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장애인주간보호시설 종사자의 발달장애인 자기결정권 지원 경험에 관한 연구

        박영욱 경기대학교 행정사회복지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1711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지역사회재활시설로서 주간보호시설의 종사자가 발달장애인을 지원함에 있어서 중요하게 여겨지는 발달장애인 자기결정권 지원 경험의 실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발달장애인 자기결정권 지원의 현주소를 심층적으로 파악하여 장애인주간보호시설에서의 발달장애인 자기결정권 지원에 대한 사회복지학적인 의미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권에 대한 일반적인 시각에서부터 전문가들의 해석까지 다양한 관점들을 개관하고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에 관한 전반적인 맥락을 논하였다. 또한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권을 둘러싼 사회적 담론의 제 양상을 긍정적, 부정적 관점에서 고찰하였으며, 장애인주간보호시설에서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권을 지원함에 있어서 장애인주간보호시설의 역할과 기능, 종사자의 정체성에 관해 고찰하였다. 연구참여자는 경기도 내 장애인주간보호시설에서 발달장애인을 지원하고 있는 종사자 6명으로 이들은 발달장애인 자기결정권 지원을 수행하고 있다. 이들에 대한 연구방법은 질적 사례연구로 진행하였으며 자료수집은 2021년 10월부터 2022년 8월까지 진행하였다. 연구참여자와의 인터뷰는 시설로 직접 방문하여 실시하였으며, 1인당 80분에서 120분이 소요되었다. 연구 결과, 66개의 개념이 도출되었고 이 개념들을 통합하여 23개의 하위범주와 8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8개의 범주는 ‘자기결정권 지원을 통한 종사자의 긍정적 변화’, ‘자기결정권 지원 촉진을 위한 노력’, ‘종사자 측면의 저해요인’, ‘보호자 측면의 저해요인’, ‘기관 측면의 저해요인’, ‘환경적 측면의 저해요인’, ‘이용인 측면의 긍정적 변화’, ‘이용인 측면의 저해요인’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따른 논의와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장애인주간보호시설이라는 시설유형에서는 발달장애인 자기결정권 지원에 관한 새로운 시도를 도모하고 있었다. 이 경우,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권은 당사자의 당연히 권리라는 측면으로 이해하고 받아들이고 있지만 장애인주간보호시설의 프로그램 지원과 활동하는 삶의 현장에서는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권 지원이 종사자, 보호자, 기관의 안전규정 등에 의해 통제되거나 무시되고 있는 현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발달장애인의 특성에 대한 이해 부족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었으며, 자기결정권 지원을 위한 체계적인 제도화된 지원방침이나 실제적인 지원매뉴얼이 부재한 상황이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권은 종사자 개인의 의지나 노력에 의해 존중되거나 무시될 우려가 매우 컸다. 사회복지의 가치로서 이용인의 자기결정권 존중은 기본적인 가치임에도 장애인주간보호시설에서는 발달장애인 이용인의 자기결정권이 존중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었으며, 자기결정권을 지원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딜레마 상황들에 대해서도 지원에 관한 기준점이 없어 개별 종사자의 판단에 맡겨진 상황이었다. 장애인주간보호시설에서의 발달장애인도 사회복지서비스의 이용자로서 자신의 권리로서 자기결정권을 행사하며 자기결정권 행사에 대한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사회적 인식의 변화가 요구되었으며, 이는 장애인주간보호시설의 정체성을 고민하는 지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논의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정책적 제언을 제시한다. 첫째, 실천현장에서 발달장애인 자기결정권 존중의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는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권은 당사자의 당연한 권리라는 관점이 사회적으로 인식되고 수용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이를 위한 전제로 장애인주간보호시설에서 자기결정권 존중이 첫 번째 지원원칙으로 자리 잡아야 한다. 이는 발달장애인 자기결정권을 지원하는 종사자들은 자기결정권 지원에 있어서 발달장애인의 당연한 권리라는 인식으로 서비스에 임해야 할 것을 요구한다. 두 번째, 발달장애의 특성에 관한 전문 교육시스템의 제도화가 필요하다. 장애인주간보호시설의 종사자들은 발달장애인에 대한 기초지식이 거의 부재한 실정이다. 발달장애인 이용인의 자기결정권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발달장애인의 특성에 관한 이해가 중요하다. 이를 위해 전문 교육과정을 개설하여 장애인복지시설의 종사자들이 발달장애인을 만나기 전에 교육과정을 이수할 수 있도록 제도화하여 비전문적인 서비스가 아닌 전문적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발달장애 전문 교육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한다. 세 번째, 자기결정권 지원매뉴얼같은 교육자료의 필요성이다. 장애인주간보호시설의 종사자들이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 지원 시 참고할 수 있는 지침이 필요하다. 현 시점에서는 시설의 규정이나 시설장의 의지 그리고 종사자의 개인적인 판단에 의해 자기결정권 지원이 좌우되고 있다. 그러기에 체계적인 지원매뉴얼이 갖춰진다면 장애인주간보호시설에서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권 행사가 종사자의 권력에 의해 통제되지 않고 자기결정권 행사의 권리를 확보하는데 유용한 지침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네 번째, 보호자 대상의 자기결정권 인식개선 교육을 제안한다.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권에는 보호자가 깊이 관여하고 있다. 보호자의 인식변화 없이 발달장애인 당사자의 자기결정권 증진은 현실적으로 이루어지기 어렵다. 보호자 교육을 통해 장애자녀의 자기결정권을 바라보는 관점이 변화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다섯 번째, 보완대체의사소통(AAC)의 환경구축, AAC 지원센터를 제안한다. 장애인주간보호시설을 이용하는 발달장애인은 언어적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가진 이용인들이 많다. 자기결정권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의사소통이 전제되어야 하는데 언어적 의사소통을 보완할 수단이 필요하다. AAC의 환경구축을 통해 의사소통장애의 어려움은 일정 보완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특히 지역이나 권역별 AAC 지원센터를 구축하여 의사소통장애가 있는 이용인의 의사소통능력을 평가하고 적합한 AAC를 만들어서 시설에 보급하여 주고 활용방법을 안내해준다면 이용장애인의 자기결정권을 증진시키는 데 크게 일조할 것이다. 여섯 번째, 자기결정 프로그램의 개발을 제안한다. 자기결정은 경험이 필요하다. 경험을 통해 자기결정이 확대된다. 장애인주간보호시설에서 자기결정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용장애인들이 학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교육·훈련지원 사업으로 편성하여 자기결정능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중증의 발달장애인도 학습을 통해 더 많은 경험을 하면 자기결정권의 발휘가 확대될 수 있을 것이다. 일곱 번째, 시설 서비스 규정의 보완을 제안한다. 장애인복지법 시행규칙과 보건복지부의 사업안내에는 구체적인 시설 서비스의 규정이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이용장애인의 위험 감수에 대한 기관의 판단이나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선택권의 보장 등 자기결정권 지원과 관련된 내용이 추가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관련 법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 먼저는 의사소통 환경구축으로 ‘장애인ㆍ노인ㆍ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에서의 발달장애인 보완대체의사소통을 위한 법규 신설이 필요하다. 지역사회의 간판, 표지판, 게시판, 안내문, 상점의 메뉴 등이 보완대체의사소통의 방식으로 표기되어야 하며, 보완대체의사소통으로 소통하는 것을 제한하지 않도록 하는 내용도 포함되어야 한다. 또 하나는 장애인주간보호시설에서 자기결정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인력이 확보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장애인복지법 시행규칙' [별표 5]의 개정이 필요하다. 현재 종사자 ‘3명 이상’의 규정에서 직책과 직급을 구분하여 시설장, 중간관리자, 사회복지사, 사무직, 기능직(운전, 조리)으로 편성된 구체적인 종사자 배치기준을 담아 변경되어야 한다. 사회복지사(사회재활교사)의 경우에는 장애인 3명당 1명의 획일적인 배치가 아니라 이용장애인의 지원정도에 따라 1대 1, 2대 1, 3대 1 배치를 탄력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변경되는 것이 필요하다. 장애인주간보호시설에서 발달장애인 당사자가 서비스의 고객이라는 관점으로 변화되어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 권리가 존중되기를 기대한다. 이를 위해서 필요한 다양한 제언을 하였지만 향후 충분한 논의를 통해 정책적으로 실천 현장에 적용되어가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한계는 지역적 한계를 벗어나지 못한 점이다. 후속 연구로 전국의 장애인주간보호시설 종사자를 포괄한 연구가 진행되거나 장애인주간보호시설의 시설장을 연구 대상으로 하는 연구를 진행하는 것도 필요하다. 발달장애인 당사자를 대상으로 당사자 관점에서의 자기결정권 지원 실체를 연구하는 것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ttempted to grasp the reality of the experience of supporting self-determination for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ich is considered important for social workers at the day care center as a social rehabilitation facility for the disabled. Through this, the current status of support for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as deeply apprehended, and the social welfare meaning of support for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day care centers for the disabled was identified. To this end, This study described the overall context by examining various perspectives from the general perspective on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the interpretation of experts. In addition, the positive and negative perspectives of social discourse surrounding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examined. And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role and function of disabled day care center necessary to support the self-determination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disabled day care center, and the identity of workers.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six social workers who support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t a day care center for the disabled in Gyeonggi-do. The research method for these was carried out as a qualitative case study, and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October 2021 to August 2022. Interviews with research participants were conducted by visiting the facility directly, and it took 80 to 120 minutes per person. As a result of the study, 66 concepts were derived, and 23 subcategories and 8 categories were derived by integrating these concepts. The 8 categories are 'Positive change in social workers through support for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Efforts to promote support for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Hindering factors from the social worker's side', 'Hindering factors from the guardian's side', and 'Hindering factors from the day care center side' ', 'Hindering factors from environmental side', 'Positive changes in users', and 'Hindering factors from users' appeared. The discussion and policy suggestion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In the type of facility called the day care center for the disabled, a new attempt was being made to support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is case, Social workers at the day care center for the disabled understood and accepted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s a natural right of the person concerned. However, in the field of support and activities of the day care center for the disabled, the support for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as controlled or ignored by the workers, guardians, and institutional regulations.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emerged as a serious problem, and there was no systematic institutionalized support policy or practical support manual to support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Although respect for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users as a value of social welfare is a basic value, the reality is that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user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s not respected at the Day Care Center for the Disabled, and support for various dilemma situations that arise in the process of supporting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is also provided. There was no reference point for this, so it was left to the judgment of individual social workers. Social awareness needs to be changed so that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use the day care center for the disabled can also receive the support necessary for exercising their right to self-determination as users. This may be a point to consider the identity of the day care center for the disabled. Based on these discussions, the following policy suggestions are presented. First, a paradigm of respect for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ust be converted. The view that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s a natural right of the person concerned should be established as the first support principle in the day care center for the disabled Second, it is necessary to institutionalize a specialized education system for developmental disabilities. Social workers at day care centers for the disabled do not have basic knowledge about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order to promote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and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 specialized education system for developmental disabilities should be institutionalized so that people can receive systematic education through professional education courses and be put into service sites. Third, it is suggested to produce a manual to support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There is a need for guidelines that social workers at day care centers for the disabled can refer to when supporting self-determination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right to exercise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day care centers for the disabled must be secured through the production of systematic support manuals. Fourth, propose education to improve awareness of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for guardians.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s deeply related to the involvement of guardians. It is difficult to promote the right of self-determination of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ithout changing the perception of guardians. The perspective of looking at the right of self-determina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must change. Fifth, the establishment of an environment for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the AAC support center is proposed. Many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use day care centers for the disabled have difficulties in verbal communication.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should be premised on communication, but a means to supplement verbal communication is needed. It is necessary to make up for communication difficulties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n AAC environment. Sixth, the development of a self-determination program is suggested. Self-determination requires experience. Self-determination is expanded through experienc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elf-determination program at the day care center for the disabled to support people with disabilities to learn. Seventh, supplementation of day care center service regulations is proposed.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day care center service regulations of the Enforcement Rules of the Welfar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ct and the business guide of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Contents on support for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such as the agency's scope of judgment on risk taking and the guarantee of the right to choose when operating the program, should be added. Finally, Legal and institutional supplementation is needed to guarantee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new law for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for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 ‘Act on the Guarantee of Convenience Promotion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Senior Citizens, Pregnant Women and Nursing Mothers’ to establish a communication environment. Signboards, bulletin boards, notices, and shop menus in the community should be marked as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methods. In the local community, the notation, explanation (guidance), and communication method of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hould be secured legally. It is also necessary to secure manpower to support self-determination at the day care center for the disabled. Through the revision of the ‘Enforcement Rules of the Welfar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ct’ [Appendix 5], specific social worker placement criteria should be created by distinguishing the position and rank from the regulation of ‘more than 3 social workers’. In the case of social workers, it should be changed to provide additional support for one-to-one, two-to-one, and three-to-one placement according to the level of support for the disabled, rather than one uniform assignment for every three disabled people. In the day care center for the disabled, it is expected that the perso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will be changed from the point of view of being a customer of the service, and the right of self-determination of the perso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will be respected. Although various suggestions were made for this purpose, it is hoped that they will be applied to the actual field in terms of policy through sufficient discussion in the future. A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did not break away from regional limitations. As a follow-up study, it is necessary to conduct research that includes social workers at day care centers for the disabled nationwide. It is also necessary to carry out research that targets the facility manager. It should also be done to study the self-determination support entit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erso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주거환경이 독거노인의 정주의식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노화불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신서우 경기대학교 행정사회복지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1711

