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자동창고의 출고시간 단축을 위한 입고 위치 결정 방법

        전진희 금오공과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79

        자동창고 시스템(ASRS, Automatic Storage and Retrieval System)은 공정 중이거나 생산된 제품 등의 저장기능과 입·출고 처리량 증가 및 공간 활용을 최대화하는 장점으로 많은 기업에 도입 운영되고 있다. 이는 수동창고와 비교하여 재고관리, 인건비 절감 등 창고관리 전반적인 부분에서 매우 큰 효과를 주고 있다. 하지만 화물이나 제품이 입고 시점에 효율적이지 못한 배치·저장으로 인하여 출고 시점에 시간이 과다하게 걸리는 문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편이다. 이는 입고·출고가 자동으로 나오는 현상에만 만족하는 것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 된다. 많은 자동창고의 제품이 랜덤하게 배치·저장되기에 입고 후 출고 시점에서의 소요시간을 더 단축할 필요가 있다. 창고의 규모가 크면 클수록 단축의 필요성이 더 절실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에서는 입·출고 빈도를 고려하고, 공간을 구분하여 배치·저장시키는 방안을 제안하여 그 효율성을 증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서 자동창고가 도입된 기업에서 출고데이터를 분석하여 출고하는데 드는 소요시간을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시간 단축 방법을 구현 및 테스트하여 AS-IS와 TO-BE의 산출 시간을 비교·분석하였다. 시간 단축 방법은 2가지의 방법을 제시했으며 각각 구현 테스트하여 결과를 분석·정리하였다. 결과적으로 출하 빈도수가 가장 높은 제품의 경우 출고 한 건당 최대 55초까지 단축하는 결과를 보였으며, 빈도수가 낮은 경우는 4∼23초가 더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전체 출고량으로 볼 때 빈도수가 높은 제품의 입·출고 비중이 크기 때문에 빈도수가 낮은 경우의 소요시간이 전체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안한 모형인 TO-BE에서 출고량에 대한 극대화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Automated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ASRS) is being introduced and operated by many companies due to its advantages such as storage functions for products in process or produced, increase in incoming and outgoing throughput, and maximizing space utilization. Compared to manual warehouses, it is very effective in overall warehouse management including inventory management and labor cost reduction. However, despite the fact that it takes an excessive amount of time for shipment due to inefficient arrangement and storage of goods or products at the time of warehousing, studies on these issues are very insufficient. This is thought to be due to the fact that companies are satisfied only with the automatic process of warehousing and shipping in their automated warehouses. Since products are randomly placed and stored in many automated warehouses, it is necessary to further shorten the time required for shipment after warehousing. The larger the warehouse, the more urgent the need for shortening may be. In this context,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of arranging and storing products by dividing the space by considering the frequency of warehousing and shipment, and tries to prove its effectiveness. As a research method, shipment data from the company operating an automatic warehouse were analyzed to make a database of the time required for shipping, and time-reducing methods were implemented and test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calculated time of AS-IS and TO-BE. Two methods were presented as time-reducing methods, and each was implemented and tested, and then its results were analyzed and summarized. As a result, in the case of the product with the highest frequency of shipment, the shipping time was reduced by up to 55 seconds, and in the case with the lowest frequency, it took 4 to 23 seconds longer. Taken together, it is expected that the impact of low-frequency products on the overall shipping time is limited because the proportion of high-frequency products is large in the total shipment volume.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TO-BE, the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will have the effect of maximizing the shipping volume.

