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 중년 여성의 대학원 진학 동기와 적응에 관한 자문화기술지연구

        고재영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55

        이 연구는 어린 시절 가난으로 인해 학업을 중도에 포기할 수밖에 없었던 한 중년의 여성이 학업에 대한 열망과 자기 삶의 새로운 방향과 의미를 찾고자 하는 과정을 살펴보며, 중년 여성 대학원생들의 진학 동기와 적응 과정에 깊이를 더해 이해하고자 하였다. 대학원 교육은 학문적, 개인적, 전문적 성장을 촉진하는 플랫폼으로 다양한 연령대와 배경을 가진 학습자들에게 중요한 기회를 제공한다. 특히, 중년 여성 대학원생들의 교육적 여정은 그들의 자아실현과 개인적 성장 목표에 깊게 연결되어 있으며, 이는 단순한 지식의 습득을 넘어 개인적 변화와 발전으로 이어진다. 이 연구에서는 한 중년 여성의 대학원 진학에 대한 동기와 적응에 관한 과정을 연구자의 개인적인 경험을 통해 깊이 있게 분석하였다. 이에 중년의 나이에 대학원에 진학하고자 하는 여성들에게 실제적인 도움을 주고자 연구자의 경험을 사실적으로 기술하고, 주관적인 생각이나 감정을 솔직하게, 사회적 맥락과 배경 안에서 분석하고 해석하는 글쓰기를 하였고, 연구 방법으로는 질적연구방법 중의 하나인 자문화기술지라는 방법을 통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상황을 기술하였다. 자료 수집은 주로 연구자의 기억회상 자료나 성찰 일기를 중심으로 하였다. 특히 성찰 일기는 정확한 날짜까지 기록되어 있어 연구의 정당성을 높일 수 있었다. 연구 결과, 연구자가 중년의 나이에 대학원에 진학하게 된 가장 큰 동기는 가난한 가정환경을 창피하게 생각하고 나의 처지를 타인과 비교하며 학업을 중단해야 했던 경험으로 인해 형성된 열등감을 극복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이는 학문적 성취를 통한 자아실현과 성장 욕구에서 비롯되었으며, 직장에서의 학력 차별과 사회적 인정에 대한 욕구 또한 중요한 동기로 작용하였다. 대학원 생활은 새로운 도전과 적응의 연속이었다. 처음에는 높은 기대와 설렘이 있었지만, 곧 복잡한 학문적 요구와 높은 수준의 학습 환경 속에서 학업적, 심리적 적응의 어려움을 직면하게 되었다. 이에 연구자는 반복적인 예습과 복습을 통해 학습에 더 많은 시간을 투자하고, 성실하게 학업을 수행하며 학업 성취도를 높일 수 있었다. 이러한 노력 덕분에 자신감을 키우고, 대학원 생활에 적응할 수 있었다. 또한, 연구자는 가족과 동기, 교수님으로부터 받은 사회적 지지가 큰 도움이 되었다. 이들의 지지는 자아개념과 자신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학업적, 심리적 어려움을 극복하는 원동력이 되었다. 연구자가 중년의 나이에 대학원에 진학한 동기가 비록 학력에 대한 열등감에서 시작하였지만, 자신을 되돌아보고 자존감과 자신감을 회복하는 의미 있는 과정임을 깨달았다. 결코 쉽지 않았던 학문적 도전은 학업 성취를 통해 열등감을 극복하게 하였으며, 자신의 잠재력을 발견하며 다양한 도전과 변화를 긍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이 연구는 중년 여성들의 대학원 진학과 적응을 도울 수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고, 그들의 학업적 성공과 개인 성장 발전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This study examines how a middle-aged woman who had to abandon her academic pursuits in childhood due to poverty finds new aspirations and meaning in her life through graduate school. This study also aims to deepen understanding of the motivations for pursuing graduate education and the adaptation processes of middle-aged women graduate students. Graduate education provides a platform for academic, personal, and professional growth, offering significant opportunities for learners of diverse ages and backgrounds. In particular, the educational journey of middle-aged women graduate students is deeply connected to their self-actualization and personal growth goals, leading to personal transformation and development beyond mere knowledge acquisition. To broaden and deepen the understanding of what learning means to middle-aged women, this study explores the motivations and adaptation processes of one middle-aged woman's pursuit of graduate studies through the researcher's own experiences. In this study, auto-ethnography,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that captures the progression of experiences in depth, was applied. Data collection was mainly focused on the researcher's reflective diary entries written over the last two and a half years of her graduate school life. By documenting the experiences factually and expressing subjective thoughts and emotions candidly, the authenticity of the study could be enhance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in the social context to which the subject of this study belongs. The findings provide practical insights for women seeking to pursue graduate studies later in life. The primary motivation for the researcher to pursue graduate studies in her middle age stemmed from a sense of inferiority due to past experiences of abandoning academic pursuits due to poverty. Graduate school life is a continuous series of new challenges and adaptations. At the beginning of her study, there were high expectations and excitement, but soon, she faced the complexities of academic demands and the difficulties of psychological adjustment in a high-level learning environment. Rather than avoiding the situation, she confronted it and invested more time in learning through repeated preparation and review, diligently performing academic tasks. This effort led her to improve her academic performance and adapt to graduate school life. Furthermore, support from family, peers, and professors in graduate school played a crucial role. The support positively influenced the enhancement of the researcher's self-perception and confidence and became one of the key driving forces for overcoming academic and psychological challenges. Through the experience of facing educational discrimination in the workplace and a need for social recognition, her desire for self-actualization and growth through academic achievement was accomplished. This study offers deep insights into confronting and overcoming a sense of inferiority held for a long time. The academic challenges, which were hard to pass through, helped her in overcoming the sense of inferiority by offering the experience of academic achievement. In addition, the whole journey of the learning experience provided opportunities to discover her potential and self-perception that positively react to various challenges and changes. Although the initial motivation for pursuing graduate studies was mainly rooted in a sense of inferiority about her educational background, it became a meaningful process of self-reflection, rediscovery, and restoration of self-esteem.

