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평생교육강사의 직업정체성과 직업전문성의 관계

        진경선 대구한의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767

        본 연구는 평생교육강사의 직업정체성과 직업전문성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평생교육법 제2조 2항에 제시된 기관에서 활동하는 강사 25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생교육강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직업정체성은 성별, 연령에서 차이가 나타났으며, 자부심, 사명감, 지속의도, 직업평판, 헌신, 개인-직업부합, 일체감, 감정이입은 평생교육강사 활동에서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둘째, 평생교육강사의 직업전문성은 연령, 학력에서 차이가 나타났으며, 공공서비스에 대한 신념은 활동기간, 전문조직 활동은 자기계발 및 전문성 강화 관련 연수, 자기계발 및 전문성 강화 관련 교육방법, 평생교육강사 활동 준비기간, 소명의식은 평생교육강사 활동 준비기간에서 차이를 확인하였다. 셋째, 평생교육강사의 직업정체성과 직업전문성은 정(+)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평생교육강사의 직업정체성이 직업전문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평생교육강사의 직업전문성의 전문조직 활동에는 헌신이, 공공서비스에 대한 신념에는 감정이입, 자기 규제에 대한 신념에는 감정이입이, 소명의식에는 헌신, 감정이입이. 자율성에는 개인-직업부합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는 평생교육강사의 직업정체성은 직업전문성과 관련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This thesis discusses the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al identity and professionalism of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s. The summarized results of the survey conducted on 259 instructors working at institutions specified in Article 2, Paragraph 2 of the Lifelong Education Law are as follows. First, the occupational identity of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s differs in gender and age, and pride, mission, sustainability, job reputation, commitment, individual-job fit, unity, and empathy are significant in instructor activities. Second, the professionalism of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s differs in age and educational background. The belief in public services is identified in the period of activities. The professional organization activity differs in the self-development/professionalism-related training and instructor activity preparation, and calling is identified in the instructor activity preparation. Third, a positive correlation is obtained between occupational identity and professionalism of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 Finally, it is verified that occupational identity influences professionalism for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 There are significant effects of commitment on professional organization activity, empathy on belief in public services and self-regulation, commitment and empathy on calling, and individual-job fit on autonomy. The study represents that the occupational identity is relevant to the professionalism of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s.

      • 중년기 여성의 평생교육프로그램 참여와 인문학저 소양이 부부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민지혜 대구한의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767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how middle-age woman's joining in lifelong education programs and humanities literacy influence on matrimonial communication skills. To find out any significant relevance, a survey and in-dept analysis was done for the 258 middle-aged women who resided in Daegu, Gyeongsangbuk-do and Ulsan area. The outcomes of the research seem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ce in terms of age, monthly income, occupation, and residential area for the middle-aged women, However, some difference was found out in terms of joining term and joining frequency which are sub-factors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 School background showed difference in joining term and philosophical literacy which is a sub-variable of humanities literacy. Second, in terms of satisfaction degree, self-expression of matrimonial communication, relative acceptance, mutual understanding, religion, humanities literacy, philosophical literacy, historical literacy, and artistic literacy which are the sub-variables of joining in lifelong education programs showed positive (+) correlation. Program joining term has negative (-) correlation with literature literacy and artistic literacy which are the sub-variables of humanities literacy. Third, it was found that middle-aged women's joining in lifelong education programs and self-expression as sub-variables of matrimonial communication influence statistically on literature literacy, philosophical literacy, religion, and cultural literacy which are sub-variables of humanities literacy. Relative acceptance turned out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degree which is a sub-variable of joining in lifelong education programs, philosophical literacy which is a sub-variable of humanities literacy, religion and cultural literacy. Mutual understanding turned out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in satisfaction degree which is sub-variable of joining in lifelong education programs, philosophical literacy, religion and cultural literacy which are sub-variables of humanities literacy. The results of the above study can serve as foundation data for lifelong education programs to improve matrimonial communication skills of middle-aged women. 본 연구는 중년기 여성의 평생교육프로그램 참여와 인문학적 소양이 부부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구광역시, 경상북도, 울산광역시에 거주하는 중년기 여성 25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기 여성의 연령, 월 소득, 직업, 거주지역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결혼기간은 평생교육프로그램 참여 하위변수인 참여기간과 참여횟수에서 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력은 평생교육프로그램 참여 기간과 인문학적 소양 하위변수 철학소양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평생교육참여프로그램 참여 경험 하위변수인 만족도와 부부의사소통 자기표현, 상대수용, 상호이해와 인문학적 소양 하위변수인 종교 및 문학소양, 철학소양, 역사소양, 예술소양에서 정(+)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프로그램 참여 기간은 인문학적 소양 하위변수인 문학소양, 예술소양이 부(-)의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년기 여성의 평생교육프로그램 참여와 인문학적 소양이 부부의사소통능력 하위변수인 자기표현은 인문학적 소양 하위변수인 문학소양, 철학소양, 종교 및 문화소양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수용은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 하위변수인 만족도, 인문학적 소양 하위변수인 철학소양, 종교 및 문화소양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이해는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 하위변수인 만족도, 인문학적 소양 하위변수인 철학소양, 종교 및 문화소양, 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중년기 여성의 부부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한 평생교육프로그램의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

