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 아파트단지 설계의 시기별 특성에 관한 연구

        정지이 弘益大學校 建設都市大學院 2007 국내석사

        RANK : 250671

        1950년대, 전후복구 사업을 시작하면서 우리나라 도시의 모습은 활발하게 변해가기 시작하였다. 그 중, 도시의 주거지 계획에 있어 우리나라의 대표 주거유형이 된 것이 바로 아파트이다. 1960년 서울의 마포아파트 개발을 시작으로 1970년대에 들어 대규모의 아파트 단지 개발이 본격화 되었으며, 그 후 아파트의 개발은 하나의 약속처럼 표준화되고, 정형화 되어 각 단지의 특색을 나타 낼만한 특별한 설계가 진행되지 않았다. 그러나 1990년대 말, 소득 수준이 높아지면서 아파트에 대한 요구가 단순히 개인적 공간으로서만이 아닌, 주변 환경 및, 공용 공간에 대한 질적 향상을 기대하게 되었고, 2000년대에 들어 아파트는 이미 우리나라의 주거에서 빼놓을 수 없는 주거유형이 되었다. 본 연구는 한국에서 도시의 발달과 함께 아파트단지 개발이 불과 반세기만에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함과 동시에, 그 특징 또한 변화가 있었을 것임을 전제하여 시대의 흐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연구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이를위하여 아파트 단지 설계의 특성을 보여 줄 수 있는 설계 요소를 도출하고, 각 사항에 대한 이론적인 고찰과 함께 각 시대적 아파트 단지 설계의 특징을 보여줄 수 있는 사례를 선택하여 단지 설계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아파트가 개발된 초기에는 다양한 주동의 형태 및 배치를 보여주었으나 점차 획일화(ㅡ자형,판상형) 되었다. 그러나 1990년대 말 부터 다시 여러 형태가 시도(중정형, 타워형 등)되었고, 개발밀도에 있어서도 아파트개발 초기의 엄격했던 용적률, 건폐율이 점차 완화되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2000년 이후의 사례에서는 용적에 있어서 초고층 또는 저층으로 양극의 현상을 보였으며, 그와는 별개로 공공용지, 오픈스페이스 등에 대한 계획은 점차 증가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초고층 ‧저층의 아파트 모두 공원, 근린시설 등의 오픈스페이스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 한다. 또한 아파트 단지 개발 규모에 있어 당시 사회적‧경제적상황, 주택정책 등과 긴밀한 관계를 갖는다. 본 연구를 통하여 우리나라 아파트 설계에 대하여 상식적 또는 인지적으로만 알고 있던 설계 변화에 관하여 이론적이고 전문적으로 검증해 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으며 이와 같은 연구는 끊임없이 반복되고 고증되어져 더욱 구체적이고 명확한 연구로 이어 나아가야 할 것이다.

      • 自然的 散光(Diffuse Radiation)을 활용한 도심공원 편의시설 계획에 관한 연구

        박지현 홍익대학교 건설도시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50655

        In the architectural space, light is not just a quantitative subject but it exists one of essential and leading subjects. Architecture exists in the space built with form and these form and space is enlightened by lights and its characteristics are also decide. In the modern architecture, light was an important facto to make harmony of religion and space. After, with iron and glass, transparency and homogeneity was expressed and lights began to have direct relativity. However, in the current architecture, artificial light facility had a rapid development so natural lighting tended to be ignored. light is a non physical existence and when it came to a certain space, the material lightened and other circumstantial conditions are combined to create new visual images and to encourage excitement of human beings. Even for the same volume in the same room, given the light and other conditions, the measurement of the room became different. The concept of light follows measurement standard of human eyes and his/her response and the space changes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nature, such as, season and climate. The various change of light would accompany with light and shade, color, depth, boundary and outline and show dark shadow of the whole room, make outline fuzzy or on the other hand, it emphasizes the hidden shapes temporarily. Also, light makes people to feel the impression of the space, provoke human emotion and affect to human behavior. As light gives impression to the space which people do things then it can be useful as a direction factor of space. In this study, I researched the way make use of diffuse radiation as a design factor. This theory is based on the concept that lights have potential to activate space and give impression of infinite possibility of space. Therefore, I began to interested in the diffuse radiation which artificially directs and shows natural light above the purpose of influx of light. Also, the result of study can be applied to the design of public place in city park by using diffuse radiation to decorate architectural factors. The space of light would be more environmental friendly and emotional experience space with liquidity of light. The program of this study would is shown below. In the chapter 2, I'll explain about the general role of light in space and its characteristics of architectural factor. And, I categorized the characteristic of space recognition expecially with the direction of light as 8. Also, based on the definition of “ diffuse radiation”, I defined and limited the subject of this study as light which would be reflected and radiated in the process of light influx and its friction with interior materials. Also, lights penetrated through materials in the process of its inflow. Therefore, I researched and analyzed variation factors of diffuse radiation according to the effects of its type, effect, material and following exemplary cases. In the chapter 3, I found out the meaning and expression method of light in the Light and Space art. In the pure art, impressionists captured the instantaneous change of light and described the diffusion in the air, reflected vision and color of a subject. In the painting of Monet, the expression of light and the usage of new materials emphasized the effect of natural and artificial light, and created Light art and was developed into installation art. based on the contents and cases on chapter 2, I re-categorized and analyzed them and found out 10 design terms as below. 1. Shiny Material : because of physical characteristic and reflection, the cubic effect and visual characteristics are emphasized 2. Purification Of Air : indirect lightings usually reflected into structure 3. Winter Shadow :homeogenous diffusion light through semi-transparent material 4. Watery Motion : flowing movement of material caused by wave stream 5. Painted Space : diffusion of color in the space through penetration material 6. Color Chink : lights which have colors penetrate into structure and deep window 7. Matched Color : combination of light which penetrates through various color's glass 8. Printing of Light : Pattern of light which diffuse into patterns 9. Living Ornamentation : illusion effect of combination with decoration factors and light 10. Optical Quilt : decoration effect through the combination of natural light and artificial light In the chapter 4, to make a plan of designing leisure facilities in the city park, I researched Yeoido park to analyze current trend of city park culture and its problem. I analyzed the necessity of leisure facility and introduced the essential space. Also, I studied the plan to apply design terms addressed on the chapter 3 and these will be introduced at every space designing process step. lights has non physical characteristic and it makes the constructive factor of architecture as non physical as itself. Therefore, the meaning of those factors would be transferred as a visual image which can not be measured. In this study, by making the use of light as a direction factor of space, I explained the variety of space which can be expressed through a new visual image, color, material, time, and phenomenon. The primary purpose is a lighting and in addition, as a design factor , making use of diffuse radiation to make a mood of space which can give psychological effect to the user as well as beauty would be also meaningful. Current design trend would also suggest environmental friendly and emotional design in projecting public facilities so I tried to suggest effective and sensible alternatives. 건축공간에서 다루어야 할 빛이란 정량적인 대상에만 머무르는 것이 아닌 본질적이고 주도적인 주제의 하나로서 존재한다. 건축은 형태와 형태로 인해 형성되는 공간으로 존재하고, 이러한 형태와 공간은 빛에 의해 보여 지며 그 성격이 결정 된다. 근대 건축에 이르기까지 빛은 예술 및 종교와 공간을 한 데 어우러지게 하는 중요한 요소였고 이후 철과 유리를 통해 투명성과 균질성을 획득함으로써 빛은 삶과 직접적인 관련성을 가지게 되었다. 하지만 현대 건축에서는 인공조명이 현저히 발달함으로 인해 건축 공간 내에서 자연채광의 존재가치를 등한시 하게 된 것이 사실이다. 빛은 비물질적인 실체로서 그 현상을 공간 내에 드러낼 때 빛을 받는 소재와 형태 및 기타 제반 조건들과 연계되어 새로운 시각적 이미지를 창출하며, 시각적 효과 및 인간의 감흥을 부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빛은 사람들에게 공간의 인상을 느끼게 하여 인간의 감정을 유발시키며 행동에도 영향을 미치게 할 수 있다. 빛은 사람들의 행동이 일어나는 공간에 인상을 부여함으로 공간의 연출요소로서도 유용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간을 활성화하고 무한한 공간의 가능성과 인상을 줄 수 있다는 빛의 잠재력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바탕으로 단순한 빛의 유입의 목적을 넘어 자연광을 인위적으로 연출하여 간접적으로 유입되는 “산광(Diffuse Radiation)"을 디자인 요소로 활용하는 방안을 조사 연구하고자 한다. 또한 연구 내용을 활용하여 도심공원 내 공공 공간을 디자인 하는데 있어 건축적 요소를 산광을 통해 장식화 함으로써 유동성 있는 빛의 공간으로 보다 더 환경적이고 감성적인 체험공간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진행과 그 세부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2장에서는 먼저 일반적으로 공간으로 유입되는 빛의 역할과 건축적 구성요소에 대하여 알아보고 빛의 연출에 의한 공간 인식의 특징을 8가지로 분류하여 고찰해보았다. 또한 “산광”에 대한 기본 정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연구되어질 산광의 범위를 공간 내에 유입되어 실내 마감재와 마찰, 반사하여 확산하는 빛과 내부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투과되는 재료에 의해 발산하는 빛으로 한정하여 정의하였다. 그에 따라 산광의 변화요소를 산광의 종류에 의한 효과 및 재료에 의한 효과로 분류하여 사례들을 조사·분석하고자 하였다. 제3장에서는 순수예술 중에서 순간적 빛의 변화를 포착하여 대기에 산란, 물체에 반사되어져 시각에 포착되는 빛과 색채를 묘사하였던 인상주의와 모네의 그림에서의 빛의 전개와 새로운 소재 사용 및 자연과 인공의 빛의 효과를 살려 시각적 이미지를 창조하였던 Light art, 더 나아가 공간적 설치 미술로 발전하였던 Light and Space art에서의 빛의 의미와 표현 방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2장에서부터의 분류한 내용 및 사례들을 바탕으로 재분류, 분석하여 10가지의 디자인 어휘들을 추출할 수 있었으며 각 어휘들은 다음과 같다. 1. Shiny Material : 재료적 물성과 반사가 관계되어 입체감 및 시각적 물성을 강조 2. Purification Of Air : 주로 구조체 및 중정에 반사되어 들어오는 간접 채광 3. Winter Shadow : 반투명한 재료를 통한 균일한 확산광 4. Watery Motion : 물결의 파장 등으로 인한 재질의 유동적인 움직임 5. Painted Space : 투과재료를 통한 공간 내 색의 확산 6. Color Chink : 구조체 틈이나 깊은 창으로 새어들어오는 색을 가진 빛 7. Matched Color : 다양한 배합의 색유리를 투과하는 빛의 조합 8. Printing of Light : 벽체의 패턴 사이로 발산하는 빛의 패턴 9. Living Ornamentation : 장식적 요소들과 빛의 조화에 의한 환영적 효과 10. Optical Quilt : 자연광과 인공광의 조화를 통한 장식적 효과 제4장에서는 디자인 적용 대상인 도심공원 편의시설의 계획을 위해 전반적인 도시공원 문화에 대한 경향 및 대상지인 여의도 공원의 현황 및 문제점을 파악하여 편의시설의 필요성을 분석하고 필요 공간의 구성 요소를 도출하였다. 또한 3장에서 추출하였던 디자인 어휘들의 공간에 대한 적용방안을 연구하여 그 결과를 각 세부공간의 디자인 프로세스 단계에 도입하여서 진행하고자 하였다. 빛은 자신의 비물질성 만큼이나 건축에 사용되는 구성요소들을 비물질화시켜 그 요소들의 의미를 측정 불가능한 감각적 이미지로 전환시킨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하여 비물질적인 요소인 빛을 공간 연출 요소로서 활용함으로서 새로운 시각적 이미지를 창출하고 색, 재료 시간, 현상으로 인한 변화를 통해 표현되어질 수 있는 공간의 다양성에 대해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는 채광이라는 1차적 목표 외에도 공간에 미적 아름다움과 함께 사용자에게 심리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공간 분위기 조성을 위한 디자인 요소로서 “산광”이라는 자연광으로 인한 효과를 활용하는데 의의가 있으며 또한 최근 친환경적이고 감성적인 디자인경향에 비추어 볼 때 공공시설을 계획함에 있어서 효율적이고 감각적인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情報·文化空間으로서의 公共圖書館 建設計劃에 관한 硏究 : 地域住民을 위한 所要空間 計劃을 中心으로

