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교 교사의 실과교육 역량 범주화 및 타당화

        노정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0831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사의 실과교육 역량을 범주화하고 타당화하는 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교사가 실과교육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교육역량과 실과교육 관련 선행연구를 비교․분석․종합하여 역량을 범주화하고 역량 초안을 구안하였다. 구안된 역량에 대해 전문가 협의회를 거쳐 수정․보완한 후 초등학교 교사의 실과교육 역량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역량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13명의 전문가 패널을 대상으로 2차에 걸쳐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델파이 조사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의견일치도를 보인 영역은 전문가들의 의견에 따라 수정․보완되어 최종적으로 역량을 확정하였다. 확정된 초등학교 교사의 실과교육 역량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의 실과교육 역량은 최종적으로 실과교육 지식 역량군, 실과교육 수행 역량군, 실과교육 태도 역량군의 3개의 영역으로 범주화 되어 3개의 역량군과 18개의 역량으로 구성되었다. 역량군별 역량을 살펴보면 1. 실과교육 지식 역량군은 1-1. 실과 교육과정 지식, 1-2 실과교과 내용 지식, 1-3. 실과 수업 방법 및 평가 지식, 1-4. 실습활동의 절차 및 도구 이해 지식, 1-5. 학생 관련 지식으로 구성되었다. 2. 실과교육 수행 역량군은 2-1. 내용 통합 능력, 2-2. 수업 설계 능력, 2-3. 실과 수업 물리적 환경 조성 및 관리 능력, 2-4. 실과 수업에서의 상호작용 능력, 2-5. 노작활동 지도 능력, 2-6. 실과 수업 실행 능력, 2-7. 실과교육 평가 능력으로 구성되었다. 3. 실과교육 태도 역량군은 3-1. 실과교육에 대한 확고한 신념과 의지, 3-2. 노작 경험 지향성, 3-3. 동료 교사와의 협력 의지, 3-4. 지역사회 연계 태도, 3-5. 정보 수용 및 활용 성향, 3-6. 생활 속 실천가로서의 윤리적 태도로 구성되었다. 둘째, 제2차 델파이 조사 결과 역량군 및 각 역량별 타당성 정도가 평균 4.62 이상, 긍정율이 92.3% 이상, 중위수 5, 사분범위 4~5사이, CVR값이 0.85 이상, 합의도는 0.8 이상, 수렴도 0.25 이하로 전문가 패널들의 의견 일치도가 높게 나타나 역량에 대한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셋째, 교육의 질에 있어서 교사의 중요성을 인식하면서 교사의 자질, 능력, 전문성, 역량 등에 대한 논의는 계속되어 왔다. 초등학교에서 실과교육은 교육적 가치에도 불구하고 현실적인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는데 이러한 상황에서는 교사의 역량이 교육의 성패에 중요한 가늠이 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도출된 초등학교 교사의 실과교육 역량은 실과수업이 가능한 초등학교 교사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역량을 규명함으로서 실과교육의 바람직한 실행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햇빛초등학교 부부리마을교육과정’ 실행에 관한 사례 연구

        이세경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815

        이 연구의 목적은 혁신학교로 운영 중인 한 초등학교 사례를 질적으로 분석하여 교육 실행의 모습과 교육참여자의 경험이 어떠한지 서술하고, 그 교육적 의미를 이해하는 데 있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사례 연구를 연구 방법으로 활용하였으며, 사례에 관한 문서, 관찰, 심층 면담과 같은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례에 담긴 교육적 의미를 해석하였다. 먼저, 연구의 이론적 기반을 다지기 위해서 교육혁신과 혁신학교, 실과교육의 목적과 내용, 이 연구의 사례가 된 ‘햇빛초등학교’(가칭)의 교육활동과 관련된 문헌을 고찰하였다. 선행연구로는 혁신학교 참여자 경험에 관한 연구, 사례가 위치한 지역인 전라북도 학교교과목에 관한 연구, 혁신학교와 실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를 고찰하였다. 이러한 문헌 고찰을 바탕으로 햇빛초등학교 교사 2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2회에 걸친 심층 면담을 수행하였다. 심층 면담에서 이루어진 대화 내용은 녹음 후 전사하여 활용하였고, 이외에도 현장 방문 및 관찰, 교육활동 결과물 등을 연구 진행과 함께 수시로 수집하여 사례를 종합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햇빛초등학교 부부리마을교육과정 실행은 학생이 주체로 서는 교육, 배움을 삶으로 통합하는 교육, 학교·학부모·마을이 함께 하는 교육의 모습으로 나타났다. 햇빛초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교육활동은 학생이 배운 것을 자신의 삶 속에서 영위할 수 있는 자립적인 인간으로 자라는 것을 지향하였으며,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 교사와 학부모, 마을공동체가 연대하고 협력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둘째, 햇빛초등학교 부부리마을교육과정 실행의 의미는 교육의 단기적인 결과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과정을 온전히 즐기는 경험을 중시하는 교육, 앎과 삶을 연결하는 교육의 가치, 교육참여자 모두가 주체로 성장하는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햇빛초 교육참여자들은 교육활동을 실행해 나가는 과정 그 자체에서 순수한 즐거움과 기쁨을 발견하였으며, 그 속에서 깨닫게 되는 생생한 지식을 삶 속에서 통합적으로 경험하며 성장하고 있었다. 셋째, 혁신교육과 실과교육은 교육의 목표, 내용, 방법 면에서 지향점을 공유하고 있었다. 두 교육은 모두 학습자의 삶을 기반으로 하여 통합적인 인간 발달을 추구하였고, 요리·목공·농업·환경·진로 등 인간의 생활과 밀접하게 관련된 요소를 중요한 교육내용으로 담고 있었으며, 실천적인 경험을 통해 신체와 정신을 함께 성장시키는 노작교육 원리를 교육 방법으로 삼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혁신학교 교육과정이 지향하는 지식의 형식은 실과교육에서 추구하는 지식의 형식인 실천적 지식이었다. 둘째, 노작의 가치가 전인교육이라는 학교 교육의 목표를 실현하는 데 기본 원리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을 혁신 교육이 실행되는 장면에서 확인하였다. 셋째, 실과교육을 구성하는 내용 요소가 특정 학년에서만 다루어지기보다는 초등학교 여러 학년과 충분한 시수에 걸쳐 폭넓게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었다. 넷째, 실과교육이 그것을 이루는 교육 철학에 기반하여 공교육의 패러다임 전환을 지향하는 혁신 교육 현상을 이해하는 데에 교육적 통찰과 비전을 제시할 수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에 덧붙여 후속 연구를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사례와 관련한 연구참여자를 학생, 학부모, 지역주민 등 다양한 교육 주체로 선정하여 사례의 의미해석을 풍부하게 하는 연구가 가능할 것이다. 둘째, 여러 교육학 및 교과교육 관점에서 혁신학교를 탐색하는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교육 연구의 주제와 지평을 넓힐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혁신학교라는 새로운 교육 현상에 실과교육학이 교육적 통찰을 제시하는 탐색적인 연구가 가능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qualitatively analyze the case of implementing the curriculum of an elementary school operated as an innovative school, describe the experience of the participants who participated in the educational implementation, and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To this end, case studies were used as a method of research, and data such as documents, observation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llected and the educational meaning contained in the cases was interpreted. First, in order to solidify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the study, we reviewed educational innovation and innovative schools, the purpose and contents of practical education, and the literature related to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Haetbit Elementary School' (tentative name), which served as the case of this study. As for preceding studies, studies on the experiences of participants in innovative schools, studies on school subjects in Jeollabuk-do, where the cases are located, and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novative schools and practical art education were considered. Based on this literature review, two teachers from Haetbit Elementary School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two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Conversations made in in-depth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for use. In addition, site visits, observations, and educational activity results were collected from time to time along with the progress of the research and used as data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the cas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implementation of the Buburimaeul curriculum at Haetbit Elementary School appeared in the form of education in which students stand as the subject, education in which learning is integrated into life, and education in which schools, parents, and villages work together. The educational activities carried out at Haetbit Elementary School aimed at helping students grow into independent human beings who can carry on what they have learned in their lives, and to realize this, teachers, parents, and the village community showed solidarity and cooperation. . Second, the meaning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Buburimaeul curriculum at Haetbit Elementary School could be understood as the process of enjoying the process of true education, the value of education that connects knowledge and life, and the process in which all participants in education grow as subjects. Participants in Haetbit Elementary Education found pure pleasure and joy in the process of carrying out educational activities, and were growing while experiencing vivid knowledge realized in it in an integrated way in their lives. Third, innovative education and practical art education share the same orientation in terms of goals, contents, and methods of education. Both educations pursued integrated human development based on the life of the learner, and contained contents related to human life such as cooking, woodwork, agriculture, environment, and career, and grew both physically and mentally through practical experiences. The principle of work-oriented activity education, which grows the body and mind together through practical experience, was used as an educational method. Based on these finding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the form of knowledge pursued by the innovative school curriculum was practical knowledge, which is the form of knowledge pursued in practical art education. Second, it was confirmed in the scene where innovative education is implemented that the value of labor can be used as a basic principle to realize the goal of school education of whole-person education. Third, it was necessary that the content elements that make up practical art education should be widely implemented across various grades of elementary school and sufficient number of hours rather than being dealt with only in a specific grade. Fourth, based on the educational philosophy that practical art education constitutes it, educational insights and visions can be presented in understanding the phenomenon of innovative education aimed at changing the paradigm of public education. In addition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follow-up studies a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it will be possible to conduct a study that enriches the interpretation of the meaning of the case by selecting various educational subjects such as students, parents, and local residents as participants in the study related to this case. Second, if research is conducted to explore innovative schools from various pedagogical and subject education perspectives, it will be possible to broaden the subject and horizon of educational research. Third, it will be possible to conduct exploratory research in which practical art education presents educational insights into the new educational phenomenon of innovative schools.

