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樂記》美學思想硏究

        남석헌 山東大學 1998 해외박사

        RANK : 248607

        주희(朱熹)(1130-1200)는 송(宋) 휘주(徽州)의 무원( 源)의 사람으로, 소흥(紹興) 18년 사직에 입문하였다. 자는 회(晦), 혹은 중회(仲晦)라고 하며, 그의 호는 회암(晦庵), 혹은 둔옹(遯翁)이라 하였다. 그는 말년에 고정(考亭)을 지어 이사하고, 자양서원(紫陽書院)에서 강의를 했기에 고정(考亭) 혹은 자양(紫陽)이라고도 하였다. 주희는남송(南宋) 전기(前期)에 활동한 사람으로서, 당시는 민족, 계층간의 모순이 복잡하였기 때문에, 일 평생정치에 관심을 갖고. 대의회복에 노력하였다. 그는 군심(君心)으로 다스리면, 정치가 개선되고, 민심이 변한다는 정치적인 이상(理想)을 갖고 있었다. 그는 4개의 왕조를 거치면서, 각 왕조 통치집단의 인물들과 광범위한 관계를 가져왔으며, 말년에는 정치문제도 참여하였다. 그는 정사(政事)방면에 뛰어난 능력을 보였으나, 당시 시대를 대표하는 한 사람의 유학자로서의 본문을 벗어나지는 않았다. 그의 일생은 강론(講論), 저술(著述), 주석(註釋), 편집(編輯)에 기여하여, 학술방면의 업적이 풍부하고, 교육활동 또한 활발하였다. 향리에 거주하면서, 경(經)을 얘기하고, 강론을 하며, 학문을 가르쳤고, 백록서원(白鹿書院), 장주도원(장州道院), 악록서원(岳麓書院) 등에도 외임(外任)하는 등, 문인과 제자가 천하에 넓게 분포되었다. 주희는 북송(北宋)에서 시작한 이학(理學)의 집대성자로 그의 저서 《이락연원록(伊洛淵源錄)》, 《근사록(近思錄)》등을 통해 북송 이래의 도학발전을 계통적으로 연구, 정리하였다. 그는 이정(二程)의 《어록(語錄)》을 수집하고 편집정리 하였고, 주돈이(周敦이)의 《태극도설(太極圖說)》과, 《통서(通書)》에 주석을 달았고, 또한 장재(張載)의 《서명(書名)》에도 주석을 달았으며, 《주역본의(周易本義)》와 《역학계몽(易學啓蒙)》등을 저술하여 정이(程이), 소옹(紹雍)의 역학사상을 발전시켰다. 이는 이정(二程)학설의 기본사상을 중심으로, 주돈이의 우주도식(宇宙圖式)을 개정하고, 장재의 기화사상(氣化思想)을 흡수하며, 소옹의 상수역학(象數易學)을 융합시킨 것으로서, 북송도학의 여러 지류를 하나로 모으는 역할을 한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형성된 그의 학설은 원(元), 명(明), 청(淸)의 관료사상에 체계가 되어 긴 역사 속에서 중, 후기 중국 봉건사회에 가치와 의미를 부여하였고, 동아시아 지역에의 광범위하게 전파되어, 근대와 고대의 동아시아문명의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다. 뿐만 아니라 그는 전체 고전문화에 대한 이해도 깊어, 일생동안 《사서(四書)》에 힘을 쏟아, 초년에 《논어(論語)》, 《맹자(孟子)》를, 말년에 《대학(大學)》, 《중용(中庸)》등에 몰입하여, 사서의 《집주(集注)》와 《혹문(或問)》을 편성하여, 사서계통의 철학으로 하여금 새로운 형태와 새로운 생명을 부여했다. 그 외에 그의 저서로는 《시집전(詩集傳)》,《주역본의(周易本義 )》, 《초사집주(楚辭集注)》, 《통감강목(通鑒綱目)》등과, 후세의 사람들이 편집한 《주문공집(朱文公集)》 등이 있다. 그리하여 사람들은 그를 백가제자(百家諸子), 불로이단(佛老異端)이라고 하여, 천문, 지리, 역학, 병가, 그의 연구하지 않은 바가 없음을 이야기하여 "무릇 시(詩), 서(書), 육례(六藝)의 문장과 공맹(孔孟)이 남긴 말, (凡詩, 書, 六藝之文, 孔孟之遺言,顚錯于秦火, 支離于漢濡, 幽沈于魏秦六朝者)"을 "깊이 그 기미를 연구하여 그 사이에 숨겨져 있는 뜻을 찾는다(極深硏幾, 深이索隱)"라고 하였다. 중국의 역사상, 어떤 철학자도 연구, 저술방면에 있어서 그를 따를 수가 없었으며, 중국전통문화와 철학방면에 대한 공헌이 높아 후세에 그를 "주자(朱子)"라고 높여 불렀다. 주자로 대표되는 송명이학(松明理學)은 중국 고대 봉건사회 후기의 통치계층의 의식형태를 이루고 있어, 혹자는 관방철학(官方哲學)이라고도 한다. 그 실질과 목적은 유학을 다시 흥하게 하고, 의리(義理)를 높게 보며, 논이를 옹호하고, 질서를 강화하여, 전제주의(專制主義)적 집권정치를 위해 봉사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오랜 세월동안 많은 이들이 철학 또는 정치문화의 각도에서 주자의 이론을 연구하였다. 한 사회에서 주류를 이루는 의식형태는 전체 사회의 심미의식(審美意識)과 심미관계의 변화에 영향을 끼칠 수밖에 없다. 그리하여 당대 후기부터 점차적으로 형성되고 확립된 강유(剛柔)의 결합과 장미(壯美)와 우미(優美)가 병존하는 상황에서 유(柔)함이 주(主)가 되는 우미이상(優美理想)은 송대이학이 추구하는 일종의 심미(審美)의 경계가 되었다. 