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莊園制支配の諸段階と文書の機能

        김태호 大阪市立大學大學院 1996 해외박사

        RANK : 250639

        본 논문은 일본중세의 종교권문인 고야산에 전래되고 있는 문서를 이용하 여, 1960~70년대에 올렸던 장원제 연구의 성과와 남겨진 과제에 대해 「문서 론」을 도입하여 재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연구이다. 논문 전체는 서론, 본론(4장 9절), 결론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론에서는 종래의 연구에서 불충분한 점, 즉 영역적 장원형성과 관련하는 연기(緣起)를 검토하는 것. 직(職)의 체계가 개개의 권문 지배하에서 어떻게 기능·지배되는가. 평시에 있어서 장원영주와 재지는 어떠한 관계에 있었는 가. 그리고 장원제의 재편에 있어서 장원영주가 재지를 연결하는 지배계통에 대하여 문서론을 도입하여 연구를 진행해 나가는 것을 제기하고 있다. 제1장에서는 고야산의 어수인연기(御手印緣起)에 초점을 맞추어 寬弘元年 부터 어수인연기의 일부가 조금씩 정비되어 관념화되고, 그 위작 원인은 화재 에 의해 소실된 고야산의 대탑을 재건하기 위함이었다는 것을 명백히 증명하 고 있다. 제2장에서는 종교권문인 고야산에 전래하고 있는 阿저河洸 문서는 丹滿院· 寂樂寺 그리고 고야산의 3가지 경로로 부터 전래된 문서로 구성되어 있음을 명백히 밝히고 있다. 제3장에서는 장원영주가 지배의 재편을 시도하여 그 재편이 오히려 재지 백성의 단결을 강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여 장원영주의 지배가 불가능 해지는 것을 밝히고 있다. 제4장에서는 預所를 매개로 하여 고야산의 장원지배가 성립하고 預所가 승 려집단에 의해 어떻게 통제되고 기능하고 있는지 추구하고 있다. 이상, 본 논문에서는 고야산 문서를 소재로 문서론을 도입하여 종래 장원제 연구에 있어서 남겨진 문제, 극복해야 할 과제를 명백히 하고 또한 일본중세 사의 평면적인 시야를 입체적 동적으로 넓혔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Lactation is unique in mammals and is initiated following parturition. Prolactin (PRL) binds to its receptor lacated on the plasma membrane of mammary cells and regulates the synthesis of milk. In most species, the number of PRL receptor increases immediately before parturition, reaches maximum at mid-lactation and decreases at the end of lactation. At mid-lactation, the number of PRL receptor correlates well with the lactational performance of the lactating mother. Two kind of PRL receptor with differing their molecular weights are identified in the lactating mammary gland as well as in the liver. Corresponding complementary DNAs to the two receptors are also cloned and sequenced. Although the two mRNAs are highly homologous in the extracellular and transmembrane regions, the long form PRL receptor mRNA has an extra sequence in the cytoplasmic domain. Among the two receptors, the long form PRL receptor is involved in the synthesis of milk. The biological significance of the short form PRL receptor remains unknown in the mammary gland. It is well-known that the removal of pups or the cessation of milking during lactation caused the termination of milk synthesis within a relatively short period. It is reasonably speculated that the number of PRL receptor is decreased by the termination of milking or suckling. However, the mechanism(s) of the termination of milking or suckling on the cessation of milk synthesis is poorly understood. In lactating mice weaned for 1 day, resuckling by pups is able to induce resuming the synthesis of milk quickly. In textbook knowledge, protein is translated from its specific mRNA. The number of PRL receptor appears to be determined by the level of PRL receptor mRNA. The author intends in the present experiments to make clear the time-dependent expression of PRL receptor gene during processes in the termination and re-initiation of milk synthesis during lactation. Casein mRNA encoded a molecular weight 23,000 casein component is used as a marker of milk synthesis. The number of PRL receptor per cell and dissociation constant for PRL was determined by Scatchard analysis using collagenase-dissociated mammary cells and radioiodinated PRL. The number of PRL receptor decreased approximately 70% during 24 hr-weaning. Whenthe foster pups were supplied to the 24hr-weaned mice, the number of PRL receptor increased about 2.1-fold during the 24 hr-resuckling period. This number was comparable to that of the non-manipulated control. It is known that at high levels of PRL in serum, the number of PRL receptor is under-estimated due to the masking effect of the receptor. The administration of an inhibitor of PRL-secretion, CB-154, is effective to dissociate PRL from its receptor (in viva desaturation) and used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PRL receptor number. However, CB-154 treatment did not alter the determination of the receptor number. The data indicated that the actual number of PRL receptor decreased and increased during 24 hr of weaning and 24 hr-resuckling, respectively. The dissociation constant of PRL binding remained unchanged. The evidence above indicates that the expression of the PRL receptor gene is altered by differing in suckling stimulus. Following reverse-transcription to cDNA, the quantity of specific mRNA was determined by the competitive polymerase chain reaction. In the present experiments, chimeric (competitor) DNA capable of hybridization with the sense and antisense primers for the candidate cDNA was constructed. The level of PRL receptor mRNA is an important parameter to determine the number of PRL receptor. Its