      • 초등학교 교사의 노작교육에 대한 인식

        송현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0815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사의 노작에 대한 인식, 초등학교에서의 노작교육 실태를 파악하고 실과교육과 관련된 노작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및 실태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노작 및 노작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과 초등학교에서의 노작교육의 실태, 실과교육과 관련한 노작교육에 대한 인식 및 실태를 조사, 진단하였고, 교사 개인변인과 학교 환경변인에 따른 노작 및 노작교육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어떠한지 분석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노작교육과 실과교육 관련 선행연구를 참고로 하여 질문지를 개발, 전문가 검토를 거쳐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았고 수정한 질문지로 예비 조사를 실시하여 신뢰도를 검증한 후 질문지를 최종 완성하였다. 450부를 배포하고 그 중 392부의 질문지를 회수하여 수집된 자료는 엑셀과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CVR값, Cronbach' 계수,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의 평균, 최대값, 최소값을 구하였고 변인 분석에는 t검증, F검증과 교차분석(chi-square)과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F검증의 사후검증 방법으로는 scheffe를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유의수준은 5%로 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게 되었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의 노작 및 노작교육에 대한 인식 수준은 다소 높은 편이었고 노작 및 노작교육에 대한 인식 영역 중 중요도 영역에서 가장 높은 평균을 보여 노작 및 노작교육에 대해 대부분의 초등학교 교사가 그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노작에 대한 사전적, 학문적 의미및 노작의 종류와 같은 노작 관련한 지식에 대해서는 다소 미흡한 정답률을 보여 노작에 대한 정확한 지식을 가지고 있지는 않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노작 및 노작교육에 대한 지식 제공과 이해를 높일 필요가 있다고 생각되며 이를 위해 노작 및 노작교육에 대한 교사연수 등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초등학교에서의 노작교육의 실태조사 결과 노작의 교육적 활용은 그다지 활발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노작교육이 활발하지 않은 이유로 많은 교사가 노작활동 준비의 어려움과 교재원, 실습실의 부재를 꼽았다. 반면, 노작교육이 활발한 이유로는 학생들의 노작활동에 대한 관심과 흥미가 높다는 점으로 파악되어 학생들은 노작활동을 즐거워하지만 교사들은 노작활동을 준비하는 점에 대해 많은 어려움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교실에서 노작활동을 하는 것에 대한 부담감도 높아 교재원, 실습실과 같은 시설의 요구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실과교육과 관련한 노작교육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실과 교과시간과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을 활용하여 교육과정 시간 내에서 노작교육을 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주당 3시간 정도를 노작교육 시간으로 적합하다고 응답하였다. 노작교육으로 적합한 영역으로는 요리 및 조리 활동과 재배활동으로 파악되어 초등학교의 실과교육에서 교과시간과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을 활용하여 재배활동과 요리 및 조리 활동을 통해 노작교육을 활발히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넷째, 여러 변인들과 노작 및 노작교육에 대한 차이에 있어서 연령 변인을 통해 살펴본 결과 20대의 신규교사보다는 40대의 경력이 있는 교사들이 노작에 대한 인식 수준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자라온 환경 변인에 의해 노작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었으며 읍면지역 출신의 교사들이 대도시와 중소도시보다 더 높은 인식 수준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실과지도경험이 있는 교사, 실과연수경험이 있는 교사가 노작에 대한 인식 수준이 높았다. 자라온 환경, 실과지도경험, 실과연수경험 변인을 통해 살펴본 결과 노작활동에 대한 경험이 있을수록 노작 및 노작교육에 대한 인식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학교 환경 변인과 관련하여서는 교재원의 유무와 노작활동에 대한 학교관리자 및 교직원의 관심에 따라 노작 및 노작교육에 대해 뚜렷한 인식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학교 내 교재원의 구축과 학교관리자 및 교직원의 관심 여부가 노작 및 노작교육의 인식 형성에 큰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기타변인과 관련하여서는 실생활에서 노작활동을 실천하고 있는 교사가 노작 및 노작교육에 대한 인식 수준이 월등히 높았고 실과지도경험이 있는 교사가 노작활동을 실생활에서 잘 실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노작에 대한 경험이 노작 및 노작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천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작 및 노작교육에 대한 교사 연수와 체계화된 노작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둘째, 학교 관리자의 관심과 교직원의 노작 및 노작교육에 대한 관심을 높이기 위해 여러 방안의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신규교사들이 노작 및 노작교육에 대한 인식이 낮은 것으로 파악되어 교원양성기관에서 노작교육에 대한 지도가 필요하다. 넷째, 교재원 같은 노작교육 시설을 구축할 수 있도록 재정적 지원의 뒷받침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교사와 학생들에게 노작 경험의 제공을 통한 인식 함양이 필요하다.

