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태권도학과 대학생들의 진로의식 조사

        송민 경원대학교 경영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35423

        본 연구의 목적은 태권도학과 대학생들의 졸업 후 진로의식을 조사 분석함으로써 진로에 실질적 도움이 될 수 있는 교육과정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현재 전국의 태권도학과 개설대학 중 6개 대학의 2, 3, 4학년 재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최종적으로 회수된 사용된 설문지는 482부였다. 설문문항은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관한항목 8개 문항, 태권도학과 교육과정에 관한항목 5개 문항, 졸업 후 진로에 관한항목 6개 문항으로 총 19개 문항으로 구성 조사된 자료는 통계기법으로 빈도분석을 실시하여 교차분석을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절차를 거쳐 도출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남자가 79.7%로 나타났고, 여자 20.3%로 나타났다. 학년은 2학년이 41.9%, 3학년 40.5%, 4학년 17.6%로 나타났다. 태권도수련을 시작한 때는 초등1∼3학년이 37.8%로 가장 많았으며, 태권도 경력은 12∼15년이 41.3%로 가장 많았고, 보유한 단은 4단이 66.4%로 가장 많았고, 태권도 특기를 보면 겨루기가 34.4%, 시범 23.2%, 품새 23.0%, 기타 10.6%, 격파 8.7%의 순으로 나타났다. 대학생활 중 아르바이트 분야는 태권도장이 35.1%로 가장 많았고, 기타분야 30.5%, 아르바이트 경험이 없는 경우 20.3%, 스포츠시설 8.7%, 관련(경호 등)분야 5.4%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태권도학과 교육과정에 대한 의식으로 태권도학과를 선택한 동기는 개인적성에 적합하다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태권도학과 선택 만족도는 조금 만족한다가 비율이 높게 나타났는데 남자보다 여자는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태권도학과 교육과정의 만족도는 학과선택 만족도에 비해 조금 낮게 나타났으며, 학년이 올라 갈수록 조금 불만족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교육과정 중 태권도와 연계하여 가장 관심 있는 분야는 도장경영이 높게 나타났다. 태권도학과 교육과정이 진로에 도움 정도는 조금 도움이 된다가 가장 높았는데, 조금 안된다의 경우는 4학년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졸업 후 진로에 대한 의식으로 진로방향 선택은 태권도장경영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스포츠관련업, 체육교사, 일반직, 팀 감독 순으로 나타났다, 안정된 직업의 인식은 체육교사 가장 높고, 태권도장경영, 스포츠관련업, 일반직, 팀 감독 순으로 나타났다. 진로 결정에 영향을 준 사람은 스스로가 비율이 가장 높고 스승, 부모, 선배, 친구 순으로 나타났다. 직업선택의 중요요인은 안정된 장래가 가장 높았고, 적성, 경제력, 보람 및 사회봉사 순으로 나타났다. 진로준비 시 장애요인은 외국어실력 부족, 진로정보 부족, 전공실력 부족, 학점 저조, 기타, 외모 순으로 나타났다. 졸업 후 진로 지역 선택은 전체적으로 해외, 서울, 상관없음, 경기, 지방 순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조사결과 태권도학과 학생들은 졸업 후 진로의 방향선택을 태권도장경영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를 준비하는데 필요한 학문분야의 교과목을 확대하는 교육과정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으며, 학과 만족도를 높이려는 시도와 함께 학생들이 경쟁력 있는 태권도장 경영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at providing basic data needed for establishing curriculum which can help the students of the Taekwondo department to design their careers through surveying and analysing their career awareness after graduation. For this purpose, it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juniors, sophomores, and seniors of 6 universities among the universities which have the Taekwondo department at the present time throughout the nation, and the returned questionnaires were 482 sheets. The questions of the survey consisted of 19 questions in total; 8 questions about demographic characteristics, 5 questions about curriculum of the Taekwondo department, and 6 questions about careers after graduation, and on the survey results, a frequency analysis was made using a statistical technique and then a cross-tabulation was processed. The analysis results derived from the above process are as the following. First, as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 subjects, it showed that the male subjects were 79.7% and the female subjects were 20.3%. As their academic years, it was found that the juniors were 41.9%, and the sophomores were 40.5%, and the seniors were 17.6%. As the time when they started to learn Taekwondo, elementary 1st∼3rd grade was most as 37.8%, and as the Taekwondo career, 12∼15 years were most as 41.3%, and as acquired Dan(grade), 4th Dan was most as 66.4%. About the featured Taekwondo techniques, it was found that Kyorugi was 34.4%, Sibeom was 23.2%, Poomsae was 23.0%, others 10.6%, and Kyukpa was 8.7%. As fields of their part-time jobs during being in university(college), Taekwondo halls were most as 35.1%, and other fields(30.5%), no experience of part-time job(20.3%), sport facilities(8.7%), the Taekwondo related field(bodyguard etc.)(5.4%) were followed. Second, for the perception about the curriculum of Taekwondo department, as the motive for selecting the Taekwondo department, the answer that it was proper for the aptitude of each of them showed high rate. As satisfaction about selection of the Taekwondo department, the rate of the answer with little satisfaction showed high, the female showed less satisfaction than the male, and the satisfaction about the curriculum of the Taekwondo department showed lower than the satisfaction about its selection, and the upper their academic years were, the more their little unsatisfaction rate showed. As their most interested field related to Taekwondo among the curriculum, Taekwondo hall management showed high. As the degree of helpfulness of the Taekwondo curriculum for their careers, the answer that it was a little helpful was most, while the answer that it was a little unhelpful was highest in the seniors. Third, the awareness about careers after graduation, as the career direction, Taekwondo hall management was highest, and sports related businesses,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nd Taekwondo team managers were followed. As persons influenced on their career decisions, themselves were highest, the teachers, parents, senior persons, and friends were followed. As main factors for selecting a job, stable future was highest, and the aptitude, economic power, rewarded feeling through the job, and welfare services were followed. As obstacles in preparing the career, lack of foreign language skills, lack of information about the career, lack of ability in the major, the low grade, others, and appearance were followed. As preferred regions for the career after graduation, overall, foreign countries, Seoul, to do not care, Gyeonggi-do area, and local areas were selected in ordered of high preference. In general, as the result of surveying, it was found that the students of the department of Taekwondo preferred Taekwondo hall management as their after graduation careers, so subjects related to the scientific fields needed for Taekwondo hall management are needed to be included in the existing curriculum, in addition, with the efforts for enhancing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students about the department, one should provide the students substantial support unsparingly in order that they may grow into competent Taekwondo hall managers.

