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드론과 LiDAR를 활용한 3D 모델 기반 음영 분석 기술 개발 및 태양광 발전 적합지 평가

        이충현 강원대학교 대학원(삼척캠퍼스) 2024 국내석사

        RANK : 249631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전 세계적으로 신재생에너지의 보급과 확대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 신재생에너지는 대표적으로 바람을 이용한 풍력 에너지, 물을 이용한 수력에너지, 태양열을 이용한 태양광 에너지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수소에너지가 새로운 에너지 체계를 구축할 것으로 기대받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신재생에너지는 초기 투자비용 대비 발전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가장 대중적인 신재생에너지 중에 하나인 태양광 발전은 최근 급격하게 보급이 증가하고 있으나 도심지나 산간 지역 등에 무분별하게 설치되어 다양한 문제를 유발하고 있다. 따라서 효율적인 태양광 발전과 환경 문제 최소화를 위해서는 태양의 입사각, 태양광 모듈의 온도, 주변 사물에 의한 음영 등을 고려하여 발전효율을 높이고 태양광 모듈을 지속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 그중 음영에 따른 발전 효율 또한 전체 발전량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다. 따라서 잘못된 위치에 발전 시스템을 설치하면 건물이나 주변의 차폐물로 인한 음영이 발생하여 발전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특히 도심지에서의 건물이나 나무 등으로 인한 음영은 태양광 발전효율에 큰 영향을 끼치므로 태양광 발전 적합지 평가를 위해 음영을 고려한 태양광 에너지 입사 비율 계산이 필요하다. 3D 모델을 이용하면 입체적 공간을 고려하여 태양광의 입사 여부를 파악할 수 있으며, 향후 최적의 태양광 모듈 설치를 위해 음영 구간에서의 태양광의 입사 여부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판단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에 위치한 강원대학교 삼척캠퍼스를 연구지역으로 선정하였으며, 3D 모델 기반 음영 분석과 이미지 기반 음영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지역의 3D 모델을 제작하기 위해 DJI 社의 M300 RTK 드론에 ZENMUSE L1 LiDAR를 사용하여 레이저 스캐닝을 수행하였고, MAVIC3 드론을 사용하여 연구 지역에 대해 사진 측량을 수행하였다. 사진 측량 기반의 모델링을 수행하기 위해 스위스의 Pix4D 사에서 제작한 Pix4DMapper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드론 LiDAR를 이용한 모델링을 위해 TerraSolid 소프트웨어와 Cloudcompare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였다. 이후 3D 모델 분석 결과를 2D GIS 기반 분석, 극좌표 형태의 분석과 비교하였으며, 추가로 LiDAR 기반 3D 모델과 이미지 기반 3D 모델의 음영 분석을 비교하였다. 최종적으로 3D 모델상에서 태양광 발전 적합지 평가를 위해 연구지역 내에 가상의 부지 선정 후 일사량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3D 모델에 적용하여 신속하게 Solar Access를 분석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으며, 이미지 기반의 분석 알고리즘도 작성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개발한 기술의 적용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강원대학교 삼척캠퍼스의 건물과 나무 등을 대상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도심지의 3D 구축 데이터가 늘어나고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보급이 늘어날 것을 고려하면 개발한 기술이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다.

