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여성결혼이민자 대상 한국어 교육을 위한 '동시' 분석 연구

        육선향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논문은 여성결혼이민자대상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학 장르 중 동시;가 언어와 문화를 효과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제재가 될 수있다 생각하여 동시에 나타난 한국 문화요소를 분석함에 목적이 있으며 동시를 통한 한국 문화교육이 여성결혼이민자들의 한국에서의 삶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귀국중학생의 한국어 어휘 지도 방안

        이진주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국내 일반학교 통합학급 중등과정에 재학 중인 귀국학생의 한국어 능력을 일반학생들과 비교·분석하여, 이를 근거로 귀국학생들의 학교 언어 적응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데 도움을 주는 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하고 바람직한 어휘 지도 활용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본 연구는 귀국학생의 배경이 평가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로 예상하고 그 변인이 무엇인지 확인하고자 해외 거주 기간, 해외 거주 국가, 한국으로 귀국한 시기, 가정에서의 사용 언어 등을 설문 조사하였다. 이를 토대로 귀국학생들의 한국어 능력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 가늠하고자 국어 능력 인증 시험을 실험 집단인 귀국학생과 일반학생 모두에게 실시하였다. 국어 능력 인증 평가는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국내인들의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에 관한 종합적인 국어 사용 능력을 평가하고, 일반적인 언어 상황과 밀접하게 연관된 실질적인 국어 사용 능력을 측정하며 합리적인 의사소통능력, 창조적 표현능력, 유연한 언어 상황 적응력을 평가하는 시험이다. 귀국학생의 국어 목표가 일반학생과 국어 능력을 일치시키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기 때문에 국어 능력 인증 평가를 실시했으며, 국어 능력 인증 평가는 듣기, 어휘, 어법, 어문규정, 읽기, 쓰기 등으로 문항이 구성되어 있어 귀국학생이 일반학생에 비해 어느 영역이 얼마만큼 부족한지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연구 대상으로서 귀국학생들은 대전 탄방중학교에 재학 중인 귀국학생 37명이고, 일반학생은 해외 거주 경험이 없는 학생으로, 대전 탄방중학교에 재학 중인 1학년 10명, 2학년 10명, 3학년 10명, 총 30명을 선정하여 평가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 방법을 실시함으로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가 대상의 배경 요인’에 있어서 귀국학생들 대부분이 주로 미국과 캐나다 등 영어권 국가로 초등학교 저학년에 출국하여 초등학교 고학년에 다시 귀국하는 양상을 나타냈다. 이는 언어 발달 단계상 국어 능력이 초등학교 수준에 머물러 있는 학습자들이 대다수이며, 이들이 국내 일반학교 통합학급에 입급하여 학교 적응 언어 문제를 해결하고, 비판적·창의적 고등 언어 사용 화자로 성장하기에는 귀국학생을 위한 특별 수업이 필요하다는 것을 입증하게 되었다. 둘째, ‘한국어 능력 조사’에서 귀국학생들과 일반학생들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귀국학생들의 한국어 능력이 전체적으로 20점 정도 낮은 것으로 결과가 나타났다. 특히 어휘, 쓰기, 어법 등의 영역은 일반학생과 비교해볼 때 상당히 취약하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귀국학생을 위한 한국어 특별 수업이 필요하고, 한국어 중에서도 어휘 부분의 수업이 모색되어야 할 필요성이 요구되었다. 따라서 본고는 귀국학생들이 가장 어려워한 어휘를 중심으로 귀국학생을 위한 어휘 지도를 제안하고, 국어가 도구 언어라는 점을 감안하여 사고도구어와 풍부한 언어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질적 어휘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어휘 교수·학습 방안을 마련하였다. 을 대상으로 한 사고도구어와 질적 어휘력을 향상시키는 어휘 교육을 한다면 귀국학생의 국어 교육의 목표인 일반학생과 국어 능력을 일치시키는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어휘 교육에서 마인드 맵을 활용하여 어휘 자체를 학습하고, 어휘를 학습하는 방법을 지도하여 학습자 스스로 어휘 공부를 할 수 있게 하였다. 이러한 귀국학생 대상 어휘 교육은 현재 귀국학생 특별학급이 없는 일반 학교에서 방과후학교를 이용하여 지도할 수 있다. 방과후학교란 수요자 중심으로 운영하는 정규 교육과정 이외의 학교 교육 활동으로 학교는 학생과 학부모의 요구를 바탕으로 방과후학교 또는 방학중 프로그램을 개설할 수 있다고 교육과정 고시서에 기술되어 있다. 따라서 귀국학생의 학교 적응 언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귀국학생이 가장 어려움을 겪고 있는 어휘를 중심으로 한 교수·학습을 방과후학교에서 실시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와 같이 이 연구는 일반학교 통합학급에 재학 중인 귀국학생들의 한국어 교육 요구도와 국어 능력의 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함으로써 귀국학생들의 학교 언어 적응 문제 해결 방안과 그에 관한 현실적이고 다양한 교수·학습 활용에 관한 방향을 제시했다. 