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점막하 Midazolam의 병용투여 시 BIS 분석을 이용한 진정 평가

        이영은 이화여자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9391

        Purpos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the depth of sedation using the Bispectral index assessment with and without the added submucosal Midazolam to oral Chloral hydrate and Hydroxyzine for pediatric patients Methods : Twenty seven sedation cases were performed in this study. Selection criteria included good health (ASA I), 2 to 6 years of age, the need for sedation to receive dental treatment including anesthesia, and restorative procedure over at least two teeth. Patients were randomly classified into one group taking oral CH(60mg/kg) and Hydroxyzine(1mg/kg) and the other group recieving CH (60mg/kg) , Hydroxyzine(1mg/kg) and SM midazolam(0.1mg/kg). Nitrous Oxide(50%) was used for both group during sedation. Patients were monitored using a pulse oximeter and a BIS monitor. A behavior scale was rated as quiet(Q), crying(C), movement(M), or struggling(S) every 2 minutes watching a recorded videotape. For evaluating the depth of sedation, data including Pulse rate(PR), Saturation percentage of O2(SpO2) and the behavior scale were checked every 2 minutes and mean BIS index calculated every 2 minutes was collected for only 40 minutes from the beginning of treatment and was analyzed using T-test and Levene’s test. Result : Analysi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ean BIS index and SD during sedation across two groups(P<0.001). The group of patients injected with SM Midazolam in addition to oral CH and Hydroxyzine showed a lower mean BIS index and a narrower SD. PR and SpO2 for both groups remained within the normal values. Conclusion : SM Midazolam improved the sedation quality by deepening sedation depth without compromising safety and enabled the sedation pattern to be kept more stable.

      • 3-D finite element analysis of the effects of post location and loading location on stress distribution in root canals of the mandibular 1st molar

        오현근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33263

        유한요소방법을 통한 post 위치 및 교합력 위치에 따른 하악 제1대구치 근관내 스트레스 분석 이름 : 오현근 학과 : 의학과 치의학전공 지도교수 : 이동렬 목적: 본 연구는 유한요소방법 분석을 사용하여 포스트의 위치와 교합력 위치가 하악 제1대구치(mandibular 1st molar)치근관(root canal) 내부의 응력 분포양상 (stress distribution pattern)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재료 및 방법: 다음과 같은 세 가지의 다른 제1대구치 삼차원 모형을 구축하였다: NP모형(no post) – 근관치료(endodontic) 및 보철(prosthodontic) 치료 모형, MP모형(mesiobuccal post) – 근관치료 및 보철치료를 시행한 근심 협측 근관 (mesiobuccal canal) 포스트 치료 모형; DP 모형(distal post) – 근관치료 및 보철치료에 더불은 원심 근관 (distal canal) 포스트 치료 모형. 교합면의 다섯 가지 1mm2면적을 가진 부위 [근심 변연 융선(mesial marginal ridge), 원심 변연 융선 (distal marginal ridge), 근심 협측 교두(mesiobuccal cusp), 원심 협측 교두 (distobuccal cusp) 및 중심 와(central fossa)] 중 하나에 교합평면의 수직 방향으로 300N의 수직항력을 가하였다. 각 치근관에 가해지는 등가 폰 미제스 응력 (equivalent von Mises stress)을 유한요소방법 분석을 통하여 계산하였다. 결과: DP 모형은 NP 모형과 유사한 최대 응력값을 보였으며, 반면에 MP 모형은 현저하게 높은 최대 응력값을 보였다. 포스트 시술은 근관 내부의 응력 집중현상을 증가시켰으나, 이는 힘이 가해지는 부위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다. 결론: 제1대구치에서 근심협측 근관보다 원심 근관이 포스트 식립에 더 적합한 장소이다. 그러나 만약 근심협측 근관으로의 식립이 불가피할 경우, 교합 접촉면을 고려하여 중심 와 및 원심 변연 융선을 주요 작용 부위로 설정해야한다. 키워드: 유한요소방법 분석, 대구치, 포스트, 응력 Abstract 3-D finite element analysis of the effects of post location and loading location on stress distribution in root canals of the mandibular 1st molar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by using finite element analysis, the influence of post location and occlusal loading location on the stress distribution pattern inside the root canals of the mandibular 1st molar. Material and Methods: Three different 3-D models of the mandibular 1st molar were established: no post (NP) – a model of endodontic and prosthodontic treatments; mesiobuccal post (MP) – a model of endodontic and prosthodontic treatments with a post in the mesiobuccal canal; and distal post (DP) – a model of endodontic and prosthodontic treatments with a post in the distal canal. A vertical force of 300 N, perpendicular to the occlusal plane, was applied to one of five 1 mm2 areas on the occlusal surface; mesial marginal ridge, distal marginal ridge, mesiobuccal cusp, distobuccal cusp, and central fossa. Finite element analysis was used to calculate the equivalent von Mises stresses on each root canal. Results: The DP model showed similar maximum stress values to the NP model, while the MP model showed markedly greater maximum stress values. The post procedure increased stress concentration inside the canals, although this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site of the force. Conclusions: In the mandibular 1st molar, the distal canal is the better place to insert the post than the mesiobuccal canal. However, if insertion into the mesiobuccal canal is unavoidable, there should be consideration on the occlusal contact, making central fossa and distal marginal ridge the main functioning areas. Keywords: Finite element analysis. Molar. Post. Stress.

