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 가톨릭 교회음악의 토착화에 관한 연구 : 가톨릭대학교 교회음악대학원을 중심으로

        이건희 가톨릭대학교 교회음악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87

        1980년 3월 차인현 신부가 주축이 되어 62명의 가톨릭 교회음악인들이 명동 사도회관 1층, 7평의 사무실에 모여 「가톨릭 음악인 협의회」를 창립하였다. 이들은 곧바로 이듬해(1981년 1월 1일) 종교음악연구소를 설립하여 본격적으로 교회음악가 양성에 들어갔다. 이후 10여 년의 활동과정을 거쳐 1993년 11월 14일, 마침내 한국 가톨릭교회 최초로 전문연주홀을 갖춘 가톨릭음악원으로 거듭났다. 이로부터 정확히 10년 뒤 2003년 3월 교육부 인가를 받아 현재의 가톨릭대학교 교회음악대학원으로 개원하여 현재에 이르렀다. 이 논문은 1965년 제2차 바티칸공의회 이후 한국 가톨릭교회에서 본격적으로 공론화하기 시작한 교회음악 토착화에 대한 것이다. 특별히 가톨릭대학교 교회음악대학원 발전을 위해서 견인차 역할을 해온 교회음악가의 여러 대내외적 학술, 교육, 연주 활동들을 토착화 관점에서 살펴본다. 또한, 이들 교회음악가의 한국전통음악에 대한 의견과 주장을 알아보고 교회음악 토착화에 대한 인식과 더불어 발전방안에 대해 논의한다. 정체성 발현의 과정인 토착화는 결국 서로 다른 두 문화의 깊이 있는 연구와 이를 통한 상호 간의 올바른 이해, 그리고 상호존중과 배려를 통해서 이행되는 것이다. 때로는 한발 물러서서 양보하고 때로는 한발 앞서서 이끌어 주어야 한다. 이러한 서로 다른 두 문화의 이상적인 융합과정은 성음악을 한층 발전시키는 것은 물론, 새로운 문화를 만들어내는 소중한 밑거름이 될 것이며, 교회음악 발전의 원동력이 될 수 있다. In march 1980, 62 Catholic musicians gathered at the small office (only 23㎡) in Myeong-dong. The following year, they established the religious music institute (January 1, 1981) to foster Catholic musicians. After more than a decade of activities, the Catholic music institute has finally become the first Catholic Music Center in Korea to have a concert hall. Ten years later, the Ministry of Education approved the Center and it opened as the current Catholic University of Korea's School of Music. This paper is about the inculturation of church music that began to be discussed in the Korean Catholic Church after the Second Vatican Council in 1965. In particular, examines the various activities, performances, education, and composing activities of church musicians who have been the driving force for the development of the Catholic Graduate School of Church Music, from the perspective of inculturation. We will also discuss church musicians' opinions and claims about Korean traditional music. Discuss the recognition and development of church music inculturation. Church musicians have made many musical attempts to make Korean Gregorian chants, and For the inculturation of church music, it performed various academic research and composed many Korean traditional music. Five church musicians gave different opinions and arguments from the perspective of looking at Korea traditional music and the convergence methodology of Western music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Inculturation, the process of expressing identity, is to be implemented through the in-depth study of two different cultures, mutual understanding, and mutual respect. The ideal inculturation process of these two different cultures will not only become the driving force behind the development of church music but also serve as a valuable foundation for creating new culture.

      • 가톨릭 대학의 교육과정을 통한 종교적 정체성 구현에 관한 연구 : 세 가톨릭 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진영 가톨릭대학교 문화영성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87