        고령화에 따른 사회변화는 세계적으로 공통된 현상이다. 세계적인 고령화의 영향으로 OECD 경제개발협력기구의 사회보장 회의에서는 노인 케어와 관련하여 Aging in Place를 언급하였다. Aging in Place는 ‘기존의 친숙한 거주 지역에서의 지속적인 삶의 유지’라는 의미이다. 우리보다 앞서 고령화를 경험한 복지선진국에서는 ‘Aging in Place(지역사회 내 거주)’를 고령사회 노인의 지속적인 삶의 질 유지 및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 설정하였고, 주거복지정책 방향으로 제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사회의 주거 취약계층인 독거노인의 지역사회 내 거주를 향상하고자 주거환경이 정주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고, 주거환경이 정주의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노화불안이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독거노인이 지역사회 내 계속 거주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복지정책과 복지서비스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제안을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원시에 거주하는 만 65세 이상 독거노인 436명을 대상으로 주거환경이 독거노인의 노화불안 및 정주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응답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유의수준 p<.05를 기준으로 빈도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거환경이 정주의식에 미치는 영향이다. 주거환경만족도가 높을수록 정주의식이 높았다. 주거환경만족도 하위영역의 경우 주택환경만족도, 지역사회환경만족도, 이웃환경만족도가 높을수록 정주의식이 높았다. 하지만, 지역서비스접근성만족도는 정주의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환경기준에 적합할수록 정주의식이 높았다. 둘째, 독거노인의 주거환경이 노화불안에 미치는 영향이다. 주거환경만족도가 높을수록 노화불안이 낮아졌다. 주거환경만족도 하위영역의 경우 주택환경만족도, 이웃환경만족도가 높을수록 노화불안이 낮아졌지만, 지역사회환경만족도와 지역서비스접근성만족도는 노화불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환경기준은 노화불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주거환경이 정주의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노화불안의 매개효과이다. 주거환경만족도가 높을수록 노화불안이 낮아지고, 정주의식은 높아졌다. 주택환경기준에 적합할수록 정주의식이 높아졌지만, 노화불안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주거환경만족도와 주택환경기준이 정주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노화불안을 통한 매개효과를 확인하여 독거노인의 지역사회 내 거주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자 하였다. 이에 독거노인의 정주의식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 주거복지정책 및 실천방안의 근거를 제시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독거노인의 지역사회 내 거주를 추진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노인주거복지정책을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주거환경개선사업의 확대이다. 둘째, 안전하고 쾌적한 지역사회환경의 조성이다. 셋째, 지역사회 내 노인들의 소통과 교류의 장을 마련하고, 교류가 자생적으로 활성화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넷째, 지역서비스접근성 강화이다. 다섯째, 주택환경기준에 적합한 주거지원이다. 여섯째, 노인에게 적합한 물리적 구조, 성능 및 환경에 대한 주택환경기준의 제도적 보안이다. 일곱째, 사회 전반적으로 노화에 대해 사회적 인식 및 분위기의 개선, 교육의 확대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독거노인이 지역사회 내 안정적으로 계속 거주할 수 있도록 Aging in Place 관점의 지역사회 통합 돌봄 체계를 구축하여 커뮤니티 케어를 실천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Social change due to aging is a common phenomenon around the world. As a result of the global aging population, Aging in Place was mentioned in relation to senior care at the OECD Social Security Conference. Aging in Place means 'continuing to live in an existing familiar residential area'. "Aging in Place" was set as a way to maintain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senior citizens in an aged society, and presented in a direction toward housing welfare policies. In order to improve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the elderly living alone in the community,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n the Settlement Consciousness and to identify the impact of aging anxiety on the effect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n the Settlement Consciousness. Through this, we are proposing to develop community welfare policy and welfare services program so that the elderly can continue to reside in the community. To that end, 436 senior citizens aged 65 or older living alone in Suwon City were surveyed on the impact of the living environment on aging anxietyand Settlement Consciousness of the elderly living alone. The responded data were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layout analysis, correlation, multiple retur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based on a significant level of .05 using the IBM SPSS Statistics 23.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the effect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n the Settlement Consciousness. The higher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residential environment, the higherthe Settlement Consciousness, and In the detailed areas of satisfaction with residential environment, the higher the residential environment satisfaction level, community environment satisfaction level, and neighborhood environmental satisfaction level, the higher the Settlement Consciousness. However, satisfaction with local service accessibility has not been shown to affect the Settlement Consciousness. The more suitable it was for housing environment standards, the higher the Settlement Consciousness. Second, the effect of the living environment of the elderly living alone on aging anxiety. The higher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residential environment, the less aging anxiety. In the detailed areas of residential environment satisfaction, the higher the housing environment satisfaction level and the higher the neighborhood environmental satisfaction level, the lower the aging anxiety, and Community environmental satisfaction and local service accessibility satisfaction levels were found to have no effect on aging anxiety. Housing environment standards do not affect aging anxiety. Third, it is the mediated effect of aging anxiety in the effect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n the Settlement Consciousness. The higher the level of residential environmental satisfaction, the lower the anxiety of aging, and the higher the Settlement Consciousness. The more suitable the housing environment standard, the higher the Settlement Consciousness, but the less the effects of aging anxiety media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and understanding of the living conditions of the elderly living alone in the community by identifying the effect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satisfaction level and housing environment standard on the Settlement Consciousness, and by checking the mediated effects of aging anxiety. It is meaningful that has proposed measures to improve the Settlement Consciousness of senior citizens living alone and provided the basis for housing welfare policies and measures to implement them. In order to promote the elderly living alone in the community through this study, the elderly housing welfare policy is proposed as follows. First, it is an expansion of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s. Second, the creation of a safe and pleasant community environment. Third, it should set up a forum for communication and exchange among senior citizens in the community, and ensure that exchanges can be activated on their own. Fourth, strengthening access to local services. Fifth, there is a need for policy and practical improvement measures for housing sources suitable for housing environment standards. Sixth, institutional security of housing environment standards is needed for physical structure, performance and environment suitable for the elderly. Seventh, there is a need for social awareness, improvement of mood and expansion of education about the aging of the elderly as a whole in society. This suggests that community care should be implemented by establishing a community integrated care system from the Aging in Place perspective so that senior citizens living alone can continue to reside in the community.