이학의 집대성자로서의 주자도 또한 그의 이론사상에도 이런 미학적 경향을 포함시키고 있다. 그는 문예(文藝)문제에 대한 논술에서, 개체의 인격수양을 제창(提唱)하고 중시(重視)함으로써 심령의 주체가 중요시하는 객체를 초월한미학의 특색을 구현하고 있다. "이일분수(理一分殊)", "월인만천(月印萬川)"은 철학에서 미학에도 영향을 미쳐서, 심(心)과 물(物)을 강조하고, 주(主)와 객(客)을 "이(理)"의 본체 속에서 서로 융합되고 관계를 갖게 하여, 주체의 자유정신을 높이고, 주체와 객체가 대립을 해소하는 기초 위에서 화해통일(和諧統一)을 이루고 있다. 주자는 자연평화(自然平和)와 심미운취(審美韻趣)를 숭배하는데, "자연(自然)"의 체험도 중시하여 일상에서 적립된 함영(涵泳) 또한 중시하였다. 이 방면으로 심미중심(審美重心)을 형상 밖 혹은 형상 위에 신운의미(神韻意味)의 전이를 나타내게 된다. 또 다른 측면에서 실제 물상(物象)의 구체적인 파악을 게을리 하지 않고, 의상(意象)을 결합하고 물아(物我)를 잊었다. "자연(自然)"은 이 시기 인간이 표방하는 미학경계가 되어, 주자가 제창한 것과 직접적인 관계를 갖는다. 이러한 주자의 제창은 "의경(意境)"설을 풍부하게 하고 발전시키는데 새로운 사고의 길을 제시하여, "함영(涵泳)"과 "기상(氣象)"과 같은 미학의 범주를 제시하고, 더욱 완전하게 한다. 주자미학은 항상 어떤 개방된 이성정신을 함유하고 있다. 이는 주자의 철학 중에 이미 확연하게 드러나 있는 것으로, 주자의 유학체계는 불도사상(佛道思想)을 흡입하여, 그 이론체계를 더욱 넓혀가고, 결구 새로운 일종의 유불도(儒彿道)가 서로 상호 보완하는 이론 구조를 형성하였고, 이런 구조는 "제가(齊家)", "治國)", "평천하(平天下)"를 최종적인 목표로 삼게 된다. 그러나 이런 이론체계가 한(漢). 당(唐)의 유학과 다른 점은, "주정(主靜)", "입성(入城)", "수신(修身)"을 더하고 강조하여, 주체적인 자주정신과 객관이성에 대해 내향성사(內向省思)와 인동(認同)의 뛰어 넘도록 하는 중대한 의의를 갖는다. 이러한 외유(外儒), 내불(內佛)의 구조는 심미와 예술로 하여금 현상의 속박을 벗어나도록 하였고, 본질이성의 의의(意義)에 깊고도 두터운 흥미를 갖게 하였다. 본 논문은 주자미학이 탄생한 배경과 주자의 철학체계라는 기초에서, 미학적인 측면을 분석, 연구하였고, 논리가 상통되는 관점에서 주자의 미학범주, 미학구조, 미학이론과 그 영향 등의 문제에 대하여 본인의 관점을 논술하고, 이 논술을 통하여 주자미학사사에 대해 보다 전면적인 이해를 돕고자 한다. Roman Haubenstock-Ramati(Feb.27th 1919 in Cracow, Poland-March 3rd 1994 in Vienna, Austria) established the term "musical graphics" with the organisation of the first exhibition of his musical graphics in Donaueschingen, Germany 1959 It should be clear that his graphic art were not the basis of the so-called free and spontaneous Improvisations. To interpret such graphics, Haubenstock-Ramati demands musicians to reflect on formal progress of musik. The interpretor should, according to Haubenstock-Ramati, seek order in disorder("to perform? to realise? in doubt, never!"). My dissertation consists of two parts: Part 1 describes the important aspects of aubenstock-Ramati's musical form, especially the >mobile<, the variable form and >always something different and yet always the same< - phenomenon. Part 2 is an analysis of his vocal compositions. Both parts beginn with a general introduction to the historical compositional situation in the post-serial-phase In both topics(Music and Abstract Painting, the musicality of Language in Literature) the ineraction and the dissipation of boundaries of each art form: Music, Painting, Literature, are outlined within.