또한 방과후학교를 이용한 귀국학생 수업으로 그동안 사교육을 통해 행해지고 있던 귀국학생의 한국어 교육을 공교육 안으로 끌어들이고, 해결 방안을 제시하고 있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necessary Korean teaching method and extracurricular Korean class for returnee students in public middle school. Some returnee students have much trouble in adapting to Korean culture and educational environments and have experienced great hardships due to the lack of Korean language competence. Extracurricular Korean classes and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methods are therefore strongly needed for the returnee students. However, there currently aren't enough special teaching programs for returnee students in Korea. This study suggests proper language readaptation teaching material and methods for the returnee students, based on comparative analysis on their TOKL (Test of the Korean Language) evaluations with that of ordinary school students. Chapter Ⅱ analyzes the results of research, test and interview. To construct a teaching-learning model for returnee students, a survey is conducted on the duration of their stay abroad, the place of their stay, the time of their return to Korea, and their language usage at home to predict the factors in the returnee student's background that may affect the evaluation results and to confirm the variables. This study also investigates how much the returnee students want to have a Korean class for themselves. They want to study Korean, Korean culture, Korean history and foreign language. The tests are conducted on Korean language competence of returnee students and ordinary students in Daejeon Tanbang Middle School. Also, an ethnographic interview is administered. The subjects of the Korean language competence test and interview are selected at random.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test, 10 subjects have demonstrated weak abilities in Korean language vocabulary, grammar and writing, with vocabulary being their weakest. According to the interviews, it is evident that the current middle schools have not developed the Korean language teaching-learning way for the returnee students and have not administered the extracurricular Korean language education. Chapter Ⅲ deals with the methodology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he returnee students in middle school. This study suggests two methods of extracurricular Korean teaching for the returnee students. One model is Korean teaching for academic vocabulary. The other model is Korean teaching for vocabulary in quality and enrichment. In particular, a vocabulary teaching method through semantic mapping and writing is suggested. This vocabulary teaching method is designed to categorize words and utilize the categorized word in writing in order to learn vocabulary. This chapter discusses the application of the developed vocabulary teaching methods to ordinary school fields to see whether it is effective for improving vocabulary education. The result shows that this teaching method allows returnee students to learn different words of the same category all together, and it proves to be a more effective teaching method. By using the vocabulary they learned in writing, the returnee students are able to learn a lot of related vocabularies, and their vocabulary competence also improves in quality. Furthermore, their thinking faculty develops during the learning process. As collective categorical learning makes it easier for them to write, they aren't pressed for writing, and their writing skill also improves additionally. The categorized writing, which forms an organic connection between the categorization principle and writing, is proven as a systematic way to teach vocabulary. Chapter Ⅳ summarizes this study and suggests further studies on varied ideas and thoughts of Korean teaching-learning for the returnee students. Also, advocates an after-school program for returnee students. Today, there is only one class for returnee students in Korea. So, the returnee students need extracurricular Korean classes and the Korean language teaching-learning methods. To improve Korean competence of returnee students, ordinary school may open an after-school class for them. This is strongly recommended since this may be the only way to draw the students from private tutoring to public education for their Korean language readjustment and competence.

