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한국의 중국어 교육과정 고찰

        신슬기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63

        한국인은 중국 최근 몇 년 동안 한국과 중국 사이의 외교 관계 이후 학습에 대한 전면 열성을 경험했다. 하지만 만약 한국의 중국어 교육 시스템이 떠오르는 요구에 대하여 잘 준비 되었는지 의문이다. 이 논문에서 나는 긴밀하게 한국에서 중국어 교육을 조사하고 대안을 마련하고 싶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원 교육의 중국어 교육 프로그램의 교육학 및 실용적인 효과에 대한 학습자의 견해를 검토하고 있는 프로그램이 있는지 여부와, 중국어 교육 프로그램은 학습자의 교육 요구를 충족 이해와 교과 과정의 평가이다. 현재 연구를 위해 실시한 설문 조사 결과는 학습자는 훈련을 위해 중국어교사를 위해 그리고 중국어학과 문학의 진보된 연구를 위해 매우 높은 조건을 가질려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교육 과정을 제공하는 코스 그리고 중국어학 및 문학에 관련된 중국 교육학과정의 비율 등 프로그램 간에 크게 다르다고 밝혔다.이러한 연구는 더 나은 중국어 교육의 프로그램의 커리큘럼의 발전을 위한 더 많은 토론을 부른다. 그것은 또한 학습자의 요구를 접하기 위한 중국어 교육학이 해결해야 할 전문화된 교사의 부족을 제안한다. Koreans have experienced a sweeping zeal for learning Chinese since the diplomatic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China in recent years. But I wonder if Koreas Chinese education system is well prepared to meet the rising demand. In this thesis, I would like to closely look into Chinese education in Korea and come up with alternatives.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earners views on the pedagogical and practical efficacy of Chinese language education programs in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s, and to evaluate the curriculum of the programs to understand whether Chinese language education programs meet the educational needs of learners. The results of the survey conducted for the present study show that the learners tend to have a very high demand both for training for a Chinese language teacher and for advanced studies of Chinese linguistics and literature. However, a closer look at the courses offered in the programs revealed that the curriculum varies significantly across the programs, including the number of courses offered and the ratio of Chinese pedagogy courses to those related to Chinese linguistics and literatu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ll for more discussions as to developing a better curriculum of Chinese language education programs. It is also suggested that the shortage of faculty specialized in Chinese pedagogy be addressed in order to meet the learners demands.

      • 한국어 교육에서의 초기 문식성 연구 : 필리핀 학습자를 중심으로

        주희진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63

        최근 몇 년간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은 눈부신 성장을 하였다. 한국의 국제적 위상이 높아지고 해외교포 2~3세가 증가함에 따라 국내에서는 물론이고 국외에서도 한국어 교육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한류 열풍을 타고 중국이나 일본뿐만 아니라 동남아시아에서 이 분야에 많은 인력을 필요로 하고 있다. 한국어 교육에 대한 관심은 국내외적으로 크게 늘어났으며, 이는 한국어 교육 규모에서도 쉽게 알 수 있다. 세계 주요 대학에 개설된 한국어학과 또는 한국어 강좌의 수는 지속적으로 늘고 있으며, 해외교포를 대상으로 하는 한글학교도 계속 늘고 있다. 국내의 주요 대학 중 상당수가 한국어 교육기관을 운영하고 있고, 단기과정의 한국어교사 양성과정과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 석사과정을 설립하였으며, 몇몇 대학의 학부에서도 한국어 교육과 관련된 학과를 신설하기도 하였다. 언어 학습에 있어 학습 환경 또한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데 제 2언어 환경에서 언어를 학습할 경우 학습자는 목표 언어를 접 할 수 있는 기회가 많기 때문에 다양한 문장을 구사할 수 있지만, 외국어 환경에서는 학습자가 사용하게 되는 언어의 사용도 한정되어 있으며, 한국어에 노출되지 않는 여러 가지 환경적 요인 때문에 사용자가 의사소통하는 데 있어 많은 어려움이 있다. 한국어 교육은 많은 관심과 문제점을 안은 체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지만 준비가 안 된 상태에서 봇물처럼 터진 한국어 교육의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부분이 현 사태이다. 한국어 교육이 새롭게 도약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시점에서 전반적인 실태와 문제점을 되 짚어보고 그 해결책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하다. 현재 지속적으로 해외 한국어 교육기관이 계속 늘어나고 해외 파견 한국어 교사가 계속 증가하는 점을 감안할 때 학습 환경의 차이가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고 국내 환경에서의 한국어 학습 전략과 차별된 학습 전략을 찾아내어 해외 한국어 교육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이 충족된다면 한국어 교육의 발전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물론 여기서 다루는 내용들이 모든 한국어 교육 분야를 포괄한다고는 할 수 없겠으나 하나의 발전적인 방안 제시라는 측면에서 그 의의를 찾고자 한다. 주제어 : KFL, KSL, 외국인 학습자, 초기 문식성, 필리핀, 학습자 오류 In recent years,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oreigners has made a remarkable development. As the global positioning of Korea got higher and due to the increased number of the 2nd-3rd generation overseas Koreans, interest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increasing in Korea as well as in foreign countries. Specially, due to the 'Korean Wave,' a lot of manpower is needed in this field not just in China or Japan, but in Southeast Asia as well. Interes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increased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and this is evident in the siz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 number of Korean language department or lecture offered in major universities in the world is increasing continuously, and Korean language school for overseas Koreans continues to increase as well. Among the nation's major universities, a fair number is operating the Korean language institute, established short training courses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a master's course for Korean education for foreigners, and faculty of several universities founded a department related to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erms of studying language, the learning environment makes a significant influence. Whereas the learners who are studying language in the 2nd language environment can have a command of the language because they have a lot of opportunities to hear and speak the target language, but when learners are studying the target language in a foreign language environment, use of the language is limited and they have difficulties in communicating because of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becoming an object of attention while attracting great interest and problematic matters, but the current situation is that the demand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that poured out in an ill-prepared situation is not fulfilled.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make a fresh leap, it is important to look back on the actual condition in general and problematic matters at this point and to come up with solutions. Considering that the number of overseas Korean language Institute and foreign dispatch of Korean language teachers are continuously increasing, researching on the effect of differences in the learning environment and finding learning strategies of Korean language and differentiated learning strategy in domestic environment to apply in the overseas Korean language education field is satisfied, it would be a great help in educating the Korean language. Contents discussed in this study do not include every Korean language education field, of course, but it is significant in terms of suggesting one developmental method. Keywords : KFL, KSL, foreign learner, beginning literacy, Philippine, learner error

