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댄스스포츠 선수의 국제부경기참여와 수상에 따른 심리적요소와 불안의 관계
함서정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본 연구에서는 댄스스포츠 선수들의 국제부 참여 유무와 수상 여부에 따른 심리적 요소와 불안의 차이를 분석하여 댄스스포츠 선수들의 심리적 요소 훈련과 불안 극복에 따른 경기력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자는 2008년 9월 6일 춘천 월드레저컵 댄스스포츠 대회에 참가한 선수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심리적 요소 질문지는 Hall, Mack, Pavio & Hausenblas(1998)가 개발한 스포츠 심리적 요소 질문지를 문윤제(2004)가 번안한 스포츠 심리적 요소 질문지로 23개의 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경쟁 상태불안 질문지는 1990 Martens(1990)에 의해 고안된 CSAI-2로 이강헌 등(1993)에 의해 표준화 시킨 질문지를 이용하였다. 기술적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Ver 14.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M±SD를 산출하였다. 적용된 통계 분석기법은 t-test,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자료처리를 통하여 댄스스포츠 선수들의 국제부 참여 유무와 수상 여부에 따른 심리적 요소와 불안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경기수준에 따른(국제부 유무) 심리적 요소 요인 결과 일반적 동기각성, 일반적인지 심리적 요소, 일반적 동기숙련에서 그리고 불안요인에서는 신체적 불안에서 국제부에 참여하지 않은 집단이 참여한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기능에 따른(수상 여부)심리적 요소 요인 결과 일반적 동기각성, 구체적인지 심리적 요소, 일반적인지 심리적 요소, 일반적 동기숙련에서 그리고 불안요인에서는 자신감에서 수상한 집단이 수상하지 않은 집단 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왔으며 불안요인에서는 인지불안과 신체적 불안은 수상하지 않은 집단이 수상한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국제부 참여-비 수상, 국제부 비 참여-수상, 국제부 비 참여-비 수상한 집단의 상관관계를 보면 인지적 불안은 일반적 동기각성과 일반적 인지 심리적 요소와 정적관계를 나타내고, 신체적 불안은 일반적 동기각성에만 정적 관계를 나타냈다. 자신감에서는 구체적동기 심리적 요소, 일반적 동기각성, 구체적인지 심리적 요소, 일반적 동기숙련에서 유의한 정적관계를 나타냈고, 일반적인지 심리적 요소에서 유의한 부적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국제부 참여-수상한 집단의 상관관계를 보면 인지적 불안에서는 구체적동기 심리적 요소, 일반적 동기각성, 일반적인지 심리적 요소에서 유의한 정적관계를 보이며, 신체적 불안에서는 일반적 동기각성에서 정적 상관을 나타낸다. 그리고 자신감에서도 일반적 동기각성에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심리적 요소와 불안의 중다회귀 분석결과 인지적 불안에서는 일반적 동기각성, 일반적인지 심리적 요소에서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체적 불안과 자신감에서는 일반적 동기각성이 각각 하나씩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elements and anxiety by participation in international games and prize-winning by dance sports players and provide basic data to improve competitiveness by allowing them to train psychological elements and overcome anxiety.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00 players participating in the Chuncheon World Leisure Cup Dance Sports Meets held on September 6, 2008. For descriptive data analysis, M±SD was estimated by using an SPSS Ver 14.0 statistical program.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in this study included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rough this data processing, drawing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according to the level of games (international or not), the group not participating in the international game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general motive arousal, general recognition, and general motive skill in terms of the factor of psychological elements and physical anxiety in terms of the anxiety factor than that participating in the international games. Second, according to functions (prize-winning), the group winning a prize showed significantly higher general motive arousal, concrete cognition, general cognition, and general motive skill in terms of the factor of psychological elements than the group not winning a prize while the group not winning a prize showed higher cognitive and physical anxiety in terms of the anxiety factor than that winning a prize. Third, as for correlation among the group participating in international games and not winning a prize, that not participating in international games and winning a prize, and that not participating in international games and not winning a prize, cognitive anxiety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general motive arousal and general cognition while physical anxiety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general motive arousal alone. Self-confidence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concrete motive, general motive arousal, concrete cognition, and general motive skill but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general cognition. Fourth, as for correlation in the group participating in international games and winning a prize, there i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in concrete motive, general motive arousal, and general cognition in terms of cognitive anxiety and in general motive arousal in terms of physical anxiety. There is also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in general motive arousal in terms of self-confidence. According to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psychological elements and anxiety, there wa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ognitive anxiety and psychological elements of general motive arousal and general cognition and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hysical anxiety and self-confidence and general motive arousal.
