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 가톨릭 교회음악의 토착화에 관한 연구 : 가톨릭대학교 교회음악대학원을 중심으로

        이건희 가톨릭대학교 교회음악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55

        1980년 3월 차인현 신부가 주축이 되어 62명의 가톨릭 교회음악인들이 명동 사도회관 1층, 7평의 사무실에 모여 「가톨릭 음악인 협의회」를 창립하였다. 이들은 곧바로 이듬해(1981년 1월 1일) 종교음악연구소를 설립하여 본격적으로 교회음악가 양성에 들어갔다. 이후 10여 년의 활동과정을 거쳐 1993년 11월 14일, 마침내 한국 가톨릭교회 최초로 전문연주홀을 갖춘 가톨릭음악원으로 거듭났다. 이로부터 정확히 10년 뒤 2003년 3월 교육부 인가를 받아 현재의 가톨릭대학교 교회음악대학원으로 개원하여 현재에 이르렀다. 이 논문은 1965년 제2차 바티칸공의회 이후 한국 가톨릭교회에서 본격적으로 공론화하기 시작한 교회음악 토착화에 대한 것이다. 특별히 가톨릭대학교 교회음악대학원 발전을 위해서 견인차 역할을 해온 교회음악가의 여러 대내외적 학술, 교육, 연주 활동들을 토착화 관점에서 살펴본다. 또한, 이들 교회음악가의 한국전통음악에 대한 의견과 주장을 알아보고 교회음악 토착화에 대한 인식과 더불어 발전방안에 대해 논의한다. 정체성 발현의 과정인 토착화는 결국 서로 다른 두 문화의 깊이 있는 연구와 이를 통한 상호 간의 올바른 이해, 그리고 상호존중과 배려를 통해서 이행되는 것이다. 때로는 한발 물러서서 양보하고 때로는 한발 앞서서 이끌어 주어야 한다. 이러한 서로 다른 두 문화의 이상적인 융합과정은 성음악을 한층 발전시키는 것은 물론, 새로운 문화를 만들어내는 소중한 밑거름이 될 것이며, 교회음악 발전의 원동력이 될 수 있다. In march 1980, 62 Catholic musicians gathered at the small office (only 23㎡) in Myeong-dong. The following year, they established the religious music institute (January 1, 1981) to foster Catholic musicians. After more than a decade of activities, the Catholic music institute has finally become the first Catholic Music Center in Korea to have a concert hall. Ten years later, the Ministry of Education approved the Center and it opened as the current Catholic University of Korea's School of Music. This paper is about the inculturation of church music that began to be discussed in the Korean Catholic Church after the Second Vatican Council in 1965. In particular, examines the various activities, performances, education, and composing activities of church musicians who have been the driving force for the development of the Catholic Graduate School of Church Music, from the perspective of inculturation. We will also discuss church musicians' opinions and claims about Korean traditional music. Discuss the recognition and development of church music inculturation. Church musicians have made many musical attempts to make Korean Gregorian chants, and For the inculturation of church music, it performed various academic research and composed many Korean traditional music. Five church musicians gave different opinions and arguments from the perspective of looking at Korea traditional music and the convergence methodology of Western music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Inculturation, the process of expressing identity, is to be implemented through the in-depth study of two different cultures, mutual understanding, and mutual respect. The ideal inculturation process of these two different cultures will not only become the driving force behind the development of church music but also serve as a valuable foundation for creating new culture.

      • 가톨릭 대학의 교육과정을 통한 종교적 정체성 구현에 관한 연구 : 세 가톨릭 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진영 가톨릭대학교 문화영성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39