      •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박물관ㆍ미술관 문화예술교육 연구 : 미술교육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조아영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63

        Currently, Korean society has become a multi-ethnic and multicultural society with more than 1.8 million foreign residents living in Korea. This is more than 3.6% of the total population. According to the 'November 1st,2017 Status of Foreign Residents in Local Governments based on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in 2017' which was published by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in November 2018, the number of residents of long-term residence in Korea is 1,861,084, where the scale is between Chungcheongnam-do and Jeonlabuk-do. Since the late 1990s, multicultural families have begun to increase as international marriage becomes more popular in rural areas, and the number of multicultural families has exceeded 1.5 million by 2014. As the number of multicultural families rapidly increases, there are a lot of confusion and social problems in Korea. In this context, the period of present society is a critical in which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conducted for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ir children to adapt and to solve social and educational problems. Various policies and supports have been implemented to solve problems related to multiculturalism, and studies on multicultural education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already in Korea. Among them, multicultural art education is an education that can access different cultures and their values ​​relatively easily by using appreciation and expression, bringing out positive effects on acceptance of various cultures in today's multicultural society. These are the reason why it becomes understanding. In Korea, it has shown meaningful results in the development and its practice of multicultural art education programs. However, current research on multicultural education using art and culture, including its art education, is relatively narrow compared to other areas. Considering the expressiveness and diversity of cultural arts, it is expected that the level of contribution to multicultural education will be enough higher that more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In addition, since research on multicultural education utilizing culture and art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creating a healthy multicultural society, continuous research is needed to establish itself as an area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us of multicultural families, concepts, philosophy, significance, and valu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while studied culture and arts education of museums and art museums to help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dapting who are increasing in our social and cultural. Particularly, as the proportion of international marriages increased from 2005 to 2008, that of children aged between 6 and under was decreasing as the number of children entering the country increased, and the proportion of children aged between 7 and 18 was increasing. The ratio of multicultural students to total is also steadily increasing (from 0.44% in 2010 to 2.17% in 2018). Considering these, education for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aged 7 ~ 18 is urgently needed. Therefore, the study is based on the necessity of study on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 for multicultural students in adolescence, which is a period of confusion of identity with conflict and wandering due to the peripheral location before becoming an adult. Further, in order to grasp the reality of multicultural culture and art education of museums and art museums, which have been carrying out the roles and functions of multicultural education from the early period, I examined, compared and analyzed cases of domestic multicultural education and foreign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Since I was able to become aware of the necessity and its significance of cultural arts education for Korea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 proposed this multicultural art education program of museum and art museum. As a result, this program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the need for out-of-school culture and arts education for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who are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current multicultural society, and to study and propose programs for them with migration backgrounds. In addition, it is worthy of consideration in terms that it was conducted relatively low number in Korea. I expect that the multicultural education will be held for all with purposes of persuing cultural diversity in actual museum and art museum based on this study. Furthermore, I hope that it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multicultural culture and arts education and the enjoyment of minority culture. 현재 한국사회는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인 주민 수가 180만 명이 넘는 다인종ㆍ다문화 사회가 되었다. 이는 총 인구 수를 대비하여 3.6%를 넘는 인원이다. 2018년 11월 행정안전부가 발표한 ‘2017. 11. 1. 인구주택총조사 기준 2017년 지방자치단체 외국인 주민 현황’에 의하면 한국에 거주하는 장기체류 외국인 주민 수가 186만 1천 84명으로 충청남도와 전라북도의 주민 수 사이에 해당하는 규모이다. 1990년대 후반기 이후 농어촌 지역에서 국제결혼이 성행함에 따라 다문화가정이 증가하기 시작하였고 2014년도를 기준으로 다문화가정 인구는 150만 명을 돌파했다. 이와 같이 다문화가정이 급속히 증가하면서 국내에서는 적지 않은 혼란과 사회적 문제들이 야기되고 있다. 현 사회는 이러한 상황에서 다문화교육을 통해 다문화가정과 그들 자녀의 적응을 도와 사회적‧교육적 과제를 해결해야하는 중차대한 시기라 할 수 있다. 이미 국내에서는 다문화와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정책과 지원을 실행해오고 있으며 다문화교육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 다문화미술교육은 감상과 표현을 활용하여 서로 다른 문화와 그 가치에 대해 비교적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예술교육으로 오늘날 다문화사회의 다양한 문화 이해 및 수용에 긍정적인 효과를 도출해 낼 수 있기에 그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때문에 국내에서는 다문화미술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천에서 의미 있는 성과를 보여 오기도 하였다. 그러나 현재 다문화미술교육을 포함하여 문화예술을 활용한 다문화교육에 대한 연구는 다른 영역에 비해 비교적 적다. 문화예술이 가진 표현성과 다양성을 고려했을 때 다문화교육에 기여도가 높을 것으로 전망되므로 보다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더불어 문화예술을 활용한 다문화교육 연구가 건강한 다문화사회를 만드는 데에 한 축을 담당할 수 있으므로 다문화교육 연구의 한 영역으로 자리매김 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의 현황과 다문화교육의 개념, 철학, 의의, 가치에 대해 조사하고, 국내에서 증가하고 있는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사회문화적응을 돕기 위한 박물관ㆍ미술관 문화예술교육을 연구하였다. 특히 2005년도부터 2008년도까지 국제결혼의 비중이 높았던 시기에 입국한 여성의 자녀들이 성장함에 따라 영‧유아(6세 이하) 비중은 낮아지고 학령기(7~18세) 자녀 비중이 높아지고 있으며, 전체 대비 다문화학생 비중도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2010년 0.44% → 2018년 2.17%)인 실정을 고려하였을 때, 7~18세의 다문화가정 자녀들을 대상으로 한 교육이 시급하다고 판단되었다. 따라서 성인이 되기 이전 주변적 위치에 따른 갈등과 방황으로 정체성의 혼란을 겪는 시기인 청소년기의 다문화학생을 대상으로 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연구에 대한 필요성을 기반으로 하였다. 또한, 이전부터 다문화교육의 역할과 기능을 수행해오고 있는 박물관ㆍ미술관의 다문화 문화예술교육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국내의 다문화교육과 국외의 문화다양성교육의 사례를 살펴보고 비교 및 분석하였다. 이로써 한국의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문화예술교육의 필요성과 그 중요성에 대하여 자각할 수 있었기에 본 박물관‧미술관의 다문화미술교육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프로그램 연구는 현 다문화사회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다문화가정의 자녀들에 대한 학교 밖 문화예술교육의 필요성을 고찰하고 이주배경을 가진 학생들을 위한 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연구 및 제안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또한, 국내에서 문화예술을 이용한 다문화교육에 대한 연구가 비교적 적게 시행된 측면에서 볼 때 그 가치가 있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향후 실제 박물관 ㆍ미술관에서 문화적 다양성 추구 목적의 모두를 위한 다문화교육이 실시되기를 기대하며, 더 나아가 다문화 문화예술교육의 발전과 소수자의 문화향유에 이바지 할 수 있기를 바란다.