建設業 原·下請 企業間 均衡的 發展을 위한 相生協力關係 모델 : 江原地域 建設業體 中心으로
金珍鳳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박사
최근 국내 건설경기는 대형공공공사의 발주물량이 크게 감소하고, 정부의 부동산 안정화 정책 및 세제정책 등으로 침체국면이 계속되고 있다. 그나마 국내건설업체에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해오던 공동주택 재건축 부문도 시점이 연장되고, 각종 금융규제정책으로 경영여건이 더욱 악화될 위기에 놓여 있으며, 이러한 경영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건설업체간 수주경쟁은 더욱 치열해 지고, 건설시장의 불확실성도 한층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건설시장의 치열한 경쟁과 불확실성에 효율적이며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건설업체간 협력체계 구축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건설업체간 협력체계는 건설업 원·하청기업간의 균형적 상생을 위한 협력관계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대·중소 건설업의 관계는 공존·공영할 수 있는 방향으로 보완적, 분업적 협력관계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는 국내 중소 건설업의 현황, 건설업체간 협력체계 및 협력 사례 등에 대해 관련 자료 및 문헌을 통한 조사와 이론적 고찰을 실시하고, 연구의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강원지역 일반건설업체와 전문건설업체간 상생 협력 실태 분석을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내용은 일반건설업체와 전문건설업체의 영역별로 경영실태의 일반적 현황과 경기전망, 원ㆍ하도급 의존도, 수·발주 문제 및 하도급 계약, 공사단가/금액 결정, 하도급 공사대금 지급등과 관련 사항, 상생협력에 관한 인식 및 발전방안, 양극화 관련 인식, 상생협력 관련 문제점 인식, 균형적 상생협력 발전방안, 제도 개선 및 지방자치단체/대정부 건의사항 등을 설문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조사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원·하청기업 간 균형적으로 상생 협력할 수 있는 협력체계 구축을 위하여 일반 건설업체(원청기업)의 역할, 전문건설업체(하청기업)의 역할, 원?하청기업의 신뢰 구축, 상생협력 증진 혁신 방안, 영역별 협의회 구축 및 활성화 등 건설업 상생협력 증진 모델을 도출?제시하였다. 제시한 건설업 상생 협력 모델을 우리나라 건설업의 실태, 현황, 발전 방향 등을 종합하여 건설산업의 생태계를 자연계의 생물학적 생태계 개념과 비교 설명하였다. 강원지역 건설업의 발전 방향은 먼저 국내 대·중소 건설업의 특성, 하도급 체계 등 현황과 일반 건설업과 전문 건설업의 관계, 건설업의 문제점, 상생 협력의 필요성, 상생협력 방안, 국내외 사례를 고찰하였으며 강원지역 건설업의 실태와 상생협력 현황을 파악하여 지역 건설업의 지원ㆍ육성 당위성과 수요 창출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건설업 국내 원·하청기업간 균형적으로 상생 협력할 수 있는 실질적인 협력체계 구축 모델은 일차적으로 강원지역을 중심으로 수행되었으나 향후 관련 자료를 전국적으로 수집 분석함으로써 강원 지역 중심으로 도출?제시된 현재의 연구결과를 객관적으로 검증해 갈 예정이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 제시된 건설업 원·하청기업 간 협력증진 모델이 전국적 모델로 확대 발전할 수 있도록 후속 연구를 추진할 계획이다. Recently, the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y has been rapidly reduced and its economic slump has continued with the government's policy of estate stabilization and taxation. Moreover, the apartment reconstruction comes into a crisis of getting increasingly worse with the prolongation of the start of reconstruction and the finance restriction policies. Construction markets have become quite uncertain, and construction companies have come into harsh competition. As a consequence, the establishment of collaboration relationship among construction companies has been brought up as one of the methodologies to resolve efficiently these uncertainties and keen competitions. The collaboration relationship among construction companies is based on the balanced and cooperative relationship, and their relationship among big, middle and small contractors should serve to maintain their mutual survival and prosperity. This study makes a survey in order to analyze the actual conditions of mutual cooperation between general contractors and special contractors in Gangwon area. The survey covers a wide range of general present situation of management, economic prospects, dependence of contractors and subcontractors, problems of receiving and placing orders, contracts of subcontractors, construction unit price/decision of money, and charging construction payment of subcontractors. It also includes developmental projects about mutual cooperation, recognition of bipolarization, recognition of problems related to mutual cooperation, developmental plans of balanced mutual cooperation, the improvement of the system, suggestions to the local and central governments, and so on in the territories of general contractor and special contractors. And in order to establish the cooperation system between prime and subcontractors, this study, with the results of analyzed survey, suggests developmental models for the mutual cooperation of construction industry such as roles of general contractors (prime contractors), roles of special contractors (subcontractors), construction of trust between prime and sub contractors, innovative plans for mutual cooperation, construction and activation of various conferences according to territories. This study compares the suggested models of mutual cooperation with the ecosystems of construction industry by synthesizing the actual condition of internal construction industry, present situation, developmental direction and so on. This paper proposes a model for constructing practical collaboration relationships between prime and sub contractors in Korean construction companies after analyzing the questionnaires as well as surveying the case studies of their actual conditions. This study is carried out with focus on Gangwon area, but by collecting and analyzing the related data over the country, it will verify objectively the present academic results focused on Gangwon area. Subsequent study will be continued so that the suggested cooperation model among prime and sub contractors can be enlarged and developed to the nationwide one.
응급의료종사자의 수면의 질이 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임세영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the quality of sleep of general hospital shift workers to their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nd related factors by making a descriptive correlation research in an effort to provide information on how to relieve the stress of shift workers and improve their job satisfaction. This study was focused on the influence of sleep on the stress and job satisfaction in the hospital shift workers.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22.0 program. Cronbach alpha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to verify the internal consistency and reliability, and t-test and ANOVA were utiliz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he quality of sleep on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done.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set at .05.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30 shift workers in five general hospitals in a province. A self-administered survey was conducted from March to May, 2014, and the answer sheets from 209 respondents were analyzed except for 21 incomplete one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sample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shift workers in five general hospitals in G province. The subjects were 101 male (48.3%) and 108 female (51.7%). As to age, 111 workers(53.1%) were in their 30s and down, and 59 respondents(28.2%) were aged between 31 and 39. 