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탈냉전시기 한국정부의 국제적 위상 제고 전략 : 노무현 정부의 중견국가론을 중심으로

        Flick, Laura Eileen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19

        This study sets out to reconstruct the strategies of the Korean government to improve Korea’s international status after the end of the Cold War, focusing on the Kim Young-sam government (1993-1998), the Kim Dae-jung government (1998-2002) and the Roh Moo-hyun government (2003-2008). First, each government’s perception of Korea’s current status as well as the aspired status and related roles in international politics to that status will be examined and as a second step, the main strategies of each government for attaining that status will be analysed. Special focus will be put on the “middle power”-discourse under the Roh administration. This discourse needs to be highlighted for various reasons. Firstly, it was a significant breakaway from the “seonjiinguk” (advanced country)-discourse that had dominated the government’s goals for Korea’s international status since the Park Chung-hee regime. Secondly, the rise of the “middle power” discourse not only reflected a new confidence in Korea’s abilities to take on a greater role in international politics but also can be seen as a part of the broader phenomenon of governments trying to redefine their national identity and expand their nation’s influence in a new international political environment which emerged through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system after the end of the Cold War. In the early and mid 1990s under the Kim Young-sam administration, however, one could still see remnants of developmental thinking patterns that had dominated the discourse on Korea’s international status since the Park Chung-hee era. The division of nations into the categories of “advanced nation” (seonjiinguk) and “underdeveloped nation” (hujinguk) could still be found under the Kim Young-sam administration and this government frequently showed a strong desire to turn Korea into a “seonjinguk”. The Kim Young-sam administration still perceived Korea to be lagging behind the Western “seonjinguk” and with the intensification of globalization the fear of falling further behind was increased. In trying to secure Korea’s status in the global economy and in accelerating Korea’s development into a “seonjinguk”, the segyehwa policy and the pursuing of OECD membership can be identified as the two main strategies of this administration. Thus, this administration’s strategies to enhance Korea’s international status largely focused on the economic dimension. Notably, after indeed becoming a member of the OECD in 1996, the Kim Young-sam administration expressed Korea’s status as being on the “verge of becoming an advanced nation”. However, the Asian Financial Crisis starting in 1997 not only left Korea’s economy in a slump but also interrupted the efforts to enhance Korea’s international status. As a consequence, the most pressing task for the new president Kim Dae-jung was the recovery of the Korean economy and in turn, the goal to push Korea towards “seonjinguk” status was greatly diminished in its importance. It was under the Kim Dae-jung government then, that the “seonjinguk”-discourse first grew weaker. Instead, the Kim Dae-jung administration wanted to build up Korea’s international reputation as a trustworthy partner and the main strategy for that was trying to promote Korea as a “Cultured and Peaceful Nation”. On the one hand, it was hoped that this would encourage foreign investors to invest in Korea and on the other hand, the Kim Dae-jung administration identified the cultural sector as one of the most profitable ones of the 21st century. The other main strategy was to broaden and strengthen South Korea’s engagement in regional cooperation. Though some tentative uses of the term “middle power” can be found in a few of this administration’s diplomacy white papers to describe Korea’s status, the Kim Dae-jung government did not yet actively try to promote Korea as a middle power internationally and did not yet try to push for a more active and assertive role for Korea in international politics outside of the region. The focus on economic recovery as well as the fact that president Kim envisioned the 21st century to become an “era of coexistence and co-prosperity” can be named as key reasons for this. A turning point for how the Korean government perceived South Korea’s status was the Roh Moo-hyun administration, which showed a new confidence about South Korea’s status and along with this confidence came ambitions to expand South Korea’s role in regional as well as global politics. It was this administration that frequently labelled Korea as a “middle power” (junggyeongukga) and showed great self-confidence. While this administration felt that South Korea was up to par with other advanced nations, it did feel a gap between Korea’s capabilities and its real political leverage as well as a lack of international acknowledgement. Thus, the Roh Moo-hyun government aimed to make its status as a global middle power known. Like the previous Kim administration, the Roh administration identified culture as one of the key factors for national power in the 21st century and chose boosting Korea’s image as the main strategy to remedy its lacking international prestige. What was new however, was that the Roh administration saw culture in the light of soft power and in turn, as a means of expanding Korea’s international influence. Even the planned expansion of Korea’s ODA contribution can be seen in this light. Even though this does not fall under cultural diplomacy, the goal was still to improve Korea’s international image and to gain the reputation as a “generous global citizen”, which in turn would enhance Korea’s claim to a bigger role in international politics. Moreover, the Roh Moo-hyun administration aspired to become one of the key players of East Asia. This was reflected in the idea of making Korea an “economic hub” of the region as well as playing the “balancer” between the great powers of the region such as China, Japan and the U.S. Despite the Roh administration’s various efforts to promote South Korea as a middle power, the desired international acknowledgement largely failed to materialize at that time. Possible reasons for this are on the one hand a different understanding of what makes a nation a middle power – while the Roh administration had a more geographical understanding of the term most Western political observers put emphasis on a specific way of behavior – and on the other hand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backlash against Roh’s “balancer” policy in particular. Nevertheless, the “middle power”-discourse that was introduced by the Roh Moo-hyun administration deserves attention as it broke away from the “advanced nation” discourse and thereby not only provided new goals for Korea’s diplomacy but also marked the turning point after which the Korean government began actively seeking a bigger role in international politics. Additionally, this discourse provided a new concept which the Korean government could use to describe its international status and it indeed turned out to be a popular new concept as it frequently resurfaced under the administrations following the Roh government. 본 연구는 냉전 종식 이후 한국 정부들의 한국의 국제적 위상을 제고하기 위한 전략을 분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분석 대상은 주로 김영삼 정부(1993~1998), 김대중 정부(1998~2002), 그리고 노무현 정부(2003 ~2008)이다. 각 정부의 위상 제고 전략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먼저 한국의 현재 국제적 위상에 대한 자각 및 각 정부가 원하는 위상, 그리고 이와 관련된 국제정치 무대에 있어 추구하는 역할을 확인하고, 두 번째 단계로 목표하는 국제적 위상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전략을 밝히고자 한다. 본 연구는 노무현 정부의 ‘중견국가’(middle power) 담론에 초점을 둔다. 이 담론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중요시할 필요가 있다. 첫째, 노무현 정부의 ‘중견국가’ 담론은 박정희 정권 시기부터 지배 담론이었던 ‘선진국’ 담론에서 벗어났고 한국의 국제적 위상에 있어 새로운 목표를 세웠다. 두 번째, ‘중견국가’ 담론은 한국이 국제무대에서 더 적극적인 역할을 맡을 수 있다는 자신감의 반영이었다. 셋째, 탈냉전 시기에 국제정치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많은 국가들이 자국의 국제적인 위상, 역할, 그리고 국가정체성을 새롭게 정의하고자 하였는데 노무현 정부의 ‘중견국가’ 담론은 바로 이러한 경향을 반영했다. 1990년대 초중반까지 박정희 정권 하에 세워진 ‘선진국’ 담론은 주요 담론으로 유지되고 있었다. 김영삼 정부의 담론에서는 국가들을 ‘후진국’ 및 ‘선진국’으로 범주로 나누는 경향을 여전히 볼 수 있었고 김영삼 정부는 흔히 한국을 ‘선진국’으로 만들고자 하는 의지를 표명했다. 이는 김영삼 정부가 한국을 서구 선진국보다 아직도 낙후되어 있는 나라로 평가했기 때문이었다. 또한, 한창 진행중이던 세계화와 이로 인해 시작된 “무한경쟁 시대” 때문에 한국이 국제적 경제 질서에서 뒤떨어질 우려가 강해졌다. 그 결과로 김영삼 정부는 경제적 측면에 집중했고 세계화 정책과 OECD 가입을 주요 위상 제고 전략으로 선택했다. 정부는 이를 통해 국제 질서에서 자국의 지위를 지키고 한국의 ‘선진국’을 향한 개발을 가속화 시킬 수 있다고 여겼다. 사실, 1996년의 OECD 가입 이후 김영삼 정부는 한국의 국제적 위상을 “선진국의 문턱”으로 묘사했다. 그러나 1997년 금용 위기로 인해 한국의 경제적 경쟁력과 국제적 위상은 불안정하게 되었다. 그 결과 1998년에 출범된 김대중 정부에게 한국 경제를 정상화시키는 것은 가장 시급한 국정 과제였다. 반면, 한국을 ‘선진국’으로 만드는 목표의 중요성이 크게 떨어지면서 ‘선진국’ 담론은 최초로 약해졌다. 그 대신 김대중 정부는 한국이 신뢰할 수 있는 경제 협력국가라는 것을 보여주고 싶어 하였고, 이를 위해 한국을 “문화국 및 평화국가”로 홍보하는 전략을 주요 수단으로 제시했다. 이러한 이미지를 내세우면 해외 투자를 장려하는 한편, 동시에 한국의 문화 사업을 활성화시키고 한국의 국제적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생각하였기 때문이었다. 김대중 정부는 21세기를 “문화의 세기”로 평가했고 그로 인해 문화외교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증가되기 시작했다. 그 외에 김대중 정부는 지역 협력의 강화를 주요한 외교 전략으로 여겼다. 사실, 김대중 정부가 한국을 가끔 ‘중견국가’로 묘사했지만 이러한 지위를 국제적으로 홍보하지 않았다. 정부는 경제의 회복에 집중하였고 김대중 대통령이 21세기가 “공존과 공영(共榮)의 시대”가 될 것이라고 믿었기 때문이다. 노무현 정부 하에는 한국의 국제적 위상에 대한 자각 및 이에 대한 담론에 있어 큰 변화가 있었다. 노무현 정부는 한국의 위상에 대해 큰 자신감을 보여주었고 한국을 자주 ‘중견국가’로 묘사했다. 이러한 자신감과 함께 노무현 정부는 지역, 또한 국제적 무대에서 더 적극적인 역할을 추구하였다. 노무현 정부가 한국의 국력은 서구 선진국의 국력과 비교하여 충분히 강하다고 평가하는 한편, 한국의 영향력 및 한국의 위상에 대한 국제적 인정은 실제의 국력보다 부족하다고 생각하였다. 그 이유로 노무현 정부는 한국을 국제적으로 ‘중견국가’로 홍보하고자 했고 이 과정에서 문화외교, 그리고 특히 한국에 대한 이미지 향상은 주요 위상 제고 전략이었다. 노무현 정부는 문화를 한 국가의 국력의 주요 요소로 여겼고 문화외교 역시 국가의 소프트파워(soft power)를 향상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 보았다. 즉, 노무현 정부는 한국의 소프트파워를 향상시키고 이를 통해 한국의 국력에 알맞은 정치적 영향력의 강화를 추구하였다. 원래 문화외교 분야가 아닌 정부개발원조(ODA) 확대와 같은 정책도 ‘관대한 국제 시민’(generous global citizen)이라는 이미지를 구축하기 위한 도구였다. 이로 인해 노무현 정부는 국제사회로부터 ‘중견국가 한국’에 대한 인정을 받고 국제무대에서의 한국의 영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예상하였다. 뿐만 아니라, 노무현 정부는 지역 내에도 한국의 영향력을 크게 확대하고자 했다. 이러한 목표는 특히 ‘균형자론’에 반영되었다. 그러나 한국은 당시에 ‘중견국가’ 역할을 수행하지 못했다는 평가가 많았다. 노무현 정부의 외교 정책 중에 비판을 받은 정책이 많았고 그 중에 특히 ‘균형자론’은 큰 비판을 받았다. 또한, ‘중견국가’에 대한 이해의 차이로 인해 노무현 정부가 해외에서부터 ‘중견국가’로의 위상에 대한 인정을 많아 받지 못했다. 서구 학자들의 대부분은 계층적인 이해와 행태와 관련한 이해를 보여주는 한편, 노무현 정부는 자주 지리적인 이해를 보여주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노무현 정부의 ‘중견국가’ 담론은 의미가 있었다. 우선, 1960년대부터 지배 담론이었던 ‘선진국’ 담론에서 벗어나 한국의 국제적인 위상 및 역할에 있어 새로운 목표를 세웠다. 뿐만 아니라, 노무현 정부가 ‘중견국가’ 담론 하에는 최초로 국제무대에서 한국을 위해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자 하는 외교 정책을 시도하였다. 마지막으로 노무현 정부 이후 출범된 정부들도 한국의 국제적 위상을 ‘중견국가’로 홍보한 점을 주목해야 한다.

