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학부교육 선도대학 교육서비스 품질, 학생만족도, 학생충성도간의 인과관계에 대한 연구

        정성련 세명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55

        Educational revolution is very strong lately. The teaching style of 20th century, cramming education, which is just making students to take the exam well by forcing them to just memorize everything they learn, has been gone for a while. Now, an era has come back that teaching something is not focused but teaching something and helping students to develop creativity is more important. School is a place for students to grow intelligence and sociality. Intelligence, itself explains that students are educated to get knowledge, and sociality they learn at school is learning how to adapt what they learn from home to society. High school education in Korea lacks freedom and responsibility than college education and it is an obvious result that students learn little reality of going out to society. Universities or colleges not only need to face the reality of going out into the world and need to be great at training talented individuals and promote personal development, but also establish an education for national development and train suitable individuals. This research is developed with ACSI model and Q-S-L(Quality-Satisfaction-Loyalty) model applied. This research model is a causality model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 satisfaction, student loyalty, and quality in University education. The students of Semyung University located in Jecheon, Chung cheong buk do, were analysed for deeper analysis of research model. There are about 8,000 students in Semyung University and with founding philosophy of strong spirit and bright future(위세광명). It aims for the college, which students want to be at, corporations want to choose, social community wants to be boastful of, and robust University that the world acknowledges. This College also has a medium-and long-term development plan, establishing a development plan for training talented Midfielder personnel. Semyung University was selected for Advancement of College Education support project (학부교육 선진화 선도대학 지원사업 : ACE 사업) and she is working hard to build an unique education model. In this study, a research model was set to grasp an influential relationship between student satisfaction and character building training and specialization of practicality. An causality model about an effect on client loyalty from student satisfaction was established. First, according to reliability analysis results, each detailed program shows over 0.6 points of Cronbach's value which means it has a good influence (on the college with ACE support project). After checking the relation between each factor(detailed programs) of variables(programs), it shows significance probability less than a value of a=0.05 which means the validity is proper. After a causality analysis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 program, the ACE project has a meaningful effect on student satisfaction. It was assured student satisfaction also has meaningful effects on student loyalty. With these results, colleges need to make an effort to exploit and intensify meaningful programs that can develop and grow students' capability(ability) and individual progress continuously, to enhance student satisfaction. It shows that students are very loyal to their college(university) when students are most satisfied. And so colleges need to strive continuously for the growth of student satisfaction. 최근 대학의 교육혁명이 거세다. 20세기 교육방식은 머릿속에 어떻게든 주입을 시켜 시험문제를 잘 찍는 교육의 형태는 이제 실종 된지 오래 되었다. 무엇을 가르치는 것이 중요한 시대가 아닌 어떤 것을 가르쳤을 때 어떤 창의성을 만들 수 있을까 하는 시대가 돌아온 것이다. 학교는 지성과 사회성을 기르는 곳이다. 지성은 말 그대로 학생들에게 지식을 쌓기 위한 교육 진행을 하며 사회성은 가정에서만 배우는 교육을 사회에서 적응을 할 수 있도록 작은 다리 역할을 하는 것이 학교에서 가르치는 사회성이다. 대한민국의 고등학교까지의 교육은 대학교육에 비교하면 자율성이 떨어지고 책임감이 적으며 사회에 진출하는 현실감이 적은 것은 당연한 결과이다. 대학에서는 사회진출에 따른 현실감을 직시하고 탁월한 인재양성과 개인 발전을 도모하고 나아가 국가발전에 이바지를 위한 교육을 실시하여 거기에 맞는 인재를 양성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ACSI모형과 Q-S-L(Quality-Satisfaction-Loyalty)모델을 응용하여 연구모델을 개발하였다. 연구모형은 대학교육의 품질과 학생 만족도, 충성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인과모형이다. 이러한 연구모형을 기반으로 하여 실증분석을 위해서 ACE대학인 세명대학교의 재학생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세명대학교는 약 8천여명이 재학하고 있으며 지방 중․소형 규모로 위세광명이라는 건학이념 아래 사회가 요구하는 인재양성, 학생이 오고 싶은 대학, 기업체가 뽑고 싶은 대학, 지역사회가 자랑하고 싶은 대학, 세계가 인정하는 탄탄한 대학을 지향하고 있다. 또한 미드필더 인재 양성을 위해 발전계획을 수립하여 중장기 발전계획을 지니고 있다. 세명대학교는 2010년에 학부교육 선진화 선도대학 지원사업에 선정되어 차별적 교육모델 구축을 위해서 노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성기초교육과 실용전문화 교육이 학생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이어 학생만족이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인과모형도 수립하였다. 먼저 신뢰성 분석결과, 각각의 세부 프로그램이 Cronbach's α 값이 0.6이상으로 나타나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타당성 측정결과 변수(프로그램)간의 각 요인(세부 프로그램)과의 관계를 확인하였을 때 유의확률 α=0.05보다 작기 때문에 타당성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확인요인분석결과 다수의 연구단위에서 적합한 평가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 방정식모델프로그램으로 인과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부교육 선진화 선도대학 지원(ACE)사업의 서비스 품질(인성기초교육, 실용전문화 교육)은 학생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생만족은 학생충성도에 유의한 인과관계가 있음을 확인하게 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하여 대학은 지속적인 발전과 학생들의 역량을 키우고 개인발전을 높일 수 있는 유의한 서비스품질(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강화하여 학생들의 만족도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학생 만족도가 높으면 학생충성도 또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대학은 학생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지속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 대학교육의 서비스 품질, 학생 만족, 학생충성도 간의 인과관계에 관한 사례연구 : S대학을 중심으로

