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日本語學習者におけるスタイル切換え能力の發達 : 韓國語母語話者を對象として

        이길용 大阪大學 大學院 2005 해외박사

        RANK : 248607

        제2언어습득자가 목표언어를 사용하여 원할한 커뮤니케이션을 하기 위해서는, 문법능력 (grammatical competence), 사회언어능력 (sociolinguistic competence) , 스트라테지능력(strategic competence)을 습득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2언어로 일본어를 습득하는 한국인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바리에이션 이론(variation theory)을 바탕으로, 스타일시프트(style shift)라는 사회언어능력의 습득과정을 고찰하였다. 스타일시프트능력은 사회언어능력의 일부분으로, 화자가 상대방이나 말하는 상황과 관련하여 적절한 언어형식과 표현을 선택하여 구사하는 능력이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인과 일본인의 스타일시프트를 대조분석한 후, 이를 베이스라인으로 하여 한국어를 모어로 하는 일본어학습자가 일본어를 사용함에 있어서 스타일시프트를 어느 정도 이해하고 구사하는지에 대해 실증적이며 포괄적으로 고찰하였다. 조사는 한국내에서 일본어의 문법능력을 습득하고, 일본에서 일본어를 학습하는 다수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횡단적・종단적으로 실시하였다. 먼저 한국어와 일본어의 스타일시프트에 관한 지식을 「일본어 사용과 생활에 관한 네트워크 조사」를 통해 파악하였다. 그리고, 친한 친구와의 대화(casual 담화)와 초면의 상대자와의 대화(formal 담화)를 3-4개월 단위로 녹음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먼저, casual 담화와 formal 담화에 있어서 스타일시프트의 실태를 고찰한 결과를,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1. 일본어사용능력이 낮은 학습자는, 일본어의 스타일시프트를 구사할 수 없으며, 교육기관에서 배운 formal한 언어 변종(variety)만을 사용한다. 반대로 일본어사용능력이 높은 학습자는, 일본어의 스타일시프트를 구사한다. 2. 한국인 일본어학습자는, 한국어와 일본어의 스타일시프트가 중복되는 부분부터 습득해 나간다. 중복되는 부분이란, 정중한 표현, 응답・맞장구 표현 등이다. 이는 학습자가 모어인 한국어의 언어사용규범에서 스타일시프트를 행하여야 한다고 인식하는 표현들이다. 3. 한국인 일본어학습자는, 한국어에서만 스타일시프트를 행하는 부분(명령 표현, 금지 표현, 욕설 등)을 일본어로 전이(transfer)하지 않으며, 일본어에서만 보이는 스타일시프트(접속조사, 종조사 등)를 습득해 나간다. 4. 즉, 한국인 일본어학습자는, 모어인 한국어의 언어사용규범을 바탕으로 하여, 일본어만을 재료로 하여 일본어의 스타일시프트를 습득해 간다. 다음으로, casual 담화와 formal 담화에 있어서 스타일 시프트를 어떻게 습득하는가, 그 습득과정을 고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a. 학습자는 일본어의 스타일시프트를 행하려는 의식이 강하다. 이는 모어인 한국어의 사회언어적규범을 적용한 결과로, 심리적 전이 (psychological transfer)가 습득을 촉진시키는 예이다. b. 학습자는 일본어의 복잡한 형태적 처리를 간략화한다. 간략화를 할 때는, 일본어의 기존 습득 형식(noda形式)을 이용하는데, 이는 과잉적 일반화(overgeneralization)의 일종이며, 과정적 전이(transfer in developmental process)로도 해석이 가능하다. c. 일본어의 스타일시프트에 대한 강한 의식과 형태적 처리의 간략화가 충돌하는 경우에는, 언어형식의 간략화를 우선한다. d. 스타일시프트능력의 발달은,「학습언어 복제기」「독자체계 구축기」「목표언어 체계기」의 3단계가 인정되며, 그 습득과정은, 모어의 사회언어적규범을 최대한 활용하고, 목표언어의 형태를 간략화하여 독자적인 체계를 구축하는 등, 학습자의 창조적인 지적 활동과정이다. 종래의 제2언어습득연구는 학습자의 문법능력습득이 주된 것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어를 사용하여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사회언어능력의 습득과정을 규명하였다. 일본어의 실질적인 커뮤니케이션 능력의 습득과 그 교육에 응용할 수 있다.