      • 정밀인장기를 이용한 인장손상에 따른 백서 좌골신경의 기능 및 전자현미경적 변화들에 관한 연구

        노원욱 울산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33263

        개요: 외상, 악교정수술, 턱성형 및 구강암 같은 구강악안면외과 수술도중 신경 견인으로 인한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보통 안면 및 하악신경이 손상되어 안면형태이상과 안면감각소실이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수술 후 삶의 질을 향상 시키고 신경의 기능을 예측하기 위해 손상된 신경의 회복정도와 예후를 인지하는 것은 중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견인으로 인한 신경손상과 회복 정도에 대해 알려진 바가 미약하다. 이런 점에서 이번 연구의 목적은 정밀 인장기를 이용해서 백서 좌골신경의 견인 시간에 따른 신경손상의 정도를 기능 및 조직학적 변화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백서 총 30마리를 6그룹으로 나눈 뒤 A와 D군은 신경을 노출시킨 뒤 아무 처치 없이 다시 봉합하였으며, B와 E군은 50g의 힘으로 5분의 인장손상 후 1주와 2주군, 그리고 C와 F군은 50g의 힘으로 10분의 인장력을 준 뒤 1주와 2주를 기다린 뒤 결과를 관찰한 군이었다. 인장력은 정밀 인장기를 이용하여 적용하였다. 장력을 제거한 뒤 바로 늘어난 신경길이를 측정하고 인장력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A , B와 C군은 1주, D, E와F군은 2주간의 회복기간을 거친 뒤 기능평가를 위해서 보행분석을 통하여 좌골신경지수를 구하였고, 투과전자현미경사진을 이용하여, 단위면적당 축삭갯수, 미엘린 두께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결과 : 견인 후 신경의 길이는 5분에는 27.3%, 10분에는 48% 정도로 늘어났다. SFI를 이용한 기능평가에서 1주와 2주의 차이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A 와 D군은 -11.47과 -6.5 이고, B와 D군은 -20.93과 -12.47이며, C와 F군은 -48.78과 -22.15였다. 전자현미경상에서 부분적인 미엘린 퇴행을 보였고, 축삭의 갯수에서 A, B, C군은 11379, 14921, 10939 이고 D, E, F군은 12789, 19174, 14454였다. 그리고 미엘린 두께는 A, B, C군은 1.85, 0.93, 0.62㎛이고, D, E, F군은 1.95, 1.21, 0.85㎛였다. 결론 : 50g의 인장력은 초기에 신경의 기능적 손상을 야기 시켰다. 5분에 비해 10분은 기능손상에 있어서 큰 차이를 보였으며, 1주와 2주 후의 차이도 크게 나타났다. 그러나 50g의 인장력은 회복가능 한 힘이었다. 신경손상의 회복 정도는 짧은 기간에 있어서는 인장력을 가한 시간에 달려있었다. 백서좌골신경의 인장력의 역치는 50g 이상으로 판단되었다.