        가톨릭 대학은 그 탄생부터 교회에 그 모태를 두고 있으며, 가톨릭 대학의 종교적 정체성이란 가톨릭 특성(catholic characteristics) 혹은 가톨릭 학교 들의 설립 이념과 근본적 교육목표를 규정하는 가톨릭의 성격(catholicity)을 의미한다. 가톨릭 대학은 교회적 성격에서 나오는 ‘복음화’ 사명과 함께 학교적 성격에서 유래하는 ‘전인 교육’의 사명도 동시에 갖고 있으며, 복음화와 전인 교육은 가톨릭 대학의 두 축을 이루는 핵심사명이다. 가톨릭 대학이 가톨릭 대학으로서의 수월성과 명성을 동시에 획득하는 길은 가톨릭 정체성 (identity), 이념(idea), 사명(mission)을 제도뿐만이 아니라 그리스도교 인간 관에 적합한 가톨릭 교육과정을 수행할 때 가능할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톨릭 대학교에 관한 교황령」 (Ex Corde Ecclesiae), 교회문헌,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가톨릭 대학의 종 교적 정체성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둘째, 한국 가톨릭 대학 중 가톨릭대학교, 대구가톨릭대학교, 서강대학교를 사례로 가톨릭 대 학의 가톨릭적 특성을 반영한 교육과정 현황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셋째, 가톨릭 대학의 가톨릭 교육과정 현황을 통해 Tyler 교육과정 모형 기반 가톨릭 교육과정 개발 모형을 이론적·실증적으로 모델링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톨릭 대학은 본질적으 로 진리추구, 진리전달, 진리적용의 ‘일반적’ 성격 외에, 교육, 연구, 봉사 의 기능을 수행할 ‘교회적’ 성격을 동시에 지닌다. 가톨릭 정체성을 구현 할 수 있는 가톨릭 교육과정은 가톨릭 인간관을 중심으로 하여 가톨릭 대 학의 교육이념, 교육목표, 학문 과정, 교육내용, 교육 방법 등을 주요 요소 로 하고 있다. 둘째, 가톨릭 대학은 교육이념에 진리・사랑・봉사, 인간존중, 공동선의 실현 등 가톨릭적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학부, 대학원 학위 과정에 가톨 릭 이념 반영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었다. 교원, 직원, 학생들을 위해 복 음화 차원에서 성사활동(세례, 견진)을 통해 신자들을 배출하고 있었으며, 다양한 신앙프로그램을 운영하여 교직원 및 학생들의 신앙을 증진시켰다. 이와 함께, 외국인 학생들을 위한 외국어 강좌 운영, 국가, 지역, 국제 수 준의 상호협력을 통해 국제화 및 복음화 가치를 실현하고 있었다. 셋째, 세 가톨릭 대학의 인간관, 교육이념, 교육목표, 학문 과정, 교육내 용, 교육 방법 등 교육과정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Tyler 모형 기반 가톨 릭 교육과정 모형에 적용하여 가톨릭적 특성을 알아보았다. 교회문헌과 선 행연구를 통해 도출된 가톨릭 특성의 핵심 요소 외에 개개인의 전인적 양 성 도모, 참인간을 양성하려는 인성교육, 지행일치의 삶 추구 등이 가톨릭 교육과정에 반영되고 있었다. 교육 방법으로 거룩한 체험 교육(수도원 체 험, 기도, 피정), 학생 개인에 대한 돌봄(cura personalis), 봉사 교육 방법 론, 비판적 성찰 방법론 등이 가톨릭 특성을 지닌 수업에서 사용되었으며, 학문 과정에 있어서는 전통학문 이외에 ESG경영,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진로와 취업 등 새로운 학문들이 철학, 심리학, 신학과 융합되어 가톨릭 특성을 지닌 교과목으로 운영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Tyler 교육과정 개발 모형을 기반으로 하여 가톨릭 대학 의 교육과정을 통한 종교적 정체성 구현을 모델링하였다. 가톨릭 대학은 가톨릭 교육과정 개발에 있어 가톨릭 인간관을 가지고 교육목표 설정 시 전인 교육을 위하여 학습자, 사회, 교과, 영성의 요구파악이 필요하며, 인 간영성을 개발하는 것이 일반대학과 틀린 가톨릭 교육과정의 핵심적 특징 이라 할 수 있다. 잠정적 가톨릭 교육목표 설정에 있어서 가톨릭적 인재 양성, 가톨릭적 가치 추구, 인류 발전에 기여하는 교육이념과 가톨릭적 융 합 교육, 가톨릭적 인간교육, 가톨릭적 탐구 증진을 교육목표로 하여야 하 며, 왜(why) 교육하는가, 어떻게(how) 가르치고 배울것인가를 고려해야 한 다. 또한 진리에 부합하는가를 검토할 수 있는 신학은 가톨릭 교육과정 개 발에 있어서 핵심적 특징으로 볼 수 있으며, 교육내용 선정, 교육방법 선정, 교육평가 선정 등의 각 단계별로 가톨릭 교육과정을 구성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가톨릭 대학의 본질 회복을 위해 가톨릭 대학이 노력해 야 할 종교적 구현의 실천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교양 교 육 위주의 종교교육에서 전공 교육으로의 확대가 필요하다. 둘째, 인성과 영성 교육 강화가 필요하다. 셋째, 수월성 추구를 위한 가톨릭 교육 방법 의 다양화 모색이 필요하다. 넷째, 교목 활동 강화를 통한 가톨릭적 분위 기 형성이 필요하다. 다섯째, 가톨릭 대학 및 가톨릭 교육 기관과의 연대 및 공동교육체계 구축 및 활성화가 필요하다. 여섯째, 국제화 강화를 통해 다문화 이해, 국제협력 증진, 복음 선교 등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가톨릭 대학은 그 구성원들인 교수, 직원, 학생들이 가톨릭 교육 패러다임 안에서 가톨릭 인간관에 적합한 가치를 가지고 가톨릭 문 화 형성 및 정체성 구현을 위한 노력을 지속할 때 가톨릭 대학으로서의 본질과 사명을 실천할 수 있을 것이다. Catholic universities have been rooted in the Church since their birth, and the religious identity of Catholic universities refers to Catholic characteristics or Catholic characteristics that define the founding ideology and fundamental educational goals of Catholic schools. Catholic universities have a mission of ‘evangelization’ that comes from their ecclesiastical nature, as well as a mission of ‘holistic education’ that comes from their school nature. Evangelization and holistic education are the core missions that form the two axes of Catholic universities. The way for a Catholic university to simultaneously achieve excellence and reputation as a Catholic university will be possible when it implements not only a system of Catholic identity, ideology, and mission, but also a Catholic curriculum that is suitable for the Christian view of human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sought to investigate the elements that constitute the religious identity of Catholic universities, focusing on the “Papal Decree on Catholic Universities”(Ex Corde Ecclesiae), church documents, and previous research. Second, we sought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curricula that reflect the Catholic characteristics of Catholic universities, using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Daegu Catholic University, and Sogang University as examples. Third, we attempted to theoretically and empirically model the Catholic curriculum development model based on the Tyler curriculum model through the current status of the Catholic curriculum at Catholic universities. The research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atholic universities inherently have an ‘ecclesiastical’ character that performs the functions of education, research, and service, in addition to the ‘general’ character of pursuing truth, conveying truth, and applying truth. The Catholic curriculum that can embody Catholic identity is centered on the Catholic view of humanity and has as its main elements the educational philosophy, educational goals, academic courses, educational content, and educational methods of Catholic universities. Second, Catholic universities have Catholic characteristics such as truth, love, service, respect for humanity, and realization of the common good in their educational ideologies, and they operate curricula that reflect Catholic ideology in undergraduate and graduate degree courses. In order to evangelize faculty, staff, and students, it was producing believers through sacramental activities(baptism, confirmation), and operating various faith programs to promote the faith of faculty, staff, and students. In addition, the values ​​of internationalization and evangelization were being realized through the operation of foreign language courses for foreign students and mutual cooperation at the national, regional, and international levels. Third, we looked at the curriculum status of the three Catholic universities, including their views on humanity, educational ideology, educational goals, academic courses, educational content, and educational methods, and applied this to the Catholic curriculum model based on the Tyler model to investigate Catholic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o the core elements of Catholic characteristics derived through church literature and previous research, the promotion of holistic formation of each individual, character education to cultivate true human beings, and pursuit of a life consistent with knowledge and actions were reflected in the Catholic curriculum. As educational methods, sacred experiential education(monastery experience, prayer, retreat), care for individual students (cura personalis), service education methodology, and critical reflection methodology were used in classes with Catholic characteristics, and in the academic process, in addition to traditional studies, New academic disciplines such as ESG management, media communication, career path and employment, etc. were combined with philosophy, psychology, and theology and were operated as subjects with Catholic characteristics. In modeling the implementation of religious identity through the curriculum of a Catholic university, this study was based on the Tyler curriculum development model. When developing Catholic curriculum, Catholic universities need to understand the needs of learners, society, subjects, and spirituality for holistic education with a Catholic view of humanity when setting educational goals. Developing human spirituality is a key aspect of the Catholic curriculum that is different from that of general universities. It can be said to be a feature. In setting provisional Catholic education goals, the educational goals should be nurturing Catholic talent, pursuing Catholic values, educational philosophy that contributes to human development, Catholic convergence education, Catholic human education, and promotion of Catholic inquiry, and why. We must consider whether to educate and how to teach and learn. In addition, theology, which can be reviewed for conformity to the truth, can be seen as a key feature in the development of the Catholic curriculum, and the Catholic curriculum must be structured in each stage, such as selection of educational content, selection of educational method, and selection of educational evaluation. In this study, we presented the following religious implementation measures that Catholic universities should strive for in order to restore their essence. First, there is a need to expand from religious education centered on liberal arts education to major education. Second, there is a need to strengthen character and spiritual education. Third, it is necessary to seek diversification of Catholic education methods to pursue excellence. Fourth, it is necessary to create a Catholic atmosphere through strengthening chaplaincy activities. Fifth,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d revitalize solidarity and joint education systems with Catholic universities and Catholic educational institutions. Sixth, through strengthening internationalization, multicultural understanding, promotion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evangelism are necessary. In this way, a Catholic university will be able to practice its essence and mission as a Catholic university when its members, professors, staff, and students, continue their efforts to form Catholic culture and realize identity with values ​​appropriate to the Catholic view of humanity within the Catholic education paradigm.

