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부설 평생교육원 프로그램에 대한 재학생들의 인식과 요구 분석

        박송이 한국교통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807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부설 평생교육원 프로그램에 대한 재학생들의 평가와 요구분석 결과를 토대로 대학부설 평생교육원이 지역사회 주민들만을 위한 평생교육기관에서 그 기능을 확대하여 재학생들을 위한 평생교육기관으로서의 역할 정립 방안을 탐색하기 위함에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세 가지 연구문제를 제기하였다. 첫째, 대학생들의 평생교육 개념에 대한 인지 정도는 배경특성변인별로 차이가 있는가? 둘째, 대학생들의 대학부설 평생교육원 이용 실태 및 참여만족도는 배경특성변인별로 차이가 있는가? 셋째, 대학부설 평생교육원에 대한 대학생들의 요구는 배경특성변인별로 차이가 있는가? 이 연구에서는 충청북도에 소재하는 4개 대학 재학생들을 성별, 학년별, 전공계열별로 구분하여 1,250명을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대학생들의 대학부설 평생교육원 이용실태 및 요구조사 설문지 제작은 선행연구에 사용된 설문내용을 기초로 하여 문항을 구성하였다. 설문 조사에 따른 자료 처리는 문항별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여 전체적인 반응의 경향성을 파악하였다. 대학생들의 배경특성변인별 반응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교차분석(CROSTABS)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의 평생교육 개념에 대한 인지 정도의 전체적인 경향성은‘잘 알고 있지 못하다’에 44.9%로 가장 많은 응답률을 보이고 있었다. 전공계열별로 볼 때 인문사회계열이나 자연계열에 속한 학생들 보다는 공학계열이나 예체능계열에 속한 학생들일수록 평생교육의 개념에 대한 인지정도가 낮았고 저학년 학생들 보다는 고학년 학생들일수록 남학생 보다는 여학생일수록 평생교육의 개념에 대한 인지 정도가 높았다. 대학생들의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정도의 전체적인 경향성은‘필요하다’에 44%로 가장 많은 응답률을 보이고 있었다. 전공계열별로는 인문사회계열이나 자연계열에 속한 학생들 보다는 공학계열이나 예체능예열에 속한 학생들일수록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정도가 낮았고 저학년 보다는 고학년 학생들일수록 남학생 보다는 여학생일수록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정도가 높았다. 둘째, 평생교육 강좌 및 프로그램에의 참여율은 26.8%로 낮게 나타났다. 대학생들의 평생교육 강좌 및 프로그램 참여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평생교육 프로그램 설계 단계에서 수요자의 요구를 정확히 파악하여 수요자들에게 꼭 필요한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대학생들의 평생교육 강좌 및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된 동기는 ‘지식과 교양습득’이 37.3%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자격증 취득’(25.6%),‘취업에의 도움’(12.4%), ‘창업에의 도움’(12.4%), ‘여가와 취미’(12.4%) 순으로 나타났다. 대학부설 평생교육원에서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설시 대학생들의 참여를 높이기 위해서는 공학계열과 인문사회계열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자격증 취득 과정, 자연계열과 예체능계열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양 과정을 개설해야 할 것이다. 저학년에게는 전공이나 취업에 관련된 단계별 프로그램 제공하여 고학년이 되어서도 평생교육을 지속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의 연계성을 유지해야 하고 고학년에게는 취업 후 사회생활에서 필요한 교양 과정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셋째, 강사의 강의방법의 적절성, 교재나 시청각 자료 및 물품 비치, 실습기자재와 재료 등의 양과 질에 대한 만족도 수준이 낮은 편이었다. 특히 교육비용의 적절성과 교육기관에 대한 교통 및 접근성에 대한 만족도 수준이 상대적으로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들은 일반 성인들과 비교하여 경제적으로 열악하기 때문에 대학생들의 평생교육 참여를 높이기 위해서는 교육비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수업료 인하 및 장학제도 운영을 통하여 경제적인 부담을 덜어주어야 할 것이다. 넷째, 평생교육원이 우선적으로 갖추어야 할 조건은 기초과정 교육 확대(19.0%), 수준높은 강의(15.0%), 전문자격증 교육 프로그램 확대(14.5%) 순으로 나타났다. 재학생들은 본인의 전공 교육과정과는 별개로 대학부설 평생교육원으로부터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제공받기를 희망하고 있으며, 전문자격증 취득까지 가능한 실용성 높은 교육을 원하기 때문에 대학부설 평생교육원에서는 재학생들을 위한 강좌 및 프로그램을 확대 개설해야 할 것이다. 평생교육원의 교육 프로그램은 학습자 스스로의 필요에 따라 교육 참여 여부가 결정되고 교육 프로그램 이수 후에도 학습자들의 학습 의지가 높기 때문에, 교육 프로그램 종료 후 수료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스터디 모임이나 동아리 활동을 활성화시켜 자발적인 학습을 통해 학습 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야 할 것이다.

