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i-PIN을 이용한 교내 웹 서비스 설계 및 구현

        김현주 檀國大學校 情報通信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50687

        최근,국가 사회 기반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는 정보통신 인프라는 네트워크 통합과 인터넷 이용의 보편화와 더불어 정보통신 서비스의 융합을 통한 제2의 디지털 혁명으로 정보화 패러다임 및 웹 트랜드의 변화를 통해 사회 전반의 정보화 확산을 이끌고 있다. 다양해지는 정보시스템 환경 속에 사이버 공격의 범위가 확대되고 허위 정보의 급증에 따른 사회적 훼손, 불건전 사이버문화 및 정보격차 등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어 그에 따른 위협이 확산되고 있다. 기존 인터넷 활성화 및 사이버 거래 등에 그 간 사용되어 온 온라인 회원가입 방식은 개인 식별의 도구로 개인에게 유일한 주민등록번호를 통해 개인의 정보를 구분하여 사용해 왔다. 인터넷 사이트의 주민등록번호 수집 목적은 개인 식별과 중복가입여부 확인 등의 활용을 들 수 있다. 주민등록번호는 온라인 회원가입 및 금융거래, 전자상거래 등에도 이용되어 또 다른 개인정보 유출 피해의 양상이 되어져 오고 있으며 이처럼 많은 인터넷 사이트에서의 주민등록번호 사용은 사이버 상에 무방비로 노출되어 관리, 사용의 문제가 사회적 파장이 되어 이에 대한 기술적, 제도적 규제 방안이 모색되고 있다. 이러한 사이버 상의 온라인 회원가입, 전자상거래 등의 주민등록번호 수집이 증가하면서 개인정보 유출 위협을 방지하기 위해 국가 정보보안 시책 사업의 하나로 권장하는 사업이 주민등록번호 대체를 위한 i-PIN 개인정보 식별서비스이다. 본 논문에서는 사이버 상에서 사용되는 주민등록번호를 대체하여 개인을 식별하는 수단으로 i-PIN을 이용하고 i-PIN 활성화를 위해 기존 공인인증서와는 다른 형태의 i-PIN 개인인증 방법을 제안하려 한다. 또한, 내부 시스템과의 연계를 위한 사용자 구분 정보 전달은 64bit 암호화 알고리즘인 DES 암호화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교내 웹 서비스 사용자 인증 정보서비스를 구현 하고자 한다. PKI 공인인증서 시스템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이나 서비스를 제공 받는 개인이 일정 비용을 지불하고 발급 받아야하나, i-PIN 서비스는 국가를 중심으로 기관, 개인 모두에게 무상으로 제공된다는 점에서 비용 지불이 꺼리는 사용자 측면에서는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인간 중심의 편리성과 행복한 일상에서 질 높은 정보서비스를 실현을 위해 그에 걸맞은 다양하고 유용한 정보서비스를 i-PIN과 연계하여 개인별로 상황에 맞게 생성, 가공 해주므로 웹2.0 시대 디지털 종합 환경의 정보서비스 이용에 보다 더 안전한 개인정보 제공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Recently,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fra, plays a pivotal role in the national and social infrastructure and it takes the lead in the expansion of information in society in general, in connection with the changes of information paradigms and web trends. They are based on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ervice convergence-oriented second digital innovation whose base is the integration of networks and the generalization of the Internet use. However, in a diversified information system environment, such social problems as the expansion of scope of cyber attacks; the social damage by the increase of false information; unhealthy cyber culture and information gap have come to the fore and increased their threat. Up to this date, the online membership method, used in the activation of the existing Internet and cyber trade, has classified and used personal information through a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a unique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The aim of the collection of the resident registration numbers by the Internet sites has been to identify persons and overlap memberships. Being used in online membership, financial trade and e-commerce, resident registration numbers have become another modality of personal information leak. The use of resident registration numbers in a variety of the Internet sites has become a cause of defenseless exposure on cyberspace and generated social problems in management and use, thus requiring a technological and systematic regulatory strategy. As the collection of resident registration numbers by online membership and e-commerce on cyberspace increases, i-PIN personal information identification service that substitutes resident registration numbers is implemented as one of the national security policies for the prevention of personal information leak. In this study, the investigator presented the i-PIN personal authentication method which wa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official certificate of authentication, in order to use and activate i-PIN as a means of identifying persons substituting resident registration numbers on cyberspace. In addition, as for the delivery of user-class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connection with the internal system, the investigator applied DES encoding algorithm, a 64 bit encoding algorithm, and then implemented a campus-web service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service. As for PKI official certificate system of authentication, service providing agencies and service using individuals must pay certain fees. The Government should provide the i-PIN service, free of charge, to everyone, thus enabling the wide-adoption by the general public. Since the campus-web service generates and processes diverse and useful information services appropriate for the users' individual situations in order to realize a quality information service for human oriented convenience and happier everyday life, the investigator hopes that it provides safer personal information in the digitaly rich environment of web 2.0 age.