        가톨릭 대학은 그 탄생부터 교회에 그 모태를 두고 있으며, 가톨릭 대학의 종교적 정체성이란 가톨릭 특성(catholic characteristics) 혹은 가톨릭 학교 들의 설립 이념과 근본적 교육목표를 규정하는 가톨릭의 성격(catholicity)을 의미한다. 가톨릭 대학은 교회적 성격에서 나오는 ‘복음화’ 사명과 함께 학교적 성격에서 유래하는 ‘전인 교육’의 사명도 동시에 갖고 있으며, 복음화와 전인 교육은 가톨릭 대학의 두 축을 이루는 핵심사명이다. 가톨릭 대학이 가톨릭 대학으로서의 수월성과 명성을 동시에 획득하는 길은 가톨릭 정체성 (identity), 이념(idea), 사명(mission)을 제도뿐만이 아니라 그리스도교 인간 관에 적합한 가톨릭 교육과정을 수행할 때 가능할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톨릭 대학교에 관한 교황령」 (Ex Corde Ecclesiae), 교회문헌,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가톨릭 대학의 종 교적 정체성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둘째, 한국 가톨릭 대학 중 가톨릭대학교, 대구가톨릭대학교, 서강대학교를 사례로 가톨릭 대 학의 가톨릭적 특성을 반영한 교육과정 현황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셋째, 가톨릭 대학의 가톨릭 교육과정 현황을 통해 Tyler 교육과정 모형 기반 가톨릭 교육과정 개발 모형을 이론적·실증적으로 모델링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톨릭 대학은 본질적으 로 진리추구, 진리전달, 진리적용의 ‘일반적’ 성격 외에, 교육, 연구, 봉사 의 기능을 수행할 ‘교회적’ 성격을 동시에 지닌다. 가톨릭 정체성을 구현 할 수 있는 가톨릭 교육과정은 가톨릭 인간관을 중심으로 하여 가톨릭 대 학의 교육이념, 교육목표, 학문 과정, 교육내용, 교육 방법 등을 주요 요소 로 하고 있다. 둘째, 가톨릭 대학은 교육이념에 진리・사랑・봉사, 인간존중, 공동선의 실현 등 가톨릭적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학부, 대학원 학위 과정에 가톨 릭 이념 반영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었다. 교원, 직원, 학생들을 위해 복 음화 차원에서 성사활동(세례, 견진)을 통해 신자들을 배출하고 있었으며, 다양한 신앙프로그램을 운영하여 교직원 및 학생들의 신앙을 증진시켰다. 이와 함께, 외국인 학생들을 위한 외국어 강좌 운영, 국가, 지역, 국제 수 준의 상호협력을 통해 국제화 및 복음화 가치를 실현하고 있었다. 셋째, 세 가톨릭 대학의 인간관, 교육이념, 교육목표, 학문 과정, 교육내 용, 교육 방법 등 교육과정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Tyler 모형 기반 가톨 릭 교육과정 모형에 적용하여 가톨릭적 특성을 알아보았다. 교회문헌과 선 행연구를 통해 도출된 가톨릭 특성의 핵심 요소 외에 개개인의 전인적 양 성 도모, 참인간을 양성하려는 인성교육, 지행일치의 삶 추구 등이 가톨릭 교육과정에 반영되고 있었다. 교육 방법으로 거룩한 체험 교육(수도원 체 험, 기도, 피정), 학생 개인에 대한 돌봄(cura personalis), 봉사 교육 방법 론, 비판적 성찰 방법론 등이 가톨릭 특성을 지닌 수업에서 사용되었으며, 학문 과정에 있어서는 전통학문 이외에 ESG경영,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진로와 취업 등 새로운 학문들이 철학, 심리학, 신학과 융합되어 가톨릭 특성을 지닌 교과목으로 운영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Tyler 교육과정 개발 모형을 기반으로 하여 가톨릭 대학 의 교육과정을 통한 종교적 정체성 구현을 모델링하였다. 가톨릭 대학은 가톨릭 교육과정 개발에 있어 가톨릭 인간관을 가지고 교육목표 설정 시 전인 교육을 위하여 학습자, 사회, 교과, 영성의 요구파악이 필요하며, 인 간영성을 개발하는 것이 일반대학과 틀린 가톨릭 교육과정의 핵심적 특징 이라 할 수 있다. 잠정적 가톨릭 교육목표 설정에 있어서 가톨릭적 인재 양성, 가톨릭적 가치 추구, 인류 발전에 기여하는 교육이념과 가톨릭적 융 합 교육, 가톨릭적 인간교육, 가톨릭적 탐구 증진을 교육목표로 하여야 하 며, 왜(why) 교육하는가, 어떻게(how) 가르치고 배울것인가를 고려해야 한 다. 또한 진리에 부합하는가를 검토할 수 있는 신학은 가톨릭 교육과정 개 발에 있어서 핵심적 특징으로 볼 수 있으며, 교육내용 선정, 교육방법 선정, 교육평가 선정 등의 각 단계별로 가톨릭 교육과정을 구성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가톨릭 대학의 본질 회복을 위해 가톨릭 대학이 노력해 야 할 종교적 구현의 실천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교양 교 육 위주의 종교교육에서 전공 교육으로의 확대가 필요하다. 둘째, 인성과 영성 교육 강화가 필요하다. 셋째, 수월성 추구를 위한 가톨릭 교육 방법 의 다양화 모색이 필요하다. 넷째, 교목 활동 강화를 통한 가톨릭적 분위 기 형성이 필요하다. 다섯째, 가톨릭 대학 및 가톨릭 교육 기관과의 연대 및 공동교육체계 구축 및 활성화가 필요하다. 여섯째, 국제화 강화를 통해 다문화 이해, 국제협력 증진, 복음 선교 등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가톨릭 대학은 그 구성원들인 교수, 직원, 학생들이 가톨릭 교육 패러다임 안에서 가톨릭 인간관에 적합한 가치를 가지고 가톨릭 문 화 형성 및 정체성 구현을 위한 노력을 지속할 때 가톨릭 대학으로서의 본질과 사명을 실천할 수 있을 것이다. Catholic universities have been rooted in the Church since their birth, and the religious identity of Catholic universities refers to Catholic characteristics or Catholic characteristics that define the founding ideology and fundamental educational goals of Catholic schools. Catholic universities have a mission of ‘evangelization’ that comes from their ecclesiastical nature, as well as a mission of ‘holistic education’ that comes from their school nature. Evangelization and holistic education are the core missions that form the two axes of Catholic universities. The way for a Catholic university to simultaneously achieve excellence and reputation as a Catholic university will be possible when it implements not only a system of Catholic identity, ideology, and mission, but also a Catholic curriculum that is suitable for the Christian view of human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sought to investigate the elements that constitute the religious identity of Catholic universities, focusing on the “Papal Decree on Catholic Universities”(Ex Corde Ecclesiae), church documents, and previous research. Second, we sought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curricula that reflect the Catholic characteristics of Catholic universities, using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Daegu Catholic University, and Sogang University as examples. Third, we attempted to theoretically and empirically model the Catholic curriculum development model based on the Tyler curriculum model through the current status of the Catholic curriculum at Catholic universities. The research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atholic universities inherently have an ‘ecclesiastical’ character that performs the functions of education, research, and service, in addition to the ‘general’ character of pursuing truth, conveying truth, and applying truth. The Catholic curriculum that can embody Catholic identity is centered on the Catholic view of humanity and has as its main elements the educational philosophy, educational goals, academic courses, educational content, and educational methods of Catholic universities. Second, Catholic universities have Catholic characteristics such as truth, love, service, respect for humanity, and realization of the common good in their educational ideologies, and they operate curricula that reflect Catholic ideology in undergraduate and graduate degree courses. In order to evangelize faculty, staff, and students, it was producing believers through sacramental activities(baptism, confirmation), and operating various faith programs to promote the faith of faculty, staff, and students. In addition, the values ​​of internationalization and evangelization were being realized through the operation of foreign language courses for foreign students and mutual cooperation at the national, regional, and international levels. Third, we looked at the curriculum status of the three Catholic universities, including their views on humanity, educational ideology, educational goals, academic courses, educational content, and educational methods, and applied this to the Catholic curriculum model based on the Tyler model to investigate Catholic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o the core elements of Catholic characteristics derived through church literature and previous research, the promotion of holistic formation of each individual, character education to cultivate true human beings, and pursuit of a life consistent with knowledge and actions were reflected in the Catholic curriculum. As educational methods, sacred experiential education(monastery experience, prayer, retreat), care for individual students (cura personalis), service education methodology, and critical reflection methodology were used in classes with Catholic characteristics, and in the academic process, in addition to traditional studies, New academic disciplines such as ESG management, media communication, career path and employment, etc. were combined with philosophy, psychology, and theology and were operated as subjects with Catholic characteristics. In modeling the implementation of religious identity through the curriculum of a Catholic university, this study was based on the Tyler curriculum development model. When developing Catholic curriculum, Catholic universities need to understand the needs of learners, society, subjects, and spirituality for holistic education with a Catholic view of humanity when setting educational goals. Developing human spirituality is a key aspect of the Catholic curriculum that is different from that of general universities. It can be said to be a feature. In setting provisional Catholic education goals, the educational goals should be nurturing Catholic talent, pursuing Catholic values, educational philosophy that contributes to human development, Catholic convergence education, Catholic human education, and promotion of Catholic inquiry, and why. We must consider whether to educate and how to teach and learn. In addition, theology, which can be reviewed for conformity to the truth, can be seen as a key feature in the development of the Catholic curriculum, and the Catholic curriculum must be structured in each stage, such as selection of educational content, selection of educational method, and selection of educational evaluation. In this study, we presented the following religious implementation measures that Catholic universities should strive for in order to restore their essence. First, there is a need to expand from religious education centered on liberal arts education to major education. Second, there is a need to strengthen character and spiritual education. Third, it is necessary to seek diversification of Catholic education methods to pursue excellence. Fourth, it is necessary to create a Catholic atmosphere through strengthening chaplaincy activities. Fifth,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d revitalize solidarity and joint education systems with Catholic universities and Catholic educational institutions. Sixth, through strengthening internationalization, multicultural understanding, promotion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evangelism are necessary. In this way, a Catholic university will be able to practice its essence and mission as a Catholic university when its members, professors, staff, and students, continue their efforts to form Catholic culture and realize identity with values ​​appropriate to the Catholic view of humanity within the Catholic education paradigm.