      • 직장인의 평생교육이 직업가치관과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윤동진 대구한의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767

        본 연구는 직장인의 평생교육 경험이 직업가치관과 직무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구, 경북지역에 근무하는 직장인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341(97.4%)부의 설문지가 회수되었고, 338(96.5%)부를 최종 유효 표본으로 분석에 이용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생교육에 관한 인지도를 살펴보면, 평생교육을 알고 있다는 응답이 남자는 64.0%였고 여자는 76.6%를 차지하였다.. 근무경력이 길수록, 월수입 150만원 미만, 300만원 이상인 집단에서 평생교육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높았다. 지난 1년 동안 평생교육 참여 경험을 살펴보면 월평균 급여가 적을수록 평생교육을 참여했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고, 연령이 높고, 월평균 급여가 많을수록 평생교육 참여 경험이 없다는 응답이 나왔다. 평생교육에 참여 할 수 있는 시간대는 주중 근무시간 이후가 많았고, 비용은 본인이나 가족이 부담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직장인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직업가치관의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안정성 추구, 생활의 균형 추구, 능력발휘 추구, 물질적 보상 추구 모두 중간 이상의 점수를 보였다. 또한 직장인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를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외재적 만족, 내재적 만족 모두 중간 이상의 점수를 보였다. 셋째, 직장인의 평생교육이 직업가치관과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평생교육에 대해 알고 있는 경우보다 모르는 경우, 평생교육이 필요 없다고 답한 경우보다 필요 하다고 답한 경우가 직업가치관이 높았다. 평생교육이 필요하다고 느끼는 정도가 높을수록, 평생교육에 대해 알고 있는지 높을수록, 평생교육 참여 횟수가 높을수록, 직업가치관은 높게 나타났다. 직무만족도의 경우에는 평생교육에 대해 알고 있는 경우보다 모르는 경우, 평생교육이 필요 없다고 답한 경우보다 필요하다고 답한 경우에 직무만족도가 높았다. 지난 1년 동안 평생교육에 참여 횟수가 많아지면 직무만족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생교육이 필요하다고 느끼는 정도가 높을수록, 평생교육에 대해 알고 있는지 높을수록, 평생교육 참여 횟수가 높을수록 직무만족도는 높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how employees' experience of lifelong education affected their work values and job satisfaction. A survey was conducted in 350 employees in Daegu and North Gyeongsang Province; of a total of 341 questionnaires (97.4%) returned, 338 copies (96.5%) formed a valid sample, which was finally analyzed. This study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64.0% of the men and 76.6% of the women were aware of lifelong education. The respondents who had longer career and who earned <1.5 million and ≥3 million won a month were more likely to indicate the need for lifelong education. For the past single year, the respondents whose average monthly pay was less were more likely to participate in lifelong education and those whose average monthly pay was more were less likely to participate in lifelong education. The majority of them could participate in lifelong education after work hours on weekdays and had themselves or their family bear the relevant expenses. Second, as for the sub-factors for work values by the employees' general characteristics, they scored higher than the average for pursuit of stability, pursuit of the balance in life, pursuit of ability display, and pursuit of material compensation. As for the sub-factors for job satisfaction by the employees' general characteristics, they scored higher than the average for both intrinsic and extrinsic satisfaction. Third, the effects of lifelong education on work values and job satisfaction of the employees were as follows: The respondents who were unaware of lifelong education and who pointed to the need for lifelong education had higher levels of work values. Those who felt a great need for lifelong education, who were more aware of lifelong education, and who participated more frequently in lifelong education had higher levels of work values. The respondents who were unaware of lifelong education and who pointed to the need for lifelong education had higher levels of job satisfaction. Those who participated more frequently in lifelong education for the past single year had higher levels of job satisfaction. Those who felt a great need for lifelong education, who were more aware of lifelong education, and who participated more frequently in lifelong education had higher levels of job satisfaction.

