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장애인의 장애수용과 자립이 사회참여에 미치는 영향: 장애인 삶 패널자료를 활용한 분석

        김태훈 건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47

        장애인의 장애수용과 자립이 사회참여에 미치는 영향 : 장애인 삶 패널자료를 활용한 분석 목적 : 본 연구는 장애인의 사회참여에 미치는 요인으로 일반적 특성, 장 애수용, 자립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장애인의 사회참여와 어떤 상관 관계가 있는지, 어떤 요인이 사회참여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하 였다. 연구방법 : 장애인의 장애수용과 자립이 사회참여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 하기 위해 한국장애인개발원에서 시행하는 장애인 삶 패널조사 3차 (2020)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장애인의 일반적인 특성, 장애수용, 자립, 사회참여 항목을 분석하였다. 장애인 5,259명의 조사 자료를 분석하였 으며, 사회참여, 자립, 장애수용에 대해 기술통계를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회참여도 차이를 알기 위해 T-test와 One-way ANOVA을 하였다. 또한, 일반적 특성, 장애수용, 자립과 사 회참여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서 상관분석을 하였으며, 사회참여 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서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하였 다. 결과 : 장애인의 사회참여는 일반적 특성에서 남성, 나이는 10대, 40대, 60대, 최종학력은 대학교, 대학원 석사일 때 가장 높았다. 결혼한 사람 의 사회참여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지체장애, 청각/언어장애에서 장애, 경증일수록 사회참여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일반적 특성, 장 애수용, 자립과 사회참여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위계적 다중 회귀분석 결과 일반적 특성, 장애수용, 자립은 사회참여에 유의한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는 장애인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장애수용, 자립 요인 이 사회참여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이를 바탕으로 장애인들이 자 신의 장애를 수용하고 자립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장애인의 사회 참여를 증진 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장애인의 장애수용과 자립에 대한 교육과 정책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향후 장애인의 사회참여 증진 을 위한 중재의 기초자료로서 활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상호작용 디지털 헬스 리터러시 평가의 한국어 번역 및 검증 : 한국 중장년에 대한 신뢰도 및 타당도

        김선우 건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31

        Translation of Transactional eHealth Literacy Instrument in Korean: Verification of Reliability and Validity among Middle-aged Population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ranslate the multidimensional digital health literacy tool, Transactional eHealth Literacy Instrument (TeHLI), into Korean and evaluate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Methods: It was translated in compliance with international translation guidelines, and the research process consisted of two stages: expert evaluation and evaluation of middle-aged people. Ten experts evaluated the content validity and clinical usefulness of the translated TeHLI. One hundred adults over 40 years of age conducted the test-retest a week later. Through this, criterion validity, construct validity, inter-item reliability, and measurement stability were confirmed. Results: The experts rated the importance of TeHLI highly. Content validity indices for all items exceeded 0.8, confirming content suitability. When compared with the eHealth Literacy Scale, TeHLI demonstrated criterion validity in all subdomains, including Function (r=0.803), Communication (r=0.743), Critical (r=0.769), and Translation (r=0.754), as well as Total Score (r=0.832). Both the first and second assessments had internal consistency with Cronbach's alpha exceeding 0.96. Also, Measurement stability was verified with the Function (r=0.714, ICC=0.82), Communication (r=0.742, ICC=0.85), Critical (r=0.698, ICC=0.80), Translational (r=0.594, ICC=0.72) and Total score (r=0.776, ICC=0.85). Conclusion: The Korean version of TeHLI serves as a valid and reliable measure for assessing digital health literacy among middle-aged individuals in Korea. Further research targeting diverse age groups and population characteristics is warranted. Key Word 1. TeHLI 2. Digital Health Literacy 3. Health Literacy 4. Validity 5. Reliability 상호작용 디지털 헬스 리터러시 평가의 한국어 번역 및 검증: 한국 중장년에 대한 신뢰도 및 타당도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다차원 디지털 헬스 리터러시 도구인 상호작용 디지털 헬스 리터러시 평가(Transactional eHealth Literacy Instrument; TeHLI)를 한국어로 번역하고, 이 도구의 타당성과 신뢰도 를 평가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번역은 국제적 번역 지침을 준수하였다. 연구 과정은 전문가 평가와 중장년층 평가 두 단계로 이루어졌다. 10명의 전문가 는 번역된 TeHLI의 내용타당도와 임상적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만 40 세 이상의 성인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1차 평가와 일 주일 뒤 2차 평가를 시행하여, 이를 통해 기준타당도 및 구성타당도, 항목 간 신뢰도와 측정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결과 : 전문가들은 TeHLI의 필요성을 가장 높게 평가하였다. 모든 문항 의 내용 타당도 지수(CVI)는 0.8 이상으로 내용 적합성이 검증되었다. eHEALS와 비교하여 분석하였을 때, 기능(r=0.803), 의사소통(r=0.743). 비평적 사고(r=0.769), 번역적 기술(r=0.754)의 모든 하위영역과 총점 (r=0.832)에서 기준타당도가 확인되었다. 1, 2차 평가 모두 Cronbach‘s alpha 0.96 이상으로 내적 일치도가 있었다. 또한 기능(r=0.714, ICC=0.82), 의사소통(r=0.742, ICC=0.85), 비평적 사고(r=0.698, ICC=0.80), 번역적 기술(r=0.594, ICC=0.72), 총점(r=0.776, ICC=0.85)으 로 측정 안정성이 검증되었다. 결론 : 한국어판 TeHLI가 한국 성인의 디지털 헬스 리터러시를 측정하 는 타당하고 신뢰할 수 있는 척도임을 시사하며, 다양한 연령과 특성 의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주제어 1. TeHLI 2. 디지털 헬스 리터러시 3. 헬스 리터러시 4. 타당도 5. 신뢰도

