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동의대학교 재학 중국유학생 대학생활적응과 문화적응 스트레스 연구

        오가 동의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1994년 9월 한중문화교류협정이 체결되면서 한국과 중국 간 파견유학이 시작되었다. 이로 인해 재한 중국 유학생의 수는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하였으며 2015년 현재 53,902명에 이르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전체 재한 외국인 유학생 85,193명의 60%를 넘는 수치로서 중국 유학생의 증가는 국가차원에서도 교육을 통한 국제 교류 강화라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중국 유학생들이 많이 유입되면서 이들을 둘러싼 여러 가지 문제 또한 발생하고 있는데 실제로 한국의 대학에 입학하여 학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대학생활에 적응하지 못하고 이탈하는 사례들도 보고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동의대학교에 재학 중인 중국 유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 현황을 알아보고 중국 유학생들이 대학생활에 성공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지원방안을 모색하는데 있어 그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특히 Berry(2001)와 Sandhu & Asraba(1994)에 의해 검증된 문화적응과 문화적응 스트레스 관련 변인을 근거로 각 변인들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각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부산 동의대학교에 재학 중인 총 142명의 중국유학생을 대상으로 중국어 설문지를 배포하여 수집하였다. 최종 수집된 127부의 설문지는 통계적 기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문화적응 하위요인 중 통합을 높게 인식하고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차별감과 문화충격 요인을 낮게 인식할수록 대학생활 적응 지표인 학업적응, 사회적응, 그리고 대학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문화적응 하위요인인 통합과 동화와 대학생활 적응 지표인 학업적응, 개인적응, 대학만족도의 관계는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차별감과 문화적 충격 요인에 의해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국 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통합과 대학생활 적응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관한 차별감을 느끼지 않게끔 노력해야 되고, 문화충격요인 등을 감소 시켜야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국내 대학 실용음악 보컬 전공 교과과목 연구 분석

        김예지 동의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의 목적은 실용음악 보컬 전공에 초점을 맞추어 수도권에 있는 대학을 중심으로 경쟁률이 높은 8개의 대학을 선정하여 교육과정과 교육프로그램 등의 실태를 조사, 분석하고 문제점과 그에 따른 해결방안에 대해 고찰해 보고 개선방안을 모색하여 실용음악 보컬 교육의 발전에 이바지 할 수 있는 발전방안을 마련하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방법은 문헌 조사 연구에 의한다. 먼저, 본론에서는 실용음악의 정의, 실용음악에서의 보컬의 역할, 실용음악 보컬교육의 필요성을 고찰하였다. 또한 선행연구 및 수도권 중심의 입시경쟁률이 높은 8개 대학(경희대학교, 동덕여자대학교, 동아방송예술대학교, 명지전문대학교, 백석예술대학교, 서울예술대학교, 한양대학교, 한양여자대학교)을 선정하여 각 대학의 교육목표 및 연혁, 교과과정을 분석하고 보컬 전공에 해당하는 교과과목을 따로 분류해서 분석하였으며 실용음악 전공 교과과정의 외국 사례에 대해서도 연구 분석 하였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전공별로 교과과정이 개설되어 있는 대학이 많지 않다. 둘째, 보컬을 포함한 타 전공에 해당하는 심화과정의 과목이 부족하다. 연구자는 이상과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전공별로 나누어 교과과정을 개설해야 한다. 예를 들어 앙상블과 합주실기, 즉흥연주기법과 같은 수업은 모든 전공의 학생들이 함께 듣는 것보다 각 전공별로 나누어서 듣게 하는 것이 훨씬 효율적이다. 둘째, 심화과정 수업을 더 많이 개설한다. 보컬 전공 뿐만 아니라 타전공도 각 전공에 해당하는 심화과정을 다양하게 개설하여 기초과정부터 심화과정까지 체계적으로 학습할 수 있게 해야 한다. 이와 같이 우리나라가 실용음악을 더욱 발전시키고 전문적인 연주자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대학들이 보다 더 전문적이고 차별화된 교육과정 체계를 연구하는 데 적극적으로 노력해야 한다. 외국 사례로 버클리 음악대학의 교과과정을 살펴보았지만 그것을 그대로 수용하자는 것이 아니다. 다만 서양에서의 실용음악이 먼저 발전되어왔으므로 오랜 기간동안 그들의 자리 잡은 안정적인 교과과정을 참고하여 우리나라의 실정과 각 대학의 실정에 맞게 개선을 해 나가자는 의미이며 앞으로도 실용음악 교육전반에 대한 연구가 끊임없이 이어지기를 바란다.