      • 평생교육교수자의 교수역량 강화를 위한 코칭모델 개발

        손성화 대구한의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5076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oaching model which can enhance teaching ability of lifelong educator.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verifies and analyzes several documentary records related with diverse teaching capabilities, operation reality and coaching method run by lifelong educator. Furthermore, an in-depth interview about teaching capability was undertaken for field experts who have worked at the institutions of lifelong education for more than 10 years. As a result, the study could develop a coaching model to identify teaching capability of lifelong educator by conducting matrix analysis. First, according to the documentary studies, the paradigm for lifelong education has been shifted to centralize learner’s demand with the advent of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it suggests coaching capability which could enhance educator’s capability should come first. A lifelong educator should have capabilities including identification of vision and goal, creation of mission declaration, development of coaching skill and procedure, management of crisis and coaching capability as an expert in the lifelong education field. These capabilities would not end within strengthening one’s capability but could be adopted to one’s teaching method as well, enhancing one’s teaching ability in the end. Proper teaching capability means ability to induce learners’ participation to create cooperative teaching atmosphere, going beyond valuing a learner's experience and delivering one’s knowledge. In other words, with the coaching abilities, the communication capability between educator and learner is another important element to enhance a quality of lifelong education. Second, a model which can centralize learners could be developed for lifelong teaching capability by adopting a teaching capability suggested by field experts, According to the experts, it is essential to develop a program model to acquire professional knowledge, communication capability, understanding of adult learner, personal relations capability. If there is a model which can develop such capabilities, it is able to strengthen lifelong teaching capability to focus on learner’s demand, mainly adult learners, a major consumer of the field. Third, a coaching model to enhance teaching capability for an educator is to acquire and implement sufficient step-by-step teaching capability which has been suggested from a procedure comprised of entrance, progress, critique and return. In case of entrance step, a lifelong educator should acquire professionalism at the field program, basic knowledge about lifelong education, concept of coaching, necessity of coaching, philosophy and ethics of coaching, understanding of adult learner and field environment. The progress involves implementation of coaching(communication), coaching capability(skill). The critique is a step to develop one’s lifelong education program after the progress ended. Based on the results analyzed by coaching procedure, the critique can be undertaken. This, present study suggests, after the critique, a lifelong educator oneself can newly develop and extend a teaching capability basis on pursuing teaching capability as a lifelong educator through the return process. 본 연구의 목적은 평생교육교수자의 교수역량 강화를 위한 코칭모델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평생교육교수자들이 진행하고 있는 다양한 교수방법에 대한 역량과 운영실태, 코칭과 관련한 문헌 자료를 조사 및 분석하였다. 그리고 평생교육 현장에서 10년 이상 근무한 현장전문가들을 대상으로 교수역량에 대해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매트릭스 분석을 통하여 평생교육교수자의 교수역량을 코칭모델을 개발하였다. 첫째, 문헌연구에 의하면 제4차산엽혁명시대가 요구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학습자 중심의 평생교육프로그램 운영을 요구하고 있으며, 교수자의 역량을 강화하는 방법으로 코징역량을 제시한다. 코칭역량으로 평생교육교수자는 평생교육 관련 직업인으로서 평생교육 성인학습자를 가르치는 자신의 일에 대한 가치와 목적과 목표달성 등을 위하여 비전설정, 목표세우기, 사명선언서 작성, 코칭기술, 코칭과정 진행, 장애물 관리, 코칭 교수법등의 역량을 제시한다. 이러한 역량은 평생교육교수자 자신의 역량강화에 그치지 않고, 자신이 가르치려고 하는 수업방식에도 적용함으로 교수역량에 도움이 된다. 학습자들의 경험을 중요시하고 교수자신의 지식만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의 참여를 유도하여 협력하는 수업을 진행할 수 있는 교수역량이라 할 수 있다. 교수자와 학습자와의 소통과 함께 코칭의 기술들은 학습자들의 참여로 평생교육의 질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 제시하였다. 둘째, 평생교육 현장전문가들이 요구하는 평생교육 교수역량을 모델에 적용함으로 평생교육 교수역량강화를 위한 모델을 학습자 중심으로 디자인할 수 있다. 평생교육 현장전문가들은 평생교육 전문지식을 습득, 소통역량, 성인학습자 이해, 대인관계 능력, 프로그램개발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하였다. 이러한 역량을 갖추게 할 수 있는 모델이 있다면 평생학습의 중심인 성인학습자를 위한 학습자 중심의 수업을 진행할 수 있는 평생교육 교수역량을 강화할 수 있다. 셋째, 평생교육교수자의 교수역량강화를 위한 코칭모델은 진입, 진행, 총평, 환류의 프로세스과정에서 제시하는 단계별 평생교육교수자 교수역량을 충분히 습득하고 실행하는 것이다. 진입 단계에서 요구되는 평생교육교수자 교수역량은 교수자가 현장에서 활동하는 프로그램의 전문성 확보, 평생교육교수자가 갖추어야 할 기본인 평생교육에 대한 지식, 코칭의 정의, 코칭의 필요성, 코칭의 철학과 윤리, 평생교육 성인학습자에 대한 이해, 평생교육 현장에서의 코칭 환경이다. 그리고 진행 단계에서의 역량은 코칭의 실시(소통), 코칭역량(기술)이다. 총평 단계는 진행 과정을 마무리한 후 자신의 평생교육프로그램을 새롭게 개발할 수 있는 개발의 단계이다. 그리고 코칭과정에 대한 분석한 결과를 가지고 총평을 실시한다. 총평 단계가 끝나면 환류를 통하여 평생교육교수자 자신이 평생교육교수자로 추구하는 코칭역량을 바탕으로 한 평생교육교수자의 교수역량을 새롭게 개발하고 발전시켜 나가는 것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코칭모델은 다양한 평생교육 프로그램 영역에서 평생교육교수자들의 비전과 목표와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길잡이 역할을 할 것이며, 평생교육교수자로 사명감과 우수한 평생교육 코칭 교수역량으로 평생교육의 질을 향상시키는 평생교육 교수역량을 갖춘 전문가로 거듭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것이다.