      • 대한제국기 미국 선교사들의 실업교육 도입에 관한 연구

        신준섭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19

        This dissertation deals with the process of introduction of vocational and technical education during Korean Empire(大韓帝國) period by American missionaries. American missionaries started their missionary works in Joseon since the late 19th century and established missionary schools and churches. American missionaries identified themselves as a benefactor who introduced modern civilization and Christianity to Joseon. They believed their works helped Korean people enlighten and played a key role in the development of Joseon society. However, they were influenced by the advanced industrial society and had western colonial attitudes. It means they could be criticized for spreading imperialistic ideology. Vocational and technical education were on the rise in Korean Empire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At the time, some imperialist countrie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France and the United Kingdom fought to obtain economic interests such as mining rights or railroad concession from Korean Empire and exploited Korean natural resources. Korean people believed vocational and technical education could give a chance to retrieve economic interests from foreign countries. Korean intellects and officials thought Korean Empire was too weak because of the absence of western modern education. They asserted Korean Empire could be highly developed if the vocational and technical education system was settled down. Vocational and technical education was emphasized by Korean intellects, Japanese officials and American missionaries. Firstly, the Korean intellects tried to use it as a save-the-nation drive from other countries. They thought economic development could become a reality through industry development. For this reason, they established technical schools and trained students to be a technician. Secondly, Japanese officials adopted vocational and technical education to reorganize the economic system as Japanese’s. At the time, Japan made a plan for the annexation with Korean Empire and the economic system must be changed. Lastly, American missionaries took advantage of vocational and technical education as a method of propagation of Christianity. They adopted its educational course and started to give lessons from the basic level. However, their education remained unchanged and it was not harmonized with Korean society. Most of all, their education was only focused on Christianism. Therefore, some Korean students who had dissatisfaction dropped out of missionary school and tried to find a job. Even though American missionaries tried to adopt higher education, the purpose was the same. For this reason, existing researches which had a positive view of vocational and technical education by American missionaries must be reconsidered. Firstly, the educational ideology of American missionaries will be dealt with. Secondly, the meaning of vocational and technical education taught by American missionaries and its historical context will be determined. 본 논문은 대한제국기에 활동했던 미국 선교사들이 한국에 근대 실업교육을 도입하는 과정을 당대 역사적·사상적 맥락에 맞추어 분석한 연구이다. 19세기 말부터 선교 활동을 시작했던 미국 선교사들은 한반도 전역에 파견되어 학교와 교회를 설립하고 학생들을 교육했다. 기존의 많은 연구에서는 미국 선교사들이 세운 기독교계 학교에서 이루어지던 교육이 근대 문명에 무지했던 한국인들을 계몽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선교사들의 교육 활동의 실상은 한국의 국력 회복과 산업 발전보다 기독교의 전파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미국 선교사들의 교육 선교와 한국 근대교육의 관계를 살펴보려면 이들의 행보를 직관적으로 분석해야 한다. 미국 선교사들은 자신들을 문명화되지 못한 국가에 근대 문물과 기독교 교리를 전파하는 ‘사명’을 띤 존재로 규정했다. 이들은 19세기 말 미국의 산업 혁명과 자본주의의 발전을 경험한 세대로서 서구적 문명론의 영향을 강하게 받고 있었다. 이러한 논리는 당대 제국주의국가들이 아시아와 아프리카 등을 침탈하며 내세웠던 ‘근대화’의 논리와 유사했다. 따라서 미국 선교사들의 교육 활동을 객관적으로 분석하려면 이들의 사상적 바탕에 서양 우월적 문명론이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두고 살펴봐야 한다. 본 논문에서 다루는 ‘실업교육’은 ‘산업교육’과 ‘기술교육’의 의미와 유사하다. 아관파천 이후 여러 서양 열강들이 한국의 이권을 빼앗아가자 실업교육의 중요성이 점차 대두되었다. 여러 열강의 착취로부터 한국의 자원과 산업을 지키려면 이를 발전시키고 관리할 수 있는 새로운 인재가 필요했다. 이에 따라 한국 지식인들은 하루빨리 한반도에 실업학교를 설립하여 유능한 인재를 양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미국 선교사들은 한국 교육의 실태를 분석한 후 학생들에게 필요하다고 여겨지는 실업교육을 도입했다. 그러나 선교사들이 도입했던 실업교육은 당대 한국의 실정에 맞지 않았고 수준도 학생들의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이는 각 주체의 교육 사상과 목적에 따라 근대교육의 의미를 각자 다르게 받아들여졌던 상황과 연관성이 있다. 학생들은 실생활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는 근대교육을 원했던 것에 반해 선교사들은 실업교육보다 기독교 교육에 더 집중했다. 통감부가 설치된 이후 한반도 전역에 수많은 사립학교가 설립되면서 근대교육이 널리 전파되었다. 기존 연구에서 근대교육의 발전 과정을 다룰 때는 교육의 주체인 선교사와 특정 지식인들에게 집중되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교육의 객체인 민중들은 선교사나 지식인들의 근대교육을 직접 비판하거나 한국 교육이 나가야 할 방향에 대해 제시하기도 했다. 즉, 이들은 당대 한국의 산업 발달 상황을 고려하여 곧바로 실생활에 활용할 수 있는 실업교육을 받기를 원했다. 그러나 실업교육을 통한 구국운동이 한계를 드러내면서 한국의 지식인과 민족 운동가들은 독자적인 고등교육기관을 설립했다. 당대 미국 선교사들도 기독교계 학교에 고등교육과정을 도입하거나 대학을 설립했지만, 이는 한국인들이 원하던 고등교육과 달리 기독교인 양성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이처럼 기독교계 학교의 실업교육과 고등교육은 당대 한국의 상황에 부합하지 않는 측면이 있었다. 필자는 본 논문에서 한국인들이 미국 선교사들의 실업교육을 일방적으로 받아들인 것이 아니라, 실업교육에서 고등교육으로 이어지는 한국 근대교육의 발전을 주체적으로 이끌어갔음에 주목하고자 한다.

      • 동북아 공역 문제 대두와 한국정부의 대응(1971˜1983)

        장지훈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19

        본 연구는 동북아 공역 문제의 전개와 이에 대한 한국정부의 대응을 다룬다. 이를 통해 한국정부의 공역 구상과 공역 개방이라는 과제에 대한 인식과 대외환경과의 연관성을 설명하고 그 성격을 규명하고자 한다. 한국정부가 동북아 공역 문제에 대응한 모습은 공역이라는 공간에 대한 한국정부의 관점이 형성되고 변화하는 양상과 대외환경 변화에 대한 인식을 보여준다. 공역은 20세기에 접어들면서 항공기술의 발달로 인해 새롭게 주목받기 시작한 공간이었다. 항공기술의 발전을 통해 기존의 교류 방식이 가지던 여러 한계들을 극복할 수 있었다. 하지만 공역에 대한 관리와 범위 획정은 여전히 국가 간 외교와 대외환경에 큰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었다. 1950년대 후반∼1960년대 초반에 한국정부는 공역에 대한 관할권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이 과정에서 보인 한국정부의 공역 관할권 획득과 공역 문제에 대한 인식도 외교적 요인과 무관하지 않았다. 한국정부는 공역 관할권 확보와 범위 획정의 근거로 주변국과의 외교와 상호교류를 들었다. 그리고 이러한 한국정부의 주장이 받아들여지면서 한국정부의 공역 관할권은 국제적으로 인정받게 되었다. 한국정부는 공역에 대한 관리권과 범위 조정의 문제가 단순히 기술적 차원의 문제가 아닌 지역질서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점을 경험하게 되었다. 1970년대 동북아 지역질서의 변화에 따라 국제문제의 논의 당사국이 재편되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국가 간 기존 합의와 그 근거 역시 원점에서 재검토 될 수 밖에 없었다. 동북아 공역 문제 역시 중국의 유엔 가입으로 인해서 논의 구도가 재구성되었다. 그리고 중국과 일본이 항공협정을 맺는 과정에서, 대만이 협의 주체로 인정받지 못하는 상황이 만들어졌다. 한국정부는 동북아 공역 문제에 대한 재검토 국면을 활용하여 대외환경 변화에 대응하고자 하였다. 공역 개방 역시 동북아 공역 문제를 활용하여 외교적 능동성을 확보하기 위한 한국정부의 대응 방침이었다. 동북아 공역 문제는 1980년대 초반까지 계속되었고 한국정부 역시 이를 지속적으로 중국과의 외교적 접촉을 위한 의제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그렇지만 1983년 한·중·일 3국 간 합의를 통해 한국정부는 중일 간 항공로의 관제권도 중국과 일본 측에 이양하게 되었다. 이 합의는 한국 공역의 개방 대상국을 확대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었으나, 동북아 공역 문제를 통한 한국정부의 대중국 관계개선 시도가 실패했다는 것을 의미했다. 그러나 국제민간항공기구를 통해 동북아 공역 문제를 다뤄온 경험은 1983년 중국 민항기 불시착 사건을 통한 한중 간 공식 접촉을 가능하게 한 요인이 되었다. 또 한편으로는 관제이양점을 둘러싼 한중 간 견해차이는 동북아 공역 문제의 지속을 낳았다.