      •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실과 학습지도 제약요인

        유희섭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50815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실과 학습지도 제약요인들을 알아보고 이에 관련되는 변인들을 구명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 연구의 모집단은 경기도와 인천광역시의 초등학교 교사들이며, 도시 지역의 대표인 수원시, 인천시지역 112명, 중소도시의 대표인 고양시, 의정부시의 115명, 농촌 지역의 대표인 파주시, 김포시의 116명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유의표집하여 343명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306명의 자료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이 연구에서 적용한 주요 통계방법은 빈도 및 기술분석, 신뢰도 검증, 문항 변별도 검증, t-검증, 변량분석 등이었다. 통계 검증의 유의수준은 5%로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들의 실과 학습지도 제약요인은 학습 환경, 학습자인식, 교육과정, 교사인식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 인구학적 변인의 교사의 성별이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육과정 인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이며, 여교사가 남교사보다 실과 교육과정 면에서 학습지도의 제약을 덜 받고 있었다. 셋째, 사회 인구학적 변인의 교사의 실과 교과전담 경험이 초등학교 교사들의 실과 교육 인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이며, 실과 교과전담 경험이 있는 교사가 없는 교사보다 실과 교육에 대한 인식을 높게 가지고 있어 실과 학습지도의 제약을 덜 받고 있었다. 넷째, 사회 인구학적 변인의 교과지도 경험이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육과정 인식과 학습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이며, 실과 교과지도의 경험이 많을수록 교육과정과 학습환경의 제약을 덜 받고 있었다. 다섯째, 초등학교 교사들의 실과 학습지도 제약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은 실과 지도 경험, 실과 교과전담 경험 및 성별과 교사 인식, 실과 학습에 임하는 학습자 인식, 실과 교육과정 인식, 실과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 등이었다. 여섯째, 초등학교 교사들의 실과 교육에 대한 교사 인식에서는 직전 교육의 활용도, 지도능력 부족, 교과 관심도 저조 등이 학습지도 제약요인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일곱째, 초등학교 교사들의 실과 교육에 대한 학습자 인식에서는 안전사고, 소란스러운 학습 분위기, 실습 후의 뒷정리 소홀 등이 학습지도 제약요인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여덟째, 초등학교 교사들의 실과 교육에 대한 교육과정 인식에서는 실습 시간 부족, 교과 시간배정 부족, 교육과정 재구성 등이 학습지도 제약요인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아홉째, 초등학교 교사들의 실과 학습환경 대한 교사 인식에서는 실습시설과 교구 설비, 자원인사의 활용 여건, 실습지 구비, 관리자 인식 부족, 예산 지원 등이 학습지도 제약요인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초등학교 실과 학습지도에 대한 후속 연구와 현장 개선을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실과 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이 높은 편이나 실과 학습환경에 대한 인식 수준은 매우 낮으므로 효율적인 실과 학습지도가 이루어지도록 현장 실습 중심의 실습실, 실습지, 실습을 위한 교재 교구가 충분히 확보되어야 하겠고, 보다 자신감있고 질 높은 실과 교육을 위해서는 실과 전담교사를 배정하여 학습지도를 해 나가는 제도적인 개선책이 요구된다. 둘째, 흥미있는 실습 중심의 학습 지도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교사들의 실과 교육에 대한 관심도를 높이고, 실기 연수의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제도적인 지원이 요구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restrictive factors of teaching Elementary Practical Arts subject and to identify its related variables. The population of this study was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Kyeonggi and Incheon. An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Suwon and Incheon city(112), Koyang and Uejeongbu city of midsize urban areas(120) and Paju city, Kimpo city of rural areas(116) by using Purposive Sampling. 306 questionnaires were used in analyzing after data cleaning of 343 sheets. The major statistical technique that was applied to this study was Frequency & Descriptive, Cronbach'α, Item-Discrimination, t-test, ANOVA.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tested at 0.05 leve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s; 1. The restrictive factors in teaching elementary practical arts were shown in order of learning environment, learner's recognition, curriculum, teacher's recognition. 2. Among socio-populational variables, teacher's gender was influential factor to the recognition of curriculum, one of 4 restrictive factors in teaching, and female teachers were less restricted than male teachers. 3. Among socio-populational variables, the teacher's experience of teaching practical arts only was influential factor to the recognition of Elementary Practical Arts Education, the teachers who had experinced teaching Elementary Practical Arts only were less restricted because they have high recognition to Elementary Practical Arts Education 4. Among socio-populational variables, the experience of teaching Elementary Practical Arts is influential factor to the teachers' recognition of curriculum and learning environment , the more they have experience of teaching Elementary Practical Arts the less they are restricted. 5. The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restrictive factors wh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teach practical arts are the experience of teaching practical arts , how the teachers recognize learner's who joins in practical arts education, gender, teacher's recognition of curriculum and the recognition to the learning environment. 6. In teacher's recognition, the affecting factors are using level of knowledge that is acquired in their university days, the deficiency of teaching ability and low interest about practical arts education. 7. In the case of teacher's recognition to the learners joining in practical arts education, noisy learning atmosphere, accident, the negligence of arrangement after practicing were shown as the restrictive factors that are influential to teaching. 8. In the case of school teacher's recognition to practical arts education curriculum, the deficiency of practicing time, the deficiency of class hours, the remaking of curriculum were shown as the restrictive factors that are influential to teaching 9. In the cas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tion to the environment of practical arts learning, manager's deficiency of recognition, principal's disapproval when they go to some places to learn and the need of practicing land were the restrictive factors that are influential to teaching. On the basis of the results that were acquired from this study, I want to give some suggestions to renovate our classroom and to help succeeding studies. 1. Teacher's recognition level about practical arts education is high but the recognition level about learning environment is so low. And then we need to procure classrooms for practicing and land for practicing, materials and textbooks for practicing and we need to change our practical arts education system by allotting the teachers who teach only practical arts. 2. For interesting teaching that concentrates on practicing, there must be systematic support for the teachers to increase interest about practical arts education, to join the practical skill training course, to resolve the deficiency of skill and there must be the development of visual and audio material and teacher's endeavor

