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시컨벤션센터의 ESG경영이 기업이미지, 기업신뢰,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MICE주최자의 관점으로

        양주윤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50815

        ESG경영은 환경(Environment), 사회적 책임(Social Responsibility), 그리고 지배구조(Governance)로 기업 경영의 핵심 요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기업은 경제적 성과와 같은 재무적 결과뿐만 아니라 친환경 경영, 사회적 책임, 윤리경영 등의 비재무적 성과를 핵심 경영전략으로 채택하고 있다. 이러한 비재무적 성과는 기업 가치를 향상시키고 투자의사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MICE(MICE: Meetings, Incentives, Conventions, Exhibitions) 분야 또한 ESG경영을 생존의 문제로 인식하고 있다. 특히 지역 전시컨벤션산업의 랜드마크이자 국제회의, 전시, 이벤트 등의 다양한 행사가 개최되는 전시컨벤션센터는 지속가능전략을 포함한 ESG경영 활동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전시컨벤션센터의 ESG경영이 중요한 이유는 MICE 행사가 열리기 위한 장소적 인프라와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막대한 에너지가 소비되고 폐기물과 탄소배출이 많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MICE행사에는 수천명에서 수만명 이상의 참가자가 방문하고 머무르기 때문에 항공을 포함한 교통 이용으로 발생하는 탄소배출, 전시부스와 홍보물 제작으로 인한 플라스틱과 산업폐기물, 음식물 소비를 통해 발생하는 쓰레기 등 다양한 형태로 환경을 오염시킬 수 있는 요인들이 발생한다. 환경에 대한 영향과 함께 전시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다양한 주제의 행사들은 개최 지역의 산업, 경제, 관광, 문화 등 여러 방면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끼친다. 이로 인해 전시컨벤션센터의 사회적 책임이 지속적으로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전시컨벤션센터의 환경적(E) 및 사회적(S) 영향에 대한 이해관계자들의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환경과 사회적 책임 경영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루기 위해 투명하고 윤리적인 지배구조(G)의 구축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2020년 전후부터 현재까지 MICE 분야에서도 ESG와 관련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다른 분야에 비해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전시컨벤션센터의 ESG경영 활동이 기업이미지, 신뢰, 충성도 간의 구조적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다룬 연구는 매우 드문 상황이다. 특히 전시컨벤션센터의 가장 큰 이해관계자로서 MICE행사를 직접 주최하거나 주관하는 기관 및 기업의 임직원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국내외 전시컨벤션 분야에서 추진되고 있는 ESG경영 활동을 심도 있게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전시컨벤션 분야의 ESG경영 활동 부문별 지표를 도출하였다. 이와 더불어, 해당 지표를 통해 전시컨벤션센터의 ESG경영 활동에 대한 MICE주최자의 지각 수준을 분석하고, MICE주최자의 전시컨벤션센터 ESG경영 활동에 관한 인식이 기업이미지, 기업신뢰, 충성도 등 다양한 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통합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신호이론(signaling theory)에 근거하여, 정보의 비대칭적 상황에서 기업이 고객에게 다양한 신호를 제공할 때 나타나는 다양한 효과를 면밀히 고찰하였다(Connelly et al., 2011; Spence, 1973). 이를 통해 전시컨벤션센터의 ESG경영 활동이 주요 고객인 MICE주최자의 인식 제고에 있어 신호 효과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아울러, 본 연구는 MICE행사를 중소형과 대형으로 구분하고, MICE주최자를 공공영역과 민간영역으로 나누어 이들 간의 구조적 영향 관계에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전시컨벤션센터의 ESG 경영 활동이 MICE 주최자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 이에 따른 기업 이미지, 신뢰, 충성도에 대한 종합적인 통찰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먼저 ESG경영과 기업이미지, 기업신뢰, 충성도 측정항목을 도출하기 위해 문헌연구, 전문가 회의 등을 통해 기초 설문지를 구성하고 MICE주최자 119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진행하여 본조사용 설문지를 도출하였다. 이후 국내 18개 전시컨벤션센터에서 설문조사일로부터 1년 이내에 전시회, 컨벤션, 문화이벤트 등의 행사 개최경험이 있는 MICE주최자 임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 조사는 2024년 4월 22일부터 5월 3일까지 온라인을 통해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352부의 유효 표본을 도출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SPSS 26.0과 AMOS 26.0 프로그램이 활용되었다.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적 특징을 살펴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시행하였고, 요인도출과 설문항목 고도화, 신뢰성 확보 등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이후 확인적 요인분석으로 측정모델의 모형적합성평가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MICE주최자들이 인식하는 전시컨벤션센터의 ESG경영 활동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주요 요소로 구성되었다. 환경 요인은 환경 정책 및 홍보, 에너지 관리, 폐기물 감축으로 구분되었고, 사회 요인은 안전과 지역사회 기여, 지배구조는 윤리경영과 이해관계자 협력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요인들을 바탕으로 상관관계 분석,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매개효과 분석, 다중집단 분석을 순차적으로 실시하여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도출한 연구결과를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첫째, MICE주최자들이 지각하는 전시컨벤션센터의 ESG경영 활동 중 환경정책 및 홍보, 안전, 윤리경영, 이해관계자 협력은 기업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규명되었다. 둘째, MICE주최자들이 지각하는 전시컨벤션센터의 ESG경영 활동 중 환경정책 및 홍보, 지역사회 기여, 윤리경영, 이해관계자 협력은 기업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MICE주최자들이 지각하는 기업이미지와 기업신뢰는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기업이미지와 기업신뢰의 매개효과 분석에 있어 ESG경영 활동 중 환경정책 및 홍보, 안전, 윤리경영, 이해관계자 협력은 기업이미지를 통해 충성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고, ESG경영 활동 중 환경정책, 지역사회 기여, 윤리경영, 이해관계자 협력은 기업신뢰를 통해 충성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MICE행사 규모와 MICE주최자 유형의 다중집단분석에서 행사 규모와 주최자 유형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규명되었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 중, ESG경영 활동에 대한 인식과 관련된 영향 관계가 부분적으로 채택되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러나 ESG경영의 종합적인 체계에서 고찰했을 때, 환경, 사회, 지배구조라는 ESG경영 활동의 대분류 모두가 기업이미지와 기업신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업이미지와 기업신뢰를 매개로 하여 충성도에 유의미한 간접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ESG경영은 기업의 충성도를 높이는 데 중요한 선행 요인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만, MICE주최자가 전시컨벤션센터의 ESG경영 활동과 성과에 대하여 객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정보가 부족한 상황이며 MICE주최자별 ESG경영에 대한 인식 수준이 상이하고 주관적 인식이 수반된 상황에서 기업이미지, 기업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은 다소 한계가 있었다. 이에 따라 전시컨벤션센터의 ESG경영 활동에 대한 MICE주최자의 인식에 따른 질적 및 양적 연구가 추가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ESG경영 활동에 대한 전시컨벤션센터의 공개데이터와 표준화된 정보가 제공되어 MICE주최자가 이러한 내용을 충분히 인지한 상황에서 설문조사를 진행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를 통해 전시컨벤션센터는 MICE주최자가 ESG경영 활동에 대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돕고, 이를 바탕으로 기업이미지와 신뢰도 향상에 실질적인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ESG 경영이 기업 경영의 중심 화두로 부상함에 따라, 전시컨벤션센터의 다양한 이해관계자들도 ESG경영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강하게 인식하고 있다. ESG경영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지는 전시컨벤션센터에 대해 MICE주최자들은 더욱 긍정적이고 호감 가는 이미지, 친근한 이미지, 전문적인 이미지를 형성하게 된다. 이는 해당 센터와 지속적으로 거래를 하거나, 타인에게 거래를 추천하는 충성도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전시컨벤션센터는 보다 강력한 ESG 추진 리더십을 바탕으로, ESG경영에 대한 체계적인 전략 수립과 이행, 지속적인 모니터링, 데이터 수집 및 성과 분석을 추진해야 한다. 또한, 이와 같은 ESG경영 추진 실적을 홈페이지, SNS, 언론 보도 등을 통해 이해관계자에게 적극적으로 홍보함으로써, 그들의 인식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접근은 ESG경영이 단순히 기업의 책임을 다하는 것이 아니라, 전시컨벤션센터의 경쟁력을 높이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루기 위한 중요한 요소임을 이해관계자들에게 인식시키는데 기여할 것이다. 이를 통해 전시컨벤션센터는 ESG경영의 긍정적인 효과를 극대화하고, MICE주최자들과의 신뢰를 강화하며, 장기적인 충성도를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주제어 : 전시컨벤션센터, ESG경영, 기업이미지, 기업신뢰, 충성도, 신호이론, MICE주최자

      • 중국 전시 컨벤션 산업 현상

        손옥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767

        Convention and Exhibition industry is now accessing the period of combination and reorganization after experiencing the fast growth of the past 20 years. This article provides a pivotal assessment to the biggest exhibition market in Asia. By colligating various existing Chinese, English and Korean literature, including printed and on-line media documents, individual account and talks, it analyzes the present problems and potential prospects. Besides, inspects the influence of the market combination, exhibition operation, convention center management and the development of destination. China is still treated as a pivotal emerging international market. Therefore, it is a useful reference for the other emerging market concluded from the development of exhibition which should arouse the interests of scholars and practitioners.