      • 齒科醫師 倫理의 歷史的 脈絡

        안재현 仁濟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33247

        목 적 : 한국 치과의사 윤리강령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올바른 방향을 고찰한다. 방 법 : 치과의사 전문직의 형성과정을 고찰하고, 윤리강령의 역사를 분석한다. 치과의사 윤리강령의 역사를 살펴보고, 그것이 전문직화 과정에서 어떤 역할을 했는지 분석한다. 치과의사 윤리강령의 내용과 구조를 분석한다. 한국 치과의사 전문직의 형성과정과 윤리강령을 서구와 비교 분석하여, 한국치과의사 윤리강령의 내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한국에 맞는 치과의사 윤리강령을 모색한다. 결 과 : 서구 치과의사 전문직은 자율적 조직과 전문가주의를 토대로 형성되었다. 윤리강령은 치과의사의 능력과 신뢰를 높이고, 공중의 이익을 도모한다는 전문가주의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이런 역사에서 서구의 치과의사 윤리강령은 법률적 지지와 사회적 합의가 가능했으며, 그 내용도 전문가주의에 입각한 철학과 구체적인 규범과 지침을 만들었다. 반면, 한국 치과의사는 격변기의 역사와 국가주도의 의료정책에 의해 타율적으로 형성되면서 전문직화의 역사가 생략되었다. 이로 인해 윤리강령은 선언적 의미에 머물고 있으며, 구체적 윤리규범과 법률적 지지는 없는 실정이다. 한국 치과의사 윤리강령은 철학적 기반이 없으며 사회적 합의 과정도 없었다. 결 론 : 한국 치과의사 윤리 강령의 철학적 기반은 전문가주의에 입각하는 것이 한국 치과 현실에 적합하다. 윤리강령은 법률적 지지와 사회적 합의를 통하여 마련되어야 하고, 이런 과정을 통하여 공중의 신뢰를 높이고 전문가주의를 완성하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 치과의사 윤리강령은 구체적 규법과 진료에 대한 지침까지 포괄하여야 한다. 치과의사는 윤리강령을 위한 자율조직을 바탕으로 공중과 국가의 지지를 받아야 한다. This study analyzes problems of dental ethics, and inquires into its appropriate course. For this purpose, I inquired into the formative process of dental profession, and analyzed its ethical history. Investigating into the process of professionalization, I tried to unravel the role of dental ethics in that process, and analyzed the contents and structure of it. I compared the formative process and ethics of Korean dental profession with that of Westem societies. I tried to find suitable dental ethics in Korea by finding out and solving the problems revealed during this study. The main idea of dental ethics in Western societies is autonomous control, which is based upon and derived from the spirit of professionalism. Dental ethics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process of professionalization. In that process, both profession's authority and public confidence in the profession have been improved significantly. Public interest was secured accordingly. It was exactly the ethical practice that made the public to give autonomy and legal support to the profession. Thus dental ethics of Western societies could be based upon the philosophy of professionalism, and concrete standards and guiding principles derived from it. On the other hand, Korean dental profession has not experienced the process of professionalization, because the category of dental profession was not formative but just given by the government. As a result, the ethical codes have neither the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 nor philosophical background, not least concrete standards and legal support. Reflecting upon the real situation of Korean dental profession, I argue, it is suitable to adopt professionalism as a philosophical background although we have not gone through the process of professionalization. And I also argue that the professionalization has not, and will not be a completed project. It is an on-going process during which the profession and the public interact and at times conflict. Dental ethics should be seen as a product of social agreement and legal support achieved during this interaction.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f professionalism, I also argue, Korean dentists should not only observe the current ethical codes but also make and follow guiding principles and concrete standards of dental treatments. I also propose Korean dentists to found an autonomous organization for ethics, and try to interact with the public voluntarily.