        권오봉 세명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대학교육은 국가 경쟁력의 중심에 있다. 대학은 탁월한 인재를 양성하여 개인의 발전을 도모하고 국가발전에 중추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ACSI모형을 응용하여 대학교육의 서비스 품질, 학생 만족, 학생충성도 간의 인과관계 모형을 실증분석을 통해서 대학 경쟁력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시작하였다. 연구모형의 실증분석을 위해서 2010년 ‘잘 가르치는 대학’에 선정된 세명대학교 재학생들을 편의 추출하여 실증분석 하였다. 세명대학교는 ‘위세광명(爲世光明)’의 건학이념하에 인성역량, 실용전문역량, 글로벌 역량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다. 통계분석결과, 대학교육 서비스 품질, 학생 만족, 학생충성도간에는 인과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증분석결과, 학생의 기대는 지각된 품질과 지각된 가치에 수준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품질은 지각된 가치와 학생만족에 수준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만족은 학생의 불평에 수준에서 음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생만족은 학생의 불평을 감소시킴을 알 수 있다. 또한 학생만족은 학생충성도에 수준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의 불평은 학생의 충성도에 수준에서 음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생의 불평정도가 높으면 높을수록 학생 충성도가 낮아짐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대학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학생의 기대에 기반한 서비스품질 강화를 통한 학생만족도 향상을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학생만족도 증진을 위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제공을 통한 학생충성도 제고노력이 끊임없이 이루어져야 한다. University education is the heart of a national competitiveness. It is necessary for university to cultivate men of outstanding talent, to strive for the individual prosperity and to play a decisive role for the national development. In this study, I have applied ACSI model to the service quality of university education, student satisfaction and student loyalty to his university. To analyze positively study model, I've sampled Semyung University(ACE University)'s students. On the basis of 爲世光明, Semyung University is making efforts to train men of ability, who have human nature, usefulness and a global view. As a result of analysis, it has been possible to check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ree factors(service quality of university education, the student satisfaction and the student loyalty). It has been revealed as follows. First, the expectation of students notably has an effect on sensible quality and value(). Second, Perceived quality on perceived value and student satisfaction(α=0.05), and student satisfaction has an the negative effect on student dissatisfaction(α=0.05). That is to say, student satisfaction has played a decisive role, decreasing student dissatisfaction(α=0.05). Besides, student satisfaction notably has an effect on student loyalty(α=0.05). Student dissatisfaction has an the negative effect on student loyalty(α=0.05). The more student dissatisfaction grows bigger, the more student loyalty becomes worse. As mentioned above, to prosper university continuously, it is indispensable to strengthen the service quality and to improve student satisfaction. Especially, to raise student loyalty through diverse educational programs, is the best way.

      •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대학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김나해 세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39