      • 공연예술로서 태권도의 활용방안

        김용재 용인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35391

        21세기는 첨단 과학 산업, 환경 산업과 더불어 관광 산업이 세계 3대 산업으로서의 최고의 서비스업으로 각광받게 될 것이라는 전망과 함께 전 세계는 특히 굴뚝 없는 공장으로 불리 우는 관광 산업 육성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추세이다. 관광산업은 운송, 숙박, 음식, 기념품, 위락시설등 기타 산업과의 연관성이 깊고 다른 산업과 경제에 미치는 영향력과 부가가치가 매우 높기 때문에 각종 경제에 파급효과를 극대화 시키는 것도 관광 산업 육성에 심혈을 기울여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지금까지 관광 산업의 육성 방안으로 국가의 전통 문화의 상품화와 스포츠와 레저산업의 발전이 제시되었다. 이 전통 문화의 상품화와 스포츠 레저산업의 촉진 이 두 가지는 관광 산업 발전에 있어 서로 분리된 전략으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한국의 태권도는 전통 문화적 요소와 스포츠 산업적 요소 모두를 잠재적으로 지니고 있어 관광 산업 발전에 새롭게 종합된 전략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 논문은 관광에 대한 새롭고 변화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우리나라의 전통무예인 태권도가 공연예술과 접목되어 문화의 한 코드로서 그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 관점에서 이 논문은 태권도를 공연예술로서 활용한 사례들을 검토한다. 전통적으로 태권도는 ‘시범'이란 형식을 통해 대중들과 소통해왔다. 태권도 시범은 뮤지컬이나 연극과 같은 기존의 무대공연 장르들과 교류하면서 스토리를 가진 공연형식의 시범으로 진화해왔다. 태권도가 이미 전 세계 192개국 7천만 이상의 문화 소비 인구를 갖추고 있다는 점에서, 현재의태권도를 소재로 한 스토리 형식의 시범 공연은 문화 상품적 가치를 충분히 갖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본고는 우리나라의 태권도 산업의 현황과 태권도 시범이 공연산업에 접목된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발전 방향을 모색한다. 이와 함께 공연예술로서 태권도가 접목된 사례 및 실패 사례들을 비교, 분석, 검토하고, 그 결과를 통해 도출된 실패요인과 제시된 문제점들에 대한 해결 방안과 태권도가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 시장 개척을 위한 방향 또한 제시한다. In the twentieth century, many countries of the World give themselves up to foster tourism industry with a vision that tourism industry is regarded as best service area with advanced science and environmental industry. Since tourism industry is closely related with other industries such as transportation, food, souvenir industries and recreational facilities and has the power of influence in matters economy and other industries, as well as the high added value, we need to encourage investment about tourism industry. So far, a method to foster tourism industry was often focused on commercialization of traditional culture and development of sports and leisure industry. And, commercialization of traditional culture and development of sports industry have been regarded distinct strategies each other. However, Taekwondo of the Korea has potentially both elements of traditional culture and sports industrial elements, it is seem to be able to present the synthesis strategies. This paper argues that Taekwondo is able to play a role as a code of the culture by connecting with performance arts. In this perspective, this paper will examine cases which made use of Taekwondo as performance art. Traditionally, through ‘Demonstration’, Taekwondo has been communicated with the public. Taekwondo demonstration has been evolved into performance-style’s demonstrations that have a storyline by communicating with the genre of performance arts such as musicals or play. If we consider that Taekwondo already has more than seventy million people as cultural consume population in 192 countries of the World, we can say that performance demonstration using Taekwondo has sufficient cultural commercial values. This paper will not only seek to the present condition of Taekwondo industry, but also a direction of development Taekwondo industry through analyzing cases made use of Taekwondo as performance art. At the same time, this paper will also offer the method of pathfinding domestic and overseas market as well as of solution about the problems that was presented by analyzing and comparing above cases and failure cases.

