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계정식의 『한국음악(Die Koreanische Musik)』에 관한 연구 : 오선악보로 소개, 해석된 17악곡에 기하여

        김성윤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791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usical significance of Korean music research by Dr. Keh. Ch. S., a Korean-born classical musician in the 1930s, which have not been much illuminated by Korean music academia. In this study, I explore Keh’s life and his research works on Korean music with a primary focus on his doctoral dissertation, 『Die Koreanische Musik-Einführung und Besprechung von 17 zum ersten Mal in die europäische Notenschrift übertragenen Kompositionen』; examin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Korean music perceived by western musicians; and analyze his research methodologies to introduce at that time very little known Korean music to the western world. First, Keh was born in Pyongyang in 1904 and was highly talented in music. He studied violin in Japan and Germany and earned a doctorate degree from Universität Basel, Switzerland in 1934 with a dissertation on Korean music. After returning to Korea, Keh was actively involved in various musical activities as a violinist, composer, conductor and educator, and became a pioneer of Western music in Korea. Although major in Western music, he displayed a deep affection for 1930s Korean music. Besides his doctoral dissertation on Korean music, he played <Bang-a Taryeong> and <Chwitaepyeongjigok> arranged in classical music on his recitals. Second, Keh’s doctoral dissertation, which covers almost everything on Korean music, contributed to enhancing the understanding of Korean music as well as Korea among Europeans. He offered an outline of Korean history and culture and presented a general overview and main features of Korean music, on which the Europeans at that time had very little knowledge. He also provided musical transcriptions and analyses of seventeen Korean musical pieces by referring to gramophone records and precedent music books, allowing the readers to have a firsthand appreciation of the music he presented. Keh explained that Korea has its own distinctive culture since Gojoseon and unlike China, displays a theological perspective on musical philosophy. Korean music employs a five-tone scale without semitones. Performers of Korean music were largely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court musicians, government-employed musicians or privately-employed musicians, troubadours or wandering musicians and gisaeng, and each group played different genres of music. In his dissertation, Keh added detailed explanations on how to play Haegeum(a Korean musical instrument similar to the violin) and Janggu(an accompanying instrument in Korean music). Korean music roughly comprises two major genres—court music and folk music, and these two are played in very different manners. While court music is played in a refined manner with little display of emotions, folk music is characterized by its rhythmical and dramatic expressions. In particular, he noted the unique aspect of Korean music where even the same piece of music can be played and delivered very differently depending on performers. Keh included seventeen musical pieces in his dissertation, two of which are court music, the other two are Buddhist music and the rest thirteen are folk music. Out of thirteen folk music pieces, he included <Bamyot(Taryeong)>—the song of taffy sellers touting on the streets and <Bumoeundeokga>—the early 20th century's newly composed song. Although Keh did not reveal the sources of recordings of the five pieces—<Bamyot(Taryeong)>, <Ipal Cheongchunga>, <Dambaguya>, <Daeyangga> and <Bumoeundeokga>, I identify the sources of those five pieces by referring to the scores from Lee Sang-jun’s Music Book and André Eckardt’s 『Koreanische Musik』(1930). I also found out that Keh took the melody of Haegeum as the main melody when transcribing ensemble pieces such as <Mannyeonjanghwanjigok>. In addition to this confirmation, based on literature review it can be inferred that Keh also transcribed the Haegeum-Piri duets such as <Bang-a Taryeong>, <Yangsando>, <Young-byun Ga> and <San-yeombul> with Haegeum as the primary melody, even though the recordings of those four pieces were lost. Moreover, he analyzed history, lyrics, scales, melodies and rhythms of each seventeen pieces, and even translated lyrics and Confucian names of folk songs into German, in order to enhance appreciation of these musical pieces. Third, I assess the importance of Keh’s work from four different aspects: the academic value of 『Die Koreanische Musik』, application of comparative musicology methodologies, transcription of Korean music and violin-interpreted Korean music. 『Die Koreanische Musik』 has a significant academic value as Keh advanced the previous research which were only presented with simple introductions and music books, by conducting musical analyses as well as musical transcriptions on seventeen pieces. Moreover, 『Die Koreanische Musik』 is not only the first foreign language publication on the Korean music published by a Korean in Europe, but the first doctorate dissertation on Korean music in Korean musicology academia. Highly influenced by comparative musicology while studying in Germany and Switzerland, Keh adopted comparative musicological methods for his dissertation, as a means to better introduce Korean music to the Europeans. Comparing with other Asian countries, Keh highlighted Korea’s identity and uniqueness, analyzed the features of Korean music from the Western angle and defined “improvisation” as the most distinctive attribute of Korean music. It is noteworthy that Keh attempted to transcribe Korean music from gramophone records onto five-line staff notation. Seventeen scores of Korean music in five-line staff notation in his dissertation are invaluable resources of indirect information on Korean music during the early 20th century. Keh’s utilization of gramophone recordings as a primary source for his study as well as transcription of Korean music into five-line staff notation and analyses on scores not only opened a new chapter and facilitated the development of Korean musicology, but demonstrated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recording and transcribing Korean music. When introducing Korean music to Europe, Keh as a violist played Korean music on the violin in order to enhance Europeans’ understanding on Korean music by expressing it with their familiar instrument. As the Haegeum is a Korean instrument similar to the violin, Keh added the explanation on Haegeum and only included the Korean ensemble pieces accompanied by Haegeum. For example, Keh’s notating <Bakyeon Pokpo> and <Yangsando> in two or three melody lines implies his intention to play the pieces in a violin duet or a trio arrangement. He also displayed his own style and interpretation of the musical pieces when rearranging the Korean music for violin. After returning to Korea, Keh played <Chwitaepyeongjigok> and <Bang-a Taryeong> on the violin. This study addresses that the scores from Keh’s 『Die Koreanische Musik』 were interpreted for playing the pieces on the violin as well as that playing and rearranging Korean music into Western instrument was groundbreaking both in Korea and in Europe. The scores of Korean music in Keh’s dissertation enabled the Europeans to play the music even though they had little knowledge on Korean music. Judging from the existing research and documents, Keh is the first musician in Europe, who interpreted and played Korean music on the violin. In conclusion, Keh’s 『Die Koreanische Musik』, is of great academic significance in the field of Korean musicology for the reasons stated above, and has also greatly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musicology. 본 연구는 그동안 한국음악학계에서 조명받지 못했던 계정식의 한국음악 연구, 즉 그의 박사학위 논문인 『Die Koreanische Musik-Einführung und Besprechung von 17 zum ersten Mal in die europäische Notenschrift übertragenen Kompositionen(한국음악-유럽식 기보로 역보(譯譜)된 17개 악곡들에 대한 최초의 소개 및 논평)』(이하 "『한국음악』")의 한국음악학적 의의를 구명(究明)한 것이다. 이에 본고는 계정식의 생애 및 그의 한국음악 연구 행적과 박사학위 논문인 『한국음악』을 총체적으로 아우르고, 서양음악가의 관점에서 본 한국음악은 어떤 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당시 서구에 잘 알려지지도 않았던 한국의 음악을 서구인들에게 어떠한 방법론을 가지고 연구를 전개하였는지 등 분석을 통해 계정식 논문의 한국음악학적 의의를 밝혔다. 첫째, 계정식은 1904년 평양 출생으로 음악적 재능이 매우 뛰어난 인물이었다. 일본과 독일에서 바이올린을 전공했으며, 1934년 스위스에서는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귀국 후 그는 바이올린 연주자, 교육자, 작곡가, 지휘자 등 다양한 분야에서 왕성히 활동한 우리나라 서양음악의 선구자이다. 그는 서양음악가임에도 1930년대 한국음악에도 애정을 보였다. 단연 대표적인 것은 그의 박사학위 논문 『한국음악』이며, 이외에 그의 연주회에서 선보인 서양식 편곡 <방아타령>과 <취태평지곡>이 있다. 둘째, 계정식의 논문 『한국음악』은 서구에 편찬된 한국음악서로, 한국음악과 관련한 모든 것들을 총망라하였다. 서구인들에게는 미지의 나라인 한국의 이해도를 높이고자 한국이라는 나라의 개괄부터 한국음악의 전반적 지식과 특징을 제시하였다. 이후 이를 독자들이 직접 경험할 수 있도록 그는 한국음악의 특징을 비교적 잘 담고 있는 곡, 또는 그도 알고 있거나 당시 사람들이 많이 불렀던 곡들 중 유성기 음반과 선행 악보집을 토대로 17악곡을 선별하여 채보 및 분석하였다. 그는 한국이 기원전 고조선 건국 이래로 고유의 문화를 지니며, 음악철학에 있어서도 중국의 세계관과 달리 신학적인 관점을 취한다고 설명한다. 그리고 한국음악의 음 체계는 무반음 5음으로 구성되며, 한국음악의 연행자를 궁중악사, 관아 또는 민간음악가, 떠돌이 가수, 기생으로 구분하였고, 이들이 담당하는 음악은 각기 달랐다고 기술한다. 그는 한국악기의 연주방법에 관해서 본인의 전공인 바이올린과 유사한 해금과 반주 악기인 장구만을 소개하였는데, 이 중 장구의 맨손 연주법은 지금과는 사뭇 다른 양상을 보인다. 정악은 높은 격조를 지닌 음악으로 감정을 절제하는 반면에 민속악은 경쾌하며 선율의 단락이 분명히 나누어진다는 그의 설명을 통해 그가 한국음악의 장르별 음악적 특징을 인지하고 있었음을 암시한다. 특히 계정식은 한국음악의 경우 같은 곡이라 하더라도 연주자에 따라 그 느낌이 달라진다고 덧붙였다. 『한국음악』에 수록된 17악곡은 궁중음악 2곡, 풍류음악 2곡, 민속악 13곡이다. 계정식은 민속악에 엿장수가 호객하는 소박한 거리 외침인 <밤엿(타령)> 또한 음악으로 간주하여 포함하였으며, 가슴을 파고드는 가사를 노래하는 20세기 초 새롭게 작곡된 창작곡 <부모은덕가>도 실었다. 17곡 중 출처가 불분명한 곡은 <밤엿(타령)>, <이팔청춘가>, <담바구야>, <대양가>, <부모은덕가> 총 다섯 곡이다. 연구자는 이상준의 악보집 및 안드레 에카르트(André Eckardt) 신부의 『Koreanische Musik』(1930) 등에 수록된 악보 등과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위 다섯 곡의 명확한 출처를 밝혔다. <만년장환지곡>을 통해서 계정식이 합주곡을 채보할 때, 해금 선율을 위주로 채보하였음을 확인하였다. 해금과 피리 이중주의 <방아타령>과 <양산도>, <영변가>, <산염불가>의 음원은 현재 구할 수 없으나, 이 곡들 또한 선행연구 등을 바탕으로 그가 해금을 주선율로 채보한 곡이라 추정된다. 계정식은 17개 악곡 각각의 역사와 가사, 출현음, 선율, 리듬 등을 다루었으며, 아명과 성악곡의 가사까지도 독일어로 번역하여 악곡에 대한 이해를 도왔다. 셋째, 계정식의 『한국음악』의 한국음악학적 의의를 한국음악의 학술적 연구와 비교음악학 방법론의 적용, 한국음악의 악보화, 그리고 한국음악과 바이올린의 접목 네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한국음악의 학술적 연구에서는, 그의 논문은 단편적인 개론서와 악보집 등 종전의 저술과는 차원이 다른 진일보한 연구로서 17악곡의 한국음악을 오선악보로 소개하고 분석하였다. 또한 한국인이 서구에서 외국어로 편찬한 최초의 한국음악서이자, 기존 발굴된 연구보다 앞선 한국음악학계 학술적 연구물로, 한국음악을 주제로 한 한국음악학계 최초의 박사학위 논문임을 명시하였다. 비교음악학 방법론의 적용에서는, 독일과 스위스에서 유학하던 계정식은 당시 신생 음악학 분야인 비교음악학의 영향을 받아 『한국음악』을 집필하였으며, 이러한 비교음악학 방법론은 그가 한국음악을 서구인에게 소개하는데 가장 적합한 연구방법임을 서술하였다. 따라서 그는 한국음악에 비교음악학 방법론을 적용한 장본인으로, 한국을 다른 아시아권 나라들과 비교함으로써 한국이라는 나라의 독자성과 고유성을 부각하고, 서양음악 관점에서 한국음악을 분석하여 우리 음악 고유의 특징을 “즉흥성”이라고 정의하였다. 한국음악의 악보화에서는, 당시 유성기 음반에 취입된 한국음악을 오선악보로 채보하였던 계정식의 시도 자체는 높이 평가될 가치가 충분하다는 점을 조명하였다. 『한국음악』에 실린 오선악보로 기보된 17악곡의 한국음악은 20세기 전반 우리나라 음악을 간접적으로 알려주는 귀중한 연구자료이다. 계정식은 유성기 음반을 그의 논문의 원자료로 적극 활용하여 오선악보로의 채보와 분석을 통해 본격적인 한국음악학의 포문을 연 동시에 발달을 초래하였으며, 한국음악의 기록의 중요성 및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한국음악과 바이올린의 접목은 바이올린을 전공하던 계정식이 서구인에게 친숙한 방식과 악기로 한국음악을 소개하고 연주하고자 하였음을 서술하였다. 그가 『한국음악』에 해금을 소개하고, 합주곡 중 해금이 편성된 곡들만을 취한 까닭은 해금과 유사한 바이올린에 접목하기 위해서이며, 두, 세 가지 선율을 제시한 <박연폭포>와 <양산도>는 이중주 또는 삼중주를 위한 곡으로 풀이된다. 그가 참고한 악보와는 다르게 논문에 기보한 부분은 계정식이 한국음악을 바이올린 음악으로 편곡하기 위하여 그만의 스타일을 더해 해석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는 귀국 후, 논문에 수록한 <취태평지곡>과 <방아타령>을 바이올린 음악으로 편곡하여 직접 사람들에게 연주를 선보였다. 이를 통해 그의 『한국음악』에 실린 악보는 바이올린 연주를 위하여 해석된 것이며, 한국음악을 편곡하여 서양 악기로 연주한 것은 당시 국내뿐 아니라 서구권에서도 획기적인 것임을 밝혔다. 『한국음악』에 수록된 오선악보는 한국음악에 낯선 서양음악가들도 연주할 수 있도록 가교역할을 하였으며, 20세기 초 서구권에서 계정식이 한국음악을 바이올린에 접목한 시도는 현재까지 발굴된 자료 가운데 최초라 하겠다. 이상으로 계정식의 『한국음악』은 우리 한국음악학계에 있어서 한국음악의 학술적 연구와 비교음악학 방법론의 적용, 한국음악의 악보화와 한국음악의 바이올린 접목 등의 큰 의의를 지니며, 이후 한국음악학의 발달을 초래하였기에 음악학적으로 그 가치가 충분하다.