      • 앱을 활용한 인성교육 기반 초등 진로 교육 연구

        최재부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39

        앱을 활용한 인성교육 기반 초등 진로 교육 연구 최 재 부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윤리교육 전공 (지도교수 김 근 호) 본 연구는 코로나19 시기 비대면 교육으로 인한 인성교육과 진로교육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코로나19 시기 비 대면 교육이 교과중심으로 이루어지며 인성교육과 진로교육은 축소되거나 형식적인 교육에 그쳤다. 또한, 인성교육과 진로교육이 일부 공통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 성교육과 연계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미비하다. 그리고 초중고 학생 들에게 1인 1 기기가 보급되고 있음에도 학생들이 활용할 수 있는 진로교육 앱이 부족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분석하고, 인성교육과 진로교육의 연계를 통한 효과 적인 진로교육 방법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수행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 는 인성교육과 진로교육의 개념을 바탕으로 두 교육의 관련성을 밝히고, 인성교육 과 진로교육에서 ‘자존감’과 ‘공동체 의식’이 어떤 관련이 있는지 살펴보며 인성교육 기반 진로교육의 필요성을 밝힌다. 또한 국내 진로교육 현황을 살펴보며 진로 연계 교육과 앱 활용 교육이 필요함을 확인한다. 이를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학생들이 ‘자존감’을 기르고,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며 다양한 직업과 분야를 경험할 수 있도 록 인성 기반 진로 교육 앱을 개발하고 교수 학습과정안을 만들어 수업에 활용한 과정을 소개한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초등학교 6학년 1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 방법은 앱을 활용한 수업 중 학습지, 설문조사, 참여 관찰 을 활용하고 효과성 검증을 위해 통계분석을 하였다. 연구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 한 자존감 측정 방법으로 Rosenberg(1965)가 개발한 자존감 척도를 이훈진과 원호 택이 번안한 한국판 척도 10문항을 사용하였다. 이 척도는 긍정적 자존감 5문항과 부정적 자존감 5문항으로 전체 1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Likert식 5점 평정을 따르고 있다. 측정 결과 분석을 위해 IBM SPSSStatistics27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 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측정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α계수를 산출하였다. 둘째, 표본이 N≤30 이므로 정규분포의 검증을 위해 정규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셋째, 실험군의 앱 활용 전과 후의 자아존중감 척도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인성교육과 진로교육은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인성교육을 바탕으로 한 진로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자신의 적성과 가 치관을 바르게 이해하고, 진로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하며, 자존감을 향상하 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다른 사람과 더불어 살아가는 삶의 중요성을 느끼 고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는 데 도움이 된다. 나아가 인성교육 기반 진로교육 앱 활용 교육은 학생들이 진로에 대한 정보를 탐색하고, 진로 계획을 수립하는 데 도 움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인성교육 기반 진로교육 앱의 개발이 필요하다. 연구의 제한점은 초등학생 6학년 1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소규모 연구라는 점이 다.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대상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다양한 학년과 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 여, 앱의 효과를 보다 종합적으로 검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인성교육과 진로교육의 연계를 통한 효과적인 진로교육 방법을 개발하 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의미가 있다. 이를 바탕으로 인성교육 기반 진로교육 앱의 개발과 보급이 이루어진다면, 초등학생들의 진로 설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끝으로 인성교육을 연계한 효과적인 진로교육 방법을 개발 하기 위한 연구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인성교육 기반 진로교육 앱의 개발과 보급이 필요하다. 주요어: 진로교육, 인성교육, 인성교육 연계 진로교육, 자존감, 공동체 의식, 앱 활용 교육 ※ 본 논문은 2024년 2월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다문화사회 구성원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편견과 변화에 관한 연구 - 국적과 종교를 중심으로