      • 역할 기반의 데이터베이스 접근제어 시스템 설계와 구현

        오성호 단국대학교 정보융합기술창업대학원(구:정보지식재산대학원) 정보통신학과 정보통신전공 2024 국내석사

        RANK : 250671

        정보통신망법과 개인정보 보호법에 따르면 데이터베이스는 개인정보 처리 시스템으로 분류되고, 개인정보 처리 시스템은 적절한 보호조치를 취하게 되어있다. 접근제어시스템이 없는 경우, 네트워크 방화벽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접근을 보호하고 있으나, 방화벽을 통과하였다고 모든 계정에 접근할 수 있다는 것은 아니다. 계정과 패스워드를 알고 있다면 권한이 없는 사용자도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할 수 있다. 권한이 없는 사용자가 접근하는 경우 데이터 유출의 위험성이 높아지게 된다. 이를 보완하고자 계정과 사용자에 따라 역할과 보안등급을 부여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고자 할 때, 이를 허용/거부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접근제어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 구현한 접근제어 시스템은 별도의 에이전트나 게이트웨이 등 별도의 장비의 도입 없이 기존 시스템과 데이터베이스 기능을 이용하여 접근제어 정책을 관리하는 시스템과 정책과 로그를 저장하는 로그 저장소, 실제 제어를 수행하는 접근제어 컨트롤러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 의료인과 비의료인의 인터넷상의 식품영양정보 취득형태 및 활용에 관한 비교 연구

