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산림치유의 통합의학적 의미 고찰 : -아유르베다의 전일론적 세계관과 인체이해를 중심으로-

        김미란 선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예방의학으로서 산림치유가 현대 사회에 적극 활용될 수 있도록 산림치유의 통합의학적 의미를 고찰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아유르베다의 전일론적 세계관과 인체 이해를 중심으로 산림치유의 통합의학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산림치유는 통합의학의 일환으로 볼 수 있으며, 이 점은 산림치유 관련 법규에도 명시되어 있다. <산림문화·휴양에 관한 법률> 제2조에서 산림치유는 “향기, 경관 등 자연의 다양한 요소를 활용하여 인체의 면역력을 높이고 건강을 증진시키는 활동”이라고 하였다. 산림청 산림임업용어사전에도 산림치유를 “자연환경 중에서 숲이 가지는 다양한 물리적 환경요소(경관, 테르펜, 음이온 등)를 이용하여 인간의 심신을 건강하게 만들어주는 자연요법의 한 부분”이라고 설명하였다. 또한 “인체에 미치는 생리적 심리적 효과를 과학적, 의학적 성과를 기반으로 체계적 프로그램을 통해 검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산림을 심신치유에 활용한다.” 라고 하여 산림치유가 심신치유에 활용된다는 점을 명시하였다. 산림치유가 정신, 신경 면역계에 변화를 준다는 연구 결과는 숲에서의 치유가 정신적 안정을 유도하는 동시에 신체적으로 호르몬계나 면역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이며,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최근에 서구에서 등장한 정신경면역학(Psychoneuroimmunology)의 결론과 일치한다. 산림치유의 기본적인 개념이나 실행 방법들을 살펴보면, 기존 자연치유 방법들이 산림치유 프로그램에 응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동양의 고전적인 천인합일 사상에 인간은 ‘자연과의 조화’를 이상적인 경지로 본 것이나 자연으로 돌아가 자연과 하나가 되는 소통과 교감을 중시하는 것이나, 아유르베다의 치유체계와 같이 몸과 마음, 영혼을 중시하고 질병 예방 및 생활습관 교정과 무병장수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것 등이 자연치유와 산림치유 간의 공통점이다. 현재 치유의 숲에서 진행되고 있는 산림치유프로그램은 여러 자연치유 요법들을 치유프로그램으로 활용하고 있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산림치유 6대 요법들이 아유르베다의 통합의학적인 시각에서 상호유기적인 관련을 지닐 필요가 있음을 밝혔다. 이를 위하여 산림치유의 철학적 근간이 되는 아유르베다의 전일론적 세계관과 인체 이해가 적극적으로 반영될 필요가 있다. 아유르베다(Āyurveda)는 우주를 전체, 하나로 보면서 인체를 소우주와 같다고 하였다. 인간은 우주의 질서에 맞게 살아가는 것이 건강한 삶을 살아가는 것이라고 했다. 본 연구가 제안하는 것은 통합의학적 시각에서 산림치유에 접근해 보자는 것이다. 통합의학적 산림치유는 전인치유적 환경요소와 아유르베다의학적 요소가 더해져 산림치유의 효과를 증대시켜 궁극적으로는 인간의 건강을 예방, 유지, 개선할 가능성을 아유르베다의 문헌을 통해 확인하였다. 산림치유의 폭과 깊이를 더하기 위해서는 산림치유 전문인력 양성과정에 통합의학의 여러 이론과 요법들이 포함될 필요가 있음도 제안하였다. 산림치유지도사는 산림치유의 기전이 되는 융·복합적인 통합의학의 모든 영역 내에서 산림치유 철학을 갖고 일반인, 미병자, 준환자, 환자, 요양인, 생애주기별 대상에 맞게 특화된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치유서비스의 질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아유르베다의 전일론적 세계관과 인체 이해는 숲 명상과 숲 요가, 숲의 녹색을 통해 결핍된 에너지를 흡수하여 에너지의 균형을 잡아주는 차크라적인 요소와 숲속 하늘과 땅에 펼쳐져 있는 풀과 나뭇가지와 나뭇잎, 꽃이 만들어내는 기하학적인 도형인 얀트라(yantra)적 요소, 숲의 소리인 청각적 요소를 통한 만트라(mantra)적인 치유메커니즘이 숲에 있음을 자각할 수 있게 할 것이다. 또한, 인체에 내재되어 있는 공, 풍, 화, 수, 지 5대 조요소와 다섯 가지 감각기관은 산림치유 인자들이 직접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산림치유를 통한 산과 나와의 소통 경험은 나의 본래 모습을 깨닫게 하는 영성치유의 가능성을 지니며 인간의 본성에 고유한 야성(野性)을 회복할 수 있게 한다. 즉, 야성이 살아있어야 인간의 영성이 살아날 수 있다. 소우주인 인간은 영혼과 공, 풍, 화, 수, 지 6요소로 이루어져 있으며 5겹의 몸은 음식으로 이루어진 육체에서부터 진아(Ātman)에 이르기까지 에너지 차원으로 우주와 연결된다. 인체를 음식(anna)으로 이루어진 몸, 생기(prāṇa)로 이루어진 몸, 의근(意根, manas)으로 이루어진 몸, 식(識, vijñāna)으로 이루어진 몸, 지복(ānanda)으로 이루어진 몸의 연속체로 보는 아유르베다의 인체이해는 영성치유로서의 산림치유에 토대가 될 수 있다. 숲은 인간에게 반드시 필요한 생명의 공간이며 삶의 에너지 충전 장소이다. 아유르베다의 공,풍,화,수,지 5종 조대요소는 산림치유 6대요법(정신, 기후, 식이, 물, 운동, 식물요법)과도 밀접하게 관련을 지닌다. 통합의학 또는 아유르베다의 전일론적 우주론과 인간이해는 산림치유의 전 과정에 반영된다면, 산림치유가 명실상부한 전인치유로서의 면모를 갖추게 될 것으로 본다.

