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국 미용대학원 교육과정 선호도 및 진로계획에 관한 연구

        다이이팡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9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iculum of the Korean Graduate School of Beauty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rriculum preference and career plan of the Chinese Graduate School of Beauty.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Chinese beauty industry workers and students majoring in beauty, and a total of 504 valid survey results were collected. Although it is difficult to establish a graduate school curriculum due to the late start of beauty education in China, the training of professionals in the beauty industry is relatively systematically established, so we would like to provide basic data for improving China's curriculum.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us of the establishment of graduate schools in Korea, identified the curriculum of each graduate school, and analyzed the demand for the formation of curriculum for Chinese graduate schools. The preference for the Chinese Graduate School of Beauty curriculum was classified into common basic theory, makeup, skin beauty, hair beauty, nail beauty, and cosmetics, and career plans were classified into career experience and job preparation.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SPSS 20.0 statistical package for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cross-analysis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one-batch variance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makeup majors were the most common, and graduate school enrollment was 7.9% in career planning. Among the demands for curriculum organization in the 20s and 30s, technical in-depth education and the importance of professional teachers and instructors were required. In the analysis of differences in curriculum preferences according to beauty majors, nail majors were analyzed to be high and hair majors to be low on the preference of the common basic theory, makeup, and cosmetics curriculum (p<0.05). It was found that the preference for the graduate school curriculum of beauty had a positive (+) effect on career experience and job preparation in career planning, and the final education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curriculum preference and career plan. In the order of makeup, common basic theory, and nail beauty, the higher the preference for the curriculum, the higher the career experience. To meet the curriculum needs of beauty graduate students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beauty industry, China's beauty graduate curriculum needs to focus on diversifying the curriculum and organizing practical curriculum that helps career paths. In future studies, it will be necessary to compare and analyze beauty curricula in various countries based on the factors derived from this study and propose a more effective educational methodology. In addition, it is suggested that additional international research is needed on how the beauty major curriculum can be applied to various countries and cultures. 본 연구는 한국 미용대학원의 교육과정을 조사하여 중국 미용대학원의 교육과정 선호도와 진로계획의 관계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중국의 미용 산업 종사자와 미용전공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총 504개의 유효한 설문조사 결과를 수집하였다. 중국의 미용 교육이 늦게 시작되어 미용대학원 커리큘럼 설정에 어려움이 있으나 미용 산업 전문 인력 양성은 상대적으로 체계적인 구축이 되어 있어 이를 바탕으로 중국의 교육과정 개선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한국의 미용대학원 개설현황을 조사하였고 각 대학원의 교과과정을 파악하였으며 중국 미용대학원 교육과정 편성요구를 분석하였다. 중국 미용대학원 교육과정 선호도는 공통기초이론, 메이크업, 피부미용, 헤어미용, 네일미용, 화장품학으로 분류하였고 진로계획은 진로체험과 취업준비로 분류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0.0 통계 패키지를 사용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교차분석과 독립표본 t-test, 일원배치 분산분석,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과 회귀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메이크업 전공자가 가장 많았고 진로계획에서 대학원 진학은 7.9%로 나타났다. 선호하는 수업방식에서 이론/실습 병행이 가장 많았고 선호하는 강의방식에서 온ㆍ오프라인 병행수업이 가장 많았다. 공통기초이론 교육과정 선호도에서 뷰티산업 법제도와 소비자 안전 과목이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20대, 30대 연령대에서 교육과정 편성요구 중 기술심화교육과 전문성 있는 교· 강사의 중요성을 요구하였다. 미용전공에 따른 교육과정 선호도 차이 분석에서 공통기초이론, 메이크업, 화장품학 교육과정의 선호도에 대해 네일 전공자는 높게, 헤어 전공자는 낮게 분석되었다(p<0.05). 미용대학원 교육과정 선호도가 진로계획의 진로체험과 취업준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최종학력은 교육과정 선호도와 진로계획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메이크업, 공통기초이론, 네일미용 순으로 교육과정 선호도가 높을수록 진로체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헤어미용, 피부미용, 화장품학, 메이크업, 공통기초이론 순으로 교육과정 선호도가 높을수록 취업준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용대학원 학생의 교육과정 요구를 충족하고 미용 산업의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중국의 미용대학원 교육과정은 한국 미용교육의 성공적인 모델을 참조해 교육과정을 다양화하고 진로에 도움이 되는 실질적인 교육과정 편성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본 연구를 미용 관련 대학원 교육과정 개발, 설계 및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여 그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추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 도출된 요인들을 바탕으로 다양한 국가에서의 미용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고, 더욱 효과적인 교육 방법론을 제안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미용전공 교육과정이 다양한 국가와 문화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국제적 연구가 추가로 필요하다는 것을 제언한다.