      • 절단된 안경렌즈의 무게와 두께의 변화

        심재균 강원대학교 대학원(삼척캠퍼스) 2024 국내석사

        RANK : 249615

        대부분의 고객은 굴절검사 후 안경렌즈 선택에 관한 상담에서 더 가볍고 얇은 렌즈를 원한다. 이런 경우 명확한 상담을 위해 관련 실무자는 안경렌즈의 종류에 따른크기, 무게 및 두께에 대한 상호관계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교정시력에 맞는 가볍고 얇은 렌즈를 선택하기 위해 여러 가지 안경렌즈 굴절력과 안경테 크기에 해당하는 원형의 모양을 기준으로 렌즈를 절단 가공한 후 굴절력과 직경에 따른무게와 두께의 변화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안경렌즈 회사 3곳(A사, B사, C사)에서 오목렌즈 147조(294개)를 수집하였다. 안경렌즈의 굴절력(-2.00 D, -4.00 D, -6.00 D), 굴절률(1.56, 1.60, 1.67, 1.74), 렌즈디자인(구면, 비구면), 원형으로 절단한 직경(45 mm, 50 mm, 55 mm)으로 분류하였다. 렌즈의 무게(g), 가장자리와 중심 두께(mm)를 각각 고분해 미량저울, 디지털버니어캘리퍼스 및두께게이지를 이용하여 소수점 둘째 자리까지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렌즈 직경과 굴절력변화에 따른 무게, 가장자리와 중심 두께의 변화는 단순선형회귀분석으로 평가하였고, 동일한 렌즈 직경과 굴절력에서 굴절률, 중심 두께, 가장자리 두께, 비중, 렌즈 디자인에 따른 무게 변화를 상관분석하였다. 무게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은 굴절력보다 직경 변화가 더 컸고, 무게의 변화와의상관관계는 중심 두께, 가장자리 두께는 각각 강하고 뚜렷한 양적 관계였으며, 굴절력변화와 비중은 뚜렷한 음의 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안경렌즈 무게나 두께 기준으로 안경렌즈 선택할 때 안경렌즈의 크기와 굴절력이 중요한 요소이며, 렌즈 무게는 렌즈의 중심과 가장자리 두께와 밀접한 관련성이있음을 확인하였다. During spectacle lens consultations post-refraction, most customers express a preference for lighter and thinner lenses. The relationship between size, weight, and thickness plays a pivotal role in selecting suitable lenses. This study aimed to assess changes in weight and thickness related to refractive power and diameter after cutting and grinding lenses, with the goal of identifying lightweight and thin lenses for corrected vision. A total of 147 pairs (294 pieces) of concave lenses from three companies (Companies A, B, C) were obtained. Lenses were categorized by refractive powers (-2.00 D, -4.00 D, -6.00 D), refractive indices (1.56, 1.60, 1.67, 1.74), lens designs (spheric and aspheric), and diameters cut into round shapes (45 mm, 50 mm, 55 mm). Measurements of weight (g), edge and center thickness (mm) were conducted using high-resolution equipment, including a microbalance, digital vernier caliper, and thickness gauge. Alterations in lens diameter had a more significant impact on changes in weight than refractive power. Correlations between the change in weight cen,ter thickness, and edge thickness were strong and moderate, respectively. A moderate negative relationship was observed between the change in weight and refractive power, specific gravity, and lens design. - 43 - The study confirms that the size and refractive power of spectacle lenses are crucial factors influencing lens weight and thickness. The association between lens weight and center and edge thickness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these parameters in the selection of spectacle lenses for optimal vision correction.

