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제약·바이오 기업의 경영전략 유형이 비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 : 기술혁신 활동의 조절효과를 고려하여

        박세진 국립부경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63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impact of management strategies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activities in pharmaceutical and bio companies on ESG evaluation ratings. ESG is widely used as an indicator of corporate sustainability.Previous research on management strategies, technological innovation activities, and ESG primarily focused on financial performance. There is limited research examining the impact of these factors on non-financial performance. Accordingly, this study classified the management strategy types of pharmaceutical and bio companies into Prospector strategy and defender strategy types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complex factors surrounding pharmaceutical and bio companies, and examined the impact on ESG evaluation ratings. Additionally, we examined whether companies’ innovation activities could be categorized as closed of open innovation for better control. We conducted an analysis on 90 pharmaceutical and bio companies that received an evaluation grade from the Korea ESG Standards Institute. The company’s management strategy score was derived from Fn Dataguide. Technological innovation activities were measured using the Korean patent information search servic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ESG was analyzed using a hierarchical regression model. The result of the analysis) confirmed that the leading management strategy had a positive (+) effect on all grades of ESG integration (T), environmental (E), social (S), and governance (G).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open innovation activities have a negative (-) regulation effect in the impact of leading management strategies on integration (T) and social (S) ratings. Several implications can be presented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First, since leading management strategies have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ESG evaluation, companies should strive to improve their non-financial performance by establishing leading management strategies and reflecting ESG evaluation criteria well. Second, since open innovation activities have a negative control effect on ESG (T) and social (S) ratings, efforts should be made to minimize the impact of open technology innovation activities to prepare a response strategy according to changes in the business environment. 본 연구는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평가하는 지표로써 “ESG”가 활용되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제약·바이오 기업의 경영전략 유형과 기술혁신 활동이 ESG 평가등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경영전략, 기술혁신 활동, ESG와 관련된 연구는 기업의 재무적 성과와의 연관성이나 ESG 성과지표에 대한 연구들이 다수를 이루고 있으며, ESG 활동과 경영전략, 기업의 기술혁신 활동을 함께 고려하여 이 요인들이 비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연구는 아직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제약·바이오 기업을 둘러싼 여러 복잡한 요인들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제약·바이오 기업의 경영전략 유형을 선도형과 방어형으로 구분하고, ESG 평가등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또한 기업의 혁신 활동을 폐쇄형 혁신과 개방형 혁신으로 세분화하여 조절작용을 할 수 있는지도 함께 살펴보았다. 한국 ESG 기준원의 평가등급을 받은 90개의 제약·바이오 기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Fn Data-Guide의 재무제표를 통 해 기업의 경영전략 점수를 도출하여 유형을 구분하고, 한국특허정보검색 서비스를 이용하여 기술혁신 활동을 측정한 후 위계적 회귀모형을 통한 조절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선도형 경영전략은 ESG 통합(T), 환경(E), 사회(S), 지 배구조(G) 모든 등급에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선도형 경영전략이 통합(T)과 사회(S)등급에 미 치는 영향에서 개방형 혁신 활동이 부(-)의 조절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다음의 시사점을 제약·바이오 기업에게 제시할 수 있다. 선도형 경영전략은 ESG 평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기업은 선도적인 경영전략을 수립하고 ESG 평가 기준을 잘 반영하여 기업의 비재무적 성과를 높일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하지만 개방형 혁신 활동이 ESG(T)등급과 사회(S)등급에 부정적인 조절작용을 보이고 있으므로 개방형 기술혁신 활동 추진함에 있어 그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노력하여, 경영환경 변화에 따른 대응전략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 중소기업의 경영주역량, 기술혁신역량, 사업화역량 및 경영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 연구 : 동남권 제조, 건설 및 지식서비스 기업들을 중심으로