      • 실천적 문제 해결 중심 초등 실과 ‘가정생활’ 분야 내용 선정 및 조직

        이영선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0815

        이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초등 실과 ‘가정생활’ 분야 교육과정을 실천적 문제 해결 중심 교육과정 관점에서 보완하여 초등 실과 ‘가정생활’ 분야의 내용을 선정 및 조직하기 위해, 2015 개정 초등 실과 ‘가정생활’ 분야 교육과정에서 항구적인 문제와 이와 관련된 실천적 문제를 파악하여 그 내용과 조직을 구안하고, 구안된 내용을 타당성 검증을 통해 실천적 문제 해결 중심 초등 실과 ‘가정생활’ 분야 내용 선정 및 조직을 개발하는데 있었다. 실천적 문제 해결 중심 초등 실과 ‘가정생활’ 분야 내용 선정 및 조직의 개발을 위해 2015 개정 초등 실과 ‘가정생활’ 분야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개정 실과 교육과정의 성격과 목표, 교육내용을 파악하였고, 개정 가정과 교과와의 연계성과 계열성도 살펴보았다. 또한 실천적 문제 해결 중심 교육과정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초등 실과 교과에의 실천적 문제 해결 중심 교육과정의 도입과 적용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2015 개정 초등 실과 ‘가정생활’ 분야 교육과정과 미국의 오하이오 주, 오리건 주의 교육과정에서 추출한 실천적 문제를 재구성하여 7개의 항구적인 문제와 이와 관련된 35개의 실천적인 문제로 초안을 구안하였다. 구안된 실천적 문제 해결 중심 초등 실과 ‘가정생활’ 분야의 내용 선정 및 조직의 초안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15명의 실과교육 및 가정교육의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타당성 조사를 실시하였다. 실천적 문제 해결 중심 초등 실과 ‘가정생활’ 분야의 항구적인 문제에 대한 분석 결과 모두 평균 4.00이상, 긍정율 80%이상, CVR값이 .60이상으로 타당하다고 나타났다. 항구적인 문제 중 통계적으로 타당성이 다소 낮거나 전문가가 공통적으로 지적한 사항들에 대해 세분화나 삭제 또는 변경을 통해 수정을 하였다. ‘나의 건강한 발달을 위해 나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등의 총 7개의 항구적인 문제로 구성하였다. 실천적 문제 해결 중심 초등 실과 ‘가정생활’ 분야의 실천적 문제에 대한 분석 결과 1개의 실천적 문제를 제외하고는 모두 평균 4.00이상, 중위수와 최빈값은 4와 5점으로 타당도가 높았으나, 긍정율과 CVR값은 다양하게 나타났다. 실천적 문제 중 통계적으로 타당성이 다소 낮거나 전문가가 공통적으로 지적한 사항들에 대해 위치이동, 통합, 삭제 또는 변경을 통해 수정을 하여 7개의 항구적인 문제와 관련된 ‘나의 건강한 신체적 발달을 도모하기 위해 나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등의 총 30개의 실천적인 문제로 구성하였다. 최종적으로 개발된 실천적 문제 해결 중심 초등 실과 ‘가정생활’ 분야의 내용 선정 및 조직을 교육 경력이 많은 초등학교 현직 교사를 대상으로 현장적합성 검증을 하였다. 현장적합성 검증은 일반화가능도 계수를 활용하여 응답자간의 의견일치지수를 계산한 결과 0.728로 응답일치도가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실과 교과 역량 ‘실천적문제해결능력’ 등을 함양하는데 주효한 실천적 문제 해결 중심 교육과정은 교육과정 구성의 중심에 실천적 문제를 두고 있기에, 초등 실과 ‘가정생활’ 분야 전반에 실천적 문제 해결 중심 교육과정을 접목시키기 위한 실천적 문제를 개발하였다. 둘째, 실천적 문제 해결 중심 초등 실과 ‘가정생활’ 분야 내용 선정 및 조직에 대해 15명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전문가 타당성 검증 조사를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을 기본으로 한 7개의 항구적인 문제와 이와 관련된 30개의 실천적 문제를 확정하였다. 셋째, 확정된 실천적 문제 해결 중심 초등 실과 ‘가정생활’ 분야 내용 선정 및 조직에 대한 현장적합성 검증을 실시한 결과, 응답일치도가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개발된 실천적 문제 해결 중심 초등 실과 ‘가정생활’ 분야 내용 선정 및 조직을 현장에 적용할 경우, 실천적 문제 해결 중심 교육과정의 초등 실과교과에의 도입의 단초가 될 것이며, 초등학생의 문제해결력 신장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이 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하여 향후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천적 문제는 실천적 추론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길러주는 것이 중요하므로 개발된 실천적 문제의 실천적 추론의 과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학습내용을 학습자가 흥미있게 학습할 수 있는 내용으로, 지식의 습득보다 사고력의 함양에 초점을 두어 학습자가 자신과 가정, 사회의 변화를 수용하고 대처할 수 있는 내용으로 좀 더 구체화시키는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에서 선정 및 조직된 내용을 시행하기 위해서는 더욱 구체화된 교육목표와 내용, 교수․학습방법과 과정안 및 자료, 평가안 등의 개발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실천적 문제 해결 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이 우선되어야 하므로 이에 대한 교사 연수 기회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실천적 문제는 전 생애에 걸쳐서 지속적으로 일상생활에서 부딪히는 문제로, 학생들의 당면 문제와 관심사 및 사회적 이슈를 조사하여 반영한 연구가 필요하다.