      • 한국민요를 활용한 음악치료의 논리적 근거 연구 : 민요를 활용한 음악치료 연구사례 중심으로

        임혜성 동국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9775

        한국의 민요는 오랜 세월 한국인의 삶 속에서 자연스럽게 생성, 발전해 오면서 한민족의 고유한 정서를 담고 있는 소박한 노래이다. 오늘날 음악을 활용한 음악치료가 대체요법의 하나로 시행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한국의 전통음악을 활용한 음악치료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음악치료 현장에서 한국민요가 다른 전통음악에 비해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점은 한국민요가 한국인에게 효과적인 치료음악임을 시사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말과 문화, 정서를 담고 있는 한국민요를 활용한 음악치료 학위논문 사례를 바탕으로 한국민요에 내재된 여러 가지 특성과 음악치료와의 연관성을 찾아봄으로써 한국민요를 활용한 음악치료의 논리적 근거를 연구하였다. 한국민요의 집단성과 집단음악치료, 한국민요의 가창방식과 노래치료, 한국민요의 정서적 기능과 정서치료, 한국민요의 장단과 리듬치료, 한국민요의 시대성과 기억회상, 한국민요의 예술성과 추임새, 한국민요의 즉흥성과 즉흥연주, 한국민요의 민속성과 민속음악치료로 구분하여 한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음악치료에서 한국민요는 매우 효과적임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한국민요는 한민족의 노래로서 세대를 불문하고 한국인이면 누구나 적용 가능하고 건강에 관심이 많은 한국인의 웰빙음악으로서의 역할을 도모할 뿐 아니라 전통문화예술이 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전승 발전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Korean Folk Songs are some simple songs to contain the inherent sentiments of the Korean people, which are created and evolved in the lives of the Korean people for a long time. Today the music therapy applying music is one of the alternative therapies, and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are applied to the music therapy. Especially, the field of music therapy is used for the korean folk songs much more than the other traditional music genres. It is clear that the korean folk songs are effective for the music therapy. Therefore, this study was based on the cases of theses of music therapy applying the korean folk songs to involve the korean languages, cultures, and sentiments, found out the various and inherent characteristics on the korean folk songs and associations with the music therapy, and examined the logical grounds of the music therapy to apply the korean folk songs. There are collectivity of the korean folk songs and group music therapy, the singing way of the korean folk songs and singing therapy, the sentimental functions of the korean folk songs and emotional therapy, the beats of the korean folk songs and rhythm therapy, the contemporary characters of the korean folk songs and the memory recollection, the artistic value of the korean folk songs and ‘chuimsae’, the improvisation of the korean folk songs and improvising performances, and the ethnic senses of the korean folk songs and ethnomusic therapy analyzed in this study. It also represented that folk songs are effective programs for music therapy for the korean people. The Korean folk songs are applied to the music therapy for the korean people regardless of any generations. It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well-being music for the korean people who have a priority on health, and serves as momentum to develop the traditional culture and arts in the lives of everyone naturally.