      • 장애인복지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장애인 거주시설 사무국장의 장애인 자립관의 실체와 체화 경험

        김용진 경기대학교 행정·사회복지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1711

        논 문 개 요 본 연구는 장애인복지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장애인 거주시설 사무국장의 장애인 자립관의 실체와 체화 경험을 살펴보는 실체이론을 개발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문제는 ‘장애인복지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장애인 거주시설 사무국장의 장애인 자립관의 실체는 어떠하며, 자립관의 체화된 경험은 무엇인가?’로 근거이론(Strauss & Cobin, 1998)방법을 적용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연구참여자를 근무경력 10년 이상의 장애인 거주시설 사무국장 6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예비조사는 2016년 8월 2일부터 8월 25일까지 진행하였으며, 본 연구의 자료수집 기간은 2016년 9월 6일부터 2016년 11월 11일까지 2개월에 걸쳐 하였다. 본 연구결과 개방 코딩에서는 68개의 개념이 도출되었고, 이 개념들을 통합한 21개의 하위범주가 나왔으며, 하위범주를 추상화시킨 9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축 코딩에서 패러다임의 범주분석 결과 인과적 조건은 ‘인권문제에 대한 사회적 각성’이었고, 핵심현상은 ‘패러다임 전환에 따른 미래의 불확실함’이었다. 결과는 ‘자립패러다임의 실천의지’, ‘삶의 다양성 찾기’로 나타났다. 장애인 거주시설 종사자의 장애인복지 패러다임 전환에 따른 미래의 불확실함에 대한 과정은 ‘자립패러다임 직면에 따른 소극적 순응’, ‘변화 모색의 단계’, ‘시도의 단계’, ‘조류에 따라감’의 4단계로 분석되었다. 첫째, ‘자립패러다임 직면에 따른 소극적 순응’은 중증장애인의 개인 신변처리를 중심으로 하는 케어위주의 재활모델이 주가 되는 단계다. 둘째, ‘변화 모색의 단계’는 자립패러다임 및 정책의 변화를 인식하고 새로운 모색을 하게 되는 단계다. 셋째, ‘시도의 단계’는 이용인의 자립 지원을 위한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지원하는 단계다. 넷째, ‘조류에 따라감’은 장애인 거주시설 종사자들이 자립지원프로그램을 통해 경험을 쌓고, 장애인 당사자의 자기결정과 선택권에 대한 민감성을 높이면서 장애인 당사자주의에 보다 더 접근하게 된 단계다. 선택 코딩에서 핵심범주를 중심으로 유형을 분석해 본 결과, 패러다임 전환에 대해 ‘적극 추진형’, ‘현실 수용형’, ‘대처 취약형’의 3가지 유형으로 분석되었다. 첫째, ‘적극 추진형’은 장애인복지 패러다임전환에 따른 과정에서 매사에 적극적인 태도로 임하거나, 문제가 발생하였을 경우 개선책과 자구노력을 통해 극복해 나가는 유형을 의미한다. 적극 추진형의 장애인자립관은 모든 형태의 자립지원을 염두에 두고 장애인 자립의 가능성을 폭넓게 지지하고 실천하는 자립 모델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현실 수용형’은 전체적인 흐름의 맥락을 이해하고, 점진적인 수용을 통해 변화를 받아들이는 유형을 의미한다. 선도적으로 사업을 추진하지는 못하지만, 주위의 변화에 반응하고 자신의 시설 안에서 수용하고 어떻게 적용할지에 대해 고민한다. 시설의 재활모델 기능에 대한 우호적 성향과 자립 모델의 현실적 수용이 동시에 보이는 이원화된 자립관을 나타낸 제한적 자립모델의 유형이다. 셋째, ‘대처 취약형’은 해결책과 방안을 찾아 내지 못하고 장애인복지 패러다임의 미래와 전망에 대해 회의적이거나 실행력이 낮은 유형이다. 대처 취약형의 자립관은 재활모델의 우월성을 강조하지는 않지만, 자립모델의 경험과 실천의지가 약한 제한적 재활모델의 유형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수행과 그 결과로부터 도출할 수 있는 사회복지 실천적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설 인권침해의 사회적 비판과 투명성 확보를 요구하는 사회적 개입에 종사자들은 문제의식을 가지고 대응책을 찾아야 한다. 둘째, 자립패러다임 실천의 첫 단계로 거주시설 환경 개선과 지역사회 거주체험을 활성화 시켜야 한다. 셋째, 자기결정권의 보장과 이용자의 참여를 확대해야 한다. 본 연구는 연구 대상의 지역적 한정 및 이에 따른 후속 연구의 필요성과 사무국장 유형화에 따른 분석 및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시설장에 대한 추가 연구 필요성과 사무국장과의 역동성에 따른 복합적인 경험들도 살펴 볼 수 있을 것이고, 자립패러다임 실천을 선도하는 시설 종사자(시설장, 사무국장)에 대한 후속 연구의 필요성도 함께 제안한다.