level is determined by the balance of the synthesis and degradation of mRNA. Levels of the long form PRL receptor mRNA decreased about 60% during 6 and 12 hr of weaning. The lowest level (73% reduction) was obtained by the 18 hr-weanning. At 12 hr of weaning, alveolar lumens expanded maximally due to the accumulation of milk and consequently, lactose in milk was moved from lumen to blood. The administration of oxytocin induced the transfer of lactose to blood. In oxytocin-injected mice, the level of the long form PRL receptor mRNA decreased in a dose-dependent mammer. On the other hand, levels of casein mRNA were unaffected by oxytocin and were independent of the dose of oxytocin probably due to a short exposure to oxytocin. Foster pups were supplyed to the 24 hr-weaned and lactating mice. Levels of the long form PRL receptor mRNA elevated 3-fold during the 6 hr of re-suckling period and then, declined in a time-dependent manner. In the same animal, no increase in the level of PRI receptor mRNA was found in the non-suckled mammary gland while the level of PRL receptor mRNA elevated normally in the suckled mammary gland. The results of casein mRnA were essentially the same as to those of the long form PRL receptor mRNA. The non-suckled mammary gland was easily distinguished by color (whitish) of the mammary gland. The evidence suggests that the removal of milk is much important for the induction of the long form PRL receptor synthesis rather than is the change in hormonal environment. The expression of the PRL receptor gene is an all-or-nothing type reaction. Levels of casein mRNA were maintained at high until at the end of 24 hr-resuckling. Data indicate that the expression of the PRL receptor gene is switched on and off rapidly during lactation. Pre-mRNA transcibed from the PRL receptor gene is processed for the synthesis of the long form PRL receptor mRNA in the mammary gland. PRL receptor mRNA is synthesized and degraded actively during lactation. Levels of the long form PRL receptor mRNA was the highest on day 1 of lactation, but its levels declined continuously with days of lactation. On day 1.5 of lactation, the level was decreased by 91% as compared with that on day 1. The author described in the previous paragraph that it is important to determine the rate of the synthesis was estimated by the 24 hr-weanning and the 6 hr-resuckling, respectively. On day 1, 5 and 10 of lactation, the long form PRL receptor mRNA was actively synthesized but degraded rapidly in the mammary gland. On the 15 of lactation, the rate of mRNA synthesis was slowed down and consequently, the rate of mRNA degradation was slow. Casein mRNA were maintained relatively at high levels during lactation. Its level was peaked on day 10 of lactation. This changing profile was entire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long form PRL receptor mRNA. However, the rate of synthesis and degradation of casein mRNA was changed in a manner parallel to that of the long form PRL receptor. The degree of elevation of the long form PRL receptor mRNA induced during the 6 hr- resuckling period corredlated well with that of casein mRNA. In conclusion, the dominant PRL receptor mRNA species is for the long form PRL receptor. Its levels are clearly altered by manipulating the suckling intensity. The long form PRL receptor and casein mRNAs are synthesized actively but degraded rapidly. The two mRNA levels change independently probably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protein type of either the membrane-bound or secreted forms. However, the degree of the elevation of PRL receptor mRNA, close to the rate of actual mRNA synthesis, is parallel with that of casein mRNA. Thus, the determination of the rate of mRNA synthesis rather than that of the level of mRNA is important for expressing lactational performance of the lactating mammary gland. The degree of the PRL receptor gene expression is influenced particularly by over-accumulation of milk. The author show the possibility that high intra-lumen pressure inhibits directly the expression of the PRL receptor gene. The change in hormonal environment is less important in this process. At present, mechanism of the regulation of the PRL receptor gene expression remains unknown. The present experiments clearly show that the number of PRL receptor is regulated at the stage of the PRL receptor gene expression. The termination of the PRL receptor gene expression causes the decrease in the number of PRL receptor in the mammary gland and resulting the cessation of milk synthesis. There is the possibility that milk contains an inhibitory factor expressing the PRL receptor gene. The study on the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factor is undoubtedly essential in future.