      • 가톨릭 학교교육에 대한 교구장 주교의 역할에 관한 고찰

        조민환 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71

        국 문 초 록 가톨릭 학교교육에 대한 교구장 주교의 역할에 관한 고찰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신학과 실천신학 전공 <지도 : 이 경 상 교수> 조 민 환 제 삼천 년 기에 들어선 지금, 대한민국 공교육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입시라는 굴레와 사교육의 확대 속에 학교교육은 그 고유의 본질적 목적과 정체성을 잃어가고 있다. 아울러 일부 사립학교의 교육 부조리나 재단 내의 경영상 횡포로 인한 사립학교법 개정은 가톨릭 학교와 같이 모범적인 사학의 건학이념을 가로막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현실 안에서 본 소고는 가톨릭 학교교육의 궁극적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가톨릭교회의 노력을 고찰하고자 했다. 그런데 학교교육에 관한 가톨릭교회의 노력은 교회 내 학교 당국 및 관계자들에게만 국한되는 문제가 아니다. 이는 지역교회 구성원 모두의 몫이고 결국 그 지역교회를 돌보는 교구장 주교의 의무이자 책임으로 이어진다고 하겠다. 필자가 “가톨릭 학교교육에 대한 교구장 주교의 역할에 관한 고찰”로 논제(論題)를 선택한 이유는 바로 여기에 있다. 본고는 ‘교회법’이라는 학문의 범주 아래에서 “가톨릭 학교교육과 교구장 주교의 역할”에 대한 고찰을 하고 있으므로, 그 내용을 전개하기 위한 방식은 ‘교회법’이 지닌 3가지의 고유한 연구 방법론-연대적 분석(Chronological Analysis), 이론적 접근(Theoretical Approach), 사목적 제언(Pastoral Proposal)-을 택하였다. 본문은 Ⅰ부와 Ⅱ부로 구성되어 있다. 제Ⅰ부에서는 가톨릭 학교교육에 대한 법적 근거를 제시했다. 제1장에서는 『1917년도 교회법전』의 교육과 관련된 법령들을 ‘교육의 중요성’, ‘가톨릭 대학교와 학위’, ‘학교 감독에 관한 주교의 권리’라는 주제로 알아보았다. 제2장에서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 문헌』의 「그리스도인 교육에 관한 선언」을 필자가 ‘교육의 원리와 목적’, ‘교육의 의무와 책임’, 그리고 ‘가톨릭 학교’라는 주제로 분류한 후, 공의회가 선언하는 교육에 관한 기본적인 내용들을 정리하였다. 제3장에서는 『1983년도 교회법전』을 ‘교육의 책임’과 ‘교육의 수단’이라는 주제로 나누어 ‘교육의 책임’에서는 <부모>와 <국가> 그리고 <교회>라는 소제목으로 살펴보았고, ‘교육의 수단’에서는 법전이 제시하는 학교에 대한 조항들을 알아보았다. 제4장에서는 가톨릭 교육에 관한 교회의 가르침들 가운데 「가톨릭 학교에 관한 지침」, 「학교 내의 가톨릭 평신도 :신앙의 증인들」, 「제삼천년기의 문턱에 서 있는 가톨릭 학교」, 「가톨릭 대학교에 관한 교황령」을 살펴봄으로써, 가톨릭 학교교육과 관련된 교구장 주교의 역할들에 대해 고찰하였다. 제Ⅱ부의 제1장은 본격적으로 교구장 주교의 법적 책임과 권리에 대해 1983년도 법전을 근간으로 논하며, ‘학교의 설립’과 ‘감독과 시찰’ 그리고 ‘가톨릭 학교에 관한 명명권과 인재양성’이라는 주제에 따라 살펴보았다. 제2장에서는 미국과 독일의 가톨릭 학교교육 실황을 제시하면서, 외국의 선험 사례를 참고로 하여 가톨릭교회가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학교교육을 개선시켜야 되는지를 모색했다. 제3장에서는 가톨릭 학교교육의 사명에 위배되는 한국의 공교육 현실의 배경인 여러 사회적 문제들 중 중추적이고 대표적인 문제인 ‘사학법’에 대하여 살펴보고, 특히 동전의 양면과도 같은 ‘사학의 공공성과 자주성’에 대하여 고찰했다. 그리고 사립학교법이 현장에서 어떠한 양태로 드러나는지 ‘사립학교법의 현실’에 관한 제목으로 ‘학교 운영권에 대한 제한’과 ‘종교교과목에 대한 제한’들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제4장에서는 가톨릭 학교교육을 위한 교회의 노력과 대응들에 대해서, 먼저 인간이 가지고 있는 교육에 대한 권리를 ‘천부적 권리’라는 제목으로 간략히 설명하고, 한국 교회의 대응책을 공시적 접근과 통시적 접근으로 강구해보았다. 이어서 한국에서 가톨릭교회가 시행하고 있는 몇 가지 노력들을 ‘한국 가톨릭 학교 교육 헌장’과 ‘가톨릭 학교교육 포럼’으로 제시하였다. 결론에서는 현실의 제도가 가톨릭 학교교육의 영성을 막고 있다면, 교구장 주교의 힘 있는 발언과 교회 내의 신자들이 힘을 모아, 그 제도를 가톨릭 학교교육의 영성을 실현하는 쪽으로 되돌려 놓아야 한다고 밝혔다. 바로 제도적 투신으로 가톨릭적 입법들을 제시하고 그러한 법률들을 발판삼아 본질적 의미에서의 가톨릭 학교교육을 구현하자는 것이다. 아울러 “장학금 제도”를 통하여, ‘가난하고 소외된 어린이들에게 교육의 기회를 부여하기 위함’이라는 가톨릭 학교의 본질적 목적을 이행하고 귀족교육의 한정성을 경계하자고 언급하였다. 그 결과, 가톨릭 학교교육이 이 사회의 학교교육에 정향(正向)을 제시하고, 공교육의 모범적 사례로 본(本)을 보여줌으로써 이 사회에서 계속 벌어지는 양극화 현상의 극복에 교두보 역할을 할 수 있기를 희망하였다. A Study on the Role of a Diocesan Bishop in Catholic Schooling Cho, Min-Hwan Department of Practical Theology, Graduate Schoo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Director : Prof. Lee, Kyung-Sang> At the entrance of the third millenium, people show a high degree of concern about Korean public education. The school education seems to be losing its own essential purpose and identity, with the pressure of entrance exams and increasing private education for students. Moreover, irregularities and injustice in running of some private schools has caused revision of the private schools law, which obstructs the establishment of exemplary private school with appropriate foundation including Catholic schools. Under such circumstances, this thesis studies the Catholic church's efforts to realize the ultimate goals of Catholic school education. Such efforts, however, are not a matter limited to the school authorities. These efforts should be responsibility of all members of a parish church and eventually, of the diocesan in charge of the diocese. This opinion has named this thesis as "the role of diocesan bishop in Catholic schooling." This thesis explores the Catholic schooling and a diocesan's role in it under the discipline of Canon Law. Therefore, three characteristic methodologies of Canon Law are used to develop the content: chronological analysis, theoretical approach, and pastoral proposal. The body of the text consists of Part I and II. In Part I, the legal foundation of Catholic schooling is presented. Chapter one examines the laws related to education in The code of Canon Law(BenedictⅩⅤ ) in terms of 'the importance of education' 'Catholic University and degree' and 'a bishop's right to supervise schools.' Chapter two studies Documents of the Vatican Council Ⅱ - Declaration on Christian Education, Gravissimum Educationos under the headings of 'the principle and purpose of education,' 'the duty and responsibility of education,' and 'the Catholic school' and points out the basic facts of education strategy declared by the Council. Chapter three explores The code of Canon Law (John PaulⅡ) under the two subjects: one is the 'responsibility of education,' where the discussion develops through the headings of 'parents,' 'nation,' and 'church'; the other is the 'means of education,' which examines legal articles from the Code mention Catholic schooling. Chapter four refers to such documents as The Catholic School, Lay Catholics in Schools : Witnesses to Faith, The Catholic School on the Threshold of the Third Millennium, and Apostolic Constitution of the Supreme Pontiff John PaulⅡ on Catholic Universities, among the various instructions of church on Catholic education, to learn the role of a diocesan bishop in Catholic schooling. Based on The code of Canon Law (BenedictⅩⅤ ), c hapter one of Part II discusses the legal responsibility and right of a diocesan in depth, under the subjects of 'foundation of a school,' 'supervision and inspection,' and 'right to name Catholic schools and nurturing of human resource.' Chapter two provides the reality of American and German Catholic school education and searches for the right direction for our Catholic church to improve school education through the precedents of other countries. Chapter three shows how the fundamentals of "private schools law" is against the mission of Catholic schooling, and how such laws generate various social problems within in the Korean educational system. In particular, this thesis focuses on both public and independent nature of private schools, sometimes referred to be a double-edged sword. In addition, this chapter examines restrictions on school administration and religious subjects under the subtitle of 'the reality of private schools law' in order to demonstrate how the current law reveals its weakness. Finally, chapter four discusses the church's effort and counterplan to improve Catholic school education. Chapter begins with brief explanation of the human rights to be educated as 'God-given rights' and deliberated the counterplan of Korean church through synchronic and diachronic approaches. Subsequently, it presents ‘Charter of The Korea Catholic school Education’ and ‘Catholic School Education Forum’ as examples of the efforts made by Korean Catholic church. In conclusion, the author argues that if the current education system hinders spirituality of Catholic school education, the system should be redirected to fulfill the spirituality through voicing enthusiastic opinions of the diocesan bishop and all church members. This effort can be done by offering Catholic legislation as institutional countermeasures and stepping-stone; such legislation will guide the church to accomplish the fundamental sense of Catholic education. Furthermore, the author suggests that Catholic schools should enlarge scholarship to persue its essential goal of 'offering educational opportunity to poor, neglected children' and stay wary of the limitations of aristocratic education. As a result, the author hopes Catholic school education would become a solution to alleviate the increasing socioeconomic polarization by providing the right direction of education and setting an outstanding example for public education in this society.

