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Effect of the mature fruit of kochia scoparia on oral cancer : in vitro and in vivo study

        한혜연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15

        사람유방암세포에서 지부자 추출물의 항암효과 한 혜 연 부산대학교 대학원 치의학과 Abstract 연구 배경 및 목적 : 지부자는 중국, 일본, 한국에서 배뇨통, 피부질환, 유방 종괴에 주로 사용되어 온 약재로, 항염 효과와 항알러지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지부자 추출물이 간암세포주(HepG2 cell line)와 신경모세포종(Neuroblastoma) 세포주에서 항암 효과가 나타난다는 보고가 있으나, 여성에게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암 중 하나인 유방암에서의 항암효과는 아직 연구된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람유방암세포주에서 지부자 추출물의 세포 사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 : 사람유방암세포주(MDA-MB-231 cell line)에서 지부자 추출물의 항암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세포 생존율 검사, 세포 주기 검사, 활성 산소 생성 검사, 세포자멸사(apoptosis) 관련 단백질 발현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 지부자 추출물을 사람유방암세포주에 처리하였을 때,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 증식이 저하되었고, 세포 주기 정지(sub-G1 arrest)와 세포자멸사의 증가를 관찰하였다. 또한 세포자멸사 관련 단백질의 발현도 증가함을 관찰하였다. 결론 : 지부자 추출물은 사람유방암세포주에서 세포 증식 억제와 세포자멸사를 유도하여 세포 사멸효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사람유방암세포 환자의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새로운 항암치료제 및 보조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지부자 추출물이 구강편평세포암종에 미치는 영향 : 생체 외, 생체 내 연구 한 혜 연 부산대학교 대학원 치의학과 Abstract 연구 배경 및 목적 : 구강편평세포암종은 구강에서 발생하는 암종 중 가장 흔하며, 전 세계적으로 6번째로 많이 발생하고 있다. 구강편평세포암종의 치료방법으로는 외과적 절제와 방사선 조사, 항암제 투여가 있으나, 외과적 절제와 방사선 조사는 구강의 저작 ? 발음 ? 심미적인 기능을 저해하고 인접한 정상조직에도 손상을 입힌다. 또한, 구강편평세포암종에 효과적인 치료를 위한 항암제는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지부자 추출물(mature fruit of Kochia scoparia)은 주로 염증과 알러지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최근에는 간암세포주(HepG2 cell line)와 신경모세포종(Neuroblastoma) 두 종양에서 세포 사멸 효과가 보고되고 있다. 지부자 추출물의 항암작용은 아직 많이 연구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구강암에서의 항암작용 또한 아직 연구된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구강편평세포암종에서 지부자 추출물의 세포 성장 억제 효과를 생체 외, 생체 내 실험을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 : 구강편평세포암종 세포주(Ca9-22 cells, HSC-4 cells, HN4 cells)에서 지부자 추출물의 세포 성장 억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세포 증식률 검사, 세포주기 검사, 세포자멸사 관련 실험 (ANNEXIN V and PI 염색과 Hoechst 염색), 단백질 발현 등을 측정하였고, 생체 내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마우스 종양 모델을 확립하여 지부자의 세포 성장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 생체 외 연구에서는 지부자 처리 농도에 따라서 세포 증식률 감소, 세포자멸사(apoptosis)의 유도를 관찰하였다. 또한 생체 내 연구 결과, 대조군에 비해 지부자 처리군에서 종양의 성장률 감소, 세포자멸사 유도와 혈관생성인자의 발현 감소를 관찰하였다.

