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소아병동 전담약사의 역할과 발전방향

        최윤정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759

        의약분업의 시행 이후 병원약국에서 약사의 업무는 기존의 조제 중심의 업무에서 복약상담, 약물 부작용 모니터링, 약물요법의 적절성 검토 등 다양한 분야로 확대 되었다. 의약분업 시행 이후 약 15년의 시간이 지난 지금, 약학대학의 교육 제도가 6년제로 개편되면서 약업계는 다시 한 번 변화의 시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임상업무 수행이 가능한 6년제 약사가 배출되고, 환자안전이 점차 강조됨에 따라 이제 일부 특수 진료과뿐만 아니라 일반 병동에도 전담약사 제도를 도입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아지게 되었다. 이에 서울아산병원에서는 2013년부터 소아병동에 대해 우선적으로 전담약사 제도를 실시해 왔으며, 일부 대형병원을 중심으로 병동전담약사 제도가 시범적으로 실시되고 있으나 이와 관련된 자료를 찾아보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울아산병원 소아병동 전담약사의 업무현황과 역할에 대해 소개하여 국내 실정에 맞는 병동전담약사 제도의 틀을 마련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또한, 약학대학 실무실습 과정부터 전문약사 취득에 이르기까지 임상약사 양성과정에 대해 국내와 미국의 현황을 비교하여 팀 의료의 일원으로서 전문적이고 능동적인 업무 수행이 가능한 인력을 양성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2014년 11월부터 2015년 10월까지 1년간 소아병동 전담약사가 수행한 업무에 대해 기록한 일지와 중재기록을 바탕으로 소아병동 전담약사의 업무 현황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임상약사 양성 과정에 대한 국내와 미국의 현황 비교 연구는 문헌조사와 인터넷 전자정보 검색을 통하여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서울아산병원의 소아병동 전담약사의 처방감사 활동 분석 결과, 월 평균 8437.4 건의 처방감사가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이 중 평균 43건의 처방에 대해 중재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Special TPN (Total Parenteral Nutrition) 처방의 검토는 월 평균 176.8 건이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이 중 약 43%에 해당하는 평균 76건의 Special TPN 처방이 약사의 제언에 의해 변경되고 있었다. 임상약동학 자문업무 (Therapeutic Drug Monitoring)는 월 평균 44.2 건이 시행되었으며, 와파린 복약지도는 월 평균 5.3 건, 흡입기 약물 복약지도는 월 평균 0.9건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병동전담약사 제도가 일찍부터 시행된 미국의 사례와 비교해 보면, 서울아산병원의 소아병동 전담약사는 미국의 병동전담약사처럼 회진에 참여하거나 병동에서 근무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의료진과 즉각적인 의사소통을 하거나, 직접적인 환자관리 (direct patient care)에 참여하기에는 어려운 부분이 있었다. 따라서 보다 양질의 임상약제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전담약사가 병동에서 일정 시간 근무하도록 근무형태의 변화를 검토해 볼 필요가 있으며, 진료과와의 협력을 통해 팀 의료 체제를 구축하여 궁극적으로 의료의 질 향상과 환자안전을 이룰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병동전담약사 제도의 정착을 위해서는 전문성을 갖춘 임상약사의 양성이 필수적이며, 국내와 미국의 현황을 비교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국 약학대학의 기초약무실습(60시간), 필수실무실습(740시간), 심화실무실습(600시간)을 이수하는 데 필요한 총 시간은 1400시간이며, 미국 약학대학의 IPPE(Introductory Pharmacy Practice Experience, 300시간)와 APPE(Advanced Pharmacy Practice Experience, 1440시간) 과정을 이수하는 데 필요한 총 시간은 1740 시간으로, 미국 약학대학에서 약 300시간 이상의 시간을 실무실습에 더 소요하고 있었다. 특히 미국에서는 IPPE 과정부터 현장실습을 중요시하고 있었으며, 팀 의료의 형태로 업무를 수행함에 따라 IPPE와 APPE 전반에 걸쳐 임상적 지식의 습득과 함께 다른 의료진과의 의사소통 능력 함양에 대해서도 강조하고 있었다. 약학대학 졸업 후 실무 연수과정으로 국내에서는 전공약사제도가 시행되고 있으며, 미국에서는 Post-Graduate Year(PGY) Pharmacy Residency 프로그램이 시행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전공약사제도는 각 병원의 상황에 따라 독자적인 방식으로 운영되어 옴에 따라 교육과정의 표준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반면, 미국에서는 ASHP (Americ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에서 PGY Pharmacy Residency 프로그램에 대해 표준화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미국에서는 특정 분야의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한 PGY2 (Post-Graduate Year Two) Pharmacy Residency프로그램을 이수하거나, BPS(Board of Pharmacy Specialties) 전문약사 자격을 취득한 약사가 관련 실무를 수행하도록 권장하고 있었다. 국내에서도 체계적인 임상약사의 양성과, 높은 수준의 임상약제서비스 제공을 위해 한국병원약사회를 주축으로 전공약사제도를 표준화하고, 전문약사 자격을 취득한 약사가 실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수가화와 관련된 정책적 개선 노력도 함께 해야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치료의 질을 향상시키고 환자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팀 의료 체제의 구축이 필수적일 것이며, 이 과정에서 병동전담약사 제도의 도입이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병동전담약사 제도의 정착을 위해서는 보다 체계적인 과정을 통해 임상약사를 양성할 수 있도록 실무실습과정과 실무 연수과정(전공약사제도)을 보완하고 표준화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할 것이다. 체계적인 과정에 의해 전문 인력으로 성장한 약사는 팀 의료 내에서 양질의 임상약제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며, 의료진은 환자에게 안전하고 최적화된 치료를 제공함에 따라 궁극적으로 한국 보건의료계가 발전하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After the separation of dispensary from medical practice, the traditional roles of hospital pharmacists have advanced from dispensing to various clinical interventions. Fifteen years have passed, the need for a paradigm shift in hospital pharmacist’s role emerged once again because of the reorganization of pharmacy school system. The graduates of the 6-year pharmacy school are trained through the practical training programs to play important roles as clinical pharmacists. In addition, because of the demand for a clinical pharmacist in medical team to provide optimal care for patients, AMC(Asan Medical Center) determined to implement a clinical pharmacist system in the department of pediatrics in 2013. System of clinical pharmacists is not prevalent in Korea hospital settings yet, so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troduce the roles of clinical pharmacist in the pediatric team and establish an applicable clinical pharmacist system in Korea hospitals. This study was also conducted to improve the quality and capacity of clinical pharmacists by comparing the practical training program, residency, and certification examination in Korea to the United States. For data collection, a daily log from November 2014 to October 2015 and interventions performed by the pediatric pharmacists were reviewed. To compare the practical training program, residency, and certification examination in Korea to the US, journal research and online information search was conducted. Study results are as in the following. Clinical pharmacists in the pediatric team reviewed 8437.4 medication orders per month, and made 43 interventions for a month on average. They also reviewed 176.8 Special TPN (Total Parenteral Nutrition) orders per month, and made 76 interventions for a month on average. Besides, the clinical pharmacists performed TDM (Therapeutic Drug Monitoring) consultation (n=44.2 per month on average), patient education for warfarin therapy (n=5.3 per month on average), and appropriate inhaler techniques (n=0.9 per month on average). Compared to the pediatric team in the US hospitals, pediatric clinical pharmacists of AMC did not participate in the ward rounds, so it was difficult to provide direct patient care or communicate with other healthcare team members(doctors, nurses for example). Therefore, for patient safety and optimal drug use, healthcare team members should cooperate with clinical pharmacists closely, and going on ward rounds together would be helpful to deliver high-quality clinical pharmacy services. For the settlement of the team-based patient care system, it is important to expand the capacity of highly trained clinical pharmacy practitioner first. Total required time to complete the practical training program was 300 hours longer in the US pharmacy school (1400 hours in Korea vs. 1740 hours in the US). Since the team-based clinical pharmacy practices are prevalent in the US, the US practical training program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effective interprofessional communication skills besides the clinical knowledge. After graduating from the pharmacy school, there is an internship program in the several hospital pharmacy in Korea, and Post-Graduate Year (PGY) Pharmacy Residency program in the US. ASHP (Americ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provides standard guideline for the residency in the US, but the internship in Korea hospital pharmacy is not standardized yet because it is conducted differently by the each hospital’s circumstances. To deliver high-quality clinical pharmacy services, KSHSP (Kore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should support efforts to standardize the internship program and reorganize the course for being a pharmacy specialist as in the US. In conclusion, to achieve more safe and highly-qualified patient care, the team-based care including the use of clinical pharmacists would be essential. For the settlement of the team-based patient care system, pharmacy schools and KSHSP should complement the practical training program and internship program. The competence of the clinical pharmacists would be upgraded through this systematic education process, and the pharmacy specialists would be able to provide high-quality clinical pharmacy services. Furthermore, the healthcare team could efficiently deliver safe and optimal care to patients and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Korea health care system ultimately.