      • 주한미국공사 알렌의 이권 획득과 세력권 확보 시도

        김희연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719

        이 연구는 1897년부터 1905년까지 주한미국공사였던 알렌(Horace N. Allen, 1858~1932)의 활동을 조명한다. 잘 알려져 있듯 알렌은 선교사로서 활동을 시작했다. 1884년 갑신정변 직후에는 우연히 조선 왕실의 일원인 민영익의 목숨을 구했다. 또한 조선 정부의 비공식 고문으로 활동했고 근대 의학의 도입에도 기여했다. 알렌은 외국인 독립유공자로도 지정되어 있다. 이 연구는 한국을 미국의 새로운 세력권으로 만들기를 희망했던 이권 추구 외교관으로서의 알렌의 활동에 주목한다. 제국주의 시대였던 19세기, 청국과 페르시아의 사례는 이권 계약 체결이 세력권 형성으로 이어질 수 있었음을 보여준다. 한미 관계도 예외가 아니었다. 알렌은 경쟁의 한복판에서 한국에 있는 미국 기업들이 최대한 많은 이권과 기회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데 중추적 역할을 했다. 최근 온라인 데이터베이스가 공개된 알렌 문서 속 다양한 자료들은 이면 협상의 사실과 맥락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알렌 문서의 내용과 주한미국공사관의 보고, 국무부의 훈령 및 각국 외교자료와 신문기사의 내용을 비교검토함으로써, 공식 보고서와 알렌의 실제 의도 사이의 괴리를 드러내려고 하였다. 미 국무부 외교훈령 제64호에 따르면, “해외주재외교관은 주재국의 정치적 문제에 어떠한 방식으로도 참여할 수 없”고, “특히 관할구역 내에서 발생하는 현지, 정치, 기타 질문에 대한 공식적인 의사표현을 삼가야” 했다. 그러나 알렌은 이 범위에 국한되지 않고, 한국에 대한 미국의 이익을 확고히 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는 “미국의 이익을 위해서”라는 문구 아래 자신의 내정 개입을 정당화했다. 알렌은 초기부터 계약 유무를 입증하는 문서 확보가 중요하다는 것을 인지했고 비밀리에 북장로교 해외선교부 총무에게 조선 국내 사정을 공유했다. 1887년, 조선 정부는 알렌을 박정양(朴定陽)이 이끄는 주미조선공사관 일행의 외국인 참찬관으로 임명했다. 알렌은 두 가지 임무를 수행했다. 우선 공사관원들을 데리고 가서 미국 대통령에게 소개했고, 나아가 200만 달러의 차관을 위한 협상을 도왔다. 워싱턴에 머무는 동안 그는 다양한 지인들의 도움으로 미국 자본가들과 협상하였다. 그는 주미공사관 관계자들과도 친분을 쌓게 돼 한·미 양국 사이를 잇는 중핵(中核)이 되었고, 이 경험은 나중에 그의 경력에 도움이 되었다. 귀국 후 알렌은 주한미국공사관 서기관으로 계속 근무했다. 여섯 차례 임시대리공사로 활동하면서 외교를 체득했다. 알렌은 몇 개의 수익성 있는 사업들을 발견했고 이권을 주시했다. 마침내 그는 1895년 을미사변, 1896년 아관파천 등 위기 때 주한미국공사관으로 피신한 몇몇 조선인을 보호함으로써 기회를 포착했다. 알렌은 이완용(李完用), 이채연(李采淵), 이하영(李夏榮) 등과 러시아 공사 베베르의 협력으로 경인철도와 운산금광이라는 두 가지 중요한 이권을 얻어낼 수 있었다. 그는 양수인에게 편파적으로 유리한 ‘전범(典範)’ 같은 계약을 했고, 후발 주자들이 참고할 수 있는 선례와 관행을 남겼다. 1897년, 알렌은 오하이오 사람들과 미국인 사업가들로부터 폭넓은 지지를 얻어 한국주재 변리공사 겸 총영사로 임명되었다. 알렌의 지인들이 다수를 차지했던 독립협회는 한국 내 미국의 영향력을 지지했고, 우호적인 여론조성에 도움을 주었다. 알렌은 그들이 한국에 대한 미국인들의 관심의 ‘조용한 확장’에 도움이 되는 통로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독립협회가 ‘공화국’을 수립하려 한다는 무고로 인해 고종은 그들의 활동을 탄압했다. 더욱이, 미국인들의 손으로 경인철도를 건설하고자 했던 알렌의 오랜 염원은 부설자금 모집난 때문에 실패했다. 제임스 모스(James R. Morse)는 일본에 철도부설권을 매각하여 미국에 대한 여론의 비판을 초래했다. 그러나 알렌은 “일본의 영향력의 우세가 우리의 방식대로 일을 처리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믿었다. 또한 그는 “철도 문제가 어느 정도 잊혀졌을 때 더 좋은 기회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면서 모스에게 한국을 포기하지 말라고 당부했다. 그는 미서전쟁 후 세계에서 미국의 영향력 확대를 환영했던 평범한 미국인으로서 한국의 이권 사냥 경쟁에서 미국인들이 앞서도록 하기 위해 노력했다. 1898년 말에는 철도, 광산, 전차, 수도 시설 등 다양한 이권을 확보했다고 자랑했다. 고종이 알렌과 헌트(Leigh S. J. Hunt)에게 5백만 원 차관을 제공해달라고 요청했을 때 미국인들에게 기회가 돌아왔다. 고종은 그 대가로 궁내부 광산전체를 개발하기 위한 채굴권을 제안했다. 알렌은 이를 확보하고자 노력했다. 알렌은 러시아의 반대를 물리치기 위해 러시아 자본의 참여를 제안했으나, 러시아 정부는 참여를 거부했다. 그 후 알렌은 광산 계획의 범위를 좁혔다. 함경도와 평안도로 운산광업채굴권을 확대하는 ‘북부 확장’을 제안했다. 이 두 계획은 모두 실패했지만, 알렌은 채굴권 기간을 연장하고 외부대신인 계약서에 찍는 데 성공했다. 이는 운산에서 광산을 운영하던 동양합동광업회사(Oriental Consolidated Mining Company)의 증자(增資)에 도움이 되었다. 새로운 이권을 얻기 위한 협상 중에 알렌은 한국을 둘러싼 러일 위기를 이용했고, 대통령과 국무장관의 발언의 의미를 왜곡했다. 알렌은 그가 미국 정부에 ‘거중조정’을 행사하도록 요청하기 위해서는 한국인들이 어느 정도 호의를 베풀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한 정치적 음모로부터 친미파 관료들을 구하기 위해 한국 내정에 개입했다. 한국 정부가 프랑스 신디케이트로부터 차관을 조달하려 하자 알렌은 재차 한국 내정 간섭으로 간주될 수 있는 조치를 취했다. 미 국무부는 알렌의 과도함을 인정했지만 그의 재량에 맡겼다. 이는 한국이 아직 문명국가가 아니며 미국 시민들이 한국의 진보를 이끌고 있다는 견해를 공유했기 때문이었다. 이채연의 갑작스러운 죽음 이후, 알렌은 친미파를 재건하려고 노력했다. 알렌은 한국 상황이 점점 더 악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의 독립과 중립을 위한 국제적 보장을 위한 계획을 보고했다(이른바 ‘파블로프 중립화안’). 알렌은 미국 정부가 “무언가를 대가로 받지 않고는 이 나라를 기쁘게 하기 위해 아무것도 하지 말아야 한다”라고 주장했고, “한국인들을 다루기가 훨씬 더 어려워질 것이 분명하다”라면서 계획 자체에 반대했다. 무엇보다 콜브란 & 보스트윅사(Collbran & Bostwick Co., 이하 C&B)와 한국 정부의 갈등이 알렌과 한국인들의 관계를 악화시켰다. 알렌은 C&B 측의 150만원 청구 해결에 애를 먹었다. 그는 한국인들이 미결된 부채에 대해 아무것도 하지 않으면서, 고종 즉위 40주년 기념식(칭경예식)이라는 ‘바보짓’에 600만원을 낭비하고 있다고 개탄했다. 알렌은 이 모든 문제가 이용익(李容翊) 탓이라고 생각했고, “한국인들은 자기 나라를 위해 가장 많은 일을 한 사람들의 이익을 경멸하는 데 있어서 이용익 같은 자를 따르는 것이 잘못이라는 교훈을 얻어야만 한다”라고 선언했다. 그는 무력으로 난관을 해결하고자 했다. 그는 ‘베네수엘라 사태’와 영국의 거문도 점령이라는 전례를 언급하면서, 미국 정부가 한국 남해안의 진해만(鎭海灣)을 점령하고 해군기지 조차를 협상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그러나 미국 정부는 그의 제안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1903년, 알렌은 워싱턴으로 가서 루스벨트 대통령 앞에서 만주에 대한 러시아의 지배를 인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국으로 돌아온 후, 알렌은 그가 친러반일이며 ‘러시아파’라는 의혹을 불식시키고자 노력했다. 그는 영국, 일본 외교관들과 함께 의주의 개항을 한국 정부에 요구했다. 또한 알렌은 한국측의 거중조정 요청을 차단했다. 그러나 미국 정부는 알렌을 해임하고 후임에 에드윈 모건을 임명했다. 모건은 마지막 주한미국공사였다. 해임이라는 타격을 받은 후, 알렌은 사탕무당제조사업권이라는 새로운 이권을 획득하고자 했다. 한편, 러일전쟁이 발발한 후 고종은 C&B에 미국의 보호를 받기 위한 목적으로 전기, 수도, 광업 등 3가지 이권들을 선사했다. C&B에 대한 이권 허가에 대해 여러 가지 의혹이 제기되었다. C&B와 알렌은 모든 의혹을 부인했다. 어쨌든, 고종은 자신이 주한미국공사관에 주둔하고 있는 미국 해병대에 의해 보호받고 있다고 믿었을지도 모른다. C&B가 획득한 새로운 이권은 영‧미‧일 삼국 자본가 간 협력을 위한 토대가 될 수 있었다. 알렌은 한국에서 발행된 일본 신문에 실린 기사를 인용하여, 일본 사람들도 새로운 이권을 ‘경제적 3국 동맹’의 모범 사례로서 환영하며, 콜브란의 신디케이트가 미국의 이익을 크게 증진시킬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서 알렌은 관련국 외교대표들이 합의를 전적으로 만족스럽게 여긴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알렌의 주장과 달리 주한일본공사 하야시 곤스케(林勸助)는 신규 이권 획득을 결코 환영하지 않았고, 한국 외부대신을 통해 수도부설권 계약의 개정을 요구했다. 알렌은 개정 요구를 거절하고 미국으로 돌아갔다. 그는 한국을 떠나기 전 친일 외교고문 스티븐스(Durham W. Stevens)를 위해 97명의 한국인 관료 명단(Who’s who in Korea)을 만들었다. 미국으로 돌아온 후, 알렌은 한국인들에게 자신의 주소를 알리지 않았고, 고종이 보낸 변호사를 고용하기 위한 자금을 되돌려 보냈다. 1905년 ‘보호조약’이 체결된 후, 알렌은 몇몇 친구들에게 편지를 보내 “관료들은 봉급을 받을 것이요, 백성들은 자기여건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라고 하면서 일본이 한국을 통치하는 것이 그들에게 더 나을 수 있다고 말했다. 1906년 알렌은 뉴포트(Newport)의 미 해군대학에서 열린 강연에서 일본의 동맹국인 영국이 자신의 공사관을 철수시키기도 전에 미국이 자국 공사관을 철수시켰다고 정부를 비판했다. 알렌은 미국인들이 한국에서 가장 중요한 사람들이었다고 주장했다. 그런데 그의 비판의 핵심은 미국 정부가 주한미국공사관을 ‘아무 대가 없이’ 소환했다는 데 있었다. 이때 알렌이 거론한 ‘응분의 보상(quid pro quo)’은 한국의 해군기지였다. 알렌의 다양한 활동들은 한국의 독립에 기여하지 않았다. 오히려 미국의 이익을 강화하기 위한 다른 조치들과 함께, 더 많은 이권을 얻어내려던 알렌의 지속적인 시도는 한국에서 미국의 세력권을 확립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었다. 더욱이, 한국인들이 스스로를 통치할 능력이 없고 그들의 관리들이 부패했다는 알렌의 생각은 한국에 대한 미국인들의 인식을 악화시켰다. 내정, 외교 양면에서 한국에 대한 알렌의 폄하 발언은 한국이 홀로 설 수 없고 다른 누군가의 지도가 필요하다는 부정적 이미지를 만드는 데 한몫했다. 그는 거듭된 약속으로 고종을 비롯한 한국인들로 하여금 고통 속에서 미국이 그들을 위해 무언가를 해줄 것이라고 믿게 한 장본인이었고, 한미 간 인식의 격차를 심화시켜 비대칭적인 관계를 만들었다. 그는 여러 협상에서 보여준 고종의 이중성을 비판했다. 하지만 알렌 자신은 한국 정부와 미국 정부에 사실을 은폐하는 한편, 한국이 일본의 보호국이 되기 전에 다양한 이권을 얻어내기 위해 한국의 위기를 이용하고 있었다.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activities of Horace N. Allen(1858-1932), the Minister to Korea from 1897 to 1905. It is well known that he began his career as a missionary. After the Kapsin Coup in 1884, he happened to save the life of Min Yong Ik, a member of Korean Royal Household and began to serve as an unofficial advisor for Korean government. He also contributed to the introduction of the modern medicine into Korea. He was designated as a foreign contributor to the Korean independence. This study aims to highlight his activities as a concession-seeking diplomat who clandestinely hoped to make Korea as a new sphere of influence of United States. In the 19th century, the age of imperialism, Chinese and Persian cases suggest that a getting a contract of concession could lead to the establishment of a sphere of influence. Korean-American Relations was not an exception. Allen, in the midst of rivalry, played a pivotal role to make American enterprises in Korea get as many as concession and opportunity as possible. Various documents in Allen Papers, of which online data base has recently been opened to public, show facts and contexts of the negotiations behind-the-scene. Comparing the contents of Allen Papers with those of the despatches and instructions between the State of Department of United States and the Korean Legation in Seoul and those of other diplomatic reports of various nations and newspaper articles, this study tries to show the gap and disparity between Allen’s official reports and his real intention. Under diplomatic instruction No. 64, it was “forbidden to diplomatic agents to abroad to participate in any manner in the political concern of the country of their residence”; and they were “directed especially to refrain from public expression of opinions upon local, political, or other questions arising within their jurisdiction.” Yet Allen did not confined himself within this boundary. Rather, he vigorously sought to establish American interest in Korea. He justified his intervention in internal affairs with the pretext under the phrase : “for the American interest.” From the early days in Korea, Allen noticed the importance of securing documents which prove the presence of contract and secretly shared the internal affairs in Korea with the secretary for the Presbyterian Board of Foreign Missions. In 1887, the Korean Government appointed Allen as a foreign secretary of the Korean Legation in Washington, led by Pak Chung Yang(朴定陽), Minister to Washington. Allen accompanied the Korean mission with two objectives: he took the embassy to the United States and presented them to the president of the U.S.; he also assisted the negotiation for a loan of two million dollars. During his stay in Washington he negotiated with American capitalists, with the help of varied circle of acquaintances. He also came into close relations with officials in the Korean Legation, thereby making himself as a nucleus between Korea and United States. Allen also suggested Koreans to conclude a contract with American concession seekers, which could be seen as a prototype for ‘concession hunting’ later on. This experience helped to his career later on. After coming back to Korea, he continued his career as a secretary of U.S. Legation in