      • Vibration Analysis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Sounds

        정다운 조선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15

        측두하악 관절잡음의 진동 분석 정 다 운 지도교수; 강동완 치의학 박사 조선대학교 대학원, 치의학과 관절잡음의 발생은 TMJ의 구조적, 기능적 이상의 징후로 여겨져왔다. 이러한 관절잡음을 평가하는데 청진과 촉진은 주관적이고 부정확한 방법으로 평가되어 좀 더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방법으로 electrovibratography(EVG)가 제시되어 왔다. 기존의 연구에서 EVG는 관절잡음을 평가하는데 가장 비침습적이고 신뢰할만한 방법이라고 하였으며 EVG의 사용으로 관절잡음의 진동수와 진폭 및 전체 에너지 양상을 숫자화하고 도식화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기존의 연구에서 증상군의 진동에너지가 무증상군보다 높다는 것이 발표되어 왔으며 frequency spectrum의 양상을 분석하는 등 여러 가지 관절잡음의 양적, 질적 분석이 시도되어 왔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frequency spectrum pattern을 integral>300Hz/<300Hz ratio와 함께 분석하는 것이다. 본 실험에서는 Joint Vibration Analysis (the BioPAK?? system, BioResearch Inc., USA)를 사용하여 촉진으로 관절잡음이 느껴지지 않고 TMD증상이 없는 10명의 대조군(GroupⅠ)과 관절잡음과 동통이 있으나 개구제한을 보이지 않는 정복성 관절원판 변위의 범주에 있는 20명의 실험군(GroupⅡ)에서 관절진동을 분석하였으며 관절진동 기록 시에 JT-3(Jaw tracker, the BioPAK?? system, Bioresearch, Inc, USA)를 함께 사용하여 개폐구시 관절잡음 발생의 위치를 감별하고 치아접촉음을 배제하여 관절잡음을 분석하였다. GroupⅡ의 frequency spectrum pattern에 따라 실험군을 4가지 subgroup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GroupⅠ과 GroupⅡ; subdivision 1에서 유사한 frequency spectrum pattern과 ratio범위를 보였으며 GroupⅡ; subdivision 2,3,4 에서는 더 불규칙한 에너지 양상을 보이는 frequency spectrum pattern과 더 큰 ratio가 관찰되었다. 이번 연구를 통해 JVA가 악관절 진동의 특성을 감별하는데 유용함을 알 수 있었고 JVA를 이용한 지속적인 진동 분석이 환자 교육뿐 아니라 성공적인 턱관절 기능이상의 진단과 치료에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 항암치료를 받는 두경부암 환자의 치주조직의 변화 및 치주치료 예후

        정윤진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항암치료를 받는 두경부암 환자의 치주조직의 변화 및 치주치료 예후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치의학과 정 윤 진 신체 부위 중 두경부 부위는 치과의사가 가장 많이 다루고 접하는 중요한 영역이며, 두경부 부위에 종양이 있는 경우 치과의사가 치과치료를 시행하는데 있어서 많은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서울대학교 치과병원은 방사선 및 화학적 항암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들의 내원 비율이 높으므로 두경부 부위의 항암치료를 받는 환자에 대한 구강 상태 변화 및 치주치료의 예후를 조사하는 것은 유의미할 것이라 생각된다. 방사선에 조사된 치주조직 내의 세포는 손상되어 결국 세포사가 일어나 그 결과로 치주조직은 허혈성, 저세포성, 저산소성이 된다. 특정한 박테리아의 증식이 증가하면서 나타나는 치주질환의 진행은 환자의 건강 및 환경적 위험요인과 관련이 있는데, 방사선에 조사되어 회복 능력이 감소한 치주조직은 감염에 취약해지고, 심각한 합병증인 골괴사의 가능성이 커진다. 뿐만 아니라 고용량의 방사선에 노출된 치아는 치주인대 부착상실을 보인다. 따라서 방사선 치료를 앞둔 두경부암 환자의 치주상태는 방사선 치료 전에 반드시 검진 및 관리되어야 하며, 치료 후에는 감염에 대한 치주조직의 취약성이 커지므로 주기적으로 비수술적인 혹은 수술적인 치주치료를 시행하여 두경부암 환자의 치주 건강을 유지해야 할 것이다. 여러 논문을 통해 밝혀진 대부분의 환자의 경우 방사선 치료 전 치주 상태에 대한 전반적인 검사가 시행되었으며, 방사선 치료 전에 심각한 치주질환을 치료한 경우 방사선 치료 과정 및 치료 후에 주기적으로 보존적이고 비수술적인 치주치료를 시행하면 심각한 치주질환을 가진 채 방사선 치료를 시행한 환자보다 예후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불가피한 상황이 아니라면 피해야 한다고 생각되어 왔던 치주수술 또한 몇몇 논문에서는 예후가 양호한 증례들을 보고하였다. 주요어 : 두경부암, 방사선 치료, 치주상태, 치주치료 학 번 : 2009-22726