        진봉재 국립부경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9663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SMEs) play a crucial role as follows as a core component of our nation's economy. Firstly, in many countries, SMEs act as a major source of employment and hold a significant portion of jobs in specific industrial sectors. Secondly, SMEs play an essential role in introducing new ideas and technologies to the market, thereby promoting innovation, enhancing productivity, and vitalizing the national and local economies. Thirdly, SMEs expand the range of choices for consumers by offering a variety of products and services. Finally, SMEs maintain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ir local communities, fostering social integration through their social responsibility and investments in these communities. However, SMEs face considerable constraints in resources, infrastructure, and establishing competitiveness compared to large corporations. In such an environment, they must possess unique and robust core competencies for continuous growth and sustaining competitiveness. Numerous studies have activel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SMEs' core competencies, as management capability,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business capability—on their performance. Existing research on the core competencies of SMEs primarily focuses on the impact of entrepreneurial characteristics or spirit on technological outcomes. However, such studies are limited in explaining a company's ultimate goal of sustainable growth. Consequently, this study, focusing on manufacturing, construction, and knowledge service enterprises in the southeastern region, analyzed the impact of management capability,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business capability on financial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This study utilized corporate data from the Korea Credit Information Services for the first half of 2023.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analysis, were employed for hypothesis testing. Research findings indicated the following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management capability of SMEs has a positive impact on business capability,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positively affects business capability, financial performance,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Additionally, business capability positively influences financial performance, and a mediating effect was observ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nagement capability,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and financial performance. This suggests that enhancing management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ies is essential for SMEs to achieve business success, with firms possessing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likely to gain a competitive edge in the market. Moreover, SMEs should focus on strengthening a combination of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business capabilities for both short-term profits and long-term growth. Secondly,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cross different industrial sectors revealed that the key factors determining business performance vary by industry. In manufacturing,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is a crucial factor, while in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safety,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capabilities are more important. For knowledge service companies, brand recognition and service quality are seen as essential for sustainable growth. Thirdly, an analysis based on the age of the enterprise showed that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is vital for start-ups, whereas management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ies are crucial for more established companies. This implies that for continuous growth, SMEs need to identify key competencies appropriate for their business tenure and growth stage, and develop strategies and implementation plans accordingly. Therefore,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MEs should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ey competencies required in their industry sector and business performance. They should also accurately assess their position in their growth stage to establish effective management strategies. Additionally, governments and related agencies should take the lead in designing and implementing detailed policy support measures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SMEs,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중소기업은 우리나라 경제의 핵심 구성요소로서 다음과 같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첫째, 중소기업은 많은 국가에서 중요한 고용 원천으로 작용하며, 특히, 제조업 산업 분야에서 고용의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둘째, 중소기업은 새로운 아이디어나 기술을 시장에 도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를 통해 혁신과 생산성 증대를 촉진하는 등 국가 및 지역경제 활성화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셋째, 중소기업은 다양한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소비자 선택의 폭을 넓히는 역할을 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중소기업은 지역사회와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며, 사회적 책임과 지역사회에 대한 투자를 통해 사회적 통합을 촉진시키고 있다. 그러나 중소기업은 대기업과 비교하면 자원, 인프라 및 경쟁력 확보에 있어서 많은 제약이 있으며, 이러한 환경에서 중소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그들만의 독특하고 강력한 핵심역량을 갖추어야 한다. 중소기업의 핵심역량 중 경영주역량, 기술혁신역량 및 사업화역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들은 현재까지 활발히 수행되어 왔다. 기존 중소기업의 핵심역량에 관련한 선행연구는 경영자의 특성 혹은 기업가정신과 기술적 성과에 관한 영향 연구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은 기업의 존재 목적인 지속가능한 성장과 수익 창출을 설명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어 왔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동남권 소재 제조, 건설 및 지식서비스 기업들을 중심으로 경영주역량, 기술혁신역량 및 사업화역량이 재무성과와 비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한국신용정보원의 2023년 상반기 기업 데이터를 활용하여 1,786개의 기업들을 대상으로 실증분석 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 요인분석과 신뢰성 분석, 다변량 통계분석 방법인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분석을 사용하였다. 실증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소기업의 경영주역량은 사업화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기술혁신역량은 사업화역량, 재무성과 및 비재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사업화역량은 재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경영주역량과 기술혁신역량이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소기업의 사업적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경영주역량과 기술혁신역량 강화가 필요하고, 기술혁신역량을 갖춘 기업은 시장에서 경쟁 우위를 가질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중소기업은 단기적인 이익 추구와 함께 장기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기술혁신역량과 사업화역량을 결합하여 강화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산업 분야별 구조적 영향 관계를 비교·분석한 결과, 각 산업 분야별로 경영성과를 결정하는 핵심 요인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기술혁신역량이 경영성과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제조기업과는 다르게 건설기업은 프로젝트 관리, 안전성 및 환경경영역량 등이 중요한 요인이며, 지식서비스기업은 브랜드 인지도나 서비스 품질이 지속가능한 성장의 핵심 요인인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업력별 구조적 영향 관계를 비교·분석한 결과, 창업기업은 기술혁신역량이 중요한 요인이고, 일반기업은 경영주역량과 기술혁신역량이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즉, 중소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사업경력과 성장단계에 맞는 핵심역량을 파악하고, 그에 맞는 전략과 실행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활용하여 중소기업들은 그들이 속한 산업 분야에서 필요한 핵심역량과 경영성과 간의 관계를 이해하고, 자신들의 성장단계에서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여 효율적인 경영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정부나 관련 기관은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세분화된 정책적 지원방안을 설계하고 수행하는 데 앞장서야 할 것이다.