      • 펀보드를 활용한 코딩 교육이 초등학생 컴퓨팅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명희 금오공과대학교 산업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n the computing thinking ability of the 4th to 6th grade students who are taking after-school coding programming classes in elementary school by applying the funboard, a tool of physical computing. It is a board type among physical computing tools, but it can be used without electronic knowledge, and it utilizes a funboard that has the advantage of a modular type equipped with various input devices and output devices. It is also compatible with block-type languages, which allows for different levels of instruction using dedicated block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principles of funboard operation in entry and to improve the computing thinking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en coding education using various input devices and output devices is performed. In this study, students who were taking after school classes at an elementary school in Gumi were educated using a funboard and an entry once a week for eight weeks. A total of 30 students were asked to take a pre- and post-measurement test on a single group, and then use a sample t-test using IBM SPSS. Indicated. Among the sub-concepts of computing thinking ability, the analysis ability, design ability, and reasoning abilit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However, the average implementation ability increased,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the entry education program applied class using the funboard based on physical computing is effective for improving the analysis ability, design ability, and reasoning ability From the comprehensiv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coding programming education based on the physical computing using the funboard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computing thinking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refore, in-depth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for coding programming and physical computing teaching tools are required to improve computing thinking ability.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서 방과후 코딩 프로그래밍 수업을 수강하는 4∼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피지컬 컴퓨팅 도구인 펀보드를 활용하여 수업에 적용하였을 때 컴퓨팅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피지컬 컴퓨팅 도구 중 보드형에 속하지만 전자 지식이 없어도 사용 가능하며, 여러 가지 입력장치와 출력장치가 장착되어 있는 모듈형의 장점도 가진 펀보드를 활용한다. 블록형 언어와도 호환되어 전용 블록을 사용하여 다양한 수준의 수업이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다. 엔트리에서 펀보드의 동작 원리를 학습하고 각종 입력장치, 출력 장치를 활용하여 코딩 교육을 하였을 때 초등학생의 컴퓨팅 사고력 향상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구미 모 초등학교 방과후 수업을 수강하는 4∼6학년을 대상으로 8주간 주 1회, 8차시로 펀보드와 엔트리를 활용한 수업을 진행하였다. 전체 30명이며, 단일 집단을 대상으로 컴퓨팅 사고력 검사를 사전, 사후 측정하여 IBM SPSS를 사용하여 대응 표본 t-검정을 한 결과, 펀보드를 활용한 코딩 교육을 적용한 학생들의 컴퓨팅 사고력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컴퓨팅 사고력의 하위 개념 중 분석 능력, 설계 능력, 추론 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구현 능력은 평균은 증가 하였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를 통해 피지컬 컴퓨팅을 기반으로 한 펀보드 활용한 엔트리 교육 프로그램 적용 수업은 분석 능력, 설계 능력, 추론 능력 향상에 효과적이라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종합적인 결과를 볼 때, 펀보드를 활용한 피지컬 컴퓨팅 기반의 코딩 프로그래밍 교육이 초등학생의 컴퓨팅 사고력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컴퓨팅 사고력 향상을 위하여 코딩 프로그래밍과 피지컬 컴퓨팅 교구에 대한 교수·학습 과정의 개발과 심도 있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요구된다.

      • 엔트리를 활용한 수업이 초등학생의 논리적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김준애 금오공과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방과 후 컴퓨터 수업을 수강하는 4~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SW 교육도구인 ENTRY를 적용하여 순차, 반복의 언플러그드 활동을 통해 알고리즘을 학습하는 수업을 통해 논리적 사고력이 변화가 있는가를 조사하였다. 또한 ENTRY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상대적인 흥미도를 조사하여 SW 교육의 현장 적용 가능성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GALT 검사지를 통하여 논리적 사고력을 측정하여 IBM SPSS 25를 사용하여 동일집단을 대상으로 대응표본 t-검정을 한 결과, ENTRY 수업이 학생들의 논리적 사고력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고 논리적 사고력의 형성정도가 향상되었다고 나타났다. SW 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견해는 리커트 척도를 활용하여 ENTRY 수업 후에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학생들의 SW 교육에 대한 반응은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따라서 초등 방과 후 컴퓨터 수업에서 SW 교육을 더욱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 품사 기반의 신문 기자 식별 및 기사 분야 분류 연구

