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호텔 조직문화가 종사원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최낙현 경기대학교 국제·문화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50671

        호텔 기업은 업무가 공존하는 조직이다. 이러한 제반 환경들이 서로 잘 협조되고 효율적으로 관리되는지 아닌지에 따라서 고객 서비스, 고객만족 및 경영성과로 나타난다. 본 연구는 다양한 조직에서의 호텔기업이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관리하는 데에 적합한 조직문화와 종사원들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호텔에 대한 개념연구와 호텔기업에 적합한 조직문화에 대하여 조사 하였고, 종사원들의 직무만족에는 어떠한 영향이 있으며 그에 따르는 경영성과와 어떠한 연관이 있는지에 대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조직문화에 관하여 여러 학자들의 연구들을 기본으로 하여 살펴본 결과 조직문화란 "조직 내의 구성원들 간에 공유되는 태도, 사상, 행동규범, 신념, 기대 등으로 이루어진 가치관" 이라고 분석 하였다. 아울러 이러한 조직문화를 계대로 인지하기 위하여 조직문화를 구성하고 있는 구성요소 즉 대표적으로 샤인의 조직문화 구성요소(인공 창작물, 가치관, 기본전제)와 파스칼과 피터스의 모형인 7-S 모형(공유가치, 전략, 조직구도, 제도, 구성요소, 관리기술, 리더쉽 스타일)등에 대하여 연구 하였다. 또한 조직문화의 유형을 살펴본 결과로 집단 문화, 개발문화, 위계문화 합리문화 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유형들에 대한 특성에 관한 연구 또한 학자마다 다소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중요한 것은 연구의 목적과 범위에 따라서 접근방법이 매우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종사원의 직무 만족에 대하여 종사원의 관점에서 뿐만 아니라 조직 전체에 관련하여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조직 내의 직무 만족에 영향을 주는 분류에 있어서도 개인적 관점, 직무적 관점 등의 여러 요인들에 의하여 만족도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역할의 갈등, 역할의 모호성과 종사원에게 재량권을 주는 것은 서비스 관리에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조직문화와 종사원의 직무만족은 여러 요소들에 의하여 다르게 나타날 수 있고, 이러한 요소들은 어떻게 효율적으로 관리 하는지에 따라서 기업의 경영 성과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hotel enterprise is the organization that coexistence business. So, service to guest, guest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is come out by these presents that efficient management and well support in various environments. This study is do run a make about relation of culture of organization and members, and various organization in the hotel enterprise's active and positive managements. In addition, in order to the purpose of research conceptional about hotels and there culture of organization suited to lodging companies has been searched. This research gas been done about how these will affect the satisfaction of employees and the relation between this and performance of management as well. First of all, This study is analyzed about culture of organization's that is values of join ownership among members attitude, an idea, action standard, faith and expectations. In recognition of and with organized culture for construction of organized culture or typical Schein organized culture (human skill creation, one's value's. basic premise) and 7-s model with Pascale and Peters made a study about (the value of public ownership, strategy, composition of organized, skill of management, leadership, style) As a result, group culture, development culture, rank culture, rationality culture searching the kinds of the culture of organization. It has been recognized that there are group culture, development culture, rank culture, rationality culture Besides, it has been seem that there is the difference the characters of these according to each scholars. Accordingly, it has been found out that the way of research can be differed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and spare research. Second, it has been found out that the satisfaction is important an aspects of the employed organization as well of employees and there is a different the satisfaction of employees, depending on several aspects such as individual aspects, job aspects and considered the elements attending the satisfaction of employees in organization. And, through I got a knowledge that the complication of the role, the vagueness of the role and to give the discretion to members are operating by the important position in the service management. Finally, I got a knowledge that the members satisfaction in the organization is come out differently by many different elements and These are effected on the enterprise's performance by the management effectually.

      • 노인을 위한 연극 프로그램 개발연구 : 청원군 노인복지관을 중심으로

        김선희 경기대학교 국제문화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50671

        2007년 세계보건통계에 따르면 한국 여성의 평균수명은 82세, 남성은 75세로 전체 평균수명이 78.5세로 나타났다. 또한 현재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인구는 481만 명으로 총 인구의 9.9%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미 우리사회가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였음을 알리고 있다. 이러한 고령화 현상은 빠른 속도로 진행되어 2018년에는 전체인구대비 14.3%의 ‘고령사회’가 예상되고 있으며 2026년에는 그 수가 20.8%까지 상승하여 우리나라가 ‘초 고령 사회’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고령화 사회로의 발달은 우리사회로 하여금 노인복지에 관하여 보다 근본적인 관심을 갖도록 요구한다. 특히 그동안 생계지원 중심으로 이루어졌던 노인복지에서 문화를 중심으로 질 높은 삶을 추구하는 문화예술교육과 관련된 노인 복지가 필요한 시점이 되었다. 그러한 문화예술 교육은 노인들로 하여금 단순하게 시간을 소비하는 차원이 아니라 창조적․예술적 활동을 통하여 진정한 삶의 의미를 발견할 수 있도록 하는 평생교육 학습의 장으로서 의미를 가질 것이다. 이렇게 된다면 노인들은 단순한 문화예술 교육의 수동적 참가차가 아닌 직접적이고 능동적인 참가자가 되어 문화예술 창조자로서 새로운 노인문화를 만들어 내는 역할을 담당하게 될 것이다. 물론 이러한 단계에 까지 이르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문화예술의 가장 특징적인 성격 가운데 하나는 바로 문화예술은 직접 체험하면서 자아를 발견하는 경험적대상이라는 것이다. 그런데 대부분의 노인들은 실제로 일상생활에서 문화예술을 체험하지 못하고 자기 자신과 정체성을 잃어버리고 살았다. 문화예술을 경험하지 못한 사람은 일생동안 문화예술을 접할 필요성을 전혀 느끼지 못하는데 우리나라 노인들은 문화예술을 접할 기회가 거의 없었으며 그러한 노인들에게 예술적체험이야말로 매우 중요하고 절실한 문제이다. 예술의 나라라고 알려진 프랑스의 1997년 조사결과를 보면 일생동안 공연장, 영화관, 미술관을 모두 포함하는 문화예술시설에 한 번도 방문하지 않은 사람의 비율이 24%라고 나타났는데 우리나라의 경우는 훨씬 더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우리나라에서 활발하게 활동을 하던 시대에 경제개발이라는 최우선의 목표 때문에 문화예술을 접할 기회가 많지 않았던 지금의 노인들에게 어떻게 하면 보다 많은 문화예술을 접하게 하고 어떻게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가 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일 수 있다. 또한 문화예술교육에 관련된 많은 연구들이 청소년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다는 것도 어려움을 가중시키고 있다. 특히 연극 분야에서는 어린이와 10대 청소년들을 위한 연극 프로그램이 많이 개발되어 있으며 지금도 활발히 연구를 하고 있다. 그러나 60대 이상의 노인들을 위한 연극 프로그램 개발은 전무한 실정으로 그것만 보아도 노인에 대한 우리의 관심이 일천하다고 볼 수 있으며, 노인연극의 현장은 매우 열악하고 그것에 관한 연구도 아주 미진한 것이 현실이다. 노인들은 마음도 육체도 젊은이들과 다르고 살아온 환경도 다르다. 따라서 그들만을 위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현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시행하고 있는 노인 복지관 파견 연극 강사들이 진행하고 있는 프로그램들도 대부분이 노인들을 위하여 새롭게 개발되어진 프로그램들이 아니고 기존에 청소년들을 위하여 사용되고 있는 프로그램에 강사들의 경험을 결합하여 진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이유는 수혜자인 노인들의 문화체험 자체가 워낙 미비하기 때문에 공급자인 문화예술계가 노인층을 외면하고 또 거기에 합당한 실제적 문화 프로그램이 개발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수준 높은 연극적 실현을 전제로 한 프로그램개발에 목표를 두는 게 아니라 실제 운영되었던 노인 연극교육 프로그램을 통하여 문화예술교육의 여러 분야 중 노인들이 즐겁고 보람되며 그들 안에 내재되어 있는 창의력을 개발할 수 있는 동시에 진정한 삶의 의미를 찾을 수 있도록 평생교육의 차원에서 활용될 수 있는 연극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제 현장에서 적용시킬 수 있는 노인연극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기본원리를 세우는데 그 목적이 있다.