      • Assessment of clinical trial transparency and its implications on primary outcome reporting in oncology journals : a systematic review, 2013-2017

        송승연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9711

        PURPOSE Persistent efforts have been made to promote clinical trial transparency, which included encouraging trial registration and prospective registration. Recently, major journals have started to request protocols for disclosure when publishing clinical trial result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xtent of registration, prospective registration and protocol disclosure in oncology clinical trials and assess for possible trends. Additionally, discrepancies between primary outcomes will be assessed between publication and registry or protocol among registered phase III trials. METHODS All phase II and phase III oncology clinical trials published in 5 major journals, Annals of Oncology,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JAMA Oncology, Lancet Oncology and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between January 2013 and December 2017, were included. Data on tri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registration status and availability of protocol and its location were collected. Among registered phase III trials, discrepancies were assessed by collecting primary outcomes specified in the publication, registry (both last and initial registry data) and protocol, if available. Pearson's chi-square or Fisher's exact tests were conducted to compare trial characteristics, Cochran-Armitage trend tests to assess for trend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to assess for possible associations. RESULTS In total, 625 articles were included. 92% were registered, of which 76% were prospectively registered. Overall, 27% provided protocols with a range from 2% in Annals of Oncology to 100% in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Increasing trends were observed in registration, prospective registration and protocol disclosure (all P < 0.001). Studies with enrollment number larger than median number were more likely to be registered (adjusted odds ratio (aOR), 3.10 [95% confidence interval (CI), 1.19 - 8.06]) and to provide protocols (aOR, 4.56 [95% CI, 2.47 - 8.44]) than those with smaller enrollment number. Studies with non-industry funding was less likely to be prospectively registered (aOR, 0.33 [95% CI, 0.19 - 0.57]) but more likely to provide protocols (aOR, 2.38 [95% CI, 1.35 - 4.17]) compared to those with industry funding only. Among 261 registered phase III trials, discrepancies in primary endpoint reporting were observed in 5% of studies from registry, 13% from initial registration and 7% from protocol. 63% of discrepancies from registry, favo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In 15% of registered trials, outcome measures were registered at a later time from trial registration and in 75%, changes were made, of which 15% were substantial changes. Discrepancies detected with initial registration data had moderate agreement (κ = 0.55 [95% CI, 0.41 - 0.70]), as well as high specificity (94.7%) and sensitivity (71.4%) with discrepancies detected with protocols. Prospective registration was a significant factor associated with less discrepancies in primary endpoint reporting. CONCLUSION Although the rates of registration, prospective registration and protocol disclosure of oncology trials have increased over the years, there is still room for improvement. Outcome measures are often entered late and changed after their initial registration. Such acts undermine the value of prospective registration as the registry information can no longer be used to validate the outcome reporting in publications. Thus, protocol disclosure needs to be further encouraged. 임상시험 결과에 대한 보고 투명성 향상을 위해 임상시험 레지스트리 등록, 특히 전향적 등록을 포함한 많은 정책들이 시행되어 왔다. 최근 주요 의학저널들은 이러한 투명성 강화 정책의 일환으로 연구자들에게 프로토콜 즉 연구계획서 공개를 요구하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는 임상시험이 가장 활발히 진행되는 암 관련 출판논문들의 임상시험 레지스트리 등록 수준, 프로토콜 공개에 대한 현황 및 트렌드를 분석하였다. 또한 임상시험에서 가장 주요한 1차 결과변수에 대해 레지스트리, 프로토콜 및 출판 논문 간 일치 여부를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최근 5년간 (2013년 1월~2017년 12월) 암 관련 가장 저명한 5개 주요 저널에 출판된 2상 및 3상 암 임상시험을 대상으로 추출하였다. 연구 1에서는 기본 연구특성들을 포함하여 연구등록상태 및 프로토콜 제공 여부를 수집하여 연구 등록, 전향적 등록 및 프로토콜 제공 실현 정도 및 그와 관련된 인자들 및 트렌드를 분석하였다. 연구 2에서는 등록된 3상 연구들에서 출판 논문과 레지스트리 간 또한 프로토콜 간 1차 결과변수 일치도 평가 및 관련 인자들을 영향 등을 분석하였다. 초기 출판된 1,644개 임상시험논문들 중 연구 1에서는 총 625개 논문이 최종 분석에 포함되었다. 암 임상시험의 92%가 레지스트리에 등록되어있었으며 이 중 76%가 전향적으로 등록되어있었다. 전반적으로 27%의 연구들이 프로토콜을 제공하고 있었으며 프로토콜 공개를 요구하지 않는 저널지인 Annals of Oncology에서는 2%, 계획서요구 저널지 중 하나인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에서는 100%가 프로토콜을 제공하고 있었다. 연구 등록, 전향적 등록 및 프로토콜 제공 비율은 최근 5년간 증가트렌드를 나타내었다 (각각, P < 0.001). 연구대상자 규모가 큰 연구들의 프로토콜이 더 공개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비산업적 후원을 받은 연구가 산업적 후원을 받은 연구보다 덜 전향적으로 등록 하였으나 (aOR, 0.33 [95% CI, 0.19-0.57]). 프로토콜은 더 공개하였다 (aOR, 2.38 [95% CI, 1.35-4.17]). 연구 2에 포함된 261개의 3상 임상시험 출판논문 중 5%가 레지스트리에 등록된 1차 평가변수와 불일치를 나타냈으며 13%가 최초로 등록된 1차 평가변수로부터 7%가 프로토콜에 등록된 1차 평가변수로부터 불일치를 나타내었다. 레지스트리에 등록된 1차 평가변수와 불일치를 나타낸 출판논문 중 63%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평가변수로 변경해 출판되었다. 등록된 3상 임상 시험의 15%에서 평가변수가 임상시험 등록 시점보다 늦게 기재되었고, 75%에서는 1차 평가변수가 최초 등록 후 변경되었으며 이중 15%는 유의한 변경이었다. 최초 등록된 1차 평가변수를 기반으로 발견한 불일치는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발견한 불일치와 보통의 일치도 (κ=0.55 [95% CI, 0.41 - 0.70]), 그리고 높은 민감도 (96.7%) 및 특이도 (71.4%)를 보였다. 전향적 등록은 낮은 1차 평가변수의 불일치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암 임상시험의 등록, 전향적 등록 및 프로토콜 공개가 수년에 걸쳐 증가하였음이 확인되었으나 아직 개선은 필요하다. 또한, 1차 결과변수가 레지스트리에 종종 늦게 등록되거나 최초 등록이후에도 변경됨이 확인되었다. 이는 레지스트리를 출판논문 결과변수 확인에 활용하는 데 제한적임을 시사한다. 따라서 프로토콜 공개를 더욱 많은 저널들이 권장하는 등 투명성 향상을 위해 도모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 약학대학 학제 개편에 따른 입문안의 제시