39 workers(18.7%) were at the ages of 40 and up. In education level, 97 respondents(46.4%) were college graduates, and 60 workers(28.7%) were junior college graduates. 31 respondents(14.8%) were high school graduates, and 21 workers(10.0%) received graduate school education. As for marital status, 148 workers (70.8%) were single who outnumbered the married ones(29.2%) that numbered 61. In relation to the line of work, 142 workers(67.9%) were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and nurses, and 67 respondents(32.1%) were doctors. The most common length of service in the current workplaces was less than a year(74 workers, 35.4%), followed by between one and less than three years(53, 25.4%), 10 years or more(33, 15.5%), between three and less than five years(32, 15.3%) and between five and less than 10 years(17, 8.1%). The most common total length of service was less than a year(64 workers, 30.6%), followed by between one and less than three years(47, 22.5%), 10 years or more(36, 17.2%), and between three and less than five years/between five and less than 10 years(31, 14.8%). This finding implied that the new employees joined the general hospitals at the beginning of the year. In relation to turnover experience, 142 workers (67.9%) replied they had turnover experience, and 67 workers(32;1%) replied they had not. As to satisfaction level with the pattern of work, 115 respondents(55.0%) answered, "So-so." 54 workers(25.8%) were satisfied, and 40 workers(19.1%) were unsatisfied. Their favorite pattern of work was three-part double shifts b(84 workers, 40.2%), followed by 24-hour three shifts(49, 23.4%), the others(47, 22.5%), 24-hour shift work(15, 7.2%) and three-part double shifts a(14, 6.7%). 2. The sub-factors of the quality of sleep of the shift workers were analyzed by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aily duties, post-sleep recovery, difficulty in sleeping, difficulty in waking up sleep satisfaction level and difficulty in sleep maintenance, which were the sub-factors of the quality of sleep. 3. As a result of analyzing their stress by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th of physical stress and psychological stress. 4. The sub-factors of the job satisfaction of the shift workers were analyzed by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teraction, job itself, job requirements, working conditions and pay. 5. As a result of making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the quality of sleep on physical and psychological stress, the factors that had a significant impact on physical stress were post- sleep recovery, difficulty in getting up, difficulty in falling asleep and difficulty in sleep maintenance. The factors that exercised a significant influence on psychological stress were daily duties and difficulty in getting up. 6. As a result of making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their quality of sleep on job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was under the significant influence of post-sleep recovery, difficulty in falling asleep, difficulty in getting up and difficulty in sleep maintenance. 응급의료종사자는 직업의 특성과 과다한 업무량 등으로 야간근무를 포함한 교대근무를 시행함으로써 생체리듬의 역행으로 수면의 질이 낮아지고 그 결과 신체적, 심리적 스트레스를 유발하여 응급의료종사자의 직무만족도에도 영향을 미치고 병원 조직과 환자에게도 악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응급의료종사자의 수면의 질과 스트레스,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수면의 질이 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고 궁극적으로 응급의료종사자들의 수면의 질을 향상시키고 스트레스 감소와 직무만족도를 높이며 조직의 효율적인 발전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방법은 2014년 G도에 소재한 종합병원에게 교대근무를 하고 있는 응급의료종사자 209명을 대상으로 연구의 목적과 설문작성의 유의점을 인식시키고 대상자에게 배포하여 자기평가기입식(self-administered method)으로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연구도구로 수면의 질은 이혜련(2005)이 개발한 수면의 질 측정도구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고 스트레스는 박순영(1999)이 개발하고 김혜자(2001)가 사용한 도구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직무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Slavitt(1978)등이 개발한 “The index of Work Satisfaction”을 번역하여 김순심과 권혜란(2002)이 사용한 도구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Window용 SPSS 2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일반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교대근무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수면의 질, 스트레스, 직무만족도의 차이는 t-test와 ANOVA를 실시하였으며, Duncan의 사후분석을 이용하여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또한 수면의 질, 스트레스,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대근무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수면의 질의 하위요인인 일상 업무, 수면 후 회복, 잠들기 어려움, 일어나기 어려움, 수면 만족도, 수면 유지의 어려움에 있어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교대근무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신체적 스트레스와 심리적 스트레스 모두 유의한 결과를 보였으며 교대근무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의 하위요인들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직무만족도의 하위요인인 상호작용, 직무자체, 업무요구도, 근무여건, 보수에 있어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교대근무자들의 수면의 질을 높이고 스트레스를 줄이며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수면의 질을 높이기 위해 야간 근무 중에 휴식 시간과 휴식 공간 마련, 기숙사 제공, 교대근무 형태에 따라 방 배정, 암막커튼 설치 및 방음 처리 등이 마련되어야 한다. 응급의료종사자들의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 병원 내 혹은 기숙사 내에 여가 생활을 즐길 수 있는 공간을 만들고, 사내 동호회 활성화, 병원 내에 직원대상으로 상담소 운영, 대인관계에서 적극적인 소통을 할 수 있게 하여 스트레스 해소를 용이하게 해 준다. 응급의료종사자들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근무 형태 및 업무시간, 적절한 인력배치 등을 조정하고 병원 내 응급의료종사자의 불만요인을 파악하여 직무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할 것이다. 따라서 그들의 수면의 질을 향상시켜서 스트레스 해소와 직무만족도를 높여 환자들에게 질 높은 진료에 이바지 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고 더 나아가 병원에도 크게 공헌 할 것이다.
실물옵션이론에 기반한 리츠의 가치평가와 최적만기의 결정
최진하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박사
국내 리츠(REITs : Real Estate Investment Trusts)는 2001년 도입 이후 지금까지 약 16년의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성장하여 왔다. 당초 리츠의 도입 취지는 비거래 및 비유동화 자산의 특성을 지닌 부동산을 증권화 하여 유동화하고 자본여력이 부족한 일반투자자들도 대규모 금액이 투자되는 부동산 자산에 소액으로 투자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건전한 자산형성에 기여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지금까지 국내 리츠의 현실은 엄격한 규제, 사모위주의 성장, 비일률적인 리츠 회계정보의 기록방법으로 인한 투자관련 정보의 부족, 그리고 만기에만 자본을 회수할 수 있는 폐쇄식 운영에 따른 일반투자자들의 자본회수에 대한 불안 등으로 일반투자자들의 리츠로의 투자는 제한되어 왔다. 또한 리츠의 실질적인 운영주체인 많은 자산관리회사들은 1사 1물의 형태를 지녀 영세한데다가 일반투자자들의 자본회수를 위한 권리보호조항의 마련 및 적정시기에서의 투자자산 매각 등 효율적인 운영관리에도 한계가 있어 비슷한 시기에 리츠를 도입했었던 여타 국가들의 사례에 비해 리츠의 성장세도 둔화되어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본 연구에서는 자산관리회사의 역할확대를 통해 이와 같은 문제점들의 개선에 도움을 주고자 관련 금융경제 및 옵션가격결정이론을 기초로 한 실물옵션이론을 토대로 리츠 투자자들의 자본회수위험 해소를 위한 사업의 가치평가와 리츠 기초자산의 적정운영기간 추정을 위한 두 개의 금융모형을 구성하였으며, 이들은 각각 자산관리회사가 리츠의 일반투자자들에게 자본회수시기를 결정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하고 관련 사업가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자본회수에 대한 위험을 해소시켜 리츠로의 투자를 유도할 수 있는 조기청산권 가치평가 모형과 리츠 기초자산에 대한 적정운영기간을 관리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여 효율적인 자산관리를 지원토록 하는 최적만기결정 모형이다. 