        한무영 弘益大學校 建設都市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50655

        지역주민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서비스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도서관은 장서보관 관리에서 전자정보 제공에 이르기까지 시대의 흐름에 동참하며 그 개념에 있어 많은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전산화시스템의 개발로 다양한 정보를 손쉽게 제공하며, 기존의 TEXT중심의 도서에서 전자매체를 이용한 영상, 음향, 네트워크를 통한 정보교류등 다양한 이용자계층에 도서관은 적극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심지어는 도서관내엔 장서가 아닌 전자화시스템 구축으로 이용자가 도서관을 찾을 필요 없이 단지 가정이나, 연구실 또는 사무실에서 원하는 자료서비스를 받을 수도 있게 되었다. 도서관은 어느 특정계층의 전유물이 아니며, 어느 누구나가 편리하게 이 용할 수 있어야 한다. 지금의 도서관은 전산화시스템구축 기반위에 지역주민의 평생 학습관 이라는 개념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것은 지역주민 누구나 가 일생동안 정보서비스 및 문화 활동등을 도서관을 통해서 습득,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인데, 기존도서관들의 대부분은 기존시설위에 이러한 것을 서비스 할 수 있도록 하기에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야기 시키며 역부족이다.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의 기본적 기능을 통하여 소요공간의 구성 및 기반시설에 대한 국내도서관 및 국외도서관을 답방, 문헌자료, 인터넷 사이트 등을 조사, 분석하여 문제점을 발취, 지금의 다소 소극적이며, 정체된 도서관이 아닌 개방된 도서관, 지역주민이 일상활동의 장으로서 정보서비스 및 문화활동을 할 수 있는 적극적인 서비스 개념의 도서관을 계획하여 도서관의 기본적인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건축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각 장이 구성되어 진행되었다. 제1장 서론부분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방법 및 연구의 범위를 서술하였다. 제2장에서는 정보·문화공간으로서의 공공도서관 개념과 그 기능에 대해 조사하며, 기존도서관의 문제점과 이에 따른 해결책 방안을 모색하였다. 도서관의 역사적 배경부터 전자도서관, 가상도서관에 이르기까지 그 개념들을 정리하여 도서관의 변천과정을 살펴보았고, 도서관의 기본적 기능에 있어 서비스에 따른 기능과 그동안 공공도서관이 소홀이 다루어 왔던 문화 복지시설로서의 도서관의 기본적 기능을 연구하여 건축계획에 있어 시설부분에 반영토록 하였다. 제3장에서는 제2장의 도서관의 개념과 기본적 기능을 바탕으로 도서관의 구성요소 및 이에따른 구성요소별 계획의 지침을 설정 하였으며, 서울시 및 경기도 일부지역의 현황분석을 통하여 도서관의 이용실태와 정보화시설 의 내용, 문화 강좌 개설등을 포함한 규모를 분석하였으며, 외국의 도서관 이용자수와 비교하여 공공도서관의 건립계획의 필요성을 연구하였다. 도서관의 이용자현황을 보면 일반인과 학생의 이용률이 비슷하다. 그러나 대출 책수는 평균적으로 1인당 2.5권에도 못미치는 상황이고 보면 이용자의 절반을 차지하는 학생들이 책을 대출하기 보다는 본인들의 학습에 치중하며, 열람실이 학생들의 공부방으로 전락되었음을 알수있다. 제4장에서는 3장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정보 . 문화공간으로서의 공공도 서관을 고양시 일산구 호수 공원내에 건축계획을 하였다. 건축계획안은 우선적으로 정보서비스 공간에 대한 규모계획을 바탕으로 문화공간과 별동계획이 아닌 한 동으로 계획하였으며, 충분한 충고와 자연적 요소의 유역을 계획하였다. 더불어 이용자수와 자료의 증가에 따른 공간의 융통성을 갖기 위해 열람실공간들을 Open space로 계획하여 이용자중심의 도서관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용자가 쉽게 원하는 정보를 파악할수 있고 각 공간의 동선을 원활하며, 간결하게 계획하였고, 넓은 공용공간을 두어 이용자 동선의 혼잡성을 배제하며 충분한 채광과 계획 장소의 자연적 환경조건을 체감할 수 있도록 외장재를 고려하고, 내부공간에서 외부를, 외부에서 내부공간의 행태를 조망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5장은 계획지침과 시설기준, 관련법규를 바탕으로 계획된 4장의 정보·문화공간으로서의 공공도서관 건축계획안을 통한 공공도서관의 발전적 방향 의 이론을 제시하여 본연구의 결론을 맺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한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의 관수에 대한 평균적 인구수는 118천명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수치는 매년 도서관수의 증가와 더불어 작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외국선진국에 비할 바는 못 된다. 선진외국에서는 지역분관을 설치하여 도서관이 지역주민의 인근에 위치하여 그 활용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지역대표관 위주의 설치보다도 지역분관을 설치하여 분관 및 대표단 간의 협력망이 구성된다면 이용자인 지역주민의 활용도가 높을 것이다. 둘째, 대부분의 국내 도서관은 자료열람공간을 학생들 개인의 학습(공부)공간으로 제공하고 있다. 이것은 공공도서관의 원래 취지와도 맞지 않는 것으로 오랜 시간동안 공공도서관은 이렇게 사용되어 왔고, 도서관의 개념으로 인식되어졌다. 이제는 이러한 잘못된 개념에서 벗어나 공공도서관의 본래 취지를 되살려 정보·문화 도서관으로써 새롭게 자리매김하여 지역주민 을 위한 최상의 서비스기관이 되어야 한다. 셋째, 계획에 있어서, 입지선정은 지역주민의 유동성이 많으며, 지하철 및 버스의 교통편이 좋고 자연적 환경조건이 좋아야 한다. 본 계획지의 입지 여건은 지역주민의 휴식처인 공원내에 위치하고 주변에 지하철 및 대형상점, 아파트 단지가 조성되어 있는 자연 환경적 조건이 우수한곳이다. 넷깨, 계획건물 시설규모의 산정에 있어서는 도서관 및 독서진흥법에 의한 최소한 규정보다는 20%이상 상향 되어야 한다. 정보검색 공간 및 밀집서가 등을 비롯하여 시설공간의 증가가 필연적이기 때문이다. 더불어 공공도서 관이 평생학습관 개념으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문화강좌교실 및 집회실등에 대한 대상인구수, 연령분포대, 참가시간대등에 대한 조사연구를 통하여 Program을 설정하고 공간규모계획이 이루어져야 한다. 다섯째, 정보서비스부문과 문화활동부문에 있어서는 정적인 공간과 동적인 공간의 대립적인 요소로서, 각 Zone의 구분을 명확히 분리하되, 통합적 요 소로서의 계획 또한 고려되어야 한다. 여섯째, 계획건물의 blass는 주변환경적 요소에 순응하며 미래지향적인 이미지가 내포되어야 하고, 폐쇄적이 아닌 개방적(open-space)인 요소들로 구성하여 지역주민의 호기심을 유발시켜 도서관을 자주 이용할 수 있도록 Design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국내의 공공도서관은 지역적인 분관을 다수 설치하며 상호 Network을 통한 협력망을 구성하여 지역주민 가까이에서 정보제공 서비스를 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잘못 인식된 공공도서관의 개념을 바로잡아야 하며 공공도서관이 결코 일부의 전유공간이 아님을 새롭게 인식하도록 건물계획에 있어서 충분한 검토가 요청되어 진다. 공공도서관은 시설관리 중심에서 벗어나 지역주민을 위한 서비스 운영중심으로 정보·문화 도서관으로써의 기능을 계속적으로 확충해 나가야 하며, 내부공간 및 외부공간은 개방적으로 계획하되, 지역주민이 거리낌이 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Design 이 되어야 한다. 공공도서관은 지역주민에 대한 봉사활동기관으로서 지역 주민들이 정보에 목말라 하기 전에 먼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서비스를 하여야 한다. 본 계획안은 정보서비스 공간과 문화강좌 공간을 한 동으로 계획하여 홀을 중심으로 동선분리 하였고, 이용자동선과 관리동선을 명확히 구분하였다. 대부분의 정보서비스공간들은 홀을 중심으로 개방되어 있고, 별도의 학습 을 위한 공간은 구성하지 않았으며, 내, 외부의 공간들을 지역사회 주민들과의 Community 형성에 주안점을 두고 계획하였다. 제시된 계획안은 공공도 서관의 다양한 발전적 해결책중의 하나의 대안임을 밝히면서, 지역주민을 위한 공공도서관 운영에 일조하기를 기대한다. A library, which aims at providing the local community with a various kind of information, advances into offering e-information aside from cataloging and managing its shelves, commensurate with the times and accordingly changes what it is meant for. It can't be controlled by any particular person and shall be accessibly available to anybody. Today it develops into a place of lifelong classroom for the community on the framework of electronic systems, which means that anyone in the community makes him(her) available to the informational services and other cultural events, etc at the library over his(her) lifetime, whereas most of the established libraries are far beyond being capable of those services and activities, causing a lot of problems and inconveniences. This study is to propose an architectural design of a library that will be able to cope with inherent drawbacks to the established libraries by structuring libraries, accessible, not inactive and unusable alike to an extent, in an active service-oriented concept to offer information services and community activities as a place of daily life for the community through pointing out problems based on making trips to local and overseas libraries and looking into and analyzing documents and Internet sites about the layout of space in need and facilities fundamental to a public library. This study is made up of as follows: Chapter 1 describes what this study is designed for, how it is carried out, and how far it covers. Chapter 2 looks into the concept and function of a public library for information and community events. Chapter 3 sets up what a library is composed of and what should be done on those components on the basis of Chapter 2, and also includes an analysis of how a library is used, what it is equipped with for information, and what programs are available on a survey of some libraries in Seoul and Kyong-gi area, and furthermore shows why an architectural plan of a public library is needed taking into account the number of people visiting a library in foreign countries. Chapter 4 proposes an architectural library for information and community programs at the lake park in Ilsan from Chapter 3. Chapter 5 develops a theory about a far-sighted public library from Chapter 4 through the proposed guidelines, facility standards, and regulations. The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atio of people to library on average is put at 118,000, and is a far cry from developed countries. Those countries have libraries extend into communities for the purpose of increasing the availability of libraries. It should be, if it were not only for a library representing the community, natural that libraries be made more accessible to the community when a network is incorporated between the main library and its detachments. Second, most of local libraries are taken advantage of for space by students for schoolwork, and those libraries shall advance to best serve the community for information and cultural programs to the purpose of a public library. Third, libraries shall be planned in terms of availability, accessibility, and comfortable surroundings. Fourth, the estimated facilities of a library shall be scheduled more than 20% by the related regulations as it will be necessarily expanded for computerized information needs and overloaded she1ves. Moreover, a public library changes into a lifelong classroom, and structural design and programs at a library is correspondingly demanded by considering the number of people, age range and timetable, etc, availing themselves of programs and meeting facilities at a library. Fifth, information services and cultural programs at a library are divided as static and dynamic and also incorporated together. Sixth, a scheduled library shall be reconciling to its surroundings and be indicative of the future, and be also architecturally arranged for local people to frequent in curiosity. As presented above, a local library should be able to have local people get access to information services on the premises by branching out and building up a network among them in the community. Also, a library should be construed right in its meaning and a structural design of a library is thoroughly studied to make sure a library is open to everybody. A public library shall not be managed in terms of its facilities, but in terms of service for the community and work further for information and culture with the exterior and interior space both in an open setting, nor limited, but available to local people. As an institute for the community, a library should be able to move first forward to local people to serve before they ask for information. The information space in the proposed architectural draft is open to its lounge with no space for schoolwork in and the interior and exterior arranged for the community of local people. It is hoped that the drafted design is one of substitutes for a forward-looking library and will help manage a public library for local people.