      • 중국대학의 뮤지컬전공 교육시스템 분석

        요람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9663

        이 연구는 두 가지 유형의 중국 대학 뮤지컬전공 교육시스템 - 교육목표, 교수인력, 교육과정, 도서관 시설 -의 비교분석을 통해 뮤지컬전공 교육의 특성 및 문제점을 살펴보고, 나아가서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대학의 뮤지컬전공 교육시스템은 어떠한가? 둘째, 중국 대학의 뮤지컬전공 교육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셋째, 중국 대학의 뮤지컬전공 교육의 개선방안은 무엇인가? 이 연구에서는 중국 대학 뮤지컬전공 교육시스템 분석을 위해 임의적으로 두 가지 유형의 대학, 즉 독립예술전문대학과 종합대학으로 분류하고, 독립예술전문대학에서는 중앙희극학원을, 그리고 종합대학에서는 쓰촨사범대학 무용학원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국대학의 뮤지컬전공 교육시스템의 발전전략 모색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뮤지컬전공 교수들의 전문성을 높여야 한다. 교수임용 규정을 무대공연 경력이나 실기능력 위주로 바꾸어 교수 초빙 시 뮤지컬 공연기법에 관한 미래지향적 교수역량을 갖춘 교수인력을 충원해야만 한다. 둘째, 뮤지컬전공 커리큘럼을 재설정 하여야 한다. 형식적인 수업보다는 뮤지컬 공연에 맞는 맞춤형 수업을 개설하고, 보컬, 연기, 무용수업, XR을 활용한 뮤지컬 공연수업 등 해외 대학교의 선진적인 교수법을 적용해야 한다. 또한, 무대연습, 장면실습, 작품창작 등 실전 위주의 무용수업을 활성화해야 한다. 셋째, 졸업생의 취업률 향상을 위해 시장 수요에 맞는 뮤지컬 세부전공을 개설해야 한다. 뮤지컬산업의 수요를 충족할 수 있는 뮤지컬 연출, 뮤지컬 안무, 뮤지컬 기획 및 홍보, 뮤지컬 마케팅, 뮤지컬 연출, 뮤지컬 작곡, 무대 디자인, 무대조명, 무대 음향효과 등의 다양한 전공을 개설하고, 뮤지컬 공연단과의 유기적인 협동수업을 진행해야 한다. 넷째, 뮤지컬전공의 특성상 학생들의 실기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 충분한 연습시설 및 교육환경 지원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다섯째, 국제교류를 강화해야 한다. 해외 뮤지컬전공 대학교와 자매결연을 통해 교수 인적교류, 학생 해외 연수, 창작작품 교류, 합동공연 등의 예비 뮤지컬배우 양성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observe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atic points of musical theater professional education by comparing and analyzing two types of Chinese university musical theater professional education systems - educational objectives, teaching manpower, educational curriculum, library facilities, etc., and then to explore improvement solutions. The research questions to achieve the above research objective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education system of musical theater majors in Chinese universities? Second, what are the problems of musical theater professional education in Chinese universities? Third, what are the improvement programs of musical theater professional education in Chinese universities? In this study, two types of universitie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types of universities, namely, independent art universities and comprehensive universities, in order to analyze the education system of musical theater majors in Chinese universities, and the Central Academy of Drama of independent art universities and the School of Dance of Sichuan Normal University of comprehensive universities were used as the subjects of the stud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insights are provided for exploring the development strategies of China&s university musical theater professional education system. First, the professionalism of musical theater professors must be improved. Change the rules for hiring professors to be based on stage performance experience or practical skills ability, and when hiring professors,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professorial manpower with future pointing professorial power with musical theater performance skills. Second, the curriculum for musical theater majors should be reset. More than a formal curriculum, we should offer targeted courses that fit musical theater performances, and use advanced teaching methods from overseas universities such as vocal, acting, and dance courses, and musical theater performance courses using XR. In addition, it is important to activate dance courses that focus on practical work such as stage practice, scene practice, and work creation. Third, in order to improve the employment rate of graduates, it is necessary to open detailed majors in musical theater that meet the market demand. It is necessary to offer a variety of majors that can meet the needs of the musical theater industry, such as musical theater directing, musical theater choreography, musical theater planning and promotion, musical theater marketing, musical theater directing, musical theater composing, stage design, stage lighting, stage sound effects, etc., and to teach in organic cooperation with musical theater performance troupes. Four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sical theater program should be characterized by the construction of adequate practice facilities and educational environment support systems capable of developing students& practical skills and abilities. Fifth, international exchange should be strengthened. Through sisterhood relationships with overseas universities specializing in musical theater, we will build a system for the preparation of musical actors through exchange of professors, overseas training of students, exchange of creative works, and joint performances.