또한, 이렇게 구성한 두 개의 금융모형에 리츠 사례들을 적용하고 각 모형에 투입된 변수들의 단위변화에 따른 옵션의 기대 사업가치 및 최적만기의 변화를 관찰함으로써 관련 정보와 시사점을 제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조기청산권 가치평가 모형에 있어 기회비용을 고려하지 않은 모형에서는 투자시기 이후 예정만기까지 옵션의 기대 사업가치가 계속 증가하였으나 기회비용을 고려한 모형에서는 투자 이후 1.5년부터 예정만기 1년 전까지는 옵션의 기대 사업가치가 감소된 이후 예정만기에서 다시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기회비용을 고려치 않을 경우에 옵션 사업가치의 과잉추정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일반투자자들은 자본회수시기별 옵션의 기대 사업가치 정보를 토대로 개인의 주관적 효용에 따라 자본회수를 결정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었다. 또한, 최적만기결정 모형에서는 자산관리회사가 지닌 경영상 유연성의 가치를 고려한 최적만기를 추정하였으며 그 결과, 자산관리회사는 금융모형을 토대로 도출된 최적만기까지 시간이 흐름에 따라 불확실한 시장상황 하에서 기초자산의 매각시기 파악을 위한 정보획득 비용을 줄일 수 있고 투자자산의 적정운영기간을 파악하기 위한 정보수단으로서 의미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더불어, 두 개의 금융모형에 투입된 변수들의 단위변화에 따른 의사결정 정보에 있어서는 기초자산 초기가치, 초기지분투자액, 재투자수익률, 그리고 기회비용 수익률의 값이 증가할 경우 자본회수시기 및 최적만기를 앞당기는 것이 일반투자자들의 자본회수이익 및 리츠 전체의 이익 측면에서 유리하고 무위험이자율이 증가할수록 자본회수시기와 최적만기를 지연시키는 것이 일반투자자들의 자본회수이익 및 리츠 전체의 이익 측면에서 유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변동성의 가치가 증가할 경우 조기청산권 가치평가 모형에서는 자본회수시기를 앞당기는 것이 일반투자자들의 자본회수이익 측면에서 유리하고 최적만기결정 모형에서는 최적만기를 늦추는 것이 리츠 전체의 이익측면에서 유리함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리츠의 대형화와 영속적 운영을 위한 다양한 방안들의 일환으로서 자산관리회사가 일반투자자들에게 향후 조기청산권 제도에 의한 자본회수시기 결정 권리를 부여하고 기초자산에 대한 적정운영기간의 효율적 관리 등 역할확대를 통해 투자자들의 리츠 투자 활성화를 유도할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더욱 다양한 리츠 상품이 개발되는 선순환 구조를 가져올 수 있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을 것이다. Real estate investment trusts (REITs) have been witnessing a steady growth for the past 16 years since they were introduced in Korea in 2001. REITs were introduced with an aim to securitize real estate assets, which are usually non-tradeable and considered illiquid, and to help the individual investor with insufficient capital resources to build healthy assets, by allowing them to make small investments in large-scale real estate assets. However, in reality, the individual investor has limited opportunities to invest in REITs for various reasons, including excessively stringent regulations and lack of investment-related information due to non-uniform accounting standards. The fact that the capital can be withdrawn only at maturity also discourages investments, increasing concerns over potential capital recovery. Moreover, the growth rate of the REIT industry in Korea has been relatively lower than in other countries. This is because most AMCs(Asset Management Companies) that act as the actual operators of REITs are small in their size, given that one company has only one underlying asset. Furthermore, AMCs have not been very efficient in operating and managing REITs with regard to timely disposal of investments and provisions for protecting the rights of individual investors for capital withdrawal. To resolve these issues, this study seeks to structure two financial models by modifying theories relevant to financial economics and option pricing. This, in turn, allows premature liquidation valuation to alleviate the risk of capital recovery and estimation of optimal operation periods for underlying assets. The first financial model is the premature liquidation valuation model. This model facilitates AMCs to allow individual investors to decide capital-recovery time and provide them with value-related information. This, in turn, encourages investment in REITs through the hedging of capital recovery risks. The second financial model is the optimal time to maturity model, which can help AMCs determine the optimal time to maturity to enable efficient asset management by generating information necessary to estimate the operating period for REITs’ underlying assets. In addition, this study aims to present relevant information and implications by applying the two models to the case of REITs, and by observing the changes in project value for options and optimal time to maturity depending on the unit changes in the variables applied to each model. In regard to the analysis results of the premature liquidation valuation model, without considering opportunity cost, the expected project value of options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time of initial investment to maturity. However, considering opportunity cost, the expected project value of options decreases beginning 1.5 years after the investment was made until one year preceding the expected maturity. Thereafter, the expected project value increases again after the time of expected maturity. These findings are meaningful in that the problem of overestimated option value may arise when the opportunity cost is not taken into account, and that investors may make decisions on capital recovery based on their subjective utility using the information on expected project value of option by the time of capital recovery. Furthermore, the optimal time to maturity model estimated the optimal maturity considering the managerial flexibilities of AMCs. As a result, it is possible for AMCs to reduce the cost of acquir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resale time of the underlying asset amid the market environment where the optimal operating time until maturity becomes volatile with time. This indicates that the model is an effective informational tool to analyze the optimal operation period for investments. As for the results drawn from sensitivity analyses of two financial models which can be useful for decision-making, when the values of underlying assets, initial equity, rate of return on re-investment, and rate of return on opportunity cost increase, it is more advantageous for individual investors as well as REITs to advance the timing of capital recovery and optimal time to maturity. Furthermore, as the risk-free interest rate increases, it is more advantageous for individual investors as well as REITs to postpone the timing of capital recovery and optimal time to maturity. As volatility increases, it is more advantageous for individual investors as well as REITs to move up the timing of capital recovery in the premature liquidation valuation model, while it is preferable to delay the optimal time to maturity in the optimal time to maturity model. Finally,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they imply that AMCs can encourage investments in REITs by providing individual investors with the right to decide their capital recovery timing through a premature liquidation system and by managing the optimal operation time for underlying assets more efficiently. Such improvements and the expansion of the role of AMCs would create a virtuous cycle.
