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현직교사의 교육대학원 교육행정 전공 수학 경험 연구

        석재현 忠南大學校 敎育大學院 2020 국내석사

        RANK : 249695

        The education administration major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s a representative program of the teacher re-education process, but the number of major installations and freshmen is decreasing. The study sought to clarify the meaning of the education administration major 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y analyzing the experience of incumbent teachers in education administration majors. To that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incumbent teachers who studied at the National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hich was operated on a seasonal basi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Motives for applying for the education administration major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urned out to be "Extremely for students," "to see the forest of education," and "a spoonful of promotion." The course experience was shown as "school field rather than theory," "study on the education system," "time of healing camp," "like Argos' eyes," "papers is that student do for oneself" and "fellowship like soldiers". The use of experience has been shown as 'use the knowledge of education administration major in the school field', 'understanding and accepting of education policy', 'understanding and accepting of educational environment' and 'reflection on teaching life'. Through this experience, the meaning of the major in education administration turned out to be "educational administration what we are doing now," while the overall experience in the re-education process 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urned out to be "the sweet and salty experience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교육대학원 교육행정 전공은 교사 재교육과정의 대표적인 프로그램이나, 최근 전공 설치와 신입생 수가 감소하고 있다. 이 연구는 현직교사가 교육행정 전공에서 과연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 분석함으로써 교육대학원 교육행정 전공의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계절제로 운영되는 국립의 교육대학원에서 수학한 현직교사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수행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현직교사의 지원 동기는 ‘궁극적으로는 학생을 위하여’, ‘교육이라는 숲을 보기 위해서’, ‘승진 한 숟가락’으로 나타났다. 과정 경험은 ‘이론보다는 교육현장’, ‘교육시스템에 대한 공부’, ‘힐링캠프의 시간’, ‘아르고스의 눈과 같이’, ‘논문은 스스로’, ‘전우애’로 나타났다. 경험 활용은 ‘교육행정 전공의 지식을 현장으로’, ‘교육정책의 이해와 수용’, ‘교육 환경에 대한 이해도 제고’, ‘교직 생활에 대한 성찰’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험을 통해 교육행정 전공의 의미는 ‘우리가 지금 하는 것이 곧 교육행정’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인 교육대학원 재교육과정 경험은 ‘단짠단짠 교육대학원 경험’으로 나타났다.

      • 초등교사의 교육대학원 재교육과정 경험 연구

        신혜선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95

        2021년, 교육부는 ‘초ㆍ중등 교원양성체제 발전방안’을 발표했으며 주요 내용은 현직교사를 대상으로 한 교육대학원의 재교육 기능을 강화하고, 교원양성 기능을 대폭 축소하겠다는 것이다. 국가의 정책 전략과 더불어 현직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하여 교육대학원의 교사재교육 기능의 강화를 위한 방향과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교육대학원의 교사재교육 기능과 관련하여 교육대학원에서 수학하고 졸업한 초등교사의 경험을 통해 의미를 탐색해 보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 문제는 첫째, 교사는 왜 교육대학원에 지원하는가, 둘째, 교육대학원 재교육과정에서 교사는 무엇을, 어떻게 경험하는가, 셋째, 교육대학원 재교육과정 경험은 교사에게 무엇을 남겼는가. 연구 문제를 다루기 위하여 2011년~2021년 사이에 교육대학원을 졸업한 초등 교사 11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해 심층 면담을 통한 질적 연구 방법으로 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녹음한 면담 내용을 전사해 4차례의 분석 과정을 거쳤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가 교육대학원에 진학하게 된 이유는 인정받는 교사가 되기 위해, 진로를 위한 보험 차원에서, 소진 상태를 회피하기 위해서, 또 특정 교육대학원을 선택한 이유를 통해 교육대학원을 지원하는 동기가 매우 다양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초등교사는 교육대학원의 재교육과정 속에서 학교 현장에 활용되는지에 많은 관심을 나타냈고, 다양한 방식으로 진행되는 수업을 듣고 적응을 하면서 수업을 대하는 태도에 변화를 보였다. 또 대학원 생활에서 논문을 쓰느냐, 쓰지 않느냐에 큰 의미를 두었고, 교과 전공인지 비교과 전공인지에 따라 수업에 대한 인식에 서로 차이가 있는 모습을 보였다. 학교(직장) 생활과 병행하며 공부하는 교사로 어려움을 겪는 모습을 보였고, 교육대학원을 다니는 동안 교육과정 안에서만 교류를 갖는 것이 나타났다. 셋째, 초등교사에게 교육대학원의 재교육과정 경험은 계속 배움의 길로 이어지도록 하였으며, 교육에 대한 시야를 확장시켰고, 학교 현장에 활용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그러한 모습은 연구참여자 중 소수에 해당되었고, 변화의 활용의 모습은 일부분이었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통하여 교육대학원의 재교육기능과 관련하여 논의하였다 .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plays a critical role in retraining in-service teachers and fostering teacher education as a teacher training institution. However, the ambiguous part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as led to problems with diversity in educational curricula, lack of quality management, and ineffective operation due to the mixture of its roles and demands for improvement continued. In 2021, the Ministry of Education established a plan for improvement measures in educating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terms of strengthening re-education of in-service teachers with reduced function for teacher training. Establishing direction and strategy to support the graduate school's re-educating operations to enhance in-service teachers' professionalism with national policies is critical.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studied and graduated from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related to the re-education of teachers and to explore the meaning of it. For this purpose, this paper presented questions as follows. First, why do teachers apply to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cond, what and how do the teachers experience during the re-education process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ird, what do the teachers learn from re-education experience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11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graduated from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etween 2011 and 2021 were chosen as participants for in-depth interviews a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for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with four analysis processes by transcribing the interviews record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reasons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apply to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ere various with motivation to be a recognized teacher, to secure a career, to avoid exhaustion, and to choose a specific graduate school. Secondly,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wed a great interest in whether they were used in the school field in the re-education process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changed their attitude toward classes while taking classes and adapting to courses in various ways. In addition, they put a significant meaning on whether to write a thesis or not in graduate school, and there were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classes depending on whether they were subject courses or extracurricular. In-service teachers had difficulties studying and working simultaneously and only had exchanges within the curriculum while attending graduate school. Thirdly, the experience of re-education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akes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ntinue learning, expanding their educational perspectives and using what they have learned in the school field. However, only a small number of research participants showed such features and utilized such changes Finally, this study discussed the re-education function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rough the research results.