      • 남북한 전시컨벤션 교류협력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 근거이론 적용

        박창원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50767

        The breakdown of the 2019 U.S.-North Korea summit following the Inter-Korean Summit in 2018 and the demolition of the Inter-Korean liaison office building in 2020 clearly show the complex and diverse aspects of peace surrounding the Korean Peninsula.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re are calls for a new approach to inter-Korean relations with exchange and cooperation and a paradigm shift. Therefore, this study is about the process of preparing for the integr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in the coming years and approaches with a new perspective of using exhibitions and conventions as a means of advancing now-deadlocked inter-Korean exchanges and cooperation. Specifically, the role and potential of the exhibitions and conventions were reviewed as an axis of industrial cooperation and subject to exchange and cooperation, leading to peace between the two Koreas. To this end, the current status of exchange and cooperation regarding inter-Korean exhibitions and conventions was grasped, and strategies and processes were comprehensively presented. In terms of the possibility of exchange and cooperation, exhibitions and conventions are part of the tourism industry, which is a high value-added service industry and has a great economic ripple effect, and both Koreas have the necessity and practical benefits of exchange and cooperation. Theoretically, the exhibitions and conventions are a socioeconomic area that is very likely to lead to exchange and cooperate because there is not a great possibility of political and military confrontation. From the standpoint of North Korea, isolated by sanctions due to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exhibitions and conventions are window for exchange and cooperation with the world, also new industry that can satisfy North Korea's needs for a means of acquiring foreign currency and introducing advanced technology from abroad. It is an area where not only human exchanges but also industrial and economic exchanges between the two Koreas can be achieved, and many conditions for exchange and cooperation have already been established. Therefore, research on exchange and cooperation with exhibitions and conventions is also a very necessary field at the present time of forming new inter-Korean relations. Exhibitions and conventions have proved their effectiveness as an important medium of exchange and cooperation that enabled continuous contact between East and West Germany even in the process of reunification. As a theoretical basis for understanding these phenomena of exchange and cooperation, the unique nature of the exhibitions and conventions and examples of exchange and cooperation at the Leipzig Fair during the division of East and West Germany were identified. In addition, in order to derive the phenomena and processes of exchange and cooperation, the final results were drawn through expert interviews centered on the grounded theory research methodology and various secondary data analysis. The contents of the research that were attempted to be derived from such data collection began with the identification of obstacles and prerequisites for exchange and cooperation for inter-Korean exhibitions and conventions. Afterwards, the current situation of inter-Korean exchange and cooperation regarding exhibitions and conventions and the actors and their roles to be pursued in the future were examined. As a result, the expected effects of exchange and cooperation efforts by these actors were comprehensively reviewed. In other words, I looked at the phenomena for exchange and cooperation between the North and South Korea regarding exhibitions & conventions and derived the process of the final exchange and cooperation. The paradigm model was formed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ncepts and categories and the process of change as a result of coding the data. The causal condition of the paradigm model is 「Inter-Korean Relations Deadlock and New Paradigm Demand」, the resulting central phenomenon is 「the Potential of Exchange and Cooperation and Increase of Expected Role of Exhibitions and Conventions」 and the contextual condition surrounding the central phenomenon is 「Initiating Opportunities for Inter-Korean Mutual Growth」, the intervening condition is 「the Inter-Korean Exhibitions and Conventions Dynamics Between Stakeholders」, the action and interaction strategy that can be said to be the roles of the stakeholders is 「Formation of Cooperative Governance of Inter-Korean Exhibitions and Conventions」, and the final consequence is 「Inter-Korean Exhibitions and Conventions Mutual Growth and Settlement of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inter-Korean exchange and cooperation in exhibition and convention is the most effective means to enable human and material exchanges in the nature of meetings, and are events that can be implemented in a short period of time. Thus, the co-organizing of the exhibitions and conventions brings positive results that deepen interdependence and understanding by increasing natural contacts and transactions among the people of the two Koreas. In addition, through the process of coordinating and pushing forward various matters, exchange and cooperation in exhibitions and conventions can adjust and alleviate the conflicts that exist between the two Koreas. As with the exchange and cooperation between East and West Germany in exhibitions and conventions, the functions of conflict adjustment and mitigation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restoring mutual trust between the two Koreas and spreading them to exchange and cooperation in other fields. As a result, exchange and cooperation can be made easier and earlier than in other areas due to the nature of exhibitions and conventions. And synergy can be created in various forms, including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exhibition-convention centers and joint entry into overseas markets. Therefore, exhibitions and conventions are the starting point for inter-Korean exchange and cooperation, and serve as a catalyst for accelerating economic cooperation and innovative growth by promoting transactions and exchanges between companies. In addition, it is the driving force for the North Korean economic growth, which strengthens its self-sustaining power and ultimately contributes to coexistence and settlement of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Key Words Inter-Korean Exchange and Cooperation, Exhibitions and Conventions, Exchange and Cooperation Process, North Korea Exhibitions and Conventions, MICE Industry, Grounded Theory 2018년 남북정상회담에 이은 2019년 북미 정상회담 결렬, 2020년 남북연락사무소 폭파의 일련의 과정은 한반도를 둘러싼 평화에 대한 복잡 다양한 양상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이러한 상황에서 남북 관계는 교류협력에 대한 새로운 접근과 패러다임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앞으로 다가올 한반도의 통합을 준비하는 과정에 관한 연구로, 교착상태에 빠져있는 남북 교류협력을 진전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전시컨벤션이라는 새로운 시각으로 접근하였다. 구체적으로 남북의 평화를 선도하고, 산업협력의 한 축이자 교류협력의 대상으로써 전시컨벤션의 역할과 그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남북 전시컨벤션 교류협력의 현상을 파악하여 전략과 프로세스를 종합적으로 제시하였다. 교류협력의 가능성 차원에서 전시컨벤션은 관광산업의 한 분야로 고부가가치 서비스산업이자, 경제적 파급효과 또한 큰 산업으로 남북 모두 교류협력의 필요성과 실익이 존재한다. 이론적으로도 전시컨벤션은 사회‧경제적인 영역으로 정치‧군사적 대립 가능성과 견해차가 크지 않아 교류협력의 가능성이 높은 분야이다. 북핵 문제로 인한 대북제재로 고립된 북한의 입장에서 전시컨벤션은 외부와 협력하며 교류할 수 있는 창구이자, 외화를 획득하고 해외의 선진 기술을 도입하는 수단으로 북한의 니즈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신산업이다. 남북 간 인적교류는 물론이고, 산업적 경제적인 교류까지 달성할 수 있는 영역으로, 이미 교류협력의 여건도 상당 부분 조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시컨벤션 교류협력에 관한 연구는 새로운 남북 관계를 형성하는 현 시점에서 시의성 있는 매우 필요한 분야이기도 하다. 전시컨벤션은 독일의 통일과정에서도 지속적인 동서독 간 접촉을 가능하게 하는 교류협력의 중요한 매개체로써 그 효용성이 입증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교류협력 현상을 파악하기 위한 이론적 토대로 전시컨벤션의 고유한 속성과 더불어 동서독 분단 상황하의 라이프치히 박람회 교류협력 사례를 확인하였다. 또한 교류협력의 현상과 과정을 도출하기 위해 근거이론 연구방법론을 중심으로 한 전문가 인터뷰와 다양한 2차 자료 분석을 통해 최종적인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자료 수집을 통해 도출하고자 한 연구의 내용은 남북 전시컨벤션 교류협력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장애 요인과 선결 조건을 파악하는 것에서 출발하였다. 이후 남북 전시컨벤션 교류협력의 현 상황과 향후 추진될 교류협력의 주체 및 주체들의 역할을 살펴보았다. 결과로서 이러한 주체들의 교류협력 노력의 결과 예상되는 효과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였다. 즉, 남북 전시컨벤션 교류협력을 위한 현상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최종적인 교류협력의 프로세스를 도출하였다. 자료들의 코딩 결과 개념과 범주들의 관계와 변화과정을 분석하여 패러다임 모형을 형성하였다. 패러다임 모형의 인과적 조건은 「남북 관계 교착상태와 새로운 패러다임 요구」, 이에 따른 중심현상은 「전시컨벤션 교류협력 잠재성 및 기대역할 증대」, 중심현상을 둘러싼 맥락적 조건으로는 「남북 전시컨벤션 상호 성장 기회 태동」, 중재적 조건은 「남북 전시컨벤션 이해관계자 간 역학관계」, 이해관계자들의 역할이라 할 수 있는 작용과 상호작용은 「남북 전시컨벤션 협력적 거버넌스 형성」, 마지막으로 결과는 「남북 전시컨벤션 상호 성장 및 한반도 평화 정착」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 남북 전시컨벤션 교류협력은 만남과 회합이라는 속성상 인적‧물적 교류를 가능하게 해주는 가장 효과적인 수단이자, 단기간에 실행 가능한 분야이다. 따라서 전시컨벤션의 남북 공동 개최는 남북 주민들의 자연스러운 접촉과 거래를 증대시킴으로써 상호 의존과 이해를 심화시키는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온다. 뿐만 아니라 전시컨벤션 교류협력은 다양한 사항들을 조율하고 추진해 나가는 과정을 통해 남북 간 상존하는 갈등 요인을 조정하고 완화한다. 동서독 전시컨벤션 교류협력과 마찬가지로 갈등 조정 및 완화 기능은 남북 상호 신뢰를 회복하고, 타 분야의 교류협력으로 확산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전시컨벤션의 속성상 교류협력은 다른 분야보다 쉽고 먼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시컨벤션센터의 구축과 운영, 해외 시장 공동 진출 등 다양한 형태로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다. 따라서 남북 전시컨벤션 교류협력은 남북 교류협력의 시발점으로 기업 간 거래와 교류를 증진해 경제협력과 혁신성장을 가속화하는 촉매제로 작용한다. 아울러 북한 경제가 성장하는 원동력으로, 이는 북한의 자생력을 강화하여 궁극적으로 한반도 평화공존과 정착에 기여하는 효과로 이어진다.