      • 초등학교 교과에서 STEAM을 통한 미술교육 프로그램 연구

        이가람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63

        STEAM 교육은 융합교육을 기본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다음과 같이 다섯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Science(과학), Technology(기술), Engineering(공학), Arts(예술), Math(수학)이다. 2010년에 STEAM 교육이 도입된 이후로 학회나 연구단체에서 STEAM 교육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연구하고 개발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연구가 과학․기술 중심으로만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미술영역에서의 STEAM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기 때문에 본 연구는 STEAM을 통한 미술교육 프로그램 연구에 목적을 두었다.

      • 현행 중학교 미술교육을 통한 한국화 교육의 실태연구

        임미나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63

        In Korean art education, teaching methods and art curriculum have been changed and developed depending on the western style-oriented flow. Students have naturally learned this flow of art education. Art education helps middle school students, who require emotional education in adolescence, improve skills to appreciate and express the beauty and purify their own creative ideas and emotions by providing visual and formative experience. At this point of time, Korean painting education is required to understand the beauty of our tradition in a proper way. Art education should establish identity about Korean art culture by considering aesthetic consciousness of Korean people and help students create creative and new art culture by fostering pride in our culture. The necessity of traditional art domains began to be stressed after the 4th curriculum. The instructional objectives of each content domain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rom the 2011 art curriculum specify that 'Traditional art materials and cultural spaces must be actively used to improve interest and an understanding about traditional art.' and this shows that traditional education is still emphasized. This paper is focused on the class of Korean paintings of traditional art. Currently, there is an absence of Korean painting education in school education due to a lot of problems, such as the lack of facilities and teaching tools necessary for Korean painting education, the lack of class sessions of Korean painting education and the lack of textbooks and reference materials. For this reason, students feel a psychological distance from Korean paintings and lack perception and interest. For a proper Korean painting education, there is a need to find the causes for the non-smooth Korean painting education and alternatives and modify teaching plans by improving the learning environments and promoting effort of teachers. To solve this problem, firstly, this study adopted a theoretical approach to the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ce of textbooks by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2009 revised art curriculum, the history of textbooks and the definition, kinds and roles of middle school art textbooks. Then, the concept, background of Korean paintings and necessity of Korean painting education were considered and literature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11 kinds of middle school art textbook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of the present middle school art education, several plans were developed to make students experience Korean paintings easily and arouse their interest.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results of textbooks for Korean painting education and school classes, improvement plans were devised as follows. First, environmental conditions in schools should be improved by providing teaching materials and tools necessary for Korean painting education and installing sufficient art rooms suitable for school circumstances and related facilities including lockers to store learning materials. Second, for improving professionalism of art teachers, non-majored teachers need to try to improve Korean painting teaching capabilities and their qualities by participating in practical skill training. Third, teachers should provide students with diverse experience and develop