      • 朱熹乃基美學思想

        하정화 山東大學 1998 해외박사

        RANK : 248607

        주희(朱熹)(1130-1200)는 송(宋) 휘주(徽州)의 무원( 源)의 사람으로, 소흥(紹興) 18년 사직에 입문하였다. 자는 회(晦), 혹은 중회(仲晦)라고 하며, 그의 호는 회암(晦庵), 혹은 둔옹(遯翁)이라 하였다. 그는 말년에 고정(考亭)을 지어 이사하고, 자양서원(紫陽書院)에서 강의를 했기에 고정(考亭) 혹은 자양(紫陽)이라고도 하였다. 주희는남송(南宋) 전기(前期)에 활동한 사람으로서, 당시는 민족, 계층간의 모순이 복잡하였기 때문에, 일 평생정치에 관심을 갖고. 대의회복에 노력하였다. 그는 군심(君心)으로 다스리면, 정치가 개선되고, 민심이 변한다는 정치적인 이상(理想)을 갖고 있었다. 그는 4개의 왕조를 거치면서, 각 왕조 통치집단의 인물들과 광범위한 관계를 가져왔으며, 말년에는 정치문제도 참여하였다. 그는 정사(政事)방면에 뛰어난 능력을 보였으나, 당시 시대를 대표하는 한 사람의 유학자로서의 본문을 벗어나지는 않았다. 그의 일생은 강론(講論), 저술(著述), 주석(註釋), 편집(編輯)에 기여하여, 학술방면의 업적이 풍부하고, 교육활동 또한 활발하였다. 향리에 거주하면서, 경(經)을 얘기하고, 강론을 하며, 학문을 가르쳤고, 백록서원(白鹿書院), 장주도원(장州道院), 악록서원(岳麓書院) 등에도 외임(外任)하는 등, 문인과 제자가 천하에 넓게 분포되었다. 주희는 북송(北宋)에서 시작한 이학(理學)의 집대성자로 그의 저서 《이락연원록(伊洛淵源錄)》, 《근사록(近思錄)》등을 통해 북송 이래의 도학발전을 계통적으로 연구, 정리하였다. 그는 이정(二程)의 《어록(語錄)》을 수집하고 편집정리 하였고, 주돈이(周敦이)의 《태극도설(太極圖說)》과, 《통서(通書)》에 주석을 달았고, 또한 장재(張載)의 《서명(書名)》에도 주석을 달았으며, 《주역본의(周易本義)》와 《역학계몽(易學啓蒙)》등을 저술하여 정이(程이), 소옹(紹雍)의 역학사상을 발전시켰다. 이는 이정(二程)학설의 기본사상을 중심으로, 주돈이의 우주도식(宇宙圖式)을 개정하고, 장재의 기화사상(氣化思想)을 흡수하며, 소옹의 상수역학(象數易學)을 융합시킨 것으로서, 북송도학의 여러 지류를 하나로 모으는 역할을 한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형성된 그의 학설은 원(元), 명(明), 청(淸)의 관료사상에 체계가 되어 긴 역사 속에서 중, 후기 중국 봉건사회에 가치와 의미를 부여하였고, 동아시아 지역에의 광범위하게 전파되어, 근대와 고대의 동아시아문명의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다. 뿐만 아니라 그는 전체 고전문화에 대한 이해도 깊어, 일생동안 《사서(四書)》에 힘을 쏟아, 초년에 《논어(論語)》, 《맹자(孟子)》를, 말년에 《대학(大學)》, 《중용(中庸)》등에 몰입하여, 사서의 《집주(集注)》와 《혹문(或問)》을 편성하여, 사서계통의 철학으로 하여금 새로운 형태와 새로운 생명을 부여했다. 그 외에 그의 저서로는 《시집전(詩集傳)》,《주역본의(周易本義 )》, 《초사집주(楚辭集注)》, 《통감강목(通鑒綱目)》등과, 후세의 사람들이 편집한 《주문공집(朱文公集)》 등이 있다. 그리하여 사람들은 그를 백가제자(百家諸子), 불로이단(佛老異端)이라고 하여, 천문, 지리, 역학, 병가, 그의 연구하지 않은 바가 없음을 이야기하여 "무릇 시(詩), 서(書), 육례(六藝)의 문장과 공맹(孔孟)이 남긴 말, (凡詩, 書, 六藝之文, 孔孟之遺言,顚錯于秦火, 支離于漢濡, 幽沈于魏秦六朝者)"을 "깊이 그 기미를 연구하여 그 사이에 숨겨져 있는 뜻을 찾는다(極深硏幾, 深이索隱)"라고 하였다. 중국의 역사상, 어떤 철학자도 연구, 저술방면에 있어서 그를 따를 수가 없었으며, 중국전통문화와 철학방면에 대한 공헌이 높아 후세에 그를 "주자(朱子)"라고 높여 불렀다. 주자로 대표되는 송명이학(松明理學)은 중국 고대 봉건사회 후기의 통치계층의 의식형태를 이루고 있어, 혹자는 관방철학(官方哲學)이라고도 한다. 그 실질과 목적은 유학을 다시 흥하게 하고, 의리(義理)를 높게 보며, 논이를 옹호하고, 질서를 강화하여, 전제주의(專制主義)적 집권정치를 위해 봉사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오랜 세월동안 많은 이들이 철학 또는 정치문화의 각도에서 주자의 이론을 연구하였다. 한 사회에서 주류를 이루는 의식형태는 전체 사회의 심미의식(審美意識)과 심미관계의 변화에 영향을 끼칠 수밖에 없다. 그리하여 당대 후기부터 점차적으로 형성되고 확립된 강유(剛柔)의 결합과 장미(壯美)와 우미(優美)가 병존하는 상황에서 유(柔)함이 주(主)가 되는 우미이상(優美理想)은 송대이학이 추구하는 일종의 심미(審美)의 경계가 되었다. 