      • 고전문학 작품을 통한 중세국어의 통합적 교육 방안 연구

        윤준식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63

        With an increasing focus on Korean use functions as the go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school grammar that feels rigid and difficult is disappearing from schools. The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of 2009 emphasizes connectedness based on vertical hierarchy among schools and classes and horizontal relatedness within the same grade. The present study therefore conducted research, with a focus on Middle Korean grammar within the area of Korean grammar, on horizontal integrative education in Middle Korean grammar and literature. To activate Middle Korean grammar education, it must be possible to instill in students the awareness that the subject is fun and useful at once. The present study therefore sought to devise teaching and learning plans whereby literary works easily available to students and Middle Korean grammar could be taught in connection. To achieve this goal, the position of Middle Korean grammar in both the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of 2009 and grammar textbooks was examined. First, researchers have actively discussed integrative grammar education and developed divers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However, classical Korean grammar was still found to be neglected. Second, the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of 2009 emphasizes connection and integration among subjects and grades. As for Middle Korean grammar, its importance is understood because the subject can aid the enhancement of the ability to use language correctly and accurately and,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classical Korean texts, lead to correct appreciation. However, actual grammar education graphically reveals the limitation that it remains on the level of briefly presenting only the characteristics from a diachronic viewpoint. To resolve this, the present study presented teaching and learning plans from the viewpoint of integrative grammar education. Existing researchers’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were examined and appropriated to propose an integrative learning model for Middle Korean grammar and classical Korean literature. Literary works that well preserve the characteristics of Middle Korean were selected and analyzed in terms of the grammar and vocabulary. Based on this, a unit integrating grammar and literature for 11th graders was devised. To arouse students’ interest, concrete lesson plans through group learning and task performance learning were planned. Because they can raise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and enable students to acquire grammatical knowledge, hitherto considered tedious, in an easier and more entertaining manner, integrative education plans require further research. As has been presented in the present study, a learning method where students are made to resolve problems after becoming aware of and exploring them through teachers’ guidance will expand students’ experiences, thus further stimulating their interest in classical Korean literature as well. 국어 교육의 목표가 국어사용 기능에 초점이 맞춰지면서 딱딱하고 어렵게 느껴지는 학교 문법은 교육 현장에서 사라지고 있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학교급 간의 수직적 위계성, 학년 내의 수평적 관련성에 근거하여 연계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문법 영역 중에서 ‘중세국어 문법’에 초점을 두고, 중세국어 문법과 문학의 수평적 통합 교육의 측면에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중세국어 문법 교육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학생들에게 ‘재미있다’라는 인식과 함께 ‘유용하다’는 인식을 동시에 줄 수 있어야 한다. 학생들이 쉽게 접할 수 있는 문학 작품과 중세국어 문법을 연계하여 지도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2009 개정 교육과정’과 문법 교과서에 나타난 중세국어 문법의 위상을 살펴보았다. 첫째, 연구자들에 의해 통합적 문법 교육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고전문법은 여전히 등한시 되어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둘째,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과목 간, 학년 간의 연계와 통합을 강조하고 있다. 중세국어 문법 영역의 경우 올바르고 정확한 언어사용능력의 신장을 돕고, 고전 문헌의 해석을 통해 올바른 감상을 줄 수 있다는 데서 그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문법 교육은 통시적 측면에서 간략하게 특징만을 제시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다는 한계를 여실히 드러낸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통합적 문법 교육의 측면에서 교수?학습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기존 연구자들의 교수?학습 모형을 살펴보고, 이를 절충하여 중세국어 문법과 고전 문학의 통합적 교수?학습 모형을 제안하였다. 중세 국어의 특징적 모습을 잘 간직하고 있는 문학 작품을 선별하여 문법과 어휘 위주의 작품 분석을 하였다. 이를 종합하여 11학년을 대상으로 한 문법과 문학의 통합 단원을 구상하였다. 학생들이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모둠별 학습과 과제 수행 학습을 통한 구체적인 수업 지도안을 계획하였다. 통합적 교육 방안은 학습의 효용성을 높일 수 있으며, 학생들이 지루하게 여기던 문법 지식을 보다 쉽고 재미있게 습득할 수 있는 방안이라는 점에서 더욱 연구가 필요하다. 본고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교사의 안내를 통한 문제 인식과 탐구 과정을 거친 후 문제를 해결하는 학습 방법은 학생들의 경험을 확장시켜 고전문학에 대한 흥미도 더욱 유발할 수 있을 것이다.