      • 家族要因と結婚滿足度の 經路モデルに關する通文化的比較硏究

        김은미 大阪市立大學大學院 1995 해외박사

        RANK : 250639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부부관계 차이를 밝히기 위한 일환으로서 부부의 결혼만족도와 가족요인과의 관계를 경로모델 구축을 통해 규명하는데에 목적 이있다. 이를 위하여, 가족요인으로서 사회인구학적 요인이외에, 부인의 취 업, 가족지향의식, 기혼여성관, 가사분담도, 의사결정도를 분석틀에 넣고, 이러한 가족요인변수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경로를 양국의 남편과 부인으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자료는 한국의 대구와 일본의 오사카에 거주하는 부부 964명으로부터 얻어 진 조사데이타이며, 설문조사는 1992년 4월에서 6월까지 이루어졌다. 본 논문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이 3개의 Part로 나누어져 있다. 먼저 Par t Ⅰ은, 다시 4개의 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여기에서는 양국의 남편과 부인 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추출된 각각의 규정요인들을 독립 적으로 분석하여, 그 결과를 한일간 비교하였다. PartⅡ에서는 결혼만족도의 규정요인이 양국 부부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즉 부부의 가사분담도와 의사결정도, 그리고 남편과 부 인의 가족지향사고가 성역할 분업관이 한일 양국의 남편과 부인의 결혼만족도 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비교하였으며, 3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PartⅢ에서는 PartⅡ에서 독립적으로 분석된 복수의 결혼만족도 규정요인이 어떠한 경로를 거쳐 남편과 부인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가를 분석하 기 위해 경로모델을 구축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전체적으로 한국 부부보다 일본부부의 결혼만족도가 더 높 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결혼만족도의 규정요인을 보면 <가족지향의식>이 양 국 부부의 결혼만족도를 높히는 주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부부의 <가족지향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양국간에 뚜렷한 차이를 보임으로 써 <가족지향의식>의 성격에는 양국간의 문화적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즉 한국의 경우에는 부인이 전업주부일수록, 그리고 학력이 낮을 수록 가족 지향의식이 높아졌으나, 일본의 경우에는 가족총수입이 높고, 자녀수가 적고, 핵가족형태를 취할 경우 가족지향의식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影饗を與える主たる要因であることが分かった. しかし, この場合, 夫の學歷は自分の結婚滿足度を高める直接效果を持っていたが, 逆に妻の學歷は家族·役割價値志向や夫婦の家事分擔·意思決定構造を經て自分の結婚滿足度を低める間接效果を持っていることが明らかになった. さらに共通点としては, 內生變數である 「家族志向性」が結婚滿足度を高める重要な要因であることが明らかになった. それに對して, 兩國間の相違点としては, 韓國の場合は外生變數としての 「子どもの數」 が夫婦の結婚滿足度を高める直接效果を持っていたのに對し, 日本の場合は同じく外生變數としての「子どもの數」 が直接的でなく, 夫婦の家族·役割價値志向や家事分擔·意思決定構造を經て, 間接的に夫婦の結婚滿足度を低める間接效果を持っていた. そして「家族志向」に影響を與える要因も兩國間に差が見られ, 韓國の場合は妻が專業主婦として家庭を守ることによって家族志向が强くなったが, 日本の場合は, 家族總收入が高く, 子どもの數が少なく, 核家族形態を採ることによって家族志向が强くなることが分かった. 以上の硏究知見を踏まえて, これからの社會と個人における適合可能な家族觀として, 新家族主義(Neo-Familism)の重要性を提唱した. 結論では本論文の全般的結果をまとめており, 韓· 日の夫と妻の經路モデルについて要約した. さらに, 方法論の視点からの限界性と今後の課題について言及した. V Frequency, Crosstab. T-Test, Factor Analysis. One-vay ANOVA. MultiRegressionであり, そして重回歸分析の結果に基づいてPath analysisを行った. 序論では問題意識と硏究の目的を記述し, 夫婦關係に關する先行硏究を檢討した. つまり, 結婚滿足度に影響を與える變數を確定するために, 家族志向意識, 旣婚女性觀, 家事分擔度, 意思決定度に關する硏究と, そしてこれらのそれぞれの變數と結婚滿足度との關連について行われた從來の硏究結果を考察した. さらに, このような先行硏究の考察に基づいて, 本硏究の硏究▣組みを構築した. 本論文の主たる內容は三つのPartから成り立っている. Part1は, 四つの章で構成しており, 夫と妻の結婚滿足度の說明要因を韓· 日間で比較, 分析した. 第一章では, 韓國と日本の家族を理解するための基礎資科を得るために社會人口學的な統計資料を用いて兩國間の特性を比較した. そして本硏究のために調査された兩國の調査回答者の一般的屬性を比較し, 本硏究の結果を解釋する際の手がかりとした. 