      • 성인기 삶을 준비하는 장애 학생의 평생교육에 관한 중등특수교사 인식 연구

        김보영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791

        이 연구는 장애학생의 졸업을 시점에서 학령기 교육을 담당하는 중등특수교사의 평생교육에 대한 인식을 탐색함으로써 장애인평생교육이 장애 학생의 성인기 삶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향후 학령기 교육과 장애인평생교육이 연계를 통해 평생교육의 활성화와 발전방안을 모색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연구 참여자는 경기도 내 졸업생을 장애인평생교육 시설에 입소시킨 경험이 있는 중등특수교사 7인이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 기간은 2021년 2월부터 2021년 4월까지이며, 심층면담 방식으로 1:1 개별 면담을 진행하였다. 심층면담은 연구 참여자별 1회 이상, 30~40분 내외로 진행하였고 반구조화된 면담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질적연구 방법으로 자료 분석은 개념화, 부호화, 하위범주, 상위범주 생성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특수교사들은 장애인평생교육을 고3 학생, 전공과 학생의 진학지도 과정을 통해 인식하거나 근처 장애인 복지관과의 연계를 통해 인식하게 되었다고 응답하였다. 그리고 장애인평생교육에 대한 가치를, 장애인의 계속교육을 이끌어가는 것, 직업교육에 중점을 두는 것, 삶의 질을 높여주는 것이라고 하였으며, 중등특수교사가 인식하는 학령기 교육과 장애인평생교육은 어느 정도 공통점을 갖기는 하지만 학령기 교육과 장애인평생교육은 다른 길을 가는 것이라고 응답하기도 하였고, 생애주기에 따른 시기에 차이가 있을 뿐 학령기 교육과 장애인평생교육은 지도하는 내용이 비슷하여 함께한다고 하였다. 둘째, 중등특수교사들은 장애학생이 졸업 후 장애인평생교육을 참여하게 되면서 만족한다고 응답하였으며, 장애인평생교육을 받지 않더라도 개별적인 진로 희망, 장애 특성, 학부모의 요구 등을 고려한 진로 선택으로 대부분 성인기에 만족하며 생활한다고 응답하였다. 그리고 한국 장애인 평생교육 평생교육 프로그램 6진 대 분류 중 직업능력향상교육, 문화예술교육, 시민참여교육, 기초문해교육이 각각의 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고 하였다. 셋째, 장애인평생교육 참여의 걸림돌로 장애인과 장애인시설에 대한 사회적 편견, 장애인 시설 및 수용인원, 예산의 부족, 장애인평생교육에 대한 인식 부족, 장애학생 추수 지도의 어려움을 꼽았다. 그리고 장애인평생교육에 관한 연수, 학령기 동안 장애학생에게 장애인평생교육의 경험 기회 제공 등을 통해 학령기 교육과 장애인평생교육 간의 긴밀한 연계체제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결론적으로 중등특수교사는 장애학생이 장애인평생교육을 통해 성인기에 만족하는 삶을 살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향후 장애인평생교육이 더욱 활성화되기 위해 학령기 교육과의 연계체제를 통해 지원하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에 중등특수교사들은 장애인평생교육 참여의 어려움을 해결하고 학령기 기반 장애인평생교육 지원 방안을 모색한다면 장애인의 학습에 대한 욕구가 해소되고 보다 자기발전적이고 자기성취적인 삶을 살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 수도권 평생교육 담당자의 성인교육철학

        고희원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791

        본 연구의 목적은 평생교육 담당자의 성인교육철학 특성 및 인구통계학적인 변인에 따른 성인교육철학 차이를 분석하는 데 있다. 평생교육 담당자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라 성인교육철학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봄으로써 각 입장에 대한 본질적 이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평생교육 담당자는 어떤 성인교육철학을 가지고 있는가? <연구문제 2> 평생교육 담당자의 성인교육철학은 인구통계학적 변인(성별, 연령, 학력, 전공, 평생교육사 자격증 유무, 기관유형, 근무기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위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도 내 평생교육기관으로 인가·등록·신고된 시설·법인 및 지자체에서 평생교육 업무를 수행하는 평생교육 담당자를 연구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2,800명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설문에 응답한 대상자는 총 226명이었다. 이 중 유효설문 223개를 대상으로 Window용 SPSS 18.0 한글버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종속변인인 성인교육철학을 측정하는 문항은 75문항, 인구통계학적 변인은 7문항으로, 총 82문항을 사용하였다. 첫 번째 연구문제인 평생교육 담당자의 주류적인 성인교육철학을 분석하기 위해 기술통계를 실시하였으며, 두 번째 연구문제인 평생교육 담당자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성인교육철학을 분석하기 위하여 t-검증,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분석과정을 통해 나타난 본 연구문제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에 대한 결과로, 평생교육 담당자의 성인교육철학은 진보주의(5.48)가 가장 높게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어서 인문주의(5.36), 인본주의(5.34), 행동주의(5.29), 급진주의(4.94) 순으로 결과가 나타났다. <연구 문제 2>에 대한 결과를 살펴보면, 평생교육 담당자의 성인교육철학은 성별, 평생교육사 자격증 유무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연령, 학력, 전공, 기관유형, 근무기간에 따라서는 성인교육철학에 유의미한 차이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학점은행제 운영에 대한 학습자의 만족도 연구 : 대학 평생교육원을 중심으로