      • 교육 연극을 활용한 소설 지도 방안 연구

        김의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63

        문학 속에는 인간의 삶과 사회의 모습이 담겨 있다. 따라서 학습자는 문학을 통해 자신의 삶과 사회에 대해 총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작품의 문학적 가치를 자신의 삶에 적용함으로써 문학의 내면화를 이루게 된다. 그러나 교육 현장에서의 문학 교육은 문학 지식만을 강조하는 교사 주도의 강의식 수업으로 인해 학습자는 교사가 전달하는 지식을 '자리에 앉아 교사가 전달하는 지식만을 받아 적는' 수동적인 위치에 머물러 문학의 내면화를 이루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이러한 문학 교육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 중 하나가 교육 연극을 활용한 문학 교육이다. 교육 연극은 연극을 매체로 학습자가 작품 속 인물이 되어 실연을 하는 신체적 체험을 통해 작품을 능동적으로 감상하게 하는 수업 방법이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중학교 3학년 교과서에 수록된 「원미동 사람들」을 중심으로 교육 연극을 활용한 수업 진행을 살펴보았다. 교육 연극을 활용한 「원미동 사람들」교수-학습과정안은 다음과 같은 면에서 효과적인 수업임을 알 수 있다. 첫째, 학습자는 교육 연극 실연을 통해 작품을 능동적으로 이해 할 수 있다. 둘째, 학습자가 작품을 각색하는 과정을 통해 상상력과 창의력을 계발할 수 있다. 셋째, 학습자는 교육 연극 기법을 활용하여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주체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넷째, 학습자는 작품을 자신의 삶과 연관시켜 자신과 자신이 속한 사회의 모습을 총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교육연극을 활용한 수업은 학습자가 작품 속 인물이 되는 신체적 체험을 통해 작품을 향유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수동적이고 소극적인 학습자에서 주체적이고 적극적인 학습자가 되어 문학 작품의 내면화를 이룰 수 있는 수업이다. 또한 작품을 각색하는 과정을 통해 작품 분석 능력의 고양과 창의성과 상상력 계발을 할 수 있으며, 문학 작품을 자신의 삶과 연관시킴으로써 자신의 삶과 사회에 대한 총체적으로 이해하는데 효과적인 수업이다. Literature contains the life of human and image of the society. Therefore, learners can understand their lives and the society comprehensively through literature and internalize literature by applying literary values of works to their lives. However, literature education in the field of education is mostly provided as a form of lecture led by teachers that only emphasize literary knowledge. For such reason, learners stay in a passive position 'to only write knowledge conveyed by teachers in their seats' and it is impossible to internalize literature. Literature education using educational drama is one of alternatives to get over this problem. Educational drama is a way of class which learners actively appreciate literary works through physical experience to perform as figures of works by the medium of drama. Thus, this study examined the class using educational drama focusing on 「Wonmidong Saramdeul」 included in the textbook for the third grade of middle school. It was revealed that the teaching-learning plan of 「Wonmidong Saramdeul」 using educational drama was effective for the following reasons. First, learners are able to understand the work actively by performing educational drama by themselves. Second, learners can develop imagination and creativity during the process to adapt the work themselves. Third, learners can express their thoughts and feelings autonomously using the educational drama technique. Fourth, learners can understand themselves and the image of the society, they belong to, on the whole by connecting the work to their lives. Class using educational drama transforms passive and timid learners into independent and active learners and helps them internalize literary works, since it enables them to enjoy works through physical experience to play as figures of works. Moreover, it improves capabilities of learners to analyze works, and develop their creativity and imagination through the process of adapting works by themselves and is effective in understanding their lives and the society on the whole by linking literary works to their lives.

