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예술경영학과의 교육과정 비교연구 : 한국과 영국·미국대학을 중심으로

        신은경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71

        The history of the art management is not that long. The art management that is supposed to be newly- born and fused study has only 50 years of global history. The improvement of private life standard begun from capitalism increased the role of cultural art and locally, nationally, internationally and world-widely, the social and economic profits from such an enlarged cultural art field may give birth to the concept of art management and paradigm. Because art management, compared with the other studies, owns comparatively short history, we can say it seems nascent research on the incalculable spectrum. Moreover, after the introduction into Korea, it has not passed over 30 years. Nevertheless, What is the reason that the various kinds of art organizations emerged rapidly and swiftly without special grounds? The question is the starting point of this thesis. The most important role is to try to aim at causing consumers to meet most effectively with artists and artistic works. Likewise, art organizers mediate cultural contact between consumers and artists, between local community and nation. Meanwhile, since 1960 as Art management became a faculty, after having introduced administration into art area, centering on the advanced countries. Since art management clothed with academic colours was introduced into the Korean educational institutions, About 30 universities activated and utilized the undergraduate and postgraduate courses. I will try to research into the items as follows; Sorts of the preparation for the educational courses and the actual offering to the students in each university, so called, the living academy of instruction. The contents of the detailed curriculums. The difference between curriculums of foreign universities and those of Korean universities. The efficacy and value of that faculty. The careful probe into positive orientation for education after capturing on characteristics and direction of Korean universities through the analysis of each course. This thesis will put especial emphasis on history and curriculum of art management within Korean universities, the comparison of art management of Korean universities with that of universities in the U.S.A and U.K and the curriculum in art management of the famous foreign universities, in particular, stressing on the internship as the sharp difference both in the past and presence. With this, in prologue, I will try, in conclusion, to discov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art management and the future orientation of it. 자본주의에서 시작된 개인적 삶의 질 향상이 사회에서의 문화·예술의 역할을 증대시키고, 이처럼 확대된 문화의 영역은 지역적, 국가적, 세계적, 사회적, 경제적 이익을 창출함에 예술경영의 개념과 패러다임을 양산했다. 예술경영학의 역사는 그리 길지 않다. 예술과 경영이 합해진 세계적인 신생 융합 학문으로 여겨지는 예술경영학은 그 역사가 50년이 채 되지 않는다. 1960년대 이후 선진 국가들을 중심으로 예술경영이 탄생했고, 한국 대학에 도입된 지는 20여년 정도로 현재 학사·석사 과정으로 약 30개의 대학교에 설치 운영되고 있다. 이처럼 예술경영이 단 기간에 우후죽순으로 생겨난 이유가 무엇일까. 이 논문에서 비중있게 다뤄질 부분은 한국의 대학 내 예술경영학의 역사와 교육과정이며 그를 통해 결론에서 도출 할 것은 한국 예술경영학의 특징과 앞으로의 방향성 제시이다. 예술경영학이 우리나라 대학교 안에 예술경영이란 이름으로 석사과정에 공식적으로 생겨나기 시작한 때는 1990년대 후반으로 2000년대 초에 가장 많이 형성되었으며 지금까지도 매년 꾸준히 생겨나고 있다. 융합학문이라는 특징으로 다양한 장르의 단과대학 안에 편재되어 있으며 가장 많은 비율의 단과대는 28개 대학 중 11개인 문화예술대학(주로 석사과정), 8개의 예술대학(주로 학사과정)이다. 학사는 예술전공 위주의 교과편색을 드러냈으며, 석사에서는 학과 간 연계과정 대학을 따로 운영됨으로 각 학과간의 상호연계성을 강화한 다양한 분야의 예술경영 수업이 진행되었다. 이처럼 학교 간 일반 교과 항목의 차이는 크게 없으나, 학과별 장르의 특성이 존재했다. 장르의 구분을 통해 예술경영의 영역을 분명히 알 수 있게 했는데 그 내용인 교육과정을 비교분석하기 위해 미국의 예술행정교육자협회(Association of Arts Administration Educators: 이하 AAAE)의 대학원 표준 커리큘럼을 도구로 사용하였으며 비교국은 예술경영선진국이자 출발지인 미국과 영국이다. 영국, 미국의 대학과의 비교에서 가장 큰 차이점은 인턴쉽이다. 대부분의 대학 필수 항목으로 사회 기업과 연계하여 운영실무와 현장경험을 쌓을 수 있게 구체적 내용과 기간이 명시되어 있었다. 그에 비해 우리나라의 인텁쉽 교과과정은 28개 학교 중 9개에 불과했으며, 규격화 되어있지 않고 뚜렷한 방법도 제시하고 있지 않음으로 보아 과목제도 도입은 이루어졌으나 아직 정착되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대학은 인턴쉽의 체계를 재정비하고, 국가·산업관 연계 강화로 학부와 실무와의 연계성의 해결점을 찾아야 한다. 결론적으로 새로운 융합학문 형태인 예술경영학의 근본 목적은 양질의 컨텐츠 연구와 현장에서 필요한 예술경영인력을 충족시키는 것이다. 그를 위해서는 첫째, 전문적인 예술경영을 위한 인재를 양성해내기 위한 핵심 활동 중 하나로 대학의 전공 설치와 연구를 꾸준히 확대해 나가야한다. 둘째, 학문적인 예술경영의 형태인 ‘문화콘텐츠’가 양질의 컨텐츠 연구를 이룸과 동시에 산업적인 소득 창출의 예술경영이 합일점을 이루는 통합 교과과정이 필요하다. 셋째, 효과적·생산적 경영을 위한 정책·학술 연구가 각 학교와 기관에 활발하게 이루어져야한다. 넷째, 문화체육관광부나 산하 공공기관에서 지원하는 문화예술 기획경영 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들을 학교 내에서 강화하며 그것을 체화하기 위해 국내 예술현장에서 현장에 바로 투입할 수 있는 실무역량을 배양하는 인턴쉽이 필요하다. 필자는 이 논문을 통해 예술경영을 크게 세 단계로 분류할 수 있었다. 첫 번째는 문화컨텐츠라는 ‘예술경영 재료’로써의 준비, 두 번째는 순수예술과 대중예술의 직접적 ‘실행 단계의 예술경영’과, 세 번째는 예술경영행정이란 ‘제도의 정립’이다. 위의 내용처럼 대학 내에서 이 세 단계(예술의 재료, 경영, 제도)에 합당한 학과의 적절한 증설이 필요하며 재료와 경영의 소득창출을 위한 교과목의 다양화와 학과간, 대학간, 기관 간 학술간의 연계가 중요하며, 정부의 예술 기관을 연계하여 인턴쉽을 강화하는 교과목 프로그램 강화 운영의 확대가 필요한 시점이라 볼 수 있다.