      • 가톨릭 유치원의 몬테소리 교육 운영 실태와 교사의 인식

        권오신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의 목적은 몬테소리 교육을 실시하는 가톨릭 유치원의 몬테소리 프로그램 운영 실태와 교사가 교육 현장에서 이론과 실제를 어떻게 활용하고 인식하며 교육하고 있는지를 조사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가톨릭 유치원의 몬테소리 교육 운영 실태와 교사의 몬테소리 교육 관련 교사교육, 집단 및 시간 구성, 교육의 내용, 교육방법, 교육의 문제점 및 방향, 몬테소리 교사 교육은 어떠한가? 배경 변인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가? 2) 가톨릭 몬테소리 유치원 교사의 몬테소리 교육에 대한 인식과 몬테소리 교육의 목적, 특성, 교수방법 및 교사의 역할, 아동관, 교육효과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배경 변인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가톨릭 유치원의 몬테소리 교육 운영 실태와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전국 가톨릭 유치원 중 몬테소리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유치원 70곳에 근무하는 교사 28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몬테소리 교육의 운영 실태와 교사의 인식을 위한 교사용 질문지이다. 사용한 질문지의 항목은 이승연(2000)등의 선행연구의 질문지를 기초로 본 연구자가 고안한 질문지로 교사의 일반적인 배경 8문항, 몬테소리 교육의 운영 실태 29문항, 몬테소리 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30문항으로 구성 하였다. 본 연구자가 시안을 작성 한 후 유아교육전문가(대학교수) 1인과 대학원에서 유아교육을 전공한 몬테소리 교사 양성 연구원 2명에게 내용 타당도를 검증 받고 예비 조사를 거처 최종문항을 확정 하였다. 본 연구의 몬테소리 교육의 운영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빈도,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몬테소리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5점 척도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또한 배경 변인에 따른 차이 분석은 χ2 검증 또는 t(f) 검증, Scheffe 검증을 실시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톨릭 유치원 교사의 몬테소리 교육 수행 후 교사경력은 대부분이 3년, 4-5년 이하였으며, 몬테소리 교사교육 동기는 ‘유치원 필요에 의해서’가 가장 많았다. 교사 교육은 1년 교육과정으로 이론보다는 실제에 더 많은 비중을 두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교사의 재교육은 1년에 1-2회 단기 연수와 AMI, AMS 1년 과정 수료증을 습득하였고 자체 연수는 대부분이 1년에 몇 번 이상 실시하며 단일 연령집단구성으로 9시 등원하여 2시에 하원 하는 시간 연장제로 작업은 하루 일과 중 1시간 정도, 일과 구성은 주제관련 몬테소리 5개 영역과 국가수준 6차 교육과정의 내용을 구성하였다. 유아를 1,2차선으로 나누어 1:1로 제공하고 교실 환경 구성은 5개영역(일상, 감각, 수, 언어, 문화)의 교구로 주제는 계절에 따라 개인차에 맞게 다양하게 활용하며 주, 월 교육계획안을 통해 가정과의 연계하였다. 몬테소리 교육 실시 어려운 점은 유아관찰 기록에 대한 부담감이며 몬테소리 5개 영역 외에 극화, 흥미영역 등 함께 구성 하였다. 둘째, 가톨릭 유치원 교사는 몬테소리 교육에 대해 매우 높게 인식하고 있다. 즉 가톨릭 유치원 교사는 몬테소리 교육의 목적과 특징, 몬테소리 교육의 교수방법과 교사의 역할, 몬테소리 교육의 효과에 대해 매우 높은 인식수준을 보였다.

