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교과과정 운영체제에 대한 만족도 조사

        박하나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87

        본 연구의 목적은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교육 전공생을 대상으로 교육대학원 음악교육 교과과정 운영체제에 대한 만족도조사를 통해 교과과정 운영체제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이 나아가야 할 미래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는 총 48명의 재학생 중 연구자를 제외한 47명(N=47)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모형은 질적연구방식이 주가 되며, 양적연구방식이 부로 이루어진 혼합설계로 설문지법과 면접법을 사용하였다. 설문지법은 총 31문항으로 구성된 검사도구와 서술형 질문으로 이루어졌으며, 면접법은 4차와 5차 재학생 6명을 대상으로 2012년 5월 14일, 5월 15일, 5월 17일에 3번에 걸쳐 면접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교육 전공생들이 가장 만족하는 점은 학교의 명성, 학교의 도서관이 제공하는 서비스와 환경, 교수의 가르침 순서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만족하지 못하는 점은 장학금, 학교교실 환경, 각 수업의 학급 인원 수, 행정서비스의 질의 순서인 것으로 나타났다. 3번의 면접법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개선되어야 할 점으로는 교수의 전문성, 전임교수의 부재, 과목 선택권의 문제, 서양음악전공생과 국악전공생의 통합수업으로 인한 문제점, 논문지도 문제, 학습시설 부족, 행정적 시스템의 문제, 임용고시와의 연계성 부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의 발전을 위하여 ① 음악교육전공 전임교수 배정 ② 음악교과교육학 과목에 있어서 1차와 2차 재학생, 3차 이상 재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같은 과목 2개 분반 수업 실시 ③ 서양음악전공생은 국악과목 의무 수강, 국악전공생은 서양음악과목 의무 수강 ④ 음악교과내용학 과목 현행 2과목에서 3과목 개설로 선택권 확대 ⑤ 음악교과내용학 과목에 있어서 전문성 있는 교수 배정, 특히 국악 전공과목에 대한 전문성 있는 교수 배정 ⑥ 4차, 5차 때 논문 작성을 위한 연구방법론 수업 개설 ⑦ 가논문 심사 실시 ⑧ 실기과목의 경우 원활한 수업 진행을 위한 학습 기자재 지원의 해결책을 제시하는 바이다. 본 연구 결과와 제시된 해결책을 기초로 하여 발전되는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level of satisfaction on the curriculum and the system of music education in Chungang graduate school and to suggest the right solutions to improve the issues by the graduate students' opinions who are majoring in music education. This research was conducted with 47 students(N=47) and questionnaire methods and interview method were used for qualitative research. The questionnaires consisted of 31 questions and short-answered questions were also given to the respondents. Interview method was carried with 6 students in 4th and 5th semester in May 14th to 17th, 2012.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tudents who are majoring in music education in Chungang graduate school satisfied the most in school reputation, services by library and lessons professors provide in order. Second, the least gratifying issues were scholarship, poor classroom environment, the number of students in each class and the quality of the service of administration. Finally, the common issues that students point out as they should be improved were the professionalism of professors, lack of full-time professors, options students have when choosing courses and the problems by course combination between different majors such as that of western music and traditional Korean music. Not only that, lack of the facility for studying, the problem by school administration, and the low relation between the curriculum and National teacher certificate examination. Conclusion from abridged results are as follows.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education that graduate students provided, school should provide students with ⅰ)allocation of full-time professors ⅱ) separation of the same classes so that students can choose the courses based on the semester ⅲ) mandatory classes for different majors such as western music majors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majors. Also, ⅳ) extended options for choosing courses ⅴ) recruitment of professors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class ⅵ) introduction of pre-examination system for a thesis ⅶ) providing enough facilities for practice were suggested as well. This research result shows that the perception music education majors have. Through this research, many respondents points out problomatic issues and their solutions which will lead the music education of Chungang graduate school to more improvement.

      • 한중 대학원생의 거절 화행 비교 연구 : 대학 내에서의 요청 상황을 중심으로

        왕성 中央大學校 大學院 2018 국내석사

        RANK : 248671

        본 연구는 대학 내 요청 상황에서 한국인 대학원생과 재한 중국인 대학원생의 거절 화행 양상을 비교⦁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재한 중국인 대학원생의 거절 화행 양상을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거절 화행과 관련된 선행 연구를 살펴보고 Beebe, Takahashi & Uliss-Weltz(1990)과 Lyuh(1992)와 이해영(2003)에서 제시한 거절 화행 전략 틀을 중심으로 김유향(2008), 김정은(2011), 강효정(2015)에 제시한 전략들을 참고하여 거절 화행 전략은 직접적인 거절 전략, 간접적인 거절 전략 및 부가 전략으로 나누어 본 연구의 거절 화행 전략 틀을 고안하였다. 다음으로 재학 중인 20대의 한국인 대학원생과 재한 중국인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담화완성형테스트(DCT)를 이용하여 자료 수집하였다. 본 연구는 전반적인 재한 중국인 대학원생 집단의 거절 화행 양상을 분석하기 위해 전체 한국인 대학원생과 재한 중국인 대학원생의 거절 전략 사용 횟수, 전략 결합 양상 및 세부적인 전략 결합 사용 양상을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재한 중국인 대학원생 집단 내에 한국 거주 기간별 거절 전략 사용 양상을 비교⦁분석함으로써 한국 거주 기간에 따라 거절 전략의 사용이 어떠한 변화가 일어나는지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대학 내에서의 요청 상황별로도 전략 결합 사용 양상과 거절 부담감 및 거절 후 심리 상태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한 중국인 대학원생 집단이 간접적인 거절 전략을 다른 전략 유형보다 많이 사용하였고 ‘간접(+간접)’ 전략 결합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 거주 기간에 따라 ’직접+부가’와 ‘직접+간접’ 전략 결합의 사용이 곡선적인 형태의 변화 양상을 보였다. 셋째, 재한 중국인 대학원생 집단이 ‘확답 연기’, ‘수락 미루기’와 같은 회피 전략을 선호하고 ‘호칭’을 과도하게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재한 중국인 대학원생 집단이 한국인 대학원생 집단보다 교수의 거절에 대해 부담과 불편함을 덜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 분석한 결과를 보면 재한 중국인 대학원생 집단이 대체적으로 높은 수준의 한국어 화용언어적 능력을 갖추고는 있으나 아직 한국어 사회화용적 능력이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재한 중국인 대학원생이 내적인 의도를 자유롭게 표현하지 않고, 조심스러운 태도로 예의를 갖추고, 거절 화행을 사용하는 모습을 보았을 때 한국 문화에 적응하기 위해 많이 노력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대학 내 요청 상황을 중심으로 중국인 대학원생의 거절 화행 사용 양상에 초점을 맞추어서 분석하였으므로 화용언어적 능력뿐만 아니라 사회화용적 능력까지 고찰한 데에 의의가 있다고 본다. 그러나 연구 참여자의 수와 소재 대학이 제한적이며 다양한 절차를 거쳐 객관적인 조사 자료를 만들고자 하였으나 실제 언어생활을 반영하기에는 여전히 부족한 자료라는 점에서 그 한계점이 있다. The present study aims to compare and analyse the patterns of refusal speech act of Korean and Chinese graduate students living in Korea under request situations in college and to identify the patterns of refusal speech act of Chinese graduate students living in Korea. The authors first examined the previous research related to the speech act, referred to the strategies presented in studies conducted by Kim Yoo Hyang (2008), Kim Jeong-eun (2011), and Kang Hyo Jeong (2015), focusing on the strategy framework of refusal speech act presented by Beebe, Takahashi & Uliss-Weltz (1990), Lyuh (1992), and Lee Hae Young (2003), and divided the refusal speech act strategy into direct, indirect, and adjunct categories to devise the strategy framework of the refusal speech act. The authors administered a Discourse Completion Test (DCT) to collect data from Korean and Chinese graduate students in their 20s, who are currently living and attending school in Korea. To analyse the overall patterns of refusal speech act of the Chinese student group, the authors compared and analysed the usage frequency of the refusal strategy as well as the usage patterns of the strategy combination and detailed strategy combination of both the student groups. Furthermore, the authors examined the changes that occur according to the period of residence in Korea by comparing the analysing the refusal strategy patterns for each residence period. Finally, the authors examined the patterns of strategy combination usage, refusal burden, and psychological state after refusal for every request situation in colleg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hinese graduate student group living in Korea used indirect refusal strategy more than other strategy types, and most preferred to use ‘indirect (+indirect)' strategy combination. Second, according to the period of residence in Korea, the use of ‘direct + adjunct' and ‘direct + indirect' strategy combinations underwent a curvilinear change; consequently, there were considerable differences in the usage patterns of the Korean graduate student group. Third, the Chinese graduate student group preferred avoidance strategies, such as ‘postponement' and ‘acceptance delay', and excessively used ‘title'. Fourth, the Chinese graduate student group felt less burden and discomfort in terms of the professor's refusal, compared to the Korean graduate student group.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the Chinese graduate student group had a high level of Korean pragma-linguistic ability; however, it lacked the Korean socio-pragmatic ability. Nevertheless, these students are investing considerable efforts in adapting to the Korean culture, judging by their behaviour of not freely expressing their internal intentions, carefully practicing courtesy, and performing the refusal speech act. The present study focused on analysing the patterns of refusal speech act realisation of Chinese graduate students, who have a relatively high Korean pragmatic ability than other learner groups, under request situations in college.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examines not only pragma-linguistic ability but also socio-pragmatic ability. However, it has the following limitations: first, the number of participating students and colleges were limited; and second, although the authors attempted to present objective research data using various procedures, it does not sufficiently reflect the actual language of students.