      • 한국 5음 음계 시창 교재 연구 : 코다이적 접근법을 중심으로

        조홍기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9775

        본 논문은 한국음악 5음 음계의 시창을 위해 교재론적·음악어법적으로 접근하여 사료를 비교·분석·적용하는 방법으로 연구한 결과이다. 이를 위해서 국내에 출판된 시창 교재를 분석하여 음악적 재료들이 어떻게 교재로 녹아들어 갔는가를 찾아보고, 아울러 국내 시창 교재를 분석하여 한국 음악의 가장 중심재료인 5음 음계가 시창의 핵심이 되는 이치를 살펴 본 후, 헝가리의 Zolta'n Koda'ly가 만든 5음 음계 시창교재를 분석하여 헝가리 민속음악에 나타난 5음 음계의 음악적 모국어 역할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한국 음악을 위한 5음 음계 시창 교재로 적용·도출 되는 것을 연구하였다. 본 논문의 첫 번째 작업은 시창의 본질적 개념과 방법들을 규명하여 음악기초문법이 전공생들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들에게 필요한 타당성을 찾아보았다. 음악도 글과 마찬가지로 읽고 쓰고 이해할 수 있어야만 상호소통이 가능해지고, 음악가들이 음맹을 벗어나야만 수준 높은 음악 문화 체계가 만들어질 수 있다. 그동안 구전심수로 내려온 한국음악이 튼튼한 음악어법을 잘 갖춘 교육체계를 가지기 위해서는 기초음악 훈련을 위한 교재의 연구가 절실하기 때문에 한국 음악적 모국어인 5음 음계 구조의 음계, 선법, 토리 등의 기준을 살펴보고 시창 적용 가능성을 찾았다. 두 번째는 국내에 나와 있는 기존의 시창 교재들을 분석하여 이를 통해 문제점을 찾아내고 해결 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였다. 100편 가까이 시창 교재가 발간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전통 음악이 제재곡으로 소개되기는 커녕 5음 음계나 리듬들이 소재로 다루어지지 않았고 5음 음계보다 적은 2-3음계로부터 시작하여 단계적으로 가르치는 방법들도 사용되지 않았다. 특히 국내에 5음 음계 시창 교재가 현재 단 1권 밖에 없는 상황에서 한국음악의 특징인 5음 음계의 적용을 통해서 시창의 길잡이가 될 수 있는 교재 개발을 이끌어 내려고 하였다. 그 다음에는 Zolt'an Koda'ly가 헝가리 민요를 바탕으로 하여 모든 사람이 음악을 읽고 쓰고 이해하는 것을 위해 만든 헝가리 민요 5음 음계 시창 교재 중에서 가장 기초적인 두 권을 분석하였다. 그리하여 우리나라 민요·전래동요를 이용한 5음 음계 시창 교재를 도출하기 위해 시창 교육 방법 중 어떤 것에 적용하였는지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한국 음악을 위한 5음 음계 시창 교재로 적용하기 위해 5음 음계 시창 교재의 나아갈 길을 제언하였다. 그리하여 누구나 가지고 있는 도구인 사람의 목소리를 통해 시창을 배우고 귀를 통해 이루어지는 음악 기초 훈련인 Solfege를 지도하기 위해서는 한국음악의 음악적 모국어를 가지고 시작해야 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is the result of research which compared, analyzed and applied the materials of pentatonic of Korean Music to approach the sight-singing in the aspects of ‘theory of teaching material’ and ‘musical grammar’. In order to accomplish the task, the author analyzed the domestic teaching materials and found how the musical materials merged into teaching materials; furthermore, he found the principle of how the pentatonic served as the core in reading musical notes. Also, the author analyzed the pentatonic instructions made by Zolta'n Koda'ly and defined the role of the pentatonic in Hungarian Folk Songs as the musical mother tongue. The author then studied how to appl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 making teaching materials about pentatonic of Korean Music. The first work done in this essay was making a close examination into the essential concept and methods of reading musical notes. Thus I explained that basic music knowledge is necessary not only for music majors but for everyone. In the case of music, reading, writing, and understanding are necessary in order to communicate, just like any other language. Musicians should escape musical-illiteracy to raise the standard of the musical culture and form a firm system within the culture. Korean music was handed down orally - and this is the reason why researches on teaching materials in Korea are desperate than ever. Knowing the importance of such researches, the author found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he standards of scale, mode, and character of the pentatonic of Korean Music to the researches. Secondly, I analyzed the teaching materials for sight-singsing in Korea. He also found the problems and groped for solutions. More than 100 teaching materials have been published in Korea, but Korean Music weren’t even introduced in most books. Furthermore, the pentatonic of Korean Music - including scale and rhythm - was not weighed as it should have been. The teaching method of starting from scales lower than the pentatonic scale and increasing by degrees was not used, too. The truth is that there is only one teaching material about the pentatonic of Korean Music, and yet the author still strives to apply the pentatonic scale, which is the core of the Korean Music, and lead the research we need the most at this very moment. Then, I analyzed the teaching materials written by Zolta'n Koda'ly. The author, based on Hungarian Folk Songs, analyzed the two most basic teaching materials which were written for the purpose of helping everybody to read, write and understand music. And from this analyze, I draw an inference for the arrangement of sight-singing material based on pentatonic music and the utility for which goal of music. Lastly, the author concluded the essay by illustrating the way we should go in order to apply the research results to improve Korean pentatonic teaching materials. Then everyone would be able to learn how to read musical notes by using their voices - the most easily acquired instrument. The author deduced that in order to direct Solfege - the basic music discipline conducted with voice and hearing -Korean musical mother tongue is indispensible.

