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부동산 전세시장의 가격발견기능에 관한 연구 : 부산·경남지역 중심으로

        김영경 경남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55

        동 연구는 국내 부동산시장 중에서 부산, 경남 및 울산지역 내 아파트 매매와 전세시장 사이의 선도-지연 관계 분석을 통하여 우리나라 동남권 지역 내 아파트 매매와 전세시장 사이의 가격발견기능을 분석함으로써 지역 내 아파트 실거주자와 투자자들의 투자전략과 리스크관리전략 수립에 정책적인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전세 분석 기간은 2008년 6월부터 2019년 2월까지 주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와 전세가격지수를 이용하여 단위근검증, 공적분 검증 및 벡터자기회귀모형 및 그랜즈인과관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부산, 울산 및 경남지역 아파트 매매가격과 전세가격 지수 수익률의 안정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요한센공적분검증을 실시하였다. 단위근 검증 결과 부산, 울산 및 경남지역 아파트 매매가격지수와 전세가격지수 수준변수들은 대부분 단위근이 존재하는 불안정한 시계열들이지만 로그 차분된 부산, 울산 및 경남지역 아파트 매매와 전세가격지수들은 모두 안정적인 시계열로 나타났다. 둘째, 부산, 울산 및 경남지역 아파트 매매와 전세가격지수 수준변수사이의 공적분 관계를 요한센 검증을 통하여 실시한 결과 전체적으로 각 변수사이에는 장기적인 균형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창원지역 아파트 매매시장과 전세시장 사이의 장기적인 균형 관계를 분석한 결과, 두 시장 사이에도 공적분 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그랜즈 인과관계 분석을 통하여 부산, 울산 및 경남지역 아파트 매매와 전세시장 사이의 단기적인 정보전달 체계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지역 매매와 전세시장은 경남과 울산지역 매매시장에, 경남과 울산지역 전세시장은 부산지역 매매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남지역 매매시장은 울산지역 매매시장과 부산지역 전세시장으로부터 영향을 받고 있으며 경남지역 전세시장은 부산과 울산지역 매매와 전세시장으로부터 모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매매시장 ⇒ 울산매매시장 경남/울산전세시장 ⇒ 울산매매시장 부산전세시장/울산매매시장 ⇒ 경남매매시장 울산전세시장 ⇒ 부산매매시장 경남전세시장 ⇒ 부산/울산전세시장 부산/울산 매매시장 ⇒ 경남전세시장 부산 및 울산 전세시장 ⇒ 경남전세시장 이러한 실증분석결과는 부산, 울산 및 경남 등 국내 부동산시장 참가자들과 부동산 정책 담당자들의 의사결정에 다소나마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is paper has investigated the lead-lag relationship between Pusan metropolitan city, Ulsan and Gyeongsannam-do province’s real estate trading and rental markets. The sample period is covered from June, 2008 to February, 2019. We made use of the weekly APT trading and rental price index data. To test the dynamic inter relationship between Pusan, Ulsan and Gyeongnam APT trading and rental markets, we introduced VAR, VECM and Granger causality test. The major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e studied the stationarity of weekly APT trading and rental price index data with ADF(augmented dickey fuller) and PP(philips-perron) tests. According to the unit root test, most of the level data of the level data of Pusan, Ulsan and Gyeongnam APT trading and rental markets are non-stationary, but the returns data of Pusan, Ulsan and Gyeongnam APT trading and rental markets are all stationary. Second, we find that there is a long-run equilibrium relationship among the level data of the level data of Pusan, Ulsan and Gyeongnam APT trading and rental markets Third, there is a feed-back information transmission among the return data of the Pusan, Ulsan and Gyeongnam APT trading and rental markets. From these empirical results, we infer that there is a co-movement among the returns of Pusan, Ulsan and Gyeongnam APT trading and rental markets. For the stabilization of Korean real estate market, it is more effective for the government policy makers to manage properly the short-term interest rate as well as bank loan markets.