        홍석기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39

        다문화사회 구성원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편견과 변화에 관한 연구 - 국적과 종교를 중심으로 홍 석 기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다문화교육 전공 (지도교수 박 선 운) 본 연구는 다문화 구성원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생각을 살펴보고, 다문화 수업이 학생들의 편견 감소를 비롯한 다문화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는 것 에 목적이 있다. 초등학생이 갖는 편견의 경우 직접 경험한 불안함이나 공포보다는 소셜미디어를 비롯하여 여러 대중매체와 같은 외부적 요인에 의해 형성된다는 특징 이 있으며, 다양한 사회적 경험이 없는 초등학생이 외국인의 생김새에 대한 농담, 피부색에 대한 농담, 종교, 국적, 성 소수자에 대한 혐오 표현을 스스럼없이 하는 경우가 있다. 초등학생 시기에 무의식적으로 뿌리내린 편견은 사춘기를 지나 성인 기로 접어들면서 지속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초등학교에서 학생들이 지닌 편견의 양상과 원인을 살펴보고 적절한 교육을 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필요성에 기반하여 본 연구에서는 충청북도 청주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6학년 학생 21명을 대상으로 포토보이스 연구 방법과 다문화 수업을 연계 한 6차시의 프로젝트 수업을 진행하였다. 먼저, 포토보이스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한국인, 외국인, 이슬람교 및 무슬림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생각과 감정을 살펴보았 으며 그 속에 녹아있는 편견을 찾아보았다. 이어 학생들의 편견 감소 및 다문화 인 식 함양을 위한 다문화 수업이 진행되었으며 학생들의 변화된 생각을 포토보이스 방법을 활용하여 다시 확인하는 과정을 거쳤다. 포토보이스 연구 방법을 통해 살펴본 다문화 구성원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생각 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초등학생들은 한국인의 특성을 구분하는데 생활‧문화적 요소를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그러나 이의 근저에는 한국인으로서 지녀야 할 법‧제 도적 요소와 생물학적 요소를 강조하고 있는 학생들의 생각이 기반이 되고 있었다. 이러한 생각은 다문화 수업 후 한국의 역사와 전통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바뀌었다. 둘째, 초등학생들은 외국인의 특성으로 미국인으로 대표되는 서구 백인의 이미 지를 제시하였다. 영어를 사용하고 햄버거와 같은 음식을 즐기며 이국적인 외모를 가진 존재라고 생각하였다. 다문화 수업 후 초등학생들은 외국인의 다양성을 인정 하는 생각을 드러내었으나 남학생의 경우에는 아직 인종적 편견을 드러내었다. 셋째, 이슬람교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생각과 감정은 기쁨, 놀라움, 무관심, 회 의적인 시각으로 드러났으나 이슬람교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나 지식은 나타나지 않 았다. 이는 이슬람교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배경지식이 부족한 것이라고 추론되었다 다문화 수업 후 초등학생들은 한국 사회의 무슬림을 이웃으로 받아들이고 그들의 아픔과 고통에 공감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 교육을 위해 향후 초등학교에서 어떠한 변화가 필요한지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첫째, 다양한 다문화 경험이 필요하 다. 정치, 지리, 경제적 경계를 뛰어넘어 다양한 문화에 대해 올바른 정보를 바탕 으로 배우고 공부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 내에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제2외국어로 서 영어만을 강조하는 학교 교육과정에도 개선이 필요하다. 다양한 외국어 교육을 비롯하여 영어가 세계 여러 나라 사람들과의 대화를 위한 도구라는 점을 강조할 필 요가 있다. 셋째, 초등학생들에게 이슬람을 비롯한 다양한 종교, 문화적 배경을 가 르칠 수 있도록 교육과정 내용을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 다양한 종교에 대해서 배 울 수 있는 다문화 교육이 이루어진다면 청소년기 시절에 형성되는 잘못된 정보로 인한 편견이나 차별에 대항하고 올바른 다문화 의식을 함양할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다문화 인식, 다문화 구성원, 한국인, 외국인, 이슬람, 편견, 다문화 교 육 홍석기 다문화교육전공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본 논문은 2024년 2월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어휘 높임방법 교육방안 연구