      • 태권도장의 경영 실태조사

        조성철 용인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35391

        본 연구는 태권도장의 경영 실태를 규명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기 남부지역 소재의 대한태권도협회에 등록된 태권도장 지도자들을 대상으로 목적적 표집 방법으로 총 209명을 설문 대상자로 선정하여 태권도장 경영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설문지를 빈도분석, x2-검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의 모든 통계치의 유의수준은 p<.05로 설정하였으며, 이상의 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비우량․우량 태권도장 지도자의 도장 경영인식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우량․우량 태권도장 지도자 자신의 지도력, 학력, 외모, 시설, 다양한 프로그램, 학부모 성향 파악, 주변 환경, 기본자질 및 인성함양, 정보수집, 시설확충을 위한 투자, 외부활동, 전화상담, 세미나 참석, 수준별 프로그램 구성, 다양한 수련프로그램, 시청각 교육, 야외활동, 주말체육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우량․우량 태권도장 지도자의 수련프로그램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우량․우량 태권도장 지도자의 초․중등생 기술 중점, 기술 외 중요사항, 학교체육 실시 이유, 체력 향상 프로그램 실시 이유, 학교체육의 중점 종목, 레크레이션의 역할, 승급심사 빈도, 통신문 발행 빈도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비우량․우량 태권도장 지도자의 수련시간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우량․우량 태권도장 지도자의 준비운동과 정리운동 시간, 본운동 실시시간, 생활교육 실시시간, 레크레이션 실시시간, 학교체육 실시시간, 호신술 및 타종목 교육시간, 발표력 교육시간, 기본동작 및 품새 교육시간, 발차기 및 겨루기 교육시간, 태권도장 지도자의 휴식시간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비우량․우량 태권도장 지도자의 도장홍보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우량․우량 태권도장 지도자의 홍보방법, 홍보비용, 홍보매체의 수단, 홍보방법 결정 요인, 광고지 효과, 광고지 돌리는 주기, 홍보문제, 홍보 개선점, 이벤트를 통한 홍보, 신규입관 시 주는 선물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s the management state of Taekwondo gymnasium. In order to achieve this study, we selected total 209 persons through objective sampling method, targeting for coaches of Taekwondo gym registered in Korean Taekwondo Association located in Gyeonggi southern area and carried out survey on their management state. We analyzed collected questionnaire by carrying out frequency analysis, x2 verification. Significance level of all statistics of data analysis was set to p<.05 and the results out of this kind of method and procedures are as follows: Firstly, it shows that the difference between gym management recognitions of a superior coach and non-superior coach existed. The difference proved to exist in leadership, educational background, appearance, facility, various program, understanding of parents' propensity, circumstance, basic quality &enhancement of human nature, collection of information, investment for enlarging facility, external activity, phone consulting, seminar attendance, composition of program by level, various discipline programs, audio-visual education, outdoor activity and weekend physical exercise. Secondly, it proves that the disciplines program of superior and non-superior coaches have difference. The significance levels between superior and non-superior coaches are in technique centered teaching toward elementary &middle school students, important matters other than technique, reason of physical exercise in a school, reason of performance body strength enhancement program, important items of school physical exercise, role of recreation, frequency of promotion exam and frequency of issuing of written messages. Thirdly, it shows the discipline time of superior and non-superior coaches is different. The significance levels between superior and non-superior coaches are in warming-up exercise, summing-up exercise, main exercise, practical education, recreation, school physical exercise, self-defense art and other education, presentation skill, basic action &main form, kicking &competition and resting time. Fourthly, the promotion of superior and non-superior coaches is different. The significance levels between superior and non-superior coaches exist in promotion method, promotion cost, means of promotion media, determining factor of promotion method, effect of leaflet, cycle of issuing leaflet, promotion problem, problem improvement, promotion through events and presents provided to beginners.

