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화예 환경연출디자인 교육 모형 연구 : 생태적 지속가능성에 기반한 감성 교육을 중심으로

        이성애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9791

        꽃과 식물은 인간의 삶을 풍요롭게 해주며 미술 작업에 예술적 영감을 불어넣어주는 소재이다. 꽃과 식물을 이용한 예술 분야로는 전통적으로 화훼, 원예, 화예디자인이 있는데, 특히 화예디자인은 자연 소재 중심의 디자인을 범주화한 분야로, 식물 자체가 갖는 생명력의 아름다움을 자연적으로 구현하여 예술작품으로 승화시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최근 들어 꽃과 식물의 활용은 환경과의 상관성을 작품으로 연출하는 화예 환경연출디자인 분야로도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예술적 특성만으로는 미래의 화예디자인을 발전시키기에 어려움이 있다. 화예는 환경으로부터 받는 영향이 절대적인데 이는 다른 디자인 분야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것으로, 화예디자인의 고유한 특성이며 단점이라고도 할 수 있다. 오늘날 화예의 재배에서 폐기까지의 시스템에서는 한정된 자원에 대한 보전과 자연친화적인 요소들을 고려하지 못한 프로세스가 많이 실행되고 있다. 이는 현 상황에 대한 디자인계의 환경 관련 문제의식 부족에 기인한 것으로서, 시대변화에 시의 적절하게 대처하지 못하는 것이기에 결코 바람직한 현상이라고 할 수 없다. 최근 이에 대한 반성적 의미에서 화예디자인 및 환경디자인 분야에서는 공통적으로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에 대한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이처럼 지속가능성의 중요도가 높아짐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화예 및 환경연출디자인 관련 전공에서 생태적 지속가능성에 기반한 화예 환경연출디자인 교육을 하거나, 전공의 별도 트랙(Track)으로 관련 교육을 제공하는 학과는 아직 없다. 생태적 지속가능성을 기반으로 한 교육의 시작은 자연의 관찰과 체험을 바탕으로 하며, 이에 자연환경 관련 교육 패러다임의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다. 자연 요소를 활용한 지속가능성 교육 가운데, 특히 자연연출 요소의 분야가 중심이 되는 ‘화예’는 자연의 원리 및 특성을 이용해 디자인적 기능으로 조형하는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는 분야이다. 이를 연출적 영역으로 더욱 확장하여, ‘화예 환경연출디자인’ 영역이 다루는 구체적인 생태적 지속가능성에 기반한 체계적인 교육 과정의 토대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화예 분야가 영속성을 가지고 발전하려면, 현 교과과정에 ‘생태적 관점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인식, 자각이 포함된 ‘공감적 감성교육’이 필요하다. 감성교육은 ‘창의∙융합형’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방법 중 하나로, 인간 삶의 포괄적인 영역에서 가장 기본적인 한 국면으로 정서를 조절하는 능력, 감정이입 능력, 공감 능력, 문제해결 능력의 기능을 강조한다. 특히, 자신과 타인의 정서를 바르게 인지하고 조절해 궁극적으로 문제해결에 창의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생태적 지속가능성과 창의적 감성교육을 융합한 교육 모형을 구축한다면, 화예디자인과 환경연출디자인 분야에서 인간의 생존을 위협하는 환경문제가 심각한 21세기에 적합하며 영속성이 있고 사회 문제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에서 실시 중인 지속가능성, 화예디자인, 환경연출디자인 관련 전공의 교과과정 및 교과목의 현황을 파악하고 문제점을 시사하였다. 국내에서는 서울대학교, 해외에서는 코넬 대학교, 시카고 아트 인스티튜트, 로드아일랜드 디자인 스쿨, 위틀 대학교들의 지속가능 개발 디자인 교과과목에 대한 벤치마크 분석을 토대로, “생태적 지속가능성을 적용한 화예 환경연출디자인 감성교육 모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교육모형의 개발 절차는 첫째, ‘교육모형도 개발’, 둘째, ‘교육트랙 및 모듈 개발’, 셋째, ‘교육평가의 평가’의 순서로 진행하였다. 먼저 교육모형도 개발 단계에서는 기존의 체계적∙비체계적 교육모형인, ‘타일러’, ‘워커’, ‘아이즈너’와 문제 중심 학습인 ‘PBL’ 학습 모형을 재구성하여 교육모형의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였다. 두 번째로 교육트랙 및 모듈은 본 연구의 핵심 키워드인 ‘생태적 지속가능성’의 5차원(미학, 윤리, 환경, 사회, 경제적 측면)과 화예 환경연출디자인 프로세스 5단계(재배생산-디자인-유통소비-사후처리-인력교육)를 적용하여 개발한바, 지속가능 생태 감성교육 중심으로 한, 화예 환경연출디자인 교육트랙에 대한 총 25가지 종류의 모듈을 개발 및 제안하였다. 개발한 모듈은 두 가지 이상 선택적으로 융합 및 응용하여 교과과목을 구성할 수 있으며 교과과정은 단계별로, 1)교과 중심 모형(기초단계), 2)감성교육 중심 모형(중급단계), 3)문제해결 중심 모형(상급단계)으로 분류하였다. 개발한 교육모듈의 교과과정, 교과목은 ‘학습방법(method):이론/실습’, ‘학습과정(sequence):지속가능성/화예디자인/환경연출디자인’, ‘학습범위(scope):기초-중급-상급’의 틀로 나누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교육 모듈을 적용한 교과목에서는 학습 단계가 높아질수록, 지속가능성, 환경연출디자인, 화예디자인 각각의 개념을 서로 조화롭게 유기적이고 통합적으로 학습할 수 있으며, 생태적 지속가능성에 기반한 화예 환경연출디자인 교육과정에는 각 모듈의 요소가 높은 연결성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제로 웨이스트와 심미디자인’ 교과목은 생태적 지속가능성의 ‘경제적’ 차원인 ‘에너지 효율성’의 내용과 화예 환경연출디자인 프로세스의 ‘미학적’ 단계의 ‘미의식’ 내용을 융합하였고, 문제해결과 감성교육을 중심으로 하는 상급 단계의 교과과목이다. 따라서, 25개의 교육 모듈로 구성된 화예 환경연출디자인의 학습 과정은 창의적이고 감성적이며, 학습 결과도 환경문제와 그로 인한 각종 사회 문제에 대한 현실적이며 효과적인 문제해결을 제시하는 디자인 구현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개발한 교과 과정의 교육평가는 학습자의 학습목표 달성도를 측정하여 실시하도록 제안하였는데 먼저, 선행연구를 근거로 학습자 수행 평가지를 구성한 후, 전문가 심층 인터뷰를 통하여 학습 수행 평가지의 타당성, 실용성 등을 검증하였다. 인터뷰 결과를 취합 분석하여 도출한, 전문가 집단의 의견을 반영하여 기존에 제안한 평가지를 수정 및 보완하여 최종 학습 수행 평가지를 구성하였다. 과거 환경이라는 개념을 바라보는 시각은 인간이 자연과 대치하는 상황에서 자연을 이용하고 활용한다는 측면이 강했지만, 현재 인간이 자연의 일부로 포함된다는 관점이 강조되고 있다. 산업 발전과 아름다움에만 치중되어 있던 인간중심의 지속가능성이 아닌, 생태적 지속가능성 기반의 화예 환경연출디자인 감성 교육은 인간이 자연의 일부로서, 지속가능성의 문제점과 자연의 생명성, 순환성, 희소성, 친환경성, 독창성 등을 보다 깊이있게 통찰하고 탐색하는 과정을 통해, 지속가능 생태 감성적 태도를 지니게 할 수 있다. 따라서 21세기의 교육은 이러한 생태적 지속가능성 기반의 관점을 받아들이고 보다 거시적인 차원에서 지속가능성에 대해 고민해야 하는 것이다. 미래 세대가 성장하여 향후 생태계의 부정적인 변화를 늦추도록 하기 위해서는 현재 학교 교육에 환경소양, 생태소양을 키우기 위한 생태적 지속가능성에 대한 교육과정이 추가되어야 한다. 특히, 교육과정이 생태적 지속가능성 문제에 대한 지식 습득에 그치지 않고, 자연 요소를 활용한 연출 디자인 활동 등을 통해 실천과 행동 단계까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면 더욱 효과가 클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시작한 본 연구는 생태적 지속가능성 차원을 수용하고, 선행연구의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는 화예 환경연출디자인 감성 교육의 교과 과정을 제안함으로써, 향후 이와 관련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시 학문적∙실무적 자료로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단편적인 화예디자인이나 환경디자인 교육과정 개발이 아닌, 미래지향적인 지속가능 생태 감성 개념을 적용한 화예 중심 환경연출디자인 교과과정을 제시하였고, 융합을 강조한 실천가능한 25가지 교육모듈을 개발하여 화예디자인이 대학에서 독립된 미술 및 디자인 교과과정으로 자리잡고 발전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하고 제시한 교육모형과 모듈이 미술 분야 뿐만 아니라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도입되어, 21세기 생태적 지속가능성과 감성 교육의 저변확대에 이바지하길 바란다. Flowers and plants enrich human life and give inspiration to art. The field of art utilizing flowers and plants includes floral art, horticulture, and floral art design. Among them, the floral art design is characterized by its use of natural materials. It sublimates the beauty of the vitality of the flowers and plants into artwork. In recent years, the use of flowers and plants has expanded into floral environment art design, which expresses the relationship with the environment in the form of designs. However, such artistic characteristics alone are insufficient to further develop flower designs for the future. Floral art is under the absolute influence from the environment, which cannot be found in other design fields, and is a unique characteristic as well as a disadvantage. Today, many processes, such as flower cultivation and the disposal of used flowers, do not consider the conservation of natural resources that is scare and limited. This is due to the lack of awareness in the field of art and design of the current environmental issues, which is undesirable as this ignores the urgent calls from society. In response to the criticism,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sustainability' in floral art and environmental design. Despite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sustainability, very few departments offer courses or tracks on floral art environmental design focusing on ecological sustainability. Ecological sustainability education requires observation and experience of nature, and it is high time to bring a paradigm shift to education about the