        책우맥 청주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높임법의 개념, 기능 및 체계를 살펴보고 어휘 높임방법을 중심으로 어휘 높임방법의 실현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한국어를 배우는 중국인 학습자들의 어휘 높임방법 사용 양상 및 쉽게 범하게 되는 오류들을 알아 볼 것이다. 성균관대학교, 서울대학교, 건국대학교, 경희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의 한국어 교재 속의 어휘 높임방법의 내용 및 사용빈도, 교육 방법이 중국인 학습자들이 학습하기에 알맞은지, 부족한 것은 무엇인지 등을 분석해 보고 이러한 연구들을 바탕으로 중급 수준에 맞는 효과적인 어휘 높임방법 지도방안을 찾아볼 것이다. 그리고 학습자들이 오류를 극복하고 어휘 높임방법을 적절하게 사용하여 원활한 의사소통을 할 수 있게 도와주고자 한다.

      • 로봇교육이 ADHD아동의 문제행동과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

        이진향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23

        논 문 요 약 로봇교육이 ADHD아동의 문제행동과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 이 진 향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실과교육 전공 (지도교수 남 현 욱) 본 연구의 목적은 주의집중 과잉행동 장애를 가진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로봇 교육활동이 학생들의 문제행동과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을 임상 전문가, 학생, 교사의 측면에서 살펴봄으로써 ADHD 아동의 치료가 특수교육 외에 로봇 교육활동을 통해서도 문제행동을 개선하고 주의집중력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한 가능성을 검증 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ADHD아동으로 판정되었거나 담임교사가 추천한 4-6학년 학생 8명을 학부모의 동의를 얻어 선정하였다. 토요 방과 후 로봇 교실을 조직하여 주 1회 10차시를 지도하였으며 로봇교육활동의 효과를 살펴보고 다각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임상전문가에 의한 주의산만도 측정, 교사에 의한 ADHD 평정척도(CTRS-R), 아동의 주의집중력 검사 도구(ADS)를 활용하여 자료를 얻었으며, 그 자료를 분석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임상전문가에 의한 행동관찰 측정 결과는 ADHD 아동의 주의산만 행동이 지도회수가 증가 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이 있어 주의집중력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교사의 주의력결핍 평정척도(CTRS-R) 검사를 로봇 교육 프로그램 적용 전, 후에 조사한 결과, 교실에서 아동의 주의집중력이 향상되었다. 셋째, 아동의 주의력 장애 진단시스템(ADS)을 통하여 보다 객관적으로 아동의 주의 집중력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로봇 교육활동은 ADHD 학생들의 주의집중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로봇 교육활동의 다양한 교육적 효과를 제시한 것이다. ABSTRACT The Effect of the Robot Education on the Behavioral Problems and Attention of ADHD Children Lee Jin Hyang Major in Practical Arts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e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upervised by Professor Nam, Hyun-wook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arget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in elementary students using operational design in robots. The study focused on the improvement of concentration in students with ADHD using a robot building program. The effects were judged by clinical professionals, students and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evaluate the potential for this program to improve concentration in ADHD students. The students in this study of ADHD were selected by homeroom teachers and doctors after careful consideration. The student's grades ranged from grade four to six. Each student's parents also consented to the study. The study was performed over ten Saturday after-school periods. The study utilized various observers to measure the results of the student. This included clinical professionals, homeroom teachers, and the students themselves.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se observations,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made. First, through the observation of clinical professionals, the program resulted in the improvement of student's attentiveness. Second, the results from the previous and post analysis of the revised Conners Teacher Rating Scale (CTRS-R) measured the improvement of the ADHD student's attentiveness in the classroom. Third, the results from the ADHD Diagnostic System (ADS) showed that concentration had improved in ADHD students. This study presents that this robot program has been effective in the improvement of concentration in ADHD students. The robot program has proven that it has a variety of educational benefits present. * 본 논문은 2015년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시간부사 교육 방안 연구