      • 교육대학원 교과과정과 교사임용고사와의 상관성 연구 : 중등 미술과를 중심으로

        박소미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71

        This study is abou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for secondary school and the curriculums of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This study considers strengths and problems, which the curriculums of fiv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have and suggests an improvement plan by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urriculums of fiv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that were selec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rt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for secondary school and the third phase evaluation of teacher training institutes from 2012 to 2015.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educational satisfaction of students at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provide helpful data as a systematic foundation for future curriculum revision. The analysis result of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questions shows that the curriculums of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enrich the substance, based on a deep understanding, not fragmentary knowledge. The classes, which integrate theory and practice, improve efficiency of understanding and education of each subject. Moreover, education with pre-service teachers and many professional art teachers provides a variety of educational experience. However, the major subjects included in the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are not offered in the curriculums, the similar names of the subjects in the curriculums are little ambiguous, or the number of the subjects in the curriculums is small and they are concentrated in particular domains. For this reason, the choice of students is limited. On the basis of this finding, this study throws out the following suggestion to improv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urriculums of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and the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For equal course organization, at least 1 to 2 subjects should be added to the major subjects included in the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based on the current curriculum of each school. If there is a shortage of students attending new courses, there is a need to connect students to undergraduate lectures flexibly rather than developing new courses for keeping balance among the courses.