        배경은 숙명여자대학교 임상약학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711

        2009학년도부터 약학대학 수업연한은 6년(2+4)으로 연장되어 약학을 전공하려는 학생들은 다른 학과 등에서 2년 동안 소양교육을 이수 받은 뒤 별도의 약학교육 입문시험을 거쳐 약학대학으로 입학이 가능하게 되었다. 국제적 기준에 상응하는 전문직능인 약사를 양성하기 위한 약학대학의 학제개편에 알맞은 신입생 선발을 위한 합리적인 입문시험안과 선수과목안 및 입학요건에 대한 고찰이 제기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외국의 약학대학의 입문시험, 선수과목, 입학요건과 전형방법을 조사하고, 우리나라의 경우 의치학 전문대학원의 입문시험, 선수과목, 입학요건 및 전형방법을 조사, 비교하여 우리나라 약학대학 입문안의 합리적인 지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미국, 캐나다, 일본의 약학대학의 입문시험 및 선수과목, 입학요건에 대하여 자료를 수집을 하였고, 우리나라의 의치학 전문대학원을 시행하고 있는 대학의 입문시험과 선수과목 등에 대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외국의 약학대학의 입문시험과 의치학 전문대학원의 입문시험을 비교, 검토, 벤치마킹하여 우리나라 현실에 적합하다고 사료되는 국내 약학대학 입문시험의 안, 선수과목의 안, 지원자격의 안, 전형방법의 안을 개발, 제시하였다. Background In 2009, the pharmacy education will be prolonged from 4 years to 6 years. To enter pharmacy, applicant must have completed 2 years of prepharmacy in a university or college.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guideline for admission of pharmacy school - admission examination, initiative subjects, requirement for admission - through case study of pharmacy admission standard of foreign countries and medical, dental special graduate school admission standard. Methods Overall information regard to foreign pharmacy admission guideline and medical, dental special graduate school admission standard was studied with their official web site. Conclusion With the study of admission system - admission test, institution subject - between foreign pharmacy and interior medical, dental special graduate school. I proposed our pharmacy admission test must composed of language part, natural science I, II containing general biology, general chemistry, organic chemistry, general physics. also pharmacy initiative subject proposal must compose english, physics, chemistry, mathematics.

      • 국내외 임상시험 현황과 개선방안 연구

        김지연 숙명여자대학교 임상약학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711

        Background: Clinical trial is the test of new drugs on safety and efficacy to human beings. Currently, the investment in new drug development in Korea and the multi-national clinical trials in Asian region are increasing. In spite of the revision of regulation,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conducting clinical trials in Korea for the deficiency of experience and immaturity of using a new system. This paper analyzes the foreign regulation and service of clinical trial and the current status in Korea through a survey of the related institution. From these data this paper will investigate the problem and suggest the improvement in conducting clinical trial. Methods: The data including homepage of government office, journals, news and seminars was collected and analyzed to understand foreign regulations in United States, European Union, Japan, Australia and Taiwan. The survey of the institutions related to clinical trial was conducted to check the domestic status. Results: Each country has a similar approval process of clinical trial and new drug but it has own peculiarity; Providing wide and specific data by Center for Drug Evaluation and Research(CDER) in United States, Centralized system of EU, consultation of Japan by the Organization for Pharmaceutical safety and Research(OPRS), Clinical Trial Notification(CTN) scheme of Australia and Joint of Institutional Review Board(JIRB) of Taiwan. Thanks to these, the time required for approval is saved. The survey shows that domestic clinical trial will increase and its market will be extended. Besides, It indicates the lack of labor, insufficient education, the necessity of specification of related regulations as the biggest problem. Conclusion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it will be required that regulation is applied clearly, specific data provided, IRB managed co-operatively, consultation executed gradually. In addition, supplement of labor and regular education are needed. 임상시험은 인간을 대상으로 신약의 안전성 유효성을 평가하는 시험이다. 우리나라에서 근래 들어 신약개발을 위한 투자와 아시아 지역을 대상으로 한 다국가 임상시험이 증가하고 있으나 임상시험 관련 규정을 개정하였음에도 경험 부족과 제도 운영의 미숙함 등으로 인하여 임상시험을 실시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그러므로 외국의 제도와 행정서비스의 내용을 조사하여 우리나라에서 도입할 만한 제도를 알아보고 국내 임상시험관련 기관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우리나라의 임상시험현황을 파악하여 임상시험 관련 기관들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조사하고 개선하여야 할 점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외국의 제도를 파악하기 위해 미국, 유럽연합, 일본, 호주, 대만의 임상시험관련 정부기관의 홈페이지 및 논문, 뉴스, 세미나 등의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고 국내 현황파악을 위하여 임상시험기관, 제약기업, Contract Research Organization(CRO)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각 나라의 임상시험 및 신약과 관련된 절차는 거의 비슷하였으며 나라별로 특징적인 부분들이 있었다. 미국의 Center for Drug Evaluation and Research(CDER)의 광범위하고 세밀한 자료의 제공, 유럽의 Centralized system이 특징적이었고 일본은 Organization for Pharmaceutical safety and Research(OPRS)에 의한 사전상담제, 호주는 Clinical Trial Notification(CTN) scheme, 대만은 Joint of Institutional Review Board(JIRB)등이 특기할 만 하였다. 이러한 제도를 통하여 각국은 임상시험의 승인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를 거두고 있었다. 설문조사에서는 우리나라의 임상시험이 계속 증가할 것이며 임상시험 시장도 발전할 것으로 전망했지만 가장 중요한 문제점으로는 임상시험과 관련된 인력 부족과 교육의 미비함 및 관련 규정의 세분화, 구체화의 필요 등이 지적되었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의 임상시험 관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보다 분명한 규정의 적용과 세밀한 자료의 제공 등이 요구되고 공동 IRB의 운영 및 사전상담제의 단계별 실시 등을 추진하여야 할 것이다. 더불어서 관련 인력의 충원과 규칙적인 교육도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 약학대학생들의 전문성과 자기성찰간의 관계