Korea. Acting as a chargé d’affaires ad interim for six times, he could learn diplomacy from experience. He found several enterprises lucrative and kept his eyes on those concessions. Finally he seized the opportunity by offering protection for several Koreans who fled to U.S. Legation during the crisis : Japan’s Assassination of Queen Min in 1895(乙未事變) and the King Kojong’s flight to Russian Legation in 1896(俄館播遷). With the cooperation of Korean officials including Ye Wan Yong, Ye Cha Yun, and Ye Ha Yong and the Russian Minister Karl Waeber, Allen could finally get two important concessions for Seoul-Chemulpo railway and Unsan Mine. He made an ‘exemplary’ contract which was unfairly favorable to the concessionaire and left precedents and practices which later starters could refer to. In 1897, Allen was appointed as a Minister Resident and Consul General in Korea, earning wide support from Ohioan people and American businessmen. The Independence Club, whose members were largely Allen’s friends, were in favor of American influence in Korea and helped to create favorable public opinion. Allen considered them as helpful channel for the ‘quiet expansion’ of American interest in Korea. Yet their activities were suppressed by the Emperor Kojong due to false accusation that the Independence Club tried to establish a ‘republic’. Further, Allen’s long-cherished desire to build Seoul-Chemulpo Railway by the hands of Americans failed because of financial difficulties. James R. Morse sold the railway concession to the Japanese, causing public criticism towards America. Yet Allen believed “the very preponderance of Japanese influence will assist in throwing things our[American] way.” He also thought “when the R.R.[railroad] matter has been somewhat forgotten, … there will be further good chances,” urging Morse not to give up Korea. As an ordinary American who welcomed the expansion of American influence in the world after the Spanish -American war, he strived to keep Americans ahead in the concession hunting race in Korea. At the end of the year of 1898, he could boast that he secured various concessions of value, including railway, mines, electric car, and waterworks. The chance for Americans came back, when Kojong asked Allen and Leigh Hunt to offer loan of 5 million won. In return, he suggested he would grant a mining concession to develop the whole (43) Household mines. Allen tried to secure this. To kill off Russian opposition, he proposed Russian participation in the scheme. The Russian government, however, declined to join. Then Allen narrowed the scope of mining scheme : he suggested ‘Northern Extension’ to extend the Unsan Mining concession to Hamgyeong Province and Pyeongan Province. These two schemes failed, yet Allen succeeded in getting extension of the period of the mining concession and getting the Foreign Minister’s seal affixed in the document. This helped to the capital increase of the Oriental Consolidated Mining Company, which operated the mines in Unsan. During negotiations to get new concessions, Allen availed Russo-Japanese crisis over Korea and distorted the meaning of the statements of the President and Secretary of State, asserting that Koreans should do some favor if he could ask American government to exert ‘good offices(居中調整)’ for Korea. He also intervened Korean internal affairs to save pro-American officials from political conspiracy. When Korean government tried to raise loan from a French Syndicate, Allen again took steps which could be regarded as interference in internal affairs of Korea. The U.S. Department of States, although recognizing his excessiveness, left the issue to Allen’s discretion. This was because they had a shared opinion that Korea was not yet a civilized nation and people of United States were leading the progress of Korea. After Ye Cha Yun’s sudden death, Allen tried to rebuild pro-American party. Allen uttered that conditions in Korea were getting worse and worse. He reported an alleged scheme : the international guarantee for the independence and neutrality of Korea. Allen argued that U.S. government “should do nothing to please this country without getting something in return” and opposed the scheme itself, for “Koreans would undoubtedly be much more difficult to handle.” Most of all, conflict between Collbran & Bostwick Co. and the Korean government aggravated the relation between Allen and the Koreans. Allen had a hard time trying to settle up C&B’s claims for 1,500,000 won. He deplored that while Koreans did nothing for the unsettled debt, they were wasting 6 million won on a ‘foolery,’ the celebration of the 40th anniversary of the accession to the throne of Kojong(稱慶禮式). Allen considered the whole trouble was caused by Ye Yong Ik, and he declared “the Koreans deserve a lesson that will show them the fallacy of following the lead of such a man in his contemptuous treatment of the interests of the people who have done most for their land.” He tried to settle the difficulty by recourse to arms. Referring to the “Venezuella embroglio” and the precedent of England’s taking Port Hamilton, he proposed that the U.S. government should occupy the Sylvia bay(鎭海灣) o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and negotiate a lease for a naval station. The U.S. government did not accept his proposal, though. In 1903, during his leave of absence, Allen went to Washington and remarked before the President Roosevelt that America should recognize Russian control over Manchuria. After coming back to Korea, Allen tried to eliminate suspicions that he was a ‘Russophile’ and that he was pro-Russian and anti-Japanese. He demanded the opening of the port of Wiju to the Korean government along with the British and Japanese diplomats. Also, he cut off the requests from Koreans with regard to the American good offices. The U.S. Government, however, dismissed Allen and appointed Edwin V. Morgan as a new and the last minister to Korea. After that blow, Allen tried to get a new concession for the manufacture of sugar from beets. Meanwhile, after Russo-Japanese war broke out, Kojong presented C&B three kinds of concessions : electricity, waterworks, mining, with the view of getting American protection. Several doubts were raised on the grant of concessions to C&B. Both C&B and Allen denied all the suspicions. At any rate, Kojong may have believed that he was protected by the American marines stationing at the U.S. Legation. Henry Collbran’s newly secured concession could be a base for the triple cooperation between British, Japanese and American capitalists. Quoting an article in the Japanese newspaper published in Korea, Allen argued that Japanese people also welcomed the new concessions as a model case for the ‘economic triple alliance’ and Collbran’s syndicate would greatly enhance American interests. He further claimed that the agreement was entirely satisfactory to the representatives concerned. Unlike Allen’s argument, the Japanese minister, Hayashi Gonsuke, never welcomed the new concessions and demanded the revision of the water-works contract through the Korean Minister for Foreign Affairs. Allen refused the demand, and went back to America. Before leaving Korea, he made “Who’s who in Korea,” a list of 97 Korean officials for the pro-Japanese advisor, Durham White Stevens. After coming back to America, Allen did not let his address known to Koreans. He also sent back the money for engaging a lawyer. After the Japan-Korea protectorate treaty(1905) was signed, Allen sent letters to several friends and said that Japanese rule over Korea would be better for them : “officials will be given a living salary and the people will be encouraged to better their condition.” In 1906, at a lecture at the U.S. Naval War College in Newport, Allen criticized the U.S. Government that she had withdrawn her own legation in Seoul even before England, Japan’s Ally, withdrew hers. Allen argued that Americans were the foremost people in Korea. The point of his criticism, however, was the fact that the U.S. Government threw away ‘for nothing’ by recalling her legation from Seoul. The ‘quid pro quo’ that Allen brought up at that time was a naval base in Korea. Allen’s various activities did not contribute to Korean independence. Rather, along with other steps to intensify American interest, Allen’s continuous attempts to get more concessions could have resulted in establishing an American sphere of influence in Korea. Moreover, Allen’s thought that Koreans were incapable of governing themselves and their officials were corrupt further deteriorated American perception of Korea. His disparaging remarks on Korean affairs both on internal and international issues contributed to making negative image that Korea could not stand alone and she needs someone else’s guidance. He was the very person who, by repeated promise, led Kojong and other Koreans to believe that United States would do something for them in time of their agony, thereby deepening the communication gap between Korea and United States, making it an asymmetric relation. He criticised Kojong’s duality shown in the various negotiations, yet Allen himself concealed the facts both to the Korean government and to the U.S. government, while making exploit of the crisis of Korea to secure various concessions before Korea was forced to become a Japanese protectorate.