      • 직장인의 평생교육경험이 퇴직태도와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김설형 대구한의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50767

        본 연구는 직장인의 평생교육경험이 퇴직태도와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구광역시, 김천시, 경상북도에 소재한 기업체와 평생교육원 관련 기관 등에 근무하는 20대~60대 남녀 직장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분석을 하였다. 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평생교육제도 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성별은 여성, 연령은 50대, 근무처는 기타, 근무처는 현장직, 학력은 전문대 졸업, 근무경력은 5년 미만, 월급여는 300만원 이상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평생교육경험이 퇴직태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평생교육에 대한 필요성은 낮게 나타났다. 평생교육경험의 긍정적인 태도는 평생교육을 참여하는 목적은 공부, 참여기관은 도서관이 가장 높았으며 경제적인 부담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한편, 부정적인 태도는 비용부담이 고용보험 지원이 가장 높고, 학점 및 졸업장을 취득 목적이 가장 높았으며, 문화센터가 가장 높았으며 시간적 여유나 경제적 부담을 많이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장인의 평생교육경험이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사회적 준비에 가장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직장인의 퇴직과 노후준비를 위해 평생교육경험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life-long education experience for employee on retirement attitudes and preparation for old age. Survey and analysis were conducted on male and female office workers from the 20s to 60s who work at companies and institutions related to lifelong education centers in Daegu Metropolitan City, Gimcheon city and Gyeongsangbuk-do Provinc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knowledge of the lifelong education system, depending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Gender is female, age is in the 50s, work places are varied, work places are on field, academic background is a graduate of a junior college, work experience is less than five years, and office workers with a monthly salary of 3 million won or more accounted for the largest portion.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lifelong education experience on retirement attitudes, but the need for lifelong education was low. The positive attitude of lifelong education experience was that the purpose of participating in lifelong education was to study, and the library was the largest number of participating institutions and the economic burden was the lowest. On the other hand, the negative attitude was that the cost burden was the highest in support of employment insurance, the purpose of obtaining credits and diplomas was the highest, the cultural center was the highest, and it was needed much time to spare or economic burden. Thir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lifelong education experience for office workers on the preparation for old age, and it was found that it had the highest effects on social preparation. These study results suggest the need for lifelong education experience for office workers to retire and prepare for old age.