      • 측두하악장애에서 악이복근 후복의 발통점 주사 후 하악와에 대한 하악과두의 위치변화

        김남수 인제대학교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33247

        국문초록 측두하악장애에서 악이복근 후복의 발통점 주사 후 하악와에 대한 하악과두의 위치변화 인제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치의학 전공 김 남 수 (지도교수 : 박 상 준) 목적 : 측두하악장애에서 악이복근 후복의 발통점 주사 후 하악와에 대한 하악과두의 위치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2008년 1월부터 12월까지 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 구강악안면외과에서 측두하악장애로 진단받고 악이복근 후복에 대한 2% lidocaine HCl을 이용한 발통점주사요법 후 증상이 해소되어 치료를 종결한 총 39명의 환자의 시술 전, 후의 편심 횡두개 방사선 사진( eccentric transcranial radiographs)에서 하악과두와 하악와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였으며, Wilcoxon sign rank test를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 악이복근 후복의 발통점주사요법을 시행 전 하악과두와 하악와의 거리의 평균값이 좌측에서 전방 1.87±0.80 mm, 중앙 2.73±0.92 mm, 후방 2.09±0.99 mm 이었으며, 우측에서는 2.00±0.83 mm, 중앙 2.72±0.98 mm, 후방 2.08±0.93 mm 이었으며, 악이복근의 발통점주사요법을 시행하여 측두하악장애의 증상이 해소되어 치료가 종결된 시점의 하악과두에서 하악와까지의 거리의 평균값은 좌측에서 전방 2.04±0.83 mm, 중앙 2.78±0.95 mm, 후방 2.08±0.75 mm 이었으며, 우측에서는 2.13±0.76 mm, 중앙 3.04±0.99 mm, 후방 2.21±0.93 mm 이었다. Wilcoxon sign rank test를 이용한 측정값의 비교 시 우측 관절의 중앙에서, 좌우 관절의 비교 시 우측 관절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p<0.05) 결론 : 악이복근 후복의 발통점주사요법은 측두하악관절에서 하악과두와 하악와 사이의 관절간극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이는 측두하악장애의 증상을 해소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중심단어 : 악이복근, 발통점, 발통점 주사, 측두하악장애 ABSTRACT Positional change of mandibular condyle to mandibular fossa after trigger point injection of posterior belly of digastric muscles in temporomandibular disorders Nam-Soo Kim (Director : Prof. Sang-Jun Park, DDS, MSD, PhD.) Department of Medicine Graduate School, Inje University Objectives : This study was evaluated the positional change of mandibular condyle to mandibular fossa relationship before and after trigger point injection(TPI) of the posterior bellies of digastric muscles in temporomandibular disorders(TMD). Methods : 39 patients, who were diagnosed to TMDs & terminated treatment by TPI with 2% lidocaine HCl (no epinephrine) in posterior bellies of digastric muscles at department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Pusan Paik Hospital, Inje University from January to December 2008, were involved. The distances from mandibular condyle to mandibular fossa at three portions (anterior, middle and posterior directions in TM joint space) were measured and statistically analyzed by Wilcoxon sign rank test in transcranial radiographs before and after TPI. Results : The mean values of distance from mandibular condyle to mandibular fossa before TPI were measured: anterior 1.87±0.80 mm, middle 2.73±0.92 mm, posterior 2.09±0.99 mm at left joint and anterior 2.00±0.83 mm, middle 2.72±0.98 mm, posterior 2.08±0.93 mm at right joint. After symptoms were subsided by TPI, the mean values were measured anterior 2.03±0.83 mm, middle area 2.79±0.95 mm, posterior 2.08±0.75 mm at left joint and anterior 2.13±0.76 mm, middle 3.05±0.99 mm, posterior 2.21±0.93 mm at right joint. Statistical comparis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iddle portion of right TMJ among all portions and right TMJ between both TMJ. (p<0.05) Conclusion : Temporomandibular joint spaces were increased after TPI in eccentric transcranial radiographs, and symtpms of TMD were improved. TPI may be an effective treatment modality for management of TMD. Key words : digastric muscle, trigger point, TP injection, TMD