      • 專門 博物館 建築 計劃에 關한 硏究 : 과학 박물관

        차재성 弘益大學校 建設都市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50655

        오늘날 우리들의 삶 자체는 점차로 서구화되면서 물질적 풍요의 혜택을 누리고 있으나, 그 반대로 급속히 지금까지 지켜 왔던 우리의 정서는 희석화 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더군다나 바쁜 생활 속에 대화의 단절과 문화시설의 부족, 이기주의 팽배를 느끼는 도심 속에서는 우리의 정서에 여유를 갖게 해주는 녹색공원이나 건축물이 절실히 필요하다. 따라서 현대인들에게 '마음 적 여유(자기자신)'를 찾게 해주는 대안으로 휴식과 교양을 제공하는 공공시설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한 공공시설 중 박물관은 과거의 흔적을 전시 하는 곳이기 때문에 마음 적 여유를 찾거나 자신의 과거흔적을 돌아 볼 수 있는 곳이다. 박물관은 시대의 변동, 기술적V] 진보에 따라 전시의 내용도 전시물의 보관과 자료 나열 식의 전시에서 변화되어 새로운 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그중 중·소규모 의 박물관은 국립박물관 및 일부 대형 박물관의 전시유물 독점 소유로 인해 문화 적, 학술적 가치가 있는 전시물을 구하기 힘든 실정이어서 특정주제 및 지역의 문화유산을 주제로 다루는 전문 박물관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교외지역보다는 접근성이 용이하고, 많은 사람들이 더 많이 이용 할 수 있고, 주변 문화시설과의 연계성이 좋은 도심에 대다수가 위치하고 있다. 박물관의 역사에서 살펴보면 18세기까지는 극히 소규모의 특수한 것에 한하여 전문박물관이라 하고 규모가 크면 종합박물관이라 일컬을 때도 있었다. 이 말은 이때까지 규모가 크다는 것을 결과적으로 이것저것 많은 종류의 것들을 모았다는 뜻이 되므로 크게 틀리는 얘기는 아닐 수 있었다. 그러나 지금은 규모가 크고 작은 것에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니고 전시품의 내용에 따라 작지만 여러 가지를 모으면 종합 박물관이 되며, 아무리 커도 한정된 전문 분야의 것이면 전문 박물관에 속한다. 일반적으로 현재의 박물관은 종합 박물관 보다 전문 박물관이 많고 그러한 경향은 차츰 보편화되고 있는데, 이것은 학문이나 사회 그리고 문화의 따른 발달과 세분화에 큰 원인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결국, 과학문명의 발달이 문화의 다양화를 가져오게 되었고, 우리들의 발자취도 다 양하게 만들게 된 계기가 된 것이라고 생각한다. 부제목에서 과학 박물관으로 선정하게 된 것은 인간 문명 세분화에 원인제공과 문명혜택, 반면 물질만능주의, 개인이기주의, 대화의 단절 등... 과학으로 인한 과거, 현재, 미래에 대한 것을 하나의 공간에서 보고, 느껴서 앞으로의 발전방향을 모색하고자 과학 박물관을 계획하게 되었다. ▷ 장소성 지역사회의 주요 문화시설중 하나인 박물관은 그 지역의 고유한 사회, 문화 형식 및 과학, 경제, 정치 등의 복합적 양상을 가늠할 수 있는 하나의 함축적인 지표로 전달된다. 이러한 박물관 기능의 복합적 의미로 인해, 일단 박물관이 설립된 이후 에는 그 박물관의 목표와 부합하는 성능을 갖춘 하나의 유기체로 주변지역과의 상호 교류 적 영향관계를 매우 밀접하게 형성하게 된다는 시각에서 박물관의 장 소성에 관련된 문제의 제기가 비롯될 수 있다. 박물관의 절대 수효 자체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우리의 현 입장을 감안하면 우선적인 설립 그 자체만으로는 외형적인 성과를 거둘 수 있겠지만, 대부분의 기본 목적을 이루고 있는 '대중과의 가급적 최대한의 상호교류'라는 측면을 고려할 때, 이러한 계량적 충족 못지 않게, 각 박물관이 대상으로 계획안 목표 이용계층이 요구하는 지적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하나의 대응 태도로서 박물관의 입지선정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된다. ▷ 입지조건 장소의 내재 특성별 관점에 따른 광역적 입지 유형의 분류로 크게 3가지로 나룰 수 있는데 도시와 교외입지유형의 특성을 잠시 살펴보면, 먼저 도시입지유형의 특성은 광범위한 범주의 사회활동 및 구조에 직·간접적으로 상호관계를 크게 갖으며, 다양한 형식의 프로그램으로 공공적 대응을 적극적으로 취하려는 목표를 갖는 박물관 입지유형, 다만 다양한 교류 및 방문의 기회를 높이는 인접성에 따르는 높은 토지가의 예상 및 여유공간 확보의 제약으로 인한 현실적인 한계성을 감안해야 한다. 그리고, 다음으로 교외입지유형특성을 살펴보면 자연과 문화가 교류되는 쾌적한 환경의 제공 및 주로 주말방문을 기대하는 여가 할용 목적에 부응하는 목표를 갖는 박물관 입지유형으로 여유공간의 확보가 용이하다. 반면 장소성 자체가 도시의 지원시설로부터 이격된 접근상의 어려움을 해소시킬 수 있는 교통체계의 확보와 방문을 촉진시키기 위한 유인시설과의 연계성이 필요하다. 이러한 조건이 부합되지 알을 경우 소위 '화려한 고립'의 희생물이 될 수 있다. ▷ 현대성 현대 과학 문명의 발달은 인간들의 삶에 많은 혜택을 주었다. 그리고 지금은 생명 공학의 발달로 인해 인간복제를 눈앞에 두고 있는 시점이다. 하지만 과학문명의 발달은 어두운 부분을 가지고 있다. 문명의 편의로 사람들간에 대화가 부족해지며, 인터넷 없이는 하루의 생활이 지루해지고 있다. 이러한 개인의 성격이 곧, 도시와 사회의 성격을 반영하고 있다, 회색으로 변화고 있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이러한 성격은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시점이다. 즉, 과학의 양면성은 끝없는 도전의 정신과 그리고, 풍요로운 혜택. 다른 면으로는 개인주의, 편리주의, 무관심을 동시에 내포하고 있는 양면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것은 곧 현대도시, 현대사회의 성격을 반영한다. 과학박물관이란 건축공간 안에서 관람자들은 고도의 현대 문 명의 실상을 느끼고, 현대 과학 발달사를 체험 할 수 있다. ▷ 대중성 박물관은 공공적인 성격이 강하기 때문에 소수에 의하여 표출되거나 선호되는 것 보다는 일반 대중이 보편적으로 참여하고 표현하는 문화시설에 가깝다. 그리고 유물 전시내용에서도 그 시대를 대표하는 유물이기 때문에 전시내용에 있어서도 대중성을 강하게 보여주고 있다. ▷주체성 자신을 돌아 볼 수 있는 여유, 박물관에서는 과거의 향수를 느낄 수 있고, 돌아 볼 수 있다. 전시내용에 따라 다소는 차이가 있지만 박물관은 과거와 현재, 미래가 공존하는 장소이기 때문에 전시물에 대한 본능을 정확히 볼 수 있다. 따라서 박물관은 현대사회가 안고 있는 여러 가지 문제들을 박물관의 성격(현대성, 대중성, 주체 성), 즉 과거, 현재, 미래가 공존하는 공간에서 자신의 발자취와 흔적, 여유를 다시 되찾고 느끼게 해 줌으로써 일어만 가는 자신의 주체성회복에 조금이나마 기여하고자 한다. ▷ 대지 선정 기준 강남역 부근은 강북의 종로 지역과 마찬가지로 강남에서 가장 대중적인 지역이라 할 수 있다. 이곳은 경제적인 힘과 함께 상업 및 업무 시설이 주를 이루며 주거 및 집객 시설이 복합적으로 존재하고 있습니다. 여기에서 파생되어진 만남, 소비, 휴식, 오락 등의 Activity는 상업적 이미지에 가려져 부정적으로 전개되어짐이 많았으므로 문화적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장소의 마련이 요구되어진다. 이때 도심에 놓여지는 문화시설은 공적인 성격을 갖더라도 넓지 않은 대지와 높은 지가라는 불리한 점을 가지게 되며 주변 시설 및 환경과의 밀접한 연계를 바탕으로 프로그램에서 전문성과 기능의 편의성이 해결되어 한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대지 선정에 있어서 주변시설 및 환경과의 밀접한 연계를 가질 수 있는 곳을 선택하였고, 계획 프로그램에서도 대중문화와 밀접한 관계를 형성 할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 결론 오늘날 사회적 이슈와 모순들을 건축계획과 어휘들로 조금이나마 풀어 보려고 시 도하였다. 오늘날 박물관은 유물전시란 의미만을 지니고 있지 않다. 즉, 박물관은 과거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들의 삶의 발자취를 가지고 있다. 그런 건축공간 안에서 도시민들의 지친 마음 적 여유와 사회적 모순들을 되돌아보고, 자신의 혼적을 찾을 수 있는 휴식처가 되었으면 하고, 향후 생겨날 도시의 맥락을 가진 전문 박물관에 대해 좋은 대안이 되였으면 한다. Today our lives have been being westernized, and we are blessed with material prosperity. But it is not too much to say that original emotion which we have had is duluted. In addition, a credibility gap of communication, the lack of cultural facilities, and surging egoism in busy lives, buildings which give emotional composure or green parks are needed seriously. So public facilities offering relaxation and refinement are needed to the moderns to have spiritual composure. Among these facilities, for museum is displayed tracks of the past, it makes possible to have spiritual composure and reflection on the past. The contents of display in museum have been changed from only keeping of relics and arraging of documents in alteration in generation, and achievement in technology. Suffering from insurance of exhibits, especially medium and small museums are developing to the special museum which is dealt with on professional subject and regional heritage as national and big museums monopolize exhibitions. And many of them are located in downtown area for keeping in close contact with cultural facilieties around and being used easily for people. In the history of museum, by 18th century special museum is called when it is only professional in small scale and general museum is called in big scale. Ultimately big scale means that in the museum diverse exhibition are displayed. But now the matter that scale is big or not is not the point. As the contents of displayed exhibition, it is decided on general museum where varying exhibit is displayed or special museum where professional exhibit is displayed. Generally these days special museum are more than general museum and this is on an increasing trend. It is because rapid advancements and subdivision are made in knowledge, society and culture. Eventually development of science civilization leads to variation in culture, and our tracks are being made to vary on this. I think that science offers to cause in culture subdivision and in modern conveniences otherwise in materialism, egoism, discontinuity of communication, so I choice Science Museum to sub-title. And I designed science museum to search of developing direction in things of the past, the present, the future from science. Characteristics of place Museum as important cultural facility in a community indicates that it represents own complex aspects of society, form of culture, science, economy, and politics. For this complex concept of function as museum, establishment of museum means that it becomes an organized matter which have property confirming with the aim of the museum. So characteristics of museum derive from a view of museum's forming interrelationship with the surroundings. Relatively for the lack of the absolute number of museum, establishment itself gets good results outward. But considering on the phase that the exchange with the people to the utmost, not only measuring satisfaction but also countermeasure to improve mental satisfaction of user has important meaning in conditions of location. Conditions of location From the point of view that the site has inner characteristic, the type on wide area can be classified into 3. When the conditions of location in the city and the suburbs are examined, each characteristics are following as. Firstly, the museum in the city is thoroughly concerned with social activity and structure in extensive area directly or indirectly. And it can intend to correspond with the aim of the public by various program. But there are considered something : the high price of land in proportion of the chance of diverse exchange and that of neighboring for visiting and restrictions of public space. While the museum in the suburbs can offer comfortable surroundings exchanged nature and culture. Also it can be visited for the purpose of using spare time as weekend. But as the condition of location itself has the matter that it can be difficult in approach for separating from supporting facilities, it is needed to secure transportation system and connect with enticement facilities. If this condition is not satisfied, the museum can be self-immolation of splendor isolation so-called. Modernity Development of modern scientific civilization bestow a favour of human life. And now thanks to development of life science, human clone can be near at hand. But development of science has dark side the other hand. communication is lacked for convenience of civilization, and a day life is dulled without internet. This personal character reflects of that of the city and society. That means changing to gray. And this is rising the problem of society. Both sides is that endless mental of challenge, affluent convenience and that individualism, opportunism and indifference. These are reflected on character of modern society. Visitors can feel real aspects of modern civilization and experience the developing history of modern science in the space of Science museum. Publicity Museum has the sense of public duty. So it is the cultural facilities where people can take part and express rather than facility for minor. Also, as the contents of displaying exhibit are represented the ages, it represents the sense of public duty. Identity Visitors can feel nostalgia and review themselves in the museum. In spite of difference in the displaying exhibit, substance of exhibition can be seen accurately as the past, the present, and the future coexist in the museum. In museum where the past, the present, and the future coexist, visitors can recover their identities by feeling their tracks and calmness. The museum helps to recover their identity in this way. A basis of selection in site Site near by Kang-nam sta. has the most popularity such as Jong-ro in Kang-buk. In this site, there are commercial, office buildings with economic power, residental and reception facilities compositely. It is need to prepare places to satisfy cultural demands as activities like meeting, costume, rest, amusement represent wrong covering with commercial images. In spite of having publicity, cultural facilities in civic center have handicaps like not so much wide site and high price of the site. And programs which connect with near facilities and surroundings is needed to solve special function and accomodity. Connection with near facilities and surrounding is concerned about deciding on site. And it is planned to form connection with public culture in planning program. Conclusion I tried to solve social issue and irony by design and architectural vocabulary. Today museum is not only displaying exhibit. Museum is not in the past, but tracks our life. In this space, museum should be place for refreshment where people compose their mental placidity, look back social problems, and discover their tracks. And this study can be a good alternative plan for special museum having context with city in future.