        까오위엔 청주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23

        A Study on the Teaching Method of Korean Time adverb for the Korean Learners GaoYuan Department of Korea Language & Literature Graduate School, Cheongju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Lee Dong Seo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korean learners on learning time adverb and to have a deep recognition on time adverb. Make sure that can be using time adverb well when have a communication with others in korean. Now there is higher position on vocabulary education in the area of the korean education. Though learners know that vocabulary education is very important, they just know a little with system knowledge on vocabulary. So there will be a introduction of time adverb on system classification and there will be a study on the teaching method of time adverb by the analysis of the present korean textbooks on class now. Because the teachers not only mentioned time adverb little in the class but also learners pay little attention on time adverb usually. And they don't appear often as new words in the korean textbooks. so in oder to pay more attention on time adverb and have a deeper system recognition on time adverb I will prepare a teaching method of korean time adverb for learners. I hope that the teaching method can help the learners when have a korean proficiency test and have questions with time adverb. and make sure that can using well when have a communication with others in korean. The teaching method will introduce significance and grammar of time adverb and the system classification of time adverb. Now let me will introduce the content of research simply. In chapter 1 it clarifies the purpose, scope, and research method and previous studies. In chapter 2 here is a research on the theory with the study. At first this chapter investigate the meaning with time and time adverb. and choose the most appropriate meaning for the study. Then investigate the system classification with many scholars' theory on korean time and time adverb. In chapter 3 the analysis of the korean textbooks that now present 6 education departments had Published. it included yonsei university, seoul national university, sungkyunkwan university, ewha woman's university and konkuk university. At first I will make the contents of the korean time adverb for rank in all the textbooks and have a analysis with time adverbs that appeared in every kind of textbook and have a analysis about the similar points , different points, advantage and deficiencies among the kinds of the textbooks. And then have a analysis of practice in these textbooks. In chapter 4 it will introduce the curriculum model and the teaching method about the primary, intermediate, senior time adverb. The curriculum model include introduction, education process, practice, ending the 4 stages. In Chapter 5 sums up the above results and writes a brief summary.

      • ‘총체적 언어 접근법’ 기반의 한국어 기능 통합 교육 연구

        김보은 청주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8623

        This study aims to discuss the plans for integrated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function based on whole language approach to improve language ability of learners as a second language. For this purpose, Chapter 1 presented the purpose, method of study and organization of discussion, reviewed the preceding studies related to this and clarified what this study aimed for. Chapter 2 discussed the necessity of whole language approach in Korean education, concept and feature of ‘Whole Language Approach’, one of language learning theory closely related to this study. In addition, this study discussed the necessity of integrated education of language function integration in korean education, concept and feature of 'integrated education of language function. Chapter 3 examined the integrated aspects of language function focusing on teaching materials published by educational institutions in 6 universities, the main fields of Korean education. In particular, this study presented type of language function integration and tendency of language function integration in korean education focusing on ‘activity of language function’, ‘sequence of language’, and ‘integrity of language function’ Chapter 4 presented the learning model of the second language and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and expression processing from aspects of the second language acquisition. The learning model of the second language presented was reflected in the language activities per type of language function integration proposed by this study. This study finally proposed the optimal integration model of language function by actually applying the language activities pr type of language function integration presented by this study, of Korean learners in education in universities. Lastly, Chapter 5, conclusion, summarized the above contents, and concludes with comments on positive aspects of this study by mentioning tha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aise effectiveness of integrated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function based on ‘Whole Language Approach’; to contribute to development of stagnated language activity model in korean textbook, and to improve Korean ability of learners as the second language.