석회질 폐자원과 계분 바이오차 처리에 따른 토양 중금속 안정화
임정은 강원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2015 국내박사
최근 토양개량제를 처리하여 토양 내 생물유효성 중금속(bioavailable metals)을 저감하는 중금속 안정화(stabilization)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고 있다. 특히, 기존에 재활용없이 폐기되던 부산물을 중금속 안정화용 개량제로 활용하는 경우 폐자원의 재활용을 통한 경제성 및 기존 개량제와 동일한 정화효율성의 확보가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물로 발생하는 폐자원(불가사리, 계분 바이오차, 굴껍질, 달걀껍질)을 중금속 오염토양에 투입한 후 정화효율을 평가하였으며, X-선 흡수분광법(XAS, X-ray absorption spectroscopy)과 SEM-EDS(scanning electron microscope-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meter)를 활용하여 중금속 화학종을 정확하게 구명함으로써 안정화 방법의 효율성 및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먼저, 폐기되는 불가사리를 수집하여 소성(calcination) 가공한 후 오염토양에 투입하여 중금속 안정화 효율과 기작을 평가하였다. 불가사리(NSF, natural starfish) 및 소성 불가사리(CSF, calcined starfish)의 주 구성성분은 각각 CaCO3 및 CaO 였으며, 오염토양에 투입 후 항온배양을 실시하고 TCLP(Toxicity characteristics leaching procedure)를 통해 토양으로부터 납(Pb), 아연(Zn), 비소(As)의 용출 저감 정도를 평가한 결과, 납은 NSF, CSF 처리구가 무처리구 대비 각각 76.31~100%, 91.23~100%까지, 아연은 각각 89.82~100%, 93.17~100%까지 용출이 저감되었다. 이는 NSF, CSF의 토양 투입 후 pH 상승에 의한 토양 음전하 부위(negative charge sites) 증가와 이에 따른 중금속 흡착 증진, 불용성 화합물 생성 등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편, 비소는 NSF 투입량 증가에 따라 용출농도가 증가하였으며 이는 NSF 투입 후 토양 내 비소와 인(P)의 경쟁 흡착에 기인한 결과로 판단되었다. CSF 처리구는 5 wt%까지 비소 용출이 증가하였으나 10 wt% 처리구에서는 무처리구 대비 100%까지 용출이 저감되었다. 이는 토양 pH의 급격한 상승(pH 12~13) 후 불용성의 Ca-As 침전물 생성에 의한 결과로 판단되었다. MINTEQ을 이용한 열역학 모델링 결과 CSF 처리구에서 ettringite, portlandite의 생성이 예측되었으며, SEM-EDS를 활용한 토양 내 미세구조의 관찰을 통해 CSF 처리구에서 바늘모양의 결정 생성 및 ettringite의 구성원소와 납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불가사리의 투입은 오염토양 내 납, 아연을 안정화할 수 있으며, 이를 소성하여 투입하는 경우 납, 아연, 비소를 동시에 안정화할 수 있어 개량제로 재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계분(PM, poultry manure)과 이를 300℃(PBC300) 및 700℃(PBC700)로 열분해(pyrolysis)하여 생산한 바이오차(biochar)를 중금속 오염토양에 투입하여 21일간 항온배양한 후 카드뮴(Cd), 구리(Cu), 납, 아연에 대한 안정화 효율을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PM 처리구의 경우 토양으로부터 용출되는 납, 카드뮴, 아연, 구리의 농도가 각각 최대 408, 77, 24, 955%까지 증가하였으나 PBC700 처리구의 경우 납, 카드뮴, 아연, 구리의 농도가 모두 감소하였으며, 무처리구 대비 감소율은 각각 최대 23, 38, 52, 36%로 나타났다. 열역학 모델링 결과 PBC700 처리구에서는 납과 구리 화학종의 경우 수산화물인 Pb(OH)2, Cu(OH)2의 침전이 예상되었다. 특히, 납은 매우 낮은 용해도(solubility)를 보유한 chloropyromorphite, hydroxypyromorphite 등으로의 침전이 예상되었다. SEM-elemental dot mapping 결과 PBC700 처리구에서 납과 인의 분포부분이 중첩되어 두 원소간의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염토양에 대한 양분 증대 및 중금속 안정화를 위해 계분을 처리하는 경우 양분 증대 효과는 기대할 수 있으나 중금속 안정화 효과는 토양의 pH, DOC 함량이 고려되어야 하므로 그 사용이 매우 제한적일 수 있다. 그러므로 양분 증대 및 중금속의 안정화가 동시에 가능한 계분 바이오차의 토양 처리가 가장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폐석회물질인 굴껍질(OS, oyster shell)과 달걀껍질(ES, eggshell)이 처리된 오염토양 내 납의 안정화 기작을 구명하기 위해 열역학 모델링 및 X-선 흡수끝머리 부근 미세구조(EXAFS, extended X-ray absorption fine structure) 분석을 실시하였다. MINTEQ을 통한 열역학 모델링 결과 OS, ES 투입을 통해 토양 내 Pb(OH)2 침전 형성이 예측되었다. 이와 함께 무처리구 토양, OS 및 ES 처리구 토양, 납 함유 표준물질의 EXAFS 스펙트럼들을 대상으로 LCF(linear combination fitting)을 실시한 결과, 무처리구의 경우 식물 뿌리로부터 방출된 citric acid로 인해 C12H10O14Pb3(lead citrate)가 44.7% 존재하였으며, 납과 광물의 흡착형태인 Pb-gibbsite와 Pb-kaolinite가 각각 26.4%, 20.3%로 나타났다. OS 처리구의 경우 Pb-gibbsite와 Pb-kaolinite가 각각 39.3%, 25.6% 였으며, ES 처리구의 경우 Pb-gibbsite가 33.8%로 나타나 무처리구에 비해 그 함량이 증가하였다. 이는 OS와 ES 처리를 통해 토양 pH가 상승하면서 음전하가 증대된 토양에 납의 흡착이 증가한 것에 기인한 결과로 판단되었다. 특히, Pb(OH)2의 경우 무처리구에서는 존재하지 않았으나 OS 및 ES 처리구에서는 각각 16.8%, 55.2% 존재하였는데, 이는 OS와 ES 처리에 의해 증가된 토양 pH 조건에서 토양에 존재하는 납의 수산화물 형성이 증가한 결과로 판단되었다. 그러므로 폐석회물질인 OS와 ES은 오염토양 내 납을 안정화하므로 효과적인 토양 개량제로 재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결과들을 토대로 종합할 때, 현재 적용되는 중금속 안정화용 토양 개량제들은 단일 중금속의 정화에 대해서는 그 효과가 우수하나 다수의 중금속으로 오염된 경우에 의도치 않은 타 중금속의 용출을 증대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개량제의 적용 전 대상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 및 타 중금속 원소들과의 반응이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함께 불가사리의 소성 및 계분의 바이오차와 같이 추가적인 가공이나 혼합적용을 통해 기존 토양 개량제의 중금속 안정화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들에 대한 연구도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현재까지의 실험실 규모 연구결과들을 현장에 적용하는 연구와 함께 경제성을 고려한 최적투입량 산정에 관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Stabilization of metal(loid)s in contaminated soil has been applied to reduce the bioavailable fraction of metal(loid)s via application of various soil amendments. Especially, the application of waste materials as amendment for metal stabilization is able to secure the economic feasibility through recycling of waste resource and the high remediation efficiency. Therefore, this study evaluated the efficiency of stabilization of metal(loid)s in soil by application of waste materials such as starfish, poultry manure biochar, oyster shell and eggshell. After stabilization of the metal(loid)s, the stabilization mechanisms were revealed by using the advanced analytical techniques including X-ray absorption spectroscopy (XAS)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meter (SEM-EDS). The mobility of Pb, Zn and As in contaminated soil was evaluated using natural starfish (NSF), calcined starfish (CSF), CaCO3 and CaO at different application rates (0, 2.5, 5.0 and 10.0 wt%) in 14-months laboratory incubation experiment. The X-ray fluorescence (XRF) and X-ray diffraction (XRD)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CaCO3 and CaO were the