      • 한국음악의 악조와 서양음악의 음계 비교 연구

        박윤미 동국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9775

        In order to understand a concept of Korean musical tone, understanding for tonality, scale of western music and system, form of modal theory should be preceded. Because scale and modal theory exerted its significant influence in developing musical trend like imposing flow of music and establishing diversified ethnical musical characteristics by each times. Under this background, in case of western music, order and phenomenon being formed from a constant music represent musical tone character through a relationship among harmony. In other words, tonality being changed depending on keytone or its harmony plays an important role of determining the nature of melody based on musical tune. However, a concept of musical tone in Korean music involves more diversified and comprehensive meaning than western music. As its meaning is further segmented depending on 'stair of music' that sequentially arranges music in octave, that is, musical relation structure in scale, interval relation, position of keynote, compass, modal concept is used in mixed form. Like this, in Korean music, each independent mode including Pyeongjo and Gyemyeonjo is present and mode or Tory is more skillfully used than scale. In addition, if Sigimsae style expression is same or changed by regional assimilation even though it is analyzed under such modal context, another musical pattern is created and its type and name become diversified. Besides, maqam of Arabian music or raga of India music that are used in several world folk music is a scale mixed with modal element and in this respect, it is represented in diversified ways as a type of mode. In this study, based on this result, diversified musical tone concepts depending on scale composition were observed based on Woojo, Pyeongjo and Gyemyeonjo of Korean music and it was compared in terms of western music scale and modal theory. First, Tetrachord that is 4-tone scale and Pentachord that is 5-tone scale of western music form diversified modes and scales depending on relation of each tone and it became a base of systemizing basic tonal system. Along with this, it plays an important role of basic scale in the generation background of major and minor that are widely used today. In addition, 12 types of rated and changed modes form represented in church music in the Middle Ages could be also similarly found in court, folk music of our country. Second, musical tone changing aspect by each times of Woojo, Pyeongjo, Gyemyeonjo in Korean music was represented in 7-Jo of <Akhak Gwebeom> and <Yanggeum Shinbo> 4-Jo of Lee, Hye-Goo. Until 14 traditional musical tones emerged in <Akhak Gwebeom> (1493) during early Choseon era was reduced and used as Woojo, Pyeongjo and Gyemyeonjo, scale structure or pitch was changed and diversified Sigimsae based on tone function was occurred and meaning of musical tone was also extended. Third, Tetrachord that is 4-tone scale of western music was represented in major scale of Korean music as well and it is explained by Korean tetrachord mode and its musical ground could be found through Pyeongjo, Gyemyeonjo mode of <Akhak Gwebeom> (1493) and Yukjabaegi, Sooshimga tori of folk song. In addition, development pattern of tori folk song was formed in the similar way as Pansori, Sanjo depending on regional musical characteristics. Finally, musical tone of Korean music has an expression style of representing melody structure or melodic motif of musical tone relevant to mode or key rather than scale. After the modern times, western music score system was applied to diversified Korean music but there is a clear limitation for analyzing musical tone of Korean music by borrowing western scale and modal theory system because Korean music is unable to be clearly defined by only tonality, scale, modal theory of western music. Therefore, a research on a method of making a score that may contain emotion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music would be required and for this development, a flexible way of thinking trying to understand Korean life and its cultural background at the same time would be also inevitably required. 한국음악의 악조(樂調) 개념을 알기 위해서는 먼저 서양음악의 조성과 음계, 그리고 선법이론의 체계와 형식에 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음계와 선법은, 곧 음악의 도도한 흐름과도 같은 음악사조의 발달과 각 시대별 민족의 다양한 음악적 특징을 확립하는데 많은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다. 따라서 서양음악의 경우, 일정한 음악에서 형성된 질서와 현상들이 선율, 화성간의 관계를 통해 악조의 음악적 성격을 나타낸다. 다시 말해 주음(主音)이나 그 화음에 따라 달라지는 조성은 악곡에 따른 곡조의 성질을 결정짓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한국음악에서 악조의 개념은 서양음악보다 좀 더 다양하고 포괄적인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이것은 옥타브 안에서 음을 차례로 배열한 ‘음의 계단’ 즉, 음계 안에서 이루어지는 음 관계의 구조, 음정관계, 으뜸음의 위치, 음역 등에 따라 그 의미가 더욱 세분화되어 선법 개념과 혼용된다. 이렇듯 한국음악에서는 평조(平調)와 계면조(界面調)를 비롯한 각기 독자적인 기본 선법들이 존재하고 있으며, 음계라는 용어보다 선법이나 토리라는 말을 익숙하게 사용하고 있다. 또한 토리가 이처럼 선법적 맥락에서 해석될지라도 지역별로 접변하여 시김새적 표현이 같거나 달라지면 또 다른 음악양식이 만들어져 그 종류와 명칭이 다양해진다. 이밖에 세계 여러 민속음악에서 사용되는 아라비아음악의 마캄(maqàm)이나 인도음악의 라가(rāga) 등도 선율법의 요소가 섞인 음계라는 점에서 선법의 일종으로 사용되었다. 이러한 사실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한국음악의 우조, 평조, 계면조를 중심으로 음계 구성에 따른 다양한 악조 개념을 살펴보고, 이를 서양음악의 음계와 선법 이론적 측면에서 비교하였다. 첫째, 서양의 4음계인 테트라코드(Tetrachord)와 5음계인 펜타코드(Pentachord)는 각 구성음의 관계에 따라 다양한 음계와 선법을 형성하였으며 서양음악의 기본 음 조직 체계화에 바탕이 되었다. 더불어 오늘날 널리 쓰이는 장조와 단조의 생성 배경에도 중요한 기초음계 역할을 하였으며 중세 교회선법과 조성음악의 확립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특히 12가지 교회선법에 나타나는 정격과 변격의 개념은 한국의 궁중음악과 민속음악에서도 비슷하게 찾아볼 수 있다. 둘째, 한국음악에서 우조, 평조, 계면조의 시대별 악조 변화 양상은 《악학궤범(樂學軌範)》 7조와 이혜구의 《양금신보(梁琴新譜)》 4조에 나타난다. 조선 초기 《악학궤범》(1493)에 등장한 14개의 전통악조가 오늘날 대표적인 우조, 평조, 계면조로 축소되어 쓰이기까지 음계의 구조나 음 높이의 변화가 나타났고, 구성음의 기능에 따른 다양한 시김새가 발생되었으며 악조 용어의 의미 확대도 이루어졌다. 셋째, 서양음악의 4음계 테트라코드는 한국음악의 주요 음계에서도 나타나는데 이는 곧 한국의 테트라코드 선법으로 설명되며 《악학궤범》(1493)의 평조· 계면조 선법과 민요의 육자배기, 수심가 토리 등을 통해 그 음악적 근거를 찾을 수 있다. 또한 민요의 토리는 지역별 음악적 특징에 따라 그 발전형태가 판소리·산조의 선법양식과 유사하게 형성되었다. 궁극적으로, 한국음악의 악조는 음계보다 선법이나 키(key)와 관계되는 선율구조의 양식, 또는 악곡의 악상을 나타내는 표현양식으로서의 의미가 두드러진다. 근대 이후 서양의 기보 체계가 다양한 한국음악에 적용되었으나 서양의 음계와 선법이론체계를 빌어 한국음악의 악조를 해석하기에는 분명한 한계점이 존재한다. 이것은 한국음악을 서양음악의 조성과 음계, 선법이론만으로 명확히 정의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한국음악의 정서와 특징을 담아낼 수 있는 악보화 방안 연구가 함께 마련되어야 할 것이며, 이러한 발전을 위해 한국인의 삶과 문화적 배경을 이해하려는 유연한 사고 역시 불가피할 것이다.

      • 한국민요를 활용한 노인기 우울증·치매 치료 및 개선 지도 방안 연구 : 주간보호센터의 70세 이상 어르신을 중심으로

        신윤숙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775

        통계청에 의하면 우리나라는 2020년을 기준으로 급속한 고령화로 인하여 65세 이상이 15.7%를 차지하여 초고령사회의 진입을 앞두고 있다. 정부는 노인 인구의 증가에 맞서 이에 대한 대응책인 삶의 질을 높이는 방안으로 장기요양보험 제도를 도입하여 등급에 따른 민간기관을 위탁하여 노인케어에 열성을 다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급속한 고령화에 발맞춰 주간보호센터의 노인기에 나타난 우울증·치매의 원인을 찾아 우울감소와 인지향상을 목표로 한국민요의 어떤 점이 예방과 치료가 되며, 또 그 효과성을 입증하여 개선의 여지와 음악치료의 지도를 목적으로 삼았다. 이에 따른 연구의 과정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G주간보호센터에서 70세 이상의 어르신을 대상으로 우울척도인 KGDS(한국형 노인우울검사)와 치매척도인 CIST(인지선별검사)를 기반으로 사전과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협응력, 과거회상, 장구 장단 익히기, 책보며 노래 부르기, 들숨날숨 한체조, 개인과 모듬활동으로 나누어 총 10회차 시의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둘째, 우울검사(KGDS)와 인지검사(CIST)는 개인과 집단으로 나누어 검사를 진행하였다. 개인은 참여도가 높은 10명의 대상자를 선정하여 우울검사와 인지검사를 사전과 사후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실시한 결과의 우울척도(KGDS)는 평균 19.7에서 14.7로 우울도가 낮아졌다. 인지척도(CIST)는 평균 14.6에서 18.0으로 상향되었음을 나타내고 있다. 집단으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눈다. 우울검사(KGDS)의 기준점수를 20점으로 시작하여 두 집단을 비교하였더니 실험집단은 15점과 통제집단은 거의 변화가 없음을 나타내었다. 또 인지검사(CIST)는 실험집단을 16점, 통제집단은 13점의 기준점수로 측정결과, 실험집단은 19점으로 3점이 상향되었고 통제집단은 변화가 없음을 수치상의 그래프에서 나타내었다. 개인과 단체의 검사척도를 비교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함축하면 한국민요를 활용한 음악치료는 노인기에 나타나는 우울·치매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어 그에 따른 효과성을 입증됨을 알 수가 있었다. 셋째, 한국민요를 활용한 음악치료의 효과성에 따른 1차적 결과 안은 눈에 보이는 수치의 차이였지만 그보다도 더 중요한 것은 표면적으로 드러나지는 않지만, 내면에 잠재되어 있는 우리 소리가 갖고 있는 ‘정서적 교감’의 결과이다. 세대격차(世代隔差)는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그 강의시간 만큼은 하나가 되어 서로의 아픈 상처를 한국적 민요로 포용할 수 있는 정서적 교감을 통한 행동치유의 이차적 성과라 볼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손가락의 움직임이 자유롭지 못한 상황에서 민요를 따라 부르다 눈물지으시고 난 후에 손가락을 펴고 책상 장단을 두드릴 수 있는 것은 한국민요만이 갖고 있는 민족의 고유하고 특별한 힘의 원천임을 알 수 있었다. 위의 내용처럼 이론과 실제의 지도 과정으로 음악적 치료와 개선의 효과성이 확실하게 입증되었음을 나타내는 바이다. 연구를 진행하면서 어려웠던 점은 COVID-19(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의 세계적 팬데믹 현상으로 인한 정부의 코로나 단계의 격상으로 강사진의 기관 출입이 어려워져 2020년 6월 19일부터 2020년 11월 20일까지 10회차를 마무리 짓기까지 매우 어렵게 이 연구를 진행하였음을 밝혀둔다. According to the Natiolal Statistical Office, Korea is about to enter a super-aged society with 15.7% of those aged 65 or older due to rapid aging in 2020. The government is in the process of raising the quality of life, which is a response to the rise of the population. Introducing a sanitary insurance system to put a private institution on the scale of the class to the elderlyI am doing my last name. Therefore, this study is aimed at preventing depression and cognitive improvement by finding the causes of depression and dementia that appear in the old age of the Centre for Protection and Protection in the early years of aging.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he purpose of improving improvement and the map of music treatment. The following are: First, KGDS, which is a depression in the Group of State Protection Center, is based on KGDS (Korean Elderly Depression) and CIST(cognitive screening), which is a dementia system. The writer is a deputy political news editor of the JoongAng Ilbo. By Kim Young-samIt divided into a total of 10 music treatment programs. Second, the KGDS (KGDS) and CIST conducted tests into individuals and groups to identify 10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tests. The person selects 10 subjects with high participation. KGDS, a result of the results of the results, declined from 19.7 to 14.7. An average of 14.6 to 18.0, the group is divided into a group of experimental groups and controlled groups, starting with 20 points, starting with 20 points. The group indicated that 15 points and control groups have little change, and the CIST is 16 points and controls. The survey showed that three points were raised by 19 points, and a group of experimental groups had 19 points. The group showed no change, and the control group wa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treatment of music has a lot of influence on the young and the dementia that appears in the elderly. However, it is understood that the effectiveness of the project will be affected. Third, the primary results a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effectiveness of the musical treatment, which uses the Korean folk music, but more importantly, it's not revealed on the surface, but it's the sound of our sound. The results of the Generation Direction are the result of time and space. There is a second-class performance of behavioral healing through emotional doctrines that can embrace each other's painful wounds to Korean folk songs. For example, the movement of fingers is not free. It's only in Korean folk that you can open your fingers and knock on your desk It was a unique source of unique and extraordinary power. It is a bar that indicates that the effectiveness of the musical treatment and improvement is clearly achieved, as the contents of the stomach are, and it's difficult to proceed with research. International Pandemic Phase of the Government's Corona phase, which makes it difficult for the agency to enter the country in 2020. It found that it was very difficult to finish the 10 th round until November 20, 2020. ✴ Key words : Korean folk songs, geriattrics, depression, dementia, day care center, music therapy, Korean traditional music therapy, Korean senior depression examination, cognitive screening test.