      • 전시컨벤션센터의 안전관리가 참관객의 안전행동 및 향후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팬데믹을 중심으로

        YANG LIU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767

        The exhibition industry is a high-value-added service industry that provides the basis for industrial development and trade development as a core industry for the exchange of cutting-edge information and knowledge. With the globalization of the world economy, the exhibition industry is also undergoing a new globalization trend in the era of unlimited international competition, and various efforts are being made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the industry. The growth trend of the industry has come to a halt as the outbreak of COVID-19, a new respiratory flu witness in 2020, and the rapid spread of COVID-19, which has spread around the world. Travel and travel between countries has been restricted as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has declared COVID-19 a Pandemic, the highest alert level for infectious diseases. In addition, due to the implementation of alcohol and policies to respond to COVID-19, such as social distancing, such as refraining from going out of consumers, industries that mainly provide face-to-face services, such as MICE, tourism, hotels, and food service industries, suffered great damage. In the exhibition industry in Korea, as the spread and spread of COVID-19, which has continued since February 2020, situations such as cancellation and postponement of exhibitions at chartered convention centers across Korea have become routine, and the exhibition industry is facing a strict condition. Exhibition and Exhibition Convention Center visitors are one of the important components of an exhibition and convention center, and it can be said that the intention of returning visitors and visitors is related to the overall image and sustainability of the exhibition and convention center.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at kind of safety and quarantine management the exhibition and convention center takes during the COVID-19 period and how it affects visitors. It can improve loyalty and improve the sustainability of the exhibition hall. This study examines global quarantine management guidelines such as quarantine management manuals and international exhibition associations, which are representative convention centers in Korea, and derives safety management elements for exhibition and convention centers up to 3, and based on these three safety management elements, visit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safety participation behavior and safety compliance behavior of visitor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afety behavior and future behavioral intentions of visitors. For the empirical analysis of this study, an onlin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and collected for 250 general visitors who visited the exhibition and convention center during the COVID-19 distancing period.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10 days from May 10 to May 20, 2022, and a pilot test was conducted on 10 graduate students studying the master's course in Exhibition and Convention Management on the measurement scale before the survey to determine the content validity of the measurement tool. secur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using SPSS 23.0 and Smart PLS 3.0 statistical programs, safety management of the exhibition and convention center was classified into three factors: exhibition hall environment, visitor behavior control, and safety management guidance. Behavior and safety acclimatization behavior were classified into two factors. As a result of hypothesis testing, it was found that the exhibition hall environment and safety management guide of the exhibition and convention cente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afety participation behavior of visitors. It was found that the visitor behavior control of the exhibition and convention center did no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afety participation behavior of the visitor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visitor behavioral control of the exhibition and convention center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afety compliance behavior of the positive audience, and that the exhibition hall environment and safety management guidance did not affect the visitor compliance behavior.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both safety participation behavior and safety compliance behavior of visito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future behavioral intent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what kind of safety behaviors the visitors exhibit regarding the safety management of the exhibition and convention center, and accordingly, it can be analyzed that the future behavioral intentions of the visitors appear.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understanding both the attitudes and behavioral intentions for safety management in terms of the operators of the exhibition convention setter and the visitors who visited the exhibition hall, and to utilize it in the evacuation procedure and strategies for retaining visitors in the event of a disaster such as COVID-19 at the exhibition and convention center. Key words: COVID-19, Convention center, Safety management, Safety behavior, Behavior intention 전시산업은 첨단 정보 및 지식 교류의 핵심 산업으로서 산업 발전 및 무역발전에 근간을 제공하는 고부가가치 서비스 산업이다. 세계경제의 글로벌화에 따라 전시산업 역시 국제적 무한 경쟁 시대에 새로운 세계화 추세가 급속히 진행되어 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통한 다양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2020년 신종 호흡기 감연 증인 COVID-19의 발생과 전 세계적으로 확산된 코로나19가 빠르게 퍼지면서 산업의 성장 추세가 멈추게 되었다.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가 COVID-19에 대하여 전염병 최고 경고 등급인 팬데믹(Pandemic)을 선언함에 따라 국가 간 이동 및 여행이 제한되었다. 게다가 소비자들의 외출 자제 등 사회적 거리 두기 등 COVID-19 대응하기 위한 나오는 주정이나 정책들이 시행으로 MICE, 관광, 호텔, 외식산업 등 대면 서비스 제공을 위주로 하는 업종들이 큰 피해를 받게 되었다. 한국 국내의 전시산업은 2020년 2월부터 지속되고 있는 COVID-19 확산과 전파로 한국 전국의 전세 컨벤션센터에서는 전시회 취소 및 연기 같은 상황은 일상화되어 전시 업게 가 엄격한 상태에 직면하였다. 전시회 및 전시 컨벤션센터 참관객이나 방문객은 전시 컨벤션센터의 중요한 구성요소 중 하나이고 참관객 및 방문객의 재방문 의도와 구전 의도는 전시 컨벤션센터의 전체 이미지와 지속가능성과 관연 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COVID-19시기에 전시 컨벤션센터가 어떠한 안전 방역관리를 하는지 참관객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본 연구의 목족이며 연구결과를 활용하고 전시 컨벤션센터의 마케팅 활동을 활발하게 펼치고 참관객들은 이 전시 컨벤션센터의 충성도를 향상시키고 전시장의 지속가능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에서 대표적인 컨벤션센터의 방역관리 매뉴얼 및 국제 전시협회 등 글로벌 방역관리지침을 살펴보고 3까지 전시컨벤션센터의 안전관리 요소를 도출하여 이 3개 안전관리 요소를 토대로 참관객들이 전시장의 안전관리과 참관객의 안전참여행동, 안전순응행동을 어떠한 관계를 있는지 참관객의 안전행동과 향후 행동의도 간에도 어떠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을 위해 COVID-19 거리두기 시기에 전시컨벤션센터를 방문한 일반 참관객 25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지를 배포 및 수거하였다. 설문조사 시간은 2022년 5월 10일부터 5월 20일 10일간 설문을 진행하였고 설문 전 측정 척도에 대한 전시컨벤션경영학과 석사과정을 공부하는 10명 대학원생에게 pilot test를 실시하여 측정도구의 내용타당성을 확보하였다. SPSS 23.0과 Smart PLS 3.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한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전시컨벤션센터의 안전관리는 전시장 환경, 참관객 행동통제, 안전관리 안내 총 3개 요인으로 분류되었으며, 찬 관객의 안전행동은 안전참여행동, 안전순응 행동 2개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가설검증 결과 전시컨벤션센터의 전시장 환경, 안전관리 안내는 참관객의 안전참여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시컨벤션센터의 참관객 행동 통제는 참관객의 안전참여행동에 유의한 영향 관계를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시컨벤션센터의 참관객 행동통제는 찬관객의 안전순응행동에 유의한 영향 관계를 존재하는 것이며 전시장 환경 와 안전관리 안내는 참관객순응행동에 영향하지 않다는 결과를 나타났다. 게다가 참관객의 안전참여행동과 안전순응행동은 향후 행동의도에 다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라 전시컨벤션센터의 안전관리에 대한 참관객들이 어떠한 안전행동을 나타나는 것을 파악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참관객의 향후 행동의도를 나타난다고 분석해 볼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전시컨벤션세터의 운영자과 전시장 방문한 참관객 측면에서 안전관리에 대한 태도 및 행동의도를 다 파악하고 전시컨벤션센터 COVID-19 같은 재난 발생 시 대피하는 절차와 참관객 유지하는 전략에 활용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것이다. Key word: 전시컨벤션센터, 안전관리, 안전참여행동, 안전순응행동, 행동의도