        한상진 檀國大學校 情報通信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천안 지역 내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의료인(의사, 간호사)들과 천안지역 공단에서 근무하는 비의료인(일반사무직,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식품영양정보를 어떠한 방법으로 취득하여 어떻게 활용하는가를 비교 연구하고, 특히 인터넷상에서 취득한 식품영양정보에 대한 만족도와 취득한 정보를 실생활에 이용하는 활용도를 측정하며, 식품영양정보를 취득하는 과정에서의 개선점을 파악하여 식품영양정보의 효과적인 전달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으려고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의료인 149명과 비의료인 16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자료로 사용하였다. 조사방법으로는 일반사항, 영양에 대한 기본지식, 식습관 및 식생활태도 식품영양정보에 대한관심 및 취득한 식품영양정보에 대한 실생활활용도를 설문지법으로 조사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의 년령은 20세부터 50세이후 까지였으며, 20대가 가장 많았고 학력은 의료인군은 대졸이 59.6%, 대학원졸이 36.5% 이었고 비의료인군은 대졸이 46,6%, 대학원졸이 6.2% 로 의료인군이 비의료인군보다 학력이 높았다. 수입에서는 의료인군이 비의료인보다 높았으며 유의적인 차이를 볼 수 있었다. (p< 0.01) 2. 영양에 관한 기본지식은 의료인군의 점수가 높았으며 식습관 및 식생활 태도에 있어서는 비의료인군이 점수가 유의적으로 비의료인군보다 높았다. (p< 0.001) 3. 식품영양정보를 찾으려할 때 의료인군과 비의료인군 모두(52.3%)가 인터넷을 가장 많이 이용하였고 그 다음은 의료인군은 전문서적(15.4%)을 이용하였으며 비의료인군은 방송(18.0%)에서 식품영양정보를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인터넷이 식품영양정보의 가장 대중적인 매체로 이용되고 있으며 인터넷이 매체로서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인터넷상에서 가장 많이 접해본 정보는 의료인군은 질병과 관련된 식이요법이었고 비의료인군은 요리법으로 나타났다. 의료인군의 38.9%, 비의료인군의 37.3%가 인터넷의 장점으로 '쉽게 찾을 수 있어서'라고 답했다. 단점에 있어서는 의료인군, 비의료인군 모두 68% 이상이 응답을 하지 않았으며 의료인군의 6.0%, 비의료인군의 11.2%가 '컴퓨터 조작이 어려워서'라고 답하였다. 4. 인터넷을 통하여 식품영양교육을 받는다면 참여하겠다고 답한 의료인군은 44.3% 이었고 비의료인군은 34.8% 이었다. 참여하겠다는 이유로는 '편리하기 때문에'라고 대답하였다. 반면에 하지 않겠다는 사람들의 이유는 '시간이 없어서'라고 대답하였다. 5. 식품영양정보를 실생활에 적용해본 경험에 대해서는 의료인군은 55.7%, 비의료인군은 58.4%가 '적용해 보았다'고 답했다. 적용한 분야에 대해서는 의료인군은 질병 관련에 따른 식이요법, 비의료인군은 요리법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천안지역에 근무하는 의료인은 기본 영양지식이 비의료인은 기본영양지식과 식생활 태도의 점수가 높았다. 건강과 밀접한 곳에서 근무하는 의료인군은 질병에 대한 식이 요법에 관심을 갖고 있었고 또한 일반인인 비의료인군도 식품영양정보에 많은 관심을 나타내고 있었다. 의료인군, 비의료인군 모두 인터넷에서 식품영양정보를 찾을 때 인터넷을 가장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중매체 중 인터넷은 식품영양정보교육을 전문인뿐만 아니라 일반인들에게도 올바른 영양지식 보급을 위하여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을 볼 때 앞으로 인터넷상에서 식품영양정보를 빠르고 쉽게 찾아낼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며 정보의 정확성이 높여져야 하겠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patterns of aquiring and using information on food and nutrition between medical professional group(MP) and non-professionals group(NP). Questionnaire survey was answered by totally 310 subjects, 149 doctors/nurses(MP) working in Dankook University Hospital and 161 general labors(NP) in Cheonan area. Personal information, basic knowledge on nutrition, eating habit and attitude, interest in food and nutrition information, and application of information on food and nutrition were asked in questionnaire.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ge of MP and NP ranged from 20 to 50. In education level, 59.6% of MP had college degree and 36.5 % graduate degree while 46.6% of NP had college degree and 6.2% graduate degree. 2. In the score for basic nutrition knowledge, MP showed the higher score than NP. Eating habit and attitude was good in both MP and NP. 3. The most favored source for information on food and nutrition by both MP(53.0%) and "(51.6%) was the related internet websites. Also MP(15.4%) tends to aquire the information from the related books while NP(18.0%) from a broadcast programs. The most interested information by MP on internet websites was the diet therapy with related to diseases while by NP cooking recipe. The advantage of internet websites as a source for the food and nutrition information was huge amount of information. However, MP(30.2%) pointed out inaccuracy of the information as a problem and "(31.5%) usefulness. 4. MP(44.3%) and NP(34.8%) answered that they would take part in the education on food and nutrition through internet system because of the convenience if provided to them. 5. Fifty six percent of MP and 58.4% of NP have applied the information on food and nutrition in their real life. The applied information for MP was diet therapy with related to disease while for NP was cooking recipe.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medical professionals and non-professionals in Cheonan area were generally good in the basic knowledge on nutrition, and eating habit and attitude. Internet system was very favored by both MP and NP as a source for information on food and nutrition, and many of MP and NP answered positively to the education on food and nutrition through internet system. The MP was most interested in diet therapy while NP cooking recipe. For being a better and efficient source for the information on food and nutrition, internet websites should provide accurate information and easier method to find the needed information to the users.