      • 일부 식품위생안전 사건들이 고등학교 학생들의 식품표시 이용실태에 미치는 변화

        최정민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63

        In reference whether students get a education of food labeling or not, study was performed to correlation survey of food labeling check and recognition. Hereby there is object shown education necessity of food labeling at high school. This survey has been conducted against a group of 370 high school students in Daejeon. For research result, SPSS Ver 12.0 statistics program was used for substantial 351 questionnaires. 1. Regarding food labeling check when students purchase food, survey result was as follows, no check (43.4%), normal (11.4%), check (45.1%). The recognition survey result for indication and contents of HACCP, eco-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GAP and GMO was remarkably low with 50~70% unaware answer. 2. The survey result for students were knowing food hygiene-safety accident, they were knowing average 7 among 11 food hygiene-safety accidents. The best known food hygiene-safety accident was American beef income (mad cow disease fluctuation). In sequence, the next best accidents were a foreign substance of snack, powder milk and snack's melamine, bad bun filling, parasite nit in Kimchi producted in China. The survey result of high school student's ordinary interest about food hygiene-safety accident was as follows, very low (3.1%), low (10.5%), normal (44.4%), high (33%), very high (8.8%). Generally students were having high interests. Regarding the question "Do you often check food labeling after receiving the news of food hygiene-safety accident?", A half of students were answered with Yes (44.7%). This was shown that students were often checking food labeling and moreover they were frequently checking ingredients in food labeling items after receiving the news of food hygiene-safety accident. 3. Regarding the question "Have you been received education of food labeling?", The survey result was as follows, Yes (45.3%), No (54.7%). The survey result for education necessity of food labeling was as follows, necessary (41.3%), very necessary (29.3%). The most of students were expressing sympathy with education necessity. 4. The survey result of recognition difference as level of food labeling check after receiving the news of food hygiene-safety accident, the respondents check food labeling increased the frequency of food labeling check and the recognition rate of HACCP, eco-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GAP and GMO. 5. The survey result of recognition difference according to receiving education, the students receiving food labeling education were better knowing indication and contents of HACCP, eco-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GAP and GMO than others.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students were very interested in food hygiene-safety accident. After receiving the news of food hygiene-safety accident, they were more checking food labeling than before. And also the respondents check food labeling increased the frequency of food labeling check and the recognition rate of HACCP, eco-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GAP and GMO after receiving the news of food hygiene-safety accident. But in substance student's level of food labeling check and recognition was remarkably low. Accordingly high school students have to get a education about food labeling. And objective information about food hygiene-safety accident have to be offered to them. 본 연구는 고등학교 학생들의 식품표시 이용실태 및 인지도를 확인하고 일부 식품위생안전 사건을 접한 후 식품표시 이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게 되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식품표시 관련 교육 유무와 관련하여 식품표시 내용 확인 및 인지도의 상관 관계를 연구하고 이로써 학생들의 식품표시 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조사 대상으로 대전시 4개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총 370부의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중 내용이 충실한 351부를 택하여 조사결과를 SPSS Ver 1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처리하였다. 1. 학생들의 식품 구입 시 식품표시 내용을 확인하는가의 질문에 ‘확인하지 않는다’가 43.4%, ‘보통이다’가 11.4%, ‘확인한다’가 45.1%로 나타났다. 또한 HACCP , 친환경농산물, GAP , GMO 표시와 내용에 대한 인지도 조사 결과 ‘모른다’라고 응답한 학생이 50~70%로 현저히 낮았다. 2. 학생들이 알거나 접해본 식품위생안전 관련 사건들에 대해 조사한 결과 11개 일부 식품위생안전 사건들 중 평균 7개의 사건들을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많이 알고 있는 식품위생안전 관련 사건은 미국산 소고기 수입 건(광우병 파동) 이었으며 그 다음이 모 과자업체의 새우깡 이물질 사건, 분유 및 과자의 멜라민 파동, 불량 만두소 사건, 중국산 김치 기생충알 사건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등 학생들의 식품위생안전 관련 사건에 대한 평소 관심도를 조사한 결과 ‘매우 낮다’가 3.1%, ‘낮다’가 10.5%, ‘보통이다’가 44.4%, ‘높다’가 33%, ‘매우 높다’가 8.8%로 식품위생안전에 관한 관심도가 대체적으로 높은 편임을 알 수 있었다. 사건을 접한 후 식품표시를 더 자주 확인하게 되는가에 대한 질문에 그렇다가 44.7%로 거의 절반 비율의 학생들이 식품위생안전 사건 접목 후 식품표시를 더 자주 확인함을 알 수 있었으며 식품표시 사항 중 ‘사용된 원료’를 가장 민감하게 학생들이 더 확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학교에서 식품표시에 대해 배운 경험이 있는지에 대해 조사한 결과 배운 경험이 있다가 45.3%, 없다가 54.7%로 나타났다. 식품표시 교육의 필요성 유무에 대해 조사한 결과 식품표시 교육이 ‘필요하다’가 41.3%, ‘매우 필요하다’가 29.3%, 총 70.6%로 대부분의 학생들이 교육의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4. 일부 식품위생안전 사건을 접한 후 식품표시 확인 정도에 따른 식품표시 인지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 본 결과 사건을 접한 후 식품표시를 확인하는 대상자들이 식품표시 확인 및 HACCP, 친환경농산물, GAP, GMO를 인지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 식품 표시에 대한 교육 유무에 따라서 식품표시 인지도의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식품 표시에 대한 교육을 받은 학생들이 HACCP, 친환경농산물, GAP, GMO 표시를 인지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학생들은 식품위생안전 관련 사건들에 대한 관심도는 매우 높으며 식품위생안전 사건을 접한 후 학생들이 접하기 전보다 훨씬 더 식품표시에 대해 관심을 갖고 더 자주 확인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식품위생안전 사건 접목 후 식품표시를 확인하는 대상자들이 식품표시 확인 및 HACCP, 친환경농산물, GAP, GMO를 인지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에 비해 실질적으로 학생들의 식품표시 이용도와 인지도는 현저히 낮은 수준이었다. 따라서 학교에서는 학생들에게 식품위생안전 사건들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 제공과 더불어 식품표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 한국어 교사의 교육 서비스 품질이 학습자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유은성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education service quality of Korean language teachers on satisfaction of Korean language learners depending on their nationalities, learning levels and gender. This study was conducted between April 4th through May 12th 2020, using questionnaires as the method to collect data from 185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33 Korean language teachers in Korean language institutes of universities. With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ethods using the SPSS 21.0 program were used to analyze data.