      • 조도에 따른 시력과 대비감도의 변화 : 포롭터, 시험테, 안경 기반으로

        김규리 강원대학교 대학원(삼척캠퍼스) 2024 국내석사

        RANK : 249615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visual acuity and contrast sensitivity based on illumination using a phoropter, trial frame, and spectacles. The subjects were 47 people (26 males, 21 females) with an average age of 23.9±3.66 years, wearing corrective spectacles with a visual acuity of 0.8 or higher. The subject's refractive correction values were inserted into the phoropter and trial frame, and visual acuity was measured using an LCD chart, Contrast sensitivity was assessed using CSV-1000HGT at each illuminance level. In this study, as the illumination increased to 200, 400, and 1000 lux, visual acuity measured through the phoropter, trial frame, and spectacles showed changes in 85.11%, 82.98%, and 81.32% of the subjects, respectively. There was a significant tendency for both monocular and binocular visual acuity to increase (p<0.05), with the highest values observed at 1000 lux. The contrast sensitivity according to each spatial frequency(3, 6, 12, 18 cpd) showed a changes 67.38%, 66.43%, 59.81%, 42.32% of the subjects in the case of phoropter, 67.85%, 70.45%, 68.56%, 52.96% of the subjects in the case of trial frame, 67.38%, 70.45%, 69.03%, 51.47% of the subjects in the case of spectacles. As the illumination increased, both monocular and binocular contrast sensitivity tend to increase significantly (p<0.05). The highest contrast sensitivity was observed at 1000 lux, with glasses, trial frame, and phoropter showing better results in that order. Additionally, there was a significant change in contrast sensitivity with an increase in myopia (p<0.05). From these results, the test like refraction should be conducted considering the appropriate illumination according to the usual working environment of those who need refractive error correction. Since differences in results may occur depending on the vision measurement instrument us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sults should be reduced through ‘wearing tests’ and ‘adding prescription lenses’ etc. 포롭터, 시험테, 안경을 이용하여 조도에 따른 시력과 대비감도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교정시력 0.8 이상의 안경을 착용한 평균 연령 23.85±3.66세의 47명(남자 26명, 여자 2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의 안경교정값을 포롭터와 시험테에 장입하여 각 조도 별 시력을 LCD 시표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대비감도는 CSV-1000HGT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조도가 200, 400, 1000 lux로 증가함에 따라 포롭터, 시험테, 안경으로 측정한 시력은 대상자의 85.11%, 82.98%, 81.32%가 변화를 보였으며, 단안과 양안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p<0.05), 1000 lux에서 가장 높았다. 각각의 공간주파수(3, 6, 12, 18 cpd)에 따른 대비감도는 포롭터의 경우 대상자의 67.38%, 66.43%, 59.81%, 42.32%, 시험테의 경우 대상자의 67.85%, 70.45%, 68.56%, 52.96%, 안경의 경우 대상자의 67.38%, 70.45%, 69.03%, 51.47%가 변화를 보였다. 조도가 증가함에 따라 단안과 양안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p<0.05) 1000 lux일 때 가장 높은 대비감도를 보였으며, 안경, 시험테, 포롭터 순으로 더 좋은 결과를 보였다. 또한 근시도가 증가할수록 대비감도는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p<0.05). 이러한 결과로부터 굴절이상 교정이 필요한 이들의 평소 작업환경에 따른 적절한 조도를 고려하여 검사를 진행하여야 하며, 사용하는 시력측정장비에 따라 결과값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장용검사, 처방렌즈 덧대어 보기 등을 통하여 결과값 간의 차이를 감소시켜야 할 것이다.

      • RAMMS를 이용한 토석류 이동과 확산범위 산정에 관한 연구

        탁원준 강원대학교 삼척캠퍼스 방재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15

        본 연구에서는 토석류의 이동과 확산범위를 산정하기 위해 토석류 발생전과 발생후의 지형변화 분석과 수치모형 해석을 수행하였다. 지형변화 분석을 위해서는 지상 LiDAR를 이용하여 실제 토석류 발생현장에서 3D 스캐닝을 수행한 후 지형자료를 구축하였으며, 수치모형 해석을 위해 RAMMS 모형을 적용하고 토석류 이동과 확산범위 산정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RAMMS 모형에 입력되는 지형자료인 DEM은 지상 LiDAR로 측정된 자료를 토대로 고정밀도 DEM을 생성하여 활용하였으며, 토사유출량의 경우 수치지도와 고정밀도 DEM의 연산을 통해 산정하였고, 토석류 피크유량은 일본국토교통성에서 제시한 식에 근거하여 산정하였다. 또한 토석류의 유속의 경우 Prochaska가 제시한 토석류 유하거리-유속관계에 따라 산정하였다. RAMMS 모형의 매개변수 값들을 결정한 후 연구 대상지역에 모형을 적용하여 토석류의 확산면적, 유동심, 이동시간에 따른 피해범위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토석류가 발생하는 지점을 Case A∼D로 총 4가지의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실제 측정된 토석류의 확산면적과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CaseD<CaseA<CaseB<Case C의 크기순으로 확산면적 차이가 발생하여 토석류 발생지점 기준으로 오차가 가장 적게 발생한 시나리오는 Case D로 결정되었다. 토석류 발생지점으로 선정된 Case D를 적용하여 토석류 퇴적부의 확산범위에 따른 대피경로 및 소요시간에 관하여 분석을 실시한 결과 토석류 발생 지점부터 퇴적부가 시작되는 지점까지의 이동시간은 4분 10초가 소요되었으며, 퇴적부가 시작되는 지점에서 대피지역까지의 도보를 통한 대피시간은 9분 53초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토석류의 이동시간이 대피지역까지의 대피시간 보다 빠르게 진행됨으로 대상지역의 경우 토석류의 사전 예경보 시스템이 구축되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중국 유치원 교사의 디지털 역량 인식 분석