      • 慶南地域의 企業 메세나 活動과 活性化 方案

        김혜진 경남대학교 경영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55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라는 관점에서 출발한 기업 메세나 활동은 이제 기업의 이미지 제고와 삶의 질 향상이라는 측면에서도 기업의 중요한 활동의 하나가 되었다. 선진국에 비해서 비교적 짧은 역사를 가지고 있는 우리나라의 기업 메세나 활동은 이제 초창기 수준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우리나라의 기업 메세나 활동을 정리해 보고, 특히 경남지역의 기업 메세나 활동에 대하여 그 현황과 향후 발전을 위한 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우리나라에서 체계적으로 기업 메세나 활동이 시작된 것은 1994년 한국메세나협의회가 발족되면서부터라고 할 수 있다. 경남에서는 지역단위로는 처음으로 2007년 10월에 경남메세나협의회가 창립되어 경남지역의 기업 메세나 활동을 주도하고 있다. 경남지역 기업의 메세나 활동은 현재 설립 초창기라고 할 수 있는데도 불구하고 비교적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하지만 주로 대기업과 중견기업 위주로 활동하고 있는 것은 활동의 한계성을 가져 올 수 있는 약점이 있으며, 경남지역만의 특색을 나타내지 못하는 점은 과제라고 할 수 있다. 경남지역의 기업 메세나 활동을 활성화 하기 위해서는 첫째, 기업에 대한 제도적인 뒷받침으로 메세나 활동에 관한 인센티브 제도를 확립하고, 둘째, 메세나 활동과 관련된 기관들의 유기적인 협조가 필요하며, 셋째, 대기업 위주에서 벗어나중소기업까지 포함하는 기업들의 인식전환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경남 보육시설 평가인증 조력에 대한 인식과 요구

        강미옥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보육시설 평가인증 자체점검과정 중 조력과정에 대한 인식과 요구도를 보육시설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문헌 연구, 전문가의 의견 수렴, 설문 조사 등의 방법으로 추진한 결과를 분석하여 평가인증의 질적 수준 향상 및 경남지역의 평가인증 조력에 대한 앞으로의 발전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경남지역 보육시설 평가인증 통과시설 및 현재참여시설과 참여예정시설의 보육시설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SPSS 14.0을 이용하여 일반빈도와 백분율 및 표준편차 그리고 카이제곱 검증(-검정), 일원배치 변량분석을 적용하여 차이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남의 보육시설 평가인증 조력실태를 알아본 결과, 평가인증 현재 참여시설 및 참여예정시설보다 통과시설의 보육시설종사자들이 경남의 보육정보센터에서 파견한 조력전문가에게 현장방문조력을 더 많이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남의 보육시설 평가인증 조력에 대한 인식 조사를 한 결과, 평가인증 참여시 경남의 보육정보센터 조력이 도움되었다는 답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모든 보육시설에서 경남의 보육정보센터 조력에 도움이 된다는 것에는 이견이 없으나 현재 참여시설과 참여예정시설에서의 평균이 통과시설보다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경남의 보육시설 평가인증 조력에 대한 요구 분석 결과, 평가인증 지표에 근거한 객관적인 평가능력을 가진 현장방문조력자에게 1회 이상 현장방문조력 받기를 요구하였다. 평가인증 통과시설과 현재참여시설 및 참여예정시설에 따라 조력에 참여한 동기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This research tries to provide basic data for groping development plan to rise quality of the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system and to assist in that process of Gyeongnam province, with analyzing the result of conducting research recognition and demands about assisting process appeared when the facility checks the test of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by itself, targeting the workers, who work in child-care facilities, by literaturere search, gather experts’opinion and survey. The objects of this research are the workers of the facilities, which hadpassed or are participating now of or will participate the test of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of a child-care facility in Gyeongnam province. Surveying them, I examined general frequency, percentage and standard deviation using SPSS 14.0 and examined differences applying chi-square verification (x2-verification) and one-way ANOVA.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The first, as the result of investigating actual condition of the assist to the test of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of Gyeongnam child-care facilities, workers of passed facilities had more visiting assist from assistants dispatched from Gyeongnam nurture information center than on going facilities’or planed facilities’ ones. The second, as the result of the research for recognition about assist for the test of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of Gyeongnam child-care facilities, the prevailing answer was that it was helpful when they were testing, the assist from Gyeongnam nurture information center. However, as on going facilities and planed facilities showed higher average, there are meaningful statistical differences, there isn’t dissenting about the result that assists are helpful for all of child-care facility though. The third, as the result of the research for demands about the assist for the test of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of Gyeongnam child-care facilities, facilities want more than one time of visiting assist by assistant who can evaluate fairly based on the index of the test of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About the motive of participation, there were meaningful statistical differences among passed facilities and on going facilities and planed facilities.