      • 아파트형공장 개발사업의 현황 및 개선방안에 관한연구 : 서울 디지털산업단지 중심으로

        김성곤 弘益大學校 建設都市 大學院 2007 국내석사

        RANK : 250655

        최근 눈에 띄는 부동산개발 프로젝트 중 단연 구로공단의 개발 프로젝트인 서울 디지털 산업단지 개발 사례가 비교적 성공적이며 모범적인 개발 사례로 대두되고 옛 제도형 공장터에 아파트형 공장을 위주로 개발한 것으로 토지이용효용이나 개발이익을 생각해볼 때 아파트형 공장이라는 테마는 성공적인 개발사례의 종목으로 인정받고 있다. 아파트형공장은 동일 건축물 안에 다수의 공장이 동시에 입주할 수 있는 다층형 집합건축물로서, 3층 이상의, 6개 이상 공장이 입주할 수 있는 건축물을 말한다. 이러한 아파트형공장은 현재 서울시를 비롯한 수도권 지역의 공장입지 지역의 축소로 인한 제조업체의 입지난의 해소에 도움을 주고 있다. 아파트형공장은 80년대 후반, 산업활성화를 위하여 인천지역에 최초로 건립하기 시작하여 현재전국 191개소 240동이 건설되었거나 건설 중에 있다. 아파트형공장은 1996년도이후 공급이 증가하기 시작하였는데, 그 이유로는 공공중심의 아파트형공장의 공급이 한계에 봉착하면서, 좀더 원활한 공장부지 공급을 위해, 민간이 아파트형공장을 건설하거나, 입주하는 경우 재정 및 세재지원을 받을수 있도록 확대하기 시작하면서였다. 현재 아파트형공장은 서울과 경기도 지역에만 185개동이 위치할 정도로 많은 공장과 입주업체들이 몰려있다. 결국 아파트형공장의 공급의 증가는 대부분 서울과 경기도 지역에 집중되고 있는데, 이러한 이유로는 기존 대규모 제조업체들의 이전으로 인한 이전지에 아파트형공장의 건설이 이루어졌고, 각 지자체별로 첨단산업유치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의 방안으로 아파트형공장의 공급이 필요하였기 때문이었다. 이러한 아파트형공장은 도시의 중소 제조업체들이 도시외부효과를 영위하기 위해 도시에 입지하려는 성향을 충분히 충족시킬 수 있는 방안이기도 하다. 중소 규모의 업체들은 대규모 기업과는 달리 발달된 교통망과 고급인력 수급을 위한 삶의 질이 높은 곳에 입주하려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또한 비슷한 업종간의 근거리 입지를 통해 생산의 분화와 원료 및 상품판매의 편리성을 얻을 수 있는 지역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이러한 외부환경이 갖추어진 도시에 입지하려는 성향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현재 이러한 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는 서울과 경기도의 서울인접지역에 많은 업체들이 입주를 희망하고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서울과 경기도 지역내의 공장부지의 감소로 인해 입주가 어렵다는 것이 문제이다. 공장부지의 감소는 지속적인 정부의 규제, 토지의 가격상승으로 인한 지대지불의 한계, 그리고 기존 공장이전적지의타용도로의 전환들로 인해 심화되어가고 있다. 적은 양의 부지를 고층화를 통한 토지의 고도이용으로 해결하고자 하였는데, 이러한 이유로 아파트형공장의 공급이 시작이 되었다. 이러한 공급의 증가로 인해 아파트형공장은 하나의 부동산개발상품으로 주목을 받기 시작하였고 지금까지의 부동산시장에서 관심을 끌지 못하였던 공장부동산시장의 활성화도 견인하게 되었다. 아파트형공장은 공급의 증가로 인한 문제점들도 발생되고 있는데, 서울과 경기 일부지역을 제외한 많은 지역에서 분양률이 80%미만인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을 볼 때 현재의 아파트형공장은 과잉공급이라고 볼 수도 있다. 물론 아직까지 기존배후지에 많은 공장이 위치하여 다른 지역보다 입주업체에게 많은 유인요인을 가지고 있는 서울과 서울인근 경기지역의 공장들은 여전히 높은 분양율을 보이며 성공적인 공급이 진행되고 있으나, 이외의 지역의 미분양사태가 서울과 서울인접 경기도 지역에까지 확대될 가능성은 분명히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지금까지의 무분별하게 공급된 아파트형공장은 수요요인을 분석하여 그 결과에 따라 공급이 되어질 필요가 있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수요요인 분석을 위하여 서울 디지털 산업단지에 입주한 아파트형 공장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고 그 결과로서 수요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수요요인으로서는 기존의 공장과 근거리에서 이전하려는 업체의 특성과 발달된 교통망에 입지하려는 지리적 요인 낮은 입주가격과 낮은 관리비용의 비용적 측면, 자가공장마련의 편리성, 그리고 편의시설과 기간시설의 편리한 이용, 마지막으로 타업체들과의 협력의 용이성등이 아파트형공장에 입주한 업체들의 수요요인이었다. 이러한 수요요인들은 모든지역에서 동일하게 나타나는 것이 아닌, 각 지역마다의 차별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수요요인과 지역간의 차별적인 수요요인들을 분류하여 각 지역의 최적 공급형태를 찾을 필요가 있다. 이러한 수요요인분석을 통한 아파트형공장의 공급을 통하여 다른 아파트형공장과의 차별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결국 아파트형공장은 더 이상 건설해놓고 분양하는 형식은 어려워지게 되므로 수요자의 필요에 맞는 공장을 공급하도록 수요요인을 파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겠다.