      • 임상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과 감염관리 조직문화가 안전주사실무 수행에 미치는 영향

        이영진 건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를 대상으로 간호전문직관과 감염관리 조직문화및 안전주사실무에 대해 파악하고, 안전주사실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임상간호사의 안전주사실무 수행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여 이를 증진 시킬 수 있는 중재 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2023년 4월 17일부터 2023년 4월 24일까지 D광역시에 소재한 대학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임상간호사를 대상으로 자발적 참여 의사를 보인 대상자에게 연구의 설문 내용과 목적을 설명한 후 동의한 286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9.0.1.0(171)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고,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자,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é'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간호전문직관은 5점 만점에 평균 3.77±0.55점이었으며, 감염관리 조직문화는 7점 만점에 평균 5.72±0.77점, 안전주사실무 수행은 5점 만점에 평균 4.50±0.39점으로 측정되었다.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전문직관에서는 경력(F=3.07, p=.017)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있었으나 사후분석 결과 그룹 간의 차이는 없었다. 감염관리 조직문화에서는 결혼 여부(t=2.13,p=.034), 안전주사실무 교육 이수 여부(F=5.84, p=.003)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안전주사실무 수행은 결혼 여부(t=2.12, p=.035), 경력 (F=4.01,p=.004), 이상적인 안전주사실무 교육 주기(F=2.85, p=.038)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대상자의 간호전문직관과 감염관리 조직문화 및 안전주사실무 수행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안전주사실무 수행은 간호전문직과 (r=.17, p=.003), 감염관리 조직문화(r=.40, p=<.001)와 양의 상관 관계가 있었다. 감염관리 조직문화는 간호전문직관(r=.55, p=<.001)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4. 임상간호사의 안전주사실무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감염관리 조직문화(β=.40, p<.001)와 경력(1년 미만)(β=-.21, p<.001)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19.9%의 설명력을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안전주사실무 수행에 감염관리 조직문화와 1년 미만의 경력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중 감염관리 조직문화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임상간호사의 안전주사실무 수행을 위해 교육과 상급자를 포함한 구성원의 피드백을 통해 긍정적인 감염관리 조직문화 형성이 필요하다. 또한 1년 미만 경력의 임상간호사를 대상으로 안전주사실무 관련 저해 요인을 파악하고, 질 높은 이론 및 실무교육을 지속적으로 제공하며 안전주사실무 수행이 높일 수 있는 중재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며, 중재방안을 실무에 적용하여 효과 검증을 위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urvey was done to describe how nursing professional values and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infection control are associated with safe-injection practices among clinical nurses, and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safe-injection practice. The goal was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clinical nurses' safe-injection practices, and to provide data that will be useful in establishing interventions to promote those practices. The participants were 286 clinical nurses working at a university hospital in D city from April 17 to 24, 2023. We collected data using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after explaining the purpose of the study to the participants and receiving their informed consent. The data were analyzed with IBM SPSS Statistics 29.0.1.0(171). We computed frequencies, percentages, means, standard deviations, independent-samples t-tests, one-way ANOVAs, Scheffé’s test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1. On the scales measuring nursing professional values, organizational culture for infection control, and safe-injection practices, the participants’ scores averaged, respectively, 3.77 ± 0.55 out of 5, 5.72 ± 0.77 out of 7, and 4.50 ± 0.39 out of 5. 2. The scores on the scale measuring nursing professional values differed by the participants’ clinical experience (F = 3.07, p = .017), but the effec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fter adjustment to account for multiple comparisons (Scheffé’s method). Organizational culture for infection control differed by marital status (t = 2.13, p = 0.034), and by whether training in safe-injection practices had been completed (F = 5.84, p = 0.003). Safe-injection practices differed by marital status (t =2.12, p = 0.035), clinical experience (F = 4.01, p = 0.004), and by the training cycle of ideal safe-injection practices (F = 2.85, p = 0.038). 3. Safe injection practices correlated positively with nursing professional values (r = 0.17, p = 0.003) and with organizational culture for infection control (r = 0.40, p < 0.001). Organizational culture for infection control correlated positively with nursing professional values (r= 0.55, p < 0.001). 4.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safe-injection practices were associated with organizational culture for infection control (β =0.40, p < 0.001) and with having less than 1 year of clinical experience (β = -0.21, p < 0.001). Their explanatory power was 19.9%.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variable most strongly associated with safe-injection practices was organizational culture for infection control. Having less than 1 year of clinical experience was also associated with safe-injection practices. Therefore, for clinical nurses to give injections safely, it may be necessary to build a positive infection-control organizational culture. That may be achieved through education and feedback, including feedback from superior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obstacles to safe-injection practice that affect clinical nurses with less than 1 year of experience, to continuously provide high-quality theoretical and practical education, and to prepare interventions for increasing nurses’ performance of safe-injection practices. Follow-up studies are needed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those interventions.