natural environment. Among many fields that use natural elements, the floral art of which the natural elements are at the center can teach design education, emphasizing the principles and characteristics of nature. It is necessary to further expand this into the field of floral art environmental design and establish the curriculum which underpins ecological sustainability. For the continued development of floral art, emotional education that includes recognition and awareness of ecological sustainability needs to be incorporated into the current curriculum. Emotional education is an educational method suited for cultivating 'creative and integrated' talents. It emphasizes empathy and the ability to control emotion and solve problems in all aspects of human life. In particular, by accurately recognizing and regulating emotions of self and others, people can solve problems more creatively. A combination of ecological sustainability and creative, emotional education can create an education model that is lasting and suitable for the 21st century threatened by environmental pollution and climate change. This model can cultivate minds that proactively find solutions for the problems plaguing society and its members. To achieve this aim, the researcher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curriculum and courses related to sustainability, floral art, and environmental design in domestic and foreign educational institutions. The universities that this study benchmarked include Seoul National University (South Korea), Cornell University (USA), School of Art Institute of Chicago (USA), Rhodes Islands School of Design (USA), and Whitley University (UK).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ourses these schools offer, this study proposed the "emotional education model focusing on ecological sustainability for floral art environmental design.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educational model as follows: education model development, education track and module development, education evaluation.First, in the development stage of the educational model, the framework of the educational model was proposed by reconstructing Tyler, Walker, and Eisner's models, along with the Problem-Based Learning model. Second, this study identified five key aspects (aesthetic, ethical, environmental, social, and economic) of ecological sustainability and the five stages of the environmental direct design process (cultivation & production-design-distribution & consumption-disposal- education). The track and module were developed using a combination of the five aspects and five stages of sustainability, resulting in 25 modules. A subject can be created by selecting two or more modules. The proposed curriculum is divided into three stages, such as 1) subject-centered model (basic level), 2) emotional education-centered model (intermediate level), and 3) problem-solving model (advanced level). Depending on the content, the curriculum and courses can be categorized as method: (theory/practice), sequence (sustainability/floral art/environmental design), and the scope of learning (basic/intermediate/advanced). The courses that this study developed are expected to teach the concepts of sustainability, floral art, and environmental design in a cohesive, comprehensive, and integrative way as the modules have higher levels of correlations and interdependency. For example, Zero Waste and Aesthetic Design,' an advanced level course focusing on Emotional Education, has integrated energy efficiency from the economic perspective and aesthetic perception from the aesthetic theory. Therefore, the learning process of floral art environment design composed of 25 education modules is creative and emphatic, and the learning outcome of these modules are expected to be practical and realistic designs solutions for various social issues. Lastly,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evaluation of learning outcomes measures learners' achievement of the learning objectives of the courses. For this aim, this study first designed an interview questionnaire based on past studies and conducted in-depth personal interviews with expert panels to examine the validity and usability of the evaluation. Finally, the results of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and reflected on the revising and improvement of the evaluation of learning outcomes. Traditionally, the view on the environment has been dominated by the idea that humans and nature have constant struggles and conflicts and that humans can and need to maximize the utility of nature. The recent trend, however, has started to view that humans are a part of nature, not a dominant player in an ecological system. The proposed curriculum is founded upon ecological sustainability that argues that sustainability should not be human-centered, and sustainability education must explore and contemplate the vitality, circular nature, and scarcity, ecology, and distinctiveness of nature. This approach can cultivate emotional intelligence that values ecological sustainability. The education in the 21st century requires the acceptance of such a perception of ecological sustainability and demands the macro-perspective on sustainability. This ecological sustainability education curriculum can prevent and delay the negative consequences of the destruction of the ecological system by fostering positive mindsets and attitudes toward the environment and ecology. In specific, the proposed curriculum will deliver not only theoretical and conceptual learning but also actions and corrective measures that employ natural elements and resources, which is anticipated to be more effective and valuable. The contribution of the current study lies in its proposed curriculum for ecological sustainability education, which improves the weaknesses of the past studies and provides theoretical and practical insights for curriculum development in the future. In specific, the curriculum this study proposed is not for floral art or environmental design, respectively, but the convergent education program for floral art environmental design founded upon futuristic ecological sustainability. The integrative 25 modules are specifically designed to provide a foundation for floral art to be offered as a stand-alone curriculum in art departments or art schools. This study hopes that the proposed curriculum and modules are introduced to various academic fields and serve as a catalyst to expand ecological sustainability and emotional education for the higher education scenes in the 21st century.