      • 베이커리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 지각된 서비스품질, 고객가치와 행동의도 간의 관계 : 프랜차이즈 베이커리와 독립 베이커리의 비교

        정선희 東義大學校 大學院 2014 국내박사

        RANK : 248623

        국내 베이커리 시장은 급변하는 시대와 더불어 다양하게 변화하는 소비자의 욕구에 만족을 극대화 시키고자 치열한 경쟁이 가속화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베이커리 시장에서 과열경쟁으로 심화되어가는 프랜차이즈 베이커리와 독립 베이커리를 대상으로 소비자의 특성에 따른 라이프스타일과 서비스품질, 고객가치와 행동의도 간의 인과관계를 실증분석을 통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프랜차이즈와 독립 베이커리의 두 집단으로 나누어 각각 분석한 후 집단 간의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경쟁우위를 위한 차별화 된 마케팅 전략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연구와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서는 베이커리, 라이프스타일, 서비스품질, 고객가치, 행동의도 등에 대한 개념과 선행연구들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각각의 변수 관계들을 종합하여 이론적 연구모형을 도출하였다. 또한 실증분석에서는 프랜차이즈와 독립 베이커리 이용 경험이 있는 445명의 고객을 대상으로 수집된 설문을 통해 SPSS 20.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타당성 및 신뢰성 검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라이프스타일과 지각된 서비스품질 간의 영향 관계를 검증한 결과, 프랜차이즈 베이커리 집단에서는 대부분 광고브랜드를 지향하는 소비자들이 서비스품질을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독립 베이커리 집단에서는 대부분 계획구매 및 질적건강을 지향하는 소비자들이 서비스품질을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각된 서비스품질과 고객가치 간의 영향 관계를 검증한 결과, 프랜차이즈 베이커리 집단에서는 물리적 환경품질의 주변 환경과 상호작용품질의 전문성, 그리고 결과품질의 대기시간과 유형성이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 것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서비스품질이 고객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독립 베이커리 집단에서도 물리적 환경품질과 상호작용품질, 결과품질의 요인들에서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지각된 서비스품질과 행동의도 간의 관계를 검증한 결과, 프랜차이즈 베이커리 집단에서는 물리적 환경품질의 디자인 환경과 상호작용품질의 행동을 제외한 대부분의 서비스품질이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독립 베이커리에서는 상호작용품질의 전문성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서비스품질이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지각된 고객가치와 행동의도 간의 관계를 검증한 결과, 프랜차이즈 베이커리와 독립 베이커리 집단 모두 지각된 고객가치는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긍정적인 가치 지각으로 인한 고객만족은 고객충성도를 제고시켜 호의적이고 긍정적인 행동의도로 이어질 수 있게 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인이므로 다양한 소비자들의 욕구에 부응할 수 있는 차별화 된 서비스품질 개발에 집중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향후 연구에서는 베이커리 시장도 이제는 그 분야가 점점 확대되고 세분화됨에 따라 점포 형태를 좀 더 확대하여 다각적인 연구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며, 시대적 흐름에 변화하는 트렌드를 반영한 다양한 차원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을 바탕으로 소비자들의 구매행동을 파악하여 좀 더 유용하고 효율적인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주제어: 베이커리, 라이프스타일, 서비스품질, 고객가치, 행동의도