their cultural insight by making active use of materials of art textbooks, expression techniques and production processes of works and works of students. Moreover, they need to put effort into developing learning materials and finding various teaching methods to arouse interest and encourage students to think and express creatively. Fourth, students should be provided with lots of opportunities including exhibition viewing and field trip about Korean paintings and teachers need to use traditional materials and modern materials together, or apply them to daily life to improve awareness about Korean paintings. Fifth, majors in Korean paintings should be evenly employed as middle school students, since there are not a lot of teachers, who major in Korean paintings, compared to those majoring in other fields. In the present globalization age, we are making cultural exchanges with other countries, naturally. In this situation, we might be led away by the flow of globalization, if we fail to establish our own cultural identity. Teachers have to help students find values of our tradition by fostering pride in our tradition and develop proper art teaching plans to improve insight of self-identity. Moreover, teachers should boost a will to learn and make students participate in classes pleasantly by applying Korean paintings to daily life and arousing their interest. Effort of teachers is needed for education to create new culture, based on our traditional culture, rather than copying western culture. 우리나라의 미술교육은 현재 수업방식과 미술과 교육과정이 서구 지향적인 흐름에 의해 변화와 발전을 거듭하였다. 학생들은 이러한 흐름의 미술교육을 자연스럽게 습득해왔다. 미술교육은 청소년기에 정서적 교육이 필요한 중학교 학생들에게 시각적·조형적 체험을 유도하여 아름다움을 감상하고 표현할 수 있는 안목을 기를 수 있게 도와주고 자신만의 창의적인 사고와 정서를 순화해 나아갈 수 있도록 해준다. 이 시점에 학생들이 한국화 교육을 통해 우리 민족의 전통의 미를 올바르게 이해하는 방향의 미술교육이 전개되어야 한다. 한국인이 지니고 있는 미의식을 고찰하여 한국의 미술 문화에 대한 정체성을 확립하고, 나아가 우리 문화에 대한 자긍심을 길러줌으로써 학생들에게 창의적이고 새로운 미술문화를 창조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어야 한다. 전통 미술 영역의 필요성은 4차 교육과정 이후부터 강조되기 시작했다. 2011 미술과 교육과정의 교수·학습 방법의 내용 영역별 지도 목표에 의하면 ‘전통 미술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높이기 위하여 전통미술 자료와 문화 공간을 적극 활용한다.’로 명시된 것과 같이 여전히 전통교육에 대해 강조가 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전통미술 중에 한국화에 대한 수업을 강조해보고자 한다. 현재 학교 교육 현장에서 한국화 수업에 필요한 제반 시설 및 교구의 준비상태 부족과 한국화 수업 시수 부족, 교과서 활용 및 참고작품 부족 등 여러 가지 문제점으로 인하여 한국화에 대한 수업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그 결과 학생들은 한국화에 대해 심리적 거리를 가지고 있으며 인식 및 관심, 흥미 또한 없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토대로 한국화 수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려면 학습 환경의 개선 및 교사의 노력 요구 등 원만히 이루어지지 않는 원인과 대안을 찾아서 지도방안의 개선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먼저 이론적으로 2009 개정 미술 교육과정의 특징과 교과서의 역사, 중학교 미술 교과서의 정의 및 종류와 역할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교과서의 중요성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한국화의 개념과 배경 및 필요성에 대해 알아본 후 현재 중학교 미술 교과서 11종 분석을 통한 문헌연구를 하였고, 현행 중학교 미술교육의 현황을 조사하여 나온 분석을 바탕으로 학생들이 한국화를 쉽게 접할 수 있고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한국화 교육의 교과서 분석 및 학교 수업 실태 조사 분석 결과를 토대로 개선방안을 종합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화 지도에 필요한 교구 및 용구를 마련하고, 학교 실정에 맞은 넉넉한 미술실 공간 확보, 준비물 보관할 수 있는 사물함 등의 제반시설 마련하여 학교 내의 환경여건을 마련하여야 한다. 둘째, 미술교사의 전문성을 확대시키기 위해, 한국화 비전공 교사는 방학을 이용해 실기 연수기회를 통하여 한국화 지도 능력을 향상시켜 미술교사의 자질 향상에 힘쓰도록 노력해야 한다. 셋째, 미술교과서의 재료의 소개, 표현기법 및 작품 제작과정, 학생작품 등의 적극적인 활용으로 인해 학생들의 다양한 체험을 유도하고 문화적인 안목을 갖게 함과 동시에, 교사는 학습 자료 개발에 노력을 기울여 흥미를 이끌어 낼 수 있는 다양한 지도 방안을 모색하여 학생들의 창의적인 사고와 표현을 가능하게 체계적인 지도가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한국화 관련 전시회 관람 및 견학 등 한국화를 접할 기회를 마련해주고, 전통재료와 함께 현대적인 재료를 다양하게 활용하거나 실생활과 접목시켜 인지도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게 수업해야 한다. 다섯째, 한국화 전공 교사가 다른 전공자에 비해 많이 없는 실정이므로, 중등교사 임용 시 전공자 비율을 골고루 분포하여 임용되게 하여야 한다. 현재 세계화 시대에 우리는 다른 나라들과 자유롭게 문화적 교류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 고유의 문화적 정체성을 확립하지 못한다면 세계화 흐름 속에 이끌려 갈 수도 있다. 교사는 학생에게 우리 것에 대한 자긍심을 길러주어 가치를 발견하게 하고, 자기정체성에 대한 통찰력을 길러 주는 바람직한 미술교육 수업을 구상해야 할 것이다. 한국화를 우리의 실생활과 접목시켜 학생들의 흥미나 관심을 끌어 학습의욕을 고취 시켜 즐겁게 수업을 할 수 있도록 이끌어 주어야 할 것이다. 단순히 서구 문화를 모방해오는 것이 아니라 우리 전통 문화에 기반한 새로운 문화 창출을 위한 교육을 위해 교사들의 노력이 요구된다.