      • 참요(讖謠)에 대한 정신분석학적 연구

        조영주 建國大學校 一般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9631

        이 논문은 사회적으로 중요한 사건들을 예언했다고 전하는 노래인 ‘참요(讖謠)’에 대해 연구한 것이다. 그런데 참요(讖謠)의 내용을 보면, 노래가 현실로 실현되었다고 보기에는 가사의 내용과 참요가 실제로 예언했다고 전하는 사건과의 거리가 다소 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왜 당시 사람들은 노랫말이 실현된 것이라고 믿었을까? 본 논문에서는 논의의 초점을 여기에 맞추고, 참요의 심리적 기반이라 할 수 있는 ‘임금살해욕구(임금에 대해 죽이고 싶어하는 욕망)’가 참요로 형성되는 원리를 추론해 보았다. 먼저 2장에서는 참요를 임금과 관련된 참요와 사회 일반과 관련된 참요로 분류하고, 각 작품에 대한 앞선 연구자들의 해석들을 검토하였다. 3장에서는 정신분석학적 관점에서 참요를 해석하여, 참요에 내재되어 있는 욕망이 무엇인가를 밝혀냈다. 앞의 두 가지 작품군에서 보여지는 표현양상은 서로 다르지만 ‘임금살해욕구’라는 공통된 기반에 기인함을 알 수 있었다. 전자에 속하는 임금과 관련된 참요에서는 임금에 대한 살해욕구가 직접적으로 드러나고 있으며, 후자에 속하는 참요의 경우도 정치적 사건 또는 사회 일반과 관련된 여러 가지 사건들에 대한 예언이라고는 하지만 그러한 사건이 일어나게 된 근본적인 원인을 임금의 탓으로 보고 있다는 점에서 왕에 대한 적대감이 내재되어 있는 것이라 볼 수 있다. 4장에서는 임금살해욕구가 참요로 발현되는 심리적 과정을 추찰해보았다. 참요의 심리적 기저를 이루는 임금살해욕구는 원초적 욕망인 살부욕구에서 기인한 것으로 평소에는 억압되어 무의식 안에 보존된다. 그러나 본능적 충동은 끊임없이 의식으로 떠오르려는 노력을 계속하며, 현실 속에서 발생한 어떤 사건이 원초적 장면을 연상시킬 때 이를 계기로 억압된 욕망이 회귀되는 것(return of repressed)이다. 이때에도 초자아(super-ego)의 검열때문에 욕망은 ‘압축(condensation)’, ‘전치(displacement)’, ‘제2차 수정작업(second transference)’에 의해 변형되어, 그 당시에 사회적으로나 도덕적으로 허용이 가능한 의미로 표현된다. 그렇다면 왜 당시 민중들은 자신들에게 내재되어 있는 욕망의 상징인 참요를 신성시하고 노래가 사건을 예언했다고 믿었을까? 노랫말의 내용이 실현되었다고 보기에 억지스러움에도 불구하고 노래의 징험이라 믿은 것은 일종의 ‘방어(defence) 기제’라 볼 수 있다. 욕망을 드러내는 데에 따르는 엄청난 죄책감은 욕망을 억압했을 때보다 더 심각한 불안을 야기시킬 수도 있다. 이 때문에 사람들은 참요를 신격화해서 믿어버림으로써 노래가 주는 불안을 잠재웠다. 노래가 초자연적인 힘이 있는 것처럼 믿어버림으로써, 노래에서 말하는 상황이 실현된 것은 ‘노래의 힘’ 때문이지 자신의 욕망 때문이 아니라고 말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참요는 표면상 단문 형태의 단순한 노래이며, 지금까지 흔히 문학의 변두리에 해당되는 것으로 인식되어 소홀하게 다루어졌다. 그러나 인간의 원초적인 욕망을 예언의 모습으로 강하게 표출함으로써 욕망의 배출구 역할을 했다는 점에서 문학의 가장 본질적인 기능과 맥이 닿아있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Prophetic Song(讖謠)', the song said to have predicted socially important events. Seeing the contents of prophetic song, it can be seen that the content of its words is a far cry from the event predicted by prophetic song when it is assumed that its song was realized. Nevertheless, did people believe that the words of the song were materialized?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reason the principle that the desire to kill the king that can be said to be the psychological foundation of prophetic song is formed as prophetic song, with a focus on it for discussion. First of all, Chapter 2 offered the classification of prophetic song into the one related to the King and the one unrelated to the king and attempted to review the interpretations on it by researchers. Chapter 3 provided a clarification of what the desire inherent in prophetic song was by interpreting prophetic song from a psychoanalytical point of view. It could be found that two groups of works were different in the mode of expression but attributed to the common foundation of 'the desire to kill the king'. The desire to kill the king finds direct expression in prophetic song related to the former. And predictions of political events or several events related to society at large manifest themselves in prophetic song unrelated to the latter. But it can be viewed that a sense of hostility to the king is inherent in the latter prophetic song in that it attributes the fundamental cause for occurrence of such events to the king. Chapter 4 attempted to reason the psychological process in which the desire to kill was manifested as prophetic song. The desire to kill the king forming the psychological basis if prophetic song stems from the desire to kill the father, the instinctive impulse, which is usually repressed and preserved in unconsciousness. But the instinctive impulse continues to come to consciousness, and when a certain event occurring in realities is associated with the instinctive scene, the repressed desire returns with this as a turning point. At this time, the desire is transformed by 'condensation', 'displacement' and second transference' due to the inspection of super-ego and expressed as the socially or morally allowable meaning of the time. If so, did the populaces apotheosize prophetic song, the symbol of the desire inherent in them, and believe that the song predicted a certain event? In spite of the farfetched interpretation that the words of the song were materialized, its attribution to the efficacy of the song can be seen to be the 'defense mechanism'. The tremendous guilt complex arising from the revelation of the desire may cause the more serious anxiety than when the desire is suppressed. For this reason, people calmed down the fear given by the song by apotheosizing and believing prophetic song. People may come to say that it is not because of their desire but because of the 'power of the song' that the situation told by the song was materialized, by believing the song as if it were the preternatural power. On the surface, prophetic song is the simple song of the simple sentence form, and has thus far been poorly addressed on the frequent thought that it belongs to the periphery of literature. But it can be seen that prophetic song has the same vein as the most basic function of literature in that it played a role as the vent of desire by making a strong manifestation of the human instinctive desire in a form of prediction.