      • 일본대중문화의 개방정책과 유입실태의 변천에 관한 연구 : 영화·방송·대중 음악과 공연을 중심으로

        산본공 경기대학교 국제·문화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50671

        한일간에는 특수한 역사가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일본대중문화는 해방 후부터 1998년에 공식적으로 개방될 때까지의 약 53년 동안 그 유입을 금지해 왔다. 그러나 실제로는 다양한 경로를 통해 많은 일본대중문화가 한국에 유입되어, 한국대중문화에 영향을 끼쳐 왔던 것이 사실이다. 한편 일본대중문화개방 후, 한일대중문화교류의 증가, 한국대중문화산업의 발전 등, 긍정적인 경향을 보이고, 2004년 현재까지 일부 방송부문을 제외하고는 모든 부문에서 완전개방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점에서 지금까지 시도되지 않았던 일본대중문화 개방정책의 논의와 유입실태(영화부문, 방송부문, 대중음악과 공연부문)를 해방 후부터 2004년 현재까지를 역사적으로 고찰하여, 각 시기마다의 특징을 고찰해 보았는데, 그 결과 다음과 같은 특징을 찾을 수 있었다. 먼저, 일본대중문화 개방정책의 논의에 관해서는 1965년에 한일국교정상화가 이루어짐에 따라 일본영화 수입문제가 정부차원에서 제기된 것이 시발점이라고 할 수 있다. 그 후, 양국의 역사적인 문제로 인해 우여곡절을 겪으면서 개방정책의 논의의 중단과 재개가 반복되었으나, 80년대 이후, 특히 90년대에 들어와서는 국제화시대에 따라 한국도 양국의 특수한 역사만으로 일본대중문화개방에 대해 쇄국적인 태도를 취할 수 없게 되었다. 이에 한일간의 우호적인 관계가 시대적, 사회적으로 요구되어, 1998년 10월에 일본대중문화가 공식 개방되었다. 따라서 일본대중문화 개방이라는 것은 한일간의 상호주의가 있어야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고, 양국의 역사적인 문제로는 절대 해결할 수 없는 일이라고 할 수 있다. 영화부문에 관해서는 50년대 후반부터 개방 전까지 많은 영화가 표절의혹으로 고발되었는데, 특히 일본영화 수입문제로 시끄러웠던 60년대는 잇따라 많은 영화가 고발되는 등, 한국영화계의 표절행위가 문제시되었던 시기였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60년대에는 아시아 영화제를 통해 공식적으로 일본영화가 한국에 유입되었고, 70년대에 들어와서는 일반인에게도 공개되었던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90년대에 열린 부산국제영화제는 일본영화를 한국인에게 알려주는데 많은 역할과 관심을 끌었다고 할 수 있다. 개방 후에는 많은 일본영화가 공개되었으나, 한국영화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오히려 경쟁력을 갖춘 한국영화가 급속하게 성장하여, 표절영화는커녕 오히려 한국영화가 해외진출의 기회를 노리고 있는 과정에 있는 것이 사실이다. 방송부문에 있어서는 다양한 경로를 통해 많은 일본방송이 한국에 유입되었는데, 특히 스필오버현상으로 인해 남해안 일대에 들어온 일본TV방송은 가시청권 뿐만 아니라 한국방송계에 많은 영향을 끼쳐 왔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모방 및 표절 같은 문제가 최근까지 이어졌다. 그러나 개방 후, 한일방송교류가 점차 많아지고, 한국방송프로그램의 해외수출이 증가함에 따라 다른 부문보다는 떨어지지만, 저작권에 관한 의식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대중음악부문에서는, 해방직후부터 개방될 때까지 많은 일본대중음악이 비공식적으로 유입되었고, 공연에 관해서는 초청 공연 식으로 60년대부터 시작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표절곡에 관해서는 많은 곡들이 일본곡 표절로 인해 금지곡으로 낙인되어, 90년대에 들어와서는 많은 곡들이 잇따라 네티즌들을 통해 표절의혹에 휩싸이기도 하였다. 그러나, 개방 후, 한일음악교류가 활발해지고, 음악계에 있어서는 표절문제가 사라졌으나, KOMCA와 JASRAC 사이에는 상호관리체결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여전히 저작권에 관한 사무적인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상으로, 일본대중문화 유입의 금지는 일본대중문화와의 단절이 아니라, 오히려 유입의 증가를 초래하여, 한국대중문화시장에 있어서 일본대중문화가 많은 부분을 차지하였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해방직후부터 개방될 때까지 일본대중문화는 실제적으로 한국대중문화시장에 커다란 영향을 미쳐왔다고 하겠다. 그러나, 개방 후에는 일본대중문화가 한국대중문화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오히려 한국대중문화가 급속하게 발전하는 등의 긍정적인 경향을 보이고 있다. 즉, 한국에 있어서 일본대중문화의 개방은 일본대중문화유입의 범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한국대중문화가 일본대중문화의 그늘에서 벗어나, 새로운 르네상스를 구축하며 발전해 간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There is a special history between Korea and Japan. For this reason, Korea had prohibited the influx of Japanese pop culture for almost 53 years since its dependence until the country opened its door officially in 1988. However, in reality, it is true that Japanese pop culture streamed in to Korea through various routes and had an influence on Korean pop culture. On the other hand, positive trends such as increase in exchange of Korean and Japanese pop culture and development of Korean pop culture industry are shown after result of opening the door to Japanese pop culture, and until 2004 present, Korea has opened its door completely to Japanese pop culture with exception of a portion of broadcasting. This study, conducted a historical investigation on discussion of open-door policy for Japanese pop culture and reality of its influx in Korea(in areas of movie, broadcasting, pop music and show) from independence of Korea to 2004 present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eriod was looked into. As the result, this study discovere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regarding the discussion on open-door policy for Japanese pop culture, one can say that addressing the issue of importing Japanese movies at Government level following the normalization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in 1965 is the starting point. Later on, discussions on open-door policy for Japanese pop culture went through ups and downs due to historical issues between the two countries and went through cycles of interruption and resumption. However, from 1980's, especially with the arrival of 1990's, Korea could not sustain the attitude of isolation towards opening the door to Japanese pop culture that is for reasons no other than special history between the two countries. Therefore, the time and society demanded friendly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Japan, and Korea officially opened its door to Japanese pop culture in October 1998. Therefore, one can say that opening the door to Japanese pop culture requires mutuality between the two countries and can never be solved with historical issues between them. In the field of movies, many movies were accused with questions on plagiarism from late 1950's to the time before the opening, and especially 1960's, when there was serious controversy over the issue of importing Japanese movies, was the time when plagiarism in the Korean movie industry became an issue as many Korean movies were accused one after another. Also, there was an official inflow of Japanese movies in Korea in the 1960's through Asian Film Festival,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y were open to the public in 1970's. Also, it can be said that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held in 1990's played a significant role and drew much attention in introducing Japanese movies to Koreans. After opening the door to Japanese pop culture, many Japanese movies were open to public but they did no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Korea movies. It was rather that Korean movies with competitive power grew rapidly and not only far from copying but also in the process of looking for a chance to penetrate into foreign market. In the field of broadcasting, there was an inflow of many Japanese TV programs in Korea through various routes, and it can be said that Japanese TV broadcasting that was received in Korea due to spill over have not only been influencing those within the service area but also the korean broadcasting. Therefore, copying and plagiarism problems continued until recently. However, after the opening as exchanges in the broadcasting of Korea and Japan, and selling Korean TV programs abroad increased in volume, it can be said that the awareness on copyright is increasing gradually. In the field of pop music, Japanese pop music flowed into Korea from the period immediately after the independence of Korea until opening, and for shows, it was confirmed that they trace back as early as 1960's, which were given in the form of invitation performance. For copied songs, many were branded as banned for the reason of copying Japanese songs and in 1990's netizens raised question of plagiarism on many songs. However, as the musical exchanges between Korea and Japan became active, plagiarism disappeared from the music industry. Still, no mutual control agreement was signed between KOMCA and JASRAC and there remains the problems of unsolved clerical works regarding copyright. As seen from the above, it can be said that banning the influx of Japanese pop culture did not bring an isolation from Japanese pop culture but increase in influx and as the result, Japanese pop culture took up a large portion in Korea pop culture market. Therefore, one can say that Japanese pop culture has had a great influence on Korean pop culture market in reality from the period immediately after Korean independence from Japan until the door was opened to Japanese pop culture. However, after the opening, Japanese pop culture is not exercising any significant influence on Korean pop culture market, and it is showing positive tendency of rapid development in Korean pop culture. That is to say, opening the door to Japanese pop culture does not mean the flood of inflowing Japanese culture and that the significance lie in the fact that Korean pop culture has freed itself from the shadow of Japanese pop culture and keep developing itself while building a new renaissance.