      • 경남 지역 탈놀이의 변이 양상 연구

        김지민 慶南大學校 2017 국내박사

        RANK : 248655

        본고는 무굿의 순차 구조에 따라 연희되는 마산오광대가 경남 지역 탈놀이의 원형이라 보고 이를 바탕으로 연희본의 변이양상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먼저 경남 지역 탈놀이의 존재 양상과 무굿적 의미를 살펴본 후 경남 지역 탈놀이에서 연희되는 일곱 과장의 변이 양상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Ⅱ장은 제의에서 연희로, 연희에서 무대 공연물로 정착한 경남 지역 탈놀이의 존재 양상을 파악하였다. 경남 지역 탈놀이가 무대 공연물로 정착하게 된 요인을 밝히기 위해 공간적 맥락·시각적 맥락·청각적 맥락·오락적 맥락으로 항목을 나누어 분석하였다. Ⅲ장에서는 경남 지역 탈놀이가 지니고 있는 무굿적 의미를 연희 과장을 통해 분석하였다. 경남 지역 탈놀이의 과장 구성이 무굿의 순차 구조와 동일하게 연행되고 있다는 점을 들어 각각의 기능적 의미를 파악하였다. Ⅳ장에서 연희 과장의 변이 양상을 고찰하기 위해 경남 지역 탈놀이 15종의 연희 과장을 면밀히 분석하여 각 과장에서 일어나는 서사 변화를 밝혀내었다. Ⅴ장에서는 경남 지역 탈놀이 연희본의 서사 변이에 따른 의미 변개가 무엇인지 고찰하였다. Ⅳ장의 분석을 토대로 일곱 과장에 공통적으로 드러나는 주술적이고 제의적인 기능이 약화되는 요인과 오락적이고 유희적인 기능으로 변화하는 요인을 규명하였다. 종합해 보면 경남 지역 탈놀이 중에서 일곱 과장이 모두 연희되는 마산오광대는 경남 지역 탈놀이의 전형(典型)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마산오광대의 과장 순서는 무굿의 기본 제차와 동일하였다. 경남 지역 탈놀이에 연희되는 일곱 과장을 다음과 같이 무굿에 대응시킬 수 있다. 첫 마당으로 연희되는 ‘오방신장 과장’은 굿판을 정화하는 목적을 가진 ‘부정굿’의 특색을 강하게 지니고 있다. ‘중 과장’은 중이 속세로 내려온다는 의미에서 알 수 있듯 신을 맞이하는 ‘청신굿’의 특징을 가진다. 양반이 등장하는 ‘문둥이 과장’과 ‘말뚝이·양반 과장’은 해학과 풍자가 강해 신을 즐겁게 하기 위한 ‘오신굿’과 같다. 또 ‘영노 과장’과 ‘할미·영감 과장’은 풍요와 다산의 기원적 성격이 강해 ‘축원굿’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대개 마지막으로 연희되는 ‘사자 과장’은 신을 보내는 ‘송신굿’의 특성이 뚜렷하게 드러난다. 따라서 경남 지역 탈놀이가 주술성과 제의성을 상실하고 오락성과 유희성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전개되어 변이가 일어났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성과를 밝히기 위해 경남 지역 탈놀이의 전형(典型)이라 할 수 있는 마산오광대를 중심축에 두고 나머지 14종의 연희본에 대한 유형 분류를 하였다. 마산오광대에서 통영 1935년본, 김해 1936년본·2004년본, 진주 1936년본·1997년본을 1차적 변이형으로 확정하였다. 2차적 변이형은 확장형과 축소형으로 나뉜다. 통영 1935년본에서 확장된 것은 통영 1997년본이고, 축소된 것은 고성 1956년본·2011년본이다. 김해 1936년본·2004년본에서 축소된 것은 수영 1936년본·1961년본과 동래 1936년본·1972년본이다. 진주 1936년본·1997년본에서 확장된 것은 가산 1971년본·2004년본이다. Recognizing Masan Ogwangdae, which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sequential structure of Mugut(shaman rituals), as the archetype of mask drama in the Gyeongnam Province, this study aimed to exchange the variation aspects of its script. For that purpose, the investigator first looked into the existential patterns and meanings of Gyeongnam's mask drama as Mugut and conducted detailed analysis of variation aspects of seven scenes performed in it. Chapter II figured out the existential patterns of Gyeongnam's mask drama, which evolved from a service ceremony through play to stage performance in its establishment process. The factors behind its settlement as a stage performance were analyzed in the contexts of space, time, hearing, and entertainment. Chapter III analyzed the meanings of Gyeongnam's mask drama as Mugut through play scenes. As the scene organization of its mask drama was performed in the same sequential structure as Mugut, each of them was examined for their functional meanings. In an effort to understand the changing patterns of play scenes, Chapter IV analyzed closely 15 play scenes of the mask drama in the Gyeongnam region and examined narrative changes in each scene. Chapter V traced the meaning changes according to the changing narratives of mask drama scripts in the Gyeongnam Provinc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Chapter IV, it identified the factors behind the weakening shamanistic and ritualistic functions and the changing entertaining and playful functions common among the seven scenes. In short, Masan Ogwangdae, which is the mask drama of Gyeongnam that performs all of the seven scenes, is the model of Gyeongnam's mask drama. In addition, the scene order of Masan Ogwangdae was the same as the basic order of Mugut. The seven scenes performed in Gyeongnam's mask drama may correspond to Mugut as follows: the "Obangsinjang(dance of the gods to keep the five away) scene," which is performed in the first scene, is strongly characterized by the features of "Bujeong Gut(ritual to purify)" performed to purify the Gut venue; the "Monk scene" has features of "Cheongsin Gut(ritual to welcome the god)" to welcome the god as it signifies a monk's descent to the secular society; the "Mundungi(leper) scene" and the "Malttugi(the servant) and Yangban(the nobility) scene," both of which feature the Yangban, are similar to "Osin Gut(ritual to entertain the God)" performed to entertain the God for their strong humor and satire; the "Yeongno(legendary monster) scene" and the "Halmi-Yeonggam(the senior husband and wife) scene" have features of "Chukwon Gut(ritual to pray to God)" for their strong prayer for abundance and fecundity; and the "Saja(the lion dance) scene," which is usually performed last, has clear features of "Songsin Gut(ritual to send the God)" performed to see the God off. Those findings indicate that there was a shift in the mask drama of Gyeongnam Province as it lost its shamanistic and ritualistic features and sought after entertainment and playfulness. In an effort to shed light on those findings, the study categorized the remaining 14 scripts with Masan Ogwangdae, which is the archetype of Gyeongnam's mask drama, at the center. Its first variation forms include Tongyeong Ogwangdae(1935 script), Gimhae Ogwangdae(1936 and 2004 scripts), and Jinju Ogwangdae(1936 and 1997 scripts). Its second variation forms were divided into extended and reduced ones. The extended form of Tongyeong Ogwangdae(1935 script) was Tongyeong Ogwangdae(1997 script), and its reduced forms were Goseong Ogwangdae(1956 and 2011 scripts). The reduced forms of Gimhae Ogwangdae(1936 and 2004 scripts) were Suyeong Yaryu(1936 and 1961 scripts) and Dongnae Yaryu(1936 and 1972 scripts). The extended form of Jinju Ogwangdae(1936 and 1997 scripts) was Gasan Ogwangdae(1971 and 2004 scripts).