      • 조선시대의 교육행정과 과학교육

        장관운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의 목적은 유학의 사상을 국가의 이념으로 하여 학교 교육을 중시한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교육기관인 서당(書堂), 서원(書院), 향교(響校), 사부학당(四部學堂, 四學), 성균관(成均館)을 대상하여 개별 교육기관의 연구와 더불어 서로 어떻게 관통하고 있는가를 고찰 하였으며, 조선시대의 과학교육의 시사점을 규명하여 당시의 총체적으로 교육행정과 과학교육의 성격, 교육과정 등을 이해하는데 유익하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또한 오늘날 우리나라의 교육현장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교육과정을 전통에 비추어 정립하는 것에 시사하는 바가 크게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논문의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를 주요 방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되어 주로 문헌연구로 이루어 졌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선시대의 교육을 담당한 최고 교육행정 기관은 예조였으며, 예조에서는 성균관(成均館), 사부(四部)학당 등 직할 학교를 유지 운영하는 일을 관여하였다. 지방에서는 도 관찰사 밑에 육방(六房)의 하나인 예방(禮房)이 있어 교육에 관한 일을 담당하였다. 교육기관은 서당(書堂)·서원(書院)·향교(鄕校)·사학(四學)·성균관(成均館)으로 대표될 수 있다. 이상의 각급 교육기관에서 고찰된 조선시대의 교육기관의 실제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시대의 교육기관의 교육목표 차원에서는 국가가 필요로 하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을 담당하였음이 밝혀졌다. 둘째, 조선시대의 교육기관의 교육내용과 교육방법 차원에서 크게 두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하나는 문자교육과 그 의미를 확장시켜 문장을 서술 할 수 있게 하여 교육하였다. 다른 하나는 학생들의 인성함양을 도모하는 방향으로 전개되었다. 셋째, 조선시대의 교육기관은 관학(官學)과 사학(私學)의 차별성을 인정하고 상호 보완을 강조하였다. 조선시대 과학교육이 현대 과학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홍대용이 일생동안 실천한 ‘의문을 갖고 의문에 대해 끊임없이 연구하는’ 학문적인 자세는 과학교육에서 가장 기본이 되어야할 공부 방법으로 삼아도 좋을 것이다. 둘째, 과학교육에 영향을 미치는 외적인 요인으로 우리의 사회·문화적인 요소를 생각할 수 있다. 셋째, 오개념이 확고한 학생일수록 새로운 개념을 받아들이기 어렵고, 설령 새로운 개념은 알고 있다고 하더라도 실제 문제에 적용하면 많은 오류가 발생하게 된다. 이런 오개념을 극복하는 방법으로 과학사를 수업에 도입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과학이라는 학문이 우리 현대인 생활의 많은 부분에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을 생각하면, 어느 정도 과학교육에 시사하는 점이 많다고 생각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most iconic educational institutes and their ideologies during the Joseon Dynasty regime period, namely Seodang, Seowon, Hyanggyo, Sabu and HYPERLINK "javascript:endicAutoLink('seonggyungwan');" Seonggyungwan, and how these departments were related collaboratively. Investigations were conducted and will be presented in regard with the implications the science education during this period and it is judged to deliver a better picture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 and curriculum flows. In addition, looking at the perspective of our modern education schemes and curriculums, this research study will present the differences in the old days and in the present and the implications between them. It was deemed feasible that literature researches should be applied and therefore, the research study is primarily comprised of literature researches. The results produced are as follows. The most superior education administration agency during the Joseon Dynasty was Yaejo, the Board of the Ceremonies. This Board was in charge of operating and maintaining its subsidiary schools, such as Seonggyungwan and Sabu departments. In the other districts, there were federal governors and Yaebang, one of the Six Ministries of Joseon, under them and were responsible for educational administrations. The educational institutes are mainly represented by Seodang, Seowon, Hyanggyo, Sahak and Seonggyungwan. The respective level of educational institutes during the Joseon Dynasty can be summarised as follows. First of all, it was found out that these educational institutes set its fundamental aim on producing intelligent human resources with proper education standards. Secondly, the education standards as well as the contents that the educational institutes delivered can be summed up into two comprehensive aspects. One aspect tells about the literacy education and in-depth study approach was applied. The other talks about developing and cultivating ethic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Thirdly, these educational institutes stressed on accept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overnment and private schools and their mutual supplementations. The implication the science education in the Joseon Dynasty contributes to the contemporary science education field can be written as follows. Firstly, the positive attitude of ‘having inquisitions and researching into unknowns’ set by Daeyong Hong, one of many scholars during this period, seems very much worth practising in the educational fields. Secondly, the contemporary societal and cultural factors can be thought as the agents influencing the scope of the educational fields. Thirdly, the stronger a student’s level of misconceptions towards certain things, the harder he or she finds difficult to accept new concepts and ideas. Although that student may already be aware of some new conceptions, there are bound to be quite a number of errors occurring when solving actual problems. One solution to tackle this problem could be introducing the history of science into the curriculum guideline. Lastly, thinking of the fact that science as one of many educational subjects brings much impacts onto every aspect of our modern lifestyle, it seems that the science education translates to a myriad of implications we should make ourselves aware of.