        요약 현대사회는 정보와 지식이 중심이 되고 있는 ‘지식기반사회’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시대적 변화에 따라 경쟁을 갖추기 위해서는 대학에 진학하는 것이 보편적인 선택으로 되고 있다. 이에 맞춰 대학도 변화하는 것이 필수가 되었으며, 대학은 대학생들에게 인생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다양한 경험과 지원을 제공해야 한다. 그 중 대학생들이 대학생활에 만족하는 과정에서 중요하게 작용하는 요소는 교수와의 상호작용이기 때문에 교수는 교내, 외에서 학생에게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교수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이 원활하게 이뤄졌을 때 대학생활만족도가 증가한다는 사실은 선행연구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전문대학교와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들을 주요 대상으로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대학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규명하고자 했다. 또한 교수-학생 상호작용과 대학생활만족도 사이에서 자기효능감이 매개역할을 하는지도 규명하고자 했다. 문헌고찰을 토대로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계하여 2023년 2월 26일부터 10월 20일까지 국내 전문 대학교와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17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통계프로그램 SPSS 22.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분석을 진행하였다. 우선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파악하고 빈도분석, 기술통계량분석, 상관관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을 하였고 매개효과 검증을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대학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수-학생 상호작용과 대학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이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원활할수록 학생의 자기효능감 수준이 높아지며 그로 인해 대학생활만족도 수준도 증가한다는 결과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하여 대학생들의 대학생활만족도에 교수-학생 상호작용과 자기효능감이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대학교에서는 교수가 학생에게 더욱 관심을 가지고 주기적으로 소통할 필요성을 제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한계점과 확장된 연구의 필요성을 요구하며 연구를 마무리하였다. 주요어 : 교수-학생 상호작용, 대학생활만족도, 자기효능감

      • 수족냉증 환자의 임상 특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for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Cold Hypersensitivity on Hands and Feet

        권정연 세명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목적 : 6개 한방병원에서 모집한 총 134명의 여성 환자를 70명의 수족냉증군과 64명의 비 수족냉증군으로 나누어, 비 수족냉증군에 비해서 수족냉증군 환자들만이 가지는 임상적 특성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가천대학교 부속 길 한방병원, 경희대학교 한방병원, 강동경희대학교 한방병원, 동국대학교 일산한방병원, 세명대학교 충주한방병원, 상지대학교 부속한방병원으로 총 6개 한방병원에서 모집한 134명의 여성 환자들을 70명의 수족냉증군과 64명의 비 수족냉증군으로 분류하였다. 이후 총 19개 문항에 대해 대면 설문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이를 교차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 총 19문항 중 카이제곱 검정 상 수족냉증군과 비 수족냉증군의 답안들 사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고 밝혀진 항목은 총 10문항이다. (체형, 기력, 소화상태, 면색, 피부의 潤燥, 口乾渴, 오한, 물이나 음식의 冷溫선호도, 설태의 厚薄, 脈의 浮沈) 결론 : 수족냉증 환자군은 비 수족냉증군과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마르고 허약한 체형에 무기력하다. 소화불량이 많으며, 건조한 피부와 창백한 면색을 가진 경우가 많다. 口乾渴과 오한 모두 많은 편이며, 따뜻한 것을 선호한다. 한의학적 변증에서는 氣虛, 陽虛, 血虛, 陰虛, 脾胃虛의 특성이 모두 관찰되는데, 전체적으로 종합하였을 때 脾陰虛의 특성으로 개괄해 볼 수 있다. Objectives : This study was aimed to research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cold hypersensitivity on hands and feet compared with non-cold hypersensitivity group. Methods : 134 women patients were collected from 6 traditional korean medicine hospitals, and divided into 2 groups(cold hypersensitivity group and non-cold hypersensitivity group). A survey composed of 19 questions asked patients about clinical symptoms related to cold hypersensitivity. Results : The differences between 2 groups were verified statistically in 10 questions among 19 questions from the survey. (Body Type, Energy, Digestibility, Skin Type, Facial Complexion, Chill, Dry Mouth and Thirst, Preference between Coolness and Warmth, Thickness of Tongue Fur, Floating and Sinking of Pulse) Conclusions : From these results, Patients with cold hypersensitivity on hands and feet have relative clinical characteristics as follows. They are relatively weak and lethargic. They have dry skin and look pale more. They feel chill easily and have dry mouth and thirst. They prefer warmth and have indigestion more. They had more various infirm and ill clinical characteristics compared with the other group from view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 옥상녹화 표면의 온도 분포 분석 및 단열성능에 관한 연구