      •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에 관한 메타분석 : 1999년-2010년 연극·영화 분야를 중심으로

        차재영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71

        본 논문의 목적은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공연영상학과 연극과 영화 분야 석사학위 논문의 경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논문의 메타분석에는 처음 석사학위가 발표된 1999년부터 2010년 봄 학기까지 나온 연극과 영화 전공분야의 72편의 논문이 연구대상이 되었다.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공연영상학과가 석사학위를 배출한지 11년이 되었고, 배출한 학위논문 수가 총 830편이 되었지만, 어떠한 학문적 발자취를 갖고 있고 있는지에 관한 연구가 없었다. 그래서 이번 기회에 본 연구자는 그동안의 학문적 역사를 돌아보고, 현재와 미래를 위한 도약의 의미에서 연구자의 전공분야인 연극·영화 분야 논문 72편을 메타분석하게 되었다.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공연영상학과 연극·영화 분야에서 11년 동안 배출된 석사논문 72편중 연극전공 논문이 38편이고, 영화전공 논문이 34편으로 비교적 비슷한 수치를 보이고 있으며, 논문 주제 면에서는 72편이 모두 다 색다른 주제를 다루고 있을 정도로 다양성을 나타내고 있다. 그런 면에서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공연영상학과 연극·영화 분야 논문은 우리나라 연극·영화 분야의 학문적 보고(寶庫)라 칭할 수 있다. 전공별로 논문주제를 살펴보자. 38편의 연극 전공자들의 논문주제를 보면, 영화전공자들보다 주제면으로 훨씬 더 다양성을 보여주고 있다. 너무 다양하여 영화처럼 몇 가지로 범주화하기 어려울 정도이다. 특징적인 주제를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연극 작업일지, 전통탈, 판소리, 얼굴분장, 성우, 뮤지컬, 패션쇼, 마술, 조명, 가극, 연기훈련 등이다. 영화는 34편으로, 주제를 세분화해보면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영화제작, TV드라마 제작, 영화 비평 및 분석. 연구방법 측면에서 보면, 문헌연구(47.2%)와 사례연구(44.4%)가 매우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그 외의 비교연구(6.9%)와 실험연구(2.7%)는 가장 적게 활용된 연구형태이다. 본 연구는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연극·영화 분야의 최초의 메타분석적 연구논문이며, 지금까지 졸업생들이 발표한 모든 논문의 흐름을 한 눈에 살펴 볼 수 있는 객관적이고 통합적인 데이터를 도출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본 연구를 기초로 앞으로도 연극·영화 분야 전반에 관한 경향분석 및 메타분석이 꾸준히 연구되길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master's theses(from years 1999 to 2010) in the fields of theater and film of The Graduate School of Arts at Chung-Ang University. In this meta-analytic study, 72 theses in the two fields are utilized. Among the 72 theses, the theses are rather evenly divided in terms of the majors: 38 in theater, and 34 in film. Interestingly, the topics of the theses are so diverse that almost all of the theses deal with different topics. Among the 34 theses in the field of film, there are three major topics: film production, TV drama production, and film criticism and analysis. In the field of theater, there were more diverse topics than in film. The topics of the master's theses are diverse indeed; they can be categorized into a few sub-areas: daily logs of productions, traditional masks, pansori(Korean traditional style operas), make-up, voice acting, musicals, fashion shows, magic shows, lighting, North Korean operas, acting training, performances, etc. In addition, the quality of each thesis is sufficiently high to be used as good research data for future research in the fields. In the light of research methods, these are relatively skewed; researchers mostly used the methods of literature review (47.2%), and case study (44.4%), followed by comparative study (6.9%), and experimental research (2.7%). This thesis is the first meta-analytic thesis in the field of theater and film of The Graduate School of Arts at Chung-Ang University. In that sense, this work is meaningful since it shows an objective bird's-eye view of the all theses in the two areas. It is this researcher's hope that further meta-analytic research in the fields of theater and film would be continued, based upon this study.