      • 그리스도교 일치 운동의 관점에서 본 세례성사에 관한 고찰 : 가톨릭과 개신교의 대화 가능성

        손기정 수원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55

        지금까지 가톨릭교화와 개신교의 세례에 대한 이해를 세례의 의미, 조건, 예식, 유아세례의 네 가지 구조를 중심으로 그리스도교 일치의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16세기 루터에 의해 시작된 종교개혁으로 가톨릭교회는 분열이라는 아픔을 겪게 되었으며 그 분열은 지금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종교개혁의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당시의 종교적인 폐해가 그 이유 중의 하나였다. 사실 이 당시 세례에 대한 교의에 대하여 가톨릭교회와 종교개혁자들의 사이에서는 갈등이 없었다. 그러나 개신교의 끊임없는 분열은 세례이해의 방식과 해석에 따라 조금씩 변화하게 되었고 현대에 와서는 그 간격이 더 벌어지게 되었다. 또한 지금까지 교회일치운동이나 대화에 서로 적극적이지 못했던 양측 교회는 '하나의 세례'를 이해 하는데에 있어서 많은 시간을 투자할 수밖에 없었다. 세례교리는 교회의 전통 속에서 명료하게 정립된 것이었기에 교회분열 초기에는 이렇다할 논쟁이 없었다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개신교교파들은 그들의 원칙을 세워 세례의 이해의 차이를 벌어지게 하였고 '오직 성서만으로'라는 그들의 이해방식에 맞춰 여러 가지 세례 이해의 전통적 요소들을 배격하기까지 이르렀다. 특히 '유아세례'에 대한 개신교의 입장은 그들 나름대로의 해석방법으로 성경의 분명한 증거와 또한 유아세례가 시행된 성경 내용 안에서의 실례가 전혀 없으므로 유아세례는 부당하다고 주장하고 유아들이 신앙고백을 할 수 없다는 이유만으로 유아세례의 교회공동체성을 약화시킴으로써 모든 이에게 열려진 하느님의 구원약속과 교회의 전통을 받아들이려 하지 않는다. 가톨릭교회는 초대 교회 때부터 세례를 '하느님의 자녀가 되는 입문성사'로써 교회공동체의 일치와 화합을 위한 성사로 인정해왔다. 세례의 의미, 조건, 예식, 유아세례 등은 역사 안에서 발전되고 교회 안에서 공적으로 선포되었다. 이에 대해서는 개신교도 마찬가지였다. 그러나 그들은 그들 나름대로의 세례이해를 발전시켰다. 또한 너무나 많은 개신교의 교파분열상황은 가장 기초적이고 중요한 그리스도교 입문성사인 세례의 중요성을 감소시키는 결과도 초래하였다. 세례의 어떤 요소도 축소되거나 왜곡 되어서는 안된다. 그러나 지금은 세례 예식을 비롯한 여러 가지 요소들이 오히려 가톨릭교회와 개신교사이의 일치를 방해하고 현실적으로 가장 많이 부딪히는 문제가 되었다. 세례의 일치적 의미에서 본다면 이는 안타까운 현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회일치의 노력들이 이곳저곳에서 일어나고 있고 세례이해에 대한 상호이해도 넓어지고 있기에 희망을 갖게 된다. 예수님께서 서로 하나가 될 수 있도록 기도하셨듯이, 그리스도교 공동체는 세례로써 다시 하나가 될 수 있는 희망을 경험하고 있다. 일치는 획일적으로 다른 것에서 하나를 흡수하는 것이 아니다. 바로 다양성 안에서의 대화로 매일 구체적으로 다각적인 협력에로 진행되어야 한다. 다양성 안에서의 협력이야 말로 다른 것에 관해 지배하거나 간섭하려는 의지 없는 일치를 보증하는 것이다. 각각의 교회의 세례이해를 가치 있게 바라보고 인정하는 것은 충만한 교류와 화해 안에서 가능한 참 다양성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협력은 각각의 교회의 가르침의 가치를 드러내는 데 제한되지 않는다. 참으로 이를 위해서는 서로에게 다가가고, 다른 것을 배제하려는 것이 아니라 서로 만나려는 원의를 갖는 것이 필요한 것이다. 일치운동을 하기 위해서는 양 교회가 가질 기본자세가 중요하다. 일치운동을 누가 왜 하여야 하는 것인가? 진정한 교회일치의 원리가 무엇인가? 일치를 이룩하여주는 요소가 무엇인가? 이 같은 과제를 해결할 수 있을 때 하나의 신앙고백과 전례의 공동집전과 하느님 가족의 형제적 화목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사실 공의회 문헌이 교회의 일치성을 그리스도 예수 안에 성삼위의 고백과 신망애 삼덕에 기초를 두고 있는 것은 성서적이면서 동시에 세계교회협의회의 선언과도 공통성을 가져다주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교회일치의 원리를 실생활에 구체적으로 구현시키는 것은 거룩한 전례, 즉 본 논문에서 다루고 있는 '세례성사'가 될 것이다. 그러나 전례행위의 공동 집전을 그리스도인들의 일치를 회복하기 위하여 분별없이 사용할 수 있는 수단으로 여겨서도 안 될 것이다. 세례는 본래적으로 매우 중요한 일치적 성격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양측 교회의 대화에서 제외되기도 했다. 그렇기 때문에 그리스도교 일치적 관점에서 이제는 서로의 주장을 겸허하게 수용하고 세례에 관한 신학적, 성서적 근거를 명확히 제시하고 공유해야한다. 또한 현재의 시각에서뿐 아니라 교회의 역사 안에서 세례가 차지하는 역할과 위치를 연구함으로써 세례를 일치적인 차원을 더욱 부각시켜야 할 것이다.

      • 가톨릭 유치원 교사들의 가톨릭 종교교육에 대한 이해와 실천

        김다솔 가톨릭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55

        The saying 'Church exists for evangelization' means that evangelization is the most important duty in terms of the purpose of Church itself as well as its functions. Also, religious education is one of the concrete efforts to evangelize. For this reason, Church continues to fulfill her missions to give every believer religious education everywhere and at all times and do research in relation to religious education. However, in researches for religious education for children, especially children in Catholic kindergartens are insufficient to be studied compared to young adults or adults. Therefore, this thesis aims to analyze the current state of Catholic religious education in Catholic kindergartens and suggest what the teachers should be supported by. Accordingly,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 First, what is under discussion on the possibilities and practices of childhood religious education? Second, what is the teaching of Catholic church for childhood religious education? Third, what is the current state of childhood religious education at Catholic kindergartens in Seoul diocese, Korea? Fourth, how do the teachers in Catholic kindergartens understand and practice childhood religious education? I referred the possibilities and practices of religious education for children to the theories of Maria Montessori, Ronald Goldman and Thomas Groome. And also, I investigated the terms of 'faith education', 'catechesis', 'Catholic religious education' which are used in Church widely, in order to clarify the entity of childhood religious education in Catholic church. In addition, so as to look into the perspective of Catholic church for childhood religious education, I researched into it in Gravissimum Educationis, Catechesi Tradendae, General Directory for Catechesis, and Directory for Catholic Kindergarten Education in Korea. Based on these theoretical foundations, I looked into the current state of Catholic childhood religious education and had in-depth interviews with teachers on how they understand and practice Catholic childhood religious education. The questions for interviews are categorized as four main parts: 'personal characters', 'attitudes toward faith', 'the current state of religious education in kindergartens', and 'personal opinions on religious education'. In conclusion, the teachers' opinions on the current state of Catholic childhood religious education are divided: in the negative point of view, teachers refer to 'lack of time in religious education courses', 'discord between teachers and non-believing parents', 'insufficiency of textbooks and reference books for teachers', and 'short of religious training for teachers'. On the other hand, in the positive point of view, teachers point out 'good influence on children through informal education and religious atmosphere', 'parents'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religious education since childhood', 'religious education in harmony with fostering good human nature', and 'teachers' participation in various activities at parish helpful as teachers '. After all these opinions putting together, I suggest the followings. First, we should establish a variety of educational models for religious education curriculums. Second, we need to make harmony between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and catholic religious education. Third, we need to make good curriculums for teachers to refer to. Lastly, because religious education is likely to affected by surroundings, it is important to build religious atmosphere in the Catholic kindergartens. '교회는 복음화를 위하여 존재한다.'는 말은 교회의 직무 수행에 있어서 뿐 아니라 교회의 존재의의에서 복음화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신앙교육은 복음화 활동의 구체적인 노력이며 과정이다. 때문에 교회는 모든 신자를 대상으로 다양한 상황과 공간에서 신앙교육을 행하고, 이와 관련한 연구를 수행한다. 그러나 교회의 신앙교육에서 유아를 위한 신앙교육, 특히 유아교육기관인 가톨릭 유치원에서의 신앙교육인 가톨릭 종교교육에 대해서는 성인과 청소년 대상의 신앙교육에 비해 관련 연구가 미흡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가톨릭 유치원에서 행해지는 가톨릭 종교교육의 현황을 분석하고 유치원에서 가톨릭 종교교육을 실천하고 있는 교사들을 지원하기 위해 고려되어야 할 점이 무엇인가에 대한 연구와 논의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이에 따른 본 논문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종교교육의 가능성과 교육실천에 대해 어떤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는가? 둘째, 가톨릭교회의 유아종교교육에 대한 가르침은 무엇인가? 셋째, 현재 우리나라 가톨릭 유치원의 종교교육 현황은 어떠한가? 넷째, 가톨릭 유치원 교사들의 종교교육에 대한 이해와 실천은 어떠한가?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종교교육의 가능성과 교육실천에 대한 논의는 마리아 몬테소리의 영적인 존재로서의 어린이 이해, 로널드 골드만의 종교 사고적 발달이론, 토마스 그룸의 ‘삶에서 신앙으로, 다시 삶으로’ 접근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이와 더불어 가톨릭교회의 유아종교교육에 대한 논의를 명료화하기 위해 가톨릭교회에서 일반적으로 쓰이고 있는 신앙교육, 교리교육, 가톨릭 종교교육이라는 용어에 대해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가톨릭교회가 아동의 신앙교육을 어떻게 보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교회 문헌 『교육의 중대성』, 『현대의 교리교육』 『교리교육 총지침』, 『한국 가톨릭 유치원 교육 지침서』 에서 제시하고 있는 유아 종교교육에 대한 논의들을 고찰하였다. 이를 토대로 가톨릭 유아 종교교육의 현황을 조사하였다. 조사는 현직 가톨릭 유치원 교사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통해 실시하였으며, 그들이 현재 가톨릭 유아 종교교육에 대해 어떻게 이해하고 있으며 실천하고 있는지를 질문하였다. 질문은 크게 ‘개인의 특성’, ‘신앙에 대한 태도’, ‘유치원의 종교교육’, ‘종교/신앙교육에 대한 교사 개인의 의견’이라는 네 가지 범주와 이에 대한 세부적인 질문으로 이루어 졌다. 조사 결과, 현행 가톨릭 유치원에서의 가톨릭 종교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견해는 긍정적인 의견과 부정적인 의견으로 구분됨을 파악할 수 있었다. 부정적 의견에는 ‘누리과정 도입으로 인한 종교교육 시간 부족’, ‘종교교육에 있어서 비신자 부모님과의 마찰’, ‘가톨릭 종교교육 교재 및 참고할 교안의 부족’, ‘관련 교사교육의 부족’ 등이 제시되었다. 긍정적 의견은 ‘유아들이 비형식적 교육(종교적 분위기)을 통해 긍정적인 영향을 받는다’ ‘학부모님과 입학 시기부터 종교교육에 대한 동의와 이해를 구하는 것의 중요성이 인식되었다’, ‘가톨릭 종교교육이 인성교육 측면에서 누리과정과 조화를 이룬다’, ‘교사의 본당 활동 경험이 유치원 교사로서 종교교육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등의 의견이 있었다. 이러한 교사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톨릭 유아 종교교육과정에 있어서 참고가 될 만한 다양한 모델이 필요하다. 둘째, 국가 교육과정과 가톨릭 종교교육의 인성교육 측면에서의 연계가 필요하다. 셋째, 교사들의 종교교육 실천을 지원하는 교사교육 과정이 필요하다. 넷째,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종교교육은 환경의 영향을 받으므로 종교적 분위기 형성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 한국교회의 가톨릭 교육에 관한 교회법적 고찰 : 『교회법』 제794조를 중심으로