        조규덕 금오공과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63

        뉴스 기사는 인간이 살아가는 데 필요한 다양한 지식과 정보를 제공한다. 현대사회에 이르러 IT기술의 발달로 스마트폰과 같은 기기만 있으면 어디서나 새로운 기사를 접할 수 있게 됐다. 기사는 쓰는 사람에 따라 큰 차이점을 보인다. 기자가 단어와 문장을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좋은 기사가 될 수 있고, 반대로 나쁜 기사가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형태소 분석을 통해 뉴스 기사의 특징을 분석하고자 수행됐다. 대구·경북지역 종합일간지 영남일보의 기사 데이터를 기자별 및 분야별로 수집한 뒤 연구를 진행했다. 파이썬에서 제공하는 KoNLPy를 활용해 뉴스 기사를 형태소 단위로 분류한 뒤 '특징기반 유사도 분석'과 '딥러닝 분석'을 통해 임의의 글이 누가 쓴 것인지, 어떤 분야의 글인지 알아보는 분석을 수행했다. 연구 결과, 작성자 또는 분야에 따라 글의 구성과 사용하는 표현에 있어서 여러 가지 차이점이 발견됐다. 특히 사람이 직접 수행하는 특징기반 유사도 분석보다 딥러닝을 이용한 분석의 기사 적중률이 훨씬 높았다. 이번 연구를 바탕으로 사람들이 선호하거나 선호하지 않는 기사 스타일이나 기사의 분야를 자동으로 파악하는 데 도움 될 것으로 판단된다. News articles provide a variety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that humans need to live. In modern society, the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has made it possible to access new articles anywhere with devices such as smartphones. Articles show great differences depending on who writes them. Depending on how a reporter uses words and sentences, it can be a good article, and vice vers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news articles through morpheme analysis. After collecting the article data from the Yeongnam Ilbo, a daily newspaper in Daegu and North Gyeongsang Province, by reporter and field, the research was conducted. Using KoNLPy, which is provided by Python, news articles were classified into morphemes, and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who wrote them and what fields they were in through "characteristic-based similarity analysis" conducted by humans and "deep learning analysis" conducted by computers. Studies have shown that there are many differences in the composition and use of writing depending on the author or field. In particular, the article hit rate of the analysis using deep learning was much higher than the characteristic-based similarity analysis performed directly by humans. Based on the study, it is believed that it could help people automatically identify the type of article or the field of articles that they prefer or do not prefer.

      • 오픈소스를 이용한 대학 정보보안 향상 방안

        정민우 금오공과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university is highly dependent on IT technology throughout its information service and work, and has large-scale data such as academic and research data. Cyber threats such as hacking, intrusion attempts, malware infections, web hacking, denial of service attacks, exploitation of university resources as waypoints and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have also increased rapidly, posing a serious threat to university academic and administrative affairs. In order to cope with the growing cyber threat, the university makes a lot of budget and effort for establishing information security policies, purchasing information security equipment and information security activities such as introducing ISMS-P(Personal Information &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System) and conducting annual information protection level diagnosis. In spite of the university's efforts, it is impossible to block malicious attacks if the security equipment fails to perform its function due to obstacles or other problems. In addition, serious violations caused by vulnerabilities not found during regular security checks can lead to major accidents such as leakage of personal information by university members, posing a serious threat to university information assets. This paper is designed to allow university information security officers to directly access university information assets regardless of the blocking policy of security equipment such as firewalls by placing simulated attacks and vulnerability check systems inside the server network or the campus network using open sources. Through this, they can directly checks the presence of vulnerabilities in critical IT resources such as servers, applications, and network equipment in the university and terminals used by members if security equipment fails to perform its functions. In addition, when a vulnerability is discovered, the attack code for the corresponding vulnerability can be executed to determine whether hacking is possible, and the vulnerability can be analyzed and supplemented. Also, the information security officer can perform vulnerability checks directly to enable detailed checks of information assets that may be omitted from regular vulnerability checks, thereby preventing information security accidents such as hacking and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that may occur in the future. 대학은 정보화 운영과 업무 전반에 IT 기술의 의존도가 매우 높고, 학적 데이터나 연구자료 등 대규모의 자료를 보유하고 있다. 이런 정보자산들에 대한 해킹, 침입 시도, 악성코드 감염, 웹 해킹, 서비스 거부 공격, 대학의 자원들을 경유지로 악용 그리고 개인정보 유출 등 사이버 위협도 급속하게 증가하여 대학의 학사·행정 업무에 중대한 위협 요소로 대두되고 있다. 대학은 증가하고 있는 사이버 위협에 대응하기 위하여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 인증(ISMS-P)” 도입 및 매년 정보보호 수준진단을 수행하는 등 정보보안 정책 수립 및 정보보안 장비를 구축하고 정기적으로 보안 취약점 점검을 수행하는 등 정보보안 활동에 많은 예산과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런 대학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보안장비가 장애나 기타 문제로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여 악의적인 공격을 차단하지 못하거나 정기적인 보안 취약점 점검 시 발견되지 않은 취약점으로 인하여 심각한 침해사고 발생 시 학생들의 개인정보 유출 등 대형 사고로 발전될 수 있어 대학의 정보자산에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대학의 정보보안담당자가 오픈소스를 이용하여 모의 공격 및 취약점 점검 시스템을 서버 망이나 학내 망 내부에 배치하여 방화벽과 같은 보안장비의 차단 정책과 관계없이 직접 대학의 정보자산에 접근할 수 있도록 구축하여 보안장비가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대학 내 보안장비, 서버나 애플리케이션, 네트워크 장비 등 중요 IT 자원 및 구성원들이 사용하는 단말기들의 취약점 존재 여부를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취약점 발견 시 해당하는 취약점에 대한 공격코드를 실행하여 직접 해킹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 취약점에 대해 분석 및 보완 조치를 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정보보안담당자가 직접 취약점 점검을 수행함으로 정기적인 취약점 점검에서 누락 될 수 있는 정보자산에 대한 세부적인 점검이 가능하도록 하여 앞으로 발생 될 해킹 및 개인정보 유출 등 정보보안 사고를 사전에 예방하여 대학의 정보보호 업무 수준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하였다.