      • 임상 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 그릿이 프리젠티즘에 미치는 영향

        성주희 건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31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correlational research study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clinical nurses' nursing work environment, grit, and presenteeism and to verify the impact of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grit on presenteeism. Data were collected at a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D Metropolitan city from from October 16 to October 23, 2023. The participants were 199 university hospital nurses. They were given an explanation of the study’s purpose, and signed written consent was obtained from each participating nurse. Then,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collect the data on nursing work environment, grit, and presenteeism.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s 29.0, based on the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participant's nursing work environment was measured at an average of 3.01±0.69 out of 4, and grit was measured at an average of 3.00±0.63 out of 4. In terms of presenteeism, the average number of health problems was 3.70±2.48, job loss was 45.58±11.28 out of 100, and perceived productivity was 76.48±13.20 out of 100. 2. The nursing work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work type (t=2.62, p=.009) and salary satisfaction (t=0.76, p=.003). Gri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cohabitation type (F=3.54, p=.031), religion (t=2.61, p=.010), and position (t=-2.84, p=.005). Looking at each sub-area of presenteeism, the difference in job loss was analyzed an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religion (t=-2.68, p=.008) and working hours per week (F=3.14, p=.027). As a result of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perceived productivit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ccording to age (F=3.13, p=.046), presence of children (t=-2.26, p=.025), and experience (F=4.34, p=.014). showed. 3. By sub-domain of presenteeism, health problems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nursing work environment (r=.22, p=.002) and grit (r=.14, p=.045), and job loss.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health problems (r=.19, p=.009). Perceived productivity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nursing work environment (r=.25, p<.001) and grit (r=.22, p=.002). 4. Factors affecting the participant's job loss are nursing manager's competency (β=-.313, p<.001), patient-oriented intrinsic motivation (β=.136, p=.039), and experience (more than 5 years-10 years). less than a year) (β=.165, p=.009), health problems (β=.165, p=.011), and marriage (unmarried) (β=.141, p=.027). The overall explanatory power was found to be 22.8%. Factors affecting the participant's perceived productivity were the nurse's safety management system (B=1.23), patient-oriented internal motivation (B=1.17), and the nurse's support system (B=-0.68). The overall explanatory power was found to be 15.3%.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factors affecting clinical nurses' presenteeism were religion, working hours,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grit. In order to reduce nurses' presenteeism, realistic support and policies from the government and hospitals that can improve the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improve grit must be presented, and follow-up research is needed to develop intervention programs within nurse organizations and measure the effectiveness. 본 연구는 임상 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 그릿 및 프리젠티즘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간호근무환경과 그릿이 프리젠티즘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23년 10월 16일부터 10월 23일까지 D광역시에 위치한 대학병원 간호사 199명을 대상으로 본 연구 목적을 설명하고, 서면동의서를 작성한 후 간호근무환경, 그릿 및 프리젠티즘에 대한 설문지를 배포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2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간호근무환경은 4점 만점 중 평균 3.01±0.69점으로 측정되었고 그릿은 4점 만점 중 평균 3.00±0.63점으로 측정되었다. 프리젠티즘은 하위항복별로 보면 대상자의 평균 건강문제 수는 3.70±2.48개였고 직무손실은 100점 만점에 평균 45.58±11.28점, 지각된 생산성은 100점 만점에 평균 76.48±13.20점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근무환경은 근무형태(t=2.62, p=.009), 급여만족(t=0.76, p=.003)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릿은 동거형태(F=3.54, p=.031), 종교(t=2.61, p=.010), 직위(t=-2.84, p=.005)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프리젠티즘의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직무손실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종교 유무(t=-2.68, p=.008), 일주일간의 근무시간(F=3.14, p=.027)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지각된 생산성의 차이 분석 결과 연령(F=3.13, p=.046), 자녀 유무(t=-2.26, p=.025), 경력(F=4.34, p=.014)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프리젠티즘의 하위영역별로 보면 건강문제는 간호근무환경(r=.22, p=.002)과 그릿(r=.14, p=.045)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직무손실은 건강문제(r=.19, p=.009)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지각된 생산성은 간호근무환경(r=.25, p<.001)과 그릿(r=.22, p=.002)과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4. 대상자의 직무손실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간호관리자의 역량(β=-.313, p<.001), 환자 지향적 내적동기(β=.136, p=.039), 경력(5년 초과-10년 미만)(β=.165, p=.009), 건강문제(β=.165, p=.011), 결혼(미혼)(β=.141, p=.027)으로 나타났고 직무손실에 대한 전체 설명력은 22.8%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지각된 생산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간호사의 안전관리체계(B=1.23), 환자 지향적 내적 동기(B=1.17), 간호사의 지원체계(B=-0.68)로 나타났고 지각된 생산성에 대한 전체 설명력은 15.3%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임상 간호사의 프리젠티즘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종교, 근무시간, 간호근무환경, 그릿으로 나타났다. 간호사의 프리젠티즘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간호근무환경을 개선하고 그릿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부와 병원의 현실적인 지원과 정책이 제시되어야 하며 간호사 조직 내에서도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효과를 측정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부가가치세법상의 차등비례세율 도입에 관한 연구 : 외국의 입법례를 중심으로