      • 유통환경 identity의 중요성과 디자인의 전략적 역할에 관한 연구 : 'L'백화점 Young의류매장 디자인 사례를 중심으로

        이정혜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9775

        본 연구는 유통환경의 전략적 아이덴티티(identity) 확립을 위한 바탕으로 디자인의 적용을 위한 이론 및 상관성 고찰과 디자인에의 실천적 적용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유통환경은 현대인에게 소비를 촉진시키고 윤택한 삶을 만들어주는 매개 수단이 되었다. 백화점의 디자인은 다른 공간과는 달리 상품을 담고 있는 공간으로서 상품을 보다 효과적으로 보여줌으로써 고객들에게 강한 욕구를 불러 일으켜 그 상품을 구매하게끔 만드는 역할을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고객을 위한 MD 및 디자인, 상품을 위한 MD 및 디자인이 갖추어져야 하는데, 이때 점포의 아이덴티티와 이미지가 매우 중요한 개념이 된다. 아이덴티티란 유통업체의 성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유통업체의 분명한 영업전략과 목표 설정 없이는 구현될 수 없다는 점에서, 유통업체의 분명한 영업전략과 목표 설정 없이는 구현될 수 없다는 점에서, 유통업체 스스로의 연구와 노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점포의 비즈니스 전략과 목표를 가장 효과적으로 반영할 수 있도록 점포의 개념을 유출하고 이를 정확히 표현할 수 있는 세부항목을 수립, 유통환경의 의류매장 내(內) 아이덴티티와 차별적 요소를 마련하는데 초점을 두는 디자인 방법에 대한 연구로서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1. 백화점 아이덴티티(identity) 확립을 위한 디자인 방향 제시를 위해 구체적인 방법들을 고찰하고 다양한 사례분석을 하였다. 2. 의류매장의 디자인 방향 설정을 위한 패션유통의 제반 구조와 트랜드의 변화를 분석하여 현 패션 유통이 나아가고 있는 방향을 살펴보았다. 3. 연령대에 맞는 라이프 스타일을 분석, 이미지 포지셔닝 단계로 발전시키고 대상공간을 설정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4. 타당성 있는 프로그램을 통해 의류환경의 차별적 이미지와 전략수립을 바탕으로 미적 가치를 지는 판매환경을 디자인하기 위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위의 과정을 통해 백화점 의류환경의 분석과 차별적 이미지로서의 접근을 시도 하였으며, 유통환경에 대한 재해석과 함께 새로운 개념으로서의 가능성을 입증하였다. 날로 경쟁이 심해져 가는 유통환경의 아이덴티티 확립은 경쟁력 있는 유통환경 수립의 기본전제가 된다는 점에 그 의의를 둔다. This study is mainly consisted of investigations of theories and correlation between them and practical application of them to design as a foundation for establishing the strategic identity of distribution environment. The distribution environment has now become an intermediary through which modern man can promote his consumption and lead a comfortable life. Design in the department store is to show goods more effectively since the space contains goods unlike any other space, so it plays a role of arousing consumers´ strong interest and making them purchase presented goods. To accomplish this, MD or designs for customers and MD or designs for goods should be established, and at this point the identity and image of shop come to a very important concept. Identity is an important factor that determines the success or failure of a distribution enterprise. In the respect that without definite sales strategies and targets nothing can be accomplished, distribution enterprises must develop their own studies and make efforts. Therefore, to define the concept of shop to reflect the business strategies and targets of shop most effectively, to make up detailed items for presenting that concept exactly, and finally to provide identity and differentiated elements to the women´s wear shop on the distribution environment, this study as an approach to such designing has proceeded as follows; 1. To present the ultimate aim of design, methods for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department store have been investigated in detail and through analysis or understanding of various examples. 2. General structure of fashion distribution and trend changes have been analyzed to set up ultimate aim of fashion shop design and to see the courses of present fashion distribution. 3. Life styles have been analyzed by ages, process of image positioning has been developed, and problems have been extracted through selection and analysis of the object space. 4. Through appropriate programs and based on the establishment of differentiated images and strategies for wear shop environment, alternatives have been presented to design sales environments with aesthetic value. Through this process, the author has attempted approaches to analysis of th wear shop environment of department store and differentiated images of it, and has proved the possibility of the distribution environment reinterpreted and defined into a new concep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e fact that establishment of identity is a basic prerequisite for forming competitive distribution environments.

      • 생태학적 원리적용을 통한 전시문화공간 디자인 모형사례연구

        서은정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9775

        현시대의 인간은 아주 오랜 과거의 인간들과 다르게 두가지 측면을 가지며 갈등하고 살고 있다. 인간의 '현실적 생활'은 현시대의 전자기계문명의 혜택에서 삶을 누리고 있는 반면 인간의 '감성적 생활'은 나무와 산 그리고 강과 바다, 푸른 초원, 맑은 새소리 등 원초적인 자연을 동경하며 살고 있는 것이다. 결국, 실제적인 자연에서의 감정적 휴식을 누리고 싶은 인간의 본능과 현 시대문명 사회의 기계적 발달이 가져오는 폐단 때문에 기계적 현대문명을 거부할 수만 없는 것이 오늘날 인간의 현실인 것이다. 또한 과학기술과 정보처리의 혁명, 급격한 사회변동이 발생하고 있는 현재 는 21세기를 목전에 둔 전환의 시기 혹은 위기의 시기이다. 현대문명의 발달과 과학기술의 눈부신 진보의 엄청난 경제적 부를 가져다 주었으나 에너지 및 자원의 남용으로 인한 자연환경 오염 및 생태계의 교란, 자원의 고갈, 기상이 변 등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는 환경문제를 초래하였다. 이러한 환경문제는 뉴튼식 패러다임에 의한 기계론적, 결정론적 세계관에 의한 것으로 인류의 생존자체를 근원적으로 위협하고 있으며 범 지구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모더니즘 패러다임의 기계론적, 합리적 세계관에 의한 그릇된 자연 인식에 의해 대두된 현재의 환경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자연과 우리자신을 보는 사고의 틀, 즉 패러다임의 전환이 필요하다. 따라서 지구의 생태계가 더 이상의 균형을 잃기 전에 전체를 시스템적으로 보고 부단히 변화하는 역동성을 인정하는 생태적 세계관이 실로 요구된다. 이런 생태적 세계관에서는 자연을 정복의 대상이 아니라 인간의 근원적 모체이며 조화를 찾아야 할 대상으로 보며 인간은 자연의 일부분으로서 생태적 고리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고 한다. 따라서, 우리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해서는 자연과의 공존의 방향을 찾는 것이 필요하며 자연조화의 문화가 절실히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생태학적 문제가 전세계적인 것이라면 그에 대한 해결의 형식도 필연적으로 전세계적 기반을 가지게 될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 인식아래 환경보존과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가치관으로 생태학적 패러다임 전환을 기본전제로 인간과 환경의 조화를 모색하고, 건축공간과 도시공간, 인간과 건축, 인간과 환경의 보다 유기적인 관계성을 높이고, 소통을 강화하는 생태학적 건축공간의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생태학적 세계관에 입각하여 환경에 대한 재인식을 통해 인간과 생태계가 모두 건강하고 자연과의 공존을 통해 인간의 삶의 가치와 질을 향상시키며 우리의 미래가 지속가능할 수 있는 환경디자인 방법을 연구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방법을 통해서 진행하였다. 첫째, 현재의 환경문제를 야기한 기계론적 자연관의 한계를 지적하고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의 생태학에 대한 개념을 고찰하였다. 둘째, 환경디자인의 생태학적 접근을 위해 생태 디자인의 개념적 요소 및 원리에 대해 알아보았다. 셋째, 이론을 통해 생태학적 환경디자인의 디자인 원리를 유추해보고, 실제 그 공간에서 어떻게 적용되는지 사례와 더불어 제시하였다. 넷째, 생태학적 원리를 고찰하여 건축의 분석의 틀로 삼고 건축에 나타난 생태학적 개념과 표현을 사례분석을 통해 살펴본다. 다섯째, 유추된 디자인 개념들을 전시공간에 적용시켜 공간을 구성해 봄으로써 실제 디자인 실무에의 적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여섯째, 이상에서 시각화된 환경디자인 모형사례의 결과를 종합 평가하기 위해 평가의 틀을 제시하고 객관적 평가기준에 의해 검토해 봄으로써 연구의 타당성과 보완점을 제시하였다. 위와같은 연구과정을 통하여 현재의 환경적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생태학적 세계관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며 생태 디자인원리를 환경디자인에 적용함으로써 인간과 환경이 공존할 수 있는 디자인 이론과 디자인 사례를 제시하였음에 그 의의를 둔다. People in these days live discordly with two different-things compare with the past. Real life of human is taken benefits through electric machine culture in modern society but emotional life is admiring wild nature like tree, mountain, river, sea, green field, and bird-call. Finally we are not refuse willingly because instinct of human who would like to take a rest of emotion by nature and an abuse that is occured since artificial development in now, modern times. Also now, outbreaking scientific technique, rerolution of data processing, and social change, is period of renovation or crisis that close to 21 century. Development of modern culture and very huge advance of scientific technique bring too much economical fortune but induce environment problem that threat existence of human nature through pollution, disturbomce of ecosystem, drain of resource, unusual change of weather. Because of abusing energy and resources Environment problem like above is taken by mechanism, determinism of Newton's peradime, and it is threating existence of human originally, enlarging as a world wide problem. In order to get over the environment problem occured the wrong realize of nature through modernism peradime in these days, we need to change peradime which is the shape of thinking to observe nature, and ourselves. This environmental problem, which is Newton's paradigm like mechanistic and dichomic world view, is threatening human being and becomes world problem. So ecological point of view is required to admit changes. In this, they see the nature as a mother of human being not the matter of conqueror, and they also see that human being is a part of nature. So to continue the future of human, we have to fine the way for the both human and nature, and nature to live together well, and need the culture that considered nature. We also require a new social older to re-organize our future society as desderate need by human being. In this study, I considered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our future to go on. And the view of this study is to find ecological architect space that to make close these relationship like human being and architect, human being and environment. I used below method to study this case. First, I criticize the mechanical naturalism to cause this environmental problem, and use new ecological paradigm. Second, I studied concept of ecological design to approach environmental design of ecologic. Third, Through the theory, I studied of ecological enviromental design and made examples like how it is applied in space and suggested. Fourth, To study ecological and expression in architect, I analysis the examples. Fifth, I confirmed the possibility in real design project with decoration the concepts to exhibition space. Sixth, it provides the synthesis and evaluation of the consequences of the visualized designing example, which shows the validity of this study and presents the possibilities of the future development in detail.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recognize the shift to ecological viewpoint in order to overcome the current environmental crisis. Also the meaning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ecological approach and design example for commensal life of human and the environment.

