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의료전문직의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한 역할 인식에 관한 연구 : P 의료원을 중심으로

        정옥란 국민대학교 행정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35359

        사회복지사는 사회복지에 관한 전문지식과 기술을 가진 자로 그 규모는 양적인 측면에서 엄청난 증가를 보이고 있다. 이에 의료시설 내에서 의료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협력을 하는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한 사회적 관심도 더욱 고조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관심과 함께 직업 내적으로도 자선사업가 혹은 자원봉사자의 이미지로부터 탈피하여 전문적 지식과 기술을 원조전문가의 이미지를 실제로 구축하기 위해서 1997년 8월 22일 국가시험에 합격한 자에게 사회복지사 1급 자격을 부여하는 자격증 시험 방법과 함께 변화와 발전을 위한 노력을 다각적으로 모색해 오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도 우리 사회에서는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해 과거 이해 및 지향이 존재하는 동시에 일부에서는 기대되는 바람직한 인식을 갖고 있는 등 다양하고도 복합적인 이미지들이 공존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종합병원의 의료전문직과 의료사회복지사들이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한 역할인식을 어떻게 인식하고, 기관장의 지원 정도에 따라 인식의 차이가 있는지, 사회사업실과의 협력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또한 의료사회사업을 어느 정도 알고 있는지 살펴보고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한 어떤 역할기대를 가지고 있는지 검토해봄으로써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의료사회사업을 수행하기 위한 의료사회복지사의 역할과 기능을 실천적 차원에서 제시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P 의료원에 근무하는 의료사회복지사와 의료전문직들의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한 역할인식 정도를 비교 하고, 분석하는데 있다. 제1장에서 제기된 문제를 바탕으로 하여, 제2장의 이론적 배경에서는 의료사회사업의 개념, 의료사회사업의 발달, 의료사회사업의 기능, 의료사회사업의 역할, 의료사회사업의 직무, 의료사회사업의 활동근거 등 이론적 연구를 시도하였고, 제 3 장 조사 설계 및 연구의 분석틀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 대상은 의료사회복지사가 근무하는 P 의료원을 대상으로 하여 서울 지역 2개 병원, 경기 지역 1개 병원에 근무하는 의료전문직과 의료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의료전문직은 의사, 간호사, 의료기술직, 행정직 등 균등하게 병원별, 직종별로 각 30부씩 배부 하였으나 서울의 경우 각 부서의 인원 현황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다. 연구조사 대상자는 총 348명으로 조사대상자의 가장 큰 전문직은 행정직과 간호직이 각각 27.9%(97명), 27.3%(95명)을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의료기술직 21.3%(74명), 의사직 16.1%(56명), 의료사회복지사 7.5%(26명) 순으로 나타났다. 병원별로는 일산병원 34.5%(120명), 상계병원 32.2%(112명), 서울병원 29.3%(102명) 순으로 나타났으며, 의료사회복지사는 P의료원에서는 전수조사를 하였으며, 조사 대상이 적은 관계로 서울, 경기 7개 병원에 협조를 의뢰하여 14부를 회수 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각 문항에 대해 점수처리한 후 SAS WIN 8.2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처리를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분석 방법은 첫째, 의료전문직의 인구학적 특성과 설문 대상 전체의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한 역할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 백분율, 평균 등의 기술적 통계기법을 사용한다. 둘째, 가설검증으로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인과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단순회귀분석과 t-검증 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전체 조사대상자의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한 역할인식 정도의 점수는 총 5점 만점에 평균 3.63점으로 약간 높게 나타났으며,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한 역할인식은 심리, 사회, 정신적 문제의 조사 및 평가하는 일, 지역사회 자원 연결을 제공하는 일, 사회복귀 및 재활 문제에 대해 상담지도 하는 일, 팀 접근 문제해결, 병원의 행정 및 경영의 회의참석, 자선진료 및 무료진료를 계획 실시하는 일, 등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2) 조사대상자를 의료전문직과 의료사회복지사로 구분하여 두 집단의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한 역할 인식의 차이를 비교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각의 문항에서는 심리·사회·정신적 문제의 조사 및 평가(1번 문항), 지역사회 자원 연결을 제공하는 일(3번 문항), 사회복귀 및 재활 문제에 대해 상담지도 하는 일(4번 문항), 팀 접근 문제해결(회진참여 및 타부서와 Conference)(5번 문항), 병원의 행정 및 경영의 회의참석(6번 문항), 자선진료 및 무료진료를 계획 실시하는 일(10번 문항)에 대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전반적으로 의료사회복지사들이 의료전문직에 비해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한 역할인식이 높게 나타났으나 자선진료 및 무료진료를 계획 실시하는 일(10번 문항)은 의료전문직이 의료사회복지사보다 높게 나타나 역할인식의 차이를 보였다. 3) 의료사회복지사 집단에서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한 역할인식 수준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성별, 연령, 근무기간에 따른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한 역할인식 수준의 차이는 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조사대상자의 성별, 연령, 근무기간에 상관없이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한 역할인식 수준은 유사한 분포를 보였다. 4) 의료전문직과 의료사회복지사 집단에서 사회사업실의 인력, 재정 지원 정도에 따른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한 역할인식 수준 조사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즉, 의료전문직과 의료사회복지사는 사회사업실 인력, 재정 지원에 상관없이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한 역할인식 수준은 유사한 분포를 보였다. 반면 의료전문직의 경우 사회사업실의 시설지원 정도에 따른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한 역할인식 수준을 살펴본 결과 통계적으로 P<0.05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의료전문직은 “ 사회사업실 시설지원 충분정도에 대하여 그렇다”라고 응답한 집단이 “그렇지않다”라고 응답한 집단대비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한 역할인식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 의료전문직의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한 역할인식 수준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성별, 연령, 근무기간에 따른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한 역할인식 수준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조사대상자의 성별, 연령, 근무기간에 상관없이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한 역할인식 수준은 유사한 분포를 보였다. 6) 의료전문직이 사회사업실과 협력만족도가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한 역할인식 수준을 단순회귀분석 수행결과, 의료전문직의 업무협력 만족도는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한 역할인식 수준에 대해여 P<0.001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사업실과 업무협력 만족도가 높을수록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한 역할인식 수준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사회사업실과 업무협력 만족도는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한 역할인식 수준에 대하여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6) 그 밖에 사회사업실의 업무인식, 필요성, 활성화, 병원 경영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해서 의료전문직과 의료사회복지사 간에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0.001). 선행 연구의 결과 보다 평균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근거로 의료사회복지사와 의료전문직간의 역할인식 차이를 확인 하였으며, 다만 가설에서 설정한 개인적 특성(연령, 성별, 근속기간 등)과 기관장의 지원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설정은 수준의 차이는 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는 P 의료원의 경우 뿐 아니라 모든 종합병원이 의료기관평가, 병원신임평가, 장기이식, 후원금 모금 등 다양한 형태의 제도나 프로그램으로 병원 내·외 의료사회복지사의 활동이 과거보다 활발해 졌으며, 지속적인 홍보를 하고 있다. 또한 신규 직원 및 재직 교직원을 상대로 의료사회사업의 의의와 필요성 등에 대한 교육과 대중매체를 통한 의료사회사업의 소개와 활동으로 인하여 교직원의 인식수준이 높아졌으며, 병원 내 각종 지지모임과 자원봉사 인력 활용, 공익사업 프로그램 개발 등으로 개인적 특성에 따른 유의미한 결과가 나오지 않은 것으로 생각된다. 