      • 자연의 형태를 이용한 모방적 조형 연구

        왕운비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31

        在现代信息时代,形态各异、新颖奇特的产品造型设计走入了人们千姿百态的生活,以往单调乏味的产品外观已不能满足现代人们的审美需求。大众对时尚的审美层次的提高,使得设计界用新的思维模式来不断创新成为必然。在互联网时代和知识经济时代,产品更新换代的速度可谓日新月异,而仿生学以它独有的模仿设计魅力,越来越被人们接受和喜爱,并且在不断提升我们的生活品质。因此,产品设计的推陈出新迫切需要将仿生学引入设计领域。同时仿生设计学也吸引了越来越多来自于学者和企业的热情和关注。因此,进行仿生设计的研究和应用具有重要意义。 二十一世纪是一个以科技飞速发展和情感化消费为主要特征的感性时代,在许多领域,自然界的诸多元素已作为设计借鉴的宝贵资源被加以模拟应用。在设计领域,仿生的应用有利于提高产品的物质价值和精神价值。仿生设计作为工业设计的潮流和趋势,已日益成为重要的产品设计方法。工业设计方面,产品仿生设计能够满足消费者的情感需求,适合感情匮乏时代人们的精神需求。本论文从理论和实践的角度,重点对产品仿生设计中的在形态仿生、色彩仿生、肌理仿生等方法进行研究 本文主要研究的是如何根据仿生设计理论以及相关产品设计理论和方法,分析研究产品仿生设计方法、原则与程序,并以自己的设计实践来应用和验证。本文研究内容和解决的问题如下: (1)研究分析仿生设计及设计相关理论 通过对仿生设计基本理论和产品仿生设计相关基础理论的研究,分析研究产品仿生设计应用的基础理论。 (2)研究提出设计理论指导下产品仿生设计的一般方法程序 依据仿生设计在产品设计中的应用情况,对其进行有针对性的分类,综合研究提出设计理论指导下产品仿生的一般设计方法和步骤。 (3)研究产品仿生设计的具体方法、原则和意义 本文将仿生设计的相关理论研究,运用于产品仿生设计方法的分析过程,结合具体实例,分析、研究、总结产品仿生设计的具体方法、原则和意义,提出仿生设计的细节操作,包括造型手法、详细设计规则和实际应用方法,形成了以理论架构为支持的产品仿生设计方法。 仿生设计学与旧有的仿生学成果应用不同,它是以自然界万事万物的“形”、“色”、“音”、“功能”、“结构”等为研究对象,有选择地在设计过程中应用这些特征原理进行的设计,同时结合仿生学的研究成果,为设计提供新的思想、新的原理、新的方法和新的途径。在某种意义上,仿生设计学可以说是仿生学的延续和发展,是仿生学研究成果在人类生存方式中的反映。 仿生设计学是仿生学与设计学互相交叉渗透而结合成的一门的边缘学科,仿生学涉及的领域极其广泛,内容非常丰富,其形式多种多样,特别是由于仿生学和设计学涉及到自然科学和社会科学的许多学科,因此也就很难对仿生设计学的研究内容进行划分。这里,我们是基于对所模拟生物系统在设计中的不同应用而分门别类的。归纳起来,仿生设计学的研究内容主要有:色彩仿生、结构仿生、质感仿生、形态仿生、构造仿生等方面。模仿生物的设计的仿生设计,既有仿形态、仿色彩、仿机理、仿结构、仿功能的设计。是模仿大自然中的形态,通过概括、提炼和艺术夸张等手法,再运用变色、变形等配合,将自然形态类似或上升为高于自然形态的艺术境界,从而达到给人以美的享受。 实例部分主要运用形态仿生设计学,通过研究生物体和自然界物质存在的外部形态及其象征寓意,通过艺术手法将形态仿生有效地运用到照明设计之中。灯具这一产品为人们的日常生活与工作提供了方便,没有哪个产品能像灯具一样与人们的日常生活如此的紧密联系。在生活水平相对低下的时期,消费者对灯具关注点主要集中在灯具的照明功能上,随着生活水平的提高,物质生活越来越丰裕,消费者对灯具的需求已经从单纯的照明功能向深层次的精神文化层面发展。灯具除了为人类带来光明的同时,也丰富了人们的精神与文化生活。现在的灯具创新设计风格在不断的变化,对灯具的设计的要求也在不断的提高,不仅功能好,还要外表美观,具有经济效应等。根据不同的空间、不同的场合、不同的对象选择不同的照明方式和灯具,并保证恰当的照度和亮度。灯光照明是装饰美化环境和创造艺术气氛的重要手段。为了对室内空间进行装饰,增加空间层次,渲染环境气氛,采用装饰照明,使用装饰灯具十分重要。在现 代家居建筑、影剧建筑、商业建筑和娱乐性建筑的环境设计中,灯光照明更成为整体的一部分。 汲取大自然的营养是仿生学的基础,仿生设计将仿生学应用于工业设计活动中,模仿并超越大自然优越的机能,提升设计层次和空间。同样,将仿生设计运用于产品造型中, 使产品造型与仿生设计有机结合,是塑造优秀产品造型的有效途径之一。其中重要步骤是有效地提炼仿生对象的形态、色彩和表面肌理,并将其巧妙地运用到造型活动中, 这将关系到产品造型的艺术品质。 此外,应结合新的设计理念,使仿生造型做到形态、人机使用、文化和情感性的有机统一。 产品造型设计是现代工业设 정보시대가 발전되는 오늘날, 형태가 제각기 다르고 새로운 제품조형 디자인이 다양한 생활 속에 들어섰고 단조로운 구식의 외형은 현대인의 심미요구에 만족할 수 없게 되었다. 유행에 대한 사람들의 안목이 제고되면서 디자인 업계가 새로운 방식으로 창신을 하는 것이 필연적으로 되었다. 인터넷과 지식경제시대, 나날이 새로워지는 제품이 계속 업데이트되고, 바이오닉스 디자인학은 특유의 모방디자인 매력으로 사람들의 사랑을 받게 되고 우리의 생활품질을 바꾸고 있다. 때문에 디자인 학계의 문화유산계승에는 바이오닉스학을 디자인공간으로 편입할 필요가 있다. 이와 동시에 바이오닉스 디자인학은 점점 많은 학자와 기업의 주목을 받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바이오닉스 디자인에 대한 연구와 응용은 중요한 의미가 있다. 우리 인간은 자연 속에 살면서 그 자연과 모든 물체가 어떤 색과 형태를 이루고 있음을 늘 보아 잘 알고 있다. 자연모방 분야는 자연이 가지고 있는 디자인적 요소들의 연구 및 모방을 통해 인류의 과제를 해결하려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자연에서 볼 수 있는 모든 형상은 어떤 리듬이나 규칙적인 상호 관계 속에서 이루어져 있다. 자연이 제시하는 조형적인 구조에서 합리적이고 경제적인 구조를 발견할 수 있으며, 디자인의 미적 측면에서도 새로운 시도가 가능하다고 본다. 본 연구는 조형디자인 요소의 자연 형태의 질서를 모방한 조형연구에 대한 접근 방법으로서, 첫째로 조형디자인의 개념과 영역을 알아보며, 자연 모방에 대한 일반적 고찰을 통하여, 자연모방의 정의 및 구분에 대하여 조사한다. 둘째로 자연계에서 발견한 형태의 과학적인 질서의 구성 및 활용에 대한 분석하고, 현 시점에서 나타나있는 자연모방의 활용 사례를 분석하여, 중요성과 실용성 연구에 활용한다. 그리고 조사된 사례들을 유형별과 이미지로 분류하고 실제로 이용을 가능한 점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자연모방활용을 시킬 수 있는 특징들을 파악하도록 한다. 국내외 자연모방의 활용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해 문제점을 해결한 경우와 조형의 특성에 적합한 활용과 그 성격에 맞는 방향성을 알아본다. In the modern information age, novelty product design of various shapes enters into people’s lives. Monotonous appearance of products can not meet the aesthetic needs of modern people. The public fashion aesthetic level has increased, making it necessary that the design community to make innovation with a new mode of thinking. In the era of Internet and knowledge economy, products replace with each passing day, so bionics, with its unique imitation design charm, is getting accepted and loved by more and more people, and it is improving our life quality. Therefore, it is an urgent need to introduce the bionics into the design field for the innovation of product design. Meanwhile bionic design has also attracted the the passion and attention of a growing number of academics and businesses. Therefore, the research and application of bionic design has important significance. Living in the nature, we humans have always seen that the nature is consisted of different objects, each has its own color and form. Ecological imitation field aims to solve the human being’s problems through the study and imitation of nature design elements. All the shapes found in nature form in a certain rhythm or a regular relationship. I believe that we can find rational and economic structures in the formative structures in the nature, and that new attempt at aesthetic aspects of design is also possible. This study, using an access method of formative study based on imitating the nature structural order of formative design elements, firstly looks out the concept and scope of the formative design, and give the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of ecological imitation through a general study on the natural ecological imitation. Secondly, it analyses the formation of the scientific order of shapes found in nature and the existing practical case of ecological imitation, and make use of the research on significance and practicability of ecological imitation. It classifies the cases in the research based on images and give practical points of view. Finally, it tries to master the features that can practicalize the ecological imitation and summarize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through the study of ecological imitation cases from all over the world.