第二章では, 結婚滿足度の說明要因として設定された, 夫婦の家事分擔度および意思決定度を韓國と日本で比較した. また, 夫婦の家事分擔度及び意思決定度の尺度を構成している下位項目の內容についての夫と妻の認知の比較を行い, 家事內容についての夫婦間の認知差の程度も究明した.その結果, 兩國の共通点としては, 夫の認知以上に, 妻は自分の家事遂行度および意思決定度を高く認知していたことが確認された. 兩國間の相違点としては, 日本の妻は韓國の妻より家事分擔度が高く, 意思決定度は低いことが明らかになった. 第三章では, 夫と妻の家族志向意識とその影饗要因を夫婦間, そしてその韓· 日間で比較を行った. 家族志向意識は, 因子分析法によって 「家族の情緖的結束意識」 と 「家族一體的生活意識」 のこつの下位因子に分け,影讐要因との關連を分析した. 同時にその二因子の構成項目と影讐要因と n の關連についても調べた. その結果, 兩國の共通点としては, 夫婦の家族志向意識に影饗を與えている主たる要因が, 妻の就勞であることが分かった. そして, 兩國の相違点としては, 日本より韓國夫婦の家族志向意識がより强いことが明らかになった. 第四章では, 韓·日兩國の夫と妻の 「旣婚女性觀」 を比較し, その影響要因を調べた. 旣婚女性觀を因子分析法によって次の三つの因子, 「家庭中心,的女性觀」 「家族依存的女性觀」 そして「私人主義的女性觀」 等を析出し兩國の夫婦間で比較した. その結果, 兩國の共通点としては, 夫婦の旣婚女性觀に影響を與える主たる變數が夫婦の學歷であることが明らかになった. そして兩國の相違点としては, 韓國の夫婦より日本の夫婦の方がそして夫より妻の旣婚女性觀がより脫傳統的であることが分かった. Part2では, Part1で調べた結婚滿足度の規定要因が, 兩國の夫婦の結婚滿足度にどのような影響を與えているかを調べており, 五章·六章·七章で構成した. 第五章では, 夫婦の家事分擔度と意思決定度の二つの軸を用いて, 夫婦關係を類型化し, この類型による結婚滿足度の差を調べた. その結果, 兩國の共通点としては, 兩國いずれも 「夫婦平等決定·妻專擔型」 の夫婦が著しく多く, この類型に屬する夫婦の結婚滿足度が他の類型に屬する夫婦の結婚滿足度より高かった. 結婚滿足度が最も低い類型は 「妻優位決定·妻專擔型」 であった. 兩國間の相違点としては, 韓國の夫婦には見られなかった 「夫優位決定·妻專擔型」 が, 日本ではその數は少ないものの存在していることが分かった. ' 第六章では, 家事分擔領域と意思決定領域について因子分析を行い, 析出された因子構造の差異を韓·日間で比較し, これらの下位因子が夫婦の結婚滿足度とどの樣な關係があるかについて, 妻の就勞形態別に分析·比較を行った. 因子分析の結果, 韓國の場合は日本と違って, 家事分擔內容においては「子どもの養育」 の因子と 「家庭經濟管理」 の因子が獨立的に抽出され, また意思決定內容においても 「家族生活管理」 の因子と 「家庭 m 經濟」 の因子が同じように抽出された. 日本においてはそれぞれの領域の二つの因子が一つの因子內容になっていた. このように, 兩國間の因子構造上に差があることが分かった. 妻の就勞形態の視点から見た結婚滿足度の影饗要因は, 兩國間に大きな差が見られた. すなわち, 韓國の專業主婦の場合は, 妻自身の 「家族生活管理」 の意思決定度が低いほど, 彼女の結婚滿足度が高まっていくのに對して, 日本の專業主婦の場合は, 妻自身が「家族生活管理」 の意思決定を高めていく時に, 彼女の結婚滿足度は高くなっていた. 第七章では, 家族志向と性役割分業觀の二つの軸を用いて, 家族·役割價値志向を四っの類型一 「性役割固定的家族志向型」 「性役割柔軟的家族志向型」 「性役割固定的個人志向型」 「性役割柔軟的個人志向型」 に分類し, これらの類型によって結婚滿足度がどのような影饗を受けるかにっいて分析した. その結果, 兩國の特徵的共通点としては, 兩國の夫と妻の結婚滿足度は彼らの家族·役割價値志向類型と密接な關連性があり, 兩國ともに, 夫が「性役割固定的個人志向型」 の場合に夫と妻の結婚滿足度が最も低かった. さらに, 共通点としては, 妻の學歷が最も高い類型群に屬する妻は, 「性役割柔軟的的個人志向型」 であり, そしてこの類型群における妻の結婚滿足度は, 「性役割固定的家族志向型」 及び「性役割柔軟的家族志向型」 より低いことが明らかになった. 兩國間の相違点としては, 韓國の妻の場合は, 日本の妻が自分自身の家族·役割價値志向だけによって影讐を受けることとは違って, 夫の家族·役割價値志向によっても影饗を受けていたことが分かった. , Part3では, 第8章の一つの章で構成した. 第八章では, Part2で獨立的に分析された複數の結婚滿足度の規定要因が, どのような經路を經て結婚滿足度に影饗を與えているかについて分析し, 經路モデルを構築した. その結果, 兩國における共通点としては, 外生變數としての妻の就勞と學歷が內生變數としての家族·役割價値志向や夫婦の家事分擔·意思決定構造を通じて, 被說明變數である結婚滿足度に N 旨要の容內文論 報 告 番 號 甲·乙 第 號 論 文 名 家族要因と桔婚滿足度の輕路モデルに關する通文化的比較硏究一韓國のTaeguと日本の大阪の比較を中心に- 氏 名 金 恩 美 本硏究は, 韓國と日本における夫婦關係の異同を明らかにし理解していくための一助として, 夫婦の結婚滿足度に着目し, それと家族要因との關連における經路モデルを構築することに目的がある. 家族要因としては,先行硏究を通じて家族の屬性要因, 妻の就勞, 家族志向意識, 旣婚女性觀家事分擔度, そして意思決定度を分析▣組みに組人れた. 分析の目的は,結婚滿足度に至るこれらの變數間の「經路」 を兩國の夫婦ごとに明かにし比較することである.硏究目的を達成するために, 韓國のTaeguと日本の大阪に居住し, 中學生の子どもを持つ夫婦を對象として質問紙調査を行った. 本論文で調査地域をTaeguと大阪に設定したのは, 兩者が同じく地方都市で, 人口密度がほぽ類似していて 「都市性」 という点で共通しているからである. 經路モデルを構築するための必要な對象としては, 家族周期の中でも敎育期にある夫婦, 韓國の470人と日本の494人であった. その理由は, 結婚滿足度にめぐるUカ-プ說があって, 敎育期の夫婦の結婚滿足度が相對的に低いという命題があり, 夫婦關係のあり方を理解していくための重要な時期と考えたからである. 調査の時期は, 韓國の場合は1992年4月, そして日本の場合は1992年5月から6月であった.資料處理のために使われた統計方法は, SPSSPC+のプログラムを用いて I