      • 다문화 관점에서 본 고등학교 『동아시아사』 분석

        최아림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63

        최근 한국 사회는 다양한 문화를 배경으로 한 새로운 구성원들이 점점 늘어나면서 명실상부한 다문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변 화는 학교 교실의 학생 구성에서도 변화를 가져왔다. 다문화가정 출신 학 생들의 비율이 점점 더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발맞추어 중·고등학 교 교육과정에서는 다문화교육을 범교과 학습주제로 채택하기에 이르렀 다. 다문화교육과 역사교육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동아시아계 이주 민 자녀들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한국 사회의 상황을 고려하여, 고등 학교 동아시아사 교과서는 교육과정에서 다문화적 목표와 내용 요소를 포함시키고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동아시아사 교과서를 다문화적 관점에서 양적⋅ 질적 방법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선행연구와 교육과정에 대한 분석을 통해 다문화교육의 목표와 구성 요소를 추출하였다. 그리고 이를 분석 기준으로 활용하여 현행 교육과정의 동아시아사 를 단원별로 분석하였다. 먼저 양적 분석의 결과, 동아시아사 범위에 들어가는 국가별 언급 횟수가 매우 불균형하다는 점과 교과서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성별 또한 불균형하다는 점, 그리고 교과서 내용 서술에 활용된 참고문헌이 특정 국 가의 자료에 치중되어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양적 불균형, 즉 교과서에서 다루는 국가, 성별 그리고 참고자료 활용의 불균형은 단순히 특정 대상에 대한 기술 분량의 많고 적음에 그치는 문제가 아니다. 이는 곧 학생들이 다양한 배경 지식과 학습 경험에 노출될 수 있는 기회 자체가 제한적이며 불균형을 이룬다는 점에서 타문화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즉 특정 문화에 대한 지식의 결여와 불균형은 학생들이 이 결여와 불균형의 틈을 편견이나 관점의 불균형으로 대체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질적 분석의 과정에서 교과서의 일부 서술은 학생 들이 다문화적 관점을 기를 수 있도록 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즉 ‘편견의 제거’, ‘관점의 균형’, ‘문화의 다양성’ 그리고 ‘문화의 상호교류’를 고려하 면서 교과서 내용을 서술하였다. 이는 양적 분석에서 나타나는 서술 분량 의 불균형이 관점의 불균형과 편견을 초래할 가능성을 높인다는 것과는 상반되는 결과이다. 그러나 역사적 논쟁이 있는 부분은 교과서가 특정 국가의 입장에서 편 중되게 서술한 경우를 볼 수 있었다. 또한 전쟁의 피해에 대한 서술에서 라이따이한의 문제는 언급하지 않는 등 여전히 균형 잡히지 않은 시각에 서 서술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동아시아의 문화적 특징을 학생들이 이해 하기 쉽도록 생활 속의 비근한 소재들을 교과서 서술에 포함시킨 점은 주 목할 만하다. 또한 동아시아 문화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기술하는 데 머물 지 않고 그러한 차이점이 생겨나게 된 배경을 설명한 것 역시 학생들이 문화의 다양성에 대한 감수성을 키우는 데 유익한 서술이라고 할 수 있 다. 문화의 다양성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는 낯선 문화가 ‘틀린 문화’가 아 니라 ‘다른 문화’임을 학생들이 지적으로 그리고 정서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토대가 된다고 할 수 있다. 동아시아의 문화에 대한 서술이 이처럼 실생활과 밀접한 관련을 맺는 소재를 활용하여 구체적으로 제시된 것과는 달리, 같은 동아시아권에 속 한 북한의 문화에 대한 이해를 북돋울 수 있는 서술 내용은 찾아보기가 어려웠다. 분단 이후 서로 다른 문화적 가치를 추구해온 남북한의 상황을 고려한다면, 다문화적 관점에서 북한에 대한 편견을 제거하고 북한의 문 화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는 서술이 필요할 것이다. 이는 다문화가족 의 일원인 새터민에 대한 이해는 물론 통일에 대비하기 위해서라도 절실 한 문제이다. 그러한 이해는 남북한의 문화적 차이에서 오는 사회적 갈등 을 최소화하는 데 필요한 기초 지식과 인식의 토대를 마련하는 밑거름이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교과서라는 매체가 갖는 특성상 서술 분량 에 제약이 따르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해 다문화적 관점이 반영된 교수. 학습 방안을 제시하였다. 즉 학생들이 중심이 되어 다문화적 관점에서 구 성한 주제를 탐구하거나 토론 활동을 하는 수업을 제안하였다. South Korea has become multicultural society as number of people wit h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are increasing. As a result, the ethnic make-up of society as well as school has also changed. Public schools become more diverse and demands increased for multicultural education. Reflecting this social change, the government adopted multicultural education as a part of Korea’s national curriculum. Regarding multicultural education, history education is crucial in that it encourages students’ ability to understand different countries’ history and culture. East Asia History has its significance in terms of multicultural education of South Korea for the fact that many multicultural students are from East Asia. Therefore, learning East Asian history from balanced perspective could be beneficiary to understanding between multicultural groups in our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ree different high school East Asian History