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 돌봄효능감 및 사회적 지지가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박재우 가야대학교 보건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07

        This study focused a descriptive survey research design to examine the level of emotional intelligence, caring efficacy, social support and clinical competency among nursing students an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ir clinical competency, thus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ment of teaching program to improve the clinical performance of the nursing students. The study was conducted among 3rd and 4th grade of 257 nursing college student, who experienced clinical practice from four universities located in cities B and G.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during 5th March to 10th June 2020 and analysed with the SPSS/WIN 23.0 statistical program Descriptive statistics used to obtain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fo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nursing students and mean and standard deviation for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Caring efficacy and Social Support and clinical competency. The t-test and ANOVA were performed to analyze differences in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Caring efficacy and Social Support and clinical competency with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level of differences tested with Scheffe’s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acalculated to find the relationship among nursing students' empathy, emotional Intelligence, Caring efficacy and Social Support and clinical competency. Finally,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of clinical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The finding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average mean scores of emotional Intelligence was 5.19±0.77, the mean score of Caring efficacy was 4.24±0.63, Social Support mean score was 4.13±0.57 and the mean score was 3.77±0.51 regarding clinical competency of the nursing students. 2) The results of differences in the clinical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according to the nursing students' general characteristics: The difference in clinical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academic achievement (F=3.96, p=.020), religion (F=3.48, p=.032), major satisfaction (F=9.76, p=.032).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linical satisfaction (F=6.73, p =.001). 3)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r=.46 p<.001), also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and caring efficacy including clinical performance (r=.52 p<.001). In addition,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bility and social support (r=.52 p<.001).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aring efficacy and emotional intelligence (r=.46 p<.001). In addition,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emotional intelligence (r=.47 p<.001), with social support and caring efficacy (r=.53 p<.001). In other words, the higher level the emotional intelligence, caring efficacy, and social support lead higher level of the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4) Nursing students clinical competency was under the influence of caring efficacy (β=.27, p<.001), social support (β=.26, p<.001), and emotional intelligence (β=.19, p<.001), religion (β=.12, p= .013) and major satisfaction (β=.12, p= .015). Whereas, in the domain of clinical competency with nursing students combined explanatory power recording was 39.3%(F=34.09, p<.001). In other words, the high level of caring efficacy, social support, and emotional intelligence, the higher the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religious and the degree of clinical satisfaction. This increased demands of the above results, there is a need to consider selected variables i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in order to improve the clinic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Therefore, the effective clinical practice training programs need to be develop and implement to improve the clinical competency of the nursing students. However, the Inter institutional relationships to be establish between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hospitals to improve practical experiences and achieve clinical competency. also, this study suggests to expand the research subjects and conduct regional level Key Wards: Nursing Students, Emotional Intelligence, Caring Efficacy, Social Support, Clinical Competency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 돌봄효능감 및 사회적 지지가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변수 간의 관련성과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임상수행능력 증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 되었다. 자료수집기간은 2020년 3월 5일부터 2020년 6월 10일까지이며, 자료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이루어졌다. 연구대상자는 B시와 G시에 소재한 4개 대학교의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학과 3, 4학년 257명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로 분석하였고, 감성지능, 돌봄효능감, 사회적 지지 및 임상수행능력 정도는 최소값, 최대값,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상수행능력 차이는 t-test와 ANOVA, t-test, one-way ANOVA로 분석하고 사후검정은 Scheffé test로 분석하였다. 감성지능, 돌봄효능감, 사회적 지지 및 임상수행능력간의 관계는 피어슨의 적률상관계수(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단계적 다중회귀분석(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대상자의 감성지능은 평균이 5.19±0.77점 이었고, 돌봄효능감은 평균이 4.24±0.63점 이었다. 사회적 지지는 평균이 4.13±0.57점 이었으며, 임상수행능력은 평균이 3.77±0.51점 이었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상수행능력의 차이는 학업성적(F=3.96, p=.020), 종교(F=3.48, p=.032), 전공만족도(F=9.76, p=.032), 임상만족도(F=6.73,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임상수행능력과 감성지능(r=.46, p<.001)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임상수행능력과 돌봄효능감(r=.52, p<.001)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임상수행능력과 사회적 지지(r=.52, p<.001)와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돌봄효능감과 감성지능(r=.46, p<.001)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사회적 지지와 감성지능(r=.47, p<.001)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사회적 지지와 돌봄효능감(r=.53, p<.001)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즉, 감성지능, 돌봄효능감,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임상수행능력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4.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돌봄 효능감(β=.27, p<.001), 사회적 지지(β=.26, p<.001), 감성지능(β=.19, p<.001), 종교(β=.12, p=.013), 전공만족도(β=.12, p=.015)이었다. 이들 변수의 전체 설명력은 39.3%이었다. 이를 통해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 돌봄효능감,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임상수행능력이 높았으며,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돌봄효능감, 사회적 지지, 감성지능, 종교, 전공만족도임을 확인되었다. 따라서 간호 학생의 임상수행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본연구 결과의 변수를 고려해야 할 것을 제기하며, 효과적인 임상 실습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병원의 교육 기관 또는 실무 분야 간의 밀접한 관계를 통해 임상수행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연구대상자와 지역범위를 확대하여 연구할 필요성이 있을 것이다.