      •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에서 상악동 중격 관찰의 정확성

        김경완 조선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599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에서 상악동 중격 관찰의 정확성 김경완 지도교수 : 김병옥 조선대학교 대학원 치의학과 치과용 임플란트 시술이 증가하면서 상악동 거상술을 시행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부가적으로 상악동 거상술의 부작용도 증가하였다. 상악동 거상술시 가장 빈번한 부작용은 상악동 막의 천공이다. 상악동 거상술시 중격의 존재는 상악동 막을 천공 시키는 주요 원인이다. 그러므로 상악동 거상술 전에 중격의 존재를 술자가 인지하는 것은 합병증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런 상악동 중격을 분석하기위해 대부분의 치과의사는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을 이용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에서 상악동 중격의 관찰의 정확성을 평가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08년 1월부터 2009년 6월까지 조선대학교 치과병원에 내원하여 구강악안면방사선과에서 Cone beam CT와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 촬영을 시행한 환자 300명의 600개 상악동을 대상으로 하였다. Cone beam CT에서 상악동은 최후방구치의 원심면에서 비강의 측벽까지 촬영된 경우만 선택하였고 0.1mm 간격으로 측정한 횡단영상을 관찰하였다.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에서 상악동 중격 분석은 일반치과의사가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Cone beam CT로 측정 결과 600개의 상악동에서 총 153(25.5%) 중격이 관찰되었으며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에서 122(20.3%) 중격이 관찰되었다.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에서 관찰된 중격중 false positive septa는 27개, false negative septa는 58개, positive septa는 95개가 관찰되었다. 그러므로 총 153개의 중격중에서 95개만 정확하였으며 정확도는 62%이다. 그러므로 상악동 중격은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으로는 정확한 진단이 어려우므로 오진단이 의심되는 경우 정밀한 치과용 Cone beam CT를 이용해 정확한 해부학적 구조물을 파악하여 상악동 거상술시 합병증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The accuracy of the sinus septa observation in the panoramic radiograph GYEONG WAN, KIM Advisor : Prof. Kim Byung-Ock Department of Dentistry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With the increase of the dental implant procedure, there are many cases of Maxillary Sinus Floor Elevation Surgery(MSFES). Additionally, its side effect has also risen up. The most common side effect in the MSFES is perforation of the maxillary sinus membrane. Sinus septa are the main reason of the perforation in the MSFES. Therefore it can help to prevent the complication by recognizing the presence of the sinus septa before the MSFES. As most of dentists use panoramic radiograph to analyze the sinus sept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accuracy of the sinus septa observation in the panoramic radiograph. This study is conducted on the 600 maxillary sinus of the 300 patients who were taken Cone beam CT(CBCT) and panoramic radiograph in the department of oral & maxillofacial radiology of Chosun dental hospital from 2008.1. to 2009. 6. Maxillary sinus was selected from the cases radiographed from the distal surface of the last posterior tooth to the lateral wall of the nasal sinus and transected images measured at a distance of 0.1mm were observed at a distance of 0.1mm. General dentist analysed the sinus septa in the panoramic radiograph. As a result, of the 600 maxillary sinus, total 153(25.5%) sinus septa were observed in CBCT, 122(20.3%) sinus septa in panoramic radiograph. There were 27 false positive septa, 58 false negative septa, 95 positive septa in the panoramic radiograph. Thus, of the 153 sinus septa, only the 95 were accurate and the rate was 62%. Consequently, as it is difficult to differentiate the maxillary sinus exactly in the panoramic radiograph, the use of Cone beam CT is recommended to find out precise anatomic structure so as to reduce the complication in the maxillary sinus floor elevation surgery.