        황치석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박사

        RANK : 249791

        학점은행제는 1995년 5.31교육개혁의 일환으로 고등교육에서의 열린학습사회 · 평생학습사회 건설을 위해 도입된 제도로, 1998년에 시행하여 7년 동안 9만여 명의 학습자가 등록하였다. 학점은행제는 대학 정규과정 외의 다양한 교육(훈련)기관에서의 교육과 경험학습을 학점으로 인정하여 성인학습자의 대학학위 기회를 확대한 점에서는 상당히 긍정적이다. 그러나 학습에 대한 사회적인 인지도가 낮아 학점은행제 운영기관인 한국교육개발원은 질적 관리를 강화하고 있고, 교육기관은 정규과정화 하는 경향을 보이면서 한국교육개발원과 교육(훈련)기관 간의 공공성과 자율성의 문제가 계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학점은행제가 안고 있는 문제점을 분석하고 그 해결책을 찾기 위해서는, 학점은행제 교육의 수혜자인 학습자의 제도운영에 대한 만족도 연구를 통해 개선점을 찾는 것이 무엇보다도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학점은행제 운영에 대한 학습자의 만족도를 고찰하기 위하여 학점 은행제 학습자에 부합한 만족도 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이용해서 학습자의 만족도를 고찰하고 그 개선점을 찾는 것이다. 만족도 도구제작을 위하여, 성인학위학습자와 학점은행제에 관한 선행연구와 학습자와의 면담과 질문지를 통해 예비질문지를 작성하여, 7인의 전문가에게서 내용타당도 검정을 거친 질문지로 63명의 학습자에게 설문하여 요인분석을 하고 신뢰도 검정과 확인적 요구분석을 거쳐 최종 만족도 도구를 제작하였다. 최종 만족도 도구의 최종만족도 도구로 7개 교육기관에 750부를 배포하여, 최종 693명을 연구의 대상으로 하였다. 만족도를 평가하기 위해 평가모형으로 CIPP모형에 따라 상황변인, 투입변인, 과정변인, 결과변인을 설정하였다.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변인을 찾기 위해, 국내외 성인학습자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를 고찰하고, 또한 연구자가 직접 교육기관을 방문하고, 학습자의 면담을 통해 학점은행제의 특성에 부합한 변인을 설정하였다. 상황변인으로 개인적 특성 변인과 교육기관 득성변인을 설정하였다. 개인적 특성변인으로는 성, 연령, 직업상태, 결혼상태, 학력, 전공, 수입, 이수한 학점, 경험학습인정학점을 설정하였으며, 교육기관 변인으로는 지역, 교육기관, 프로그램, 학점이수 방식, 학위수여기관, 강의건물을 주요변인으로 설정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한 잠정적 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예비설문자료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추출방법은 주성분분석을 하여 6개의 요인을 추출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중복되거나 점수가 낮은 요인은 삭제하여, 총 38개의 만족도 문항을 확정하였다. 각 요인에 대해서는 제도목표 요인, 운영기관 요인, 교육재정 요인, 교육기관 요인, 학사관리 요인, 교육결과 요인으로 명명하였다. 만족도의 값은 각 문항 당 5점 측도로 1점에서 5점으로 평가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만족도의 값이 높으며, 가운데 점수는 3점이다. 연구의 분석은 만족도의 영역별로 개인적 특성과 교육기관의 특성에 따라 만족도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분석을 위해 사용한 통계방법은 t-test와 ANOVA이다. 그 결과 학점은행제 학습자들의 제도운영에 대한 만족도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점은행제 성인학습자의 학점은행제 운영에 대한 만족도 중 제도목표면에서는 학습자들이 만족도가 높았다. 특히 남성과 30세 이상의 학습자와 전문대 졸업자가 제도목표 영역에서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일반적으로 30세 이상의 성인학습자들이 제도목표 측면에서 상당히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제도목표의 취지대로 수능시험 없이 입학이 용이하고, 누구나 언제 어디서나 학습이 용이하며, 다양한 교육기관에서의 학점이수, 경험학습의 학점인정과 생애에 걸친 학습을 통한 자아실현을 이룰 수 있는 제도로서 상당히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이 입증되었다. 특히 학점은행제는 원래의 제도목표 취지대로 25세 이상의 기혼자, 전일제 직장인이나 전업주부 성인학습자에게 부합한 제도로 운용되고 있음이 입증되었다. 둘째, 운영기관의 제도운영에 대한 학습자의 만족도는 보통수준이었다. 특히 21-24세의 학습자와 특별과정 학습자, 예체능계열의 학습자들이 낮은 만족도를 보인 반면, 직업훈련원 학습자와 자격증 학점인정자, 교육인적자원부 장관의 학위를 받는 학습자들이 운영기관 면에서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즉 다양한 교육기관에서의 학점이수, 경험학습의 학점인정에서는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반면 수강신청시의 상담, 계절학기의 활용, 교수요목의 활용성, 군입대 연기, 과정 이수 후 취업에 대해서는 만족도가 낮았다. 표준교육과정을 통한 학점신청의 용이성과 홈페이지를 통한 장기적 학점이수에 대해서는 보통이었다. 또한 직업훈련원에서 학점을 이수하는 학습자들은 운영기관 요인에서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교육인적자원부 장관의 학위를 더 선호하였다. 셋째, 학사관리 측면에서도 학습자들의 만족도가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특히 남성이, 25세 이상의 학습자가, 연령이 올라갈수록, 인문사회 이공계열 학생들과 직업훈련원에서 전공과목을 이수하는 학습자가 학사관리에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이는 학점운영기관인 한국교육개발원이 학사관리인 성적과 출석의 학점인정에 대하여 사후 관리를 엄격하게 관리하고 있음을 입증하고 있으며, 교육기관에서도 수업 시 수의 엄수와 학사관리에 대해 엄격하게 관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학습자들도 학사관리의 엄격성에 만족하고 있었다. 넷째, 교육재정 면에서는 학습자들의 만족도가 가장 낮았다. 특히 여성과, 정시제, 예체능계와 무형문화제, 학원과 국가기관의 학습자가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즉 학비가 저렴한 것에는 비교적 만족하나, 정규학생 들에 비하여, 학비대출이나, 직장에서의 학비지원, 세제감면 혜택 등이 용이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평생학습비 지원과, 학비대출의 기회를 확대할 제도적인 장치가 필요하다. 또한 학점은행제 학습자들의 소득수준이 월 100만원 이하인 자가 무려 30%가 넘고 있으며, 상당수의 학점은행제 학습자의 61.3%가 개별학습자에 대한 국가적인 차원에서 평생학습비 지원을 원하고 있었다. 다섯째, 교육기관 면에서는 학점은행제 학습자들의 만족도가 낮았다. 특히 21세-24세 학습자, 40점 이하의 학점을 이수한 학습자, 국가기관과 학원에서 전공 과목을 주로 이수하는 학습자, 교육인적자원부 장관의 학위를 받는 학습자가 교육기관에 대한 만족도가 더 낮았다. 학습자들은 학생증 부여와 교육기관의 도서관 이용, 상담실 활용과 상담, 학교시설 이용 및 동아리 활동의 어려움을 나타내었다. 교육기관에서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교육기관의 시설이용과 정보이용 및 상담이 용이하도록 제도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본다. 즉, 지역별 거점대학의 도서관에 평생교육사를 두어 학점은행제 학습자들의 학습지원과 이용이 용이하도록 국가적인 재정지원과 행적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본다. 여섯째, 교육결과 면에서도 학점은행제 학습자들의 만족도가 보통 이하의 만족도를 보였다. 특히 여성이, 25세 이하의 학습자, 미혼, 정시제나 직업이 없거나, 고졸의 학습자가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반면 40세 이상 기혼 전업주부, 전문대 졸업자, 직업훈련원 학습자가 교육결과 면에서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학점은행제 학습자들의 가장 큰 불만은 학위에 대한 사회적인 인정이 낮다는 것과 대학생으로서의 소속감의 결여, 정규과정과 심리적인 이질감, 편입이나 대학원 진학이 어렵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학위에 대한 사회적 인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국가적인 법적 행정적인 홍보와 대학의 자율권을 확대하여 대학 장의 학위를 부여하는 권한을 확대할 필요성이 있다고 본다. 학점은행제 성인학습자들이 학위를 받기를 원하는 기관으로는 대학의 장의 학위를 원하는 학습자가 약 70%에 달했다. 서울의 정규과정을 제외한 향후 학위를 받고 싶은 기관으로는 서울의 대학(교) 평생교육원에서의 학위를 이수하기를 원하는 학습자와 수도권 정규과정을 원하는 학습자가 많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논의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기관에 따라 학사관리 및 운영의 자율권을 확대하여야 한다. 둘째, 국가적인 차원에서 개별학습자에 대한 평생학습비의 지원과 교육기관에 대한 재정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본다. 셋째, 학점은행제 학습자의 정보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지역별 대학 도서관을 지정하여 재정적인 지원과 함께 평생교육사를 두는 제도를 도입할 필요성이 있다고 본다. 넷째, 여성인력개발 차원에서 여성 성인 학습자를 위한 Re-entry센터를 두어 학점이수나 재정지원 복지혜택에 대한 정보와 장기적인 학업계획과 학위과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상담지원, 그리고 과정 이수 후의 취업과 관련한 종합적인 지원제도가 필요하다고 본다. 다섯째, 예체능 계열 학습자에 대한 행 · 재정적인 지원과 강사조건의 완화가 필요하다고 본다. 여섯째, 학점은행제 학위에 대한 사회적인 인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점은행제 학위에 대한 홍보와 정규과정과 동등한 법적 행정적인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일곱째, 전문대학이나 대학을 졸업한 학습자의 경우 대학의 장의 학위를 받을 수 있는 조건을 완화해 주어야 한다. 