      • 클라이언트 폭력이 장애인생활시설 사회복지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

        박기동 경기대학교 행정.사회복지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1695

        본 연구는 장애인 생활시설에서 일어나는 클라이언트의 도전적 행동의 특성에 이어 클라이언트 폭력 문제가 제기됨에 따라 장애인생활시설에서 종사하는 사회복지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조사하는데 목적이 있다. 최근 장애인생활시설에서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는 도전적 행동의 특성과 생활시설에서 24시간 클라이언트와 사회복지사가 상주한다는 근무 특성은 클라이언트 폭력에 노출되기 쉬운 상황이다. 이러한 클라이언트의 폭력은 사회복지사의 소진 수준에 영향을 미쳐 복지서비스 질을 저하 시킬 수 있다. 이에 국내 연구에서는 2000년대부터 관련 연구가 시작되었으나, 대부분 정신보건 사회복지사(현 정신건강 사회복지사), 사회복지 공무원, 노인복지시설 등 특정 시설만 연구가 이루어져 다방면의 분야에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본 연구의 조사 대상자는 경기도, 강원도, 충남지역에 근무하는 장애인생활시설 사회복지사로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9개의 기관을 방문하여 22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191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고, 그 중 응답이 불량하거나 무응답으로 인해 해당되지 않은 설문지 2부를 제외한 189부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으며,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생활시설에서 사회복지사의 일반적 특성인 성별, 연령, 결혼상태, 종교, 학력, 고용형태, 근무경력, 일일 근무 시간, 개인소득에 따른 소진에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가설의 검증에 앞서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독립변수인 클라이언트 폭력 내에서 신체적 폭력은 정서적 폭력 0.558(p<.01), 재산상 피해 0.790(p<.01), 기타 피해 0.670(p<.01)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정서적 폭력은 재산상 피해 0.648(p<.01), 기타 피해 0.701(p<.01)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한편, 클라이언트 폭력과 장애인생활시설 사회복지사의 소진 간에는 신체적 폭력 0.453(p<.01), 정서적 폭력 0.535(p<.01), 재산상 피해 0.539(p<.01), 기타 피해 0.556(p<.01)으로 모두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클라이언트가 가하는 신체적 폭력과 정서적 폭력이 많을수록 사회복자사의 소진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정서적 폭력은 β=1.506(p<.001), 신체적 폭력 β=1.494(p<.01), 기타 피해는 β=0.772(p<.05)의 순으로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재산상 피해의 경우 β=0.038로 유의수준(p<0.05)에 영향을 미치지 못해 유의미하지 않다고 나타났다. 이에 ‘가설 1’, ‘가설 2’, ‘가설 4’는 채택되었고, ‘가설 3’은 기각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소진을 예방하기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 결과에 따라 클라이언트 폭력이 사회복지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친다면 이는 사회복지사가 클라이언트에 대한 복지서비스 질이 저하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클라이언트 폭력에 대비할 수 있는 매뉴얼이 필요한 실정이다. 각 기관마다 정해진 단일 매뉴얼이 아닌 사회복지시설정보시스템을 통하여 전국 단위로 폭력의 사례를 기관마다 공유하며 통합적인 매뉴얼을 만들어 시행할 필요가 있다. 둘째, 사회복지사는 공공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업무 특성을 고려하여 상해보험 가입 및 폭력 발생시 대응을 위한 법률상담 등 신변 안전 지원을 법적 기반으로 마련할 필요가 있다. 셋째, 사회복지시설에서 일어나고 있는 클라이언트 폭력 문제를 예방하기 위한 직원교육이 필요하며, 안전장비 설치를 의무화하고 그 실효성을 담보하기 위한 시설평가를 제도적으로 반영할 필요가 있다. 넷째, 클라이언트 폭력에 대한 사전·사후 대응조치와 그에 대한 사례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통합하여 사회복지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과 피해 발생 시 보상 방안을 마련할 필요성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increasing issue of clients’ violence at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disabled as well as their provocative behaviors on burnout of social workers who work at the facilitie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vocative behaviors frequently witnessed at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disabled and the fact that clients and social workers live and work at the facilities 24/7, they are easily exposed to clients’ violence. It can also affect burnout of social workers and deteriorate the quality of welfare services. Although relevant research began in Korea in the 2000s, there are limitations that they mostly focused on specific facility types including mental health, social welfare officials, and seniors, rather than covering multiple aspects. For this study, social workers at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disabled located in Gyeonggi-do, Gangwon-do, and Chungcheongnam-do were recruited. To obtain data, 9 organizations were visited to distribute 220 sheets of questionnaire, 191 out of which were collected, and 189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after excluding 2 sheets that were poorly or not answered.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ocial workers at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disabled including gender, age, marital status, religion, the highest education level, employment type, work experience, daily work hours, and personal income showed no difference in burnout. Therefore, clients can be seen as a complete control variable in the process of affecting social workers’ burnout. Second, as for the correlation among variables, in the independent variable - clients’ violence - physical abuse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emotional abuse 0.558 (p<.01), property damage 0.790 (p<.01), and other damage 0.670 (p<.01), while emotional abuse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property damage 0.648 (p<.01) and other damage 0.701 (p<.01). Meanwhile, clients’ violence and the social workers’ burnout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in physical abuse 0.453 (p<.01), emotional abuse 0.535 (p<.01), property damage 0.539 (p<.01), and other damage 0.556 (p<.01), supporting the validity of the research hypothesis. Third, the more the physical and emotional abuse by clients, the higher the social workers’ burnout. In specific, the effect on burnout was high in order of emotional abuse β=1.506 (p<.001), physical abuse β=1.494 (p<.01), and other damage β=0.772 (p<.05); property damage recorded β=0.038, not having an effect on the significance level of 0.05. Accordingly, hypotheses 1, 2, and 4 were adopted, while hypothesis 3 was rejected. Based on the results,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to prevent burnout: First, if clients’ violence affects social workers’ burnout as revealed in this study, it can reduce the quality of welfare services conducted by social workers. To prevent this, it is required to develop a manual to respond to clients’ violence. Instead of a single manual drawn up for each institution, a comprehensive manual is required to share the cases of violence among the institutions through the Social Welfare National Information System. Secon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workers engaged in public services, it is necessary to provide support for personal safety including injury insurance and legal consultation in response to violence based on a legal ground. Third, personnel training is required to prevent clients’ violence, and it is necessary to make it mandatory to install safety measures and introduce facility evaluation institutionally to guarantee the effectiveness. Fourth, it is required to develop measures to reduce the effect on social workers’ burnout and compensate for any damage by systematically organize and integrate pre and post-response measures against clients’ violence and relevant cases. * Keywords: clients’ violence,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disabled, social workers, burnout