아울러 선행연구 결과와 비교해 볼 때 사회사업실의 필요성도 4.27점으로 높은 점수가 나왔으며, 병원 경영에 도움이 되는 것 3.27점으로 인식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의료사회복지사들의 끊임없는 노력에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한 역할인식이 전체적으로 좋아졌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기관장의 지원정도를 나타내는 인력, 재정, 시설에 관한 문항에서는 인력 지원 2.63점, 재정 지원 2.75점, 시설 지원 2.71점으로 평균(M=3)보다 낮게 나타나 아직 까지도 의료사회사업이 미시적으로 낭비적인 요소로 보는 견해가 많은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이제는 의료사회사업의 역할에 대한 의료전문직의 인식은 양적(경제적 관점, 지역사회 연계)으로 많이 향상 되었다고 생각되지만 질적인 측면에서는 타 학문 전공자들과 호흡을 맞출 수 있는 업무관계의 발전과 더불어 동시에 전문적 정체성과 기능에 대한 명확한 개념을 유지함으로써 의료사회복지사의 전문성인정의 향상을 위해 많은 연구와 노력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과정은 의료 셋팅에서의 의료사회사업의 보다 발전적인 모습을 정립하는데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며, 궁극적으로 의료사회복지사의 역할인식 수준도 높아지게 될 것이다. Social worker is a person who has expertise and practical skills in social welfare. In Korea, there are remarkably increasing number of social workers in the aspect of quantity. Accordingly, there are more social attentions to medical social workers who cooperate with professional medical staffs to meet desired medical goals in medical facilities. Apart from these social interests, in order to actually build images of medical assistance professional having expertise and practical skills beyond conventional images of charity worker or volunteer in the aspect of occupation, there have been multilateral efforts for change and development involving national qualification test for Social Worker Class 1(established on Aug. 22, 1997). However, it is in reality that there are various and complicated images on medical social workers in our society. For instance, some still have out-of-date understanding and orientation on medical social workers, while some have expected and favorable awareness on them. In this context, this study seeks to address how professional medical staffs and medical social workers working in general hospital recognize the roles of medical social workers,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in their awareness depending on extent of support from institutional director and depending on availability of cooperation with nosocomial social work division, and how much they know about medical social works. And this study examines possible role expectations for medical social workers, so that it takes practical perspectives to suggest both roles and functions of medical social workers to carry out medical social works more effectively and efficient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awareness on roles of medical social workers, which is found from a survey on medical social workers and professional medical staffs working at P Medical Center. Based on questions posed for discussion in Chapter 1, Chapter 2 dealt with theoretical backgrounds. That is, this chapter tried a theoretical examination in concept, historical evolution, functions, roles, duties and activity basis of medical social work. Then, Chapter 3 suggested an analytic framework for survey design and research.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outlined as follows: 1) It was found that total respondents scored relatively high points on the average(mean score = 3.63 out of full 5) in their awareness on the roles of medical social workers. Here, it is no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wareness on roles of medical social workers such as survey and measurement on psychologic, social and metal problems; making connections with local community resources; counseling on the issues of social return and rehabilitation; resolution of team accessibility issues; participation in hospital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sessions; and scheduling and implementing charity and complimentary medical treatments. 2) This study divided all respondents broadly into two groups, i.e. professional medical staffs and medical social workers to compare differences in their awareness on the roles of medical social workers. As a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wareness between two groups on the whole.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in respective question items such as survey and measurement on psychologic, social and mental issues(Q1), making connections with local community resources(Q3), counseling and guidance on social return and rehabilitation issues(Q4), resolution of team accessibility issues(participation in round of visits, conference with other divisions)(Q 5), participation in hospital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sessions(Q6) and scheduled execution of charity and complimentary medical treatment (Q10). Overall, it was found that medical social workers had relatively higher awareness on the roles of medical social worker than professional medical staffs, but the latter group had higher awareness on scheduled execution of charity and complimentary medical treatment(Q10) than the former group, which reveals differences in the role awareness between two groups. 3) According to analysis on differences in the extent of awareness on the roles of medical social workers depending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medical social worker group,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extent of awareness on the roles of medical social worker depending on sex, age and working years, but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on statistical level. That is, there were similar statistical distributions in the extent of awareness on the roles of medical social worker, regardless of respondents' sex, age and working years. 4) According to survey results on the extent of awareness on the roles of medical social worker depending on the manpower and financial supports of social work division, there was not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wareness between professional medical staff group and medical social worker group. That is, there were similar statistical distributions between two groups in the extent of awareness on the roles of medical social worker, regardless of the manpower or financial supports of social work division.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survey on the extent of awareness on the roles of medical social worker depending upon facility support of social work division,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ofessional medical staff group at p<0.05. That is, in a question item on the sufficiency of facility support available from social work division, “Yes" group of professional medical staffs showed higher awareness on the roles of medical social worker than “No" group of said staffs. 5) According to analysis on differences in the extent of awareness on the roles of medical social worker depending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professional medical staff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tent of awareness depending on sex, age and working years. That is, there were similar statistical distributions in the extent of awareness on the roles of medical social worker between two groups, regardless of respondents' sex, age and working years. 6) According to simple regression analysis on the extent of awareness on the roles of medical social worker depending on professional medical staffs' satisfaction at cooperation with social work division, it was found that their satisfaction at cooperation with social work divis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extent of awareness on the roles of medical social worker at p<0.001. That is, it is found that the higher satisfaction with cooperation with social work division leads to the higher awareness on the roles of medical social worker. Thus, it is concluded that satisfaction at cooperation with social work division has positive effects on the extent of awareness on the roles of medical social worker. 7)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ofessional medical staffs and medical social workers in task understanding, necessity and promotion of social work division as well as its effects on hospital management(p<0.001). And mean scores reached higher points than results of preceding study.