      • 북한 의학학술지를 바탕으로 남한의 법정감염병 분류체계에 따른 북한의 감염병 동향 분석 : 결핵 실태를 중심으로

        서해숙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807

        목적: 대외적으로 북한의 감염병 양상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세계보건기구(WHO), 국제아동기금(UNICEF) 등 국제기구의 공식적인 감염병 보고에서 북한관련 자료를 확인할 수 있지만 공란인 경우도 드물지 않다. 최근까지 북한에서 결핵, 기생충질환, 바이러스성 간염 등 감염병 문제가 심각하다는 사실은 여러 채널에서 확인되고 있지만, 자료의 신뢰도가 보장되지 않는 경우도 많다. 코로나19라는 전 세계적인 감염병 재난을 겪으면서 철저한 감염병 대응을 위해서는 근거를 바탕으로 평상시나 유사시의 전략을 잘 수립해야만 한다. 본 연구에서는 향후 건강한 한반도 공동체라는 가치를 구현하기 위해 북한의 정확한 감염병 동향과 변화를 파악하여 미래 보건의료 정책 수립을 위한 근거확보에 기여하고자 한다. 방법: 북한 인구집단의 감염병을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경험한 연구자가 집필한 논문은 간접적으로 북한의 감염병 실태를 알려줄 수 있다. 이를 위해 2002년부터 2022년까지 북한 의학학술지 연속간행물 11종에 수록된 감염병을 남한의 법정감염병 분류체계에 따라 목록화하였다. 이후 이들 자료를 연도별, 학술지별로 정량추출하여 북한 감염병의 시대적 흐름과 다빈도 감염병을 분석하였다. 그 ii 다음으로 최다빈도 1순위 감염병을 북한 의학학술지, 국제기구 자료 등을 활용한 세부분석을 통해 북한 내 실태에 대해 알아보았다. 결과: 2002년부터 2022년까지 북한 의학학술지에 게재된 감염병 관련 논문은 총 1,778편이었다. 최다빈도 게재 감염병은 결핵, 장관감염증, B형간염, C형간염 그리고 인플루엔자였다. 이들을 연도별로 추이를 확인한 결과, 결핵과 장관감염증과 B형간염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었다. 이 중에서도 결핵은 높은 신환자 발생과 다제내성결핵의 만연, 높은 사망률과 장애발생, 젊은 연령층에서의 만성적인 폐외결핵 등이 특히 문제점으로 파악되었다. 이를 해결하고자 북한 연구자들은 표준치료와는 거리가 먼 각종 고려의학을 접목한 치료를 시도하고 있었다. 이러한 배경에는 자생적 시장경제로의 전환을 통해 형성된 장마당 의료가 북한의 보건의료체계를 크게 왜곡시킨 점을 들 수 있다. 강력한 통치의 일환이었던 국가의 무상치료제가 무력화됨으로 국제기구의 막대한 지원에도 북한의 결핵상황이 크게 달라지지 않은 이유이다. 결론: 20년간 다양한 감염병 중에서도 결핵은 많은 국제기구의 지원이 있었음에도 여전히 북한에서 청장년층을 중심으로 높은 유행규모와 질병부담을 주고 있다. 북한 의학학술지에서 추출되는 자료는 제한적이지만 매우 소중한 날 것의 정보이다. 무엇보다도 북한의 정확한 보건의료통계의 확보를 통해 결핵의 실태를 구체적으로 파악하게 해주는 보건의학적 접근이 시급하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결핵을 효과적으로 타개하기 위해서 강력한 통제력을 가진 국가무상치료제의 회복을 통해 정확한 진단, 충분한 치료, 신속한 예방, 효과적인 관리가 포괄적으로 작동하도록 해야 한다.

      • 대체의학에 대한 인식도 조사 : 서울시 송파구 문정동 지역 환자를 대상으로

        김영호 포천중문 의과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Background ; Recently, alternative medicine is widely adopted as a medical treatment. Alternative medicine is defined as non-orthodox therapeutic practice that does not follow established standard of medical community. Patients do not receive the modern medicine as an absolute solution for recovering their health problems and they will sometimes ask for complementary therapy and want to be referred to practitioners of alternative medicine. Method : A survey was conducted to explore patients' experience and attitude toward alternative medicine. We administered self-report questionnaires to 108 patients who visited private clinic from 29 May in 2006 to 05 June in 2006. All survey participants were asked about their gender, occupation, marital status, and income. They were also asked about types, frequency, effects, side effects, views and cost of alternative medicine. Result : 108 person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and male/female ratio was 25/24. Majority of respondents were married(81.6%) and 81.6% of the respondents had high school or other higher educational degrees. For age distribution, 50-60 year old group made up 30.6%, 40-50 year 22.2%, 30-40 year 6.7% and below 30 year 13.8%. For religion distribution, Christian was 21.3%, Buddhist 21.3% Catholic 19.4% and 36.2% of participants did not respond to this question. Experience of alternative medicine use was widespread ; 80.5% of respondents had experienced alternative therapy. The most common type of alternative therapy was acupuncture(22.1). and the next common one was moxa cautery/cupping a boil(18.9%). 57.4% of the participants were satisfied with the result of the treatment and 86% were indicated that the treatment was effective to some extent. In terms of medical cost, 15.8% of the participants responded that it was expensive. but the majority of respondents reported the cost was reasonable. Respondents reported that chronic pain, for example, back pain, cervical pain, shoulder joint pain, and the other joint pain is the most effective health problem ny alternative intervention. Issues or problems indicated by the participants were lack of systemic approach(17.9%), false or exaggerated advertisement(15.5%), side effects of treatment(12.1%), and treatment by unlicensed persons, etc. conclusion : Many people use various kinds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not being provided with an appropriate guideline for treatment of chronic pain and chronic illness. This study reveals that many people are highly interested in complementary medicine as significant number of people is not satisfied with the method of medicine performed by current mainstream medical system. In contrast most people who had tried alternative medicine were satisfied with the result of treatment and their responses about expense and side effect were relatively favorable. Hence, it is required to provide nurses and physicians with an educational program for alternative medicine. And we must provide more information, healing methods and support for chronically ill patients.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prove or disprove the efficacy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WHO 191개 회원국 중 중국 한국 북한 베트남 등 25개국이 자국의 전통의학을 정식 의료체계에 편입시키고 있다. 이는 전통의학에 대한 객관적 규명을 통해 세계적으로 널리 통용될 수 있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법에 대한 전범을 확립하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 최근의 발표된 보고에 의하면 전 미국의 1백25개 의과대학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결과, 조사에 응한 1백17개 대학 중 2/3에 해당하는 75개 대학이 대체의학을 필수과목이나 선택과목으로 가르치고 있다고 한다. 물론 대체의학이 효과가 있다고 생각해서 이 과목을 가르치는 것은 아닐 것이다. 그 보다는 의사들이 자기 환자들에게 좀 더 정확한 지식을 갖고 대체의학에 대한 조언을 할 수 있는 능력을 주기 위해서라는 것도 하나의 이유가 될 것이다. 향후 대체의학은 서양의학과 동양의학의 접목을 통한 새로운 의학 창출에 하나의 돌파구를 제시해 줄 것으로 생각되며, 조만간 검증과정을 거쳐 제도권 의학으로서의 역할을 할 날이 올 것으로 생각한다. 이에 본 저자는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대체요법에 대해서 환자들이 얼마나 알고 있고, 그들의 일반적인 특성은 어떠하며, 얼마나 많이 대체요법을 이용하고 있고, 또 그에 대한 만족도는 어떠하며, 불만사항은 어떠한 것인지를 알아보았다. 응답자는 모두 108명 이었으며 성별분포는 50.0%와 48.1%로서 비슷한 분포를 보였다. 대부분이 결혼한 상태였고(81.6%), 고졸 이상이 81.6%를 차지하였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대체의학에 대해서 관심을 가지고 사용한 해 본 적이 있다고 대답하였고, 많은 사람들이 만족한다(57.4%)고 답하였다. 만족한다고 답한 사람들은 성별로는 남여가 비슷한 분포를 보였으며(남자 46.8%, 여자 53.2%), 대부분이 결혼한 상태(85.0%)였고, 학력은 고졸이상이 85.5%으로 고학력의 상태였다. 나이별 분포는 40세에서 40세가 52.6%를 보였다. 효과가 있다고 답한 사람들이 86.0%를 차지하였으며, 비용 면에서도 비싼 편이라고 답한 사람은 15.8%로서 비교적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내었다. 대체요법의 문제점에 대해서는 체계적인 연구의 부족(17.9%), 허위 과장광고(15.5%), 부작용(12.1%), 무자격자의 치료(12.1%) 등을 지적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본 바와 같이 현 제도권 의학의 치료방법에 있어서 불만이다라고 응답한 사람이 상당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체의학을 이용한 사람들은 대부분 만족을 나타내었고 비용 면이나 부작용 면에서도 비교적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내었던 것으로 조사되었다.