      • 행태 지원성을 강화한 도시공원 디자인 모형사례 연구 /

        김정아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775

        세계를 통합된 전체로 인식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은 살아 있는 유기체를 전체로 보는 것으로 모든 생명의 일체성, 인간과 환경의 상호작용 속에서 상호의존성을 주장한다. 이는 세계를 부분들의 집합으로 보기 보다 통합된 시스템으로 보는 전일적 세계관, 시스템식 패러다임으로 설명된다. 유기체와 환경 또한 서로 분리할 수 없는 전체로 형성되었으며 유기체는 환경 없이, 환경은 유기체 없이 존재할 수 없는 불가분의 관계로 설명된다. 이는 인간과 환경과의 연구에도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도시환경은 자연. 인공, 사회적 환경과 사람의 관계를 파악하는 총체적인 시스템으로 인식해야 한다. 도시환경이 사람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고, 사람의 행동이 환경에 어떤 작용을 하는가에 대한 상호관계성을 파악해야 하는 것이다. 오늘날 도시환경은 급속한 도시화로 인구가 급증하고 편중되면서 자연생태계의 균형이 깨지고 교통의 혼란과 대기의 오염, 토지의 부족에서 오는 녹지의 부족 등으로 미적, 환경적 측면에서 볼 때 점차 황폐화 되어가고 있다. 도시가 확장되고 인구가 편중되면서 환경과 인간이 조화되지 못한 채 공존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인간 삶의 질적 저하는 심각한 수준에까지 이르게 된 것이다. 따라서 인간과 환경의 관계를 총체적인 관점에 의한 유기체적 시스템으로 이해하여 인간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볼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도시환경의 질적 수준의 보다 합리적인 향상을 위해서 환경과 인간행태의 관계성을 분석하고 행태의 주체인 인간과 그 장인 환경을 새롭게 인식하는 행태지원성을 규범적인 접근방법으로 삼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지원성 강화를 위한 디자인 과정을 통하여 실증적 사례연구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도시환경 디자인 방법으로 행태 지원성을 갖는 환경은 이용자에게 행위가능성을 제공하여 행태유발을 시킬 수 있는 개연적 가능성을 내포하게 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인간행태를 과거의 선형적, 기계론적 사고의 행동주의적 시각에서 벗어나 전체적이고 상호작용의 맥락에서 해석하고자 한다. 즉 행태분석을 통한 자료를 바탕으로 사용자 중심의 상호작용을 보다 긍정적이고 활성화하고자 하는 것이다. 인간에 의해 선호될 가능성이 있는 환경적 질을 파악하여 선호도가 높으면서도 그 물리적 요소와 인간행태, 즉 반응의 패턴이 적정한 수준의 만족도를 유지할 수 있는 환경적 행태적 장을 조성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연구의 문제제기 및 연구방법, 연구범위 및 방법을 밝힌다. 2. 도시공원 환경디자인의 이론적 배경으로서 행태과학을 고찰해 보고, 인간과 환경의 상호작용으로서 행태지원성의 적용필요성에 대하여 살펴본다. 3. 도시환경으로서 도시공원을 새로운 관점에서 고찰해보고, 사례조사를 통한 현황 및 문제점을 분석하여 개선방향을 제시한다. 4. 도시공원에서 유발되는 인간행태를 살펴보고, 공원디자인의 이론적 고찰과 적용사례를 통한 요구사항들을 분석하여 디자인 문제해결을 위한 근거로 삼는다. 5. 위의 모든 과정을 통하여 행태지원성 강화를 위한 환경디자인의 이론적 틀을 마련하여 공간을 프로그래밍하고 구체화한다. 6. 본 연구 내용에 관한 요약과 논의를 하며. 연구의 기대효과 및 공헌도를 제시한다. 위와 같은 연구과정을 통하여 행태적 접근을 통해 인간과 환경이 상호보완적이고 유기적인 관계임을 밝혀, 인간행태가 유발될 수 있는 디자인을 제시한다. 이로써 도시환경은 비로소 의미를 지니게 될 것이며. 인간의 다양한 필요에 부응하는 정보를 반영함으로서 더욱 가치 있는 도시환경이 만들어 질 것이다. 도시환경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켜야 함을 인식하고 그 방법을 제시함에 본 연구의 의의를 둔다. I would like to present the unity of all the creatures and the interdependence of the interactions between man and his environment by suggesting the new paradigm to solve the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problems and looking at all the living organisms as a whole. This approach can be described as the holistic view of the world or the systematic paradigm that regards the world as an integrated system rather than the mixture of the parts. Organisms and the environment are combined together inseparably. They cannot exist without each other. That is, it's inseparable relations in which organisms cannot go on without the environment, and vice versa. This kid of relation places itself importance in the study of man and his environment. From a systematic viewpoint, the urban environment is a stimulus that affects people, who in turn respond to it. The environment created and accumulated in the process of stimuli and responses is perceived as a culture. The urban environment perceived as a culture provides a public space where physical elements are connected together. Today's urban environment, however, is on the right track to devastation; the rapid urbanization and increasing population has left the city overpopulated ; the balance of the natural ecosystem has been broken: the confusing traffic and air pollution are getting worse: and lacking lands leads to lacking green areas. In short, a modern city is being ruined in the aesthetic and environmental aspect. As the city expands and increases in density, it's harder for it to function as a public space and the citizens are suffering from degrading living standards. All these have raised the need for a space where people can enjoy emotional and psychological relaxation. In order to upgrade the quality level of an urban environment in a more rational way, it's necessary to create a user-oriented space that identifies the human nature from the human-focused viewpoint. The efforts for that are significant in that it can help to enhance the quality level of the visual environment for the sake of the users and that it can provide the base for a design to predict possibility to cause behaviors through the behavioristic approach. In this study, it was attempted to interpret human behaviors based on holistic and interactive relations beyond the old behaviorism based on linear and mechanical thoughts. That is, it was intended to vitali e the user-oriented interactions more positively on the basis of the data of behavior analysis. Thus the environmental qualities that were very likely to be preferred by humans were identified, and an environmental and behavioristic space was created which was high in preference and continued to meet the requirements of the response pattern between the physical elements and human behaviors at the proper level. The research can be described as follows: 1. The background, goals and scope of the study were presented. 2. The need for behavioristic approach in designing the environment for an urban park was explained. And it was examined why the features to support behaviors as the interactions between man and his environment should be applied. 3. An urban park was newly considered as an urban environment. In investigating cases,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were analyzed to suggest improvement measures. 4. The foundation used to solve the design issues came from the consideration of the human behaviors happening in an urban park and the analysis of the requirements through theoretical review and cases of park designs. 5. All of these were used to set up a theoretical frame for the environmental design that had the features to support behaviors stressed. The space was programmed and specified. 6. The summary and discussion was presented along with the expected effects and contributions of the study. In this study, a behavioristic approach was taken to show that the relationships between man and his environment were complementary and organic, which led to a design that could cause human behaviors. Now the urban environment finally has some meanings and will keep enhancing its value by reflect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iverse needs of people.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can be found in that it recognized the need to increase the quality level of an urban environment and suggested the ways to do it.