      • 한국 전시컨벤션센터의 효율성 분석 : DEA와 Malmquist 생산성 분석을 중심으로

        Zhang, Bowen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767

        본 연구의 목적은 DEA 분석과 Malmquist 생산성 지수 모형을 통해 한국 컨벤션센터들의 효율성을 분석, 비교하여 각각의 컨벤션센터의 효율성 점수 비교 및 취약한 부분을 제시하고, 기간에 따른 전반적인 효율성 추세를 파악하는 데에 있다. 먼저 국내외 전시컨벤션 산업의 현황 분석을 위한 선행연구 고찰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국내 전시컨벤션센터의 효율성 분석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효율성 분석 시에는 투입과 산출변수를 설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투입 및 산출요소 설정의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한 문헌 고찰을 실시하였다. 국내외 전시컨벤션 분야의 효율성 분석 선행연구를 토대로 투입 변수는 전시장 면적, 회의장 면적, 전시회 개최 건수와 종사원 수로 정하였다. 산출변수는 매출액, 총 참관객 수, 총 참가 업체 수와 총 전시 면적(입대)로 설정하였다. 분석 대상은 국내 전시컨벤션센터를 대상으로 하였으나, 15개의 전시컨벤션센터 중 데이터 수집에 어려움이 있는 전시장을 제외한 12개 전시장을 효율성 분석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데이터 수집 기간은 2015-2019년이며, 조건에 맞는 데이터 수집을 위해 각 전시컨벤션센터의 경영공시, 전시산업통계 등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공시된 자료를 통해 확보가 어려운 데이터는 해당 전시컨벤션센터에 연구 목적임을 밝히고 자료를 요청하였다. 일부 손실된 데이터는 보간법을 통해 보완하였다. 먼저 효율성 분석에 사용되는 투입 및 산출 요소가 서로 뚜렷한 상관관계를 가지는지 확인하기 위해 SPSS Statistics 20를 사용하였다. 상관계수 검증 결과 모든 변수 간의 상관계수가 정(+)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으며, 투입 및 산출 변수는 ‘동향성’ 원칙에 따라 타당성 기준을 충족하였다. DEA 효율성 분석에는 MAXDEA 8 PRO를 사용하였고, 연도별 데이터 평균값을 기반으로 5개년 종합 효율성 분석, 연도별 효율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종합 효율성 분석 결과 수도권 지역의 전시컨벤션센터의 기술 효율성 점수가 기타 권역 전시컨벤션센터보다 전반적으로 높게 분석되었다. 연도별 효율성 분석을 통해서는 각 전시컨벤션센터의 연도별 효율성 변화 추세를 확인하였다. DEA 효율성 분석은 상대적인 효율성 점수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비효율 전시컨벤션센터의 투입 및 산출 개선 가능치를 도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시컨벤션센터의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가장 최근 데이터인 2019년도의 변수별 개선 가능치를 제시하였다. Malmquist 생산성 변화 지수 분석은 Coelli(1996)가 개발한 Deap2.1을 사용하였고, Coelli(1996)의 연구에서 제시한 분석방법을 적용하였다. 앞서 분석한 DEA 효율성 분석은 시간의 변화를 고려하지 않은 동일한 시점의 관측치들 간 상대적 비율을 비교하는 것이기 때문에 생산성 변화 추이(Productivity Growth Analysis)를 파악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 Malmquist 생산성 분석은 시간의 변화에 따른 변화 추이를 제공하여 효율성이 감소하였는지, 증가하였는지를 분석할 수 있다. 먼저, 연도별 컨벤션센터의 효율 변화를 분석하였고 2015-2018년까지 계속해서 효율성이 증가하다가 2018-2019년에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각 컨벤션센터별 운영 효율 현황을 분석하기 위해 5개년 간의 평균 운영 효율성 변화 추이를 확인하였다. 대부분의 전시컨벤션센터가 평균적으로 효율성이 증가하는 추이를 보였지만, KINTEX는 효율성 점수가 평균 2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인 분석을 위해 전시컨벤션센터의 기간별 생산성 지수 분석을 실시하였고 각 전시컨벤션센터의 연도별 효율성 변화 추이를 확인하였다. Malmquist 생산성 분석은 생산성 지수(MPI), 기술 효율성 변화 지수(TECI), 기술 변화 지수(TCI)로 제시되며, 각 전시컨벤션센터별 MPI, TECI, TCI 분석결과를 기간에 따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의 전시컨벤션센터는 수도권에 위치할수록 효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시장 면적이 높으면 효율성 점수가 상위에 위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각 전시컨벤션센터의 상대적 효율성 점수를 확인하고, 개선사항을 도출할 수 있다. 지자체마다 전시컨벤션센터의 신․증축을 추진하고 있는 실정인데, 기존 전시컨벤션센터의 효율성 분석을 통해 향후 전시장 건립 시 고려해야할 사항과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전시주최자 혁신 프로세스의 구조관계 연구