      • 기술창업 성공을 위한 창업지원 정책에 관한 연구

        김민재 경남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55

        지속적 경기 침체와 저조한 고용의 수준을 개선하기 위한 경제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여 국가 경제 질적 성장을 유도 가능케 하는 경제 주체로 중소기업 역할이 주목받고 있다. 그리고 정부는 창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으로 예비창업자를 육성하고 창업을 장려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에 관한 관심이 대기업에서 창업기업 중심으로 변하는 현상과 창업에 대한 인식의 변화에 대해 살펴보고 경남지역의 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을 대상으로 창업자의 정보와 애로사항, 자금조달 방법 등의 실태조사를 하였다. 경남지역의 창업기업 실태조사를 통해 경남지역의 창업 정책에 대한 수요자의 애로를 파악하여 경남지역의 기술창업 기업에 대한 지원정책의 개선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분석에 활용한 자료는 창업진흥원의 “한눈에 보는 창업 동향” 자료와 도내 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 367개에 대한 설문조사(2019년 6월)를 기반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단기정책으로 첫째, 비대면 방식의 창업지원 체계구축이 필요하고, 둘째, 기업의 생애 전 단계 성장단계별 맞춤식 경남형 창업 트랙 구축과 고도화가 필요하며, 셋째, 온/오프라인 국내 판로개척 지원시스템과 글로벌 창업지원 체계구축이 필요하며, 인력난 문제 해소를 위한 청년-스타트업 인력지원 매칭 프로그램 확대가 필요하다. 중기정책으로 첫째, 경남형 컨트롤 타워와 창업 지원기관의 집적화가 필요하고, 둘째, 경남지역의 Post-BI 공간 마련이 필요하며, 셋째, 경남창조혁신센터 서부센터 기능의 확대가 필요하고, 넷째, 창조경제혁신센터의 인력 재구조화가 필요하다. 장기정책으로 첫째, 도내 대기업, 공공기관과 스타트업과의 연계 협력사업 강화를 위한 경남도의 주도적 역할이 필요하며, 둘째, 경남 액셀러레이터 확대와 독자적 창업 투자 지원기관 확충과 고도화가 필요하며, 셋째, 퇴직자 및 고숙련 기술자 등의 창업 연계 방안의 마련이 필요하고, 넷째, 도내 창업지원 기관들의 연계 프로그램 추진이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 경남지역 기술 창업기업의 성공을 위한 정책지원에 대한 여러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서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분석 범위를 경남 도내 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을 대상으로 선정하면서 특정 시점 기준으로 한정된 데이터를 이용한 부분이 연구의 한계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향후 추가적 분석 기간 연장을 통해 더 명확한 기술창업의 성공과 정책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A great deal of attention to the major business entity to cope with the continuous economic recession and the low level of employment rate has been increased the role of small and mediums enterprises(“SMEs”). Korean government facilitate pre-startups and develop post startups as the policy to vitalize the startups. This paper studied the current situation on the basis information, general predicament and the method of raising funds of startups in the business incubation centers of Gyeongsangnam-do Province. We also investigated the changing trend on the recognition to startups as well as the changing attention to startups from big companies. From the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startups, we understand the bottleneck problems of the potential startups on the startup supporting policy by Gyeongsangnam-do and give any policy implication in order to develop the startup programs. Our study is based on the startup develop institutes’s “startup trend at a glance” and the survey materials by the 367 companies which is moved into the business incubator centers of Gyeongsangnam-do Province as of June, 2019. The major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As the short-term policy, First, we think a startup supporting system based on the on-line method is necessary. Second, Gyeongsangnam-do startup track based on the companies’ life cycle and growth stage should be developed and advanced. Third, to set up a new local on/off line supporting system and a global startup supporting system to cultivate a new market is needed. To solve the human resources shortage,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young-startup personel matching program. As the mid-term policy, First, Gyeongsangnam-do’s control tower and startup supporting institutes’ cluster are necessary. Second, a Post-BI system in Gyeongsangnam-do Province should be built up. Third, the function of CCEI’s west center must be expanded. Fourth, a human resources’ restructuring of the CCEI is required. As the long-term policy, First, Gyeongsangnam-do’s role and leadership to build up the cooperative projects among big private company, public company and startup should be strengthened. Second, the expansion of Gyeongsangnam-do’s accelerator and the scale-up of the independent startup investment supporting institution are necessary. Third, the operation of a startup cooperative program with retired and high level engineers is required. Fourth, the startup aiding program among the Gyeongsangnam-do’s startup supporting institutes should be implemented. This study suggested several policy ideas for the success of technology startups. The limitation of this paper is in the usage of Gyeongsangnam-do BI companies data at a specific tim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ample period and companies in order to give a concrete policy implication for the success of technology startups in the further research.

