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 공주교육대학교의 역사와 교육도시 공주의 이미지 형성

        전진희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history of G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from its origin to the early 1970s. The reason why G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was chosen was because of its unique status. The school was reorganized into Gongju National University following the context of Gongju Women's Normal School in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Gongju Normal School after liberation. The transition of this school served as a regional or periodical significance in two ways. First, it is the consistent purpose of foster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name and system of the school have changed several times, but the purpose of foster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s remained unchanged from its origin to the present.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history of this school is directly related to the history of foster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Korea. The following is the link between the school and the community. Gongju Women's Normal School was established as an alternative to overcome the economic crisis in the region caused by the relocation of Chungcheongnam-do. Local residents attempted to urbanize education as a way to overcome the identity of the administrative city lost due to the relocation of the provincial government. The community continued to campaign for the attraction and establishment of the school, making it an important asset of their city, and the school communicated with the community through high-quality human resources and direct and indirect economic feasibility. In Chapter II, Gongju Women's Normal School was the result of the residents' strong campaign to attract schools using the Joseon Governor-General's policy to expand the teacher's school. The goal of fostering female teachers by the Governor-General of the Joseon Dynasty was to emphasize "Home Economics" and meet the "for war preparations" with diligence and thrift within the family. In addition, practical subjects and Physical education subjects were strengthened in line with the war preparations system. In order to strengthen such a curriculum, a life guidance center was built and the dormitory system was adhered to. Gongju Women’s Normal School teacher education had a strong state-led nature and received full economic and administrative support from the Joseon Governor-General. The school was seen by local residents as a reward for the relocation of the Chungcheongnam-do Provincial Government. Residents organized an established association to attract government-run teachers' schools and even raised a large donation of 100,000 won from the local residents. In other words,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used the wishes of local residents to extract the expenses necessary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teacher school and the construction of the teacher. However, it has an important regional historical meaning in that it is an important image symbolizing Gongju, an educational city of Gongju Women's Normal School during this period. Chapter III, After Korea's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 rule, Japanese-style education was conducted by the U.S. military government without being liquidated. Naturally, Gongju's training of teachers was difficult and revealed her limitations. In order to overcome this, Gongju Women's Normal School and the local residents asked for the establishment of a Kongju Normal College, more actively to save the region. In order to establish the Kongju Normal College, the Gongju Women's Normal School not only gave away the School building, but also used human resources, the faculty. The three departments opened at the time of the establishment of Kongju Normal College, they were Korean literature, Mathematics, and Home Economics. In order to emphasize the subject of the "Home Economics," Gongju Women's Normal School was equipped with school buildings and teachers related to Home Economics, including life guides. By utilizing this, Kongju Normal College was able to be established by conducting a campaign to persuade the authorities that it was possible to establish a teacher's college at a low cost. After liberation, there was a widespread perception among local residents that Gongju needed to develop into an educational city. In Chapter IV, the transformation and reorganization of Gongju Normal School from 1951 to 1962 were intensively reviewed and discussed. As the elite-centered women's Normal school changed to a coeducational system, it had a very positive effect on the community. The reorganization of the coeducational system during the Korean War guaranteed military service benefits for male students and employment after graduation. Many male students in the area who were able to obtain such information quickly entered Gongju Normal School. The fact that 57.4% of Gongju Normal School graduates in 1954 are from Gongju proves this. With the existence of Gongju Normal School, small forms of commerce for schools and students along with boarding have developed in the community. This landscape of the Gongju area clearly revealed its distinctiveness from other regions and made it unique as the 'local color of Gongju'. A structure has been established in which the community benefits economically through the Gongju Normal School. This fact means that Gongju Normal School has been 'localized' by strengthening its identity as 'Gongju’s School' rather than simply a school in the region. In Chapter IV, the Gongju College of Education started uneasily. At that time, the symbolism of the teacher changed due to the lack of appointment and low treatmen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is fact also had a negative impact on the community. Most of the students are children of rural families, and Gongju College of Education students who will become teachers in rural areas after graduation have been given the role of enlightenment and mental reform in rural areas to revive the rural economy. By government authorities and schools, students had limited club activities and were actively mobilized for volunteer work in rural areas. The rural volunteer work of shift students was intertwined with the interests of the local community and the school. Previously, the profits gained by the local community through schools changed more actively from passive methods such as Boarding house and Small consumption activities to Volunteer activities in rural areas and the mobilization of students without pay. First,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aning of school history itself.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with the local community by using an academic approach. Second, the meaning of local history of school history was considered. In particular, Gongju is an "educational city," and it can be seen that the impact on the local community was significant due to the periodical transition of the Gongju shift,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f the community was cut off from the government-run Gongju Women's Normal School, the teacher's school after liberation interacted with the community and changed to 'localization of schools'. Third, the meaning of school history in educational history was considered. It can be said that the periodical changes and educational policies of G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were significant as a way to check in detail how they were being realized at the school site when the Ministry of Education announced its policy. Fourth, the student life culture, student culture, youth culture, or teacher culture for each period were examined by period by reflecting the awareness of problems such as life culture history. As a result, it was found in detail that Gongju Women's Normal School and Gongju Normal School, the roots of G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were not established independently, but were obtained through strong aspirations and establishment movements of local residents, and sometimes "fighting" of sacrificial fundraising and cost investment. Other schools may be the case, but especially in the case of G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he school and the community have been able to maintain their reputation and reputation for a long time as they interact like this. Gongju area is a city that is recognized externally as an "educational city." The strongest background and foundation that forms the basis is the existence of a teacher training institution. G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hould be considered to have formed a deep bond with the local community as a university that performs a consistent purpose of foster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refore, the history of this Gongju shift cannot be considered entirely as that of Gongju shift. Some of the history can be regarded as for local residents.