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factors of education service quality of Korean language teachers were found to be following 4 factors: reliability, responsiveness, esteem, and professionalism. Second, the effect of education service quality of Korean language teachers on satisfaction of Korean language learne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ir nationalities. For Chinese learners, the factor of ‘reliability’ of Korean language teachers influenced their satisfaction positively. On the other hand, the factor of ‘responsibility’ of Korean language teachers had a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of Vietnamese learners. Third, the effect of education service quality of Korean language teachers on satisfaction of Korean language learners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ir learning levels: low-level, middle-level, and high-level. The factors of education service quality of Korean language teachers that had a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of low-level learners were ‘responsiveness’ and ‘esteem’. However, the factor of ‘reliability’ of Korean language teachers had a negative effect on satisfaction of them. For middle-level learners, the factors that had positive effects on their satisfaction were found to be ‘professionalism’, ‘responsiveness’ and ‘reliability’, but the factor of ‘esteem’ of Korean language teachers had a negative effect on their satisfaction. The factors of Education service quality of Korean language teachers that had a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of high-level learners were ‘esteem’ and ‘responsiveness’. Forth, the effect of education service quality of Korean language teachers on satisfaction of Korean language learners 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ir gender. The factors of education service quality of Korean language teachers that had positive effects on male learners satisfaction were ‘responsiveness’ and ‘reliability’, but the factor of ‘esteem’ had a negative effect on their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for female learners, the factors of ‘responsiveness’ and ‘esteem’ had positive influences on their satisfaction, but the factor of ‘reliability’ had a negative effect on their satisfaction. Thus, this study suggested the factors of education service quality of Korean language teachers influencing satisfaction of Korean language learners depending on their nationalities, learning levels and gender. I hope that this study could help to improve education service quality of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satisfaction of Korean language learners as well. 본 연구는 한국어 교사의 교육 서비스 품질과 한국어 학습자의 만족도 향상을 위한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각 장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국내 유학생 증가에 따른 한국어 학습자의 증가와 더불어 한국어 학습자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한국어 교사의 서비스 품질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제시하였다. 이와 함께 대학 부설 어학원의 중국과 베트남 학습자 185명과 한국어 교사 33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 방법 및 분석 방법, 연구의 범위를 제시하였고, 그 다음으로 교육 서비스 품질과 학습자 만족도에 관한 선행 연구를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본 연구의 이론적 바탕이 되는 교육 서비스 품질과 학습자 만족, 한국어 교사의 자질과 태도에 관한 개념을 살펴보았다. 교육 서비스 품질은 교육 서비스의 수요자인 학습자가 교육 서비스 과정과 결과에 관한 기대와 경험에 대해 가지는 주관적 품질이며, 학습자 만족은 이러한 교육 서비스를 받는 과정과 결과에 관한 학습자의 기대와 인식의 차이로 나타나는 감정적 반응이다. 한국어 교사의 자질과 태도는 지식과 기술적 측면의 자질과 함께 학습자의 학습 원동력이 되는 인성과 태도적 측면의 자질이 요구된다. 3장에서는 설문을 통한 연구 목표, 설문에 사용할 측정 도구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였고, 설문 조사의 설계와 분석 방법에 대해 논의하였다. 설문 방법은 네이버 오피스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시행하였고, 대전·세종·인천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대학 부설 어학원 학습자 185명과 한국어 교사 33명을 대상으로 2020년 4월 4일부터 5월 12일까지 조사하였다. 분석 방법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4장에서는 설문 결과에 대해 논의하였다. 첫째,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한국어 학습자와 교사의 특성을 알아보았다. 둘째, 연구 변인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분석하기 위해 먼저 한국어 교사의 교육 서비스 품질 하위 요인 5개 ‘확신성, 공감성, 유형성, 신뢰성, 응답성’에 대한 34개 문항에 대해 탐색적 요인 분석을 실시한 후 최종적으로 추출된 22개 문항에 대해 확인적 요인 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한국어 교사의 교육 서비스 품질 하위 요인은 ‘신뢰성, 응답성, 존중성, 전문성’ 4개 요인으로 도출되었으며, 각각의 요인이 높은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또한 4개 문항으로 구성한 학습자 만족도 역시 높은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셋째, 한국어 교사의 교육 서비스 품질이 학습자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연구 변인별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국적별 학습자 만족도, 한국어 수준별 학습자 만족도, 성별 학습자 만족도 순으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독립 변인인 한국어 교사의 교육 서비스 품질(신뢰성, 응답성, 존중성, 전문성)과 종속 변인인 학습자 만족도와의 변인 간 상관성 검증을 위해 상관관계를 실시한 결과, 상호 긍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국적별 학습자 만족도는 중국과 베트남 국적의 학습자 만족 요인이 매우 다르게 나타났다. 한국어 교사의‘신뢰성’ 요인이 중국 학습자의 학습 만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어 교사의‘응답성’ 요인이 베트남 학습자의 학습 만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어 수준에 따른 학습자 만족도 역시 초급, 중급, 고급 학습자에 따라 만족도 요인이 매우 다르게 나타났다. 초급 학습자의 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한국어 교사의 교육 서비스 품질 요인은 1순위가‘응답성’, 2순위가 ‘존중성’ 으로 나타났으며, ‘신뢰성’은 초급 학습자의 만족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급 학습자의 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한국어 교사의 교육 서비스 품질 요인은 1순위가‘전문성’, 2순위가 ‘응답성’, 3순위가 ‘신뢰성’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존중성’ 요인은 중급 학습자의 만족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급 학습자의 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한국어 교사의 교육 서비스 품질 요인은 1순위가‘존중성’, 2순위가 ‘응답성’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학습자 만족도 요인도 다르게 나타났다. 남성 학습자의 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1순위가‘응답성’, 2순위가 ‘신뢰성’으로 나타났으며, ‘존중성’ 요인은 남성 학습자의 만족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학습자의 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한국어 교사의 교육 서비스 품질 요인은 1순위가‘응답성’, 2순위가 ‘존중성’ 으로 나타났으며, ‘신뢰성’ 요인은 여성 학습자의 만족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한국어 교사가 요구하는 한국어 교육 서비스 품질을 높이기 위한 개선 사항으로‘교사의 지속적 근무 보장’을 1순위로 선택한 사람이 26명(78.8%), ‘교사의 임금’을 2순위로 선택한 사람은 18명(54.6%)으로 나타났으며, ‘학생 수 및 교실 등의 교육 환경’을 3순위로 선택한 사람이 20명(60.6%)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어 교사의 교육 서비스 품질과 한국어 학습자의 만족도 향상을 위한 전략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언하 였다. 이를 통해 국적별·한국어 수준별·성별 학습자에게 적합한 한국어 교사의 교육 서비스 품질 향상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교육연극을 활용한 한국어 말하기 교육 연구