      • SCM 성공요인과 프로세스 혁신이 파트너십 및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스마트폰 부품 제조 기업을 중심으로-

        최용호 부경대학교 경영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47

        스마트폰 시장이 다변화됨에 따라 이와 관련된 부품사업의 경우, 기술의 급격한 발전과 글로벌 기업의 국경을 넘은 경쟁으로 불확실성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환경의 변화로 다수 기업들이 하나의 기업처럼 관리될 필요성에 의해 SCM 운영 기업들은 기업 간 정보를 서로 공유하고 파트너 간 효율적 업무처리로 경쟁우위를 달성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SCM 성공요인과 파트너십의 매개효과 및 프로세스 혁신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실증 분석을 통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2015년 10월 1일부터 11월 15일까지 스마트폰 부품 제조 기업으로부터 회수한 193부의 설문지가 본 연구의 자료로 사용되었다. 이에 근거한 실증분석 결과 SCM 성공요인 중 정보관리와 활성화 지원 요인은 기업 간 파트너십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마트 부품 제조기업의 기업 간의 파트너십은 기업의 경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마트 폰 부품 제조기업의 SCM 성공요인 중 성과관리 요인은 기업의 경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파트너십의 매개효과는 SCM 성공요인 중 활성화 지원 요인이 파트너십을 거쳐 경영성과로의 간접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스마트 부품 제조기업의 프로세스 혁신은 기업의 경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증분석을 통해 SCM 실행 기업은 성공적인 파트너십 구축을 위해 적극적인 정보 관리 및 공유, CEO 및 리더의 SCM에 대한 관심과 활성화를 실현해야 함을 도출하였다. 또한 기업 간 파트너십은 곧 기업의 경영성과를 좌우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고 판단되며, 프로세스의 혁신은 시장점유율, 고객만족도, 기업이미지 향상 등 다양한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도출하였다. There is a trend that component businesses which depend on a diversified smart phone market have faced increased uncertainty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the competition of global corporations. As a result, all of the SCM corporations need to be managed as one corporation to achieve a competitive advantage by efficient work and collaboration with business partn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ry to verify through analysis the effect of partnership and process innovation influence on business performance and which SCM success factors affect business performance. This study surveyed 193 workers who were working at smart phone component manufacturing companies from 2015.10.1.~11.15.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as follow ; out of the SCM success factors, information management and support significantly affect partnership between corporations. Also, the partnerships between smart phone component manufacturing companies affect business performance. Out of the SCM success factors, performance management significantly affects the business performance of smart phone component manufacturing companies. The SCM success factors mediated effect of partnership and support appear to indirectly affect the effectiveness of business performance. Process innovation of smart phone component manufacturing companies affects the business performance. keyword : SCM, Partnership, Process innovation, Business performance

      •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의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기술혁신역량에 관한 연구