      • 노인의 주거환경 만족도가 지역사회 계속거주(Aging in Place) 욕구에 미치는 영향

        김행석 경기대학교 행정.사회복지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1695

        본 연구는 경기도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노인 442명을 대상으로 노인들의 주거환경 만족도가 지역사회 계속거주 욕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주거환경 만족도의 하위변인인 주택만족도, 근린만족도, 지역사회환경만족도, 공동체만족도가 지역사회 계속거주 욕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에 참여한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주요 특성을 살펴보면 총 442명으로 ‘남성’ 220명(49%), ‘여성’ 222명(50.2%)이었고, 평균나이는 73.5세였다. 학력의 경우 ‘고등학교 중퇴·졸업’이 151명(34.2%)으로 가장 많았고, 주관적 건강상태는 ‘나쁨’ 88명(19.9%), ‘좋음’ 161명(36.4%)으로 ‘좋음’이 더 높게 나타났다. 기초생활수급자는 61명(13.8%)이었으며, 주관적 경제수준은 ‘어렵다’ 125명(28.3%), ‘넉넉하다’ 56명(12.7%)으로 ‘어렵다’가 더 높게 나타났다. 들째, 주요 변수들의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살펴보면 주거환경만족도는 5점 구간에 평균은 3.574(SD=.323)였고, 지역사회 계속거주 욕구의 평균은 3.675(SD=.736)였으며, 중간 값(3점, 보통) 이상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통제변수에 따라 지역사회 계속거주 욕구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 독립표본 t검정과 일원배치 분산분석 결과 나이, 혼인상황, 가구원수, 주관적 건강상태, 수급여부, 주관적 경제수준, 주택소유형태는 유의미한 영향이 있었다. 셋째,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해보니 통제변수인 나이, 혼인상황, 가구원수, 주관적 건강상태, 수급여부는 지역사회 계속거주 욕구와 정적(+)인 상관관계에 있었지만, 주관적 경제수준은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독립변수인 노인의 주거환경만족도와 하위 변인인 주택만족도, 근린만족도, 지역사회환경만족도, 공동체만족도는 지역사회 계속거주 욕구와 모두가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노인의 주거환경 만족도가 지역사회 계속거주 욕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주거환경 만족도(β=.287, p<.001)가 높을수록 지역사회 계속거주 욕구는 높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또한 주거환경만족도의 하위변인중에서 노인의 공동체만족도(β=.329, p<.001)만 지역사회 계속거주 욕구에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지역사회 계속거주를 위해서는 지역 편의시설 뿐만 아니라 공동체 기반의 접근방식으로 자녀와 이웃, 일자리, 마을공동체, 자연환경 등을 총체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또한 장기요양시설, 재가복지시설 및 의료시설과의 연계적인 서비스 제공 등 통합적인 사회복지체계의 구축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노인의 주거환경 만족도가 지역사회 계속거주 욕구에 미치는 영향을 주고 있음을 나타내는 실증적 결과로서, 계속거주를 노인 복지적 관점에서 볼 때 정상화의 확대와 노인대상 돌봄 구축을 위한 커뮤니티케어와 고령친화도시 등 다양한 정책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sidential environment satisfaction on the needs of aging in place in the community of 442 elderly people over 65 years of age living in Gyeonggi-do. In addition, the effects of housing satisfaction, neighborhood satisfaction, community environment satisfaction, and community satisfaction, which are sub-variables of residential environment satisfaction, were also examined on the needs of aging in place in the commun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demographic and soci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in the study were 442 people, 220 males(49%) and 222 females(50.2%). The average age was 73.5 years. In terms of education, ‘high school dropouts and graduations’ were the most common, with 151 students(34.2%), subjective health status was ‘poor’ 88(19.9%), ‘good’ 161(36.4%), ‘good’ was higher. The number of basic livelihood security assistance was 61(13.8%), and the subjective economic level was ‘difficult’ 125(28.3%) and ‘generous’ 56(12.7%), ‘difficult’ was higher. Second, according to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major variables, the mean of residential environment satisfaction was 3.574(SD=.323) in 5 points, and the mean of the needs of aging in place in the community was 3.675(SD=.736), which was higher than the median(3 points, average). In addition,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OVA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age, marital status, the number of households, subjective health status, benefits, subjective economic level, and the type of house ownership according to the control variables. Third, analyzing the correlations among the variables, control variables such as age, marital status, th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benefit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needs of aging in place in the community, but subjective economic level was negatively correlated. Residential environment satisfaction, sub-variable housing satisfaction, neighborhood satisfaction, community environmental satisfaction, and community satisfaction, which were independent variabl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needs of aging in place in the community. Fourth, the effect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satisfaction of the elderly on the needs of aging in place in the community was verified that the higher the residential environment satisfaction(β=.287, p<.001), the higher the needs of aging in place in the community. In addition, only the community satisfaction of the elderly(β=.329, p<.001) was found to have an influence on the needs of aging in place in the community. For aging in place in the communit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children, neighbors, jobs, village communities, and the natural environment as a community-based approach as well as local amenitie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integrated social welfare system such as providing services linked to long-term care facilities, home welfare facilities and medical facilities. This study is an empirical result indicating that residential environment satisfaction of the elderly has an effect on the needs of aging in place in the community. From the welfare perspective of the elderly, aging in place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various policies such as community care and elderly-friendly cities for the expansion of normalization and care for the elderly. Key words: elderly, residential environment satisfaction, community satisfaction, needs of aging in place in the community