      • 대학가 인근 원룸형 주택 주거만족도에 관한 연구 : 충남 예산군을 중심으로

        홍경덕 공주대학교 산업과학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71

        초 록 원룸주택은 전국적으로 그 수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현 시점에서는 보급단계를 지나 포화상태에 이르렀고 그에 따라 이전에 생겼던 단순한 문제와는 다르게 새로운 형태의 복잡한 문제점들이 생겨나고 있다. 또한 사용자들의 선호도나 만족도에서도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들에 대해 공급자와 사용자가 서로 대화할 창구가 따로 마련되어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서로의 요구에 맞출 수가 없는 것이 현실이다. 특히, 예산군과 같은 농촌지역에서 원룸 소유자들의 연령대가 높은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리하여 최신정보에 취약하며 젊은 대학생들과 소통하는 것이 쉽지 않다. 예산군은 농촌 지역이지만 대학교가 있고 공업단지와 여러 개의 온천 관광지가 인접하였기에 원룸의 수요가 증가 하였고 수요에 맞게 원룸주택의 수도 계속 증가 하였다. 특히 공주대학교 예산캠퍼스 주변 예산읍 일대의 현재 상황은 원룸주택의 포화상태로 최신시설과 옵션을 갖춘 신축 원룸도 공실이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를 참고하여 공주대학교 예산캠퍼스 주변 예산읍 일대의 원룸임대업자들이 젊은 대학생 이용자들의 주거 만족도와 주거 선호도를 이해하여 시설과 서비스의 획기적인 개선으로 공실 없이 사업을 영위할 수 있게 하며 그럼에 따라 대학생 이용자들도 쾌적하고 안정된 만족도 높은 주거 환경에서 학업에 전념할 수 있기를 바란다. 현재 거주하고 있거나 거주한 적이 있는 공주대학교 대학생 사용자들의 주거 만족도 및 주거 선호도에 대해 조사 분석하였으며 이를 과거 연구들과 비교하기 위해 관련 서적, 학위논문, 기사, 통계자료 등을 참고하였다. 공주대학교 학생들 중 원룸에 거주하였거나 거주하고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 방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과거 선행 되었던 연구들에서는 물리적인 요인이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주었다면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인 요인이 가장 큰 영향을 주었다. 경제적 요인은 과거의 연구나 본 연구에서나 큰 변화가 없는 적정한 영향을 주고 있다. 이는 경쟁이 심화되어 물리적 요인들이 평준화 보편화 되면서 크게 영향을 주는 요인이 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원룸주택 중 희망하는 구조를 조사한 결과와 다르게 기본적인 형태의 원룸을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으며 저렴한 보증금과 저렴한 월임대료의 원룸을 가장 많이 이용한다는 것은 경제적인 요인이 더 큰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것이며 기본적인 형태의 원룸이 저렴하여 혼자 이용하더라도 경제적 부담이 없고 물리적으로 불편함이 없으며 혼자 이용하기 때문에 사생활이 보호되며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는 사회적 요인이 적절히 융합하여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The number of one-room houses (studio-type apartments) is rapidly increasing all over the country in Korea. At present, they have reached saturation beyond the proper supply phase. As a result, there occur new types of complicated problems, different from simple ones in the past. Besides, it leads to change in users’ preference and even satisfaction as well. Since there is no channel of communication between providers and users in regard to such changes, it is true that they cannot meet each other’s demands in reality. Especially in such rural areas as Yesan Gun, most of the one-room owners are in old age, so it is not easy for them to communicate with young college students or access up-to-date information. As a rural area, Yesan Gun has a university while being adjacent to an industrial complex and several different spa tourist sites. Thanks to its geographical features, the demand for one-room houses has increased, resulting in more one-room houses constantly built in number. However, the entire area of Yesan Eup has reached saturation of one-room houses as it is close to Yesan Campus of KNU (Kongju National University), and some of the one-room houses even with the newest facilities and options are vacan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find out young college students’ residental satisfaction and preference and help one-room house providers improve their facilities and services innovatively and enhance their business without vacant rooms in Yesan Eup near Yesan Campus of KNU, further leading to helping college students focus on studying in pleasant, stable and highly-satisfactory residential environments. Thus, this study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preference of KNU students who live or have ever lived in one-room houses and referred to related publications, dissertations, news articles and statistical data in order to compare with past studies. As research subjects, this study selected KNU students who live or have ever lived in one-room houses and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showed that physical factors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residential satisfaction, while this study discovered that social factors have the greatest influence. Without a considerable change, however, economic factors maintain proper influence on residential satisfaction in both this study and the past studies. The reason why physical factors have less influence on residential satisfaction seems to be because they have become standardized and generalized with competition intensifying. Contrary to the results of surveying one-room house structures college students want, they actually use basic-type one-room houses most. Preferring lower deposits and rents shows that economic factors have greater influence, and although basic-type one-room houses are inexpensive, residents hardly experience physical inconvenience. Especially as they mostly live alone, their privacy can be more protected with more freedom, which shows that social factors also have influence to some extent, being combined with the other factors.

      •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의 진로역량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한솔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55