        이해석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50767

        Despite the quantitative growth of the domestic exhibition industry in Korea, many obstacles such as exhibition cloning, lack of resources and investments by small and medium sized show organizers, insufficient international level venue space, limitations in establishing global network and lack of professional manpower, and closed local distribution structure and strong dependency on domestic demand, still exist. In order for Korean exhibition industry to secure it s competitiveness, it is necessary to examine new approach centering on trade show organizers by restructuring business models and adopting innovation process of the overall exhibition industry. Traditionally, Korean exhibition organizers' innovation activities have been centered on closed innovation activities that depend on their internal resources and manpower to develop new shows and services. However, due to rapid changes in the business environment including new technological advances, diversification of customers’ demand and over-segmentation of market have driven local show organizers to perceive limitation of their own business model and resources. As a result, interest in adopting an alternative business model called open innovation that enhance innovation performance by utilizing external resources and capabilities in a series of innovation processes has been increas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focuses on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de show organizers’ innovation activities and business performance, focusing on the organizer's innovation objectives and resources. Furthermore, the moderating effect of resources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novation objectives and activities will be analyzed.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the Demand-Pull Theory, Resource Based View and Social Capital Theory have been applied to provide the theoretical rationale to expla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s within the organizers’ innovation process. The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o 986 local trade show organizers registered in membership directory of the Association of Korean Exhibition Industry and affiliated industry associations. The questionnaire included questions regarding innovation objectives, resources, innovation activities and business performances. A total of 244 organizers, 24.7% of the total sample, responded to this survey. However, only 236 valid samples were analyzed, excluding 8 invalid questionnaires. The valid replies were utilized to verify reliability and feasibility.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also conducted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de show organizers’ innovation objectives, resources, innovation activities and the business performance. In addition, the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 of resourc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novation objective and the innovation activity. Finally, the Z-test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venue-bound-organizers and non-venue-bound-organizers.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organization innovation objective, one of the major innovation drivers to increase the performance efficiency through work system improvemen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both closed and open innovation activities. The study also showed that the exhibition development innovation objective, in which profit is earned through the development of new exhibitions and improvement of existing exhibitions, and the marketing objective, in which the use of innovative marketing tools are encouraged, have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open innovation. However, it failed to confirm the significant effect between the process innovation objective and innovation activities. The internal resource and social capital confirmed to have an effect to both closed and open innovation activities. This result implies that qualified human resources and their accumulated experience are important elements to exhibition R&D activities along with other tangible and intangible resource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exhibition organizer's social capital has a greater impact on open innovation activities than closed innovation activities as it promotes formation of mutual trust and exchange of knowledge resources among the partners. The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internal resour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ganization innovation objective and the innovation activiti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has confirmed the input of internal resource promotes the internal innovation activities through improvement of the work performance process within the organization. It is also a major factor that enables open innovation activities through the integration of organizational culture with external partners and work standardization process. In addi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was confirmed between exhibition development innovation objectives and open innovation activities Furthermore, this research also demonstrated that the exhibition organizer's closed and open innovation activitie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both financial and non-financial business performance. This result shows that most of trade show organizers, despite the difficult business environment due to COVID-19, clearly recognizes the need for continuous innovation activities for positive business performance. Finally, the Z-test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differences on the relationship of each variables between venue-bound-organizers and non-venue-bound-organizer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ident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 innovation objectives and open innovation activities, and between closed innovation activities and non-financial management performances. It was confirmed that the venue-bound-organizers strongly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ganization innovation objective and the open innovation than non-venue-bound-organizers as they are more open to external cooperation and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long term non-financial management performance goal. 국내 전시산업은 양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유사·중복 전시회의 난립, 전시주최자의 영세성에 따른 자원의 한계 및 R&D 투자 부족, 국제 수준 전시 인프라 부족,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의 한계와 전문 인력의 부족, 폐쇄적인 유통구조 및 내수 중심의 전시회 운영 등 질적인 측면에서는 경쟁 국가와 비교하여 비교열위에 있다. 따라서 국내 전시산업이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전시주최자를 중심으로 산업 전반에 걸쳐 혁신 프로세스를 재정립하고, 혁신활동의 패러다임에 대하여 새로운 접근방식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전통적으로 전시주최자의 혁신활동은 내부자원만을 활용하여 자체적으로 완결하는 폐쇄형 혁신활동을 중심으로 추진되어왔다. 그러나 기술 진보에 따른 사업 환경의 빠른 변화, 산업의 세분화 등으로 인해 많은 전시주최자들은 가용한 R&D 자원 활용의 한계에 봉착하게 되었고, 이로 인해 연구, 개발, 상업화, 수익화로 이어지는 일련의 혁신 프로세스에서 외부의 자원과 역량을 활용하여 혁신성과를 높이는 개방형 혁신활동을 채택하고자 하는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전시주최자의 혁신동기와 보유자원을 중심으로 혁신활동과 경영성과에 대한 영향관계를 검증하고, 아울러 혁신동기와 혁신활동의 영향관계에 대한 보유자원의 조절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혁신동기와 혁신활동의 영향관계를 설명하는 주요 이론인 수요견인이론(Demand-Pull Theory), 보유자원과 혁신활동의 영향관계를 설명하는 주요 이론인 자원기반이론(Resource Based View)과 사회적 자본이론(Social Capital Theory)을 중심으로 전시주최자의 혁신 프로세스의 구조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국내 전시산업 관련 협회를 통해 취합한 총 986명의 전시주최자를 대상으로 선행 연구를 통해 도출한 전시주최자의 혁신동기, 보유자원, 혁신활동, 경영성과와 관련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설문에 응답한 전시주최자는 총 244명으로 전체 표본의 24.7%가 조사에 응답하였으며, 불성실한 응답치, 특이값 등 총 8부의 설문지를 제외하고 총 236명의 유효 표본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표본을 바탕으로 기초분석을 통하여 신뢰성(Reliability)과 타당성(Feasibility)을 파악하였으며,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활용하여 혁신동기와 혁신활동, 보유자원과 혁신활동, 혁신활동과 경영성과 간 영향관계를 검증하였다. 아울러 조절회귀분석(Moderated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여 혁신동기와 혁신활동의 영향관계에 대한 보유자원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추가연구로 위와 동일한 통계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전시장 소유 전시주최자와 전시장 비소유 전시주최자의 요인들 간 영향관계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두 집단 간 영향관계의 차이가 유의미한지 확인하고자 Z-test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전시주최자의 혁신동기 중 전시회 사업비 및 제반비용을 절감시키고자하는 공정혁신동기는 혁신활동과의 영향관계가 확인되지 않았으나, 신규 전시회 개발 및 기존 전시회의 개선을 통해 수익을 실현코자 하는 전시개발혁신동기는 개방형 혁신활동과 유의한 영향관계가 확인되었다. 전시주최자의 업무수행 절차 개선 등을 통해 업무효율성을 제고하고자 하는 조직혁신동기는 폐쇄형 혁신활동과 개방형 혁신활동 모두와 유의한 영향관계가 확인되었으며, 차별화된 마케팅 기법 도입을 통한 수익을 제고하고자 하는 마케팅 혁신동기는 개방형 혁신활동과 유의한 영향관계가 확인되었다. 전시주최자의 보유자원 중 내부자원과 사회적 자본은 폐쇄형 혁신활동과 개방형 혁신활동에 모두 유의한 영향관계를 나타났다. 전시주최자의 내부자원 중 다양한 유형자원과 무형자원이 신규 전시회 개발과정에 영향을 미치지만, 특히 인적자원의 축적된 경험과 역량은 경쟁자 대비 차별화된 전시회 구성을 가능케 한다. 또한 전시주최자의 사회적 자본은 파트너 간의 신뢰 형성과 지식자원의 교류를 촉진시키기 때문에 폐쇄형 혁신활동보다 개방형 혁신활동에 더욱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전시주최자의 혁신동기 중 조직혁신동기와 폐쇄형 혁신활동 간의 영향관계, 조직혁신동기와 개방형 혁신활동 간의 영향관계에 있어 내부자원의 조절효과가 모두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내부자원의 투입은 조직 내 업무수행절차의 개선을 통한 내부 혁신활동 수행을 촉진시키며, 아울러 외부 파트너와의 조직문화 통합 및 업무표준화를 통한 원활한 개방형 혁신활동 수행이 가능하게 하는 주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전시개발혁신동기와 개방형 혁신활동 간의 영향관계에 있어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 전시주최자의 개방형 혁신활동을 통한 신규 전시회 개발과정에 있어 지식공유 확대 및 활용측면에 있어 사회적 자본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전시주최자의 폐쇄형 혁신활동과 개방형 혁신활동은 재무적 경영성과와 비재무적 경영성과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통해 COVID-19로 인해 어려운 사업 환경 속에서도 전시주최자 구성원 대부분이 지속적인 혁신활동의 필요성과 이에 따른 성과창출의 결과를 명확하게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추가연구로 Z-test를 통해 전시주최자 유형별 영향관계에 대한 회귀계수의 차이를 실증 분석한 결과, 조직혁신동기와 개방형 혁신활동의 영향관계 및 폐쇄형 혁신활동과 비재무적 경영성과의 영향관계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전시장 소유 전시주최자는 업무절차와 운영 프로세스 개선에 있어 전시장 비소유 전시주최자에 비해 외부와의 협력에 대한 수용성이 높고, 중장기적 성과목표인 비재무적 경영성과에 대한 중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지역주민의 전시컨벤션센터 정체성 인식에 관한 연구 : Glaser의 근거이론 방법론 적용