      • 가톨릭 학교교육에 대한 교구장 주교의 역할에 관한 고찰

        조민환 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국 문 초 록 가톨릭 학교교육에 대한 교구장 주교의 역할에 관한 고찰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신학과 실천신학 전공 <지도 : 이 경 상 교수> 조 민 환 제 삼천 년 기에 들어선 지금, 대한민국 공교육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입시라는 굴레와 사교육의 확대 속에 학교교육은 그 고유의 본질적 목적과 정체성을 잃어가고 있다. 아울러 일부 사립학교의 교육 부조리나 재단 내의 경영상 횡포로 인한 사립학교법 개정은 가톨릭 학교와 같이 모범적인 사학의 건학이념을 가로막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현실 안에서 본 소고는 가톨릭 학교교육의 궁극적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가톨릭교회의 노력을 고찰하고자 했다. 그런데 학교교육에 관한 가톨릭교회의 노력은 교회 내 학교 당국 및 관계자들에게만 국한되는 문제가 아니다. 이는 지역교회 구성원 모두의 몫이고 결국 그 지역교회를 돌보는 교구장 주교의 의무이자 책임으로 이어진다고 하겠다. 필자가 “가톨릭 학교교육에 대한 교구장 주교의 역할에 관한 고찰”로 논제(論題)를 선택한 이유는 바로 여기에 있다. 본고는 ‘교회법’이라는 학문의 범주 아래에서 “가톨릭 학교교육과 교구장 주교의 역할”에 대한 고찰을 하고 있으므로, 그 내용을 전개하기 위한 방식은 ‘교회법’이 지닌 3가지의 고유한 연구 방법론-연대적 분석(Chronological Analysis), 이론적 접근(Theoretical Approach), 사목적 제언(Pastoral Proposal)-을 택하였다. 본문은 Ⅰ부와 Ⅱ부로 구성되어 있다. 제Ⅰ부에서는 가톨릭 학교교육에 대한 법적 근거를 제시했다. 제1장에서는 『1917년도 교회법전』의 교육과 관련된 법령들을 ‘교육의 중요성’, ‘가톨릭 대학교와 학위’, ‘학교 감독에 관한 주교의 권리’라는 주제로 알아보았다. 제2장에서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 문헌』의 「그리스도인 교육에 관한 선언」을 필자가 ‘교육의 원리와 목적’, ‘교육의 의무와 책임’, 그리고 ‘가톨릭 학교’라는 주제로 분류한 후, 공의회가 선언하는 교육에 관한 기본적인 내용들을 정리하였다. 제3장에서는 『1983년도 교회법전』을 ‘교육의 책임’과 ‘교육의 수단’이라는 주제로 나누어 ‘교육의 책임’에서는 <부모>와 <국가> 그리고 <교회>라는 소제목으로 살펴보았고, ‘교육의 수단’에서는 법전이 제시하는 학교에 대한 조항들을 알아보았다. 제4장에서는 가톨릭 교육에 관한 교회의 가르침들 가운데 「가톨릭 학교에 관한 지침」, 「학교 내의 가톨릭 평신도 :신앙의 증인들」, 「제삼천년기의 문턱에 서 있는 가톨릭 학교」, 「가톨릭 대학교에 관한 교황령」을 살펴봄으로써, 가톨릭 학교교육과 관련된 교구장 주교의 역할들에 대해 고찰하였다. 제Ⅱ부의 제1장은 본격적으로 교구장 주교의 법적 책임과 권리에 대해 1983년도 법전을 근간으로 논하며, ‘학교의 설립’과 ‘감독과 시찰’ 그리고 ‘가톨릭 학교에 관한 명명권과 인재양성’이라는 주제에 따라 살펴보았다. 제2장에서는 미국과 독일의 가톨릭 학교교육 실황을 제시하면서, 외국의 선험 사례를 참고로 하여 가톨릭교회가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학교교육을 개선시켜야 되는지를 모색했다. 제3장에서는 가톨릭 학교교육의 사명에 위배되는 한국의 공교육 현실의 배경인 여러 사회적 문제들 중 중추적이고 대표적인 문제인 ‘사학법’에 대하여 살펴보고, 특히 동전의 양면과도 같은 ‘사학의 공공성과 자주성’에 대하여 고찰했다. 그리고 사립학교법이 현장에서 어떠한 양태로 드러나는지 ‘사립학교법의 현실’에 관한 제목으로 ‘학교 운영권에 대한 제한’과 ‘종교교과목에 대한 제한’들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제4장에서는 가톨릭 학교교육을 위한 교회의 노력과 대응들에 대해서, 먼저 인간이 가지고 있는 교육에 대한 권리를 ‘천부적 권리’라는 제목으로 간략히 설명하고, 한국 교회의 대응책을 공시적 접근과 통시적 접근으로 강구해보았다. 이어서 한국에서 가톨릭교회가 시행하고 있는 몇 가지 노력들을 ‘한국 가톨릭 학교 교육 헌장’과 ‘가톨릭 학교교육 포럼’으로 제시하였다. 결론에서는 현실의 제도가 가톨릭 학교교육의 영성을 막고 있다면, 교구장 주교의 힘 있는 발언과 교회 내의 신자들이 힘을 모아, 그 제도를 가톨릭 학교교육의 영성을 실현하는 쪽으로 되돌려 놓아야 한다고 밝혔다. 바로 제도적 투신으로 가톨릭적 입법들을 제시하고 그러한 법률들을 발판삼아 본질적 의미에서의 가톨릭 학교교육을 구현하자는 것이다. 아울러 “장학금 제도”를 통하여, ‘가난하고 소외된 어린이들에게 교육의 기회를 부여하기 위함’이라는 가톨릭 학교의 본질적 목적을 이행하고 귀족교육의 한정성을 경계하자고 언급하였다. 그 결과, 가톨릭 학교교육이 이 사회의 학교교육에 정향(正向)을 제시하고, 공교육의 모범적 사례로 본(本)을 보여줌으로써 이 사회에서 계속 벌어지는 양극화 현상의 극복에 교두보 역할을 할 수 있기를 희망하였다. A Study on the Role of a Diocesan Bishop in Catholic Schooling Cho, Min-Hwan Department of Practical Theology, Graduate Schoo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Director : Prof. Lee, Kyung-Sang> At the entrance of the third millenium, people show a high degree of concern about Korean public education. The school education seems to be losing its own essential purpose and identity, with the pressure of entrance exams and increasing private education for students. Moreover, irregularities and injustice in running of some private schools has caused revision of the private schools law, which obstructs the establishment of exemplary private school with appropriate foundation including Catholic schools. Under such circumstances, this thesis studies the Catholic church's efforts to realize the ultimate goals of Catholic school education. Such efforts, however, are not a matter limited to the school authorities. These efforts should be responsibility of all members of a parish church and eventually, of the diocesan in charge of the diocese. This opinion has named this thesis as "the role of diocesan bishop in Catholic schooling." This thesis explores the Catholic schooling and a diocesan's role in it under the discipline of Canon Law. Therefore, three characteristic methodologies of Canon Law are used to develop the content: chronological analysis, theoretical approach, and pastoral proposal. The body of the text consists of Part I and II. In Part I, the legal foundation of Catholic schooling is presented. Chapter one examines the laws related to education in The code of Canon Law(BenedictⅩⅤ ) in terms of 'the importance of education' 'Catholic University and degree' and 'a bishop's right to supervise schools.' Chapter two studies Documents of the Vatican Council Ⅱ - Declaration on Christian Education, Gravissimum Educationos under the headings of 'the principle and purpose of education,' 'the duty and responsibility of education,' and 'the Catholic school' and points out the basic facts of education strategy declared by the Council. Chapter three explores The code of Canon Law (John PaulⅡ) under the two subjects: one is the 'responsibility of education,' where the discussion develops through the headings of 'parents,' 'nation,' and 'church'; the other is the 'means of education,' which examines legal articles from the Code mention Catholic schooling. Chapter four refers to such documents as The Catholic School, Lay Catholics in Schools : Witnesses to Faith, The Catholic School on the Threshold of the Third Millennium, and Apostolic Constitution of the Supreme Pontiff John PaulⅡ on Catholic Universities, among the various instructions of church on Catholic education, to learn the role of a diocesan bishop in Catholic schooling. Based on The code of Canon Law (BenedictⅩⅤ ), c hapter one of Part II discusses the legal responsibility and right of a diocesan in depth, under the subjects of 'foundation of a school,' 'supervision and inspection,' and 'right to name Catholic schools and nurturing of human resource.' Chapter two provides the reality of American and German Catholic school education and searches for the right direction for our Catholic church to improve school education through the precedents of other countries. Chapter three shows how the fundamentals of "private schools law" is against the mission of Catholic schooling, and how such laws generate various social problems within in the Korean educational system. In particular, this thesis focuses on both public and independent nature of private schools, sometimes referred to be a double-edged sword. In addition, this chapter examines restrictions on school administration and religious subjects under the subtitle of 'the reality of private schools law' in order to demonstrate how the current law reveals its weakness. Finally, chapter four discusses the church's effort and counterplan to improve Catholic school education. Chapter begins with brief explanation of the human rights to be educated as 'God-given rights' and deliberated the counterplan of Korean church through synchronic and diachronic approaches. Subsequently, it presents ‘Charter of The Korea Catholic school Education’ and ‘Catholic School Education Forum’ as examples of the efforts made by Korean Catholic church. In conclusion, the author argues that if the current education system hinders spirituality of Catholic school education, the system should be redirected to fulfill the spirituality through voicing enthusiastic opinions of the diocesan bishop and all church members. This effort can be done by offering Catholic legislation as institutional countermeasures and stepping-stone; such legislation will guide the church to accomplish the fundamental sense of Catholic education. Furthermore, the author suggests that Catholic schools should enlarge scholarship to persue its essential goal of 'offering educational opportunity to poor, neglected children' and stay wary of the limitations of aristocratic education. As a result, the author hopes Catholic school education would become a solution to alleviate the increasing socioeconomic polarization by providing the right direction of education and setting an outstanding example for public education in this society.