      • 대구. 경북지역 초등교사가 認識하는 실과교육 活性化 방안에 대한 硏究

        임정달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50815

        초등실과가 교육 내·외적 원인에 의하여 7차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개정되어 오는 동안 다른 교과와는 달리 이수 학년과 주당 시간 수가 점차 줄어들고 있어 실과 교육에 대한 여러 가지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다. 더구나 2007년 수정 교육과정에서도 여전히 5~6학년에서만 실과교과 교육이 배정됨에 따라 향후 적어도 7년간 또다시 초등학교 6년 교육기간 중 2년간만 실과교과를 가르치게 되어 문제가 더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실과가 교과로서의 정당한 위치를 찾고 사회의 발전과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여 원활하게 교육되어지기 위해서 교육내용은 어떤 것이 선정되어야 하며, 지도 학년과 지도 시간은 어떻게 배정되어야 할지에 대하여 대구·경북 지역 일선 교사들의 견해를 조사하여 향후 국가교육과정을 운영하거나 재정립할 때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연구와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는데, 먼저 문헌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실과의 정체성은 실과교육에서 노작교육의 필요성, 실과교육의 학문적 구조와 실과 교과의 특성 측면에서 주장할 수 있으며 21세기 사회의 특성과 요구에서 실과 교육의 필요성 근거를 찾을 수 있다. 둘째, 제7차 교육과정까지의 교육시수는 계속 감소되어 온 것을 알 수 있으며, 교육목표와 교육내용은 의식주와 직업에 대한 이해, 기능과 지식, 사회와 협력, 건전한 생활태도, 즉 자립생활 및 실생활에 필요한 기초적인 기능과 직업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에서 일상생활에 필요한 일을 경험, 학생의 소질을 계발하고, 정보화, 세계화의 미래 실생활에 대처할 수 있는 기본적인 능력과 태도 배양으로 발달하였다. 이러한 변화 요인으로는 정치적, 사회적, 경제적, 철학적 변화 요인에 기인되었다고 볼 수 있다. 셋째, 제7차 초등실과교육과정 운영에의 문제점으로는 이수시간과 학년의 감축, 실과교육에 대한 학교 구성원의 인식 변화, 교사 연수의 부적절, 시설 설비 및 기자재의 부족, 실과 평가의 부적절성, 가정학습 과제 개발의 미흡 등을 들 수 있었다. 다음으로, 조사연구는 초등실과교육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초등실과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 그리고 초등 교사들의 실과교육 정상화 방안에 관해 SPSS/WIN 14.0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구 경북 지역 교사들은 실과 연수나 재교육의 경험이 5%에 불과하며, 실습실 구비 학교도 조사대상교의 9.1%에 지나지 않았다. 둘째, 실과 교과의 정체성에 대한 교사들의 응답은 다음과 같았다. (가) 실과 교과의 독립교과로서의 필요성을 인정하였다. (나) 교사들은 실과 교과가 생활의 적응능력과 일에 필요한 기본적인 소양을 기르는데 도움을 주는 교과로서 그 역할이 중요하다고 응답하였다. 특히 교육경력이 ‘6-10년’인 교사가 보다 긍정적인 응답을 하였다. (다) 교사들은 실과 교육이 아동의 적성 계발에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특히 여성인 교사와 교육경력이 ‘6-10년’인 교사가 보다 긍정적인 응답을 하였다. (라) 교사들은 실과교육이 아동들에게 미래 사회의 변화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과 태도를 육성하는데 기여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특히 여성인 교사와 실과지도 경험이 6년에서 15년 사이의 교사들이 보다 긍정적인 인식을 하고 있었다. (마) 교사들은 실과 교육이 일과 직업에 대한 건전한 태도를 갖게 하는 목표 달성에 충분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특히 여성인 교사가 보다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바) 교사들은 생명 존중이나 애정, 협동 활동 등 인성교육과 관련된 실과 교육내용들이나 활동이 인성교육에 도움을 준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특히 교육경력이나 실과를 지도한 경력이 어느 정도 자리잡혀 있을수록 긍정적인 반응을 하였다. (사) 실과 교과의 정체성을 확고히 하기 위한 방안에 관한 교사들의 의견으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는 내용을 타 교과보다 먼저 선점하여 가르쳐야 한다.’는 견해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셋째, 실과 교육의 정상화 관련 질문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 교사들은 대부분 3, 4학년의 실과 교육 공백기에 대해 교육과정의 ‘계속성’ 원리에 따라 학년 연계성에 따른 교육과정 편성을 현재와 같이 편성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나) 학년 연계성에 따른 시간 배당을 3학년부터 할 때 3학년부터 6학년까지 각 1시간씩 배당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견해가 가장 높았고 다음이 3, 4학년 1시간, 5, 6학년은 2시간 배당이었다. (다) 현행 실과 교육의 정상화 저해요인에 대해 교사들은 ‘실습실의 미비 및 기자재 부족’, ‘교육 내용의 부적절성’, ‘교사 실기 능력 부족(연수 부족)’을 가장 크게 보고 있었다. (라) 사회의 발전과 시대적 요구를 반영하기 위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실과교육 내용으로 교사들은 가정 경영, 진로 지도와 식생활에 관한 내용, 컴퓨터 교육, 환경에 관한 내용, 의생활, 재배, 전기·전자, 사육, 목공의 순으로 응답하였다. (마) 교사들은 실과 교육 정상화를 위해 실습실 구비보다 더 절실히 우선되어야 할 사항으로 ‘교과내용 혹은 교육과정개선’, ‘실습 기자재 및 자료 확보’, ‘실기 지도능력 연수’, ‘실과 교과에 대한 교육행정가, 교사, 학생, 가정의 인식변화’ 등의 순으로 선택하였다. (바) 실과교육 정상화에 필요한 기반을 조성할 수 있는 학교의 여건 정도(관리자의 반응)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보다 부정적이었다. (사) 실과 실기지도능력 향상을 위한 연수의 필요성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특히 교육경력이 중반 정도인 교사가 보다 연수의 필요성을 크게 느끼고 있었다. (아) 실과 교과 운영에 있어서 실습 자료와 교구의 부족이 있을 때 대처하는 방법에 대해 교사들은 필요한 교구와 자료구입을 요청하나 거절당할 때가 많지만 자체 수집으로 준비하여 수업에 임하는 적극적 교사가 가장 많았으나 전체적으로는 교육행정에 대해 부정적으로 응답하였다. 넷째,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응답은 다음과 같다. (가) 사회의 발전과 시대적 요구를 반영하기 위해 실과 교육 내용 중 강화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내용으로 교사들은 진로 교육, 가정 경영, 컴퓨터 교육, 환경, 식생활, 전기·전자, 재배, 의생활, 사육, 목공의 순으로 응답하였다. (나) 실과교육 내용 중 내용의 적절성이나 난이도를 고려하여 수정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는 내용으로 교사들은 사육, 전기·전자, 목공, 재배, 컴퓨터 교육, 진로 교육, 가정 경영, 의생활, 식생활, 환경의 순으로 응답하였다. (다) 사회의 발전과 시대적 요구를 반영하기 위해 새로 도입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내용으로는 상업영역(경제교육), 안전교육, 주생활, 수산·해운영역의 순으로 응답하였다. (라) 교사들이 실과 수업에서 수행하고 있는 평가의 실태를 보면 ‘다양한 수행평가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자기평가와 아동 상호평가는 한두 번에 그친다.’가 과반수로 가장 많은 평가의 형태를 나타내고 있었다. (마) 실과 수업이 가정에서의 생활과 연계되어 지도되고 있으며, 그와 관련한 수행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해서 교사들은 ‘계속적 수행과제가 주어지지만 그에 대한 학부모의 평가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와 ‘자기 반성적 기록 평가만 이루어지고 있다’의 순으로 응답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실과 교과의 정체성은 학문적 배경과 실과교과의 특성, 그리고 21세기 사회적 특성과 요구되는 인간상 측면에서 그 근거를 확실히 밝힐 수 있다. 둘째, 실과 교과의 교육 시수와 학년의 감축은 노작적 체험을 통한 실습을 위주로 하여야 하는 교과의 특성과 학습의 연계성 면에서 많은 문제점을 야기시키고 있다. 셋째, 실과 교육목표와 내용의 변화는 그 시대의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변화와 국제 정세 및 교육사조의 변화에 기인하였으며, 시대의 요구와 미래 사회에 대한 대비를 위한 교육내용이 되어야 한다. 넷째, 실과 교육의 정상적 운영에 대한 교육행정가나 학부모들의 부정적인 인식 등을 포함하여 교육현장에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다섯째, 교육현장에서 실과교육 정상적 운영이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초등교사들은 실과 교육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다. 여섯째, 실과교육의 정상화를 위해서는 교육내용 등에 관한 교육과정 개편, 교사 실기연수, 실습실 및 실습 기자재의 확보 필요성이 요구된다. 지금까지 논의한 실과교육의 발전방안을 토대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과 교육에 대한 인식 성향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교사 외에도 학부모, 장학사와 연구사를 포함한 교육행정가 그리고 대구·경북 지역의 전체 초등학교 교사, 교감, 교장을 대상으로 조사 연구해 볼 필요가 있다. 둘째, 근무 지역별 인식 성향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은 근무 지역여건에 따른 교육여건이 다르기 때문으로 추정되나 정확한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그에 관한 조사 분석 연구를 더 할 필요가 있다. 셋째, 실과 교과의 정체성 확립과 초·중등학교에서의 실과 교육의 필요성을 확고히 하기 위한 학교와 사회의 인식 전환을 위한 현장 연구와 정책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e thesis was to provide necessary research material, which offering the normalizing methods of Practical Arts education conceiv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manage and to reconstruct the national elementary Practical Arts curriculum. Methods of achieving the purpose of the thesis were the literature review and the survey. The results of the literature review were as follows. First, the identity of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were found in the need for work education, the scholastic structure and the characteristics of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the social characteristics and the needs of 21st century society. Second, the class hours of Practical Arts education has been reduced through out the national curriculum while the purpose of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has not been changed much. Third, the problems of managing the 7th elementary Practical Arts education were reduced class hours, absence of Practical Arts education for 3-4 grades in elementary school, shortage of facilities and equipment for Practical Arts education, inappropriateness of Practical Arts education evaluation, so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only 5% of teachers who had the in-service education of Practical Art education and merely 9% of elementary schools had laboratories, workshops, facilities, and equipments for Practical Arts education. Second, the answers of teachers for the identity of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were ① the subject of Practical Arts was necessary to be independent, ② the subject of Practical Arts contributed to nurturing students' ability of adapting real life and basic groundings for works, ③ the subject of Practical Arts had helped to develop students aptitude, ④ the subject of Practical Arts had helped students to cope with the changes of future society, ⑤ the subject of Practical Arts helped students' sound attitude towards work and jobs, ⑥ the subject of Practical Arts had been performed as humanity education, ⑦ the subject of Practical Arts needed to get appropriate contents suiting to necessary of times. Third, the results of questions about the normalization of Practical Arts education were ① the subject of Practical Arts should be taught in 5th and 6th grade students, ② the subject of Practical Arts should be taught from 3rd to 6th grade students with 1-1-1-1 hours of time schedule or 1-1-2-2 hours of time schedule, ③ the impediment elements of normalizing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were the shortage of facilities for Practical Arts education, the inappropriateness of contents of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teachers' low abilities of practicing Practical Arts education, ④ the important contents of Practical Arts education were in orders of the home management, the career education, the dietary life, the computer education, the environment education, and so on, ⑤ the foremost matter to normalize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should be in order of the changes in content of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the curriculum of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securing the facilities and the materials for practicing Practical Arts subject, offering inservice education for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so on, ⑥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nceived the administrators would not normalize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⑦ it was necessary to have in-service education for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to improve teachers' practice ability, ⑧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d negative attitudes toward the school administrators on normalizing Practical Arts education. Forth, the answer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curriculum were ① the reinforcement contents in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should be the career education, the home management, the computer education, the environment education, and so on, ②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contents needed to adjust should be the raising animals, the electronics, the wood works, the cultivating plants, and so on, ③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contents needed to import were the commerce/economic education, the safety education, the residence education, and the marine and shipping education, ④ teachers managed various performance evaluation but rarely managed self- and mutual-evaluation, and ⑤ there were continuous performance assignment for students but there were no students evaluation performed by parents.