      • 대학도서관 여성학장서 연구 : 부산대학교 도서관과 부산여자대학교 도서관을 중심으로

        오영아 부산대학교 대학원 1995 국내석사

        RANK : 248655

        This study's purpose is aimed to escape from the underdeveloped Korea university library collection. In order to achieve well-developed collection, We must consider that University Library's Collection is the basis to support the whole university process and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is designed to be unified this research and studying course. The case choose for research is Women's Studies Collection of Pusan National University Library and Pusan Women's University Library. The findings resulted in investigation of Women's collection problem is as followed : 1. There is a lack of Knowledge about women's collection development. at between library staff and user. - This is a big trouble to develop women's collection. 2. Insufficient collection and low quality 3. So many Anti-Women's studies materials To get rid of the cause that make the poor and alienated state of the women's studies collection, The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in this study is designed as follows : 1. The librarian should develop the women's studies collection to be collected comprehensively 2. To remove the anti-women's studies materials, so that raise the level of the women's studies collection 3. The women's studies collection should support diverse subjects of women's studies, not just a few subject areas. 4. The collection development librarian should acquire various selection tools, and offer them to the faculty in time. 5. To collect all kind of materials that agency of Korea Women's development produce.

      • 부산국제무용제와 지역 전통춤의 상호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류권홍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39

        부산국제무용제와 지역 전통춤의 상호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류 권 홍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공연예술교육전공 (지도교수 이 유 리) 본 연구는 부산국제무용제와 지역 전통춤 간의 상호 발전 가능성을 탐구하고, 이를 통해 지역 전통춤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 연구와 전문가 심층 면담을 통해 부산국제무용 제와 지역 전통춤들의 현황을 분석하고, 이들 간의 상호작용을 심도 있게 분석하 였다. 연구 결과, 부산국제무용제는 국제적 문화 교류의 중요한 플랫폼으로 자리 잡았으나, 지역 전통춤과의 유기적인 연계가 미흡한 상태임을 확인하였다. 이는 무용제의 운영 시스템과 조직 위원들의 인식 문제에서 기인하며, 전통춤 수행자들 의 소극적인 태도 또한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하겠다. 또한, 지역 전 통춤의 활용은 무용제의 독창성과 차별성을 강화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부산국제무용제에서 지역 전통춤을 창조적으로 재해 석하여 주요 프로그램에 포함하는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지역 문화의 특수성과 독창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음을 밝히고 있다. 나아가 본 연구는 부산국제무용제와 부산의 전통춤 간의 상호 발전적인 관계를 구축하는 데 기여하 고, 지역 문화 발전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기반을 마련하기를 기대한다. * 키워드 : 부산국제무용제, 지역 전통춤, 지역축제, 미메시스 * 이 논문은 2024년 8월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석사 학위논문임.

      • 부산지역 대학무용단체의 역사와 하야로비현대무용단의 조직과 활동

        조현영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5 국내석사

        RANK : 248639

        무용은 1920년 미국 위스콘신대학에서 무용을 본격적으로 연구하고 교육하기 시작하면서 학문영역으로 정착하게 되었다. 무용예술이 독립적인 예술장르로 자리잡은 데는 대학의 무용교육이 큰 영향을 미쳤다. 1963년 이화여자대학교 무용과가 설치되면서 한국에서도 대학에서의 무용교육이 이루어졌다. 이를 기반으로 1975년 설립한 한국컨템포러리무용단은 한국무용계의 질적 성장과 무용공연의 양적 확대를 이끌었다. 부산에서는 1979년 부산여자대학교(현 신라대학교)를 시작으로 독립된 무용(학)과가 개설되기 시작했다. 1980년 한국컨템포러리무용단 출신의 하정애가 부산여자대학교 현대무용 전공 교수로 부임하면서 1985년 하야로비현대무용단을 창단하였다. 부산에서 처음으로 생긴 대학무용단체다. 이 논문에서는 1980대부터 1990년대 후반까지 부산지역 대학을 중심으로 설립된 무용단체들의 활동을 살펴보고, 이들 대학무용단체의 활동을 기반으로 이루어진 부산 무용예술의 발전 양상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하야로비현대무용단의 활동 현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작품활동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하야로비현대무용단은 현대사회의 다양한 문제를 무용예술의 주제로 과감하게 채택하고 실험적 안무를 통해 무용의 현대성을 추구했다. 이러한 주제의식을 효과적으로 드러내기 위하여 무용작품에 스토리 기반의 드라마성을 부여하고, 무대장치와 조명, 음악을 적절하게 활용하는 전략을 취했다. 또한 객원 안무자를 영입하여 끊임없이 다양하고 실험적인 작품에 도전했다. 이러한 활동은 관객과 평단, 언론의 관심을 이끌면서 부산지역 현대무용의 가능성을 확인하도록 만들었다. 연극과 현대미술 등 인접 예술장르와의 협업에도 적극적이었으며, 한국 전통무용이 담고 있는 한국적 정서의 현대화에도 관심을 둠으로써 부산지역 현대무용의 영역을 확장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하야로비현대무용단의 존재는 대학의 울타리를 넘어 지역의 젊은 무용인들이 자연스럽게 집결하는 플랫폼으로 기능하기도 했다. 하야로비현대무용단을 통해 1980년대부터 1990년대 후반까지 부산지역 대학무용단체의 활동이 지역의 무용예술 발전에 끼친 영향과 활동 의의를 새롭게 규명할 수 있었다. 먼저, 부산지역 대학무용단체의 활동은 단순한 공연예술 활동을 넘어서 지역성의 창의적 변용, 지역사회와의 소통, 무용예술의 사회적 가치를 확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는 점에서 무용사적 의의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대학교육이 공연예술 현장의 발전으로 긴밀하게 연결된다는 사실을 보여줌으로써 대학무용의 활성화 여부가 부산무용계 전체의 유지와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지역의 대학무용단체 활동의 성과는 지역의 예술사회가 처한 환경 속에서 생겨나고 발전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부산 대학무용단체 연구는 부산 무용예술의 흐름을 이해하고 부산무용사를 더욱 풍부하게 구성하는 근거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무시할 수 없다. 이 연구를 계기로 1980년대 이후 부산지역 여러 대학에서 결성된 무용단체의 활동을 실증적으로 고찰하는 연구가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 치과의료기관 접근성에 따른 부산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의 신환 분포