        김영선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50767

        4차 산업혁명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디지털 기술 혁명은 기존의 생산, 소비 방식 및 정체성을 변화시키며, 개별 기술보다는 유기적 구성이 중요시되는 가운데 공간에 대한 개념과 접근법도 달라지고 있다. 전시산업의 패러다임은 판매중심에서 소비자 지향으로 그리고 또다시 가치주도로 변화되었고, 전시컨벤션센터는 단순히 참가업체의 전시품 판매를 위한 시현장과 정보 교환 장소가 아니라 고객 맞춤형 가치창출을 위한 지속가능한 전시시설로 전환되고 있으며, 이러한 패러다임의 변화는 계속될 것이다. 양적성장에서 질적성장으로 지속가능한 발전을 추구하는 전시산업의 패러다임 변화와 급변하는 기술로 인한 공간개념에 대한 변화는 전시컨벤션센터의 정체성과도 연결되며 다양한 역할변화에 대한 요구로 이어지고 있다. 전시컨벤션센터는 전시산업의 지속가능성과 지역사회의 지속가능성 모두에 관여되어 있는 중요한 사회적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사회문화적 영향은 배제한 채 경제적 성과 위주로만 평가되고 있었다. 전시컨벤션센터와 지역사회의 상호작용을 다양한 관점에서 고찰하였으며, 전시컨벤션센터가 가지는 강한 사회적 특성을 확인하고 그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정체성의 딜레마에 관한 내용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배경으로 전시컨벤션센터를 사회적 존재로 두고 사회적 존재론 관점으로 접근하였으며 Glaser(1978)의 전통적 근거이론 방법을 사용하여 지역주민이 전시컨벤션센터에 대한 정체성을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시컨벤션센터가 위치한 각 지역의 주민들 26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개방코딩과 선택적 코딩 분석을 실시한 결과 8개의 범주와 32개의 하위범주, 123개의 개념으로 범주화되었다. 지역주민들은 전시컨벤션센터를 개인적 관점과 사회적 관점의 두 가지 관점을 동시에 고려하여 인식하고 있었는데, 이를 통해 ‘개인적 경험의 강도와 사회적 당위성’이라는 맥락에 따라 전시컨벤션센터의 존재에 의미를 둔다는 핵심범주가 도출되었다. 또한, 이렇게 도출된 핵심범주에 따라 전시컨벤션센터를 문화시설, 상업시설/여가시설, 공공시설로 복합적이고 다양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이렇게 나타난 결과를 바탕으로 각각 ‘전시컨벤션센터 방문경험’은 조건, ‘전시컨벤션센터에 대한 인식’은 공분산, ‘전시컨벤션센터의 역할’은 원인, ‘전시컨벤션센터에 대한 기대’와 ‘전시컨벤션센터에 대한 불만’은 결과, ‘전시컨벤션센터가 미치는 사회문화적 영향’은 부수적 사건, ‘전시컨벤션센터에 대한 정체성 혼란’은 중심현상, ‘전시컨벤션센터 존재 의미’는 맥락(핵심범주)으로 이론적 코드를 부여하였다. 이론적 코딩을 거쳐 지역주민의 전시컨벤션센터 정체성 인식 과정을 도식화한 후 최종적으로 ‘지역주민의 전시컨벤션센터에 대한 정체성’이 네 가지로 유형화한 “전시컨벤션센터 사회적 역할 모델(ECSRM; Exhibition & Convention center’s Social Role Model)”을 제시하였다. 첫 번째 유형은 멀티플랫폼형으로 개인적인 경험의 강도가 높고, 사회적 당위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 전시컨벤션센터를 복합문화시설, 멀티 플랫폼 등으로 인식했다. 두 번째 유형은 여가중심형으로 개인적 경험의 강도는 높지만 사회적으로 존재의 필요성을 낮게 느끼는데 이러한 지역의 주민들은 전시컨벤션센터를 주로 여가시설이나 상업시설, 문화시설로 인식하는 경향을 보였다. 세 번째 유형은 아고라형으로 개인적 경험의 강도가 낮고 필요성도 별로 못 느끼지만 지역사회에는 필요한 시설이라고 인식하였고 시민의 소리를 응집하고, 보유한 자원에 따른 격차를 해소하는 것과 같이 광장의 역할을 해주기를 원하고 있었다. 네 번째 유형은 무장소형으로 개인의 경험 강도도 낮고, 사회적인 당위성도 낮게 인식하는 유형이다. 이들은 현재 전시컨벤션센터가 가지고 있는 장소상실의 문제를 드러내고 있었고, 전시컨벤션센터에 대한 어떠한 정체성도 가지고 있지 않았다. 전시컨벤션센터의 사회적 역할 모델의 네 가지 유형을 살펴본 결과 지역주민들은 전시컨벤션센터가 물리적인 랜드마크가 아닌 기술이나 환경변화를 선도하는 지역의 멀티 플랫폼의 역할과 더불어 사회적 소통창구로써 광장과 같은 사회적 역할을 수행해주기를 강렬히 바라고 있었다. 지역주민들이 인식하는 정체성의 혼재는 전시컨벤션센터의 정체성 상실에 관한 것이 아니라 역할의 확장에 대한 문제로 지역과 공생의 가치를 추구하며 사회와 적극적으로 상호작용을 하는 것은 전시컨벤션센터에 대한 지역주민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며, 이는 전시산업의 지속가능성과 지역사회의 지속가능성 모두에게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전시컨벤션센터의 정체성을 사회적 존재론 관점으로 탐구한 초기의 연구로 모델 개발을 통한 학문적·실무적·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향후에는 본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여 다양한 학문적 관점의 혼합과 연구방법과 통해 또 다른 의미를 도출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With the adv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the digital technology revolution is changing the method and identity of existing production and consumption, and the concept and approach to space are also changing while organic composition of the space is more emphasized than individual technology. The paradigm of the exhibition industry has shifted from sales-oriented exhibition to consumer-oriented exhibition, and further to value-driven exhibition, and exhibition & convention centers(ECCs) are being converted to sustainable exhibition facilities for creating customized values, not just a venue for exchanging exhibits for exhibitors and a place for information exchange, and this paradigm shift will continue in the future. The paradigm shift in the exhibition industry, which pursues sustainable development from quantitative growth to qualitative growth, and the changes in the concept of space according to rapidly changing technologies are also linked to the identity of ECCs, leading to various demands for their role changes. The ECCs are important social factors involved in both the sustainability of the exhibition industry and the sustainability of the local community. However, they were evaluated mainly in terms of their economic performance without considering their socio-cultural effect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interaction between the ECCs and local community was examined from various perspectives and strong social characteristics of the ECCs were identified. The contents related to the dilemma of their identity that can result from those strong social characteristics were also examined. Against this backdrop, I considered the ECCs as social entities and approached them from a social ontology perspective, and using Glaser's(1978) traditional ground theory method, I attempted to examine how local residents perceived the identity of the ECCs. To this end, an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26 residents of each region where an exhibition & convention center is located, and as a result of conducting open coding and selective coding analysis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y were classified into 8 categories, 32 sub-categories, and 123 concepts. The local residents perceived the ECCs using both personal perspective and social perspective at the same time. Through this, the key category was derived, where the local residents put a meaning to the ECCs according to the context of ‘intensity of personal experience and social imperativeness'.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key category derived in this way, the local residents perceived the ECCs as a cultural facility, a commercial/leisure facility, and a public facility in a complex and diverse manner. Based on these results, theoretical codes were given as follows; “condition” to 'exhibition & convention center visit experience', “covariance” to 'perception to ECCs', “cause” to ‘role of exhibition & convention centers', “result” to 'expectation and complaint to exhibition & convention centers', “incidental event” to 'socio-cultural effects of exhibition & convention centers’, “central phenomenon” to ‘confusion of identity of exhibition & convention centers' , and “context” (key category) to ‘meaning of the existence of exhibition & convention centers’. After the theoretical coding, the process of perceiving the identity of the ECCs by local residents was schematized. Finally, I suggested ECSRM (Exhibition & Convention Center’s Social Role Model), which categorized the ‘identity of ECCs perceived by local residents’ into four types. The first type is the multi-platform type, where the local residents perceived the ECCs as complex cultural facilities or multi-platforms because they had a high level of personal experience and a high awareness on social imperativeness. The second type is the leisure-oriented type, where the local residents had a high level of personal experience but felt low social necessity for the ECCs. They tended to perceive the ECCs mainly as leisure facilities, commercial facilities, or cultural facilities. The third type is the Agora type, where the local residents had a low level of personal experience and felt little necessity for the ECCs. However, they perceived the centers as necessary facilities for the local community, and wanted the centers to play the roles of a square such as aggregating the voices of citizens and bridging the gap of resources owned by the citizens. The fourth type is the ‘placelessness’ type, where the local residents had a low level of personal experience and social imperativeness. It was revealing the problem of the loss of place of the ECCs, and had no identity for the ECC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four types of social role models of the ECCs, it was found that local residents strongly wanted the ECCs to play a social role like a square as a social communication window as well as the role of a multi-platform in the local region that leads the change in technology or environment, not just as physical landmark. The confusion in the identity perceived by local residents is not the matters of the loss of identity of the ECCs but the matter of the expansion of their roles. Interacting actively with society while pursuing the value of coexistence with the local community can affect local residents' perception to the ECCs, which has a major significance to the sustainability of both the exhibition industry and the local community. This study is an initial step study that explored the identity of the ECCs from a social ontology perspective, an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provided academic,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through the development of models. In the future, continuous research will be needed to derive different meanings of the ECCs through the combination of various academic viewpoints and use of different research methods by supplementing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 호텔컨벤션의 지적자본이 지식경영활동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구조관계 연구