      • 경동맥내중막두께의 영향 인자 분석

        안난희 가야대학교 보건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07

        경동맥내중막두께의 영향 인자 분석 안난희 (지도교수: 김현진, Ph.D.) 방사선학(초음파)전공, 가야대학교 보건대학원 본 연구는 2022년 5월부터 2023년 2월까지 부산 지역 일개 의료 기관을 내원한 환자들 중 경동맥 초음파 검사와 혈액검사를 모두 시행한 235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목적은 경동맥 초음파를 통해 경동맥내중막두께와 혈류속도를 측정하고 대 상자들의 BMI 및 대사증후군 영향 인자들을 분석하여 경동맥내중 막두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경동맥내중막두 께와 BMI의 상관관계분석 결과 p=0.004로 나타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밖에 연령(p=0.009), 공복혈당(p=0.026), 음주 (p=0.006) 등이 경동맥내중막두께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 경동맥내중막두께의 증가는 심뇌혈관질환으로 이벤트의 증가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경동맥내중막두께를 증가시키는 요인들을 배제 시키려는 노력이 반드시 필요하며 또한 다양한 예측 방법의 연구와 정기적인 검진을 통한 심혈관질환을 예방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 하다. Key words: 경동맥내중막두께, BMI, 연령, 공복혈당, 음주

      • 교회사회복지의 실태와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윤영한 가야대학교 행정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07

        <Abstract> The churches in Korea played a leading role in social service during the early mission work and the Japanese rule period. Their service included medical business, education, relief, technology, campaign against female discrimination, and rural enlightenment. The target was not just the poor and the alienated, but the whole nation. After the Liberation and the Korean War, social service was mostly held for orphans, refugees, war victims, widows and so on in the orphanages and old people's homes. Through the modernization and the IMF loan crisis, Korean churches have been divided into progressive and conservative camps and neglected the area of social welfare. As a result, though Protestantism still takes up much of social welfare, compared with other religions, it is also socially criticized.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philosophy of social welfare expressed in the Bible, reveal the reality of church's social welfare, and suggest activation proposals. The following are the proposals: 1. Heightened consciousness of priests and Christians. For the practice of church's social welfare, what matters is the consciousness of those who compose a church. That of a priest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practice of church's social welfare. Therefore, social welfare-related subjects may well be opened in theological colleges and theological graduate schools, and students should be given more opportunities to visit in person and serve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and their related organizations. 2. The use of well-organized and systematic manpower. There is high-class manpower in every church, working in various walks of life and knowing the situation of their community clearly and thoroughly. These people must be utilized to help solve community problems effectively and efficiently. 3. Sufficient financial resources through donations and profit businesses. Although each church knows the importance of working for the community it belongs to, financial difficulty keeps it from vivid activities. In order to make sufficient financial resources, voluntary donations of relief and social welfare need to be taken. Fees of social service should be individually arranged out of the budget. Various kinds of profit businesses can also be potential financial resources. 4. The opening of church buildings and annexes to the public. Besides service hours and event days, church buildings and their annexes need to be opened for any activities of community citizens. Ordinary opening is necessary of the main hall, the education center, the general culture hall, the cafeteria, the parking lot, and the mission school. 