      • 복합용도개발(Mixed Used Development)의 집객화를 위한 상품기획 및 공간전략 방법에 관한 연구 : 복합용도개발의 활성화, 집객화, 자족성 측면 중심으로

        최홍규 弘益大學校 建設都市 大學院 2007 국내석사

        RANK : 250655

        Mixed Used Complex located Metropolitan is similar to a small city as an aspect of scale or diverse in facilities. In general, it is compounded residence, business, and various cultural facilities. However, Mix Used Complex has been coming recently to a perfect city that mixes all facilities by adding entertaining function. As mentioned above metropolitan contains space strategy through analysis in mixed used development; in other words, it should start from products planning. This study is analyzed about what functions of each facility are, how the process is developed, and how space could be applied in Mixed Used Development. Mixed Used Development has diverse backgrounds as a group of contracture accumulated by proper current. Social factors such as rules or tendency and sorts of complexes facilities makes development possible to access multiply. However, Mixed Used Development has existed with history of a city, and it is one of ways to activate metropolitan. Therefore, activation and attraction on mixed used development are very important. In fact, the study for a way of products planning is the most key point through the process-analyze. While Korea was proceeding national land planning, building new town, or urban redevelopment, it was accomplished negative development under capital and authority, but public and balanced development because of pressing matters such as dramatic industrialization, a huge of population growth, housin environmental deteriorating. Unlike a cultural and civilized city, it has been changing inhumanly, unenlightened, and anti-environmentally. Old metropolitan was in difficult in centralization of people at a central city in office hours, rise land or housing price because of leaving slum unsettled. Besides, it gave a sense of incompatibility as well as disproportion between wealth and poverty Now, it is the time to remodel an ideal city, called ‘Human city’. Not only healing problems in the old metropolitan but harmony among human, culture, and industry is Human city. So, we have to focus on cultural contents reflected the features that Korean only has in order to advance Mixed Used Development and to satisfy public desire and Korean circumstances. Cultural character is various flexibility and generosity. As well, it has infinity potential of new product planning by unexpected compounding among several areas. Apparently, customarily development emphases direct connection between constructive functions by physical link. For future, Mixed Used Development has to be out of that. If we revive Korean culture destroyed by industrialization and civilization, cultural contents should be reproduced and redeveloped. This is a remarkable point for maximizing activation, self sufficiency, and attraction. Recently, an amount of residential, commercial buildings have been constructed in Korea as political purpose for relief of traffic congestion and secure housing area. Nevertheless, Korea has been concentrated on housing policy so far. As a result, benefits of public development are covered by profitability guarantee of real-estate developers. Korean Mixed Used Development in the past and the present have some limits; facilities and attracted population depend on city, culture and city are inorganic relation. After all, Future Mixed Used Development has to arrange complex and strategic facilities based on comprehend of attraction, culture, and function.