여덟째, 대학위기 극복과 세계대학의 대학의 평생교육화 경향에 비추어 볼 때, 정규대학과 평생교육원의 권한을 강화하여 학점은행제 성인학습자들을 수용할 수 있는 정책적인 전환이 필요하다고 본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서울 수도권 학점은행제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점과 주로 대학(교) 평생교육원에서 학점은행제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점이다. The Credit Bank System (CBS) is an educational system introduced by the May 31 Educational Reform of Korea in 1995, CBS was established in order to realize Open Learning Society and Lifelong Learning Society in Higher Education. Although the CBS has been highly evaluated as a possible substitute for bachelor degree & associate degree, Korean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KEDI) is considering revision of supervision system of the CBS due to its low public acknowledgement. Problems in supervision system have even gellerated disputes over whether the roles of administrative institutes and autonomy educational institutes are well balanced and respected. Hence, analyzing the problems arising from the CBS and finding the resolution is of great importance in improving the educational opportunities provided by the CBS. One possible way of improving CBS may be to investigate the satisfaction level of adult learners following the CBS.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rating system to measure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CBS, to adopt this rating system and to suggest possible directions in implementing the CBS in the future. Preliminary questionnaire was constructed based on preliminary research of adult learners under the CBS by interviewing them. This questionnaire was handed out to students and was also evaluated by seven experts in the field for its validity. 750 copies of the finalized satisfaction rating system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seven educational institutes and, overall, 693 subjects were considered in this study. The evaluation model for assessing satisfaction level was set up according to the CIPP model which takes the following factors into account: Context Evaluation, Input Evaluation, Process Evaluation and Product Evaluatio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atisfaction level, Korean and international adult learners' satisfaction levels were studied. In addition, the variables that coincide with the CBS characteristics were chosen by visiting the education institutes and interviewing the adult learners. Individual characters and education institute characters were chosen for the context variables. Individual character variables included sex, age, occupation, marriage status, educational background, major, income, credits acquired and points accepted as an experience, whereas, for education institute character, variables included region, educational institute, type of program, credit acquisition system, academic degree institute, and the environment of study. In order to ascertain the potential factors drawn from the preliminary researc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arried out. Principle Components Analysis was adopted to extract six factors in this study. Factors that overlap or with lower impact scores have been excluded and, overall, 38 items were finalized to be included in the satisfaction rating questionnaire. The six factors were denominated as system objective factor, CBS institution factor educational expense factor, educational institute factor and educational matters administration factor, and outcome of education factor respectively. Each item in the satisfaction rating questionnaire was rated on 1-5 scale; with higher score indicating a high level of satisfaction and vice versa. The main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how individual character and educational institution character could influence the satisfaction level in each category, T-test and ANOVA were adopted as the statistical analytical tool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satisfaction level on the objective of the CBS was high. This was the case especially for adult learners aged over 30, community college graduates and male adult learners. Adult learners older than 30s generally showed positive acknowledgement of objective of the CBS. Secondly, adult learners showed medium satisfaction rate on the administration of KEDI, educational institutes of the CBS. Especially, for adult learners aged between 21 and 24, in special courses of College, and in arts and physical educations showed low satisfaction rate. On the contrary, adult learners in occupational training centers, certificate point accepted adult learners, and adult learners with Ministry of Education certified degree showed high satisfaction rate. Thirdly, adult learners showed the highest rate of satisfaction on educational matters administration. Higher satisfaction rates were observed in male adult learners aged over 25. In addition, human, social sciences and engineering degree adult learners as well as those in occupational training centers showed high satisfaction rates. Fourthly, satisfaction rate in education expense was the lowest. This was observed in female adult learners, part time workers, in arts and physical education, from private institute and government. Therefore, this result indicates that funding support for lifelong education and expansion of loads for tuition is in need. Fifthly, adult learners showed low satisfaction rate on the educational institutes. This was especially apparent in adult learners aged between 21 and 24, those completing less than 40 credits, those from government and private institutes, and adult learners for Ministry of Education certified degree. Administrative supports for adult learners to utilize facilities, information and counseling are in need to increase satisfaction. Finally, adult learners showed low satisfaction on outcome of the education. Female adult learners aged below 25, the unmarried, part time workers or with no occupation and those with high school degrees were accounted for the low satisfaction rate. However, adult learners aged over 40, the married, housekeepers, those with community college degree and in occupational training center showed high satisfaction rate on the outcome of the education. To raise public recognition on the CBS degree, administrative institute needs to improve on public awareness of the CBS and to grant head of university and college more self regulation in award degrees.