      • 임상실습기간 중 간호대학생의 수면 영향요인 : Spielman의 수면장애 모델을 근간으로

        김미예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31

        목적 : Spielman의 수면모델을 근간으로 간호대학생의 수면양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방법 :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임상실습을 하는 3, 4학년 총 119명을 대상으로 자가 보고식 설문지와 액티그래프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이용하여 t-test, ANOVA, 회귀분석 하였다. 결과 : 간호대학생 119명의 자고보고식 수면의 질 측정에서 70.6%의 학생은 수면의 질이 낮았다. 액티그래피에서 간호대학생의 평균 수면시간은 4.34시간으로 총 수면시간 5시간 이하 학생이 58.5%이었고, 수면효율성은 평균 82.55% 였다. 회귀모형 분석결과, 수면의 질에 일주기수면유형(β=.27, ρ=.005), 알코올 섭취(β=.20, ρ=.032)가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총 수면시간에 좌식생활(β=-.23, ρ=.018), 주간졸림증(β=-.29, ρ=.003)이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결론 : 임상실습기간 중 간호대학생의 상당 수가 수면장애를 겪고 있다. 이들의 수면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자가보고형식의 설문지를 통한 주관적수면측정과 객관적인 생리적수면측정방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일주기수면유형이 저녁형인 학생들은 수면의 질이 낮게 나타났고, 좌식생활과 주간졸림증은 수면부족의 원인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추후 수면장애를 연구할 때 주관적 측정과 함께 객관적 측정을 병행하여 수면의 주관적, 객관적 측면을 모두 고려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주제어 : 간호대학생, 수면, 액티그래피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sleep patterns of nursing students, to examine influencing on factors sleep patterns in based on Spielman’s model. Methods: Participants were 119 junior and senior nursing students who were in the clinical practice period. Self-report questionnaires and actigraphy were used for data collection. Data were analyzed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r ANOVA, correlation and regression with SPSS/WIN 21.0 program. Results: When sleep was measured by self-report questionnaire (Korean version of Modified Leeds Sleep Evaluation Questionnaire: KMLSEQ), 84 students (70.6%) showed poor sleep quality. Mean total sleep time measured by actigraphy is 4.34 hours, and the number of student who sleeps for 5 hours and less was 70 (58.5%). Mean sleep efficiency was 82.55%, and the number of students showed low sleep efficiency (less than 85%) was 67 (56.3%). The factors affecting subjective sleep pattern measured by KMLSEQ were circadian sleep type (β=.27, ρ=.005) and alcohol use (β=.20, ρ=.032). The factors affecting total sleep time were sedentary behavior (β=-.23, ρ=.018) and daytime sleepiness (β=-.29, ρ=.003). Conclusion: Many nursing students in clinical practice period perceived sleep disturbance. Affecting factors on perceived sleep measured by self-report questionnaire and objective sleep evaluated by physiologic measure were different. The evening type of students perceived poor sleep quality, however, sedentary life style and daytime sleepiness caused short sleep time. Sleep consists of subjective and subjective characteristics, therefore, more studies measure objective sleep characteristics are needed.

      • 웹기반 학습에서 학습몰입과 인터넷 중독이 학습동기와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박혜진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에서는 웹기반 학습에서의 학습몰입과 인터넷 중독에 대하여 규명하여 보고, 학습몰입수준과 인터넷 중독수준에 따른 학습동기와 학습태도의 차이를 밝히고자 한다. 따라서 학습몰입수준의 두 집단(높은 집단, 낮은 집단)과 인터넷 중독수준의 세 집단(잠재적 위험 사용자군(치료 및 상담 요망), 일반 사용자군A(자기관리 요망), 일반 사용자군B(건전한 사용자), 그리고 학습몰입수준과 인터넷 중독수준 간의 상호작용 효과로 구분하였으며, 본 연구의 목적에 비추어 얻어진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결론을 내리고자 한다. 첫째, 웹 기반 학습에서 학습몰입수준의 두 집단인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에 따라 학습동기와 학습태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하면 학습몰입수준이 높을수록 학습동기와 학습태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몰입(flow)은 내재적으로 동기화된 상황의 특성을 가장 잘 반영하기 때문에 동기와 몰입과의 관계는 매우 밀접하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웹 기반 학습에서 인터넷 중독수준의 세 집단에 따라 학습동기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습태도에만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학습동기는 각각의 수준에서의 평균이 일반 사용자군A(자기관리 요망) 3.16 > 일반 사용자군B(건전한 사용자) 3.12 > 잠재적 위험 사용자군(치료 및 상담 요망) 3.10순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평균 3.14를 기준으로 보면 일반 사용자군A(자기관리 요망)을 제외한 나머지 수준에서 전체 평균보다 낮으므로 학습동기가 낮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인터넷 중독 정도에 따라 학습동기가 감소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인터넷 중독과 학습동기의 관계는 부적상관을 보이고 있어, 인터넷 중독의 일반집단에서 잠재적 위험 집단군으로 갈수록 학습동기가 낮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안경희, 2007)는 선행연구 결과와 같은 맥락에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웹 기반 학습에서 학습몰입수준과 인터넷 중독수준 간에 학습동기와 학습태도의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원분산분석 결과 학습동기 및 학습태도에 대한 두 개의 주효과에서 학습동기는 학습몰입수준에서 유의확률이 .05수준에서는 유의하였으나, 인터넷 중독수준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하지만 학습태도에서는 학습몰입수준과 인터넷 중독수준의 유의확률이 모두 .05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learning flow in the Web-based learning and internet addiction and to find out the differences in learning motivation and attitude according to the level of learning flow and the degree of Internet addiction. The differences in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attitude were analysed through categorizing two groups in learning flow (a group with high learning flow and low learning flow) and three groups in Internet addiction (ordinary users A, ordinary users B, users with potential risks). In addition,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attitude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level of learning flow and internet addi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of all, in the Web-based learning, it turned out that the differences were significant in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attitude between the groups with high and low learning flows.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level of learning flow, the higher the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attitude, which indicates that motivation and learning flow are closely associated with each other, as flow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internally motivated situations. Secondly, in the Web-based learning, the differences in learning motivation were insignificant among the three groups of different levels of addiction but som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ing attitude. To be more specific, the level of each group in learning motivation has an average of 3.16 in the ordinary user A (self-management required), followed by 3.12 in the ordinary user B(sound user), and 3.10 in a user with potential risk(treatment and consultation required). Given the fact that the total average rate was 3.14, except in the ordinary user A (self-management required), the two users' rates are lower than the total average, which indicates that their learning motivations are low. Thirdly, in the Web-based learning, interaction effects of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attitude didn't appear in the level of learning flow and Internet addiction. As a result of two-way ANOVA, the learning motivation in the major effects with regard to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attitude had significant probability in level .05 in learning flow level, while it was not significant in the level of internet addiction. In learning attitude, on the other hand, the significant probability of both learning flow level and level of Internet addiction.