      • 비전 인식을 통한 3D 프린팅 제품의 실시간 검사 기술

        송순호 금오공과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47

        3D 프린터 산업은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손쉽게 제품을 만들 수 있는 보편적인 기술로서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특히 3D 프린터의 성능이 향상되지만, 가격이 저렴하여 대중화되어 가고 있다. 그러나 프린팅 과정에서 오랜 시간이 소요되어 사람이 직접 관찰하여 오류 검사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3D 프린팅 과정에서 제조되는 제품의 오류 발생 여부를 비전 인식 기술을 통하여 실시간 검사함으로써 3D 프린터 제품의 성능을 향상하기 위한 기술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비전 인식 기술의 적용을 위하여 3D 프린터 시스템의 구조를 설계하였고, 비전 인식 및 오류 검사 알고리즘을 설계하여 적용하였다. 특히, 실제 프린팅을 하는 과정에 다양한 빛의 반사로 인하여 내장된 카메라가 인식 오류가 발생하였으나 LED 조명을 적용하여 영상을 안정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향상하였다. 3D프린팅 화면과 모델 예상 출력물을 비교하여 제안한 기술의 성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실시간 획득된 영상과 참조 영상을 비교하여 오류를 검출할 수 있는 기능을 개발하여 실험을 수행하였고, 3D 프린팅 제품의 비전 기반 실시간 검사 성능을 시험한 결과 비정상 출력물을 100% 인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3D printer industry is rapidly developing and becoming popular. The 3D printers can easily create products at home or in the office. Especially, it becomes popular because it is cheaper but improves performance. However, since the printing process takes a long time, it is not easy to check the error by human observation. In this thesis, the real-time inspection technique of 3D printing products through vision recognition is propose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3D printer products by detecting errors in products during the 3D printing process. To apply vision recognition technology, the structure of 3D printer system is designed. Then, the vision recognition and error checking algorithm is applied. Especially, the built-in camera causes recognition errors due to various light reflections during actual printing. Therefore, it is improved to stably recognize the image by applying LED illumination.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technique is analyzed by comparing the 3D printing screen with the predicted model output. For this purpose, a function that can detect errors by comparing real-time acquired images with reference images is developed. Experiments confirm that the real-time inspection of 3D printing products through vision recognition can detect 100% printing errors.