      • 창작표현활동 수업에 대한 인식 : 초등학교 교사를 중심으로

        김현정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23

        논 문 요 약 창작표현활동 수업에 대한 인식 - 초등학교 교사를 중심으로 - 김 현 정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체육교육 전공 ( 지도교수 서 예 원 )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창작표현활동에 대한 인식과 창작표현활동 수업에 대한 인식을 조사․분석하고, 그 과정에 참여한 교사들의 반성적 태도를 유발하며, 분석 결과를 토대로 초등학교 창작표현활동 수업의 내실화 및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여 창작표현활동 수업을 정상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김길원(2003)의 ‘초등학교 표현활동수업에서 개발한 설문내용’을 토대로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하고 전문가의 협의를 거쳐 연구도구를 완성하였다. 충청북도 내에 위치한 12개 초등학교의 교사 200명의 설문 자료를 수집하고 SPS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창작표현활동 수업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또한, 연구취지에 동의하여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작성한 교사 4명과의 심층면담을 통해 더욱 구체적인 자료를 수집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창작표현활동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을 교사관과 교육적 가치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대부분의 교사들은 창작표현활동이 무용인에 의해 행해지는 전문적인 예술활동이라고는 생각하지 않았으나, 창작표현활동을 수업하기에는 다소 부담감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작표현활동의 교육적 가치와 관련하여 대부분의 교사가 창작표현활동은 미래생활에 도움을 주는 활동으로 공간형성능력, 유연성 및 리듬감, 정서․창의성, 사회성, 감상능력의 향상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 창작표현활동 수업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교육과정, 수업 외적요인, 수업 내적요인의 세 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창작표현활동영역의 교육목표와 교육내용이 학년수준에 맞게 비교적 잘 제시되었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창작표현활동 영역의 수업시수가 부족하다고 생각하는 교사가 많았다. 또한, 시설․용구, 인원수와 같은 수업 외적요인에 대해 대부분의 교사들은 불만족스러운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수업에 대한 교사들의 지도능력에 소극적인 인식을 갖고 있었다. 다양한 지도 방법을 정확히 알지 못하며, 지도에 필요한 이론적 지식과 실기능력을 갖추고 있지 않은 것으로 생각하여 교육과정내의 표현활동 영역을 모두 충실히 지도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교 창작표현활동 수업의 내실화를 위한 방안을 교육과정, 수업 외적요인, 수업 내적요인의 세 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교육과정에 대해 대부분의 교사들은 표현활동의 가치를 경험할 수 있는 ‘창의적 표현능력 교육’ 중심의 교육과정을 선호했으며, ‘교사의 지도능력’이 창작표현활동 수업의 목표를 달성하는데 가장 중요한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또한, 90%이상의 교사들은 수업 외적요인의 방안으로 ‘체육관 및 무용실’의 설치와 ‘15명~20명’의 학급 인원수가 가장 시급하다고 하였다. 그리고 대부분의 교사들은 ‘창작활동’을 가장 선호하는 수업방법으로 생각하고 있으나, ‘교사의 관찰평가’에 집중된 수행평가와 수업 기준시수 보다 모자란 ‘6~10시간(보통수준)’을 운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사들의 지도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세미나 및 연수기회 확대’를 가장 많이 선호하였다. 결론적으로 초등학교 창작표현활동 수업을 정상화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 설계 단계에서부터 현장의 교사들이 함께 참여하여 목표와 내용 그리고 수업시수와 같은 교육과정의 중요한 부분을 함께 설계해야 하겠다. 또한, 음향장비가 구비된 체육관 및 무용실을 모든 학교에 설치하고 학급 인원수를 20명 내외로 조정하는 수업 외적 요인의 지원이 필요하다. 그러나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것은 창작표현활동 수업을 직접 진행하는 교사의 지도능력이다. 창작표현활동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이 긍정적이기 때문에 세미나 및 연수 기회를 더욱 확대하고, 다양한 수업 자료 및 방법을 현장에 제공하여 교사들의 지도능력을 신장시킴으로써 창작표현활동 수업의 정상화를 도모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 본 논문은 2011년 2월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학습종합클리닉센터 학습코치의 학습지원대상학생 지도경험에 관한 체험분석