5. The development of creative programs. Churches have managed the same programs for a long time. But contemporary society has witnessed lots of changes and complicated problems. In step with these rapid changes, churches have to provide practical and useful programs to the regional society. They have to act as program developers to practice proper social welfare and wisely deal with cultural changes including single moms, the homeless, juvenile family heads, domicile violence, sexual violence, divorce, and multiple cultures. 6. Close network with the regional community. Churches need to compose a social welfare committee and make a close complementary network with the region's social welfare associations, concerned organizations, hospitals, and legal profession. This church-community network will help clients receive professional benefits continuously. 7. Nationwide support system through the order. The religious order should be united to open social welfare-related courses in theological universities. Each order should open the section of social service in the general session or the elders' session. Including the order which already runs the social service section, all churches should be of service to social welfare. <국문초록> 한국교회는 선교초기와 일제 강점기시대에 걸쳐 사회봉사 분야에 주도적인 역할을 감당해 왔다. 의료사업, 각종 교육사업, 구제사업, 기술사업, 여성에 대한 차별과 처우개선을 위한 운동, 농촌계몽사업 등을 통하여 가난하고 소외된 계층뿐만 아니라 전 국민을 대상으로 사회복지실천을 이끌어 왔다. 해방 후와 6·25 전쟁 후 사회사업은 고아 구제사업, 전후 난민, 전재민, 전상자, 미망인, 전쟁고아, 노인 등을 대상으로 한 수용보호가 주를 이루어 고아원, 모자원, 양로원 등이 대표적이었다. 그러나 근대화와 IMF를 거쳐 한국교회는 진보와 보수진영의 종교이념으로 인한 분리와 재정적인 어려움을 호소하며 사회복지 분야를 소홀히 여기게 되었다. 그리하여 단회적인 사회복지 부분에 개신교가 타 종교에 비해 많은 부분을 감당하고 있지만 사회로부터 지탄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교회의 성경적인 사회복지사상을 성경을 통해 고찰하고, 이를 근거로 교회사회복지의 실태를 알아보고, 교회의 사회복지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교회의 사회복지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목회자와 성도들의 의식고취이다. 교회의 사회복지 실천을 위해서는 교회 구성원들인 목회자와 성도들의 의식이 매우 중요하다. 그 중에서도 목회자의 의식이 교회의 사회복지 실천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다. 따라서 신학교와 신학대학원에서 사회복지 관련 과목을 개설하고 지역사회복지에 적극적이고 실질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서 사회복지시설이나 관련기관을 직접탐방하고 봉사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해 주어야 한다. 둘째,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인적자원의 활용이다. 교회에는 각계각층에서 일하고 있는 고급 인력들이 있고, 그들이 있는 지역의 상황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으므로 이들을 최대한 활용하여 지역사회의 문제들을 해결하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셋째, 각종 헌금, 수익사업 등을 통한 재정자원의 충분한 확보이다. 교회는 지역사회를 위해서 일해야 함을 알고 있으나 많은 교회들이 재정적인 어려움을 하소연하면서 쉽게 실천을 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사회복지실천을 위한 재원 마련을 위하여 자발적인 구제헌금이나 사회복지헌금을 받고 교회예산 중에서 사회봉사비를 별도로 편성하며 각종 수익사업을 통하여 충분한 재원확보를 하여야 한다. 넷째, 교회건물이나 부대시설자원의 개방이다. 예배나 교회 행사를 하는 시간 외에 지역주민들의 활동장소로 교회의 건물이나 부속시설을 개방할 필요가 있다. 교회는 지역주민들을 위해 본당, 교육관, 수양관, 식당, 주차장, 선교원 등을 상시적으로 개방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실현가능한 독창적인 프로그램의 개발이다. 교회는 이때까지 진행되어 오던 프로그램을 아무런 여과 없이 동일하게 진행해 왔다. 그러나 현대사회는 많은 변화와 더불어 복잡한 문제를 생산하고 있다. 교회는 이런 변화에 맞추어 지역사회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프로그램의 개선이 시급하다. 교회는 미혼모, 노숙자, 소년소녀 가장, 가정폭력, 성폭력, 이혼문제, 다문화 가족 등의 복잡한 문화의 변화에 적절한 사회복지 실천을 위해 프로그램의 개발자로서의 역할을 감당해야 한다. 여섯째, 지역사회와의 긴밀한 네트워크구축이다. 교회는 사회복지 위원회를 구성하여 지역사회복지협의회, 사회복지기관, 의료기관, 법조계 등의 지역사회 자원들과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상호보완적인 역할을 해야 할 것이다. 교회와 지역사회와의 네트워크 구축은 클라이언트로 하여금 보다 지속적이고 전문적인 혜택을 받도록 하게 한다. 일곱째, 교단차원의 전국적인 지원 시스템 구축이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목회자와 성도들의 의식변화 일환으로 신학교와 신학대학원에서 사회복지 관련 과목을 개설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교단차원에서 앞장서지 않으면 이루기 힘든 부분이다. 각 교단은 총회나 노회에 사회봉사부를 신설하여, 이미 사회봉사부가 있는 교단은 이를 더욱 활성화하여 개교회를 통한 지역사회복지를 실천하도록 도움을 주어야 할 것이다.