      • 近代日韓における「女性」をめぐる言說 : 羅蕙錫と日本との關わりを中心に = Discussions on "Women" in modern Korean and Japan : Focusing on Ra Hye-Suk's relationship to Japan

        김화영 大阪大學 大學院 2004 해외박사

        RANK : 248591

        In this thesis I have analyzed the problems concerning the issues of "Woman" and "Modernity" through the life and works of the author Ra Hye-Suk. In particular, I have considered the issue of women's "Gender" and "Modernity" in Korea, without overlooking the effect which the colonization of Korea had on modernization. In this way I have considered the interest which Ra Hye-Suk showed in Japan, her connections to the country, and further more whether she used these connections and interest to further herself. In the first chapter, I have looked at depictions of "New Women" in Ra HyeSuk's s "Isangjoegin Buin" [The Ideal Wife], and sought for signs of the influence of Hiratsuka Raichou's writings on "New Women". I have focused especially on the connection between Seitoh [Blue Stockings] and Ra's Souzouteki Shufu. Ra absorbed the trend of "New Woman" during her period of study in Japan, and strongly advocated her own women's liberation. In that respect, Seitoh and Raichou's discussions played an important role. However, Ra asserted herself as "a Korean" and her writings show entirely different characteristics form those of Raichou. In the second chapter, I have looked at the acceptance of "Romantic Love" in the theses on love by Ra Hye-Suk. Firstly, I have looked at the word Renai which depicts the new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woman in modern Korea, and have then gone on to analyze Ra's theses on love in comparison to those of Yosano Akiko. Both of their theses affirm the independent female gender, while stressing Renai and the unity of the spiritual and the physical, Reiniku Icehi. Although they both affirm a woman's sexual desire as instinctive, and intone that romantic love progressively endures through constant change, there ideas differ on how to incite or relieve desire. Ra, who supported licensed prostitution as a means of relieving desire, ignores this oppression of female gender under colonial rule, but nevertheless hints at her own opinion on gender. In the third chapter, I have looked at "Modernity" and "Gender" with reference to "Motherhood". Both Raichou and Ra see children as "Proof of love" between a husband and wife, and motherly love as something which is born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 and child. However, Raichou saw a mother's work as a "Woman's Vocation", with women contributing to society and the nation through the role of motherhood, thus demanding the protection of mothers from the state. Furthermore, she focused on limitations on reproductive activity by the state. This is a far cry from the motherhood theses give by Ra. The reason for this is the fear that, for a woman in colonial Korea, protection of mothers by the state would mean an acceptance of colonial rule, and so the issue of protection of motherhood from the state never came into question. In the forth chapter, I deal with the three main features of Ra Hye-Suk's art work "Nude Woman" Accepted for the l0th Chosen Exhibition, "Nude Woman" contains various meanings. It is difficult, however, to read these meanings without prior knowledge of the social and cultural codes behind the "Nude Woman". Considering the shortness of the hair and the sagging of the breasts, it becomes clear that through her "Nude Woman" Ra is expressing her thoughts on Korea, through capturing the individuality of the female body. Ra's deviation from the traditional nude and creation of a new technique could be seen as an attack on the concepts of the era. As stated above, in this doctoral thesis I have looked at the connection between Ra Hye-Suk and Japan, and considered aspects of the problem of "Women" and "Modernity" in modern Korea. Through a comparative study of the concept of "Woman" through the works of Ra Hye-Suk, Hiratsuka Raichou and Yosano Akiko, I have extrapolated Ra's various strengths, and have brought to the fore the problem of "Women" and "Modernity"' in Korea.