        서유경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23

        학습종합클리닉센터 학습코치의 학습지원대상학생 지도경험에 관한 체험분석 An Experiential Analysis of Learning Coaches’ Experiences in Guiding Learning Support Students at a Comprehensive Learning Clinic Center 서 유 경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상담교육 전공 (지도교수 임 진 영) 이 연구의 목적은 학습종합클리닉센터의 학습 코치가 학습지원대상학생을 지도하 면서 경험한 정서적 공통요인과 심리적 과정을 분석하는 데에 있다. 이에 학습종합 클리닉센터에 소속된 학습 코치들이 학습지원대상학생들을 지도하면서 한 경험과 그들의 심리적 과정을 탐색하고, 이를 통한 학습코치들이 가진 의미를 밝히고자 한 다. 학습 코치 11명이 공동연구자로 참여하였으며 체험분석 절차를 통해 연구를 진 행하였으며 필요에 따라 개별 인터뷰와 전화 인터뷰를 추가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 음과 같다. 첫째, 학습종합클리닉센터 학습코치는 학습코칭 전 준비단계에서 학생의 환경적 자원인 학습종합클리닉, 학교, 주 양육자를 연결하는 네트워크(network)를 형성한 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원활하지 않은 소통과 각자의 입장만 고수하는 태도를 경 험하며 스트레스를 받는다. 둘째, 학습종합클리닉센터 학습코치는 학습코칭 중 첫 회기에 부정적인 감정이 내재화 표현하는 학생과 외현화 행동으로 표현하는 학생들 이 관찰되며 복잡한 정서를 느끼기 시작하는데, 이때 ‘학생에 대한 정서’가 출현한 다. 학생에 대한 걱정과 안타까움은 ‘공감-이타주의 가설’이 적용되어 공감이 학습 코치가 학습코칭을 성공적으로 마치는 중요한 요소로 밝혀졌다. 셋째, 학습종합클 리닉센터 학습코치는 학습코칭 중 학생들의 돌발행동을 경험하며 스트레스와 소진 을 경험한다. 학생들을 지도하며 자신의 정서적 한계에 도달하는 경험한 학습코치 들에게 심리·정서적 안정과 자기 돌봄을 위한 정기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넷째, 학 습종합클리닉센터 학습코치는 학습코칭 중 ADHA, 우울증, 난독증, 조음장애, 자폐 스펙트럼, 경계선 지능, 특수교육거부, 반항성장애(ODD)등 다양한 학습·심리적 문 제를 지닌 학생들을 지도하며 심리학적 지식과 상담 기술의 필요성을 느꼈다. 이 연구 결과가 학습종합클리닉센터의 역할 강화와 학습코칭의 질적 향상, 그리 고 교육 정책 및 프로그램 개발에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여 학습지원대상학생 들을 위한 보다 효과적인 지원 체계 마련에 도움이 될 수 있길 기대한다. 주요어: 학습종합클리닉센터, 학습코치, 학습지원대상학생, 학습부진, 기초학력, 체험분석 ※ 본 논문은 2024년 8월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An Experiential Analysis of Learning Coaches’ Experiences in Guiding Learning Support Students at a Comprehensive Learning Clinic Center Yoo-Kyong, Suh Major in Elementary Counselling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Che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Jin-Young, Yi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motional common factors and psychological processes experienced by learning coaches at the Comprehensive Learning Clinic Center while guiding students eligible for learning support. There is an aim to explore the experiences and psychological processes of learning coaches affiliated with the Learning Comprehensive Clinic Center while guiding students eligible for learning support, and reveal the meaning of learning coaches through this. Eleven learning coaches participated as co-researchers, and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n experience analysis process, with individual and phone interviews added as necessary. The research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learning coach at the Learning Clinic Center forms a network that connects the student's environmental resources, such as the Learning Clinic, school, and primary caregiver, in the preparation stage before learning coaching. However, during this process, they experience poor communication and an attitude of sticking to their own positions, which causes stress. Second, learning coaches at the Learning Comprehensive Clinic Center begin to feel complex emotions as they observe students who internalize and express negative emotions and students who express them through externalizing behaviors during the first session of learning coaching, and at this time, ‘emotion toward students’ appears. The ‘empathy-altruism hypothesis’ was applied to concerns and regrets about students, and empathy was found to be an important factor for learning coaches to successfully complete learning coaching. Third, learning coaches at the Learning Comprehensive Clinic Center experience stress and exhaustion as they experience students' unexpected behavior during learning coaching. Learning coaches who have experienced reaching their own emotional limits while teaching students need regular support for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tability and self-care. Fourth, learning coaches at the Learning Comprehensive Clinic Center provide psychological support to students with various learning and psychological problems such as ADHA, depression, dyslexia, articulation disorder, autism spectrum disorder, borderline intelligence, special education refusal, and oppositional defiant disorder (ODD). There is the need for knowledge and counseling skills. I hope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strengthen the role of the Learning Clinic Center, improve the quality of learning coaching, and provide important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olicies and programs, helping to establish a more effective support system for students eligible for learning support. Key words: Comprehensive learning clinic center, learning coach, students eligible for learning support, learning difficulties, basic academic ability, experience analysis ※ This thesis is a master’s degree in education submitted to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of Cheongju National University in August 2024.