      • 저성장·고령화 시대에 대비한 고령자 주택정책 방향 연구 : 경기도를 중심으로

        강효석 경기대학교 행정·사회복지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1695

        The rate of Korea’s economic growth reached up to 7.5% before the financial turmoil in 1997, after that time it became 4.4%. The world financial crisis in 2008 pushed down the growth rate to 3.4%, in 2012 2.3%, in 2013 2.9%, in 2014 3.3%. With recent IMF’s downward adjustment to 2.7% the trend of low growth is going on. In addition, Korea entered the aging society in 2000 with 7% of the population being 65 and older, and is expected to become an aged society in 2018 with 14% of the aged population. By 2026, the rate is predicted to be 20% as a super aged society and by 2060 40.1%. Korea is rapidly heading toward a aging society. The aging bring about various negative spin-off effects on the overall economy and society such as an increase of the aged population, a decrease of the productive population, an increase of welfare demand, and a decrease of development demand. These negative facts may lead to an extended period of low growth of labor, capital and finance. Therefore, the low growth and the aging will work as a new changing factor which causes a decreasing demand of physical develop, an encroachment of manpower, strain on investment resources, an increasing demand of social welfare, and a limitation on the creation of job and income. During a high growth era, the government took an initiative to lead people and businesses, however the policies of low growth era should take a look at the underprivileged and take slow processes, which is the way to sustainable economic society. A rapid aging and transformation of population structure may cause concern for severe social problems. Especially, many of the Baby Boomers who enter retirement age from 2010 and are not prepared for their retirement would be a big burden to the government. However the government also fall short of policy prepa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thus, is to suggest the housing policy orientation for the aged which is tailored to Gyeonggi-do. This study i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housing preperence of the aged such as prepered locations, important parts of making a location decision, and prepered housing types and sizes. First, the family played the primary role of protecting and nursing seniors, however with the trend toward the nuclear family accompanied by the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social participations of woman was increased and the family’s nursing function of seniors became weak. In addition, the average life expectancy is increasing, therefore, the housing policy need to change direction to the policies taking the aged into account from young people- oriented supply policies. Second, the housings which are prepered by the aged should be provided in the format of the long-term lease. the prepered housings are a small and midium sized home which reflects the charicteristics of the aged, a housing adjacent to medical facilities, a rural housing commanding a fine natural environment, and a housing convenient to use public transportation. Third, a public rental housing such as Tabok Healthy Village is suitable for BTL method, because it is impossible to make high return. With the rental revenue the BTL method is hard to guarantee the desired propit to investors, therefore public agencies should assume full charge of the operation. Fourth, concerning Tabok Healthy Village, dilapidated urban apartments need to be developed to houses for the aged and comercial facilities as a complex concept which makes the property owners enjoy the rebuilding effects, make the private businesses secure the propitability, and make Gyeonggi-do gather the harvest of the aged housing supply. As described above, under the situation which a deposit based lease system is rapidly changing into monthly rental system, and 45% of the total household are living in a rental house, the shortage of rental houses will make the price rise. To reduce the dwelling burden of the aged without a house, expansion of the supply of rental house such as Tabok Village should be continued.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은 1997년 외환위기 이전까지는 평균 7.5%에 달했고 이후에는 4.4%였으나 2008년 세계 금융위기로 3.4%로 떨어지면서 2012년에 2.3%, 2013년에 2.9%, 2014년에는 3.3%였고, 2015년 최근 IMF에서 2.7%로 하향 조정하는 등 저성장의 기조가 계속되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인구 비율이 2000년에 7%를 초과하여 고령화사회가 되었고, 2018년 14%에 도달하여 고령사회가 되고, 2026년에는 20%가 되어 초고령사회가 되는 빠른 속도의 압축고령화 과정을 겪고 있는데 2060년에는 40.1%가 될 것이라고 통계청이 발표하였다. 고령화는 노령인구의 증가, 생산인구 감소, 복지수요 증가 감소 등을 초래하여 저성장을 고착화 시키는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저성장, 고령화로 인한 국가의 경제사회는 물론이고, 지역의 발전과 관련된 투자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어 개발수요가 감소하고, 복지수요가 증가되며, 일자리가 늘어나기 어렵게 된다. 특히 최근 은퇴가 시작된 베이비부머들은 노후준비를 제대로 하지 못하고 은퇴하게 되어 고령층과 함께 정부의 부담으로 작용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베이비부머를 포함한 고령자들이 선호하는 주택의 입지, 유형과 규모 등을 분석하여 주거복지 측면에 경기도 실정에 맞는 고령자 주택정책 방향을 FGI를 통해 아래와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고령층을 위한 소형 장기 공공임대주택의 공급을 확대하여야 한다. 2014년 6월 소형 아파트 건축 의무비율이 폐지됨에 따라 공공임대아파트를 제외하면 거의 없는 실정으로 저소득층 비율이 높고 주거환경이 열악한 고령층의 수요에 비해 부족하므로 고령층이 선호하는 도심지역이나 교통이 편리한 도시근교에 지속적으로 공급 하되 경기도 따복건강마을이 일정부분 역할을 하는 것도 필요하다. 둘째, 노후화된 아파트, 단독주택 및 경로당의 개보수비용을 실비수준으로 지원해야 한다. 고령층은 대부분 일반가구에 비해 생활·주거환경이 열악하고, 이동성이 낮으므로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베리어 프리공사 및 창호교체 등 단열공사 비용을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셰어하우스, 코하우징 등 공유주택의 확산을 지원해야 한다. 저성장 고령화 시대를 맞아 자산을 소유하기 보다는 빌려 쓰거나 공유하는 문화가 확산되고 있으므로 공유주택의 도입을 사회적기업, 주택협동조합과 협력하여 초기 계약금, 보증금, 중도금 등을 지원하거나 저리융자를 알선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넷째, 노후 중대형 아파트 리모델링 시 세대구분형 아파트에 대한 규제를 완화해야 한다. 노후 아파트의 리모델링을 통해 금융자산이 부족한 고령층의 월세수입이 가능한 세대구분형 아파트 리모델링 사업이 활성화 되도록 주택법령 상 단지 내 전체호수의 1/3 이내 규정을 폐지하는 제도개선이 필요하다. 다섯째, 의료시설, 공원, 주민센터 등 공공부지 및 인근 지역에 따복건강마을을 신축 또는 복합개발 해야 한다. 도유지, 공유지로 한정하고 있는 후보지를 고령층이 선호하는 토지로 확대하고, 리츠 또는 BTL방식 등 민간투자방식을 통해 민간자본을 유치하는 따복건강마을 추진방안이 필요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고령자들의 주거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서는 경기도의 따복건강마을 등 장기 공공임대주택의 공급 확대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 대학생의 직업가치와 사회적 지지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김경아 경기대학교 행정·사회복지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1695