      • 20세기 전반기의 민속악계 형성에 관한 음악사회사적 연구

        권도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박사

        RANK : 249759

        한국음악사에서 근대적 변화가 급격하게 진행된 시기는 20세기 초이며 오늘날의 한국음악의 기본틀은 대부분 이 시기에 마련된 것이다. 20세기 초에 형성된 음악계의 구도는 19세기 음악계의 몰락과 근대적 음악활동 및 유통의 발달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전통음악계가 근대적 변동과 무관하지 않았음을 민속악계의 형성과정을 통해 밝혀보았다. 20세기 초 음악사회의 근대적 성격을 서술하기 위해 악곡보다는 음악사회의 변동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음악사회를 구성하고 있는 여러 가지 요소들 가운데 근대적 변화를 뚜렷이 나타낼 수 있는 요소들은 음악가, 음악집단, 음악유통 방식 등이기 때문에, 본고에서는 이상의 음악사회적 조건들을 중심으로 20세기 첫 40여년간의 서울 음악계에 한정하여 한국근대음악사의 변동을 살펴보았다. 제1장에서는 19세기 민간음악계의 구도를 음악가와 음악수용 상황을 통해 살펴보았다. 19세기에는 여러 계층의 사람들이 다양한 음악을 향수할 수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음악가의 레퍼토리 분배나 향수자의 음악수용 방식 등 에서 차별이 있었다. 이것은 신분제도에서 비롯된 것으로 봉건적 질서가 유지되었던 점에서 19세기 음악사회가 20세기와 그 근본적 궤를 달리하고 있다. 제2장에서는 19세기의 민간음악계가 붕괴되면서 새로운 음악계가 성립되는 과정을 서술하였다. 비록 20세기에 연주된 레퍼토리는 19세기에 만들어졌던 것이 대부분이지만, 이를 담당했던 19세기 음악집단은 해체되었거나 성격을 달리하게 되었고, 한편으로 새로운 음악집단이 조직되었다. 20세기에는 모든 음악가들이 평등하게 경쟁에 참여하였기 때문에, 음악가들의 활동상은 신분보다는 음악계의 경쟁상황이나 음악가의 출신 지역에 따라 달라졌다. 그리고 20세기에 발달한 극장과 음반은 음악에 대한 사회적 수요를 일정하게 유지하는데 기여했고, 음악가와 레퍼토리가의 분배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으며, 특정 계층의 향수자가 특정 음악을 독점하는 것으로부터 벗어나 모든 사람들이 같은 음악을 공유할 수 있게 하였다. 특히 다수의 도시민들이 동질적인 성격의 음악을 향수할 수 있었다. 이상의 20세기 음악사회의 특징들은 한국음악사회가 완전히 근대적 사회로 전환된 것을 의미한다. 20세기 벽두부터 서울에 근대적 음악계가 발달하면서, 전국의 음악가와 각 지역의 레퍼토리가 집중하였다. 서울의 음악계는 서울 출신 음악가나 서울에서 만들어졌던 레퍼토리에 한정되지 않고 다수의 지방 출신 음악가와 지방 음악을 수용할 수 있을 만큼 확장되었다. 따라서 서울의 음악계는 지역음악계가 아닌 전국의 음악을 포괄할 수 있는 중앙무대로 기능하였다. 각 지방 음악을 골고루 수용하고 있었던 점은 민속악계의 형성에 결정적인 기반이 되었다. 제3장에서는 서울 음악계의 지속적인 확장과 이에 따른 전통음악계의 변동을 설명하고 있다. 1930년대를 전후하여 문화산업의 하나로 대중음악이 급격히 발전하면서 음악계의 중심에 자리잡게 되었다. 이에 따라 음악계는 더욱 팽창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과거 음악계의 전부분을 차지하던 전통음악은 영향력 있는 음악계의 하위부분으로 자리를 잡게 되었다. 다만 민속악계에서는 대중음악의 양적 성장에 대응할만한 새로운 레퍼토리를 다량 생산하여 양적, 외적 팽창을 꾀하기보다는 세부적인 변화를 통해 그 활로를 모색하였다. 민속악계의 구체적 변화는 1930년대 전후에 음악가와 음악집단의 변모를 통해 실현되었다. 20세기초반부터 활동했던 음악가들은 30년대에 들어 대거 세대교체되었고, 음악전문집단 또한 다수 결성 또는 해체되는 과정을 통하여 음악지도가 새롭게 드러나게 되었다. 여러 음악전문집단가운데 성공적으로 운영된 집단으로 1930년대 초반에 만들어진 조선성악연구회와 가무연구회가 중심이 되었다. 1930년대 이전에 만들어진 집단 가운데에서는 기생조합만이 그 기능과 성격을 유지해 왔을 뿐이다. 1930년대 이후부터는 이 세 집단을 중심으로 민속악계가 일종의 제도권을 형성함에 따라, 이에 포함되지 않은 음악가 및 집단들은 점차 도태되기 시작하였고, 이들의 음악 역시 오늘날 이른바 민속악의 경계로부터 점차 멀어가 갔다. 민속악계가 이와 같이 제도권을 중심으로 운영된 점은 현재 민속악계 구도의 형성에 밀접하게 영향을 미쳤다. 1930년대 이후의 민속악계의 변화는 20세기 초에 산발적으로 확대되었던 음악적 역량이 축소화·체계화되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현행 민속악의 세부구도인 남도음악과 경·서도 음악이라는 양분구도가 제도적으로 확립되었다. 따라서 현행과 같은 민속악계의 구도가 확립되기 시작한 것은 음악계의 양분구도가 음악집단으로 반영되는 1930년대였다. 민속악계는 19세기 음악계의 붕괴와 음악가와 유통에서의 근대적 변화를 토대로 형성되었다. 한국음악사에서 민속악이라는 개념과 그것의 담당층, 향유층, 그리고 음악유통방식이 마련되기 시작한 것은 20세기 벽두부터이며, 그것이 현행의 제도로서 확립된 것은 1930년대 전후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민속악계의 형성이 20세기에 이루어진 일이었으므로, 민속악의 개념 역시 단순히 음악 분류의 개념으로만 보는 시각은 재고되어야 할 것이다. 한국음악사의 지속과 변동의 한 축으로 자리잡고 있는 민속악은 민속악계라는 음악집단의 형성을 바탕으로 그 역사성과 사회성을 고려하여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민속악계는 한국음악사의 근대적 변화과정 속에 형성된 필연적 산물로서, 그 형성과 구도는 근대적인 사회에 적합한 음악체계로의 전환이라 평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민속악계 형성의 역사적 의미를 재고한다면, 서양음악에서 규정짓는 민속악의 개념과 정악과 민속악의 이분법적 도식에서 낳고 있는 민속악에 대한 오해도 풀릴 뿐 아니라 한국근대음악사를 서양식 음악의 발전사로만 보는 편향된 시각 또한 교정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근대사 회로의 진입에서 비롯된 민속악계의 형성을 통하여 양악은 근대적이고 전통음악은 전근대적이라는 암묵적인 도식 역시 사라질 수 있을 것이다. The current musical world was established in modern era. In Korean music history, it is the early 20th century that the modernization progressed. This thesis aims at clarifying the modernization process in traditional music world through the formation of folk music circle in that period. This thesis deals with the first forty years of the twentieth century, which has been generally ignored in the research of modern Korean music history. During the early twentieth century, even though the traditional music repertories were kept unchanged, the activities of other musicians, the music circulation system, and the system of the folk music circle varied. The changes were most prominent during the first forty years, and after that period the current form of folk music circles was established. Thus, it could be said that research of the first forty years of the twentieth century is related with the study of the modern Korean music history. In particular, since the changes mainly occurred in the folk music part, this thesis aims at investigating the formation of the folk music circle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This thesis explains the changes in the music circle of Seoul, which accepted much of the changes during the early twentieth century. Chapter one deals with the musical system of the nineteenth century, and chapter two describes the fall of the musical system of the nineteenth century and the formational process of the basis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current folk music circle. In the third chapter, the formational process of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folk music circle is investigated. Although most of the musical pieces of the nineteenth century were also performed in the twentieth century, the music groups of the nineteenth century dissolved and even if groups were mainta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sicians or the music circulation system changed. In the twentieth century, the social status of the musicians was equal and the activities and repertories of the musicians were decided by competitive situation. During the first thirty years, the activities of the male and female musicians were differentiated. The male musicians retained the musical system of the nineteenth century whereas the female musicians performed within a music system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one. Moreover, although male and female musicians legally had an equal status, the male musicians were older than the female musicians and assumed the role of leaders by teaching and taking administrative positions in music groups. Because of the development of the theaters and musical recordings in the twentieth century, changes occurred in music circulation. In this period, the masses regardless of social status enjoyed the same music. The theaters and recordings played a great influence on the distribution of musicians and the music repertories. Thus, in the 1900s, Seoul music of Samp'ae 三牌and the music of the Kwangdae 廣大of the three southern provinces were the main repertories; after the 1910s when the female musicians of the regional area moved to Seoul, the chapkas 雜歌 of every regions were added to the repertories of Seoul. Seoul was the central stage in the first thirty years of the twentieth century since various musicians and repertories existed and the musical circulation system was well developed compared to other cities. The musicians and repertories of Seoul were categorized into Seoul, so˘do 西道, and south of Han river. The existence of these various musical styles and musicians in Seoul formed the basis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current folk music circle. In the 1920s, however, the situations of the musicians and the music circulation changed. Musicians of young and new generation emerged, and the music recording industry and the theaters became less interested in Korean traditional music. In this period, the status of a few female musicians rose to be equal to that of the male musicians. Moreover, the increasing popularity of popular music and the development of Western music in Korea after the 1930s reduced the activity of the traditional music that was popular for the first thirty years of the twentieth century. The folk music circle formed professional groups in the 1920s in order to deal with the historical changes, but the only two successful groups were the Choso˘n so˘ngak yo˘n'guhoe 朝鮮聲樂硏究會and the Kamu yo˘n'guhoe 歌舞硏究會established in the early 1930s. The main members of the Choso˘n So˘ngak Yo˘n'guhoe were male musicians of the south Cho˘lla province and successful female musicians; the repertories included vocal and instrumental pieces of the southern area. The main members of the Kamu yo˘n'guhoe were male musicians in Seoul and their repertories included kyo˘ngso˘do chapka 京西道雜歌. These two organizations included most of the repertories popular in Seoul and many first-class musicians. Also, since the organizations were deeply engaged with interaction with professional musicians, teaching music, and performances, they were the mainstream of the folk music circle. However, they did not embrace the male musicians of so˘do region and a lot of female musicians. Therefore, the folk music circle became systemized in the 1930s and the distinction between namdo 南道regional music and kyo˘ngso˘do 京西道music became clear. The establishment of the system of the folk music circle similar to that of today, thus, took place in the 1930s when the two music organizations were systemized. In summary, the first forty years of the twentieth century was a transformational period which changed the folk music performance practice of the nineteenth century to that of the twentieth century. During the twentieth century, musicians competed against one another on an equal social status, and the fact that a majority of the urbanites appreciated similar music through the theaters and music recordings is modern. Thus, to understand the historical aspect of folk music is to learn the modernity of Korean music.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the formation of the folk music circle, it is certain that the traditional music circle greatly contributed to the creation of modern music society. This thesis may make a contribution to modifying the trend of examining modern Korean music history only in terms of the growth Western music in Korea. The author expects that the dichotomy that Western music is modern and traditional music is premodern will fade.