        조용진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50767

        국문초록 본 연구는 호텔기업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며 지식중심의 고부가가치산업으로 각광받고 있는 호텔컨벤션의 지적자본이 지식경영활동이라는 과정을 통해 경영성과로 나타나는 일련의 과정을 분석하고자 전국에 소재하는 4성급이상의 호텔컨벤션 종사원을 대상으로 지적자본이 지식경영활동에 어떠한 영향 관계가 있는지 규명하고, 지식경영활동이 경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호텔컨벤션 종사원들의 지적자본에 대한 영향력에 관한 연구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 실무적 관점에서 지적자본을 통한 지식경영활동과, 경영성과를 창출하는 도구로서의 지적자본의 가치를 실제적으로 확인하여, 호텔컨벤션산업계에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국내·외 서적, 논문, 기타 각종 간행물을 활용하여 호텔컨벤션의 지적자본, 지식경영활동, 경영성과에 대한 문헌연구와 실증연구를 병행하였다. 실증연구로는 조사의 효율성과 객관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공간적 범위, 시간적 범위를 임의로 설정하였고, 각 측정변수는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한 1차 사전조사에서 도출하여 호텔컨벤션의 종사원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최종 수집된 459명의 실증적 조사 분석 결과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먼저 이론적인 시사점으로 지적자본의 각 구성요소와 지식경영활동 간의 관계이다. 첫째, 인적자본은 지식창출과 지식공유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지식확산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적자본은 지식창출과 지식공유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지식확산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객자본은 지식경영활동의 모든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자본은 지식공유와 지식확산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지식창출에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정보기술자본도 고객자본과 마찬가지로 지식경영활동의 모든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식경영활동과 경영성과 간에는 지식창출은 비재무적 성과에, 공유는 재무적 성과에 그리고 확산은 비재무적 성과와 재무적 성과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증 분석 결과 호텔컨벤션의 경영성과 제고를 위해 지적자본과 지식경영활동이 급변하는 경영환경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아주 좋은 도구이며, 이를 통해 효과적으로 기업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다는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다음은 실무적인 시사점으로 먼저 지적자본과 지식경영활동과의 결과이다. 첫째, 인적자본은 지식경영활동의 지식창출과 지식공유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지식확산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호텔컨벤션부서의 종사원들은 타 기업에 비해 인적 서비스의 의존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지식을 창출하고 공유하는데 인적자본은 매우 핵심인 자본임을 입증하였다. 둘째, 구조적자본은 지식경영활동의 지식창출과 지식공유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지식확산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객자본은 지식경영활동의 지식창출, 지식공유, 지식확산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고객자본이야말로 기업의 수익을 지속적으로 창출해 주는 귀중한 무형자산임을 확인해 준 결과이다. 이는 고객자본이 기업의 가치 실현 증대에 인적자본이나 구조적 자본보다 직접적으로 지식경영활동에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넷째, 조직자본은 지식경영활동의 지식공유와 지식확산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지식창출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정보기술자본은 지식경영활동의 지식창출, 공유, 확산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보기술을 다루는 지식관리시스템이 업무도구로 잘 활용되고 있으며, 종사원들 간의 호텔컨벤션 업무진행 및 운영에서 소통을 확대하여 효과적으로 정보기술자본이 공유, 확산되고 있음을 나타내 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지식경영활동과 경영성과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지식의 창출과 확산은 비재무적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종사원들의 내재되어 있는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여 확산시키는 역량을 발휘하는 것이 고객의 충성도나 브랜드 충성도 등의 비재무적 성과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지식공유는 비재무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식을 공유하는 지식경영활동 과정이 고객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불평고객 수를 감소시킨다는 연구와는 상이한 결과이다. 한편 지식창출은 재무적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유와 확산은 재무적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식확산이라는 지식경영활동은 비재무적 성과와 재무적 성과에 강력한 유의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경영성과의 향상을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지식확산에 더욱 많은 관심과 투자가 필요함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이 같은 결과로 호텔컨벤션의 지적자본이 지식경영활동에 영향을 주며, 지식경영활동이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으며, 실무적 관점에서 지적자본에 대한 가치와 지적자본을 통한 지식경영활동이 경영성과적인 측면에서의 실제적으로 지속경영을 위한 초석이 될 경쟁우위 경영환경을 만들 수 있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호텔기업의 최고경영층과 호텔컨벤션의 관리자에게 지적자본과 지식경영활동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다시 한 번 인식하게 함으로써 그들의 경영정책에 지적자본을 통한 지식경영의 도입을 각인시키는 실증적인 연구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핵심용어: 호텔컨벤션(Hotel Convention), 지적자본(Intellectual Capital), 지식경영활동(Knowledge Management Activity), 경영성과(Business Perform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eries of process that the intellectual capital of Hotel Convention, which occupies a large portion in hotel companies and is recognized as a knowledge - based high value - added indust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tellectual capital on the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of hotel conven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the research on the influence of Hotel Convention employees on intellectual capital, to confirm the value of intellectual capital as a tool to create knowledge management activity and management performance through intellectual capital from a practical point of view, The purpose is to draw implications to hotel convention industry. This study has conducted literature research and empirical studies on intellectual capital,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and management performance of hotel convention using domestic and foreign books, articles and other publications. In the empirical study, the spatial range and the temporal range were arbitrarily set in order to maintain the efficiency and objectivity of the survey, and each measurement variable was derived from the literature study, and th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the hotel convention employees with the derived factors and variables .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empirical survey are as follows. First,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component of intellectual capital and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First, human capital has a significant effect on knowledge creation and knowledge sharing, but it does not affect knowledge diffusion. Structural capital has been shown to affect knowledge diffusion without affecting knowledge creation and knowledge sharing. Customer capital has a significant effect on all factors of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Organizational capital has a significant effect on knowledge sharing and knowledge diffusion, but it has an effect on knowledge creation. Finally, information technology capital has a significant effect on all factors of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as well as customer capital. As a result, the intellectual capital of hotel convention workers has a positive effect on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This suggests that efficient mechanisms to effectively cope with changes in the environment faced by hotel companies, to strengthen competitiveness of companies and to establish a management environment of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 And reaffirmed the importance of intellectual capital. In particular, customer capital and information technology capital affect all factors of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Therefore, customer capital structurally identifies valuable intangible assets such as customer satisfaction and loyalty, At the same time, information technology capital should be encouraged to acquire information and knowledge, support its systematic storage, systematically build various software tools for decision-making, and preemptively invest in. Second, knowledge creation has a significant impact on non - financial performance, sharing is on financial performance, and diffusio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both non - financial performance and financial performance.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it is suggested that the intellectual capital and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are very good tools to flexibly respond to the rapidly changing business environment in order to enhance the business performance of the hotel conventions. Practical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it is the result of intellectual capital and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First, human capital has a significant effect on knowledge creation and knowledge sharing of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However, it did not affect the diffusion of knowledge. This is because the employees of the hotel convention department are highly dependent on human services compared to other companies, thus proving that human capital is a key capital for creating and sharing knowledge. However, the fact that human capital does not influence the diffusion of knowledge can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clear understanding yet on the diffusion of knowledge through human capital. Second, structural capital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knowledge creation and knowledge sharing of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but i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knowledge diffusion. Third, customer capital has a significant effect on knowledge creation, knowledge sharing, and knowledge diffusion of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This is the result of confirming that customer capital is a valuable intangible asset that continuously generates corporate profits. This implies that customer capital directly affects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rather than human capital or structural capital in order to increase corporate value realization. Therefore, in order to implement effective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a system should be constructed and utilized that fully reflects the various needs of customers and can satisfy them through active sharing among employees. Fourth, organizational capital has a significant effect on knowledge sharing and knowledge diffusion of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but it does not affect knowledge creation. The measurement elements of organizational capital are based on mutual trust between the employees and between the company and the employees. Therefore, in addition to institutional approach to building trust, prompt and rational alternatives should be presented when ineffective work occurs in the course of work. In addition, information on new products and services can be created through a system that creates knowledge from work experience. We must improve our capital. Fifth, IT capital has a significant effect on knowledge creation, sharing, and diffusion of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This is because the knowledge management system dealing with information technology is well utilized as a business tool, and it can be said that information technology capital is being shared and spreading effectively by expanding communication in the proceeding and operation of hotel convention between employees, And it is considered that the investment for continuous development and utilization in related fields should not be neglected.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between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and management performance In order to cope actively in a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and to create competitiveness in the market, the analysis of the strategic management of employees'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has shown that the creation and diffusion of knowledge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non - financial performance Respectively. In other words, the ability to create and disseminate new knowledge embedded in employees plays an important role in non - financial performance such as customer loyalty and brand loyalty. On the other hand, knowledge sharing did not affect non - financial performance. This result is different from the research that knowledge sharing process of knowledge sharing improves customer satisfaction and reduces the number of complaints. On the other hand, knowledge creation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financial performance, and sharing and diffus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financial performance. In particular, knowledge dissemination activities, which are knowledge dissemination, show a strong relationship with non-financial performance and financial performance. These results show that it is necessary to invest more in knowledge diffusion in order to improve management performance As a result, the intellectual capital of hotel convention influenced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and the theoretical foundation that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affects business performance was laid out. From the practical point of view, the value of intellectual capital and knowledge management through intellectual capital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activities can create a competitive advantage management environment that will be the basis for sustainable management in terms of management performance. Therefore, this study is an empirical study that reaffirms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intellectual capital and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to top executives of hotel companies and managers of hotel conventions, thereby marking the introduction of knowledge management through intellectual capital in their management policies It is possible to say that it has meaning as.