      • 사회복지시설의 개방적 운영에 관한 연구 : 장애인복지를 중심으로한 사례 연구

        권태순 대전대학교경영행정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35359

        본 연구는 현재 장애인복지시설들이 폐쇄적 운영을 탈피하여 어느 정도 개방적으로 운영되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장애인복지시설의 자원활용과 지역사회와의 상호작용 측면을 고찰함으로써 앞으로 장애인복지시설이 개방적 운영을 할 수 있는 기반을 찾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장애인복지시설을 개방적으로 운영한다는 것은 시설과 지역사회의 공동 노력으로 상호 수용적이며 상호 협력적인 관계로 전환하여, 지역사회와 격리된 시설이 아닌 시설의 장애인이 지역사회의 일원으로 받아들여지고, 일방적으로 수혜받는 시설이 아닌 지역사회주민에게도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유용한 자원으로 인식되고, 지역사회 주민도 시설을 지역 고유의 자원으로 활용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장애인복지시설의 개방적 운영에 대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국의 254개 장애인복지서설 중 재활(요양)시설 155개를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실시하여 55개 시설로부터 응답을 얻었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원, 이사회, 후원자 및 후원회, 자원봉사자의 항목으로 나누어 조사한 자원활용 측면에서는 장애인복지시설의 개방적 운영의 기반이 될 수 있는 이들에 대한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고, 시설장의 잘못된 인식으로 인하여 이들을 다양한 측면에서 활용되어지는 것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원의 채용 방법 및 최종 결정권자, 이사회의 개최 유형 및 선정 방법, 후원자 및 후원회의 활용, 자원봉사자의 활용 등에 관해 살펴본 결과, 개방적 운영의 기반을 이루기에는 실제적으로 미흡한 점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시설의 설비 및 프로그램의 개방, 시설의 홍보, 재정 및 프로그램 계획의 개방 범위, 직원과 장애인의 지역사회 참여유도 등을 살펴본 결과 지역사회와의 상호작용에 관한 사항에서는 전체적으로 상호작용의 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사회에 대하여 설비를 개방하거나 재가장애인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서설의 비율이 낮았으며, 주로 방문객이나 이용자에 의존하는 홍보 방법을 이용하고 있었다. 또한 재정 및 프로그램 계획의 개방 범위는 직원과 이사회, 행정기관 등에 한정되어 있었으며, 직원과 장애인의 지역사회 참여 형태는 행정협의회나 기관 관련행사 등이 많아 지역사회 주민과 직접적으로 만나고 이해할 수 있는 것이라고 보기에는 미흡하였다. 마지막으로 개방적 운영에 관한 견해에 있어서는 앞의 항목들에서 현재 시설의 개방적 운영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것과 달리 응답자들이 '현재 우리 서설은 개방적 운영을 함으로써 지역사회와의 관계 형성이 잘 이루어지고 있다'고 답변하여 차이를 보여주었다. 이것은 시설 운영자들이 장애인복지시설의 개방적 운영에 관한 올바른 개념 이해와 개방적 운영의 필요성을 실제적으로 공감한 상태에서 답변이라기보다는 '지역사회주민들이 우리 시설을 언제든지 자유롭게 방문 할 수 있으므로 개방적 운영을 하고 있는 것이다'라는 식으로 '개방적 운영'에 대한 나름대로의 잘못된 개념을 갖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개방적 운영의 장애요인으로는 지역사회 주민의 편견 및 이해 부족과 시설 내 전문인력의 부족이 가장 많이 지적되었다. 그밖에 '시설의 설비 미비 및 재정 부족' '시설 운영자의 의식 부족'도 고루 지적되었다. 여기에서 지적된 요인들은 곧 우리 나라 장애인복지의 현실을 가늠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며, 이러한 현실은 장애인시설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조장하여 탈 시설화 등의 거센 바람을 일으키는데 일조하고 있다고 볼 수 있고 장애인복지시설의 개방적 운영에 저해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이 요인들은 어느 한쪽에 의해서만 야기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시설과 관련된 주변의 모든 조직과 지역사회주민, 지방정부와 중앙정부의 제도적 정책적 측면 등에 전반적으로 걸쳐 있는 것이다. 본 조사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제언할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설 직원과 이사회, 후원자 및 후원회, 자원봉사자 등은 장애인복지시설이 개방적 운영을 해나가는 데 중요한 자원이 되기 때문에 직원의 공개 채용을 통한 우수한 인적자원 보충, 이사회에 지역사회 인사 참여를 통한 전문가 집단의 조직화, 후원자·후원회의 활성화방안 연구, 지속 가능한 전문자원봉사자에 지역사회 주민을 적극 활용 등 이들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도적·정책적 지원을 통하여 마련해야 한다. 둘째, 장애인복지시설과 지역사회의 상호작용은 시설의 장애인과 지역사회 주민 양측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므로 상호이해와 협력이 증진되어나갈 수 있도록 시설과 지역사회에서 인식 개선을 바탕으로 상호작용을 촉진시켜야 할 것이다. 셋째, 장애인복지시설의 개방적 운영에 대한 필요성을 시설과 지역사회에서 새롭게 인식하여야 하며, 이 부분에 대한 보다 심층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시설장애인들에 대한 서비스가 물질적 필요(의식주 욕구충족)에 주력하고 있는 것을 정신적 필요(만족스런 인간관계형성, 자기성장)측면으로 전환하고, 이를 위해 개방적 운영프로그램의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다섯째, 한국장애인시설협회 등 장애인관련단체에서는 시설에 대한 조사연구를 통하여 시설의 개방적 운영을 할 수 있도록 시설 상호간 정보 교류와 함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여섯째, 장애인복지시설 설립자 및 시절장의 개방적 운영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더불어 개방적 프로그램을 연구·실행할 수 있도록 노력하는 한편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는 시설직원의 장기근속이 가능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일곱째, 사회복지서비스 행정 전달체계 문제점을 보완하고 전문적이고 통합적인 사회복지업무 수행·관리·감독을 위해 보건복지부에서 분리되어 별도의 사회복지부의 신설이 요구된다.