      • 대한제국기 '국민' 형성론과 통합론 연구

        김소영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0 국내박사

        RANK : 248719

        본 논문은 19세기 말 20세기 초, 근대국민국가 건설을 지향하며 ‘국민’을 형성하고 통합하려 했던 대한제국 지식인들의 노력과 그들의 ‘국민’ 개념 및 인식, 그리고 ‘국민상’을 살펴보았다. 먼저 서구의 ‘네이션’ 개념 및 용어가 일본을 통해 한국지식인들에게 수용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갑오개혁이 실시되기 이전부터 서구의 ‘네이션’ 개념을 수용하기 시작했던 지식인들은 갑오개혁 시기 본격적으로 ‘국민’을 형성하고 통합하고자 했다. 이들은 국가구성원들을 ‘인민’, ‘신민’, ‘민’, ‘백성’, ‘국인’, ‘민인’ 등으로 다양하게 호칭했으며, ‘국민’과 ‘민족’이라는 용어 역시 등장했다. 비록 서구 ‘네이션’에 대응하는 용어로 ‘국민’이 등장하기는 했지만 이것이 국가구성원들을 지칭하는 용어로 보편성을 획득하는 것은 계몽운동기에 들어서였다. 지식인들이 추구했던 ‘국민상’ 역시 시기별로 변화해 갔다. ‘국민’은 국가구성원이라는 기본적 인식과 함께 이들이 담당해야 할 사회적 역할과 책임은 조선, 대한제국이 처했던 역사적 현실에 따라 변화해 갔던 것이다. 갑오개혁 이전 시기부터 박영효와 유길준은 ‘국민’을 천부인권을 부여받은 평등한 존재로, 서구 제국주의 국가들과 대적하기 위해 부국강병과 문명개화를 추진할 주체로 인식하기 시작했다. 이들을 비롯한 개혁세력은 갑오개혁을 추진하여 근대국가 건설을 추진하고자 했으며, 근대교육을 실시하여 ‘국민’을 형성하고 통합하고자 했다. 갑오개혁세력이 교육을 통해 추구했던 ‘국민상’은 군주의 은혜와 보호를 받으며 군주에게 충성하고 국가에 애국해야 하는 ‘신민’으로서 국민’이었다. 독립협회는 갑오정권이 몰락하여 개혁이 중단되고 정국이 혼란한 상황에서 다시 부국강병과 문명개화를 이루기 위한 개혁을 추진하고자 했다. 독립협회는 ‘국민’으로부터 자신들이 추진하던 개혁에 대한 동의와 지지를 이끌어내고, 나아가 개혁을 함께 추진하여 근대국가를 수립하는 시대적 과제를 함께 수행할 ‘협력자’로 만들고자 했다. 교육과 ‘인민’의 권리를 법률로 보장해 주어 조선인민들을 충군애국심과 같은 국가의식을 지니고 문명개화와 부국강병을 추진하는 주체로 만들고자 했다. 그러나 독립협회가 주장했던 ‘인민’의 권리 역시 생명권, 재산권과 같은 천부인권에 국한되었을 뿐 교육을 받지 못한 일반민중에게 참정권을 부여하는 것에는 부정적인 입장이었다. 정치적 권리가 배제된 것이기는 했지만 ‘국민’의 권리와 자유에 대해 활발한 논의를 펼치고, 개혁과 입법을 통해 ‘국민’의 권리와 자유를 보장해 줄 것을 주장했던 독립협회가 고종황제로부터 탄압을 받고 해체된 후 한동안 ‘인권’, 또는 ‘민권’에 대한 논의나 활동은 위축되었다. 광무정권은 전제적 황제권을 강화하며 황제에게 무조건적으로 복종하고 충성하는 ‘신민’을 추구했고, 이러한 상황에서 민권운동은 물론 ‘국민’의 권리나 자유에 대한 논의조차 한동안 위축될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1900년 초 청국에서 일어난 의화단사건을 시작으로 동아시아에서 열강의 각축이 심화되고 대한제국을 둘러싼 러시아와 일본의 대립도 계속되면서 한국 내에서도 위기의식이 팽배해 갔다. 이 위기를 타개할 주체로서 ‘국민’과 그 역할이 강조되기 시작했던 것이다. 러일전쟁이 발발하고 전쟁에서 승세를 굳힌 일본에 의해 대한제국이 보호국으로 전락할 위기에 처하게 되면서 ‘국민’의 역할과 책임론은 더욱 강조되었다. 국권 침탈이 가속화하자 지식인들은 국가위기의 책임을 ‘국민’에게 묻는 동시에 위기를 타개하기 위한 ‘국민’의 적극적인 역할을 요구했다. ‘국민’의 책임과 역할론을 강조하기 위해서는 국가, 정부, 국민의 관계를 재정립해야 했다. 정부와 ‘국민’의 관계에서 정부는 주권을 실행하는 기관으로서는 ‘국민’보다 우위에 있지만 정부가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할 경우 ‘국민’에게는 그 잘못을 바로잡을 권한이 있다고 보았다. 정부보다는 ‘국민’의 책임과 역할이 더 중요하다고 강조했던 현실적인 이유는 국권을 상실할 위기에 놓여 있던 한국에서 더 이상 정부의 역할을 기대하기 어려웠기 때문이었다. 국가, 정부, ‘국민’의 관계에서 국가와 정부의 관계보다 국가와 ‘국민’의 관계를 강조하기 위한 이론적 근거는 사회계약론, 또는 국가계약론이었다. 사회계약론을 기반으로 국가는 군주 일인의 사유물이 아닌 ‘국민’ 전체의 공동체라는 논리는 국가와 ‘국민’의 관계를 일체화하고 국가에 대한 ‘국민’의 책임과 역할을 강조하는 것이었다. 일본에 의한 통감통치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면서 대한제국의 현상이 식민지와 다름없다는 사실을 인지한 언론과 계몽단체들의 반발이 거세져 갔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기존의 전제적 황제권이 약화되어 감에 따라 일시적으로 생긴 권력 공백 속에서 자신들의 입지를 강화시킬 수 있는 기회로 여기기도 했다. 또한 일본이 내세웠던 한국의 ‘문명화’는 한국지식인들 역시 추구하던 목표이기도 했던 것이다. 또 통감부와 한국지식인들은 모두 교육을 통해 ‘국민’을 형성하고자 했다는 점에서도 공통의 목표를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일본과 한국지식인들이 추구했던 ‘국민상’에는 분명한 차이가 있었다. 이토 히로부미는 한국통감으로 부임한 직후 교과서 편찬과 소학교육을 위주로 한 교육, 그리고 실업교육을 통해 한국민을 ‘문명국’의 ‘국민’으로 만들겠다는 계획을 피력했다. 이토가 이러한 교육정책을 통해 형성하고자 한 보호국의 ‘국민상’은 납세와 같은 국가에 대한 의무와 책임을 충실히 이행하고, 근대적 가치관과 도덕심을 갖춘 ‘문명국민’이었다. 덧붙여 실업교육을 위주로 한 교육을 통해 식산흥업을 추진할 수 있는 인적자원으로 한국민을 활용하고자 했다. 그러나 통감부는 보호국의 ‘국민’이었던 한국민이 충군애국심, 국가의식을 갖게 되는 데에는 부정적이었다. 통감부는 충군애국과 같은 국가사상을 배제하고 자신들이 추진하던 ‘문명화’에 부응할 수 있는 근대적 인간형을 ‘국민상’으로 추구했던 것이다. 반면 한국지식인들이 추구했던 ‘국민’은 문명개화한 근대적 인간형일 뿐 아니라 충군애국심과 같은 국가사상을 지니고 국가와 일체감을 형성하며, 국가의 내외주권을 회복하는 주체가 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통감부의 ‘국민상’과는 차이가 있었다. 한국지식인들은 국가구성원들이 ‘국민’으로서 이행해야 할 의무와 함께 ‘국민’이 누려야 할 권리와 자유를 자세히 설명하고 법률에 의해 권리와 자유를 보장할 것을 주장했다. 하지만 국권 상실의 위기상황 속에서 지식인들은 ‘국민’ 개개인의 권리와 사적이익보다는 국익을 중시하고, 국익과 사적이익이 서로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국익이 보장될 때에야 사적이익 역시 보호받을 수 있다고 인식했고, 국민’을 국가보다 하위에 두고 ‘민권’보다 ‘국권’을 우선시하는 국가주의가 긍정적으로 받아들여졌다. 이와 같은 국가주의적 인식 속에서 지식인들이 주장했던 ‘국민’의 권리는 주로 기본권, 자연권과 같은 개인권에 한정되었으며, 국민권, 즉 참정권을 부여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부정적이었다. ‘국민’ 참정권 문제는 우선 국가권력의 소재, 즉 주권 문제에서부터 논쟁이 제기되었다. 1905년 ‘보호조약’이 체결되어 대외적 주권을 상실하고, 1906년 통감부 설치와 1907년 고종황제의 강제 퇴위로 군주통치권으로 대표되었던 대내적 주권 역시 흔들리기 시작하면서 주권에 대한 지식인들의 논의가 본격화되었다. 주권 소재에 대한 지식인들의 입장은 궁극적으로는 인민주권을 지향하면서도 현실적으로는 여전히 군주주권을 인정하거나 더 나아가 강력한 군주권을 구심점으로 ‘국민’을 통합하려 했다. 이와 같이 군주국체를 주장하는 가운데 ‘국민’은 통치권의 객체 또는 주권의 관할을 받는 자로 통치권과 주권에 복종하고 협력하여 국가를 문명화하고 국권을 회복해야 하는 의무를 가진 존재로 규정되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주권 논쟁과 별개로 1907년 이후 국가주권이 거의 상실된 상황에서 지식인들은 향후 군주와 황실, 정부, ‘국민’의 관계를 어떻게 설정할 것인지, 또 주권을 대신하여 국가구성원들을 통합해 낼 수 있는 기제로 작동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인지에 대해 고민했다. 지식인들은 ‘국민’을 통합하여 국권을 회복하고 근대국민국가를 수립하기 위해 ‘애국심’, ‘애국성’, ‘애국사상’을 강조했고, 입헌정체를 실시하여 법으로 군주의 전횡을 막고 ‘국민’의 자유와 권리를 보장하여 위로는 군주로부터 아래로는 일반국민들까지 모두 일체감을 느끼게 하여 애국사상을 형성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또 ‘국민’의 애국심을 형성하기 위한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정치적 권리를 부여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입헌을 실시할 수도, ‘국민’에게 참정권을 부여하지도 못하는 ‘보호국’의 현실 상황에서 ‘국민’에게 국가의식과 애국심을 형성하기 위해 지식인들이 강조했던 것은 자연적 애국심이었다. 즉 애국심의 기원과 형성에 대해 자신이 사는 터전과 가족, 친지들에게 가지는 감정과 마찬가지로 국가에 대한 애정 역시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것이라고 보는 자연적 애국심과 國事와 정치에 참여할 수 있는 권리가 주어질 때에야 ‘국민’이 국가에 대한 애정과 관심을 가질 수 있다고 보는 정치적 애국심 가운데 전자의 애국심이 강조되었던 것이다. 이와 같은 자연적 애국심론은 가족국가론과 함께 혈연공동체로서 ‘국민’과 국가의 관계를 강조하여 ‘국민’ 통합을 도모했다. 한말지식인들은 ‘국민’ 성립의 조건 또는 요소로 공통의 혈연과 공통의 역사, 언어, 습관, 종교 등을 제시했다. 이러한 요소들은 근대국가의 구성원이자 주체로서 ‘국민’을 형성하는 요소이기도 했지만 동시에 전근대 종족공동체 또는 혈연공동체를 이루는 요소이기도 했다. ‘국민’은 이러한 혈연공동체 또는 종족공동체를 이루는 요소들에 덧붙여 정치체 또는 정치공동체의식을 필요로 했다. 종래의 종족공동체 또는 혈연공동체는 근대국가의 ‘국민’을 이루는 근간이 될 수 있었지만 반드시 ‘국민’과 일치하는 것은 아니었다. 한말지식인들 역시 ‘국민’과 혈연공동체 또는 종족공동체와의 차이를 ‘국민’과 ‘민족’, 또는 ‘국민’과 ‘족민’으로 구별하여 인식했던 것이다. 그러나 개념상으로는 ‘민족’과 ‘국민’을 구별했음에도 불구하고 지식인들은 실제로는 이 두 용어를 혼용했다. 그 이유는 대한제국이 ‘단일민족’으로 이루어진 국가이며, 따라서 ‘민족’이 곧 ‘국민’을 이루어다는 인식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따라서 ‘국민’은 일가의 가족구성원과 같이 동일한 조상을 가진 혈연공동체로 인식되었고, 공통의 혈연뿐만 아니라 공통의 역사, 관습, 언어를 매개로 정체성을 확립하고 존속될 수 있었다. 국가와 ‘국민’의 관계 역시 가족국가론을 통해 혈연공동체로 설명되었다. 가족국가론은 가족을 최소단위로 하고 그 가족들의 결합체 내지 확대체, 즉 혈연단체의 최상위에 있는 것이 국가라고 정의했다. 가족국가론은 국가구성원들로 하여금 공통의 혈연의식을 바탕으로 강한 일체감과 소속감을 갖게 할 수 있다는 점과 사적 영역인 가족과 일가에 대한 애정과 의무감을 공적 영역인 국가에 대한 애정과 의무감으로 전환할 수 있게 하는 논리를 제공했다. 국가와 군주에 대한 ‘국민’의 절대적인 복종과 의무 이행 역시 이러한 논리를 통해 정당화 되었다. 반면 국가의 기원을 그 구성원들 간의 자유로운 계약에서 찾고 있는 국가계약설의 경우 권력의 원천을 ‘국민’에게서 찾고 있을 뿐 아리나 국가의 역할 역시 그 구성원들의 자유와 권리를 보호하는데 있다고 인식했다. 이러한 국가계약설 역시 지식인들의 주목을 받았지만 ‘국민’의 권리와 자유보다는 국가와 군주에 대한 ‘국민’의 충성과 복종, 의무를 우선시 했던 당시의 정황에서 국가계약설은 자칫 ‘국민’의 방종과 무질서를 야기하여 국가의 존립 자체를 위협할 수 있는 “위험한 이론”으로 여겨지기도 했다. 따라서 국가의 성립을 ‘인민’의 의지와 계약으로 성립했다고 보는 계약설보다는 국가를 혈연으로 맺어진 가족공동체의 확장 또는 집합체로 인식시켜 국가구성원들의 복종과 충성을 이끌어 낼 수 있는 가족국가론을 보다 긍정적으로 받아들였던 것이다. 가족국가론은 국가와 ‘국민’의 관계를 가족과 같은 혈연공동체로 규정했지만 적어도 정치적 공동체인 대한제국이라는 국가가 유효한 가운데 국가구성원인 ‘국민’이 국가와 황제에 대해 충성하고 복종해야 함을 강조했던 것이다. 하지만 1907년 이후 대한제국이라는 현실 국가가 거의 소멸된 것이나 다름없다는 인식이 확산되어 갔다. 특히 친일내각으로 구성된 정부가 국권을 회복할 능력이나 의지가 없으며, 군주와 황실 역시 국권을 회복할 수 있는 주체가 아니라 오히려 일본에 이용당하여 국권 상실의 현실을 호도하고 있다는 부정적 인식이 확산되었다. 가족국가를 구성하던 군주와 황실, 정부가 유명무실해지고 국가가 와해되어 가는 상황에서 이제 남은 것은 ‘국민’뿐이었다. 또 혈연공동체이자 정치공동체로 인식되었던 ‘국민’은 정치공동체로서 의미가 퇴색되고 혈연공동체이자 정신적 공동체로서 의미가 강조되기 시작했던 것이다. 또 그 호칭 역시 ‘국민’이 아닌 ‘민족’으로 불리는 경우가 빈번해졌다. ‘민족’은 공통의 혈연과 역사를 매개로 한 혈연공동체이자 정신공동체로서 단군 이래 한반도에 성립했던 여러 왕조국가의 부침과 무관하게 시대를 초월하여 존재해 온 실체로 여겨지며, 일본에 의한 강제병합으로 국가주권을 상실한 대한제국을 대신할 새로운 독립주권국가를 건설하여 그 국가의 ‘신국민’으로 거듭나야 할 존재로 인식되었다. 지식인들은 당시의 세계를 ‘민족’의 생존과 발전을 최우선 목표로 하는 ‘민족주의’의 시대로, 또 ‘민족주의’가 극대화하여 타민족의 문화와 생존을 위협하는 “민족적 제국주의” 또는 ‘제국주의’ 시대로 인식했다. 하지만 ‘제국주의’의 침략적 속성을 이해하고, 실제 일본제국주의에 의해 ‘민족’의 생존마저 위협받고 있던 한국지식인들은 ‘제국주의’와 ‘민족주의’를 이념적으로 분리하여 ‘제국주의’에 대한 저항이데올로기로써 ‘민족주의’를 내세웠던 것이다. 이러한 ‘제국주의’, ‘민족주의’ 시대에서 살아남아 새로운 국가를 건설하기 이전까지 국가주권을 대신하여 ‘민족’을 지탱하고 통합할 구심점이자 원동력은 ‘국혼’, ‘국수’, ‘국성’ 등이었다. ‘국민’을 형성, 통합하여 근대 국민국가를 수립하려던 지식인들의 노력과 시도는 대한제국이 일본에 의해 식민지로 전락하며 일단 실패로 돌아갔지만 이후에도 지식인들의 국민국가 건설에 대한 열망과 노력은 계속되었다.