      • 대체의학에 대한 조리 종사자의 인식도 조사

        이소영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aimed to find ways of vitalizing alternative medicine(nutrition therapy) and surveyed 310 cook workers on 4 types of general information(sex, career, etc.), their perception of alternative medicine(perception of alternative medicine, current status of use, perception level, etc.), and 8 perception items of food therapy(perception of nutrition therapy, prospect of use, expected effect, etc.). As for the perception of alternative medicine, more than half of the respondents were aware of it, mostly through “the Internet, TV, radio and printed publications” or “education, lectures, seminars and exhibitions”. Many respondents said they used the alternative therapy as a supplementary means to relieve symptoms and pain. As for the utilization of alternative medicine, there were positive survey results about “scientific standardization”, “professional manpower training through systematic programs”, “accurate publicity and education on alternative medicine”, and “institutionalization into the medical system”; respondent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nutrition therapy, because “it enhances the effect of treatment when applied in conjunction with medicine”, and “it can be used and accessed easily”. Most responded that it was necessary to develop food treatment menu to prevent disease, and demanded “development of supplementary treatment menu for a specific disease of an individual”, “development of health menu required for the general public”, “development of diverse food and products as a convenient meal”, and “development of detailed menu by life cycle”. When asked about whether they were willing to be educated when alternative medicine(nutrition therapy) professional courses were set up, most cooks expressed taking them actively. As for the role of alternative medicine(nutrition therapy), respondents perceived that “it helps to prevent diseases”, “helps with the treatment of diseases”, “helps to prevent aging and prolong life”, and “it is a safe method that can be used in conjunction with medical treatment".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this survey, the perception of cook workers about alternative medicine(nutrition therapy) was found to be positive in most items. Therefore, based on these results, we can provide basic data to establish education systems for cook workers and expend nutrition therapy majors by promoting positive perception about alternative medicine(nutrition therapy) studies. 본 연구에서는 조리종사자들을 대상으로 대체의학(식품치료)의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고자 조리종사자 310명을 대상으로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사항 4항목(성별, 경력 등), 대체의학의 인식도(대체의학의 인식, 이용현황, 인지수준 등), 식품치료의 인식도 8항목(식품치료의 인식, 이용전망, 기대효과 등)으로 인식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대체의학에 대한 인식도의 경우 과반 수 이상이 대체의학을 인지하고 있었으며, ‘인터넷, TV, 라디오 및 인쇄매체’나 ‘교육 및 강연, 세미나, 전시회 등을 통해’ 알게 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대체요법을 경험한 이유는 ‘증상 및 통증의 완화 등 치료방법의 보조적 수단으로’이용한다는 응답자가 많았다. 대체의학의 활용방안의 경우 ‘과학적 표준화 선행’, ‘체계적인 교육을 통한 전문 인력 양성’, ‘대체의학에 대한 정확한 홍보와 교육’, ‘제도권 진입’에 대해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났으며, 식품치료의 중요성에 대해 ‘현대의학과 병행하면 치료의 효과가 상승’되기 때문에, ‘손쉽게 활용하고 접할 수 있기 때문에’라고 하였다. 질병예방을 위해 식품치료식 메뉴개발이 매우 필요하다고 대부분이 응답하였으며, ‘개인별 특정 질병에 대한 보조치료식 메뉴개발’, ‘일반인들에게 필요한 건강메뉴개발’, ‘식품 및 제품을 편의식으로 다양하게 개발’, ‘생애주기별로 세분화된 메뉴개발’을 가장 많이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체의학(식품치료) 전문인 과정이 마련되면 교육을 받을 의향이 있는가에 대한 질문에 대부분의 조리종사자들은 적극적으로 받아 볼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체의학(식품치료)의 역할에 대한 연구결과 ‘질병예방에 도움이 된다’, ‘질병치료에 도움이 된다’, ‘노화예방과 수명연장에 도움을 준다’, ‘건강증진에 도움을 준다’, ‘현대 의학적 치료와 병행할 수 있는 안전한 방법이다’라고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조리종사자들의 대체의학(식품치료)에 대한 인식도는 대부분의 항목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향후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체의학(식품치료)의 학문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확산시켜 조리사종사들의 교육제도 방안 마련과 식품치료 전공확산에 기초적 자료를 제공 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 암환자의 재활치료에 대한 요구도 조사