        박상진 수원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55

        오늘날 현대 사회에서 ‘교육’의 목표는 무엇을 지향하는가? 현시대에서 대두되는 문제로서 물질 만능사회, 이성주의적 사고체계, 그에 따른 사회적 불균형과 사회안정망의 해체 등이 존재한다. 이러한 상황 속에 교육분야 또한 현시대의 사조를 흡수했지만, 이에 반해 현대인들은 오늘날의 문제로 야기된 교육의 한계점을 인식 못하는지도 모른다. 이러한 흐름은 비단 사회뿐만 아니라 교회 안에서도 존재한다. 이 세상에 하느님 나라 실현을 위해 존재하는 교회는 신성과 인성을 지닌 그리스도의 신비체로서 영적인 공동체이며 동시에 가시적인 사회를 이룬다. 그러기에 교회는 시대적 징표를 읽기 위해 세상의 흐름에 주목하는 동시에 그 흐름에 휩싸일 수 있는 위험성도 존재한다. 세상의 변화에 치우쳐 내면의 종교성보다 외적이며 물질적인 부분을 중시하고, 공동의 가치, 신앙의 가치보다 개인의 가치가 중요시되는 현상들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교회 안에서 행하는 교육은 일반 사회의 교육과 어떠한 차이를 가지는가? 사회에서 말하는 교육은 사회생활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기 위해, 인간의 잠재 능력을 일깨워 주기 위해, 그리고 훌륭한 자질, 원만한 인격을 갖도록 이끌어 주기 위한 목적들을 지닌다면, 가톨릭 교육은 그리스도와 하나 되는 세례를 통해 복음적 가르침을 중심으로 살아가고 인격의 성숙을 추구하며, 최종적으로 영혼의 구원이라는 신비를 깨닫고 살도록 가르치는 목적을 지닌다. 참조: 『교회법』, 제217조. 즉 사회 교육과 달리 가톨릭 교육은 복음적 가치와 기준을 통해 인격을 성숙시키고 나아가 최종 목표인 영혼 구원을 위해 힘써야 함을 강조한다. 그러나 논자는 교회만이 지닌 독특한 교육의 목적이 신앙인들 삶 안에서조차 깊숙이 자리하지 못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고민하게 되었다. 다시 말해서 ‘교회의 이러한 지향은 오늘날 잘 실현되고 있는가?’ ‘잘 실현되고 있지 않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가?’ 그리고 ‘가톨릭 교육이 주는 특별한 가치는 무엇인가?’라는 물음들을 던지게 되었다. 논자는 가톨릭 교육에 대한 여러 가지 접근들 중 교회법전에서 제시하고 있는 주제들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그 이유는 교회법전은 가톨릭 교육의 차원에서 가정교육에 대한 중요성부터 출발하여 모든 신자들이 지녀야 할 교육의 의무와 권리, 나아가 교회와 사회에서 제공되어야 할 교육의 사명까지 일목요연하게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가톨릭 교육이 구체적으로 교회 내에 어떻게 실현되고 있는지, 그리고 교회법의 가톨릭 교육은 오늘날 교회에 어떠한 영향을 주고 있는지, 가르침과 현실의 괴리를 어떻게 좁혀나갈 것인지 고민하고자 한다. 특별히 논자는 한국교회 안에서도 가톨릭 교육이 실현될 수 있는 여러 장소들 중 본당 사목구에 초점을 맞추었다. 미래의 사목자를 꿈꾸는 논자의 상황과 더불어 『교회법』 제794조에서 제시하는 영혼의 목자들에 주목하기 위함이다. 본당 사목구 주임의 교육에 대한 막중한 책임과 더불어 교육의 다양함과 유연함을 펼칠 수 있는 본당 사목구를 살펴봄으로써 구체적인 현실 속에서 가톨릭 교육이 어떻게 실현될 수 있는지 살펴보기 위함이다. 본고는 현행 교회법전 안에서 나타난 가톨릭 교육을 탐구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의의를 지니고자 한다. 첫째, 가톨릭 교육의 본질을 구체적으로 파악하는 것이다. 둘째, 가톨릭 교육을 오늘날 현시대의 관점으로 재해석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가톨릭 교육이 현시대로부터 코로나19 바이러스로 야기될 더욱 급격한 변화에 우리 교회는 어떠한 자세를 취할 것인지에 대해서이다. 그리고 그 대상은 가톨릭의 구성원인 그리스도인으로 한정한다. 현행 교회법전 안에서 그리스도인은 “세례로 그리스도께 합체됨으로써 하느님의 백성으로 구성되고, 또한 이 때문에 그리스도의 사제직과 예언자직과 왕직에 자기 나름대로 참여하는 자들이 되어 하느님이 교회에게 이 세상에서 성취하도록 맡긴 사명을 각자의 고유한 조건에 따라 실행하도록 소명받은 자들이다.” 『교회법』, 제204조. 이처럼 그리스도인의 본질은 그리스도께 합일되어가며 성숙해지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오늘날의 시대 상황 안에서 가톨릭 교육의 목표 또한 동일선상으로 점철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렇게 논자의 관점은 ‘세상 속의 교회’ 안에서 현대인으로 살아가는 그리스도인들에게 가톨릭 교육의 본질과 현대의 쇄신을 불러일으키고자 함이라 할 수 있겠다. 연구 과정으로, 제1장에서 가톨릭 교육의 개념과 기본 원리, 구성원 등 일반적인 의미를 살펴봄으로써 구체적으로 가톨릭 교육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한다. 제2장에서는 교회법 연구 방법론의 핵심을 구성하는 법원(fontes) 분석을 통해 『교회법』 제794조를 살펴볼 것이다. 이는 법의 제정 이유를 밝힘으로써 법정신을 이해하기 위함이다. 제3장에서는 현행법전 이후 교회 가르침들을 탐구해봄으로써 가톨릭 교육이 시대적 상황에 따라 무엇을 강조하고 있는지 살펴볼 것이다. 제4장에서는 한국 교회의 가르침을 살펴봄으로써 현시점에서 가톨릭 교육의 의의가 잘 실현되고 있는지 성찰해볼 것이다. 나아가 오늘날 코로나19 바이러스로 인하여 전환기를 맞을 교회와 교회의 교육에 대한 실천적인 제언으로써 가톨릭 교육의 가치를 드러내고, 오늘날 교회와 본당 사목구 주임을 향한 시대의 요청에 대한 전망을 이어보고자 한다.