      • 색채환경 개선을 통한 호텔 경쟁력 강화방안에 관한 연구 : L호텔 연회장에 대한 환경색채계획을 중심으로

        김애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775

        높은 외화 가득률 및 고용창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관광산업은 21세기 경제를 선도할 핵심산업으로 인식되고 있다. 최근 20년간 관광산업의 성장과 호텔문화의 대중화를 이루었다. 본 연구는 이로 인해 주목 받고있는 연회환경의 색채 개선을 통해 호텔의 경쟁력강화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또한 문화적 환경과 경영환경으로서의 호텔환경색채의 효과적인 색채계획을 통해 인간과 기업경영의 관계를 시스템 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새로운 기업경영의 방향를 제시하였다. 색채는 기업환경의 이미지를 좌우하고 구성원과 사용자의 행동을 규정짓는 틀paradigm이다. 따라서 기업의 이미지는 색채가 지니는 경제적 가치효용과 삶의 질적 향상에 대한 효과를 충분히 활용해 고객에게 서비스되어질 수 있다. 때문에 호텔 내에 머무르는 동안 긍정적인 인상을 심어줄 수 있고, 소비자와의 커뮤니케이션과 시장에서의 경쟁력우위를 확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지속적인 재 방문의 효과를 이끌어 냄으로써 기업의 이윤창출로 인한 기업의 번영과 사회의 기여를 기대할 수 있다. 호텔은 그 자체가 지니는 기능상 수준 높은 시설과 서비스가 요구되므로 최대의 관건은 효과적인 비용으로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본 연구자는 색채환경의 개선과 환경색채의 조화로운 계획을 통해 호텔문화와 서비스의 질 확보와 타 호텔과의 차별화 된 이미지로 경쟁력을 강화시키는 최적의 대안임을 제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자는 연구의 배경과 타당성을 설명해주는 이론적 연구와 이 이론적 배경 하에 진행될 디자인을 위한 대상환경을 중심으로 이론 및 실질적인 디자인 과정을 진행하였다. 1장에서는 색채환경개선을 통한 호텔의 경쟁력강화 방안 연구에 대한 가치와 연구의 방법 및 범위를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우리나라호텔환경 전반의 현황과 문제점을 진단하고, 행태적 접근과 관련하여 깁슨의 생태학적 환경지각의 모델과 지원성의 개념을 통해 문화적 환경임과 동시에 경영환경으로서의 호텔의 역할과 이러한 호텔환경 내에서의 색채의 기능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이론의 틀을 만들었고, 호텔환경의 사례를 통해 우리는 현재 색채의 가치를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사회·문화적 의미와 내용을 최대화하는 의미로서 환경색채계획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3장에서는 색채디자인을 위한 이론적 배경으로 색채조절과 칼라마케팅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감성공학의 원리를 이용한 이미지에 따른 표현방법으로서의 색채이미지스케일을 제시해 행태와 관련된 행태 장치 원리를 제시함으로써 칼라 디자인 문제해결을 위한 근거로 하였다. 4장에서는 앞서서 진행되어온 다 학제적 관점을 기준으로 L호텔의 연회장을 중심으로 한 사례 계획을 진행하였다. 쾌적한 환경은 서비스종사자의 피로와 스트레스를 크게 덜어주며 종사자나 고객의 안전을 보장한다. 또한 과학적이고, 쾌적한 환경은 식재료 인건비까지 크게 절감할 수 있으므로 환경의 경제적 효용을 알 수 있었다. 5장에서는 이제까지의 디자인 개념 및 색채계획 원리를 종합하여 실천적인 환경색채계획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색채를 이미지스케일에 정리하고 사회동향과 연계되는 영역의 색채팔레트를 토대로 연회의 성격과 구성원의 감성과 행태에 따라 각기 개성 있게 계획되어야 하므로, 이에 대한 실천으로서, 연회환경에서의 고정된 부분인 실내색채와 싸인물 뿐만 아니라 비 고정된 부분인 유니폼과 린넨류, 음식 등에 적용하여 이러한 색채이미지를 상품화하여 기업의 이미지 강화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6장에서는 이상의 과정을 평가하고 종합하여 디자인 방법이 갖는 의의와 기대효과를 정리하고, 아울러 색채전문가Color List의 역할과 필요성을 밝혔다. 색채디자인이란 미래에 출시될 제품의 색을 의미하므로 따라서 앞으로 미래가 어떻게 변화할 것인지, 사용자의 요구가 어떻게 변화할 것인지 그 방향이 파악되어져야 한다. 현재의 정보분석 자료를 토대로 미래의 색채를 제시해 디자인을 이끌어나가는 것이 색채디자이너의 역할이다. 가장 경제적이고 효과적으로 인간의 감성을 치유하는 길은 색채계획을 통해서 기대할 수 있다. 기업의 번영과 사회문화에 대한 기여도 마찬가지이다. 소비자와의 감성적 커뮤니케이션과 경쟁 시장에서의 우위를 확보함에 있어서도 색채는 가장 적은 비용의 투자로 최대의 효과를 기대 할 수 있는 영역이기 때문이다. Expected to create a high foreign exchange earning rate and hiring rate, the tourist industry is regarded as a leading business in the 21st century. For the last 20 years, wee have grown the tourist industry and popularized the hotel culture. This study is focused on looking into the method of strengthening the competitiveness of hotels through improving the color environment for a banquet. In addition, I have systematically analyzed the relation between human and corporate management through an effective color plan for the hotel environment in the cultural and management aspect, to propose a new way of corporate management. Color is a paradigm that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corporate environment as well as its members and consumers. Therefore, a company can apply the economic values and the quality improvement of life to improving the services to consumers. In this way, a hotel can give a customer a positive impression during his/her stay, and secure the competitiveness in a market and communication with customers. Inducing customers to visit again, it will contribute to the prosperity of a company and society value by creating additional profits. With the highest level of facilities and services required, a hotel should aims at providing the best service at the lowest cost. I have implemented a theory and practical design process focused on the objective environment for proposing the design that will be proceeded under a theoretical study to explain a background and propriety of this study. Chapter 1 proposes the values of the study on strengthening the competitiveness of hotels through improving the color environment, and methods and objectives of the study. Chapter 2 looks into general status and problems of Korean hotel environment, and propose the need of color environment plan through a case study on a role of a hotel and the effects of color environment in it to establish a theoretical ground. Chapter 3 proposes the importance of color control and color marketing as a theoretical background for the color design, and the color image scale as a method using the principles of sensibility ergonomics to solve the design problems. Chapter 4 deals with the color plan for a banquet hall in L Hotel based on other educational views which have proceeded. Chapter 5 generalizes the existing design concepts and principles of color plan to make a practical study on color environment plan. Chapter 6 evaluates all the processes so far to define the meaning and expected effects of the design method, and emphasizes the need and role of Color List. Meaning the color of products that will be released in the future, color design has to reflect the expected changes of future and consumers' demand. It is a Color List's role to predict the future color based on currently accumulated data, and lead the design. Human sensibility can be treated most economically and effectively through the color plan. It can be also applied to service for the prosperity of a company, society, and culture in the same manner. Finally, in the field of sensible communication with consumers and the market economy, the color can create the best results at the lowest investment.