      • 성명의 시대적 변천과정과 사용현황연구

        신도희 경기대학교 국제문화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50655

        In a broad sense, the name is a symbol to let know one's existence. All things in nature have their names. We can reason that the names took their rise from the origin of human beings. In the primitive ages, man might need the names to let know each other's existence. The reason was that in the daytime they might communicate their ideas to each other through body languages or sounds but in the nighttime they could use only sounds. We can infer from Chinese pictographs. In Chinese character, the letter of the name marks with night plus mouth. The origin of the names began from the primitive function to know one's existence. Gradually they expressed one's position through change of times and cultural progress. When they fixed themselves at one place, they needed farm land. And they opened hostilities for farm products. The result formed the relation between the conqueror and the conquered. New names according to one's position were formed. As the upper and lower classes in the political and economical aspect were formed and the classes were fractionated, the small number of the minor upper-classes got the special names to distinguish themselves the other classes. Koreans who had had their own family names used Chinese characters keeping in touch with Chinese culture. These family names symbolized their blood relative representing the privileged classes. Eventually, the family names dated from the political intention to represent their liberti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family name has changed according to the historical background, what it has meant, what the role of it has been, what kind of it has existed, and what its standard was. The names have always existed in anyplace where man existed.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he names originated and what names were used in Goguryo, Packje, and Shilla Kingdom through Samguksagi and Samgukyusa, through Goryosilok in Goryo Dynasty, through Yijosilok in Chosun Dynasty. This study investigates what family names existed in certain area through Sejongsilokjiriji and Donggukyojiseungram. This study refers to the literature with the historical records about the names. This study investigates consanguinity through the family trees and what the trend of the real names are. 광의의 의미에서 이름이란 자기의 존재를 알리는 기호이다. 그래서 삼라만상에 존재하는 동물이나 식물, 무생물에 이르기까지 이름을 지니지 않은 것은 어떤 것도 없다. 이름의 역사는 우리 인간의 역사와 같이 한다고 본다면 이 지구상에 인간이 탄생하면서부터 이름의 역사는 시작되었다. 태초의 인간이 수렵생활을 하던 원시시대에도 본인의 존재를 알리고 또한 상대의 존재를 알기 위하여 이름이 필요했을 것이다. 그것은 낮에는 손짓 몸짓 발짓 눈짓으로 누구를 지칭하는 동작이나 소리 등으로 의사가 전달되었겠지만 어두운 밤이 되면 서로의 존재를 알아 볼 수 없었기 때문에 저녁 夕(석)자 밑에 입 口(구)자를 써서 이름 名(명)이라고 한 중국의 문자인 상형문자(象形文字)의 이치만 보아도 그 의미를 헤아릴 수 있다. 이름은 그 사람의 존재를 알리는 방편이라는 가장 원초적인 기능에서부터 시작하여 시대의 변화와 정치적 상항 및 사회적 여건, 그리고 문화의 발달과 함께 하면서 그 사람의 위치를 표현하였다. 사람들이 정착 생활을 하면서부터는 유목생활을 할 때와는 달리 농사를 지을 수 있는 영토가 필요하였고 또한 잉여 생산물에 대한 정복 전쟁이 활발히 진행되었다. 따라서 힘을 지닌 정복자와 힘이 부족한 피정복자간의 복속관계가 형성되었고 정복자와 피정복자와의 계층을 특권계층으로 표현 해 줄 명칭이 필요하였다. 이렇게 신분의 상하가 형성되고 정치적 경제적 차별이 생기면서 또 다시 계급 분화가 진행되어 가면서 소수의 상층계급은 자신들을 다른 부류와 구분 할 명칭을 갖게 되었다. 이후 고유의 姓을 사용하던 우리 민족은 중국 문화와의 접촉을 통해 한자화 된 성(姓) 혹은 한자를 차자하여 사용하게 되었고, 이는 계급적 특권을 표시하는 혈족 집단 명칭으로 작용하였다. 결국 姓은 원시적 씨족제의 분열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형성된 계급 관계에서 그 특권을 표시하려는 정치적 의도에서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렇게 그 사람을 표현하는 방법으로서의 姓氏(성씨)는 우리나라에서는 각 시기와 역사적 배경에 따라 어떻게 변화 발전하여 왔는지와 또 시대와 문화가 발전 해 오면서 이름은 어떠한 의미로 우리나라의 역사 속에서 자리하여 왔으며 이름의 역할은 무엇이며 이름의 종류로는 무엇이 있었는지 또한 이름을 무엇을 기준으로 짓게 되었는지 등을 연구 분석하려 한다. 인간이 존재하는 곳에는 언제나 존재했던 이름. 이 이름이 시대의 변천에 따라 고구려 백제 신라에서는 처음에 어떻게 생겨났으며 어느 왕조에서는 어떤 이름과 성을 사용하였는지를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등장하는 실제의 이름과 기록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고려는 고려실록을 통하여 이조시대는 이조실록을 통하여 알아보려 한다. 그리고 우리나라에서 사용한 이름은 위의 4가지의 문헌을 통하여 알아보면서 세종실록지리지와 동국여지승람에 기재되어 있는 것을 토대로 어떤 지역에 어떠한 姓이 존재 했는지를 살펴보기로 한다. 그리고 이름이 역사적으로 기록되어 있는 문헌을 찾아 정리 하였다. 또한 이름을 통하여 우리의 사회와 집단 혈연관계 등은 어떻게 결속을 다졌는지는 가보나 항렬들을 통하여 조망해 보면서 시대에 따라 사용하는 언어가 다르듯 실제로 사용 된 이름들의 경향을 알아보는 것이 이 논문의 개요이다.