        이두호 세명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23

        The importance of solution for climate changes and global warming is being emphasized as years go by.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IPCC) foresaw that the sea level would rise to 60 to 90 cm around 2100, and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sis of Arctic ice on February 2013 measured by the NASA, over half of Arctic ice which even covered Alaska in the early 1980s, has disappeared. Under this background, currently, it is urgently required in the architectural and urban field to reduce the use of fossil energy which is the leading cause of global warming and to expand and use new and renewable energy, and green roof is being suggested as one of alternatives. Seoul City has also implemented the 'Green Roof Support Project' to cut carbon emissions in the city and create green spaces, and energy saving and green city planning of the whole city has been established in cooperation with industries, buildings, transportation, water circulation project and greening project. Nevertheless, global warming is still getting more serious and damage by natural disasters is increasing and the destruction of natural ecosystem caused by urban development is leading climate changes in cities in addition to the shortage of green area and urban heat island. In particular, urban heat island makes the tropical night in the summer lasts, and it is causing a vicious cycle by falling the quality of life and increasing energy consumption. For such reason, the government has been enforcing a system which makes it mandatory to apply new and renewable energy to buildings, to lower the temperature. It has been known that a green roof installed in a building of the downtown area brings various effects such as relaxation of urban heat island, reduction of indoor temperature, protection of a building and improvement of the appearance by lowering the surface temperature of a building roof more than a building without a green roof.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green roof on the reduction in temperature around the building, when it is applied, and isn't applied, and to consider the possibility of reducing cooling and heating energ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atmospheric temperature of the indoor ceiling, the floor surface of the roof and the top of the roof, based on the actual measurement of green roof and non-green roof, and conducted a simulation to analyze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top roof and the wall joints and the changes in heat transmittance of each region. The results are as below. - The analysis of temperature distribution graph showed that the green roof reduced the temperature of the roof by 1 degree to 2 degrees, and the atmospheric temperature decreased by 1 degree to 3 degrees. As a result, it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cutting the surrounding temperature. - When the green roof was applied, heat transmittance got lower at 0.02∼0.03W/m²K, and the surface temperature increased by 1 degree to 2 degrees. As a result, this prevented that temperature lowered due to cool air outside even in the winter, and the indoor temperature rose because of the low heat transmittance. - When the green roof was applied,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top roof, the walls and the wall joints was respectively, 13.2 degrees, 9.11 degrees and 12.5 degrees, and in the case of the flat roof(non-green roof), it was respectively, 11.56 degrees, 8.63 degrees and 11.60 degrees. As a result, the green roof increased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top roof, the walls and the wall joints by 1.64 degrees, 0.48 degrees and 0.9 degrees, respectively. - Moreover, the result of the measured simulation revealed that when the green roof was applied to the Constitutional Court, Sungkyunkwan University and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the relative humidity was respectively, 65%, 50% and 62%, the dew point temperature was respectively, 13.2 degrees, 9.3 degrees and 12.5 degrees, and the mold growth value was respectively, 0.78, 0.65 and 0.76. As a result, the green roof showed a higher performance than the non-green roof. The results of the actual measurement demonstrated that the green roof cut cooling and heating energy of buildings by lowering the surrounding temperature, maintaining the indoor temperature and declining heat transmittance. Therefore, the expansion of the green roof would bring positive results by relieving urban heat island, reducing carbon emissions and expanding and developing new and renewable energy. In conclusion, it is considered there would be a need of long-term actual measurement of various kinds of green roof systems in order to obtain more specific and objective data. 기후변화 문제 및 지구온난화의 해결 문제는 해가 거듭 될수록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협의체(IPCC)는 2100년경의 해수면 상승을 60∼90㎝로 예견했고, 미 항공우주국(NASA)에서 측정한 2013년 2월 겨울 북극 얼음 크기를 분석한 결과 1980년대 초 알래스카까지 얼어 있던 북극 얼음이 절반 이상 줄었다고 한다. 이러한 배경아래 건물 및 도시 분야에서도 온난화 주원인인 화석에너지 사용을 줄이고 신·재생에너지의 보급 확대 및 이용이 시급해진 현실로 옥상녹화도 그 한 대안으로 제시되는 바, 서울시의 경우도 도시 내의 탄소발생을 줄이고 부족한 녹지공간을 만들기 위한 ‘옥상녹화 지원 사업’을 시행하여 산업, 건축물, 교통, 물 순환, 녹화 등의 복합적인 공조 아래에 도시 전체의 에너지 절약과 녹색 도시 계획이 확립되어 가고 있다. 그럼에도 여전히 지구온난화의 심각성이 더해지며 자연재해 피해가 늘어나고 있으며, 도시 개발에 의한 자연생태계 파괴로 녹지대의 부족, 도시 열섬현상 등의 도시지역 기후변화라는 문제점을 야기 시키고 있다. 이로 인하여 도시는 열섬현상으로 인해 여름철 열대야 현상이 지속되어 삶의 질 저하와 에너지 소비 증가의 악순환이 계속된다. 이에 정부는 건축물에 신·재생에너지 적용을 의무화 등의 제도를 통하여 온도를 낮추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도심지 건축물에 옥상녹화를 조성한다면 녹화에 의해 건물의 옥상 표면온도가 비 옥상녹화보다 낮아지면서, 그에 따라 도시 열섬화 현상 완화 및 실내 온도 저감, 건축물 보호, 미관 개선 등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논문은 건축물에 옥상녹화를 적용 할 경우와 그렇지 않을 경우의 건물 주변 온도 저감효과와 그에 따른 냉·난방에너지 절감 가능성에 대한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목적 수행을 위한 연구 내용은 녹화 및 비 녹화 지붕에 대한 실측을 바탕으로 실내 천장부와 옥상 바닥면, 옥상상부 대기온도를 비교·분석하고, 아울러 옥상층과 벽체 접합부 표면온도 그리고 그에 따른 부위 열관류율 변화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시행 하였다. - 온도분포그래프 분석으로 옥상녹화의 적용 시 옥상 부는 1∼2℃의 낮은 온도로 온도저감효과를 보이고, 대기 온도 또한 1∼3℃ 낮게 측정되어 주변 온도 저감효과를 확인 할 수 있었다. - 열관류율의 경우 옥상녹화 적용 시 0.02∼0.03W/m²K의 열관류율 값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표면온도 또한 실내 1∼2℃ 만큼의 온도 상승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겨울철에도 실외 찬 공기로 온도가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며 실내는 낮은 열관류율 값을 통해 온도 상승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옥상층과 벽체의 접합부위의 표면온도로 옥상녹화는 각각 13.2℃, 9.11℃, 12.5℃로 나타났고, 비 옥상녹화(평지붕)도 각각 11.56℃, 8.63℃, 11.60℃의 온도를 나타나며 옥상녹화를 적용했을 때 1.64℃, 0.48℃, 0.9℃의 온도 상승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또한 측정된 시뮬레이션 분석한 결과 헌법재판소, 성균관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 각각 상대습도 65%, 50%, 62%, 노점온도 13.2℃, 9.3℃, 12.5℃, 곰팡이 발생 수치 계산 값은 0.78, 0.65, 0.76으로 비 옥상녹화 지붕일 때 보다 성능 향상을 보였다. 실측을 통하여 옥상녹화를 적용한 건축물에서 주변 온도 저감과 실내 온도 유지, 열관류율 값이 낮아져 냉·난방에너지 절감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이를 기반으로 옥상녹화의 확대 보급으로 도시 열섬현상 완화, 탄소 저감, 신·재생에너지의 확대・발전할 수 있는 대안으로 긍정적인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의 구체적이며 객관적 데이터 확보를 위해서는 다양한 종류의 옥상녹화 시스템에 대해 장기간에 걸친 실측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효율적인 대학 ERP System 분석 및 구축관리에 관한 연구