이학의 집대성자로서의 주자도 또한 그의 이론사상에도 이런 미학적 경향을 포함시키고 있다. 그는 문예(文藝)문제에 대한 논술에서, 개체의 인격수양을 제창(提唱)하고 중시(重視)함으로써 심령의 주체가 중요시하는 객체를 초월한미학의 특색을 구현하고 있다. "이일분수(理一分殊)", "월인만천(月印萬川)"은 철학에서 미학에도 영향을 미쳐서, 심(心)과 물(物)을 강조하고, 주(主)와 객(客)을 "이(理)"의 본체 속에서 서로 융합되고 관계를 갖게 하여, 주체의 자유정신을 높이고, 주체와 객체가 대립을 해소하는 기초 위에서 화해통일(和諧統一)을 이루고 있다. 주자는 자연평화(自然平和)와 심미운취(審美韻趣)를 숭배하는데, "자연(自然)"의 체험도 중시하여 일상에서 적립된 함영(涵泳) 또한 중시하였다. 이 방면으로 심미중심(審美重心)을 형상 밖 혹은 형상 위에 신운의미(神韻意味)의 전이를 나타내게 된다. 또 다른 측면에서 실제 물상(物象)의 구체적인 파악을 게을리 하지 않고, 의상(意象)을 결합하고 물아(物我)를 잊었다. "자연(自然)"은 이 시기 인간이 표방하는 미학경계가 되어, 주자가 제창한 것과 직접적인 관계를 갖는다. 이러한 주자의 제창은 "의경(意境)"설을 풍부하게 하고 발전시키는데 새로운 사고의 길을 제시하여, "함영(涵泳)"과 "기상(氣象)"과 같은 미학의 범주를 제시하고, 더욱 완전하게 한다. 주자미학은 항상 어떤 개방된 이성정신을 함유하고 있다. 이는 주자의 철학 중에 이미 확연하게 드러나 있는 것으로, 주자의 유학체계는 불도사상(佛道思想)을 흡입하여, 그 이론체계를 더욱 넓혀가고, 결구 새로운 일종의 유불도(儒彿道)가 서로 상호 보완하는 이론 구조를 형성하였고, 이런 구조는 "제가(齊家)", "治國)", "평천하(平天下)"를 최종적인 목표로 삼게 된다. 그러나 이런 이론체계가 한(漢). 당(唐)의 유학과 다른 점은, "주정(主靜)", "입성(入城)", "수신(修身)"을 더하고 강조하여, 주체적인 자주정신과 객관이성에 대해 내향성사(內向省思)와 인동(認同)의 뛰어 넘도록 하는 중대한 의의를 갖는다. 이러한 외유(外儒), 내불(內佛)의 구조는 심미와 예술로 하여금 현상의 속박을 벗어나도록 하였고, 본질이성의 의의(意義)에 깊고도 두터운 흥미를 갖게 하였다. 본 논문은 주자미학이 탄생한 배경과 주자의 철학체계라는 기초에서, 미학적인 측면을 분석, 연구하였고, 논리가 상통되는 관점에서 주자의 미학범주, 미학구조, 미학이론과 그 영향 등의 문제에 대하여 본인의 관점을 논술하고, 이 논술을 통하여 주자미학사사에 대해 보다 전면적인 이해를 돕고자 한다. Roman Haubenstock-Ramati(Feb.27th 1919 in Cracow, Poland-March 3rd 1994 in Vienna, Austria) established the term "musical graphics" with the organisation of the first exhibition of his musical graphics in Donaueschingen, Germany 1959 It should be clear that his graphic art were not the basis of the so-called free and spontaneous Improvisations. To interpret such graphics, Haubenstock-Ramati demands musicians to reflect on formal progress of musik. The interpretor should, according to Haubenstock-Ramati, seek order in disorder("to perform? to realise? in doubt, never!"). My dissertation consists of two parts: Part 1 describes the important aspects of aubenstock-Ramati's musical form, especially the >mobile<, the variable form and >always something different and yet always the same< - phenomenon. Part 2 is an analysis of his vocal compositions. Both parts beginn with a general introduction to the historical compositional situation in the post-serial-phase In both topics(Music and Abstract Painting, the musicality of Language in Literature) the ineraction and the dissipation of boundaries of each art form: Music, Painting, Literature, are outlined within.