      • インタ―ネット流通の競爭優位と戰略 : A Study on Competitive Advantage and Strategy of E-Retail

        허만율 大阪市立大學 大學院 2004 해외박사

        RANK : 234255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비약적인 발전과 인터넷 이용인구의 증대에 힘입어, 전자상거래는 더욱 고도화되면서 인터넷을 통한 유통시장의 성장이 가속화되고 있다. 그러나, 경제현실의 관찰에서도 알 수 있듯이, 모든 상품이 인터넷의 가상공간에서 안정적인 시장을 형성하고 있는 건 아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현실을 감안하여, 기존의 실제공간의 점포소매와 대비되어지는 인터넷의 가상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인터넷유통업을 대상으로 하여, 전자상거래의 특성 및 경쟁우위성을 규명하는 이론적인 분석틀에 대한 검토와 함께, 몇 개의 산업분야를 중심으로 하여 구체적으로 인터넷소매유통의 경쟁우위와 전략에 대한 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특히, 인터넷소매업의 본질을 규명하는 시각으로서, 종래의 탐색노력에 관련된 비용을 중심으로한 분석관점에 덧붙여서, 리스크인식과 신뢰성의 관점을 고려한 새로운 분석틀에 대한 필요성의 주장이 본 연구의 특징이다.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1장에서는, 기존의 점포소매업과 대비되는 인터넷소매업의 거래특성을 규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분석틀을 제시하고 있다. 먼저, 인터넷이라는 가상공간매체의 특성이 인터넷소매업이라는 새로운 거래형태의 성장과 발전에 미치는 촉진요인과 저해요인을 검토한 다음, 인터넷유통에서 거래되는 상품특성을 종래의 상품분류와 점포선택과 관련하여 비판적인 관점에서 검토했다. 일반적으로, 실제의 점포에서 구매하는 경우처럼 실물의 품질확인이 용이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인터넷상의 가상점포에서 구매하는 소비자에 있어서 가장 단순한 이유의 하나는 가격유인력이다. 즉, 인터넷유통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에서 자유로운 만큼 점포운영비용이 절약되기 때문에 동일한 상품이라면 상대적으로 저가격으로 소비자에게 제공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그러나, 인터넷상에서 구매하는 소비자 모두가 가격유인력이 있는 상품만을 구입하는 것은 아니다. 실제로, 저가격대의 상품도 구매하지만 고가격대의 상품이라도 인터넷을 통하여 구입하는 경우를 쉽게 관찰할 수 있다. 또한, 상대적인 저가격임에도 불구하고 소비자에 따라서는 인터넷시장에서 구매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그 이유는 정보탐색 및 처리능력이 다르며 개인별로 지각하는 리스크가 다르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소비자는 구매과정에 수반되는 리스크를 부담하게 되지만, 종래의 실제점포에서 구매할 경우의 리스크는 판매자와 구매자의 사이에 상품정보가 편재되어 있기 때문에 발생하는 구입전과 구입후의 기대의 불일치에 기인한다고 지적되어진다. 이 경우, 소비자는 이러한 리스크를 회피하기 위하여 탐색비용을 들이든가, 아니면 품질이 보증되어진 브랜드상품을 구입하게 된다. 인터넷을 통한 가상점포에서 구매하는 소비자의 행동은, 인터넷의 매체특성상 항상 리스크를 동반하며, 실제로 점포소매에서는 판매자과 대면하며 품질확인이 가능한 상품을 대상으로 하지만, 인터넷시장에서는 주로 정보탐색을 통한 품질확인을 기준으로 구매결정을 하게 된다. 더우기 거래후의 사후처리에 있어서도 실제의 소매시장에서는 대응하기 쉬운데 반하여, 인터넷시장에서는 잘못된 정보에 의한 구매결정의 사후처리가 곤란하다는 점이 지적된다. 이로 인해, 인터넷거래에 있어서는 정보탐색노력을 줄이고 리스크를 경감시키는 보완방법이 요구되어지며, 거래의 신뢰성 및 정보의 신뢰성을 획득하는 전략을 필요로 하게 된다. 제2장에서는, 소비자의 건강과 직결되며 이로 인해 특히 안전성과 신선도를 지향함과 동시에, 매일 소비함으로서 구매빈도가 높아 구매비용의 절약성향이 강한 식품을 대상으로 하여, 점포소매와 인터넷소매의 경쟁우위성을 비교분석함과 아울러, 인터넷소매의 유형으로서 식품업계에서 전개되어지고 있는 「점포병행형」과 「인터넷전업형」의 전략에 대하여 사례분석을 하였다. 제3장에서는, 정보탐색의 리스크인식의 관점을 중심으로, 의류의 인터넷소매에 관한 소비자의 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메카니즘을 분석하였다. 분석기준으로서 유행성(fashion)의 개념을 이용하여 의류(아파렐)중에도 고급브랜드품이 인터넷소매에서 경쟁우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고, 기존의 상품분류에 관한 차별화된 시각을 검토하였다. 제4장에서는, 정보넷트워크의 확대와 산업경제에서 정보경제로의 변환이 진행됨에 따라, 급속히 성장하고 있는 게임산업을 구체적 예로 하여, 물적재와는 다른 특성을 가지는 디지털재의 유통에 초점을 맞춰, 인터넷상의 중개기능을 중심으로 한 인터넷유통의 형태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디지털재의 경우는 공간적인 물류를 동반하지 않기 때문에 물적재의 유통기능과의 직접비교가 곤란한 점이 있지만, 디지털재의 인터넷유통에 관한 기업전략의 관점에서, 「직접중개유통」의 형태와 「플랫폼형중개유통」의 전략적 유형이 존재함을 지적하면서 각각의 시장기반을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정리하면, 우선 인터넷유통의 경우는 기존의 점포소매업을 상정한 유통시스템과는 다른, 새로운 분석틀에 대한 이론적인 고찰과 동시에, 인터넷소매업에 있어서는 특히 상품특성 및 소비자의 구매특성에 따라서 각각의 산업분야마다 상이한 경쟁우위와 전략이 전개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있다. 오늘날, 정보통신기술의 진보속도가 가속화되고, 세계가 거대한 하나의 넷트워크로 연결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인터넷유통의 가능성은 무한히 열려 있다고 할 수 있다. 앞으로의 연구과제로서, 계속해서 진화하는 인터넷유통의 새로운 비지니스모델에 대한 이론적인 설명력이 반영된 이론기반의 정립과 함께, 산업간의 비교분석이 요구되어진다고 할 수 있다.