textbooks from multicultural perspective using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s. The followings are the summary of the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in terms of offering different perspectives on a given subject, textbooks must be more diverse in using bibliographic references and sources from different countries in East Asia. This could help students to have balanced perspective on different issues of history. Furthermore, textbooks must increase the contents for Vietnam’s history and culture to provide different perspectives. Second, in order to help students overcoming cultural bias towards countries and nations, textbooks offer relatively fair description about given groups of people such as nomadic people and Japanese people. However, by omitting and overly simplifying many historical female figures in history, it fails to help students overcoming bias towards women. Third, in order to enhance students understanding of cultural diversity, textbooks offer contents that explain about common culture of East Asia as well as unique and distinct culture of different countries. However, they do not provide up-to-date portrayal about current cultural changes and interactions in East Asian countries these days. In conclusion, students-centered and research-bas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should be examined as one of effective strategies to teach history from multicultural perspectives.

      • 학습자 수준에 따른 한국어 읽기 지도 방안

        정정훈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읽기 교육의 수준별 지도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에 대해 서술하였다. Ⅱ장에서는 읽기의 개념 및 읽기 이론, Chall의 읽기 능력의 발달 단계와 천경록의 읽기 능력 발달 단계를 살펴보고, 국어 교육에서의 수준별 읽기 교육에 대한 선행 연구와 한국어 읽기 교육의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 Ⅲ장에서는 한국어 읽기 단계 구분의 의의에 대해 알아보고, 천경록의 읽기 능력 발달 단계를 바탕으로 한 한국어 읽기 능력의 발달 단계를 제시하였다. 또한 대전의 3개 대학에서 한국어를 가르치는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한국어 읽기 지도 방안의 현실에 대해 조사하고, 한국어 읽기 능력의 발달 단계를 바탕으로 단계별 읽기 교육의 실제를 제시하였다. Ⅳ장에서는 본 연구의 내용을 종합적으로 정리하면서 연구의 의의를 밝히고 한계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으로 마무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 level-based instructive plan in the education of reading in Korean. Chapter I stated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study. Chapter II examined concepts and theories of reading, and reviewed Chall’s steps of reading ability and Gyeong-rok Cheon’s developmental steps of reading ability. And reviewed previous studies in the level-based education of reading in Korean education and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reading. Through this, it has been learned that work in the level-based teaching has not yet been actively carried out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reading. Chapter III tried to establish the significance of the distinction among steps of reading in Korean, presented the steps of the development of the ability to read in Korean based on Cheon’s developmental steps of reading ability. Also the chapter carried out a survey with some teachers of Korean who are teaching Korean at three universities in Daejeon, to investigate conditions of plans for reading in Korean. This chapter has also presented the practice of the developmental education of reading, based on the steps of the development of the ability to read in Korean, which have been come up with in Chapter III. Chapter Ⅳ sums up the contents of this study, explicating its significance as well as its limits, and makes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This study has come significance in that it has distinguished among learners’ steps in reading in Korean, and has provided a plan based on their levels.