        남지나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711

        Background: The newly adopted six-year pharmacy program in Korea aims for improving pharmacy students’professionalism. It hasn’t yet been studied on their professionalism and what the relevant variables associated with i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sure the validity of KPPI(The Korea Pharmacy professionalism Instrument) and to examined the relations between the professionalism, self-reflection and empathy of pharmacy students in South Korea. Method: A survey with PPI, self-reflection scale(SRS) and 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 (IRI) was administered to 385 pharmacy students in their fourth and fifth academic year from four universities. To estimate the construct validity of component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employed by using AMOS 23.0. Statistical analyses of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fine the predictors of professionalism using SPSS 23.0. Results: The survey response rate was 92.5%(356/385). The constructs of professionalism of Korean pharmacy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1) honor and integrity, (2) self-direction, (3) achievement orientation, (4) duty, (5) respect for others, (6) communication competency. Self-reflection(β=.510, p<.05) and empathy(β=.023, p<.05) were considered as good predicts of professionalism. Other significant predictors were sex(β=-.079, p<.05). GPA, grade(β=.077, p<.05). Male students(n=107) significantly reported higher professionalism score than female students(n=249) and fifth academic year students(n=216) higher than fourth students(n=140). Conclusion: Our study demonstrated the validation of Korean version of the PPI and the relations of self-reflection and empathy with it. The finding would help educators to assess the level of professionalism of Korean pharmacy students and find the way how they improve professionalism more effectively. 6년제 약학교육과정의 목표는 다양한 전공의 인적자원을 확보하여 다양한 가치를 지향하는 약사를 길러내고, 실무실습교육을 강화함으로써 약학적 지식과 기술을 갖춘 약사를 양성하고자 함인데, 이는 전문성을 기르는 것이다. 그러나 아직 한국 약학대학생의 전문성을 구성하는 요인을 파악한 연구는 수행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6년제 약학대학생들 대상으로 전문성 척도를 개발하고, 전문성과 관계된 요인을 파악하여, 이를 토대로 앞으로 6년제 약학대학 교육과정의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약학대학생 전문성, 자기성찰, 공감능력 간의 관계를 조사하기 위해 4개의 6년제 약학대학에 재학중인 4, 5학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한 단면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한국 약학대학생의 전문성 측정도구의 외적 내적 타당도 검증을 위한 요인분석과 전문성에 대한 예측인자를 파악하기 위한 상관성, 회귀분석을 SPSS 23.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한국약학대학생 전문성의 모형 구조에 대한 타당성과 모형 적합도를 평가하기 위해 AMOS 23.0을 사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설문지 응답률은 92.5%(356/385)이였으며, 한국 약학대학생의 전문성으로 추출된 요인은 (1) 정직성(honor and integrity), (2) 자기주도성(self-direction), (3) 성취목표지향성(achievement orientation), (4) 의무감(duty), (5) 타인존중(respect for others), (6) 커뮤니케이션 능력(communication competency)으로 미국과는 다른 개념이 추출되었다. 자기성찰(β=.510, p<.05), 공감능력(β=.023, p<.05)은 전문성을 예측하는 중요요인 이였으며, 개인적 요인 중 성별(β=-.079, p<.05), GPA, 학년(β=.077, p<.05)도 유의한 예측력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남자는 여자보다 전문성이 높았으며, 5학년이 4학년보다 전문성이 높았다. 본 연구의 의의와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약학대학생의 전문성을 최초로 규명했다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도구를 이용하여 한국 약학대학생의 전문성 수준을 파악하고, 이를 기르기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하는 등 교육과정의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국가 간 비교를 통해 한국 약학교육 수준을 간접적으로 점검하여 국제적 수준의 교육에 부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한국 약학대학생의 전문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처음으로 설명하였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에서 한국 약학대학생 전문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자기성찰, 공감능력이었으며, 이전의 한국 약학교육과정에서는 이를 길러주기 위한 노력은 이루어 지지 않았다. 6년제 교육과정에서 이러한 인간적 측면을 기르는 데 지속적인 노력한다면 다양한 소양을 갖춘 약사를 길러내어 국민 보건을 증진시킨다는 교육의 목표를 이룰 수 있을 것이다.

      • 국내 임상시험관리약사의 업무현황과 발전방향

        정승숙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711

        신약개발이란 약학 및 의학 전 분야의 기술을 총동원하여야만 달성할 수 있는 목표로서 사람에 대한 유효성과 안전성이 확보되어야 비로소 해당질병치료제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신약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확인하는 단계인 임상시험에 있어서 임상시험관리약사의 역할에 대해 임상시험참여자와 임상시험전담약사의 두 군을 비교해 알아보고 업무의 발전가능성과 이를 위해 어떤 준비를 해야할지에 대해 논의해보고자 했다. 대상은 대한 임상약리학회 회원과 현재 중앙대학교 용산병원과 공동으로 임상시험을 진행 중인 의료기관들의 임상시험참여자, 이를 의뢰한 제약회사나 리서치회사의 임상시험담당자로 하였고 대조군은 서울대학교병원 임상의학연구소의 임상시험담당약사로 하여 조사하였다. 총 136부의 설문에 48부의 회신이 있었으며 이 중 42부에 대하여 SPSS 프로그램으로 통계 분석하였다.(Pearson Chi-Square Tests, 그룹간 비교 시 p=0.05, 중복응답요청 한 항목은 그룹간 차이 비교 불가능) 응답자의 45%가 3차 대학병원 소속이었고 42.5%는 의뢰기관 소속으로 임상시험에 대한 경험은 1년 이상 3년 미만이 34.1%로 가장 많았으며 3차 대학병원의 44.4%와 의뢰기관의 70.6%에서 임상시험센터가 독립적으로 설치돼있음을 알 수 있었다.(p<0.05) 실제 업무 시 독립된 임상시험업무전담 부서의 필요성을 느낀다가 전체의 95.1%였으며 임상시험관리약사도 독립된 임상시험센터 소속인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응답자의 63.8%였다. 바람직하게 생각하는 임상시험관리약사의 업무는 임상시험용 의약품관리, 복약 지도 및 관리(각 10.9%), 연구사전모임 참여(10%), 투약계획 수립(8.6%), 임상시험계획서 및 증례 보고서의 검토, 모니터링 및 실사 준비(각 7.4%), 부작용 체크(6.5%)의 순서였고 임상시험관리약사로서의 업무수행을 위해 요구되는 임상경험 연수는 3년 이상∼5년 미만(40.4%)정도가 가장 많았으며 약사면허소지자로서 연수과정 이수자가 적당하다는 의견이 지배적(83%)이었다. 이를 위해 필요한 교육내용은 임상시험관리 규정(18.2%), 임상시험윤리(15.4%), 약품수불 대장 및 문서관리(13.1%), 임상시험 설계(10.7%) 외에 신약의 개발과정, 약물역학, IRB운영 등이 있었다. 응답자의 해당기관 모두에 약제관리비 성격의 연구비가 있었는데 적절한 지출내역으로는 임상시험약보관료(24.1%), 임상시험처방전 감사료, 피험자에 대한 조제료(각 19%), 임상시험준비업무 비용(18.2%), 임상시험종료 시 업무정리 비용(15.3%)으로 응답했다. 임상시험관련자에 임상시험에 대한 교육이수를 의무화하는 기관은 응답자의 21.3%에 불과했으나 임상시험에 대한 교육의 경험이 있다는 응답자가 80.9%였고 거의 매년 관련법규의 개정이 행해지고 점차 임상시험의 시행 횟수와 비중이 증가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하면 임상시험참여자에게 관련교육의 의무를 부과하고 연 1∼2회 이상의 교육은 수강하도록 하는 것이 타당한 듯하다. 또한 KGCP규정의 임상시험약 관리약사의 의무에는 없으나 현재 서울대학교 임상의학연구소의 임상시험담당약사의 업무이면서 임상시험참여자들이 임상시험관리약사의 바람직한 업무의 첫 번째로 꼽은 복약 지도 및 관리는 약사 본연의 업무일 뿐 아니라 의미 있는 임상시험결과의 도출을 위해서는 복약 이행이 우선 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임상시험관리약사의 업무로 규정되어야할 것으로 사료된다. Clinical trial involves a complicated process to prove efficacy and safety of candidate drugs in human subjects. In the United States, clinical trial pharmacists (CTPs) typically participate in the trial to ensure proper pharmaceutical care for the enrolled patients. Unfortunately, however, the necessity of pharmaceutical care has just been started to be recognized in the Korean society and, accordingly, CTP is not generally considered to be necessary in the management of clinical trials. This study is carried out to analyze current working status and general understanding of clinical trial pharmacist in related professionals in Korea in 2003. Therefore, the subject of the survey was study investigators, coordinators, sponsors that are participated in the multi-center study with Chung-Ang University Medical Center and the clinical trial pharmacist currently working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Clinical Trial Center. Out of 136 people 48 responded to the survey and the completed survey was subjected to an analysis by SPSS software (Pearson Chi-square Tests, p=0.05). The subjects consisted of professionals working in university hospitals (45% of respondents) and in sponsors (42.5% of respondents). 34.1% of the participant had 1-3 years of experience in their field work. In the survey, the institution for clinical trial appeared to have a reasonable rate of independency (44.4% of the university hospital and 70.6% of the sponsor own independent institution of clinical trial (p<0.05)). This survey reveals that ideal roles of CTPs are management of medicines in the trial (10.9%), patient education for medication (10.9%), participation in meeting related to the trial (10%), planning a dispensing (8.6%). 83% Of the respondents consider short-term workshop regarding clinical trial is sufficient for CTP. Approximately 40.4 % of the respondent felt that 3-5 year of experience as a clinical pharmacist was required to be a CTP. This survey indicated that ideal training programs for CTP are GCP, Korean Good Clinical Practices (KGCP 18.2%), clinical trial ethics (15.4%), management of clinical trial records (13.1%) and clinical trial planning (10.7%). Therefore, it appears reasonable to compel the regulatory agency for the participation of these training courses as a partial requirement for CTP. Although patient education for medication is not the responsibility of CTPs according to KGCP, the related guideline may encourage the compliance.