      • 대학생활 적응의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 빈곤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윤경 忠南大學校 行政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35359

        College students' problems such as slow academic progress, hard interpersonal relations, and psycho-social maladjustment increase stress and become obstacle factors of college student's adjustment. Especially, because the number of poor college students rise sharply as a result of the recent economic crisis, the study about poor college students' adjustment is in urgent need of research. This study explained social support factor in addition to factors significantly analyzed through antecedent studies and investigated the influence factors of college student's adjustment. To find out whether there is the difference between poor students and average students in college,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presented. (1) Is there the difference between poor college students and average students in adjustment to college life? (2) Is there the difference in college student's adjustment according to demographic and social features? (3) Is there the difference in college student's adjustment according to psychological variables like parental attachment and the way to control stress? (4) Is there the difference in college student's adjustment according to social support? (5) What is the influence factor of college student's adjustment among the other factors such as demographic and social features, psychological variables, social support? (6) Do poor students and average students in college have any difference in influence factors of college student's adjustment? This research was conducted with 277 college students and used 4 scales; college student's adjustment(SACQ), stress coping style, parental attachment, social support. SPSS-WIN 12.0 statistics program was used and frequency analysis for understanding the degree of individual 4 scales was did.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college student's adjustment according to individual variable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figure out the effects of independent variables on adjustment to college students' life. According to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independent variables and dependent variable, the following are indicated.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llege student's adjustment among two groups; poor students and average students. Second, male students adjusted more easily than female students. Also, students with stress coping style based problem solving were better at adjustment to college students' life. Students with stress coping style based evasion had low adjustment to college life. The result of analysis showed a slight correlation between college student's adjustment and satisfaction in major, attachment to parent, social support. Summary of regression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difference by gender but students have high satisfaction in their major were better at adjustment to college students' life than unsatisfied students. Second, students with strong attachment to parent and with stress coping style based problem solving had strong adjustment to college life and stress coping style based evasion had low adaptation to college life. Third, when students are aware that they receive more social support, the students adjusted well to college life. Fourth, in case of poor college students, parental attachment and satisfaction in major were significant variables affecting on adjustment to college students' life. In case of average college students, parental attachment, satisfaction in major, stress copying style and social support were significant variables affecting on adjustment to college students' life. Among sub-factors of social support, material support and appraising support were effective in poor students' adjustment to college life. For average college students, appraising support was superior to parental attachment and was influential in adjusting to college life. Based on the result, several practical implications would be suggested. First, high school students' career counseling for fitting their aptitude are necessary to successful college life. Second, poor college students need the enlargement of material support such as various scholarship and self-esteem improvement through positive evaluation. Average college students need the ways of support through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 like emotional, informational, appraising supports rather than material supports. Third, college should coach students in having attitude on solving problems more confidently. 대학생들이 경험하는 학업적인 어려움, 대인관계, 기타 심리 사회적인 부적 응의 문제들은 대학생의 스트레스를 증대시키며 더 나아가서는 대학생활 적 응에 심각한 장애요인이 될 수 있다. 특히, 최근 경제위기 상황으로 빈곤 대 학생의 수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그로 인한 어려움의 악순환이 예상되어 빈 곤대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가 절실하다. 대학생활 적응에 관한 지금까지의 선행연구들은 개별 변수를 단편적으로 분석한 정도에 그치고 있 어 종합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들에서 유의미하게 분석된 요인들에 사회적 지지 요인을 추가하여 종합적으로 대학생들의 대학생활 적 응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 빈곤대학생과 일반대학생간 대학 생활 적응 영향요인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 를 설정하였다. 첫째, 빈곤 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은 대학생활 적응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대학생활 적응에 차이가 있는가? 셋째, 심리적 변인인 부모애착정도,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따라 대학생활 적 응에 차이가 있는가? 넷째, 사회적 지지에 따라 대학생활 적응에 차이가 있는가? 다섯째, 인구사회학적 특성, 심리적 변인, 사회적 지지 중 대학생활 적응 영향요인은 무엇인가? 여섯째, 대학생활 적응 영향요인에서 빈곤대학생과 일반대학생간에 차이가 있는가? 이를 위해 대학생 273명을 대상으로 대학생활 적응 척도, 스트레스 대처방 식 척도, 부모애착 척도, 사회적지지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하였다. 수집 된 자료는 SPSS-WIN 1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 학적 특성, 대학생활 적응 정도, 사회적지지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 석을, 각 변인에 따른 대학생활적응의 수준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test와 일 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독립변수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각각의 독립변수와 종속변수간 관계를 분석한 결과 첫째, 빈곤대학생 과 일반대학생 두 집단 간 대학생활 적응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여학생보다는 남학생이 대학생활에 더 잘 적응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전공만족도, 부모에 대한 애착, 사회적 지지는 대학생활적응과 정적인 상관관 계가 있었다. 또한 조사 대상자들은 문제해결중심 스트레스대처방식을 더 많 이 사용하고 회피중심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적게 사용할수록 대학생활에 더 잘 적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결과 첫째, 전공에 만족하는 대학생이 불만족한 학생보다 대학생활 적응을 더 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성별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었다. 둘째, 부모와의 애착이 좋을수록, 문제해결 중심적 스트레스대처방식을 사 용할수록 대학생활 적응도가 높아지고, 회피중심적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사 용할 경우 대학생활 적응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지지를 더 많이 받는다고 지각할수록 대학생활에 잘 적응하 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빈곤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을 구분하여 대학생활 적응 영향요인을 살 펴본 결과, 빈곤대학생은 전공만족도와 부모와의 애착이, 일반대학생은 전공 만족도, 부모와의 애착, 문제해결중심 및 회피중심 스트레스 대처방식, 사회 적 지지가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사회적지지 하위영역별로 대학생활 적응을 살펴보면 빈곤대학생은 물질적 지지와 평가적 지지가 대학생활 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일반대학 생에 대한 물질적 지지는 대학생활 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평가적 지지가 부모와의 애착을 상쇄시킬 만큼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 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을 제고하기 위한 실 천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공만족도가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남에 따 라 고등학생들이 적성에 맞는 학과를 선택하여 대학에 입학할 수 있도록 체 계적인 진로상담이 강화되어야 한다. 둘째, 부모와의 애착, 사회적지지가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나 빈곤대학생들은 장학금과 같은 물질적 지지를 확대시키고 긍정적인 평 가를 통해 자존감을 높여주며, 일반대학생에게는 물질적인 지원보다는 정서적, 정보적, 평가적 지지 등 긍정적인 대인관계를 통한 지지방법 등이 효과적일 수 있어서, 집단 간 차별화된 다양한 프로그램이 확대되어야 한다. 셋째,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사용할수록 대학생활 적응도 높은 것으 로 나타나 문제를 보다 적극적으로 해결하려는 신념과 태도를 가질 수 있도 록 심리적 지원과 지도가 강화되어야 한다.