      • 탈무기질화 자가치아이식재와 인터루킨-6 병용 처리가 뼈 재생에 미치는 영향

        장원석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599

        탈무기질화 자가치아이식재와 인터루킨-6 병용 처리가 뼈 재생에 미치는 영향 장 원 석 부산대학교 대학원 치의학과 요 약 목적 : 본 연구는 탈무기질화 자가치아이식재의 식립 후 뼈파괴세포의 활성화에 관여하는 인터루킨-6을 첨가함으로써 뼈 재생 과정을 효과적으로 촉진시키는 방법을 제시하고 이 과정에 관여하는 세포 및 조직학적 양상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재료 및 방법 : 무기질이 제거된 자가치아이식재를 준비하고 MG63 조골세포와 사람 뼈육종세포주인 HOS 세포를 파종, 배양하여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은 자가 치아 표면에서 만든 대조군 시편과 탈무기질화 자가치아이식재에서 만든 실험군 시편에 대해 세포 부착율 측정, 세포 증식율 측정, 세포부착형태 관찰, 뼈 광화력 분석 검사를 시행하였다. 토끼의 두개골에 8mm의 size defect를 형성하고 이식재 적용 후 1,2,4,6주가 경과되면 토끼를 희생하여 두개골 조직을 관찰하였다. 결손부에 아무런 처치을 하지 않은 대조군, 결손부위에 탈무기질화 자가치아이식재를 이식한 실험군 A, 그리고 결손부위에 탈무기질화 자가치아이식재 이식 및 20ng/ml 농도의 인터루킨-6를 동시에 투여한 실험군 B의 뼈 형성 정도를 H-E 염색, Masson’s Trichrome 염색,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통해 비교, 관찰하였다. 결과 : MG63 세포와 HOS 세포를 이용한 세포실험을 통해 탈무기질화 자가치아이식재의 세포 부착율, 세포 부착형태 및 뼈 광화 능력의 향상을 확인하였다. 토끼의 두개골을 이용한 동물실험을 통해 탈무기질화 자가치아이식재를 이식한 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더 많은 뼈파괴세포의 발현과 함께 신생뼈의 생성과 성숙뼈 조직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탈무기질화 자가치아이식재와 인터루킨-6를 병용 투여한 군에서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흡수된 이식재 공간에 뼈파괴세포의 발현은 계속 증가하였지만 신생뼈의 형성 및 성숙뼈 조직의 출현은 탈무기질화 자가치아이식재만 이식한 군에 비해 저조한 양상을 보였다. 결론 : 탈무기질화 자가치아이식재와 인터루킨-6의 병용 처리는 이식재의 흡수를 촉진시킬 수는 있지만 흡수된 부위에 신생뼈의 빠른 생성에는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점에서 인터루킨-6은 자가치아이식재의 뼈 재생 능력을 배가시킬 수 있는 첨가제로는 적합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

      • TAT-Hsp27이 MDPC-23 상아모세포주의 부착과 이주에 미치는 효과

        임영신 조선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247599

        국문초록 TAT-Hsp27이 MDPC-23 상아모세포주의 부착과 이주에 미치는 효과 조선대학교 대학원 치의학과 임 영 신 상아모세포는 상아질 형성 뿐 아니라 치아의 치유와 재생에도 관여를 한다. 세포 부착과 이주는 조직 재생에 있어서 중요한 과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TAT-fusion protein system을 이용해 세포 내부로 Hsp27을 전달하는 것이 쥐의 MDPC-23 상아모세포주의 부착과 이주를 향상시키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방법으로는 TAT-fusion 단백질을 분리하였으며, TAT-Hsp27 융합 단백질을 형질도입하고 탐지하였다. 또한 MTT 분석을 이용해 세포 생존력을 평가하였으며 Microplate Autoreader ELISA와 현미경을 이용해 세포 부착을 관찰하였고 CHEMICON을 이용해 세포 이주 능력을 평가하였다. 마지막으로 Western blot 분석과 국소적 부착도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TAT-fusion protein system은 성공적으로 세포내부에 Hsp27을 전달하였으며 TAT-Hsp27의 형질도입은 용량에 의존하여 MDPC-23의 부착과 이주를 유도하였다. 게다가 TAT-Hsp27의 형질도입은 β1 integrin의 단백질 발현과 국소적 부착 형성을 증가시켰으며 FAK와 ERK의 인산화를 유도하였다. MDPC-23 상아모세포주의 TAT-Hsp27-induced migration은 항β1 integrin 항체 처치에 의해 회복되었다. 결론적으로 TAT-Hsp27이 β1 integrin-mediated signaling을 통해 상아모세포양 세포의 부착과 이주를 촉진함을 알 수 있었으며 치아 재생을 위한 치료에 적용해 보는 것을 고려해볼 수 있었다. Key words: 상아모세포, 부착, 이주, TAT-Hsp27, β1 integrin ABSTRACT Effect of TAT-Hsp27 on Adhesion and Migration of Odontoblastic MDPC-23 Cells Lim, Young-Shin, D.D.S., M.S.D. Advisor : Prof. Hwang, Ho-Keel, D.D.S., M.S.D., Ph.D. Department of Dentistry, Graduate School, Chosun University Odontoblasts are involved in tooth repair and regeneration as well as dentine formation. Cell adhesion and migration is a critical process for tissue regeneration. In this study, we examined whether delivery of Hsp27 into the cells using a TAT-fusion protein system enhances adhesion and migration of murine odontoblast-like cells, MDPC-23 cells. TAT-fusion protein system delivered successfully Hsp27 into the cells. Transduction of TAT-Hsp27 induced adhesion and migration of MDPC-23 cells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addition, transduction of TAT-Hsp27 increased the protein expression of β1 integrin and focal adhesion formation, and induced the phosphorylation of FAK and ERK. TAT-Hsp27-induced migration of MDPC-23 cells was restored by treatment of anti β1 integrin antibod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AT-Hsp27 may promote adhesion and migration of odontoblast-like cells via β1 integrin-mediated signaling and can be considered as a candidate of therapeutic application for tooth regeneration. Key words: Odontoblast, adhesion, migration, TAT-Hsp27, β1 integrin