      • 풍수관산기 작성방법론 연구 : 鄭夢周·李石亨 墓所의 事例를 中心으로

        이두호 경기대학교 국제문화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50639

        Pungsu Gwansan-gi/風水觀山記 reports(Examination reports of Mountains' figures created from the Geomantic topographical point of view) have been created in various ways for a long time. It is by no means a negative thing for those reports to be made in a number of fashions. But basic elements must be included in those Pungsu Gwansan-gi reports, and certain rules must be abided by. In this thesis, suggesting a new methodology of creating a Pungsu Gwansan-gi report is attempted, as in today's atmosphere where the area of geomantic topographical studies are not regarded with respect and are not considered as a legitimate area of studies, it is important to launch an effort to reestablish and redefine the perimeters of Pungsu studies. And in order to secure details to make the discussion fruitful, the grave sites of Joeng Mong Ju and Lee Seok Hyeong, which are generally regarded as Myeongdang/明堂 places, are examined in great details. First, the existing Gwansan-gi reports created for the grave sites of Jeong Mong Ju and Lee Seok Hyeong are collected and analyzed. Based upon such analysis, it is revealed that in many cases some or many of the basic elements that should have been included in creating an appropriate Gwansan-gi report is actually missing. In order to establish new ways to create a Gwansan-gi report, basic elements that should be included must be clarified beforehand. First, historical facts regarding the person in question should be verified and included. Second, the person's bloodline(家系圖), within the range of 10 generations(from the 5th ancestral grandmother[5代祖母] of the person to the person's descendants as far as 5 generations away[5世孫]) should be included. Third, assessment and evaluation of the geographic feature of the area(地形判讀) should be described in details. Fourth, the interpretation of the related persons' lives(人事解釋) should be included. The most important part of the four listed above should be the third, detailed geographical evaluation, and it is regarded with utmost importance in this study as well. There should be rules in assessing and evaluating the details of the geographical feature in question. The changes in mountain lines, Rae-Yongmaek/來龍脈 figure, areal figures(局勢), figure of the water lines(水勢), figure of the Hyeoljang(穴場勢) should all be examined and analyzed. They should all be displayed in detailed illustrations and pictures. During the analyzing process, changes that occurred in the Rae-Yong/來龍 figures, whether an Ibsu Dunwae/入首頭腦 figure exists or not, whether a Seonik/蟬翼 figure exists or not, the level of concentration of Jeonsun/纏脣, whether Gwisa/鬼砂, Yosa/曜砂 and Gwansa/官砂 exist or not, and the level of concentration of the Ansan/案山 figure and the Cheongryong/靑龍 & Baekho/白虎 figures, should all be examined and evaluated. Also, the influence that the flow of the water(rivers and streams) has or could have upon the Hyeoljang/穴場 should be assessed as well. In this thesis, all these matters will be examined, and represented in drawings and pictures. Geomantic topography, the Pungsu studies, should involve the interpretation of human lives(人事解釋) which tends to directly influence the people. In order to do such interpretation, 10 generations of bloodline of a person with the person in question at the center is required in creating a Pungsu Gwansan-gi report. The position or site of the grave of one's great grandfather and even great-great grandfather should affect the person's life, and the person's grave site and its position should hugely affect the lives of the person's descendants for generations to come. In this study, regarding the interpretation of human lives only basic principles are suggested, and detailed interpretation of the lives of beings related to Jeong Mong Ju and Lee Seok Hyeong are not presented. One of the reasons that geomantic topographical knowledges are neither regarded with enough respect nor treated as legitimate understanding of things is the aspect of Good luck/Bad luck(吉凶論) perspective inside the interpretation process and its outcome. Such interpretation could directly affect the descendants' lives who may be still alive, and naturally detailed interpretation of the life of a person who lived in the past could cause many problems in other (related) persons' lives in the present. Therefore, interpretations of human lives tend to be kept in secret and delivered rather secretly from one person to another('秘傳'). Overcoming this dilemma is crucial in reestablishing the academic boundaries of geomantic topographical studies. If the Pungsu Gwansan-gi reports could be created in various forms yet equipped with the rules and basic elements mentioned above, geomantic topography should be regarded as a field of studies in which scientific approaches, meticulous analyses and solid verification are all possible. 風水觀山記는 다양한 형태로 쓰여지고 있다. 다양한 형태라는 것이 반드시 부정적인 것만은 아닐 것이다. 그러나 풍수관산기라고 하면 기본적으로 포함되어야 할 구성원칙은 있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풍수연구가 아직 정식 학문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는 현실에서, 풍수학의 재정립을 위한 시도의 일환으로 풍수관산기 작성방법론을 모색해 본 것이다. 그리고 그것을 내용의 구체성을 갖기 위하여, 흔히 明堂이라고 회자되는 정몽주, 이석형묘소를 중심으로 고찰해 본 것이다. 먼저 정몽주, 이석형 묘소에 대한 기존 관산기의 사례를 제시하고 분석하여 보았다. 그 검토를 통하여 관산기가 갖추어야 할 기본요건이 대단히 많이 생략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새로운 관산기의 모색으로 먼저 기본 구성요소는 1)대상 인물에 대한 역사적 사실 2)대상 인물의 家系圖(5代 祖母 - 5世孫까지) 3)구체적인 地形判讀 4)人事解釋이 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이 중 가장 중요한 것은 구체적인 지형판독이 될 것이다. 따라서 본 글에서도 이 점을 가장 중시하여 작성하였다. 구체적인 지형판독도 원칙이 있어야 할 것이다. 그것은 山의 변화와 來龍脈, 局勢, 水勢, 穴場勢로 나누어 분석되어야 하며, 그것들이 각각 구체적인 지형도와 사진을 통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분석과정에는 반드시 山의 來龍 變化, 入首頭腦 존재 여부, 蟬翼의 여부, 纏脣의 응축 정도, 鬼砂 曜砂 官砂의 존재여부, 案山과 靑龍 白虎의 웅축 여부 등이 자세히 제시될 것이다. 아울러 물의 흐름이 穴場에 미치는 영향도 제시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점들을 각각 분해하여 자세히 그림과 사진으로 제시해 보았다. 끝으로 풍수의 연구목적은 그것이 사람에게 영향을 주는 人事解釋 여부가 될 것이다. 이것을 위해 풍수관산기에는 위로 5代, 밑으로 5世까지의 家系圖가 필요한 것이다. 왜냐하면 高祖, 曾祖의 무덤영향이 나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이고, 역시 나의 무덤은 曾孫, 高孫에게 가장 커다란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人事解釋의 경우 기본적인 원칙만 제시하였고, 정몽주, 이석형 묘소에 대한 구체적인 인사해석을 제시하지는 않았다. 사실상 풍수지식이 오늘날 정식 학문으로 인정받지 못하는 이유는 바로 이러한 인사해석의 吉凶論의 영향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즉 지금 현재 살아있는 후손들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이므로 구체적인 해석은 많은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인사해석은 秘傳으로 전수되는 경향이 많다. 앞으로 이 점의 극복 여부 또한 풍수학의 재정립에 있어서 중요한 과제가 될 것이다. 풍수관산기가 본 연구에서 제시된 원칙에 따르면서 다양한 형태를 갖춘다면 풍수지리는 분명히 과학적으로 접근하여 해석됨으로써 학문으로 인정받을 수 있을 것이다.