        탕징원 강원대학교 대학원(삼척캠퍼스) 2024 국내석사

        RANK : 249615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유치원 교사의 디지털 역량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 교사 변인에 따른 디지털 역량에 대한 인식 차이를 조사하는 것이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중국 유치원 교사의 디지털 역량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2. 중국 유치원 교사의 배경 변인(교사연령, 교사경력, 최종학력, 근무기관 유형, 담당학급, 교육경험, 교사연수)에 따른 디지털 역량에 대한 인식 에는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를 위해 중국 쓰촨성(四川省)에 소재한 유치원에 근무하는 교사 261명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이들 교사의 디지털 역량에 대한 인식조사를 위해 김교령(2021)의 한국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개발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해 중국 온라인 리서치 앱인 문권성(问卷星)과 연구자가 직접 기관을 방문하여 설문지를 배부하고 회수하였다. 중국 유치원 교사의 디지털 역량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기술통계분석과 교사 배경 변인에 따른 디지털 역량에 대한 인식 차이와 집단 간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일원변량분석(ANOVA)과 Scheffé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유치원 교사들의 디지털 역량에 대한 인식 정도는 보통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고, 디지털 역량의 하위영역인 전문적 역량, 교수학습 역량, 그리고 학습자 역량에 대한 인식 정도도 보통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국 유치원 교사의 배경 변인인 교사연령, 교사경력, 최종학력, 담당학급, 교육경험, 그리고 교사연수에 따른 디지털 역량 전체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났다. 하지만 근무기관 유형에 따른 디지털 역량 전체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중국 유치원 교사의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한 교사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중국과 한국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디지털 역량 관련 비교 연구 수행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wareness of digital competency among kindergarten teachers in China an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their awareness of digital competency according to teacher variables. Research question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What is awareness of Chinese kindergarten teachers on digital competency? 2. Is there a difference in the awareness of digital competency according to the teacher variables(age, teaching experience, final education degree, type of work institution, class in charge, pre-service education experience, in-service trainning) of kindergarten teachers in China? For this study, 261 teachers working at kindergarten located in Sichuan, China, were selected as the final research subjects, and a questionnaire, which is developed by Kim Kyo-ryeong(2021) in a study of Korean kindergarten teachers, was used to investigate awareness of Chinese kindergaren teachers’ digital competencies. To collect data, a researcher used Chinese online research, Moon Kwon-sung(问卷星), and also personally visited kindergartens in China in person, distributed and retrieved the questionnaires. One-way variance analysis(ANOVA) and Scheffé post-test were conducted to analyze differences in awareness of digital competency according to teacher variables and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of their awarenss of digital competency respectively. The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is as follows. First, the degree of awareness of digital competency among Chinese kindergarten teachers was above a average, and the degree of awareness of professional competency, teaching and learning competency, and learner competency, which are sub-domains of digital competency, was also above a average respectively. Seco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eachers’ awarenss of the overall digital competence according to teacher age, teaching experience, final education degree, class in charge, pre-service education experience, in-service trainning.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awareness of entire digital competence according to the type of working institution. This study aims to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 for a development of teacher education programs to strengthen the digital competence of kindergarten teachers in China and comparative studies on digital competence for Chinese and Korean early childhood teachers.