        이해나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의료를 필요로 하는 사람들은 불균등하게 분포하고 있기 때문에 의료이용의 공간적 접근성을 평가하는 것은 중요하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부산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신환을 대상으로 치과의료기관에 대한 접근성을 분석하여 이에 따른 신환 분포의 차이를 조사하는 것이다. 2020년에 부산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부산 및 경남 지역의 신환을 대상으로 전자의무기록을 이용하여 연령, 성별, 거주지, 초진 시 주소(Chief complaint), 내원 경로, 의과적 병력 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였다. 신환의 거주지에서 가장 가까운 치과의원, 소아전문 치과의원 및 부산대학교 치과병원과의 거리에 측정하여 이에 따른 환자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의료기관 접근성 평가를 위해 거주지에서 치과의료기관까지의 거리를 10 km를 단위로 분류하였고, 소아치과의원의 경우 10 km 내 의원 유무도 분류하였다. 신환의 거주지와 부산대학교 치과병원 사이의 거리가 증가할수록 치아우식을 주소로 내원하는 환자의 비율이 감소하였고, 교정치료를 주소로 내원하는 환자의 비율이 증가하였다. 치아 우식이 주소인 환자는 부산대학교 치과병원과의 거리가 10 km 이내일 때 27.9%를 차지하였고, 30 km 이상일 때 20.5%를 차지하였다. 교정치료가 주소인 환자는 거리가 10 km 이내일 때 25.4%를 차지하였고, 30 km 이상일 때 27.3%를 차지하였다. 외과적 치료를 주소로 내원하는 환자는 거리가 10 km 이상인 경우 약 33%의 일정한 비율로 유지되었다. 환자의 거주지 반경 10 km 이내에 소아치과의원이 없는 경우에서 치아 우식을 주소로 내원하는 환자가 28.6%로 있는 경우의 22.9%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부산 및 경남 지역의 치과의료기관의 분포를 파악하고, 지리적 접근성에 따라 의료기관별 내원하는 환자의 비율이 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번 연구는 소아치과에 내원하는 환자들의 물리적, 지리적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효성 있는 진료 대책을 수립하는 데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지상 대기질 측정 자료를 이용한 대도시 2차 먼지 생성량 추정