        임지헌 세명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23

        정보통신의 급속적인 발전으로 교직원 및 학생들의 IT기대에 부응하기 위하 여 대학교육에서도 획기적인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대학가에 차세대시스템 구축 열풍이 거세게 불고 클라이언트/서버 환경 으로 구축한 기존시스템을 웹 기반으로 통합하고 학생, 직원이 필요로 하는 모 든 정보에 간편히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차세대시스템을 구축하였다. 학 내 각종 시스템 간 연계는 물론 전문대학원 등 최근 급증한 대학 산하기관 정 보까지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바뀌고 있다. 이렇게 대학 차세대시스 템은 분리된 시스템을 통합함으로써 학생과 교직원 등 사용자 중심으로 바뀐다 는 점이 기존과 가장 큰 차이점이었다. 그러나 이 같은 추세에 급속도로 변하는 차세대 학사시스템에 의해 ERP System의 그 중요성을 잃어버리고 있다. 학교의 본질인 교육을 중심으로 개발 초점이 맞춰지기 때문에 학사, 입시, 성 적, 졸업 등 학생과 직간접적으로 영향이 있는 시스템을 중심으로 개발이 된다. 따라서 ERP System은 상대적으로 개발의 중심에서 벗어나게 되는 것이다. 개발이 완료된 시점에 프로그램의 질을 따져보았을 때 ERP System이 현저하 게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자는 ERP System의 도입방안 및 관리에 대한 연구를 하여 보다 나은 행정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방법을 찾고자 한다. In the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ignificant changes has been required in higher education. to meet education workers and students' expectation on IT Thus, the fever of building a next-generation system has blown fiercely in university, a next-generation system has been constructed to simply access to all information students and its staffs need by integrating existing systems established with client/server environment in web-based. It has been changed to a system of integrating and managing the information of institutions affiliated with the university with the recent surge like special graduate schools as well as linking between the various systems on campus. This next-generation system has the biggest difference from existing systems in that it is changed to user-centered system such as students and education workers by integrating separate systems. However, university's ERP System's importance has been lost by a next-generation Bachelor system changing rapidly in this trend. It has been developed around a system affecting students directly, indirectly such as BA, admissions, grades, graduation, etc because of focusing on education, the nature of school -oriented development. Therefore, its ERP System has been escaped from emphasizing development. When investigating the quality of the program at the time of its completion, its ERP System can be found to decline significantly. This researcher tries to find a way of building a better administrative system by studying ERP System's introduction plans and management