      •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인지발달 수준을 고려한 효율적인 스크래치 교육

        장은주 금오공과대학교 산업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47

        디지털 시대에 어울리는 창의력 사고, 일명 컴퓨팅적 사고 (Computational thinking)를 기르기 위한 노력이 여기저기서 일어나고 있다. 기존의 사용해 온 많은 프로그래밍 언어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목적으로 만들어졌다. 그래서 문법을 이해하고 코딩하는 것이 어려워 초등학생과 중학생은 물론 처음 프로그램을 배우는 사람들조차 중도에 포기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알고리즘 원리를 놀이와 게임 등으로 자연스럽게 이해할 수 있게 돕는 블록기반의 프로그래밍 언어가 도입 되었다. 코딩을 주로 하는 C++, C#, 비쥬얼 베이직 등과 달리 블록을 끌어당겨 탑을 쌓는 것처럼 프로그래밍을 하기 때문에 프로그래밍을 처음 해보는 입문자들에게 권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그래픽 환경을 통해 컴퓨터 프로그래밍에 관한 경험을 쌓게 할 목적으로 시행 단계에 도입하는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 인 스크래치(Scratch)2.0 프로그래밍의 교육 방안에 대해 제안 하려고 한다. 초등학교 6학년의 인지발달 수준은 Piaget의 인지발달 이론에서 구체적 조작기와 형식적 조작기 사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인지발달 수준을 고려하여 수학교과 내용과 관련지어 스크래치 프로그래밍을 초등학생들에게 보다 효과적으로 실시하기 위해 교육을 설계하고 주제 및 교육내용, 교육 지도안을 제시 하였다.

      • 블록체인 기반 도서 공유 시스템

        손용찬 금오공과대학교 산업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47

        As industrial technology advances, books are being published on precise and compact electronic devices. In addition, books of various genres, such as major books and classic books, are still being read a lot by niversity students and general users. In addition, users use online and used books as a way of trading books. However, in the case of the existing book trading system, the choice is narrow with a limited quantity, and copyright damage in publications and small online crimes such as books are increasing every year. To solve this problem, this paper proposes a blockchain system using personally owned books. Expand the value and scope of use of books through P2P sharing, and realize P2P transactions for books owned by individuals through distributed encryption technology of the blockchain. As a result, it will be possible to reduce cases of copyright damage such as illegal copying of books that are affected by the creation of value and market economy with privately owned books. In addition, transparent transactions are possible without the involvement of commission agencies, thereby preventing increased participation and financial damage to individuals. And through safe book trading and sharing, we expect a sharing economy by reducing Internet fraud and copyright damage of publications. 산업화 기술의 발전으로 정밀화, 소형화된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도서들이 활용되고 있다. 그리고 전공서적 및 고전도서 등 여러 장르의 도서는 대학가 및 일반 사용자들에게 여전히 많이 읽히고 있다. 또한 사용자들은 도서 거래의 방법으로 온라인 거래 및 중고 도서를 이용한다. 그러나 기존 도서 거래 시스템의 경우, 한정된 수량으로 선택의 폭이 좁고, 출판물 저작권 피해 발생과 매년 도서와 같은 소액 온라인 범죄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개인 소유의 도서를 활용한 블록체인 시스템을 제안한다. P2P공유를 통하여 도서의 가치, 활용 범위를 확대하며, 블록체인의 분산 암호화 기술을 통해 개인이 소유한 도서를 P2P 거래를 실현한다. 그 결과, 개인 소유의 도서로 가치 창출과 시장경제의 영향을 받는 도서의 불법복제와 같은 저작권 피해 사례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수수료 대행 기관(third party)의 개입 없이 투명한 거래가 가능하여 참여도 상승과 개인의 금전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안전한 도서 거래 및 공유를 통해 인터넷 소액사기와 출판물 저작권 피해를 줄여 공유경제를 기대한다.