        조정미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암 발생률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암 생존율이 향상되어 암환자들이 장기간 생존하게 되면서, 암은 이제 만성질환의 성격으로 바뀌고 있다. 따라서 암환자들이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장애를 가지고 평생을 살아가야 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이에 따라 암 생존자들의 기능적인 상태의 보존 및 향상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포괄적인 재활의학적 접근, 즉 암재활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 암환자들이 실제로 어떤 문제들에 대해 어느 정도 호소하고 있는지, 어느 정도 이 문제점에 대한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등을 파악하여 이에 맞는 적절한 재활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암환자에서 많이 호소하는 문제점을 알아보고 이와 관련된 재활치료에 대한 인지도 및 요구도 등을 조사하기 위해 삼성서울병원 암센터에 내원한 50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본 연구자가 자체 개발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연구 대상자 중 87.1%의 암환자에서 한 가지 이상의 신체적 문제점을 호소하고 있었고, 문제점 별로 살펴보면 피로감(60.7%), 통증(37.5%), 손&#10625;발 저림(35.9%), 관절운동장애 및 근력 약화(34.9%) 등에 대해 높게 호소하고 있었다. 문제점 중 피로감, 통증, 근골격계 문제 등은 특정 암종과 관계없이 많이 호소되고 있었고, 림프부종, 호흡장애, 삼킴장애, 언어장애의 경우에는 특정 암종과 관련해서 특히 많이 호소되고 있었다. 연구 대상자 중 48.2%의 암환자에서 한 가지 이상의 정신적 문제점을 호소하고 있었고, 29.6%에서 우울감을 호소하였으며, 30.4%에서 자존감의 상실을 호소하였다. 연구 대상자 중 59.0%의 암환자에서 한 가지 이상의 사회-경제적 문제점을 호소하고 있었고, 일상생활 적응의 어려움(32.7%), 사회 및 직장생활의 어려움(26.3%), 경제적 문제(24.7%), 가족갈등(6.5%) 순으로 호소하고 있었다. 신체적 문제점에 관련된 재활의학적 치료의 전반적인 인지도는 22.7%로 나타났으며, 심리치료(44.7%)와 사회복지 서비스(35.6%)의 경우 상대적으로 그 인지 정도가 높게 나타났고 직업재활에 대한 인지도는 13.4%로 그 인지 정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신체적 문제점에 관련된 재활의학적 치료의 전반적인 요구도는 77.1%이었으며, 심리치료(84.5%)와 사회복지서비스(90.0%)는 높은 요구도를 보였다. 실제로 문제점을 호소하는 환자에서 그와 관련된 재활의학적 치료에 대한 본인의 치료 요구도는 높았으나 이전 경험도는 상당히 낮았다. 이 차이가 비롯된 이유에 대해 ‘본인이 재활치료에 대해 알지 못해서’와 ‘의료진이 재활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연결해 주지 않아서’라고 답한 환자가 전체의 60% 이상을 차지했다. 암 치료 상황 즉, 암 치료를 받고 있는 상태와 암 치료가 끝난 상태에 따른 두 환자군을 비교할 때, 통증, 림프부종, 경제적 문제, 우울감을 제외하고는 다른 신체적, 정신적, 사회-경제적 문제점에서 두 집단 간에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재활의학적 치료와 관련된 인지도와 요구도의 경우 인지치료에 대한 요구도를 제외하고 두 집단 간에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암 치료가 끝난 상태의 환자들에서도 많은 문제점을 호소하고 있으며 이들의 재활의학적 치료 요구도도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암환자에서 많은 신체적, 정신적, 사회-경제적 문제점을 호소하고 있으며 이들의 재활의학적 치료에 대한 요구도도 높으므로, 암 종류와 암 치료 상황에 따른 다각적 측면에서의 적절한 재활의학적 접근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재활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Cancer incidence is steadily rising and cancer survival rates are also improving, many cancer patients are living longer lives and cancer has become a chronic condition. Cancer can cause multiple impairments and activity limitation, therefore cancer survivors frequently face functional and psycho-social problems. Rehabilitation for cancer related problems is very important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cancer survivors, so the importance of cancer rehabilitation has recently received increasing recognition. Understanding the prevalence of cancer related problems and the need for rehabilitation are key factors to provide optimal rehabilitation services. 507 cancer patients have been surveyed. The percentage of patients with more than one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oeconomic problems was 87.1%, 48.2%, and 50.9% respectively. Cancer patients needing rehabilitation services related to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oeconomic problems was 77.1%, 84.6%, and 84.8% respectively. However patients who knew about rehabilitation services related with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oeconomic problems was 22.7%, 44.7%, and 24.5% respectively. The percentage of patients with actual rehabilitation problems who demanded rehabilitation services related with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oeconomic problems was 65.1%, 52.1%, and 63.6% respectively. But only 18.2% of patients with physical problems and 5.3% of patients with psychological and socioeconomic problems received such services. The prevalence of rehabilitation problems and rehabilitation needs was very high not only in the group still receiving cancer treatment but also in the group that had completed cancer treat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cancer patients had various kinds of physical, psychological, socioeconomic problems differing between cancer types and cancer treatment state with high levels of rehabilitation treatment needs. A multidisciplinary rehabilitation approached tailored to each cancer type and cancer treatment state is needed to develop appropriate rehabilitation programs. We expect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help to development the most appropriate cancer rehabilitation programs and also be used as a basis for policy studies.