      • 韓國語話者による日本語破裂音·破擦音の生成及び知覺に關する實驗音聲學的硏究

        사공환 大阪大學 大學院 2004 해외박사

        RANK : 248591

        본고의 목적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한국어화자가 발화한 일본어 파열음과 파찰음의 음향적 특성에 대해 실험음성학적인 방법을 통해 상세히 밝히는 것이다. 둘째로는, 한국어화자가 일본어를 청취할 때, 일본어 파열음 및 파찰음에 있어서의 유성성의 구분을 어떠한 음향적 요인의 작용을 통해 행하게 되는지, 지각변별에 관여하는 정도를 중심으로 그 요인을 밝혀내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ザ行音’과 ‘ジャ行音’을 구별하는 문제에 있어서 한국어화자가 발화한 일본어 음성의 음향적 특성에 관해 상세히 규명하고, 조음상의 차이점을 밝혀내어 금후 한국어화자의 일본어 ‘ザ行音’의 학습 시 올바른 청취 및 발음을 습득하는 데 있어 도움을 줄 수 있는 유효한 지도방법이 무엇인지를 모색하는 데 있다. 본고는 전부 8장으로 되어 있다. 제1장에서 제4장까지는 서론에 해당되는데, 먼저, 제1장에서는 연구목적 및 의의에 대해서 논하였다. 제2장에서는 한국어와 일본어, 양 언어의 음운체계에 대해 자음중심으로 개괄적인 설명을 하고 제3장에서는 기존연구 성과에 대해 개관했다. 제4장에서는 실험방법에 대해 설명했다. 제5장과 제6장 및 제7장은 본론에 해당된다. 먼저 제5장에서는 실험결과를 토대로 일본어 파열음의 유성성의 대립에 있어서, 모어화자인 일본어화자에 의한 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한국어화자의 음향적 측면과 지각적 측면에 있어서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일본어 파열음 생성시 유성성을 구분하는 음향적 특성에 있어서, 일본어화자의 경우, 어두에서는 Voice bar와 기식구간 길이가, 모음사이에서는 폐쇄구간 길이와 선행모음의 길이가 주요 구분소성이었다. 이에 반해, 한국어화자의 경우에는 성대진동 유무가 어두에서의 유력한 구분소성인 일본어화자와는 달리, 어두위치에서는 기식구간 길이가 유성성을 음향적으로 구분해 주는 유일한 구분소성이었다. 그리고, 모음사이에서는 폐쇄구간 길이와 선행모음 길이와 함께 기식구간 길이가 주요한 구분소성임이 밝혀졌다. 다시 말해, 한국어 화자는 어두에서는 기식성이, 모음사이에서는 구강 내 폐쇄 강도를 포함한 조음기관의 긴장유무에 의해 성의 대립을 구분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지각에 있어서는 일본어화자의 경우, 어두에서는 후행모음의 음향정보와 기식구간의 길이가 유성성의 지각변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고, 모음사이에서는 폐쇄구간의 길이와 기식구간의 길이가 우선적 변별요인이었다. 이에 반해, 한국어 화자의 경우에는 어두에서는 기식구간 길이가 지각변별시 우선적 요인으로 작용하고, Voice bar가 부차적으로 관여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모음사이에서는 폐쇄구간 길이와 폐쇄구간상의 성대진동유무가 유성성의 지각변별시에 우선적으로 작용하는 요인임이 밝혀졌다. 생성과 지각의 관련성을 살펴보면, 생성시에 유성음과 무성음간에 별다른 음향적 물리량의 차이를 보이지 않는 음향적 요인이라도, 지각시에는 유효한 변별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사실도 알 수 있었다. 제6장에서는 일본어 파찰음의 유성성의 대립에 관해 한국어화자의 음향적 특성 및 지각적 특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먼저, 음향적인 측면을 살펴보면, 일본어화자의 경우, 어두에서 유성성의 대립을 음향적으로 구분하는 소성은 Voice bar와 함께 마찰구간 길이였고, 모음사이에서는 선행모음과 폐쇄구간의 길이가 중요한 음향적 구분소성임을 나타내는 결과가 얻어졌다. 이에 반해, 한국어화자의 경우, 어두에서 유성성의 대립을 음향적으로 명확히 구분해 주는 소성은 밝힐 수 없었다. 조음기관의 긴장 유무가 유성성의 구분에 중요한 소성임을 알 수 있었다. 모음사이에서는 일본어화자와 한국어화자가 공통적으로, 선행모음과 폐쇄구간 길이에 의해 유성성의 대립을 구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적 측면을 살펴보면, 일본어화자의 경우, 어두에서는 Voice bar와 함께 마찰구간 길이가 유성성의 지각변별에 중요한 음향적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로부터, 어두 위치의 파찰음에 있어서는 생성시 유성성의 대립을 구분해 주는 주요 구분소성이 지각시에도 유효한 변별요인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모음사이에서는 폐쇄구간중의 성대진동이 가장 유효한 변별요인이고, 폐쇄구간의 길이가 유성성의 변별에 부차적으로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한국어화자의 경우에는 어두에서는 Voice bar와 마찰구간의 길이가 유성성의 지각변별시에 우선적으로 작용하는 요인임이 밝혀졌다. 즉, 성대진동 유무를 통해 유성음과 무성음을 구분할 수는 없지만, 지각시에는 성대진동 유무가 유효한 변별요인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모음사이에 있어서는 일본어화자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폐쇄구간과 선행모음길이의 비가 유성성의 지각판단에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제7장에서는 한국어화자가 ‘ザ行音’의 습득이 어려운 원인을 조음적 측면에서 규명하기위해, 팔라토그래프를 사용하여 ‘ジャ、ジュ、ジョ’와의 비교를 통해 한국어 화자가 발화한 ‘ザ、ズ、ゾ’의 조음상의 특징을 밝혔다. 그 결과, 한국어화자와 일본어화자 사이에는 ‘ザ、ズ、ゾ’ 조음시 치경부와 치경경구개부에서 혀와 구개의 접촉패턴에 큰 차이가 있음을 밝힐 수 있었다. 그리고, 한국어화자에 의한 ‘ザ、ズ、ゾ’의 조음시에 나타나는 특성은 일본어화자가 조음한 ‘ジャ、ジュ、ジョ’의 조음상의 특성과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제8장은 결론부로서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성과를 종합하고, 그 의의와 함께 앞으로의 과제 및 전망을 제시하였다.