      • 건설폐기물업체의 정보처리시스템 설계

        이영빈 단국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655

        최근 우리나라의 환경정책 뿐만 아니라 산업전반적으로 ‘저탄소 녹색성장’이 주요 화두로 떠오르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는 환경규제에 의한 무역장벽이 심화되고 있다. 이러한 시류의 변화에 발 맞추어 정부기관의 지속적이고 다양한 폐기물관련 정책의 시행으로 생활폐기물은 크게 줄었으나, 사업장폐기물은 2배 이상 늘어 기존의 폐기물관리정책으로는 경제적성장과 지속가능한 환경보전이라는 두 가지 요구를 만족시키는데 한계가 있어,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관점에서의 폐기물관리정책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각 산업체에서는 제품의 설계단계부터 폐기단계까지 제품의 전 과정을 통하여 유해물질저감 등의 환경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으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성이 부각되어, 사업장폐기물관리 시스템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다양한 분야에서 환경보전을 위한 대책이 수립되며 시행되고 있으나, 특히 건설현장과 관련업계에서는 폐기물의 발생부터 최종처리까지 종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 전무한 실정이며 시스템화 되어있지 않은 관리부재의 상황은 결국 불법처리, 매립지부족 등으로 환경오염문제라는 심각한 부작용을 가져오게 되었다. 본 연구는 IT기술을 효율적으로 적용한 종합적인 폐기물관리시스템의 구축을 위한 방향의 설정과 그 시스템의 설계방안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구체적으로 폐기물처리의 각 기초단계에서 데이터의 수집 또는 가공을 위한 업무의 표준화 모듈의 구성으로 효과적인 업무프로세스의 개선효과와 업무데이터의 공유가 가능해지고, GIS를 이용하여 건설폐기물 운반차량의 이동상황을 실시간으로 관리함으로 효과적인 화물운송체계가 구축이 가능하다. 또한 환경부의 올바로시스템과의 연계 및 차량 RFID를 이용하여 구축된 EDI시스템은 각종 보고사항의 이중작업이 줄어들고 신속하며 정확하고 경제적으로 행정업무 보고체계가 수립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폐기물의 처리과정에 IT기술을 적용한 폐기물관리 표준정보시스템간의 연계를 통해 각 사용자간에 신속한 정보의 교환이 이뤄지고 이는 관리, 행정업무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국가적으로 관리되는 폐기물처리에 대한 각 정보의 전산화가 용이해져 이를 검증하고 관리하기가 쉬워지게 된다. Recently, “Low Carbon Green Growth” is on the topic in all industry areas including our nation’s environmental policy and it has been spread onto trade barrier of environmental restriction. Due to the Government’s continual and various waste related-policies, it has resulted in reducing the household waste. However, over the double amount of industrial waste has been increased. As a result, it shows that current waste management policies have some limitations in satisfying two factors; “Economic Growth and Sustainable Environment Protection”. Thus, the necessity of waste management policy is required, reflecting the comprehensive point of view. In this regard, social responsibilities in all industrial organizations and entities that would minimize environment effects are highly demanded through hazardous materials or waste reduction from manufacturing phase to final disposal phase, and the needs of industrial waste management system is also increased. But in most construction sites and its related entities, it has been nearly absence to manage the waste from the generating stage of waste to the final disposal stage. Under the absence of system and management situation, it brings serious side effects on environmental destruction by illegal waste treatment and lack of the number of landfill sites. This study is purported to do research in setting up the direction of efficient IT technology which is applied to comprehensive waste management system and in setting up the design plan. At all initial stages of waste treatment, the construction of standard module for data collection and modification enables to improve the efficient work process and to share the data. By making use of GIS, it is feasible to effectively manage transportation system for the CDW(Construction and Demolition Waste) loaded trucks’ traveling movement in real time basis. And in correlation with MOE(Ministry of Environment)’s All-Baro system and EDI system that are set up by trucks’ RFID utilization, which minimizes period of work time and also reports promptly, accurately and economically. Through the correlation with standard data system, applied with IT technology in waste treatment process, it makes communicators to exchange the prompt data with one another. And which will reduce time and cost in terms of management and administration works and that also makes it easy to manage waste treatment by computerization as well as to verify its management in the scale of nation.