      • 『한글』소재 방언 연구

        심초희 경남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55

        이 논문은 『한글』지에 수록된 방언 조사 자료들을 음운, 문법, 어휘, 구술발화 등의 항목으로 분류하고, 그 중 경남 방언 자료를 다시 음운, 문법, 어휘 등으로 나누어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작성된 것이다. 『한글』지에는 1928년에서 1956년에 걸쳐 총 64호에 방언 자료가 실려 있고, 방언의 개수도 모두 12,547개로 상당히 많은데도 불구하고 아직 『한글』지 소재 방언 조사 자료에 대한 체계적인 정리가 없었다. 이렇게 『한글』지에 방언 자료가 상당한 양으로 실린 것은 우리말의 중요성을 인식하지 않고서는 불가능한 일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시기의 방언 연구는 그 시기적인 한계로 인해 자료 제시에 그치고 있기 때문에, 본고에서는 이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자 한 것이다. 『한글』지는 1927년 8월호(동인지 6호)에 방언 자료를 처음으로 싣기 시작하는데, 이 방언 자료들이 체계적으로 실리게 되는 것은 1935년부터라고 할 수 있다. 1935년의 자료에 나타나는 표제 및 부제가 이후의 자료에서 반복적으로 사용되며, 이 시기부터 자료의 배열도 가나다순 및 주제별로 나타나는 등 이전의 것보다 훨씬 체계적인 모습을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방언 자료도 거의 매 호에 실리는 등 『한글』지에서 방언 자료가 갖는 중요성은 1939년의 자료까지도 계속된다. 그러나 1940년대의 자료부터는 방언 자료가 조금씩 빈약해지는 모습을 보이는데, 1946년에 전국적인 방언 조사로 ‘시골말 캐기’가 3회 실린 것 이외에는 큰 특징을 발견하기 어렵다. 그리고 1956년에 경남 진해 지역의 방언이 실리고 더 이상 『한글』지에는 방언 자료가 나타나지 않는다. 이렇게 『한글』지에 실린 방언 자료들의 시기적인 특징을 간단하게 살펴보고, 그 시기의 방언 자료들을 음운, 문법, 어휘, 구술발화 등으로 분류하였는데, 음운이 262개, 문법이 212개, 어휘가 12,072개, 구술발화가 1개로 어휘가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였다. 그리고 『한글』지에 실린 방언 자료들 중에서 경남 지역의 방언들을 다시 음운, 문법, 어휘로 나누어 각각에 대해서 다시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한글』지에 나타난 경남 지역의 방언 자료들을 분석한 결과, 음운이 61개, 문법이 101개, 어휘가 1,424개로 총 1,586개의 방언 자료가 실려 있었다. 먼저, 음운 관련 자료를 분석하여 경남 지역 방언의 음운적 특징을 잘 보여주는 구개음화(口蓋音化), 비모음화(鼻母音化), 경음화(硬音化), 단모음화(單母音化) 등으로 나눌 수 있었다. 그리고 문법 관련 자료의 경우 크게 정확한 경남 지역의 특징을 보여주는 자료와 그렇지 않은 자료로 나누었다. 그리고 후자를 다시 조사 및 부사, 어미, ‘ㅂ’받침의 어간 등으로 나누어 경남 방언의 문법적 특징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경남 방언의 경우도 어휘 관련 자료가 압도적으로 많았는데, 어휘 중에서도 여러 지역에서 주목받은 것과 한 지역에서만 주목받은 것을 각각 ‘복수형 방언’과 ‘단수형 방언’이라는 이름으로 나누었다. 그리고 이들을 각각 국립국어원(2006)의 분류를 참조하여 14개의 주제로 정리하였다. 『한글』지에 실린 자료들은 1927년~1956년 사이의 경남 방언을 보여주는 것이기 때문에, 이들을 김영태(1975)와 한국정신문화연구원(1993)의 방언 조사와 비교하여 현대 경남 방언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이 논문은 『한글』지에 실린 방언 자료들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 논문에서는 경남의 여러 지역에서 조사된 방언 자료를 모두 ‘경남 방언’으로 간주하여 논의를 전개했기 때문에 경남의 각 지역적 특성에 대해서는 제대로 언급하지 못하였다. 그리고 어휘의 분석의 경우 하나의 주제에 대해서도 연구할 항목이 상당히 많은데도 불구하고 여기에서는 특징적인 것 몇 가지에 대해서만 언급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은 앞으로의 연구과제로 남긴다. This paper classifies dialect study, which is contained in Hangeul, to phoneme, grammar, lexeme, and oral statement. Especiall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m after clssifying Gyeongsangnamdo Dialect to phoneme, grammar, lexeme, and oral statement. Hangeul had contained dialect data from 1928 to 1958, which means there are totally sixty four issues. Even though there are a variety of dialects, 12,547, it have not been done to file the dialect contained in Hangeul. It is impossible that Hangeul had contained a variety of dialects, if not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Korean language. However, at those times, the studies of dialects just presented data because of the limitation of the