      • 수능 물리분야 평가 문항의 분석을 통한 학업 성취도 향상 방안 탐구 : 2010-2011 수학능력시험을 중심으로

        김정호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63

        현재 이공계 기피현상과 물리 공부를 하지 않는 학생 수가 점점 늘어나는 등 물리 과목에 대한 교육계의 관심도는 점점 낮아지고 있다. 이는 대부분의 학생들이 물리 과목을 비선호하고 있으며, 고등학교 물리 수업이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 향상과는 다른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출제된 물리 영역의 내용 분석과, 현재 물리학 관련학과를 진학한 학생들의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통해,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보다 많은 학생들이 물리 과목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물리 과목을 선택한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대학수학능력시험의 과학탐구영역은 대학 교육을 이수하는 데 요구되는 과학적 탐구 사고력을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내용과 수준에 따라 다양한 탐구 상황에서 통합교과적인 소재를 사용하여 측정하는 시험으로, 1994학년도부터 18년간 시행되어져 온 대학수학능력시험의 평가 목표를 분석하여 물리 문항이 얼마나 충실히 교육과정과 출제의도에 적합하였는지 여부를 알아보았다. 특히 2010년과 2011년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출제문항을 출제영역별, 과학탐구 행동영역별로 분석하여 얻은 결론으로는, 정형화된 사고가 아닌 물리적 사고의 다양성을 배양하고, 기본개념 및 원리의 이해와 실생활 적용 능력을 구비해야 하며, 각 단원별 학업 성취 수준에 맞는 맞춤식 학습을 적용해야 하는 방향으로 물리 교육이 진행되어야 한다는 결론을 도출했다. 현재 물리 관련 학과로 진학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 및 인터뷰를 통해 고등학교 물리 과목의 학업 성취도를 파악하고, 효율적인 물리 과목의 학습 및 교수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학생들이 원하는 물리 수업의 방향은 물리 개념의 정확한 이해이며, 물리 과목의 관심을 이끌어 내기 위해서는 물리 공부가 필요한 학과의 진학을 위해 물리 과목을 필수로 이수하는 제도적인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 물리 교육의 교육환경 확보에 노력해야 한다. 과학관련 기관 방문을 통한 체험학습이 이루어져야 하겠으며, 물리 관련 경연대회를 다양한 형태로 개발하여 교육에 적용해야 한다. 그리고 물리 교사들의 학술 단체에 가입하여 다양한 활동을 함으로써 교사의 지도능력을 구비해야 할 것이다. Physics is continuously losing interests in the educational world, so it is increasing a number of students who are reluctant to study natural sciences and engineering and to take a class physics: Many students do not choose studying physics, and physics classes in high school tend to do not help academic achievemen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get a lot of students to choose physics in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CSAT), through analysis of the questions types that had appeared on the CSAT, the research and interview of students who are major in physics, also to suggest the specific details to those who study physics in order to raise their achievements. The part of the natural sciences is a test that measures high-school students' scientific research in many different sorts of situations, and it has been put in operation for 18years since 1994. This research has examined the object of evaluation, and it reveals whether the questions in the examination were suitable for it or not. As a result of its studies to analyze the examination questions in 2010 and 2011, we can know that physics class should be going on with students' level, and students need to cultivate their ability to think about physical science and apply their knowledge in real life. This report hopes to show the physics major students' scholastic achievement and propose the effective way of teaching and studying physics. In conclusion, all of the students studying physics want that they understand precisely about idea of physics, so it is essential to prepare an institutional strategy which derives interests from physics. One strategy represented in this report is that students who want to enter school of natural sciences or engineering must finish all the required courses in physics. Finally, teachers who teach physics should try to develop educational environment. It must be able to visit scientific institution so that students can learn physics through their experiences, and teachers also need to hold various science contests in order to apply them to education. All of the physics teachers should be prepared by joining an academic society and doing many different scientific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