      • 대학조직에서 변혁적‧거래적 리더십이 조직냉소주의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신뢰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배승수 세명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23

        2015년경에는 대학 입학정원이 고교졸업자 수보다 20만 명이 부족이 예상되는 만큼 대학 스스로 변화와 혁신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도록 환경이 변화되고 있다. 성공적인 대학의 변화와 혁신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대학조직의 직무 만족도를 높이고, 조직혁신에 대한 냉소주의를 감소시키기 위한 리더의 관심과 역할이 성공적인 변화와 혁신을 위한 필수적인 요인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대학조직의 조직구성원들이 지각하는 변혁적·거래적 리더십, 조직냉소주의, 상황변수로서 신뢰의 조절적 역할관계를 살펴봄으로써 환경의 불확실성에 대비하여 대학조직이 나아가야 하는 전략적 방향을 제시 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검증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변혁적 리더십은 조직냉소주의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변혁적 리더십의 구성요소인 카리스마, 지적 자극, 개별적 배려는 조직냉소주의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거래적 리더십은 조직냉소주의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상황적 보상, 예외적 관리는 조직냉소주의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신뢰는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냉소주의와의 관계에 있어 대체적으로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지적자극을 제외하고 요인을 카리스마, 개별적 배려 요인과 조직냉소주의와의 관계에 있어 신뢰가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신뢰는 거래적 리더십과 조직냉소주의와의 관계에 있어 부분적으로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예외적 관리와 조직냉소주의와의 관계에 있어 신뢰가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할 때, 본 연구에서 제시할 수 있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이 조직냉소주의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대학조직의 관리자들은 조직 내에서 이러한 두 가지 리더십을 적극적으로 발휘해야 할 것이다. 다만, 조직의 리더들은 비전을 제시하고 비전 달성을 위하여 부하들의 고차원적인 욕구를 유발시키며, 상하간의 신뢰분위기를 통하여 리더십을 발휘하는 변혁적 리더십으로 접근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또한 동시에 관리자들은 부하직원들에게 사전에 명확한 기대 수준을 제시하고, 이를 달성했을 경우, 약속한 보상을 함으로써 조직에 대한 믿음을 높여야 한다.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을 적절히 혼용할 때 부하 직원들을 만족시킬 수 있고, 조직의 신뢰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조직냉소주의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할 때 조직 구성원들이 자신이 몸담고 있는 조직에 더욱 몰입하게 될 것이다. 한편, 본 연구는 대학조직의 리더십 유형, 조직혁신냉소주의 그리고 조직신뢰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이에 대한 실무적, 이론적 시사점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completed on the concept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ransactional leadership, organizational trust, organizational cynicism through approaching empirically to the present state by searching various mutual relations. It is focused on providing a theoretical basis and strategic alternative ideas in the college organization. For the study, research data was collected from 129 in the college organization. Each variable is measured by Likert's 5-point scale. The data are analyzed by such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test,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finding and implication can be summarized as follow: First, as a empirical analysis result, charisma, intellectual stimulation, individualized consideration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ve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ynicism. Secondly, contingent reward, management by exception of transactional leadership also have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ynicism. Thirdly, organizational trust moderated relation between charisma, individualized consideration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ynicism. Finally, organizational trust moderated relation between management by exception of transac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ynicism.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오류에 대한 연구 : 강소성 소재 대학을 중심으로