      • 수평 분할 DNS의 개선을 통한 보안성 향상 기법

        고광채 단국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655

        도메인 네임 서버(이하 DNS)는 인터넷상에서 유일하게 각각의 서버들을 구별할 수 있는 IP주소를 일반 사람들이 쉽게 알 수 있는 문자 형태로 된 도메인 이름으로의 변환을 제공해주는 계층적 분산 데이터베이스의 대표적인 시스템이다. 이러한 DNS는 일반 사람들이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 가장 먼저 사용하게 되는 서버로서 웹이나 메일, 데이터베이스 등 모든 서비스가 DNS와 직접적으로 연관되어져 있어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지만 DNS는 보안의 사각지대라 불릴 만큼 여러 가지 취약점이 외부에 쉽게 노출되어있어 앞으로의 공격 대상 유형에 DNS가 언급되고 있는 현실이다. 이에 따라 보안에 취약한 DNS를 보완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들이 제시되어지고 있으며 이중에서 DNS를 통한 도메인 네임 검증을 위한 DNSSEC이 현재 대두되어 지고 있다. 하지만 DNSSEC만으로는 모든 DNS가 가지고 있는 보안상 취약점을 모두 해결할 수 없으며 DNS의 자체 취약점으로 인해 더 이상 DNSSEC이 안전하고 검증된 도메인 네임을 제공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DNS에서 발생할 수 있는 취약점에 대해서 알아보고 이를 극복하고자 DNS의 구조적인 위치 변경을 통해 기존 DNS가 서비스 하는 영역을 분할하여 각각의 DNS가 수행하는 서비스를 최소화 시키고 주 DNS서버를 외부와 차단시킴으로서 기존 DNS가 가지고 있는 보안상 취약점과 DNS를 운영함에 있어서 발생할 수 있는 보안상 문제점을 최소화하고 현재 이슈가 되고 있는 DNSSEC이 제공하지 않는 보안 서비스를 보완하여 앞으로의 더욱더 안정적인 DNS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연구이다. Domain Name Serv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DNS) enables changing IP address in a text format to provide simple understanding to users, which identifies each server, and is a typical system of hierarchical distributed database. DNS is a server carries out a critical role and used first by users to login to the Internet, and most servers, such as web, e-mail and database are directly connected. However, DNS has various vulnerability exposed so much that it is also dubbed as a dead zone of security, alluded as a target of attack. Hence, various methods were suggested to remedy DNS’ security vulnerability, and among the methods, DNSSEC for domain name verification through DNS is on the rise. DNSSEC alone, however, cannot be a solution for most security vulnerability of DNS, and it may no longer provide safe and verified domain name due to the weak point of DNS itself. Therefore, the study examines vulnerability that is likely to occur in DNS and partitions the fields served by existing DNS through the change of structural location of DNS, thereby minimize service executed by DNS, respectively. Furthermore, the study intends to minimize security problems that are likely to occur in DNS operation and security vulnerability of existing DNS by intercepting a main DNS server with outside, and support security service that does not provide DNSSEC, an issue at present to carry out a better DNS service in the future.

      • 필터뱅크를 이용한 WCDMA 무선중계기의 적응형 간섭 제거 알고리즘 연구

        문성배 단국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논문에서는 수신부로 재 유입되는 간섭 신호를 제거하기 위해 시간지연요소와 필터뱅크를 이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간섭신호제거 알고리즘은 고정된 한 개의 블록을 사용하여 간섭신호를 제거하였다. 기존의 구조는 간섭채널의 채널환경이 변하는 경우에 능동적으로 가중치 벡터를 처리하지 못하기 때문에 큰 개수의 가중치 벡터를 설정하여 간섭신호를 제거해야 한다. 이와 같이 가중치 벡터의 길이를 길게 설정하는 경우에는 간섭제거 알고리즘이 최적화된 값으로 수렴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늦어지는 문제점을 갖고 있으며 알고리즘을 구현하는 경우에 복잡도 및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일정한 범위를 갖는 다수개의 필터뱅크로 구성하고 수신부로 재 유입되는 간섭신호의 시작지연을 필터뱅크별로 할당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은 제안한 간섭신호제거 알고리즘에 대해 수식을 이론적으로 정리하였고 이론적인 수식을 바탕으로 기존 간섭신호제거 알고리즘과 제안한 간섭신호제거 알고리즘의 성능을 시뮬레이션 툴을 이용하여 비교 평가하였다. 모의실험 결과 기존 간섭신호제거 알고리즘에 비하여 제안된 간섭신호제거 알고리즘이 수렴속도에서 고정적인 채널환경을 갖는 경우에 3.4배, 가변적인 채널환경을 갖는 경우에 2.3배 빠른 성능을 보여주었다. 중계기에 입력되는 간섭신호는 간섭신호가 존재하는 시간 범위내의 모든 신호가 동일한 시간에 입력되기 때문에 간섭신호제거 알고리즘은 병렬 처리 방식으로 간섭신호를 제거해야한다. 주어진 간섭채널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서 요구되는 가중치 벡터의 개수는 기존 알고리즘은 400개이고 제안한 알고리즘 방식은 160개를 사용하여 간섭신호를 제거하였다. 따라서 제안한 간섭신호제거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경우에 구현의 복잡도 및 비용을 절감하였다. This paper proposes the method which uses a delay block and a filter bank to cancel the interference signal which re-flow at receiving antenna. the conventional interference cancellation algorithm cancel a interference signal with a fixed block. the conventional structure with a fixed block needs lots weighing vector to deal with changing signal through a interference channel and it will take much time to converge in steady state. the conventional method has a problem which is a complexity and pricey to realize an adaptive interference cancellation algorithm. This paper proposes the method that uses multiple filter banks which has a regular cancellation range and assign a delay line to the beginning point of interference signal which re-flow at receiving antenna. This paper arranges a interference cancellation algorithm theoretically. it compared the proposed interference cancellation algorithm with the conventional algorithm on the basis of a numerical formular and simulation tools like matlab, Advanced Design System. The result of a simulation, the converge speed of the proposed algorithm is 3.4 times fast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algorithm under a static condition and 2.3 times faster under a rayleigh condition. and besides the performance, the conventional algorithm needs 400 weighting vectors and the proposed algorithm needs 160 weighting vectors. consequently, the complexity of proposed algorithm is one-fifth of conventional algorithm.