      • 노인건강복지를 위한 대체의학의 적용에 관한 연구

        김미영 한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dissertation observed the increasing health welfare problems of the aged and the application of alternative medicine together in an attempt to solve the problems. The application study of alternative medicine considered very important at a time when limits of western medical science are recognized. This dissertation tried to prove the history and types of alternative medicine and why it is needed. To this end, this paper focused on major issues found in documents to support the arguments. The first issue is the health welfare of the aged. The advanced medical technology increased the average lifetime and ushered in the era of the aging population. This issue has emerged as a pressing issue. Korea has become an aged society within a short period, compared with other advanced countries which started to prepare for the aged society long time ago. So it is very urgent for Korea to take an active measure for the growing aged population. Spending the remaining life without annuity, health insurance, or other national welfare systems also impose a large burden on their families, local communities, and nation. The issue regarding the aged society includes more than two of the most serious sufferings in an individual's life: poverty, disease, lost roles, and loneliness. Therefore, if proper measures against the problem are not taken in a timely manner, the issue can deal a harder blow to the Korean economy than the 1998 foreign exchange crisis. Second, this paper studied the necessity of a public health welfare program designed for the aged. Health is one of the major agonies for the elderly. In western advanced countries, efforts have been made to study eastern and alternative medicines, so that they can diagnose disease early and help the old stay healthy. It is fortunate that Korea started to worry about possible huge medical expenses for the aged, if belatedly. It is making efforts to understand and use alternative medicines for the problem. No one can avoid death. However, it is a blessing to lead a healthy life until the moment of death. In that regard, health and longevity are one of the biggest blessings. Third, this study advised that alternative medicines should be a good solution to the issue on the health welfare of the aged. So far, Koreans have frequently used the traditional term for the alternative medicine. The traditional medicine is also referred as 'transmitted medicine,' because it has been transmitted verbally. Since the alternative medicine was developed by civilians through experiences, it could not develop rapidly and systematically. In the uncivilized era, it was very important to save people's lives. It extracted substances from plants which naturally grow on the ground. it proved effective in healing diseases as soon as it was used. It never did harm to body. There is also the overwhelming power back of the acupuncture. However, western medical science occupied Korean medicines for a long time, and recently, through mass media, limits of the western medicine were found and people became interested in the alternative medicine. This dissertation explained daily methods to improve health for the elderly: relieving stress, diet, aerobic walking, acupuncture, painting, natural healing, balance between body and mind, and religion. These will help the old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This dissertation finally came to a conclusion that the implementation and practical use of the alternative medicine should be the best solution to the healthcare of the aged without imposing a burden on the nation's economy. I hope active responses from the aged, their families, local communities, and the government. 본 논문은 날로 증대되는 노인들의 건강 문제들을 살펴봄과 아울러 문제해결을 위해서 대체의학의 적용이 필요한 하나의 대안이라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서 연구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몇 가지 중점적인 이슈들을 문헌 고찰을 통해서 논지 입증을 위해서 노력하였다. 첫째는 노인들의 건강문제에 대한 것이다. 현대사회의 의학기술 발달은 인간의 평균수명의 연장으로 노인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등장하고 있다. 노인복지를 위해 꾸준히 준비해온 선진국에 비하여 우리나라는 매우 짧은 기간에 고령화 사회가 진입됨으로 말미암아 노인문제에 대해서 적극적으로 대처하지 해야 할 상황이 되었다. 젊어서는 자녀들 뒷바라지로 많은 에너지를 투입한 결과 노후를 철저히 준비하지 못함으로 퇴직 후의 연금수혜나 건강보험 등, 노후의 수혜가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노후의 준비 없이 퇴직 후 오랜 기간을 지내야 한다는 것은 노인 본인과 가족, 노인이 소속되어 있는 지역사회와 국가 모두에게 정신적인 큰 부담이 되지 않을 수 없다. 따라서 우리 사회의 노인문제는 크게 노인의 4고(苦)로 표현된다. 즉 빈곤, 질병, 역할 상실, 그리고 고독이다. 노인이 되면 이 네 가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제를 안고 있는데 노인 개인이나 사회적으로 이것을 별로 대수롭지 않은 것으로 간주하는데 더 큰 문제가 있다. 둘째는 노인건강 복지의 필요성을 논증하였다. 건강 문제는 노인에게는 더할 수 없는 고통을 주고 있다. 선진국에서는 노인질병을 조기에 예방하고, 건강을 관리 및 유지하도록 다양한 연구를 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노인요양비와 노인 의료비에 많은 지출을 하고 있다. 인간은 누구나 죽음을 비껴 갈 수 없다. 그러나 죽음을 맞이한 순간까지 건강하게 삶을 유지하는 것은 크나큰 복이다. 따라서 동양의 세계관 중에서 건강과 장수의 복을 크게 취급하고 있다. 셋째는 노인건강복지의 대안으로서 대체의학을 적용할 것을 제언하였다. 우리나라에서 대체의학은 ‘민간요법’이라는 용어로 그동안 흔히 사용되어 왔다. 오랫동안 입으로 전승하여 내려옴으로 민간요법을 다른 표현으로 ‘전승요법’이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경험과 구전에 의해서 전승된 치료법은 의술이 발달하지 못한 시대에 백성들의 생명을 구하는 중요한 도구이기도 하였으며, 특히 땅에서 자생하는 식물을 추출하여 인간의 건강을 위한 생약으로 단방에 활용하여 효험을 얻기도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노인건강증진의 방법은 일상생활 가운데에서 시행될 수 있는 부분을 열거 하였다. 즉 스트레스 탈출, 식이용법, 에어로빅 워킹(Aerobic Walking), 침뜸의 활용, 미술치료, 자연치유법, 심신조정 으로서의 신앙치유등이 건강관리의 유지차원에서 날마다 생활화 하면 건강하게 삶을 유지할 수 있는 것들이다. 결국 사회적 부담을 크게 증대하지 않으면서도 자신의 건강을 지킬 수 있는 대체의학이 실용화야 말로 진정한 노인건강 복지의 대안이라고 주장하였다.

      • 동무 이제마의 사상의학에 대한 국내 연구경향 분석

        전철우 대전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807

        사상의학을 개창한 동무 이제마(1837~1900)는 1894년 세상에 공표한 저서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에서 사람의 체질을 태·소·음·양 사상(四象), 즉 태양(太陽)·태음(太陰)과 소양(少陽)·소음(少陰)으로 나누고 있다. 동무 이제마는 사람은 체질에 따라 장기의 기능, 욕심, 재주, 몸의 형태, 기운의 형상, 얼굴의 생김새, 말하는 기운 등이 다르고 이에 따라 병리적, 약리적 특성이 다르다. 병의 증상이 같다 하더라도 치료를 할 때 각 체질에 맞는 치료를 행해야 그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본 연구는 21세기 현대인의 무병장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심신치유 건강론을 모색하고자 동무 이제마의 철학사상을 중심으로 사상의학의 체계와 특질을 인간학적으로 재조명하여 체질의학으로서의 사상의학의 가치를 재정립하고 국내 이제마 연구의 경향을 다각적으로 분석하여 향후 사상체질의학이 나아갈 연구방향 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국가과학기술정보센터(National Discovery for Science Library, NDSL)로부터 사상의학과 관련된 문헌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분류하여 이제마의 사상의학에 대한 국내 연구경향 분석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최근 약 10년간 발표된 228편의 논문을 철학, 의학, 심리학 세 분야로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의학 관련된 연구가 약 48.7%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철학분야 41.2%와 10.1%의 심리학 분야의 논문보다 각각 7.7%와 38.6%로 높게 나타났다. 이처럼 한국에서 수행된 동무 이제마에 대한 연구는 약 51.3%가 철학과 심리학적인 것이었다. 또한 대부분의 연구가 한의대에서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의학 분야와 철학/심리학 분야의 연구가 유사한 비율로 이루어졌다는 것은 사상의학이 철학적인 측면에서 중요성을 나타내고 있다는 것을 방증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동무의 체질의학은 한국을 포함하여 전 세계적으로 확대하여도 사상의학에 대한 연구가 단순히 한의학적인 접근뿐만 아니라 철학적, 심리학적 분야에서 접근되었음을 의미하며, 향후에도 심리학과 철학 분야에서 보다 깊이 있는 사상학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우리는 세계적으로 제4차산업 혁명이라는 대변혁의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이러한 시기에 현대인이 감내할 수밖에 없는 환경적인 도전에 대하여 심리적인 안정방식과 심신양면의 치유방식으로 동무 이제마의 사상철학과 사상의학이 예방의학과 대체의학으로 심도있게 연구된다면 매우 효과적인 건강법으로 각광받게 될 것이다.