      • Methylation of p16 and E-cadherin in ameloblastoma

        박찬웅 인제대학교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33247

        국문초록 법랑모세포종에서 p16과 E-cadherin 유전자의 메틸화 인제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치의학 전공 박 찬 웅 (지도교수 : 박 상 준) 배경: Ameloblastic carcinoma는 드문 악성 종양으로 이전에 존재했던 양성 법랑모세포종의 악성변화(carcinoma ex-ameloblastoma) 혹은 원발성의 악성 법랑모세포종(de novo carcinoma)로 구분된다. 악성 종양의 발생과정에 종양억제유전자의 비활성화가 관여하며, p16 혹은 E-cadherin 유전자의 과메틸화가 법랑모세포종의 악성변화에 관여한다는 보고가 있다. p16 유전자는 세포주기 조절에 관여하며, Cadherin은 세포유착 분자로서 상피 표현형을 결정하며. 종양 전이에 관여하는 인자이다. 본 연구에서 법랑모세포종의 악성 변화 과정에 p16 과 E-cadherin 유전자의 메틸화가 관여하는지, p16과 E-cadherin 발현 감소가 관여하는지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총 8 례에서 얻어진 조직샘플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4 례는 재발없는 양성 법랑모세포종이었고, 2 례는 재발이 된 양성 법랑모세포종이었으며, 나머지 2 례는 법랑모세포종에서 진행된 악성 법랑모세포종이었다. 파라핀 포매된 조직 샘플 중 종양부위를 채취하여 DNA를 추출한 후 methylation-specific PCR (MSP) 방법으로 종양 조직의 p16과 E-cadherin 유전자의 메틸화 유무를 조사하였다. 남은 파라핀 포매된 조직 샘플로부터 tissue microarray block을 제작한 다음 p16과 E-cadherin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실시하여 발현 소실 여부를 판독하였다. 결과: 1) p16 유전자의 메틸화는 재발없는 양성 법랑모세포종 3 례, 재발된 양성 법랑모세포종 1례로 4 례에서 관찰되었다. 2) E-cadherin 유전자의 메틸화는 재발없는 양성 법랑모세포종 1 례에서 관찰되었다. 3) p16의 발현 소실은 양성 법랑모세포종 1례, 악성 법랑모세포종 1 례로 2 례에서 관찰되었다. 4) E-cadherin 발현의 소실은 재발없는 양성 법랑모세포종 2 례, 재발한 양성 법랑모세포종 1례 및 악성변이를 보인 법랑모세포종 2례로 5 례에서 관찰되었다. 5) p16 유전자의 메틸화를 보인 4 례 중 단지 1 례만이 p16 발현의 부분적인 소실을 보였다. 6) E-cadherin 유전자의 메틸화를 보인 양성 법랑모세포종 1 례는 E-cadherin 발현의 부분적인 소실을 보였다. 결론: p16 유전자의 비정상적인 메틸화 혹은 p16 발현 소실은 일부 법랑모세포종의 발생과 연관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나 법랑모세포종의 악성 변화와는 연관성이 없을 것으로 생각되며, 법랑모세포종 조직의 p16 발현 소실은 메틸화 과정이 아닌 다른 유전자 변이 과정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E-cadherin 유전자의 비정상적인 메틸화는 법랑모세포종에서 드물게 나타나는 반면 E-cadherin 발현 소실은 악성 변화를 보인 법랑모세포종에서 상대적으로 흔히 관찰된다. 따라서 메틸화가 아닌 다른 유전자 변이 과정에 의한 E-cadherin 발현 소실이 법랑모세포종의 악성 변화를 예측하는 부수적인 표지자가 될 것으로 추정된다. 중심단어: p16, E-cadherin, 메틸화, 법랑모세포종 ABSTRACT Methylation of p16 and E-cadherin in ameloblastoma Chan-Woong Park (Director : Prof. Sang Jun Park, DDS, MSD, PhD) Department of Medicine, Graduate School, Inje University Background: Ameloblastic carcinoma is a rare malignant lesion, and may arise either carcinoma ex- ameloblastoma or de novo carcinoma. Aberrant promoter hypermethylation of tumor-associated genes leading to their inactivation is a common event in many cancer types. P16/CDKN2/INK4A gene and P16 5 protein involved directly in the regulation of cell cycles. Cadherins are cell adhesion molecules that modulate the epithelial phenotype and regulate tumor invasio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roles of p16 and E-cadherin methylation and loss of p16 and E-cadherin expression in the malignant transformation of ameloblastoma. Methods: We analyzed 8 cases of ameloblastoma. including 4 benign ameloblastomas without recurrence, 2 benign ameloblastomas with recurrence and 2 carcinoma ex-ameloblastomas. The promoter hypermethylation profile of the p16 and E-cadherin genes was studied using methylation-specific PCR (MSP) and immunohsitochemical stainings for p16 and E-cadherin expression were performed. Results: 1) Aberrant CpG island methylation of p16 gene was detected in 3 benign ameloblastomas without recurrence and 1 benign ameloblastoma with recurrence. 2) Aberrant CpG island methylation of E-cadherin gene was found in 1 benign ameloblastoma without recurrence. 3) Loss of p16 expression were noted in 1 benign ameloblastoma without recurrence and 1 carcinoma ex-ameloblastoma. 4) Loss of E-cadherin expression was noted in 2 benign ameloblastoma without recurrence, 1 benign ameloblastoma with recurrence and 2 cases of carcinoma ex-ameloblastoma. 5) Partial loss of p16 expression was observed in 1 of 4 cases showing aberrant methylation of p16 gene. 6) Partial loss of E-cadherin expression. was observed in 1 benign ameloblastoma case showing aberrant methylation of E-cadherin gene. Conclusion: Aberrant methylation of p16 gene or loss of p16 expression might be associated with ameloblastoma but not related to the malignant transformation of ameloblastoma, and loss of p16 expression in the ameloblastomas might be related to another genetic alterations , not to the aberrant methylation. Aberrant methylation of E-cadherin gene may be a rare event in the development of ameloblastoma, in contrast, loss of E-cadherin expression is relatively comm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loss of E-cadherin expression related to the other genetic pathway (not methylation) might be a adjuvant indicator to predict the malignant transformation of ameloblastoma. Key words: p16, E-cadherin, methylation, ameloblastoma