        김일번 부경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47

        The impact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on the national economy and employment effect is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it is true that the management performance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is quite poor compared to large enterpris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business performance of SMEs, and to improve the business performance,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innovation capabilities of SMEs. As a result of the review of previous studies, there are many papers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atents and business performance, but studies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y and quality certification and business performance are lacking. This study is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in that it considers patents and technology/quality certification at the same tim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ies that affect the management performance of technology innovative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of technology innovative SMEs is divided into innovation holding capability(IHC) and human development capability(HDC). Two variables, patent and technology/quality certification, were used as innovation holding capacity, and three variables were used as human development capacity: the number of R&D manpower owned by a company, and the last educational background and industry experience of CEOs. Sales, operating profit, and employment were used as management performance variables. The analysis data were analyzed targeting 437 technology innovative SMEs in Busan, Ulsan, and Gyeongnam regions owned by the Korea Technology Guarantee Fu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echnology/quality certification and R&D manpower showed a positive (+) relationship between business performance (sales, operating profit) and employment, and patent acquisition showed a positive (+) relationship to operating profit, and CEO Industry experience showed a positive (+) relationship to sales. These results mean that acquiring technology/quality certification as well as patents is important for technological innovative SMEs to grow. In SMEs, securing R&D manpower is important for business performance improvement, and in particular, patent acquisition is an important factor for improving operating profit This study is an empirical study based on quantitative data obtained from the field, and it provides some implications to help local SMEs growth strategies by targeting technology innovative SMEs in Busan, Ulsan and Gyeongnam area. keywords : Technology innovative SMEs, Technology Innovation Capability, Innovation Holding Capacity, Human Development Capacity, Business Performance, Regression Analysis 중소기업은 국가경제의 성장과 고용측면에서 상당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나, 경영성과는 그리 높지 못하므로 무엇보다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의 육성이 긴요한 상황이다. 선행연구의 검토결과, 기술/품질인증과 경영성과 간의 관계를 살펴본 연구가 부족하였다. 본 연구는 특허와 기술/품질인증을 동시에 고려한 점이 기존 연구들과 차별성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는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의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기술혁신역량이 무엇인지에 대하여 규명하고자 한다.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이 보유한 기술혁신역량을 혁신보유역량과 인적개발역량으로 구분하여, 혁신보유역량으로는 특허와 기술/품질인증의 두 개의 변수를 사용하고, 인적개발역량으로는 기술개발인력과 CEO의 학력 및 CEO의 동업계경력의 세 개 변수를 사용하였다. 종속변수로는 매출액, 영업이익, 고용을 설정하였다. 실증분석은 기술보증기금이 보유한 부산, 울산, 경남지역의 437개의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기술/품질인증과 기술개발인력이 경영성과(매출액, 영업이익)와 고용에 정(+)의 관계를 나타냈으며, 특허취득은 영업이익에, CEO 동업계경력은 매출액에 각각 정(+)의 관계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이 성장을 위해서는 특허뿐만 아니라 기술/품질인증의 취득도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중소기업에서도 기술개발인력의 확보가 경영성과 향상에 중요하며, 특히, 영업이익 개선을 위해서는 특허취득이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연구가 실증데이타를 기준으로 한 실증연구라는 점과 부산/울산/경남 지역의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함으로써 지역 중소기업 성장전략에 몇 가지 시사점을 제공한다. keywords : 기술혁신형 중소기업, 기술혁신역량, 혁신보유역량, 인적개발역량, 경영성과, 회귀분석

      • 가족친화경영이 심리적 안녕감과 일-가정 갈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조직기반 자긍심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고석교 부경대학교 경영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가족친화경영이 조직 구성원의 심리적 안녕감과 일-가정 갈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가족친화경영과 조직 구성원의 심리적 안녕감 및 일-가정 갈등의 관계에 있어서 조직기반 자긍심이 조절효과를 갖는지 분석하고 있다. 가족친화경영을 가족친화정책, 가족친화문화 두 가지 요인으로 정의하고, 여러 문헌들을 통해 변인들 간의 이론적 관계성을 조사하였고 이를 토대로 가족친화경영과 심리적 안녕감 및 일-가정 갈등 간의 관계, 그리고 이들 간의 관계에서 조직기반 자긍심의 영향력에 대한 가설을 세워 실증연구를 실시하였다. 실증연구를 위하여 2013년 10월 30일부터 2013년 11월 15일까지 총 8개 기업의 종사자를 대상으로 총 30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고, 회수된 298부 중 278부의 설문지를 토대로 빈도분석, 타당성분석, 신뢰성분석, 상관분석, T-검정, 분산분석, 조절회귀분석 등을 사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첫째, 가족친화문화가 조직구성원의 심리적 안녕감을 높이고, 일-가정 갈등을 줄이는 효과를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조직 구성원의 조직기반 자긍심은 가족친화경영(가족친화정책, 가족친화문화)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이 아니라 직접적인 정의 효과를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조직기반 자긍심은 가족친화경영과 일-가정 갈등의 관계에 있어서는 가족친화정책 보다는 가족친화문화에서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보였다. 조직구성원의 조직기반 자긍심이 높을수록 가족친화문화가 일-가정 갈등에 미치는 효과가 더욱 확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업이 가족친화경영의 시행을 다각적인 형태로 확대해야 되는 몇 가지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시해 준다. 즉, 가족친화적인 여러 가지 정책 시행도 중요하지만, 기업은 조직구성원의 일과 가정에서의 역할을 잘 수행할 수 있는 조직문화를 조성하는 것이 급선무라는 점이다. 또한 조직구성원의 조직기반 자긍심을 높일 수 있는 진정성 있는 소통도 필요하다는 점이다. 끝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을 제시하면서 추가연구가 필요한 부분을 함께 제안하였다.