      • 한국어 교육에서 문학교육의 방향성 연구 : 중급 학습교재를 중심으로

        이주연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63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교육에서 문학교육이 가지는 가치와 중요성 및 위상과 현황을 연구하고, 이로부터 한국어 문학교육의 발전 방안을 제안하는 데에 있다. 이 연구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 교육에 있어 문학교육은 의사소통 교육의 측면에서 문학텍스트가 일상 언어에 가깝고 학습자의 몰입을 유도하며 문법적 정형성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가치와 중요성을 가지고, 사회?문화 교육의 측면에서는 문학작품이 한국의 문화를 담고 있을 뿐 아니라 한국사회의 변천과정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가치와 중요성을 가진다. 그리고 정서함양 및 가치관 이해교육의 측면에서 작가의 가치관과 철학을 배우고 삶의 지혜와 인생의 지침을 터득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가치와 중요성을 가진다. 둘째, 한국어 문학교육의 현황으로 국내 대학 한국어교원 양성과정과 해외 대학 한국어 관련 학과의 교과목을 조사한 바, 한국어 문학교육의 위상은 아직 높지 않으나 앞으로의 행보는 희망적이다. 셋째, 문학텍스트는 문학교육의 매재(媒材)로서, 언어 학습에 유용한 자료로서, 지식 폭을 넓혀주는 도구로서 그 중요성을 가진다. 한국어 중급 4종 교재의 문학텍스트 수용 양상을 살펴보면 갈래 면에서 수필과 시가, 작품 면에서 김춘수의「꽃」과 정호승의「내가 사랑하는 사람」이, 작가 면에서는 작가 미정의 수필 작품이 최다 수록되어 있다. 넷째, 한국어 중급 4종 교재의 문학교육 활동을 감상적 이해의 측면에서 시?소설?수필 교육 중심으로 분석한 바, 시어?사건?인물 등의 이해와, 작품의 주제 파악, 문학적 상상력의 신장, 학습자의 체험에서 비롯된 텍스트 이해 등의 활동이 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어휘?문법 교육에 연계된 문학교육 활동은 다른 활동에 비해 상호간 연계성이 떨어짐을 알 수 있다. 언어기능 중심 통합의 측면에서는 언어기능을 중심으로 문학교육 효과를 얻는 경우와 문학교육 효과를 중심으로 언어기능 신장을 얻는 경우의 두 가지 양상으로 분석 결과가 도출되고, 정서?문화 교육 측면에서는 정서함양, 교양인으로서의 문화소양 교육, 그리고 한국 고유의 문화 전달이라는 공통된 세 가지 맥락에서 교재들이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섯째, 앞의 분석에서 도출된 결과에 기초하여 한국어 문학교육의 발전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즉 ① 문학텍스트의 선정 기준의 마련, ② 문학텍스트를 활용한 어휘?문법 교수-학습 방안의 개발, ③ 한국 문학을 통한 문화적 문식성 신장, ④ 한국어교원 양성과정의 문학교육 관련 과목의 증설을 제안하는 바이다. 한국어 문학교육은 활용의 폭이 넓어 다양한 측면에서의 교수-학습법 개발이 가능하며, 그만큼 한국어 교육의 훌륭한 한 방법이 될 수 있다. 더 이상 문화교육의 일부만이 아닌 감상적 이해 교육, 어휘?문법교육, 언어기능중심 통합교육, 정서?문화 교육 방안으로서의 한국어 문학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고 개선 및 증진되어야 할 사안을 추출하여, 이로부터 한국어 문학교육의 발전방안을 제시했다는 데에 이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iterature education's values, importance, status and status quo in KSL/KFL education, and to propose a way for developing the literature education in KSL/KFL. The main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KSL education field, the literature education is valuable and important in terms of communication education, society & culture education, emotion cultivation and value views' understanding education. Second, though the literature education's status in KSL is not in high rank yet, but its progress is promising. Third, the literature texts are the mediating instrument for literature education, so they have importances as useful materials for learning any language and as an instrument expanding the width of knowledge. Based on tha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cceptance patterns of literature texts targeting the 4 kinds of middle-level textbooks in KSL/KFL. Fourth, this study analyzed the literature education activities in the 4 kinds of middle-level textbooks in KSL/KFL in terms of appreciation & understanding education, the education connecting to the vocabulary & grammars, the language functions-based integration education, emotion & culture education. Fifth, based on the results drawn from the above analysis, this study proposed the ways to develop the literature education in KSL/KFL as follows. That is, the ways are ① setting the criteria selecting the literature texts, ② developing the vocabulary & grammar teaching-learning ways utilizing the literature texts, ③ enhancing the literary ability via Korean Literature, ④ increasing the subjects relevant to literature education in the KSL/KFL teachers training course. The literature education in KSL/KFL's utilization width is wide, so it is enable to develop more various teaching-learning methods in various aspects, and they may become a good way for KSL/KFL educ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recognized the status quo of literature education in KSL/KFL as various educational ways and drew the issues needing to be improved and promoted, and then proposed some ways to develop the literature education in KSL/KFL.