      • 저소득층의 평생교육 참여 실태와 요구 분석

        김현성 대구한의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50767

        본 연구는 국민기초생활 보장법에 따라 저소득층으로 분류된 지역민 218명을 대상으로 평생교육 참여 실태와 요구를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생교육의 참여 실태 중, 저소득층의 학습역량을 살펴보면, 외국어 사용 능력 95.3%, ICT 활용 역량 66.1%, 컴퓨터 활용 능력 75.7%로 사용 및 활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소득층의 평생교육 참여율은 75.7%로 최근 한국교육개발원(2015)에서 전국단위 조사로 통계한 참여율(40.6%)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를 수동적인 교육 참여로 보고 자발적 참여를 구별하여 분석한 결과, 실질적인 평생교육 참여율은 22.9%로 매우 저조하게 나타났다. 평생교육 참여여부에 따른 사회 참여 및 인식은 참여경험이 있는 응답자가 참여경험이 없는 응답자보다 전반적으로 43.3%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자발적인 참여자가 참여경험이 없는 응답자보다 73.3%나 높게 나타났다. 둘째, 저소득층의 평생교육에 대한 요구를 분석한 결과, 희망 교육프로그램이 있는지에 대해 응답자 중 74.8%가 없다고 응답하였다. 그리고 시간이 없어서 참여하지 못하는 경우가 50.0%로 가장 많았으며, 참여를 희망하는 프로그램에는 가정생활, 건강 및 의료강좌, 전문 자격 취득과정 등 실생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프로그램을 희망하였다. 이는 소득 수준이 평생교육 참여에 크게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본 연구 결과를 분석한 바, 현재 한국의 평생교육이 강조되고 그에 따른 참여율도 급증하고 있지만 저소득층의 평생교육 참여는 저조하게 나타나고 있다. This study analyzed status and demand of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for 218 residents of low-income class according to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Ac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statuses of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the abilities to study of the low-income class were reviewed. They showed 95.3% of foreign language ability, 66.1% of ICT utilization capacity and 75.7% of computer literacy ability. The participation rate of the low-income class in lifelong education is 75.7%, which is higher than the participation rate (40.6%) of the National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2015). It was considered as passive participation in education. Voluntary participation was identified and analyzed. The the actual participation rate in lifelong education was very low at 22.9%. Social participation and awareness according to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was 43.3% higher than that of respondents who had no participation experience. Especially, voluntary participants showed 73.3% higher than those who did not participate.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lifelong education of low income class, 74.8%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re is wished education program. And 50.0% of them could not participate because they did not have enough time. The programs that they wanted to participate in were the programs that could help their real lives such as home life, health and medical courses, professional qualification obtaining process, etc. This indicates that the income level plays a significant role in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bove, Korean lifelong education is emphasized and the participation rate is increasing rapidly. However, participation of low-income class in lifelong education seems low.