      • 가톨릭 교회의 스마트폰 활용 연구

        김정은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23

        가장 최근의 사회 매체이자 미디어 트렌드라고 할 수 있는 ‘스마트폰’은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각종 정보와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는 휴대기기이다. 스마트폰은 기존 디지털 기기를 넘어서서 새롭고 강력한 커뮤니케이션의 도구이자 계기, 통로이자 광장이 되고 있다. 이처럼 시시각각으로 변화하는 사회 안에서 가톨릭 교회는 사회 매체가 지니는 ‘새로운 가능성’에 희망을 두고 끊임없이 매체를 활용하면서 사회와 더욱 폭넓은 관계를 맺고 대화를 시도해 왔다. 이와 같은 사회적 배경과 교회의 변화 속에서 가톨릭 교회의 스마트폰 활용 현황을 살펴보고 향후 스마트폰 활용에 있어서의 방향과 과제 등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우선, 스마트폰의 등장 배경과 이용 현황, 이용 효과를 통해 스마트폰을 특징을 이해하고, 새로운 사회 매체에 관한 가톨릭 교회의 시각을 교회 문헌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교회 문헌은 교회법과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전과 이후, 2000년 이후로 나누어 살펴보고, 교회의 새로운 사회 매체 활용은 크게 사목과 홍보, 교육 분야로 나누어 알아본다. 그리고 가톨릭 교회가 스마트폰을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애플리케이션과 SNS 분야로 나누어 살펴본 뒤, 가톨릭 교회의 스마트폰의 활용 방안과 과제를 제안할 것이다.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교회 사목, 홍보, 교육 분야에서 구체적인 활용 방안과 예시를 제안하고, SNS는 교회 사목, 선교, 이웃 종교와의 대화에 어떻게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지 알아볼 것이다. 그리고 스마트폰 활용에 있어서 윤리·도덕적 과제와 소통·교육의 과제 등을 점검해 본다. 가톨릭 기관과 단체, 신자들의 스마트폰 활용이 점점 커지는 이때, 본 연구를 통해 가톨릭 교회의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개발과 SNS 이용이 더욱 활성화되고 스마트폰의 효율적인 활용과 실천 방안, 교회와 신자들이 직면한 과제들을 살펴보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또한, 앞으로 스마트폰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를 넘어 변화하는 사회와 미디어 환경 속에서 가톨릭 교회 구성원들 간의 소통을 보다 원활히 하고 활발히 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들을 제시하고 고민하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지속적인 조사와 연구, 토론 등을 통해 가톨릭 교회 내에서의 고민을 넘어 이웃 종교와 대화할 수 있는 더 넓은 광장으로 나아가는 발판이 되도록 끊임없이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e newest social media and media trend is 'Smart-Phones.' A smartphone, which is a portable mobile device, offers users information and various content in real-time based on the Internet. It has become a new and strong tool of communication, pathway, and square beyond a digital device. In the rapidly changing society, Catholic Church has continually tried to have conversations having an extensive relation with the society by using media and putting a hope on 'new possibilities' that social media has. With these social backgrounds and changes of church, the study will look into the current status of the use of smartphones in Catholic Church and directions as well as assignments to use smartphones. First, definitions, characteristics, as well as the current status and effects of the use of smartphones will be figured to understand smartphones. And the perspective of Catholic Church towards new social media will be figured through church references. The church references and literature will be divided into the Code of Canon Law, before and after the Ⅱ Vatican Council, and after 2000. Church's use of social media will be divided into cure of souls, promotion, and education areas at large. After that, how Catholic Church uses smartphones will be figured; the use of smartphones will be divided into applications and social network services(SNS) and the utilization measures and assignments of smartphones will be proposed; detailed measures and examples for using applications to each area of church including cure of souls, promotion, and education will be proposed. For SNS, how it can be effectively used for cure of souls, missionary work, and communicating with neighbor religions will be studied. In addition, ethical assignments along with communicational and educational assignments for th use of smartphones will be reviewed. As the use of smartphones among Catholic organizations, groups, and believers increases, this study aims to activate the development of smartphone applications for Catholic Churches and grasp the ways to use smartphones efficiently, measures, and assignments that Catholic Churches and believers encounter. Furthermore, detailed measures to activate communication among constituents of Catholic Churches need to be considered and proposed in changing society and media environments beyond the use of smartphones. Through continual research, study, and discussion, it needs to be strived to prepare broadened space to communicate with other religions beyond concerning within Catholic Churches.