      • 한일 지방정부의 노인복지행정 비교 연구 : 대전광역시와 일본의 후쿠오카시를 중심으로

        송혜숙 대전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35359

        최근 의료기술의 발달과 식생활 개선 등으로 인한 평균수명의 연장으로 우리 나라도 본격적인 노령화 사회에 진입하고 있다. 이러한 노령화 사회의 도래는 필연적으로 노인들의 생활안정, 노인건강, 여가선용, 재취업, 심리적인 소외문제 등 많은 노인문제를 낳고 있다. 특히 전통적으로 강조되어 오던 경로효친사상이 점차 희박해지고 핵가족화가 진행됨에 따라서 노인문제는 이제 국가전체 수준에서 심각한 사회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가까운 일본은 이미 고령사회를 맞이하여 국가정책으로 노인복지시책을 강화하기 시작하였으며 막대한 자원을 노인복지 분야에 투입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 나라의 노인복지는 다른 사회복지 분야에 비해 상대적으로 낙후되어 있다. 정부조직에 있어서나 서비스 체계에 있어 대부분 비전문적 으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효율성이 크게 뒤지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우리 나라와 일본의 노인복지행정을 바탕으로 우리 나라의 대전광역시와 비교적 규모가 비슷한 일본의 후쿠오카시의 노인복지제도 및 정책을 비교해봄으로써 우리 나라의 바람직한 노인복지 정책 방향을 모색해본 결과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노인복지법을 바탕으로 오늘날의 노인문제를 해결하기에는 많은 문제점을 지니고 있으며, 특히 증대되는 노인인구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에는 많은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노인복지정책은 우리 사회의 노인문제 성격을 올바르게 규명하고, 노인의 생활상의 기본적인 욕구를 토대로 수립되어야 한다. 둘째, 노인들을 위한 소득보장 정책의 방향을 모색하고, 경제적으로 어려운 노인들에게 실질적인 노후생활을 지원하기 위해 노령수당제도가 확대·실시되어야 하며, 노인들을 위한 취업기회가 확대되어야 한다. 셋째, 노인의 건강유지와 질병은 전반적인 복리상태에 영향을 미침에도 불구하고, 노년기의 건강관리, 건강유지 및 질병예방에 대한 대비책은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노인의 건강교육 및 상담을 시, 군, 구에서 실시함과 동시에 노인의 영양관리, 운동, 개인위생 등에 대한 건강교육을 실시하여 노인의 건강을 증진시켜야 한다. 넷째, 노인복지서비스는 개인이나 기업이 참여하여 이윤을 보장받기는 아직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노인복지사업은 공공부문에서 재정지원을 하는 민간사업이 확대되어야 한다. 즉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의 예산으로 추진하되 민간에 위탁하여 운영해야 한다. 또한 노인을 위한 개호서비스, 개호용품, 노인복지시설 공급, 개호보험 등은 상호 연계되어야 하며, 서비스 이용의 효율화를 위해서도 관련업계의 연대가 필요하다. 다섯째, 현재 사회복지 행정요원으로 읍·면·동 단위에 사회복지담당 공무원이 배치되고 있지만 이들 행정요원 이외에 복지시설에서 일할 요원양성이 필요하다. 특히 노인복지서비스를 위해 재가서비스의 핵심적 역할을 하게 될 가정봉사원의 확보와 양성이 중요함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통해 노인복지문제 해결을 위해 종합적이고 장기적인 노인복지종합대책이 무엇보다도 조속히 마련되어야 함을 실감하지 않을 수 없었으며 본 연구가 우리 나라의 노인복지행정 발전에 미력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 地域社會福祉 活性化에 관한 硏究 : 大田廣域市를 中心으로