      • 초등학교 실과교과에 반영된 가정과교육 내용분석

        이춘희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50815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실과교과에 반영된 가정과교육 내용을 분석하여 교육과정 또는 교과서 개발시 학년간, 영역간 그리고 시대상황에 맞는 가정과교육 내용을 제공하고 나아가 미래 가정과 교육과정 개발에 도움이 되는 제언을 하는데 있었다. 실과 교과에 반영된 가정과교육 내용분석을 위하여 관련 문헌에 나타난 가정과교육 내용체계를 분석하여 초등학교 실과에서 다루어지는 내용의 의생활, 식생활, 주거환경, 생활자원의 관리와 소비생활, 가족 등 다섯 항목의 대영역과 열두 항목의 소영역을 설정하였다. 이를 가정과교수, 현직교사, 대학원생들에게 타당도 검증을 하고 의견을 수렴하여 이를 바탕으로 내용분석을 하였다. 내용분석은 교육과정기별, 영역별, 학년별로 하고 분석결과를 계량화하여 그 비중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기별 초등학교 실과교과에 반영된 가정과교육 내용분석 결과는 제1차부터 7차까지 평균 약 56%가 가정과교육 관련 내용으로 구성되었으며 의생활, 식생활, 주거환경, 생활자원의 관리와 소비생활, 가족 등의 내용이 다양하게 지도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의·식·주생활에서 흔히 일어날 수 있는 문제들을 합리적으로 생각하고 해결하는데 필요한 기본적 능력과 태도를 길러주기 위한 교육과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영역별 초등학교 실과교과에 반영된 가정과교육 내용분석 결과는 의생활영역의 피복선택과 옷차림, 수선과 피복위생은 지도내용이 점점 축소되다가 제7차 때는 삭제되었다. 식생활영역은 식생활 문화가 바뀌고 생활이 풍요로워짐에 따라 근대에 이를수록 영양과 건강문제에 관심이 높아진 것을 알 수 있었다. 가족영역은 제1차, 6차에서는 다루어지지 않다가 5차, 7차로 갈수록 중요성의 증가 추세를 보였다. 이와 같이 당시의 사회적 변화와 시대적인 요구에 따라 반영율이 높아지거나 낮아지며 삭제, 추가되는 내용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년별 초등학교 실과교과에 반영된 가정과교육 내용분석 결과는 3학년에서는 열두 항목의 소영역 중 여섯 항목이 지도되었고, 4학년에서는 열두 항목 모두 지도되었으며 5학년에서는 피복선택과 옷차림은 제1차, 3차, 6차, 7차에서는 다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6학년에서는 의생활영역이 제1차와 6차에서는 다루어지지 않았고 가족영역도 6차 때에는 다루어지지 않았다. 이와 같이 교육과정 개편 시마다 학년 선정과 교육내용이 바뀌는 것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초등학교 실과교과 중 가정과교육 내용개선과 미래 교육과정에 대한 전망 및 후속연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가정학을 연구하는 학자들의 다양하고 새로운 형태의 가정학 영역설정을 시도해볼 필요가 있다. 둘째, 초등학교 실과교과의 가정과교육 내용은 가정생활, 사회의 변화에 따른 교육과정의 이루어지도록 지속적인 연구분석이 필요하다. 셋째, 가정붕괴, 결손가정의 증가 등으로 인한 사회문제가 대두됨에 따라 가족의 중요성 인식을 위한 실과교육과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교육과정개정이나 교과서 개발 시 영역별 특성을 고려한 학년간 연계성, 계속성 등을 고려할 수 있도록 난이도에 따른 선정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were to suggest the strategies for the future elementary home economics Curriculum development. The content of the home economics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suitable for each grades stages and related areas according to the socio-cultural contents. The content of the home economics education in elementary Practical Arts textbook has been analyzed. The home economics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is made up of the clothing and life, the living environments, the food and nutrition, the management of life resources, our daily life as consumers and the family relationship. To analyze the content education, the major field of the home economics education has been categorized as 5 items and the minor field for 12 items, according to analysis of the content system of the home economics education with literature review. To make sure they're valid or not through professors in the home economics, the incumbent teachers and the graduate students, I gathered their opinions, decided them and analyzed the content based on it. The content analysis proceeded with the Curriculum periods, fields, school years. The analyzed results are as followings. Firstly, The analyzed results of the contents of home economic education as a practical course in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were consisted of 56.0% related to home economics education from 1st to 7th period, including clothing habits, diets, housing circumstances, life resources, consuming life, family etc. which was verified to be an educational course to raise the basic ability and attitude to reasonably think and solve problems of common occurrences in our food, clothing and housing lives. Secondly, of the contents of the home economics education in elementary practical arts text book, the choosing clothes, attire, clothes mending and clothing sanitation in the clothing area have gradually been reduced and were deleted in the 7th period. The food area has gained high interest of health as the food culture was changed and the life was abundant. The family area was not dealt in the 1st and 6th periods, but became important more and more as going from the 5th to the 7th period. As this it was used to be reflected more or less along with social changes and the ask of times and to be added or deleted. Thirdly. a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ontents in the practical arts textbook by grades, 6 items of the minor field formed of 12 items were taught in the 3rd grade, 12 items all in the 4th grade, the choosing clothes and attire were not dealt in the 1st, 3rd, 6th and 7th periods in the 5th grade, the clothes area was not dealt in the 1st and 6th periods in the 6th grade and the family area was not dealt in the 6th period. As this whenever the curriculum was amended, the contens by grades has been changed. As this, I suggest as the followings for the prospect and the succeeding study of our future education and improvement. Firstly, scholars in home economics education shall try to establish the area of new and diverse home economics education. Secondly, it requires to be continuously studied to be a curriculum available for home life and social changes. Thirdly, it demands the need of education and recognition of importance about family with social problems occurred, owing to home collapse or deficit family. Fourthly, it is desirable that the textbook author and the persons concerned in the curriculum improvement should think over consideration of the relative difficulty and the connection with the content of the school year.