major components in NSF and CSF, respectively. After incubation, the efficiency of metal stabilization in the soil was evaluated through the toxicity characteristic leaching procedure (TCLP) test. The concentration of TCLP-extractable Pb was reduced by 76.31 to 100% and 91.23 to 100% in soil treated with NSF and CSF, respectively. The concentration of Zn also reduced by 89.82 to 100% and 93.17 to 100% in soil treated with NSF and CSF. These reductions in Pb and Zn mobility may possibly be associated with increased adsorption of the metals onto the soil particles as well as the formation of insoluble metal compounds by increased soil pH after application of NSF and CSF. In particular, the concentration of TCLP-extractable As in soil treated with NSF was sharply increased. This increase may be due to the competition of phosphate with As for the surface binding sites on the soil. However, CSF 10 wt% treatment decreased the As concentration by 100%. This reduction could be due to the formation of an insoluble Ca-As complex at high pH of soil (pH 12~13). The thermodynamic modelling by visual MINTEQ predicted the formation of ettringite and portlandite in the CSF 10 wt% treated soil. Moreover, SEM-EDS confirmed the needle-like structure having 0.25% of Pb, which is a typical shape of ettringite, in soil treated with CSF 10 wt%. Therefore, the stabilization of Pb, Zn and As can be achiev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CSF. Stabilization of Pb, Cd, Zn and Cu in contaminated soil was evaluated using poultry manure (PM) as well as poultry manure biochar pyrolyzed at 300℃ (PBC300) and 700℃ (PBC700). The soil was treated with PM, PBC300 and PBC700 at different application rates (0, 2.5, 5.0 and 10.0 wt%) during the 21 days of incubation. After incubation, the efficiency of metal stabilization in the soil was evaluated through the TCLP. In the soil treated with PM, the concentrations of TCLP-extractable Pb, Cd, Zn and Cu were increased up to 408, 77, 24 and 955%, respectively. These increases may possibly be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dissolved organic carbon (DOC) concentration in the PM treated soil. However, in the soil treated with PBC700, TCLP-extractable Pb, Cd, Zn and Cu concentrations were reduced by up to 23, 38, 52 and 36%, respectively. These reductions in the concentration of metals may possibly be associated with the increased adsorption of the metals onto the soil as well as the formation of insoluble metal compounds by an increased soil pH after the application of PBC700. Thermodynamic modelling via visual MINTEQ predicted the precipitations of Pb(OH)2, Cu(OH)2 and P-containing minerals, such as chloropyromorphite [Pb5(PO4)3Cl] and hydroxypyromorphite [Pb5(PO4)3OH], in the PBC700 10 wt% treated soil. The SEM-elemental dot mapping analysis further confirmed the presence of Pb-phosphate species with the association of Pb with P in the dot map of PBC700 treated soi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reduced Pb concentration in PBC700 treated soil is related with the formation of chloropyromorphite and hydroxypyromorphite, both of which have very low solubility. The stabilization of Pb in contaminated soils treated with lime-based waste materials such as oyster shell (OS) or eggshell (ES) was evaluated with thermodynamic modelling and EXAFS (extended X-ray absorption fine structure) analysis. Thermodynamic modelling by visual MINTEQ predicted the precipitation of Pb(OH)2 in OS and ES treated soils. In particular, the values of saturation index (SI) for Pb(OH)2 in OS (SI=0.286) and ES (SI=0.453) treated soils were greater than in the control soil (SI=0.281). Linear combination fitting (LCF) analysis predicted the presence of C12H10O14Pb3 (lead citrate, 44.7%) by citric acid from plant root, Pb-gibbsite (Pb adsorbed gibbsite, 26.4%), and Pb-kaolinite (Pb adsorbed kaolinite, 20.3%) in the control soil. On the other hand, Pb(OH)2 (16.8%), Pb-gibbsite (39.3%), and Pb-kaolinite (25.6%) were observed in the OS treated soil and Pb(OH)2 (55.2%) and Pb-gibbsite (33.8%) were also confirmed in the ES treated soil. Our results indicate that the treatment with OS and ES stabilizes Pb by adsorption of Pb onto the soil minerals as a result of the increase in soil negative charge and the formation of stable Pb(OH)2 under high pH condition of soils. Consequently, the waste materials applied in this study could be superior soil amendments for stabilization of metals in contaminated soil. However, in the case of application of the amendments to soil contaminated with multi metal(loid)s, unintended mobilization of other metal(loid)s could be occurred (e.g. increase in mobile arsenic by P containing amendments). Therefore, the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the reaction between the amendments and other metal(loid)s should be considered before application of amendments for stabilization of target metal(loid)s. As future studies, the additional processes (e.g. pyrolysis or calcination) for the existing amendments and mixing application are required to increase the stabilization efficiency of the amendments. The application of previous studies to field scale and the establishment of optimum application rates considering economic feasibility are also needed.