      • 이승만 정부 수립 시기 한미 간 행정권 이양과 성격 : '재정 및 재산에 관한 최초협정' 체결과정을 중심으로

        금보운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3 국내석사

        RANK : 248719

        본 논문에서는 ‘재정이양협정’의 준비과정, 체결경과 및 시행결과를 분석하여 미국이 점령을 통해 한국정부 수립의 제도적 기반을 마련했을 뿐 아니라 그 운영에 직접적으로 개입할 수 있는 규정을 수립하였음을 밝히고자 했다. 주권정부로서 수립된 한국정부가 미국의 영향력 하에 운영되었던 이유를 행정권 이양과정에서 합의된 국제규약에서 찾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문에서는 크게 세 가지 측면에서 접근하였다. 첫째, 사실상의 정부로서 행정권을 행사했던 미군정과 정부수립을 목적으로 행정권을 확보하고자 했던 국내 정치세력 간의 인식차이에 주목하였다. 이는 ‘해외청산위원회 차관’을 통해 구체적으로 드러낼 수 있었다. ‘해외청산위원회 차관’은 미군정이 도입했지만 그 상환의무는 이후 수립될 한인 정부에 이양될 것으로 규정되었다. 미군정은 민주의원의 승인절차를 거쳐 그 상환의무를 공고히 하고자 했다. 이때 민주의원을 정부수립의 기반으로 삼고자 했던 한인 정치세력들은 ‘해외청산위원회 차관’의 도입을 승인하며 그 상환의무를 수용하였다. 그러나 민주의원은 모든 국내 정치세력을 포괄하지 못했기 때문에 상환의무의 수용에 대한 비판을 받았다. 이와 함께 민주의원의 정치적 입지가 유명무실화 되면서 차관의 상환의무 이전을 위한 법적 절차와 활용방안에 대한 논의 여지를 갖게 되었다. 둘째, 미국정부가 대한정책 시행을 위해 점령기간의 재정수단을 조정하는 과정에 주목하였다. 미국정부는 미군정이 장악하고 있던 재정을 이양하며 한국정부가 군정의 행정권을 승계 받는다는 것을 공식화하였고, 원조운영의 기반으로 활용하여 그 부담을 한국정부와 분담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미국정부는 한국정부 수립 이전부터 미국의 대한정책 기조에 따라 군정의 재정수단을 조정하였다. 특히 ‘해외청산위원회 차관’의 상환규정은 미국무부 주재의 회의에서 주요하게 논의되었으며, 대한원조정책을 시행하며 점진적으로 미국의 부담을 축소한다는 대한정책의 기조에 따라 조정되었다. ‘재정이양협정’에 포함되어 한국정부에 이양 된 ‘해외청산위원회 차관’의 상환의무는 점령정책의 승계를 공식화하고, 미국의 대한원조 시행기반을 마련하는 데에 활용되었다. 셋째, ‘재정이양협정’이 체결될 수 있었던 배경과 한국정부 운영에 미친 영향을 조명하였다. ‘재정이양협정’은 미국이 한국정부에 대한 영향력을 지속하고, 대한정책 시행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는 의도가 반영된 협정이었다. 한국정부는 협정 체결 전 개최된 ‘재정회담’을 통해 이와 관련한 문제를 제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는 근본적인 문제제기가 아니라 국내의 반발을 무마하기 위한 것이었다. 결국 한국정부는 미국의 원안을 대부분 수용하며 ‘재정이양협정’을 체결하였다. 한국정부의 목적은 유엔으로부터 정부승인을 받아 한반도의 유일한 정부임을 선전하는 것이었기 때문이다. 한국정부는 ‘재정이양협정’의 발효를 위해 국회의 문제제기를 배제하였고, 협정을 승인하였다. ‘재정이양협정’이 발효됨으로써 미국정부는 한국정부의 미군정 점령정책 승계를 공식화할 수 있었고, 대한원조정책의 시행기반을 마련할 수 있었다. 또한 한국정부는 행정권 이양을 완수하여 유엔에 한국문제를 상정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정부운영의 권한이 제한되었으며 정부수립 초기 다양한 정책을 수용하였던 정부운영에 대한 논의범주가 위축되었다. 한국정부는 행정권을 확보하여 정부승인을 받았으나 이는 제한적인 행정권한을 수반한다는 한계를 갖고 있었다.