      • 유연 고분자 섬유에 대한 전기화학적 금속 증착 연구

        임승린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섬유 산업 중 에서 현재 세계적으로 가장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복합기능성 소재에 관한 것으로서 일반적인 고분자 폴리머 섬유 상에 전기 화학적 방법으로 금속을 coating함으로서 전도성과 항균성등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기능성 복합소재를 만들기 위한 것이다. 가장 일반적인 섬유소재인 Poly propylene 방사 섬유의 표면에 KMnO4 와 H2SO4를 사용하여 Polymer의 표면을 polishing한 후 PdCl2과 HCl을 사용하여 Pd를 흡착시키고 이 것을 Cu로 치환하여 표면에 seed층을 형성하였다. Seed층이 형성된 Polymer에 Copper sulfate를 기반으로 하는 전기 분해 액을 조성하여 Polymer fiber의 내측까지 침투하는 Electro plating을 위해 액중에서 brightener, leveller, carrier로서의 역할을 하는 SPS, PEG, ETU의 첨가제를 사용하여 일반적인 도금에서 일어나는 침상구조의 금속성장과 같이 표면 접착력이 약한 구조를 없애고 최초 bare fiber표면과 거의 동일한 형태를 가짐으로서 표면에 가장 안정적으로 Pating이 되는 이들의 조합에 중점을 두고 실험을 진행하였다. Brightener로쓰인 SPS의 양이 많을 수록 판 형태의 결정들이 많아지면서 불규칙 성장을 했으며 leveller인 PEG와 carrier인 ETU가 증가 할수록 둥근 구의 형태의 불규칙 성장이 많이 관찰 되었다. 결과적으로 첨가제는 개별적으로 적용시 균일한 도금층을 얻을 수 없었으며 세가지가 조합이 될 때 안정적인 도금층을 형성하였다 그 중에서 SPS30 ppm,PEG 54ppm, ETU36ppm이 첨가 될 때 가장 안정적인 형태를 갖으면서도 약 5~9um의 도금층이 Fiber 둘레에 전체적으로 Coating층을 형성 하는 것을 확인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전도성 기능섬유소재와 항균성을 갖는 소재 분야에 널리 적용가능하여 IT,로봇등 첨단산업에서 경량이면서 도전성을 갖는 복합소재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This study is about a kind of functional complex fibers which has been researched broadly in the world among the Fiber Industry. It is to make the functional complex fiber with anti-virus and conductivity etc, by coating metal ion on the surface of plastic fiber using the electroless and electro method in the chemical solution in order. After polishing the surface of Poly propylene Melt Blown Fiber, which has been commonly used in the several industries, by using KMnO4 and H2SO4, we can make the seed layer by absorbing Pd on the surface of the polymer fiber and then substitute Cu for Pd. SPS, PEG, and ETU were used as brighteners, carriers and levellers respectively for the Electro-plating which penetrates into the inner layer of the Polymer fiber by creating electrolysis solution based on Copper Sulfate on the seed layered Polymer.This study focuses on finding the most stable plating condition which can remove dendrite that normally occurs in the electro metal plating and form the smooth surface layer on the fiber. The more amount of SPS used as a brightener will cause many irregular plate-like growth. A lot of irregularities in the form of round spheres were observed as the amount of PEG and ETU, used as leveller and carrier, increase. As a result, when additives were applied separately, uniformly coated layer was not obtained. Stable coating layer was created when the three additives were combined. It was confirmed that the most stable morphology can be made and the copper layer with 5~9 um thickness can be evenly created around the Fiber when SPS 30ppm, PEG 54ppm and ETU 36 ppm were added.This result can be widely applied to the field of functional fibers with conductive and anti-virus. It is expected that this result also can be used for the research on the composite materials with conductivity lightweight fibers and the high-tech industries such as IT and robotics.

      • 간호 대학생을 위한 휴머니튜드 케어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정하림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9631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Humanitude care educational program and validate its effects with a sample of third-year nursing students, thereby providing fundamental data for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to the field of gerontological nursing. Methods: Humanitude care comprised four strategies and five steps for the elderly. In this study, the Humanitude care educational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was developed according to ADDIE (Analysis, Design, Develop- ment, Implementation, Evaluation)process. And then, a non-randomized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adopt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Humanitude care educational program. The intervention group with 22 third-year nursing students completed the Humanitude care educational program and then participated in clinical practice for 3 weeks. The 25 third-year nursing students in the comparison group participated in clinical practice without taking educational intervention. Differences between the intervention group and control group on Humanitude care knowledge, attitude toward the elderly, patient-centered communication, and care efficacy were analyzed with t-tests. Results: Intervention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 scores in Humanitude care knowledge (t=8.82, p<.001), patient-centered communication (t=2.54, p=.015), and care efficacy (t=2.14, p=.040) whereas the score of human-centered attitude toward the elderly (t=0.86, p=.394) was not. However, after finishing clinical practic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variables between the intervention and control groups. Conclusion: Humanitude care educational program can be adopted as an effective intervention in Humanitude care knowledge, patient-centered communication, and care efficacy of nursing students. However, to continue the educational effect, instructors should facilitate nursing students applying Humanicide care in clinical practice. Ultimately, it can propose a novel educational direction that can be applied to human-centered care in gerontological nursing practice. 목적: 본 연구는 간호학과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휴머니튜드 케어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노인간호교과에서의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방법: 휴머니튜드 케어 교육프로그램은 휴머니튜드 케어의 4가지 전략과 5 단계를 ADDIE(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Evaluation) 모델을 토대로 개발하였다. 휴머니튜드 케어 교육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은 간호 대학생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비무작위 대조군 사전사후 설계로 하였다. 중재군은 22명이었고, 6가지 주제에 대한 휴머니튜드 케어 교육프로그램 적용 후, 임상 실습을 진행하였다. 대조군은 25명으로, 교육 중재 없이 임상 실습만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로 산출하였다. 종속변수의 동질성 검증은 t-test로 분석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한 중재군과 대조군의 차이검증은 t-test, 두 군간의 시간경과에 따른 결과변수의 변화와 그룹과 시간과의 교호작용여부에 대한 검증은 Repeated Measure ANOVA로 분석하였다. 결과: 두 집단 간의 동질성 검증 결과, 일반적 특성에서 동질하지 않은 나이와 성별 항목을 공변량으로 처리하였고, 구형성 검정을 확인하였다. 종속변수에 대한 동질성을 확보하였다. 휴머니튜드 케어 교육프로그램의 제공한 직후, 중재군의 휴머니튜드 케어 지식(t=8.82, p<.001), 대상자 중심 의사소통(t=2.54, p=.015), 돌봄 효능감(t=2.14, p=.040)의 점수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나, 노인에 대한 인간중심적 태도(t=0.86, p=.394)는 유의하게 높지 않았다. 결론: 휴머니튜드 케어 교육프로그램은 간호 대학생의 휴머니튜드 케어 지식, 대상자 중심 의사소통, 돌봄 효능감에 효과적인 중재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노인 간호학 실습에서 인간중심돌봄을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학습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OBE교육방식을 적용한 교육과정 개선방안 연구 : 중국“응용형 대학”의 환경디자인 전공을 중심으로