      • 치의학교육에서 예비의료인의 전문직업성 고취를 위한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차승래 조선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실제 진료 현장에서 의료인의 임상적 의사결정은 환자 개개인의 상황에 따라 다양한 사실적·가치적 판단이 상호 교차하게 되면서, 지속적인 문제해결역량이 요구된다. 즉, 이러한 복잡한 맥락 속에서 의료인은 환자를 위한 최선의 진료에 있어 실천에서의 제약이 따르고, 이러한 제약을 해결하기 위해 문제해결역량을 키우기 위한 창의성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직무윤리와 전문직업성을 갖추어야 하는 예비의료인을 양성하는 치의학교육에서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 그 필요성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전라권 소재 모 치과대학 치의학과에 재학 중인 1학년과 4학년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문헌 연구를 통해 설문지 초안을 작성한 후, 치의학교육 전공 영역의 두 명의 교수자와 대학에 재직 중인 두 명의 교육학 박사의 감수를 통해 내용의 신뢰도와 전문가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이것을 바탕으로 총 6개 영역 34문항의 온라인 형태 설문지를 개발하여,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고 연구 참여에 동의하는 경우에 한하여 설문을 진행하였다. 폐쇄형 문항에 대하여서는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여 분석하였고, 개방형 문항에 대해서는 워드클라우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응답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응답자의 60% 이상에서 창의성은 길러질 수 있으며, 사회문화적 환경적 요소 등의 영향을 받는다고 응답하였다. 그러나 창의성에 대하여 연상되는 생각에 대한 개방형 질문에서는 ‘천재, 예술, 영감’의 중심어를 반복적으로 기입하였다. 창의성 교육의 필요성에 대하여서는 절반 이상에서 그렇다는 긍정적인 답변을 하였다. 반면 치과대학에서 창의성 계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태와 관련하여서는 대부분의 문항에서 부정적인 답변을 하였다. 그리고 치과대학 교육과 창의성 영역 문항에서는 ‘실험·실습·발표 등 프로젝트’와 ‘보고서 제출’의 평가 방식이 창의성 발휘에 가장 큰 도움이 되어, 대학 수업에서 창의성 향상을 촉진하기 위해 가장 먼저 평가 방식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대학 생활에서 창의성 향상에 도움이 되는 활동에 대한 응답률이 높은 순위 세 가지로 ‘문화생활, 독서, 여행’이라고 답하였다. 치과대학에서의 창의성 교육에 장애가 되는 요인 문항의 중복 선택에서 ‘교수자의 전통적 수업 방식, 수업시수 과다, 학습자의 전통적 수업에 익숙함, 창의성 발현을 촉진하는 프로그램 부족’에서 절반에 가까운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치의학교육에서 예비의료인의 전문직업성 고취를 위해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그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미래사회를 위한 창의적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평가 방식의 개선, 교수자의 교수법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수법 프로그램의 개발 및 창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마련 등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치의학교육 환경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Clinical decision in the actual treatment field requires continuous problem-solving ability because judgments of various facts and values intersect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each patient's situation. In other words, medical professionals are subject to realistic limitations in providing the best treatment for patients, and creativity is needed continuously to develop problem-solving capabilities for solving these difficulti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udents' perceptions of creativity education in dental education and to discuss the necessity of creativity education. This study conducted a self-report questionnaire targeting first-year and fourth-year students majoring in dentistry at college of dentistry located in Jeollanam-do. Through the literature study, it was selected the contents of questionnaire to investigate the dental students' perceptions of creativity education for promoting the professionalism, and conducted an online questionnaire with a total of 34 questions in 6 areas. For closed-type questions,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and analyzed, and for open-ended questions, the response content was analyzed using the word cloud program. As a result, more than 60%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creativity can be cultivated and that it is affected by socio-cultural and environmental factors. Regarding the need for creativity education, more than half answered positively. On the other hand, most of the questions answered negatively regarding the status of creativity enlightenment in dental college. In the questions related to dental education curriculum and creativity, the evaluation methods of ‘projects such as experiments, practice, and presentations' and 'reports submission' are the most helpful in demonstrating creativity. And in order to promote the creativity development, they answered that the evaluation method should be improved first. In the duplicate choices of questions on factors that disturb creativity education, they showed a high response rate of almost half in 'the teacher's traditional teaching method, excessive number of class hours, learners' familiarity with traditional teaching, and lack of programs that promote creativit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erception of students majoring in dentistry on the creativity education for promoting the professionalism of dentist, and confirmed its necessity. Therefore, in order to train creative human resources for the future society, it should be prepared a specific and systematic dental education environment, such as improvement of evaluation methods, development of the program that can improve the teaching method of instructors, and preparation of various programs that can enhance creativity.