        윤대식 대전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35359

        우리나라에서 地域社會福祉의 연원을 추적해 본다면 1970年代부터 地域社會 開發의 일환으로 시작된 새마을 운동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地域社會福祉는 一般社會福祉와는 달리 地域社會를 基本單位로 하는 社會福 祉로 地域住民들의 참여속에 行政組織과 民間團體의 협력을 必要로 한다. 지역복지는 住民組織이 主體가 되어 計劃을 수립하고 自體의 자원을 갖고 추진하여야 한다. 住民들은 專門人力·資金·技術의 부족으로 체계적인 추진이 어려 ―ⅰ― 워 中央이나 地方政府의 절대적인 뒷받침이 필요하다. 우리나라는 전통적으로 中央集權的인 權力體制를 유지하여 왔으나 地方化, 分權化 되면서 이제는 地方政府가 하는 일을 中央에서 적극적으로 뒷받침 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地方自治制가 실시됨으로써 지역주민들이 地域에 대한 기대와 욕심은 地域福祉라는 行政의 서비스로 나타나기를 바라는 실정이다. 地方自治團體가 수행하여야 할 社會福祉 機能은 公的扶助, 社會保險의 機能, 公衆衛生과 保健의 기능 그리고 적극적인 社會福祉 機能등 이다. 이러한 地域福祉는 地方自治團體가 地域住民들과 함께 福祉에 대한 基本理念과 方向을 設定하여 福祉에 대한 實際認識을 하면서 國內外 狀況 전개에 따라 福祉政策을 樹立, 執行하고 還流의 과정을 거쳐 地域福祉政策이 發展되며 活性化된다고 하겠다. 이를 집행하는 매체로는 行政組織, 公務員, 財政의 確保가 重要한 要素로 등장한다. 本 論文은 이러한 要素들과 함께 兒童·靑少年·婦女·老人福祉에 대한 實態와 問題點을 大田市를 中心으로 分析하여 그 改善方案을 摸索하는 것을 目的으로 한다. 그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改善方案을 도출 제시 하고자 한다. 첫째 大田市의 地域福祉에 대한 中長期 計劃을 樹立·施行하는 것이 요청되며, 둘째 中央과 地方政府間 社會福祉 機能의 再分配가 이루어져야 하며, 셋째 社會福祉 專門人力의 確保, 넷째 地方財政의 充實化와 福祉財政의 擴充方案마련, 다섯째 住民參與 및 自願奉仕의 活性化, 여섯째 地域特性에 맞는 프로그램의 開發이다. 地域福祉는 地域住民의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中央政府의 政策的 支援속에서 地域住民 스스로가 地域社會 福祉의 主體임을 깨달아 地域社會 福祉 活性化에 적극 참여 하여야 할 것이다.

      • 지역사회복지 증진을 위한 주민자치센터 역할강화방안 : 부산광역시 주민자치센터를 중심으로

        노윤석 부산대학교 행정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3534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mote the welfare of the community through strenghtening the role of community autonomy centers.(CAC) The nation-wide network of Dong offices, except for town and Myon offices, generally administer residents' autonomy center. Resident autonomy centers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community but their administrative and operating procedures have problems in terms of standardization and duplication of programs. There are also limitations on the number of users and difficulties securing operating expenses. There is a perception by the general public that the potential of community centers has not been fully realized. However, given that the performance of residents autonomy centers is meaningful to the promotion of community welfare when their purpose, functionality and value are considerd, activation methods for promoting community through the use of community center should be positively considered. Methods for promoting welfare through the efficient use of residents autonomy centers are as fellows. Firstly, residents autonomy centers and community welfare centers should be set up to strengthen co-operative relations with government institutions and private institutions in its initial phase. Government-initiated residents autonomy centers need to operate in an administratively logical manner. Therefore, the government's continuous attention and institutional methods for supporting should be implemented to help CAC operate more efficiently and effectively. Secondly, institutional methods should be implemented for professional social welfare workers to directly participate in carefully selected and the community welfare actively. Special education and the trained professional social welfare workers should be utilized to optimize the use of CAC and thus improve community welfare. Thirdly, CAC should include a residents campaign organization for improving community welfare. The campaign organization should make residents pay more attention toward community affairs and co-operate closely by utilizing each CAC for its pro-functionality. The campaign organization should also be a place for educating volunteers and providing opportunities for volunteers to participate in the operator of the CAC Fourthly, the residents autonomy center should function as a resource for identifying community protection target community residents are ideally placed to identify who need protection and support. The CAC should also play a role in minimizing the number of illegal beneficiaries and in identifying persons who need financial, security and health support. Fifthly, the CAC should provide a function to educates residents'. The CAC couldn't exist without residents participation, therefore, the CAC should help residents participate in community affairs and provide access to community educator programs. Sixthly, the CAC should provide a function that integrate the community. The CAC should be a place where the disabled, the healthy, the poor and the rich can lead a life together impartially. Finally, the CAC should open the door for volunteers' participation, hold various events and lead a residents' campaign for improving community welfare.

      • 사회자본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 및 조직 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은미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35343