        University students are having difficulties in determining their career due to the recent rise in youth unemployment, and they nee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areer capabilities amid changes in the world of work requiring the cultivation of skilled manpower.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much influence of career competence of social welfare university students on their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Collected data for this study were included open-ended surveys and questionnaires, interviews from social welfare in Chung-cheong-nam-do province directly for 15 days from September 2 to September 17, 2019, and the total of 236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for include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test, ANOVA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25.0 statistical program. First, as the result of analyzed career competen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level, career competency level was 3.60 points (five points) or higher,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level was 3.18 points (five points). Second, the result of analysis of the differences between career capabilitie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the career preparation activities for the students who got high grade or completed internship training were higher than the other students who have not done. Third, as a result of analyzed the mutual relation between characteristics and career competencies, information gathering behaviors, tool preparation behaviors, and goal achievement behaviors, which are sub-factors of the overall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were grade, field experience, career capability, career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among reflection, self-reflection, self-expression, networking, career search, and career management. Fourth, the results of a regression analysis to identify the variables that impact on the career preparation activities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showed that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of the students who were experienced and completed internship were higher than the students have not done. In addition, when the level of networking, career searching, and career management as the sub-factors of career competency is higher, the career preparation activities are higher. Also Information collection activities are higher than the others when the students were experience and completed internship training. Variations affecting tool preparation behavior, which is a sub-factor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ere higher in grade, and higher in self-examination, career exploration, and career management among lower factors of career competency, higher in tool preparation behavior. Variables that affect target attainment behavior, which is a sub-factor of career preparation actions, had experience in field practice, and among the lower factors of career capabilities, the higher the networking, career exploration and career management, the higher the target attainment behavior. In conclusion, the sub-factors of career competence of social welfare university students are networking, career search, and career management and it was showed that the sub-factors provided the positive impacts on their career preparation activities through the analysis on sub-factors. Suggestions from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uggestion is that university students of social welfare are required the measures to improve their career competencies as the sub-factors; networking, job searching, and career management. Through the analysis of sub-factors, if the students have their high career competencies, they have high career preparation activities.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ir career competencies constantly on the sub-factors; networking, job searching, and career management, the university needs to open the new courses in the university curriculum related to the sub-factors of career competencies. Second, the field practice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requires various forms and reinforcement. suggestion is that students’ job internship showed a positive impact on career competencies and the university students of social welfare need to complete their internship training with a short term or a long term program to build their positive career preparation activities and make their career preparation experiences.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internship development cooperation between social welfare institutions and universities by securing field training institutions and developing programs. 대학생들은 최근 청년 실업의 증가로 진로결정에 대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숙련된 인력양성을 요구하는 직업세계의 변화 속에서 진로역량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의 진로역량이 진로준비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충청남도 소재의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을 중심으로 2019년 9월 2일부터 9월 17일까지 약 15일간에 걸쳐 직접 설문지를 배부하고 회수하였으며, 총 236부의 설문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수립된 자료는 SPSS 25.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석,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역량과 진로준비행동 수준을 분석한 결과, 진로역량의 수준은 3.60점(5점 기준)으로 보통 이상이며, 진로준비행동 수준은 3.18점(5점 기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진로역량과 진로준비행동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진로준비행동은 학년이 높을수록, 현장실습 경험이 있을수록 높았다. 셋째, 일반적 특성과 진로역량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진로준비행동 전체와 진로준비행동의 하위요인인 정보수집행동, 도구준비행동, 목표달성행동 등은 학년, 현장실습 경험, 진로역량, 진로성찰, 자기성찰, 자기표현, 네트워킹, 진로탐색, 진로관리 등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넷째,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진로준비행동 전체를 종속변수로 하였을 때, 학년이 높을수록, 현장실습 경험이 있을수록 진로준비행동이 높았다. 또한, 진로역량의 하위요인인 네트워킹, 진로탐색, 진로관리 등이 높을수록 진로준비행동이 높았다. 진로준비행동의 하위요인인 정보수집행동은 학년이 높을수록, 진로역량의 하위요인 중 자기표현, 진로탐색, 진로관리 등이 높을수록 높았다. 진로준비행동의 하위요인인 도구준비행동은 학년이 높을수록, 진로역량의 하위요인 중 진로탐색, 진로관리 등이 높을수록 높았다. 진로준비행동의 하위요인인 목표달성행동은 현장실습 경험이 있을수록, 진로역량의 하위요인 중 네트워킹, 진로탐색, 진로관리 등이 높을수록 높았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해 보면,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의 진로역량의 하위요인인 네트워킹, 진로탐색, 진로관리 등은 진로준비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분석 결과를 통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의 진로역량의 하위요인인 네트워킹, 진로탐색, 진로관리 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이는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의 진로역량이 높을수록 진로준비행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의 진로역량의 하위요인인 네트워킹, 진로탐색, 진로관리 등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대학교육과정에서 진로역량과 관련된 교양강의를 개설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의 현장실습은 다양한 형태와 강화가 필요하다.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인 현장실습 경험이 진로준비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의 긍정적인 진로준비행동을 위해서는 단기 또는 장기의 현장실습, 학기제 현장실습 등의 다양한 형태의 현장실습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현장실습기관의 확보와 프로그램의 개발을 통해 사회복지기관과 대학교 간의 인턴십 개발협력을 구현할 필요가 있다.

      • 코로나-19 상황에서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 우울, 자아탄력성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인구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코로나-19 상황에서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 우울, 자아탄력성 및 학습만족도의 정도를 확인하고, 이들 간의 관계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간호대학생의 학습만족도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D광역시, C도, G도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2, 3, 4학년 학생 23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 수집 기간은 2021년 5월 24일부터 5월 28일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3.0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Duncan 사후검정,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와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는 4점 만점에 평균 2.21±0.47점, 우울은 3점 만점에 평균 0.94±0.58점, 자아탄력성은 5점 만점에 평균 3.73±0.48점, 학습만족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13±0.94점으로 나타났다. 2) 간호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습만족도는 학년(F=6.90, p=.001)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학업스트레스는 학년(F=5.60, p=.004), 지원동기(F=4.87, p=.003), 전공만족도(F=24.67, p<.001), 지난 학기 평점(F=3.78, p=.005)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우울은 지원동기(F=3.22, p=.023), 전공만족도(F=12.28, p<.001)가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자아탄력성은 지원동기(F=6.68, p<.001), 전공만족도(F=17.18, p<.001)가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3)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 우울, 자아탄력성, 학습만족도의 상관관계는 학습만족도에서 학업스트레스(r=-.21, p=.001), 우울(r=-.23, p<.001)이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자아탄력성(r=.23, p<.001)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학업스트레스는 우울(r=.50, p<.001)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자아탄력성(r=-.52, p<.001)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우울은 자아탄력성(r=-.61, p<.001)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학업스트레스, 우울이 낮을수록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학습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간호대학생의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하여 학업스트레스, 우울, 자아탄력성과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학년을 독립변수로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습만족도에 유의한 설명력을 갖는 변수는 학년(β=.20, p=.012)으로 나타났으며 학습만족도에 대한 설명력은 총 13.9%(F=5.75, p<.001)이었다. 결론적으로 간호대학생의 학습만족도는 학년이 영향요인으로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학습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학년별 교육프로그램 개발 방안이 필요하다.