      • 중앙대학교 아이덴티티시스템 디자인(University Identity System) 적용에 대한 실증연구 : 중앙대학교 서울캠퍼스와 안성캠퍼스를 중심으로

        고신주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55

        The UI system of a good university is part of the work to instill a good image of the school in the recipients and to strengthen its influence through it. As a whole, if the UI system of the university is properly utilized, various visual elements of the university image are comprehensively unified planning and design, the school establishment ideology,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abstract language are converted into concrete symbol concepts to tangibly display, organize, unify, It is possible to form a differentiated image of the university by realizing the founding philosophy and spiritual culture of the university through standardized and systematized visual measures. This study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ory and practice by providing new ideas and methods for building the image of Chung-Ang University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UI system construction of Chung-Ang University based on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university UI system, pointing out problems and suggesting solutions. This study is expected to lay the foundation for creating a UI design environment inside and outside the school and enhancing the image of the school by pointing out the errors in actual use through research and analysis of the UI system of Chung-Ang University. By examining the University's 'Integrated Design Management Manual' and examples of misuse based on this manual, we present an efficient management plan for the Chung-Ang University UI system to raise awareness of the correct use of the Chung-Ang University UI system and to increase awareness of how to write more accurately. aims to increase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is conducted. The method of this study combines theoretical exploration and empirical research on university UI system management. Theory inquiry examines the literature and previous studies of UI system and UI design and theory of universities. An empirical study is conducted based on these prior studies and literature review. The scope of the empirical study is for all designs to which Chung-Ang University's Seoul Campus, Anseong Campus, and Chung-Ang University UI system are applied. The above research method derives detailed research questions and proceeds step by step.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nd their composition are as follows. Research Questions: 1. Is Chung-Ang University UI system being used properly? 2. If it is not used properly, what kind of error is there? 3. How should the UI system that turns out to be an error be corrected? The implications suggested through this research question are as follows. First, it is proposed to emphasize the trinity of MlS, BIS, and VlS. When instructing the UI system, the university must review the image that the university must establish, and then smoothly communicate and exchange with the image designer of the UI system. can form the overall image of the university. Second, it is proposed to ensure the continuity and consistency of the UI system implementation of universities. The university's ui system strategy cannot produce results in a short period of time. Therefore, in each stage, continuous consistency in operation and content before and after must be guaranteed, and it must be presented in a unified standard format. Apply the visual image elements equally to various internal and external designs, strictly follow the norms, and do not change the original design at will. Third, it is proposed to raise th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the university UI system among the recipients. The driving force behind school image making comes from the cooperation of the leader and all members. It must be organized and supportive, and university image making is not an individual activity but a group activity. The behavior of the inmates who are the main actors in introducing and implementing the university UI system strategy program is important to reflect the image of the school. Inmates' understanding and recognition of school values, behavioral norms, and support for and voluntary participation in the university UI system are the basis for successful school image making. 우수한 대학의 UI 시스템은 학교의 좋은 이미지를 수용자들에게 심어주고 이를 통해서 영향력을 강화하기 위한 작업의 일환이다. 전체적으로 대학 의 UI 시스템을 제대로 활용하면 대학 이미지의 다양한 시각적 요소를 포괄적으로 통일된 기획과 디자인, 학교 설립이념, 문화적 특질 및 추상적인 언어를 구체적 기호 개념으로 전환하여 유형적으로 전시하고, 조직화, 통일화, 표준화, 체계화된 시각적 방안을 통해 대학교의 설립이념과 정신문화를 구현하여 차별적인 대학교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대학 UI 시스템을 이론적 기반으로 중앙대학교의 UI 시스템 구축을 조사·분석하여 문제점을 지적하고 해결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중앙대학교의 이미지 구축에 새로운 아이디어와 방법을 제공하게 됨으로써 이론과 실천에 중요한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중앙대학교의 UI 시스템에 대한 연구와 분석을 통해 실제 활용의 잘못된 점을 지적함으로써 학교 내·외부 UI 디자인 환경을 조성하고 학교의 이미지를 제고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하며, 중앙대학교의 '디자인 통합 관리 매뉴얼'과 이 매뉴얼을 기반으로 잘못 활용된 사례를 위 주로 살펴봄으로써 중앙대학교 UI 시스템의 효율적 관리방안을 제시하여 올 바른 중앙대학교 UI 시스템 사용에 관한 인식을 높이고 더 정확하게 쓰는 방법의 자각성을 높이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를 진행한다. 본 연구의 방법은 대학 UI 시스템 관리에 대한 이론 탐구와 실증조사를 병행한다. 이론 탐구는 대학의 UI 시스템과 UI 디자인 및 이론의 선행연구와 문헌을 고찰한다. 이러한 선행연구와 문헌고찰을 바탕으로 실증조사를 실시한다. 실증조사 범위는 중앙대학교 서울캠퍼스와 안성캠퍼스 및 중앙대학교 UI 시스템이 적용되어 있는 UI 디자인을 대상으로 한다. 이상의 연구방법은 세부 연구문제를 도출하여 단계별로 진행한다. 구체적인 연구문제와 구성은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중앙대학교 UI 시스템은 제대로 사용되고 있는가? 2. 제대로 사용하고 있지 않다면 어떤 오류가 있는가? 3. 오류로 판명된 UI 시스템을 어떻게 수정해야 하는가? 본 연구문제를 통해 제안하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MlS, BIS, VlS의 삼위일체를 강조하는 것을 제안한다. 대학은 UI 시스템을 지도할 때 반드시 본 대학이 수립해야 할 이미지를 검토한 후 UI 시스템의 이미지 설계자와 원활하게 소통하고 교류해야 MlS, BIS, VlS 3자가 상호 융합하여 하나의 공통된 이념을 전달하여 하나의 대학의 전체적인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다. 둘째, 대학의 UI 시스템 집행의 연속성과 일관성을 보장하는 것을 제안한다. 대학의 UI 시스템 전략은 단기간에 성과를 낼 수는 없다. 따라서 각 단계에서는 반드시 전후의 운영상과 내용상의 연속적인 일치성을 보장해야 하며, 통일된 표준 형식으로 나타내어야 한다. 시각적 이미지 요소를 각종 대내외 설계물에 동일하게 적용하고, 규범을 엄격히 준수하며, 마음대로 원래의 디자인을 변경하지 않는다. 셋째, 수용자의 대학 UI 시스템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것을 제안한다. 학교 이미지 메이킹의 원동력은 리더와 전 구성원이 힘을 합치는 데서 나온다. 반드시 조직적이고 지지를 가져야 하며, 대학 이미지 메이킹은 개인 행위가 아니라 일종의 집단 행위이다. 대학 UI 시스템 전략 프로그램을 도입하고 실행하는 주체가 되는 수용자들의 행동은 학교 이미지를 반영하는데 중요하다. 수용자의 학교 가치 관념, 행동 규범에 대한 이해와 인정, 대학 UI 시스템에 대한 지지와 자발적 참여는 성공적인 학교 이미지 메이킹의 기초가 된다.