      • 작곡가 이성천의 작품세계

        강선하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9743

        본 연구는 작곡가 이성천(1936~2003)의 생애사를 근간으로 그의 작품세계를 밝히는데 목적을 두고, 이성천의 주요 작품 164곡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이성천의 생애는 제1~4기의 네 단계로 나뉘었고, 작품성격은 무제(無題)음악, 전통음악적 작품, 자연 소재 작품, 일상적 삶 소재 작품, 종교·철학 주제 작품, 민족주의적 주제 작품, 문학 소재 작품의 일곱 항목으로 분석·정리되었다. 이를 시기별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이성천의 시기별 작품성격을 종합하면, 전체 164곡 중에서 전통음악적 작품이 51곡(31.1%)으로 가장 많이 작곡되었고, 다음으로 자연 소재 작품 35곡(21.3%), 무제음악 29곡(17.7%), 종교·철학 주제 작품 19곡(11.6%), 일상적 삶 소재 작품 18곡(11.0%), 문학 소재 작품 9곡(5.5%), 민족주의적 주제 작품 3곡(1.8%) 순으로 나타났다. 즉, 전 시기를 통틀어 전통음악적 작품과 자연 소재 작품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는 이성천의 작품세계에서 한국 전통음악의 정신과 양식이 중요하게 작용했음을 말해주며, 한국 전통음악의 아름다움은 한국적 자연을 통해 나타난다는 이성천의 음악철학을 반영하고 있다. 반면 무제음악은 제 1·2기에만 작곡되었고, 민족주의적 주제 작품은 제 2기에, 문학 소재 작품은 제 3기에 집중되어 나타났다. 이성천의 생애사 연구에서 밝혀진 작품성격 일곱 항목에서 주요 작품 20곡을 선정하여 이성천 작곡기법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무제음악에서는 서양음악의 형식과 단순한 작곡기법을 주로 보이고 있었고, 전통음악적 작품은 제 1·2기를 지나 제 3기 이후로 들며 서양음악적인 요소와 전통음악적인 요소가 서로 대립함 없이 자연스럽게 조화하는 화이부동(和而不同)의 세계를 보여주고 있었다. 자연 소재 작품, 일상적 삶 소재 작품, 종교·철학 주제 작품, 민족주의적 작품, 문학 소재 작품에서도 제 3기 이후로 갈수록 한국 전통음악적인 양식이 작품에 심도 있게 반영되었는데, 특히 민족주의적 주제 작품에서 제례악의 악작(樂作)·악지(樂止) 양식을 수용한 점과 문학 소재 작품에서 가사의 이면에 맞도록 전통가곡의 어법을 수용한 점이 주목된다. 일곱 가지 주제를 모두 통틀어, 본고에서 밝혀진 이성천 작곡기법의 중심적 특성은 악곡구조와 악곡 진행 방식에서 나타난다. 이성천의 작품은 악곡 내 유기적 연관성의 치밀한 논리에 의한 탄탄한 구조가 밑바탕을 이루고 있고, 악곡 주제 및 음형 변화의 진행 양상에 급격한 변화가 드물며, 세부적 음형의 점진적인 변화를 통하여 자연스럽게 절정에 도달하고 있다. 이러한 특성들은 평소 선비작곡가로 불렸던 이성천의 온화한 성품과 가치관을 반영해주고 있다. 이성천의 생애에 따른 작품성격 전개양상과 작품분석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볼 때, 이성천이 국악작곡가로서 창작국악사 및 더 넓게 한국음악사에서 차지하고 있는 가치와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성천은 치밀한 악곡구성과 논리적 짜임새, 점진적인 변화양식을 통해 창작국악작품의 예술적 완성도를 높였다. 둘째, 이성천은 작곡 인생 초기에서부터 창작국악의 정체성 및 개념정립을 위해 노력한 작곡가였다. 셋째, 이성천의 작곡기법에서 서양음악적인 요소와 한국 전통적인 요소가 서로 조화하는 점은 혼종성을 바탕으로 하고 있는 창작국악의 발전단계에서 이성천의 작품이 기여한 바이다. 넷째, 21현 가야금의 개발과 그 악기를 위한 창작이다. 21현 가야금의 출현은 음역의 확대를 통해 7음음계를 시도할 수 있게 해주었고, 이는 화성적인 기법의 연주를 수월하게 했다는 점에서 창작국악사에 있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다섯째, 이성천은 국악의 대중화를 위하여 국악기를 위한 찬송가의 편곡 작업에 관심을 기울였고, 어린이들이 국악을 가깝게 느낄 수 있도록 여러 국악동요를 창작하였다. 이성천은 전 생애를 통해 다작을 하면서 서양음악적인 기법으로 시작하여 한국전통음악적인 양식과 정신을 작품에 담아냄으로써 20세기 전반기 한국 창작음악의 발전에 선도적인 역할을 해온 창작국악의 1세대 작곡가로서 평가될 수 있을 것이다.