        조상진 건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31

        우리나라는 1977년 소비세제를 개혁하면서 일반 소비세인 부가가치세를 도입하였다. 일반 소비세인 부가가치세는 통상적으로 부담의 역진적 성격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 당연히 받아 들여졌으며, 특히 우리나라의 부가가치세제의 경우는 도입시부터 단일비례세율구조로 대표적인 역진적인 세제로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부가가치세의 역진성을 완화하기 위하여 저소득층의 소비에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기초생활필수품과 의료서비스·주거서비스공급에 대해서는 면세를 하고 있으며, 또한 고소득자의 소비 비중이 높은 사치품 등에 대해서는 별도로 개별소비세를 부과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응능부담의 관점에서 현행 단일비례세율구조로 되어 있는 부가가치세제의 현황과 내용을 기존의 문헌 및 외국의 사례 등을 통하여 비판적으로 분석·검토하여 문제점을 찾아내고, 그에 관한 차등비례세율 도입방안을 제시하였다. 즉 부가가치세제의 단일비례세율구조에 따른 부담의 역진성, 역진성 완화를 위해 도입된 면세제도 및 개별소비세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차등비례세율의 도입방안을 제시하면서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현행 부가가치세제의 단일세율구조의 문제점과 응능부담 관점에 의한 차등비례세율의 도입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행 우리나라 부가가치세의 단일세율구조에서 차등비례세율로 전환하면서 현행 세율 10%를 표준세율로 설정하고 면세대상 거래에 대하여는 부가가치세의 과세범위에 포함시켜 경감세율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세율구조를 차등비례세율구조로 전환하면서 현행 면세대상거래인 기초생활필수품에 대하여는 영세율을 적용받도록 하여야 한다. 셋째, 개별소비세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별소비세의 체계전환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는 부가가치세의 차등비례세율로 전환하면서 동시에 체계전환을 모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한편, 현행 부가가치세의 단일비례세율구조를 차등비례세율로 전환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발생할 것이다. 첫째, 현행 면세거래로 분류된 부분을 경감세율을 적용한 과세거래로 적용한다면 일반세율보다 세율격차도 크면서 동시에 사업자의 경우에는 매입세액공제를 받아 환급이 허용되므로 면세거래보다 세부담의 감면효과가 더 크게 될 것이다. 둘째, 차등비례세율로 전환하는 경우 현행 간이과세자 또는 면세사업자에게 경감세율을 적용하게 됨으로서 영세한 사업자 또는 기초생활필수품 등에 대한 혜택을 주기 위한 입법취지도 훼손하지 않으면서 비록 낮은 세율이더라도 매입세액의 공제도 허용되어 전단계세액공제 방식 또한 유지된다. 셋째, 현행 간이과세자 또는 면세사업자가 일반적으로 세금계산서를 발행할 의무가 없어 과세거래의 혼란을 초래하였다. 그러나 차등비례세율의 도입으로 간이과세자 또는 면세사업자가 과세사업자로 전환되면서 세금계산서의 수수의무를 지므로 과세거래의 혼란을 제거하는 효과를 낳는다.

      • 응급실 간호사의 회복탄력성, 환자안전관리에 대한 인식, 선도적 행위가 표준주의 수행에 미치는 영향

        차운겸 건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국내 응급실 간호사의 회복탄력성, 환자안전관리에 대한 인식, 선도적 행위 및 표준주의 수행 정도를 파악하고, 표준주의 수행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로, 추후 응급실 간호사의 표준주의 수행을 향상시킬 수 있는 근거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2023년 6월 10일부터 7월 9일까지 온라인 양식(Google Forms)을 활용하여 208명을 대상으로 자가 보고식 모바일 설문지로 진행하였으며 연구 목적을 설명하고 동의를 받은 후 시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9.0 ver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회복탄력성은 4점 만점에 2.76±0.55점으로 나타났으며 하부영역 중 지지력 영역이 3.08±0.66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영성 영역이 2.46±0.88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환자안전관리에 대한 인식은 5점 만점에 3.83±0.69점으로 나타났으며 하부영역 중 환자안전관리에 대한 인지 영역이 4.23±0.56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환자안전관리에 대한 자신감 영역이 3.67±0.83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선도적 행위는 5점 만점에 3.59±0.67점으로 나타났다. 표준주의 수행은 5점 만점에 4.36±0.48점으로 나타났으며 하부영역 중 안전한 주사행위 영역이 4.61±0.48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손위생 영역이 4.21±0.63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회복탄력성은 성별, 연령, 직위, 동거가족 유무, 응급실 규모, 지난 한 달간 근무하는 동안 하루 평균 담당 환자 수, 표준주의 교육 경험 유무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환자안전관리에 대한 인식은 성별, 연령, 직위, 동거가족 유무, 응급실 규모, 지난 한 달간 근무하는 동안 하루 평균 담당 환자 수, 표준주의 교육 경험 유무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선도적 행위는 성별, 연령, 동거가족 유무, 응급실 규모, 지난 한 달간 근무하는 동안 하루 평균 담당 환자 수, 표준주의 교육 경험 유무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표준주의 수행은 연령, 응급실 규모, 지난 한 달간 근무하는 동안 하루 평균 담당 환자 수, 표준주의 교육 경험 유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대상자의 표준주의 수행은 회복탄력성, 환자안전관리에 대한 인식, 선도적 행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4. 본 연구에서 응급실 간호사의 표준주의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연령, 회복탄력성, 환자안전관리에 대한 인식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설명력은 46.0%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응급실 간호사의 표준주의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연령, 환자안전관리에 대한 인식, 회복탄력성으로 나타났다. 응급실 간호사의 표준주의 수행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환자안전관리에 대한 인식과 회복탄력성을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과 효과적인 교육체계 마련이 필요하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rrelations among resilience, the awareness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proactive behavior, and the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s among nurses working in the emergency department. Additionally, it aime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descriptive survey conducted using Google Forms between June 10 and July 9, 2023. The participants included 208 nurses working in the emergency department in Korea. They received a study overview and provided consent before participating in the surve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collect data on resilience, awareness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proactive behavior, and the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dows software version 29.0, based on the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 of resilience was 2.76±0.55 out of 4; among the subcategories, support scored the highest at 3.08±0.66, and spiritual in nature scored the lowest at 2.46±0.88. The mean score of awareness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was 3.83±0.69 out of 5; among the subcategories, recognition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showed the highest score at 4.23±0.56, and confidence about patient safety management showed the lowest score at 3.67±0.83. The mean score of proactive behavior was 3.59±0.67 out of 5. The mean score of the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s was 4.36±0.48 out of 5; among the subcategories, safe injection practices had the highest score at 4.61±0.48, and hand hygiene had the lowest score at 4.21±0.63. 2. The analysis based on the participants’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that resilience vari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gender, age, position, living together, size of the emergency department, average number of patients treated per day while working in the past month, and standard precautions training experience. Awareness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vari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gender, age, position, living together, size of the emergency department, average number of patients treated per day while working for the past month, and standard precautions training experience. Proactive behavior vari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gender, age, living together, size of the emergency department, the average number of patients treated per day while working for the past month, and standard precautions training experience.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s vari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age, size of the emergency department, average number of patients treated per day while working in the past month, and standard precautions training experience. 3.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among resilience, awareness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proactive behavior, and the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s among the participants. 4. The factors that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s were age, resilience, and awareness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The overall explanatory power of the regression model was 46.0%.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main factors influencing the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s among nurses working in the emergency department are age, resilience, and awareness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programs and an effective education system to increase awareness and resilience in patient safety management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s among nurses working in the emergency department.