      • 평생교육 교수자의 교수역량 향상에 관한 연구

        임갑석 대구대학교 디자인·산업행정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791

        이 연구는 평생교육 영역의 주요 교수자인 평생교육 강사의 교수역량의 향상 과정을 강사로 일한 경력기간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자는 이를 위하여 대구 경북지역에서 강사로서 활동하고 있는 경력 5년 이상의 강사 7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방법은 질적 인터뷰 방법을 활용하였다. 즉, 반 구조화된 질문지를 개발하여 연구대상자와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평생교육 강사는 강사 입문기, 강사 수련기, 강사 숙련기를 거치면서 강사로서의 교수역량을 스스로 계발하여 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평생교육 강사는 입문기, 수련기, 숙련기를 거치면서 현장에서의 강의 활동의 경험을 통하여 스스로 교수자로서의 역량을 계발하고 있다. 강사들이 현장에서 직면하는 어려움은 강사 모두에게 공통적인 점도 있었고, 비 공통적이고 개인적인 측면도 있었다. 평생교육 강사들은 본인이 교수하는데 부족한 역량을 다양한 방법으로 자기주도적인 학습을 통하여 보완하고 계발하고 있다. 강사들이 자기계발 방법은 다양하다. 교수법에 관한 연수에 참여하는 방법, 자신들이 강의하는 강의내용과 관련된 보충학습을 실천하는 방법, 선배 강사들에게 강의 노하우를 배우는 방법, 반복적으로 강의연습을 하면서 강의에 숙달하는 방법 등 그들이 활용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강사들은 대학과 대학원에 진학하여 평생교육 전공으로 공부를 하는 이들도 있다. 강사들은 그들의 강의내용과 강의성격에 따라 각기 다른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론강의를 하는 강사는 강의하는 내용에 대한 지식의 부족에 대한 어려움을 겪는다. 체육활동을 하는 강사는 자신의 체력을 보강하고, 신체를 단련하는데 집중하고 있다. 웃음치료를 하는 강사는 본인도 긍정마인드로 웃으면서 생활하고 있다. 여러 가지 영역의 내용을 강의하는 강사는 강의내용에 대한 지식을 보충하고자 노력한다. 강사들은 숙련기 강사가 되면 강사로서의 자신감과 보람을 갖는다. 숙련기 강사는 어느 정도 자신을 갖지만 여전히 부족한 점을 스스로 발견하기도 한다. 강사들은 후배 강사들에게 인성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좋은 강사가 되기 위해서는 강사 입문기의 강사들을 대상으로 체계적인 연수교육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볼 때, 강사들의 교수역량의 강화를 위하여 사회적 차원에서 강사연수과정을 개발하여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같은 강사 연수는 국가적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하다. 공공 평생교육 기관과 민간 평생교육 단체에서는 강사연수과정을 적극적으로 개발하여 운영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analyze the process of improving the teaching competency of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s, who are major instructors in the field of lifelong education,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ir careers as instructor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selected 7 instructors with more than 5 years of experience working as instructors in the Daegu and Gyeongbuk area as research subjects and conducted the study. As a research method, a qualitative interview method was used. In other words, a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nd interviewed with the study subjects.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s develop their own teaching competency as instructors through the instructor introductory phase, instructor training phase, and instructor proficiency phase.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s were developing their own competence as instructors through the experience of teaching activities in the field while going through the introductory period, training period, and proficiency period. The difficulties that instructors face in the field were common to all instructors, and there were also non-common and personal aspects.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s were supplementing and developing their skills that they lacked in teaching through self-directed learning in various ways. Instructors have a variety of ways to develop themselves. How to participate in training on teaching methods, how to practice supplementary learning related to the content of their lectures, how to learn lecture know-how from senior instructors, how to master lectures while repeatedly practicing lectures, etc. is diverse. Some of the instructors go to universities and graduate schools to study lifelong education as a major. Instructors face different difficulties depending on the content of their lectures and the nature of the lectures. Instructors who give theoretical lectures have difficulties due to lack of knowledge about the content being lectured. Instructors who engage in physical activity are concentrating on strengthening their own physical strength and training their bodies. Laughter therapy instructors live their lives with a positive mind and smile. Instructors who teach content in various fields try to supplement their knowledge of lecture content. When instructors become skilled instructors, they gain confidence and reward as instructors. Skilled instructors have some self-confidence, but still find themselves lacking. Instructor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character to junior instructors and argue that systematic training is necessary for instructors in the introductory stage to become good instructors.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it can be seen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operate a lecturer training course at the social level in order to strengthen the teaching competency of lecturers. Such instructor training needs to be conducted at the national level. Public lifelong education programs and private lifelong education organizations should actively develop and operate instructor training courses.