      • IEEE 802.11e 무선 랜에서 멀티미디어 트래픽의 지연한도를 고려한 큐 재배치 기법

        김영웅 금오공과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47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멀티미디어 트래픽은 중요한 유형 중 하나이다. 멀티미디어 트래픽의 경우 지연과 손실에 매우 민감하기 때문에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전송하기 쉽지 않다. 멀티미디어 트래픽이 전송오류 없이 수신단말에 도착하여도 지연한도를 초과할 경우 패킷은 폐기된다.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하는 FIFO(First In First Out) 큐의 경우 지연한도에 관계없이 데이터 패킷을 순차적으로 전송한다. 따라서 서로 다른 위치에서 멀티미디어 트래픽을 전송할 경우 전송지연이 작은 트래픽은 지연한도가 많이 남아 있어 좋은 성능을 낼 수 있지만 전송지연이 큰 트래픽의 경우 전송지연으로 인해 지연한도가 작게 남게 되어 성능저하가 발생한다. 이렇게 전송지연시간을 고려하지 않을 경우 상대적으로 전송지연이 작은 트래픽과 전송지연이 큰 트래픽 간에 공평성 문제가 발생한다. 공평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전송지연한도를 고려한 큐 재배치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은 큐에 있는 패킷들의 잔여 지연한도를 고려하여 큐에 대기 중인 데이터 패킷들의 전송순서를 조절 하는 기법이다. 시뮬레이션 결과 제안하는 방법이 더 효과적이며, 공평성 문제를 완화하는 것을 보여 주었다. In a wireless LAN, multimedia traffic is one of important traffic types. However, it is not easy to transmit multimedia traffic in a wireless LAN because it requires strict assurance for delay and loss. Although a multimedia packet is sent to a receiver without an error, it is discarded, if it does not satisfy its own delay bound. In a wireless LAN, a packet is transmitted with a FIFO(First In First Out) queue, i.e., a packet is transmitted in sequence regardless of delay bound of each packet. Therefore, traffic with long delay bound has good performance, though traffic with short delay bound shows poor performance. Accordingly, fairness problem between traffic with different delay bounds occur. To overcome the problem, we propose a delay bound based relocation scheme. The proposed scheme, relocation of data packets in the queue by considering the delay bounds of all the data packets in the queu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scheme is investigated by simulation. Our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scheme is more effective and alleviates the fairness problem.

      • 스마트공장 구축을 위한 자동차 부품 조립 검사기 설계 및 구현

        김근홍 금오공과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31

        공정자동화를 통한 생산원가 절감을 이루기 위해서는 공정관리가 필요하다. 공정관리에 사용되는 데이터 중 불량관리 및 개선방안 수립에 필요한 데이터를 얻는 방법으로 비전검사기가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중소규모의 현장에는 수요만 있을 뿐 실제 적용에까지 이르지는 못하고 있다. 이에 비교적 단순한 구성으로 현장에서 쉽게 도입할 수 있는 비전검사기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머신비전 기술은 검사 전 이미지 취득 및 보정의 단계와 결함유무 검사를 하는 단계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 단계인 이미지 취득 및 보정 단계에서 CPU기반 병렬처리인 OpenMP를 적용하여 헤드라이트의 얼라인먼트 보정을 하였고, 보정 이미지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 우 장축을 찾아 차종 판별을 하였다. 제안방법의 세부성능을 분석하기 위해 Gray 영상을 이용한 방법 및 라인 검출을 이용한 방법과의 모델구분 성능 및 처리속도를 비교하였고, 분석결과 본 논문에서 제시한 방법이 제조공정 관점에서 좋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두 번째 단계인 결함유무 검사 단계에서는 검사영역의 ROI와 표준 이미지와의 유사도를 이용하여 결함유무를 판단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유사도의 경우 템플릿매칭의 유사도 판별방법인 TM_SQDIFF, TM_CCORR, TM_SQDIFF_NORMED 및 TM_CCORR_NORMED를 사용하였다. 세부성능 비교결과, TM_SQDIFF를 제외한 나머지 방법 모두에서 불량분류 기준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었다. 특히, TM_CCORR_NORMED와 TM_CCORR의 경우 실험에 사용한 헤드라이트 각 모델의 MAX값과 MIN값의 차이가 크기 때문에 불량 분류기준 설정에 더 유리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동일 판별방법 내에서도 ROI 영역의 지정 범위에 따라 판별성능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불량판별 대상 부품 전체를 ROI 영역으로 지정하는 것보다 부품 간 동일 영역을 제외한 부분만 ROI 영역으로 지정하는 것이 불량분류 설정의 기준이 더 명확하였고 처리속도 역시 더 빠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