      • 대학생의 자기초점주의 성향과 대학 생활 적응의 관계 : 대인관계 유능성의 매개효과

        전지은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기초점주의와 대학 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유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국 대학교 1∼4학년 남녀 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211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대학생의 자기초점주의의 일반적 자기초점주의와 자기몰입, 대학 생활 적응, 대인관계 유능성은 어떤 관계가 있는가? 둘째, 대학생의 자기초점주의의 일반적 자기초점주의와 자기몰입은 대학 생활 적응과 대인관계 유능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대학생의 자기초점주의의 일반적 자기초점주의와 자기몰입과 대학 생활 적응 간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유능성이 매개 역할을 하는가? 각 변인의 측정도구는 다음과 같다. 이지영과 권석만(2005)이 개발한 자기초점주의 성향 척도(SDSAS), Baker와 Siryk(1989)가 개발하고 이윤정(1999)이 번안하고 수정한 대학 생활 적응척도(SACQ), Buhrmester, Furman, Wittenberg와 Reis(1988)가 개발한 대인관계능력 검사지(Interpersonal Competence Questionnaire: ICQ)를 한나리와 이동귀(2010)가 한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번안하여 타당화한 한국판 대인관계 유능성 척도(K-ICQ)를 사용하였다. 통계분석을 위해 IBM SPSS 22.0를 사용하여 빈도분석, 내적합치도(Cronbach’s α) 산출, 기술통계 분석, 왜도와 첨도 확인, Pearson의 상관분석, 다중선형회귀분석과 Baron & Kenny의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기초점주의는 방향성이 다른 2개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전체 합으로 구하지 않고 서로 다른 두 성향을 각각의 독립변인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일반적 자기초점주의는 대학 생활 적응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몰입은 대학 생활 적응과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반적 자기초점주의는 대인관계 유능성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몰입은 대인관계 유능성과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 생활 적응과 대인관계 유능성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반적 자기초점주의보다 자기몰입이 대학 생활 적응에 상대적으로 높은 부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대인관계 유능성에 대해서는 자기몰입보다 일반적 자기초점주의가 상대적으로 높은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반적 자기초점주의와 자기몰입과 대학 생활 적응과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유능성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검증되었다. 일반적 자기초점주의와 대학 생활 적응과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유능성은 완전 매개효과가 나타났고, 자기몰입과 대학 생활 적응과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유능성은 부분 매개효과가 나타냈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기초점주의와 대학 생활 적응,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으며, 자기초점주의의 방향성이 다른 두 가지 성향이 각각 대학 생활 적응과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과 관계에 있어서 중요한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는 대학생들의 상담 장면에서 자기초점주의 성향을 지닌 대학생들이 불안이나 우울을 경험할 때, 대인관계 유능성에 중심을 두고 개입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또한 부적응적인 자기초점주의를 적응적인 자기초점주의로 전환할 수 있는 긍정적 자기 자각을 활성화하여, 심리적 부적응으로 인한 문제를 완화한다면, 보다 적응적인 대학 생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따라서 대학 생활 적응을 높이기 위하여 대인관계 유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한다면, 보다 적응적인 대학 생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는 대학 생활 적응에 도움을 주기 위하여 교육현장이나, 상담장면에서 활용할 수 있는 상담기법과 적응 프로그램 개발 등을 위해 기초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sought to verify the intermediate effectiveness of interpersonal a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self-focused attention and college life adapt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research, data were analyzed by conducting an online survey of 211 male and female students in the first through fourth grades of colleges nationwide. The research questions we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self-focused attention and self-immersion, college life adaptat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of college students? Second, how do the general self-focused attention and self-immersion of college students affect their college life adaptat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Third, does interpersonal competence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self-focused attention and self-immersion in college students' self-focused attention and college life adaptation? The measurement tools for each variable are as follows: The Scale for Dispositional Self-focused Attention in Social situations (SDSAS), developed by Ji-young Lee and Seok-man Kwon (2005), the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Questionnaire (SACQ) developed by Baker and Siryk (1989) and modified and revised by Yun-jung Lee (1999), the Interpersonal Competence Questionnaire (ICQ) developed by Reis (1988) and adapted and validated to the K-ICQ by Han Na-ri and Dong-Gwi Lee (2010) for Korean college students. For statistical analysis, IBM SPSS 22.0 was used for frequency analysis, Cronbach's α calculation,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skewness and kurtosis verification,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and Baron & Kenny's parametric regression analysi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Since self-focused attention is composed of two sub-factors with different directions, the two different dispositions were analyzed as independent variables, rather than as a total sum. First, general self-focused atten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college life adjustment, and self-immersion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correlation with college life adjustment. Additionally, general self-focused atten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self-immersion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correlation with interpersonal competence. There was also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ollege life adaptat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Second, self-immersion had a relatively higher negative effect on college life adaptation than general self-focused attention. On the other hand, on interpersonal competence, general self-focused attention had a relatively higher positive effect than self-immersion.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compet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self-focused attention and self-immersion and college life adaptation was verifi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self-focused attention and college life adaptation, interpersonal competence showed a fully mediating effect, a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immersion and college life adaptation, interpersonal competence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This study empirically ver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self-focused attention, college life adaptation, and interpersonal ability, and identified the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of two different orientations on university life adaptation and interpersonal ability, respectively. This suggests that intervention focusing on interpersonal competence is effective when college students with self-focused dispositions experience anxiety or depression in the college counseling scene.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helpful for a more adaptive college life if the problem caused by psychological maladaptation is alleviated by activating positive self-awareness that can convert maladaptive self-focusing into adaptive self-focusing. Therefore, if we are looking for ways to improve interpersonal competence in order to increase college life adaptation,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helpful for a more adaptive college lif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be usefully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counseling techniques and adaptation programs that can be used in the educational field or in the counseling scene to help them adapt to university life.