      • 대학생의 다문화 교육에 관한 인식 연구

        윤태영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on multicultural education of university students and its process, to provide base materials to be used in revitalizing an efficient multicultural education. Subjects were 750 univerty students located in jeollabukdo province. In this statistical analysis, SPSS 12.0 program to conduct frequency analysis, factorial analysis, credibility analysis, x2-test, t-test, one-way ANOVA, and Duncan’s multiple comparis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aper sought to gauge awareness of multiculturalism in order to examine college students’ awareness about multicultural education. Three dimensions of multiculturalism were derived by factor analysis: ability to accept other culture, ability to view different cultures as equals, and ethnic identity. As for their awareness about multiculturalism, it was in the order of ability to accept other culture, followed by ethnic identity, and ability to view different cultures as equals. The group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regard to multiculturalism according to demongnaphic variables. As for the ability to view different cultures as equals, male students had higher awareness. Furthermore, looking at differences in responses among different year levels, students in the upper years had higher awareness of multiculturalism, and they also had higher awareness of ethnic identity about multiculturalism. Looking at differences in responses among different majors, as for the ability to accept other culture and to view different cultures as equals, education students had higher scores; and as for ethnic identity, non-education-major students scored higher. As for the ability to view different cultures as equals, education students had higher awareness; and as for ethnic identity, non-education-major students had higher awareness. Second, based on the college students’ awareness of multiculturalism, the paper classified the necess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to four categories, namely, experience in learning about multiculturalism, opportunity in learning about multiculturalism, understanding o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necessity; the paper analyzed them and examined demographical differences. First, as for experience in learning about multiculturalism, there were slightly more people who have experienced multiculturalism education; and higher scores on experience in learning about multiculturalism were observed in female students, rather than male students, and in education-major students, rather than non-education-major students. Based on this, the paper discovered that college students usually experience multiculturalism education through school or mass media. Most of the students know about multiculturalism education, and their understanding was higher in female than male students, and in education-major students than non-education-major students. The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survey responded that multiculturalism education is necessary. In general, the felt necessity of having multiculturalism education was higher in students in their fourth year than those in their first, second, or third year, and in education-major students than non-education-major students. As for the reasons for needing multiculturalism education, 38.9% responded that we need it for “cultivating global talent who are flexible and open;” as for the reasons for not needing multiculturalism education, 45.0% responded that “emphasizing multiculturalism would only bring about confusion.” Third, the paper classified the college students’ awareness multicultural educational curriculum into educational goal, contents, methodology, subject, problems, and revitalization; and examined demographical differences. As for the educational goal of multiculturalism education, most people responded it to be “to positively experience cultural diversity and commonality.” As for the methodology, the paper found that there were two elements, namely, consolidation form and specific form;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responses given by different genders, but differences were observed among different year levels and majors. In other words, as for teaching multiculturalism education in specific subject area, students in higher year level had higher scores; and as for teaching multiculturalism education in consolidated manner, students in the second, third, and fourth year had higher scores than those in first year. As for teaching multiculturalism education in specific subject area, education-major students were more highly aware of that fact than non-education-major students. Looking at the contents of multiculturalism education, emphasis was given to the equality of different cultures. Multiculturalism education was taught most frequently in Home Economics, Social Studies, History and English with decreasing order of frequency. As for problems with multiculturalism education, most responded them to be “having a preconceptions and stereotypes about certain ethnic groups, race, or their culture;” and as for ways to revitalize multiculturalism education, most responded with “supporting various cultural experience activities in order to resolve cultural bias”, “developing and disseminating multiculturalism education programs for the benefit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striving to change the way we view about multiculturalism education.” Therefore, in order to have more systematic and efficient multiculturalism education, a systematic teacher education training that enhances teachers’ awareness appears necessary. In conclusion, by focusing on university students, the paper looked at the awareness of multiculturalism, the necessity of multiculturalism education, and the awareness of multiculturalism education process. The paper recommends that future studies would focus on developing a yardstick whose validity and reliability are proved, and comparing other variables of multiculturalism education from different angles. Above all, in terms of home education, there must be more systematic studies on school field education and related educational programs in order to revitalize multiculturalism education.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다문화 교육의 필요성과 다문화 교육 과정에 대한 인식을 조사함으로써, 학교 교육에서 효율적인 다문화 교육의 활성화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10년 10월 중에 전라북도에 재학 중인 남녀 대학생 75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질문지는 선행연구를 참고로 하여 작성 하였고, 예비조사를 통해 타당도를 검증 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2.0 Program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χ²-검증, t-test, 일원변량분석과(One-way ANOVA) Duncan의 다중비교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의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먼저 다문화 인지도를 알아보았다. 다문화 인지도 요인분석 결과, 타문화수용성, 문화평등성, 민족정체성의 3요인으로 나타났다. 조사 대상 대학생의 다문화 인지도는 타문화 수용성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민족정체성, 문화평등성 순으로 나타났다. 대학생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다문화 인지도의 차이를 조사한 결과, 남학생이 여학생 보다 문화평등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또한 학년이 높아질수록 민족정체성이 높게 나타났다. 사범계열 학생들이 비사범계열 학생들 보다 문화평등성이 높게 나타난 반면, 비사범계열 학생들은 사범계열 학생들 보다 민족 정체성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들의 다문화 인지도를 바탕으로 다문화 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다문화 교육의 경험, 기회, 이해, 필요로 구분하여 분석하고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았다. 먼저 다문화 교육 경험을 분석한 결과 다문화 교육을 경험한 학생들이 52%로 다소 많았다.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사범계열 학생들이 비사범계열 학생들 보다 다문화 교육경험이 높게 나타났다. 대학생들은 주로 다문화 교육을 학교나 매스컴을 통해서 경험하였다. 다문화 교육에 대해서 대부분의 학생들이 이해하고 있었으며,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사범계열 학생들이 비사범계열 학생들보다 다문화 교육 이해도가 높았다. 대학생들의 다문화 교육이 필요도는 높았으며,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에서 4학년이 1, 2, 3학년보다, 사범계열 전학생들이 비사범계열 학생들 보다 다문화 교육의 필요도가 높았다. 다문화 교육이 필요한 이유로는 ‘국제화 시대에 필요한 융통성과 개방성 있는 유능한 인재양성을 위해’를, 필요하지 않는 이유로는 ‘다양한 문화에 대한 강조는 오히려 혼란만 가져오므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들의 다문화 교육 과정에 대한 인식을 교육 목표, 교육 내용, 교육 방법, 실시교과, 문제점, 활성화로 구분하여 분석하고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았다. 다문화 교육 과정에서의 교육 목표는 ‘문화적인 다양성과 공통성을 긍정적으로 경험한다.’가 가장 높았다. 다문화 교육 방법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통합 형태와 특정 교과 형태의 2요인으로 나타났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에서 4학년이 다른 학년보다 다문화 교육을 통합형태로 실시하는 것에 높은 인식을 보였으며, 다문화 교육을 특정 교과에서 실시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사범계열 학생들보다는 비사범계열 학생들이 높게 인지하고 있었다. 다문화 교육 내용을 보면 다문화 교육내용 중 평등성에 관한 내용을 가장 필요시하였다. 다문화 교육 실시교과를 살펴보면 가정, 사회, 역사, 영어 순으로 나타났다. 다문화 교육의 문제점으로는 ‘특정민족이나 인종, 문화에 대한 편견이나 고정관념’을 가장 높게 들었고, 다문화 교육의 활성화 방안으로 ‘문화적 편견 해소를 위한 다문화체험 활동 지원’, ‘다문화적 배경을 가진 다문화 가정을 위한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인식 전환을 위한 노력’을 가장 높게 인식하였다. 따라서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다문화 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교사들의 인식 제고를 위한 체계적인 교사 교육과 교사 연수가 필요하다고 본다. 결론적으로 다문화 교육을 대학생을 대상으로 다문화 인지도와 다문화 교육에 대한 필요성, 다문화 교육의 과정에 대한 인식을 밝혀 보았으며, 이와 관련하여 앞으로 그 타당성과 신뢰도가 검증된 척도와 다문화 교육의 다른 변인들과의 비교를 다각적으로 연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무엇보다도 가정 교육적 측면에서 다문화 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학교현장교육과 연계 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보다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자기장학 운영 실태 및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김경미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63