      • 사용자 중심 디자인 관점에서 바라 본 오토캠핑장 환경디자인에 관한 연구

        지남미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775

        오토캠핑은 선진국형 레저로 선진국일수록 보편화 되어있다. 유럽과 미국, 일본 등이 1인당 국민 총소득 2만 달러가 넘으면서부터 오토캠핑이 활성화되는 공통점이 있으며, 생활의 안정과 여유를 찾은 다음에 자연과 가족에게 더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는 것은 자본주의 사회의 순리라 할 수 있다. 선진국의 오토캠핑 의미는 캠핑전용 차량이나 트레일러로 여행하는 형태를 말하지만 우리나라와 일본과 같이 캠핑카가 널리 보급되지 않은 나라에서는 레저용 차량에 텐트 등을 싣고 떠나 차 옆에서 야영하는 것을 말한다. 캠핑은 과거에는 등산이나 낚시활동 등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텐트’라는 잠자리를 선택하는 것의 개념이었다면 이제는 텐트나 캠핑카를 중심으로 생활공간 자체를 움직여 자연에서 식사도 하고 휴식도 취하는 야외 생활 개념의 주거형 오토캠핑으로 변화하는 추세이다. 국민소득 증가와 5일 근무제 도입으로 여가시간이 늘어나면서 우리나라도 주말이면 각종 동호회와 수도권 인근지역을 비롯해 전국의 캠핑장이 많은 인파들로 북적이고 있다. 2011년 말 기준으로 국내 캠핑 인구는 약 250만 명으로 추산되며 관광산업의 새로운 트렌드로 떠오르고 있는 오토캠핑장의 환경과 시설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오토캠핑의 이용 유형에 따라 자연형, 시설형, 인문형으로 오토캠핑장의 성향을 분류하여 수도권에서 운영되고 있는 3곳을 선택하여 오토캠핑장의 환경과 시설물에 대해 사용의 주체가 되는 사용자 중심에서 평가 조사를 하고자 한다. 사용자 중심 디자인 이론은 물리적, 생리적, 심리적 특성으로 나뉘는데 물리적 특성은 유니버설 디자인 요소로, 생리적 특성은 감성디자인의 오감중 미각을 제외한 4가지 감각 요소로, 심리적 특성은 환경심리행태이론의 프라이버시, 혼잡도, 개인적 공간, 영역성의 요소로 구성되고, 공간의 특성에 맞게 원리를 도출하여 평가의 기준인 분석의 틀을 작성하였으며, 보다 체계적인 평가를 위해 분석의 틀을 활용한 평가 체크리스트로 심층면접조사 시 오토캠핑장 환경과 시설물에 대해 조사한 후 이를 통계 분석한다. 연구조사의 결과를 정리하자면, 3군데의 연구대상지 모두 시설물디자인에 있어서 유니버설 측면의 물리적 특성은 사용자를 어느 정도 만족하는데 비해 감성디자인의 시각과 청각, 환경심리행태이론의 영역성과 프라이버시 요소측면에서의 개선점이 보인다. 본 연구는 추후 오토캠핑장 운영주체인 민간사업체와 지방자치단체에서 오토캠핑장 환경과 시설물 계획 시 사용자가 공간을 사용할 때 가능한 최소한의 스트레스를 받는 환경을 제공, 심리적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감성디자인과 환경심리행태이론의 영역과 경계에 대한 요소 측면에서 고려될 수 있는 자료로 널리 활용이 되기를 기대한다.

      • 현대음악의 시공간성 표현에 의한 환경디자인 연구 : 한강 자연사 박물관과 공원 연구를 중심으로

        구순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775

        환경 디자인에 있어서 새로운 표현 방법의 문제는 디자이너의 과제로 관심과 탐구의 영역이 되어 왔으며 작품을 통해서 새로운 가능성을 위한 다양한 접근이 제시되어 왔다. 특히 환경의 미적 가치가 중요하게 여겨지는 오늘날에 있어 독창적인 표현방법에 대한 탐구는 그 가치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17세기 이후 전개되어온 기계론적 패러다임은 획일화되고 기능적인 공간만을 양산해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계론적 패러다임에 대한 대안으로 등장한 생태학적 패러다임은 전일적이고 다원적인 관점을 제시하면서 환경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요구하게 되었다. 이러한 관점은 환경을 자연과 과학, 사상과 예술의 복합체로 바라보게 하였다. 따라서 환경디자인에서도 예술로서의 환경을 지향 할 때 환경의 질적 가치가 높아질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생태학적인 패러다임의 배경아래에서 최고의 가치인 미를 추구하기 위해 디자인의 새로운 표현 방법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음악과 환경디자인간의 접목을 통해 관점과 방법을 공유함으로써 더 많은 가능성과 창조적인 대안을 창출할 수 있다는 다학제적인 방법으로 접근하고자 한다. 이러한 배경으로 본 연구에서는 현대음악의 시공간성 표현에 의한 「한강 자연사 박물관과 공원」의 환경 디자인 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동시대 정신으로서 현대음악과 조형예술과의 상호 관련성을 이해하고 공유된 조형적 특징을 도출해 내어 이를 디자인에 적용한다. 특히 시간과 공간이 절대적이지 않고 서로 분리되지 않는 상대적이고 상호 조화로운 것이라는 생태학적 패러다임에 기반한 시공이론에 따라 현대음악에서의 시공간성을 디자인에 적용함으로 실험적이고 독창적인 디자인 과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 과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제I장에서는 연구의 배경과 목적, 범위와 방법을 서술하였다. 제II장에서는 음악과 조형예술의 상관성을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서의 상관성, 구성요소와 표현형식에 있어서의 상관성, 시공간적 상관성으로 고찰해 보았다. 제III장에서는 현대 예술에서의 시공간성을 현대음악과 현대 조형예술에서 살펴보고 그 조형 적 특징을 도출하였다. 제IV장에서는 디자인에 적용할 사례음악으로 Lontano를 선정하고 이를 분석하여 디자인에 적용할 개념을 도출하였다. 연구대상으로 「한강 자연사 박물관과 공원」을 선정하고 이에 적합한 실제적인 대상지를 선정, 분석하였다. 다음으로는 필요공간과 그 기능을 분석하여 이 를 바탕으로 사례음악의 시공간성을 적용한 디자인 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디자인 최 종안을 종합하고 평가하였다. 제V장에서는 본 연구에 관한 요약과 논의를 하였으며, 연구의 기대효과 및 제한점을 서술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현대음악의 시공간성을 환경디자인에 표현해 보았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디자인 표현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자는 예술로서의 환경을 실현하기 위해 이러한 접근방법이 한 대안이 될 수 있다는 데 연구의 의의를 두며 앞으로의 디자인 방향이 창조적인 다른 예술분야와의 교류를 통해 다양하게 전개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게 되었다. Designers have been concerned and interested in the matters how to express the new methods in interior and environmental design fields. Various approaches had been presented for inexperienced possibilities through a number of works. Because aesthetic values are especially regarded as very crucial aspects nowadays, the investigations about the presentational ways with own originalities are getting more highly precious. Due to cartesian paradigm developed since Seventeenth century, standardized and functional spaces have been mass-produced. However, ecological paradigm as the alternative plan instead of cartesian paradigm suggests wholistic and pluralistic perspectives, in addition, it requires new understanding about environments. The viewpoints make environments a complex body to consist of nature, science, ideology and art. In consequence, qualitative value of environment will be improved if environmental design is headed toward arts. The purpose of my study is to suggest how to present the new design method based on ecological paradigm for the pursuit of beauty, the highest value. According to this, I am going to approach my study in synthetic way to hold view and method in common through combination of music and environmental design. In my thesis based on this approach, I will present environmental design of 」Natural history museum of Han River and Park 」 to express spatial and temporal aspects of contemporary music. I need to understand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music and the formative art with contemporary genius and find similar formative features to use them as design language. Especially I am going to adopt the spatial temporal theory based on ecological paradigm, which is the idea that time and space should not be absolute by themselves, separated but be relative and mutual in harmony. As a result, I will suggest experimental and creative design process to apply spatial and temporal aspects to design. The summary of my process is below. In Chapter I, I described the background, purpose, range and methods about my study. In Chapter II, I contemplated interrelationships between music and the formative art in three categories, such as the interrelationship as the method of communication, the interrelationship of constitution and forms of expression, and the interrelationship of space and time. In Chapter III, I sought spatial and temporal aspects of contemporary music and formative arts in order to organize the distinctive features. In Chapter IV, I chose Lontano to apply to my design as example music. I selected 」Natural history museum of Han River and Park 」 for the object of my study. After then I found the actual site and analyzed it. Secondly after I divided the required spaces according to the functions. I proposed the design to apply spatial and temporal characters of the example music into the space. Lastly I put the final design together and evaluated it. In Chapter V, I summarized and discussed about my study, I also mentioned expected effects and the critical points of my study. In conclusion, I presented spatial and temporal aspects of contemporary music in interior and environmental design through the process that I mentioned above. Furthermore, I tried to suggest the new presentational way of the design. It is very meaningful for me, the investigator of this thesis, that my approach to realize environment as arts could be another choice. I made sure the various possibilities that the directions of design in the future can be developed through the creative exchanges with other arts.