      • 교육훈련프로그램 특성이 교육훈련을 통하여 교육훈련의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중소기업종사자를 중심으로

        정봉주 부경대학교 경영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31

        21세기 지식정보화사회에서 기업환경이 급속도로 변화하고 기업들 간에는 무한경쟁을 해야하는 현실 속에서 기업이 생존하기 위해서는 끊임없는 변화와 혁신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와 혁신은 체계적으로 설계된 교육훈련프로그램에 의한 교육훈련을 통해서만 이루어 지게 된다. 기업 종사자들에 대한 교육훈련 투자는 종사자 개인과 기업에게 많은 효용가치를 창출하게 되며, 특히 대기업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열악한 경영환경을 갖고 있는 중소기업이 성장발전하기 위하여는 신기술 도입과 인적자원을 중심으로 조직을 재구축하는 데 있다. 여기에 교육훈련에 대한 투자의 필요성이 제기되는 것이다. 지식정보화사회에서는 기업교육훈련이 인적자원관리 측면에서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정부차원에서도 그 중요성을 뒷받침하여 재직자에 대한 직업능력개발훈련을 위하여 많은 예산을 투입하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면 정부는 2007년도에 187,663개의 사업장의 3,300,197명에 대하여 415,303백만원의 예산을 직업능력개발훈련에 지원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실시 중인 중소기업 직업능력개발훈련이 과연 유효한 성과를 거두고 있는가를 조사 연구함으로서 향후 기업교육훈련의 발전방향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설문조사를 병행하였으며, 문헌연구를 통하여 선행 연구자료를 면밀히 검토하였다. 또한, 중소기업 직업능력개발훈련 참가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신뢰도와 요인분석 및 상관관계분석을 하였고, 구조모형분석으로 연구모형과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모형에서 선행연구와는 특이하게 교육훈련참여요인으로서 자기성장욕구와 기업의 활성화를 중요 변수로 설정하게 되었다. 교육훈련은 그 내면적인 목적이 참가자 개인적인 측면에서 자기성장욕구를 충족시키는 데 있으며, 기업측면에서는 기업의 성장발전과 조직의 활성화를 기하는 데 있으므로, 교육훈련참여요인이 교육훈련프로그램특성과 교육훈련효과성과의 관계에서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연구하는 것은 의미가 있는 것으로 생각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문조사 대상을 부산, 경남, 울산, 대구지역의 중소기업종사자로서 직업능력개발훈련 경험이 있는자로 하였고, 회수된 설문지 중 통계대상으로 삼지 못할 불성실한 설문지 79부를 제외한 총700부의 설문지를 최종 통계대상으로 하여 실증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가설 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훈련프로그램의 특성이 교육훈련 참여요인에 양(+)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 다시 말하여 교육훈련프로그램의 특성인 교육훈련방법, 교육훈련내용 및 교육훈련환경이 교육훈련참여요인인 자기성장욕구와 기업의 활성화에 각각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교육훈련참여요인이 교육훈련효과성에 양(+)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 다시 말하여 교육훈련참여요인인 자기성장욕구와 기업의 활성화가 교육훈련의 효과성에 각각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위 연구가설의 검증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었다. 첫째, 교육훈련프로그램을 설계할 경우 교육훈련대상자의 욕구와 기업성장목표를 사전에 파악하여 설계함으로서 교육훈련의 효과성을 드높일 수 있다는 점이다. 둘째, 기업측면에서는 종사자들에게 목표의식과 학습동기를 유발하여 자기성장욕구를 강화시킴으로서 교육훈련의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다는 점이다. 셋째, 기업은 종사자들이 학습할 수 있도록 교육훈련시설이나 여건을 개선하는 등 학습분위기를 조성함으로서 교육훈련의 효율성을 기하고, 높은 경영성과를 창출할 수 있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설문지법을 활용하여 개인의 주관적인 지각정도만을 판단하였으며, 현장분석 및 인터뷰 등 다각적인 분석이 결여되어 있다. 둘째, 기업 자체적으로 직업능력개발훈련을 실시하고 있으나, 정부의 예산지원을 받지 않는 중소기업의 의견을 반영하지 못하였다. 셋째, 설문조사의 대상지역이 부산, 경남, 울산, 대구지역으로서 전국적인 모집단이 되지 못하였다. 넷째, 본 연구는 중소기업 중 일반적인 제조업 분야에 비중을 두고 이루어졌으며, 향후에는 서비스 등 업종에 관계없이 다양한 업종에 대한 개별적인 교육훈련의 인식조사가 필요하다. 다섯째, 중소기업종사자를 중심으로 한 본 연구와는 별도로 직업능력개발훈련을 실시하는 중소기업의 경영적인 측면에서 교육훈련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 공공기관 직원의 갈등요인이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상사지원과 조직지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조영용 부경대학교 경영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공공기관 직원의 갈등요인이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규명하고, 그 영향관계에서 상사지원 및 조직지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조직 내 갈등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직무스트레스를 낮추어 직무성과를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논문의 특징은 공공기관의 직원의 갈등요인과 직무스트레스(부정적 측면), 직무성과(긍정적 측면)의 관계를 동시에 다루었으며 독립변수인 갈등요인을 3가지 유형(관계, 과업, 과정)으로 세분화하였고, 조절변수 또한 2가지 요인(상사지원, 조직지원)에서 접근하는 등 공공기관에서의 갈등관리 해법을 좀 더 세밀하게 찾고자 하였다. 이에 가설들을 검증하기 위하여 선행연구에서 개발된 측정도구를 활용하여 설문조사(유효표본 214부)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갈등의 하위요소인 관계갈등은 직무스트레스를 높이며 직무성과를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과업과정갈등은 가설과 달리 직무성과를 높이는 것으로 작용하였다. 