      • 초등 실과교육에 대한 초등교사·초등학생·학부모의 인식 비교 연구

        김은지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81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efficient strategies for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providing basic material for curriculum revision on demand in practical arts in the future by examining, comparing and analyzing recognition of practical arts which have been underestimated in school settings despite its long history and great importance, amo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This study used the survey research method and the employed survey tool was a questionnaire developed by referring to and adjusting the questionnaire in Mun Mi-yeong (2003), Kim Jin-hui (2004) and Han Yeong-hye (2007). The questionnaire was divided into groups of questions regarding subfactors of recognition of practical arts education, such as perception or recognition of characteristics of education, purposes, curricula, importance, learning contents and management, comparing with other subjects and with this questionnaire,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elementary school teachers,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in 9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Daegu metropolitan city and Gyeongsangbuk-do, an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collected by mail and visit.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consisted of 261 sheets from elementary school teachers (87%), 290 sheets from elementary school students (96.6%) and 257 sheets from their parents (85.6%).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using SPSSWIN 12.0, and for empirica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As a result, the following findings were derived. First, newly appointed teachers with 5 years of experience and less have higher degrees of recognition of practical arts education rather than teachers with more experience. Second, teachers have much lower interest in practical arts comparing to interest in other subjects, regard it (practical arts) as unimportant and think that it is not used much in actual life. Third, recognition of practical arts is higher among elementary fifth graders rather than among sixth graders in towns and villages rather than in large and small cities. Fourth, students have relatively low interest in practical arts compared to interest in other subjects and regard it as unimportant, while they have positive perception of its frequency in use in actual life Fifth, there is no difference in recognition of practical arts education among parents according to variables. Parents have much low interest in practical arts compared to interest in other subjects and consider it as an unimportant subject, while have positive perception of its frequency in use in actual life. Sixth, compared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overall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parents have higher degrees of recognition of practical arts. Seventh, perception of characteristics, purposes and learning contents regarding practical arts is higher among teachers rather than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Eighth, perception of the curriculum and management of the practical arts subject is higher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rather than among teachers and parents. Ninth,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the practical arts subject is higher among parents rather than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Tenth, putting these results together, recognition of practical arts amo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is at the moderately higher level slightly over the middle.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for further study. First, this study limited its subjects to elementary school teachers,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in the Daegu and Gyeongbuk area, so further study should expand the range of samples in more areas in the nation so that the results could be generalized with validity. Second, it was revealed that recognition of practical arts education is higher among teachers and parents. Therefore further study should be conducted focused on developing and applying programs which can enhance recognition of practical art education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rd, this study employed the questionnaire method with which one's inner world is hard to be caught, so further study should be conducted with qualitative methods for more in-depth understanding. 본 연구는 역사와 중요성에 비해 학교 현장에서 낮게 인식되고 있는 실과 교육에 대한 초등교사·초등학생·학부모의 인식을 조사 및 비교·분석하여 실과 교육의 효율적인 방안 모색 및 향후 실과 교육과정 수시 개정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둔다. 본 연구에서는 조사연구방법을 사용하였고, 사용된 조사도구는 문미영(2003), 김진희(2004), 한영혜(2007)의 설문지를 수정하여 개발한 설문지였다. 설문지에는 실과 교육에 대한 인식 하위 요인을 실과 교육의 성격, 목표, 편제, 중요성, 학습 내용, 운영, 타 교과와의 비교로 구분하였으며, 이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대구광역시 및 경상북도 소재 9개 학교의 초등교사·초등학생·학부모이고, 방문 및 우편을 통해 설문지를 배포하고 회수하였다. 회수된 설문지는 초등교사 261부(87%), 초등학생 290부(96.6%), 학부모 257부(85.6%)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WIN 12.0을 사용하였고, 연구 수행의 구체적인 실증분석방법으로 빈도분석, t 검증, 일원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의 실과 교육에 대한 인식은 교직 경력 5년 이하의 초임교사들의 인식이 교직 경력이 높은 교사들의 인식보다 높다. 둘째, 교사들은 타 교과에 비해 실과에 대한 관심이 아주 낮고, 중요하지 않은 과목이라 생각하며 실생활에 별로 쓰이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셋째, 초등학생의 실과 교육에 대한 인식은 5학년이 6학년보다 높았고 대도시의 학생들이 읍·면지역 및 중·소 도시 학생보다 높았다. 넷째, 학생들은 타 교과에 비해 실과에 대한 관심이 낮은 편이고, 별로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았으나 실생활 사용 빈도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인식을 지니고 있다. 다섯째, 학부모의 실과 교육에 대한 인식은 변인별 차이가 없다. 학부모들은 타 교과에 비해 실과에 대한 관심이 아주 낮고, 중요하지 않은 과목이라 생각하였으나, 실생활 사용 빈도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인식을 지니고 있다. 여섯째, 초등교사·초등학생·학부모의 실과 교육에 대한 인식 비교를 하면, 실과에 대한 전체적인 인식은 교사와 학부모가 학생보다 높다. 일곱째, 실과의 성격과 목표, 학습 내용에 대한 인식은 교사가 초등학생과 학부모에 비해 높다. 여덟째, 실과의 편제와 운영에 대한 인식은 학생이 교사와 학부모에 비해 높다. 아홉째, 실과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은 학부모가 교사와 학생에 비해 높다. 열째, 이상의 결론을 종합해 볼 때, 초등교사·초등학생·학부모의 실과 교육에 대한 인식 정도는 중간을 조금 넘는 보통 수준이다. 위의 결론을 토대로 이 연구의 후속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조사대상을 대구·경북에 있는 초등교사·초등학생·학부모로 제한하였으나,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전국 각 지역을 표집 대상으로 함으로써 연구결과의 일반화를 시도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 실과 교육에 대한 인식이 교사와 학부모가 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후속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실과 교육에 대한 인식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겠다. 셋째, 본 연구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내면적인 인식을 설문지로 모두 조사하는 데는 한계가 있으므로 차후 연구에서 좀 더 심층적인 이해를 위해 질적 연구방법이 사용되어져야 할 것이다.