      • 풍수원리와 건강 주거입지 연구

        정택동 경기대학교 국제문화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50639

        풍수는 땅에 관한 이치를 살펴 도읍, 마을, 건물, 무덤 등의 자리를 잡을 때 궁궐, 가옥 등 건물을 세울 때 또는 이들과 관계되는 세부적인 사항을 결정할 때 좋은땅, 좋은환경, 좋은 주거인지 각종 조건을 알아보는 체계화된 이론이다. 우리 인체는 자연계에서 가장 가까운 산소(O), 질소(N), 탄소(C), 수소(H)의 합성물질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삶의 터전인 환경질서가 파괴되면 인간의 건강 역시 영향을 받는다. 최근들어 급속히 늘고 있는 만성질병들도 대부분 주위 환경과의 내적 부조화에 기인한 환경적 요인이 큰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처럼 건강을 포함한 삶의 질은 구체적으로 주거입지 장소를 에워싼 생태환경의 영향을 어쩔 수 없이 받게 된다. 따라서 우리는 주변 생태계를 함께 생각하면서 자신들의 생물학적 지혜를 활용하는 법을 배워나가야 한다. 풍수의 근간은 이상적인 거주환경을 설정하고 그것을 찾아 바람직한 거주지를 만들고자 하는 세계관에 있다. 조화와 안정을 갖춘 건강한 생태와 산세 지형이 잘 둘러 쌓여진 지혜의 장소, 곧 명당국이란 어떤 곳일까? 용맥이 자연의 질서에 따라서 지각, 요도, 분벽, 천심 등을 거느리고 좌우로 요동치듯 꾸불꾸불하고 상하로 기복을 하면서 변화무쌍한 변역으로 호박넝쿨처럼 뻗어나간 생룡맥을 타고 가다 보면 어머니가 양팔을 벌려 어린아이를 품에 끌어 안는것처럼 전후좌우에서 에워싼 형태의 사신사국이 바로 그 명당국이다. 이러한 명당국의 공간 환경이 형성된 것은 오랜 세월동안 지진, 습곡, 단층, 화산, 지각, 토양, 기후, 침식작용, 풍화작용 등 그 지역 풍토와 지질구조의 특성 정보에너지에 의해서 자연스스로 설계하고 만들어 놓은 결정체의 핵과로서 그 실체의 증거이기도 하다. 결정체의 공간인 사신사 국안에는 균등한 조화와 질서를 갖춘 건강한 생명체가 균형과 안정을 유지하면서 생육되고 육성되므로서 육체적 정신적 사회적 영적으로 안온하고 쾌적한 삶을 누릴 수 있는 에너지장이 형성되어 있다. 그 에너지장 공간에는 건강한 공기환경, 빛환경, 물환경, 기압환경, 음환경 등 자연생명체가 인체에 그대로 동조적 의료작용을 하기 때문에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는 주거입지 환경이 형성되어 있다. 의학의 아버지 히포크라테스는 모든 의사들에게 의학의 과학적 연구를 위해 지질학, 풍속학, 기후학, 천문학과 같은 학문적 탐구를 요청했고 스스로도 이런 학문들의 성과를 임상치료에 도입하였다. 아득한 옛날부터 사람은 고통없는 삶, 즉 편안함을 추구해 왔다. 편안함의 반대는 불편함인데 이 불편함이 병이다. 이 불편(不便)에서 불(不)을 떼어주고 편을 지켜주는 것이 의술(醫術)이다. 그러나 의(醫)는 예술 즉 인술(仁術)이다. 이 인술을 파헤치고 알아보고 향상시키려는 도구는 어떤 때는 무속이였고 어떤 때는 종교였다. 또 어떤 때는 문화권에서는 형이상학과 철학이였으며 어떤 문화권에서는 과학과 기술이였다. 풍수전문가들도 한때는 사제이자 환경이 앓고 있는 질병을 고치는 의사였다. 의사로써 그들은 대지의 맥박을 짚어내어 어떤 곳에 사는 것이 가장 인간을 건강하고 생산적이며 번영하는 행운의 삶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을까를 알려주었다. 또한 어디에 집을 짓는 것이 가장 대지의 순환체계를 방해하지 않는 것인지를 지적해 주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렇듯 의학의 근간이기도 했던 '풍수지리'라는 환경적 요건과 건강의 관계를 연구해 보고자 했다. 우리 국토의 산세지형 구조특성과 자연생명체 특성 정보에너지를 연구하여 조화와 안정을 갖춘 건강한 택지와 부조화로 균형을 잃은 불안정하고 병든 택지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려 했다. 이 땅에 살고 있는 국민들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영적 건강이 유지 개선되게 하고 건강하고 쾌적한 삶을 영위하여 인간 문화가 질적으로 더욱 향상 발전되고 효율적으로 재창조될 수 있도록 그 원리를 궁구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우선 풍수지리학을 이해하기 위해 가장 설득력 있는 지형지세 중심의 풍수지리의 이론과 배경을 요약했다. 산과 물의 생성 및 형성 원리 산맥의 변역과 분벽원리, 요도와 지각 및 기타 산을 이루는 다양한 요소와 산맥의 번역질서, 오행의 특성과 기운, 사신사 형성과 혈장의 구성원리, 그리고 장풍법과 득수법으로 본 건강주거 입지 등을 통해 인간에게 유익한 동조에너지장을 보내는 여러 가지 풍수지리 조건에 대해 알아보았다. 특히 건강과 관련된 거주 입지에 대한 연구를 통해 현대생활에 직접 응용할 수 잇는 길을 모색하기도 했다. 조선조 이중환의 택리지에서는 인간이 살만한 땅을 선택하는데 네가지 조건을 제시하고 있다. 그 첫째가 지리이다. 좋은 집터는 수구가 닫힌 듯 하고 그안에 들이 펼쳐진 곳이며 해와 달과 별빛이 잘비치는 곳, 바람과 비, 기온이 잘 조화된 곳, 주산이 수려하고 단정하며 청명하고 아담한 곳이어야 하고 토질이 좋아야 하며 물이 산과 조화되어야 하는 등으로 지리를 논했다. 두 번째는 생리, 세 번째는 인심, 네 번째는 산수라 했다. 서유구도 상택지에서 과학적 합리적으로 건강 주거지에 대해 얘기하고 있다. 산이 험준하게 솟지않고 동산은 완만하게 이어지고 들판은 널찍하면서도 별이 잘 드는 곳, 수로와 육로가 잘 통하는 곳, 땅이 비옥하며 샘물이 맛있는 곳, 등등 물의 형세를 들어가며 택지 선택법을 일러주고 있다. 좋은 터 잡기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배산임수 원리이다. 뒤에 산이 있어 찬바람을 막아주고 앞으로 물을 가까이 하고 있는 곳으로 사람이 안락의자에 앉아 있는 것처럼 전면이 해를 잘 받는 쪽으로 트이고 산이나 언덕으로 에워싸인 땅이 좋은 땅이다. 건물의 배치방법도 풍수지리 원리인 배산임수 이치가 무엇보다 우선한다. 배수임산의 배치방법은 자연의 순리에 역행하는 방법으로 그런 주거지에 사는 사람은 건강을 잃거나 불행한 일을 당하기 쉽다. 마지막으로 암빈발 가족과 풍토가 인체에 미치는 의료적 영향과 주거입지의 자연환경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함으로서 이 논문의 연구목적인 건강과 풍수지리의 관계를 밝히고 정리하는 마무리로 삼았다. 풍수지리 이론은 산세지형의 실체에서 나온 것이므로 땅이 이 학문의 주인이다. 풍수지리의 최고의 경전은 자연이요, 풍수지리학의 가장 훌륭한 선생도 자연이다. 풍수지리란 인간 생명 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자연의 생명질서를 공부하는 자연과학이다. 풍수지리는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건강을 가져다주는 동양의 생활과학이자 경험과학이며 생존의 지혜요 땅이 지니고 있는 생명의 질서에 인간이 품고 있는 생명의 논리를 적응시키는 우리 고유의 지혜인 것이다. 그러므로 풍수지리학은 현대에 이르러서도 인간의 건강 예방과 치유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생활과학이며 대체의학의 한 분야로서 확고히 자리매김을 할 수 있는 가치있는 학문이라고 할 수 있겠다. Feng Shui is well established theory formulated by observing the principle of the landform, and its theory has been used when searching for a site of capital, village, and making decisions on building including palace and house, and its related aspects, whether or not the location have met relevant conditions accordingly. As human bodies are synthesized product of the nature's basic elements- oxygen, nitrogen, carbon and hydrogen- if the order of the environment is destructed, our health will be affected as well. Analysis tells the rapid incline of the chronic diseases these days are attributable largely to environmental factors not coming in harmony with surroundings. Definitely the quality of life, including health, is inevitably influenced by the eco-environment surroundings of the residence. Therefore we must learn to co-exist with the nature and attain the wisdom of the eco-system. The fundamental of Feng Shui is the view to set our ideal living environment and to build good dwelling space accordingly. How is Myung-Dang Ground - an auspicious space which comes with healthy ecology in harmony and steadiness- composed of? The mountain dragon would travel along, in the accordance of the law of nature of producing its side and back supporting mountain and branch mountain while sustain its own main stream, with crust, wall-cracking, and in the form of zigzag and ups and downs, and finally arrived in the form of complete circle as if a mother is embracing her child with her arms around, and that place is what we call Muyng-Dang Ground, a space protected by front, rear, right and left side mountain. These Myung-Dang Grounds are the nuclear of the crystal, which took place through the natural development of the local climate- earthquake, fold, fault, volcanic eruption, erosion, rain, and weathering- and through the information released from structural energies shaped according to the regional features, and it represents as the evidence of the entity itself. This crystallized space- a place of equality, harmony and order- produce and nurture a healthy, balanced, harmonious life, therefore people who reside in this area are subject to benefit the auspicious energy fields and becomes physically, mentally, socially, and spiritually healthy and comfortable. Therefore in the place of energy such as this - healthy air, water, air pressure and sounds- do medically good for body and become a residence to prevent and heal diseases. Father of Medicine, Hipocrates asked every doctors to study geology, customs and manners, climatology and astronomy for the development of the medical science and he himself introduced the results of the said studies to clinical practices. Since ancient times human have pursued painless life, say comfort. The opposite of comfort is discomfort, say sickness. What takes dis- off from discomfort to lead to comfort is medicine. However, medicine is the art, a benevolent art. The efforts of analyzing, studying and enhancing of this benevolent art sometimes took places through shamanism and sometimes through religion. In some culture, it was metaphysics and philosophy while it was science and technology in the other culture. Feng Shui experts were once priest and doctors who healing diseases from which environment suffers. As doctors, they identified land pulses and pointed out the location where a human being can be most healthy, productive, prosperous and lucky. Also they advised where to build a house in order not to interrupt land circulation. This thesis is intended to find the relations between health and environmental condition of Feng Shui, which used to be medical basis in the past. Studying the information energy of national landscape feature and natural lives features, the intention is to identify how to make selective use of the harmonized and stable healthy land from imbalanced and unstable land. The prim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principle not only limited to maintain and improve physical, mental, social and spiritual health of the nation, but also to help re-create and further develop human culture. To understand Feng Shui, it summarized its background with topographic focus which is the most persuasive theory. This study focused on Feng Shui conditions that gives benevolent energy to human, c.g., creation/development principle of mountain and water, domain of mountain veins and branching out - directional/back support branch, side branch- principle, crust and matters in mountain, features and spirit of the Five Elements Circulation, principles of the four surrounding mountains and the energy field composition, and healthy residence location in light of Jang Pung Method (attaining surrounding mountains) and Deuk Su Method (attaining water). This study explored how to apply to residence of modem life in relation to health, in particular. In his book of Taek Ri Ji, written by Junghwan Lee of Chosun Dynasty suggested four conditions to choose a good land for human. The first goes to geography. Good resident site has seemingly small water outlet but plenty of water inside; good shines of sun, moon and stars; good breeze, water and temperature; tidy, nice and clear front mountain/hill; good soil; and harmony of water and mountain. The second one is physiology, the third kind-hearted neighbors and the fourth is the landscape. Also in his book of Sang Taek Ji, written by Yu Gu Seo proposed how to select healthy residence site in the scientific and rational manner, i.e. mountain should not steep too high; hills to be round and gentle; the field is wide and shines; water to land is well channeled; land is fertile and spring water taste good. The most critical thing in site selection is the principle of Bae San Im Su (mountain in the rear and water in front). Mountain in the rear protects cold wind and water lies in front. The good land is surrounded by mountain or hills with the front being open to the sun as if a person is seated in an armchair. The principle of Bae San lm Su also comes first than anything to place a building. Water in the rear and the mountain in front reverse to the nature reasons and if anyone lives in the said surroundings, he is very likely to loose health or face mishap. Lastly, it studied the impact of residence site's natural environment on human body as well as medical impact of family with cancer history and natural features, and summarized how the relations between health and Feng Shui could be identified as the Study intended. Feng Shui theory comes from landscape and topography, therefore the land is the subject of this study. The bible of Feng Shui is the nature and the best teacher is the nature too. Feng Shui is a science studying the order of nature and observing how it affects human lives. Feng Shui is not only the Asian life and experience that enhances the quality of life and brings health, but also is the wisdom of survival. It is the wisdom enables us to apply the order of life that land embraces to human life. Therefore, Feng Shui is valuable study and can be positioned as an alternative medicine since it has been the science of life and has been widely utilized as preventive and cure medicine even to date.