갈등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의 조절효과는 상사지원만이 관계갈등과 직무스트레스 관계에 유의성을 보였으며, 갈등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서의 조절효과는 상사지원과 조직지원 두 변수 모두 관계갈등과 직무성과 관계에서 유의성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주목할 점은 갈등은 모두 직무성과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예측과 달리 갈등의 하위요소에 따라 직무성과에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갈등은 과거에 역기능 측면만을 고려하여 불필요한 것으로 인식되었으나, 최근에는 갈등의 순기능적 측면이 강조되어 어느 정도의 갈등은 조직 내에 반드시 필요하다는 견해도 있다. 그러므로 역기능적인 갈등은 해소하고 순기능적인 갈등은 조성할 때 조직의 유효성은 증대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조절효과의 검증에서 상사지원의 경우 관계갈등과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성과와의 관계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가지며, 조직지원의 경우에는 직무성과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직 내 인간관계의 중요성을 대변하는 결과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조직 내 갈등관리에 있어서 일, 프로세스 중심이 아닌 구성원 상호 간 관계에 비중을 두고 해법을 찾을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influences of conflict factors on job stress and job performance in public institutions and furthermore, to investigate how the support of supervisors and the organization moderate the impact of conflicts on job stress and job performance. In addition, it aims to propose solutions to improve job performances by effectively managing conflicts within the organization and by lowering job stress. For these purposes, this research deals with the three types of conflict(task, relationship & process conflict), job stress in terms of negative aspects of conflict, and job performance as positive aspects of conflict in a public institution. It also analyzes moderating effects of supervisor and organizational support in order to propose the alternatives for effective conflict management. In order to test the hypotheses, a survey was done to 214 valid employees, using measurement tools developed in the previous studies,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 The results of the statistic analysis are as follows. Relationship conflicts, which is a sub-factor of conflicts, were found to increase job stress and lower job performance. On the other hand, task & process conflict increased job performance. In terms of moderating effects on the influence of conflicts on job stress, the supervisor support only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fluence of relationship conflict on job stress. Regarding the influence of conflicts on job performances, both supervisor support and organization support showed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the influence of relationship conflict on job performance. On the contrary to the hypothesis that all types of conflicts would have negative influence on job performance, they can also work as a positive impact on job performance, depending on the sub-factors of conflicts. In the past, conflicts was viewed as detrimental in that they should have negative effects on job performance. However, recently, some researchers emphasize the view that conflicts may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refore they suggest that some level of conflicts might be helpful within an organization. Therefore, the effeciency of an organization can be maximized when negative aspects of conflict are resolved, whereas positive aspects of conflict are encouraged. Also, in the analysis of moderating effect, only the supervisor support can work positively to mitigate job stress and and to improve job performance in connection with relationship conflicts, while organization support would work only for job performances, which shows the importance of human relationship in an organization.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efforts to find the solution for conflict management should be made with the focus on human relationship between members in the organization rather than the task or process itself.