      • TV방송의 디지털 전환 시 문제점과 대책

        김선미 단국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0655

        지난 수년 동안 멀티미디어의 최종적 서비스의 형태가 PC를 기반으로 한 서비스가 될 것인지 텔레비전을 기반으로 한 서비스가 될 것인지에 대한 많은 논란이 있었다. 하지만, 디지털 지상파 방송 도입계획을 추진하게 되면서 전반적인 흐름이 텔레비전을 기반으로 한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방향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는 실정이다. 즉, 다수의 수용자를 대상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접근이 용이하고 사용이 간편하며, 이용자에게 친숙한 지상파 텔레비전이 디지털화 하고, 이를 기반으로 각종 멀티미디어 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수용자들에게 보다 양질의 문화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각국에서 디지털 지상파 방송을 도입하고자 하는 또 다른 중요한 이유는, 그에 따른 연관 산업의 활성화와 신규시장 형성효과가 엄청나다는 점이다. 우선, 가장 보편적인 매체인 텔레비전의 전송방식을 아날로그방식에서 디지털 방식으로 전환시킴에 따라 엄청난 규모의 방송관련기기 및 수상기 시장이 형성된다. 뿐만 아니라 가용채널의 증가와 부가방송서비스를 기반으로 하여 영상산업뿐 아니라 방송-정보-통신이 결합된 각종 멀티미디어 컨텐츠 산업의 활성화를 촉진 시킬 것 이다. 그러한 점에서 디지털 방송 시대로의 전환은 단순히 방송신호 송출과 수신의 디지털화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그 동안 다양하게 발전되고 시도되어 온 방송서비스와 통신서비스, 그리고 정보서비스가 하나의 정점으로 모아지는 십자로이며, 이 정점을 중심으로 인간의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욕구들이 차원적으로 충족되는 인간 커뮤니케이션의 최종적 출구로 간주되고 있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우리를 포함한 전 세계 정부와 기업들이 방송의 디지털화에 주목하는 진정한 이유이다. 동시에 바로 이점이 지금 우리가 디지털 방송으로의 전환이라는 힘든 과제를 논의할 때 방송의 과거 역할에 근거하여 접근하는 것이 얼마나 비현실적인가를 말해주는 이유이기도 하다. 디지털 방송의 성공적인 도입은 더 이상 다른 산업부문의 파생물이다 부수적인 요소로서, 혹은 여타의 산업부문과 독립되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그 자체가 다음 세기의 기업과 국가의 생존능력을 결정짓는 핵심적인 요소로 인식하고 있으며, 디지털 방송을 매개로 형성되는 멀티미디어 환경의 성숙정도는 그 자체가 개인의 삶의 질, 기업의 경쟁력, 국가의 부를 가져오는 기반이 된다. 따라서 디지털 방송으로의 전환에 따른 비용과 이득의 문제를 논의할 때 지금의 방송의 역할이 아니라 변화된 미디어환경 하에서의 방송의 위치에 근거하여 그 비교형량을 따지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이 글에서는 우선, 디지털 지상파방송의 기술적인 특성과 그 파급효과에 대한 간략한 논의와 함께, 주요국가의 디지털지상파방송 추진현황을 살펴보고, 우리나라의 디지털 지상파 방송 추진일정과 디지털 방송도입의 주요 쟁점을 둘러싼 사안들에 대한 검토를 하고자 한다.