        Career choice and decis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in the life of an individual that goes on throughout one’s life. Besides, the time of university students is an important period during which one explores his or her career and makes preparation to choose one’s future career concretely in one’s career development stage before implementing the plan (Hyeon-jeong Hwang, 2015). Especially, career choice that one makes during the course of one’s university life can be a core task that decides the direction of one’s future life (Min-jeong Kim, Bong-hwan Kim, 2007). However, due to special characteristics of Korea’s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is oriented toward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Korean students are now in deep agony regarding their career. They never had career guidance before entering the college, and they are now faced with a shrinking opportunity to get a job which is caused by increasing uncertainty of modern society and protracted business recession (Jeong Ha, Ji-yeong Hong, 2013). Difficulties involved in career decision are aggravated due to college transfer, frequent stop-outs, and graduation holding of university students, Indiscriminate preparation for employment without serious consideration of oneself makes the current problem more complicated for university students (Jong-chan Lee, 2013). To help students to explore their career choice and decide their future career, universities are providing diverse services that are related to career counseling and placement. However, since career problem is closely related to general psychological counseling (Hye-yeon Seon, Je-gyeong Lee, Seon-gyeong Kim, 2012), certain understanding of this field is necessary. Also, as career problem of students is the result of a long-standing career development (Hyeon-jeong Hwang, 2015), it is important to grasp the situation of students first so that the students can decide their career that can bring best results for themselves. Accordingly, in this research,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choice model of Lent et al. (1994) was employed as theoretical background with the focus on career decision level of university students. Choice model of social cognitive theory basically explains problems of goal choice, activity choice, and future job choice that are related to career choice of individuals together with development of interest (Lent et al, 2002). In this research, we have set up personal characteristics (gender, grade, major), internal or contextual variable bordering on background (work value), and external or contextual variable bordering on activity choice (social support) as variables that affect career decision level, and examined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influence that each variable has on career decision level. Concrete research problems for the purpose are as follows: First,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influence that work value has on career decision level based on personal characteristics (gender, grade, major) of students? Second,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influence that social support has on career decision level based on personal characteristics (gender, grade, major) of students? Third, what influence do work value and social support have on career decision level based on personal characteristics (gender, grade, major) of students? Fo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a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with students who attend one of 16 4-year colleges that are located in Seoul, Gyeonggi, and Chungcheong areas as target. Copies of the questionnaire containing questions that were designed to measure each variable were distributed to 650 students, both male and female, and 605 copies were recovered and used for the analysis. For research tool, such scales as work value scale, social support scale, and career decision level scale were used. To analyze our hypothesis based on research model on the basi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Excel was utilized for data processing, and general statistical package SPSS Ver. 22.0 was used for co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analyze the influence that work value and social support have on career decision level. In addition,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influence that work value and social support have on career decision level based on personal characteristics of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work value of students, those that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career indecision, a sub-category of career decision level, were gender and major, sub-categories of personal characteristics but, of this major, art, music, and physical education as well as other majors were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Grade did not reveal any significant statistics but, of interaction item, pursuit of expertise x grade turned out to be significant below 5% of significance level. As regression coefficient shows a negative (-) value, the lower gets pursuit of expertise in the case of higher grade in comparison to lower grade, it is possible to know that career indecision gets lower. Also, of work value of university students, personal characteristics that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confidence level, a sub-category of career decision level, were grade and major but, of this major, art, music, and physical education as well as other majors were not significant. Gender did not reveal any significant statistics but, of interaction item, pursuit of creativity x gender revealed significant influence below 10% of significance level. As regression coefficient shows a positive (+) value, the higher gets pursuit of creativeness in the case of male in comparison to female, it is possible to know that confidence level gets higher. Second, of social support of students, those personal characteristics that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career indecision, a sub-category of career decision level, were gender, grade, and major but, of this major, art, music, and physical education as well as other majors were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Also, of social support of university students, personal characteristics that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confidence level, a sub-category of career decision level, turned out to be major. Although gender did not have significant influence, it was possible to know that, of interaction item, information support x gender was significant below 5% of significance level. As regression coefficient showed a positive (+) value, the higher gets information support in the case of male in comparison to female, it is possible that confidence level gets higher. Third, as for the influence that work value and social support have on career decision level, in gender of personal characteristics, it is possible to know that the higher gets work value, career decision level gets higher in the case of male in comparison to female and in the case of humanity and social sciences in comparison to other majors. In contrast, grade wa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When these results are compared with the hypothesis of this researcher, the hypothesis that work value and social support based on personal characteristics (gender, grade, major) of university students have certain influence on career decision level turned out to be true. Also, it was possible to identify that sub-variables of work value and social support have different influences on sub-variables of career decision level. Although social support has minor influence on career decision level, work value has considerable influence on career decision level by personal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sub-variables. Therefore, wha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uggest is that, to enhance career decision level of university students by helping them to make smooth decisions on their career problem, it is necessary to evaluate whether their work value and the recognition process on external environment is rational and realistic together with their personal characteristics using various tools. With regard to career of university students, research on programs by stage and consulting techniques is necessary so that career education that takes career decision factors and career indecision factors together into consideration can be supported. 진로선택과 결정은 개인의 인생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문제 중의 하나이며, 평생에 걸쳐 계속된다고 할 수 있다. 더욱이 대학생 시기는 진로발달단계에 있어 자신의 진로를 탐색하고 구체적인 미래진로를 선택하기 위한 준비 및 그에 따른 실행이 이루어지는 중요한 시기이다(황현정, 2015). 특히 대학 재학 과정에서 결정하는 진로의 선택은 삶의 방향을 결정하는 인생의 핵심과제라 할 수 있다(김민정, 김봉환, 2007). 그러나 우리나라 대학생들은 입시 위주의 교육환경이라는 특성을 고려할 때, 입학 전 진로지도의 부재와 최근에는 급변하는 현대사회의 불확실성과 장기간의 경기침체로 인한 취업기회의 감소로 인해 대학생들이 자신들의 진로를 더욱 심각하게 고민하고 있다(하정, 홍지영, 2013). 진로결정에서의 어려움은 대학생들의 편입, 잦은 휴학, 졸업유예 등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자신에 대한 깊은 이해 없이 무분별한 취업준비를 하고 있는 대학생들은 더욱 심각한 문제의 악순환 고리에 걸려들게 된다(이종찬, 2013).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학에서는 학생들이 진로를 탐색하고 자신들의 진로를 결정하도록 돕기 위해, 진로 및 취업 부분의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진로문제가 일반 심리 상담과 매우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선혜연, 이제경, 김선경, 2012) 이 부분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또한, 학생들의 진로는 장시간에 걸쳐 진로발달이 이루어진 결과(황현정, 2015)이기 때문에 대학생들이 자신에게 가장 좋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 진로를 결정하기 위하여 학생들의 상황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에 초점을 두고 Lent 등(1994)의 사회인지 진로이론 선택모형을 이론적 배경으로 삼았다. 사회인지 이론에서의 선택모형은 흥미발달과 함께 기본적으로 개인의 진로선택에 관련 된 목표 선택, 활동 선택, 미래 직업 선택의 문제를 설명한다(Lent et al, 2002). 본 연구에서는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개인특성에 성별, 학년, 전공계열, 내적 또는 배경 맥락적 변인에 직업가치, 외적 또는 행동선택에 인접한 맥락적 변인으로, 사회적 지지를 설정하여 각 변인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력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개인특성(성별, 학년, 전공계열)에 따라 직업가치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은 차이가 있는가, 둘째, 대학생의 개인특성(성별, 학년, 전공계열)에 따라 사회적 지지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은 차이가 있는가, 셋째, 대학생의 개인특성(성별, 학년, 전공계열)에 따라 직업가치와 사회적 지지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이다. 연구를 위하여 서울, 경기 및 충청지역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 16곳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남녀 대학생 650명을 대상으로 각 변인을 측정하는 설문을 하였으며, 그중 605부가 연구에 사용되었다. 연구 도구로는 직업가치 척도, 사회적 지지 척도, 진로결정수준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문제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설문조사를 기본토대로 연구모형에 따른 가설을 분석하기 위하여 엑셀을 활용하여 자료처리를 하고 범용통계패키지인 SPSS ver. 22.0를 사용하여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하여 직업가치와 사회적 지지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하고, 조절 회귀분석을 하여 대학생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직업가치와 사회적 지지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관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직업가치가 진로결정수준 중 진로미결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개인특성은 성별, 전공이었으나 전공 중 예체능·기타 계열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학년은 유의미한 통계가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상호작용 항 중 전문성추구×학년이 유의수준 5% 하에서 유의한 것을 알 수 있으며, 회귀계수가 음(-)의 값을 나타내므로 저학년에 비해 고학년의 경우 전문성추구가 낮아지면 낮아질수록 진로미결정은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대학생의 직업가치가 진로결정수준 중 확신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개인특성은 학년과 전공이었으나 전공 중 예체능·기타 계열은 유의하지 않았다. 성별은 유의미한 통계가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상호작용 항 중 창의성추구×성별이 유의수준 10 %하에서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으며 회귀계수가 양(+)의 값을 나타내므로 여성에 비해 남성의 경우 창의성추구가 높아지면 높아질수록 확신수준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가 진로결정수준 중 진로미결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개인특성은 성별과 학년, 전공이었으나 전공 중 예체능·기타 계열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또한,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가 진로결정수준 중 확신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개인특성은 전공으로 나타났다. 다만, 성별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지만 상호작용 항 중 정보지지×성별이 유의수준 5% 하에서 유의한 것을 알 수 있으며, 회귀계수가 양(+)의 값을 나타내므로 여성에 비해 남성의 경우 정보지지가 높아지면 높아질수록 확신수준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대학생의 직업가치와 사회적 지지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은 개인특성 중 성별에서는 여성에 비해 남성의 경우가, 타 전공에 비해 인문·사회계열이 직업가치가 높아지면 높아질수록 진로결정수준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학년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들을 연구자의 가설과 비교해볼 때, 대학생 개인특성(성별, 학년, 전공)에 따라 직업가치와 사회적 지지가 진로결정수준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해 주었다. 직업가치와 사회적 지지의 하위변인이 진로결정수준의 하위변인에 각각 다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회적 지지는 진로결정수준에 낮은 영향력이 나타났지만, 직업가치는 하위변인에 따라 개인특성별로 진로결정수준에 높은 영향력을 나타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시사하는 바는 대학생들이 자신의 진로문제에 대해 원활한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도와주어 진로결정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대학생들의 직업에 대한 가치관 및 외부 환경에 대한 인지과정이 현실적이고, 합리적인지를 개인적 특성과 함께 여러 도구를 통해 평가해야 한다는 것이다. 대학생의 진로와 관련해서 진로결정요인과 진로미결정요인을 함께 고려한 진로교육이 지원되도록 단계별 프로그램 및 상담기법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 노인의 체육복지 프로그램 만족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건강상태의 매개효과