        오연미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eaching method of speaking the Korean language using educational theatre for advanced learner's speaking ability. The teaching method of speaking using educational theatre is beneficial to improve the communicative competence that allows the learners to carry out good communication in real situations of speaking in Korean. The learners, especially advanced learners, want various practical materials and programs to develop their speaking skills. Also, the teachers should give them more chances to speak and join in the classes. This paper suggests educational theatre is an efficient tool for Korean learners to improve their communication ability, expression ability and imaginative thinking ability in the comprehensive Korean education. In addition, they can share their ideas and opinions with their classmates through the group work. In this paper, I also use Korean literature <Chun Hyang Jeon> as a text. In Korean classical novels, there are Korean traditional values and culture which the foreign learners should know. Korean literature deserves to be used as a Korean language teaching method so that Korean teachers can educate with literature and culture at the same time. Therefore educational theatre and Korean literature are good ways to learn languages and should produce better results for advanced learners. In chapter 2, I examined the necessities for Korean speaking education, and educational theatre's concept and types as a speaking material. Also it was proposed the educational theatre's types that effectively lead to participation in Korean speaking lessons. In chapter 3, a survey was carried out on education on advanced foreign learners, studying Korean, to find out about their opinions on learning Korean by using educational theatre and Korean literature. From this, valid reasoning was given to base this research. In chapter 4, based on previous studies, I arranged the selection criteria of Korean literature and chose <Chun Hyang Jeon> as a text. The teaching plans for advanced learner's Korean speaking skills were prepared by using educational theatre such as role play, discussion drama, changing of the ending and as panels on the play. In chapter 5, this study was summarized and concluded with a review of its limitations.