      • 대학 기관리포지터리의 구축 및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김희란 동의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논문은 대학 및 대학 내 구성원들이 생산한 학술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 축적, 관리, 장기 보존하는 방법의 일환으로 대학 기관리포지터리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그것의 활성화를 위한 구축 및 운영 방안을 제시하였다. 특히 해외의 실 운영 중인 리포지터리의 성공 사례들을 분석하여 국내 대학 기관리포지터리의 실정에 맞는 구축 및 운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Ranking Web of World Repositories와 Registry of Open Access Repositories에 나타나 있는 순위 및 정보를 참조하여 국내ㆍ외 대학 기관리포지터리 13개에 대한 운영 사례들을 분석하였다. 각 사례는 대학 기관리포지터리의 운영 주체, 구축 소프트웨어, 구축 범위, 이용 범위 및 서비스, 저작권 정책으로 나누어 살펴보았고 이를 바탕으로 국내 대학 기관리포지터리의 성공적인 운영 및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사례를 분석한 결과, 국내 대학 기관리포지터리의 성공적인 운영 및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는 첫째, 대학 기관리포지터리의 운영 주체와 관련 기관간의 긴밀한 협력과 명확한 역할 분담이 필요하다. 대학 기관리포지터리의 운영 주체가 학술정보의 등록 및 메타데이터 입력, 협력 기관과의 중재자 역할, 이용자 커뮤니케이션 지원 등의 업무를 수행해야 하고 리포지터리의 운영을 돕고 있는 연구지원 부서나 학교 내 기타 기관에서는 긴밀한 업무 협조가 필요하다. 둘째, 대학 기관리포지터리 구축 시 국내 환경에 맞는 소프트웨어의 개발도 필요하지만 개발 비용 절감 및 상호 운용성의 장점이 있는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를 활용 하는 것도 좋은 선택 방안이 될 수 있다. 셋째, 학술정보 콘텐츠 및 등록 대상자의 범위를 확대해야 한다. 대학에서는 기관 내 또는 기관 내 구성원에 의해 생산되는 연구 및 교육 관련 모든 자료를 학술정보로 인식 할 필요가 있고 학위논문, 학술논문 이외에도 회의자료, 멀티미디어 자료, 보고서, 강의 자료 등 다양한 학술정보 콘텐츠를 확보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그리고 등록 대상자는 교수뿐만 아니라 연구원, 대학원생 등 잠재적 연구자를 대상으로 확대하는 방안도 필요하다. 넷째, 리포지터리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학술정보로의 자유로운 접근 및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로그인을 통해 이용 가능한 경우에는 복잡한 승인 절차나 단계를 생략해야하며 외부 접속자를 위해서도 자료 이용에 대한 규제를 폐지하거나 단순화시켜야 한다. 그리고 RSS, WWW, URL, 전문적 검색 기능 등을 제공해야하고 홈페이지 언어는 자국어뿐만 아니라 영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해야한다. 부가적으로 이용자 통계 서비스, 등록 정보 알림 서비스 등 이용자 중심의 다양한 서비스 제공도 고려해 볼 수 있다. 다섯째, 학술정보의 저작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생산자인 저자 및 연구자에게 저작권을 부여해야 하고 리포지터리 운영 주체는 학술정보를 재생산하고 배포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받기 위해 적극적인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그리고 저작권법 및 자료 보안 기술을 적용하고 일부 출판사 및 학회가 가지고 있는 저작권을 위양 받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대학은 학술정보를 생산하는 대표적인 기관이다. 생산된 학술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 보존하고 자유롭게 확대 이용시키기 위해서는 오픈 액세스를 기반으로 한 대학 기관리포지터리의 구축이 매우 중요하다. 아직 국내 대학 기관리포지터리의 구축 및 운영은 초기 단계이지만 본 연구가 국내 대학 기관리포지터리의 성공적인 운영 및 활성화를 위한 기초적인 토대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PBL(Problem Based Learning)을 적용한 포트폴리오 제작 수업의 효과