      • 전시컨벤션센터가 지역주민의 장소애착심과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킨텍스(KINTEX)를 중심으로

        고윤경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0767

        The Effect of Exhibition and Convention Center on Resident’s Place Attachment on Sense of Community – Focused on KINTEX by Yun Gyeong, Goh Master degree of Convention and Exhibition Management Graduate School of Kyung Hee University Advised by Prof. Bong Seok, Kim In recent years, the world economy became more and more global, and the exhibition and convention centers started to became larger and modernized. As the trend continues in growth, there are discussions in Korea on new constructions and expansions according to the convention and exhibition national wide. A convention and exhibition center not only have a multiplier effect on the economic side but also other various effects such as in social culture, politics, and tourism industry. Therefore, local governments are using the convention and exhibition industry as a policy to promote local industries and as part of urban marketing. Furthermore, as the expansion of the facilities of the convention and exhibition center is expanded, rivalry between municipalities is emerging. Most of the exhibition and convention centers are built with the support of the government and the local government. Also, the exhibition and convention centers are responsible for various stakeholders such as local residents and related industries as local resources belonging to public good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maintain sustainable relationships among these stakeholders and to carry out public activities for the community. In order to continuously develop the exhibition and convention centers, and build a stable image; it is important to support, participate, and recognize the local residents who exchange directly and indirectly the biggest influence in establishing and operating the exhibition and convention centers. Based on this background, there is a need for continuous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hibition and convention centers and the local resi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ignificant effects of local residents' place attachment and sense of community subject to exhibition and convention centers, with the foc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vention and exhibition center and the local residents, which is the foundation of its industry. In addition,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place meaning of the convention and exhibition center and to suggest that there is a strong connection between local residents and local community. With this point of view, the theory and measurement scale of the place affection which has been actively studied in the field of environmental psychology was applied to the convention and exhibition field. The place meaning in the convention and exhibition center was analyzed, and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e of community was identified and the direction of the role of the convention and exhibition center to the local residents and community is proposed. This study used a total of 289 valid samples of surveys responded by the local residents over 20 years of old and above, living in west-Ilsan and east-Ilsan centering ‘KINTEX’ which is located in Goyang city in Gyeonggi province. As a result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using SPSS 25.0 and AMOS 22.0 programs, the factors such as place identity and place dependence from the place attachment has shown a significant impact on the effects of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influences on the convention and exhibition center. On the other h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ourism influence factor and place attachment impact was not significan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place attachment on sense of community, both place identity and place dependence were all significant in sense of community.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local residents in the operation of the convention and exhibition center. Also, it is expected that the convention and exhibition center will continue to develop and serve as a medium to build a stable image and a differentiated characteristic of a location. 최근 세계 경제가 점점 글로벌화되면서 전시컨벤션센터가 대형화, 현대화되는 추세에 따라 전국적으로 전시컨벤션센터의 신·증축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전시컨벤션센터를 통해 경제적, 사회·문화적, 정치적, 관광 산업적 파급효과 등이 검증되고 있음에 따라 지역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지방 정부의 정책이자 도시마케팅의 일환으로서 전시컨벤션센터 시설 확충에 대한 지자체 간 유치 경쟁이 나타나고 있다. 대다수의 전시컨벤션센터는 정부와 지자체의 지원으로 건립되며 공공재에 속하는 지역 자원으로서 지역주민, 관련 산업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에 대한 책임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이해관계자 간의 지속적인 관계 유지와 지역사회를 위한 공익적 활동 수행이 중요하다. 전시컨벤션센터의 지속적인 성장과 안정적인 이미지 구축을 위해서는 전시컨벤션센터를 건립하고 운영하는데 가장 많은 영향을 직·간접적으로 주고받는 지역주민의 지지, 참여, 인식 등이 중요하다. 이러한 배경에 따라 전시컨벤션센터와 지역주민의 관계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 연구는 전시컨벤션산업의 기반이 되는 전시컨벤션센터와 지역주민 간의 상호관계를 초점으로 전시컨벤션센터에 대한 지각 주체인 지역주민의 장소애착심과 공동체의식에 유의미한 영향이 나타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전시컨벤션센터가 어떠한 장소적 의미를 내재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지역주민과 지역사회에 깊은 연관성이 있음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환경 심리학 분야에서 활발히 연구되어 온 장소애착심의 이론과 측정 척도를 전시컨벤션 분야에 적용하여 전시컨벤션센터의 장소적 의미에 대해 분석하고, 나아가 공동체의식에 대한 영향관계를 파악하여 전시컨벤션센터가 지역주민 및 지역사회에 수행해야 할 역할에 대한 방향성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경기도 고양시에 위치한 킨텍스(KINTEX)를 중심으로 일산서구와 일산동구에 거주하는 20세 이상의 남녀를 지역주민이 응답한 총 289부의 유효표본을 활용하였다. SPSS 25.0과 AMOS 2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모델 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시컨벤션센터 영향에서 경제적 영향과 사회·문화적 영향 요인은 장소애착심의 장소정체성, 장소의존성 두 요인에 모두 유의한 영향이 나타났지만, 반면 관광 영향 요인과 장소애착심 간의 영향관계는 모두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장소애착심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장소정체성, 장소의존성 두 요인 모두 공동체의식에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전시컨벤션센터의 운영에 있어 지역주민의 인식을 분석하기 위한 기초적인 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다고 본다. 또한, 전시컨벤션센터가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안정적인 이미지와 차별화된 장소적 특성을 구축하는데 매개체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전시컨벤션센터의 최적입지 결정에 관한 연구 : GIS 공간분석기법을 활용하여

        박희승 경희대학교 관광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767

        전시컨벤션센터는 전시회와 컨벤션 등 비즈니스 상담 장소라는 기능성 외에 지역시민을 위한 문화활동의 중심역할을 수행하며, 지역경제 파급효과와 도시위상 제고라는 측면에서 중요한 시설이다. 전시컨벤션센터의 입지이론에 대한 선행연구에서는 자연환경, 인문환경, 복합지원시설 등이 제시된 바 있고, 정부에서는 지역별 전시시설 수요대비 적정성, 주변시설 및 인프라 평가, 정성적 평가의 세 가지 요소를 전시컨벤션센터 신축 시의 심의기준으로 설정하고 있다. GIS의 공간분석 기능은 지리적 속성을 효율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다기준 의사결정 상황 하에서 다양한 입지 후보지를 찾아내고 비교ㆍ평가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도구적 개념으로서 GIS를 활용하여 전시컨벤션센터의 최적입지 분석을 실시하고자 했다. 연구의 현실적용 가능성을 높이고 실증분석을 시도하기 위해 광역자치단체 중 유일하게 전시컨벤션센터가 없는 강원도를 대상지로 선택하고, 18개 시군 중 최적입지를 선정하는 방법을 택하였다. 정부의 전시컨벤션센터 신축 심의기준 항목 중 ‘전시시설 수요대비 적정성’과 ‘정성적 평가’는 제외하고 정량평가가 가능한 ‘주변전시시설 및 인프라 평가’의 6개 항목에 대해서만 실제 데이터를 기반으로 평가를 진행했다. 연구결과 기존의 가중치는 변별력을 확보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행연구에서 중요한 항목으로 제시되었던 ‘인구수’와 ‘도로접근성’ 항목을 추가하여 평가한 결과 최적지 선택의 변별력이 확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폭넓은 논의를 통해 전시컨벤션센터의 심의기준을 재설정하고 가중치의 변별력을 높힐 수 있도록 해야하며 그 결과는 합리적이고 과학적으로 제시될 필요가 있다. The exhibition and convention center plays a important role in cultural activities for local residents as well as the function of business consultation sites such as exhibitions and conventions. It is an important facility in terms of the effect of the regional economy and the city's status. In the previous research on the location theory of the exhibition and convention center, the natural environment, the human environment and the complex support facilities were presented. The government exhibited three factors of the adequacy of the exhibition facilities in the region, the facilities and infrastructure evaluation, and the qualitative evaluation It is set as deliberation standard at convention center new construction. Since the spatial analysis function of GIS has the merit that it can find and compare various location candidates under multi-standard decision making by efficiently analyzing geographical attributes, this study uses GIS spatial analysis. In order to enhance the applicability of the research and to conduct empirical analysis, we selected Gangwon-do, the only one of the municipal governments, which does not have an exhibition and convention center as the target area and selected the best location among the 18 cities. Based on the actual data, only the 6 items of the exhibition facilities and infrastructure evaluation, which can be quantitatively evaluated except the 'Appropriateness of exhibition facility demand' and 'Qualitative evaluation' .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existing weights did not secure discriminant power. As a result of adding 'population number' and 'road accessibility' items which were suggested as important items in the previous research, it was confirmed that the discrimination power of the optimal site selection is expanded. In future research, it is necessary to reset the deliberation standard of the exhibition convention center through a wide discussion and to raise the discrimination power of the weight, and the result needs to be presented rationally and scientifica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