      • サンプリング後の應力解放による試料變形を考慮した壓密試險法の硏究

        김재영 大阪市立大學 大學院 2003 해외박사

        RANK : 234255

        2. 本章では, 試料の應力解放による試料變形を考慮した壓密試驗を行うための供試體直徑を決めるため, 壓密終了狀態げあるポ-リング孔から採取した現場粘土試料と室內でスラリ-から壓密した再構成試料を大氣中に取り出して應力を解放した後の試料の變形測定を行った主な結論は次のとおりである. (1 )現場試料に對して, 1) 變形測定に用いた伸張パイプ型變位計は十分機能したが, 硬い粘土に對しては剛性が不足し, 先端部が曲がるときがある. 2) 沖積粘土(Ma13)の鉛直伸張ひずみは1.1∼1.7%で, 洪積粘土(Ma12)は1∼2%であり, 地域差がある. (2) 室內再構成試料に對して, 3) 試料の供試體直徑變化から求めた伸張ひずみと伸張パイプ型變位計によって求めた伸張ひずみは1.6∼2%程度で, 3種類の試料による違いはあまりなかったが, 伸張パイブ型變位計による測定値が, やや大き目を示した. 4) 上記の伸張量測定結果から, 應力解放による試料變形を考慮した壓密試驗を行うための供試體直徑設定値は60mmの壓密リングに對して59.6∼59.4mmである. 3. ボ-リング孔から採取した飽和粘土試料は, 應力解放によって鉛直方向げ伸び, 水平方向に縮んでし7るので, 通常の壓密試驗法による試驗結果は實地盤中における壓密擧動を正しく再現していない. そのため, 應力解放げよる試料の變形を考慮して, 試料が原地盤中にあるときの有效土被り壓が加わったときに, 供試體が非排水條件で押し擴げられて壓密リング內壁に密着するように, 壓密リング內徑よりも小さい直徑の供試體を用いる壓密試驗方法を採った. この試驗法によってスラリ-かう壓密した室內再構成試料と, 現場採取試料に對する原位置の壓密擧動の再現を目指した一連の壓密試驗を行った. 得られた主な結論は以下のとおりである. (1) 室內再構成試料を期いた壓密試驗から, 1) 3種類の室內再構成粘土試料の伸張ひずみ測定結果かう, 內徑60mmの壓密リンジに對する再壓縮供試體の直徑設定値は59.6∼59.4mmとなる. 供試體直徑を變えた一連の壓密試驗結果から直徑59.6∼59.4mmの再壓縮供試體が, 原位置の壓密を模擬する原位置供試體のf-logp關係を近似している. 2) 端面をゴム膜·グリスで潤滑し, 口紙で放射狀に排水する壓密試驗方法はこの試驗目的に對して良好に動いた. 3) 標準壓密試驗によるf-logp關係は, 原位置相當の再壓縮供試體のf-logp關係と正規壓密域はほぼ平行するが, 下方に位置した, このことから供試體直徑を壓密リング內徑に合わせる通常の壓密試驗法は, 原位置の壓密擧動を再現しているとはいえない. また, 標準壓密試驗から得られるf-logp關係の過壓密域には原理的な意味はない. 4) 以上の結果によれば, 標準壓密試驗によるf-logp關係の正規壓密域は, 原位置相當のf-logpとほぼ平行しており, これを有效土被り壓(あるいは壓密降伏應力)と初期體積比の交点まで引き上げる建築基礎構造設計指針の補正法は, 原位置相當のf-logp關係を近似する方法として妥當である. 5) 供試體直徑の違いに對する正規壓密域の壓密係數c_vの違いはあまりない. 