      • 지구통계 기법과 머신러닝을 결합한 지질매체 보간 모델 개발

        한호상 강원대학교 대학원(삼척캠퍼스) 2024 국내석사

        RANK : 249615

        전통적인 지질매체 수집 방식인 시추 탐사는 높은 비용과 시간 소모가 큰 단점이 있어, 주로 지역적으로 한정된 특정 데이터만을 제공한다. 이 때문에 목표 데이터가 대규모 환경에 있는 경우 지층에 대한 충분한 공간적 이해를 획득하기 어렵다. 이러한 한계점을 개선하기 제시된 기법인 지구통계학은 시공간의 변화에 따른 데이터의 변동을 예측하고 보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방법은 제한된 수집 데이터를 통해 예측값을 생성하는 데에 효과적이며, 지질학적 특성의 예측 범위와 정확성을 크게 향상시켰다. 또한, 최근에는 머신러닝을 활용한 방법이 제시되어 복잡한 데이터를 분석하고 포함된 패턴을 식별하는 부분에서 기존 방법들보다 높은 정확도와 효율성을 갖추고 있다. 추가로 머신러닝은 분석 프로세스를 자동화하고, 향상된 신뢰도를 갖춘 예측을 제공할 수 있어 다수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지구통계 기법은 연구자의 주관성이 개입된다는 단점이 있어 보완해야 하며,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머신러닝 기법을 접목하여 두 기법을 비교하거나 결합해 보간 예측에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머신러닝과 지구통계 기법 중 가장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랜덤 포레스트(random forest, RF)와 정규 크리깅(ordinary kriging, OK)을 결합한 지질매체 보간 모델을 개발하였다. 부산광역시 기장군에 위치한 폐금속광 일대에서 휴대용 X선 형광 분석기(portable x-ray fluorescence spectroscopy)를 통해 40개 토양 내 중금속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탐색적 데이터 분석을 통해 기초적인 전처리를 진행하였으며, 이후 데이터 결과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한 교차검증법과 예측 오차를 평가하기 위한 기준을 선정하였다. 교차검증법으로는 K-Fold Cross Validation을, 예측 오차 기준은 평균 제곱근 오차(root mean squared error, RMSE)와 결정계수(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²)를 적용하였다. 이후 RF와 OK에서 설정할 수 있는 옵션과 파라미터를 Grid로 정의하여, 이의 최적 선택지를 검색하기 위해 하이퍼파라미터 튜닝의 일종인 GridSearchCV를 적용하였다. 그에 따라 보간 모델별 최적 옵션 및 파라미터를 식별하여 예측을 진행하였으며, 해당 선택지의 예측값을 지도의 형태로 작성하였다. 또한 두 기법을 결합한 RF-OK 결합 모델의 경우, RF 예측의 잔차를 계산하여 OK 기법으로 보간하고, 해당 결과를 RF 예측값과 합산하여 예측 지도를 작성하였다. 그 결과, RF, OK, RF-OK 모델의 RMSE는 각각 66.214 mg/kg, 65.101 mg/kg, 52.884 mg/kg로 계산되었으며, R²는 각각 0.867, 0.871, 0.915로 나타났다. RF-OK 모델의 RMSE는 13.33 mg/kg(RF) 및 12.217 mg/kg(OK)만큼 감소하였고, R²는 0.048(RF) 및 0.044(OK)만큼 증가하였다. 이를 통해 RF-OK 결합 모델의 보간 예측 성능이 단일 기법들보다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지구통계 기법의 단일 활용보다 지구통계와 머신러닝 복합 활용의 결과가 더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각 기법의 옵션과 파라미터의 설정에서 하이퍼파라미터 튜닝을 통해 기존보다 연구자의 개입을 감소시켜 객관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또한 이 결과로 추가적인 탐사의 시간과 비용을 줄여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환경 모니터링이 필요한 지역에서도 신속한 의사결정 수립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임상검안사례연구: 현재 처방의 분석과 재교정