        김지아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Recently fine particle concentrations are generally regarded as one of the most concerns in most urban area in Korea.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n analysis of the PM10 (Particulate Matter with aerodynamic Diameter ≤10㎛) concentrations in Busan in terms of the secondary aerosol formation. The interpretation of secondary PM10 from the observations is performed from both hourly monitored concentrations of PM10 in Busan and LPC(Laser Particle Counter) data obtained at Pusan National University, and the characteristics of secondary generated PM10 concentration was presented in accordance with the following three subsections. 1) Time variations (i.e., diurnal, weekly, monthly, and annual variations) from hourly observed concentrations of PM10 in Busan are analyzed for the period from 2000 to 2005, and the characteristics of aerosol second generation formation process is also inferrer from using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meteorological variables including temperature, wind speed, and relative humidity. 2) Particle volume and mass concentrations was calculated from LPC data obtained in Pusan National University, and analysis of size distribution is interpreted from the aspect of secondary aerosol formation. 3) Secondary PM10 concentrations and their diurnal variations was estimated in different photochemical activities from the observations of PM10, CO, and O3 concentrations obtained for the period from 2000 to 2006. The result of variations shows some significant annual, seasonal, weekly and diurnal variations of PM10 concentrations. In particular, seasonal (i.e., spring season) variations are found to be governed by frequency of yellow sand events. In addition, seasonal variation is closely related to the precipitation, and weekly and diurnal variations are both reflecting the emission patterns. The correlation between PM10 concentration and meterological variables for non-yellow sand days show negative with visibility, wind speed, cloud amounts, and relative humidity, but positive correlation are found with relative humidity even for non-precipitation days. This is suggestive of the importance of secondary aerosol formation achieved by both homogeneous aerosol formation and heterogeneous transformations resulting from hygroscopic aerosol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analysis from LPC data show that 1) number distributions predominate in separated three distribution modes with the highest range of 0.3㎛ to 0.4㎛, 2) volume distribution with the highest value at about 3~4㎛, showing the dominant characteristics of oceanic aerosols size distribution presumably due to the sea salt particles. In comparison with the concentration distribution between summer vs. autumn, summer shows relatively higher than autumn by almost a factor of 2, implying that the secondary aerosol formation through photochemical reactions was largely contributed to the increasing aerosol concentrations. Finally, in order to estimate the secondary PM10 concentrations at different photochemical activities from the observed PM10, CO, and O3 concentrations in Seoul and Busan for the period from 2000 to 2006, the photochemical activities was classified into three regimes on a daily basis, based on the difference in measured ozone concentration(i.e., maximum minus minimum; ΔO3,max-min) and the integral insolation (∫downward radiation) during the daytime. The ratio of CO vs. PM10 obtained at low photochemical activity regime was employed as an index of tracer for the isolation of the secondary PM10 at higher photochemical activity regimes. The results show that the estimated secondary PM10 concentrations for each of the two or three regimes according to bothΔO3,max-min and ∫downward radiation: (regime Ⅰ,ⅰ) - weak photochemical activity in Seoul and Busan, (regime II,ⅱ) - modern photochemical activity, respectively in Seoul, and Busan, and (regime Ⅲ, ⅲ) - strong activated photochemical activity in Seoul and Busan, respectively. The secondary generation PM10 is accounting for 22.2%~30.3% and 21.6%~29.1% of the total PM10 mass concentration in Seoul and Busan, respectively. Diurnal variation of secondary PM10 shows weak but noticeable patterns for the moderate photochemical regime under the photochemical range of regime I(or ⅰ) and II(or ⅱ). However, the highly activated photochemical regime (regime III, ⅲ) in Seoul shows strong diurnal variations of secondary PM10 concentrations with the high values in the afternoon. This is implying the importance of photochemical reaction and its contribution to the formation of secondary aerosol in both Seoul and Busan.

      • 사학자의 정보요구와 이용에 관한 연구 : 부산대학교 연구자를 대상으로

        박윤경 부산대학교 일반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study examines historians´ needs and uses of information. The subject is confined to historians of Pusan National University(PNU). It analyzes how they satisfy their need of information and how the university library should serve their research. To be more specific,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faculty members of the History Department and History Education Department as well as Ph.D candidates and part-time lecturers. Historians favor data-centered research. It means that to discover and collect data is very important in the history research. In the case of the History Department of PNU, its department library is used very actively. This study examines how its department library has an effect on history researcher´ demand and use of information and how it is related to the university library. This study´s ultimate goals are to analyze researcher´s demands and uses of information on the basis of their various experien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methods to help support historian´s research as follows. (1) To make sure that the university library performs its proper function, the systematic development of a data collection process for supporting historian´s research is needed and can be done by examining in detail users needs. (2) Library service should include education and advertisement (3)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ystem in which history researchers use data personally and so obtain the data immediately. (4) To give users easy access to data through various and specialized list is as important as its collection.. (5) It is necessary to utilize the classical library more actively through organizing the classification and system of old books which belong to the university library and making a list of it. (6) Extension of library facilities is necessary. (7) Librarian should become more service oriented.