      • 현대 미술에 적용된 시공간 표현특성에 의한 환경디자인 과정에 관한 연구 : 'D' 의류 상업공간 디자인 적용을 중심으로

        윤민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9775

        최근 우리 나라 유통은 고도의 경제성장에 따른 소득수준의 향상으로 유통구조의 개선과 상품의 다양화 시대를 맞이하게 되었다. 또한 대량생산의 진전으로 상품의 질이 균질화 되고 동일 가격화 됨에 따라 상품의 차별이 점차 어렵게 되었다. 따라서 소비자의 구매패턴은 기업의 이미지와 구매시점의 호소력에 의존하게 되었다. 이러한 소비성향의 증가와 다양한 라이프 스타일 변화와 함께 기업은 고객에게 보다 많은 정보와 생활의 아이디어 제공 해야한다. 그리고, 기능적ㆍ미학적인 유통 디자인을 통해 상품의 특성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보다 나은 판매 환경이 무엇보다도 요구되고 있다. 이와같은 유통환경의 현황을 배경으로 본 논문에서는 빠르게 변화되는 유통 시대에 우리나라 패션경쟁력을 키울 수 있는 새로운 유통문화 환경을 모색하고자 한다. 새로운 디자인 접근 방법으로 우리나라의 유통환경의 문제점을 실증적 이론의 근거로 진단하여 소비자 행태의 변화에 대응한다. 또한 환경디자인의 적용 가능성으로 현 시대의 사조와 경향에 대해 규범적이론의 근거를 제시하여 상관성을 고찰한다. 시ㆍ공간 개념이 예술적인 인식대상으로서 등장한 것은 19세기 후반 이후로서 근대의 과학적, 철학적 사상을 바탕으로 미술에서 뿐만 아니라 건축에서도 중요한 개념으로 등장하였다. 이러한 개념은 현대예술의 패러다임의 변화하면서 등장한 테크놀러지의 예술과 함께 시ㆍ공간적인 한계와 모든 기술적 장애물을 넘어서 디지털과 예술의 통합체로서 하나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최근에는 디지털 테크놀로지로 인한 정보의 확산으로 구축공간의 양상이 급속히 변형되고 있으며, 불확실성이 다양하고 과도기적인 양태로 나타나고 있다. 현대예술에서 물리적 공간을 뛰어넘을 수 있는 디지털 미디어는 포스트모더니즘이 예술을 폭넓게 대중화 시켰던 것 이상으로 예술을 대중화 시키며, 대중매체 및 테크놀러지 예술은 현대인의 사상과 철학을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문화적 가능성을 우리에게 열어주고 있다. 이러한 의미는 현대건축에서 시ㆍ공간 개념의 맥을 이어가는 것이며 소비자본주의 시대에 환경디자인의 창조적 가능성과 예술적 감수성을 확장시키고 영역의 관습적 구분을 벗어나 보다 폭 넓은 디자인 경향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자이너는 새로운 패러다임과 예술전반의 모든 상호관련성에 대해 올바른 인식과 정확한 판단을 해야한다. 이와 같은 현대예술의 환경디자인 적용 가능성을 배경으로 본 연구는 디자인 방법에 대한 연구로서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1. 연구배경 및 목적과 방법을 체계화하였다. 2. 다학문적인 관점에서 시공간 개념의 변화에 따른 정보미디어의 사용, 참여와 소통의 과정, 타영역간의 상호연계성을 예술영역과 건축영역에서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규범적 이론(normative theory)으로 설명하였다. 3. 새로운 디자인의 표현특성인 설치적 경향과 비물질적인 시ㆍ공간적 조형개념 환경디자인의 적용 가능성에 대해 살펴보고, 해체주의와 미디어건축에서 나타난 실험적이고 창조적인 디자인 과정의 방향 제시를 위해서 구체적인 방법들을 고찰하고 사례분석을 하였다. 4. 우리나라 유통환경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소비자 행태의 변화에 대응하여 새로운 디자인 문제 접근 방법으로 소비자본주의 시대의 유통환경과 마케팅 시장으로서의 환경디자인, 후기산업사회 시대의 소비행동을 인간중심적인 방법으로 체계화 하였다. 5. 구체적인 의류상업공간의 계획을 위해 소비자 라이프 분석, 이미지 포지셔닝을 통해 새로운 디자인 적용 가능성을 예측하고, 대상지를 설정하여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6. 유통환경의 경쟁력을 키울 수 있는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으로서의 환경디자인에 체계적인 창조과정으로 미적 가치를 부여하고 디자인 대안을 제시하였다. 위의 과정을 통해 현대예술 영역과 건축영역에 나타나는 시ㆍ공간 개념의 표현특성을 실내디자인에 적용하여 이미지와 기호를 소비하는 소비자본주의 시대에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으로서의 환경디자인으로 접근을 시도할 수 있었다. 이와같은 표현방식은 환경디자인 영역성을 확장하고 풍부한 표현가능성을 확보하며 새로운 대안을 제시할 수 있었다. This study has focused on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he spatiotemporal concepts of formation in the architectural environment to environmental design through understanding of the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s in the modern art expression. The spatiotemporal concept began to be regarded as an object of artistic perception in the late 19C, and as paradigms of modem arts change, now it is implying a new possibility of overcoming some spatiotemporal limits and technical obstacles and uniting digital with art, and most recently it is repidly transforming and dominating the aspects of constructional space in a uncertain, diversified and transitional way due to the expansion of information by the digital technology. Digital media jumping over the physical time and space have made art more popular than post-modernism did, and today mass media and technology arts are bring us new cultural possibilities of representing modern man's ideas and philosophy most clearly. This means tat the line of the spatiotemporal concept is still maintained in the modem architecture, the creativity and artistic sensitivity of environmental design can be expanded in this consuming capitalistic age, and more comprehensive design tendencies casting off all the conventional classifications of genre can come out. There, designers should have a correct understanding and make an exact judgment on every correlation between new paradigms and art fields. This study as a study of designing has been progressed as follows: 1. Spatiotemporal concepts in the new paradigm were accessed in a multi-scientific way, and the use of information media, processes of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 and interconnections between different areas were investigated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rtistic field and constructional space. 2. The installational tendency and the formative concepts of nonmaterial time and space in the modem art were looked at, concrete methods to demonstrate experimental and creative design processes and directions in the deconstructionalism and media construction were analyzed. 3. The circulating environments and the aspects of environmental design as a marketing tool with marks and symbols in a consuming captialistic age were investigated to establish proper directions for designing a commercial space for clothing. 4. For concrete designing a commercial space for clothing, fashion trends and consumer's life style were analyzed, then a subject area was selected through image positioning, and problems were analyzed. 5. Alternatives were provided to grant environmental design as a marketing communicatory some aesthetic values. Through this process, the author of this study could apply the spatiotemporal concepts and expressional features in the modern arts and architecture to interior design and approach to environmental design as a marketing communicator in this consuming capltalistic age. This expressional method can expand the sphere of environmental design, enrich its expressional potentiality and provide new alternatives.