      • 環境親和的인 低層 集合住居團地 計劃에 關한 硏究

        이윤임 弘益大學校 建設都市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50655

        고도의 성장을 추구하던 산업사회를 거치면서 인간은 자연환경을 개발한다는 명분을 내걸고 대단위 규모의 도시화, 공업화, 산업화 등을 지향해왔으며, 이처럼 인간이 환경을 변화시켜 나가는 능력은 실로 무한할 것이라고 생각해왔다. 역사적으로 인류는 개발을 위한 기술과 도 구를 성공적으로 발전시켜왔으며, 자연환경을 개발하고자 하는 강한 신념과 의지를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지금 우리는 이러한 확신의 당위성에 대하여 의문을 품게 되였다. 지난 20세 기에 숨 가쁘게 이루어온 산업화 및 대규모의 도시화 현상은 이제 여러 가지 문제점을 노출 시키고 있다. 인류는 산업화와 도시화의 과정에서 발생된 각종 오염, 오존충의 파괴, 지구의 온난화 현상, 자원의 고갈 등의 문제에 직면하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오늘날 인류뿐만 아니라 지구상의 모든 생명체에 대해서 위협을 가하기에 이르렀다. 이에 따라 국제사회는 공감대를 형성하고, 각국의 오염물질 배출에 대해 규제에 풀어가게 되었다, 건축계에서도 그동안 환경에 역행하는 건축 활동에 대해 자성하며, 그에 대한 대안으로 우리의 전통건축 등의 토속건축에서 보여 지는 자연에너지와 자연환경요소의 적극적인 활용과 현대의 고도 기술을 접목시킨 기술 및 계획방법이 도입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인간생활의 가장 근간을 이루는 주거 특히 집합주택의 계획에 있어서 최소한의 생태계를 파괴하고 건강한 자연환경을 공유할 수 있고, 에너지 소모의 최소화를 위한 저층의 환경친화형 주거단지 계획방법의 도출 및 설계를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 하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제1장에서는 연구의 배경과 목적에 대해 개괄적으로 기술하였다, 제2장에서는 환경친화 건축에 대한 일반적인 고찰로서 환경친화건축의 정의와 목적, 기본원리, 그리고 우리의 전통마을에서의 환경 친화요소를 도출하고, 환경친화 제3장에서는 기존의 환경친화적인 주거단지의 선진의 현황과 사례를 분석하여 주거단지에서의 한경천화요소와 계획기법을 통한 환경 천화적인 주거단지의 방향을 알아 보았다. 제4장에서는 앞장에서 도출한 내용들을 토대로 환경친화적인 주거단지의 계획 방향을 설정하였다. 제5장에서는 위와 같은 내용을 바탕으로 환경 친화적인 주거단지의 적용가능성이 높은 대상지를 선정하여 저층의 집합주거단지를 계획하였다. 위의 과정을 통해서 분석된 환경 친화적인 집합주거단지의 계획지침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집합주거단지의 배치는 기본적인 자연에너지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방향을 고려하여 일조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자연환기를 유도 할 수 있도록 고려하여야 한다. 둘째, 주변환경의 생태적인 면과 물리적인 면과의 연계성을 충분히 고려하여 단지를 배치하고, 자연환경요소를 적극 수용하여 광역적인 녹지 망이 단절되지 않도록 계획하여야 하며, 단지 내의 소규모의 위요된 공원 등을 적극적으로 조성하여 유기적으로 구성하여 이용자 입장에서 쾌적한 단지가 조성되도록 계획한다. 셋째, 자연토양의 최대한 보전, 우수의 유출억제, 생태시스템을 고려한 물, 수목과 같은 자연환경요소를 최대한 이용하여 주민의 커뮤니티의 향상과 미기후의 조성에 도움이 되도록 하여 사람들의 거주지가 자연의 일부분이면서 주변 동식물의 서식처로서 그린네트워크의 분기점으로 어울림이 있는 단지를 계획하여야 한다. 넷째, 자연환경의 기본법칙인 재생의 가능성을 고려하여야 하며, 주거단지에서 사용되는 용수나 쓰레기를 단지 내에서 재생, 재활용 가능하도록 뒷받침된 계획이 이루어져야 한다. 다섯째, 거주민에 대한 안전의 보장과 쾌적한 단지 내의 환경을 위한 보행자 우선의 교통시스템과 보·차로 분리를 통하여 쾌적한 보행 환경을 고려한다. 여섯째, 주동의 형태는 자연채광과 바람의 원활한 출입을 통해 쾌적한 환경의 밑바탕이 되어야하고, 환경친화적인 설비시스템을 채택하여, 배출되는 오염원의 감소와 에너지절약을 피하는 방안을 강구한다. 일곱째, 각 주호에 개별온실을 두거나 발코니녹화 등을 통해서 실내의 열완충공간 과 자연환경공간으로 제공하며, 1충 세대의 접지성을 고려해 별도의 출입구와 개별정원의 조성으로 거주민들의 환경 친화도를 높일 수 있게 한다. 여덟째, 주동의 공유공간과 연계하여 자연요소의 도입과, 아트리움의 자연채광, 자연환기 등으로 거주민에게 쾌적한 커뮤니티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 아흡째, 환경친화적인 주거단지의 조성과 유지관리에 거주자들의 직·간접적인 참 여룔 유도하여 자연환경에 대한 천화도를 높이고, 주민의식의 함양과 커뮤니틱의 향상을 고려한다. 특히 환경 천화개념의 건축계획은 단순히 단일 건물이나 단일 단지에 적용하는 것 보다는 도시 맥락적인 면에서 계획되었을 때 도시환경의 질적 향상이라는 측면에서 할경친화 개념과 부합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집합주거단지는 인간이 늘 상주하는 거주공간이라는 측면과 그 규모에서 도시를 이루는 대표적인 구성요소로서 거주민들의 참여를 적극적으로 유도하고, 인센티브 적용과 갈은 법적 제도적인 뒷받침과 관련기술의 개발이 선행되어야 한다. Through industrial society to pursue high growth, human being headed for large scale urbanization, industrialization, etc. under the name of developing natural environment, and it has been thought that the capability of human being to change environment like this will be endless. Historically, human being has successfully developed technology and tools for development and had strong belief and intention to develop natural environment. However, now we became to be doubt about the justness of such conviction. Industrialization and large scale urbanization phenomena which have been realized breathlessly in the past 20th century are now exposing various problems. Human being faces with problems such as various contamination, ozone layer destruction, earth warming phenomenon, resource shortage, etc. which is caused during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process, and such phenomenon threats all lives on the earth as well as human being. Accordingly, international society arouses sympathy and become to control discharge of contaminant in each country. Architectural world is reflecting on architectural activity against environment for the time being, and is introducing technology and plan which actively use natural energy and natural environmental element and modern high technology being shown in local architecture such as our traditional architecture and so on as a substitute pla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and design housing complex plan of environment-friendly type of low story in order to minimize destruction of ecosystem, hold healthy natural environment in common, and minimize consumption of energy especially in joint housing plan which forms the basis of human life. This research was performed in the following methods under such purpose. Chapter 1 describes background and purpose of research generally. Chapter 2 introduces definition, purpose, and basic principle of environment-friendly architecture and environment-friendly element in our traditional village as a general consideration of environment-friendly architecture, and describes concept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environment-friendly residential housing complex. Chapter 3 examines direction of environment- friendly residential housing complex through environment-friendly element and planning technique in residential housing complex by analyzing advanced situation and example of existing environment-friendly residential housing complex. Chapter 4 establishes planning direction of environment-friendly residential housing complex on the basis of the content introduced in the previous chapter. Chapter 5 planed low-rise integrated residential housing complex by selecting object land having high possibility of application of environment -friendly residential housing complex on the basis of the above content. And, finally it describes evaluation of planning and result of research. Planning guide of environment-friendly integrated residential housing complex analyzed through the above purchase is as follows. First, integrated residential housing complex should be arranged so as to sufficiently secure sunshine by considering direction in order to actively use basic natural energy, and should consider introduction of natural ventilation. Second, complex should be arranged by sufficiently considering connection between ecological aspect and