      • 1894~1899년 한국의 근대국가 형성 과정에 대한 주한 프랑스 공사관의 인식

        유민영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19

        This article sheds light on the process of forming a modern state, led by the king or the progressive forces in Korea, from the period of the Gabo Reform in 1894 to that of the promulgation of ‘the State Charter of the Great Korean Empire of 1899(大韓國國制)’, in the view of the French Legation. Previously researchers sought to find the trend of spontaneous formation of modern country during this period, defining the character of the Great Han Empire as the “absolute monarchy” or “Bonapartism” of the West. However, borrowing these Western concepts without understanding history at that time period could result in unilinear view on Korean history. The views of the powers that were then typical of Western modern countries cannot be ruled out in order to specify the subjects of comparison as “western modern times” and to recognize the character of the Great Han Empire. So far, no research has been attempted to reinterpret modern reforms of Korea from the standpoint of Western framework. France is an exemplary country that has grown into a powerful empire in the 19th century through the process of forming a modern Western state. After the Great Revolution(1789), France underwent several revolutions and counter-revolutions of monarchy, republicanism, and Bonapartism. Thus, French bureaucrats of the Third Republic, had an extraordinary view on the revolutions and the counter-revolutions. We can see their sensitivity to the reforms and social change in the materials. Diplomatic representative of the French Legation in Korea could gain much more information on domestic affair and culture of Korea than their colleagues, with the help of French missionaries. Furthermore, due to the nature of French policy towards Korea, they could keep their distance from political issues of Korea and observe the situation, as France did not actively engage in the power politics over the Korean Peninsula. This article specifically analyzes various materials, including ‘the Reform bills issued by the Deliberate Council of Korea(軍國機務處議案)’, ‘the King’s Fourteen-Article Oath(洪範十四條)’, ‘the Six Proposals Submitted by a Joint Assembly of Officials and People(獻議六條)’, and ‘the State Charter of the Great Korean Empire of 1899(大韓國國制).’ Those materials reveals the direction of the process of forming a modern state in Korea. The French legation interpreted modernity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forces who took the initiative, the method, and the contents of reforms. This article attempts to compare the expressions shown in the Korean original texts and French-translated version. The French diplomatic representatives acknowledged “innovativeness” of the Reform bills issued by the Deliberate Council, since those bills also guaranteed basic human rights, which had been secured in the Declaration of the Rights of Man and of the Citizen(1789). However, unlike other colleagues, the French diplomatic representatives did not recognized the King’s Fourteen-Article Oath(洪範十四條) as a “modern constitution”, from the perspective of French Third Republic which attained democracy. On the other hand, they recognized the Six Proposals(獻議六條) and the plan of reorganization of the Privy Council(中樞院), suggested by the Independence Club, as a request for the establishment of a British-style parliament. Such meaningful attempts to change the state system, however, did not seem to elicit successful reforms. This was because the King Gojong pursued an absolute monarchy through ‘the State Charter of 1899(大韓國國制)’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Great Han Empire, while Confucian statutes were gradually being restored, The French diplomatic representatives assessed this series of events as “historic retrogression.” From the perspective of France, an exemplary country which has grown into a modern nation through revolution and reforms in the West, the Great Han Empire failed to move into a modern nation and returned to the old system. 본 연구는 프랑스 공사관 측의 시각에서, 1894년 갑오개혁부터 1899년 「대한국국제」 공포 사이에 이루어진 한국의 ‘근대국가’ 형성 과정을 분석한 것이다. 기존 연구에서는 한국의 자생적인 근대국가 형성의 흐름을 찾고자 했고, 대한제국의 성격을 서구의 ‘절대왕정’ 혹은 ‘보나파르티즘’으로 규정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서구 개념을 당시 역사상에 대한 이해 없이 차용하면 단선론적 근대화의 선후 도식에 빠질 우려가 있다. 비교 대상을 ‘서구적 근대’로 명시하고 대한제국의 성격을 새롭게 인식하기 위해, 당시 서구적 근대국가의 전형이었던 열강들의 시각을 배제할 수 없다. 그런데 지금까지 근대 개혁을 서구적인 틀로 재해석한 연구는 시도되지 않았다. 프랑스는 서구 근대국가의 형성 과정을 겪고 19세기에 강력한 제국으로 성장한 대표적인 국가다. 프랑스에서는 1789년 시작된 대혁명 후로도 몇 차례 군주주의와 공화주의 및 보나파르티즘의 혁명과 반혁명이 반복됐다. 이러한 과정을 거친 프랑스 제3공화국의 관료들은 혁명과 반혁명에 대한 남다른 시각을 지닐 수밖에 없었다. 그들이 당대 국가 개혁과 사회의 동요에 대해 민감했음을 자료에서 확인할 수 있다. 주한 프랑스 공사관원들은 서구와의 공식 수교 이전부터 활동하고 있던 프랑스 선교사들을 통해 여타 공관보다 한국의 정치, 문화에 대한 많은 정보를 얻을 수가 있었다. 게다가 프랑스의 대한정책 특성상 한반도를 둘러싼 열강들의 이해관계에서 벗어나 있었기 때문에 정치적 현안에 대해 거리를 두고 정세를 관찰할 수 있었다. 본고에서는 구체적으로 「군국기무처 의안」, 「홍범14조」, 「헌의6조」, 「대한국국제」를 분석하였다. 각 법령, 조칙, 의안 등 다양한 형태의 개혁안에서 한국의 근대국가 형성 과정의 방향성이 드러났다. 프랑스 공사관 측에서는 주체 세력과 개혁 방식 또는 내용에 따라 근대성을 달리 해석하고 있었다. 이에 한국 측 사료와 프랑스 측 사료에 나타나는 개혁안 원문과 번역문의 표현을 직접 비교하여 검토하였다. 프랑스 공사관에서는 개화세력 중심으로 진행됐던 갑오개혁기 군국기무처 의안에 ‘혁신성’을 부여하였다. 프랑스 「인간과 시민의 권리 선언」에서도 담보했던 인간의 기본권 보장 내용에 주목했기 때문이었다. 「홍범14조」는 다른 국가들이 ‘근대적 헌법’으로 인정하였으나 민주제를 달성한 프랑스 제3공화국의 입장에서는 헌법으로 인식하지 않았다. 한편 그들은 프랑스 「국민의회」와 대비되는 독립협회의 「헌의 6조」와 중추원 개편안을 ‘영국식 의회 개설 요구’로 인식했다. 하지만 그들은 국가 체제 변동에 관련된 의미 있는 시도들이 성공적인 개혁을 이끌어 내지 못한 것으로 보았다. 이것은 점차 유교적 법령들이 복원되는 가운데 대한제국 수립 후 고종이 「대한국국제」를 통해 절대군주제를 지향했기 때문이었다. 프랑스 공사들은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두고 역사적인 퇴보의 행태라고 평가했다. 혁명과 개혁을 통해 서구 근대국가로 성장한 대표적 국가인 프랑스의 시각에서 보면 대한제국은 근대국가로 나아가지 못하고 구체제로 회귀하고 만 것이다.

      • 1950년대 한국군의 미국 군사유학 시행과 군사교육 체제의 재편

        김민식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5 국내석사

        RANK : 248719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aspects and influences of the Korean Army’s dispatch of officers to study in United States during the 1950s, thereby understanding the procedures of establishing Korea as an independent state following WWII and the associated procedures of Korean military’s expansion and reorganiz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military’s national defense policy. What has been examined in this study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Since the end of WWII, in order to prevent the USSR’s expansion, the U.S. government had provided military assistances to Free World countries pursuant to the mutual defense assistance programs (MDAP). With a view to maximizing the effects of the military assistance, the US government intended to ‘standardize’ based on its system the organizations, processes and technologies of the allied countries’ military in operation and training. In this regard, the allied military officers were invited to participate in the officer military education programs at the U.S. military institutions. It was considered as an important prerequisite for the success of the military assistance programs. Meanwhile, in 1951 the Korean War had entered into the phase of a cease-fire agreement and the Korean and U.S. government began to undertake the policy to increase the capabilities of the Korean military. The U.S. Military Advisory Group to the Republic of Korea (KMAG) was organized as a body supporting the education and training of the Korean military and pursued the dispatch of Korean military officers to study at U.S. military institutions. The U.S. government was interested in preventing the Korean War from expanding to WWIII and establishing its dignity in Eastern Asia and for this purpose was in need to have a way to intervene in the operation of the Korean military. The Korean government was in dire need to import the advanced U.S. military system in a short period. Likewise the massive dispatch of Korean Army officers to U.S. military institutions was undertaken in furtherance of the mutual interest of both countries. The practical step for this purpose was focused on the Officer’s Basic Course, which was the military education program for the U.S. officers. Specifically, the U.S. government arranged the Korean Army officers to participate in the Special Allied Officers Course, an amended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Officer’s Basic Course. The Special Allied Officers Course included studies on firearms, tactics and other basic studies on military etiquette, commandership, leadership etc. In sum, the U.S. government provided that the young Korean Army officers would learn not only the military knowledge but also the customs and norms of the US officer corps, thereby embodying the ‘American style military concept’. The Korean Army officer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aforesaid understood that the teaching methods of the US military education system are ‘reasonable’. And the Korean military appointed those officers to positions in charge of education and training thereby inducing them to propagate the knowledge and techniques that they learned during their stay in the United States. While the Korean War was still in stage, the officers were dispatched to the U.S. infantry and artillery courses and took charge of training soldiers in units newly created or expanded, substantially contributing to the increase of the Korean military’s combat effectiveness. After the war ended, a large number of officers in technical service and administrative branch were dispatched to study in the United States and performed duties as professional officers engaging in military construction, administration, medical affairs etc. Their technological and administrative knowhow and skills were introduced to the Korean military’s branch education, and subsequently propagated into the Korean society. The massive military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had resulted in the standardization of the Korean military system based on the U.S. system. The U.S. government intended to establish the Korean military system built on the criteria of rationality upheld in the U.S. military education, whereby the U.S. interests may be enforced through the Korean military. As the Korean officers’ expertise grew further in late 1950s, however, they began to perceive that the U.S. military education system may not perfectly capture the requirements of the Korean military education suited to local characteristics. In the Korean military history, this was a time marked with overwhelming American influences and yet the Korean government and military was recognizing their initiative roles as shown in their responses repeating accommodation and struggles vis-à-vis the intellectual and moral hegemony of the United States. 이 연구는 1950년대 한국군의 미국 군사유학 시행과 그 영향을 규명하여,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독립 국가로서 한국의 국가수립 과정을 이해하고 한국군의 확대‧재편 과정을 주체로서 한국 정부와 한국군의 국방 정책 측면에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고에서 검토한 바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은 소련의 팽창을 저지하고자 상호방위원조계획(MDAP)을 바탕으로 자유진영 국가들에게 군사원조를 제공하였다. 미국은 군사원조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동맹국 군대의 작전과 훈련을 위한 조직‧절차‧기술을 자국 군대를 기준으로 ‘표준화(standardization)’하고자 하였다. 이때, 군사유학은 동맹국 장교들이 미국의 정규 군사교육을 이수하는 프로그램으로서 군사원조의 성패(成敗)에 중요한 전제가 되었다. 1951년 미국의 6‧25전쟁 종전정책이 휴전협정 체결로 기울면서 한국군 증강정책이 본격화되었다. 주한미군사고문단(KMAG)은 한국군의 교육‧훈련을 지원하는 임무에 집중하면서 한국군 장교들의 도미(渡美) 군사유학을 추진하였다. 미국으로서는 6‧25전쟁이 제3차 대전으로 확전되는 것을 막고 동아시아에서의 위신을 확보하고자 한국군 운영에 개입할 수 있어야 하였고, 한국은 단기간에 미국의 선진 군사제도와 기술력을 도입해야 하였다. 한국군 장교단의 대규모 군사유학은 이와 같은 양국의 이해관계를 바탕으로 시행될 수 있었다. 이때, 군사유학의 실질적인 확대는 초등군사반(Officer’s Basic Course) 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미국은 한국군 장교들에게 미군 장교들이 이수하는 초등군사반을 일부 수정한 ‘동맹국 장교 특별반(Special Allied Officers Course)’을 제공하였다. 이 과정은 초급장교에게 필요한 화기학(火器學)과 전술학(戰術學) 이외에도 군대예절, 통솔법, 리더십 등과 같은 기초과목을 포함하였다. 미국은 한국의 젊은 장교들이 군사지식과 더불어 미군 장교단의 관례와 규범을 체득하여 ‘미국식 군대개념’을 갖추도록 하였다. 유학 이수자들은 미국 군사교육의 교수법(敎授法)을 매우 ‘합리적’이라고 인식하였다. 한국군은 이들을 교육‧훈련을 담당하는 직책에 임명하여 유학 중 습득한 지식과 기술을 최대한 발휘하도록 하였다. 전쟁 중에는 보병‧포병 장교들이 군사유학을 이수하고, 증‧창설되는 부대의 훈련을 담당하거나 병과학교 교관이 되어 한국군 전투효율성 향상에 기여하였다. 그리고 전후에는 기술 및 행정병과 장교들이 대거 군사유학을 이수하여, 건설‧행정‧의료 등 군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고 정비하는데 필요한 전문 인력으로 임무 수행하였다. 이들이 도입한 기술과 행정은 병과학교 교육을 통해 한국 사회로 전파될 수 있었다. 대규모 군사유학의 결과 한국군의 군사교육 체제는 미군을 기준으로 급격히 표준화되었다. 미국은 한국군에 미국식 군사교육의 합리성을 각인시켜, 한국군을 미국의 이해관계가 관철될 수 있는 군대로 만들고자 하였다. 그러나 한국군 장교들의 전문성이 향상되면서, 1950년대 후반 이들은 미국식 군사교육과 한국군에 적합한 군사교육 사이에는 차이가 존재한다고 인식하였다. 비록 이 시기 한국군의 형성과정에 있어서 미국의 영향력은 압도적이었으나, 한국 정부와 한국군은 미국의 지적‧도덕적 헤게모니에 순응과 갈등을 반복하며 주체로서 대응해 나가는 모습을 보였다.