      • 무선 환경에서 DPLL을 이용한 수신 데이터 검출 기법

        류연성 단국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논문에서는 300㎒대역의 무선환경을 기준으로 하여 FSK변조를 하였을 경우 DTE (Data Terminal Equipment)의 수신율 향상을 위하여 Edge Trigger를 이용한 DPLL방식을 적용한 알고리즘을 시뮬레이션하였다. 일반 아날로그 PLL을 사용한 DTE의 수신 스레숄드 레벨은 -107dBm이다. 무선통신 환경에서 노이즈로 작용하는 감쇄, 페이딩, 열잡음등을 대신하여 -107dBm과 같은 조건의 환경을 만들기 위하여 AWGN (Addaptive White Gaussian Noise)를 첨가하여 Sb/No = 14dB로 만들었다. 입력 데이터로 약 120,000Bits를 발생하여 알고리즘상의 DPLL을 거쳐 데이터 동기 및 복조하였을 경우 정확한 동기 타이밍을 검출할수 있었고 MSB Part의 프리엠블, 랜덤 데이터신호 및 LSB Part의 프리엠블, 랜덤 데이터신호의 BER은 0이었다. 입력 데이터에 AWGN을 증가시켜 DPLL의 성능을 분석한 결과 Sb/No = 11dB일때에도 BER(Bit Error Rate)은 0이었다. 이 결과로 보아 DPLL을 이용하면 DTE의 수신 스레숄드 레벨을 -110dBm까지 높일수 있음을 알수있다. 따라서 DPLL을 이용하면 300㎒대역의 고속 무선호출 시스템, 무선 원격검침 서비스, 무선 경비 시스템, 무선 이메일 서비스등의 DTE로 실용화되어 전체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킬수 있음을 알수있다. The paper presents a data detection technique using DPLL (digital PLL) in wireless communication envirinment of which the frequency bandwidth is 300㎒. To test the reception rate of DTE using DPLL. We have similated the technique with edge trigger by using FSK modulation. The reception threshold level of DTE using general analogue PLL is 107 dBm. we have set Sb/No to 14dB adding AWGN (Adaptive white Gaussian Noise) to input data for making the same condition as 107 dBm in wireless communication envirinment. The data synchronization and demodulation using the DPLL can detect accurate synchrinism timing in case of generating about 120,000 bits as input data, and for MSB and LSB parts the BER(Bit Error Rate) of the preamble and random data signal is 0 respectively. The BER is also 0 when Sb/N0=11dB. that is, in case of increasing AWGN to input data.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our DPLL method can improve system performance in wireless interface.