colonial era, so this paper is to analyze them systematically. Hangeul started containing dialect data in the August 1927 issue (동인지 6th) and it became more systematical to analyze dialect data from 1935, because the title and subtitle used in the August 1927 issue were used repeatedly after that time, and data in Hangeul had categories based on Ga, Na, and Da(가나다) or subjects, which was more systematical than previous researches. In addition, almost every Hangeul contained dialect data after that certain time, and the importance of dialect data continued to 1937. However, the amount of dialect data became less and less after 1940. Hangeul contained only ‘시골말캐기’, which was project to search dialect all over Korea, three times at those times. Furthermore, there was no more dialect data in Hangeul after it contained Gyengsangnamdo Ginhae Dialect in 1956. This paper is to examine dialect data contained in Hangeul based on the period feature briefly, and to classify that data to phoneme 262, grammar 212, lexeme 12,072, and oral statement 1, that is there is the highest portion of phoneme. This paper is to analyze Gyeongsangnamdo dialect systematically after classifying it to phoneme, grammar, and lexeme. In the result of analyzing Gyeongsangnamdo dialect in Hangeul, it contained totally 1,586 dialect data, which consisted of phoneme 61, grammar 101, and lexeme 1424. Firstly, the paper starts from classifying Gyeongsangnamdo dialect to palatalization, nasalization, fortis, shortening, which are well known as Gyeongsangnamdo dialect's feature. Secondly, the paper divides grammar data into two sections. One is about data to explain Gyeongsangnamdo dialect accurately, the other is about not accurate data. After classifying the latter one to postposition, adverb and words to end with ‘ㅂ’, the paper explains Gyeongsangnamdo dialect's feature. In case of Gyeongsangnamdo dialect has amongst the most lexeme-related-data and there are two different kinds of lexeme, which means one is called ‘singular dialect’ examined in one area and the other is called ‘plural dialect’ examined in several areas, and this paper is classify 14 subjects in reference to the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ean Language(국립국어원, 2006) This paper is to compare the dialect data by Kim Youngtae(1975) and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3) with Modern Gyeongsangnamdo dialect and to analyze the relations between them, because the data in Hangeul had contained Gyeongsangnamdo dialect from 1927 to 1956. This paper aims to analyze dialect data systematically and think of the importance of dialect data contained in Hangeul throughout this study. Unfortunately, this paper does not refer the specific features on all of regional dialects in Gyeongsanamdo province because it regards the collections of dialect data searched in severe areas of Gyongsangnamdo as 'Gyeongsangnamdo dialect', and this paper refer a few features on lexeme even though in case of analyzing lexeme, there are a variety of lists for study on a certain subject. I remain this as future study.