중국대학생들의 생활습관실태 및 신체구성과 생활습관인식과의 관련성연구
사붕비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박사
본 연구는 중국 대학생의 생활습관실태, 신체구성, 생활습관인식, 신체구성과 생활습관인식과의 관련성, 비만도와 생활습관인식 간의 관련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자는 중국 하남성 대학교에서 체중조절과 영양관련 교양강의를 듣는 대학생(남;244, 여; 324) 56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생활습관실태 및 생활습관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엄완근(2016), 왕후이(2013), 장표(2012)가 사용한 질문지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신체구성 측정을 위해서는 인체전기저항법을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를 위해 SPSS 23.0 Pro를 사용하여 Cronbach' α계수, 요인분석, 교차분석, one-way ANOVA, two-way ANOVA, Sheffe‘ 사후분석, 상관분석, 단순회귀분석, 다항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모든 통계적 유의수준은 α=.05로 하였다.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성별에 따른 생활습관실태에서는 체중조절을 위한 다이어트나 운동경험, 체중조절방법, 기상시간, 흡연, 음주, 여가시간활용, 결식끼니, 결식이유, 식사속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비만도에 따른 생활습관실태에서는 체중조절을 위한 다이어트나 운동경험, 여가시간활용, 결식빈도, 결식이유, 식사속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2. 생활습관인식에서는 운동습관인지와 건강만족에서 성별 및 비만도에 따른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운동습관인지에서는 남학생의 경우 정상집단이 가장 높았으며, 여학생은 비만집단에서 가장 높았다. 건강만족에서는 남학생의 정상집단과 여학생의 저체중집단에서 가장 높았다. 3. 신체구성은 남,여학생 모두 체중, BMI, 체지방률, 제지방량, 체지방량, 내장지방량, 피하지방량, 기초대사량, 총열량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4. 신체구성과 생활습관인식 간의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에서는 남학생의 경우 체중, BMI, 체지방량, 내장지방량, 피하지방량이 건강만족과 부적상관을 나타냈고 기초대사량은 기호식품과 부적상관을 보였다. 여학생은 체중과 BMI는 부정식이와 부적상관을 나타냈으며, 체지방률은 식습관인식와 부적상관을 나타냈다. 5. 비만도와 생활습관인식 간의 로지스틱회귀분석에서는 남,여학생 각각 운동습관인지에서 정상집단에 비해 저체중집단이 0.577배, 0.676배로 정상체중의 운동습관인지가 저체중집단에 비해 높았다. 또한, 남학생의 경우 운동습관인지와 건강만족에서 정상집단에 비해 비만집단이 0.497배, 0.156배로 정상집단이 비만집단에 비해 운동습관인지와 건강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대학생의 생활습관실태, 신체구성, 생활습관인식, 신체구성과 생활습관인식과의 관련성을 본 결과 생활습관실태 일부항목들(체중조절방법, 결식끼니, 결식이유, 식사속도)에서 성별 및 비만도에 따른 차이를 보였으며 음주, 흡연 항목에서는 전반적으로 대상 모두 긍정적인 실태결과를 보였다. 남학생은 신체구성과 건강만족의 관련성이 높았으며 여학생은 신체구성과 식습관인식 및 부정식이와 관련성이 높았다. 한편, 비만도와 관련해서는 남, 여학생 모두 정상집단이 저체중집단에 비해 운동습관인지가 높았으며 남학생은 운동습관인지와 건강만족에서 정상집단이 비만집단에 비해 높았다. 본 연구는 중국대학생 568명만을 대상으로 하였기에 더 종합적인 정확한 생활습관 양상에 대한 결론을 위해 더 많은 대상자들을 대상으로 생활습관 전반에 대한 다각적이고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e study examines the real condition of lifestyle situation, body composition, lifestyle recognition, a relation between body composition and lifestyle recognition, and a relation between fatness index and lifestyle recognition. Objects of the study are 598 college students(man: 244, woman: 324) taking the liberal arts related to weight control and nutrition in a college of Ha Nam Province in China. To examine the real condition of lifestyle situation and lifestyle recognition, a questionnaire used by Um Wangeun(2016), Wang Hui(2013), and Jang Pyo(2012) is modified and compensated for the study, and then is used. To measure body composition, body electrical resistance method is used. For data processing, Cronbach' α coefficient, factorial analysis, cross analysis, one-way ANOVA, two-way ANOVA, post analysis of Sheffe‘, correlation analysis,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poly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re conducted with SPSS 23.0 Pro. Every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is α=.05. The following results are formed. 1. In the real condition of lifestyle situation by sex,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xperience of diet or exercise for weight control, weight-control method, the hour of rising, smoking, drinking, the use of leisure time, going without a meal, the reason for going without a meal, and eating speed. In the real condition of lifestyle situation by fatness index,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xperience of diet or exercise for weight control, the use of leisure time, the frequency of going without a meal, the reason for going without a meal, and eating speed. 2. In lifestyle recognition, there is an interaction effect by sex and fatness index in exercise habit recognition and health satisfaction. In exercise habit recognition, in case of male students, a normal group is the highest, and in case of female students, an obese group is the highest. In health satisfaction, a normal group of male students and an underweight group of female students are the highest. 3. In body composition,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weight, BMI, body fat percentage, fat-free mass, body fat mass, abdominal visceral fat mass, subcutaneous fat mass, basal metabolism, and total heat. 4. In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between body composition and lifestyle recognition, in case of male students, weight, BMI, body fat mass, abdominal visceral fat mass, and subcutaneous fat mass show a negative correlation with health satisfaction, and basal metabolism show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favorite food. In case of female students, weight and BMI show a negative correlation with irregular food, and body fat percentage show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eating habit understanding. 5. In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between fatness index and lifestyle recognition, in exercise habit recognition, an underweight group of male students is 0.577 times in comparison with a normal group and an underweight group of female students is 0.676 times in comparison with a normal group, so exercise habit recognition of normal weight is higher than that of an underweight group. Furthermore, in case of male students, an obese group is 0.497 times in comparison with a normal group in exercise habit recognition and an obese group is 0.156 times in comparison with a normal group in health satisfaction, so exercise habit recognition and health satisfaction of a normal group are higher than those of an obese group.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al condition of lifestyle situation, body composition, lifestyle recognition, and a relation between body composition and lifestyle recognition of Chinese college students, there is a difference by sex and fatness index in some factors of the real condition of lifestyle(weight-control method, going without a meal, the reason for going without a meal, and eating speed), and all objects generally show a positive condition result in drinking and smoking. Male students have a high relation between body composition and health satisfaction, and female students have a high relation between body composition, and eating habit recognition and irregular food. Meanwhile, in accordance with fatness index, exercise habit recognition of a normal group of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is higher than that of an underweight group, and a normal group of male students is higher than an obese group in exercise habit recognition and health satisfaction. The study is targeting only 568 Chinese college students, so a multilateral and deep-rooted study on lifestyle is needed targeting more objects for conclusion of more comprehensive and accurate lifestyle aspects.