      • 정부주도에 따른 계획도시 형성이 주변 중소도시에 미치는 인구효과에 관한 연구 : 세종특별자치시 조성에 따른 주변 도시를 대상으로

        김상근 공주대학교 산업과학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55

        인구변화에 관한 연구에 있어 발생하는 인구 감소에 대한 여러 가지 요인을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연구의 목적은 정부주도계획에 따른 계획도시 형성으로 인하여 발생된 주변 중소도시의 인구변화에 대하여 알아보고,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정부주도계획에 의하여 형성된 세종특별자치시의 주변도시 중 인구감소가 가장 심각한 공주시를 연구대상 지역으로 설정하고, 7개 각 지자체를 연구의 내용적 범위(여수시·정읍시·해남군)와 연구의 공간적 범위(공주시·홍성군·부여군·예산군·문경시)로 나눠 비교분석을 진행하였다. 먼저 연구의 내용적 범위로 나눈 3개 지자체는 대표적인 인구감소 사례요인으로 지목되고 있는 저출산․고령화 등으로 인구감소가 꾸준히 지속되고 있는 지역이다. 내용적 범위에 속하는 지자체의 인구감소 요인으로 3가지 공통점을 찾을 수 있다. 첫째, 일자리 부족이 인구감소의 요인 중 하나로 나타났다. 젊은 연령층이 선호하는 대기업 및 공기업은 수도권과 지방 광역시에 몰려있어, 지방 소․중도시의 인구비율이 고령층이 많아지고 젊은 연령층은 점점 줄어드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어 인구감소가 지속되고 있다. 둘째, 교육 문제가 인구감소의 요인 중 하나로 나타났다. 지방 소․중도시의 교육환경은 지방 대도시에 있는 교육환경보다 열악하여, 교육환경이 더 좋은 곳으로 이사를 가는 현상이 나타나 지역의 인구감소가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공시설의 부족이 인구감소의 요인 중 하나로 나타났다. 지자체에 있는 공공시설이 부족하여 이용에 불편함을 느끼는 주민들이 타 지역으로 이동을 하여 지역의 인구감소가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연구대상 지역인 공주시 포함 5개 지자체의 인구유출에 관한 사회·제도·정책을 크게 4가지로 구분하였고, 공주시 인구정책에 대한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출산장려금 정책을 비교하였다. 출산장려금 정책을 비교해본 결과 문경시의 경우 다른 지자체와 비교하여 많은 금액의 출산장려금을 지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주시의 경우 문경시를 제외한 다른 지자체와 비슷한 수준의 출산장려금을 지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육아장려금 정책을 비교하였다. 육아장려금의 경우 각 지자체마다 다양한 지원정책을 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주시의 경우 실용성이 있는 물품을 지원해주지 않고, 1회성으로 끝날 수 있는 물품을 지원해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전입지원금 정책을 비교하였다. 전입지원금의 경우 육아장려금과 마찬가지로 각 지자체마다 다양한 지원정책을 펼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문경시의 지원정책이 가장 눈에 띄었던 것으로 조사되었다. 공주시의 경우 전입지원금에 대한 정책은 다른 지자체에 비하여 많이 부실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귀농·귀촌지원금을 비교하였다. 귀농·귀촌지원금의 경우 지자체별로 지원정책에 큰 차이가 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문경시는 귀농·귀촌에 필요한 교육과정 운영까지 지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주시의 경우 홍성군과 비슷한 정책을 펼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만, 문경시에서 시행하고 있는 교육과정은 공주시에서 따로 운영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으로 공주시 포함 5개 지자체의 인구유출에 관한 사회·제도·정책을 크게 4가지로 구분하여 결과를 종합한 결과, 문경시의 정책이 다른 지자체에 비하여 월등히 우수하였고, 다른 지자체는 비슷한 정책을 펼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기존 선행연구의 경우 주로 인구감소와 인구구조의 변화특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인구감소 유형별 문제점과 대응정책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지만, 본 연구는 정부에서 공포한 특별법에 따라서 주변지역에 미치는 인구영향을 조사하고, 더불어 정부정책으로 인하여 주변지역의 인구감소 원인을 분석하고 대응정책을 제시했다는 것에서 기존 연구와 차이가 있다고 볼 수 있다. It is crucial to understand various factors of depopulation when studying population chang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population changes of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generated by planned cities under government-led projects and to present policy alternatives. The study set Gongju City as a study area since it experienced the most severe depopulation among surrounding cities around Sejong Special Autonomous City developed under government-led projects. In addition, it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by dividing each of the seven local governments into both content range (Yeosu City, Jeongeup City, and Haenam County) and spatial range (Gongju City, Hongseong County, Buyeo County, Yesan County, and Mungyeong City). Three local governments sorted as the content range were continuously experienced depopulation due to main factors such as low birth late or aging. There were three common factors to explain the depopulation in local governments belonging to the content range. First, the lack of jobs was one of the factors of depopulation. Since conglomerates and public enterprises which the younger generations wanted to work for were mostly located in capital or metropolitan areas, the population ratios in small and medium were aging and the population of the younger people kept decreasing. Second, the qualities of education systems were one of the factors of depopulation. Educational systems i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were inferior to local metropolitan cities so people moved to bigger cities to have better educational services and it caused continuous depopulation. Third, insufficient public facilities were one of the factors of depopulation. Since the local governments could not fully provide facilities needed, residents whose needs were not met with this moved to other areas and it caused continuous depopulation. Regarding the spatial range, this study categorized societies, institutions, and policies largely into four factors about five local governments including the study area, Gongju City, and presented policy alternatives on populations of Gongju City. Firstly, this study compared baby bonus policies. It was found that Mungyeong City supported a larger amount of baby bonus than other local governments. In the case of Gongju City, it supported a similar level of baby bonus to other local governments except for Mungyeong City. Secondly, this study compared child care support policies. It was shown that each local government offered various child care support policies. In the case of Gongju City, it did not support practical items but only single-use items. Thirdly, this study compared relocation subsidies. Similar to child care supports, it was shown that each local government supported various policies on relocation subsidies. It was concluded that Mungyong City had the most outstanding relocation subsidies among those cities. On the other hand, the relocation subsidies of Gongju City were considered the poorest compared to other local governments. Fourth, this study compared agro migration subsidies. In the case of agro migration subsidies, there was little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local governments. Mungyeong City supported necessary the curriculum for agro migration. In the case of Gongju City, it had similar policies to Hongseong County. However, Gongju City did not support the curriculum which Mungyeong City did. As a result of categorizing societies, institutions, and policies largely into four factors about five local governments including the study area, Mungyeong City executed outstanding policies among other local governments but the policies of the others were at a similar level. In conclusion, in previous studies, aims were mainly to focus on analyzing the characters of overall changes in depopulation and demographic structures, and to analyze problems and solutions according to depopulation types. However, this study investigated how special laws promulgated by the government could affect surrounding cities’ population, and analyzed the causes of the depopulation of surrounding cities affected by the government policies, and suggested solutions. In that regard,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previous studies and this study.