        장시림 건국대학교 일반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9631

        Outcomes Based Education (OBE), that is, performance-based education, is an educational ideology that determines the content and goals of education in the reverse direction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audience. The starting point of the education plan is the educational ideology that sets training goals according to the needs of society or companies and sets graduation requirements, curriculum systems, and educational contents according to the training goals. Since its spread in the 1980s, the OBE ideology has become a popular word in Western education and a major idea of educational reform. In June 2016, China became a full member of the Washington Agreement. The majority of these Member States (or regions) adopt the certification standard of the OBE ideology, reflecting this ideology throughout the engineering education certification standard, and efficiently promoting sustainable improvement of majors. Engineering education certification institutions in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have also reformed certification standards one after another to make them an important quality rule. According to the OBE educational ideology, the curriculum is performance-oriented, and through this learning, students can clearly know the knowledge they have learned. OBE's educational ideology places great importance on the combination between educational methods, strategies, evaluations, and curriculum content, and builds a curriculum system with a reverse mindset based on students, aiming for performance. In addition, this is because the educational ideology is very consistent with the development of the current society and allows students to conduct purposeful customized learning. Students can find suitable majors and abilities that they like, adapt to social life quickly, and enter work faster by understanding their major in depth. This customized learning allows students to learn customized by grasping the knowledge and content they need, starting from their internal needs. In the student learning process, evaluation tests are conducted step by step to find problems from time to time, and correct and adjust them from time to time. These sustainable learning and improvements develop students and enable 'student-centered, calculation-oriented, and continuous improvement'. Through learning achievement evaluation, we solve in-depth problems in education, promote reform of OBE talent training model, and form a closed-loop improvement system of 'reverse planning, forward execution'. In 2021, the Chinese government presented the ideology and demand for the establishment of applied universities, presented the direction of the establishment of applied schools, and focused on fostering technical and functional talents. Starting with the conversion of department majors, the conversion of human resources training goals, and the conversion of human resources training methods, the cultivation of excellent human resources was planned. Chinese universities were classified into research universities, junior colleges, and applied universities by applying new classification standards, and new standards were established to meet the needs of society, not the new model of education, centered on students according to their own abilities and development. Applied universities are a type of university, also called AppliedTechnology Universities. The university classification is mainly based on the type of talent training, and universities are divided into three basic types. The first type is a comprehensive research university, which focuses on basic and applied departments (major)and develops creative and outstanding research talents. The second type is specialized applied departments or universities and institutes, which mainly learn research expertise, train advanced talents, and convert science and technology into productivity (including management and service skills). The third type is vocational functional university (vocational college), which trains technical talentswho can do specific tasks on the front line of production, management, and service, focusing on practical vocational technology majors in various fields. According to the situation in which universities perform social functions and their output, universities in China a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research type, education research type, education type, and application type. The core of applied universities is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 and to form characteristics, history accumulation, industry background and national policy support, and the standard and evaluation system accordingly are needed. Compared to academic universities, applied universities are very difficult to establish, require a lot of investment, have a long cycle, and have to prepare a major practice field. Compared to research universities and educational research universities, applied universities are a new type of undergraduate education created by the modernization of China's economic construction and popularization of university educa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universities. Applied universities generally refer to four-year universities. These universities have many engineering colleges, and independent and private universities cultivate applied talent between the previous two universities. Applied universities are independent types of education, and have their own human resource development goals, training scale, training curriculum, training methods, and evaluation standards. However, the current training of Chinese applied talent still hasproblems to be solved. Due to problems such as ambiguity of applied talent training goals, lack of education and reform, and lack ofprofessional professors, it is necessary to present new improvement measures for China's applied talent training model and curriculum.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plan to improve the university curriculum by applying the OBE education method to cultivate applied talents in the background of the current development of applied universities in China. By studying the OBE education method to reach this purpose, a system that appliedOBE from talent training was derived. Through the composition system, a case analysis was conducted for environmental design majors to derive a framework for applying the OBE education method. In this study, case analysis was conducted on representative universities in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Japan, and China through the guidelines for talent training and the application method of OBE education ideology, i.e., establishment of educationalgoals, establishment of manual system, education strategy method,and education evaluation method. Through domestic and foreign case analysis, we have come to understand the actual application method of OBE education ideology through the educational goals, curriculum systems, educational strategies, educational evaluation, and analysis of domestic and foreign applied universities. The case is analyzed, and the concept of OBE education is combined to analyze and organize OBE models suitable for Chinese environmental design majors. According to the case analysis, the most important and frequently mentioned things in national and school education are four, learning, research, production, and start-ups, which are the core of most university curriculums. In particular, when analyzing Chineseschools, it was found that universities placed great importance onstudents' innovation and design practice.In the process, the curriculum was organized by detailing what to pay attention to, what tobase, and what to need when improving.This is a collection of theconcepts of OBE education ideology and the research and application of experts and scholars on OBE education ideology. Through this, the structure and curriculum system for fosteringhuman resources using the OBE education method were presented,and finally, a plan to improve the curriculum of environmental design major in Chinese applied universities was presented through the curriculum system. Through the research of this paper, it is hoped that the educational reform of Chinese applied universities and the implementationand pilot use of OBE educational ideology in China will be able tomake a certain contribution. OBE(Outcomes Based Education), 즉 성과기반교육, 이는 수용자 요구에따라 역방향으로 교육 내용과 목표를 결정하는 교육 이념이다. 교육 계획의출발점은 사회나 기업의 요구에 따라 양성 목표를 정하고, 양성 목표에 따라 졸업요건, 커리큘럼 체계, 교육 내용을 정하는 교육 이념이다. 1980년대확산된 이후로, OBE 이념은 서양 교육계에서 유행하는 단어이자 교육개혁의 주요 사상이 되었다. 2016년 6월 중국은 <워싱턴 합의>의 정식 회원이되었다. 이 회원국(또는 지역) 대다수는 OBE 이념의 인증표준을 채택하고 있으며, 이 이념을 공학교육 인증표준의 전 과정에 반영하고, 전공의 지속 가능한 개선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유럽과 미국의 공학교육인증기관도 잇따라 인증표준을 개혁하여 중요한 품질 규칙으로 삼고 있다. OBE 교육 이념에 따라 커리큘럼은 성과지향적이며, 이러한 학습을 통해 학생들은 자신이 배운 지식을 명확하게 알 수 있다. OBE 교육 이념은 교육 방법, 전략, 평가 및 커리큘럼 내용 간의 결합성을 매우 중시하며, 성과를 목표로, 학생을 근본으로 역방향 사고방식으로 커리큘럼 체계를 구축한다. 또한 교육 이념은 현재 사회의 발전에 매우 부합하여 학생들에게 목적성이 있는 맞춤형 학습을 하도록 하기 때문이다. 학생들은 자신이 좋아하는 적합한 전공과 능력을 찾을 수 있고, 빨리 사회생활을 적응하고, 전공에 대해 더 깊이 이해하여 더 빠르게 업무에 진입할 수 있다. 이러한 맞춤형 학습은 학생들이 내적 욕구에서 출발하여 자신이필요로 하는 지식과 내용을 파악하여 맞춤형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 학생들 학습과정에서는 단계별로 평가시험을 진행하여 수시로 문제점을 발견하고, 수시로 수정·조정한다. 이러한 지속 가능한 학습과 개선은 학생들을 발전시키며, '학생 중심(学生中心), 산출 지향(成果导向), 지속적인 개선(持续改进)'을 가능하게 한다. 학습 달성도 평가를 통해 교육의 심층적인 문제를 해결하고 OBE 인재 양성 모델의 개혁을 추진하며, ‘역방향 계획, 정방향 실행’의 폐루프식의 지속적인 개선 시스템을 형성한다. 2021년 중국 정부는 응용형 대학의 설립 이념과 설립 요구를 제시했고, 응용형 학교의 설립 방향을 제시하고 기술기능형 인재의 양성을 사업의 중심으로 하고 있다. 학과 전공의 전환, 인재양성 목표의 전환, 인재양성 방식의 전환으로부터 시작하여 우수한 인재의 양성을 계획하였다. 중국 대학을 새로운 분류기준을 적용하여 연구형 대학, 전문대학, 응용형 대학으로 분류하였으며, 이를 통해 각자 전공을 가지고 학생 자신의 능력과 발전에 맞게 학생 중심으로, 동일 교육방식의 새로운 모델이 아닌, 다양성에 근거한 학술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적응하고, 사회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새로운 기준을 확립하였다. 응용형 대학은 응용 기술형 대학이라고도 불리는 대학의 한 유형이다. 대학분류는 주로 인재 양성의 유형에 근거하며, 대학을 세 가지 기본 유형으로 나누고 있다. 첫 번째 유형은 종합 연구형 대학으로, 기초학과와 응용학과(전공)를 위주로 학문을 심층적으로 연구하고 창의적이고 뛰어난 연구 인재를 양성한다. 두 번째 유형은 전문 응용형의 단과 또는 여러 학과 대학, 학원으로, 각 분야에 관련된 응용학과(전공)를 위주로 연구 전문지식을 배우고, 고급인재를 양성하며, 과학기술을 생산력으로 전환한다(관리능력, 서비스 능력 포함). 세 번째 유형은 직업 기능형 대학(직업전문대학)으로, 다양한 분야의 실용적 직업기술 전공을 중심으로 생산, 관리, 서비스 일선에서 구체적인 일을 할 수 있는 기술인재를 양성한다. 대학이 사회적 기능을 수행하는 상황과 그 아웃풋에 따라 중국의 대학은 연구형, 교육 연구형, 교육형과 응용형의 4가지로 분류된다. 응용형 대학의 핵심은 교육의 특색이고, 특색을 형성하려면 역사의 축적, 업계 배경과 국가 차원의 정책 지원 및 그에 따른 기준과 평가 체계가 필요하다. 학술형 대학에 비해 응용형 대학은 설립이 매우 어렵고, 투자를 많이 해야 하며, 주기가 길며, 전공 실습장을 마련해야 한다. 연구형 대학, 교육 연구형 대학과 비교하면, 응용형 대학은 중국대학 인재양성의 특성에 따라 중국 경제건설의 현대화와 대학교육의 대중화의 추진에 의해 만들어진 새로운 유형의 학부 교육이다. 응용형 대학은 일반적으로 일반 4년제 대학을 가리킨다. 이러한 대학은 공과대학이 많고, 독립대학과 사립대학은 앞의 두 대학 사이에 있는 응용형 인재를 양성한다. 응용형 대학은 독립적인 교육 유형으로서, 자신만의 인재양성 목표, 양성규모, 양성 커리큘럼, 양성방식과 평가기준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현제 중국 응용형 인재의 양성은 여전히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 남아있다. 응용형 인재 양성 목표의 모호성, 교육·개혁의 미흡, 전문 교수 인원의 부족 등의 문제점으로 중국의 응용형 인재양성 모델과 교육 과정에 대한 새로운 개선 방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중국 응용형 대학을 발전시키는 배경에서 응용형 인제를 양성하기 위한 OBE 교육방식을 적용하여 대학 교육 과정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목적이다. 이 목적을 도달하기 위한 OBE 교육방식에 대한 연구하여OBE을 인재 양성에서 적용한 체계를 도출하였다. 그 구성 체계를 통해 환경디자인 전공을 대상으로 사례 분석을 진행하여 OBE 교육방식을 적용한 틀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중국 교육부에서 제시한 인재 양성 지침과 앞에 사례 연구를 통해 종합한 OBE 교육이념의 응용방법, 즉 교육목표의 확립, 수업체계의 구축, 교육전략 방법, 교육평가 방식을 통해 미국, 영국, 일본, 그리고 중국의 대표적인 대학을 대상으로 한 사례분석을 진행하였다. 국내외 사례분석을 통해서 현재 국내외 응용형 대학의 교육목표, 커리큘럼 체계, 교육전략, 교육평가 및 분석을 통해 OBE 교육 이념의 실제 응용 방법에 대해서 이해하게 되었다. 사례를 분석하고, OBE 교육 개념을 결합하여 중국 환경 디자인 전공에 적합한 OBE 모델을 분석 및 정리한다. 사례 분석에 따르면, 국가, 학교 교육에서 가장 중요시되고 자주 언급되는 것은 4가지, 학습, 연구, 생산, 창업이며, 이것은 대부분의 대학 교육 과정의 핵심이다. 특히 중국 학교를 분석할 때 대학들은 학생들의 혁신과 디자인 실천을 매우 중시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그 과정 속에서 개선할 때 어떤 점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지, 무엇에 의거해야 하는지, 어떤 점이 필요한지 등을 상세하게 다루고 교육과정을 구성했다.이것은 OBE교육이념에 관한 개념과 전문가와 학자들의 OBE교육이념에 대한 연구와 응용을 모아 정리했다. 그로통해 OBE 교육방식을 적용한 “学、研、产、创(학·연·산·창)”인재 육성 구조와 교육 과정 시스템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육 과정 시스템을 통해 중국 응용형 대학의 환경디자인 전공 교육과정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를 통해 중국 응용형 대학의 교육 개혁과 OBE 교육 이념의중국에서의 구현과 시범 활용에 일정한 공헌을 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 한국어 말하기 숙달도 평가 방안 및 도구 개발 : 일반목적의 CBT 평가를 중심으로

