤 조직이 또는 어떻게 조직을 운영해야 조직 구성원들의 성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을까” 라는 질문은 현대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과제 중 하나일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많은 학자들은 조직문화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조직문화에 대한 많은 연구를 지속해왔다. 사기업에서 시작된 연구는 이제는 공공부문에까지 그 영역을 확대해가고 있다. 공공부문에서는 전통적인 공무원 조직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는데 현대사회의 행정추세는 점점 광역화되고 복합화 되어 가고 있으며. 이런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공무원 조직자체도 기존의 전통적인 공무원조직에서 탈피한 새로운 형태의 공무원조직이 생겨나고 있다. 일반적으로 조직의 성과는 조직구성원에 의해서 결정되고 구성원들의 업무수행결과는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 다수 학자들의 견해이며 이런 이유로 조직문화와 조직효과성은 조직 연구 분야에서 중요한 주제중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조직의 형태와 특수성에 따라 조직문화는 다르게 형성될 것이며 조직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 또한 조직의 특수성에 기인한 조직문화에 따라 다르게 판단되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의 조직문화의 특성과 조직문화와 조직효과성의 관계에 대한 연구이다.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은 대구·경북지역의 새로운 먹거리 창출을 위한 핵심 국책사업으로 2002년 12월 경제자유구역 지정 및 운영에 관한 법률에 기반하여 2008년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 두 지자체의 지방자치조합의 형태로 설립된 기관이다. 이곳에 근무하는 구성원들은 양 지자체에서 파견형식으로 한시적으로 근무하고 있으며 경제자유구역청장은 공모를 통해 외부인사가 선임된다. 하지만 현재까지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은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으며, 그 운영에서도 적지 않은 부작용을 보이고 있는 현실이다. 그 이유로는 경제자유구역에 대한 구조적인 원인과 중앙기관과의 업무의 중복성, 자율권 부재 등 여러 외부 문제와 인사상의 문제, 청장의 리더십 문제 등 여러 내부 문제 등을 이유로 들 수 있겠다. 여기에서는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의 조직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원인 진단의 방안으로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의 지방자치단체조합이라는 독특한 조직형태에 주목하고 여기서 파생되는 조직문화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 소속의 공무원들과 대구광역시청, 경북도청 소속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추가적으로 각 기관별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설문조사를 통한 기술통계학적 분석 방법에 따른 단점을 보완코자 하였다. 그 결과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의 조직문화는 전통적인 공무원 조직과는 구별되는 뚜렷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우선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의 조직문화는 대구광역시와 경북도청에 비해 집단문화에서는 상당히 낮은 결과가 나온 반면 상대적으로 발전문화와 합리문화에서는 높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는 선행연구결과와 면접 자료를 토대로 했을 때, 첫째로 파견형식으로 운영되고 있는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의 인사제도를 원인으로 꼽을 수 있겠고, 둘째로 경제자유구역에 대한 개발업무, 외국기업 투자업무를 주된 업무로 하고 있는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의 업무특성에서 비롯한 결과라고 판단된다. 하지만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에서 기존 공무원조직에서 대표적으로 나타나는 집단문화와 위계문화가 낮게 나타나고 발전문화와 합리문화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 것은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은 기존 공무원조직의 관료제 특성에서 나타나는 문서주의, 서열주의, 레드테이프 등의 단점들을 극복하고 있다는 긍정적 신호로도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 구성원들은 대구광역시청, 경북도청 구성원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낮은 조직몰입도를 나타내었는데 이 또한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의 내부적 특성에서 그 원인이 있다고 하겠다. 하지만 직무만족에서는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과 대구광역시청, 경북도청의 조직 비교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지 않았는데 이는 공무원의 직무 자체는 조직의 특성보다는 직무자체와 직무를 행하는 담당자 성향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하지만, 집단문화는 기존연구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조직몰입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데 집단문화가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에서 낮게 인식되었다는 것은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 내 구성원들간 원활한 소통과 멤버십 형성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조직몰입도에서도 상대적으로 매우 낮은 수치를 나타냈다는 것 또한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의 조직 운영에 문제점이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고 하겠다. 이런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의 조직문화 중 집단문화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기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할 것이며, 조직몰입도 향상을 위해서는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의 직원 인사문제와 경제자유구역청의 위상 약화, 청장의 리더십 부재 등을 해결 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 연구대상이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에 집중되어 있어 이런 결과가 다른 지방자치단체조합에도 적용할 수 있겠느냐는 문제와 자료수집과 연구조사의 시간적 제한 등으로 인해 대구광역시청과 경북도청의 사례가 부족한 점, 조직효과성을 측정하는 다양한 변수들을 고려하지 못한 점 등은 아쉽게 생각하며 향후 총괄적인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고 본다.