      •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돌봄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수희 건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9631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of care workers and the quality of care services, controlling for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such as gender, age, education level, work experience, employment type, number of elderly individuals under care, facility size, monthly income, and employment statu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selected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and comprised care workers working in elderly care facilities located in Daejeon and Chungcheongnam-do, South Korea. After controlling for variables such as gender, age, education level, work experience, employment type, number of elderly individuals under care, facility size, monthly income, and employment status, this study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s through mediation regression analysis. The research results were analyzed in the order of the research questions, as ABSTRACT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on care service quality of care workers in elderly care facilities: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LEE, SU HEE Department of Public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of Konyang University - 101 - follows: Research question 1.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emotional labor, quality of care, and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care workers? Research question 2. What is the impact of emotional labor on the quality of care provided by care workers? Research question 3. What is the impact of emotional labor and job satisfaction on the quality of care provided by care workers? Research question 4. What is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quality of care provided by care worker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bserved solely in the participants' education level regarding the quality of caregiving services. Among the work-related characteristics, only the monthly incom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elation to job satisfaction. Second, it was found deep acting of care worker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the quality of care services, while surface acting did not demonstrat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Additionally, it was observed that both deep acting and job satisfaction of care worker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quality of care services. Third, it was found that deep acting of care worker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job satisfaction as a mediator variable. Additionally, deep acting of care workers was shown to have an effect on the quality of care services as the dependent variable. Furthermore, among the exogenous variables, the education level and the - 102 - employment type of three-shift rotation had an impact on the job satisfaction of care workers. Fourth, It was found that job satisfaction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the quality of care services in the pathway where the deep acting of care workers influences the quality of care services. This indicates that job satisfaction of care workers serves as a partial mediator in the pathway through which deep acting of care workers affects the quality of care services. Through the above research results, practical policy recommendations necessary to improve job satisfaction and emotional labor-related capabilities that affect the quality of care services of care workers working in elderly care facilities were presented. Key words emotional labor the quality of care services caregiver job satisfaction mediating effec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돌봄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본 연구는 연구대상의 특성인 성별, 연령, 최종학력, 결혼상태, 근무경 력, 근무형태, 담당 노인 수, 근무시설 규모, 월평균 수입, 고용형태 등을 통제 한 후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과 돌봄서비스 질의 간의 관계에서 직 무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대전광 역시와 충청남도에 위치한 노인요양시설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를 대상으 로 편의표집방법으로 표집하였다. 주요 연구문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요양보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돌봄서비스 질, 직무만족 도의 차이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돌봄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과 직무만족도가 돌봄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4.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돌봄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에 서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인 최종학력에서만 돌봄서비스의 질와 유 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연구대상의 근무특성인 월평 균수입에서만 직무만족도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요양보호사의 심층행동이 돌봄서비스 질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 향력이 나타났다. 반면 표면행동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이 나타나지 - 99 - 않았다. 또한 요양보호사의 심층행동과 직무만족도가 돌봄서비스 질에 통 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요양보호사의 심층행동이 매개변인인 직무만족도에 유의한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양보호사의 심층행동이 종속변인인 돌봄서 비스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통제변인인 최종학력과 3교대 근무형태에서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다. 넷째, 요양보호사의 심층행동이 돌봄서비스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 서 직무만족도가 돌봄서비스 질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 이는 요양보호사의 심층행동이 돌봄서비스 질에 영향을 미 치는 경로에서 직무만족도가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매개변인임이 입증되었 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노인요양시설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의 돌봄서 비스 질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만족도 향상과 감정노동 관련 역량을 향상 시키기 위해 필요한 실천적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주제어 감정노동 돌봄서비스 질 요양보호사 직무만족도 매개효과

      • 성인발달장애인을 위한 대학기반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부모 인식 분석연구