physical aspect of surrounding environment, be planned so as not disconnect wide green network by actively accommodating natural environment element, and be planned to compose pleasant complex for user by composing surrounding park of small size in the complex actively and organically. Third, complex should be planned to have turning point of green network as living place of surrounding animal and plant as well as part of nature by improving residential community and composing beautiful weather by maximumly using natural environment element such as maximum conservation of natural soil, suppression of outflow of rain water, water considering ecosystem, and natural environmental element including water and wood. Forth, it is required to consider possibility of regeneration being basic law of natural environment, and to make plan supported to enable regeneration and reuse of water or waste used within residential complex. Fifth, walking environment should be considered through traffic system for pedestrian and separation of pedestrian and car for guarantee of safety of residents and pleasant environment in the complex. Sixth, type of main building should secure a plan to reduce discharged contaminant and save energy by selecting environment-friendly equipment system by supporting pleasant environment through natural lighting and smooth entrance of wind. Seventh, it is required to provide indoor natural environmental space through separate greenhouse at each main building or balcony tree-planting, and to enhance environmental friendliness of resident by composing separate entrance and garden through considering ground property of first floor resident. Eighth, it is required to secure pleasant community space for residents through introduction of natural element, natural lighting of artrium, natural ventilation, etc. in connection with common space of main building. Ninth, it is required to enhance friendliness for natural environment, grow resident mind, and improve community by introducing direct and indirect participation of residents for composing and maintaining of environment-friendly housing complex. Especially, architectural planning of environment-friendliness concept can be said to comply with environment-friendliness concept in terms of quality improvement of urban environment when being planned in terms of urban aspect rather than being applied to simple single building or single complex. Therefore, integrated residential housing complex should develop legal system support and related technology such as using of incentive as well as introduce positive participation of residents as representative component of large size city as well as a residential space where human beings are always residing.

      • 호텔 내 여행객을 위한 여행정보 센터 디자인

        문선자 弘益大學校 建設都市大學院 2007 국내석사

        RANK : 250639

        Since the 21th century, the values of people who live these days make themselves want to have discriminated experiences being out of the 'Uniformity' and 'Fixedness'. Income increase and shorten working hours by high growth of economy is increasing concern about using of leisure and travel. Since traveling gives better productivities and social solidarity, it's importance is emphasized. This wave of changes also has affected to the tour market and will expect to take critical position for free trade market and change of domestic political Circumstance. Especially hotel industry is essential infrastructure for tourist industry and contribute a lot. The concept of hotel is changing due to change of circumstance surrounding hotel. Therefore, it is important that we should understand the concept of hotel precisely and have function to satisfy social demand by expectation of future. After John Portman's suggestion, one stop service system starts, hotel is developed as a huge 24 hours never-stop organization and have changed complex space having various function by demand condition of many user. This diversity society wants that hotel serves something that fulfill new experience and satisfaction rather than just lodging and food and that is people's expectation and satisfaction of the new things. In this reason, variety approach is required for hotel design and planed space to fulfill demand condition of speciial users through new approach. Through analyzing service space of city hotel in the world, I'll show model in an area of internationalization , tourist information center by planned to basis on demand condition of user to tour, and especially from interior and environment exhibition design. Therefore through this thesis, to accommodate change of society rapidly and change of clients for themselves style, it is necessary to get out of a simply material satisfaction. When it is just considered by the composition of space and expression which can satisfy client's desire emotionally the communication will be reved up between clients and circumstance. By these efforts the Design Hotel will have a success creating discriminated value of hotel as a special culture space. 21세기 현대인의 가치관은 획일성, 고정성에서 탈피하여 남들과는 차별화된 경험을 하길 원하고 있다. 급속한 경제 발전으로 인한 소득의 증가와 노동시간의 단축, 교통수단의 발달 등으로 여가활동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으며 여행이 보편화된 시대를 맞이하게 되었다. 여행은 인간성회복, 내일에의 재생산 및 사회연대감을 높인다는 점에서 그 필요성이 더욱 대두되어 왔다. 이러한 변화는 관광시장에도 변화의 바람을 일으켰으며, 앞으로 전개되는 무역시장의 개방과 국내 정치 환경 변화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 할 것으로 예상 되고 있다. 특히 호텔산업은 관광을 지원하는 중요한 기반시설로서 많은 기여를 하고 있다. 호텔의 개념도 호텔을 둘러싼 환경의 변화에 따라 변해가고 있어 현재의 호텔의 개념을 정확히 파악하고 미래를 예측하여 사회의 욕구를 충족할 수 있는 기능을 확보해야하겠다. 호텔은 존 포트만이 제안한 one stop service system이 실시되면서, 24시간 멈추지 않고 살아 움직이는 거대한 조직으로 발전하였고, 또한 다양한 이용객들의 요구조건에 의해 여러 가지 기능의 복합 공간으로 변화 되어 왔다. 다원화된 현 시대에는 호텔에 있어 숙박과 식음의 서비스 충족이라는 호텔의 기능에 부가된 그 무엇인가를 원하고 있고 그것은 바로 ‘ 새로운 경험에 대한 기대와 만족’이었다. 이에 호텔 디자인에 있어서도 다원적인 접근이 필요하며, 새로운 사고와 지식의 접근을 통해 특정 User층의 요구조건에 의한 공간을 계획 하였다. 기존의 국내외 도시 호텔의 서비스 공간을 분석하고, 특히 관광을 목적으로 한 이용객들의 요구 조건을 바탕으로 계획되어진 The Tourist Information Center는, 국제화시대에 필요한 모형을 제시하며 ,특히 실내 전시 , 실내 환경 디자인을 통합적으로 보여줄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을 통해, 급속도로 변하는 사회와, 자신만의 스타일을 위해 고민하는 고객들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단순한 물질적 충족에서 벗어나 고객의 Needs를 감성적으로 충족시킬 수 있는 공간구성과 표현으로 고객과 환경의 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함으로써 독특한 문화공간으로서의 차별화된 디자인만이 그 가치를 창출하여 성공을 거둘 수 있음을 확인하고자 한다.