      • 면봉산 일대의 산림군집분류 및 임분구조 특성 : 경북대학교 청송학술림을 중심으로

        박병주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는 경상북도 청송군 현동면 월매동에 위치한 경북대학교 청송학술림의 산림군집분류 및 임분구조 특성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식생군집분류는 앞서 결정한 6개의 군집으로 나누었으며, 군집의 명명은 상대우점치를 참고로 하여 명명하였다. 신갈나무-소나무 군집(A), 소나무 군집(B), 까치박달 군집(C), 물푸레나무-당단풍나무-고로쇠나무 군집(D), 굴참나무-신갈나무 군집(E), 신갈나무 군집(F)로 분류하였다. 다중응답순열절차(Multi Response Permutation Procedures) 분석 결과, 모든 군집 간에 유의성 있게 분석되어(p<0.001) 적정 군집으로 분류되었다고 판단하였다. 2. 군집별 환경인자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소나무 군집이 높은 흉고단면적을 나타냈으며, 해발고도의 경우 다른 군집에 비해 신갈나무군집이 높은 곳에 많이 출현하였으며, 경사도에서는 군집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3. 종다양성 분석 결과, 군집 간 종풍부도에서는 까치박달 군집이, 지형에서는 계곡부가, 사면방위에서는 북쪽사면이 높은 종다양도 지수를 나타내었으며, 해발고도가 높을수록 상층과 중층에서는 종다양도가 작아지는 경향으로 나타났고, 관목층과 초본층에서는 종다양성이 커지는 경향이 있었으나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경사도의 경우 경사도가 클수록 종풍부도, 종다양도, 최대종다양도가 작아지는 경향이 있었으며, 균재도와 우점도를 제외하고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eline data for effective forest management, conservation and selecting long term ecological research site. by way of classification of forest community and character of stand structure in Mt. Myeonbong. Sample plots were set up with 72 plots(20m×20m), surveyed tree height, Diameter Brest Height(≥4㎝) for woody trees. For herbal layer, it was investigated coverage and abundance using Brawn-Blanquet method. and then classified forest community using PC-ord(5.17 ver.) for cluster analysis. It was implemented SPSS(21.0 ver.) to analyze environment factors between communities. Results were as follows: 1. It is found that the forest around Mt. Myeonbong focused on research forest in KNU, Cheongsong, consist of 6 main communities : Quercus mongolica-Pinus densiflora(A), Pinus densiflora(B), Carpinus cordata(C), Fraxinus rhynchophylla-Acer pseudosieboldianum-Acer pictum subsp. Mono(D), Quercus mongolica-Quercus variabilis(E), Quercus mongolica(F). Using MRPP-test (Multi Response Permutation Procedures-test), It results significantly between all of communities(p<0.001). 2. Basal area of P. densiflora community(B) was the highest comparing other communities, and Altitude of Q. mongolica communities was higher than other communities. There was no significance for slope, Fraxinus rhynchophylla-Acer pseudosieboldianum-Acer pictum subsp. Mono(D) community was recorded high score for Species richness. 3. Species diversity analysis, there were the most diversity index; Carpinus cordata(C), valley, North aspect. and The higher altitude was, The less species richness analyzed for upper and middle layer. in case of slope, when it was steeper, it decreased species richness and species diversity.