      • 대학생의 인성수준과 대인관계능력과의 관계에서 분노조절의 매개효과

        신명수 가야대학교 행정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07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eek for an alternative that can improve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apability of the university student by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the anger contro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sonality level and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apability of the university student. For the measurement of the personality level, the scale for the use with the university students that had been developed by Kim, Seon-joo(2017) based on the core value virtue in the Personality Education Promotion Act had been used. Regarding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apability, the tool that had been developed by Waner(2007), which had been adapted by PSI Consulting in Korea, which, then had been revised by Chung, Tae-yeong(2011) had been used. Regarding the anger control, from the scale(STAXI-K) that had been developed by Chun, Gyeong-goo et al.(1997) as the Korean version based on the condition-characteristic anger expression scale that had been developed by Spielberger, Krasner, and Solomon(1988), the 8 questions that pertain to the anger-control had been used. Regarding the analysis of the data, by using the SPSS 22.0 statistical program, the reliability analysis, the frequency analysis, the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the t-test and the ANOVA,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regression analysis that is based on the mediation model of Baron and Kenny (1986) had been carried out. If I were to summariz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firstly, the averages of the personality level and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apability of the university student was 3.98 points and 3.81 points, respectively, based on the full score of 5 points. And the average of the anger control was 3.02 points based on the full score of 4 points. Second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personality level,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apability, and the anger control of the university student, it was possible to know that most of the correlations between each variable were the significant correlations on the level of p<0.001. Thirdly, the personality level of the university student had given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apability(p<0.001). Or, in other words, it appeared that, the higher the personality level(β=.623), the higher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apability got. And the explanatory power(adjR2) was 38.6%. Fourth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es of the sub-factors of the personality level o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apability, it appeared that, the higher the communication(β=.124), thoughtfulness(β=.290), cooperation(β=.138) and responsibility(β=.349), the higher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apability got.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45.8%. Fifth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e of the personality level on the anger control, it appeared that, the higher the personality level(β=.527), the higher the anger control got.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27.5%. It appeared that, among sub-factors of the personality level, the higher the honest(β=.176), communication(β=.222), and responsibility(β=.195), the higher the anger control got. Sixth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e of the anger control on the interpersonal relation ship capability, it appeared that, the higher the anger adjustment (β=.415), the higher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apability got.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16.9%. Seventh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ntire personality level of the university student and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apability, the partially mediating effect of the anger control was confirmed. And, in a Sobel-tes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confirmed. Eight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the anger contro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factors of the personality level and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apability, it appeared that, among the sub-factors, the communication and the responsibility had the partially mediating effects. And, in a Sobel-tes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confirmed. If I were to propose a few thing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hey are as the following. Firstly, for the improvement of the personality level of the university student, by generally considering the contents, including the identity, the communication capability, the sympathizing and solidarity capabilities, the community awareness, etc., the development of a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must be pushed ahead. Secondly, for the improvement of the anger control capability of the university student, an anger control program that integrally carries out the self-awareness regarding an anger situation, the cognitive bias, the misinterpretation self-awareness, the execution and practise of a positive alternative, etc. on the level of the university must be invigorated. Also, there is a need to aggressively push ahead with the conversation skills, the sympathization training, the emotional expression, the listening closely, the argument training, etc. through a social skills promotion program. Lastly, regarding this research, it has the meaning with regard to the point that, by confirming the mediating effect of the anger contro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sonality level and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apability of the university student, an educational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the personality level had been developed and a basic material with regard to the preparation of a practical intervention plan for the control of the anger emotion had been provided. <국문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인성수준과 대인관계능력과의 관계에서 분노조절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인성수준의 측정은 김선주(2017)가 인성교육 진흥법의 핵심가치덕목에 근거하여 개발한 대학생용 척도를 사용하였다. 대인관계능력은 Waner(2007)가 개발하고 국내의 PSI컨설팅이 번안한 도구를 정태영(2011)이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분노조절은 Spielberger, Krasner와 Solomon(1988)가 개발한 상태-특성 분노표현척도에 기초하여 전겸구 외(1997)가 한국판으로 개발한 척도(STAXI-K) 중 분노조절(anger-control)에 해당하는 8문항을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신뢰도 분석과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석, t-검정과 ANOVA, 상관관계 분석, Baron과 Kenny(1986)의 매개모델에 근거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대학생의 인성수준과 대인관계능력의 평균은 5점 만점기준으로 각각 3.98점과 3.81점이었으며, 분노조절의 평균은 4점 만점기준으로 3.02점이었다. 둘째, 대학생의 인성수준과 대인관계능력, 분노조절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각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는 대부분 p<.001 수준에서 유의한 상관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대학생의 인성수준은 대인관계능력(p<.001)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즉 인성수준이 높을수록(β=.623) 대인관계능력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adjR2)은 38.6%이었다. 또, 인성수준의 하위요인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소통(β=.124), 배려(β=.290), 협동(β=.138) 그리고 책임(β=.349)이 높을수록 대인관계능력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45.8%이었다. 넷째, 인성수준이 분노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인성수준이 높을수록(β=.527) 분노조절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27.5%이었다. 인성수준의 하위요인 중에는 정직(β=.176), 소통(β=.222), 책임(β=.195)이 높을수록 분노조절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분노조절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분노조절이 높을수록(β=.415) 대인관계능력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16.9%이었다. 여섯째, 대학생의 인성수준 전체와 대인관계능력과의 관계에서 분노조절의 부분매개효과를 확인하였으며, Sobel-test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확인되었다. 일곱째, 인성수준 하위요인과 대인관계능력과의 관계에서 분노조절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하위요인 중 소통과 책임이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Sobel-test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인성수준 향상을 위해 정체성, 의사소통능력, 공감·연대능력, 공동체의식 등의 내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인성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추진해 나가야 한다. 둘째, 대학생의 분노조절능력 향상을 위해 대학차원에서 분노상황에 대한 자각, 인지적 편향과 오해석 자각, 긍정적 대안의 실행과 연습 등을 통합적으로 실시하는 분노조절 프로그램을 활성화해야 한다. 또한 사회적 기술 증진 프로그램을 통해 대화기술과 공감훈련, 감정표현, 경청하기, 주장훈련 등을 적극 추진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대학생의 인성수준과 대인관계능력과의 관계에서 분노조절의 매개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인성수준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분노감정 조절을 위한 실천적 개입 방안을 마련하는데 있어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 미술치료프로그램이 시설아동의 애착불안심리 완화에 미치는 영향 : 점토흙을 중심으로