      • 국악미사곡 분석 연구

        김은주 목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743

        미사곡은 시대에 따른 형식과 틀을 갖춤으로서 로마 가톨릭 전례 음악의 일환으로 발전하여 왔다. 한국 가톨릭교회는 선교 200주년이 지나 토착화 작업이 시작되었다. 1957년 한국 최초의 창작 미사곡인『정선 가톨릭 성가집』은 이문근 신부의 작곡으로 한국어 가사로 쓰여 졌으며, 이 성가집은‘창미사곡’이라 명명하고 있다. 1975년도 한국작곡가들의 창작곡인『새전례성가집』 역시 서양음악의 어법에 따른 것이었음을 볼 수 있다. 이러한 토착화 과정 속에 1986년 만들어졌던『가톨릭성가』는 각 교구 별로 다르게 쓰이던 미사곡집을 전국적으로 통일시켰다. 그렇다면 1987년 발행된 강수근 신부의『국악미사』는 전례음악 토착화를 부각 시킨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가톨릭교회 전례 헌장112항에서는 전례음악을‘말과 결부된 거룩한 노래’라고 규정하고 있다. 1996년 새 전례 용어에 따른 기도문 변경 미사곡개정으로 자국의 고유한 어법에 맞게 작곡하고 있고, 한국가톨릭의 토착화 과정 속에서 서양음악어법으로 표기된 기존 국악미사곡과 구별되는 한국고유의 음악적 요소인 선율과 장단에 따른 자유로운 가락의 움직임을 『국악미사』에서는 그 특징을 잘 살리고 있다. 이처럼 국악의 특징을 서양음악의 미사곡과 국악적 요소가 접목되어 1997년『국악미사곡 하나』가 만들어지는 근원이 되었다. 본 연구는 한국교회의 가톨릭 국악미사곡인 『국악미사』에서 국악적 기초 형태와 현재 사용하는 개정된『국악미사곡 하나』의 서양 음악적 요소에 초점을 맞춘다. 또한 새 전례 용어에 따른 기도문 변경 미사곡인 만큼 가사변화에 따른 가창방식, 장단과 빠르기, 음계를 비교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으며, 연구 자료는 통상미사곡의 불변미사곡인 자비송(Kyie), 대영광송(Gloria), 거룩하시도다(Sanctus), 하느님의 어린양(Agnus Dei) 등 총 4곡에 한정한다. 본 논문의 주요결과로는 다음과 같다. 『국악미사』에 사용하는 음계는 6음음계 남도 계면조로 이루어졌고, 가창방식으로 남, 여 합창을 위한 서양 음악적 요소인 국악적 부분 화성을 도입했으며, 장단은 무장단, 중모리, 굿거리, 자진모리, 동살풀이 등 전통적인 장단을 구사하고 있다. 여기서 장단은 악장의 개념인 동시에 국악장단의 흐름을 고수하고 있기 때문에 장단에 따른 미사곡이다. 이는 서양음악의 미사곡이라는 한정된 배경 속에 국악장단과 음계의 틀을 세워 한국 전례 음악의 기초에 기여하고, 국악미사를 정립하는 필수적인 바탕이 된 셈이다. 『국악미사곡하나』는『국악미사』의 주선율을 4성부로 편곡한 형태로서, 7음 음계로 만들어진 폭넓은 4부 합창곡이다. 기도문의 전체적인 수정에 따른 선율변화로 가창방식이 다르게 편곡되었으나, 예외적인 부분들도 있다. 가사에 따라 5마디가 한(1)구로 되기도 하고 첨가되는 악장도 있다. 장단을 기보하는데 있어 빠르기를 보조적인 수단으로 사용한 것으로 사료된다. 『국악미사』의 장단과 별반 차이가 없으므로 『국악미사』는『국악미사곡 하나』의 모태가 된다. Nowdays, Korea music revitalizes from all varied sides. Korean classical music represents as the Royal Court and folk music in general. In accordance with the Royal Court and folk music are representative style to be found feeling and culture of Korea. Korean fusion music is also developing as a form of Korean classical music. we can find Korean fusion music mixed with Korean classical music in the Catholic Church. In the early 1780s, a sacred song in a Christian mass ceremony was added with melody ,rhythm, speed and Hangeul orthography. It conformed the Christian's ideal. Monotony was used in early Christianity music, by way of example Byzantine, Gallican, Mozarabic. Monotony was within the Gregorian chant of western countries, which was based on a principle, make an introduction of tradition of music native to own country to a ceremony and have been composing actively. In other words, considerable change and originality of Korean classical mass music in korea Catholic Church reorganize into Western music melody which is the evidence in korea. because It causes a keen interest of missionary work. The beginning of church music as it was initiated each national traditional music was accepted. That is to say Korean classical mass music is process settling of the Catholic Church of korea's growth.

      • 황병기 가야금 음악의 양식변화 연구

        이종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9742

        본 논문은 황병기의 작품 중 가야금을 사용한 악곡들의 양식 변화에 대한 연구이다. 가야금 독주는 물론 장구 반주를 동반하거나 대금, 성악 등과 함께 편성된 작품들까지 살펴보되, 1962년의 작품 <숲>부터 2001년 작품인 <추천사>를 그 범위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양식은 작곡가가 전통을 작품에 적용하는 방식으로 판단하였는데, 그 방법론으로 혼종성(混種性; hybridity)과 혼합주의(混合主義; syncretism)라는 개념적 틀을 사용하였다. 혼종성은 이질적인 문화가 결합하여 복합적인 정체성을 보이는 문화적 특성이지만 혼합주의는 정체성의 경계를 넘어 여러 가지 문화를 자유롭게 차용하고 절충하는 입장이다. 연구 결과, 황병기의 가야금 음악은 크게 네 개의 양식 시기로 구분됨을 발견하였다. ‘양식시기(stylistic period)’는 시간순(chronological) 시기와 정확히 일치하지는 않지만, 양식의 변화가 시간의 경과를 전제로 하고 또 거시적인 시대의 흐름과 무관하지 않으므로 ‘시기’라 명명하였다. 여기서 시대의 흐름은 음악 부문 뿐 아니라 황병기의 문화적 모태인 대한민국 사회 일반의 역사와 당시 국제 사회의 변화를 가리킨다. 황병기는 국민주의를 표방하지도 않았고 전통을 의식적으로 모방하지 않았지만 그 자신의 설명처럼 본질적으로 ‘한국 음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았으며 그의 작품 양식은 사회상·시대상을 반영하여 왔다. 제 1기는 황병기 개인의 창작사는 물론 현대 한국음악사 최초의 가야금 독주곡인 <숲>부터 <가라도>까지의 1960년대 작품 외에 1970년대의 작품들 중 전통의 표현 방식에서 1960년대 작품들에 가까운 <고향의 달>과 <아이보개>를 아우른다. 이 시기는 한국사회가 탈식민지적 혼종성의 문화적 풍토 위에 새 국가 공동체 건설에 박차를 가하던 때인데, 창작 국악은 이런 문화를 기반으로 서양음악의 미학과 기법을 차용하여 전통음악의 새로운 발전상을 확립하였다. 그런 가운데 황병기는 한국사회 일반의 혼종성을 극복하고 전통의 개념을 확장하는 자신만의 혼합주의를 이미 이 시기부터 발전시켰다. 제 2기는 한국사회의 산업화가 궤도에 오르면서 문화 부문에서도 축적된 지식과 자신감을 바탕으로 진취적인 실험이 시도되던 때였다. 황병기는 창작 국악을 세계 현대음악의 당당한 한 부문으로 간주하고 현대음악의 전위적 기법들을 응용하였다. 또 그는 이 시기에 조선 후기와 유교 문화 중심의 전통음악 개념을 확장하려는 노력으로 신라의 문화를 상상 속에 부활시켜 불교적 색채를 더하고 서역(西域)의 옛 악기들을 묘사하기도 하는 등 수직적(통시적)이면서도 수평적(탈한반도적 국제주의)인 혼합주의를 발전시켰다. 이 시기를 연 상징적인 작품이 <침향무>이며 <산운>, <비단길>, <영목> 등의 1970년대 작품과 1980년대의 작품인 <밤의 소리>가 서로 다른 방식의 실험을 통해 이러한 양식을 꽃피웠다. 특히 1975년의 작품인 <미궁(迷宮)>은 이 시기 황병기의 실험주의를 상징하는 대표작이다. 제 3기는 1980년대의 경제 호황 속에 자신감을 회복한 대한민국이 1986년의 아시안 게임과 1988년의 서울 올림픽 등의 대규모 국제 행사를 개최하면서 유구한 역사의 전통문화에 대해 이전 시대보다 긍정적인 인식을 갖게 된 문화적 풍조를 배경으로 한다. 황병기의 음악도 이 시기에는 제 2기의 실험주의보다 민속악을 중심으로 한 전통회귀적 성향을 보였다. 그 대표작으로, 기보음악의 방식을 통해 산조를 본격적으로 응용한 1987년 작품 <남도환상곡>이 있으며 1990년대 작품인 <춘설>과 <달하 노피곰> 역시 각기 다른 방식을 통해 이러한 경향을 이어갔다. 이 시기의 작품들은 민속악적 감성을 바탕으로 한 낭만주의를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 제 4기는, 경제발전과 민주화를 통해 신흥 강소국으로 발돋움한 대한민국이 문호를 개방하고 과거의 경직된 민족주의에서 벗어나 세계의 문화를 자유롭게 향유하던 환경을 배경으로 한다. 서양 음악 등 외래 음악과 국악의 결합은 이전 시기에도 시도되었으나 1990년대 후반 이후의 이 시기에는 대한민국의 문화가 국제화하면서 정체성의 경계를 초월한 혼합주의가 대두되었다. 황병기 역시 <시계탑>을 통해 본격적으로 서양문화를 묘사하고 <하마단>에서는 제 2기의 국제주의를 발전시켜 서역 뿐 아니라 스트라빈스키(Stravinsky)까지 아우르는 혼합주의를 극대화하였다. 그런가 하면 <차향이제>와 <추천사> 등의 작품에서는 전통적 색채를 과거보다 관조적으로 표현함으로써 정체성의 경계에서 자유로운 모습을 보였다. 이와 같이 황병기 음악의 양식은 작곡가의 개인적 발전만의 결과가 아니라 그의 문화적 모태인 대한민국의 독특한 현대사를 배경으로 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 그의 양식 시기는 시간의 경과를 순차적으로 따른 것이 아니라 때로는 이전 시기의 양식에 가까운 작품들이 출현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렇게 구별되는 양식 속에서도 황병기의 음악은 대체로 전통적 5음계의 명맥을 유지하며 한국 정서를 표현하였으며, 전 양식 시기를 통틀어 견고한 형식미로 일관함으로써 그의 음악의 이질감을 완화시켜 국내는 물론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성취를 이루었다.