        선용인 건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9631

        A Analysis Study on the Parental Perception of a University-based Lifelong Education Program for the Adult Development Disabi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parents with adult developmental disabilities over the age of 18 to analyze parental perceptions of university-based lifelong education programs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o use them as basic data for university-based lifelong education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Is there a difference in parental perception of the lifelong education experience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ccording to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2. Is there a difference in parental satisfaction with lifelong education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ccording to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3. Is there a difference in parental demand for lifelong education and curriculum for the university-based developmental disability according to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4. How do parents with adult developmental disabilities perceive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lifelong education based on universities? For research questions 1, 2, and 3, the final 209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alysis, and multivariate analysis (MANOVA) were performed using the R-program, and then qual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for research question 4. The research results on the research question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parents found that their children's "self-reliance in daily life" was the biggest concern, and if their children were 20 to 25 (60.0%), they were interested in their children's "self-reliance in daily life." As a motivation to engag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lifelong education, mothers answered that they were able to take "various programs," and fathers often answered that they had "no place to go after graduation." By administrative district where children live, they answered that they participated in lifelong education mainly for the purpose of 'taking various programs' in large cities, and that they participated in lifelong education for the purpose of 'promoting sociality' i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and rural areas. The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was also different according to the age of the child. The younger you are, the more you prefer to "take various programs," but the older you are, the more you are, the more you are looking for a place to go because you have nowhere to go, or you are willing to participate anywhere to promote sociality. There was also a difference in the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lifelong education according to the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where the child attended.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ttending community rehabilitation facilities such as welfare centers and day care centers and general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participated in lifelong education for the purpose of "taking various programs."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ttending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were found to participate in lifelong education for the purpose of "there is nowhere to go after graduation" and "promoting sociality." In addition, par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ttending welfare centers and general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which are community rehabilitation facilities, said that it was difficult to participate in lifelong education because they had "no place to go," while par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ttending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said that "no information" and "economic burdens such as tuition fees" were difficulties experiencing while using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Second, as a result of a survey of "lifelong education satisfac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mothers generally said that "lifelong education is more helpful to their children" than fathers, "the instructor understands the characteristics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ll," and "the instructor is communicating well with his children," and satisfaction with lifelong education was high. In addition, he thought that the more he lived in a large city, the better he understoo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structor's developmental disability than i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In addition, parents with children under the age of 20 had higher satisfaction with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s than parents with children over the age of 31. Parents of children who attended community rehabilitation facilities and general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were found to have better satisfaction than parents of children who attended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Third, according to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parents actively expressed "the need for lifelong education after graduation" and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lifelong university education." Parents cited job preparation and social improvement as "the advantages of lifelong university education"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preferred a mixed education method that was educated separately from or with non-disabled people as a "desirable form of education." As for the 'preferred operating period', the full-time course without a limitation was preferred, and the non-degree system was preferred. In addition, the "subject responsible for paying education expenses" wanted the state and the person to bear together, and they demanded a program suitable for professional staff and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underst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as "university preparations." The first process to be opened as a priority program for lifelong education for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based on universities was the 'vocational competency' area. In the six areas of lifelong education, they preferred "life literacy" in basic literacy, "natural science and daily life" in education supplementation, "strengthening current trade volume" in vocational skills, "sports leisure" in culture and arts, "social role" in humanities and culture, "citizen behavior" in civic participation, and "club activities" in comparison and activities desired by universities. Fourth, as a result of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to find out how parents with adult developmental disabilities perceive lifelong education and university-based lifelong education, they were able to derive five major topics. Participants in the study wanted a fulfilling education such as life cycle-specific education and customized education as the theme of "Education is like this" was derived through the unusual life experienced from childhood due to their children's disabilities. In 'Experience and Necessity among the six areas of lifelong education', they wanted education necessary for life of independence from hobby life experience. In "Help My Child," we wanted an integrated system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professional teachers on a lot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various information, and finally, the theme of "The Direction of Lifelong Education" was derived for future dream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verified in this study, the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create a university course so that it becomes a continuous education for people with adult developmental disabilities after graduating from high school and major.