      • 중등 정보과학 영재 교육과정에 대한 고찰

        김소희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55

        정보과학 영재 교육과정은 그들의 높은 학업성취 욕구를 충족 시켜줌과 동시에 사고력신장, 특수능력습득, 특정지식습득, 적성강화, 일반능력신장 5가지 교육목표를 골고루 신장시켜 줄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현재 실시되고 있는 정보과학 영재교육기관의 교육내용과 교육일정을 분석하여 문제점들을 지적하고, 정보과학 영재의 잠재력을 이끌어 낼 수 있는 미래형 중등 정보과학 영재 교육 방향을 제시하였다. A curriculum for the gifted students of information science has to satisfy their desires for academic achievement, and to reach five education targets for acquiring ability to think, specific knowledge, specific skills, strengthening aptitude and increasing general ability. In this thesis, we analyze the educational contents and schedule of institution for the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of information science, introduce their problems and propose the direction of education for the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of information science who can bring out their latent force.

      • 경남지역 언론노조운동의 역사적 고찰 - 언론노조운동의 조건별 요인과 성격별 사안 분석을 중심으로 -

        김태석 경남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경남지역 언론노조운동의 역사적 고찰에 관한 것으로, 경남지역 언론사 노조의 주요 활동을 시대 순으로 기술하고, 그 가운데 중요한 87건을 가려낸 뒤 네 가지 변인을 적용해 중앙정치주의적 사안, 중앙경제주의적 사안, 지역정치주의적 사안, 지역경제주의적 사안 등 성격별로 분석한 것이다. 이를 통해 경남지역 언론노조운동의 특징과 공통점을 뽑아냈으며, 아울러 주요활동 87건을 정권별로 분류해 정권별 특징과 공통점을 뽑아냈다. 우선, 경남지역 언론노조들이 창립되고 활동을 시작한 1988년부터 2020년까지 경남지역 방송노조 3곳과 신문노조 4곳의 일지와 성명서, 입장문 등 내부 자료와 이와 관계된 학술연구서, 사사, 그리고 관련 단체들의 자료 등을 모아 문헌 조사를 실시했고, 이후 이를 바탕으로 전·현직 노조 간부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한 뒤, 경남지역 언론노조운동의 역사를 통사적으로 기술했다. 이를 통해 파업 등 쟁의행위를 비롯한 주요 활동 87건을 뽑아낼 수 있었다. 이후 이 활동들의 성격을 규명하기 위해 네 가지 변인, 즉 서울과 지역에 관계없이 전국 공통적인 현안은 중앙주의, 서울과 대립하거나 지역을 위한 현안은 지역주의, 외부적인 조건이나 요인에 의한 현안은 정치주의, 내부적인 조건이나 요인에 의한 현안은 경제주의를 적용해 분석했다. 이를 통해 87건을 중앙정치주의적 사안, 중앙경제주의적 사안, 지역정치주의적 사안, 지역경제주의적 사안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그 결과 중앙정치주의적 사안이 가장 많은 비중(40건, 46.0%)을 차지했다. 방송노조의 사장 퇴진 운동이나 신문노조의 미디어 악법 반대 투쟁이 대표적인 사례인데, 이는 경남지역 언론노조운동이 정권이나 정부 등 정치적 영향을 강하게 받고 있음을 나타낸다고 하겠으며, 언론사들의 경쟁이 치열해 지면서 언론 환경이 악화돼, 방송법이나 신문법 개정 운동 등 이를 극복하려는 연대 활동이 언론노조나 민주노총을 중심으로 강하게 펼쳐지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중앙적, 즉 전국적 사안이 많은 것은 방송노조의 경우 단일노조의 형태를 지니고 있어서, 대부분 중요한 사안들은 공동 활동이나 공동 투쟁을 많이 한다는 점과 함께, 언론노조들이 일반 노동자 단체라는 성격 보다는 정권과 사회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언론인 단체라는 성격을 지니고 있다는 점도 증명한다고 할 것이다. 다음으로는 지역경제주의적 사안이 많은 비중(24건, 27.6%)을 차지했다. 방송노조의 경우 창원-진주MBC 광역화 반대 투쟁이나 KBS 창원 노조의 진주국 구조조정 반대 운동, 신문노조의 경우 임금협상이나 단체협상을 둘러싼 활동이나 투쟁이 대표적인 사례인데, 이는 노동자로서의 가장 기본적인 권리를 찾는 노조 활동이라고 하겠다. 이밖에 위성방송 동시재전송 반대 투쟁, 지역방송과 관련한 방송법 개정 운동, 지역신문 발전지원 특별법 제정 운동 등 지역정치주의적 사안은 14건, 16.1%였으며, 방송사 단체교섭 결렬에 따른 쟁의행위, MBC정상화위원회나 KBS진실과미래위원회 활동 등 중앙경제주의적 사안은 9건, 10.3%로 비중이 가장 낮았다. 지역신문사의 대주주나 경영진은 지역의 기관이나 기업으로 구성되고 노조 활동 역시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활동이므로 신문사 노조의 중앙경제주의적 사안은 없었다. 또한 경남지역 언론노조운동의 주요 활동 87건을 정권별로 분석한 결과, 보수정부 2기인 이명박-박근혜 정권 시기에 파업 등 쟁의행위의 빈도(35건, 40.2%)가 가장 많을 뿐 아니라 강도도 높았음을 알아낼 수 있었다. 민주정부 1기인 김대중-노무현 정권 시기(17건, 19.5%)에는 사장이나 경영진 퇴진 운동의 빈도와 강도가 낮았지만 노동법이나 미디어법 반대 및 개정 운동이 활발했는데, 중앙정치주의적 사안이 20건으로 다른 사안들보다 압도적으로 많았다. 보수 1기인 노태우-김영삼 정권 때는 경남지역 언론사들의 창립 초창기인데다가, 신문노조는 창립되지 않거나 활동을 제대로 하지 않아서 빈도가 낮다고 할 수 있지만, 노태우 정권 하반기부터 언론 장악 기도가 드러나면서 언론노조운동이 점차 격해지는 양상을 보였다. 민주정부 2기인 문재인 정부 들어서는 빈도(16건, 18.4%)가 다시 줄어들었지만, 향후 정권의 교체 여부에 따라 언론노조운동의 빈도와 강도가 충분히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The main study on the historical consideration of the press union movement in Gyeongnam Province described the major activities of the media companies in the order of the times, extracted 87 of them and applied them to four variables, classifying them as centralistic, central and regional and regional economic issues. Through this, it analyzed what characteristics and commonalities the press union movement in Gyeongnam Province has in common. In addition, 87 major activities were classified by administration to extract characteristics and commonalities of each administration. First of all, from 1988 to 2020, when the press unions in Gyeongnam region were founded and started their activities, they collected internal data such as diaries, statements, and statements of the four newspaper unions in