      • 교육대학원 커리큘럼과 2009 개정 교육과정 비교 연구 : 중학교 음악교과를 중심으로

        이수지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논문은 중등 교원양성기관인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의 커리큘럼’을 ‘2009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들과 비교·분석하여 대학원 커리큘럼이 적절한지 살펴 본 논문이다. 본 논문에서 음악교과 중등학교 정교사 자격을 부여하는 서울 10개 ‘교육대학원’과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중학교 음악과 교육과정을 비교 대상으로 표현·감상·생활화 영역을 각각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표현’ 영역 비교의 경우, 어떤 이론을 가르치는 것 보다는 창의적이고 개성있는 표현을 중시하는 교육 영역에 속하는데, ‘교육대학원 커리큘럼’은 지식을 먼저 쌓는데 주력한 커리큘럼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감상’ 영역 비교의 경우, 기존의 ‘2007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없었던 새로운 영역인데, ‘교육대학원 커리큘럼’은 감상보다는 이론이 주를 이루고 있어서 이 영역의 내용체계 및 목표를 이해하고 가르치는데 만족하기 어려운 커리큘럼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생활화’ 영역 비교의 경우, 생활 안에서 적용하여 습득하는 것을 목표로 하지만, ‘교육대학원 커리큘럼’은 이론을 바탕으로 한 교과목들로 구성되어 있어 이 영역이 추구하는 음악교육 당위성의 이해와 체험활동을 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커리큘럼임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교육대학원의 커리큘럼이 ‘2009 개정 교육과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이론과 실제, 서구와 비서구, 국악과 서양음악이라는 이분법적 학습체제에서 벗어나야한다. 본 논문에서 교육대학원 커리큘럼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주제를 기준으로 하여 관련된 현상을 포괄적으로 다루는 구성주의의 문제 중심 학습기법인 ‘PBL’ 교육법 활용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이 논문을 통해 바람직한 음악 교사의 능력과 자질을 기를 수 있는 여건과 기반이 교육대학원 커리큘럼의 변화와 개혁에 있음을 인식할 수 있길 기대한다. This paper was designed to discuss whether the curriculum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 training institution for secondary school teachers, would be appropriated for students. To do this, 'music curriculum 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ould be compared with '2009 revised curriculum'. More specifically, ten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which have granted the certification of full-time music teacher, and '2009 revised music curriculum at middle schools' were compared in terms of how to express, how to listen, and how to make music a part of our lif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in the area of 'expression', students' creativity and their own characteristics should be focused: however, knowledge has been more emphasized in the curriculum of the graduate schools than other skills and abilities. Secondly, in the area of 'listening to music', a newly adopted area in 2009, the curriculum didn't seem to satisfy the purpose of music education since the contents were more related to theories than music listening. Thirdly, in the area of 'making music a part of life', since the curriculum consisted of many subjects related to theories, it seemed to fail to pursue the main purpose of education - understanding the reason why students learn music and perform various activities. Thus, the curriculum of the graduate school of music education should be made on the basis of '2009 revised curriculum'. To do this, a dichotomous teaching method in music education - theory and reality, western style and non-western style, Korean classic and western music - should be avoided. To achieve the purpose, this paper has suggested to employ 'PBL' method, a constructive learning method focusing on problem solving, which comprehensively deals with the three areas of music education. Summing up, this study would suggest the need for changes in the curriculum of the graduate school, in order to develop an appropriate environment for improving the abilities and the qualifications of music teachers.

      • 대학정원 자율화 정책의 특성 분석

        장석환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865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historical process and features of the university enrollment self-regulation policy since its initiation by the Civilian Government. The study focuses on the following questions: 1) How can we def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iversity enrollment self-regulation policy initiated by the civilian government? 2) What are the resulting effects this policy has had on the number of students and the quality of university education? 3) What problems arise from the promotion of university enrollment self-regulation? This study applied the descriptive policy analysis method. Data was drawn from interviews with people who have been in charge of college enrollment at 4-year universities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in South Korea. Several documents were examined such as higher education law, guidelines for governmental policy, and statistical data related to the university enrollment polic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The university enrollment self-regulation policy has been administered persistently since its initiation by the Civilian government. As a result of the policy efforts, the autonomy to decide the number of new enrollees in universities was encouraged. The sharp increase of the student quota during the five-year period after 1994 (during the time of the Civilian Government) contributed to the increase in the student-teacher ratio. Even though the Government predicted that the entrance quota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would become greater than the number of high school graduates, it attempted to place more emphasis on a social demand for the expansion of the opportunity of college education and actual conditions of universities than on educational quality of universities in administrating the university enrollment self-regulation policy. Therefore, the Government set up a standard for quota-increase lower than what was specified in the law. As a result, the number of students in universities increased and educational quality went down. This led to the reduction of the university enrollment quota under the successive government, the Participation Government. As a result of this new policy, contrary to the Civilian government, the number of students in universities decreased and the quality of education increased.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government needs to expand the university enrollment self-regulation policy so that universities can adapt to changing environments. This is chiefly due to the fact that school-aged population would gradually decrease in ten years and there is a strong possibility that the government will have trouble controlling the university enrollment quota. 이 연구는 대학정원 자율화를 표방한 문민정부 이후 대학 정원정책의 변천과정을 분석하여 그 특성을 규명하고, 정원정책의 변화에 따라 대학의 학생정원 규모와 대학교육의 질적 수준이 변화되어 온 양상을 밝힘과 동시에 대학정원 자율화의 과제를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의 분석 대상은 4년제 일반대학을 대상으로 한 학부와 대학원 정원정책으로 하였고,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연구와 통계자료 분석, 그리고 교육부와 대학의 정원업무 담당자에 대한 면담 및 의견조사를 병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민정부 출범 초기에 대학정원의 결정권은「교육법」체계에 의해 교육부장관에게 있었으나 문민정부 출범 후 대학정원 자율화 계획에 따라 대학이 자율적으로 정원을 결정할 수 있는 범위가 확대되어 왔다. 즉, 문민정부 출범 이전에는 교육부가 국가 인력수급 계획과 대학의 교육여건 등을 평가하여 개별 대학의 증원 규모와 대학의 학과 신설 등을 결정하여 왔으나 문민정부 출범 후인 1994학년도부터 자율 역량을 갖춘 대학에 대하여 단계적으로 정원 자율화를 추진한다는 계획에 따라 제한적인 범위에서나마 대학이 자율적으로 정원을 조정할 수 있는 길을 마련하였다. 1997학년도에는 일정한 교육여건을 갖춘 대학은 증원 규모까지도 대학 자율로 결정할 수 있게 되었고, 이와 같은 대학정원 자율화 정책은 문민정부 임기 말에「고등교육법」제정으로 법제화되었으며, 국민의 정부와 참여정부에 계승되었다. 국민의 정부 이후 대학 정원정책은 법령상의 정원 증원기준과 교육부장관이 지침으로 정한 정원책정기준이 서로 부합하지 않는 모순이 있었으나 점차 법령에서 정한 기준에 부합하도록 교육부 지침상의 기준이 강화되어 왔으며, 2007학년도에는 법령상의 기준과 지침상의 기준이 일치하게 되었다. 그리고 참여정부 임기 말에는 교육부장관이 정해 온 정원책정기준을 폐지하고 법령에서 정한 기준에 따라 대학이 학생정원을 결정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은 대학정원 자율화 정책은 시기적으로 다소 차이가 있지만 대학원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적용되었다. 둘째, 문민정부와 국민의 정부에서의 대학 정원정책은 대학교육의 질 보다는 대학의 현실적인 교육여건과 대학에 진학하고자 하는 사회수요를 더욱 고려하여 추진되었다. 대학이 학생정원을 정하는 기준인 정원책정기준을 법령에서 정한 기준보다 낮게 책정함으로써 학생 수는 늘어났고 대학교육의 질은 떨어졌다. 문민정부와 국민의 정부 10년간 대학 입학정원은 10만 7천여명 증원되었고, 대학교육의 질적 지표인 학생충원율은 낮아졌으며, 교원1인당 학생 수는 높아졌다. 이에 따라 참여정부는 대학 통·폐합, 학생정원 감축 등과 같은 대학 구조개혁 방안을 마련하여 강력하게 추진하였고, 정원책정기준 또한 이전 정부에서 예고한대로 일관성 있게 강화되어 왔다. 그 결과 참여정부 5년간 대학 입학정원은 5천여 명 감축되었고, 대학교육의 질은 그 이전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아지게 되었다. 셋째, 대학정원 자율화 정책의 결과, 2008년 10월 현재 정부가 대학의 정원 관리에 개입하는 사항은 매우 제한적이다. 학부는 국·공립대학과 수도권 대학의 정원 증원, 보건의료·사범계 학생정원 관련 사항이 해당되고, 대학원의 경우에는 국·공립대학의 정원 증원과 대학원 추가 신설, 모든 대학의 전문대학원 신설, 교육대학원 및 원격대학원 신설·증원이 해당된다. 그 외의 사항은 대학이 자율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이나 대학정원 자율화의 관점에서 보면, 여전히 정부가 규제하고 있는 사항이 있다. 학부와 대학원간 학생정원의 상호 조정이 금지되어 있다. 이 연구는 장래 학령인구와 고등교육기관의 입학정원의 추세로 볼 때, 대학이 자체적으로 구조 조정할 수 있도록 정부가 미리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보고 있다. 대학 정원정책에 있어서는 자율화를 확대하고 사회 수요에 맞추어 대학이 탄력적으로 정원을 조정하도록 현재의 교육여건을 악화시키지 않으면서 학부와 대학원간 정원을 상호 조정하도록 허용해야 한다는 것을 제언하고 있다.