      • 광고를 활용한 비유 교육 방안 연구

        주정란 忠南大學校 敎育大學院 2020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understanding of figurative language for foreign learners and it is intended to improve quality and smooth communication skills by improving the ability to produce and express figurative language. This study uses advertising text to propose a method of figurative language education based on cognitive linguistics as a theoretical background. The objectives of figurative language education are as follows : First, it is to recognize the conceptual properties of metaphor to increase the recognition ability of language and improve vocabulary. Second, it is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meaning of metaphor through the reasoning. Third is improvement of ability to produce meaning. Metaphors are not limited to work of literature such as poem and novels. They are all around us. It is just that we are not constantly thinking of it. Metaphors are found in day to day conversation, advertisements, proverbs, movies, dramas, newspapers and goes even further to influence Korean culture, ideology and various social aspects. To Korean speaker, metaphor is innately learned and understood through physical and cultural experience and cognitive system. However, when the same metaphor is introduced to a foreigner, they may find it difficult to follow its meaning without being taught. For this reason, it is very important to teach metaphors to foreign students learning Korean so that they can communicate more fluently with native speaker. Figurative language education mentioned in this paper focuses on principles and characteristics on how metaphors are expressed and understood. In cognitive linguistics, metaphors are seen as a method of cognitive mechanism and seen as a basic strategy of communication for people to express their understanding of the world around them. From the perspective of cognitive linguistics, this paper focuses on understanding the expression of figurative language, its characteristics and the principles of figurative language interpretation seen in advertising text. Further understanding in this field would help establishing education of figurative language expression and design a curriculum that further improves Korean linguistic abilities. In chapter 2, we examine the characteristic and nature of cognitive linguistics. In the later chapters, figurative language is studied from the perspective of cognitive linguistic. In addition, types of figurative language such as metaphors and metonymy are also reviewed.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introduced in chapter 2, chapter 3 explores the reasons and advantages of using advertising text in figurative language education and analyzes the figurative expressions that appear in advertisements. The figurative expressions in the advertisements is divided into metaphors and metonymy to find out operating principle. Chapter 4 presents the features and methods of figurative language education by using advertising text. The features of figurative language education is as follows. First, it focuses on the cognitive process of metaphor and production, as well as concepts and meaning rather than forms of language. Second, it is learner-centered and process-oriented. Finally, it focuses on the use of language on a daily basis and aim for section- integrated education. Figurative language education is largely divided into three steps. The first step is the recognition phase of figurative expression. The following step is to understand the operating principles of metaphor and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figurative expression. The last step is expansion and utilization. This paper have two aspects in figurative language education. First, it is the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ability through understanding and production of figurative expression used in everyday language by utilizing advertising text for education in figurative language. The second is the attempt and expansion of figurative language education centered on students and process. 본고는 인지언어학적 관점에서 광고를 활용하여 한국어에 나타나는 비유적 표현의 생성과 이해되는 원리와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비유적 표현에 대한 교육을 설계하고 수업방안을 제시하여 한국어능력향상에 도움이 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비유는 시나 소설 등의 문학 작품만이 아니라 우리의 언어생활에서 광범위하게 나타난다. 다만 그것을 의식하지 못할 뿐이다. 비유는 일상적 대화, 광고, 속담, 영화, 드라마, 신문 매체 등 우리의 삶에 넓게 퍼져서 한국의 사상, 문화, 사회적인 특성을 반영하고 있다. 한국인 화자들에게 비유는 신체적, 문화적 경험과 인지체계를 통하여 자연스럽게 습득되고 이해된다. 하지만 외국인 학습자들은 비유적 표현을 접할 때 그 의미를 교육받지 않으면 그 뜻을 이해하기 힘들다. 그래서 외국인 학습자들이 모국어 화자와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서 비유 교육이 필요하다. 본고에서의 비유 교육은 비유적 표현이 생성되고 이해되는 원리와 특성에 바탕을 둔다. 이런 비유 교육의 내용을 구성하기 위해서 인지언어학을 이론적 배경으로 한다. 인지언어학에서는 비유를 인간이 세계를 이해하고 표현하기 위한 인지적 기제, 의사소통을 위한 기저 책략 중의 하나로 본다. 외국어 교육에서 의사소통능력의 향상을 위한 언어의 기능을 학습하는데 있어서 목표 언어의 인지적 체계를 이해하는 것은 중요하다. 이렇게 인지적 관점에서의 비육 교육은 인지적 책략으로서 한국어인지체계의 이해를 통한 효율적인 한국어능력 향상이라는 목표에 부합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비유 교육의 목표에 부합하는 방법과 내용으로, 실제적인 언어와 비유적 표현이 들어있는 광고를 활용하여 실제 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교수 학습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2장 이론적 배경에서는 인지언어학의 성격, 비유에 대한 인지언어학적 개념과 비유 교육을 위한 비유의 유형을 살펴보았다. 2장에 소개된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3장에서는 비유교육에 광고를 활용한 이유와 장점을 알아보고 광고에서 나타나는 비유적 표현을 분석하고 이해한다. 광고에서 나타나는 비유적 표현을 은유와 환유를 나누어 분석하여 그 것의 작동원리를 파악하고 설명한다. 4장에서는 광고를 텍스트로 활용하여 교수 학습 방안을 제시하였다. 비유교육의 목표와 속성을 정하고 그것에 맞는 교육방법으로 ‘O-H-E’ 수업 방법론을 제시 하였다. ‘O-H-E’ 수업 방법론을 적용하여 개념적 원리를 이해하는 단계와 활용하는 단계로 나누어 구성된다. 비유의 기능을 활용하여 어휘 교육, 듣기와 말하기 교육, 쓰기 교육에 각각 활용하는 수업 모형과 실제 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학습자 중심의 활동을 예로 제시 하였다. 5장에서는 결론으로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에서 비유 교육에 관한 연구가 더욱 활성화 되기를 바라며 이 연구를 통해서 기대되는 점으로는 첫째로 광고 텍스트로를 비유교육에 활용함으로서 일상 언어에서 사용되는 비유적 표현의 이해와 생성을 통한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이다. 둘째로 의사소통 능력에 도움이 되기 위해서 비유 교육의 지평이 조금 더 넓혀지는 것을 기대한다.