      • 초등 실과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진로인식에 미치는 효과

        조선자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815

        본 연구는 실과 교과에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진로교육의 효율적인 방안을 마련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의해 설정된 연구내용은 ‘첫째, 초등학생들의 진로인식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둘째,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초등학생의 진로인식 효과를 분석 한다’ 는 것이다. 연구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대구광역시 남구에 소재한 D초등학교 5학년 2개 반을 선정하여 4월에서 6월까지 3개월 동안 실과시간에 주 1회 연차시로 80분씩 총 24차시에 걸쳐 실험반에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은 실과교과에서 단원별, 차시별로 진로교육 관련 지도요소를 뽑고 지도 요소에 따라 동기유발자료 및 활동자료로 16개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단원 마지막 차시에는 단원과 관련 있는 직업을 탐색하여 직업사전 만들기를 하였다. 실과교과에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에게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반과 비교반 모두 진로인식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설계는 의도적 표집 방법에 순응하여 연구의 수행이 이루어질 수 있는 이질통제집단 전후검사 설계 방법을 사용하였고, 진로인식 검사지는 신뢰도 검사를 거쳐 사용하였으며 4점 척도로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WIN 12.0을 사용하였으며, 연구내용을 검증하기 위하여 t-검증, paired-t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과교과에서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수행한 실험반과 비교반의 진로인식을 검증한 결과,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나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과교과에서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수행은 진로인식의 하위 요소인 아동의 자아인식 능력, 일의 직업의 세계 능력, 일에 대한 긍정적 태도 능력, 의사결정능력 향상에 긍정적으로 기여하였음이 검증되었다. 따라서 초등학교 실과교과에서 진로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생들의 진로인식에 매우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이 입증되었다. 위의 결론을 토대로 이 연구의 후속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교육과정을 개발할 때, 진로교육 내용이 학년 발달단계에 따라 일관성 있게 그리고 체계적으로 반영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본 연구는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단기에 걸쳐 적용하였으므로 일정한 시간이 지난 후에도 유지될 수 있도록 가정과 지역사회와 연계한 프로그램의 개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겠다. 셋째, 초등학교에서는 담임교사가 모든 교과를 가르치므로 담임교사에 대한 진로교육에 대한 전문가로서의 소양교육이 필요하겠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약 3개월간의 실험을 진행하여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인식에 미치는 효과를 양적 접근을 통하여 검증하였으며, 개별 학생의 진로인식에 관한 질적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므로 실과교과에서 진로교육 프로그램에 따라 나타나는 개별 학생의 진로인식 변화 과정을 살펴보는 질적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 2015 개정 실과교육과정 기반 적정기술 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환경소양에 미치는 효과

        김남영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815

        이 연구는 2015 개정 실과교육과정 기반 적정기술 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환경소양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6학년 학생으로 구성된 동질의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설정하고, 실험 설계 시 이질통제집단 사전-사후 검사의 방법을 활용하였다. 실험을 위하여 우선, 두 집단을 대상으로 환경소양을 측정하는 사전 검사를 시행하였다. 그 후, 8차시 동안 실험집단에는 2015 개정 실과교육과정 기반 적정기술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과 수업을, 통제집단에는 일반적인 실과 수업을 진행하고, 환경소양 측정을 위한 사후 검사를 진행하였다.실험집단에 적용한 2015 개정 실과교육과정 기반 적정기술 교육 프로그램은 최지연(2012a)에 의하여 개발된 적정기술 기반 녹색기술 프로그램에 2015 개정 실과교육과정 및 환경소양 관련 내용을 반영 후 수정한 프로그램이다. 실험 투입 전에 프로그램에 대하여 전문가 집단으로부터 내용타당도 점검을 받았고, 전문가의 의견에 따라 개선이 필요한 부분은 수정하였다. 일반적인 실과 수업은 초등학교 6학년 실과 교과서 내용 중 가정 및 기술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내용을 위주로 진행되었다.검사 도구로는 환경부, 한국교원대학교 산학협력단(2019)에 의하여 개발된 초등학생용 환경소양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이 측정 도구는 개발 과정에서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되었다. 하위 영역은 환경 지식, 환경 정서, 환경 실천 총 3가지가 있으며, 문항은 영역별로 8문항, 10문항, 10문항, 총 28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문항 형식은 환경 지식 8문항은 선다형이며, 환경 정서 및 환경 지식 20문항은 리커트 척도 5단계이다.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전 검사 결과에 대해 독립표본 t-검정을 활용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을 검증하였다. 집단별로 다른 수업을 받은 후 실시한 사후 검사 결과에 대해서도 t-검정을 시행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후 검사 결과를 대상으로는 독립표본 t-검정을, 실험집단 및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검사 결과에 대해서는 집단별로 각각 대응표본 t-검정을 시행하였다. 유의수준(α)은 .05로 설정하였으며, 필요한 경우 t-검정을 시행하기 전 정규성 검증을 진행하였다.이 연구의 주요 결과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게 되었다.첫째, 적정기술 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수업은 초등학생들의 환경소양 함양에 도움이 된다. 적정기술 교육 프로그램이 투입된 수업을 받은 실험집단의 학생들의 환경소양 측정 사후 검사 결과가 통제집단의 사후 검사 결과보다 더 우수하였고, 환경소양의 향상 정도 역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더 높았다. 통계적인 검정 외 학생들의 생활 모습 변화 역시 위의 결론을 뒷받침하였다. 둘째, 적정기술은 초등학교 실과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교육 내용과 소재로서 가치가 있다. 학생들은 적정기술 교육 프로그램이 적용된 수업에 참여하면서 실과의 모학문인 가정과 기술 모두와 관련 있는 적정기술 학습 활동을 경험하였고, 첨단 기술의 문제를 실천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노력하였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은 ‘실천적 문제 해결과 실천적 학습 경험을 통해, 행복하고 건강한 가정생활과 창조적인 기술의 세계를 주도적으로 영위하기’라는 2015 개정 실과교육과정의 목표에 더욱 가까워졌다.셋째, 적정기술 관련 학습 활동은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을 유발하는 데 유용하다. 학생들은 수업 과정에서 자신의 삶에서의 환경 관련 문제를 다루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적정기술 관련 문제 해결 활동을 실천하였다. 본인의 삶과 밀접한 내용이 수업에 등장하다 보니 학생들은 수업 내용과 활동에 많은 관심을 보였다. 적정기술 관련 활동에 학생들이 선호하는 만들기 및 조작 활동이 포함되어 있다는 점 역시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였다.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하는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6학년 학생뿐 아니라 초등학교 다른 학년 학생을 대상으로도 적정기술 교육 프로그램 적용 관련 연구의 진행이 필요하다. 둘째, 적정기술 교육을 통해서 학생들에게 환경소양 외 다른 어떠한 역량을 길러줄 수 있는지에 관한 연구가 활성화되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