        정은희 가야대학교 행정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07

        정보화, 세계화, 국제화 시대를 맞이하여 교육 참여가 많아지고 그로 이한 여성이 사회 참여 할 기회가 많아지면서 아동의 양육이 부모보다는 조부모, 타인, 복지시설 및 다양한 기관에서 위탁형태로 키워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양육의 형태는 아동들로 하여금 영유아기 때부터 애착형성에 어려움을 있게 하며 그로 인하여, 내재된 불안과 긴장에 의한 타인과 신뢰를 형성하지 못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영유아들이 심리적으로 불안하면 애착과정이 어렵고 이러한 불안 심리는 인지발달과 정서발달, 학습 습득의 어려움은 물론 아동의 성장과정에 적지 않은 영향 미칠 수 있다. 애착 불안심리을 경험한 아동은 가치관 혼란과 심각한 정서적 충격을 경험하게 된다. 최근 타인의 의견이나 감정을 존중하는 태도를 기르고 자신의 부정적인 감정을 해소할 수 있는 하나의 매체로 점토흙에 관심을 집중하고 있다(권성희, 2007). 최근 우리사회에서 나타나는 사회참여여성이 계속증가 하고 있고, 이로 인한 시설에 위탁되어 양육되는 경우가 많아지며 따라서 애착불안심리 아동수가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시설아동의 사회생활에서 겪을 수 있는 어려움에 대처할 수 있도록 시설아동의 생활적응에 관심을 갖고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시설아동의 경우 여러 가지 어려움으로 인해 생활부적응에 대한 우려의 인식이 증가하고 있는 시점에서 점토흙 중심의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통하여 시설아동의 심리적 안정을 찾는데 도움이 되고 생활적응 향상에 그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대상은 경상남도에 소재한 사회복지 시설에서 애착불안 아동을 무작위 선정하여 실시하였고 실험집단 7명, 통제집단 7명을 대상으로 구분하여 진행되었다. 실험집단 통제집단 모두에게 사전검사로 K-HTP(동적-집, 사람, 나무)그림검사 실시하였고 실험 집단은 주 매 1회 소요시간은 40분 이내로 총 10회기를 진행하였다. 점토흙 중심의 미술치료프로그램이 끝난 후 사후 검사로 두 집단 모두에게 사전검사와 동일한 척도로 K-HTP(동적-집, 사람, 나무)그림검사를 실시하였다. K-HTP(동적-집, 사람, 나무)그림검사를 사전·사후로 실시하여 비교 분석하였고, 점토흙 중심의 미술치료프로그램 진행과정에서 나타나는 태도 및 행동변화, 반응, 심리변화 등을 관찰 기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점토흙 중심의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시설 아동의 애착불안 아동들의 심리치유에 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점토흙 중심의 미술치료프로그램 이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아동들의 사전. 사후검사의 질적 분석에서 실험집단의 자아상이 커지고, 표현이 늘었으며, 또래관계의 역동성에서 큰 변화를 볼 수 있었다. 이는 시설 아동이 점토흙 중심의 미술치료프로그램이 또래의 관심과 인정을 받음으로써 자신감이 생기고, 또래관계에 적응하면서 대안관계를 향상시키고, 상호작용하는 기회를 증가시켜 사회성 발달에 도움이 되었다. 둘째, 점토흙 중심의 미술치료프로그램이 시설 아동의 애착불안 아동의 심리적 안정을 찾는데 변화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검사에서 점토흙 중심의 미술치료 프로그램 실시 전 위축되고 자신감 없으며 다른 사람에게 신경을 쓰는 것을 보였으나, 점토흙 중심의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진행됨에 다라 긴장과 불안이 해소되고 심리적 안정을 통하여 자신감을 가지게 되었다. 점토흙 중심의 미술치료프로그램이 진행됨에 따라 긴장과 불안이 해소되고 심리적 안정을 통하여 자신감을 가지게 되고, 나아가 자존감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시설 아동의 애착불안심리 아동에게 점토흙 중심의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점토흙이란 매체를 통해 비언어적 방법으로 표현하게 되고 구체적 형상물을 가지고 서로를 이해하고 공감하며 인정해주어 인정받음으로 자신감이 생기고 불안심리가 해소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점토흙 중심의 미술치료프로그램이 시설 아동의 애착불안심리 아동에게 미치는 효과를 위한 질적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K-HTP(동적-집, 사람, 나무)그림검사를 실시하였다. 한국미술치료학회(1998)는 인물상의 행위, 그림의 양식, 상징, 역동성 등을 기준으로 해석함으로써 정서적 변화를 평가 하였다. 본 연구자는 K-HTP (동적-집, 사람, 나무) 그림검사에 나타나는 반응과 대상자의 행동 관찰을 해석함에 있어 주관성이 개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미술치료 자격증을 소지한 전문가며 학력은 대학원 석사과정 이수중이며, 상담심리 및 미술치료 경력이 6년이 되는 전문가와, K-HTP(동적-집, 사람, 나무) 그림검사는 대학원생 2명에 의해서 이루어졌다. 이런 전문가가 평가한 결과 실험집단 참가자 7명 모두 애착불안심리에 긍정적 변화가 있었다고 평가 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서 점토흙 중심의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시설 아동의 애착불안심리 아동들의 심리적인 안정감을 찾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점토흙 중심의 미술치료 프