      • 임상시험 신고제 도입을 위한 관리제도 개선방안

        김원희 숙명여자대학교 임상약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711

        식약청이 임상시험 활성화 목적으로 임상시험 신고제 도입 의지를 표명한 후, 신고제 도입에 대한 긍정적인 기대와 더불어 국민의 안전에 대한 시민단체의 우려가 동시에 있었다. 신고제 도입 전 임상시험 관리제도 보완의 필요성이 있는 지 제도적으로 점검하고 신고제 도입 및 제도 개선 방안에 대한 각계 의견 파악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의 임상시험 관리 제도를 외국의 제도와 비교 평가하고, 제도 개선 필요성에 대한 각계의견을 조사하여 현행 임상시험 관리제도의 개선 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국내외 현행 임상시험 관리제도를 검토하기 위하여 국내외 관리당국의 홈페이지를 통해 현행 규정 자료집을 수집하여 비교 조사했다. 국내 임사이험 관리 방안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기 위하여 2009년 KAIRB 공청회 참석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인터넷 검색엔진을 통해 기사를 검색하여 임상시험 신고제 도입에 관한 각계의 의견을 수집했다. 국내외 관리제도 비교 결과 및 의견조사 결과를 반영하여 현행 제도의 개선방안을 도출했다. 외국의 임상시험 관리 제도를 검토하여 우리나라의 제도와 비교한 결과 현재의 임상시험 승인제도 자체는 효율성 및 완결성 측면에서 외국의 수준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사후관리 측면에서는 외국에 비해 임상시험 실태조사 지침, 실태조사 결과 현황이 공개적으로 운영되지 않고 있었다. 임상시험 신고제 도입을 위해서는 임상시험심사위원회 관리 제도의 강화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임상시험 등록제(clinical trial registry) 운영 측면에서 식약청은 주간 임상시험 승인현황을 공지하고 있으며, 식약청이 운영하는 임상시험정보방을 통해서 시험 제목, 대상질환, 시험 단계 등의 검색조건을 입력하여 관련 시험을 검색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나 공개되는 정보의 내용은 외국에 비해 다소 제한적이다. 임상시험 신고제 도입에 관한 각계 의견으로는 임상시험의 산업적 가치를 평가할 때 임상시험 활성화가 필요하다는 의견, 절차적 규제완화를 통한 임상시험 처리 속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국민의 안전성을 위협할 수 있다는 의견이 있었다. 국내 임상시험 관리 개선방안 및 신고제 도입에 관한 의견 설문조사에서는 임상시험 신고제 도입에 관하여 응답자의 75.6%가 국내 임상시험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기대했으며 응답자의 61.2%가 임상시험 신고제 도입에 찬성했다. 동시에, 신고제 도입을 위해 선행적 기반환경 조성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81.8%로 나타났으며, 신고제 도입을 위한 선행적 기반환경 조성으로 IRB 등록 및 인증제 도입과 IRB 심사위원 정기 교육 의무화에 대한 선택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임상시험 관리 제도 현황을 외국과 비교하고 개선 필요성에 대한 각계 의견 조사 결과를 종합적으로 평가한 결과, 앞으로 임상시험 관리 제도를 다음과 같이 개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고제 도입을 위해서 사전에 신고 절차를 계획하고 임상시험 승인 관련 규정을 정비해야 한다. 신고제 도입을 위한 기반환경 조성으로 심사위원회 관리 제도를 강화해야 한다. 신고제 도입 시 임상시험 실시 현황 정보를 공개하여 국민이 유용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국제적인 요건에 부합하는 수준의 임상시험 등록제를 운영해야 한다. 임상시험 사후 관리 강화를 위해서 식약청의 실태조사 기능을 강화하고 실태조사 관리 정보를 공개적으로 운영해야 한다. 조사 결과를 반영하여 결론적으로 임상시험 신고 절차(안), 신고제 도입을 위한 관련 규정 개선(안), 임상시험 등록제 운영방안, 실태조사 개선방안을 제안했다. 앞으로 임상시험 신고제 도입에 관하여 각계가 적극적으로 논의하기 바라며, 이 연구 결과가 참고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기를 바란다. 또한 신고제 도입을 위한 임상시험 관리제도의 개선 일환으로 신고제 운영 절차 및 심사위원회 관리 강화 방안, 임상시험 등록제 운영에 관한 세부 방안, 실태조사 관리 강화 방안 등이 보다 구체적으로 신중하게 논의되기를 바란다.