        조슬희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글로컬캠퍼스) 2015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고의 목적은 일반목적의 CBT 평가를 중심으로 한국어 말하기 숙달도 평가 방안을 마련하고 도구를 개발하는 데에 있다. 먼저 1장에서는 연구 목적과 연구 방법을 서술했고, 선행 연구를 검토 했다. 선행연구로는 크게 평가 범주에 관한 연구, 숙달도 평가에 관한 연구, 성취도 평가에 관한 연구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목표와 대상을 정했고, 범주를 설정, 그리고 주제와 기능을 제시했다. 평가 범주는 크게 정확성과 적절성으로 나누어서 설정했다. 정확성에는 발음과 문법, 적절성에는 담화 능력과 사회문화적 이해력으로 나누었고, 담화 능력 안에 어휘 사용과 담화 구성으로 묶었다. 기능과 주제는 국립국어원에서 배포하는 교재들을 분석해서 빈도 순으로 정렬한 후 높은 빈도순으로 설정했다. 3장에서는 평가 방식으로 CBT를 기반으로 한 말하기 숙달도 평가를 선택했고 각 문항의 유형과 예를 제시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말하기 평가는 단일 시험이다. 토픽처럼 등급별로 시험을 따로 보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시험을 보고 그 점수에 따라 등급을 매기는 것이 비용이나 시간 등 여러 가지 면에서 경제적이라 생각했기 때이다. 문항수는 10문항 소요시간은 약 30분으로 설정했다. 문항 유형은 KPE시험, 전나영(2007), 박동호(2012) 등을 참고하여 문항별로 수준을 나누고, 제가 연구할 시험이 중급 수준 이상의 수험자이기 때문에 중급 이상부터 고급까지의 문항유형으로 10문항을 설정하고 평가 범주별로 제시했다. 그 후 각 문항별로 예시를 제시한 내용이다. 그리고 채점방안을 마련했다. 채점등급은 1급부터 6급까지 나누었고 각 등급별로 세부 내용을 기술했다. 평가 범주별로 각 25%씩 비율을 적용하여 문항별 최소 4점, 최대 10점씩 총 100점 만점으로 평가 등급을 내리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4장에서는 결론에서는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고, 지금까지 연구가 부족했던 한국어 말하기 숙달도 평가의 분야에서 더욱 효율적인 평가 방법과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번 연구를 통해서 다양한 학습자 집단을 대상으로 검증해 보지 못했다는 점은 아쉬움으로 남지만, 이런 연구들을 합리적인 말하기 숙달도 평가 도구 개발을 위한 초석을 다지려는 하나의 시도이자 하나의 안으로 보고, 실제로도 표준화된 말하기 평가 도구가 개발 되었으면 한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assessment method and a tool of Korean speaking proficiency. In chapter 1, purposes and methods of the study are described, and preceding researches are explored. The preceding researches are classified into an assessment category, proficiency evaluation, and achievement evaluation. In chapter 2, goals and subjects of this study are determined. Then, assessment categories are set up, and their themes and functions are suggested. The assessment categories are divided mainly into accuracy and adequacy. The accuracy category contains pronunciation and grammar, and the adequacy category contains discourse competence and sociocultural comprehension, which includes vocabulary usage and discourse construction. Functions and themes in materials distributed by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are arranged in the order of frequency, and selected. In chapter 3, CBT-based speaking proficiency assessment is selected as an assessment method, proposing types and examples of each question. The proficiency assessment which this study intends to propose is a single test. Unlike TOPIK, a test by grade, it seems economical in terms of cost of time to take a single test and classify grades according to scores. 10 questions in 30 minutes of run-time are set. Referring to KPE test, Cheon Nayoung(2007), and Park Dongho(2012) the types of questions are divided according to their levels. Since examines with intermediate level or more a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10 questions from intermediate to high level are suggested by assessment category. After that, examples of each question are listed, and grading measures are presented. From 1 to 6 grades, detailed contents are described. For assessment level, each category has 25% of full 100 marks, and each question has from minimum 4 marks maximum 6 marks. Lastly, in chapter 4, results of the study and more efficient assessment method and improvement in the Korean speaking proficiency test are proposed. Korean speaking proficiency assessment is one of the fields that have not been researched enough. Although it leaves much to be desired that this study doesn’t include various learner groups, it can be a cornerstone to develop proper assessment tools. I anticipate actual proficiency assessment tool will be developed in the future.