      • 가톨릭 정전론(正戰論) 사상의 발전, 그리고 현대 전쟁에서의 사례 적용 및 인식 변화에 대한 연구 : 여론조사와 관련 연구를 중심으로

        박유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55

        정당한 전쟁이라는 개념은 1,700여 년 전 아우구스티노를 비롯한 많은 교부들이 오랫동안 집대성한 체계적인 사상이자 역사적 산물이다. 본 논문에서 다룰 가톨릭 정전론은 그리스도의 가르침을 따르는 그리스도인들이 “이웃 사랑”이란 이상과 “전쟁”이란 현실의 모순을 극복하기 위해 최소의 희생과 최대의 공동선인 평화를 목표로 엄격하게 제한된 조건들 안에서 정당한 전쟁의 가능성을 정리한 일종의 전쟁 윤리 사상이다. 본 논문은 암브로시오, 아우구스티노, 토마스 아퀴나스를 비롯한 교부들부터 시작해서 가톨릭 정전론 사상의 발전을 현대에 이르기까지 살펴본다. 그동안 정전론은 가톨릭 교부들에 의해 본격적으로 사상적 토대를 갖추기 시작했지만 그 발전에는 분명 많은 철학자들과 개신교 신학자들의 기여도 있었다. 그러나 본 논문은 여러 다양한 정전론을 다루기보다는 가톨릭 교회가 주요 교부들과 관련 교회 문헌을 통해 주로 참고하고 가르치는 “가톨릭 정전론”에 초점을 맞췄다. 가톨릭 정전론 사상의 발전 이면에는 여러 시대적 요청이 있었다. 신성로마제국을 위협하고 멸망시켰던 이교도의 침략, 중세 때 봉건영주들의 전쟁, 유럽의 아메리카 원주민 수탈, 두 차례의 세계 대전, 핵전쟁 위기가 팽배했던 냉전, 그리고 테러와의 전쟁이다. 그때마다 가톨릭 교회는 정당한 전쟁의 조건과 가능성을 모색하면서 그 시대에 맞는 정전론을 제시하였지만, 현대에 와서는 정당한 전쟁의 개념을 일축하며 전쟁 그 자체를 단죄한다. 그러나 전쟁이 단죄됐다고 해서 정전론이 무의미한 사상이 되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어떤 전쟁의 불의함을 논하기 위해서는 이것이 어째서 정당한 전쟁이 아닌지 설명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려면 정당한 전쟁이란 무엇인지 먼저 알아야 한다. 본 논문이 알아본 테러와의 전쟁 같은 경우 “합당한 권위,” “정당한 이유,” “올바른 지향,” “최후의 수단,” “성공 가능성,” 그리고 “비례성” 조건을 충족하지 못했다. 이 외에도 다른 조건들을 더 논할 수 있겠지만, 이 논문은 제시된 미국 여론조사 자료 안에서 나타난 불의한 전쟁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처럼 가톨릭 정전론을 현대 전쟁 가운데 테러와의 전쟁에 사례 적용을 하며 정당한 전쟁에 대한 가톨릭 교회의 가르침과 여론이 보는 관점의 간극을 살펴본다. 과연 여론이 어느 정도 정당한 전쟁을 식별할 수 있는지 확인해보지만 제시된 여론조사 자료의 객관성 문제, 그리고 “국기 결집 효과”를 비롯하여 정당한 전쟁을 바라보는 관점 왜곡 등의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한계와 어려움 가운데 주어진 자료 안에서 전쟁을 바라보는 미국 여론과 그렇게 바라보는 원인 요소들을 분석해보았다. 결론에서는 1,700여 년간 이뤄진 가톨릭 교회의 정전론 사상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세상은 여전히 불의한 전쟁에서 헤어나오지 못하는 현실을 지적한다. 인류 역사에서 계속되는 전쟁은 분명 그리스도의 평화를 염원하는 가톨릭 교회의 노력을 어렵게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톨릭 교회는 정당한 전쟁에 대한 가르침을 계속 이어왔다. 본 논문은 이러한 가톨릭 교회의 오랜 노력을 상기하면서 아울러 「기쁨과 희망」, 그리고 「평화의 도전」에서 가르치듯이 정전론을 중심으로 한 교육 및 여론 활동, 더 나아가 평화 운동이 활발히 이뤄져야 함을 대안으로 제시한다. Just war theory is a concept some 1,700 years ago, which Augustine and many other Church Fathers for so long contributed, leading to this comprehensive, systematic, and historical outcome. The Catholic just war theory which this thesis deals is an organized idea of war ethics looking into the possibility of just war pursuing least loss while seeking peace, the highest common good, under strictly controlled just war criteria in order for Christians who follow Christ’s teaching to solve the contradicting reality between “love of one’s neighbors” and “war.” Starting from the Church Fathers including Ambrose, Augustine, and Thomas Aquinas, this thesis examines the development of just war theory until the present. During that time, the conceptual foundation of just war theory has been set by the Catholic Church Fathers, but also many philosophers and protestant theologists have also contributed in such development for certain. But rather than dealing with various just war theories, this thesis focuses on “the Catholic just war theory,” which the Catholic Church often refer and teach through important Church Fathers and related church documents. The development of the Catholic just war theory followed after various needs of the times. Those were heathen invasions that threatened and collapsed the Holy Roman Empire, wars between feudal lords in the Middle Ages, Europe’s plundering of American natives, two World Wars, the Cold War that stood on the brink of nuclear war, and the War on Terror. All those times, the Catholic Church came up with a fitting just war theory by examining the just war criteria and its possibility. Today, however, the Catholic Church shifts from the concept of just war and condemns war itself. Just because war has been condemned doesn’t mean that just war theory is a meaningless idea. In order to argue a war as unjust, one must be able to explain why it isn’t a just war. To do so, one must know what just war is in the first place. In the case of the War on Terror which this thesis looks into, the just war criteria of “competent authority,” “just cause,” “right intention,” “last resort,” “probability of success,” and “proportionality” haven’t been met. Other criteria could also be discussed, but this thesis examines mainly on the perception of unjust war within the U.S. opinion polls provided. By applying the Catholic just war theory in the case of the War on Terror among modern warfare, the gap between the teachings of the Catholic Church on just war and the public opinion perspective will be examined. Although the extent of how much public opinion could discern just war is looked into, the objectivity issue of the opinion polls provided and issues that distort the perspective on just war such as the “rally round the flag effect” remained as problems. With these problems and difficulties present, the U.S. perspective on war and the factors that lead to such are analyzed. In conclusion, the reality of the world still running into unjust wars is pointed out despite the 1,700 years or so development in the Catholic just war theory. Constant warfare in history of mankind certainly sets a drawback to the Catholic Church’s effort towards peace of Christ. Still, the Catholic Church continues teaching just war. While recalling that ceaseless effort of the Catholic Church, this thesis proposes educating and molding the public opinion regarding just war and actively participating in peace movements just as suggested in the teachings of 「Gaudium et Spes」 and 「The Challenge of Peace.」