      • 유아대상 우유마시기 습관 길러주기 프로그램 실시에 따른 우유섭취 실태 : 의왕시 소재 H유치원을 대상으로

        유현주 단국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655

        우유가 영양학적으로 우수하고 급성장기인 유아기에 신체적 성장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식품으로 알려져 있지만, 2005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유아들의 우유섭취량은 권장섭취량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아들의 우유섭취습관을 길러주기 위한 사업에 참여한 유아를 대상으로 프로그램 실시에 따른 우유섭취실태를 조사하여 우유섭취량을 증진 시킬 수 있는 방안과 식습관이 정착되지 않은 유아들에게 우유마시기 습관형성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은 의왕시 소재 H유치원 원생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했으며, 조사기간은 2008년 5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아동설문조사와 부모설문조사에 모두 참여한 인원 76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14.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각 군 간의 유의성은 t-test와 ANOVA를 이용하여 검증하였으며, 유의수준은 α<0.05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실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결과 3개월 동안 프로그램 실시관련 참여도를 보면 1회 7.9%, 2회 39.5%, 3회 참여가 52.6%로 나타났으며, 조사대상자의 평균 신장은 112.38cm(p<0.05), 체중은 18.92kg로, 남아는 56.6%, 여아는 43.4%이였으며, 6세가 44.7%로 가장 많고 5세 27.6%, 7세 22.4%, 4세 5.3%순 이였다. 2. 프로그램 월별 참여 변화율을 살펴본 결과 5월, 6월, 9월 모두 참여한 참여자가 76명중 52.6%이였고, 다음달에는 30.3%의 증가율을 보였다. 월 평균 그룹별 우유 취는 27.02±5.49의 빈도를 보였으며, 1일 우유섭취량은 평균 200~300mg를 마시는 빈도가 가장 높아, 우리나라 유아기의 우유권장 섭취량 600mg를 훨씬 못미치는 양을 섭취하고 있으며, 프로그램 참여도와 관계없이 유아들은 단맛의 우유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조사대상자의 프로그램 시행 전·후의 우유섭취 변화량을 살펴보면 사전 39.5%가 1컵에서 사후 17.1%로 줄고, 23.7%가 2컵에서 42.2%로 늘었으며, 3컵 이상도 17.1%에서 40.8%로, 1일 우유섭취량이 프로그램 후 늘어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참여도가 높을수록 우유섭취량 증가율이 높았고, 참여도가 낮을수록 우유섭취량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유섭취인식 또한 사전보다 사후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식변화도 참여도가 높을수록 좋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4. 프로그램 참여 그룹별 영양지식 현황에서 학부모 대상 영양지식 총점에서는 평균점수가 10점 만점에 6.34±1.80으로 나타났으며, 프로그램 그룹별 우유와 영양지식에서 “만 3~5세의 유아의 칼슘의 1일 필요량은 200mg이다”라는 질문에 25%의 낮은 정답률을 보여 우유에는 칼슘이 들어있다는 것은 대다수 참여자가 인식을 하나, 유아의 하루 우유섭취량에 대하여는 인식이 낮은 편으로 나타났다. 5. 프로그램 시행 후 우유에 대한 선호도는 프로그램 참여도와 관계없이 높아졌고, 프로그램을 통해 우유마시기 실천도, 프로그램 도움여부는, 참여도가 높을수록 높았고, 우유섭취 지속여부, 우유섭취 인식에 대하여는 참여도에 관계없이 높아, 우유섭취의 영양적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프로그램 실시 후 우유섭취 필요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결론적으로 프로그램 참여 유아들의 우유섭취량은 부족한 상태이며, 프로그램 참여율이 높을수록 참여도가 낮은 유아들보다 하루 우유섭취량, 영양지식, 인식 변화가 높은 것으로 조사 되어, 우유섭취를 권장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효과적으로 나타나 관련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도입이 필요하다 하겠다. Although milk is known as a food with excellent nutritional values and that has important effects on the physical growth and development during the rapid growth period of infancy, the result of 2005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research revealed that the milk intake amount of small children in our country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recommended amount. Accordingly, this study sought to present a plan for increasing milk intake amount and provide help in forming milking drinking habit for small children that have not yet developed proper eating habits by researching the actual condition of milk intake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of milk drinking habit development program for the small children participated in the program. The research was conducted for the kindergartners attending H kindergarten located in Uiwang-si and their parents, and the analysis was conducted for 76 persons participated in the program and the survey researches for children and parents during the research period of May 1 - September 30, 2008. The statistical package program SPSS 14.0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and the significances of each group were verified using t-test and ANOVA and the level of significance was set as α<0.05. The result of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is as follows. 1. In the research result,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revealed the result of 7.9% for the first session, 39.5% for the second session and 52.6% for the third session, and the research subjects' average height was 112.38cm (p<0.05) and average weight was 18.92kg. In addition, 56.6% was male children and 43.4% was female children, and 44.7% was in the age of 6 followed by 27.6% for 5, 22.4% for 7 and 5.3% for 4. 2. The result of examining the rate of change in monthly program participation during three months revealed that 52.6% of 76 persons participated in every month of May, June and September and the number of kindergartners that had not participated in the first month but participated in the following month increased by 30.3%. As for the monthly milk intake frequency, the frequency of 21-31 times a month was the highest, and the amount of 200~300mg was the highest in the third and second sessions for the daily milk intake amount. In addition, the participants in the first session stated that they hardly drink any milk, in the amount of 100~200mg or 300mg thereby revealing that their intake amount was significantly short of the recommended daily milk intake amount of 3 cups (600mg) in our country. 3. To examine the amount of change in milk intake for the participants before an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the percentage of 1 cup decreased from 39.5% before the program to 17.1% after the program, and the percentage of 2 cups increased from 23.7% to 42.2%, and the percentage of more than 3 cups increased from 17.1% to 40.8% thereby revealing that the daily milk intake amount increased after the program. It was also revealed that the rate of change was high as the level of participation was higher, and no changes were shown in the milk intake amount as the level of participation was low. The understanding of milk intake also revealed to have increased after the program, and it was revealed that changes in understanding also improved as the level of participation was higher. 4. In total score of the nutrition knowledge by the parents in the present condition of nutrition knowledge according to groups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it was revealed that the mean score was 6.34±1.80 out of the total score of 10, and in the milk and nutrition knowledge of program groups, the question that asked if the required daily calcium intake amount for small children in the ages of 3~5 is 200mg is correct showed the low rate of correct response of 25%, thereby showing a low level of understanding on the daily milk intake amount for small children even though even though most of the participants understood that calcium is contained in milk. 5. The level of preference for milk increased after the program regardless of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and the level of practice of drinking milk through the program and the usefulness of program were higher as the level of participation was higher. Also, they were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milk intake since the willingness to continue drinking milk and milk intake understanding were high regardless of the level of participation, and it is thought that the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need for milk intake. Conclusively, it was revealed that the milk intake amount is insufficient for small children that participated in the program and the program for recommending milk drinking revealed to be effective since the research showed that the daily milk intake amount, nutrition knowledge and changes in understanding were higher for small children with higher level of participation, and it can be said that there is a need to continually introduce related pro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