      • 결혼이주여성의 평생교육프로그램 참여가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만배 대구한의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50767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평생교육프로그램 참여가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광역시, 구미시, 김천시, 상주시에 거주하는 결혼이주여성 30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분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이주여성이 참여한 평생교육프로그램 유형은 한국어교육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출산 및 자녀양육 프로그램, 부부 및 가족상담교육, 컴퓨터교육, 창업 및 취업교육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결혼이주여성이 참여한 평생교육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는 높았으며, 희망하는 평생교육프로그램은 한국어교육이 가장 높았다. 또한, 결혼이주여성이 참여한 평생교육프로그램은 취업과 자녀양육에 있어서 가장 좋았다고 나타났다. 평생교육프로그램의 교육방법으로는 직접방문 교육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적절한 운영 횟수는 주 1회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결혼이주여성의 일반적 특성 중 출신국에 따른 평생교육 참여만족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았으나 연령과 학력 그리고 거주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결혼이주여성의 일반적 특성 중 출신국에 따른 직업만족도는 일본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에 따라서는 20대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학력에 따른 직업만족도는 대졸이상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거주지역은 상주지역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결혼이주여성의 평생교육프로그램 참여가 직업만족도에 유의미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는 평생교육프로그램이 결혼이주여성들의 직업만족도에 시사하는 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programs on job satisfaction of women migrated for marriage. To this end, 305 women migrated for marriage residing in Daegu Metropolitan City, Gumi, Gimcheon, and Sangju were surveyed and analyzed as follows: First, as for the types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s that the research subjects participated, Korean learning was the most participated, followed by childbirth and care, couple and family counselling, computer, and start-up and employment training. For satisfaction, Korean learning was the most desired lifelong education program. In addition,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s participated by the women migrated for marriage were the best for employment and childcare. When it comes to the education method, in-person visit revealed the highest result, and once a week was the most answered for the proper frequency of education. Second, as fo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subjects, their satisfaction according to home country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while age, highest education level, and residenc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Third, the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home country was highest in Japan, while those in their 20s were highest according to age. Additionally, above university degrees showed the highest job satisfaction as for the education level, and Sangju for their residence. Fourth, the research subjects’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programs showed a significant level for job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ound that lifelong education programs affect job satisfaction of women migrated for marriage.

      •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지역맞춤형 평생교육프로그램 개발 모형

        김현성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50767

        이 논문은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지역맞춤형 평생교육프로그램 모형 개발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먼저, 문헌 고찰을 통해 빅데이터 및 평생교육의 개념과 특성 그리고 빅데이터 기술 및 연구 활용 등의 이론을 분석하여 평생교육 빅데이터 활용을 위한 선결과제 및 기초 연구자료로 제공한다. 아울러 평생교육 데이터 수집 방법과 평생교육의 특성에 적합한 빅데이터 활용 방법을 제시하고 이를 활용한 지역맞춤형 평생교육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였다. 지역맞춤형 평생교육프로그램 모형 개발은 총 6단계로 진행되었다. 1단계로, 문제 발굴 및 문제 정의단계에서 현재의 평생교육프로그램 운영방식으로 시설의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를 제기하였다. 2단계로, 문제해결을 위한 개념적 대안 설계단계에서 주민의 욕구가 충분히 반영된 평생교육프로그램 개발 방법을 제시하였다. 3단계에서, 데이터 가용성 편성단계에서 ‘평생교육 6진분류 표’를 기반으로 Google Trends와 Naver DataLap에서 크롤링(crawling) 기법을 활용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4단계로, 문제해결을 위한 논리적 모델 설계단계에서 API수집과 시각화를 위한 적절한 프로그래밍 언어와 프로그램을 선정하고, 평생교육 특성에 맞는 논리적 모델을 설계하였다. 5단계로, 수집된 데이터의 연령, 성별, 학력, 등을 고려하여 지역별 특성을 반영되었는지를 적합성을 평가하였다. 마지막 6단계에서는 전체 절차에 대하여 프로토타이핑 빅데이터 분석 기회 프로세스를 적용하여 가능성을 확인한 후 과제 확정 및 분석 계획을 수립하도록 하였다. 빅데이터를 활용한 모형은 실시간으로 데이터가 제공되고, 활용 측면에 있어서도 선택적 분석이나 미래 예측 등 그 자유도가 매우 높아 평생교육에 빅데이터가 충분한 가치와 필요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thesis is purposed to develop a regional-customized lifelong education program model using big data analysi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big data and lifelong education are analyzed. In addition, this thesis presents how to collect the data for lifelong education and to use big data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lifelong education. Based on these results, a regional- customized lifelong education program model is developed. The regional customized lifelong education program model is developed by the following six steps. In Step 1, the problem of low utilization of the facilities is discussed in the current lifelong education program operations. For conceptual alternative design for problem solving, Step 2 discusses how to develop a lifelong education program that fully reflects the needs of the residents. In Step 3, the associated data is collected by using the crawling technique from Google Trends and Naver DataLap based on the 'Lifelong Education Hexadecimal Table'. In Step 4, the appropriate programming language for API collection and visualization is selected, and a logical model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lifelong education is designed. In Step 5, the suitability is evaluated to determine whether the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were reflected in terms of the age, gender, and educational background of the collected data. In Step 6, the applicability is confirmed by using the prototyping of the big data analysis opportunity process to the entire procedures, and then the task analysis plan is established. From the results, we see that the proposed model using big data can provide the real-time data, and thus give high utilization in the viewpoint of selective analysis and future prediction. This ensures that the big data analysis can be used effectively for the development of regional-customized lifelong education programs.