      • 鮑照論

        여인철 山東大學 2000 해외박사

        RANK : 248607

        포조(鮑照)는 남조(南朝) 유송시기(劉宋時期)의 뛰어난 작가 가운데 한 사람이다. 일반적으로, 중국문학사가(中國文學史家)들은 유송(劉宋) 원가시대(元嘉時代) 문단의 삼대 문인으로 사령운(謝靈運) 안연지(顔延之) 포조(鮑照)를 꼽는다. 사령운은 빼어난 산수시를 대량 창작함으로써 중국 산수시의 기초를 세웠으며 그의 시는 이후 산수시의 발전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 안연지의 시가는 풍부한 전고를 활용함으로써 전아하고 장중한 시풍을 추구하였으나 아쉽게도 남아 있는 작품이 많지 않아 작품의 전모를 파악하기가 쉽지 않다. 반면 포조의 시문은 사령운 안연지와는 달리 농후한 현실적 내용과 낭만적인 기법 및 수식을 중시하는 문체로 "준일(俊逸)"한 품격을 형성하였다. 포조의 문학 창작은 시가(詩歌)ㆍ사부(辭賦)ㆍ산문(散文)등 각방면에서 상당히 높은 성취를 이루었는데, 그 중 후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은 악부시(樂府詩)이다. 포조가 중국 문학사에 끼친 중대한 공헌은, 그의 악부시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칠언시(七言詩)와 칠언구(七言句)를 위주로 하는 잡언시(雜言詩)로써 중국 칠언시(七言詩)의 기초를 세웠다는 사실이다. 현존하는 작품은 악부시를 포함하여 시 205수, 사부 10편, 산문 27편이다. 포조 시문(詩文)이 갖는 창작 경향의 특징은 강개(慷慨)하면서도 생기발랄하고 힘이 넘치는 내용과 다양한 형식의 구사라고 할 수 있는데, 이는 한위악부민가(漢魏樂府民歌)와 남조민가(南朝民歌)의 학습에 기초하여 체득하고 발전시킨 것이다. 한국과 중국 학계의 선행 연구를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대부분이 그의 출생년도(出生年度)ㆍ매(每) 작품의 창작 시간에 대한 고증과 악부시 및 산수시의 연구에 치중하고 있다. 하지만, 총체적으로 포조 및 그의 작품, 특히 그의 가세(家世)ㆍ적관(籍貫)ㆍ생평경력(生平經歷)ㆍ사상 및 악부 이외의 기타시가ㆍ사부ㆍ산문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취약하다고 할 수 있다. 필자가 포조를 연구 대상으로 삼은 이유는 그가 중국문학사에서 차지하고 있는 중요한 위치를 다시 확인하고 선행 연구의 부족한 점을 보충하기 위해서이다. 본 논문은 계통적(系統的)이고 실증적(實證的)인 방법을 운용하여, 포조와 그의 작품을 전면적으로 연구하였다. 제 일장에서는 구품중정제(九品中正制)의 유관 규정(規定)과 《宋書》등의 역사기록 및 포조 자신의 시문등의 기록을 통하여, 그가 한문서족(寒門庶族) 출신임을 증명하였다. 포조의 적관(籍貫)에 대해서는 두가지 설이 있다. 그 하나는 포조 사후 이십여년 뒤에 포조집(鮑照集)을 편찬한 우염(虞炎)의 기록으로, 포조의 원(原)적관이 상당(上黨) 포씨(鮑氏)라는 설이다. 또 하나는 송서(宋書)의 작자 심약(沈約)의 기록으로, 동해(東海)포씨(鮑氏)라는 설이다. 우염과 심약은 모두 제대(齊代) 문혜태자(文惠太子)의 문사(文士)였고, 포조가 사망할 당시 그들 나이는 이미 이십대 중반이었으므로 당시 문명(文名)을 크게 떨친 포조의 신상에 대해서는 익히 알고 있었으리라 추측된다. 따라서 그들이 남긴 포조적관에 대한 기록은 아마도 큰 차이가 없을 것이라 아울러 추측된다. 본 논문에서는 포조의 조상이 상당(上黨)에서 동해(東海)로, 동해(東海)에서 경구(京口, 지금의江蘇省 鎭江市 )의 남동해(南東海)로 옮기는 과정을 세세히 밝힘으로써 포조의 적관 문제에 있어 상당(上黨)설과 동해(東海)설이 결과적으로는 일맥상통하고 있다는 점을 논증했다. 제 이장에서는, 포조의 출생년도를 중점적으로 고증하였으며, 그의 생평경력(生平經歷)을 비교적 소상히 규명하였고, 사상적으로 포조가 유가(儒家)에 경도되었음을 밝혔다. 그의 출생시간에 대해서는 사서(史書)의 기록이 없다. 한편, 일반 중국문학사(中國文學史)에서 채택하고 있는 것은 소주대학(蘇州大學) 중문계(中文系) 전중련(錢仲聯) 선생의 관점으로, 서기 414년에 출생하였다는 설이다. 하지만 이 설도 포조가 지은 시(詩), 《재강릉탄년상노(在江陵歎年傷老)》속에서 "老"가 오십세를 뜻한다는 관례에 근거하여 출생년도를 추측하였을뿐이다. 본 논문에서는 포조의 대표작 《의행로난십팔수(擬行路難十八首)》의 분석을 통해서 그가 서기 416년에 출생하였음을 밝혔다. 제 삼장에서 제 오장까지는 포조의 모든 작품을 분석한 것이다. 제 삼장에서는 포조의 대표 작품인 악부시(樂府詩)와 칠언시(七言詩)에 대해서, 제 사장에서는 악부시를 제외한 기타시가(其他詩歌)에 대해서, 제 오장에서는 사부(辭賦)와 산문(散文)에 대해서 전면적인 분석을 시도하였다. 제 육장에서는 포조의 후대(後代), 특히 남북조(南北朝)와 당대시인(唐代詩人)에 대한 영향을 비교적 소상히 다루었다. 끝으로 본 논문의 미흡함 가운데 한가지는 실증적인 방법에 치중한 나머지, 포조 작품의 문학성을 고찰하는 데 소홀했다는 점이다.