      • EAP를 도입한 기업 내 스트레스 상담공간 계획

        유주 弘益大學校 建設都市大學院 2007 국내석사

        RANK : 250639

        직장인의 스트레스는 직무와 연관된 경우가 대부분이다. 하루 일과 중 절반이상을 직장에서 보내다 보니 스트레스 쌓이는 일이 많기 때문이다. 직무스트레스란 직무가 요구하는 것이 근로자의 능력이나 자원, 요구와 맞지 않을 때 발생하는 유해한 신체적 반응이다. 조직 및 조직과 관련된 사항으로 작업공정에 변화가 있다든지 직장구성원간의 의사소통이 잘되지 않는다든지 대인관계에서 불화가 생겼다든지 조직체의 목표에 대한 이견 등을 요인으로 들 수 있다. 개인적으로는 승진에서 탈락했다든지 조직에서 역할이 모호하다든지 직무수행을 위한 자원이나 직권부족 등이 스트레스 요인으로 작용한다. 직무 스트레스는 서구에서는 이미 직업병 중의 가장 심각한 사안으로 등장해 많은 사업장차원에서 직무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다. 최근 한국에서는 직무 스트레스로 인한 질병과 정신건강 악화를 반영하는 다양한 통계가 발표되어 우리사회에서 스트레스로 인한 문제가 심각함을 알 수 있다. 직무스트레스로 인한 건강장애와 삶의 질 하락으로 최근 산업안전보건법 개정시, 사업주의 직무스트레스 예방의무가 첨가되었다. 또한 연구자를 중심으로 한국노동자의 직무스트레스를 측정하는 표준화작업도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직장 내에서 근로자들이 경험하게 되는 직무스트레스로 인하여 근로자 개인 및 조직에게 미치고 있는 직무스트레스 해결 및 완화를 위해 미국 등 선진국에서 실시하고 있는 사회복지서비스 프로그램 중 하나인 직장인 지원 프로그램(EAP)에 관해 고찰해 보고, 그 효과에 대해서 살펴봄으로써 EAP를 도입한 기업 내 스트레스 상담 공간의 의미와 스트레스 상담 공간 계획의 방향을 찾아본다. 또한, 치유환경의 요소로서 멀티 테라피를 연구하여 단순한 상담 공간으로의 기능뿐만 아니라 그 공간을 사용함에 있어 멀티 테라피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즉 스트레스 상담 공간인 동시에 치유 환경 조성을 통하여 상담 공간의 효율을 높이며 새로운 디자인 방향과 공간 활용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과정을 요약해 보면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EAP의 이론적인 고찰과 더불어 현재 우리나라의 EAP를 도입한 기업의 사례 조사를 통해 요구되는 공간과 시설을 파악한다. 둘째, 공간 접목을 위한 멀티 테라피 시스템을 분석, 그 특성에 대해 이해한다. 셋째, 지금까지 조사된 자료를 통해 이론적인 배경이나 적용의 적절성에 대해 살펴보고, 실제 계획 공간에 EAP와 멀티 테라피 도입의 필요성을 검토, 적용시킨다. Most of the stresses of office workers are related to their job. Office workers spend more than half of their daily life in their office and consequently being stressed. Job stress is noxious physical reaction caused by discrepancy between capability, resources and demand of workers and what is demanded by the job. Organization based causes can be a change in process, mis-communication between coworkers, unfriendly relationship and dissenting opinion from the goal of the organization. Private based causes can be failure to be promoted, unclear role within organization and insufficient authority to carry the job. Job stress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serious one in the industrialized countries carrying out stress control programs by workplaces. Recent statistic reports of diseases and aggrevation of metal heath caused by stress shows the seriousness of stress related problems in Korean society. Disease and drop in quality of life cased by job stress made the government to put prevention effort of job stress by the owner claus in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Act. And standardization of measuring job stress for Korean workers took place.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mployee Assistance Program(EAP), a social welfare program conducted in industrialized countries to reduce job stress of workers and its effectiveness, to find significance of stress counsel space and direction in planning such space. Moreover, work to give multi-therapeutic effect in using the space by studying multi-therapy as a factor for healing environment. In other words, this study carries its meaning in presenting ways to design a space as a counseling room and healing space at the same time to enlarge the efficiency. Researching process is as follows. First, study theoretic points of EAP and case study of EAP adopted enterprizes in Korea to assess required space and equipment. Second, analyse and understand characteristics of multi-therapeutic system to graft space. Third, study theoretic backgrounds and relevance to adopt from the data collected. Evaluate necessity of importing EAP and multi-therapy in realistically planned space and graft.

      • 풍수지리이론과 주택에의 적용에 관한 연구

        주경숙 홍익대학교 건설도시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50639

        이 논문에서는, 생명체에게 유용한 환경을 제공하는 동양의 지리관이며, 경험을 바탕으로한 과학적 학문 또는 환경적 학문으로서의 풍수지리 이론을 개관하였다. 현재 유행하는 웰빙 추세속에서, 주거에 대해서도 친환경적이면서 자연과 인간의 조화를 강조하는 경향이 강화되고 있다. 즉 이러한 환경친화적 추세는 환경과 생태계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의 확산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으며, 주체로서의 인간이 중심이 되어 자연과 함께 공생해 나가야 한다는 것이다. 그 다음, 가장 바람직한 주택의 기준을 우리 선조들의 생활 속 사상적 배경이 되었던 풍수지리와 관련시켜 보았다. 전통적인 풍수지리이론이 현대주택에서 어떻게 응용될 수 있는지에 대해 이론적인 연구를 해 보았다. 결론으로, 경제성장과 더불어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사람을 담는 그릇이 바로 주택인 만큼, 굳이 지기에 의한 발복 까지는 아니라 하여도, 건강한 삶을 위해서는 풍수지리이론을 응용한 부지선정, 설계, 주택건축 및 실내배치 등이 절대적으로 필요함을 역설하였다. In this thesis, the brief theory of Feng-Sui which has been a oriental geography providing beneficial environment to living creatures, and which has been a scientific study or a environmental science from several millennium-old experience, is being outlined. In trend of wellbeing, the importance of harmonizing the housing with nature, environment and human-being is being emphasized. It can be said that this ecogeographical trend is underlined by the proliferation of understanding the importance of nature and ecology, so the human-being as a main post should live together with nature. Then it is studied from the perspective of Feng-Sui which has been our ancestor's philosophical background in living for several millenium-long, what the most beneficial housing is. That is, the theoretical study is directed on the application of traditional Feng-Sui theory to modern housing. As a concluding remarks, in recent trend of proliferating the interest in the quality of life with economic growth, it is emphasized that the application of Feng-Sui theory to the choice of site, housing-design, construction and interiors should be needed for the healthy living, not from the perspective of beneficial interests of land-force, from the perspective that the house should be the healthy container of human-be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