      • 바이오제네릭 의약품의 허가심사제도에 관한 고찰

        송태은 영남대학교 임상약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711

        For the development of approval and evaluation criteria for bio- generic drugs in Korea, the recent progress in the nomenclature and registry protocol of biopharmaceuticals as well as the related regulations, directives, guidelines, and points to consider in developed countri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in this study. Biogeneric drug refers as similar biologics or biosimilar drug (defined for similar biotechnology product) in EU and follow-on protein product(similar to a already approved or copied protein product) in US, respectively. An unified nomenclature and registry system is required for preparing directives and regulations for approval assessment system of biogeneric drugs. However current nomenclature system for chemical generic drugs is not applicable on biogeneric drugs owing to their structural complexicity. A new measure including the Korean Biopharmacopeia Registry system should be developed by referencing the establishment movement for the US Biopharmacopeia Registry under current progress. In EU, European Medicinal Evaluation Agency(EMEA) developed a regulatory framework for the approval of similar biologics, which is consisting of a network of interlinked documents of overarching guideline, comparability guideline, quality issues, non-clinical and clinical issues, and product-specific guidelines. The guidelines require a full preclinical dataset demonstrating equivalence in pharmaco- dynamic and toxicological aspects, and considerable and comparative clinical trials to prove comparative efficacy and safety. Follow-up safety data for immunogenicity and post-market pharmacovigilance plan are also demanded. In US, there is no regulations or legislation for biogeneric drug because of slow progress in the development of an approval pathway for follow-on biologics in Food and Drug Administration(FDA). Following the Hatch-Waxman Act of 1984, the chemical generics has been approved by the abbreviated new drug approval(ANDA) pathway of 505(b)(2) provision of Food, Drug and Cosmetic Act(FDCA). However most of the biotechnology-derived drugs had been approved by biologic licensing approval(BLA) pathway under Public Health Service Act(PHSA), which does not contain the abbreviated procedure for the approval of biogeneric drugs. After the regulation of a small number of biologic drugs was transferred from the Center for Biologics Evaluation and Research(CBER) to Center for Drug Evaluation and Research(CDER) in 2003 by the FDA Modernization Act, the first FOPP, Omnitrope?? was approved in 2006 by FDA through 505(b)(2) ANDA pathway. The application of this ANDA for follow-on biologics is still controversal. Nowadays new legislations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follow-on biologics for price competition and patient accessibility has been submitted to Congress, and pressed FDA to develop a simplified approval pathway for bio-generic drugs. In 2008, World Health Organization(WHO) prepared a draft guideline for the abbreviated licensing pathway for biological therapeutic products in order to provide a globally acceptable principles for similar or clinically comparable biogeneric products. This draft describes two abbreviated licensing pathways namely the biosimilar pathway to be extrapolated the pre-approved indications and the clinical comparability pathway which does not permit the extrapolated indications. The Korean biotechnology and pharmaceutical companies are strongly willing to launch the biogeneric drugs into the world market, The simplified but internationally harmonized approval pathway to satisfy their desire as well as to ensure the public health is needed. In 2009 Korean Food and Drug Administration(KFDA) issued a draft to public named "the Guideline for the Assessment of Follow-on Biologics", describing the protocols for comparative study of quality test, nonclinical and clinical trials for safety and efficacy of biogeneric drugs. However the legislative measure should be made for a simplified approval pathway of biogeneric drugs. The "Regulation of Comparability Test for Biologicals" and specific guidelines for each biologic should be prepared in the following considerations; the promotion of Korean biotechnology company's activity for development of biogeneric drugs, the guarantee of public health based on the comparability in quailty, nonclinical and clinical results, and the development of more simplified approval pathway, and the reflection to internationally harmonized guideline. The simplified biogeneric approval principle proposed here is to evaluate the biogeneric drugs based on the comparability of quality, nonclinical result and the simplified bioequivalence result. Even though the bioequivalence of biogeneric drug is not proven, the establishment of the approval pathway for biogeneric drug based on the clinical comparability result on safety and efficacy is also desirable. 1980년 대부터 시작된 유전자 재조합 기술의 발달에 따라 등장한 단백질 의약품을 중심으로 한 생명공학의약품(biopharmaceutical; biological product)은 여러 난치병이나 희귀병의 치료 방법을 제공하여 왔다. 그러나 이러한 생명공학의약품은 전통적인 소 분자(small molecule) 의약품과 달리 분자량이 크고 복잡하며 다형 상태를 지닌 물질로서, 제조 및 생산 공정에 따라 그 구조가 아주 민감하게 변형되는 경향이 있으며, 이러한 미세한 구조 변화에 의해서 면역반응을 일으키거나 치료 유효성을 감소시키는 등 원치 않는 부작용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이의 승인 및 허가 절차는 합성 의약품에 비해 까다롭다. 2000년대 들어서면서 초창기 생명공학의약품 시장을 주도하였던 재조합 단백질 치료제들이 특허 만료시점에 이르게 됨에 따라, 많은 기업들이 바이오제네릭 의약품 개발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바이오제네릭 의약품은 발현 시스템, 숙주 세포, 정제 공정, 약물 전달 기술 등이 기 허가된 원 생명공학의약품과 똑같지 않기 때문에 제품이 반드시 동등하다고 할 수 없다. 이에 따라 유럽에서는 바이제네릭 의약품을 “유사 생물학제제(similar biologics; biosimilar drug)"로, 미국에서는 "후발 단백질제제(FOPP)"로 부르고 있으며, 이러한 바이오제네릭 의약품은 반드시 원 생명공학의약품과의 동등성(comparability) 또는 유효성(effectiveness)이 입증되어야 한다. 이러한 바이오제네릭 의약품은 2006년 Novatis 사의 제네릭 사업부인 Sandoz가 인체 성장호르몬인 Omnitrope&#9415;를 출시하면서 시작되었다. 이 후 2007년에는 에리쓰로포이에틴(erythropoietin; EPO)의 바이오제네릭 의약품이, 2008년에는 필그라스팀(filgrastim)의 바이오제네릭 의약품이 유럽에서 시판 허가를 받는데 성공하였다. 그러나 생명공학의약품들은 합성의약품보다 훨씬 복잡하고 까다로운 과정을 거쳐 개발되고 제조되고 있기 때문에, 생물학적 동등성을 확립하기가 훨씬 어렵고, 이를 기반으로 허가 심사 및 검토를 진행하는 방안을 도입하기가 그리 쉽지 않다. 