      • 부산대학로 청년문화지구 조성 방안 연구

        박승빈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부산대학로는 부산광역시 금정구 장전동에 위치하고 있으며, 관내에 있는 4개 대학교(부산대학교ㆍ부산가톨릭대학교ㆍ부산외국어대학교ㆍ대동대학교)의 학생들. 3개의 공공기관(금정구청ㆍ(재)금정문화재단ㆍ(재)부산정보산업진흥원)에서 운영하는 4개의 문화시설(금정예술공연지원센터ㆍ부산 음악창작소ㆍ부산 콘텐츠 코리아 랩 금정서브센터ㆍ부산 청년창조발전소 꿈터플러스)가 집중되어 있다. 현재 상황을 바탕으로 본 논문은 문화지구의 제도적 근거 및 국내 문화지구 조성사례를 살펴보고, 국내외 청년문화 지원 및 공간 운영사례를 조사하였다. 또한 현재 지역의 청년문화 현황 분석을 통해 지속 가능한 청년문화지구 조성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지역 청년들의 도시 이탈 현상을 방지하고 지역문화예술 진흥을 도모하는 한편, 청년들의 다양한 실험과 창의적 활동을 장려하는 지역으로서 부산대학로가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또한 다양한 방안들을 제시함으로서 지속발전 가능한 시스템구축을 통해 청년문화에 특화되어있고, 지역을 대표하는 특화된 청년문화지구를 조성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부산대학로 청년문화지구 가능성에 대해 아래의 결과들을 도출해 낼 수 있었다. 첫째, 부산대학로는 지역 청년들이 활동할 수 있는 가능성을 이미 갖추고 있다. 둘째, 부산대학로는 청년들을 위한 다양한 문화 인프라 시설이 위치하고 있으며, 이러한 공간들을 기반으로 청년문화지구를 조성할 수 있다. 셋째, 부산대학로는 한국을 대표할 수 있는 청년에 특화된 문화지구로서의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부산대학로 청년문화지구 조성 방안을 연구하였고, 지속적인 지원 정책 마련과 문제적 인식을 통하여 청년들을 위한 문화지구로서, 부산을 대표하는 문화중심지로서 자리매김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地域社會에 있어서 大學의 役割 : 부산대학교의 자원활용을 중심으로

        차정현 釜山大學校 行政大學院 1996 국내석사

        RANK : 248639

        Community Development puts an emphasis on improving the values of human life as well as promoting the economic growth of the community per se. Since the community is a basis of human life for its residents it is desirable to achieve a balanced development and spiritual enhancement. Of a variety of community functions, the universities located in a community should be one of the key organizations in serving this development goal. As a mater of fact, universities these days are requested to have a share in social services and to pay a serious attention to the community affair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a way for the efficient management of university resources be it human or physical, in order to strengthen its function of social services towards the community development. The findings are in the following. First, for the university to meet the community residents' needs and perform the service function, university facilities such as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should be open to public any time unless classes are interrupted and to do this, there should be administrative and systematic support from the university and collegians' understanding towards this goal should change as well. Second, the university should make solving the community problems as its research project, heighten the community's self-confidence by producing the knowledge the community wants and saving it and strengthen the tie between the community and university by making them believe they, too, are the hosts of the university. Third, the university should develop an adult education program which focuses on changing residents thinking positively and carry out the social education by adjusting to its peculiarity of the community. Fourth, the university should make its effort to give a chance for social education to everyone, not a few managers or directors only. Fifth, it is required of the university to make the contents of the program constituted beneficial for the residents' life, directly related to the community social development and substantially contributable to the development. Sixth, the university should hold a variety of experts and contribute to the social growth of the community by giving advice for the community growth planning and policy-making of the public organizations, business firms and various social organizations, basing upon the expertise and research results. Seventh, the university should take the leading role in bettering the current lifestyle of the community, provide a cultural space to the residents, satisfy the desire for knowledge, offer the up-to-date information and do a program for the people to lead a cultural life. The survey of this thesis was subjected to Pusan National University so it has its limit, however, I believe that the efficient utilization of the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of the university would help develop the community and furthermore the n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