      • 論漢語詞彙系統

        최영모 山東大學 1999 해외박사

        RANK : 248591

        <主題> 일본의 경제학자 우노 코조(우야홍藏, 1897-1977)의 순수자본주의이론을 중심으로 1) 맑스의 경제이론과 영국의 고전파 경제학 특히 리카도 그리고 헤겔과의 이중적 관계의 해명과 2) 자본주의와 시장의 관계에 대한 재조명을 목적으로 한다. <內容의 構成> 우노는 自身의 經濟學方法論인 資本主義 分析의 3段階論 (資本主義 原理論 -> 資本主義 發展段階論 -> 資本主義의 歷史的이고 經驗的인 現狀分析)에 따라 『자본론』을 1純粹資本主義理論으로 規定하면서 『자본론』에 包含되어 있는 18-19세기 英國 資本主義의 歷史的 分析 (資本主義의 成立條件)은 물론이고 政治的, 이데올로기적 分析 (標準 勞動日, 勞動時間)을 削除한다. 우노는 철저하게 商品生産關係만을 다루면서 『자본론』의 理論的 內容과 그 構成을 體系的으로 再構成한다. 이를 위해 우노는 맑스와 古典的 經濟學의 價値理論, 貨幣理論, 貨幣의 資本으로의 轉換, 勞動力의 價値와 價格, 資本主義의 産業循環 등을 批判的으로 檢討하면서 맑스와는 달리 資本主義理論을 1) 流通理論, 2) 生産理論, 3)分配理論으로 再構成한다. 이러한 構成을 本 論文에서 明示하면서, 우노는 商品을 生産하는 資本은 원래 流通過程 가운데 商品에서 發生하여 다시 商品으로 돌아가는 (資本의 商品化 : 利子) 構造로서 끊임없이 循環하는 自己 宗結的 體制로 資本主義를 理解하였다. 이 點이 맑스와 맑스주의자들에 의한 資本主義 解釋과의 差異라고 本 論文에서 主張한 첫 번째 內容이다. 두 번째 內容은 우논가 再構成한 資本主義理論은 헤겔의 自己 循環的 論理展開로서 『논리학』의 構成과 비록 完全하지는 않지만 一致하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우노理論을 『자본론』을 辨證法化했다는 것이다. 本 論文의 마지막 內容은 맑스와 우노의 資本主義理論에 대한 批判에 關한 것이다. 맑스와 우노는 資本主義의 本質(構造)을 利潤의 生産을 둘러싼 資本과 勞動間의 對立과 解決이고, 資本主義의 現象은 市場에서의 利潤의 分轄을 둘러싼 資本間의 競爭으로 把握하며, 더 나아가 現象에 의한 本質의 隱蔽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理解하였고, 이러한 理解方式은 理論的 正當性이 있지만, 사실 資本主義의 動態的 構造를 說明할 수 있는 것은 바로 보다 많은 利潤을 生産하려는 資本間의 競爭이며 따라서 市場에서 競爭은 資本主義의 現象이 아니라 그 反對라는 것이다. 비록 市場은 資本主義 以前의 社會에 存在하였고 資本主義 社會의 歷史的 前提지만, 資本主義만이 市場(商品關係)을 全社會的으로 喆底하게 一般化시키는 點이 바로 市場은 資本主義에 固有한 것으로 看做될 수 있다는 것이 本 論文의 結論이다.

      • 中漢漢字應用比較硏究

        주영월 山東大學 2000 해외박사

        RANK : 248591

        한자는 중국의 문화귀보일 뿐만 아니라, 한자문화권 각국민의 공동문화유산이다. 현재 한자는 국제화를 실현하여 정보화시대의 중요한 연구과제와 연구영역이 되었다. 중국과 한국은 오랜시간 언어 문자 교류관계를 유지하여 한자는 양국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문자이며 국가를 초월하는 서면부호 체계가 되었다. 과거에 국내외 학자들이 중한한자에 대하여 다방면으로 깊게 연구 되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중한한자 연구는 편중되어 있었다:본 국문한자의 본체연구가 많았고, 양자간의 비교연구는 적었다;문자관계의 역시(歷時)연구가 많았고, 공시(共時)연구가 적었다;현상의 정태정성(靜態定性)연구가 많았고, 동태적정량(動態的定量)연구가 적었다. 공시응용층면상에서, 중한양국의 한자에 대하여 전방위의 비교연구가 진행되었으며, 한자의 성질과 특점을 전면적으로 인식을 깊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중한양국의 문화교류와 언어 문자 교육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한자 정보처리와 한자의 자고, 자고집, 한자사어집, 사고의 연구와 건립에 도움이 되므로, 중요한 이론의의와 실천의의를 갖추고 있다. 본 논문은 과거연구 기초위에서 한자응용 연구의 각도로 부터 출발하여, 공시적 비교연구와 동태정량 연구방법을 채용하여, ≪민중국어사전≫으로써 주요통계 분석대상으로 삼아 중한한자의 자종, 자형, 자음, 자의, 어휘구조공능 및 배열과 검자법등 체계적으로 비교연구를 진행하였다. 본문의 연구결과를 개괄하면 다음과같다. 1. 자종(字種)비교. 통용자종:중국 7000자 좌우, 한국 5000자 좌우 ;상용및교육용자종:중국 3500자 좌우, 한국 2000자 좌우 ;인명용자종:중국 4000자 좌우,한국 3000자 좌우, 컴퓨터용자종:중국 7000자 좌우, 한국 4500자 좌우. 2. 형음의(形音義)비교. 자형:본문자료중에서 중한자형이 같은 한자가 46.1%를 차지하고 자형이 다른한자가 53.9%를 차지하고 있다. 자음:한국한자음과 한어보통화 어음을 서로 비교하였다. 성모의 대응관계는 비교적 단순하고, 운모의 대응관계는 오히려 매우 복잡하다. 자의:뜻이 같은 한자가 61.1%. 뜻이 다른 한자가 0.9%. 그 나머지는 뜻이 부분적으로 같거나 혹은 교차되는 한자는 38%. 3. 어휘구조공능(構調功能)비교. 본문자료중에서, 중국한자 중에서 독립으로 사(詞)로 사용되는 한자는 12.0%, 그러나 한국한자는 1.8% 에 불과하다. 중한한자 어휘의 가장 중요한 서로 같은 특징은 쌍음절어가 우세하다. 중국은 76.6%를 차지하며, 한국은 56.9% 를 차지하고 있다. 4. 배열및검자법(排序與檢字法)비교. 중한자서와 검자법 중에서 가장 큰 공통점은 모두 부수법을 위주로 삼았다는 점이며, 가장 크게 다른점은 중국이 한어병음 순서로 배열한 자서가 가장 중요한 배열방법 중의 하나가 되었으나 한국은 현대한어사전 이외의 한어병음자모에 따라서 배열된 한자자전은 없다. 중국은 이미 한자통일부수와 통용자 필순을 규범화하여 발표하였을 뿐만 아니라 규범자전과 사전이 출판되었다.