      • 1936년~1948년 한국 가톨릭 교회음악에 관한 연구(下) : 그레고리오 성가를 중심으로

        이정옥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23

        한국 가톨릭교회는 시대와 환경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모습으로 발전되어 왔으며 성가 역시 다양한 모습으로 변화되어 왔다. 이를 구분하면 천주가사 시기, 그레고리오 성가 유입 시기, 1948년 이전 성가집과 이후 성가집 시기 등으로 나누어 생각해 볼 수 있다. 한국 가톨릭교회 초기에 천주교 교리와 신앙을 전달할 목적으로 일반신자들에 의해 자생적으로 천주가사가 형성되었다. 또한 가톨릭교회에서 역사와 더불어 그 길을 함께 걸어온 ‘그레고리오 성가’가 있다. 한국 가톨릭교회에서 그레고리오 성가는 프랑스 선교사들과 프랑스 계통수도원들의 영향으로 천주교 전례의 유입과 함께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졌다. 그러나 그 파급효과는 그리 크지 못했다. 도입초기에는 박해에 의해 전례가 제대로 수행되기도 어려웠고 선율과 가사가 모두 생소한 그레고리오 성가를 가르치고 향유(享有) 할 만한 여력이 없었다. 특히 가사가 라틴어라는 점에서 성가의 습득이 어려웠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레고리오 성가는 현재까지 가톨릭 전례의 최고 음악으로 그 중요성을 인정받고 있으며, 교황청에서도 가톨릭의 모든 전례에 그레고리오 성가를 사용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한글성가집이 발간되기 시작한 1910년 이후부터 한국 가톨릭 교회음악의 역사는 성가집의 변천사와 그 맥을 같이한다. 본 논문은 1912년 용산『신학교 성가』등사본부터 최초로 출판된 정식 4부 합창 성가집인 1948년 이문근『가톨릭 성가집』발행 시기까지 성가집들의 역사적, 음악적 의의를 그레고리오 성가가 수록된 성가집을 통해 집중적으로 살펴볼 것이다. 또한 한국에서의 그레고리오 성가 유입과 변천과정, 성가집들 안에서의 활용, 그리고 문제점을 통해 한국 가톨릭 성가의 그레고리오 성가가 나아가야할 방향을 살펴보면서 개선방안을 제언해 볼 것이다. 미사전례 중심의 내용을 담은 성가가 부족한 현실에서 가톨릭 교회음악의 뿌리인 그레고리오 성가를 적극 활용한다면 전례시기별, 주제별 성가의 부족에서 오는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Korean Catholic Church and their chants have developed in various ways along with time and environmental changes. It can be classified into four different periods; period of CheonJu-Gasa(Ancient form of Catholic lyrics), introductory period of Gregorian Chant, period of Hymnal Books before and after 1948. CheonJun-Gasa was formed spontaneously by the faithful in order to spread Catholic doctrines and the faith. There were also Gregorian Chants that came along with history of Catholic Church. In Korean Catholic Church, Gregorian Chants were accepted when the Catholic liturgy was introduced by the influence of French Missionaries and their related congregations. However it was not as effective as expected. At initial stage, the liturgy could not be conducted due to persecutions and people could not afford to teach and share the Gregorian Chant which had unfamiliar melody and the lyrics. Nevertheless, Gregorian Chant achieved recognition of its importance in Korea and the Vatican recommended to use Gregorian Chants in all Catholic liturgy around the world. Since the Korean Hymnbook started to be published in 1910, it has shared the history of Korean Catholic music. Therefore the study on Korean Catholic hymnbook is a core factor to see the trend of Korean Catholic hymns. This paper will examine the historical and musical significance of following books especially concentrating on the hymnbook containing the Gregorian Chant; from 1912 copy of YongSan『Seminary Hymnbook』to primally published four part voice hymnbook 『Caholic Hymnbook』by Lee MoonKeun 1948. This paper will propose the improvement of the future Gregorian Chant by looking at a direction of the usage of Gregorian Chant within Korean Catholic hymnbook. It will be done looking through at the introduction and transition process of Gregorian Chant in Korea, usage within the hymnbooks and including some problems. Once we take advantage of the Gregorian Chant, the root of the Catholic Church Music, we will be able to overcome the limit coming from the shortage of hymnbooks on various liturgical seasons and subjects.