      • 한·중 대학원생의 읽기 전략 사용 양상 비교 연구 : 논문 읽기를 중심으로

        염빈 中央大學校 大學院 2018 국내석사

        RANK : 248655

        As Korea develops very rapidly, the number of foreign students who go to Korea for future study, especially foreign students for academic purpose is growing rapidly. Although they entered into the graduate school in Korea with high Korean proficiency, because they cannot read the theses effectively, they are still facing many difficulties. Therefore, this paper conducted the study by focusing on the thesis reading strategies. This paper is aimed to present the educational implication of the thesis reading strategies for the Chinese learners, by revealing the differences in the comparison of the reading strategies used by 50 Chinese learners with academic purpose and 20 Korean graduates students. This paper conducted the analysis through survey.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rough SPSS.19 statistical program. T-test was conducted in order to figure out the differences of the reading strategies used by those two groups.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When reading the thesis, strategies like “predicting the results from the title”, “understanding the words from the context”, “using the background knowledge”, “summarizing and assessing”, “using the previous studies”, “learning the contents through graphs and pictures”, “exchanging opinions with others”, and “asking professors about the contents that they don’t understand” were used more by Korean graduate students. Strategies like “grammatical strategies” and “modifying the reading speed” were well used by the Chinese students. On the other hand, Korean graduate students, as native speakers, used the strategy “vitalizing background knowledge” more so as to carry out the academic study. In addition, their active learning attitude can be also seen. Meanwhile, Chinese graduate students have reached advanced level in Korean proficiency, but it can be predicted that because of lack of thesis reading strategies, they understand the thesis very passively. This paper presented simply the education implications focusing on top-down strategy, assistive strategy and social strategy with the purpose of helping Chinese graduate students read thesis effectively.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for the tutors to teach the students top-down strategy for foreign students’ effective thesis reading. Tutors should introduce the implications and structure of the thesis, and help the students learn about the background knowledge related to the thesis by reading more usually. Moreover, when reading thesis, learners should do many exercises of predicting the meaning of the new words or grammar from the context. Secondly, it is necessary to teach the academic learners meta-cognitive strategy to read the thesis actively. Learners should identify the thesis contents by inquiry or summarizing during the reading process so as to cultivate the meta-cognitive strategy. In addition, it is good to organize and present their shortcomings after reading an appropriate academic text in order to cultivate the learners’ critical reading ability. Thirdly, as for the assisitive strategy, tutors should emphasize the role of the bibliography and teach them the method of using the bibliography. Furthermore, because the pictures and graphs from the thesis reflect the research contents, it is necessary to conduct exercises of reading in a short time. Fourthly, academic Korean learners should actively use the social strategy including discussion and inquiry in order to adapt to the study in the graduate school in Korea. The tutors should actively lead the learners by the way of inquiry, suggestion and presentation. It is hoped that through this paper, the importance of the thesis reading strategy can be well recognized and the strategies that should be mastered when reading can be helpful in the thesis reading education. 한국의 급격히 발전으로 최근 몇 년 동안 한국에 유학하는 외국인 유학생 특히 학문목적 유학생의 수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비록 한국어 고급 수준을 가지고 한국 대학원에 들어가지만, 효율적으로 논문을 못 읽는 바람에 어려움을 많이 겪고 있다. 이어서 본 고는 논문 읽기 전략을 중심으로 연구하고자 하였다. 본고는 한국 인문대학원 재학 중인 중국인 대학원생 50명과 한국인 대학원생 20명을 대상으로 논문을 읽는 데에 사용하는 읽기 전략을 비교함으로써 차이를 밝히고 중국인 대학원생을 위하여, 논문 읽기 전략에 대한 교육적 함의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본고는 설문지를 이용해 분석하였고 설문지는 중국인 대상자와 한국인 대상자에 따라 두 본을 만들었다. 그리고 모두 수집된 설문지는 spss.19 통계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고 또한 두 집단 간의 읽기 전략 사용의 차이를 잘 밝히기 위해 T-검정을 실시하였다. 조사한 결과는 논문을 읽는 데에 ‘제목을 보고 결과를 추측하기’ 전략, ‘문맥을 이용해 단어를 이해하기’ 전략, ‘배경지식을 활용하기’ 등 하향식 전략, ‘요약하고 평가하기’전략, ‘참고문헌을 이용하기’전략과 ‘도표나 그림을 이용해 내용을 인식하기’ 등 보조 전략, 그리고‘다른 사람과 의견을 나누기’ 전략과 ‘이해가 안 되는 내용을 교수한테 여쭤보기’ 등 사회 전략은 한국인 대학원생이 더 많이 사용하지만 ‘문법 전략’, 등 상향식 전략은 중국인 대학원생이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한편으로 한국인 대학원생은 모국어화자로서 논문을 잘 읽기 위해 배경지식을 활성화하는 전략을 많이 사용하며 능동적 학습 자세도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중국인 대학원생은 비록 한국어 고급 수준에 달하지만 논문 읽기 전략 사용이 부재하여 수동적으로 논문을 이해한다는 것도 확인할 수 있다. 중국인 대학원생이 효과적으로 논문을 읽기 위해 본고는 하향식 전략, 보조전략, 사회전략을 중심으로 간단한 교육적인 함의를 제시하였다. 첫째, 하향식 전략은 한국어 능력이 높은 독자가 자주 사용하는 전략이기에 적절히 교육할 필요가 있다. 효과적으로 논문을 읽기 위해 교사는 논문의 의미, 구성 등 배경지식을 활성화하도록 많이 유도해야한다. 그리고 중국인 대학원생은 논문 제목을 보고 연구 방법과 연구 결과를 추측하는 전략, 또는 문맥을 이용해 의미를 추측하는 전략을 적절하게 학습해야 한다. 둘째, 중국인 대학원생은 능동적으로 논문을 읽을 수 있도록 적절한 초인지 전략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논문을 읽다가 읽은 내용을 스스로 확인하거나 논문을 읽은 후에 요약하고 평가하는 연습을 많이 하는 것은 좋다고 본다. 셋째, 논문 보조 전략을 파악하기 위해 중국인 대학원생은 주석과 참고문헌에 대한 바른 인식을 가지고 논문을 읽는 데에 활용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또는 그림과 도표는 내용을 반감 할 수 있으므로 짧은 시간 내에 읽을 수 있도록 연습을 많이 해야 한다. 넷째, 논문 읽기를 잘 하기 위해 중국인 대학원생에게 적절한 사회 전략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논문 읽기를 끝낸 후에 동료와 견해를 나누거나 이해가 안 되는 부분을 교수님꼐 질문하는 연습을 많이 하면 좋다고 본다. 본고를 통해 논문 읽기 전략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또는 논문을 읽는 데에 꼭 파악해야 하는 읽기 전략을 제시하여 논문 읽기 교육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영유아기 자녀를 둔 엄마대학원생의 학업·양육 병행 경험 및 양육지원에 대한 요구 : 유아교육 전공자를 대상으로