      • 韓國의 老人問題와 관련한 敎會의 役割에 관한 硏究

        한정일 가톨릭大學校 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8655

        최근 통계청은 우리 나라가 2030년이면 65살 이상 인구가 전체 인구의 23.1%를 차지하는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평균수명이 늘어남에 따라 이렇듯 노인인구가 크게 늘어나게 되었는데 2000년 현재 65세 노인인구는 340만 명을 넘어섰다. 이러한 노인인구의 급성장은 사회 내에 심각한 노인문제를 야기했다. 그러나 우리 사회는 노인 인구의 급증에도 불구하고 이들에 대한 사회복지제도가 아직 적절한 수준으로 정비되지 않은 상태에 있으며, 그 동안 노인에 대한 부양과 노인복지를 주로 담당해오던 가족의 기능도 점차 약화되는 추세에 있다. 이에 중앙정부는 여러 차례에 걸쳐서 법의 일부를 개정 보완하였지만 노인문제를 해결하기에는 여전히 미흡한 것이 사실이다. 이렇게 볼 때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제공하는 공공부문의 복지활동 이외에도 비영리단체들이 제공하는 민간부문의 복지활동이 절대적으로 요구된다고 하겠다. 한편, 민간부문에서 복지활동을 담당하기에 가장 좋은 조건을 가지고 있는 비영리단체는 바로 종교단체라고 하겠다. 그 가운데에서 가톨릭교회는 체계적인 교회조직을 가지고 있기에 타종교단체보다도 더욱 조직적이고 효과적인 활동이 기대된다. 한국가톨릭교회는 1854년 영해회의 설립이후 사회 사목의 일환으로 사회복지 기관·시설의 운영을 통해 사회복지사업을 활발하게 전개해옴으로써 우리 나라의 사회복지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으며, 현재는 빈민, 노동자, 직장인, 교도소, 장애인, 학교, 병원, 군인, 경찰 등을 대상으로 하는 특수 사목을 하고 있다. 그러나 교회 내의 노인층이 점차 두터워짐에 따라 교회는 이제 노인 사목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요구받고 있다. 따라서 이제 우리 가톨릭교회가 노인들을 위하여 할 수 있는 역할은 무엇이며 이들을 도울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들은 무엇인지 생각해 보자는 것이 이 논문의 취지이다. 본고는 사회와 교회에서 바라보는 노인에 대한 이해와 그 원인과 문제점을 살펴본 후, 사회와 교회 안에서 노인들이 직면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과연 교회의 역할은 무엇인가 그 역할 방향에 대하여 간략히 다루었다. 본고는 노인에 대한 이해나 노인문제 해결을 위한 교회의 역할 방향을 다루면서 노인에 대하여 신체, 심리·정신, 경제, 사회, 죽음이라는 다섯 가지 부분만을 그 범위로 하였으며, 또한 보다 현실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그 이유는 본 논문이 현재 나타나고 있는 노인문제에 대한 우선적인 해결을 위하여 교회가 할 수 있는 역할은 과연 무엇인가를 제언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쓰여졌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노인은 생물학적, 심리학적으로 갖가지 개체의 차이를 갖지만 대개 젊은 세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신체, 심리·정신, 사회적인 부분에 있어서 쇠퇴가 현저한 사람을 말한다. 한편, 우리 나라에서는 노인에 대하여 "노인이란 노화에 따라 신체적·정신적 노쇠와 사회적 역할의 감소로 의존적이며, 이를 사회문화적인 '효'라는 개념으로 보장하고, 연장자로서 권위를 갖는 사람"이라고 이해되며, 65세 이상을 노인으로 여기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노인들은 여러 가지 면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노인들은 첫째, 신체적으로 그 기능이 쇠퇴하게 되어 여러 가지로 어려운 시기이며, 둘째, 역할 상실, 고독, 여가 활동, 교육 등의 심리적·정신적인 면에서 많은 어려움과 바램을 가지고 있다. 셋째, 생리적 노화로 인해 노동시장에서 젊은 사람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쟁력이 없기 때문에 결국 경제적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자본주의 사회 안에서 이 경제적인 문제는 노인들에게 다른 여러 문제를 야기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넷째, 20세기의 급속한 노년층 인구의 성장은 오늘날 세계적으로 표면화되고 있는 노인문제와 직접·간접으로 관련되고 있으며, 이러한 노인 문제는 사회적으로 커다란 어려움으로 나타나고 있다. 다섯째, 노년기에 이르면 죽음에 대한 공포는 모든 불안의 원인이 된다. 죽음과 관련하여 노년기에 나타나는 문제는 크게 노인 자신의 죽음, 배우자의 죽음, 자살 등의 세 가지로 나타나고 있다. 노인에 대한 교회의 이해를 살펴보면, 먼저 구약성서에서 노인에 해당하는 구약 히브리어는 동사 '□□□(자칸, z□qan)'에서 파생되고 있는데, 주로 노인을 수염이 희어지고 기력이 쇠하여지는 60-80대를 지칭하고 있다. 또한 신약 희랍어에서는 생산의 능력이 없는 생리적 노령과 연령적 연장자를 노인이라고 말하고 있다. 한편, 성서에서는 노인의 의미에 대하여 여러 가지로 말하고 있는데, 첫째, 장수는 하느님 축복의 상징이다. 둘째, 노인은 공경의 대상이 된다. 셋째, 노인은 주의 진리를 가르쳐야 할 사명을 지닌다. 넷째, 노인은 축복과 기쁨의 상징이다. 다섯째, 노인은 지혜의 상징이다. 여섯째, 노인은 전통의 수호자이기에 젊은이들은 노인의 지도를 받도록 명령했다. 일곱째, 노인도 하느님의 소명을 받는 자이다. 또한 「가정공동체」「평신도 그리스도인」「현대세계의 사목헌장」 등 많은 수의 교회문헌이 노인에 대하여 언급하고 있으며, 이들 문헌들은 우리 모두는 약자인 노인을 돌보고 사랑하며 또한 노인들 스스로 노년기는 하느님께서 주신 은총의 시기임을 깨달아 인간다운 삶을 누릴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천주교 서울대교구의 경우 2000년 12월 말 현재, 노인 신자는 전체 신자의 약 12%를 차지하고 있다. 이 가운데 교회에 나오지 않는 병든 노인과 쉬는 교우들이 전체의 약 75%를 차지하고 있어 이들을 교회에 나올 수 있도록 돕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현재 한국가톨릭교회는 교구차원에서는 가톨릭노인대학연합회와 가톨릭사회복지위원회를 통하여 시설 및 재가노인들에 대하여 여러 가지 사목을 하고 있으며, 그 밖에 본당 차원에서는 노인대학 운영, 임종노인 시중, 노력봉사(빨래, 청소 등), 양로원 방문 및 지원 등의 사목을 해오고 있다. 그러나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교회의 활동만으로는 이제 급증한 노인층을 구체적으로 사목하기에는 너무나도 부족하게 되었다. 결국 교회는 교구 및 본당 차원에서 노인의 신체적인 면, 심리적·정신적인 면, 경제적인 면, 사회적인 면, 죽음에 관한 면 등에 대한 적극적이고 구체적인 사목을 해나가야 할 것이다. 이러한 여러 문제에 대한 교회의 역할 방향을 가장 효과적으로 실행하기 위해서는 현재 교구차원에서 강조하고 있는 소공동체운동과 연계된 사목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실제로 본당에서는 시설노인들에 대한 봉사활동보다는 재가노인들을 위한 구체적인 봉사활동이 요구되고 있고 또한 교회 안에서 재가노인들의 문제를 해결하기에는 본당이 가장 적합하기에 본당의 구역·반 소공동체나 각 단체들을 통한 조직적인 활동이 가장 효과적이라 하겠다. 이는 특히 구역·반 모임에서 재가노인에 대한 봉사활동을 '소공동체 운동'과 '복음나누기 7단계' 중 6단계 '소공동체 활동 제도'를 활성화하는 방안이 본당 노인복지 활동의 가장 효과적이고 바람직한 방안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 동안 한국천주교회는 우리 나라의 민간 부분의 사회복지에 있어서 어둠을 밝히는 커다란 등불의 역할을 해왔다. 마찬가지로 이제 한국천주교회는 새롭게 등장하고 있는 노인복지에 있어서도 그 선구자적 역할을 훌륭히 수행하리라 믿는다. 다행스럽게도 2001년 9월 처음으로 가톨릭사회복지위원회 내에 노인담당 신부가 임명된 것을 기점으로 이제 한국가톨릭교회 내에서도 노인사목에 대한 구체적인 노력의 발판이 마련되었다. 또한 2002년 하반기에 가톨릭사회복지위원회 내의 노인사목의 위치가 가톨릭노인사목위원회로 격상될 것임을 비추어 볼 때 앞으로 한국가톨릭교회 내에서의 노인사목에 대한 기대와 그 역할이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인생의 정리기인 노년기에 교회에서 소외된 그들을 포용하며 관심을 가져 줌으로써 노인들이 자신의 늙음에 대해 수치스럽고 감추어야 하는 것이라고 느끼는 것이 아닌 하느님의 커다란 은총의 시기임을 깨달아 원숙한 신앙인이 될 수 있도록 한국천주교회의 아낌없는 노력이 있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또한 모든 신자는 노인들의 문제가 결코 '너'의 문제가 아니며 궁극적으로 '나' 자신의 문제라는 생각을 갖기를 진심으로 바라는 마음이다. 마지막으로 '노인의 성''노인을 위한 사목상담''노인의 주거환경''시설노인 및 재가노인들의 욕구 및 만족도''재가노인 혹은 교회에서 방치된 노인''은퇴사제문제'와 특히 앞으로 교회 내에서 노인사목의 가장 중요한 방향으로 부각되리라 예상되는 '소공동체운동의 활성화를 통한 노인문제 해결방안' 등 본고에서 미처 다루지 못하였거나 다루었더라도 미진한 부분에 대하여 많은 아쉬움을 가지며, 이 부분에 대하여 지혜로운 후학들이 훌륭하게 채워나가기를 바란다. Recently, Korean National Statistical Office announced that we will go into the society of an advanced age, and so the 65-old will amount to 23% of all population in 2030. As the average life span increases, as of 2000, the old exceeded 340million. This rapid growth of the old made serious the old problem in society. But in spite of increasing the old, social welfare for them is not yet improved properly in our society. and that the function of family charged the old welfare and support tends to be decreased. So central government tried to make a partial amendment of law, but it is in fact insufficient to solve the old problems. Therefore, in addition to the welfare work of public section that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serve, it is required to be served for the welfare work of civil section by a nonprofit organization. On the other hand, nonprofit organization that has the good condition to be charged is religious group. Among them, as the Catholic church has the systematic organization, so it is expected to work effectively than any other religious group. Developing social welfare project through managing the social welfare facilities as a part of social pastrol after founding Young Hae Hoe, Korean Catholic Church has played important part and now charge the special pastrol, for example poverty, labor, hospital and police. But as the number of the old increases, church is now required to have a new prospect for the old. So thinking what is the role for the old and what is the concrete method to help them is the main purpose of this thesis. This thesis firstly look into the understanding, cause and point at issue about the old that Church and Society observe. Secondly, deal with the role of church to solve the difficulty that the old are now facing with. So, Dealing with the understanding and the role of the church for solving the old problem, this thesis will be confined within five section, for example, body, mental state, economic, society and death. More than anything else, as my thesis intends to advise what is the role of the church to solve the old problem, so it will be understood practiclly. Generally, the old mean the men who are on the downgrade physycally and psychologically compared with the young generation. Somewhat, in Korea the old are generally understood like this, "the old mean the men who are dependant because of decrease of their social role and physical and psychological senility. But as these are guranteed by the conception of social-cultural "filial piety", so the old are regarded as the men of dignity." But these are difficulty in many sides. Firstly, decreasing of their physical function. Secondly, psychological and mental difficulty, for example, loss of role, solitude, leisure and education. thirdly, economical difficulty, for example, low competetion compared with the young in labor market. This economical problem is the main cause that brings about another problem to the old. Fouthly, radical growth of the old in 20c. Nowadays, this is related to the old problems directly and indirectly. Fifthly, terrified at death. the problems related to death in old age can be displayed by three section, death-the old themselves, death of their spouse. In our church, the old is originated in Hebraic verb "zaqan", this indicates the old who are lifeless-60-80 years old in Old Testament. And also Greeks in New Testament, the old are reffered to physiological old age without any power and senior. But the meaning of the old is mentioned in various ways in Bible. Firstly, longevity is regarde as the symbol of God's blessing. Secondly, the old are the object of respect. thirdly, the old have the mission to teach Lord's truth. Fourthly, the old are symbol of blessing and pleasure. Fifthly, the old are symbol of wisdom. sixthly, as the old were regarded as a guardian of tradition, so the young were ordered to be guided by the old. seventhly, the old were also the men who got God's vocation. And also too many documents, for example 'Familiaris Consortio', 'Christifideles Laici', 'Gaudium et Spes' are reffered to the old, and those are emphasized on helping and loving to the old. For Seoul diocese's case, as of Dec. 2000, the old believers amount to approximately 12% of all believers. Among them, as the old who got sick and indifferent amount to approximately 75% of all, so various program to help for going to church is needed now. Now, Korean Catholic Church works for the old who is staying at home and any other facilities through the Catholic College Union For the old and the Committee of Catholic Social Welfare, and specially work through managing college for the old, cleaning and calling at an asylum for the aged. But these series of works cant't be meet with the need of radically increased-the old. So the church should develope positively and concretely toward the physical, psychological, economical, social aspect and death. In order to carry out the role of the church about these problem effectively, the pastrol closely connected with small community movement is needed for Diocese. practically, service for the old who are staying at home is more required than that of facilities. And also, to solve the problem for the old who are staying at home, systematic action through the district and group of the parish is more effective. Specially, a plan for activating 6th level "small community action" of the "small community movement" and "7th level, sharing the Good News" is more effective and desirable for the welfare of the old. Recently, Korean Catholic Church played an important role in social welfare of the civil section. Like this, now I believe that Korean Catholic Church will carry out his leading role for the welfare of the old. Fortunately, the priest who is in charge of the old-pastrol was designated in Oct. 2001. So concrete trial for the old- pastrol will be prepared in Korean Catholic Church. And at the second half of 2002, in view of upgrade as the Catholic Committee For The old Pastrol, it will be expected that the expectation and role for the old-pastrol in Korean Catholic Church will be grown. I hope that Korean Catholic Church can try to make the old mature believers who see their statues as the God's grace, and also all the believers regard the old problems as the ultimately "my own" problems not "yours" Lastly, this thesis couldn't deal with the "the sex of the old", "pastrol counselling for the old", "desire and satisfaction of the old who are staying at home and any other facilities" "the problems of retired priest" and specially "the plan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old through the small community movement" which is expected as the most important direction for the old-pastrol in our church. So I hope that wise junior will strengthen my short thesis sufficiently.