        박현하 동의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는 PBL 적용한 포트폴리오 제작 수업이 전문지식 습득과 역량 제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PBL을 적용한 교과목의 효과를 동시에 연구한다. 연구는 '3D CAD 수업에서의 PBL 교수법 효과'와 'PBL을 활용한 CAE 학습효과', 그리고 'PBL을 적용한 포트폴리오 제작 수업의 효과'이며, 연구대상은 모두 다르 다. PBL을 활용한 3D CAD 수업이 전문지식 습득과 역량제고에 미치는 영향의 연구는 동의대학교 기계자동차로봇부품공학부 3학년 학생들에게 PBL이 적용된 ‘자동차 CAD 실습’ 교과목 수업을 구현하고 설문조사의 답변을 분석했다. 학생들 은 교과목, 교수 방법, 비대면 정보교류 등에 대체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과목 습득과정에서 문제해결력, 소통능력, 자기주도학습력, 책임감, 성실성 등이 향상되는데 유의한 영향이 있었다. PBL을 활용한 CAE 수업이 전문지식 습득과 역량에 미치는 영향의 연구는 동의대 학교 자동차공학과 3학년 학생들의 1년 과정인 CAE 수업에 PBL을 적용하여, 1학기와 2학기에 실시한 설문조사의 답변을 분석하였다. 학기별 설문조사 결과, 유의미한 차이로 2학기의 수업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비대면 정보교류와 팀 활동에 대한 평가에서는 만족도가 높게 나왔다. 교과목에 대한 지식습득, 자기주 도학습력, 문제해결 능력, 의사소통 능력 등의 개인 역량 제고에서도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PBL을 적용한 포트폴리오 제작 수업이 전문지식 습득과 역량 제고에 미치는 영향의 연구는 동의대학교 전 학과 대상의 3학년 이상 학생들에게 PBL이 적용된 포트폴리오 수업 제작 수업을 운영하고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포트폴리오에 대한 평가, 수업에 대한 평가, 팀 활동에 대한 평가, 역량향상에 대한 평가에 대한 설문 항목은 29개였으며, 28개 항목에서 4점 이상의 점수대를 나타냈고, ‘대체로 그렇다’와 ‘매우 그렇다’에 응답한 학생이 10~16명에 이르는 등 수업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3D CAD 수업에서의 PBL 교수법'과 'PBL을 활용한 CAE 학습효과 에서 PBL 교수법'은 교과목의 지식습득과 자기주도학습, 문제해결력 등의 개인 역량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 'PBL을 적용한 포트폴리오 제작 수업'은 수업의 실효성 부분, 수업의 효과 그리고 팀 활동 효과, 역량향상 효과에서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었다. 하지만 세 연구 모두 연구의 대상이 제한적이고 통제집단이 없으며, 수업의 효과성도 설문조사 결과에 의한 단순 조사로 이루어져 한계가 있다. 앞으로 조사방법이 다양화되 고 구체화 되어, 특정 상황에 대한 종속 변인을 다양하게 접목하여 종합적으로 검토해야 할 필요가 있다. 향후 수업 개선을 위한 정량적 지표와 교과목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하다는 면에서는 교육적 함의가 있다. This study simultaneously studies the effects of PBL-applied subjects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PBL-applied portfolio making classes on professional knowledge acquisition and competency enhancement, and the study subjects are all different. The research is 'Effect of PBL teaching method based on flipped learning in 3D CAD class', 'CAE learning effect using PBL', and 'Effect of portfolio making class applying PBL'. A study on the effect of 3D CAD class using flip-learning-based PBL on professional knowledge acquisition and competency enhancement is a 'vehicle CAD practice' subject to which flip-learning-based PBL is applied to third-year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Mechanical, Automobile, Robotic Components Engineering, Dong-Eui University. Implemented the class and analyzed the responses of the survey. Students were found to b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subject, teaching method, and non-face-to-face information exchange, and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on improving problem-solving ability, communication abilit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responsibility, and sincerity in the course acquisition process. The study of the effect of CAE classes using PBL on professional knowledge acquisition and competency was conducted by applying PBL to the CAE class, a one-year course of 3rd year students of the Department of Automotive Engineering at Dong-Eui University, and using the answers of the surveys conducted in the first and second semesters.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urvey by semester, it was found that the second semester's class satis action was high with a significant difference, and the satis action was high in the evaluation of non-face-to-face information exchange and team activities. It was evaluated to have a positive effect in enhancing individual competencies such as knowledge acquisiti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problem-solving ability, and communication ability. To study the effect of portfolio making class applying PBL on acquisition of professional knowledge and enhancing competency, a survey was conducted with portfolio class making class applied with PBL applied to students in their 3rd year or higher in all majors of Dong-Eui University. There were 29 questionnaire items for portfolio evaluation, class evaluation, team activity evaluation, and competency improvement evaluation, and 28 items showed a score of 4 or higher, with 'Mostly agree' and 'Strongly agree' ' The number of students who responded to ' was high, ranging from 10 to 16 students. In this study, the PBL teaching method based on flipped learning in the 3D CAD class and the CAE learning effect using PBL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dividual competency improvement such as knowledge acquisition, self-directed learning, and problem-solving ability of the PBL teaching method. Portfolio making class applied with PBL class showed high satis action in the effectiveness of class, class effect, team activity class, and competency improvement effect, showing the effect of PBL class. However, all three studies have limited research subjects and no control group, and the effectiveness of classes is limited as they consist of a simple survey based on the survey results. In the future, as the research method is diversified and specified, it is necessary to comprehensively review it by combining various dependent variables for a specific situation, and it can be used as a quantitative indicator for future class improvement and basic data for course operation. It has educational implications.