        본 연구에서는 사회자본과 보육교사의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 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하여 보육교사의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특히 사회 자본을 신뢰, 규범, 네트워크 등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사회자본 요인이 보육교사들의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사회자본 요인 간의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지 등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사회자본의 관점에서 보육교사들의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 향상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 지역에 소재한 보육시설에서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 21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6개의 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장 서론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연구범위 및 연구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제2장은 이론적 논의의 장으로 사회자본과 보육교사의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대한 개념과 관계에 대해 고찰하고, 관련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제3장은 연구모형 및 조사 설계의 장이다. 사회자본과 보육교사의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관한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 검토 내용을 토대로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제4장은 실증분석의 장으로 사회자본과 보육교사의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관한 보육교사의 일반적 인식분석과 회귀분석을 통해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였다. 제5장은 정책제언의 장으로 보육교사의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제6장은 결론부분으로 본 연구결과의 요약과 함께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자본 요인과 보육교사의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 간의 상관관계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사회자본 요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신뢰, 규범, 네트워크 간에는 모두 p<0.01 수준에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회자본 요인들 중 신뢰와 네트워크가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는 규범과 네트워크, 신뢰와 규범 등의 순이었다. 사회자본 요인과 보육교사의 직무만족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사회자본 요인인 신뢰, 규범, 네트워크와 보육교사의 직무만족 간에는 모두 p<0.01 수준에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회자본 요인들 중 네트워크와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이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그 다음으로 신뢰, 규범 순이었다. 사회자본 요인과 보육교사의 조직몰입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사회자본 요인인 신뢰, 규범, 네트워크와 보육교사의 조직몰입 간에는 모두 p<0.01 수준에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자본 요인들 중 네트워크와 보육교사 조직몰입 간의 상관관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신뢰, 규범 순이었다. 보육교사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에서는 양자 간 p<0.01 수준에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자본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한 다중회귀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회자본 구성요인 중 신뢰, 네트워크 등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규범은 보육교사의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종합해 볼 때, 보육교사의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영향요인으로는 신뢰, 네트워크 등이라 할 수 있다. 특히 네트워크가 보육교사의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신뢰가 미치는 영향력 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증분석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의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 향상방안을 사회자본의 관점에서 제시하였는데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 향상을 위한 신뢰 구축방안으로는 어린이 집 구성원들 간의 호혜적 관계 형성을 위한 구성원들의 인식 전환, 어린이 집 구성원들 간에 상호존중을 기반으로 한 인격적 관계의 정립, 보육교사들에게로의 의사결정 권한의 위임, 보육교사들 간의 상호 호혜적 신뢰관계 구축을 위한 정기적․비정기적 의사소통 활성화, 어린이 집 운영에 관한 의사결정시 보육교사들의 참여 확대 등을 들 수 있다. 둘째, 보육교사의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 향상을 위해서는 규범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향상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한 방안으로는 어린이 집의 목표와 비전에 대한 보육교사들의 공감대 형성, 어린이 집의 목표와 비전을 효과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규칙과 규범의 확립, 보육교사들의 규칙 및 규범 준수에 대한 동기부여, 어린이 집의 규칙과 규범 준수에 대한 보육교사들의 의식수준 향상 등을 들 수 있다. 셋째, 보육교사의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 향상을 위한 네트워크 향상방안으로는 어린이 집 원장과 보육교사들 간의 멘토링 제도의 도입 및 운영, 보육교사들 간의 자유로운 의사소통을 위한 다양한 의사소통 채널의 마련, 보육교사들 간의 네트워크 증진을 위한 학습동아리 운영의 장려 등을 들 수 있다. This study is purported to suggest measures for improving childcare center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y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social capital and the aforesaid factors. For this, social capital has been categorized into trust, norms and network. Analyses were done to see what influence the three categories had on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commitment and also what relative effect the three categories have on each other to find ways to enhance teachers' satisfaction and commitment based on the data. The data have been gathered by surveying 217 teachers working at childcare centers in the metropolitan area including Seoul, Gyeonggi Province and Incheon. The study is composed of six chapters. Chapter 1 suggests the purpose, range and methods of the study. Chapter 2 theoretically deals with the concepts and relations of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commitment and reviews related studies of the past. Chapter 3 Study Model and Survey Planning, establishes the study model and hypothesis based on the theoretical observation of the concept of and relation between social capital and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commitment and also reviews of former studies. Chapter 4 Empirical Analysis verifies the hypothesis by analyzing teachers' general perception of the three key factors: social capital and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also based on regression analysis. Chapter 5 suggests measures for enhancing childcare center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Lastly, Chapter 6 summarizes the study and concludes by suggesting future studies deemed necessary. The study's key analyses results are as follows.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social capital factors and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hows that, first of all, the three social capital categories trust, norms and network were in a plus correlation with each other at the level of p<0.01. In particular, the correlation between trust and network was the highest followed by the correlation between norms and network and that of trust and norms. In the case of the correlation between social capital and teachers' job satisfaction, all three categories trust, norms and network had p<0.01 level plus correlations with job satisfaction. Among social capital, network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teacher's job satisfaction followed by trust and norms. As for the correlation between social capital and teach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all three categories showed p<0.01 plus correlations with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them, network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then trust, and then norms. Analysis results of the correlation between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ay the two factors were in a p<0.01 plus correlation with each other.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social capital on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commitment are as follows. While the social capital categories trust and network had statistically meaningful influence on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norms did not. Considering thi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key social capital factors that affect job satisfaction and commitment of childcare center teachers are trust and network. Among the two factors, network had a relatively greater influence than trust. Based on the above empirical analyses results, measures for improving childcare enter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have been drawn up focusing on social capital. The specific measures are suggested as below. First, as a measure for building trust to enhance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commitment, the childcare center staff and faculty must change in attitude to form reciprocal relationships with each other, staff and faculty must build humanistic relationships based on respect for each other, teachers should be given the authority to make decisions, teachers should activel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regularly and irregularly to build a reciprocal relationship based on trust and teachers should be given more rights to take part in making decisions on running the childcare center. Second, teacher's perception of norms should be modified. For example, teachers should be able to identify with the center's goals and visions, principles and regulations are necessary for effectively achieving and realizing goals and visions. teachers should be motivated and educated to follow the principles and regulations. As for network improvements for enhancing job satisfaction and commitment, canters can adopt a mentoring system between the directors and teachers, open various communication channels for teachers and encourage networking activities like group studies.