      • 가톨릭 전례와 개신교 예배 안에서의 오르간 역할 비교 연구 : 개신교 예배 안에서 오르간 역할의 활성화 방안

        유은정 가톨릭대학교 교회음악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23

        기독교에서 예식이란 하느님의 부르심에 대한 인간의 응답으로, 인간을 향한 하느님의 섭리와 뜻을 발견하고 감사와 찬양을 드리는 공동체 행위로서의 공식적인 의식이다. 그런 행위를 가톨릭에서는 전례라고 정의하고 개신교에서는 예배라 정의한다. 전례와 예배를 거룩하고 엄숙하게 만드는 음악의 중심에는 오랜 역사와 함께 오르간이 존재했다. 기원전 246년에 알렉산드리아의 크테시비우스가 오르간을 발명한 이후 세월을 거치면서 개량되고 발전되다가 로마에 전해져 부유층의 향유품으로 자리잡았고, 8세기에 서방세계에 소개되었다. 성직자들과 수도자들이 직접 오르간 제작에 참여함으로 11세기 수도원의 교회로 도입되어 13세기에 이르러서 유럽의 각 교회에 도입되고 대형화 되었다. 오르간이 서서히 전례 악기로 인정되면서 15세기에는 오르간의 발전과 보급으로 오르간 황금시대를 맞이하였다. 그러나 16세기 종교개혁으로 인한 개신교의 탄생으로 위기를 맞기도 했던 오르간은 종교개혁 지도자들 사이에서도 오르간 사용에 대한 미묘한 입장 차이를 보였다. 종교개혁 이후 가톨릭교회는 전례음악과 악기에 대한 재정비와 정리를 통한 반종교개혁을 전개함으로 오르간도 세속악기와 구별된 전례악기로서 여러 문헌을 통해 존중받고 장려 받으며 전례 안에서 발전되었다. 우리나라에는 가톨릭의 파리에 뮈텔 신부가 보내준 오르간이 1890년에 최초로 들어왔고, 개신교는 미국 선교사들에 의해 1882년에 들어왔다. 그리고 개신교에서는 최초로 1918년 정동제일교회에, 가톨릭에서는 최초로 1924년 명동성당에 각각 파이프 오르간이 설치되었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100여개의 파이프 오르간이 가톨릭과 개신교에서 사용되고 있고, 그 수는 개신교가 가톨릭에 비해 두 배 가까이 더 많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대 개신교에서는 소위 열린 예배와 같이 시대와 문화 및 상황에 맞게 예배를 새롭게 재구성하려는 움직임으로 인하여 교회의 전통적인 예배 악기인 오르간의 영역이 전자악기와 타악기 등에 밀려 축소되고 있다. 이에 반해 가톨릭교회는 공식적인 교회의 문헌을 통하여 오르간을 존중하고 오르간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재차 언급하면서 사제와 성음악 관계자들을 교육시키는 바, 정형화된 전례 안에서 전례악기로서의 임무와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다. 그로 인한 결과 중 하나로 매주일 전례 안에서 성찬이 행해지는 동안 그날 전례의 성격과 색채를 드러내는 오르간 역할로 성찬에 합당한 적절한 선곡이 있었다. 개신교에서는 여러 가지 신학적 이유로 자주 행해지지 않는 성찬식이 오르가니스트의 개인적 취향에 인한 선곡으로 성찬식에 방해가 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그러므로 개신교 성찬식에 사용될 수 있는 바흐의 코랄 등과 같은 전례에 적합한 오르간 곡을 발굴하고 보급하여 개신교 교회력에 맞게 활용함으로써 오르간의 활용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개신교 예배 안에서 오르간의 활성화 방안으로 오르가니스트의 재교육과 오르간위원회의 구성, 오르간 연주회를 통한 교회내 오르간음악의 발전, 그리고 무엇보다 목회자의 오르간에 대한 이해와 인식이 시급하다. 아울러 예배 안에서 그 날의 성경 본문과 설교에 맞는 오르간 독주를 장려함으로써 예배를 좀 더 거룩하게 하는데 오르간이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 한국 가톨릭교회 가정 사목의 현황 및 전망에 대한 연구 : 서울대교구를 중심으로

        서진우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23

        가정은 사회의 기본 세포로서 개인에게나 사회에게나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가톨릭교회의 가르침에 따르면 혼인과 가정은 하느님께 기원을 두고 있기에 천부(天賦)의 존엄성을 지니고 있고, 특히 그리스도인의 혼인은 ‘그리스도와 교회의 관계’를 나타나는 표징으로서 성사의 품위가 올려진다. 이러한 성사로서 태어난 그리스도인 가정은 자신의 고유한 사명이 있다. 그러나 오늘날 혼인과 가정의 소중한 가치를 위협하는 요소가 많기에 그리스도인 가정도 영향을 받고, 자신의 고유한 사명을 수행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래서 가톨릭교회는 혼인과 가정의 소중한 가치를 더욱 널리 전파하도록 혼인과 가정에 대한 ‘기쁜 소식’을 세상에서 끊임없이 선포하고, 동시에 가정들을 동반하며 특히 그리스도인 가정이 자신의 사명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도록 보태어 준다. 한국 가톨릭교회의 가정 사목은 1970년대부터 이미 가정 사목의 중요성을 인식했고 가정 사목을 위한 큰 노력을 기울여 왔다. 그런데 날로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적 문화적 환경은 또 새로운 사목적 도전과 과제를 제시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그리스도인 가정의 의미, 그리고 가정에 대한 교회의 사목적 배려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하고, 오늘 사회적 문화적 배경 안에 한국 가톨릭교회, 특히 중심적인 역할을 해 온 서울대교구의 가정 사목의 역사, 현황을 살펴보며 사목적 반성과 함께 새로운 도전 과제를 직면하도록 나아가야 할 방향을 탐구하고자 한다. 본론은 4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2장은 성경과 교회 문헌을 통해서 가톨릭교회가 가르치는 혼인과 가정의 의미를 살펴볼 것이고, 3장은 「가정 공동체」와 「사랑의 기쁨」에 나타나는 가정에 대한 사목적 배려를 구체적으로 살펴볼 것이다. 4장은 한국 가톨릭교회 가정 사목(서울대교구를 중심으로) 즉 한국 가톨릭교회 가정 사목의 역사, 생명과 가정에 대한 한국 가톨릭 신자의 실태 및 한국 가톨릭교회 가정 사목의 현황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이어서 한국 가톨릭교회 가정 사목에 대해 반성하면서 오늘날 한국 사회에서 혼인과 가정을 위협하는 몇 가지 문제를 제시할 것이다. 5장은 이러한 새로운 도전 과제를 직면하기 위한 몇 가지 사목적 대안을 제시할 것이다. 가정의 행복한 상태는 개인의 행복과 사회 공동체의 안녕을 좌우한다. 교회만이 아니라 모든 사람은 혼인과 가정의 행복을 도모하는 의무가 있다. 그래서 더 많은 사람은 혼인과 가정에 대한 관심을 갖고, 혼인과 가정의 소중한 가치를 수호하고 증진하기를 바란다. As a basic cell of society, family plays an important role both in individual and in society. According to the teachings of the Catholic Church, marriage and family have divine dignity because they have their origin in God. And in particular, Christian marriage raises the dignity of sacrament as a symbol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hrist and the church.” Christian family, born of this sacrament, has its own mission. However, since there are many factors that threaten the essential values ​​of marriage and family nowadays, Christian family is also affected and finds it difficult to carry out its own mission. Therefore, in order to widely spread the essential values of marriage and family, the Catholic Church constantly declares the “good news” about marriage and family in the world, and at the same time accompanies families, especially Christian families to fulfill their mission properly. Since 1970s, the family ministry in the Catholic Church of Korea has alread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its mission and since then has made great efforts. However, the rapid changes in the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presents new pastoral challenges and tasks. Therefore, this thesis aims to examine in detail the meaning of the Christian family and the pastoral care for families in the Catholic Church. And this thesis examines the history and current status of the family ministry amid today’s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in the Korean Catholic Church, especially the Seoul Archdiocese, which has played a central role, and it explores the direction that needs to be taken to face new challenges along with pastoral reflection. This thesis consists of four chapters. Chapter 2 examines the meaning of marriage and family taught by the Catholic Church through the Bible and Church literature, and chapter 3 focuses on the pastoral care for families in the 「Familiaris Consortio」 and 「Amoris Laetitia」. Chapter 4 is about the family ministry in the Korean Catholic Church (focused on the Seoul Archdiocese), examining its history, the current situation of Korean Catholics in relation to life and family, and the current status of the Catholic Church in Korea. After that, while reflecting on the pastoral care of the Catholic Church in Korea, this research presents some issues that threaten marriage and family in today's Korean society. Chapter 5 presents some pastoral alternatives to face these new challenges. The happy state of the family determines individual happiness and the well-being of the social community. Not only the church, but everyone has an obligation to promote marriage and family happiness. Therefore caring about marriage and family, the protection and promotion of its essential values should be urged to more people.