        강용민 강원대학교 대학원(삼척캠퍼스) 2024 국내석사

        RANK : 249615

        임상사례연구: 현재 처방의 분석과 재교정 Clinical Case Studies in Optometry: Analysis of Present Prescription and New Prescription 강 용 민 강원대학교 대학원 보건의료과학과 임상에서 접할 수 있는 다양한 눈 문제를 검사하고 분석하여 처방한 성공적 사례들을 소개 하고자 하였다. 검사는 (1)문진, (2)예비검사: 나안시력검사, 현재 착용 안경 굴절력 및 시력검사, 프리즘가림 검사, 폭주근점검사, 조절력검사, 우위안검사 (3)타각적굴절검사, (4)자각적굴절검사, (5)양안시 기능검사: 융합여력검사, 조절용이성검사, 그리고 상대조절력검사를 수행하였으며, 필요에 따라 서 프리즘적응검사, 대비도검사, 그리고 block string 훈련을 수행하였다. 분석 사례는 다음과 같다. 사례 1. 근시 과교정과 난시 저교정으로 인한 안정피로 개선 사례 2. 가입도를 이용한 근거리 내사위의 조정 사례 3. LASIK 수술 후 발생한 눈부심의 완화 사례 4. 원시 전교정과 구면렌즈를 이용한 내사위 증상의 해소 사례 5. 높은 AC/A비를 갖는 노안의 근시 과교정으로 인한 안정피로 해소 사례 6. 원시의 처방 오류와 block string 훈련의 효과 사례 7. 노안의 원시 전교정에 의한 복시 개선 사례 8. 수직 사위로 인한 복시 증상의 개선 사례 9. 근거리 내사위와 낮은 조절력에 의한 복시의 해소와 야간 빛번짐의 완화 사례 10. 안구운동 훈련을 통한 복시증상의 완화 Study of Clinical Cases in Optometry: Analysis of Present Prescription and New Prescription Yong-Min Kang Department of Medical Health Science Graduate School, Kangwon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We wanted to share some of the successful cases that we have seen in our practice where we have examined, analyzed, and prescribed for various eye problems. The examination consisted of (1) clinical history, (2) entrance examination: visual acuity examination refraction and visual acuity examination with present glasses, prism cover examination, near point convergence examination, accommodation examination, and dominant eye examination, (3) subjective refraction, (4) autorefraction, and (5) binocular visual function examination: Convergence examination, accommodation examination, and relative accommodation examination; prism adaptation examination, contrast examination, and block string training were performed as needed. The clinical cases analyzed are as follows. Case 1. Improvement of asthenopia caused by both over corrected myopia and under corrected astigmatism. Case 2. Control of near esophoria by spherical addition. Case 3. Relieve to glare caused by side effect after LASIK surgery. Case 4. Dissolution of asthenopia accompanied with esophoria by prescribing full corrected hyperopia and spherical addition. Case 5. Dissolution of asthenopia caused by over corrected myopia in presbyopia having high AC/A ratio. Case 6. Error of hyperopia prescription and effect of block string training. Case 7. Diplopia improvement by full correction of hyperopia in presbyopia. Case 8. Improvement of diplopia caused by vertical phoria. Case 9. Dissolution of diplopia caused by both near esophoria and low accommodation, and improvement of night glare. Case 10. Improvement of diplopia depend on binocular motality training.

      • 임상검안사례연구: 원시 교정 후 추적검사 외 : Clinical Case Studies in Optometry: Follow-Up of Hyperopia Correction and Other Cases.