      • 혜康硏究

        정환종 山東大學 1998 해외박사

        RANK : 248591

        혜康은 魏晉詩代 竹林七賢중의 核心人物이다. 以前의 그에 대한 硏究는 대부분 思想과 美學方面에만 偏重되어 있었다. 혜康의 思想을 探究한 대부분의 學者는 혜 康을 道家思想에만 耽溺한 人物로 理解해 왔다. 그러나 혜康의 思想은 基本的으로 儒家思想을 根幹으로 당시 魏晉詩代를 風靡했던 老莊玄學, 陰陽五行說 神仙養生設등이 합쳐져 形成된 것이다. 이런 觀點은 以前의 斷片的이고 平面的인 혜康思想의 考察을 바로 한 것이다. 혜康은 中國文學史와 中國哲學史등에서 상당히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生涯가 잘 알려진 바는 없다 이번 硏究에서는 혜康이 이미 알려진 대로 서기 224년에 태어나 서기 263년에 사망하였다는 사실 이외에 혜康과 결혼한 長樂公主는 曹林의 딸이고, 결혼 이후 政局의 변화로 인하여 두차례에 걸친 隱居등 현실정치로부터 올 수 있는 逼迫을 피하기 위해 그의 생애 후반의 대부분을 당시 정치사회의 중심인 洛陽을 애써 피해왔음을 考證하였다. 혜康은 그의 '義氣' '剛毅' '不群' '任性' 등으로 대표되는 성격 특질이 결합된 突出行爲로 결국 죽게된다. 비록 突出行爲이기는 하지만 그의 일관된 행위는 결국 反司馬氏의 입장을 堅特하고 있다. 혜康의 文學作品은 詩賦와 散文이 있다. 詩는 내용상 憂憤詩, 哲理詩, 懷古詩, 遊興詩, 遊仙詩로 나눌 수 있고 琴賦는 琴의 제작 전과정을 상세하게 묘사하고 있다. 이부는 단순한 詠物이 아니고 詠物을 빌려 혜康의 音樂과 美의 追求와 理想을 표현한 것이다. 혜康의 散文은 條理가 분명하고, 構想이 치밀하여 首尾가 相應한다는 評을 받으며 古今 學者의 칭송을 받아 왔다. 내용은 人物. 社會, 學術, 方術등 다방면을 包括하고 있음을 指摘 分析하였다. 이상의 연구에서 筆者는 以往의 斷片的인 혜康硏究에서 탈피하여 그의 生涯, 家系, 性格, 理想, 文學과 當代와 後世의 影響등을 역사기록을 중심으로 다각도로 연구분석하여 그의 복잡하고 생동감 넘치는 본면모를 재구성하려 했다. 혜강이 죽은지 1700여년이지만 오늘날에도 연구해야 할 많은 부분이 남아있고, 당시의 극도로 열악한 政治環境에서도 굴복하지 않은 그의 氣槪는 다시금 照明을 받아야 한다. The bacteriophage λO protein localizes the initiation of replication to a unique sequence, ori λ through specific protein-DNA and protein-protein interactions. Conformational changes at ori λ introduced by O protein binding have been reported and their roles have been implicated in the initiation of λ DNA replication. In our studies, we focused on detailed structural basis of the formation of the O protein-ori λ complex(O-some). This work was divided into five Chapters including a general introduction given in Chapter 1, a brief review of genetic, biochemical, and structural data for understanding the mechanism of the initiation of λ DNA replication. As shown in Chapter 2, we found that the O protein exists as a dimer and demonstrated that the active DNA binding species is also a dimer. Dimerization and sequence-specific DNA recognition are specifically mediated through the amino-terminal half of O(O1-162(아래첨자 1-162입력불가)). The binding affinity of O for a single copy of its 19 bp recognition sequence was 2-3 nM. We also found that the O-some is composed of 4 dimers of O and ori λ DNA, which contains four 19 bp direct repeat recognition sites, i, e., a dimer of O is bound to each repeat(iteron). Moreover, we found that only the amino-terminal DNA binding domain is required for formation of the O-some.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basis for the unique properties of O protein, we generated a number of carboxy-terminal and internal and internal deletion mutants of O. Experiments with purified mutant proteins, as shown in Chapter 3, indicated that (ⅰ) the deletion mutant retaining amino acid residues 19-110 is the smallest O protein species that can both bind to DNA and form a dimer, (ⅱ) the affinities of all mutant proteins for a single iteron are almost the same, ranging from 2 to 4 nM; (ⅲ) the portion of O that is responsible for dimerization is located between amino acid residues 19 and 85; (ⅳ) the carboxy-terminal domain (O 156-299(아래첨자 156-299입력불가)) is a monomeric species that does not recognize specific DNA sequences but instead, bind non-specifically to duplex DNA; (ⅴ) the linker joining the two structural domains is not required for O function, but its coding sequence of DNA contains several recognition sites for O protein (ori λ); and (ⅵ) a deletion! m! utant missing the amino-terminal portion of the carboxyl-terminal domain is still comparably active in the in vitro λdv replication assay. In Chapter 4, the structural basis of the O protein-DNA complex was studied in detail. Hydroxy radical footprinting was employed to obtain the high resolution structural information about the contacts between the protein and the sugar-phosphate backbone of DNA. The missing nucleoside experiment allowed us to identify energetically important base moieties that may be in contact with bound O protein. Quantitation of the extent of O-mediated DNA bending indicated that O induces a relatively sharp bend in an individual recognition sequence of 85。 ±5。 . Measurement of the O-induced topological change indicated that a region of DNA or specifically ori λis wrapped around the O protein core in a left-handed fashion with a linking number change of 0.7±0.1 turn. In Chapter 5, we present direct evidence that the O protein also has the capacity to interact with single-stranded DNA, the first such interaction discovered among prokaryotic origin-binding proteins. The implication of this dual DNA binding specificity of O for the formation of the unwound structure at the A/T-rich region of ori λ is dis cussed. The addition of the λP-DnaB comple x to the O-some produces a new nucleoprotein species with a super-shift in migration. The presence of P and DnaB reduces significantly the amount of O required for binding to single-stranded DNA. Based on these results, we propose a detailed model for sequential structural changes in ori λ as a consequence of O binding to the origin of λreplication.