      • 평생교육 전공 대학원생들의 입학동기와 학습과정의 변화

        김민지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791

        이 연구는 성인학습자인 평생교육 전공 대학원생의 대학원 입학동기와 그 학습과정에서의 변화 과정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G시의 C대학교 교육대학원 평생교육 전공 대학원의 재학생 및 졸업생 9명이다. 이들의 평생교육 참여 동기와 학습 과정에서 그들의 경험과 변화 과정 및 그 맥락을 그들의 목소리를 통해 알아보기 위하여 질적 연구방법 중 포커스 그룹 면담법을 활용하였다. 이 연구에서 밝혀진 것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평생학습 과정에 참여 동기는, 배움의 욕구와 새로운 분야에 대한 호기심, 직무능력향상 및 자격증 취득을 통한 직업연계, 자기계발과 같은 것들이었다. 평생학습에 참여한 뒤에는 다양한 학습경험들이 상호 복합적으로 작용되면서 또 다른 학습 동기들을 유발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로, 대학원 입학 동기는 우리나라는 학력사회라는 구조 속에서 학력상승의 개인적 욕구에서 기인된 것으로, 스스로의 관심사, ‘배워서 남을 주자’는 이타적인 삶의 나눔의 동기들도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그들은 대학이라는 구체적인 장면에 진입하면서 학습 초기에는 익숙한 것으로부터의 탈피 곧 고등교육기관인 대학원이라는 구체적 장면에 진입하면서 다양한 학습장벽과 마주하게 된다. 이 때 성인학습자들은 일과 학업을 병행하거나 경제적 이유로 그들의 학습을 지속하는 데 저해하는 장애 요인이 나타나지만, 그들의 배움에 대한 의지로 이 요인들을 지혜롭게 탈피하였다. 학습 중기에는 자기주도 학습의 경험을 통해 배움에 대한 욕구와 학문의 즐거움을 알게 되었으며, 타자 관계 중심적 학습을 통해 학습을 촉진하게 되었다. 학습 후기에는 현상에 대한 비판적 관점의 변화로 이러한 전환적 학습의 경험들은 성인들의 삶과 상호 연관되어 개인에게 중요한 의미를 준 평생학습 체험임을 경험하게 되었다. 참여자들이 학위과정에서 다양한 학습경험들을 통해 배운다는 것은 학교, 직장, 가정이라는 삶의 각 영역 안에서 얻어지는 의미 만들기와 의미 나누기의 과정이었다. 평생학습의 의미는 다양한 학습경험들이 삶 속에서 의미화 될 때 삶의 현상 속에서 파악되는 경험의 질적 확대이다. 평생학습은 결코 외부 환경에서 주어지는 대로 인식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학습활동 속에서 이루어지는 경험들이 끊임없는 질문과 성찰을 통해 자신의 맥락 속에서 재해석 되면서 깨닫게 되는 일련의 과정이다. 성인들이 자발적으로 선택한 학위과정을 통해 성인들은 삶의 총체적 변화를 경험하였다. 평생교육에 대해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대학원생들의 입학 동기의 내용을 기존의 평생학습의 참여 동기와 더불어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것은 평생학습에 대해 통합적 관점을 길러 준다. 초기 동기에 의해 시작된 학위 과정은 다양한 학습경험들이 삶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각자의 내면에서 의미화 되면서 평생교육의 본질적 측면으로 다가가게 된다.

      • 노인학습자의 평생교육 인문학적 교양프로그램 참여동기 및 만족도가 참여지속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최은희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49775

        이 연구는 노인학습자의 평생교육 인문학적 교양프로그램 참여동기와 만족도가 참여지속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변인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인문학적 교양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노인학습자의 참여지속을 향상시키고, 평생교육을 활성화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특별시 노인복지관의 인문학적 교양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학습자를 표집한 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276명의 설문지는 통계패키지 SPSS 23.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학습 참여동기는 목표지향형, 학습지향형, 활동지향형으로 구분하였으며, 참여만족은 교육프로그램, 교수자, 학습 지원서비스, 교육환경 및 시설 만족도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참여지속, 생활만족도는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여가활용 만족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동기(목표지향형, 활동지향형, 학습지향형)중 참여지속에 가장 정(+)적 영향을 미친 요인은 학습지향형 참여동기로 나타났으며, 가장 작은 영향을 미치는 것은 목표지향형 참여동기이다. 둘째, 참여만족도(교육프로그램 만족도, 교수자 만족도, 학습 지원서비스 만족도, 교육환경 및 시설 만족도)중 참여지속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요인은 교육프로그램 만족도로 나타났다. 셋째, 참여동기(목표지향형, 활동지향형, 학습지향형)가 생활만족도(신체적 만족도, 심리적 만족도, 사회적 만족도, 여가활용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습지향형은 신체적 만족도, 심리적 만족도, 사회적 만족도, 여가활용 만족도에 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참여만족도(교육프로그램 만족도, 교수자 만족도, 학습 지원서비스 만족도, 교육환경 및 시설 만족도)가 생활만족도(신체적 만족도, 심리적 만족도, 사회적 만족도, 여가활용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육프로그램 만족도는 심리적 만족도, 사회적 만족도, 여가활용 만족도에 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참여동기가 신체적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참여만족도(교육프로그램, 교수자, 학습자 지원서비스, 교육환경 및 시설) 모두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동기가 사회적 만족도와 여가활용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습자 지원서비스 만족도, 교육환경 및 시설 만족도는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인문학적 교양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노인학습자의 참여지속과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한 전략을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노인복지관은 다양한 인문학적 교양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학습지향형 참여동기를 가진 신규 노인학습자들을 유치하고, 기존 학습자들의 학습지향형 참여동기를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더불어 학습지향형 참여동기를 가진 노인학습자들에게 지적 탐구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질 높은 프로그램과 능력 있는 강사 활용 등으로 참여지속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그리고 노인 학습자들의 참여와 높은 만족도를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학습자에 대한 상담 및 지원서비스를 강화해야 하며, 노인복지관이 각 지역의 전문적이고 활성화된 평생학습시설이 될 수 있도록 지방자치단체의 관심과 프로그램 정착을 위한 예산지원 대책 수립이 필요하다.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s among the variables of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satisfaction of the elderly learners who participate in the lifelong education humanities and liberal arts programs on the participation persistence and life satisfa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materials for improving the participation sustainability of the elderly learners who participate in the humanities and liberal arts programs and to promote lifelong education.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after collecting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the Humanities Liberal Arts Program of the Seoul Senior Citizens' Welfare Center. Motivation for learning was divided into goal-oriented, learning-oriented, and activity-oriented. Participation satisfaction was classified into educational program, instructor, learning support servic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facility satisfaction. Participation continuity and life satisfaction were divided into physical, psychological, social, and leisure utilization satisfaction.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motivations (goal-oriented, activity-oriented, and learning-oriented), the factor that had the most positive (+) influence on participation persistence was the learning-oriented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the smallest impact was the goal-oriented participation motivation. Second, among the satisfaction level of participation (satisfaction of educational program, satisfaction of instructor, satisfaction of learning support servic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facility satisfaction), the factor that had the biggest influence on the participation persistence was educational program satisfaction. Third, in the influence of participation motivation (goal oriented, activity oriented, learning oriented) on life satisfaction (physical satisfaction, psychological satisfaction, social satisfaction, leisure utilization satisfaction), learning orientation was found to be physical, psychological, social, and leisure-use satisfaction. It has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Fourth, in terms of the effect of participation satisfaction (education program satisfaction, instructor satisfaction, learning support service satisfaction, educational environment and facility satisfaction) on life satisfaction (physical satisfaction, psychological satisfaction, social satisfaction, leisure utilization satisfaction), educational program satisfaction is psychological satisfaction. Social satisfaction, and leisure utilization had a positive effect. Last, participation satisfaction (education program, instructor, learner support servic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facility) all play a role in the influence of participation motivation on physical satisfaction. In the effect of participation motivation on social satisfaction and leisure utilization satisfaction, learner support service satisfaction, educational environment, and facility satisfaction showed a mediating role.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strategies for sustaining the participation and activation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elderly learners who participate in the liberal arts programs are as follows. The senior welfare center should develop a variety of humanities and liberal arts programs to attract new learners with a learning-oriented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to prepare a way to strengthen the learning-oriented participation motivation of existing learner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improve participation continuity by using high-quality programs and competent instructors to satisfy the intellectual inquiry needs of elderly learners with learning-oriented participation motivation. Moreover, in order to induce the participation and high satisfaction of elderly learners, counseling and support services for learners should be strengthened, and local governments' interests and programs should be settled and budgetary support measures should be established, so that the senior welfare center becomes a professional and active lifelong learning facility in each region.