        이숙혜 세명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23

        This study has its purpose in examining the categorized errors that show in writing which Chinese students find the most difficult in learning Korean and thereby helping the students’ Korean writing learning. Identifying where the Korean language learners’ writing errors originate would be very helpful in improving their writing and could bring light on what to focus on in writing education.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with the students of two 4-year colleges and two 3-year colleges in Jiangsu Province, China. One questionnaire was in connection with the writing-related environment and the other examined the writings that the students created on given topics.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survey was analyzed. Chapter 2 surveys the current Korean writing education. The analysis of the textbooks related to writing education showed that despite their diversity, the locally used Korean language textbooks have issues such as insufficient grammar explanation or severely unbalanced vocabulary explanations. It also showed that for the teaching-learning activities, the traditional type of class needs to be improved. The Chinese learners’ perception of the writing education suggested that the largest group of the students found ‘writing’ section the most difficult, for which the largest number of the students felt they were falling behind in vocabulary and writing organization. The analysis also showed that all the students had a positive attitude toward writing. It suggested that the students felt they needed more diversified class to improve their writing skills. In Chapter 3, the errors found in the writing data were divided into different types, analyzed for their causes, and presented desirable expressions.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errors with vocabulary usage occurred because the students failed to use appropriate words in their sentences when they were confused about the meaning of words or their semantic relationships, had insufficient knowledge of grammar, or did not have an excellent understanding of grammar. The frequent errors with postpositional particles occurred because the number or types of them are numerous or the students could not distinguish the usages of the postpositions. The errors with the ending particles occurred frequently because the students were not familiar with the forms of the ending particles or they did not know the conditions for the usage of the ending particles. The errors with the sentences occurred most frequently because the students lacked an understanding of the sentence structure. The students also committed errors in indicating tense because they could not distinguish the forms or were not familiar with their possible combinations with word stems or other pre-final ending particles. As Chinese does not adopt spacing between words, the Chinese learners of Korean frequently commit errors in separating words by putting space in between. It was because the students did not have a proper understanding of the Korean orthographic regulations on separating words with space in between and they remained under the influence of their mother tongue. So far, I have identified and analyzed the causes for the errors with vocabulary, postpositions, finding ending particles, sentence, separating words with space in between which show in the Korean writings by the Chinese students and examined their causes. The analysis of the errors informed the teachers how close the learners came to their targets and what needed to be taught more. Meanwhile, the analysis has enabled me to explore how to learn or acquire a language and the strategies that may be used with those who learn Korean. The analysis also serves as basic data that shows what problems are there with writing for learners who learn a target language. Therefore, the errors that showed in Korean teaching or learning may be used as learning materials that can be of actual help to both students and teachers. This study revealed how hard it is for a foreign learner who is not a native speaker of a language to study errors with its writing. Matters that are not treated or fail to be discussed in this study due to my limited abilities are for further studies. 본 연구는 중국 학생들이 한국어를 배우는 과정에서 가장 어려워하는 쓰기에 나타나는 오류를 유형별로 살펴봄으로써 학생들의 한국어 글쓰기 학습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한국어 학습자들의 쓰기 오류가 무엇에서 비롯된 것인지를 찾아낸다면 쓰기를 개선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될 수 있고 나아가 쓰기 교육에서 무엇을 중점적으로 다루어야 할지에 대해서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중국 강소성(江蘇省)에 있는 두 개의 4년제 대학교와 두 개의 3년제 대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료 조사를 시작하였다. 조사는 두 부분으로 나누어 실시했다. 하나는 쓰기와 관련된 환경에 대한 설문조사이고 다른 하나는 학생들에게 주제를 주고 학생들이 주제에 따라 직접 글쓰기를 하도록 하여 쓰기 과제를 조사하는 것이었다. 이렇게 조사된 자료를 각각 분석하였다. 제2장에서는 학생들의 설문 조사 결과를 분석했다. 설문 조사 결과를 통해서 중국 현지 학교에서는 한국어 쓰기 교육에 대해 많은 비중을 두지 않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현재 중국에서는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를 종합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종합 교재와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를 각각 따로 분리하여 학습할 수 있는 전문 교재가 있지만 대부분의 중국 대학교에서는 일반적으로 종합 교재를 사용하고 있었다. 이 때문에 쓰기 교육의 전문성을 강화시키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설문 조사를 통해 중국 현지의 한국어 쓰기 수업은 아직도 교사 위주의 전통적인 교육 방식을 취하고 있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또한 설문 조사 결과는 쓰기 오류의 원인을 찾아내는 데에도 도움이 많이 되었고 쓰기 교육에서의 부족한 점도 드러나게 되어 설문 조사 결과가 한국어 교육 방법의 개선과 한국어 쓰기 능력 향상 방안을 모색하는 데 실증적 근거가 되었다. 제3장에서는 총 122명 학생에게서 수집한 쓰기 자료를 분석하였다. 쓰기 오류는 어휘 오류, 조사 오류, 시제 오류, 문장 오류, 띄어쓰기 오류, 문장성분 오류 등으로 나누어 분석했다. 오류의 원인을 유형별로 살펴본 결과 오류 원인이 학생들의 문법 기초 지식 부족, 중국어의 영향을 받아서 형성된 오류, 한국어 어법 자체의 복잡성 등 크게 몇 가지로 나눌 수 있었다. 오류가 나타나는 방식도 동일 어법 혼용과 다른 어법 간의 어법 혼용, 어법의 생략 오류 등 다양한 유형으로 나눌 수 있었다. 어휘 오류가 나타난 방식은 어휘의 선택 오류, 연어관계 오류 그리고 중국어 간섭 오류 등 있다. 학생들이 한국어 어휘의 뜻이나 의미 관계를 혼동하여 문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적절한 어휘를 선택하지 못하는 것이 오류를 범하는 원인이고 학습에서 한국어 단어의 사용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것도 어휘 오류를 범하는 원인이다. 그리고 중국어 간섭으로 인해 학생들이 어휘 오류를 많이 범하기도 한다. 한국어 조사의 종류나 수량이 많다는 점은 조사 오류가 많이 나타나는 주요 원인으로 보인다. 그 다음으로 조사 용법의 복잡성 때문에 조사 오류가 많이 나타난다. 예를 들면, 조사와 조사 사이의 용법 차이가 뚜렷하지 않거나 같은 조사지만 문장에 따라서 기능이 다른 것이 조사 오류가 많이 나타난 원인으로 보인다. 어미 오류는 문맥에 맞는 어미 형태를 사용하지 못한 것과 어미 형태를 구분하지 못하는 것이 원인으로 보인다. 문장 오류가 나타난 원인은 한국어 문장 구조에 대한 이해 부족, 한국어의 복잡한 높임말 표현 방법, 문장에서 시제를 결정하는 기준의 복잡성, 그리고 한국 드라마나 예능 프로그램 등의 영향, 이의 네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띄어쓰기 오류가 많이 나타난 가장 큰 원인은 학습자의 문법적 지식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또한, 중국 현지에서 쓰고 있는 교재를 살펴보았을 때 한국어 교재에 띄어쓰기에 관한 교육내용이 없는 것도 띄어쓰기 오류가 많이 나타난 원인 중의 하나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설문조사와 쓰기 자료의 분석을 통해서 중국 현지의 한국어 교육 현황을 이해하고 한국어 쓰기에 나타나는 오류를 유형별로 분석하여 오류의 발생 원인을 파악해 보았다. 이를 통하여 한국어 쓰기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쓰기 교육에 반영할 수 있을 것이다.