      • Research on the Coupling Development of Regional Scientific and Technology Innovation and Higher Education in China

        XU SHENG 부경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9631

        「국가 중장기 과학 및 기술 발전 계획요강(2006-2020)」에 따르면, 현재와 향후 한 시기의 과학기술 체제 개혁의 핵심은 중국 특색의 국가 혁신 체계 건설을 전면적으로 추진하는 것이며, 지역의 과학기술 혁신 체계 건설 임무를 부각시켜, 과학기술 혁신의 지역 경제 발전에 대한 지지 강도를 높이는 것이라고 한다. 지역 과학기술 혁신 시스템은 대학교, 과학 연구 기구, 금융 기구와 중개 기구 등 많은 과학 기술 혁신 주체들로 구성된 복잡한 다원화 시스템이다. 고등교육은 혁신 주체 중의 하나로, 지역 과학 기술 혁신에 기여하는 것은 명확한 것이다. 지식 경제 시대에 들어서 고등교육의 발전은 규모에서나 속도에서나 그 어느 때를 능가하며 지역사회 경제·문화·과학기술 등의 발전에 중대 추진력으로 부상되었다. 그럼, 중국 각 지역의 과학기술 혁신과 고등교육 발전은 어떠한 수준인가? 양자가 어떠한 발전 추세를 보이고 있는가? 분명한 지역적 차이가 있는가? 양자가 이미 시너지 융합 발전 태세를 형성하였는가? 잠재적 구동 요소는 또한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는가? 본문은 상기 문제들을 기반으로 하여, 혁신 이론, 고등교육 발전 이론, 커플링 조화 이론 등 이론적 방법을 이용해 지표 체계 구축을 통해 중국 각 지역의 과학기술 혁신과 고등교육의 구체적인 상황에 대해 이론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 31개 성 (타이완, 홍콩, 마카오 제외)의 2008~2019년 샘플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고 지표 체계 구축을 통해 엔트로피권법, 종합지수법으로 과학기술 혁신과 고등교육의 발전 수준을 추산하고, NICH 지수 분석과 Tapio 디커플링 관계 분석을 이용하여 양자의 발전 추세를 관찰하며 공간계량기법 중 모란지수(Moran's I) 및 시스템 집합기법으로 중국 과학기술 혁신과 고등교육 커플링 시너지 발전 수준 공간 변화 특징을 분석하였다. Kernel 밀도추정을 통해 직관적으로 중국 성 간 과학기술 혁신과 고등교육 커플링이 시너지를 일으키는 동적 분포 진행 과정의 분포 형태를 부각하고, 또한 예년 상황 대비를 통해 지역 내의 성 간 커플링이 시너지를 내는 발전 특징을 제시한다. 조기 이론 분석을 기반으로 중국 각 성 과학 기술 혁신과 고등교육 커플링의 시너지 발전을 위한 8개의 잠재적인 구동 요소를 확정하고, 공간 계량 회귀 모델을 기반으로 과학 혁신과 고등교육 커플링의 시너지 발전을 위한 구동 메커니즘에 대한 실증적 검증을 실시하여, 전체 샘플 조건과 구역 조건 하에서의 각 구동 요소 효과의 이질성을 검토하였다.

      • 기업의 메세나 활동이 브랜드 자산을 매개로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은정 부경대학교 경영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31