        김형준 강원대학교 대학원(삼척캠퍼스) 2024 국내석사

        RANK : 249615

        임상사례연구: 원시 교정 후 추적검사 외 Clinical Case Studies in Optometry: Follow-Up of Hyperopia Correction and Other Cases. 김 형 준 강원대학교 대학원 보건의료과학과 본 연구는 옵토메트리 임상 현장에서 접한 여러 가지 케이스를 분석하고 처방한 성공적인 사례들을 소개하고자 하였다. 처방과정으로는 문진, 예비검사(시력검사, 가림검사, 폭주근점검사, 조절력검사, 우세안 검사) 타각적 및 자각적굴절검사, 그리고 시기능검사(AC/A비 검사, 융합력검사, 상대조절검사, 조절용이검사)로 진행하였다. 성공 사례는 다음과 같다. 1. 원시 교정 후 추적검사 2. 근시 과교정으로 인한 안정피로 해소 사례 3. 과도한 근업작업에 의한 2차 근시 사례 4. 난시의 첫 교정 후 추적관찰 5. 난시성 부등시의 단계별 처방 사례 6. 내사위로 인한 안정피로 해소 사례 7. 구안경 처방 오류 해소 사례 8. 폭주부족으로 인한 근용안경 처방 사례 9. 누진굴절력렌즈 부적응 해소 사례 10. 라식수술 이후 야간시력문제로 인한 야간안경 처방 모든 성공사례들은 옵토메트리 임상실무에서 분석과 처방을 위한 예시로써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다 Clinical Case Studies in Optometry: Follow-Up of Hyperopia Correction and Other Cases. Hyung-Jun Kim Department of Medical Health Science Graduate School, Kangwon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troduce the successful cases that prescribed from examinations and analysis for various ocular problems in optometry clinic. The prescription process involves clinical history, preliminary tests (visual acuity test, cover test, near point convergence test, accommodative amplitude test, dominant eye test), objective and subjective refraction, visual function test (AC/A ratio test, fusinal vergence test, relative accommodation test, prism adaptation examination, accommodative facility test). The successful cases are as follows: 1. Follow-Up of Hyperopia Correction. 2. Relieve for visual fatigue caused by over-correction of myopia. 3. Case of secondary myopia due to excessive near work. 4. Follow-up observation after the initial correction of astigmatism. 5. Step-by-step instructions for managing a case of astigmatism-anisometropia. 6. Treatment for alleviating visual fatigue caused by esophoria. 7. Addressing prescription errors in current eyeglasses. 8. Case of prescribing glasses for insufficient convergence. 9. Case of resolving non-adaptation to progressive lenses. 10. Prescription for night glasses to correct nighttime vision issues after LASIK surgery. All successful cases could be a helpful examples for analysis and prescription in optometry practices.

      • 임상검안사례연구: 굴절교정술 후 발생 된 내사위 처방 사례 외 : Clinical case studies in optometry: prescription for esophoria after LASIK surgery and other cases

        성민수 강원대학교 대학원(삼척캠퍼스) 2024 국내석사

        RANK : 249615

        임상사례연구: 굴절교정술 후 발생 된 내사위 처방 사례 외 성 민 수 강원대학교 대학원 보건의료과학과 임상 현장에서 시생활에 불편한 자각증상을 느끼는 다양한 케이스의 피검자들을 처방하는데 있어서 유용한 정보 제공을 위해 사례 연구를 하였다. 타각적 굴절검사는 자동굴절력계를 사용하였고, 자각적 굴절검사는 포롭터와 시표를 사용하였다. 그 외 프리즘 바, 8 △ BO+4 △ BI 프리즘 플리퍼, ±2.00 D 플리퍼, 시험렌즈 세트를 사용했다. 사례연구는 굴절 교정술 후 발생 된 내사위 처방 사례에서 원거리 자각증상 개선을 위한 BO 프리즘 교정, 오교정으로 인한 사위도 변화 사례에서 새로운 굴절력값의 교정으로 내사위에서 외사위로 사위도 변화, 미교정 된 난시로 인한 안정피로 해결 사례에서 난시 굴절력과 축방향 교정, 원거리와 근거리 내사위의 처방 사례에서 BO 프리즘 교정, 근시 과교정 누진렌즈로 인한 안정피로 해결 사례에서 새로운 굴절값의 교정과 가입도를 고려한 누진굴절력렌즈 처방, 난시 조정과 수직 프리즘 제거 사례, 오교정 된 난시 축으로 인한 안정피로 해결 사례에서 난시 굴절력 및 축 재교정, 라식 후 빛 번짐과 야간근시의 구면 굴절력과 노란색 필터 착색렌즈 처방, 안경 미착용으로 인한 안정피로 처방 사례에서 안경 착용으로 인한 자각증상 개선, 원시성 난시 미교정으로 인한 안정피로의 단계적 처방사례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사례연구는 임상현장에서 눈과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처방에 대한 정보와 임상연구의 기초를 제공할 것이다. 나아가 임상 실험 검안 분야의 학문적 논의의 기초가 될 것이다. Clinical case studies in optometry: prescription for esophoria after LASIK surgery and other cases Min-Su Soung Department of Medical Health Science Graduate School, Kangwon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The purpose of the case studies was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on diverse prescriptions applied in clinical practices to address individual patients experiencing subjective discomfort symptoms in their daily lives. An auto-refractometer was employed for objective refraction, while subjective refraction utilized a phoropter and eye charts. Additional tools for various tests included 8 △ BO+4 △ BI prism flippers, ±2.00 D flippers, and a trial lens set. The clinical case studies presented a range of cases, including experiential cases such as BO prism correction to alleviate subjective symptoms at a distance in a case of esophoria following refractive surgery, shifts from esophoria to exophoria through correction of new refractive power in cases of change in phoria due to refractive miscorrection, relief of asthenopia resulting from uncorrected astigmatism, correction of astigmatic power and axis, BO prism prescription for distance and near esophoria, elimination of asthenopia caused by a progressive addition lens with overcorrection for myopia through new refractive power and addition, adjustment of astigmatism and removal of vertical prism, resolution of asthenopia caused by inappropriate astigmatic power and axis through re-correcting astigmatism, prescription of spherical power and a yellow filter lens for glare and n ight myopia after a LASIK surgery, improvement of subjective symptoms due to non-use of spectacles through correction, and step-by-step prescription for asthenopia caused by uncorrected hyperopic astigmatism. These case studies may provide insights into various prescriptions and the basis for clinical research aimed at addressing eye-related problems in clinical practices. Furthermore, they may serve as a foundation for academic discussions in clinical experimental optometry.