      • 성인 여성의 평생교육 참여 인식 연구

        이성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775

        이 연구는 평생교육에 참여 하고 있는 성인 여성의 평생교육 참여 동기와 저해요인을 조사하고 참여 결과로서 얻은 성과가 어떠했는지를 파악하여 보다 더 많은 성인 여성들이 적극적으로 평생교육에 참여 할 수 있도록 참여 방안을 모색하고 증대시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이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 여성의 개인적 배경 특성과 이들이 참여하는 프로그램의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성인 여성의 평생교육 참여 동기와 저해요인, 성과는 어떠한가? 셋째, 성인 여성이 요구하는 평생교육의 발전방향은 어떠한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시 K구에 소재한 사업장 부설 평생교육 시설인 N문화센터에서 성인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수강생 363명을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결과를 SPSS WIN 11.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개인적 배경 특성에 있어서 연령은 31세에서 40세, 월평균 가구수입은 230만원이상 350만원미만, 학력과 직업은 대졸이상의 전업주부, 가족을 이루고 있는 상태는 학교에 다니는 자녀를 둔 여성들이 가장 높은 교육 참여율을 보였다. 또한 현재 참여하고 있는 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조사 결과 정보획득 경로에 있어서는 문화센터에서 직접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가 가장 높게 조사되었고, 과거에 프로그램 참여 경험여부는 참여한 경험이 있는 학습자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인 여성들의 평생교육 참여 동기는 활동 지향적 참여 동기 즉 여가시간을 활용해 취미나 특기를 살리고, 일상생활에서 받게 되는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좋은 사람들을 만나 대인관계를 넓히기 위해 참여하는 경우가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성인 여성의 참여에 따른 저해요인은 기관적 저해요인 즉 교육내용의 어려움과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데 필요한 기자재 등이 없어서 등으로 조사되었는데 이 연구에서는 응답 비율이 낮았다. 넷째, 성인 여성들의 교육 참여결과 얻은 성과는 정보획득 지향적 참여성과 즉 새로운 지식과 정보, 삶의 지혜를 얻는 것이 가장 높은 비율로 조사되었다. 다섯째, 여성 평생교육 발전방향에 관한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신설을 희망하는 프로그램은 취미, 여가활동 프로그램을 가장 선호하였고, 현재 참여하고 있는 프로그램에 있어 개선했으면 하는 점에 있어서는 교육시설설비가 가장 높은 비율의 개선점으로 조사되었다. 향후 평생교육 계속 참여 여부는 참여자의 대다수가 계속 참여할 것이라고 응답하였으며, 참여 지속 희망 프로그램은 어학. 교양. 정보통신이 가장 높은 비율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볼 때 여성 평생교육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전문 강사진들의 열의와 책임감 있는 강의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겠고,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설도 중요하지만, 학습자 수준에 맞는 수준별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질적인 프로그램의 강화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또한 강사진과 참여자들이 편안하고 가족적인 분위기에서 학습할 수 있고 훈훈한 정을 느낄 수 있는 평생교육 공간이 조성되어야겠고, 강사는 물론 기관의 운영자와 종사하는 직원들의 친절과 수강생 관리가 철저히 이루어져야 한다고 본다. 그리고 취미교실이나 자격증 취득 프로그램에서는 수료증이나 자격증이 부여되어 학업 성취도를 바로 알 수 있지만 그 외의 프로그램에 있어서는 결과물이 한눈에 볼 수 없어 단순히 배우는 자체만으로 만족을 해야 되는 것 또한 저해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교양 프로그램이나 학습위주의 프로그램에 있어서도 학습자들의 정기적인 학습 발표회나 공연, 전시회 등을 통하여 학습의욕을 고취시키고 수시로 학습자들의 요구를 조사하여 참여 방안을 모색하고 학습자들의 참여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여야겠다. 이 연구의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는 서울시에 소재한 사업장 부설 평생교육 시설 하나의 기관만을 조사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표집에 따른 한계가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확장된 기관과 다양한 대상의 표집을 하기 바란다. 둘째, 이 연구는 성인 여성의 평생교육 참여 현상의 관점에서만 연구 하였는데 평생교육 기관의 실무, 마케팅, 교육시설 등에 관한 연구도 함께 이루어져야 된다고 본다. 셋째, 성인 여성의 평생교육 참여 형태 자료수집에 있어서 직접적 관찰이 아닌 설문조사에만 의존하였기 때문에 실제로 참여과정이나 느낌들을 조사할 수 없었다. 따라서 참여관찰이나 심층적인 조사도 함께 이루어져서 참여과정과 느낌들까지도 조사할 수 있어야 한다고 본다. 넷째, 조사 대상자가 일정 지역에 편중돼 있어 원하는 데이터 수집이 안 될 경우가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참여자는 물론 비참여자에 대한 설문조사와 직접관찰을 통하여 다양한 각도에서 자료 수집을 하여 참여 인식을 파악해야 한다.