      • 韓國農村住宅の平面構成に關する硏究

        박경옥 大阪市立大學 大學院 1988 해외박사

        RANK : 248591

        1970년대의 새마을운동으로 주택환경개선운동이 일어났으며 이로인해 생겨난 주택 형의 성질 및 재래주택형과의 관계를 알아내어, 한국인의 마음속에 잠재한 주공간요구 를 명확히 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서술의 순서 『재래형』의 공간구성 이 「개량형」의 공간구성의 기본으로 되어 있다고 생각하여 ��농촌사회배경·기초조 건, ��농촌 재래주택4칸형중 중앙의 마루전면에 문이 없는 영남형과 문이 있는 남동 해안형을 물리적 측면과 생활적 측면을 비교분석한 『재래형』, ��정부가 1978년부터 1983년까지 제시한 농촌형 표준주택안의 분석과 실제 채용정도 분석 ��1978년도형 표준주택안을 실제 변형건설한 「개량형」과 『재래형』의 양형 비교 분석 ��결론과 금후의 농촌주택의 방향등으로 검토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재래형』은 조 사 양지역 모두 3칸형을 기본형으로 하여 넓은 마루칸이 있는 4칸형을 완성형(조건이 허락되면 이형을 만들고 이형은 전생활을 만족시킬 수 있다)으로 하고 있으며, 큰방은 가족·친척·친한 마을 사람들에 대해 개방적이고 작은방(머리방)은 부침실로 사용되 어 폐쇄적이며, 방과 마루 사용의 계절별 이원성, 비일상적 행사시의 안채와 사랑채의 남녀분리가 잔존해 있다. 한국농촌의 『재래형』 주택형은 특유의 요소공간에 의해 구성되어진다. ��주민이 실제 건설한 주택평면을 비교분석하여 보면 정부에 의해 제 시된 표준주택안은 도입되지 않고, 외관은 비슷하나 내용이 다른 「개량주택」이 생겨 난다. 제시안은 거실중심 LDK형을 목표로 하고 있으나 「개량형」은 침실과 거실의 구 성이 아닌 마루+방의 구성으로 되어 있다. 농촌주택은 친척·기족등의 생활적 사회집 단(혈연), 마을이나 집·가문등의 제행사등 생활의 완성을 고려한 경우 안채의 공간만 으로는 충족되지 않고 사랑방을 첨가하여 처음으로 충족된다. ��앞으로의 한국의 농 촌주택은, 「개량형」 주택속에 요구되어지는 특성 요소공간을 적어도 갖출 것, 그 성 격은 『재래주택』내의 요소공간을 추구하는 것에 의해 명확화되며, 이들이 공존하는 공간을 기본으로 하고, 더우기 사랑방요소를 추가해 그속에 거실·침실등의 근대화 요소를 넣도록 하여 그것이 전체로서 종래의 형이 발전된 형으로 엮어지는 방향의 것 이 생겨날 것으로 예상된다.