        이정혜 경기대학교 행정·사회복지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1695

        본 연구는 노인의 건강과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한 노인 대상 체육복지 프로그램의 활성화와 향상을 위해 노인 체육복지 프로그램 만족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건강상태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연구문제에 따른 가설을 설정하고 설문조사를 통한 기초연구자료 수집과 실증분석을 검증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노인의 체육복지 프로그램 만족도가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체육복지 프로그램 만족도가 높을수록 건강상태가 좋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의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노인의 체육복지 프로그램 만족도와 삶의 만족도 사이에서 건강상태는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신체적 제한에 따라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 구성을 다양화하여 노인에게 삶의 만족을 선사하고 보다 협동적인 체육활동을 도모하고 서로 소통함으로서 사회적 소외감과 박탈감을 줄일 수 있도록 제고하며, 신체적·정신적 건강상태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질이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여 노인의 체육복지 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만족도를 향상시켜야 함을 정책적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elderly's satisfaction with sports welfare program on life satisfaction and the mediation effects of health condition to activate and improve sports welfare programs for the elderly, which are intended to promote the elderly's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For this, hypotheses were established according to research questions, basic research data was collected, and the analysis of actual proof was done.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as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elderly's sports welfare program was high, their life satisfaction was also high. Second, as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elderly's sports welfare program was high, their health condition was good. Third, as the elderly's health condition was good, their life satisfaction level was also high. Fourth, the health condition has a partial mediation effect between the elderly's sports welfare program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Therefore, the proposed policy implications are to provide the elderly with life satisfaction by diversifying programs that those with various physical restrictions can participate in, to promote cooperative sports activities, to reduce a sense of social alienation and feeling of deprivation, and to provide high quality of services that can help physical and mental health conditions of the elderly, so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elderly's participation in sports welfare programs can be improved. Key Words : the elderly's sports welfare program satisfaction, life satisfaction, health condition

      • 대졸자의 부모의 사회 경제적 지위와 인적자본이 노동시장성과에 미치는 영향

        전재경 경기대학교 행정·사회복지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1695

        저성장 시대가 지속되는 가운데 제한된 좋은 일자리 수는 노동시장 진입의 치열한 경쟁을 낳으며, 이 경쟁을 위해 스펙과 학력경쟁이 부각되고 있다. 인적자본 중 교육은 부모의 개입에 의해 영향을 받는 변수이다. 즉, 부모의 사회 경제적 지위에 의해 획득한 학력을 비롯한 인적자본이 노동시장 진입에 영향을 미친다면 계층 이동의 제한과 신분의 대물림이라는 문제를 가지고 오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졸자의 부모의 사회경제적지위와 인적자본이 노동시장성과에, 직.간접적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사회계층이 노동시장성과를 고착화 시키지 않기 위해 사회가 어떤 방향으로 노력해야 할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2015년에 조사된 한국고용정보원(2016)의 2014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2014GOMS)의 자료에서 전체 표본 18,057명 중 고등학교 유형이 일반계고, 특수목적고, 특성화고이며, 2․3년제, 4년제 대졸자를 대상으로, 첫 일자리의 월평균 근로소득이 있는 4,67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24.0과 AMO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대졸자의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인적자본 및 노동시장 성과에 대한 응답분포를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분석 및 기초통계량을 실시하였다. 또한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노동시장 성과와의 관계에서 대졸자의 인적자본인 고등학교 유형과 대학교 유형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경로분석(path analysis)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졸자의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노동시장성과의 직접적 영향을 분석한 결과, 월평균 근로소득 여부에 있어 부모직업 위신도가 낮거나 월평균 가구소득이 낮을수록 자녀의 월평균 근로소득도 낮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는 대졸자의 고등학교 유형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교육년수가 높을수록, 특수목적고를 선택 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부모의 직업 위신도가 낮을수록 특성화고를 선택할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는 자녀의 고등학교 진학 유형을 거쳐 대학교 유형과 자격증에 간접 영향을 미친다. 부모의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월평균 가구 소득이 높을수록 2. 3년제 대학보다 4년제 대학으로 진학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특성화고인 경우 4년제 대학을 선택할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성화고의 경우 자격증을 보유할 가능성이 높거나 자격증 수가 많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고등학교 유형에 영향을 받는 대졸자의 인적자본(대학진학 유형 및 자격증)은 노동시장 성과에 유의미한 간접적 영향을 미친다. 부모의 교육년수가 높을수록 월평균 근로소득이 양(+)의 간접효과를 보이며, 정규직 여부에는 음(-)의 간접효과를 보인다. 4년제는 월평균근로소득에 유리한 변수인 반면, 특성화고는 정규직에 유리한 변수로 파악된다.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대졸자의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인적자본은 노동시장 성과에 여전히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인적자본의 계층화 시작점이라고 할 수 있는 고등교육과정의 선택에서부터 대학교 진학여부 및 대학교 유형에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노동시장 성과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결과적으로 세대 간 소득 이동은 통제되며 사회계층은 대물림되는 현상이 지속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사회계층이 노동시장성과에 고착화되지 않도록 자본 투입을 위해 기초교육 단계에서 정부의 개입이 필요하다. 또한 노동시장의 인재 선발 기준이 다양해질 수 있도록 고용주를 장려하는 제도 및 정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고 주제를 발전시킬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적자본의 고등학교 유형 빈도수에 있어서 일반계고는 3941명, 특수목적고는 884명, 특성화고는 808명으로 수적 차이를 보여 분석의 아쉬움이 남는다. 둘째,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의 변수 중 하나인 부모의 네트워트가 노동시장성과에 미치는 영향도 실증적으로 연구해 볼 필요가 있다. 셋째. 특성화고의 경우 2.3년제와 4년제 교육을 선택하는 요인과 노동시장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해 볼 필요가 있다. As the low-growth era continues, the limited number of fine quality jobs cause hard struggles to enter the labor market. These struggles cause another social issue such as getting more qualifications and better academic backgrounds. Among human capital, education is a key affected by parental involvement. In other words, it would lead to social problems of limitation of class movement and the inheritance of statu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effects of the parental socio-economic status and the human capital of college graduates on labor market performance and suggest what direction we have to try to prevent the social class from sticking to labor market performance. The study examined the responses 4,657 college graduates that graduated the general, specialized, and special purpose high school, then graduated two, three, and four-year college with a monthly average earned income of the first job in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2015 (2014 GOMS)' The research made use of SPSS 22.0 and AMOS 20.0 to perform frequency analysis, basic statistics and path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fter verifying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monthly average earned income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parental socio-economic status and the labor market performance of college graduates, the negative effect on their earnings if parental job status is low or monthly average household income is low was shown, thus the hypothesis was still accepted. Second, the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s of the parental socio-economic status of college graduates on determination of high school type, their mother had a great influence on their choice of high school type. The higher education of the mother, the higher possibility of choosing the special purpose high school and the lower the parental job status, the higher possibility of choosing the specialized high school. Third, the graduated high school type has an indirect impact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arental socio-economic status, college type and qualifications of college graduates. The higher the parental education level, the higher the monthly average household income, the higher the possibility of entering four-year college than 2 or 3-year college. Specialized school graduates have lower possibility to entering 4-year college and higher possibility to getting more qualifications during their high school lives. Forth, the graduated high school type, college type and qualifications have an indirect impact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arental socio-economic status and labor market performance of college graduates. The higher the number of years of parental education, the positive(+) indirect effect on monthly average earning income is and the negative(-) indirect effect on permanent employee is. four-year college is a favorable variable for monthly average earning income and the specialized high school is a favorable variable for permanent employee. As a result, it was proven that the parental socio-economic status and human capital of college graduates have affected on labor market performance. The human capital have affected on the determination of high school type and college type and the labor market performance. The inter-generational income movement is controlled and the social status continues to be transferred even though the identity society had gon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suggestions can be made. First, government intervention at the basic education level is necessary for human capital input for every students to prevent sticking the social class to labor market performance. Second, system and policies should be in place to encourage employers to have diverse standards of recruiting. The following are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a few suggestions for subsequent future research. First, the general for 3,941, the special purpose for 884 and the specialized high school for 808 cases were selected. The frequency of high school type in human capital have a big differences. Second, the parental social network of the parental socio-economic status can be a significant variable to have an effects on labor market performance. Third, It is required to study the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determination of the college type among the specialized high school graduates and the effects of the determination of the college type on labor market performance as we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