      • 미국의 대한(對韓)경찰원조 변화와 한국경찰의 치안업무 재편 (1953~1967)

        김소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19

        Through the changes of U.S. police assistance to South Korea and the adjustment of domestic security by the Korean police, this study aimed to explain how the Cold War order defined the Korean society and clarify its nature. The domestic security changes due to political and social transformations in South Korea show the interests of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hat seek to control the Korean society and maintain the Cold War order. The U.S. police assistance to South Korea changed over time in its content and intention. Immediately after the end of the Second World War, the U.S. government sought to lead the Korean police as a public administrative body that accepted American values and system. However, the South Korean police was strengthened as an oppressive power apparatus by actively intervening in political situations. After the April Revolution, the U.S. government determined that it was necessary to control South Korea’s public movements so that they did not turn radical, and it provided the Korean police with training and support for protest suppression techniques. As a result, the South Korean government could mobilize the police and crush protesters whenever student movements and public demonstrations spread. That the Korean government could declare martial law and carried out military suppression during the movement against the Korea-Japan negotiations was because the South Korean and U.S. government had already agreed to actively respond to domestic security issues. Subsequently, the Korean government created a police task force in the mid-1960s to prevent the penetration and activities of North Korean spies in the police, and received communication equipment and weapons through the U.S. police assistance. The task force was deployed across the country to take on search and small combat operations. This police organization later developed into a combat police unit, and by the 1980s, it was actively used to suppress student and democratization movements, while carrying out public order and security duties. As the U.S. police assistance to South Korea changed over time, the South Korean police established an organization to suppress public protests and prevent the infiltrations and activities of North Korean spies. The Korean police was restructured into a lower domestic security organization with military on the dominant position. As a result, the police could assist military operations and the military could perform military operations on behalf of the police’s domestic security affairs in the event of emergency domestic security issues. Moreover, an opportunity was created for the U.S.-led Cold War order to affect Korea’s social changes with different police assistance. This was because the mechanism to mobilize the South Korean army under the U.S. approval was established when South Korea’s domestic security issues emerged, which meant both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 of the United States on South Korea. In other words, changes in the U.S. police assistance to South Korea showed the prevention or restrictions of the direction and power of Korea’s social change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U.S. foreign policy. 본 연구는 미국 대한(對韓)경찰원조의 변화와 한국경찰의 치안업무가 조정된 내용을 통해 냉전질서가 한국사회를 규정했던 방식을 설명하고 그 성격을 규명하고자 했다. 한국의 정치‧사회적 변동에 따라 치안업무가 변화한 내용은 냉전질서 속 한국과 미국의 이해관계를 보여준다. 미국의 대한경찰원조는 시기별로 그 내용과 의도가 변화해왔다. 정전 직후 미국은 원조를 통해 미국식 가치와 제도를 받아들인 공공행정 기관으로 한국경찰을 이끌고자 했다. 그러나 한국경찰은 정치적 상황에 적극 개입하며 억압적인 권력기구로 강화되었다. 4월혁명이 일어난 후 미국은 한국의 대중운동이 급진적으로 변화하지 않도록 이를 제어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 이를 위해 한국경찰에 시위진압 기술을 교육하고 지원했다. 그 결과 학생운동과 대중운동이 확산할 때마다 한국 정부는 시위진압 경찰을 동원해 진압할 수 있었다. 한일회담 반대운동 당시 계엄진압이 이루어질 수 있었던 배경은 치안문제에 대해 이미 한‧미정부 사이 긴밀한 논의와 대응안이 수립된 바 있었기 때문이었다. 1960년대 후반 남북관계 긴장감이 형성되기 시작하자 한국 정부는 경찰 내 북한 공작원의 침투와 활동을 예방하는 경찰기동대를 만들었다. 이때 미국은 경찰원조를 통해 무기와 통신장비를 지원했다. 이후 경찰기동대는 전국에 배치되어 수색과 소규모 전투작전임무를 맡았다. 이 조직은 후에 전투경찰대로 발전하였고 1980년에는 치안업무까지 맡으면서 학생운동을 비롯한 민주화운동을 진압하는 데 적극 활용되었다. 대한경찰원조가 시기별로 변화하면서 한국경찰은 국내 시위진압과 북한 공작원의 침투와 활동을 예방하는 조직을 갖추게 되었다. 한국경찰은 군을 우위에 둔 하위 치안기구로 재편되었다. 유사시 경찰이 군사작전을 보조하고 군대가 경찰의 치안업무를 대신하여 군사작전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경찰원조 내용이 달라지는 과정에서 미국 중심의 냉전질서가 한국 사회변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계기가 만들어졌다. 한국의 치안문제가 대두했을 때 미국의 승인 아래 한국군을 동원할 수 있는 기제가 확립되었기 때문이다. 이는 한국에 대한 미국의 직‧간접적인 영향력을 의미했다. 즉, 미국의 대한경찰원조 변화는 미국 대외정책의 이해에 따라 냉전질서가 한국사회 변화의 방향과 힘을 예방하거나 제약했던 상황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 1970년대 미국의 대한(對韓) '사회개발 원조'와 한국의 주택정책 : 주택금융시장의 형성과 재편을 중심으로

        이휘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19

        본 연구는 1970년대 박정희정권의 주택정책과 미국의 대한(對韓) ‘사회개발’ 원조를 통해 박정희정권이 추진한 ‘조국근대화’의 성격을 규명하고자 했다. 이와 함께 박정희정권의 개발전략과 유신체제 붕괴 이후 등장한 신군부가 선택한 개발전략이 가지고 있는 연속성을 확인하고자 했다. 1970년대 주택문제는 사회개발의 차원에서 다루어졌으며 주택문제에 대한 미국의 원조 역시 한국의 사회개발을 지원한다는 목표 아래 진행되었다. 사회개발은 경제성장을 위해 적합하다고 간주된 비경제적 영역을 구축하고 사회 안정을 저해하는 요소를 제거하는 것으로 인식되었다. 일반적으로 사회개발은 서구, 특히 미국의 제도와 문화를 갖추는 것으로 인식되었지만 각 사회가 취하고 있는 개발전략에 따라 구체적인 내용에는 차이가 존재했다. 따라서 1970년대 한국과 미국이 사회개발에 부여한 의미와 개발방향성의 차이는 이 시기 박정희정권이 추진한 개발의 성격과 한계를 구체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중요한 소재이다. 주택문제는 대중의 일상을 구성하는 기본요소이자 사회보장제도가 부족한 한국사회에서 가계의 복지를 뒷받침하는 핵심수단으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산업화가 진행되는 가운데 대중들의 주거상황은 지속적으로 악화되었고 주택문제는 대중들이 ‘조국근대화’에 내재되어 있는 불평등성을 일상 속에서 체감하는 가장 직접적인 영역으로 존재했다. 주택문제의 악화는 개발의 정당성에 대한 대중의 불신으로 이어질 수 있었기 때문에 정권으로서도 간과할 수 없는 문제였다. 이에 따라 박정희정권은 주택은행을 설립하면서 주택금융을 기반으로 하는 주택정책을 마련하였다. 그러나 정권은 금융시장 통제를 통해 투자효과가 높은 산업분야에 자본을 집중 투입하고자 했고 주택금융은 제 기능을 발휘하기 어려웠다. 주택금융의 역할이 제한되면서 정권은 주택문제 해결을 위해 필요한 주택자금을 미국의 원조로부터 구하고자 했다. 1960년대 후반 미국은 변화한 국제환경 속에서 세계에 대한 영향력을 유지하기 위한 새로운 냉전전략을 모색하였고 사회개발을 통한 제3세계의 사회 안정과 민간주체들의 경제활동 참여를 촉진할 수 있는 제도적 환경의 조성을 강조하기 시작하였다. 이때 미국이 개발원조의 대상으로 주목한 것은 주택문제였다. 미국은 제3세계의 주택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미국식 주택금융제도의 이식이 필수적이라고 보았다. 이와 같은 인식 아래 미국은 한국의 주택문제에 개입하여 박정희정권의 정치적 안정을 지원하는 동시에 한국의 주택금융시장 발전을 촉진하고자 했다. 1973년부터 1978년까지 총 7차례 제공된 국제개발처의 대규모 주택차관과 기술 지원을 통해 주택시장의 확대와 주택산업의 성장은 이루어졌지만 미국식 주택금융제도의 이식은 박정희정권의 개발전략과 충돌하면서 실현이 지연되었다. 무주택서민의 유효수요를 뒷받침할 주택금융의 확대가 지체되면서 한국의 주택시장은 민간 투기자본에 장악되었고 부동산투기로 인한 사회적 불평등이 급속도로 심화되었다. 정권은 금융시장을 통해 동원한 민간자금을 정책적 우선순위에 따라 배분하고자 했으나 이로 인한 자본의 편중은 대중들에게 ‘조국근대화’에 내포된 불평등성을 체감시켰고 결국 유신체제의 붕괴로 이어졌다. 유신체제 붕괴 이후 집권한 신군부는 미 원조당국의 제안대로 수요자 중심의 금융 지원을 확대하고 금융시장 자율화를 추진하였다. 또한 주택자금 지원도 건설자금 중심에서 매입자금 중심으로 전환하여 주택시장의 실수요 확대를 촉진하였다. 이와 같은 신군부의 금융정책은 유신체제기에 재벌급으로 성장해 추가적인 정책금융 지원보다 수요자금융 확대를 통한 경기부양 효과와 시장에서의 유효수요 창출을 원했던 기업들의 이해관계에도 부합하는 것이었다. 정부와 기업의 이해관계 속에 정부주도의 개발체제는 재벌주도의 개발체제로 재편되었고 이 과정에서 한국사회의 불평등은 더욱 심화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박정희정권은 금융시장에 대한 통제가 지속적인 경제개발과 사회 안정을 위한 최적의 방안이라고 생각했으나, 정권의 자원통제는 필연적으로 개발의 후순위에 배치된 이들을 배제하는 결과를 가져왔고 사회개발은 기대한 효과를 낳을 수 없었다. 이후 신군부는 미국의 ‘사회개발 원조’에 담긴 문제의식을 받아들이며 외면적으로는 이전 정권과 다른 개발전략을 취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신군부는 유신체제의 토대 위에서 탄생하여 본질적인 연속성을 공유하고 있었고 주택문제 역시 여전히 한국사회의 불평등을 상징하는 문제로 현재까지 존재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