      • 도시유출 해석을 위한 시험유역의 개발과 수문시스템 구축

        김남길 東義大學校 一般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는 시험유역을 선정하여 기초자료를 수집하고, 모형의 검정을 통하여 적용성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시험 유역의 위치는 부산광역시 가야동 일대의 동의대학교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시험유역의 기초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지형 조사와 측량을 수행하여 시험유역의 면적과 불투수층면적등 소유역별재원를 조사·정리하였다. 이 결과를 토대로 수계도 작성하였다. 또한 수문자료의 수집을 위해 실측 우량자료는 1998년에 동의대학교 공과대학옆 공장 옥상에 설치되어 있는 환경 모니터링장치(EMS)를 이용하였으며, 실측 수위자료는 2000년 6월에 동의대학교 시험유역의 최종 유출부 지점에 설치된 자동수위 관측계(AWS-DEU)〔Automatic Waterlevel Station - DongEui Univ.]를 통해 측정하였고, 실측유속자료는 최종방류구 지점에서 측정하여 수집·정리하였다. 이것을 토대로 최종유출지점에서의 유출량을 계산하여 수위-유량관계곡선식(Rating Curve)을 산정하였다. 또한 모형의 검정을 위해 2000년 6∼9월 사이의 실측강우자료를 토대로 6월 26일, 7월 14일, 8월 4일, 9월 16일을 event로 선정하여 수위-유량 관계곡선식을 이용하여 실측유출량를 계산하였다. 위의 계산결과를 바탕으로 event별 실측유출량을 기준으로 RRL방법, ILLUDAS모형에 대한 총유출량, 첨두유출량과 도달시간으로 각각 비교분석하였다. 위의 과정을 분석해 봄으로써 장차 본 연구에서 제외된 E유역를 포함한 유출 양상과 시험유역의 발전 양상에 따른 유출변화 양상등을 연구하는데 기본 자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The object of this study is collecting basic data, by selecting a test basin and checking the application, through the model of verification of those data. The location of test basin is Dong-Eui University, Gaya Dong, Pusan, Korea. For the collecting of basic hydrologic data of test basin, topography inquiry and survey was conducted, and sub-basins data, such as areas of test basin and impervious layer, were arranged. On the basis of that result, a drainage pattern was drawn up, and for the collection of hydrological data such as the rainfall data and the water-level data-EMS, installed at Dong-Eui Univ. in 1998, and AWS-DEU(Automatic Water-level Station-Dong-Eui Univ), installed at the point of the end discharge an opening of test area, are in operation, and the measurable velocity data was collected and classified at the point of the end outflow an opening. Through those process, an discharge was calculated at the point of an outflow situation, and Rating curve was drawn up. For the verification of this model, the collected rainfall data, logged at 6/26, 7/14, 8/4, 9/16, 2000 were picked out as events and using Rating curve, the discharge data was computed. The discharge was compared and analyzed in total runoff, peak discharge, and travel time using by RRL method and ILLUDAS model. By analyzing those process,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phase of the runoff variation caused by change of test basin, in the future.