      • 북한 의학 학술지를 통해 본 허혈성 심장병 : 응급의학에 주는 시사점

        김성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Objective: There are limited data on the health status of people and medical scientific research in North Korea, especially on emergency medicine. Even before the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or free interact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informa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situation and research trends in emergency medicine in North Korea will help to provide better emergency medical care for North Koreans and solve problems that may arise in future exchange and cooperation.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rends in research on ischemic heart disease, a severe internal medical emergency, through North Korean medical journals and find implications for emergency medicine. Methods: The researcher analyzed five types of North Korean medical journals, "Basic Medicine", "Internal Medicine", "Surgery", "Preventive Medicine" and "Korean Medicine," held by the North Korean Data Center as of January 2023. In addition, health data and statistics related to North Korean healthcare presented by international and domestic academic institutions were evaluated using search engines. Data were collected using Excel and analyzed using the R statistical program. This study used a scoping review, and the methodological framework of Arkey & O'Malley (2005) was used to design the study (Arksey & O'Malley, 2005). Results: 14,856 articles published in five North Korean medical journals 'Basic Medicine', 'Internal Medicine', 'Surgery', 'Preventive Medicine', and 'Korean Medicine' over a 14-year period from 2006 to 2019 were reviewed. A keyword search identified 782 articles, and 217 were finally selected for analysis. When categorized by publication year and journal, "internal medicine" journals published the most studies on ischemic heart disease, with 110 (50.7%). A quarter (25.6%) of the articles, 55, were written by 12 authors and 32 (15%) by a single author. The types of research articles can be categorized into original, review, case, partial, and original design. Original articles accounted for 175 articles (80.6%), followed by 32 reviews (14.7%). In terms of research methods, 86 (46.5%) were experimental studies, followed by 47 (25.4%) cross-sectional studies, and 43 (23.2%) patient-controlled studies. Only one article mentioned statistical programs, and 11 articles described statistical methods. Among the statistical methods described in the 175 original articles, mean analysis was the most common with 112 (64.0%), followed by descriptive statistics with 33 (18.9%). Patients were the most common study population with 126 (69.2%). Of the patient studies, 40.7% were designed to compare treatment effects, followed by test result analysis (24.4%) and diagnosis (22.0%). There were 46 animal experimental studies (25.4%), most of which were ischemia model studies using vasoconstrictor drugs, coronary ligation, and allergic therapy. Seventy-one papers reported the age of the study subjects, with an average age of 56.84 years, mostly in the 50s and 60s. In terms of gender, 42 papers (77.8%) included both men and women, 11 papers (20.4%) included only men, and 1 paper (1.8%) included only women. The maximum number of subjects was 1299, with a mean of 119.4. The contents of the research articles were reviewed only in the original manuscripts, and 75 (42.9%) articles were about treatment methods and treatment effects, and 25 (14.3%) articles were about epidemiology and pathogenesis related to incidence and etiology. Treatment methods were categorized into new drugs, procedures, surgery, herbal medicine, acupuncture, and other. Of these, 26 articles (33.3%) were about herbal treatments, followed by 18 (23.1%) about new drugs. There were 10 studies on procedures such as stent implantation, accounting for 12.8%, but there were no studies on thrombolytic therapy. There were 10 articles (12.8%) that studied the effectiveness of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a surgical procedure, of which 7 were patient studies and 3 were animal studies. Conclusion: This study analyzed the research trends of ischemic heart disease, an internal medicine critical illness, through North Korean medical journals and identifie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research on ischemic heart disease was most often published in the journal "Internal Medicine". The types of research papers varied from original, review, case, partial, and creative, with original papers accounting for 175 (80.6%). Second, ischemic heart disease has been studied in various ways. Among the studies on patients, there were many studies on therapeutic effects, and few studies on epidemiology and pathogenesis. There have been no studies on tests for rapid diagnosis in emergency situations. Third, there were many studies on the application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moxibustion, and other treatments for ischemic heart disease, but there were also studies on stent implantation and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and there were no studies on thrombolytic therapy as a generalized reperfusion therapy in emergency situations. Based on this study, the following implications were drawn from an emergency medicine perspective. First, considering that ischemic heart disease is a life-threatening emergency disease, a paramedic system for rapid diagnosis and transportation should be established. Rapid diagnostic equipment should be introduced for accurate diagnosis, and emergency transportation systems should be prepared for the treatment of emergency patients. Second, even before the introduction of advanced equipment and training of personnel for the treatment of emergency patients, the application of cost-effective methods such as thrombolytic therapy can be considered. Key words: North Korean Medical Journals, Ischemic Heart Disease, Emergency Medicine 연구목적 : 북한 주민들의 건강상태나 북한 의료 및 의과학연구에 대한 자료들은 제한적이며 특히 응급의료에 대한 연구는 없었다. 한반도 통일이나 남북한의 자유로운 교류 이전일 지라도 북한 응급의료에 대한 실태 및 연구동향에 대한 정보와 이해는 북한 주민들에게 더 낳은 응급의료를 제공하며, 앞으로의 교류 협력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본 연구는 북한 의학 학술지를 통하여 내과적 중증 응급질환인 허혈성 심장병에 대한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응급의학에 주는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자는 2023년 1월 현재 북한 자료센터가 소장하고 있는 북한 의학학술지중 "기초의학", "내과", "외과", "예방의학", "조선의학" 5종의 연구결과들을 분석하였다. 또한 국제 및 국내 학술기관에서 제시한 북한 의료 관련 건강자료와 통계를 검색엔진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엑셀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R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주제범위 문헌고찰(Scoping review)를 사용하였으며, Arkey & O’Malley(2005) 의 방법론적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연구를 설계하였다.(Arksey & O'Malley, 2005) 연구결과 : 북한 의학학술지 5종 ‘기초의학’, ‘내과’, ‘외과’, ‘예방의학’, ‘조선의학’ 의 2006년부터 2019년 까지 14년간 출판된 14,856편의 논문을 검토하였다. 키워드 검색으로 782편의 연구논문이 선별되었고 최종적으로 217편의 논문이 연구 분석대상이었다. 출판연도와 학술지에 따른 분류를 보면 "내과" 학술지에 110편 (50.7%)로 허혈성 심장병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이 게재되었다. 전체 논문의 1/4 (25.6%)인 55편을 12명의 저자가 작성하였으며 단독 저자인 경우는 32편(15%)이었다. 연구논문의 유형은 원저, 종설, 증례, 토막, 창의고안으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원저가 175편 (80.6%)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종설 32편(14.7%)이었다. 연구방법의 경우에는 실험연구가 86편 (46.5%)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단면연구가 47편(25.4%), 환자-대조군 연구가 43편(23.2%)의 순이었다. 통계프로그램에 대하여 언급한 논문은 1편 밖에 없었으며 통계방법에 대하여 서술한 논문은 11편이었다. 175편의 원저에 기술된 통계 방법은 평균분석이 112편(64.0%)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기술통계가 33편(18.9%)이었다. 연구대상은 환자에게 진행된 연구가 126편(69.2%)로 가장 많았다. 환자대상 연구 중 40.7%는 치료효과를 비교하기 위한 연구였고 다음으로 검사결과 분석 (24.4%), 진단 (22.0%)에 관한 연구였다. 동물실험연구는 46편으로 25.4%였으며, 이 중 대부분이 혈관수축약, 관상동맥결찰, 알러지요법 등을 활용한 허혈모델 연구였다. 연구대상의 나이를 제시한 논문은 71편이었으며 평균 나이는 56.84세였고 50-60대가 많았다. 성별의 경우 남여 모두 참여한 논문은 42편(77.8%), 남자만 참여한 논문은 11편(20.4%), 여자만 참여한 논문은 1편(1.8%)이였다. 연구대상의 수는 최대 1299명이었고 평균값은 119.4명이었다. 연구논문의 내용은 원저에 한하여 검토하였으며 치료방법, 치료효과에 대한 논문이 75편(42.9%)으로 가장 많았고, 발병률이나 발병원인과 관련된 역학 논문과 발병기전을 다룬 논문이 25편(14.3%)으로 가장 적었다. 치료방법은 신약치료, 시술, 수술, 한약치료, 침뜸치료, 기타로 구분할 수 있었다. 이 중 한약치료에 관한 논문이 26편으로 33.3%를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신약치료가 18편(23.1%)이었다. 스텐트삽입술과 같은 시술관련 연구는 10편으로 12.8%를 차지하였으나, 혈전용해제치료를 연구한 논문은 없었다. 수술요법인 관상동맥우회로술의 효과를 연구한 논문은 10편(12.8%)이었으며 이중 7편은 환자대상 연구, 3편은 동물실험 연구였다. 결론 : 본 연구는 북한 의학 학술지를 통하여 내과적 중증응급질환인 허혈성 심장병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고 다음과 같은 특징을 확인하였다 첫째, 허혈성 심장병에 대한 연구는 학술지 "내과"에 가장 많이 게재되었다. 연구논문의 유형은 원저, 종설, 증례, 토막, 창의고안으로 다양하였으며, 원저가 175편 (80.6%)로 가장 많았다. 둘째, 허혈성 심장병에 대한 다방면적인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환자대상 연구 중 치료효과를 보기 위한 연구가 많았으며, 역학이나 발병기전에 대한 연구가 적었다. 응급 상황에서 신속한 진단을 위한 검사에 대한 연구는 없었다. 셋째, 허혈성 심장병의 치료에 한약, 침뜸치료를 비롯한 한의학적 치료를 적용하기 위한 연구가 많았으나, 스텐트삽입술과 관상동맥우회로술에 대한 연구도 있었다 응급상황에서 보편화된 재관류요법으로서 혈전용해제치료를 연구한 논문은 없었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응급의학의 관점에서 다음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허혈성 심장병이 생명과 직결되는 응급질환임을 고려하여 신속한 진단과 이송을 위한 구급체계가 마련되어야 한다. 정확한 진단을 위한 신속장비의 도입, 응급환자의 치료를 위한 구급 이송 체계들이 준비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응급환자의 치료를 위한 첨단장비의 도입과 인력의 훈련 이전이라도, 혈전용해제치료와 같은 비용효과적인 방법의 적용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중심어: 북한의학학술지, 허혈성 심장병, 응급의료