외상 유형에 따른 PTSD 증상, 시간관 및 자기개념과 타인개념에서의 차이
김예슬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Type II 외상으로 나타나는 증상 중 일부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의 DSM-5 진단기준으로 설명되지 않는데, 이는 Type I 외상과 Type II 외상이 각각 다른 심리적 증상을 야기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를 파악하기 위해 외상 유형 간 PTSD 증상, 시간관, 자기개념 및 타인개념이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확인하였다. 138명의 대학생 및 대학원생에게 수정된 생활사건 리스트와 사건 충격 척도, 미래 시간 조망 설문지를 실시하였으며, e-prime 소프트웨어를 통해 정서 스트룹 과제를 진행하였다. 극단치 및 외상유형이 분류되지 않은 36명의 데이터를 제외하고 102명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PTSD 증상과 시간관, 자기 및 타인개념이 외상 유형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단일 외상집단보다 비대인 반복외상 집단에서, 단일 외상집단보다 다중 외상집단에서 PTSD 증상 수준이 유의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단일 외상집단보다 다중 외상집단에서 과거에 대해 더 많은 빈도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와 관련된 부정적 단어가 2초 제시되는 조건에서 반응시간이 더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다중 외상집단이 단일 외상집단보다 자신에 대해 더 부정적인 개념을 갖고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른 치료적 함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part of PTSD symptoms caused by type II trauma cannot be explained by criteria of DSM-5. This suggests that type I and type II trauma may cause different PTSD symptoms. In particular, we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would be a differences of PTSD symptom, time perspectives, self-concept and others concept between trauma types. A total of 138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were asked to complete the Life Events Chechlist(LEC), Impact of the Event Scale-Revised(IES-R), Future Time Perspective(FTP), and to take emotional stroop task through E-prime software. To identify difference of PTSD symptoms and the variables contributing to PTSD symptoms and concept of self and others' depending on trauma type, we took repeated measure ANOV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PTSD symptom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multiple trauma group and multiple group than single trauma group. Secondly, multiple trauma group think more about past than single trauma group. Finally, reaction time was longer in the condition that the negative word related to 'self' was presented for 2 seconds in the multiple trauma group than the single trauma group. This suggests that the multiple trauma group has a more negative concept of self than the single trauma group. Finally, the therapeutic implications and limitation of study were discussed.
중증발달장애인에 적용한 인문치료 소통방법의 효과 : 직업재활시설에서 급식 중 문제행동 중심으로
정주연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중증발달장애인은 독립적으로 사회생활을 수행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 지적인 능력의 제한과 신체적 능력의 제한으로 인한 어려움뿐만 아니라 감각적, 정서적, 기질적, 유전적 요인으로 인한 어려움들과 마주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어려움들은 중증발달장애인이 우리 사회에서 적응해 살아가는데 많은 제약을 가져온다. 특히 일반 사회인들과 소통하는 방법이 각각 달라 서로를 이해하고 함께 생활해 나가는 데는 많은 노력과 시간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중증발달장애인이 직업생활을 하면서 일반 사회에 적응하기 위해 필요한 소통에 관한 연구다. 서로 다른 소통 방법을 이해하고 배우고 수정하는 과정을 통해 일반 사회에서 중증발달장애인이 보다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방법으로 적응하는 과정을 연구하였다. 우리는 사회적으로 소외되고 힘든 사람들과 다함께 행복한 삶을 사는 것을 이상적인 사회의 모습이라고 생각한다. 다함께 행복한 세상을 살기 위해서는 서로 이해하고 돕고 양보하는 바람직한 소통의 문화가 정착되어야 한다. 인문치료 관점의 소통은 사람과 사람이 서로를 이해하고 삶을 나누는데 가장 현명한 접근 방법이다. 이러한 이유로 인문치료 관점의 소통방법으로 소통에 어려움을 겪는 중증발달장애인과 소통하는 방법을 꾸준히 연구 발전될 수 있기를 바란다. Though severe developmental disabilities vary depending on the case, they begin their life with the word ‘ therapy ’ from birth. The timing of the therapy, period, and therapy of therapy is different, but it would be the same with the term ' therapy ' of the term. Almost every therapy, therapy, therapy, therapy, therapy, therapy, medical therapy, art therapy, and art therapy can combine with the livelihood of individuals. Trying to reach a severe hurdle to close people who suffer from severe disabilities in their lifetime is the challenge of our society's efforts to live together with the disabled. " The humanities therapy " is an act of preventing and curing people's cognitive, social and emotional pain and problems by using the humanistic spirit and humanistic methods to pursue the health and well-being of the mind. The humanistic approach to the disabled focused on ' human nature ', rather than therapy center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unded. An obstacle to a disability is the provision of the necessary therapeutic principles and approaches to human beings through the integration of essential therapeutic tenets and forces to pursue the health and well-being of a person. It is not helping to integrate the disabled into social life as a human being but seeks to understand and coexist with each other by solving the difficulties that are difficult to integrate into society. The humanities therapy, which is based on the human history of humanity, is an obstacle to human beings suffering from the disability. In other words, the humanistic meaning of humanistic medicine means rational people, humans, human beings, and human beings as human beings, as humans, of human beings, of human beings. Therefore, we are trying to deal with the problem of human beings suffering from difficulties in dealing with severe issues in developing severe developmental disabilities as a whole. From a humanistic perspective, the disorder creates psychological distress, cognitive problems, and social and environmental problems stemming from the pain of suffering, lack of self-esteem, and confusion. In other words, such communication problems can divide into issues with communicating with others and communicating with others. Lack of communication is the same as the pain that all human beings experience when they fail to communicate with society. However, severely handicapped people face relatively large disabilities compared to the general public in expressing or alleviating psychological pain, cognitive problems, and social and environmental difficulties caused by lack of communication. For this reason, people with limited communication skills in society alone can communicate with others by limiting their ability to communicate with others. In this study, the study aims to describe the implications of changes in the evolution of ‘ Communication ’ in the context of the human being in a humanistic manner and to describe the consequences of the difference in the context of society. In a specific way, we intend to examine the changes in the communication situation with a programme of communication, which is comprised of a program that focuses on improving communication and communication skills, which can regularly be communicated with people with severe developmental disabil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