      • 대학 평생교육원 성인학습자의 참여지속 행동의도에 관한 연구 : 참여 의도, 학습 환경, 프로그램, 교육기관 내 관계를 중심으로

        안정아 동의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23

        평생교육에 대한 수요증대는 평생교육기관의 증가로 이어졌고, 성인학습자가 가장 선호하는 대학 평생교육원 역시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대학 평생교육원은 다른 평생교육기관에 비해 인적ㆍ물적 교육자원이 풍부하며, 전문화된 프로그램이 많다. 더불어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 외에 도서관을 포함한 기타 학교 시설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학교를 개방함으로써 교육복지를 실현한다. 이러한 이유로 성인학습자들은 대학 평생교육원을 선호하여 왔다. 그러나 평생교육이 활성화됨에 따라 다른 평생교육기관의 프로그램도 다양화ㆍ특성화ㆍ전문화되면서 대학 평생교육원은 경쟁 위기에 직면하게 되었다.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학 평생교육원의 참여지속 및 재등록의도와 관련된 영향요인을 찾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지만, 다양한 영향요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한 연구는 부족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평생교육기관의 참여지속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진 학습 환경, 프로그램, 교육기관 내 학습자의 관계와 대학 평생교육원 내 성인학습자의 참여의도 및 참여지속 행동의도와의 구조적 관계에 대해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에서 사용한 측정도구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하였고, 부산 소재 4개의 대학 평생교육원에 400부를 배포하여 이 중 341부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18.0과 AMOS 18.0을 활용하였고, 제시된 2개의 구조모형으로 경로분석과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평생교육원의 학습 환경, 프로그램, 교육기관 내 관계와 더불어 매개변수인 참여 의도는 종속변수인 참여지속 행동의도로 직접 이어질 때 즉, 독립변수 및 매개변수와 종속변수를 1:1 관계로 관계를 볼 경우 모든 경로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독립변수인 학습 환경, 프로그램, 교육기관 내 관계에 대한 매개변수인 참여 의도의 매개 효과는 없었다. 독립변수가 참여 의도를 매개로 참여지속 행동의도에 이르는 경로와 매개변수 없이 직접 이르는 경로를 모두 분석한 결과, 모든 독립 변수에서 참여 의도는 매개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매개변수를 거지치 않고, 바로 종속변수로 가는 경로계수가 더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대학 평생교육원의 참여지속 행동의도로 이르는 핵심 경로는 프로그램 → 참여지속 행동의도임을 알 수 있다. 독립변수에서 참여지속 행동의도로 이르는 경로계수 중 큰 영향을 주는 순서대로 나열하면 1순위 프로그램 → 참여지속 행동의도, 2순위 학습 환경 → 참여지속 행동의도, 3순위 교육기관 내 관계 → 참여지속 행동의도와 같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개별적으로 연구되어 왔던 대학 평생교육원 내 성인학습자의 참여지속 행동의도와 관련된 영향요인을 다시 한 번 증명하고, 변수 간의 구조적 관계 및 참여 의도의 매개효과 유무를 밝힘으로써 대학 평생교육원 성인학습자들의 중도탈락을 방지하고 지속적 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의의가 있다.