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lifelong curriculum and standardization plan together to systematize and systematize the meaning of lifelong education in universities. Second, in order to effectively operate and reflect lifelong education courses for people with adult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universities, instructors with professional knowledge and qualities are needed to underst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communicate well with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preparation for thi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lifelong educator qualification course and operate a lifelong educator training course for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Third, there is a very lack of lifelong education information and advancement information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it is difficult to find necessary information to the extent that it is obtained through nearby welfare facilities or introductions around them, so public information provision tends not to work properly. Accordingly, a university-based one-stop information integration system needs to be establishe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integrated system centered on local universities and provide information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including not only information on admission but also various information including lifelong education information and information for career path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d operate an information network with national ministries or various local related organizations, focusing on the local university base, and an information integration system. Keywords: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Lifelong Education, Continuing Adult Education,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University-based Lifelong Education. Lifelong Education Program.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 성인발달장애인을 위한 대학기반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부모 인식 분석연구 본 연구는 18세 이상 성인발달장애인 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심층면담을 시행하여 성인발달장애인을 위한 대학기반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부모 인식을 분석하고, 성인발달장애인을 위한 대학기반 평생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발달장애인의 평생교육 경험에 대한 부모 인식의 차이가 있는가? 2.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발달장애인의 평생교육에 대한 부모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가? 3.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대학기반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운영 및 교육과정에 대한 부모 요구도에 차이가 있는가? 4. 성인발달장애인을 둔 부모들은 발달장애인 평생교육과 대학기반 평생교육에 대해 어떠한 인식을 두고 있는가? 연구문제 1, 2, 3을 위해 최종 209부의 설문지를 수집하고, R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과 분석, 다변량분산분석(MANOVA)을 시행하였으며, 이후 연구문제 4를 위하여 질적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문제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발달장애인 자녀에 대한 최근 부모의 관심 사항을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조사한 결과, 부모는 자녀의 ‘일상생활의 자립’이 가장 큰 관심 사항이라고 하였으며, 자녀의 나이가 20~25세(60.0%)인 경우 자녀의 ‘일상생활의 자립’에 대한 관심이 많았다. 발달장애인 자녀를 평생교육에 대한 참여시키는 동기로 어머니는 ‘다양한 프로그램 수강’을 할 수 있어서라고 답하였으며, 아버지는 ‘졸업 후 갈 곳이 없어서’라고 답한 경우가 많았다. 자녀가 거주하는 행정구역별로 보면 대도시에서는 주로 ‘다양한 프로그램 수강’을 목적으로 평생교육에 참여하였고, 중소도시와 농어촌에서는 ‘사회성 증진’ 목적으로 평생교육에 참여하였다고 답하였다. 자녀의 나이별로 평생교육의 참여동기 역시 달랐다. 나이가 어릴수록 ‘다양한 프로그램 수강’을 선호하나, 나이가 들수록 더 ‘갈 곳이 없어서’ 갈만한 곳을 찾아다니거나 사회성 증진을 위하여 어디든 참여코자 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자녀가 다녔던 평생교육기관에 따른 평생교육 참여동기에도 차이가 났다. 복지관이나 주간보호센터와 같은 지역사회재활시설과 일반평생교육기관에 다니는 발달장애인 자녀의 부모들은 ‘다양한 프로그램 수강’을 목적으로 평생교육에 참여하였으나, 직업재활시설에 다니는 발달장애인 자녀의 부모는 ‘졸업 후 갈 곳이 없어서’와 ‘사회성 증진’을 목적으로 평생교육에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역사회재활시설인 복지관과 일반평생교육기관에 다니는 발달장애인 부모들은 ‘갈만한 곳이 없어서’ 평생교육 참여가 어렵다고 하였고, 직업재활시설에 다니는 발달장애인 부모들은 ‘정보 부재’, ‘수강료 등 경제적 부담’이 평생교육기관을 이용하면서 겪는 어려운 점이라고 하였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평생교육 만족도’의 조사 결과, 전반적으로 어머니가 아버지보다 ‘평생교육이 자녀에게 도움이 된다’라고 하였으며, ‘강사가 발달장애의 특성을 잘 이해’하며, ‘강사가 자녀와 의사소통을 잘하고 있다’고 생각하며, 평생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또한 대도시에 거주할수록 중소도시보다 ‘강사의 발달장애 특성을 더 잘 이해한다’고 생각하였다. 또한 20세 미만의 자녀를 둔 부모가 31세 이상의 자녀를 둔 부모에 비해 평생교육 강사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지역사회재활시설과 일반평생교육기관에 다녔던 자녀의 부모가 직업재활시설에 다녔던 자녀의 부모보다 만족도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대학기반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운영 및 교육과정 요구도’를 조사한 결과, 부모는 ‘졸업 후 평생교육 필요성’이 있으며 ‘대학평생교육에 참여의사’를 적극적으로 나타냈다. 성인발달장애인을 위한 ‘대학평생교육의 장점’으로 부모는 취업 준비와 사회성 증진을 꼽았으며, ‘바람직한 교육형태’로 비장애인과 따로 교육받거나, 함께 하는 혼합교육방식을 선호하였다. ‘선호하는 운영기간’은 기간이 제한 없는 전일제 과정을 선호하였으며, 비학위제를 선호하였다. 또한 ‘교육비 부담 주체’는 국가와 본인이 함께 부담하기를 원하였으며, ‘대학의 준비사항’으로 발달장애를 이해하는 전문적인 스텝진과 발달장애인에게 적합한 프로그램을 요구하였다. 대학기반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영역별 우선순위 프로그램으로 가장 먼저 개설했으면 하는 과정으로는 ‘직업능력’ 영역이었다. 평생교육 6대 영역에서는 기초문해 영역에서 ‘생활 문해’, 학력보완 영역에서 ‘자연과학과 일상생활’, 직업능력 영역에서 ‘현직무역량 강화’, 문화예술 영역에서 ‘스포츠 여가’, 인문교양 영역에서 ‘사회적역할’, 시민참여 영역에서 ‘시민행동’, 대학에서 희망하는 비교과 활동 영역으로는 ‘동아리 활동’을 선호하였다. 넷째, 성인발달장애인을 둔 부모들은 발달장애인 평생교육과 대학기반 평생교육에 대해 어떠한 인식을 두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심층면담을 시행한 결과 5개의 대주제를 도출할 수 있었다. 연구참여자들은 자녀의 장애로 인해 어렸을 때부터 겪은 평범하지 않은 삶을 통해 나타난 자녀가 원하는 다양한 삶과 부모의 마음을 담은 ‘장애인 가족의 삶’이 도출되었고, ‘교육은 이렇게’라는 주제가 도출되어 생애주기별 교육과 맞춤교육 등 성취감 있는 교육을 원하였다. ‘평생교육 6대 영역 중 경험한 것과 필요한 것’에서는 취미생활부터 자립의 삶에 필요한 교육을 원하였다. ‘내 아이 좀 도와주세요’에서는 많은 교육정보와 각종 정보에 관한 발달장애인을 위한 통합시스템의 요구와 전문성 있는 교사를 원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앞으로의 꿈을 위한 ‘평생교육의 방향’이란 주제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에서 검증된 분석결과를 토대로 하여 본 연구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졸업 및 전공과 이후에 성인발달장애인의 지속적인 교육이 되도록 대학 과정을 만들 필요가 있다. 대학에서 평생교육의 의미를 체계화하고, 시스템화할 수 있는 평생교육 과정과 표준화 방안을 함께 마련할 필요가 있다. 둘째, 대학에서 성인발달장애인을 위한 평생교육 과정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고, 반영하기 위해서 발달장애를 이해하고, 발달장애인과 의사소통이 잘될 수 있도록 전문적인 지식과 자질을 갖춘 강사가 필요하다. 이에 대한 준비로 발달장애인을 위한 평생교육사 자격 과정 개발과 평생교육사 양성과정을 운영할 필요가 있다. 셋째, 발달장애인을 위한 평생교육 정보와 진학 정보가 매우 부족하고, 주변 복지시설이나 주변 소개를 통해 얻는 정도로 매우 열악하다. 필요한 정보를 찾으려 해도 찾기 어려워 공공의 정보 제공이 제대로 작동하고 있지 않은 경향이 있다. 이에 대학기반 원스톱 정보통합 시스템이 구축될 필요가 있다. 진학 정보뿐만 아니라 평생교육 정보를 포함한 각종 정보와 진로를 위한 정보까지 각 지역의 특성에 맞게 지역대학 중심의 통합시스템 구축과 정보 제공이 필요하다. 지역의 대학기반을 중심으로 국가 부처나 지역의 다양한 관련 기관과의 정보네트워크 구성 및 정보통합시스템 마련과 운영이 필요하다. 주제어: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성인계속교육, 장애인 평생교육, 대학기반 평생교육. 평생교육 프로그램. 평생교육기관. 평생교육강사