      •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소정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55

        최근 전 세계적으로 글로벌화가 진행되면서 국가 간에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다양한 영역에서 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로 인해 다른 국가로 이동하여 좋은 환경에서 공부하려는 학생들이 늘어나고 있으며, 한국에도 많은 유학생들이 유입되고 있는 추세이다.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 유학생들은 한국에서의 학교생활에 적응하는 문제와 더불어 경제적 문제로 인해 한국 문화에 적응하기가 쉽지 않다. 이런 새로운 문화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스트레스는 학생들의 학업 성취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에 대한 연구를 통해 그 메커니즘을 규명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를 검증하고 그 사이에서 자기효능감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밝혀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대학생활 적응에 전반적으로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자기효능감은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대학생활 적응 사이에서 매개효과를 보이고 있었다. 세부적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학업적 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학업적 적응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개인-정서적 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개인-정서적 적응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대학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대학만족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대학생활 적응 사이에서 자기효능감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문화 차이로 인한 스트레스가 증가하게 되면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자기효능감이 감소하게 되고, 결국 대학생활 적응을 어렵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유학생이 현지에 적응하는데 있어서 자기효능감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를 통해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전반적으로 대학생활 적응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시 말해,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높게 할수록 학교 생활에 적응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그리고 적응에 어려움을 겪는 과정에서 자기효능감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결국 문화 차이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게 될 경우 자기효능감이 저하되어 한국에서의 유학 생활에 적응하기 힘들어진다는 점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위의 결과들은 학생들의 유학 생활 적응을 돕기 위해서 필요한 부분이 무엇인지 시사하며, 자기효능감이라는 변수를 통해 그 심리적 메커니즘을 밝혔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 의사결정을 위한 시뮬레이션 기반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최수빈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에 대한 의사결정의 역량 향상을 위해 시뮬레이션 기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적용 효과를 검증하기 위함이다. 간호대학생은 보건의료를 이끌 미래의 간호리더로서 환자안전관리의 원칙과 개념을 적용하는데 지식과 술기를 갖추어야 하며, 환자의 상황변화, 문제발생, 안전에 대한 문제를 탐색하고 대처하기 위한 대안을 설계, 선택하는 의사결정 능력을 갖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또한 환자안전관리에 대한 지식, 태도, 간호전문직관, 간호윤리 등의 가치를 올바르게 정립하여 의사결정을 할 필요가 있다. 의료사고의 근본원인 중 가장 높은 빈도를 차지하는 의사소통문제는 간호대학생들의 환자안전관리에 관한 교육요구도에서도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한다. 이는 환자안전관리를 위해 의사소통 교육이 이루어져야함을 시사하며, 이에 의사결정모형을 토대로 환자안전관리에 대한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하기 위해 적용할 교육방법으로 강의, 위험예지훈련, 시뮬레이션을 선정하였다.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 의사결정을 위한 시뮬레이션 기반 프로그램은 Simon (1947)의 의사결정모형을 토대로 ‘위험예지훈련’과 ‘시뮬레이션’을 적용하여 개발되었으며, 그 적용 효과를 환자안전관리에 대한 지식, 태도,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및 의사결정능력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 의사결정을 위한 시뮬레이션 기반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는 유사실험연구로 비 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설계 연구이다. 시뮬레이션 기반 프로그램의 개발은 ADDIE 모형을 근거로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의 단계를 거쳐 진행되었다. 2021년 7월부터 2022년 6월까지 환자안전관리에 관한 교육요구도 조사, 문헌고찰, 프로그램 설계를 통한 학습성과 및 교육목표 도출, 교육주제, 내용 구성, 프로그램 세부 내용 구성, 평가 도구 선정, 위험예지훈련을 위한 만화 제작, 시뮬레이션 시나리오 개발, 전문가 자문을 시행하였고, 개발단계에서 프로그램 초안을 개발하고 전문가 자문을 거쳐 프로그램을 최종적으로 완성하였다. 최종 개발된 프로그램은 총 2회차 교육으로 4시간씩 2회, 총 8시간 제공되었다. 본 프로그램의 적용 및 자료수집을 위한 실행, 평가 단계는 2022년 6월부터 8월까지 사전조사, 처치, 사후조사 순서로 진행되었다. 연구 대상자 모집은 K대학교 교내 학생 휴게실 게시판에 공지하여 연구 참여에 자발적으로 동의한 간호학과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군 27명, 대조군 27명으로 총 54명의 자료를 자료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환자안전관리에 대한 지식, 태도,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의사결정능력을 측정하였다. 자료분석은 IBM SPSS Statistic 28.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일반적 특성은 기술통계방법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로 제시하였고, 동질성 검정은 2-test, Fisher’s exact test로 분석하였다. 종속변수에 대한 사전점수의 정규성 분포 검정은 Kolmogorov-Smirnov test로 분석하였으며, 동질성 검정은 Mann-Whitney’s U test, Independent t-test로 분석하였다.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 의사결정을 위한 시뮬레이션 기반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해 실험군과 대조군의 사전, 사후조사에 대한 변화 비교와 실험군의 시점 간 변화는 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s, Wilcoxon signed rank test,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 ANOVA)과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환자안전관리에 대한 지식이 유의하게 높을 것이다.’의 가설은 시점과 집단 간 상호작용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어 기각되었다(2=0.10, p=.750). 2. ‘실험군의 환자안전관리에 대한 지식은 시점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의 가설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어 지지되었다(2=18.70, p<.001). 3.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환자안전관리에 대한 태도가 유의하게 높을 것이다.’의 가설은 시점과 집단 간 상호작용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어 지지되었다(F=22.57, p<.001). 4. ‘실험군의 환자안전관리에 대한 태도는 시점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의 가설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어 지지되었다(F=47.74, p<.001). 5.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환자안전관리에 대한 의사소통 자기효능감이 유의하게 높을 것이다.’의 가설은 시점과 집단 간 상호작용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어 기각되었다(F=1.16, p=.287). 6. ‘실험군의 환자안전관리에 대한 의사소통 자기효능감은 시점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의 가설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어 지지되었다(F=11.77, p<.001). 7.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환자안전관리에 대한 의사결정능력이 유의하게 높을 것이다.’의 가설은 시점과 집단 간 상호작용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어 지지되었다(F=9.32, p=.004). 8. ‘실험군의 환자안전관리에 대한 의사결정능력은 시점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의 가설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어 지지되었다(F=17.70, p<.001). 본 연구를 통하여 간호 교육에 있어 환자안전관리의 중요성과 추후 환자안전관리 역량을 갖춘 간호사 양성의 필요성을 확인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은 간호대학생들의 환자안전관리에 대한 교육요구도를 반영하여 환자안전사고의 주요 해결방안인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또한 Simon (1947)의 의사결정모형을 간호학에 적용하고 그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새로운 교육방법을 제시하였으며 교육적, 실무적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위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 의사결정을 위한 시뮬레이션 기반 프로그램은 교육 효과성 측면에서 간호대학생들의 환자안전관리에 대한 태도, 의사결정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이며, 프로그램의 적용 후 효과 지속성 측면에서 간호대학생들의 환자안전관리에 대한 지식, 태도,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의사결정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인 프로그램임을 확인하였다. 앞으로 본 프로그램을 반복적으로 적용하여 그 효과성을 확보하고 다양한 환자안전사고의 주제를 반영하여 입체적 교육방법에 대한 활발한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verify a simulation based program on nursing students' decision making ability in patient safety management. Nursing students, as leaders of health care in the future, should be equipped with knowledge and skills in applying the principles and concepts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And it is very important for nursing students to have the decision making ability to intelligence, design and choice alternatives to cope with changes in patients' situations, problems of patient safety.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make decisions by correctly establishing values such as knowledge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attitude to patient safety management, nursing professionalism, and nursing ethics. The highest frequency cause of medical errors is communications, according to root cause analysis, which is the highest ranked in the demand for patient safety management education among nursing students. Therefore, communication education is very important in patient safety management. The program of this study consisted of lectures, risk perception training, and simulation for communication education to patient safety by applying Simon's decision making model (1947). This study was a quasi-experimental before and after study at University, Korea.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July 2021 to June 2022. A total of 54 nursing students were selected and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educational program in this study, knowledge, attitude, communication self-efficacy, and decision making ability regarding patient safety management were measured.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IBM SPSS Statistic 28.0 program. It was analyzed by 2-test, Fisher's exact test, Kolmogorov-Smirnov test, Mann-Whitney's U test, independent t-test, 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s, Wilcoxon signed rank test, repeated measure ANOVA, and paired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hypothesis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ill have significantly higher knowledge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than the control group' was rejected a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ime and group interaction (2=0.10, p=.750). 2. The hypothesis that ‘the knowledge scores about patient safety management over time in the experimental group will b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supported (2=18.70, p<.001). 3. The hypothesis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ill have significantly higher attitude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than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 a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ime and group interaction (F=22.57, p<.001). 4. The hypothesis that ‘the attitude scores about patient safety management over time in the experimental group will b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supported (F=47.74, p<.001). 5. The hypothesis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ill have significantly higher communication self-efficacy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than the control group'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ime and group interaction (F=1.16, p=.287). 6. The hypothesis that ‘the communication self-efficacy scores about patient safety management over time in the experimental group will b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supported (F=11.77, p<.001). 7. The hypothesis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ill have significantly higher decision making ability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than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 a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ime and group interaction (F=9.32, p=.004). 8. The hypothesis that ‘the decision making ability scores about patient safety management over time in the experimental group will b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supported (F=17.70, p<.001). It was confirmed that the simulation-based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is an effective program for improving nursing students' attitude toward patient safety management and clinical decision making abil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program of this study repeatedly to secure its effectiveness and to conduct additional follow-up studies.