      • 대학 기록물 관리를 위한 공유드라이브 관리 가이드라인 설계

        배주연 동의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23

        It is essential to introduce an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system to secure an organization’s systematic records management and long-term preservation. And yet, in small-to-medium-sized organizations like universities in South Korea, it is not easy to operate the system because of system installation costs and various internal/external circumstances. Thus, this study would introduce a shared drive as an alternative technology that can be utilized when an organization would systematically manage records produced in the organization, design and present shared drive management guidelines for records management. For this research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cases of the shared drive management guidelines for the overseas records management and reviewed the functional requirements for the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system to review the limitations of the utilization of the shared drive for records management. Based on the result, this study designed the shared drive management guidelines for the records management of universities. The research methods and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or the theoretical and technical reviews on the shared drive, this study investigated preceding studies at home and abroad and assessed the concept and types of the shared drive and the fields of its utilization through them. Unlike overseas, in South Korea, there are few cases of the utilization of the shared drive for records management, but it was noted that leading institutions in foreign countries utilized the shared drive as an alternative to the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system. In addition, this study theoretically reviewed the functional requirements for the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system and understood that there might be major limitations in security and audit trail when the shared drive would be used in the field of records management, in advance. Moreover, to design the shared drive management guidelines for the records management of universities, this study analyzed the cases of records management in foreign universities using the shared drive. The cases of York University, Canada; Curtin University, Australia; and the University of Wisconsin, the U.S, a case of public institution United Nations and a case in Tasmania were analyzed. As a result, there were 16 main components of the guidelines: ‘responsibility’, ‘access and security’, ‘disposal’, ‘education’, ‘file renaming’, ‘shared drive structure’, ‘file plan’, ‘existing or legacy data’, ‘monitoring’, ‘inventory category setting’, ‘folder and sub-folder mapping in CRS’, ‘maintenance’, ‘searching and browsing’, ‘email management’, ‘migration’ and ‘information management rules.’ Of them, excluding the items that each institution applied suitably for its individual circumstances, including ‘folder and sub-folder mapping in CRS’, ‘existing or legacy data’, ‘setting up inventory category’ and ‘maintenance,’ 12 remaining items were drawn as the main components of the design of the guidelines. Especially, to supplement the limitations that might occur when the shared drive would be utilized in records management, as assessed in the theoretical review and case analysis, this study designed the items, ‘disposal’, ‘access and security’, ‘searching and browsing’ and ‘email management,’ supplementing them as the items related to the functional requirements for the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system. As a result, in the guidelines designed in this study, the 12 main components consisted 24 sub-items of ‘responsibility’; 13 of ‘disposal’; eight of ‘access and security’, ‘shared drive structure’ and ‘file plan’ each; 17 ‘file renaming’; six of ‘information management rules’; three of ‘education’; two of ‘monitoring’; seven of ‘searching and browsing’; five of ‘email management’ and lastly, four of ‘migration.’ The shared drive management guidelines for the university records management proposed in this study can be a useful reference when the shared drive would be utilized as an alternative to the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system. As a result, the basis for the transfer of archives without difficulty can be prepared by managing the university records management temporarily but systematically, which may be neglected due to the absence of the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system when the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system would be introduced in the future. However, since the shared drive is not a system optimized for records management, it cannot completely substitute the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system, and apparently, there would be technical limitations in preserving archives for a long time, maintaining the reliability, integrity, authenticity and availability of them. 조직의 체계적인 기록물 관리와 장기적인 보존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전자기록관리시스템 도입은 필수적이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의 대학과 같이 중소규모의 조직에서는 시스템 도입 비용과 다양한 내외부적인 상황으로 인해 시스템 운용이 쉽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자기록관리시스템을 도입하지 못한 국내의 대학이, 조직 내 생산되는 기록물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자 할 때 활용할 수 있는 대안 기술로 공유드라이브를 소개하고 기록물 관리를 위한 공유드라이브 관리 가이드라인을 설계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국외의 기록물 관리를 위한 공유드라이브 관리 가이드라인 사례를 조사・분석하였고 그러한 활용의 한계를 검토하기 위해 전자기록관리시스템 기능요건을 함께 검토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대학의 기록물 관리를 위한 공유드라이브 관리 가이드라인을 설계하였다. 연구 방법과 그 결과를 구체적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공유드라이브에 대한 이론적, 기술적 검토를 위해 국내외 선행연구를 살펴보았고, 이를 통해 공유드라이브의 개념과 유형, 그리고 활용 분야를 파악하였다. 국외와 달리 국내에서는 기록물 관리를 위한 공유드라이브 활용 사례가 거의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지만 국외 유수 기관들에서 전자기록관리시스템의 대안으로 공유드라이브를 활용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전자기록관리시스템의 기능요건을 이론적으로 검토하여 기록물 관리 분야에서 공유드라이브를 활용할시, 보안과 감사증적에 주요한 한계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사전에 파악하였다. 그리고 대학의 기록물 관리를 위한 공유드라이브 관리 가이드라인을 설계하기 위해 국외의 공유드라이브를 이용한 대학의 기록물 관리 사례를 분석하였다. 사례 대상으로는 캐나다 요크 대학교(York University), 호주 커틴 대학교(Curtin University), 미국 위스콘신 대학교(University of Wisconsin)와 추가로 공공기관인 유엔(United Nation)과 타즈매니아 주정부(Tasmania)의 사례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가이드라인의 주요 구성항목은 ‘책임’, ‘접근 및 보안’, ‘처분’, ‘교육’, ‘파일 명 변경’, ‘공유드라이브 구조’, ‘파일 계획’, ‘기존 또는 레거시 데이터’, ‘모니터링’, ‘인벤토리 범주 설정’, ‘폴더 및 하위폴더를 CRS에 매핑’, ‘유지’, ‘검색 및 탐색’, ‘이메일 관리’, ‘마이그레이션’, ‘정보관리 규정’의 16개로 나타났다. 이 중 각 기관이 개별적인 상황에 맞게 적용시킨 항목인 ‘폴더 및 하위 폴더를 CRS에 매핑’, ‘기존 또는 레거시 데이터’, ‘인벤토리 범주 설정’, ‘유지’를 제외한 나머지 12개의 항목을 가이드라인 설계의 주요 구성항목으로 도출하였다. 특히 이론적 검토 및 사례분석에서 파악된 공유드라이브를 기록물 관리에 활용할시 발생할 수 있는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처분’, ‘접근 및 보안’, ‘검색 및 탐색’, 그리고 ‘이메일 관리’ 항목은 전자기록관리시스템의 기능요건의 관련된 항목들로 보완하여 설계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설계한 가이드라인은 12개 주요 구성항목에, ‘책임’은 24개, ‘처분’은 13개, ‘접근 및 보안’, ‘공유드라이브 구조’, 그리고 ‘파일 계획’은 각 8개, ‘파일 명 변경’은 17개, ‘정보관리 규정’은 6개, ‘교육’은 3개, ‘모니터링’은 2개, ‘검색 및 탐색’은 7개, ‘이메일 관리’는 5개, 마지막으로 ‘마이그레이션’은 4개의 세부항목들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대학 기록물 관리를 위한 공유드라이브 관리 가이드라인은 전자기록관리시스템 대안으로 공유드라이브를 활용하고자 할 때 유용한 참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그 결과 전자기록관리시스템 부재로 인해 방치되고 있을 대학 기록물 관리를 임시적이겠지만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추후 전자기록관리시스템을 도입할 시 기록물들을 어렵지 않게 이관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 그러나 공유드라이브는 기록물 관리에 최적화된 시스템이 아니기 때문에 전자기록관리시스템을 완전히 대신할 수 없고 기록물의 신뢰성, 무결성, 진본성 및 이용가능성을 유지하면서 장기간 보존하기에는 분명히 기술적 한계가 있을 것이다.