      • 직장인의 요통발생과 보완대체요법 이용 실태 조사

        권여진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As technology has developed, industrial assembly line workers have become limited in their responsibilities to simple and repeated work. For this reason, work related diseases started to develop on those workers. Many of these work related diseases occur on the skeletal muscles. Skeletal muscle disability and stress has developed into urgent industrial health problems. Of the muscle skeletal disease, Lumber Pain, was shown on 50% of the workers but only 15-20% seeked doctors for treatment. Lumber pain resulted in frequent medial office visits, low productivity, and mental decline effecting normal daily life. The benefit of alternative medicine is that is has a broad use for areas of treatment and prevention for worked related diseases addressing one's physical and and mental situation, daily life, environment, and personality. Recently, there has been active research on alternative medicine and increased interest in alternative medicine because of limitations of other unorthodox medical treatment. The main purpose in this research was to find out usage, treatment, effectiveness and satisfaction rate of alternative medicine on the age group of 20 to 30 year old workers who had lumber pain. During 19 days from April 4, 2011 to April 22, 2011, researchers randomly selected workers from Youngdengpogu, Junggu, Seungdonggu, Kwangjingu and Gurogu Seoul to take a survey. By researching people who have suffered lumber pain within the last year, lumber pain was present in a surprisingly high percentage of those people. 73.3% of workers answered that they suffered lumber pain within one year. Categorizing workers by weight, over weighted and obese workers had more symptoms of lumber pain than those who had less weight or were normal weight. In addition, workers who frequently consume alcohol showed more lumber pain than those who consume less alcohol 81.8% of workers who had worked for 6-10 years had lumber pain, which was highest percentage of all, and this number fluctuated with the varying amounts working hours. Those who worked more than 11 hours per day had more lumber pain than those who worked for 8 hours. This statistic showed useful research results. Working position showed different comparisons in this research. Not only did workers who usually stood up during their works showed more lumber pain but also workers who's work was limited to repeated task had more lumber pain than those that had varied types of duties. Because a high percentage of workers who worked for longer hours answered that they had lumber pain every single day, there seems to be a connection between working hours and lumber pain. The 71% of workers answered 'yes' when asked if they had ever tried alternative medicine, and only 29 answered 'no' that they did not. When illness or pain occurred, the most used source of alternative medicine was yoga, hot pack, well-being food, and massage. When asked which illness they used alternative medicine for, lumber pain was a common reason for many workers. Most workers said that they just endured pain. However, for medical treatment seekers, there was a higher percentage of people that used traditional medical treatment along with alternative medical treatment rather than traditional medical treatment alone. When asked if their pain was reduced after treatment, more than half the people answered 'yes'. Most respondents answered positively when asked about their satisfaction level on a scale of 1-5 with 5 being very satisfied. In the research, almost half of the people preferred medical treatment while the other half preferred alternative medicine. There were no negative perceptions of alternative medicine by the survey respondents of workers between the age groups of 20 to 30 years old. Because alternative medicine does not use any chemical substances or drugs, it was very suitable for work and did not affect normal life. Although alternative medicine and traditional medical treatment can be taken together, alternative medicine methods were not well known throughout the population. In addition, most people did not seek alternative medicine because they did not know which method to pursue. There should be more research to upgrade and develop alternative medicine. In addition, proactive advertising is needed on the facts that alternative medicine is a proven treatment on reducing side effect and also it's effectiveness. In order to maximize treatment, endless effort is needed to inform the public that medical treatment and alternative medicine can be used together to achieve the best results. Key words : Low Back Pain, Prevalence,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y(CAM) 산업구조가 고도화되면서 작업의 형태가 점점 단순·반복화 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작업성질환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작업 관련 근골격계 질환이 많이 발생함에 따라 가장 시급한 산업보건과제의 하나로 근골격계 장애와 스트레스를 꼽을 수 있다. 작업 관련 근골격계 질환중 하나인 요통은 노동 연령기 사람에게서 50%의 연 유병률을 보이고 있으며, 15-20%의 사람들이 치료를 위해 의사를 찾는다. 요통 문제는 잦은 의료진 방문, 낮은 생산성의 원인이 되며 또한 정상적인 일상생활을 저해하여 비금전적 손실도 가져온다. 이와 관련하여 보완대체의학적 접근 방법은 개개인의 생활패턴과 주위환경, 또는 성격적, 정서적 상황을 고려하므로 치료와 예방에 폭넓게 이용할 수 있다는 강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최근 보완대체의학에 관한 연구가 더욱 활발해지고 있으며 정통적 의학에 한계를 느낀 환자와 의료인들의 보완대체의학에 관한 전반적인 관심이 많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20․30대 직장인의 요통발생 실태와 요통치료에 있어 보완대체요법 이용실태를 파악하고 그 효과와 만족도를 조사함으로써 요통 치료에 있어 보완대체요법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조사방법은 서울 영등포구, 중구, 광진구, 성동구, 구로구 일대의 직장 종사자들을 임의로 선정하여 2011년 4월 4일부터 4월 22일까지 19일간 설문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 최근 1년 이내에 허리의 통증발생에 대해서 조사한 결과 통증이 있었다는 응답자가 73.2%로 직장인들에게 요통 발생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저체중이거나 표준체중인 사람에 비하여 과체중과 비만인에게서 요통의 발생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음주를 하지 않는 사람에게서 음주를 하는 사람이나 가끔 하는 사람에 비하여 요통 빈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 기간 6-10년 경력자의 요통 발생은 81.8%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고 근무 시간에 따라 11시간 이상 근무한 사람은 8시간 이하 근무한 사람에 비하여 요통이 많이 발생하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05). 근무 자세에 따라서는 서서 근무 하는 대상자에게 요통발생이 높았고 근무시 신체 움직임이 반복되는 것이 반복되지 않은 것보다 요통이 더 높게 나타났다. 요통빈도를 살펴보면 근무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거의 매일 요통이 있다고 응답한 사람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빈도 또한 근무 시간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보완대체의학의 경험 여부를 물어보았을 때 전체 직장인의 71%가 경험한 적이 있다고 응답하였고. 경험해보지 않았다는 응답은 29%에 그쳤다. 질병이나 통증발생시 요가와 찜질요법, 건강보조식품, 마사지 요법을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 되었고 어떤 질병에 보완대체요법을 적용했는지 알아보는 항목에서는 요통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요통 발생시 대처 방안으로 그냥 참는다고 응답한 사람이 가장 많았으며 병원과 대체요법을 병행한다고 응답한 사람의 비율이 병원치료만 받는다고 한 사람 보다 높았다. 요통 치료 후 효과에 대해 묻는 사항에 대해 절반이 넘는 사람이 통증이 감소하였다고 응답하였고 요통치료에 대한 만족도는 긍적적으로 평가하였다. 앞으로 통증이 발생한다면 어떻게 치료하겠는가에 대해 조사한 결과 병원치료를 선택하겠다는 응답과 병원과 대체요법을 병행하겠다는 응답이 비슷한 수치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바에 의하면 20-30대 직장인들의 보완대체의학에 대한 인식은 부정적이지 않았다. 보완대체요법은 수술이나 화학적 약물을 사용하지 않는 방법이기에 직장에서의 작업과 일상생활에 지장이 없는 치료법이다. 보완대체요법이 병원치료와 상호보완적 측면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에게 잘 알려져 있지 않거나 어떤 것을 선택해야하는지 몰라서 찾지 않는 경우가 빈번하다. 보완대체의학적 기술을 개발하고 상용화 하는 많은 연구가 이루져야 하며,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효과가 검증된 치료법을 적극적으로 홍보하여 요통발생시 병원치료의 적절한 병행과 함께 보완대체의학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끊임없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주요어: 요통, 이용실태, 보완대체요법