        In view of situations and conditions facing the preschool institutions, it seems badly required of teachers to conduct self-directed supervision in which they themselves plan, realize and assess education and teaching for young children based on their own will for self-progress and capability. The present paper is, thus, aimed at finding the facts of self-directed supervision practiced by the teachers involved in preschool teaching and searching for means of supervision that may enable the teachers to promote their teaching skills. For this aim, tasks were set forth for the study as follows: First, to determine what kind of difference there may be in general supervision of education by educational institution, education, educational career and job grade; and Second, to determine what may be the difference in self-directed supervision. by educational institution, education, educational career and job grade. Eighty-seven teachers were randomly selected from among those who worked at the preschool institutions for young children in Iksan city, Jeonbuk province as subjects for this study by organization, education, educational career and job grade. Questionnaires with 15 items were prepared in tune with the aim and contents of this study with assistance of experts and teachers in the educational field and in reference to related literature and preceding studies. As part of statistical processing of the data, SPSS/WIN package program was used to compute such essential descriptive values as frequency (N), percentage (%) and mean value (M) of the data in a try to understand their general tendency. X2 test was performed to fix the difference among groups depending on variants of background. The findings of the study might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consensus was shared amo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cerning the opinion about the general scope of supervision that the concept and major objective of supervision was to improve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he supervision by peers was the type that was most favorably practiced by the teachers in the field of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nd was considered to be the most effective one. Teachers rated themselves in a positive way in terms of their teaching method and technique. Second, teachers tended to perceive self-directed supervision in education as more important as they advanced into higher stage of education, accumulated further educational career and received higher education. They were actually conducting lots of self-directed supervision on the spot. Most other teachers, however, were found to have practiced it never or only once or twice, if any, in the course of their educational career, featuring somewhat of gulf from their perception of self-directed supervision. Attendance at various workshops and training courses was one of the means for their self-directed supervision results of which they usually rated positively. Teachers regarded 2~3 times a year of self-directed supervision as optimum but couldn't follow it mainly because of time shortage. Peer teachers were most favored supporters for self-directed supervision for reasons of trustworthy and horizontally equal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followed by directors or managers of the institutions and experts in the concerned area. It was also revealed that teachers eagerly hoped to be able to participate in every type of training, workshop, seminar and model conducting of class, and to be financially backed up by the organizations they belong to when they have chances to do so. From the findings of the study, following conclusions could be drawn: First, it may be generally stated that the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 and job grade level as well as the longer educational career the teachers working at the preschool institutions have, the higher value they used to place on the concept and needs of both general as well as self-directed supervision of education. The peer supervision turns out to be the kind that is practiced more frequently in the educational field than the self-directed one. The reason is that horizontal, cooperative and trustworthy relationship can be formed and maintained among peer teachers of the equal age during a series of processes for planning, development and assessment of education which is normally performed in an amicable manner. Second, most teachers working at preschool institutions have never or only once or twice done self-directed supervision during their career in the field because their working hours are usually too long and their works are too intensive for them to spare time for their own development and assessment during daily works or weekdays. Consequently, they have no alternative but to attend some training courses or academic presentation meetings that are arranged for just short period of time to access to the data or information they need at most. It is virtually impossible for them to exercise self-directed supervision that may be realized by the channels that require lasting period of time like tape-recording or videotaping one's class for purpose of later analysis, reading books of liberal arts, utilizing newspaper, monthly magazines, broadcasting programs and taking lectures at night classes, open college or graduate school. Since most teachers seriously wish to participate in every type of training, workshop, lecture and model conducting of class avaliable, it is highly recommended for directors or managers of preschool institutes to be prepared to provide teachers with chances to attend such occasions and to assist them by sharing certain amount of attendance or registration fees so that they can promote their professionalism as educators without much heavy burden on themselves.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의 여러 가지 상황과 여건을 통하여 볼 때 교사 자신이 자기발전의 의지와 능력에 기초하여 자신과 유아와의 교수-학습에 대하여 스스로 계획을 세우고, 이를 실천하며, 그 결과에 대하여 평가하는 할 수 있는 자기장학이 절실히 필요하다. 이에 유아교육기관에 종사하는 교사들의 자기장학의 실태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사의 교수활동을 촉진할 수 있는 장학의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일반적인 장학은 교육기관별, 학력별, 교육경력별, 직급별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가를 밝힌다. 둘째, 자기장학의 실태는 교육기관별, 학력별, 교육경력별, 직급별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가를 밝힌다. 본 연구의 조사 대상과 범위는 전라북도 익산시에서 근무하는 유아교육기관의 교사 87명을 대상으로 하여 교육기관별, 학력별, 교육경력별, 직급별로 무선표집하였다. 연구 도구는 조사 도구는 관련문헌이나 선행연구물을 참고하여 연구의 목적과 내용에 맞게 교육현장의 교원 및 전문가의 자문을 받아 제작한 15개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이다. 자료의 통계적 처리는 SPSS/WIN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먼저 빈도(N), 백분율(%), 평균(M) 등의 기본적 기술 통계치를 산출하여 자료의 일반적 경향을 분석한 다음, 배경변인에 따른 집단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X2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인 장학 영역에서는 대체로 장학의 개념과 장학의 주요 목적이 교수-학습방법을 개선하는 데 인식을 같이하고 있었다. 일선 유아교육현장에서 가장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장학의 방법상의 유형은 동료장학이었고, 동료장학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보았으며, 자신의 수업방법과 교수기술에 대해 스스로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고 있었다. 둘째, 자기장학의 실태 영역에서는 자기장학에 대하여 학력, 교육경력, 직급이 높을수록 중요하게 인식하였고, 실제 자기장학을 현장에서 많이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체로 교직생활을 하면서 거의 해보지 않았거나 한두 번 정도 실시한 것으로 나타나 인식과 실제와는 차이가 있었다. 자기장학의 방법으로는 각종 연수나 학술발표회 등에 참석하는 것으로 참석한 후에 긍정적인 평가를 보였다. 연간 자기장학의 횟수로는 2~3회가 적절하다고 보나 실행되지 못하는 가장 주요한 원인으로는 자기장학을 할 수 있는 시간이 없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장학을 위한 조력자로는 수평적, 신뢰적인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동료교사를 선호하였으며, 다음으로 원장과 원감 그리고 해당 전문가 순이었다. 교사들은 각종 연수, 학술발표회, 강연회, 시범수업 공개회에 참석하기를 간절히 원하고 있으며, 그에 대한 일정 부분의 경비를 교육기관에서 지원해주기를 바라고 있었다.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하여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으로 장학에 대해서는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들은 학력과 직급이 높을수록, 교육경력이 많을수록 일반적인 장학의 개념과 필요성에 대하여 높게 평가하였으며, 자기장학에 대해서도 동일한 결과가 나타났다. 아울러 일선 유아교육현장에서 가장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장학유형은 자기장학보다 동료장학이었다. 이것은 동일연령의 교사들을 중심으로 교육계획과 전개 그리고 평가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들이 협의를 통하여 이루어짐으로 동료교사 사이에 수평적이고 협동적, 신뢰적인 관계가 형성·유지되기 때문이다. 둘째, 자기장학에 대해서는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들은 교직생활을 하면서 대부분 자기장학을 한 번도 실시해보지 않았거나 한두 번 정도에 그치게 되는 것은 근무시간이 길고, 근무시간의 업무 집중도가 높기 때문에 일과 또는 주중에 일정한 시간을 할애하여 자기발전과 평가를 위한 시간을 마련하고 있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러기에 자신의 수업을 녹음·녹화하여 분석하기, 교양도서를 읽거나 신문, 월간지, 방송매체와 인터넷 사용하기 그리고 야간 또는 방송통신대학, 대학원 과정을 수강 등과 같이 일정한 시간을 요구하는 자기장학의 방법은 이루어지지 못하고 대부분 일회성으로 각종 연수나 학술발표회에 참석하여 자료와 정보를 얻는데 그치고 있다. 교사들이 각종 연수, 학술발표회, 강연회, 시범수업 공개회에 참석하기를 원하고 있기에 해당 기관의 원장과 원감은 교사들이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주고, 필요에 따라 참가비와 등록비의 일정 부분 지원해줌으로써 교사들의 전문성이 신장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중국 사범대학 미술교육 실습 현황 및 문제점 개선 방안 연구