        20세기가 정보?기술의 시대였다면 21세기는 문화의 시대라고 불릴 정도로 문화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자본주의의 성숙과 함께 변화된 기업환경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요구하게 되었고 이에 부응하기 위해 기업은 사회공헌의 일환으로 기업메세나를 시작하게 되었다. 기업메세나는 문화예술 분야에 대한 재정적 지원을 통해 문화예술의 발전에 기여하여 왔으며, 정부 지원의 한계를 보완하는 대안으로서의 역할과 문화예술 향유를 통한 국민의 문화 혜택 증가 등 문화예술계에 긍정적 효과를 보여주고 있다. 실제로 기업은 메세나를 단순히 사회공헌의 도구로 활용하는 선을 넘어서 기업이미지 제고를 통한 시장 경쟁력 강화와 호의적 소비자 유지 및 신규고객 확보를 위한 마케팅 도구, 조직원의 창의력과 내부결속 강화를 위한 경영 도구 등 기업의 마케팅과 경영 관점에서 다각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현재 초기단계에 있는 국내 기업의 메세나 활동은 경제성장과 더불어 더욱 중요하게 부각되어 질 것으로 예상된다. 기업메세나는 발전가능성이 다분하지만 기존의 선행연구들은 기업메세나 활동을 통한 기업이미지 제고 방안이나 사례 분석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기업메세나를 통한 브랜드 자산형성과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는 거의 찾아 볼 수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업의 메세나 활동이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규명하고 더 나아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서도 실증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확인 하였다. 최근의 기업메세나 활동은 기업 이윤의 사회 환원이라는 기존의 개념에 문화예술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브랜드와, 기업이미지를 제고하는 전략적인 마케팅 활동으로 발전하고 있다. 기업의 메세나 활동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수행하는 사회공헌의 활동적 측면과 기업의 적극적인 시장 확대를 위한 기업의 이윤추구라는 경영전략으로서의 측면을 함께 충족시키는 양면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기업의 문화예술 지원활동은 자본주의 사회가 발전해 가고 문화의 중요성이 부각 될수록 문화를 통한 기업의 문화예술 지원활동은 증대될 것이다. 또한, 기업의 메세나 활동은 앞으로 기업이 나아갈 전략적인 정책의 한 부분으로 크게 부각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본 논문은 문헌연구와 실증연구를 통해 기업의 메세나 활동이 브랜드 자산형성과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으며,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계획을 통해 기업메세나가 마케팅 활동의 유용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음을 제안한다. 20th century was time of information and technology, but as time of culture, 21st century has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culture. Business environment changed with ripeness of capitalism demanded social responsibility to enterprises, and corporates began the corporate Mecenat as part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o satisfy it. The corporate Mecenat has contributed to development of culture and arts through financial support to culture and arts part. And it showed positive effectiveness, such as role of alternative plan making up for the limitation of support from government and increase of culture benefit of people through enjoyment of culture and arts, to culture and arts world. Actually, corporates are using Mecenat for multiple ways as a marketing tool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through improvement of corporate image, to maintain friendly customers and to secure new customer in the marketing and business view, not only as a tool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Mecenat activity of domestic companies in the initial phase is expected to become more important with economic development. Even with the possibility of the development of corporate Mecenat, preexisting researches are mainly about the way to improve image of corporates through Mecenat activity or case-analysis. It was hard to find out the research about formation of brand assets and purchase intent through Mecenat. So it is examined closely about effect of Mecenat activity in brand assets and furthermore checked the result from proof study about effect in purchase intent. As the summary of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hey are as following. First, corporate Mecenat affects positively to formation of brand assets. This result shows that Mecenat activity is working positively to customers so that is the effective method. Corporates need strategic planning for the purpose of corporates necessarily for formation of brand assets through Mecenat activities. And corporates need to have a strategy in the view of long-term as recognizing Mecenat activity as a useful tool of marketing. Second, positive reaction about brand assets through Mecenat is increase of purchase intent generally. Brand assets closely relate with consumer's purchase intent, and positive formation of brand assets affects real purchase power, so corporate can increase a sale and get a continuously competitive advantage. Third, Mecenat activity affects purchase intent positively. Customers said Mecenat activity affects to purchase intent, and they said if there isn’t difference of quality comparing with other companies, they will buy the products from a company doing Mecenat activity. Increasing purchase intent is directly related to increasing revenue, so companies can use Mecenat activity as strategic marketing method. As summarizing the results, corporate Mecenat shows positive results to the formation of brand assets and purchase intent. Recently corporate Mecenat continues developing strategic marketing activity to improve image of brand and corporate using culture and arts. Corporate Mecenat has two sides as active side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hieving social responsibility of corporate and business strategy side as profit seeking to positively extend market. The support activities of culture and arts will be on the increase as the capitalist society has been developing, and the importance of culture has been highlighted. And Corporate Mecenat will be regarded as one of the strategic policies that corporate should make steady progress toward in the future. In this research, corporate Mecenat affects positively to the formation of brand assets and purchase intent through document research and proof study. And This result presents corporate Mecenat can be a useful tool of marketing activity through continuous and long-term pl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