      • 한국과 일본의 일반인 사이의 자기 만족도, 자기 의식도와 자기 인식도의 상관 관계 : Evaluation of self-satisfaction, self-awareness and self-perception in Korean and Japanese layperson

        이한나 울산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33247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correlation of self-satisfaction, self-awareness and self-perception between Korean and Japanese layperson. Materials and Methods: 60 Korean and 60 Japanese females between 18 and 27 years old who had no orthodontic treatment were taken photographs of their frontal and lateral view and they received 3 questionnaires. Their own frontal and lateral photographs was used in answering the questions. Anthropometric measurements; 2 angles, linear measurements of the upper and lower lips protrusion and 6 proportions were measured from facial photographs.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otal face satisfaction, self-awareness and self-preference between Korean and Japanese. Koreans were more aware and preferred their face than Japanese. Comparison of facial measurement and satisfaction of related variation from 24 facial questions,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nasal proportion, upper lip protrusion, lower lip protrusion and chin.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comparison of real measurement and self-evaluated silhouettes in Korean and Japanese. Conclusions: Koreans are more satisfied, aware and prefer with their own facial features than Japanese.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perception between groups in nasal proportion, upper lip protrusion, lower lip protrusion and chin in Korean and Japanese layperson.

      • 齒性囊腫에서 Interleukin-1α, -1β, -4, -6, -8 및 tumor necrosis factor-α의 發現

        한경민 仁濟大學校 2004 국내박사

        RANK : 233247

        목적: 치성낭종 중 치근단낭종과 함치성낭종은 구강에서 발생하는 흔한 골융해성 병변으로서 이들 낭종의 확장에 대한 정확한 기전에 대하여는 아직 밝혀져 있지 않다. 본 연구는 치성낭종에서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조사하여 낭종의 확장에 있어서 어느 사이토카인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상피 및 기질, 염증세포 등 어느 세포에서의 발현이 영향을 미치는지, 수반한 염증 반응의 정도에 따라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봄으로써 치성낭종의 확장을 유발하는 병태생리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방법: 생검 혹은 절제된 후 조직학적으로 진단된 치성낭종 50예를 대상으로 하여 현미경 소견상 염증과 섬유화의 정도를 관찰하고, IL-lα, -1β, -4, -6, -8, TNF-α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시행하여 치성낭종을 피복하는 상피, 기질 및 염증세포에서의 발현율을 조사하여 IL-lα, -1β, -4, -6, -8, TNF-α 발현과 조직학적 소견과의 연관성, IL-lα, -1β, -4, -6, -8, TNF-α 발현 상호간의 연관성을 통계학적으로 검정하였다. 결과: 1. 치성낭종은 조직구에서 IL-lα와 IL-lβ는 각각 33예(66.6%), TNF-α는 20예(40.0%)에서 양성반응을 보였고, 상피세포에서 IL-4는 16예(32.0%), IL-6는 19예(38.0%), IL-8은 12예(24.0%)에서 각각 양성반응을 보였으며, 그 외에 IL-4는 형질세포에서 19예(38.0%), IL-6는 혈관내피세포에서 20예(40.0%), IL-8는 중성구에서 12예(24.0%)가 양성 반응을 보였다. 2. 염증이 심해질수록 형질세포에서 IL-4의 발현율이 높아졌고 상피세포와 중성구에서 IL-8의 발현율이 높아졌다. 3. 치성낭종에서 조직구의 IL-1β 발현과 형질세포에서 IL-4의 발현은 조직구에서의 TNF-α의 발현과 연관이 있었고 상피세포에서는 IL-4의 발현과 IL-6의 발현이 연관성이 있었으며 IL-4는 상피세포에서와 형질세포에서의 발현이 역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4. 