      • 발달장애대학생에게 들어본 대학생활경험과 의미

        최연진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5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university life experiences and meaning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re is only one university that has a department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Korea.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5 students in the department.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this research.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s a result, 4 upper theme were categorized: (1) university, turning point of my life, (2) major, the group that I can mix with, (3) University, a small society before bigger society. and (4) The purpose of university life is finding a good job. These upper theme have 17 of sub-theme and 54 meaning units.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university is a place of students' growth. They went through all challenges they faced in university life and kept doing everything by themselves. They reconsidered their disabilities by experiencing small success and a sense of achievement through university life. Finally, students could be aware of their own abilities so that they realized their own growth. Second, the department is a place where the students can make friends and improve their interpersonal skills by getting along with friends. The students can have fellowship because they have the same pains in their lives. Also, professors and assistants in the department have close relationships with the students. The department is a solid foundation of support for the students in their hard university life. Third, the students were able to practice many things including personal relationship, leisure activities before graduation through university life. They received proper education focused on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students had difficulties when studying on their own. However, they didn’t give up studying and keep studying through supports of the department and personal efforts. Fourth, the purpose of participants in university life is to get a good job. Participants receive vocational education included in the curriculum and prepare for employment consistently. 이 연구는 대학의 정규 학위과정으로 개설된 발달장애인만을 위한 학과에 재학하는 발달장애대학생이 어떠한 대학생활경험과 그들이 구성하는 의미를 이해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5명의 참여자의 경험을 심층면담을 통해 구성하고 해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은 학생들에게 성장의 장소이다. 발달장애학생들은 대학생활을 통해 직면하는 다양한 모든 도전에 그들 스스로의 힘으로 해내고 있었다. 그들은 대학생활을 통한 성취감과 성공을 경험함으로서 그들의 장애에 대해서도 새롭게 생각하게 되었고 점차 자신의 능력을 확인하며 자신의 성장을 느끼게 되었다. 둘째, 학과는 학생들이 친구들과 사귈 수 있는 곳이었고 대학생활의 지지기반을 얻을 수 있는 곳이었다. 학생들은 서로에게 연대감과 친밀감을 느낄 수 있었다. 또한 교수와 조교는 학생들과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었다. 셋째, 대학생활을 통해 학생들은 졸업 전에 대인관계, 여가활동 등 많은 것을 연습할 수 있었다. 그들은 발달장애인에 초점을 맞춘 적절한 교육을 받고 있었다. 학생들은 그들 스스로 학업을 하는데 어려움이 있었으나 학과의 학업적 지원과 개인적 노력을 통해 포기하지 않고 학업을 지속해나갈 수 있었다. 넷째, 학생들의 대학생활의 목표는 좋은 직업을 갖는 것이었다. 학생들은 교육과정에 포함되어 있는 직업교육을 받고 있었고 취업을 위해 지속적으로 준비하고 있었다.