      • 대학부설 평생교육원 운영의 뉴패러다임 구축에 관한 연구

        정복임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50751

        본 연구는 대학부설 평생교육원의 운영실태를 분석하고 뉴패러다임을 구축하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크게 3가지 연구방법을 활용하였으며, 구체적으로 실태조사, 심층면담, 설문조사 방법이 활용되었다. 대학부설 평생교육원 운영의 뉴패러다임 구축에 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전 및 목표 설정에 있어 대내적으로 급변하는 시대 변화 속에서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구성원들의 참여를 통해 실현 가능한 발전 계획과 세부 전략과제 수립이 필요하다. 둘째, 운영 측면에서 대학부설 평생교육원은 전 연령대를 대상으로 평생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수업환경의 변화 측면에서 언제 어디서나 교육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인적·물적 인프라 측면에서 대학의 우수한 인적·물적 인프라를 활용 할 수 있도록 대학 차원에서 연계 방안과 제도적 지원이 요구 된다. 프로그램 개발 측면에서, 4차 산업혁명의 시대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개편되어야 한다. 또한 지자체의 무료 프로그램 제공으로 무료 프로그램과 차별화 될 수 있도록 대학마다 경쟁력 있는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차별화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셋째, 지자체 및 타 기관과의 연계 노력 측면에서 지역주민과 지역사회·산업체의 특화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지자체와 대학 간 연계 체제 강화가 필요하다. 예산 확보 측면에서 독립적 활동에 의한 재원의 확보보다 유관기관 간의 사업 연계성을 확보하여 운영의 효율성을 기하는 것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대학부설 평생교육원은 도시 및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모든 지역민을 대상으로 모두가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교육기회 확충에 기여해야 하며 다양한 학습기회를 제공 할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This study is meaningful in analyzing the operation status of the lifelong education center affiliated with the university and establishing a new paradigm. Three research methods were use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factual survey, in-depth interviews, and question form investigation were used. The research results on the construction of a new paradigm for the operation of a university-based lifelong education center are as follows. First, in achieving visions and goal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development plans and detailed strategic tasks that can be realized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members in order to achieve educational goals in the rapidly changing period of time. Second, in terms of operation, lifelong education program at universities should be provided to target all ages. In terms of changes in the class environment, various educational methods are required to provide education anytime and anywhere. In order to utilize the excellent manpower human resources of the university in terms of human and physical infrastructure, linkage plans and institutional support are required. In terms of program development, it should be reformed into a program suitable for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lso, to be differentiated from the provision of free programs by local governments, each universities need to develop competitive and differentiated programs. Third,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linkage system between local governments and universities in order to meet the specialized needs of local residents, communities, and industries in terms of linkage efforts with local governments and other institutions. In terms of budgeting, it is necessary to Rather than securing resources through independent activities, it is necessary to secure business linkages between related agencies for operational efficiency. Finally, lifelong education centers affiliated with universities should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all local residents living in urban and rural areas, and to provide diverse learning opportunities.