      • 도시환경 이미지 개선을 위한 오픈스페이스 디자인 연구

        서민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9775

        오늘날의 도시환경은 1960년대 이후 계속된 급속한 도시화를 통해 급속한 인구집중과 차량의 증가로 인한 대기오염과 소음발생 등의 물리적인 환경악화에 더하여 건물의 고층화와 인구의 고밀도화에 따른 정신적인 스트레스가 발생하는 등, 더 이상 인간을 포용하는 삶의 배경으로서의 역할을 하지 못하고 단지 인간 삶의 수단을 위한 공간이 되어가고 있다. 그리하여 도시기능의 변화가 도시민의 보다 나은 삶을 위한 방향으로 전환되어야 한다는 당위성에 당면하게 되었다. 그러나 아직도 대도시 공간이용은 오픈 스페이스로서의 이용보다는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과 제반활동을 위한 장소로서 활용되는 경우가 많으며 도시의 오픈 스페이스는 효과적으로 활용되지 않고 있다. 서울은 오랜 역사를 가진 도시임에도 불구하고 근대화과정에서 도심을 무분별하게 파괴함으로써 그 결과 지금은 뚜렷한 정체성을 상실한 채 매우 혼란스러운 도시 이미지를 안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자는 도시환경 악화에 따른 문제점들의 영향으로 점차 심각해져 가는 도시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서 오픈 스페이스 효과적인 활용을 통하여 인간에게 정서적인 만족을 줄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도시민의 문화적 흐름까지도 바꿀 수 있는, 고유한 자기정체성을 가진 문화예술 공간으로서의 오픈스페이스 디자인 연구를 제시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내용과 구성은 다음과 같다. 1. 서론에서, 본 연구가 갖는 연구의 배경과 목적을 밝히고, 문헌을 통한 이론적 고찰과, 모형 사례를 통해 진행하게 될 디자인과정의 연구 범위와 방법을 밝혔다. 2. 연구의 기본 배경으로써, 도시환경 이미지와 오픈스페이스를 고찰하였다. 가치관의 변화에 따른 문화적 개념의 도시 이미지를 바탕으로 도시 오픈스페이스의 기능과 역할, 그리고 서울시 공원현황과 문제점을 고찰하였다. 3. 마로니에 공원 지역 환경의 현황을 연구하기 위해 대상지의 역사적 배경을 조사하였고, 장소 및 장소성과 관련된 개념들을 통해 대상지의 장소성을 분석하였다. 4. 연구대상인 도시 오픈 스페이스인 마로니에공원 대상지의 환경분석과정을 거쳐 선행장들에서 도출된 개념을 기반으로 디자인 방향을 설정하였다. 장소성을 형성하는 원리 중 대상지에 적용 가능한 디자인 방안과 패턴언어를 추출하여 각 공간과 공간의 형태에 적용하였다. 5. 연구 결과를 종합, 평가하고, 연구 과정의 방법과 결과를 고찰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문화적 장소성을 가진 오픈 스페이스는 인간에게 다양한 행태를 지원하고 정서적 만족을 줄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삶의 질을 향상 시켜 도시민의 문화적 흐름까지도 바꿀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시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의 하나로서 문화예술 공간으로서의 오픈 스페이스 디자인을 통하여 도시환경의 질적 향상과 함께 인간 삶의 질도 향상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둔다. The urban environment in the modern days are turning into a place for living itself. It doesn't hold the function as background of human life. There are physical aggravation such as noise and air pollution caused by over population and increased number of transportation, mental stress from high density population. Now we have come to face the fact that the function of a city must change its direction to a better way for its citizen. But still the use of urban space is mainly used as places for fundamental acts such as habitate, commercial area and industrial area rather than usage as open space. The open space is not used effectively. Though Seoul is a city with long history, the modernizing development without enough contemplation brought chaotic image without apparent identification to the city. Therefore in this page I would like to suggest a efficient use of Open space design project as a artistic space with original identity that can change the stream of culture, that will also provide human a mental satisfaction. The structure of this study is as below. 1. In the introduction, there will be a clarification of the background, purpose of the study, theoretical contemplation through literary, boundary of deign procedure through model sample. 2. Contemplation of Open space and urban image as the background of the study. Contemplation of the function of cultural concept of urban image as the change of value. Also the present condition of parks in Seoul and its problem. 3. Study of historical background of Marronnier park area in order to study its present condition of provincial environment. The spacial character of the place is analyzed by the concept of space. 4. The direction of the design is set on the base of concept from former spaces through environmental analysis of the subject of the study, the urban open space, Marronnier park. Appliable design scheme and pattern language were abstracted from the theories that form the spaciality. They were applied to each spacial form. 5. The result of the study were synthesized, assessed. The method of the study and its result were also contemplated. Through this procedure, we can find out that open space with cultural spaciality will change the stream of urban culture. The open space will support various kinds of attitude, provide an environment that can bring mental satisfaction. These will bring up the quality of human life.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is on the side that open space design will bring the quality of urban environment and also the quality of human life. Eventually this will be the solution to the urban problems.

      • 설치미술의 표현특성에 의한 환경디자인 적용에 관한 연구

        김효진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9775

        오늘날의 세상은 급격한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특히 다원주의의 쇄도 등으로 스튜어트 홀이 말한 '전지구적인 탈모던'의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21세기로 향하는 시대적 전환점에서 예술 전반 영역에서도 이러한 변화를 수용하고 다양한 요구를 반영하려는 시도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현대미술의 공간해석은 그것이 믿고 있었던 기술적 미래에 대한 신념이나 객관적 진리, 진보에 대한 실험성을 텍스트로 한 내용이며 특히 새로운 질서창조를 지향하는 과거부정으로부터 출발한 것이다. 이는 현대성이 갖는 조형적 속성, 다시 말해 [재현된 장면보다는 만들어진 사물]을 선택하는 기호에 근거하고 있다. 공간확장의 제1수단으로 인식된 설치미술의 효과는 예술의 시야를 스튜디오에서 미술관으로, 미술관에서 정원으로, 정원에서 환경의 문제로 파급시켜 모더니즘의 종말을 예고했던 70년대 이후 더욱 확장된 시야를 형성하고 있다. 전시공간 자체를 대상화한 설치미술의 환경적 특성을 실제 일상 환경에 적용하여 획일화된 건축물과 도시환경을 대중적이고 능동적으로 인간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는 여가를 위한 시민공원의 필요성을 바탕으로 현대미술의 특성으로서 설치미술을 이해하고 환경과의 상호교류에 의한 예술이 일상에서 유리되지 않고 삶 속에서 환경의 예술화가 이뤄질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1. 현대미술의 대표적인 미술사조로써 설치미술의 시대적 배경과 전개과정을 살펴보았다. 2. 설치미술의 조형적 요소와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디자인 적용의 기준과 방법을 제시하였다. 3. 다원화 경향과 전위적이고 설치적 경향을 보이고 있는 현대 건축의 조형적인 특성을 파악하여 새로운 환경 디자인을 위한 하나의 접근 방법으로 이해하였다. 4. 한강시민공원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여 해결방안을 찾고자 했다. 5. 앞서 논의되었던 이론을 환경디자인에 적용시켰다. 미술과 건축 분야에서 나타나는 여러 특성과 다양한 매체의 사용으로 현 시대의 다양성을 반영하고 대중과의 상호교류로 예술이 일상에서 유리되지 않고 참여와 반응에 관심을 갖는 공공예술로서의 환경을 제시하였다. 6. 앞서 논의되었던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한 환경디자인을 제시한다. In the contemporary world, we come across drastic changes such as a multiculturalism that bring above what Stuart Hall' has referred to as the "global postmodern". At the turning point toward the 21st century, active attempts that meet these changes and reflect the diverse requests is in progress all over the fields of Art. Especially the interpretation of space in modem art makes it text the faith of a technological future, the the objective truth or the experiment of the progress. In particular it comes from the dental of the fast that is designed for the creation of new order. That is based on the characteristic element of forms in modernity, that is the preference of the created objects over the reproduced scene. It is the effect of installation which is recognized as the first way of the space-expansion that the view of art is extended from studio to museum, from museum to garden and from garden to environment, so it has been much enlarged since 70's when the end of modernism is foretold. To understand the installation as the characteristic of modern art and introduce the art into the environment not being separated from daily life on the basis of the need of a public park for leisure, this research proceeds by the following step. 1. Understanding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the installation, the major part of modern art. 2. Suggesting the standard and the method of the adoption of design by the analysis of the shape element and the characteristic of the installation. 3. Searching the solution by the analysis of the status and problems of Han-river public park. 4. Applying the above theory to the environmental design. Proposing the environment as the public art that is concerned about the participation and the reaction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daily life by reflecting the diversity of modem times with the use of various media and properties of the art and architecture. 5. Proposing the environmental design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abo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