      • Dominick Argento의 연가곡 「Six Elizabethan Songs」에 대한 연구

        허지은 동의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23

        원주민과 이민자에 의해 이루어진 미국이라는 사회에서 음악의 역사는 그다지 길지 않다. 그 중에서도 예술가곡이라 일컬을 수 있는 미국 가곡들은 겨우 19세기 중엽 이후부터 규칙적으로 작곡되어지기 시작했다. 이 시기 유럽에서 신대륙으로의 수많은 이민이 미국 음악문화의 기초를 만든 계기였으므로 초기의 미국 음악은 유럽 음악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더구나 가곡 작곡은 경제적인 보상이 있는 것도 아니었고 미국 성악가들이 유럽의 가곡들, 특별히 리트들을 부르는 것을 더 선호한 까닭에 대부분의 작곡가들이 가곡 문헌을 생산하는 데에 관심이 없었다. 이런 상황에서 미국 가곡이 그 자체의 고유한 영역으로 나오기까지는 거의 반세기가 걸렸다. 20세기 후반으로 접어들면서 미국 작곡가들이 가곡 작곡으로 이끌렸고 미국의 예술가곡은 민속적인 양식을 바탕으로 발전하면서 유럽의 영향에서 점차 벗어나게 되었다. 도미니크 아르젠토(Dominick Argento, b. 1927)는 미국의 가장 뛰어난 현대 작곡가들 가운데 하나로 서정적 오페라의 주도적인 작곡가이다. 그는 인간의 목소리에 대한 자신만의 심오한 철학과 집착으로 성악음악 작곡에 매진하였으며, 그의 엄청난 성악에 대한 지식을 증명해주듯 주요 작품들은 성악음악이다. 아르젠토의 작곡 스타일은 본질적으로 전통적인 것을 따랐으며 문학 작품에 대해서도 능통하여, 광범위하고 다양한 품위있는 문장구조들은 그의 성악 라인과 완벽하게 균형을 이루고 있다고 평가받는다. 「Six Elizabethan Songs(엘리자베스 시대의 6개의 노래)」는 아르젠토의 작품 중 가장 인기있고 또한 가장 많이 연주되는 작품이다. 이 작품은 그의 두 번째 연가곡으로 1957년 작곡되었는데, 엘리자베스 시대의 다섯 명의 작가들에 의한 서정시를 가사로 사용하였다. 이 연가곡은 고전적인 내용을 바탕으로 현대적인 음악 기법을 결합시킴으로써 양면성을 두루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연구해 볼 가치가 충분하다고 본다. 또한 성악가의 장점들이 잘 드러날 수 있도록 배려한 것 뿐 아니라, 피아니스트의 재치있고 능숙한 기교를 요구한다는 점에서도 연구의 중요성은 매우 높다. 이 곡은 두 가지 버전의 반주가 존재한다. 1957년 작곡 당시 피아노반주로 된 것과, 1962년 작곡가 본인이 직접 편곡한 바로크 앙상블반주가 그것이다. 앙상블 편곡은 플루트, 오보에, 바이올린, 첼로, 하프시코드로 구성되어있는데, 현재 출판되어 있지 않지만 2004년 발표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반주학과 김영인의 논문에 수록된 악보의 복사본과 2008년 발표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성악과 김하나의 논문에 수록된 악보의 필사본을 참고로 하여 연구하였음을 밝혀둔다. 가곡은 음악적인 요소를 분석하기에 앞서 가사의 내용을 파악하는 것이 우선시되므로, 각 곡의 분석에 앞서 시의 원문을 고전 문학 전집들의 번역을 참고로 개별적으로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시의 내용을 담아내는 성악 선율과 반주의 연계성을 연구하고, 또한 피아노와 앙상블 편곡 반주와의 비교를 통해 피아노로 반주할 때 참고할 수 있는 요소를 함께 파악하여 바람직한 연주를 하기 위한 연구를 중점적으로 해보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