透水係數たはほぼfのみに關わり, f-logp關係の正規壓密域はいずれもほぼ平行しているので壓縮指數C_cの違いはあまりなく, したがって, 標準壓密試驗の正規壓密域のf-logp關係を初期體積比まで引き上げて補正する場合, 標準壓密試驗で得たc_vは體積比の比(=補正値のf/もとのf)を乘じて補正する必要がある. (2) 現場採取試料による壓密試驗から, 6) 再壓縮供試體のf-logp關係は, 標準壓密供試體f-logp關係よりも上方に位置し, 直徑59.6mmまたは59.4mm供試體が最も上位を占めた. 現場採取不攪亂試料に對しても伸張ひずみ測定と倂せてこの試驗法を適用することができる. 4. サンプリングによる應力解放を考慮した壓密試驗法は, 有效土被り壓が加わったときに, 供試體が兩端面摩擦なしで押し擴げられて壓密リング內面に密着させる必要から, 繁雜な試驗手順を必要とするので, 通常のセラミックポ-ラススト-ンを持つ加壓板を用い, 供試體高さを大きくして端面拘束の影響を相對的に下げる簡易な試驗方法を提案した. その適用性を室內再構成試料を用いて供試體高さを變えた試驗結果をゴム膜·グリスで兩端面を潤滑した試驗方法による結果との比較によって調べた. 主な結論は次のとおりである. 1) セラミックポ-ラススト-ンを用いた上下加壓板は供試體の押し擴げを端面摩擦によって拘束し, 鉛直壓縮量の減少となって現れる.この壓縮量の減少量は, ポ-ラススト-ンへの供試體端面への食い입みによる壓縮量の增加と相殺する方向に動き, p_c/2から載荷した場合の初期段階では, 塑性の高い試料の場合, 兩者はほぼ相殺する. 2) 正規壓密域での各載荷段階における壓縮ひずみ一時間關係の最終ひずみは供試體高さによる違いは少なく, また標準壓密ともほぼ同じである. 3) 壓密係數c_vは, 塑性の高い試料土では高さ25mm以上の供試體はほぼ同じ値を示した. 塑性の低い試料土は一定の傾向は見られないが, 狹い範圍に納まっており, 標準壓密試驗による値もこの範圍に入っている. 4) 載荷初段階においてポ-ラススト-ンによる供試體端面拘束による壓縮量の減少とポ-ラススト-ンへの食い입みによる壓縮量增加はある程度相殺するが, それ以降の載荷段階で予想される端面拘束による壓縮減少量の再發生を考慮すると, 試驗結果からみて高さ35mm程度の供試體が望ましいと考えられる. 5. 浮動リング型式の壓密リンジを用い, リンダ中央高さに円形に切り取ったリング要素を土壓計とし, その中央で間隙水壓も同時に測定する試驗法によって, 壓密中の壓密リング內徑と同じ標準壓密相當の供試體, および少し小さい直徑の再壓縮供試體の壓密過程における側方土壓と間隙水壓を測定した. 主な結論は次のとおりである. 1) 標準壓密相當の直徑60mm供試體は, いずれの載荷段階においても同樣の側方土經の經時變化を示した. 直徑の小さい再壓縮供試體の載荷初段階の側方土壓は, 供試體の押し擴げに對する抵抗によって低いが, 載荷壓增分で無次元化した値は次第に0.5付近に近づいた. 2) 載荷壓增分で無次元化した正規壓密域における側方土壓は壓密終了時に供試體直徑, 應力レべルによらず, ほぼ0.5に收束した. 3) 再壓縮供試體の間隙水壓の載荷初段階は低い値を示したが, 次段階からは供試體直徑によらず, また應力しべルげようず, 同樣な經時變化をたどった. 4) 側方土壓のピ-ク値はいずれも載荷壓增分の80%余りで, ピ-クに達するのに數分∼10分を要した. また, 間隙水壓のピ-クも載荷壓增分の80%余りで, その發生時刻は2∼3分で側方土壓のピ-クよりも旱かった. 5) 載荷壓增分および載荷壓で無次元化した有效側方壓增分と有效側方壓, すなわち, 2通りの應力條件に對する靜止土關係數は, いずれの供試體においても應力レべルに無關係にほば0.5を示した. 6) 側方土壓と間隙水壓の計測に關して, この壓密試驗機は滿足できる性能を示した.