      • 전공적합성과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학과몰입에 미치는 영향

        박희은 세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23

        요약 계속되는 학령인구 감소로 인해 대학들의 입시경쟁이 심화되어 가고 있다. 하지만 이제는 입시뿐만이 아닌 재학생 유지에 또한 집중해야 한다. 현재 많은 대학생은 중도이탈, 중도탈락으로 학과몰입에 있어 힘든 상황을 겪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전공적합성과 교수-학생 상호작용은 주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 특히 교수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졌을 때 전공적합성과 학과몰입이 증가한다는 사실은 선행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공적합성, 교수-학생 상호작용, 학과몰입 간의 영향 관계를 알아보고,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조절효과에 대해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통하여 대학생들에게 만족스러운 학업 공부와 학교생활 그리고 교수와의 접점을 통하여 더 나은 진로를 구체적이고 효율적으로 구축할 수 있도록 실무적인 시사점을 주는 것에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개념과 구성요인을 규명하고, 이론적 고찰을 통해 각 구성개념의 관계를 체계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대학생이 전공적합성을 인식하면 학과, 학습에 대해 몰입한다는 것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조절효과를 검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전문대 대학생과 4년제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022년 9월 4일부터 실시하여 2022년 9월 15일까지 총 11일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수집한 자료 202부를 사용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하여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분석을 진행하였다. 우선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파악하고 빈도분석, 기술통계량분석, 상관관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을 하였고 조절효과 검증을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공적합성이 학과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학과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공적합성과 교수-학생상호작용은 상호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전공적합성과 교수학생상호작용이 둘 다 높을 때 학과몰입이 더 증가한다는 결과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하여 대학생들의 학과몰입에 전공적합성과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대학교에서는 학생들의 학과몰입을 위하여 학교, 학과에서 진행되는 상담 프로그램, 전공 프로그램 등의 추가와 보완의 필요성을 제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한계점과 확장된 연구의 필요성을 요구하며 연구를 마무리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