      • OTDR 기반의 광섬유 온도 센서 및 CMOS 이미지 센서를 이용한 방사선 검출기의 개발

        장재석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31

        전 세계적으로 인구증가, 경제발전 및 소비패턴의 변화로 인한 에너지의 수요 증가와 대부분의 에너지를 공급해주는 화석연료의 고갈문제 등으로 인해,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 여러 국가에서 낮은 연료의 비용으로 높은 효율의 에너지를 생산하는 원자력발전소(원전)를 가동·건설 중이거나 건설계획 중에 있다. 우리나라 원전에서는 원자로 냉각재로 경수 및 중수를 사용하고 있으며, 방사능 누출을 예방하기 위하여 폐회로 순환으로 냉각하고 있다. 최근 원전 가동호기 및 운전년수가 증가함에 따라 원전배관에서의 결함 발생 가능성 및 손상 사례가 점차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운전 중 배관의 손상 및 결함으로 인한 냉각재의 감소는 원자로 핵연료 냉각율을 부족하게 하여 노심 안정성에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고, 열교환기 혹은 격납용기에서 대기 중으로 고방사화 경수가 누설될 경우에는 작업자를 비롯한 주변 주민의 방사선 피폭을 초래할 수 있다. 현재 원전 배관의 용접부에서 주로 발생되는 냉각재 누설을 측정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들이 시행되고 있으나, 대부분 수작업에 의한 오프라인 검사를 실시하고 있어 실시간 측정의 어려움 및 작업자의 방사선 피폭에 대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원거리에서 냉각재 배관의 파단 전 누설 여부를 조기에 감지할 수 있는 센서와 방사성 물질의 유출로 인한 작업자의 피폭을 방지하기 위해 방사선 위험구역을 실시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센서의 연구개발은 원전 시설의 안전성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광섬유를 이용한 온도 센서는 온도변화에 따라 광학적 특성이 변하는 광학 감지물질과 광 신호를 전송해주는 광섬유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경량화 및 소형화하여 제작이 가능하다. 또한, 기존의 전자식 온도 센서와 다르게 전자파 간섭에 대한 내성을 가지고 있으며, 원거리에서 실시간으로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광섬유 온도 센서는 플라스틱 및 유리로 구성된 광섬유를 사용하고 있어 고온에서 견딜 수 없다. 최근 광학 기술 및 광섬유 제조 과정의 발전으로 인해 고온에서 안정적인 광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금속 코팅 광섬유가 개발되었다. 따라서 금속 코팅 광섬유를 광섬유 온도 센서의 광 신호 전송부로 사용할 경우, 원전의 냉각계통 고온 배관과 같은 고온 환경에서도 온도 측정이 가능하다. CMOS 이미지 센서를 이용한 방사선 검출기는 입사된 방사선에 의해 발생되는 전류와 이미지에서 발생되는 백색 점을 이용하여 방사선을 측정하는 검출기이며, 실시간으로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현재 연구된 CMOS 이미지 센서를 이용한 방사선 검출기는 일반적인 영상을 촬영하지 않고 기존의 방사선 검출기와 같이 방사능만을 측정한다. 이에 따라 방사선 위험지역에서 방사성 물질의 유출로 인해 작업자의 접근이 어려운 장소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CMOS 이미지 센서를 기반으로 하는 방사선 검출기의 연구개발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원자로 냉각계통 배관의 결함 및 손상으로 인해 발생되는 냉각재 누설을 배관의 파단 전에 감지할 수 있는 광섬유 온도 센서 개발의 일환으로 실리콘 오일의 감지물질과 금속 코팅 광섬유를 이용하여 고온에서 사용할 수 있는 광섬유 온도 센서를 제작하였다. 또한, 방사선 위험구역을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방사선을 검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CMOS 이미지 센서를 이용한 방사선 검출기를 개발하였다. Because of growing global energy demand driven by population growth, economic development and changes of consumption pattern and shortage of fossil fuels that cover most of energy needs, nuclear power plants are operating, are under construction or are planned to be built to generate high-efficient energy at low costs in many countries, as well as Korea. Light water and heavy water are used as the reactor coolant and chilled by a closed-loop circuit at the nuclear power plants in Korea. The number of currently operating units and years of the operation of the power plants are increasing along with failure probability and damages of pipes in the plants. The reduction in coolant caused by the damages and defects of the pipes during the operation can lead to the reduction in the cooling rate of nuclear fuels and failure of core safety, and workers and residents nearby can be exposed to radiation when highly activated light water is released from the heat exchanger or the container into the atmosphere. In regard to reactor safety, it is very important to monitor in real-time and at long distance the coolant leakage and radiation caused by the failure and damages of high temperature pipes in the cooling system. A fiber-optic temperature sensor can be made in light weight and small size as it is composed of sensing elements that change their optical properties and optical fiber that carries light. In addition, this has a high tolerance to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unlike existing electrical temperature sensor, and this can be used to measure the temperature in real time and at long distance. Most of fiber-optic temperature sensors are composed of plastic and glass optical fiber and are not well suited for high temperature condition. A new metal-coated optical fiber was developed to transmit light signals in the high temperature condition by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process of producing optical fibers. Now further research and development are needed to use the fiber-optic temperature sensors to high temperature pipes in the cooling system. A radiation detector using CMOS image sensor is used for detecting radiation by a white point from the electrical current and images resulted from the radiation emitted and this can be used at long distance, unlike existing radiation detectors including Geiger-Müller tube, Scintillation detector and ion chamber. However, the radiation detector using CMOS image sensor currently being investigated is only used to measure radiation, not to photograph a subject. New CMOS image censors needs to be researched and developed for monitoring places which are inaccessible by radiation and for detecting radiation in a reactor system. In this study, as a part of developing a detector to detect coolant leakage caused by the failure and damages of high temperature pipes in the cooling system of reactor, substances that can detect silicone oils and endure a high temperature and the fiber-optic temperature sensor that can be used in a high temperature condition with the metal-coated optical fiber are developed. In addition, the radiation detector using CMOS image sensor was developed to monitor in real time the radiation exposure and circumstance as a result of reactor acci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