우선 바이오제네릭 의약품의 통일된 허가 심사 규정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생명공학의약품의 명칭을 통일시키고, 이를 바탕으로 생물약전(Bio- pharmacopeia)을 제정해야 할 필요가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의약품의 명명 및 등재 시스템으로 CAS(화학 초록 서비스)명, USAN(미국 약전명)이나 INN(국제 일반명) 등이 사용되고 있지만, 이들은 활성물질 성분의 일차구조에 근거하고 있기 때문에,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생물학적 자원이나 제조 방법에 따라 다양성을 가지는 생명공학의약품 등의 생물의약품에 적용하기에 매우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미국에서는 생물약전(US Bio- pharmacopoeia)을 준비하면서, 생물의약품을 명명하기 위해 최초 개발된 원 생명공학의약품에 대해 UPN(고유 의약품명) 및 UAN(고유 성분명) 을 부여하고, 바이오제네릭 의약품에 대해서는 GPN(제네릭 의약품명)과 GAN(제네릭 성분명)을 부여하여 원 생명공학의약품과의 치료 동등성이나 대체조제 가능성 등을 반영할 수 있는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국내에서도 바이오제네릭 의약품 생산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대한약전”과 별개로 “대한생물약전” 또는 “생물의약품 제제기준”을 마련하고 바이오제네릭 의약품의 명명 및 등재 방안을 명시해서 체계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현재 바이오제네릭 의약품의 허가 승인 절차는 유럽에서 가장 체계적으로 잘 이루어지고 있다. 유럽 의약품평가청(EMEA)에서는 2005년 9월 CHMP/437/04)(Bio-similar 의약품 지침) 등을 제정하여 모(母) 가이드라인으로 하고, 2006년에 품질 평가에 관한 규정(BWP/49348/05), 전임상 및 임상시험에 관한 규정(EMEA/CHMP/42832/05) 등을 마련하여 간략화된 허가 승인 절차를 통해 유사 생물학제제(biosimilar)의 허가를 시작하였다. 이와 함께 2005년도부터 재조합 사람 인슐린, 사람 성장호르몬인 소마토트로핀, 재조합 과립구성장촉진인자, 재조합 에리쓰로포이에틴, 재조합 인터페론-α 등 각 제품별로 부가 지침을 설정하여 유사 생물학제제의 허가 승인에 활용하고 있다. 즉 유사 생물학제제에 대한 규정들은 모 가이드라인에 규정된 일반사항, 품질분석, 전임상 및 임상시험 등 분야별 일반사항, 그리고 제제별 특이사항 등 3가지로 나누어져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유사 생명공학의약품으로 신청하고자 할 때에는 ① 품질, 안전성, 유효성증명을 위한 동등성 시험에 적합한 표준의약품(reference medicinal product)을 선정하고, ② 특성, 분석시험, 제조과정 등의 제시와 함께 표준의약품과의 비교 동등성 실험을 통한 품질분석 자료를 제시해야 한다. 즉. 유사 생물학제제의 활성 성분은 분자학적 및 생물학적 면에서 표준의약품의 활성성분과 유사해야 하며, 약물제형, 강도, 투여경로가 유사해야 하고, 표준의약품과의 미세한 차이는 case-by-case에 따라 판정하게 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유사성을 증명하기 위한 품질 평가, 전임상 및 임상시험 지침들을 별도로 제정하여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유럽과 달리 미국에서의 바이오제네릭 의약품의 관리 체계는 보다 엄격하고 까다롭다. 미국의 생물학제제는 “공중보건법(PHSA)"에 의해 식품의약품청(FDA) 산하 생물학제제 평가연구센터(CBER)에서 통제하고 있으며, 일반 의약품은 “식품ㆍ의약품ㆍ화장품법(FDCA)”에 따라 의약품 평가연구센터(CDER)에서 관리하고 있다. 1997년 개정된 “식품의약품청 현대화법(FDA Modernization Act)”에서 공중보건법 351조에 의한 생물학제제 승인신청(BLA)과 식품ㆍ의약품ㆍ화장품법(FDCA) 505(b)(1)조에 의한 신약 승인신청(NDA) 절차의 차이를 최소화하도록 규정함에 따라, 재조합 단백질 제제들의 허가 승인 업무가 2003년부터 생물학제제 평가연구센터에서 의약품 평가연구센터로 이관되고, 이의 허가 승인 절차는 식품ㆍ의약품ㆍ화장품법에 의해 관리되게 되었다. 미국에서는 1984년에 통과된 "햇치 왁스만법(Hatch-Waxman Act)"에 따라, 원 개발 의약품(original drug)의 특허가 만료된 후 식품ㆍ의약품ㆍ화장품법(FDCA) 505(j)조에 따라 원 개발 의약품과 생물학적 동등성이 있는 복제 의약품은 축약된 신약신청(ANDA) 절차를 거쳐 제네릭 의약품(generic drug) 승인을 받아 시판할 수 있다. 그러나 생명공학의약품은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구조를 지니기 때문에, 이러한 절차에 의해 바이오제네릭 의약품의 동등성을 입증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바이오제네릭 의약품은 식품ㆍ의약품ㆍ화장품법(FDCA) 505(j)조 대신에 505(b)(2)조에 의해 기 허가된 의약품을 변형한 후발 의약품(follow-on drug)으로 인정하여 505(b)(1)조에 의한 정상적 신약신청(NDA)보다 다소 축약된 신약신청(ANDA) 절차를 거치도록 하고 있다. 이 조항에 의해 신약으로 승인되면 특허 보호를 받을 수 있으며, 치료동등성에서 A 등급을 받게 된다면 기존 의약품과 대체 조제도 가능하다. 이러한 축약된 승인절차(ANDA)를 거쳐 최초로 허가받은 후발 단백질제제(FOPP)는 재조합 사람 성장호르몬 제제 Omnitrope?渶?, 물리화학적 특성, 약물동태학, 약물동력학, 임상시험에서 기 승인된 표준의약품과의 동등성을 인정받았지만, 치료동등성이 인정되지 않아 대체조제가 불가능하다. 이와 같이 현재의 미국의 보수적 법적 체계 하에서 후발 단백질제제의 시장 진출에는 매우 까다로운 장벽을 갖고 있다. 이에 따라 의료비 부담의 상승에 따른 약제비 절감을 위해 후발 단백질 의약품의 시장 진입을 요구하는 현실을 감안하여, 2006년부터 바이오제네릭 의약품의 승인을 완화하기 위한 여러 법안들이 미 의회에 제출되고 있다. 2007년 2월에 제출된 “구명용 의약품 접근법”은 희귀 및 난치병 치료에 이용되는 생명공학의약품에의 환자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식품의약품청이 특허만료된 생명공학의약품의 바이오제네릭 의약품에 대해 임상시험을 생략하거나 단축하여 시장 진입을 용이하도록 공중보건법(PHSA) 351조의 개정을 요구하고 있고, 현재 에너지ㆍ상무위원회와 법사위원회를 통과하였다. 이 이외에도 “환자보호를 위한 생물의약품 혁신법", “소비자를 위한 생물학적제제법”, “생물학적제의 가격경쟁 및 혁신법", ”유사 생물학제제의 승인절차법" 등이 발의되어 간략한 절차를 거쳐 바이오제네릭 의약품이 진출할 수 있도록 공중보건법 351조의 개정을 촉구하고 있다. 이러한 미국 상ㆍ하원의 움직임에 따라, 그동안 보수적 입장을 견지해 온 식품의약품청도 이룰 적극 검토하고 있다. 우선 기 허가된 의약품과 생물학적 동등성이 입증되면 전임상과 소규모 임상시험을 수행하여 축약된 신약신청(ANDA)를 거쳐 승인하되, 대체조제를 할 수 없도록 하는 경우와, 여기에 치료동등성을 입증하는 유효성 임상자료를 추가하여 A등급을 받으면 대체조제를 허용하는 경우로 구별하여 허가 심사 절차를 실시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후발 단백질제제들은 치료 동등성을 확보하기 어려워 대체조제가 되지 않는 등 아직도 시장 진출이 까다로운 편이다.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국제적으로 일관된 바이오제네릭 의약품의 허가 정책을 수립하도록 하기 위해 2008년 10월 “생물학제제 표준화 전문위원회(ECBS)"을 통해 ”생물학적 치료의약품의 축약된 허가 절차에 대한 지첨서(안)"를 발표하였다. 여기에서는 바이오제네릭 의약품과 표준의약품과 유사성 정도에 따라 “생물학적 유사성 접근법”과 “임상동등성 접근법”을 제안하고 있다. 즉, 축약된 품질, 비임상 및 임상시험에서 표준의약품과의 유사성이 인정되면, 유사 의약품으로 간주하여 기 승인된 대조약의 적응증을 외삽할 수 있지만, 그렇지 못하더라도 비교 임상시험을 거쳐 임상적 효능 동등성을 입증하면 바이오제네릭 의약품으로 승인은 하되 기 승인된 대조약의 적응증을 적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안이다. 한국에서도 생물의약품의 안전성ㆍ유효성을 확보하기 위해 2003년부터 “생물학적제제등의 허가 및 심사에 관한 규정”을 제정하고, 이와 관련된 여러 지침들을 마련함으로써 생명공학의약품의 관리 체계를 구축하였다. 생물의약품 개발 초기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못한 국내 제약업계는 이러한 후발 생물의약품 시장으로의 진출을 시도하고 있다. 이러한 제약업계의 현실과 고가의 생명공학의약품에 대한 약가 인하를 위해 국내에서도 바이오제네릭 의약품을 관리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는 2009년 2월 내&#8228;외부 의견수렴을 통하여 “후발생물의약품 평가 가이드라인(안)”을 마련하고 현재 의견 수렴 중에 있다. 이 지침에서는 후발 생물의약품은 기 허가된 품목과 품질, 안전성 및 유효성 면에서 동등성이 입증된 생물의약품으로, 공중보건을 보증하기 위해 품질, 안전성 및 유효성이 용인할 수 있는 수준을 충족시킬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와 함께 현재 적용되는 임상적 동등성을 근거로 임상적으로 입증된 적응증에 대해서만 인정하는 허가 절차를 다소 완화하여, 대조약에 허가된 임상 적응증을 기초로 실제 수행한 임상 적응증보다 더 많은 적응증을 허가할 수 있는 적응증의 외삽을 허용하고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유럽, 미국 및 한국의 생명공학의약품 및 바이오제네릭 의약품의 허가 심사 제도와 세계보건기구에서 제안한 생물학적 치료의약품의 축약된 허가 절차를 바탕으로, 한국 현실에 적용할 수 있는 바이오제네릭 의약품, 즉 후발 생물의약품의 허가 심사 규정 마련에 있어서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고찰해 보았다. 1) 생물의약품은 합성 의약품과 달리 분석학적 비교 동등성, 비임상(전임상) 시험 비교 동등성 및 임상 비교 동등성의 확보는 반드시 필요하다. 2) 국내 제약업계가 후발 생명공학업체로 발돋움할 수 있도록 바이오제네릭 의약품에 대해 보다 완화된 규제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3) 따라서 한국에서는 바이오제네릭 의약품의 허가 승인 과정에서 보수적인 미국의 후발 단백질 제제에 대한 규제보다, 보다 개방적인 유럽의 유사 생물학제제 관리 방안을 참조하여 규정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4) 바이오제네릭 의약품의 허가 신청 시 품질 동등성 및 비임상(전임상) 시험에서의 안전성 및 유효성이 입증되고 간략한 임상 시험을 거쳐 생물학적 동등성이 인정되면 바이오제네릭 의약품으로 승인을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제제별로 임상 유효성 및 임상 안전성을 시험할 수 있는 임상 시험 기준들을 제시하여 유효성 및 안전성이 확보되면 허가 승인할 수 있는 등 보다 유연성있는 제도 마련이 필요하다. 5) 이러한 완화된 안전 관리 방안을 국제조화기구(ICH)에 반영시킬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국내의 제네릭 의약품 관리를 위해 마련된 규정으로는 ‘의약품 동등성시험 관리 규정’, “생물학적 동등성시험 기준”, 그리고 “의약품 등의 안전성ㆍ유효성 심사에 관한 규정” 등이 있다. 그러나 바이오제네릭 의약품의 동등성, 안전성 및 유효성을 입증하기에는 이러한 법적 장치로는 불충분하다. 따라서 “의약품 동등성시험 관리 규정”과 별도로 “생물학적제제 등의 동등성시험 관리 규정”’을 제정하여, 대조약, 시험약 및 동등성시험(임상시험, 약물동태학시험, 약물동력학시험, 임상 유효성시험, 임상 유효성시험, 임상 안전성시험 등)에 관한 항목을 규정함으로써, 바이오제네릭 의약품의 동등성을 입증하도록 하여야 한다. 그리고 동 규정에는 품질 동등성이나 전임상(비임상) 동등성이 입증되는 경우 각각 동등성시험의 면제 항목들을 설정함으로써 축약된 절차에 의해 전임상(비임상)시험 또는 임상시험을 할 수 있는 법적 장치를 만들 필요가 있다. 이와 함께 바이오제네릭 의약품 제제별로 전임상(비임상)시험 또는 임상시험에서 시험 항목들을 설정하여 지침을 제시함으로써 제약업계가 바이오제네릭 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해 줄 필요가 있다.