      • 일부 외국인 환자의 구강건강과 치과진료 실태에 관한 연구

        김지현 건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31

        일부 외국인 환자의 구강건강과 치과진료 실태에 관한 연구 본 연구는 일부 외국인 환자의 구강건강과 치과진료 실태를 분석하고 외국인의 구강건강 증진안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2019년 12월부터 2023년 4월까지 서울 센텀치과에 내원한 외국인 환자 305명을 대상으로 우식경험영구치(DMFT), 치주 치료 필요, 기능치, 치 과진료 실태를 조사하였고 SPSS 28.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우식치는 상악, 하악 모두 2대구치가 높게 나타났고, 처치치 는 상악 중절치, 상악 우측 2대구치, 하악 1대구치가 높았으며, 상실치는 상악, 하악 모두 1대구치가 높게 나타났다. 보존치료 필요 우식치는 3.83±3.32, 신경치료 필요 우식치 4.60±1.15, 상실치 1.27±2.33, 처치치 1.18±2.31 이었다. 치주치료 필요가 높은 부위는 하악 구치부였고 기능치 는 25.7±3.38개이었다. 국적별 치주 치료와 임플란트 치료 필요의 차이가 있었고 건강보험 유무에 따른 치주 치료와 발치 필요의 차이가 있었다 (p<0.05). 이상의 결과에서 외국인의 구강실태는 저작기능이 높은 대구치의 우식 경험이 높았고 처치는 전치부와 구치부에 보존치료 경험이 높았다. 진료 실태는 건강보험 유무에 따라 치주 치료 필요와 수요의 차이가 있었다. 외국인의 구강건강증진을 위해 정기적 검사를 통한 조기발견과 직장, 학 교에서 구강보건교육을 확대하여 구강병 예방 인식을 증진시키는 구강건 강 증진안 개발이 요구되었다. 또한 외국인 보험가입, 무료 진료소 확대 를 통한 치료의 접근성 향상이 요구되었다. 주제어 1. 구강건강 2. 치과치료 3. 외국인 4. 기능치아 5. 치아우식증 6. 치주질환 A Study on the Oral Health and Dental Treatment Status among Foreign Patients in South Korea KIM, JI HYEON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Graduate School of Konyang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oral health and dental treatment status of some foreign patients and to provide basic data needed to improve the oral health of foreigners. Data using this study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rom the dental charts of 305 foreign patients who visited Centum Dental Clinic in Seoul from December 2019 to April 2023.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on caries-experienced permanent teeth (Decayed, Missing, and Filled Teeth, DMFT), alveolar bone level, functional teeth, and dental treatment status, and analyzed using SPSS 28.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decay of second molars in the upper and lower jaw was high. The highest filled teeth were maxillary central incisor, maxillary right second molar, and mandibular first molar. The number of missing teeth was high in both the upper and lower first molars. The decayed teeth requiring conservative treatment was 3.83±3.32, the decayed teeth requiring endodontic treatment was 4.60±1.15, the missing teeth was 1.27±2.33, and the treatment value was 1.18±2.31. The area of ​alveolar bone resorption was high in the mandibular posterior teeth, and the functional teeth were 25.7±3.38. According to nationality of the patients, the need for periodontal treatment and implant treatment were differed. Also,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need for periodontal treatment and tooth extraction depending on insurance subscription (p<0.05). Summarizing the above results, molars with high masticatory function had a high caries incidence rate, and there were differences in treatment needs by country and by insurance subscription. In order to improve oral health, it is necessary to detect and treat diseases early through regular checkups. Additionally, there was a need to expand oral health education at work and school to increase awareness of oral disease prevention. 1. Oral health 2. Dental treatment 3. Foreigner 4. Functional teeth 5. Dental caries 6. Periodont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