      • 多文化家庭 靑少年의 自我尊重感에 影響을 미치는 要因에 관한 硏究 : 충청남도 다문화가정 중학생을 중심으로

        백미숙 忠南大學校 行政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35343

        International marriage has been focused(the focus of attention) especially in korea because our country is a homogeneous country, and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who have been growing in bicultural home experience various problems of adjustment. Thus, this study make a premise that maladjustment of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result from low self-esteem.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s effecting on self-esteem of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and suggest alternatives to enhance self-esteem of them. Among the various factors that influence on self-esteem of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this study classified factors and focused on the individual factor, home environment factor, social environment factor and multi-cultural feature factor. This research was conducted with 144 middle school students who live in Chungcheongnam-do. The students' father is korean and mother is foreigner. SPSS-WIN 12.0 statistics program was used and frequenc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Summary of the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self-esteem of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was not lower than this of normal ones. Second, the students who are the lower grades and have a very high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recognized higher self-esteem according to the individual factor. Third, the higher education and family cohesion and monthly income of families are, the higher the degree of the self-esteem is. Fourth, the students who have good friendships, less social discrimination experiences, high utilization of regional social resources achieved high degree of the self-esteem. Fifth, the degree of self-esteem according to multi-cultural feature factor was high when the student's mother lives in korea for a long time, speaks korean fluently, gets less acculturation stress. Sixth, From th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it was proved that family cohesion is a decisive factor that affected self-esteem and it was verified that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relationships with teachers affect self-esteem. As the results indicate, among the factors affecting on self-esteem, family cohesion, high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good relationships with teacher, are relatively important factors. Based on the result, several implications would be suggested. First, this study presented empirical evidence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and affecting factors on self-esteem. And then, practical data that will be used to future researches about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was provided. Second, this study contributed theoretically to solution of several problems such as maladjustment in society and psychological conflict by analysing affecting factors on self-esteem of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Third, because family cohesion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that affect on self-esteem, social care and concern about multi-cultural families is needed. Thus, various programs and services by school, community, or national level should be established as methods for improving self-esteem of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단일민족사상이 강한 우리나라에서 국제결혼은 사회적 이슈로 관심의 대상이 되어 왔으며, 다문화가정이라는 이중문화속에 성장하는 자녀들은 심리적인 문제와 적응상의 문제를 경험하고 있다.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성장하여 청소년이 된 지금, 학교급이 올라갈수록 학교탈락률과 미진학률이 증가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 다문화가정 청소년에 대한 배려와 지원방안에 대한 연구가 절실히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이 겪고 있는 부적응 원인이 낮은 자아존중감이라 파악하고,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혀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높일 수 있는 방안과 이들이 건강한 사회인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개인요인, 가정환경 요인, 사회환경 요인, 다문화적특성 요인으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는데 구체적으로 연구문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정도는 어떠한가? 둘째, 개인요인 중 성별, 학년 그리고 학업성취도와 자아존중감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가정환경요인 중 부모의 학력과 경제적 수준, 그리고 가족결속력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넷째, 사회환경요인 중 친구관계, 교사관계, 지역사회자원 활용정도 그리고 사회적 차별경험과 자아존중감과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마지막으로 다문화적특성요인 중 모(母)의 출신국, 모(母)의 한국 거주년수, 모(母)의 한국어 수준 및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조사대상은 아버지의 출신국은 한국이고 어머니의 출신국은 외국인 충청남도에 거주하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최종 144부가 분석에 활용 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빈도분석, T-test, ANOVA(변량)분석,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 그리고 다중선형회귀분석(multiful Linear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상과 같은 분석 결과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은 일반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비교하였을 때 낮지 않았다. 둘째, 개인요인에 따른 자아존중감은 학년이 낮을수록, 학업성취도가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셋째, 가정환경요인에 따른 자아존중감은 아버지의 학력이 높을수록, 경제적수준이 높을수록, 가족결속력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됐다. 넷째, 사회환경요인에 따른 자아존중감은 친구 및 교사와의 관계가 좋을수록, 지역사회자원 활용정도가 높을수록, 사회적 차별경험이 적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다문화특성요인에 따른 자아존중감은 어머니의 거주년수가 많을수록, 어머니의 한국어실력이 높을수록, 문화적응스트레스를 적게 받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여섯째, 회귀분석결과 자아존중감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요인은 가족결속력으로 나타났으며, 학업성취도와 교사와의 관계가 영향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다문화가정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는 가족결속력이 높고, 학업성취도가 높을수록, 또한 교사와의 관계가 좋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을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로 다음과 같은 함의를 고찰해 볼 수 있다. 첫째, 다문화가정청소년의 특성과 자아존중감의 영향요인에 대해 파악할 수 있는 경험적인 근거를 마련해 주었으며 차후 다문화가정청소년에 대한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실증적인 자료가 될 수 있다. 둘째, 다문화가정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분석해 봄으로써 다문화가정청소년이 겪고 있는 심리적인 어려움, 학교 및 사회에서의 부적응 등 다양한 문제의 해결방안에 대한 이론적인 기여를 하였다. 셋째, 다문화가정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가족결속력으로 다문화가정에 대한 관심과 사회적 배려가 필요하며, 다문화가정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학교 및 지역사회 또는 국가적인 차원에서 다양한 서비스 및 프로그램 개발 등 실천적 개입이 필요함을 제시했다.

      • 사회복지관에 대한 지역주민의 복지욕구에 관한 연구 : 충주시를 중심으로

        김웅 대전대학교경영행정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35343

        지역주민의 복지증진을 도모하기 위해 설립된 다목적 복지센터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사회복지관은 1980년대 후반 이후 양적으로 크게 증가하여 왔으며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지역복지서비스 전달조직으로서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양적인 성장에도 불구하고 사회복지관의 서비스 전달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복지관의 서비스에 대한 지역주민들의 아동ㆍ청소년, 여성 및 가정, 노인ㆍ장애인, 자원봉사, 지역복지 등의 욕구를 파악하여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발전방안을 제시하고, 나아가 지역주민들에게 보다나은 복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지역사회복지정잭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충주시 지역주민 77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들은 고민거리를 친구와 가장 많이 상의하였고, 이들의 문제 중 가장 심각한 것은 음주와 흡연으로 나타났으며, 방과 후 오락실이나 만화방, PC 게임방을 많이 가고 있었다. 따라서 지역사회복지관에서는 청소년들을 위한 휴식공간과 전담 상담부서를 설치ㆍ운영 해야한다. 둘째, 여성들은 직업과 부업활동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고, 경제적인 어려움이 우리사회에서 가장 심각한 가정문제라고 인식하였다. 또한 여성들을 위한 교양강좌 개설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저소득층을 위한 프로그램은 물론 중산층 여성들을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ㆍ운영 해야한다. 셋째, 지역주민들의 노인과 장애인에 대한 욕구를 살펴본 결과, 노인들을 위해 건강진단 및 치료서비스가 가장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장애인을 위한 편의시설은 절대적으로 부족하다고 조사되었다. 따라서 이들을 위한 사회교육 및 여가지도, 노인부업교실 등의 프로그램을 운영해야 하며 장애인을 위한 편의시설도 확충해야 한다. 넷째,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지역주민의 인식을 보면, 어려운 분들을 위해 자원봉사를 참여하며, 분야로는 불우 아동이나 청소년에 대한 봉사를 가장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원봉사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지역신문, 지역방송, 게시판에 전단지 부착 등의 다양한 매체를 통해 적극적인 홍보를 해야한다. 다섯째, 지역주민들의 지역사회복지를 살펴보면, 주민복지서비스에 대해 대체적으로 불만족하고 있었으며, 쓰레기 및 환경문제가 가장 심각한 지역사회 문제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지역사회복지관은 지역사회의 복지센터로서 그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지역특성과 주민의 욕구에 맞는 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