      • 다양한 임플란트 인상용 코핑 고정 재료에 따른 임플란트 인상 채득 방법의 정확성 비교

        홍기윤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국문 초록) 다양한 임플란트 인상용 코핑 고정 재료에 따른 임플란트 인상 채득 방법의 정확성 비교 단국대학교 대학원 치의학과 치과보철학 전공 홍 기 윤 지도교수 : 신 수 연 임플란트 고정체와 상부 보철물의 완전한 수동적 적합을 얻는 것은 임플란트 치료의 장기적인 성공을 위한 필수적인 요소 중 하나이다. 이를 위해서는 정밀한 인상 채득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하악 부분 무치악 모형에서 pick-up type 인상용 코핑을 사용하여 인상 채득을 진행하는 개방형 인상 채득법과 transfer type 인상용 코핑을 사용하여 인상 채득을 진행하는 폐쇄형 인상 채득법, 그리고 개방형 인상 채득법에서 pick-up type 인상용 코핑 고정 재료의 인상 채득 정확성에 대해 비교 평가하고자 하였다. 하악 부분 무치악 아크릴릭 레진 모형의 좌측 구치부에 밀링 장비를 이용하여 직경 4.5 mm, 길이 11.5 mm의 임플란트 고정체 두 개를 평행하게 식립하였다. 개인 트레이 제작은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개방형 개인 트레이 30개 폐쇄형 개인 트레이10개를 동일하게 제작하였다. 동일하게 제작한 개인 트레이를 이용하여 인상 채득을 진행하였으며, PN군 : 개방형 인상 채득법(non-splint), PG군 : 개방형 인상 채득법(splint GC pattern resin), PH군 : 개방형 인상 채득법(splint Herifix), TN군 : 폐쇄형 인상채득법 총 네 군으로 나누어 각 군당 10회씩 총 40회의 인상 채득을 진행하였다.채득한 인상체를 이용하여 석고 모형을 제작하였고 석고 모형상에 스캔바디를 연결하여 모델 스캐너로 스캔을 진행하였다. 획득한 스캔파일은 STL 파일로 변환하여3D 스캔 기반 역설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조군과 실험군의 스캔 이미지를 중첩하였고 스캔바디 상의 참조점을 설정하여 스캔오차를 측정하였다. 데이터의 정규성을검정한 뒤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test)과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sample ttest)을 시행하여 95% 유의수준으로 평가하였다. 임플란트 인상 채득 방법 간의 정확성 비교 시 폐쇄형 인상 채득법 TN군에서 가장 낮은 오차값을 보였으며, PS군, PN군 순으로 낮은 오차값을 보였지만 세 군 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개방형 인상 채득법(splint)에 사용된 인상용 코핑 고정 재료 간의 비교 결과에서는 PH군에서 더 낮은 오차값을 보이며PG군 보다 더 정확한 인상 채득 정확성을 보여주었지만 두 군 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제한된 실험 결과로 미루어 보았을 때, 임플란트 인상 채득 시 인상용 코핑 연결에 사용되는 광중합형 아크릴릭 레진이 기존 자가중합형 아크릴릭 레진보다 인상채득 정확성이 우수하였다. 하지만 두 군 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 임플란트 인상 채득 시 인상 채득 방법이나 인상용 코핑의 연결 고정 유무에 따른 각 군 간의 정확성에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주요용어 : 인상 채득 방법, 자가중합형 아크릴릭 레진, 광중합형 아크릴릭 레진