전염중성 사이토카인인 IL-lα, -lβ, -8 및 TNF-α의 발현과 항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4의 발현을 보면 IL-6의 발현이 IL-4의 발현과 연관성이 있고, IL-6의 발현율이 통계하적 의의는 없지만 염증이 심할수록 낮아지고 IL-8의 발현과 역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보아 상피세포에서 IL-4와 IL-6의 발현은 염증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치성낭종의 형성 및 발달 과정에서 염증성 병변인 치근단낭종과 발육성 병변인 함치성낭종은 사이토카인의 발현에 있어서 의의 있는 차이가 없었으며 두 가지 모두에서 IL-4와 IL-6은 염증을 억제하고 IL-8은 염증을 촉진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In odontogenic cystic lesions, periapical cysts and dentigerous cysts are common but the mechanism involved in inflammation and osteolysis is still under debat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ole of IL-lα, -1β, -4, -6, -8, TNF-α in the expansion of the odontogenic cysts. Method: The materials were 50 cases of odontogenic cysts obtained by biopsy or excision, and the degrees of inflammation were graded into 2 groups: mild or marked. Immunohistochemical stainings for IL-lα, -lβ, -4, -6, -8, TNF-α were performed, and cytoplasmic reaction in squamous epithelial cells, stromal cells including fibroblasts and endothelial cells and infiltrating inflammatory cells was examined. The relationship of the expressions of IL-lα, -1β, -4, -6, -8, TNF-α and the degree of inflammation and the correlation between IL-lα, -1β, -4, -6, -8, TNF-α expressions were analyzed. Results: 1. In odonugenic cysts, histiocytic expressions of IL-lα, IL-lβ and TNF-α were 66.6%, 66.6% and 40.0% respectively and the epithelial expressions of IL-4, -6, -8 were 32.0%, 38.0% and 24.0% respectively, IL-4, -6 and -8 were positively stained in plasma cells in 38.0%, endothelial cells in 40.0% and neutrophils in 24.0% respectively. 2. The expression rate of IL-4 in plasma cells and IL-8 in epithelium and neutrophils were increased in cases with marked inflammation. 3. The expression rate of IL-lβ in histiocytes and IL-4 in plasma cell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expression of TNF-lα in histiocytes. The expression rate of IL-4 and IL-6 were positively correlated in the epithelium. 4. The expression rate of anti-inflammatory cytokine IL-4 in the epithelium were correlated with the expression of IL-6 in the epithelium and endothelial cells. Although statistically insignificant, the expression rate of IL-6 were decreased in cases with marked inflammation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IL-8, the proinflammatory cytokine, and the expressions of IL-4 and IL-6 in the epithelium can be considered as inhibiting the inflammatory reactio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xpression rates of cytokines in the inflammatory and developmental lesions were not different significantly. The expressions of IL-4 and IL-6 suppress the inflammatory reaction and IL-8 stimulates 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