      • 태권도 지도자의 인식에 대한 질적 연구

        나준호 용인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35359

        본 연구의 목적은 태권도의 동문도장과 일반도장의 지도자들이 가지고 있는 태권도 지도자 자질에 대한 인식,태권도장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태권도장 광고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 그 차이를 규명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참여자와의 심층면접 방법을 통해 현상의 본질을 파악하였고, 이에. 질적 연구방법을 토대로 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동문도장과 일반도장 지도자들은 지도자의 일차적 자질․이차적 자질․자질개발의 필요성에 있어서는 인식의 차이가 없었지만, 태권도 지도자의 문제점에 대한 인식에서 차이를 보였다. 태권도 지도자들은 ‘지도자의 태도 및 특성’을 일차적인 자질로 인식하였고, ‘지도자의 이차적 자질’ 형성의 시기는 지도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부터라고 인식하고 있다. 그리고 ‘태권도 지도자의 문제점’에 대한 인식에서 동문도장 지도자는 교육자적인 측면에서 태권도 지도자의 ‘자질 개발 노력의 부족’을 인식하였고, 일반도장 지도자는 경영자적 측면에서 ‘상업적인 태권도장 경영 태도로 인한 교육적 가치의 하락’을 인식하였다는 점에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동문도장과 일반도장 지도자들은 ‘태권도장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는 차이가 없었다. 지도자들은 전통적인 태권도 프로그램 수련 외에 보조적인 프로그램도 필수적으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지도자들의 핵심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의 범위는 확대되었다고 하였다. 또한 태권도 지도자들은 전체 태권도장의 프로그램 차별화를 부정하고, 동문도장과 일반도장의 프로그램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없다고 인식하고 있다. 셋째, 동문도장 지도자와 일반도장 지도자들은 ‘태권도장 광고’의 광고수단에 대해서 공통적인 문제의식을 갖고 있으나, ‘동문 명칭’을 비롯한 도장명칭에 있어서는 인식의 차이를 나타냈다. 동문도장과 일반도장 지도자들은 태권도장 광고수단으로써의 ‘광고매체의 효과’가 반감되거나 역행하고 있다고 여기며, 최상의 광고수단이 ‘구전 광고’라고 인식하였다. 그리고 태권도장 광고의 문제점에 있어서도 ‘선물 마케팅’을 공통적으로 언급하였다. 또한 ‘동문도장 명칭’에 대해서 동문도장 지도자들은 ‘동문 명칭’이 지도자의 학력을 나타내는 광고수단으로써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식하였으나, 일반도장 지도자들은 ‘동문 명칭’의 사용가치가 학력인플레에 따라 격감했기에, 지도자의 교육철학과 특성이 드러나는 일반명칭이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였다. 그러나 규정된 체계가 존재하지 않은 상태에서 무분별하게 동문도장 명칭이 사용된다는 것을 ‘동문명칭 사용의 문제점으로 동문도장과 일반도장 지도자들은 공통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aekwondo master’s quality, the programs of Taekwondo Dojang, and the advertisements of Taekwondo Dojang, which are perceived by Taekwondo master of alumni Taekwondo Dojang and general Taekwondo Dojang,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kinds of Taekwondo Dojang. This study grasped the intrinsic nature of the phenomena through in-depth interview with the participants. The results derived from this study based on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and data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primary quality, the secondary quality and the develop quality of the master between the master of alumni Dojang and those of general Dojang, bu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erceived problems of Taekwondo master between the master of these two types of Dojang. Taekwondo master perceived ‘the attitude and character of the master’ as the primary quality and they perceived that the period in which ‘the secondary quality of the master’ is formed starts from the time of performing the role of the master. With regard to ‘the problems of Taekwondo master’, there were differences in that the master of alumni Dojang perceived ‘the shortage of making efforts to develop the quality’ from the view point of educators on the part of Taekwondo master, and the master of general Dojang perceived ‘the decline of educational value due to management attitudes of commercial Taekwondo Dojang’ from the viewpoint of business management. Second,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programs of Taekwondo Dojang’ between the master of alumni Dojang and those of general Dojang. Since the master perceived that not only training under traditional Taekwondo programs but also under auxiliary programs is essential, it can be viewed that the master’ range of perceiving core programs was being expanded. Also, Taekwondo master denied the differentiation of the programs of the entire Taekwondo Dojang and perceived tha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formulating programs between alumni Dojang and general Dojang. Third, the master of both alumni Dojang and general Dojang were found to have common problem consciousness with regard to the means of ‘Taekwondo Dojang advertisements’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perceiving the name of Dojang like ‘the name of alumni’ between the master of these two types of Dojang. The master of both alumni Dojang and general Dojang perceived that ‘the effects of the means of advertisements of Taekwondo Dojang were cut in half or reversed, and that the highest means of advertisements were the ‘advertisement by word of mouth. They mentioned by common consent that ‘gift marketing’ is the problems of Taekwondo Dojang advertisements. With regard to ‘the name of alumni Dojang’, alumni Dojang master perceived that ‘the name of alumni’ was effective as the means of advertisements representing the master’ academic background, but general Dojang master perceived that since the effects of ‘the name of alumni’ was sharply reduced due to inflated academic backgrounds, the general names of Dojang that represent the master’s educational philosophy and characteristics are more helpful in enhancing the image of Taekwondo Dojang. However, the master of both alumni Dojang and general Dojang perceived by common consent that, under the circumstances where there are no defined systems, the names of alumni Dojang are indiscreetly being used.