        백로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과제의 연구목적은 중국 사범대학교 미술교육 실습의 현황, 문제점 및 서 언급한 연구를 근거로, 중국 사법대 학교 미술교육 실습의 문제를 개선하는 개혁 방안을 제기하고자 한다. 방문, 관찰 등 조사 방법을 이용하여 실습의 모드, 사범대학생의 전체적인 소질, 미술교육 실습에 대한 지도 등 실습의 현황 및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는 대안을 제기하였다. 1. 연속, 다단계의 실습 방식으로 실습의 시간을 증가하고, 새로운 견습 방식‐“미술교육 체험”을 실행하며, 실습을 평가하는 방식을 개혁하고, 새로운 안정적인 실습기지를 건립한다. 2. 사법대학생의 관념과 학습방식을 변화시키고, 사범대학교 면에서 교육 실습의 목적을 변화하며,사범대학생의 교육 이념을 다시 부각하고 그들의 직업신앙을 양성하며, 사범대학생의 교육, 수업 능력의 양성을 강화하고, 진일보로 사범대학교 미술 교육의 교육 과정을 개혁해야 한다. 3. 실습 지도 교사는 “평생 학습할 수 있는 연구형(研究型) 지도 교사”로 되겠다는 정확한 이념을 세워야 한다. 실습 지도 교사는 정확한 지도 원칙을 준수해야 하고, 실천 속에서 미술 실습을 지도하는 능력을 높여야 하며 사범대학교에서는 적극적으로 나서서 대책을 연구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e thesis is to verify the educational practice and the beginning and also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actice of fine arts of our country. It Investigates and analyzes the current situation, the problems in it also the cause of them. Based on the above‐mentioned study, the thesis put forward the reform plan, which aims at solving the problems that exist in our educational practice of the normal schools. Through questionnaire, investigation and observation, the writer analyzed the pattern of the educational practice, general faculty of the students in normal schools,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the instructing fine arts educational practice, the writer put forward solutions to these problems. First, adopting success ional, step by step method to increase the practice time. Using new practice method i.e. experience of fine arts educational practice. Constituting fine arts educational manual in detail. Second, change the idea and studying method of normal school students. As for the normal schools, they should transit the aim of educational practice, put emphasis on the remodel of the educational idea and cultivation of professional belief of normal school students. Third, the supervisor should form a correct concept of being a lifelong learning research supervisor. They should follow correct guidance rule. Enhance instructing ability via practice. Normal universities should take active action, and work out the solu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