        정현정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일반대학원 박사과정에 재학 중인 유아교육전공자 중 유아기 자녀가 있는 엄마대학원생들의 학업과 자녀양육 병행에 대한 경험을 심층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이를 바탕으로 영유아기 자녀가 있는 기혼 여성 대학원생이 국가·사회적으로 요구하는 바를 인지하며, 적절한 양육지원제도의 도출과 함께 기혼 여성 대학원생의 취업 및 준비과정 등 여건에 따른 맞춤형 양육지원 정책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아래와 같이 연구문제를 선정하였다. 연구문제1. 유아교육전공자로서 엄마대학원생이 학업과 자녀양육을 병행하며 느끼는 보람은 무엇인가? 연구문제2. 유아교육전공자로서 엄마대학원생이 학업과 자녀양육을 병행하며 느끼는 어려움은 무엇인가? 연구문제3. 유아기 자녀를 둔 유아교육전공 엄마대학원생으로서 학업과 자녀양육 병행을 위한 양육지원과 관련한 요구는 무엇인가? 이를 위하여 연구자는 2016년 12월부터 2017년 2월까지 약 3개월 동안, 연구참여자 5명을 대상으로 그들의 학업·양육 병행 경험 및 양육지원 요구에 대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심층면담의 결과 분석 및 주요 내용을 연구문제에 따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엄마대학원생의 학업과 양육 병행 경험으로 인한 보람을 살펴본 연구결과, 연구참여자들은 ‘자녀양육의 의미를 인식, 자아실현의 길, 학업에 대한 가족의지지, 자녀에게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등의 경험에서 보람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엄마대학원생의 학업과 양육 병행 경험으로 인한 어려움을 살펴본 연구결과, 개인적 측면의 어려움과 사회적 측면의 어려움으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먼저 개인적 측면에서는 ‘건강의 적신호, 가족들의 부담과 희생, 소원해지는 주변관계, 학업수행의 어려움, 자녀양육의 어려움, 후속 출산에 대한 부담과 고민’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측면에서는 ‘제도와 정책의 사각지대에 놓인 대학원생’으로 직업으로서 인정받지 못하며, 육아지원제도의 한계에 대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기 자녀를 둔 유아교육전공 대학원생으로서 학업과 자녀양육 병행을 위한 양육지원 관련 요구를 살펴본 연구결과, ‘학업과 자녀 양육 병행에 대한 사회적 인정과 관심, 학업과 양육 병행을 위한 지원제도 확충’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 사회에서 학업과 양육을 병행하며 살아가고 있는 엄마대학원생의 생각과 구체적인 실제 경험들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는 우리 사회에서 일·가정양립에 있어 사각지대에 놓여있는 부모대학원생에 대한 적극적 관심과 함께 국가·사회적 차원에서의 연구를 통하여 그들의 현실적 어려움을 해소할 지원 및 제도를 마련하다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This study involves graduate school student moms who do Ph. D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while raising their infant children and focuses on their experience balancing studying and child rear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proper childcare support solutions and to provide a database for childcare policies which are tailor-made for those married graduate female students’ job preparation and employment by understanding their needs from the government and society. Regarding the goal of this study, research problems were chosen as follows: Research problem1. What makes you feel rewarded in balancing studying and child rearing as a Ph. D. candidat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Problem2. What’s the difficulties you face in balancing studying and child rearing as a Ph. D. candidat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problem3. What’s your need for childcare supports for balancing studying and child rearing as an Early Child Education Ph.D. candidate having infant children? The researcher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five participants on their experience in balancing studying and childrearing and their need for childcare supports for three months from December 2016 to February 2017. The analysis on the in-depth interview and main conten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feel rewarded when they recognize the meaning of child rearing, self-realization, family support for their study and its positive impacts on their children. Second, the participants’ difficulties in balancing studying and child rearing can be categorized by two factors; personal and social issues. Personal issues are, for example, their health problems, burdens on their family, being distant from their friends, difficulties in studying and concerns about giving birth again. In the case of social problems, grad school student moms isolated from government and policy supports are not being recognized as working women and the limits of childcare support systems. Third, the participants need social recognition, interests and policy supports for student parents who have to balance studying and child rearing. The research illustrates thoughts and specific experiences of student mothers who balance studying and child rearing. This study will serve as a database to provide practical supports for student parents who are left in a blind spot in work-life balance with further studies at national and social levels and a growing attention on them.