      • 잡종견에서 저강도파동형의 초음파가 동요가 있는 임플란트의 골융합에 끼치는 효과

        주동옥 조선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247599

        잡종견에서 저강도파동형의 초음파가 동요가 있는 임플란트의 골융합에 끼치는 효과 주동옥 지도교수: 김병옥 조선대학교 대학원 치의학과 저강도파동형의 초음파(low intensity pulsed ultrasound, LIPUS)는 골절부위의 치유에 효과적이라고 보고되고 있으며, 사람과 동물을 이용한 많은 연구에서도 골생성이 향상되었고 골재생이 촉진되었음이 확증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저강도파동형의 초음파가 잡종견에서 동요가 있는 임플란트의 골융합을 촉진시킬 수 있는지를 조직학적 및 조직형태계측학적으로 평가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는 6마리의 숫컷 잡종견(16-20 Kg)의 하악이 이용되었다. 무치악 부위를 만들기 위해서 잡종견의 하악 제2소구치(p2), 제3소구치(p3) 제4소구치(p4)까지 발거한 다음, 3개월간의 치유기간을 부여하였다. 3개월 후, 하악의 좌, 우측에 각각 3개씩 총 36개의 임플란트를 식립하였는데, 임플란트 직경보다 더 큰 3.5 ㎜ 드릴로 8.5 ㎜까지 골삭제를 한 후 직경 3.25 ㎜, 길이 8.5㎜ 임플란트를 식립하였다. 좌측은 LIPUS (BR- SONIC??, DENTOVE, Japan) 조사군으로, 그리고 우측은 LIPUS 비조사군으로 설정하였다. 초기고정이 완전히 상실된 상태로 골내에서는 덮개나사를 장착할 수 없었으므로 식립전에 커버스크류를 장착한 채로 임플란트의 회전없이 수동적으로 골내로 삽입하였다. 수술 직후부터 항생제(Gentamicin 0.1 ㎖/㎏, Daesung, Korea)를 7일간 근육주사하였고, 1주일에 3회씩 0.2% chlorhexidin digluconate(부광약품, 한국)를 사용하여 구강위생관리를 4주간 시행하였다. 술 후 1주 후에 발사를 시행하였고, 2주, 4주 그리고 8주에 각각 2마리씩 희생시켰다. LIPUS(BR-SONIC??, DENTOVE, Japan)는 제조회사의 지시대로 3.0 ㎒, 240 ㎽/㎠ 출력으로 수술 1주일 후에 1주일 동안 하루에 15분씩 조사하였다. 조직학적인 소견을 보면, 대조군은 수술 2주후에 임플란트 주위에 교직골이 부분적으로 생성되어 있었으며, 8주후에는 보다 더 치밀한 교직골이 임플란트 주위에 생성되어 있었다. 반면, LIPUS 조사군의 4주군은 LIPUS 비조사군의 8주 소견과 유사한 양상을 나타냈으며, 8주에는 LIPUS 조사와 무관하게 비슷한 양상을 나타냈다. 조직형태계측학적분석을 보면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LIPUS 조사와 무관하게 골-임플란트 접촉률이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서, LIPUS가 잡종견에서 동요가 있는 임플란트의 골융합을 촉진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Low intensity pulsed ultrasound improves the osseointegration of mobile dental implants in dogs Joo Dong Ok, D.D.S. Advisor: Prof. Kim Byung-ock, D.D.S., Ph.D. Department of Dentistry, Graduate School of Dentistry Low intensity pulsed ultrasound (LIPUS) has been proven to be an effective treatment for bone fracture healing, and lots of human and animal studies have confirmed its ability to enhance osteogenesis and facilitate bone regenerat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IPUS on the osseointegration of dental implants without initial stability in a canine model using histomorphometric (bone to implant contact, BIC) and histologic analysis. Six, male mongrel dogs (16-20 ㎏) were included in this study. Right and left mandibular premolars were extracted. Three months after extraction, a total of 36 implants were placed bilaterally into the lower mandible. Holes, 3.5 mm in diameter and 8.5 mm in length, were drilled into the mandibular bone, and implants with a double acid etched surface, 3.25 mm in diameter and 8.5 mm in length, were placed into the holes. The left side of each dog received LIPUS (BR-SONIC??, DENTOVE, Japan) application (15 minutes/day for 7 days)(LIPUS treated group), while the right side as a control (LIPIS untreated group). The output of LIPUS was 3.0 ㎒ and 240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n for eight weeks and each two dog was sacrificed at 2-, 4- and 8-weeks after surgery. After sacrificing the dogs, histomorphometric and histologic analyses were performed on the different groups of dogs. Histologic findings showed limited woven bone formation around the implant border in the 2-week healing period, woven bone formation around the implant border in the 4-week period, and more compact woven bone formation around the implant border in 8-week period in control group. And, 4-week histologic finding in LIPUS group showed similar figures to 8-week in non-LIPUS. 8-week specimen showed similar findings irrespective of LIPUS application. Histomorphometric analysis showed BIC% for all the groups had a tendency to increase as time passed. The results suggests that LIPUS can improve the osseointegration of mobile dental implants in dogs