      • 수치해석을 이용한 비탈면 수평배수공의 성능 분석

        김상윤 강원대학교 대학원(삼척캠퍼스) 2024 국내석사

        RANK : 249615

        우리나라 국토 특성 상 국토 면적에 산지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고 연간 호우 발생이 하절기에 집중됨에 따라 강우로 인한 비탈면 안정성에 저하가 우려된다. 이를 대비하고자 비탈면에 배수시설을 설치하여 지반 침투수에 의한 지하수위를 낮춰 비탈면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하지만 배수시설 중 수평배수공은 부대시설로 분류되어 수평배수공의 설치위치, 간격, 각도와 같은 설치 기준과 그와 관련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상용 지반해석 프로그램인 Plaxis-2D를 이용하여 수평배수공의 배수성능을 비교 및 분석하였다. 선행연구와 관련 규정을 참고하여 수평배수공의 배수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검토하여 수평배수공의 길이, 설치 각도 등의 경계조건에 따른 수평배수공의 배수성능을 수치해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1) 수평배수공의 설치되는 위치에 수평배수공을 대신하여 수평배수공의 크기만큼 원지반의 투수계수를 높이는 방법과 2) 압력을 이용하여 지하수의 흐름을 유도하는 방식인 Plaxis-2D 내의 Drain 기능을 활성화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수평배수공을 모사하였다. 해석 결과, 수평배수공을 미설치한 지반보다 수평배수공을 설치한 지반에서 안전율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수평배수공의 배수성능에 있어서 설치 각도보다 설치 길이가 더 원활한 배수 성능을 보임을 확인하여 설치 길이가 더 주요한 요인이라고 판단하였다. Due to the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South Korea, mountainous areas constitute a significant proportion of the land, and the occurrence of annual heavy rainfall is concentrated during the summer season. As a result, concerns arise about the stability of slopes due to rainfall. To alleviate this concern, the groundwater level can be lowered by installing drainage facilities on slopes, resulting in the increasing slope stability. However, among drainage facilities,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horizontal drainage channels, which are categorized as auxiliary facilities, including installation criteria such as location, spacing, and angle. In this paper, the drainage performance of horizontal drainage channels was compared and analyzed using the commercial geotechnical analysis program Plaxis-2D. Referring to previous studies and relevant regulations, factors influencing the drainage performance of horizontal drainage channels were reviewed. The numer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drainage performance of horizontal drainage channels based on boundary conditions such as the length and installation angle of the channels. For the analysis, two methods were employed: 1) increasing the permeability coefficient of the soil by an amount equal to the size of the horizontal drainage channel in the location where the channel is installed and 2) simulating the horizontal drainage channel using the Drain function within Plaxis-2D, which induces the flow of groundwater using pressur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onfirmed that the safety factor is higher in the ground where horizontal drainage channels are installed compared to the ground without them. Furthermore, in terms of drainage performance, it was observed that the installation length is a more critical factor than the installation angle, indicating that the length of installation is a more significant factor in achieving efficient drainage perform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