      • 韓國農村住宅の平面構成に關する硏究

        박경옥 大阪市立大學 大學院 1988 해외박사

        RANK : 234255

        1970년대의 새마을운동으로 주택환경개선운동이 일어났으며 이로인해 생겨난 주택 형의 성질 및 재래주택형과의 관계를 알아내어, 한국인의 마음속에 잠재한 주공간요구 를 명확히 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서술의 순서 『재래형』의 공간구성 이 「개량형」의 공간구성의 기본으로 되어 있다고 생각하여 ��농촌사회배경·기초조 건, ��농촌 재래주택4칸형중 중앙의 마루전면에 문이 없는 영남형과 문이 있는 남동 해안형을 물리적 측면과 생활적 측면을 비교분석한 『재래형』, ��정부가 1978년부터 1983년까지 제시한 농촌형 표준주택안의 분석과 실제 채용정도 분석 ��1978년도형 표준주택안을 실제 변형건설한 「개량형」과 『재래형』의 양형 비교 분석 ��결론과 금후의 농촌주택의 방향등으로 검토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재래형』은 조 사 양지역 모두 3칸형을 기본형으로 하여 넓은 마루칸이 있는 4칸형을 완성형(조건이 허락되면 이형을 만들고 이형은 전생활을 만족시킬 수 있다)으로 하고 있으며, 큰방은 가족·친척·친한 마을 사람들에 대해 개방적이고 작은방(머리방)은 부침실로 사용되 어 폐쇄적이며, 방과 마루 사용의 계절별 이원성, 비일상적 행사시의 안채와 사랑채의 남녀분리가 잔존해 있다. 한국농촌의 『재래형』 주택형은 특유의 요소공간에 의해 구성되어진다. ��주민이 실제 건설한 주택평면을 비교분석하여 보면 정부에 의해 제 시된 표준주택안은 도입되지 않고, 외관은 비슷하나 내용이 다른 「개량주택」이 생겨 난다. 제시안은 거실중심 LDK형을 목표로 하고 있으나 「개량형」은 침실과 거실의 구 성이 아닌 마루+방의 구성으로 되어 있다. 농촌주택은 친척·기족등의 생활적 사회집 단(혈연), 마을이나 집·가문등의 제행사등 생활의 완성을 고려한 경우 안채의 공간만 으로는 충족되지 않고 사랑방을 첨가하여 처음으로 충족된다. ��앞으로의 한국의 농 촌주택은, 「개량형」 주택속에 요구되어지는 특성 요소공간을 적어도 갖출 것, 그 성 격은 『재래주택』내의 요소공간을 추구하는 것에 의해 명확화되며, 이들이 공존하는 공간을 기본으로 하고, 더우기 사랑방요소를 추가해 그속에 거실·침실등의 근대화 요소를 넣도록 하여 그것이 전체로서 종래의 형이 발전된 형으로 엮어지는 방향의 것 이 생겨날 것으로 예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