      • 가톨릭 전례와 개신교 예배 안에서의 오르간 역할 비교 연구 : 개신교 예배 안에서 오르간 역할의 활성화 방안

        유은정 가톨릭대학교 교회음악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55

        기독교에서 예식이란 하느님의 부르심에 대한 인간의 응답으로, 인간을 향한 하느님의 섭리와 뜻을 발견하고 감사와 찬양을 드리는 공동체 행위로서의 공식적인 의식이다. 그런 행위를 가톨릭에서는 전례라고 정의하고 개신교에서는 예배라 정의한다. 전례와 예배를 거룩하고 엄숙하게 만드는 음악의 중심에는 오랜 역사와 함께 오르간이 존재했다. 기원전 246년에 알렉산드리아의 크테시비우스가 오르간을 발명한 이후 세월을 거치면서 개량되고 발전되다가 로마에 전해져 부유층의 향유품으로 자리잡았고, 8세기에 서방세계에 소개되었다. 성직자들과 수도자들이 직접 오르간 제작에 참여함으로 11세기 수도원의 교회로 도입되어 13세기에 이르러서 유럽의 각 교회에 도입되고 대형화 되었다. 오르간이 서서히 전례 악기로 인정되면서 15세기에는 오르간의 발전과 보급으로 오르간 황금시대를 맞이하였다. 그러나 16세기 종교개혁으로 인한 개신교의 탄생으로 위기를 맞기도 했던 오르간은 종교개혁 지도자들 사이에서도 오르간 사용에 대한 미묘한 입장 차이를 보였다. 종교개혁 이후 가톨릭교회는 전례음악과 악기에 대한 재정비와 정리를 통한 반종교개혁을 전개함으로 오르간도 세속악기와 구별된 전례악기로서 여러 문헌을 통해 존중받고 장려 받으며 전례 안에서 발전되었다. 우리나라에는 가톨릭의 파리에 뮈텔 신부가 보내준 오르간이 1890년에 최초로 들어왔고, 개신교는 미국 선교사들에 의해 1882년에 들어왔다. 그리고 개신교에서는 최초로 1918년 정동제일교회에, 가톨릭에서는 최초로 1924년 명동성당에 각각 파이프 오르간이 설치되었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100여개의 파이프 오르간이 가톨릭과 개신교에서 사용되고 있고, 그 수는 개신교가 가톨릭에 비해 두 배 가까이 더 많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대 개신교에서는 소위 열린 예배와 같이 시대와 문화 및 상황에 맞게 예배를 새롭게 재구성하려는 움직임으로 인하여 교회의 전통적인 예배 악기인 오르간의 영역이 전자악기와 타악기 등에 밀려 축소되고 있다. 이에 반해 가톨릭교회는 공식적인 교회의 문헌을 통하여 오르간을 존중하고 오르간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재차 언급하면서 사제와 성음악 관계자들을 교육시키는 바, 정형화된 전례 안에서 전례악기로서의 임무와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다. 그로 인한 결과 중 하나로 매주일 전례 안에서 성찬이 행해지는 동안 그날 전례의 성격과 색채를 드러내는 오르간 역할로 성찬에 합당한 적절한 선곡이 있었다. 개신교에서는 여러 가지 신학적 이유로 자주 행해지지 않는 성찬식이 오르가니스트의 개인적 취향에 인한 선곡으로 성찬식에 방해가 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그러므로 개신교 성찬식에 사용될 수 있는 바흐의 코랄 등과 같은 전례에 적합한 오르간 곡을 발굴하고 보급하여 개신교 교회력에 맞게 활용함으로써 오르간의 활용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개신교 예배 안에서 오르간의 활성화 방안으로 오르가니스트의 재교육과 오르간위원회의 구성, 오르간 연주회를 통한 교회내 오르간음악의 발전, 그리고 무엇보다 목회자의 오르간에 대한 이해와 인식이 시급하다. 아울러 예배 안에서 그 날의 성경 본문과 설교에 맞는 오르간 독주를 장려함으로써 예배를 좀 더 거룩하게 하는데 오르간이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