      • 사례기반학습(case-based learning)에 기초한 「유아교사와 인간관계」 교육대학원 교과목 개발 및 적용

        박영숙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5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arly Childhood Teacher and Human Relations」 course for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ased on case-based learning and apply it to student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verify its effect. This study attempts to answer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1. What is the structure of 「Early Childhood Teacher and Human Relations」 course for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ased on case-based learning? 1-1. What is the purpose and goal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 and Human Relations」 course for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ased on case-based learning? 1-2. What are the educational contents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 and Human Relations」 course for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ased on case-based learning? 1-3. What are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 and Human Relations」 course for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ased on case-based learning? 1-4. What is the evaluation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 and Human Relations」 course for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ased on case-based learning? 2. What are the meaning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 and Human Relations」 course for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ased on case-based learning? 2-1. What is the change in early childhood teachers through the 「Early Childhood Teacher and Human Relations」 course for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ased on case-based learning? 2-2. What is the meaning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 and Human Relations」 course for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ased on case-based learning? This course aims to help graduate students develop the skills required to form peaceful relationships. The specific goal of this course is to aid graduate students in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human relationships,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human relation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acquiring appropriate skills to solve human relations problem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forming good attitudes and values ​​for positive human relations. This course is comprised of learning material that is intended to develop an understanding of human relations, human relation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human relations in early childhood teachers' organizations, and positive relationship formation. Understanding human relationships consists of learning the concept and types of human relations, as well as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organizational cultures. Understanding human relation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consists of learning the importa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human relations, educ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sychological exhaustion related to teaching, mental health,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Understanding the subject of human relations in early childhood teachers' organization is composed of the teachers' relationships with fellow teachers, directors, and parents. The formation of peaceful relationships is founded upon communication, leadership, cooperation, understanding, empathy and trust, and self and others perceptions are derived by analyzing previous research. The teaching-learning method of this course consists of teaching principles, teaching-learning stages, and teaching strategies. Educational principles are principles of actuality, complexity, relevance, and diversity. The teaching-learning stage consists of five phases: case selection and development; case presentation and individual analysis; explanations of key concepts; discussion and group analysis; and sharing and finalization. Teaching strategies consist of journal writing, discussion, presentation, and lecture. The evaluation method of this course consists of reading tasks analysis, journal analysis, discussion contents analysis, in-depth interview, and lecture evaluation.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 and Human Relations」 Course for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ased on case-based learning, sixty-six students of a graduate school of a university in Seoul city from March 8 to June 14, 2018 were taught for sixty-six weeks every Thursday.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is course, we collected reading tasks of read and submitted domestic research related to the contents of lectures group discussions, journals, and lecture evaluations completed in the sixteenth week. After the class, we collected data by conducting and recording in-depth interviews with thirty-five stude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qualitative research method(Kim, 1986). The effects of application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 and Human Relations」 Course for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ased on case-based learning are summarized as follows. A developed understanding of human relations, ability to cope with human relations, attitude toward human relations, and the formation of values ​​were notable effects of this course. First, in the understanding of human relationships, “understanding early childhood teachers' human relations,” including understanding everybody's difficulties and the influ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relationships with infants; “understanding of human relation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including understand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the dynamics of public relations rather than personal relations; and “understanding people's differences” appeared. Second, in the promotion of coping ability to human relationships, “focusing on solutions,” “thinking once more,” “understanding from the other side,” “approaching first,” and “feeling difficult to implement” appeared. Third, in the formation of attitudes and values ​​towards human relationships, “flexible attitude towards human relations,” “expansion of human relations viewpoints,” and “I as a human relations subject” appeared. In the meaning of the curriculum, “meaning of early childhood teachers' human relation,” “opportunities for self–reflection,” “field of public opinion,” “sympathy,” and “healing time” appeared. Therefore, the 「Early Childhood Teacher and Human Relations」 Course for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ased on case-based learning developed in this study is effective in developing an understanding of human relations, ability to cope with human relations, attitude towards human relations, and the formation of values; this study confirms that there was meaning found in opportunities to think about the human relation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pportunities for self-reflection, field of public opinion, and time for sympathy and healing. This shows that the subject is applicable to teacher education it is expected that the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will be promoted by helping the early child teachers to difficulties in human relations and develop positive human relations. 본 연구의 목적은 사례기반학습에 기초한 「유아교사와 인간관계」 교육대학원 교과목을 개발하고, 이를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교육대학원생들에게 적용하여 교과목의 의미를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사례기반학습에 기초한 「유아교사와 인간관계」 교육대학원 교과목의 구성은 어떠한가? 1-1. 사례기반학습에 기초한 「유아교사와 인간관계」 교육대학원 교과목의 교육목적 및 목표는 어떠한가? 1-2. 사례기반학습에 기초한 「유아교사와 인간관계」 교육대학원 교과목의 교육내용은 어떠한가? 1-3. 사례기반학습에 기초한 「유아교사와 인간관계」 교육대학원 교과목의 교수학습방법은 어떠한가? 1-4. 사례기반학습에 기초한 「유아교사와 인간관계」 교육대학원 교과목의 평가방법은 어떠한가? 2. 사례기반학습에 기초한 「유아교사와 인간관계」 교육대학원 교과목의 의미는 어떠한가? 2-1. 사례기반학습에 기초한 「유아교사와 인간관계」 교육대학원 교과목을 통해 나타난 유아교사의 변화는 어떠한가? 2-2. 사례기반학습에 기초한 「유아교사와 인간관계」 교육대학원 교과목이 갖는 의미는 어떠한가? 사례기반학습에 기초한 「유아교사와 인간관계」 교육대학원 교과목의 교육목적은 유아교사의 바람직한 인간관계 형성을 위한 소양을 함양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목표는 인간관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유아교육기관 내 인간관계 특성을 이해한다는 것과 유아교육기관 내 인간관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적절한 기술을 습득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조직 내 인간관계에 대한 올바른 태도 및 가치관을 형성한다는 것이다. 사례기반학습에 기초한 「유아교사와 인간관계」 교육대학원 교과목의 교육내용은 크게 인간관계의 이해, 유아교육기관 내 인간관계의 이해, 유아교사의 조직 내 인간관계 대상에 따른 이해, 원만한 인간관계 형성을 위한 소양으로 구성되어 있다. 인간관계의 이해에서는 인간관계의 개념과 유형, 조직문화의 유형과 특성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고, 유아교육기관 내 인간관계의 이해에서는 유아교사의 인간관계의 중요성과 유아교사의 교직문화 그리고 교직과 관련된 심리적 소진, 정신 건강, 직무 스트레스, 직무 만족 등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유아교사의 조직 내 인간관계 대상에 따른 이해에서는 동료교사, 원장, 학부모와의 관계를 다루고, 원만한 인간관계 형성을 위한 소양에서는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도출한 리더십, 의사소통, 협력, 이해와 공감, 신뢰, 자기 및 타인 지각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례기반학습에 기초한 「유아교사와 인간관계」 교육대학원 교과목의 교수학습방법은 교육원리, 교수학습단계, 교수전략으로 구성되어 있다. 교육원리는 실제성의 원리, 복잡성의 원리, 관련성의 원리, 다양성의 원리이고, 교수학습단계는 사례 선정 및 개발, 사례 제시 및 개별분석, 핵심개념 설명, 토론 및 조별분석, 전체공유 및 마무리의 5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교수전략은 저널 쓰기, 토론, 발표, 이론 강의로 구성되어 있다. 사례기반학습에 기초한 「유아교사와 인간관계」 교육대학원 교과목의 평가방법은 읽기과제 분석, 저널 분석, 토론내용 분석, 심층면담, 강의 평가로 구성되어 있다. 사례기반학습에 기초한 「유아교사와 인간관계」 교육대학원 교과목을 적용하기 위하여 2018년 3월 8일부터 6월 21일까지 서울시 소재 A대학의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교육대학원생 66명을 대상으로 매주 목요일마다 총 16주 동안 수업을 진행하였다. 본 교과목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이론 강의를 진행하는 동안 강의 내용과 관련된 국내 연구물을 읽고 제출하는 읽기과제와 조별로 이루어진 토론내용과 이때 개별적으로 제출하는 저널, 16주차에 실시한 강의 평가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수업이 끝나고 난 뒤 9월 한 달 동안, 본 교과목을 수강한 교육대학원생 중에서 면담 참여에 동의한 35명의 교육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고 녹음한 면담 내용을 전사한 자료도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질적연구방법(김영천, 2016)에 따라 분석하였다. 사례기반학습에 기초한 「유아교사와 인간관계」 교육대학원 교과목의 적용을 통해 나타난 교과목의 의미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례기반학습에 기초한 「유아교사와 인간관계」 교육대학원 교과목을 통해 나타난 변화에서는 인간관계에 대한 이해, 인간관계에 대한 대처능력 증진, 인간관계에 대한 태도 및 가치관 형성이 나타났다. 첫째, 인간관계에 대한 이해에서는 누구나 겪고 있는 어려움, 유아교사의 인간관계가 유아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를 포함하는 ‘유아교사의 인간관계에 대한 이해’가 나타났다. 그리고 유아교육기관 조직에 대한 이해, 사적관계가 아닌 공적관계를 포함하는 ‘유아교육기관 내 인간관계에 대한 이해’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사람들의 다름에 대한 이해’가 나타났다. 둘째, 인간관계에 대한 대처능력 증진에서는 ‘해결책에 집중하기’, ‘한번 더 생각하기’, ‘상대방의 입장에서 이해하기’, ‘먼저 다가가기’, ‘실행의 어려움 느끼기’가 나타났다. 셋째, 인간관계에 대한 태도 및 가치관 형성에서는 ‘인간관계에 대한 유연한 태도’, ‘인간관계를 바라보는 시각의 확장’, ‘인간관계 주체로서의 나’가 나타났다. 다음으로, 사례기반학습에 기초한 「유아교사와 인간관계」 교육대학원 교과목의 의미에서는 유아교사의 인간관계에 대해 생각하게 된 계기, 자기반성의 기회, 공론의 장, 공감되고 힐링되는 시간이라는 의미가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사례기반학습에 기초한 「유아교사와 인간관계」 교육대학원 교과목은 유아교사의 인간관계에 대한 이해, 인간관계에 대한 대처능력 증진, 인간관계에 대한 태도 및 가치관 형성에 효과가 있으며, 유아교사의 인간관계에 대해 생각하게 된 계기, 자기반성의 기회, 공론의 장, 공감되고 힐링되는 시간으로의 의미가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는 사례기반학습에 기초한 「유아교사와 인간관계」 교육대학원 교과목이 교사교육으로 적용 가능함을 보여주는 것이고, 유아교사들이 겪고 있는 인간관계에 대한 어려움 해소와 원만한 인간관계를 형성에 도움을 줌으로써 유아교육현장의 발전을 도모할 것으로 기대된다.