      • ゼブラフィッシュ發現スクリ―ニング法による新規ホメオボックス遺傳子pnxの單離 : Isolation of a novel homeobox gene, pnx, by an expression cloning strategy in zebrafish

        배영기 大阪大學 大學院 2002 해외박사

        RANK : 248591

        Neuronal tissues are generated through a series of steps in vertebrates. These steps include neural induction, anterior-posterior (AP) patterning, and neurogenesis. By an expression cloning strategy, we isolated a novel homeobox gene, pnx (posterior neuroectoderm specific homeobox gene) from zebrafish. pnx was expressed in the entire ectoderm at late blastula stage. The pnx transcripts became restricted to the posterior neuroectoderm during gastrulation and were confined to the primary neurons posterior to rhombomere 4 after late gastrula stages. The pnx expression was expanded or ectopically elicited by misexpression of FGF, Squint, and retinoic acid, or by transplantation of the non-axial mesoderm that is thought to be a source of the posteriorizing signals. In contrast, it was reduced by misexpression of Dkk1 and Antivin, which anteriorize the neuroectoderm. Misexpression of pnx posteriorized neuroectoderm even in the presence of the anteriorizing factors and the expression of pnx in theforebrain suppressed the expression of the forebrain-specific gene six3. Pnx contains an Eh1 repressor domain, which interacted with Groucho, acted as a transcritional repressor in cells. Expression of an antimorphic Pnx, in which Pnx was fused to the transcriptional activator VP16, suppressed the expression of the posterior neuroectoderm specific genes hoxa1 and cdx2. In addition, misexpression of pnx increased neural precursor cells and postmitotic neurons, which express neurogenin1 and elavl3/HuC, respectively. Expression of an antimorphic Pnx (VP16Pnx) or inhibition of Pnx by antisense morpholino oligonucleotide led to the reduction of a subset of primary neurons. Misexpression of pnx promoted neurogenesis independent of Notch signaling. Epistatic analyses showed that Pnx also functions downstream of the Notch signaling. These data indicate that Pnx is a novel transcriptional repressor which acts downstream of the posteriorizing signals and functions for the formation of posterior neurons. 發現スクリ一ニング法によって、ゼブラフィッシュの原腸形成中期に後方神經板と後方初期神經細胞で發現する新規ホメオボクス遺傳子pnxを同定した。pnx 發現は非軸中內胚葉から誘導される。また、FGF、Nodal、Wnt、およびレチノイン酸シグナルにより調節されるのがわかった。PnxはGrouchoタンパク質と相互作用し轉寫抑制因子として動くEh1抑制ドメインを持っている。PnxにVP16タンパク質の轉寫活性化ドメインを融合させたantimorphic Pnxとantisense morpholino-oligonucloteideの强制發現および住入によて後方神經板特異的遺傳子の發現を抑制した。この結果はPnxが後方神經系の形成に關與する新規轉寫抑制因子であることを示唆した。

      • 市街地形成の 計量評價に基づく用途. 容積 規制の 效果に關する都市計劃學的硏究

        정현 大阪大學 大學院 1992 해외박사

        RANK : 248591

        2차원 모집단에서 자료들이 공간상관관계를 가질때 모수<모평균>를 추정하기 위한 연속반복 표본추출방법을 3가지 제안하였으며 이 추출방법들을 비교하기 위해서 중모 집단모형 (Superpo pulation Model)의 이론을 적용하였으며 정상적 확률과정 (Station ary Process)을 중모집단 모형으로 가정하여 각 표본추출 방법에서 추정량에 대한 평 균제곱 오차의 기대값을 표본추출과정과 중모집단 모형의 기초위에서 계산하였으며 이 들을 비교하여 공간상관 관계가 있는 모집단에서 최적 연속반복 표본추출방법을 구하 였다. 최적 표본 추출방법이 중모집단 모형의 모수값에 의존하므로 중모집단 모형 모 수에 대한 정보나 추정값에 대한 연구가 필연적이다. 이산유한후리에 변환 (Discrete finite Fourier Transform)을 이용하여 중모집단 모형 모수의 추정량을 구하였으며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이를 입증하기위해서 알고리즘을 연구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