      • 이용자 의식조사를 통한 대학도서관의 공간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 대학생 이용자의 사용공간을 중심으로

        정지혜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논문은 현존하는 대학도서관의 공간과 시대 변화에 따라 요구되어지는 공간들을 종합하여 전통성과 미래가치가 공존하는 주요 기능별 대학도서관 공간분류를 도출하고, 대학생 이용자의 요구를 구체화하여 대학도서관 공간개선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선행연구와 국내외 사례를 통해 공간분류체계를 도출하고 대학도서관의 이용주체인 전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각 공간의 중요도와 선호도 조사를 통해 정량적, 정성적 분석을 실시하고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첫째, 대학도서관의 분류체계는 자료공간, 학습·열람공간, 기술지원공간, 교육·문화공간, 공유공간, 사무관리공간 까지 6개 부문으로 정의되었고, 중분류는 총 19개의 영역, 소분류인 단위공간은 총 42개의 공간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대학도서관 이용자의 이용행태를 분석한 결과 새로운 정보서비스가 창출되더라도 자료공간이나 학습/열람공간 등 전통적인 기존의 대학도서관의 기능은 여전히 이용률이 높을 것이라는 결과를 확인했다. 또한 이용 목적별 사용 공간을 확인한 결과, 목적과 공간의 활용도가 일치하는 패턴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보다 적극적인 대학도서관 활용을 위하여 장서에 대한 획기적인 보존방안을 수립 후 학생들이 원하는 다양한 기능을 수용하는 방향이 모색되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셋째, 대학도서관 공간의 중요도는 학습·열람공간, 자료이용공간, 교육·문화공간, 공유공간, 기술지원공간의 순서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도서관에서 학생이 이용하게 되는 공간인 5가지 부문, 40개의 단위공간 중 총 28개의 단위공간이 각 영역별 공간의 중요도에 영향을 주는 영향인자로 도출되었다. 자료공간부문은 주제자료영역, 일반자료영역, 보존서고 등의 순서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열람공간부문은 일반열람영역과, 개인이 이용 가능한 특수열람영역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디지털 도서관으로의 진화하는데 중점을 두는 최근의 추세에 반하여 전자정보영역에서는 정보검색공간만이 영향인자로 도출되었다. 기술지원공간 부문의 결과에서는 창의·협업영역이 중요도에 영향을 낮게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이용자들에게 공간에 이용에 대한 장점을 인식시키고 풍부한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공간의 활용에 대한 적극적인 권장이 요구됨을 확인하였다. 교육/문화공간 부문에서는 체험센터, 미디어감상실, 디지털기기 활용교육공간 등의 체험영역이 가장 높았다. 공유공간부문에서는 편의영역, 휴게영역, 공용/이동관련영역의 하위공간으로 11개의 단위공간이 제시되었으나, 다른 대분류 공간보다 비교적 적은 수의 중요도 영향인자가 낮게 도출되었다. 다섯째, 공간분류의 인자에 따른 대학도서관 공간의 선호이미지를 확인한 결과 자료공간과 학습열람공간은 현재보다 더 조용하고 자료(정보)가 풍부한 공간으로 개선되기를 원했다. 교육문화공간과 공유공간은 현재보다 더 자유롭고 활기차며 프로그램/시설이 풍부한 공간으로 변화되길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지원공간은 현재와 개선 후 모두 정숙도나 이용행태 관련해서 전체적으로 중립적인 의견이 많았으나 비교적 자유롭고 프로그램/시설 위주의 공간이 되기를 희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is study is conducted to derive university library’s main space classification by functions with traditionality and future values synthesizing spaces required from the changed spaces, time of current university libraries and to specify the needs of university students to suggest the orientation for space improvement of university libraries. It suggests space classification system from previous researches and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s, perform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to show improvement methods with targeting university students in nation as the users of university libraries. First of all, university library space classification system is defined as 6 parts from database space, learning·reading space, technology supporting space, education·culture space, sharing space to office management space with total 19 domains of sub-classification and total 42 of unit spaces. Secondly, as a result of analyzing utilization status of university library users, there is a huge utilization rate of traditional functions of university library such as learning·reading space or database space even new information services created. Also, resulting of checking utilization spaces depending on its purposes, it represents the pattern that the purpose and utilization of each space are same. Therefore, through this study, for more active university library utilization, it should establish an innovative preservation method for books and the orientation accepting various functions which student want. Thirdly, the importance order of space represents learning·reading space, data utilization space, education·culture space, sharing space and technology supporting space in orderly. Fourthly, total 28 unit spaces from 40 unit spaces, 5 parts of utilization space used by university students in university library, are found that they are influencing factors for importance order of the spaces of each domain. There are influences from database space domain, subject data, general data, and book preservation in orderly. Learning·reading space domain represents influences from general reading domain and special reading domain which is available for individuals. With recent trend focusing on the library’s digitalization, electronic information domain represents that only information searching space as the influencing factor. For technology supporting space, creativity·collaborating domain has low influence on importance order. Therefor, it is confirmed that the needs for active space utilization with offering various programs and making recognition of advantages of space utilization by users. For education·culture space, experience center, media hall, digital tool utilization learning space were the most important spaces. For sharing space domain, there were 11 of unit spaces as sub spaces with convenient domain, resting, public and moving related domains comparing other classified spaces showing relatively low numbers of importance influencing factors. Lastly, depending on space classification factors, it finds preference image of university library space as database space and learning·reading space to be improved more quiet space with more various data(information) than current status. Education·culture space and sharing space should be more vivid and free space with various programs and facilities. Technology supporting space should have free program and facility focusing space relatively with many neutral opinions about silence and utilization status for current and after the improvement do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