      • 백화점 문화센터 평생교육 프로그램 엘리먼트와 개설정향성에 관한 연구

        김원 동의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775

        최근 백화점 문화센터는 학습자가 선호하는 평생교육기관으로 다양한 평생교육 프로그램이 생성되어 있다. 그러나 사업장 마케팅 차원과 동종업계 경쟁심화로 인해 인기강좌 위주의 유사 프로그램이 학습자에게 제공됨으로써 백화점 문화센터는 평생교육기관의 정체성, 국가의 평생교육 정책, 그리고 평생교육학의 학문적 성장에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백화점 문화센터 평생교육이 평생교육의 중요한 학문적 영역으로 심도 있게 다루기 위해서는 백화점 문화센터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명확한 분석과 백화점 문화센터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설정향성에 대한 논의가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평생교육 프로그램 엘리먼트를 선정하고, 백화점 문화센터 평생교육 프로그램 조사를 실시한 후, 엘리먼트간의 관계분석과 한국평생교육 프로그램 분류체제에 따른 분류를 실시함으로써 백화점 문화센터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개설정향성 분석과 백화점 문화센터 평생교육 특성을 구명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방법은 조사, 분류, 분석이라는 세가지 단계를 거쳤다. 조사는 임의표집으로 선정된 1개의 백화점 문화센터에서 점포, 분기, 대상, 강좌구분, 내용분류, 강좌명, 강사명, 코드번호, 횟수, 요일, 시작시간, 종료시간, 회당시간, 총시수, 강의실, 수강료, 교재비, 재료비, 준비물, 6진 분류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류는 한국 평생교육 프로그램 분류표를 적용하여 수행하였다. 분석은 백화점 문화센터 평생교육 프로그램 엘리먼트 관계분석과 개설정향성을 살펴보기 위해 빈도분석, 교차분석, 일원배치 분산분석, 기술통계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연구결과와 결론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백화점 문화센터 평생교육 프로그램은 인문교양교육과 문화예술교육 개설정향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백화점 문화센터의 사업장 특성상 중산층 이상의 여성학습자가 교양·여가·사교를 주된 목적으로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음을 함의한다. 둘째, 백화점 문화센터 대상별 프로그램 개설정향성 관계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성인·유아대상은 기능적 소양 프로그램이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냈고, 엄마랑 아기랑 대상은 건강심성프로그램, 아동대상은 인문학적 교양 프로그램이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이는 인문교양교육의 영역 중 대상별 프로그램 개설 정향성이 대상별 특성에 따라 선호도와 요구의 차이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백화점 문화센터 평생교육 프로그램 엘리먼트는 평생교육기관의 특성을 나타내며, 펑생교육 프로그램 분류와도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엘리먼트와 그 영향력 정도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며, 백화점 문화센터의 평생교육적 특성과 정체성을 명확히 하는데 중요하다 할 것이다. 넷째, 이상의 결과를 통해 평생교육 프로그램 분류가 평생교육기관의 특성을 구명하는데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평생교육기관의 전문성과 정체성을 형성시키려면 객관화된 평생교육 프로그램 분류가 필요할 것이다. 한편, 향후 보다 나은 연구 수행을 위해서 몇 가지 사항을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에서 실시한 평생교육 프로그램 엘리먼트 선정 및 분류를 타 평생교육기관까지 확대·실시하여야 할 것이다. 즉, 프로그램 엘리먼트 선정과 분류를 백화점 문화센터 평생교육 영역에 한정하지 않고 평생학습도시, 주민자치센터, 도서관, 학교 등으로 확대하여 각 기관의 특성을 구명하고 정체성을 확립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둘째, 평생교육 프로그램 분류를 통해서 분기별 프로그램 동향을 파악하는 연구를 실시해야 할 것이다. 분기별 프로그램 동향을 파악하는 것은 미래의 프로그램 동향을 예측할 수 있게 하여 다변화되는 시대적 상황에서 기관만의 차별화 프로그램에 대한 예측은 물론이고, 국가적 차원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정책방향을 설정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셋째, 평생교육 프로그램 엘리먼트와 분류를 통해서 활용 가능한 다양한 영역의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평생교육 프로그램 엘리먼트와 분류를 통해 활용 가능한 평생교육 프로그램 통계조사, 상담정보제공과 요구조사, 프로그램개발을 위한 기대-유의가 지표로 활용, 평생교육사업의 프로그램 내용별 내용구성 등과 관련된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평생교육현장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넷째, 평생교육 프로그램 엘리먼트에 관한 체계성과 객관성을 구축해야 할 것이다. 객관적, 전문적 엘리먼트를 통해 평생교육 프로그램 특성을 파악하고 기관의 정체성, 국가적 차원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정책방향, 현대인의 라이프 스타일까지 파악 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