Gyeongnam, academic research papers, history, and related organizations, and conducted interviews with former and incumbent union leaders, and then gave a general description of the history of the press union movement in Gyeongnam. Through this, 87 major activities, including strikes and other contentious activities, were selected. Since then, the four variables, namely, "centralism," are common nationwide issues regardless of Seoul and the region, while regionalism, external conditions or factors have applied economicism to analyze them. Through this, 87 cases could be classified as central political issues, central economic issues, regional political issues and regional economic issues. As a result, central political issues accounted for the largest portion (40 cases, 46.0 percent). A case in point is the campaign to oust the president of the Korean Broadcasting Workers' Union and the newspaper union's struggle against the media evil law, which indicates that the media union's movement in Gyeongnam Province is strongly influenced by the government and the government, and that the media environment has deteriorated due to the intensifying competition among media companies, and joint activities to overcome such issues as the broadcasting law and the newspaper law revision movement are strongly centered on the Korean Confederation of the media unions and the Korean Confederation of the Korean Confederation of media. The fact that there are many central and national issues proves that broadcasting unions have the form of a single labor union, and that most important issues involve a lot of joint activities and joint struggles, as well as that media unions are more sensitive to the regime and society than ordinary workers' organizations. Next, regional economic issues accounted for a large portion (24 cases, 27.6 percent). In the case of the broadcasting union, the struggle against the Changwon-Jinju MBC metropolitanization, the KBS Changwon union's campaign against the restructuring of Jinju, and the newspaper union's activities or struggles over wage negotiations or collective bargaining are representative examples, which are labor union activities that seek the most basic rights as workers. In addition, there were 14 cases of regional political issues such as the struggle against simultaneous retransmission of satellite broadcasting, the movement to revise broadcasting laws related to local broadcasting, and the movement to enact a special law to support development of local newspapers, while the central economic issues such as disputes caused by the breakdown of collective bargaining among broadcasting companies, the activities of the MBC Normalization Committee and the KBS Truth and Future Committee, accounted for the lowest portion with nine cases and 10.3 percent. Since major shareholders and management of local newspapers are composed of local organizations and companies, and union activities are targeted at them, there was no central economic issue of newspaper unions. In addition, the analysis of 87 major activities of the press union movement in Gyeongsangnam-do showed that the frequency (35, 40.2%) was high during the second term of the conservative government, as well as the intensity of strikes or disputes. First democratic government, had less time, (17 with a 19.5 percent) CEO Kim Dae-jung or Roh Moo-hyun administration or campaign asking executives and labor laws or bills and oppositionActive exercise. This proves that there were 20 central political issues during this period, overwhelmingly higher than other issues. During the Roh Tae-woo-Kim Young-sam administration, which was the first conservative term, the media labor union movement was gradually intensifying as the media union was not founded or did not perform properly, and the media union was less frequent since the latter half of the Roh Tae-woo administration revealed its attempt to dominate the media. Moon Jae-in, the second phase of democratic government administration frequency with which the switch of power in the future, but decreased back to (18.4 percent and 16) the journalists ' union based on frequency and intensity of exercise is enough.Say shows can be differ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