      • 일반대학원 상담 전공 프로그램에 대한 석사과정 학생의 인식

        염가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일반대학원 상담 전공 프로그램에 대해 혼합연구방법을 사용하여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일반대학원 상담 전공 석사생 10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일반적 사항, 석사 과정을 통해 이루고자 했던 것, 연구와 실무에 대한 인식, 연구 활동 경험, 상담 실무 경험, 졸업 후 진로와 석사과정에 대한 평가로 구성하였고, 기술통계를 사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한 결과를 바탕으로 상담 실무 수련 경험이 있는 석사생 6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대학원 상담 전공 석사생은 주로 상담 실무자를 목표로 대학원에 진학하였다. 실무자가 되기 위한 자격 요건 이수 과정으로서의 상담 수련을 기대하기 때문에 연구보다 상담 실무 활동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비중을 두었다. 둘째, 상담실습에 대한 기대와 실제 만족에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원인은 상담 실습 교과목 개설의 부족과 상담 자격 요건을 이수하기 위해 발생하는 시간 및 경제적 어려움으로 추측되었다. 셋째, 일반대학원 상담 전공 석사생은 석사 과정에서 상담 실무 활동을 가장 유용하게 평가하였고, 실무 활동을 통해 알게 되는 것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석사생들은 상담 수련을 통해 스스로를 이해하고 내담자를 조력하면서 성취감을 느꼈다. 또한, 이러한 과정에서 내담자를 이해하기 위해 연구 결과물을 활용하며 연구의 필요성을 경험하였다. 본 연구는 교육과정 내에 자격 이수과정이 포함되어야 할 필요성을 제시 하였다는 데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혼합연구방법을 통해 일반대학원 상담 전공 프로그램에 대해 조사하여 현상에 대한 구체적인 해석을 가능하게 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의 방향에 대해 제언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general graduate school counseling program using a mixed method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101 master's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 at general graduate school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general matters, what they wanted to achieve through the master's program, perception of research and practice, research activity experience, counseling practice experience, and evaluation of the post-graduation career and master's program,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Based on the results collected through the survey, an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6 master's students who had experience in counseling practice. The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aster's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 at general graduate schools went on to graduate school with the goal of becoming counseling practitioners. Because counseling training is expected as a process of completing the qualifications required to become a practitioner, it was recognized that counseling practice was more important than research and gave weight to it.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big difference between the expectations for counseling practice and the actual satisfaction. The reason for this was presumed to be the lack of open counseling practice courses and the time and economic difficulties that occurred to complete the counseling qualification requirements. Third, it was found that the master's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 at general graduate schools rated counseling practical activities the most useful in the master's program, and learned a lot through practical activities. Master's students felt a sense of accomplishment as they understood themselves and helped clients through counseling training. In addition, in this process, the research results were used to understand the client and the necessity of research was experienc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s the need to include the qualification completion process in the curriculum. In addition, a detailed interpretation of the phenomenon was made possible by investigating the general graduate school counseling major program through a mixed methods. Finally, based on these results,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direc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