      • 대학생의 감각처리 유형이 대인관계문제와 성인애착에 미치는 영향

        윤수정 가야대학교 보건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07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감각처리 유형과 대인관계문제 및 성인애착의 정도를 알아보고, 이들의 상관성과 감각처리 유형이 대인관계문제와 성인애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의 대상자는 부산과 경남 지역의 B대, D대, K대에 재학 중인 대학생 중 평가도구에 대한 사전지식이 없는 169명이었다. 연구 도구로 감각처리 유형은 청소년/성인 감각프로파일을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대인관계문제는 한국판 대인관계문제검사 원형척도의 단축형을, 성인애착은 친밀관계경험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료 수집기간은 2014년 12월 1일부터 2015년 1월 31일까지였고, 자료처리는 빈도분석, 기술 통계, 피어슨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감각처리 유형과 대인관계문제 및 성인애착 정도를 알아본 결과 감각처리 유형은 등록저하, 감각예민, 감각회피가 일반인과 유사함으로 나타났으며, 감각예민은 일반인보다 덜함으로 나타났다. 대인관계문제에서는 자기희생이 가장 어려움이 많은 문제로, 자기중심성이 가장 어려움이 적은 문제로 나타났으며, 성인애착에서는 애착불안이 애착회피보다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감각처리 유형과 대인관계문제 및 성인애착과의 상관성을 알아본 결과 등록저하와 감각예민 영역은 대인관계문제의 모든 척도와 양의 상관성이 있었다. 감각처리 유형과 성인애착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감각처리 유형의 모든 영역이 성인애착과 양의 상관성을 보였고, 감각찾기와 감각회피 유형은 애착불안보다 애착회피와 상관성이 더 있었다. 셋째, 대학생의 감각처리 유형이 대인관계문제와 성인애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통제지배가 24.8%로, 자기중심성이 28.0%로, 냉담이 20.1%로 설명되었다. 또 사회적 억제가 13.6%로, 비주장성이 22.2%로, 과순응성이 18.0%로, 자기희생이 13.9%로, 과관여가 20.2%로 설명되었다. 성인애착에 대한 설명력은 애착불안이 4.40%로, 애착회피가 1.20%로 설명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대학생의 감각처리 유형은 대인관계문제와 성인애착에 영향을 미치며 작업치료 임상에서는 조기에 대학생의 감각처리 유형에 대해 파악하고 감각처리에 대한 치료접근을 더 중요시 한다면 대인관계문제와 성인애착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 본다.

      • 성인학습자의수업참여도와 사회적지지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영향

        김묘진 가야대학교 행정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07

        본 연구는 성인학습자의 수업참여도와 사회적지지가 대학생활적 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대상은 부산지역 3개의 대학교에 다니고 있는 만 30세 이상의 성인학습자이고, 설문 조사는 대상자들이 다니고 있는 부산지역 대학교에 직접 방문하여 설문지를 배포한 후 취합한 것을 회수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총 311부의 설문지 중 불성실한 응답 자료 18부를 제외한 293부가 최 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학습자의 수업참여도 평균은 3.79점으로 나타났고, 사회적지지의 평균은 4.11점, 대학생활적응의 평균은 3.91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인학습자의 수업참여도, 사회적지지, 대학생활적응의 상관 관계를 분석한 결과, 수업참여도의 하위요인인 수업준비하기와 대학 생활적응의 하위요인인 사회체험(p>.05)을 제외한 각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가 p<.05, p<.01 수준에서 유의한 상관이 있음을 알 수 있 다. 셋째, 수업참여도 전체(p<.001)는 대학생활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참여도 하위요인 중 수업활동하기 (p<.01), 의사표현하기(p<.001), 수업확장하기(p<.01), 수업열정 (p<.001)은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수업준비하기는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 났다. 넷째, 사회적지지 전체(p<.001)는 대학생활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지지 하위요인 중 친구지지(p<.01), 특 별한 사람 지지(p<.001)가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다. 반면, 가족지지는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 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였다. 첫째, 성인학습자의 대학생활적응을 높이기 위해서는 수업참여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성인학습자들의 수업참여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역량 향상과 더불어 대학의 학습주인공이 될 수 있도록 학습동기부여과 성인학습자 융합프로그램을 운영할 필요가 있다. 그 리고 성인학습자 스스로도 수업참여도를 높이기 위해 자신의 대학 생활을 기록해보는 슬기로운 성인학습자 되기 대학생활 기록 프로 젝트를 통해 자기반성적 학습을 유도하고, 성인학습자들을 대학생활 의 새로운 도전기에 적극 참여하고자 하는 자세를 가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둘째, 성인학습자의 대학생활적응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회적지지를 높일 필요가 있다. 성인학습자가 여유와 쉼을 얻고, 스스로 마인드 컨트롤 할 수 있는 내면의 힘을 가지게 해주는 성인학습자를 위한 마인드셋 교육과 일반학생, 선배, 후배 협동수업으로 멘토링 프로그 램을 운용하여 성인학습자에게 자신의 경험과 지식을 서로 공유하 고 멘토링을 함께 한 사람들과 함께 성장하고 발전함으로써 여러 학생들과도 소통하며 대인관계를 증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야 한다. 또한 학생지원센터에서는 성인학습자를 위한 맞춤형 프로 그램을 지속적으로 운영하며,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성인학습자의 마음 건강 챙김은 물론 수업참여도를 높이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 해야 할 것이다.