      • 태권도 수련의 교육적 효과와 만족도와의 관계 연구

        전재진 경원대학교 경영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35359

        본 연구는 태권도 수련이 아동에게 미치는 교육적 효과와 태권도 수련에 대한 아동 본인과 부모가 느끼는 만족도간의 관계를 밝혀 태권도 수련 아동에게 좀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태권도 관장에게는 도장 경영에 필요한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2006년 5월과 6월에 걸쳐 안동 4개 태권도 도장에 다니는 139명 아동과 그 부모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행하였다. 교육적 효과를 나타내는 설문 문항은 지적인 효과 5 문항, 정서적인 효과가 7 문항 그리고 마지막으로 사회성 효과 16 문항으로 총 28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만족도는 아동과 부모 각각에 대해 측정되었다. 수거된 설문지는 분산분석과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중요한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태권 수련의 지적인 효과는 수련기간과 품, 급별로, 정서적인 효과는 학년별, 품, 급별로 사회성 효과는 성별, 품, 급 별로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둘째, 품, 급별이 올라갈수록 태권 수련의 지적 효과, 정서적 효과 그리고 사회성 효과 역시 커지는 경향이 있은 반면 사회성 효과에 있어 여자 수련생보다 남자 수련 아동은 효과가 컸다. 셋째, 수련 만족도에 있어서 아동이나 부모 모두 태권도 수련 지적 효과 그리고 사회성 효과에 정(+)의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정서적 효과와는 유의적인 관계를 발견할 수 없었다. 아동의 만족도가 부모의 만족도 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왔으나 태권도 수련의 교육적 효과와 만족도간의 관계에서는 아동과 부모간의 만족도 경향에는 거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왔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ducational effects of Taekwon-Do on children and its satisfaction which is supposed to give a better service to Taekwon-Do participant children and their parents and fundamental information for Taekwon-Do gymnastics management to Taekwon-Do masters. For the research, a survey is performed for 139 children and parents participating Taekwon-Do training program through 4 Taekwon-Do gymnastics in Andong. The educational effects is largely classified to three categories such as intellectual, emotional and social behavior effects. A questionnaire of 28 educational effects items is devised which is consist of 3 categories; intellectual (5 items), emotional (7 items) and social behavior (16 items) and two items for satisfaction measurement of children and their parents are provided. Empirical results we find during the research are as follows. 1. There ar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ducation effects by personal information of children: A training interval and a degree have impacts on intellectual effect and a school grade and a degree on emotion effects and finally a degree on social behavior effects. 2. The educational effects are higher as children achieves a higher degree. 3. There i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educational effects of Taekwon-Do training on children and its satisfaction for children and their parents respectively. But its relationship pattern between children and parents have no significant differ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