      • 영상 텍스트를 활용한 토의 수업 방안 연구

        초경화 경기대학교 국제·문화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50639

        본 논문은 사고력 수업의 중심이라고 할 수 있는 토의 수업을 활성화하는 방안으로, 시대의 변화에 부응하여 영상 매체를 그 텍스트로 활용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본고는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두었다. 첫째, 토의 수업의 의미와 효과는 무엇이며, 그 효과를 꾀할 수 있는 텍스트는 어떻게 선정할 것인가. 둘째, 영상 텍스트를 토의 수업에 활용하는 교육 원리는 무엇이며, 이를 토대로 한 토의 모형과 수업 방안은 무엇인가. 이러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Ⅱ장에서는 먼저 토의 수업의 의미와 영상 텍스트 활용의 의미를 탐색하였다. 우리 교육은 사회의 변화와 요구에 적극 대응하여, 정보화 시대에 앞장설 수 있는 인적 자원을 기르기 위한 교육으로 질적 향상을 추구하게 되었다. 학습자가 나름대로의 독특한 이해 체계를 형성하고 지식을 재구성하는 정보화 시대의 교육은, 이유의 발견에 집중하는 토의 수업에서 찾을 수 있다. 토의 수업은 학습자 중심의 교육과 통합적인 수업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문제 해결력을 길러주며 활발한 의사소통을 경험하게 해주고, 무엇보다도 기본적 사고 외에 논리적, 비판적 사고와 창의적 사고를 신장시킨다. 이 외에도 민주 시민의 기초 능력을 길러 주고, 합의점이 필요한 분야의 학습에 적절하며, 학생들 스스로의 학습으로 수업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교육이라고 할 수 있다. 영상 텍스트 활용의 의미에 대한 탐색은, 텍스트가 확장되어가는 변화를 먼저 살피고, 영상 리터러시를 수용하며, 영상 텍스트의 효용과 위상을 밝히는 것으로 진행하였다. 정보화 시대로 진입하면서 수 천년 동안 텍스트 생산의 주도적 역할을 해오던 문자 매체는 영상 매체의 위세에 주춤하고 있다. 영상 매체와 친숙한 환경 속에서 성장한 요즘의 청소년들은 '지연된 보상'을 주는 인쇄 매체보다 '즉각적 보상'을 제공하는 영상 매체를 더 선호한다. 그러므로 시대의 흐름에 따라, 아니 절대적 요구에 따라 토의 수업의 텍스트도 문자 텍스트에만 머무를 것이 아니라 영상 텍스트도 수용해야 하는 변화를 맞게 된 것이다. 영상 텍스트를 수용하기 위해서 논의되어야 하는 개념이 영상 리터러시이다. 영상을 하나의 언어 도구로 받아들여야 하는 현실적 상황 하에서, 어떻게 하면 매체가 제공하는 수많은 영상 정보를 보다 정확하고 비판적으로 바라볼 수 있을 것인가 하는 문제와 관련하여, 영상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비판적 자세를 기르기 위해 영상 리터러시는 이해하고 교육되어져야 할 부분이다. 영상 텍스트는 의사소통의 범위에서나 정보 적용의 범위에서, 문자 텍스트보다 심화, 확대되기 때문에 전달이 빠르고 전달의 양도 많을 수 있다. 또 외연적 의미를 파악하는데도 순간적이며, 흥미 유발 측면에서도 영상 텍스트가 문자 텍스트보다 우위에 선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영상의 효용을 인정한 선진 외국에서는 이미 공교육이나 시민 단체에서 영상 매체를 포함한 매체 교육이 활성화되어 있다. Ⅲ장에서는 Ⅱ장의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영상 텍스트를 토의 수업에 활용하기 위한 교육 원리를 모색하고, 구체적 모형과 수업 방안을 구안하였다. 교육 원리는 상호 텍스트성과 구성주의 교육에서 찾았다. 영상의 상황적 맥락을 이해하고 생략된 정보를 유추하기 위해서도, 그리고 텍스트 간의 상호 작용을 위해서도 상호 작용을 위해서도 상호 텍스트성에 의한 추론은 활성화되어야 한다. 또 개인의 인지 작용과 사회적 상호 작용으로 지식이 습득되고 의미가 구성되는 구성주의 관점이야 말로 토의 수업의 핵심이며, 영상 텍스트의 특징과 부합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원리가 잘 반영되었다고 판단한 경규진의 학습 모형과 이상구의 절차 모형, 한국교육개발원의 토의 모형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하여 영상 텍스트를 활용한 토의 수업 모형을 강구하였다. 그리고 이 모형을 영화 텍스트와 광고 텍스트에 적용하여 그 구체적 수업 절차를 구안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Ⅳ장에서 결론으로 정리하고, 발전적인 후속 연구를 위한 몇 가지 제언을 첨부하였다. 영상 텍스트를 활용한 토의 수업은 흥미를 유발하면서도 사고력 신장에 분명 효과적이며, 시대 변화에 적절히 대응하여 매체를 적극 수용한 유용한 수업 방안이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ing is for utilizing visual media as a text, which can promote discussing class named as the essence of thinking class, in order to meet the trend change as time goes through. This studying has the following subjects to meet above purpose. Firstly, what is the meaning and effectiveness of discussing class and how to select the text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the class? Secondly, what is the principle of education in utilizing visual text for discussing class, and what is the discussing model and class methodology based on the visual text? In chapter Ⅱ, I sought for the meaning of discussing class and visual text utilization to solve these subjects described above. Recently, the Korean education is seeking for quality improving, in order to supply man power resources which can lead the time changing to informational society, with the positive response to social changes and requirements. The education in times changing to informational society, in which the student build their unique own way of understanding and rebuild the knowledge they've gotten, could be found in discussing class focusing on reason finding. The discussing class make it possible to have learner-centered and integrated class, to improve problem solving abilities and to experience positive mutual communication. And it can improve creative thinking way as well as basic, logical and critical thinking way of students. Besides, we can say it is the most effective educational methodology to improve basic capabilities and power of reaching to consensus as a democratic citizen. At the same time, we can say it is the best way to achieve the real purpose of the class by the students' self studying. In order to study utilizing of visual text, I started with the expansion of text firstly, adopting visual literacy, and finally I tried to verify the efficiency and the position of visual text. The chapter media which have been placed on top position during the last thousands of years, is now replacing by the visual media as the times changed from analog to digital. The young generations grown up under the visual media familiar environment prefer the visual media, with that they can expect the prompt rewards thant the character media only expecting the delayed rewards with. Therefore according to the requirement of times and definite demand, the text of discussing class is not only arrowed to stay in character but to expand to visual. The visual literacy have to discussed in first to adopt the visual text. This visual literacy should be understood and educated in order to improve right understanding and criticism to the visual, regarding the problem of how to see the visual informations provide by so many media group with right and critical viewpoint under the situational environment of accepting visual as one of language tool. The visual text is faster in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delivering and more volume and boundary in both due to deeper and more expandible. At the same time, we can verify the meaning came from outside very quickly with visual text, and in terms of occurring interest we can set the visual text prior to the character text. In the advanced countries recognizing the efficiency of visual methodology, these media education including visual media have been already cultivated by public education organizations and NGO. In chapter Ⅲ,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described in chapter Ⅱ, I sought for the educational principals in order to utilize visual text for discussing class and modeled specific class methodology. I sought for the principals of education in inter-textuality and constructivism. The inference based on inter-textuality should be motivated to understand the situational sequences of visual to analogy the unrevealed information and to understand the interaction of each text. The viewpoint of constructivism, which can be acknowledged by individual awareness and social interaction, is the key for the discussing class and coincide the characteristic of visual text. I referred to 'studying model by Kyung Kyu Jin', 'procedural model by Lee Sang Gu', and 'discussing model by Korea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which organized well above principals. And A sought for the typical model of discussing class based on the these studying's. And also I sought for the specific class procedure applying this model to movie text and advertisement text. In chapter Ⅳ, I concluded this studying and suggested follow-on studies should be taken. The discussing class utilizing visual text can derive interest and definitely efficient to improve thinking ability, and it is very useful class methodology with the positive adopting the right media as the time goes through.