      • 인지질기반 나노캐리어에 탑재된 커큐민이 근치적 절제가 불가능한 전이성 대장암 환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황미경 嘉泉大學校 2020 국내박사

        RANK : 249711

        용해도와 생체이용률이 향상된 커큐민 함유 인지질 기반 나노캐리어를 성공적으로 제조하였고, 이 커큐민 함유 액제 제품을 근치적 절제가 불가능한 전이성 대장암 환자 40명에게 표준항암요법에 부가적으로 최장 60주 동안 투여 시, 삶의 질이 저하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연구종료 시점에서 부분관해(PR) 17.5%, 안정성 병변(SD) 55.0%, 진행성 병변(PD)이 27.5.0%로써 전체 환자의 72.5%에서 질환조절률(disease control rate, DCR)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반응은 빈혈, 호중구감소증, 오심/구토, 설사의 순서로 나타났으나 이는 표준 항암요법제에 의한 것으로 여겨진다. 용해도와 생체이용률이 향상된 커큐민 함유 인지질 기반 나노캐리어를 화학요법에 부가적으로 사용 시 삶의 질을 유지시키고 또한 질환조절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 임상시험 스타트업 단계시 고려사항의 국가간 비교연구 : 파머징 국가를 중심으로

        배수연 숙명여자대학교 임상약학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711

        연구배경 및 목적: 지속적인 의약품의 수요증가와 국내외의 제도 변화로 인하여 제약업계에서도 신약개발을 위한 노력을 지속중이며 또한 해외시장 진출에 눈을 돌리기 시작했다. 그러나 신약개발은 막대한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며 성공확률은 낮은 고위험사업이다. 이러한 신약개발의 비용증가는 주로 임상시험단계의 비용증가 때문이다. 임상시험을 지연시키는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으나, 예측하기 어려운 요소가 대부분이다. 그렇지만 임상시험 계획서를 규제기관에 제출하고 승인을 받고 연구시작을 위하여 준비하는 스타트업 단계에서는 사전준비가 잘 되어있고 정보가 제대로 주어진 경우, 소요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임상시험 진행을 위한 올바른 국가의 선정이 이뤄지면, 소요시간 및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연구방법: 향후 국내 제약사가 진출할 가능성이 높은 국가를 기사 및 문헌들을 통하여 선정한 뒤 문헌을 통하여 각 국가별 규정을 검색하고, 고려 사항들을 정리하였다. 또한 각 국가의 규제기관 웹페이지를 검색하고 정리한 내용들을 실제 제출된 문서목록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각국의 임상시험계획 승인 신청절차는 큰 틀에서는 모든 국가에서 국가산하의 규제기관과 각 기관의 윤리위원회의 승인 이후 임상시험이 진행이 된다는 것은 동일하였다. 다만 브라질, 멕시코, 아르헨티나, 칠레 등의 남미 4개 국가는 각 기관의 윤리위원회의 승인을 받은 이후에만 국가산하 규제기관에 신청이 가능하여, 동시에 진행이 가능한 러시아, 우크라이나, 남아프리카공화국과 비교하여 승인받는데 까지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제출문서의 경우에도 임상시험을 위해 필요한 계획서, 안전성과 유효성을 확인하는 자료 및 임상시험용 의약품에 관한 자료, 시험자에 대한 자료 등으로 유사하였지만, 세부적인 요구 사항은 국가마다 차이가 있었다. 승인 이후 임상시험용 의약품이나 임상시험에 사용될 의료기기 등의 수입을 위한 수입 허가증이나, 중앙실험실로 보내는 시료를 위한 수출 허가증에 대한 요구 사항도 국가별로 차이가 있었다. 결론: 국가별로 조금씩 상이한 요구문서와 승인 소요시간을 고려하여 다지역 임상시험을 진행하고자 할 때, 각 회사의 상황에 맞는 진출목표 국가를 선별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궁극적으로는 그 국가에서의 의약품 허가계획을 세우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그러나 신약 판매허가를 위한 각 국가별 세부정보가 추가적으로 연구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Due to continuous increase in demand for medicine and changes in domestic and overseas systems, the pharmaceutical industry has been making efforts to develop new drugs, has also begun to turn its attention to overseas markets. However, development of new drugs is a high-risk business that takes a lot of expense and time, and the probability of success is low. The increase in the cost of these new drug development is mainly due to the increase in costs at the clinical trial stages. There are many reasons for delaying clinical trials, but most are difficult to predict. However, in the start-up phase when clinical trial application is submitted to the regulatory body and prepare for the start of the clinical trial,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time required if the preparation process is good and information is given properly. Method: After determining the countries that domestic pharmaceutical companies likely to advance into in the future through articles, the regulations of each country are searched through the literature and try to summarize considerations through the regulations. In addition, searched and summarized information through searching web pages of each country’s regulatory agency, was compared with the actual submitted document list. Results: The approval process for clinical trials application per each country, was the same in all countries with the fact that the clinical trials should be carried out after the approval of national regulatory of each country agencies and ethical committees of each institution. However, the four South American countries, such as Brazil, Mexico, Argentina and Chile can submit application to regulatory agency only after they have been approved by the ethics committee of each institution, so it takes longer time compare to Russia, Ukraine and South Africa where it can be submitted to both regulatory agency and ethics committee in parallel. In case for required document, although the submission documents are similar with protocol, data confirming safety and efficacy, information of investigational product, investigators’ information and informed consent form, etc. The detailed requirements differed from country to country. After approval, requirement of the license to import investigational drug and/or medical device which will be used for clinical trials, and export license for shipping out samples to the laboratory located outside of the country is also different among countries. Conclusion: It would be possible to select countries according to each company’s situation in order to carry out multi-regional clinical trials in consideration of different request of documents and approval timeline. It will ultimately help establish a new drug approval plan in the country. However, additional specific information for new drug approval needs to be further investig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