      • 임플란트 주위의 각화조직을 확보하기 위한 collagen matrix의 임상적 평가

        이강호 조선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599

        임플란트 주위의 각화치은을 확보하기 위한 Collagen Matrix의 임상적 평가 이강호 지도교수 : 장현선 조선대학교 대학원 치의학과 임플란트 주위의 연조직 처치의 목적은 크게 일차의도 봉합, 치간유두 재건, 각화치은의 확보 그리고 치조융선의 보존 및 처치이다. 그중에서 적절한 각화치은의 존재는 치주조직을 외부손상 으로부터 보호하며 치은변연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위치시키고 조직에 가해지는 생리적인 힘을 분산해주는 기능을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근단 변위 판막술, 유리 치은 이식술을 동반한 근단 변위 판막술, 그리고 Collagen matrix 피개를 동반한 근단 변위 판막술을 각각 시행한 경우 부착치은의 증가량을 평가하고자 한다. 조선대학교 치과병원 치주과에 내원한 임플란트 환자로 식립 4개월이 경과한 환자 1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두 2차수술시에 각화치은을 확보하기로 하였다. 2차 수술시에 근단 변위 판막술, 유리 치은 이식술을 동반한 근단 변위 판막술, 그리고 Collagen matrix 피개를 동반한 근단 변위 판막술 세 그룹으로 나누어 치유 후 각화치은의 폭을 비교하였다. 각화치은의 폭은 Periodontal probe 를 이용하여 각각 술전과 치유 후(술후)에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유리 치은 이식술을 동반한 근단 변위 판막술을 시행한 그룹에서 각화치은의 증가량이 가장 크게 나타났고 근단 변위 판막술, 그리고 Collagen matrix 피개를 동반한 근단 변위 판막술을 시행한 그룹에서도 양호한 정도의 증가량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 증가 비율은 근단 변위판막술 그룹에서 0.3, 0.6, 0.6 유리 치은 이식술을 동반한 근단 변위 판막술을 시행한 그룹에서 3, 5, 7 Collagen matrix 피개를 동반한 근단 변위 판막술을 시행한 그룹에서 1.5, 0.5, 3 으로 나타났다. 단 Collagen matrix를 적용한 그룹은 근단 변위 판막술만 시행한 그룹보다 좀더 양호하고 생리적인 형태의 각화치은이 확보된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