      • 대한가톨릭학생회를 중심으로 살펴본 한국 가톨릭교회의 사회참여 고찰

        박홍철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23

        가톨릭교회는 자신의 본래 사명인 ‘복음선포’를 세상 안에서 생동적이고 역동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하느님의 백성의 도움을 필요로 하고 특히 평신도의 협력 중에 가톨릭 지성인인 학생들의 도움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교회는 학생들에 대한 깊은 이해와 관심으로 학생들을 배려해야 한다. 왜냐하면, 이들이야말로 교회의 미래이면서 동시에 사회의 변화를 폭 넓게 수용하고 개선해 나갈 수 있는 그리스도의 일꾼들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과연 교회가 학생들을 진정으로 교회 사명 수행의 주체요 협력자로 인식하고 있는지 의문을 제기해 보지 않을 수가 없다. 학생 신자들이야말로 교회의 희망이며 미래라는 말은 자주 언급되고 있지만, 그 희망과 미래를 위해 교회가 진지하게 숙고하고 실천하는 것이 무엇인가? 하는 물음 앞에 과연 오늘의 교회가 얼마나 자유로울 수 있을까? 나날이 새로워지는 한국사회 속에서 학생들은 세상에 대한 교회의 사명 외에도 그들이 처한 사회현실 앞에서 고뇌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럴 때 만약 교회가 적극적이고 구체적으로 그들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보여 주지 않는다면 결국 학생들은 교회 안에서 스스로 허탈함과 소외감만을 가진 채 다른 곳에서 그 답을 찾기 위해 떠날 것이다. 이를 위해서 우선 교회가 사회참여를 하기 이전에 자신에 대한 자성을 통한 쇄신을 이뤄야 하며, 협력자인 가톨릭학생회에 대한 인식을 점검해 보아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대한가톨릭학생회의 1972년 해체까지 활동을 중심으로 세상을 향한 한국교회의 사회참여가 대한가톨릭학생회를 통하여 어떻게 이루어져 왔으며, 앞으로 제2차 바티칸 공의회(Concilium Vaticanum Secundum, 1962~1965년)의 정신을 따르려 노력하는 한국교회의 자세가 어떠해야 하는지 살펴보았다. 특별히 본 논문은 한국 가톨릭 학생운동사 안에서 대한가톨릭학생회의 활동을 결산하고 평가해 보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한국에서 가톨릭 학생운동을 대표할 수 있는 대한가톨릭학생회의 활동이 시작된 지 50여 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특별히 연구 논문 하나 없다는 사실에, 이 논문을 통해 자료를 정리 평가하고, 앞으로 교회를 통한 학생들의 사회참여에 대한 모습을 고찰하고자 했다. 본 논문의 취지에 적합하도록 하기 위해서 논문의 내용을 크게 3장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제1장에서는 대한가톨릭학생회의 약사(略史)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대표적으로 대한가톨릭학생회의 창립 준비과정과 활동시기, 전국대회를 중심으로 한 발전기, 그리고 교회와 갈등 속에 있던 대한가톨릭학생회의 해체기를 역사적으로 살펴보았다. 제2장에서는 1962년 열린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사회참여의 의미를 되새기며 대한가톨릭학생회의 평가와 반성을 하였다. 특히 「사목헌장(Gaudium et Spes)」과 「평신도 교령(Apostolicam Actuositatem)」을 살펴보면서 가톨릭 학생운동의 이론적인 틀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공의회는 교회의 사회참여에 대해서 어떻게 언급하고 있으며, 그 가르침에 따른 가톨릭 학생운동은 어떠해야 하는 것인가를 고찰하였다. 더불어 공의회적 시각으로 1972년 대한가톨릭학생회의 해체 원인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서 지배 이념과의 갈등, 교회와의 갈등 그리고 학생회의 정체성 갈등을 살펴보고, 당시 대한가톨릭학생회의 사회참여의 강점과 약점을 고찰해 보면서 학생들의 사회참여의 어려움과 한계점이 무엇인지를 진단해 보았다. 제3장에서는 제2장에서 살핀 평가와 반성을 전제로 하여 가톨릭학생회의 사회참여를 전망해 보았다. 여기에 공의회의 「교회헌장(Lumen Gentium, 1964년)」에 나타난 교회의 ‘인격들의 모임’을 바탕으로 오늘날 학생들이 평신도로서, 하느님의 백성으로서 교회의 이해는 어떠해야 하고, 사회참여에 앞서 교회는 이들을 어떻게 지원해야 하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각장에서 고찰한 것들을 바탕으로 부족하나마 2000년대 교회를 통한 학생들의 사회참여에 도움이 될 방안들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특별히 담당 주교 체제를 통해 교회와 학생간의 유기적인 소통과 이해를 강구해 보았다, 그 모델로서 미국의 ‘전국가톨릭학생연합회 (NCSC, The National Catholic Student Coalition)’를 소개하면서 가톨릭 학생운동의 미래상을 제시해 보았다. 이 논문은 1972년 대한가톨릭학생회의 해체라는 한정적인 범위 내에서 연구를 시도하였다. 한국 가톨릭 학생운동에 관해서 처음으로 시도된 연구이기에 아직도 연구할 영역이 많은 게 사실이다. 1972년 대한가톨릭학생회 해체 이후에 교회와 가톨릭 학생들은 나름대로 사회참여를 통해 세상의 빛과 소금의 역할을 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체 이후 현재까지의 유기적인 관계에 대해서는 제대로 살펴보지 못했다. 따라서 지금까지의 가톨릭 학생운동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을 준비하면서 제기할 수 있는 문제점은 가톨릭 학생운동에 관한 자료의 부족이었다. 이것은 가톨릭 학생운동 연구의 어려움으로 이어졌다. 따라서 학생운동에 대한 전문적인 연구에 앞서 체계적인 자료정리와 자료집 발간이 선행되어야 하지 않을까

      • 한국 가톨릭성가집의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이은진 가톨릭대학교 교회음악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23