      • 문화적 다양성 측면에서 초등 미술 교과서 작품 분석 : 2015 개정 미술과 교과서를 중심으로

        김현영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23

        문화적 다양성 측면에서 초등 미술 교과서 작품 분석 :2015 개정 미술과 교과서를 중심으로 김 현 영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미술교육 전공 (지도교수 강 병 직) 전지구화(globalization)와 다원화(pluralization) 사회로의 급격한 전환으로 인 해 문화적 다양성이 중요한 사회적 화두로 부각되었다. 전지구화는 전 세계가 경제 적, 사회적, 문화적으로 더욱 긴밀하게 연결되는 과정을 의미하며, 다원화 사회는 다양한 문화적 배경과 가치관을 가진 사람들이 함께 살아가는 사회를 뜻한다. 이러 한 변화는 교육 현장에서도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학생들에게 다양한 문화를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함양하는 것이 중요한 교육 목표로 자리 잡고 있다. 한국 사회에서도 문화적 다양성의 중요성은 점점 더 강조되고 있다. 이는 다문화 가정의 증가와 국제적 교류의 활성화로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함께 살아가는 현실을 반영한 것이다. 이에 따라 교육에서도 문화적 다양성을 존중하고 수용하는 태도를 기르는 것이 중요해지고 있다. 특히 초등 교육에서 문화적 다양성 교육은 어린이들이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이해하고 수용하는 태도를 기르는 데 중 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2015 개정 초등 미술 교과서에 수록된 작품들을 문화적 다양성 측면에 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초등 미술 교육은 학생들에게 다양한 시각적 경 험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문화적 이해와 감수성을 키울 수 있는 중요한 교육적 장 을 제공한다. 따라서 교과서에 포함된 미술 작품들이 어떤 문화적 배경을 반영하고 있으며, 학생들에게 어떤 메시지를 전달하는지를 분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 다. 위의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자는 다음과 같이 연구를 진행했다. 첫째, 문화적 다양성의 의미를 조사하고 문화적 다양성에 대해 어떤 교육적 논의가 있어 왔는지 고찰했다. 둘째, 우리나라 미술과 교육과정의 역사에서 문화적 다양성이 어 떻게 반영되어 왔는지 분석했다. 셋째, 문화적 다양성 관점에서 문화권, 국가, 제 작 시기, 성별을 기준으로 미술교과서 5종(천재교육, 천재교과서, 금성, 동아, 미 술과 생활)에 수록된 미술 작품의 균형성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특정 문화권과 국가에 작품이 편중되어 있으며, 특히 한국, 서유럽, 북아메리카 문화권이 대부분을 차지함을 발견했다. 또한 20세기와 21세기에 제작된 작품들이 주를 이루었고, 남성 작가의 작품이 여성 작가의 작품보다 월등히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미술 교과서에 수록된 작품들이 특정 문화권, 국가, 제작 시기, 성별에 편향되어 있으며, 학생들이 다양한 문화를 존중하는 능력을 기르는 데 한계가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앞으로는 교과서 제작 단계에서부터 다양한 문화적 맥락을 체계적으로 반 영하고, 디지털 교과서를 활용한 다양한 문화 교육, 미술 교육과정과 미술 교과서 간의 연관성을 높여야 할 것이다. 또한 2022 개정 미술 교과서가 출판된 후, 문화 적 다양성이 적절히 반영되었는지를 재검토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여태까지 초등 미술 교과서의 수록 작품이 특정 국가에 편중되었다는 점은 의외로 많이 연구되지 못한 것으로 파악됐다. 2015 개정 초등학교 미술 교과서 분석에 대 한 연구가 다수 있을 것 같으나 초등학교 3-4학년 미술 교과서 연구와 중학교 미술 교과서에 대한 연구는 있지만 5-6학년 대상 미술 교과서 분석 연구는 없다. 특히, 미술 교과서가 사용되는 모든 학년(3~6학년) 2015 개정 미술 교과서에서 문화권, 나라, 제작 시기, 성별을 기준으로 한 연구는 찾아볼 수 없었다. 이는 초등학교 미 술 교과서 분석에 문화적 다양성 관점에서 보다 세밀하고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함 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2015 개정 초등 미술 교과서의 문화적 다양성 측면을 분석함으로써, 교 과서의 내용이 문화적 다양성 관점에서 어떻게 구성되어있으며, 미술 교과서의 작 품들이 문화적 다양성을 얼마나 적절히 반영하고 있는지 분석하고, 향후 교육 과정 개선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향후 교과서 개발과 교육 과정 설계에 유용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교육 현장에서 문화적 다양성을 증진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문화 권, 나라, 제작 시기, 성별의 기준으로 세밀하게 분석된 결과는 교육 현장에서의 실질적인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본 논문은 2024년 8월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