      • 초기 독서 단계에서 읽기 흥미와 자아존중감 형성의 상관관계 연구

        이은숙 경기대학교 국제·문화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50639

        본 연구의 목적은 읽기 흥미 향상 프로그램인 자기선택 독서를 이용하여 초기 독서 단계에 있는 어린이들의 읽기흥미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관계를 알아보려고 하였다. 지금까지의 연구에서는 단일요소로서 읽기흥미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 프로그램이 제작된 바 있으나 읽기 흥미와 자아존중감의 관계를 알아보는 연구는 거의 찾아 볼 수 없는 실정이다. 이에 읽기흥미 향상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어린이 스스로 찾아서 읽는 능동적인 독서지도 방법이 읽기 흥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 이 과정이 자아존중감과 관계성을 살펴봄으로서 독서지도 과정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특별시 금천구 소재의 초등학교 1-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통제집단에 각각 약20여 명씩을 통제집단은 무제한 표집하고 실험집단은 발달적 독서지도 프로그램을 교수 받고 있는 어린이들을 배치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게 읽기흥미 및 자아존중감 검사 도구를 이용하여 사전검사한 후에 실험집단에게 읽기 흥미 향상 프로그램을 매회기 60분씩 총 5회기 5주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어떠한 처치도 하지 않았다. 측정도구로는 한우리독서문화운동본부의 비형식적 읽기흥미도 검사지와 Coopersmith(1967)의 아동용 자아존중감검사지(Self-esteem Inventory)를 전귀연, 장도현(1984)이 번안하고 연구자가 재구성한 자아존중감검사지를 사용하였고, 각 집단의 피험자의 사전점수를 공변인으로 사후점수를 종속변인으로 공변량 분석을 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읽기 흥미 향상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읽기 흥미 사후검사 결과 자기선택 독서 프로그램의 처치가 읽기흥미를 향상시켰다. 둘째, 읽기 흥미 향상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읽기 흥미와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소 간에는 낮은 상관관계를 보이며 유의미한 관계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셋째, 읽기 흥미 향상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자아존중감 검사 결과 실험집단의 경우 자기선택 독서프로그램 처치를 받은 후에 오히려 자아존중감 점수가 작기는 하지만 낮아지는 결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읽기 흥미 향상 프로그램 처치가 어린이들의 자아존중감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연구 결과에 비추어 볼 때 자기선택 독서 프로그램이 어린이의 읽기 흥미를 유발하는 동기부여에는 높은 영향(25% 상승)을 주지만, 총체적인 자아존중감에는 큰 변화를 가져오지 않았다. 그러나 읽기에 흥미를 가지고 있는 어린이가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소인 학교자아존중감에는 중간 정도(.52)로서 긍정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독서교육이나 학교교육 현장에서는 교육과정 운영 중에 보다 친근하고 즐거운 마음으로 읽기에 흥미를 가질 수 있는 동기를 제공한다면 미성숙단계의 어린이들이 능동적인 독자로서 발전하게 되며 자신의 발전에 대한 성취기대감은 결과적으로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에 부합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은 어린이들이 21세기의 지식 정보화 사회에 필요한 언어활동 능력을 습득하여 문제 해결 능력을 갖도록 할 수 있으며 이것은 특히 읽기 흥미에서 출발한다고 할 수 있다. The study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 correlationship between reading interest and self-efficacy formation of children in a reading development program with an increased focus on a reader's self-selection of reading materials at the early reading stage. To date no reading programs that facilitate a reader's reading interest and self-efficacy have not been introduced and related studies have been rare. In order to provide some implications for teaching reading, this study examined whether a reading development program with an increased focus on readers´ self-selection of reading materials enhances their reading interest. 40 first and second graders who were enrolled in an elementary school in Gumchun-gu, Seoul, participated in this study. 20 children of them were assigned to experimental group and the remaining 20 children were assigned to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children received a weekly 60 munite developmental reading program for five weeks and the control group did not receive any treatment. For reading interest, Informal Reading Interest Survey developed by Hanuri Reading Campaign Center was used and for self-efficacy, the investigator reconstructed Coopersmith's Self-Efficacy Inventory translated by Chen and Chang(1984). The two measures were pre and posttested and the pretest was used as a covriate for this study. This study reveal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a developmental reading program with an increased focus on a reader's self-selection of reading materials significantly outperformed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control group on the reading interest survey. It showed that the program positively improves children's reading interest.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lower correlations between reading interest and several subordinate constructs of self-efficacy. Third,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did not outperform the control students on the self-efficacy inventory. Rather the excremental children's self-efficacy scores decreased even though they are tiny. It indicated that the program did not facilitate children's self-efficacy. These findings show that although a reading development program with an increased focus on a reader's self-selection of reading materials enhanced children's reading interest(25% enhancement), it did not affect overall their self-efficacy. However, there was intermediate correlation of .52 between reading interest and school related self-efficacy of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al group, indicating the program may improve children's school related self-efficacy, one subordinate construct of self-efficacy. Therefore, reading classes should reflect children's reading interest so that they can be engaged in taking pleasure in reading. Then children at the early stage would become active readers and finally their achievement expectation on their own development facilities self-efficacy. In this regard, developing such reading programs may provide an opportunity for children acquire higher order language skills and problem-solving ability necessary for the 21st information age. Especially, reading interest amy ignite this.