        한국천주교회는 200주년 기념사업의 일환으로 1985년 통일 성가집을 발간하였으며, 큰 수정 없이 20여년이 넘는 긴 시간동안 미사전례 및 기타 신심행위에 이 성가집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가톨릭성가」가 갖는 의미만큼이나 비판과 수정에 대한 요구를 받아온 것이 사실이며, 실제로도 문제점이 드러나고 있다. 또한 미사통상문의 개정과 시편의 수정 및 ‘야훼’라는 표현을 금하라는 사도좌의 지침 등으로 인해 가사수정이 요구되고, 그 동안 작곡된 새로운 성가에 대한 첨부와 부족한 전례 성가의 필요성 등이 요구되어 왔다. 이에 부응하기 위해 2006년 성음악분과위원회가 출범하여 사실상 이 문제를 인정하고 ‘새 회중용 전례 성가집(가칭)’ 발간을 위해 본격적으로 활동을 시작하였다. 이에 현재 사용되고 있는 「가톨릭성가」의 현황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찾아내기 위하여 성가의 ‘제목(한글, 라틴어), 성경 색인, 시기, 출처(역사, 작사, 작곡, 편곡자명 및 국적), 조성(장․단조), 박자, 빠르기, 마디형식, 절수, 음역(최고음, 최저음), 마디 수, 기타(낭송음, 후렴구 등의 여부) 등의 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database 化) 하여 이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록곡 선정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의 해결방안으로는 성가의 재분류와 부족한 미사전례 성가의 확보 및 작․편곡의 편중화를 방지하기 위한 작․편곡가의 후원과 양성, 토착화된 성가의 작곡 및 대중화 등이 필요하다. 둘째, 악보 편집상에 나타난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으로는 출처 및 저작권의 명확한 표기가 이루어져야 하며, 현재의 차례(목차)의 수정을 통해 신자들의 편의를 도모해야 한다. 셋째, 기타 악보 상에 나타난 문제에 대해서는 올바른 번역과 우리말에 대한 이해를 통해 가사와 곡조의 조화로운 연결이 이루어져야 하며, 가사 철자나 코드(chord)표기 등 소소한 부분들 까지도 세밀히 살펴 오류를 수정할 필요가 있다. 추후 ‘새 회중용 전례 성가집(가칭)’간행된다 하더라도 그때까지는 현재 보급되어 있는 「가톨릭성가」를 사용해야 하므로, 계속해서 문제를 발견하고 수정하기 위한 집단을 구성하고 이 모임을 정기적으로 마련하여 새로 발견된 문제점들을 개선해 나갈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새 회중용 전례 성가집’은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도록 철저한 검증작업을 거쳐 탄생되어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새로운 성가집 간행을 위한 기준 마련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Korean Catholic Church published unified hymnal in 1985 as part of its 200th anniversary commemorative project, and this hymnal has been used for Mass and other pious deeds for a long period of time over 20 years without major revision. However the ‘Catholic Hymnal’ has received as much criticism and demand for revision as it is meaningful, and actually its problems are being revealed. The revision of the lyrics has been demanded due to the revision of Mass ordinary and the Psalm and the guidelines of the Vatican Palace prohibiting the expression of ‘Yahweh’, and the need to add newly composed hymn and supplement the shortcomings of Liturgical hymn has been demanded. In order to meet these demands, a sacred song subcommittee was established in 2006 and these problems were virtually recognized, and full-fledged activities to publish ‘New Mass hymnal for Church Members (tentatively named)’ began. In order to analyze current conditions of ‘Catholic Hymn’ and identify problems, the data such as hymn titles (Korean, Latin), the Bible index, age, sources (history, the lyrics, names of composers and arrangers and their nationalities), key (major, minor), rhythm, tempo, measure, verses, range (highest note, lowest note), number of bars, and others (recitation sound, refrain) have been held on a databas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o solve the problems in selecting the songs to be included, reclassification of hymns, securing inadequate Mass hymns, fostering composers and arrangers to prevent the unequal distribution of composition and arrangement, and expansion and popularization of indigenized hymns are needed. Second, to solve the problems with editing musical books, sources and copyrights should be clearly specified, and the current contents should be revised for the convenience of regular churchgoers. Third, with regard to the problems of the scores, the lyrics and melodies should be harmoniously connected through proper translation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Korean language, and errors in such minor things as spelling of the lyrics and chord need to be corrected. Until the ‘New Mass hymnal for Church Members’ has been published, the currently propagated ‘Catholic Hymnal’ has to be used, therefore an organization to continuously identify and revise these problems should be established, and regular meetings should be held to fix the newly identified problems. Accordingly, the ‘New Mass hymnal for Church Members’ should be born after going through thorough verification work so that the same mistakes should not be repeated. I hope this research will be helpful to preparing the criteria to publish a new hymnal.

      • 가톨릭 교회 전례에서의 오르간 음악의 역할과 위상 : 한국 교회를 중심으로

        지병찬 인천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623

        The liturgy is the mystery of Christ and also public respect accomplished by the church, the people of God. It is the prayer of Christ and the church and the paramount of prayer revealed by the acts of people. Through the history of church, sacred music has added its holy, glorious and brilliant color in the liturgy as prayer. Thus, <Sacrosanctum Concilium> (The encyclical about liturgy in Catholic church) says that among so many kinds of arts as ways we give God praise, music is the most superior one. In Catholic church, Pipe Organ is defined as official musical instrument for liturgical music. <Sacrosanctum Concilium> promulgated by the 2nd Vatican Council proclaims that pipe organ needs to be esteemed as the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 in Latin church (Nr.120). Also, it says that the sound of pipe organ can add brilliant color and exalt our faith towards God. In fact, the beautiful and opulent sound of pipe organ has great value as for art. Also, it has affirmative effects that enhance the mind of people purified by beauty. More than 200 years have passed since the Catholic faith flowed into Korea and the situation of economy made good progress. However, the status of pipe organ, the official musical instrument of the liturgy in Catholic church is still lack of understanding and ill-informed. Even though the sacred music is not the essence of liturgy, the faith of people will be elevated higher. When the pipe organ which is the pivot of sacred music gets better understanding, the liturgy of Korean Catholic church will have enter on a new phase. It is the reason that this thesis has the theme of the function and prospect of pipe organ music in the liturgy of Catholic church in Korea. In chapter 1, the relation between music and faith is referred by studying the basis of liturgical music in Bible. The process and history of liturgical music in the history of church helps us understand the background and principle that pipe organ was appreciated as the official musical instrument in the liturgy of Catholic church. In chapter 2, the process that organ was flowed into the Catholic church in Korea is mentioned. Also, we will have the chance of understanding the most effective way that pipe organ is used. Even though the style of accompaniment and color-tone depend on organists and some difference will happen by the place and liturgical year, in this thesis, I tried to inform the most general kinds. In chapter 3, the situation of hoding pipe organs in Korea is informed so that it helps us apprehend the phase of pipe organ in Catholic church in Korea. Finally, the role and duty of organists as the holy servants of liturgy and the circumstances and problems around them will be introduced so that it will give us the chance tothink out the best measure that liturgy can be sublimed into the gift fot G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