      • Design Thinking 기반 평생교육 교수체제설계 모형 구성 및 타당화

        윤규원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50735

        본 연구는 Design Thinking의 개념적 요인을 기반으로 평생교육 교수체제설계 모형을 구성하고 델파이 연구를 통하여 모형의 구성 및 사용성에 대한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함이다. ADDIE 모형과 같은 전통적인 교수체제설계 모형에 의한 프로그램 개발 과정은 분석적이고 개발자 주도적이며 개발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형성적 평가가 부족하였다. 이러한 프로그램 개발은 학습자의 경험을 이해하고 학습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학습효과를 높여나가야 하는 평생교육프로그램이 추구하는 방향과 차이가 있다. 이에 Design Thinking의 개념적 요인인 ‘공감’, ‘협업’, ‘반복’을 기반으로 평생교육 교수체제설계 모형인 DT ISD 모형을 개발하였다. DT ISD 모형은 4단계의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1단계는 공감적 학습목표를 설정하기 위한 ‘이해’ 단계이다. 이 단계의 절차는 학습자 이해, 학습자문제 이해, 학습목표 설정, 평가 설계, 진단평가로 진행한다. 결과물은 학습자의 진단평가 결과와 구체화된 학습목표이다. 2단계는 협업적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개발’ 단계이다. 이 단계의 절차는 교수학습 프로토타입 설계, 교수학습 프로토타입 개발로 진행한다. 결과물은 프로그램 프로토타입이다. 3단계는 반복적인 프로그램 개선을 위한 ‘실행’ 단계이다. 이 단계의 절차는 프로그램 실행, 형성평가, 프로그램 개선으로 진행한다. 결과물은 개선된 프로그램이다. 4단계는 ‘평가’ 단계로서 총괄평가 결과물인 학습효과와 목표달성여부를 확인하고 추후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의사결정 정보를 수집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한 DT ISD 모형에 대한 내적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3차의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1차 델파이 조사에서는 개방형 질문을 통해 DT ISD 모형의 구성과 사용성에 대한 패널의 피드백을 수집하고 패널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1차 수정모형을 구성하였다. 2차 델파이 조사에서는 1차 수정모형에 대한 동의 여부와 모형 개선에 대한 추가적인 피드백을 요청하였다. 패널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2차 수정모형을 구성하였다. 3차 델파이 조사에서는 2차 수정모형의 구성과 사용성에 대한 패널의 동의 여부를 구하였으며, 모든 패널이 DT ISD 2차 수정모형의 구성 및 사용성에 대한 내적 타당도에 동의하였다. 결론적으로, Design Thinking의 개념적 요인을 바탕으로 구성한 교수체제설계 모형인 DT ISD 모형은 평생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모형으로서 내적 타당도가 인정되었다. 본 연구는 평생교육프로그램 개발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는 특화된 교수체제설계 모형을 구성하고 타당화한 연구로서 의의가 있다. 향후 본 연구를 참고하여 평생교육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융합적 연구가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an lifelong education instructiona l systems design model that incorporate the knowledge of design thinking and conduct the internal validation procedure of the model components and the model use through delphi research. Program development using traditional instructional systems design models like ADDIE are analytical, program developer-driven, and lack of formative evaluation on the program. However the instructional systems design for lifelong education should be learner-focused while understanding the learners’ experiences and interacting with learners in order to enhance the learning effect. Hence the DT ISD(Design Thinking Instructional Systems Design) model incorporating the concepts of ‘Empathy’, ‘Collaboration’, and ‘Iteration’ that were borrowed from the theory of design thinking was developed. The DT IST model is composed of 4 phases in program development. The first is ‘Understanding’ phase to set up empathic learning goals. The procedure of this phase proceeds in the order of understanding learners, understanding learners’ problems, learning goal setup, evaluation plan, and diagnostic as sessment. The second is ‘Development’ phase to work in collaboration with learners for designing and developing the lifelong educational program. The sub-components of this phase is the design and the development of the prototype of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The third is ‘Implementation’ phase to improve the educational program iteratively. This phase encompasses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the formative assessment of the program, and the improvement of the program in oder. The fourth is ‘Evaluation’ phase to ssess the earning effect through the summative evaluation and collect the information for decision making to improve the program in the future. After constructing the 4-phases DT ISD model, a three-rounds Delphi study was conducted for internal validation of the model by experts in the field of instructional technology and lifelong education. In round one, open-ended questions were presented to the panel and the feedback about the components and the use of the model was collected. Then the feedback was reflected in model revision. In round two, the consent for the change based on the feedback provided from round one was asked and additional feedback was requ ested whether the additional modification is necessary. Then the model was revised again upon the feedback from the panel members. In round three, the final revised model was sent to the panel and they all reached unanimous agreement on the internal validation of overall components and use of the DT ISD model. In conclusion, the DT ISD model, which incorporates the concept of design thinking into ISD, turned out that it is valid internally in terms of the model components and the model use to develop lifelong educational program. This study was an attempt to propose the paradigm shift in developing lifelong educational program based on Instructional Systems Design. Therefore further studies on developmental research are recommen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