      • 관악영산회상의 삼현·염불도드리·타령·군악 대금선율 비교분석 연구 : 이왕직아악부<<대금악보>>, <<한국음악>> 제8집 <오선악보>, 김성진 대금독주 음원을 중심으로

        조근래 동국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9727

        한국 전통음악 중에는 풍류음악을 대표하는 기악곡이 있다. 곧, ‘현악영산회상’, ‘평조회상’, ‘관악영산회상’ 등 세 종류의 영산회상이다. 여기에서 현악영산회상은 일명 중광지곡, 거문고회상, 줄풍류라 불리며, 평조회상은 현악영산회상을 4도 아래로 낮춘 것으로 일명 유초신지곡이라 불린다. 그리고 현악영산회상에서 삼현도드리와 염불도드리 사이의 ‘하현도드리’를 뺀 관악기 중심의 관악합주곡인 관악영산회상이 있는데, 삼현영산회상 혹은 표정만방지곡, 대풍류라고도 한다. 표정만방지곡이란 명칭은 대한제국(1897~1910) 교방사(敎坊司) 시절에 연례악과 정재 반주음악으로 연주된 "향당교주"(鄕唐交奏)의 아명(雅名)으로 알려지고 있다. 악기 편성은 삼현육각(三絃六角), 즉 피리 2 · 대금 1 · 해금 1 · 장구 1 · 좌고 1로 편성된다. 악곡형식은 상영산-중영산-세령산-가락덜이-삼현도드리-염불도드리-타령-군악의 순서로 구성되어 있는 일종의 모음곡인데, 여기에서 삼현도드리, 염불도드리, 타령, 군악만을 따로 떼어 함령지곡(咸寧之曲)이라고도 한다. 관악영산회상의 음악적 특징은 첫째, 매 장단 장구의 점수(點數)는 일정하지만 관악기 특유의 자유로운 리듬으로 연주하기 때문에 매 장단의 소요시간이 일정하지 않고 불규칙적인 리듬을 들 수 있다. 둘째, 주선율을 연주하는 피리가 한 장단을 끝내고 나면 대금·해금․소금·아쟁 선율이 이어지는 연음형식(連音形式)으로 되어 있다. 셋째, 청성(淸聲) 즉 높은 음이 많이 출현하며, 관악합주의 경우 장구 장단의 점수가 불규칙적이고 자유로운 리듬으로 연주되던 것이 무용반주음악으로 연주 될 경우에는 규칙적인 장단으로 변한 점도 주목할 만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관악영산회상 중에서 삼현도드리, 염불도드리, 타령, 군악의 대금선율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이왕직아악부 《대금악보》와 현재 가장 많이 연주되고 있는 김기수 편저의 《한국음악》 제8집 〈오선악보〉, 국립문화재연구소 소장의 국가무형문화재 제20호, 김성진 대금독주 음원을 비교분석하였다. 나아가 비교분석은 이 세 악보의 장구 장단 수(數), 장구 장단 형(型) 그리고 선율을 살펴보았는데, 이왕직아악부 《대금악보》가 단3도 낮게 되어 있어서, 현재 가장 많이 연주되고 있는 김기수 편저의《한국음악》 제8집〈오선악보〉기보방식에 따라 단3도 높여서 대금선율을 비교분석하였다. In Korean traditional music, there is instrumental piece representing Poongryu music. That is 3 types of Youngsan Hoisang including 'Hyeonak Youngsan Hoisang', 'Pyeongjo Hoisang', 'Gwanak Youngsan Hoisang'. Where, Hyeonak Youngsan Hoisang also goes by the name of Joonggwangji-gok, Geomungo Hoisang, Joolpoongryu and Pyeongjo Hoisang that is 4 degree lower than Hyeonak Youngsan Hoisang also goes by the name of Yoocho Shinjo-gok. And in Hyeonak Youngsanhoisang, there is Gwanak Youngsanhoisang, a wind instrument based wind ensemble, in which 'Hahyeon Dodeuri' was omitted between Samhyeon Dodeuri and Yeombul Dodeuri and it is also called as Samhyeon Youngsan Hoisang or Pyojeong Manbangji-gok, Daepoongryu. It was learned that the title of Pyojeong Manbangji-gok is artistic name of ''Hyangdang Gyoju" having been played as ceremonial court music and Jeongjae accompanying music at the time of Gyobangsa in Daehan Jeguk (1897-1910). Musical instrument is organized by Samhyeon Yookgak, that is, Piri (pipe) 2, Daegeum 1, Haegeum 1, Janggu 1 (Korean traditional drum), Joago 1. Musical tune mode is a kind of suite being composed in the order of Sangyoungsan-Joongyoungsan-Seryeongsan-Garakdeoli-Samhyeon Dodeuri-Yeombul Dodeuri-Taryeong-Gunak and where, Samhyeon Dodeuri, Yeombul Dodeuri, Taryeong, Gunak are also separately called as Hamryeongji-gok. Musical characteristics of Gwanak Youngsanhoisang is that first, as it is played by free rhythm unique to wind instrument even though beating frequency of each rhythm Janggoo is constant, required time of every rhythm is not constant and irregular. Second, it is composed of lengthened sound mode in which when Piri playing main melody finishes one beat, Daegeum, Haegeum, Ajaeng melody is continued. Third, over-octave sound (Cheong-seong), that is, high tone is frequently appeared and in case of wind ensemble, it is noteworthy that if Janggoo beating played with irregular, free rhythm was played by dance accompanying music, its beating was changed to regular one. Therefore, in this study, Lee, Wang-Jik Aakbu <Daegeum Akbo(musical note)>, <Korean music> Vol. 8, <Oseon Akbo> compiled by Kim, Gi-Soo that is most frequently played at present and Daegeum solo sound source of Kim, Sung-Jin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No. 20) being possessed by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was comparatively analyzed by targeting Daegeum melody of Samhyeon Dodeuri, Yeombul Dodeuri, Taryeong, Gunak in Gwanak Youngsan Hoisang. Furthermore, number, type of Janggoo beat and melody of three musical notes were observed and as Lee, Wang-Jik Akakbu <Daegeum Akbo> was lowered by Dan3 degree, Daegeum melody was comparatively analyzed by raising Dan3 degree based on music score mode of <Korean music> Vol. 8 <Oseon akbo> compiled by Kim, Gi-Soo that is most frequently played at pres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