      • 明淸書法美學史綱

        임광빈 山東大學 1999 해외박사

        RANK : 248591

        중국 서예미학사에서 명청대(明靑代)는 서예의 집대성과 과도성의 시기로써, 서예에 미학적인 연구방법을 도입하여, 이 시기의 주요 서예이론과 서예가를 첩학파(帖學派)·낭만주의파(浪漫主義派)·비학파(碑學派)의 서예미학사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명·청서예가들은 "비학"(碑學) 과 "첩학"(帖學)의 풍격상 특성을 융합하였고, 서체상으로는 각종 서체의 표현 형식을 융합하여 서예의 풍격과 표현에서 새 장을 열었다. 또 "중화지미"(中和之美)의 고대 서법미학 사상을 계승하면서도 명중엽이후 성행한 낭만주의 사조의 영향으로 "상의"(尙意), "파법"(破法), "용축"(用丑)등의 방식을 통하여 고전 화해미(和諧美)의 심미의식에서 숭고미(崇高美)의 근대미학으로 발전하는 과도기적 특성을 보인 시기이다. 이러한 미학적 특성은 현대의 서법미학 사상과 서법예술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현대의 한국서예를 이해하는데에도 큰 도움이 되고 있다. 논문은 먼저 명청 서법미학의 기본특성을 고찰한 후, 2장부터 4장까지는 첩학파(帖學派)의 서법미학·낭만주의파 서법미학·비학파의 서법미학을 고찰하였다. 각 장을 서법미학 사상편과 서법예술편으로 나누어 논술하므로써 서법미학사상과 대표적인 서예가 연구를 서로 연관시킴으로써 비교적 전면적인 고찰을 하고 있다. 첩학파의 서법예술은 송대이후 크게 발전하였으며, 중국 서단의 주류와 정통으로 왕희지·왕헌지·조맹부·동기창의 영향이 크다. 특히 명초의 서단은 복구주의 사조의 대두로 조맹부가 절대적인 위치를 점하여 명말까지 막대한 영향을 끼쳤다. 3장에서는 명청서법미학에서 주목 받지 못했던 낭만주의 서법미학에 대해서 비교적 전면적으로 분석하여, 새롭게 역사적 가치를 부여하고 있다. 4장에서는 비학파 서법예술의 역사적 대두이유와 역사적 의의 및 현대서법에 미친 영향등을 서법심미관의 변화를 위주로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5장에서는 명청 서법미학이 조선서법에 끼친 영향을 개괄적으로 논술하여 한국 고대서법을 중국에 소개하였다. This paper identifies the characteristics of travel behavior for use in market segmentation. For the purpose od this study,four hypothetical travel characteristics were tested using logit analysis and survey data on air travel.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travel characteristics such as trip, mode consumer and travel characteristics were observed as important influetial factors in choosing a certain type of air travel.

      • "松雪體"對高麗末朝鮮初書畵藝術的影響

        박상영 山東大學 2005 해외박사

        RANK : 248591

        Zhao Mengfu lived in the late Sung and early Yuan era. He was a man of many talents including calligraphy and painting. (Although he held high government official it's not completely accurate to call him a political theorist). During his youth he overcome economic and health related difficulties; in particular, being an eleventh generation descendant of the first Sung emperor caused him many personal and social problems. But he not only overcame these difficulties, but he made his personal emotions the subject of his art and philosophy. Zhao Mengfu was involved in a variety of artistic movement during his life. He attained a high level of art in calligraphy, painting, and poetry as well as other artistic endeavors. Zhao Mengfu's artistic achievements influenced art during the Yuan, Ming and Qing Dynasties, and even influenced ancient Korea and other Asian nations. The discussion in this work is organized into six chapters. Chapter 1: Describes the author's research methods, research goals and how the research for this work proceeded. Chapter 2: Lays out background information on Zhao Mengfu's life. Chapter 3: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Zhao Mengfu's life and times, this section looks at contemporary art movements. Chapter 4: Zhao Mengfu's achievements were not only in the field of calligraphy, but also of painting. His painting style is very broad, drawing on a breadth of works by various masters. Because of this, in order to understand the milieu in which he painted, it is first necessary briefly sketch the situation of Tang and Sung dynasty painting. Chapter 5: This chapter primarily deals with the late Gaoli period of ancient Korean history. In this period King Gaoli built the Wanjuan Hall in the Mongol capital Datu in order to facilitate trade. Because of this, in this chapter, the author mainly focuses on Gaoli's social background, important personalities in his kingdom, as well as local lifestyles, philosophy and art to better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countries. Chapter 6: The historical background for this chapter covers the period from ancient to modern Korea. Songxue style calligraphy entered Korea in the Gaoli period but only flourished in modern Korea. Because of this, the contents of this chapter discuss contemporary Korean society, the cultural situation and characteristics of Chaoxian calligraphy. In summary, we use the research methods of art history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subject; and from this perspective criticize Zhao Mengfu's painting and calligraphic wor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