      • 한국의 화학 I과 대만의 기초화학 교육과정과 교과서 비교 : 교육과정 체제, 목표, 공통 내용을 중심으로

        김승현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63

        이 연구에서는 한국과 화학 I과 대만의 기초화학의 교육과정의 체제, 목표, 내용 체계를 분석하고 그 교육과정에 의거에 편찬된 교과서에서 공통 내용을 찾아서 분석하였다. 화학 I과 기초화학은 두 나라의 초, 중등 교육과정에서 처음으로 나타난 분과 화학 과목이며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공통 교육과정을 마친 후 처음으로 나타난 과목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또한 화학 I은 고등학교의 심화 선택 과목 중 난이도가 낮은 과목 하나이며, 기초화학은 필수과목으로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이면 누구나 이수하여야 하는 과목이다. 두 과목이 전체 초, 중등 교육과정에서 차지하는 위치로 인해, 두 과목은 성격상 모두 과학적 소양을 강조하고 있다. 국가 교육과정 문서에 나타난 목표를 분석한 결과, 두 과목이 모두 강조하고 있는 목표는 과학에 대한 관심, 호기심, 흥미를 기르는 것,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르고, 과학-기술-사회의 관련성을 인식하는 것 등을 들 수 있었다. 그 밖에 화학 I에서는 화학 지식의 이해와 적용, 올바른 자연관 등을 강조하고 있고 기초화학에서는 의사 소통 능력과 자기 주도 학습을 강조하고 있다. 두 과목에서 공통으로 포함하는 내용은 크게 ‘공기’, ‘물’, ‘에너지 자원’, ‘생활 속의 화학 물질’이란 대영역 네 개로 나눌 수 있으며 대영역은 다시 소영역 몇 개로 나눌 수 있다. 공기와 물 영역에서는 거시적 지구 환경을 논의하면서 자연계에서 나타나는 공기와 물의 현상, 오염과 그 방지 대책을 다루고 있다. 기초화학에서는 이것을 주된 내용으로 다루고 있으나 화학 I에서는 공기와 물을 미시 수준에서 다루는 액체와 기체의 물리, 화학적 성질의 선행조직자로 도입하고 있다. ‘에너지 자원’에서는 화석 원료와 대체 에너지 자원의 이용을 다루고 있으며, 화학 I에서는 이를 유기화합물의 성질에 대한 선행조직자로 다루고 있었다. ‘생활 속의 화학 물질’은 화학의 발전으로 인해 얻어진 여러 가지 물질의 이용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었다. 그리하여 두 과목의 공통 부분의 전체를 볼 때 화학 I에서는 이러한 거시적 환경과 관련된 내용을 미시적 내용을 다루기 위한 선행조직자로 접근하고 있으며 기초화학에서는 그러한 거시적 환경과 관련된 내용을 중심으로 하여 내용을 전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work attempts to disclose a comparative study of senior secondary curricula and textbooks in chemistry between South Korea and Taiwan. The author wanted to see to what emphases are to laid on Chemistry I (South Korea) and Basic Chemistry (Taiwan). We first analysed the system, the objective and the content of the chemistry curriculum documents and then diagnosed the textbook in detail. Each document similarly emphasizes the scientific literacy of future citizens by understanding the chemical concepts and applying them to daily life. Based on the comparison of contents of three textbooks from each country, the common chapters could be listed to four categories including 'Air' and 'Water' for natural materials, and 'Energy Resource' and 'Chemicals in Daily Life' for synthetic materials. According to make an in-depth analysis of the content, it was noticeably found that Basic Chemistry covers each category rather macroscopically, whereas Chemistry I approaches it macroscopically and microscopically. And in Chemistry I, the macroscopical contents become the advanced organizers for microscopical contents. For example, Chemistry I contains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laws of gas and liquid minutely, and therefore uses air and water to provide rather logical sequencing materials of chemical concepts. Similar approaches were also found in the 'Energy Resource' and 'Chemicals in Daily Life'. Chemistry I uses petroleum and plastic in these categories as advanced organizers for organic chemistry. Such subtly different approaches could be based on not only the student's ages and but the class hours as well as the geographic situation of each n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