      • 大邱·慶北 地域 産業災害勤勞者의 醫療再活 實態 및 改善方案

        鄭大根 경북대학교 행정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는 대구·경북지역 산업재해근로자의 의료재활 실태에 대하여 노동부, 근로복지공단 등의 자료와 산업재해 및 의료재활에 대한 관련 전문서적 및 대구지역 산재지정 병원에 입원해 있는 산업재해환자를 대상으로 의료재활 실태에 관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우리나라 산업재해환자는 최근 6년간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2003년도 산업재해 발생현황에서 50세 이상의 연령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고 있다. 2003년도 사업장 규모별 산업재해 발생은 50명 미만의 영세규모 사업장에서 69.1%가 발생하였다. 이들 산업재해 근로자를 위한 의료재활 시설로는 전국 산재지정병원 5,382개 병원과 산재의료관리원 산하 9개 병원과 1개 재활공학연구소가 있다. 의료재활 프로그램으로는 물리치료, 심리재활, 작업재활, 특수재활요법, 요통교실, 재활공학서비스, 후유증상제도, 재활스포츠 지원 등을 운영·지원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구·경북지역 산업재해근로자의 의료재활 실태를 조사한 결과 2003년도 대구·경북지역 재해자는 9,525명으로 전국 94,924명의 14.3%를 차지하고 있으며, 2002년 1년 동안 대구·경북지역 산업재해요양환자의 요양일수를 조사한 결과 평균 입원일수는 83.08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2004년 11월 현재 입원환자 기준으로 대구·경북지역 산업재해요양 환자수는 4,350명이며, 이중 6개월 이상 장기치료환자는 2,745명으로 63.1%를 차지하였다. 대구·경북지역 산업재해환자 중 손목 및 손의 손상 환자가 상위 15개 상병 환자수의 25.9%로 가장 높았다. 대구·경북지역 의료재활 시설 현황은 산재의료관리원 산하 산재병원은 없으며, 입원 치료를 할 수 있는 병원급 이상 산재지정 의료기관은 66개 병원이며, 재활의학과가 설치된 병원은 13개 병원, 물리치료가 가능한 병원(한방병원 포함)은 37개 병원, 작업치료가 가능한 병원은 8개 병원으로 조사되었다. 대구지역 산업재해환자의 의료재활 실태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의료재활을 위해 받은 치료는 통증재활 42.7%, 수술 28.1%, 작업재활 14.6%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희망하는 의료재활 치료로는 작업재활 34.8%, 통증재활 19.6%, 특수재활 19.6%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의료재활의 문제점으로는 의료재활 시설의 부족과 의료재활 프로그램의 부족을 들었으며, 지정병원 이용 시 의료보험환자 등과 차별은 받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실태를 바탕으로 대구·경북지역 의료재활 개선방안으로 산재 인정 및 요양 절차의 개선, 재활급여의 도입, 의료재활 체계 개선, 의료재활 시설 확충, 의료재활 프로그램의 확대 등을 제시하였다.

      • 대구·경북지역 영아살 실태

        박보라 경북대학교 수사과학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23

        직계존속이 치욕을 은폐하기 위해 분만 중 또는 출산 24시간 내에 영아를 살해하였을 때 영아살이라고 한다. 2000년 1월부터 2006년 10월까지 경북대학교 법의학교실에서 부검한 영아살 부검사례 18건과 언론에서 보도되었던 사례26건을 바탕으로 영아살의 실태를 조사하였다. 영아살은 매년 2-3건의 언론 보도가 있었고, 대구.경북지역에는 매년 2-3건이 발생하여 부검이 실시되었다. 영아살에 대한 전국적인 발생 통계는 없지만 인구와 지역을 고려할 때 매년 20건 이상이 발생할 것으로 추정된다. 가해자는 대부분 15-24세 사이의 학생이나 미혼의 경우로, 가족과 사회에 숨기고 싶은 임신이 범죄동기였다. 피해영아는 집안에 방치하기보다는 비닐, 종이백, 봉투에 쌓여 집(건물) 밖에 버려진 경우가 더 많았다. 살해 방법으로는 부검예에서는 외상, 질식이 많았고, 언론보도 사례에서는 질식, 유기가 많았다. 가해자가 밝혀진 경우는 부검예의 경우 7/18건에 불과하였다. 가해자에 대한 법원의 판결은 감경하는 추세를 보였다. 영아살은 사후에 검거하여 처벌하기 보다는 사전에 예방을 통해서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며, 예방을 위해 가정, 학교, 사회, 국가가 함께 노력해야 할 것이다. Infanticide can be defined as the deliberate killing of a child within 24 hour of its birth. This is a retrospective study of the actual state of infanticide in Daegu, Kyungpook province of Korea from 2000 to October, 2006. Eighteen autopsy cases of infanticide were selected. Twenty-six cases reported by news media in the same period were also reviewed. The incidence of infanticide in autopsy cases was two or three cases per year, and it is estimated that whole national incidence will be more than 20 cases in Korea per year. The perpetrator was the mother. She was assisted by a relatives in one case. Most of the perpetrators were students(high school or university), or unmarried young women between 15 and 24 years old. They usually kept the pregnancy a secret and gave birth without public welfare assistance. Fear seemed to be the most important motivating factor for committing infanticide. Dead infants were found mostly in the trash bags or paper bags outside of the house. Asphyxia and blunt traumatic injuries were the most common causes of death in autopsy cases, but asphyxia and leaving alone itself were the most common causes of death in news media cases. Punishment by the court had a tendency of reduction. In conclusion, rate of infanticide in Korea is low, and infanticide must be prevented by faithful efforts of family, school, society, and gover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