      • 대학생의 인간관계적 요인과 보상적 요인이 자원봉사활동의 참여동기와 지속의지에 미치는 영향

        안유진 가야대학교 행정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07

        This research was conducted in order to study the influence of the university student's human relation and volunteering reward on the motives and sustainability of volunteer activities. As for a research method,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300 students attending 1-4 year diploma course in Kimhae si, 287 of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analysis used the survey and do that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2. The result of this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university student's human relation, what students regard as important was relationship with fellow volunteers. And about reward of volunteering, monetary compensation was found to be more prefer than non-monetary compensation. And the motives and sustainability of volunteer activities were 3.09 points on a five-point scale on average. Second, found that there was no strong correlation betwee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motives & sustainability of volunteer activities. Especially, sex and religion were irrelevant, grade and major were relevant. Third, regarding correlation of university student's human relation, reward of volunteering, motives and sustainability of volunteer activities, found that there was a strong overall correlation between each factors. Fourth, the university student's human relation and volunteering reward facto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motives of volunteer activities. Fifth, the university student's human relation facto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ustainability of volunteer activities. However, volunteering reward factors did not. Based on such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can be mad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take measure to encourage the participation of volunteers in other departments other than the social welfare students to encourage and sustain the volunteer activitie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motivation and continuity of volunteering activities of students in port logistics department were lower than those of social welfare students. Therefore, university should actively and realistically support volunteering activities of university students and increase their willingness to continue. Second, Measures are needed to encourage older students to participate in volunteer activities and encourage their continued commit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older students are less willing to continue their volunteer activities, so older students need to be socially interested and support the school / government so that they can continue their volunteer activities. Third, Significant changes are needed in the voluntary agency. Providing education about volunteer activities has a very significant effect on the volunteer motivation and sustain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hange from the traditional volunteer organizations that demand voluntary sacrifice and service of volunteers so as to provide realistic management of volunteers.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인간관계적 요인과 보상적 요인이 자원봉사활동 참여동기와 지속의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함으로써 대학생들의 자원봉사활동의 지속적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경상남도 김해시에 소재하고 있는 가야대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사회복지학과 학생 154명과 사회복지학과와 학생 수가 비슷한 항만물류학과 학생 146명 등 총 300명에게서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 중 불성실하거나 판독이 불가능한 응답을 한 17명을 제외한 283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는 2018년 4월 2일부터 4월 30일까지 연구에 대한 사전 설명과 동의하에 설문지를 배포하고 수집하였다. 수집된 설문 자료는 SPSS 22.0을 이용하여 신뢰도검사, 빈도분석, 기술분석, 독립t-test, 상관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 자원봉사자의 인간관계적 요인, 보상적요인, 참여동기, 지속의지의 정도를 알아본 결과 인간관계적 요인은 동료봉사자와의 관계를 중요시 여겼으며 보상적요인은 금전적 보상의 관심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동기와 지속의지는 5점 만점에 3.09점으로 전반적으로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자원봉사특성에 따른 참여동기, 지속의지의 차이는 성별, 종교는 유의미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년과 학과는 유의미 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간관계적 요인, 보상적요인, 참여동기, 지속의지 간의 관계는 유의한 상관이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전반적으로 강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넷째, 대학생 자원봉사자의 인간관계적 요인과 보상적 요인은 참여동기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대학생 자원봉사자의 인간관계적 요인은 지속의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상적 요인은 지속의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들의 자원봉사 참여활성화와 지속성을 높이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였다. 첫째, 사회복지학과 이외의 다른 학과 학생들의 봉사활동 참여 독려 및 지속의지 고취를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 본 연구결과, 항만 물류학과 학생들의 자원봉사활동 참여동기와 지속의지는 사회복지학과 학생들 보다 낮았으므로 대학은 적극적이고 현실적인 지원을 통해 대학생들의 자원봉사활동 활성화와 함께 지속의지를 높이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둘째, 고학년 학생들의 자원봉사활동 참여 독려 및 지속의지 고취를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 고학년 학생일수록 지속의지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고학년 학생도 자원봉사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사회적으로 관심과 함께 학교/정부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 학점제를 강화하고 전공과 연계된 봉사프로그램을 제도화하여 대학생 자원봉사활동의 비중을 높여야 할 것이다. 셋째, 봉사활동 기관의 의미 있는 변화가 필요하다. 자원봉사 활동에 대한 교육제공은 대학생의 자원봉사활동 참여동기와 지속의지에 매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본 연구를 통해 밝힌 바 있다. 따라서 봉사자의 맹목적인 희생과 봉사만 요구하는 전통적인 봉사활동기관의 모습에서 탈피하여 자원봉사자를 고려한 교육, 분위기 조성 등 자원봉사자들에 대한 현실적인 관리가 제공될 수 있도록 봉사활동기관의 변화가 필요하겠다.