      • 호텔 관리자의 리더십이 종사원의 서비스 품질에 미치는 영향 : 개별적 특성의 조절효과

        소성배 경기대학교 국제·문화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50639

        기업이 속해있는 경영환경은 국제적이고 세계화되어 가고 있고, 자체 조직의 규모가 비대해져가는 등 조직 내·외적 환경 요인들이 가변적이고 복잡하게 변화하고 있다. 이에 특정한 기업이 타 기업보다 경쟁우위를 차지하고 유지하기 위해서는 경영환경에 유연하게 대처 할 수 있는 새로운 경영기법에 관한 개념의 도입이 필연적이라 할 것이다. 이러한 변화 중에서 특히 호텔기업에서의 효율적인 업무수행의 주요한 영향 요인은 호텔경영관리자와 일선 종사원의 상호관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경영 관리자의 리더십 스타일은 일선종사원의 직무만족과 업무수행에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리더십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리더십에 대한 연구는 환대산업에서의 연구주제로서 주목받지 못했다. 본 연구는 호텔 산업에서 경영 관리자들이 발휘하는 리더십 유형을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리더십 유형이 개별 호텔의 서비스 품질과는 어떠한 영향력이 있는가에 대해 살펴 보고자 하였다. 또한 리더십 유형별로 서비스 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관리자의 개별적 특성인 학력과 경력의 차이가 어떠한 영향력의 차이를 나타내는가를 밝혀 내고자 하였다. 이에 대한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리더십 유형별로 서비스 품질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변혁적 리더십이 서비스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거래적 리더십이 서비스 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선행 연구와는 다소 다른 결과로서 호텔 산업의 특성에 맞게 성과에 대한 보상, 예외에 의한 관리등의 리더십도 다소간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 한다고 사료된다. 다시 말해서 종사원들이 우수한 성과를 나타냈을 경우에는 적절한 보상 행위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는 결과인 것이다. 셋째, 각 리더십이 유형별로 서비스 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관리자의 개별적 특성(학력, 경력)의 조절 효과에 대한 결과는 변혁적 리더십, 거래적 리더십 모두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가 의미하는 내용은 호텔 산업의 고유한 특성이라 할 수 있는데 중간 관리자의 개별적 특성들은 최고경영자가 추구하는 리더십 유형에 지배되어 개별적인 별개의 리더십 노력을 할 수 없다고 사료된다. 즉, 우리 나라 호텔 산업의 서비스 품질은 최고 경영자의 리더십 유형에 대한 의존도가 지대하다고 볼 수 있겠다. 부수적으로는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가 서울지역 소재 13개 호텔에 국한되고, 개별 호텔의 전 부서를 대상으로 조사하지 못한 것도 이러한 결과를 나타낸 이유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가 호텔 경영에 시사하는 점은 결국 호텔 산업에서 고객을 만족시켜 반복적인 재구매 활동이 일어나도록 하기 위한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서는, 호텔 경영자의 발휘 리더십이 변혁적 리더십 유형으로 조속히 변화하여야 함을 의미한다. 또한 호텔 경영의 상황, 특성, 종사원의 자질 둥에 따라서는 필요시 거래적 리더십에 대한 보안적 발휘도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호텔경영관리자의 리더십에 대한 일선종사원의 만족도를 제고시키기 위해서는 리더십 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개선하고 또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더라도 영향력을 크게 발휘할 수 있는 요인을 개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리더십 만족도는 여러 요인들이 상호간에 영향력을 행사하기 때문에 하나의 요인을 개선한다고 크게 증가하는 것이 아니므로 다각적인 개선책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A major influence on the effective performance of the hotel is the nature of the manager-employee relationship, The manager's style of leadership also affects the employee job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However, despite the importance of leadership, the subject has received scant attention as a topic of research in the hospitality industry. The problems between productivity and job satisfaction or leadership satisfaction are very often discussed in the organization theory and practice. Many studies on this problem can be found, of which the results don't present a consistency. But, many of the studies reveal that it promotes service quality to have a high regard for the human relationships. In this aspect,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research what the desirable behaviors of a leader to promote leadership satisfaction of the employees are, and to examine the elements which affect the leadership satisfactions in this analysis, and to establish the empirical model about leadership satisfaction. The purpose is to discover the different influences the manager's individual characteristic (academic background, career) differences has on the service quality. Empirical analysis results relating to the statement above are as shown below. Firstly, between different types of leadership and service quality,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s considered to take part in improving the service quality. Secondly, no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transactional leadership and the affect it has on the service quality. The results above differ from the preceding study results, which shows that leadership qualities such as the contingent reward of the hotel industry's character and the management by exception are also needed. To redefine the statements above, when employees achieve excellent results, an appropriate rewarding system needs to take place. Thirdly, the mediate variables of the managers individual characteristics (academic background and career), showed no relation to both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What the results above show are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the hotel industry. The CEO's different forms of leadership control a manager's individual characteristics, so individual leadership differences are considered not to work. Therefore, the dependence our country's hotel industry has on the CEO's different forms of leadership is huge.

      • 활동중심 독서지도를 통한 독서흥미 증진 방안 연구 : 자기보호 아동의 독후활동을 중심으로

        홍지연 경기대학교 국제문화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50639

        이 연구는 자기보호아동의 독서 흥미 증진을 위하여 독후 수업을 중심으로, 활동중심 독서지도를 하여 독서 흥미 증진 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독서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알게 하고, 교사의 적극적인 지도를 통해 독서 흥미를 향상 시키고자 하였다. 스스로 책을 읽을 수 있는 평생 독자로 만들기 위한 첫 걸음을 내딛게 하는 독서 프로그램으로 제시 하였다. 다양한 주제, 다양한 장르, 활동중심 독후 활동, 체험활동을 연계하여 지도함으로써 학생들의 독서 흥미를 높이고, 독서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시키고자 하였다. 독서지도를 한 번도 받은 적이 없는 자기보호 학생들에게, 사설 학원이나 기타 소그룹 독서지도와는 차별화된 접근하기 쉽고, 재미있는 활동중심 독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연구자는 H학교에서 한 한기동안 NIE 수업을 진행하면서 체계적이고 활동중심적인 독서프로그램이 자기보호 아동들에게 무엇보다도 필요하다는 사실을 수업 현장에서 알게 되었다. 현재 H학교 방과 후 교실에는 학습위주의 프로그램이 많이 운영되고 있다. 독서는 자율 독서 시간이 있었으나, 책에 대한 흥미가 없고, 독서 습관이 되어 있지 않은 학생들에게 그 시간은 시간을 때우기 위한 시간으로 보내고 있었다. 이에 놀이 형태를 띤 활동을 중심으로 한 독서지도 프로그램을 계획하여 학생들이 재미있게 수업에 참여 하고, 독서 흥미를 높일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진행하게 되었다. 이 연구는 2008년 7월에 설문조사하고 계획하여 준비하였으며, 8월에 공공 도서관 방문 활동과 대형서점 방문 활동하여 독서에 대한 중요성과 필요성을 느끼게 하고, 본 수업은 10차시로, 10월 말까지 진행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활동중심 독서지도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독서 흥미면에서 첫째, 활동중심 독서지도 후 책을 자주 읽게 되었다. 둘째, 독서 할때 느낌이 긍정적으로 변화되었다. 이것은 활동중심 독서 지도가 독서의 즐거움, 표현의 즐거움을 주었기 때문이다. 셋째, 독서에 대하여 관심 갖는 이유가 재미와 흥미가 있기 때문으로 독서의 즐거움을 알게 되었다. 독서 태도면에서는 첫째, 책을 끝까지 읽으려는 긍정적인 태도가 형성되었다. 둘째, 정독의 습관이 형성되었다. 셋째, 책을 가지고 다니는 습관이 형성되었다. 독서습관 형성을 위한 지속적인 지도와 관심이 필요하겠다. 학생들이 좋아하는 독후 활동을 보면 학생들이 주체적으로 할 수 있고, 재미와 즐거움, 표현의 자유를 누릴 수 있는 활동들이다. 저학년은 빙고게임, 책 광고하기, 마인드맵의 순서로 좋아 했다. 고학년은, 캐릭터 막대 인형 만들기, 편지쓰기, 마인드맵의 순서로 좋아 했다. 활동중심 독서지도를 통한 독서 흥미 증진 방안 연구는 독서의 즐거움을 알게 하고, 독서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하게 하였다. 앞으로 독서 습관이 형성 될 때까지 지속적인 관심과 지도가 필요하다. 다양한 활동중심 독서 프로그램이 계속적으로 연구되길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