      • 대학생의 학교진로지원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김은진 가야대학교 행정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07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esent an actual directionality for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the university student by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chool career support and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the university student. In order to measure the school career support, the scale that had been developed by Kwak, Min-ho(2012) had been used. For the scale of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e scale regarding which Lee, Eun-gyeong(2001) had validated the shortened form of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at had been developed by Betz and Voyten(1997) had been used. For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cale, the scale that Im, Eun-mi and Lee, Myeong-sook(2003) added the 2 questions on the invigoration of the use of the Internet that is related to the career path and the opening and the management of a department that is related to the school career to the scale that had been developed by Kim, Bong-hwan(1997) had been used. For the analyses of the data, by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of SPSS 22.0, the reliability analysis, the frequency analysis, th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he t-test, the ANOVA,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regression analysis that is based on the mediation model of Baron and Kenny(1986) had been carried out. As a result of the research, firstly, the average of the school career support of the university student was 3.13 points. And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as 3.62 points. And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as 3.41 points. Second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school career support,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the university student, it was possible to know that most of the correlations between each variable were the significant correlations on the level of p<0.001. Thirdly, the school career support(p<0.001) had given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r, in other words, it appeared that, the higher the school career support, the higher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β=.466) got. It appeared that, among the sub-factors of the school career support, the better the emotional support(β=.306) had taken place, the better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had taken place. Fourth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e of the school career support on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e entire school career support(p<0.001) had given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r, in other words, it appeared that, the more there had been the school career support(β=.442), the higher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 y got. Also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es of the sub-factors of the school career support on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t appeared that the information support(p<.05) and the emotional support(p<.05) had the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r, in other words, it was possible to know that, the more the information support(β=.223) and emotional support(β=.254),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got. Fifth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e of the entir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it appeared that the entir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p<.001)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β=.631), the higher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got. Also, it appeared that, among the sub-factors of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e job information(p<0.01) and the future plan(p<0.001) had the influences on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is states that, the higher the job information(β=.282) and the future plan(β=.347), the higher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got. Sixth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chool career support and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the university student, it appeared that there had been a partially mediating effect. Or, in other words, it had been revealed that, the more the school career support(β=.282) and the higher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β=.529), the higher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got. A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factors of the school career support and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t appeared that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p<.001) had completely mediated regarding the influence of the emotional support on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s a result, within the difficulty of the employment reality of the university students, for the entry into the job world, in order to be able to continue the aggressiv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diversification of the job experience programs and the establishment of an employment and business startup information system are needed. Especially, in order to be able to experience the actual job world, the invigoration, too, of a program that is linked to the community will be needed. Also, in order for the university students who have been preparing for the career path to be able to receive the emotional support, the career guidance utilizing the guiding professor system, the mentoring with a senior, the provision of a career counseling program, etc. must be pushed ahead aggressively.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학교진로지원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대학생의 활발한 진로준비행동을 위한 실질적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있다. 학교진로지원을 측정하기 위해 곽민호(2012)가 개발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척도는 Betz와 Voyten(1997)이 개발한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단축형을 이은경(2001)이 타당화 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진로준비행동 척도는 김봉환(1997)이 개발한 척도를 임은미와 이명숙(2003)이 진로와 관련된 인터넷 사용 활성화와 학교 진로관련 부서개설 운영 등 2개 문항을 추가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신뢰도분석과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t-검정과 ANOVA, 상관관계분석, Baron과 Kenny(1986)의 매개모델에 근거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대학생의 학교진로지원의 평균은 3.13점이었으며,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3.62점, 진로준비행동은 3.41점이었다. 둘째, 대학생의 학교진로지원,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각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는 대부분 p<.001 수준에서 유의한 상관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학교진로지원(p<.001)은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즉, 학교진로지원이 높을수록 진로준비행동(β=.466)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진로지원의 하위요인 중에는 정서적지원(β=.306)이 잘 이루어질수록 진로준비행동이 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교진로지원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학교진로지원 전체(p<.001)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즉, 학교진로지원(β=.442)이 많을수록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진로지원 하위요인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정보적지원(p<.05)과 정서적지원(p<.05)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정보적지원(β=.223)과 정서적지원(β=.254)이 많을수록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전체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전체(p<.001)는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β=.631)이 높을수록 진로준비행동이 높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진로결정자기효능감 하위요인 중에는 직업정보(p<.01)와 미래계획(p<.001)이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직업정보(β=.282)와 미래계획(β=.347)이 높을수록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높아지는 것을 말한다. 여섯째, 대학생의 학교진로지원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교진로지원(β=.282)이 많을수록, 진로결정자기효능감(β=.529)이 높을수록 진로준비행동이 높아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학교진로지원 하위요인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정서적지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진로결정자기효능감(p<.001)이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들이 취업 현실의 어려움 속에서 직업 세계로의 입문을 위해 적극적인 진로준비행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직업체험 프로그램의 다양화, 취·창업정보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특히, 실제 직업세계를 경험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와의 연계프로그램 활성화도 필요할 것이다. 또한 진로준비를 하고 있는 대학생들이 정서적 지지를 받을 수 있도록 지도교수제를 활용한 진로지도, 선배와의 멘토링, 진로상담프로그램 제공 등을 적극 추진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