      • SUKI 대체의학 기법이 테니스 엘보 환자의 근긴장도와 통증에 미치는 영향

        변상준 남부대학교 보건경영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테니스 엘보 치료에 대한 SUKI 대체의학 기법(금속소재로 만들어진 도구로서 근육을 자극시 일반의학이나 한의학에서 사용하는 자침(IMS, acupuncture)의 종류에 비해 피부를 손상시키지 않는 도구로서 자침(IMS, acupuncture) 도구들의 문제점인 감염등의 의학적 위험성이 없으므로 임상에서 적극적으로 사용되어지면 유익함)은 대체의학 임상가들 중 일부가 통증감소 및 치유 목적 그리고 피부탄력을 유지시켜 주름이 잘 발생하지 않도록 이용되고 있는 SUKI에 대한 임상적 효과에 대하여 과학적 데이터를 활용한 연구를 목적으로 하였다.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SUKI대체의학 기법이 테니스 엘보 질환에 있어 통증과 수근관절 신전근의 비정상 근 긴장 상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통증 변화에 대하여 VAS(visual analogue scale)측정과, 근 긴장도 변화를 Myotonometer를 통하여 본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연구 대상은 2010년 10월부터 2010년 11월 까지 1개월 동안 일부지역 J 정형외과의원에 초진으로 내원해서 수근관절 신전근의 비정상적 과도한 근긴장(muscle tension)이 있으면서 테니스 엘보라는 진단을 받고 통원치료중인 외래 환자들 중에서 급성통증환자를 제외한 만성통증환자 40대 주부 1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대상자는 최근 6개월 이내에 주관절 외상과에 통증과 신전근의 딱딱함을 느낀 사람들로서, 고혈압이나 당뇨 등 다른 병리학적 증상이 없으며, 주관절 수술을 받지 않고, 특별한 약물치료를 시행하지 않은 사람들로 하였다. 대상 환자에게 1일 간격으로 5회 SUKI 대체의학 치료 후의 측정값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테니스 엘보에서 SUKI대체의학 적용이 VAS 점수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2. 테니스 엘보에서 SUKI대체의학 적용이 과 긴장된 수근 신전근의 근 긴장도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그러므로 SUKI대체의학 기법이 테니스 엘보 질환에 통증과 과 긴장된 신전근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근골격계 질환에 대한 체계적인 SUKI대체의학 기법의 연구가 앞으로 더욱더 발전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se secience data for the clinical effects about Tennis elbow using SUKI(it is made of special silver and it is much useful for the clinical methods without inflammation for the patients. but other instruments for example acupuncture and IMS etc. which are will be occurs some kind of sideffects and problems) which are prevent skinfold by maintain to skin flexibility and aim for therapy and pain reduce by alternative specialists. The study is to know about the VAS measurement for the change of pain and due to know the change of muscle tension by Myotonometer. It is what kind of effects for pain and abnormal tension of extensorcarpiradialis to the Tennis elbow by SUKI alternative medicine techniques. Experiment peoples was selected 10 persons with chronic pain patients of 40years housewifes except for acutepain patient among output patients with Tennis elbow. its research period is during October to November(1mths) on 2010 which located J Orthopadic surgery hospital in some area, They came to hospital for the first time and who has abnormal heavy muscle tension of carpal joint extensors. Experiment peopleswho feels have pain on lateral epicondyle of elbow joint and hardness on extensors in recent 6mths, There are no hypertension or diabetes mellitus etc. any other pathologic symptoms, no operation of elbow joint, and no medicine treatment. The following results like this that is treatment 5times each day after SUKI alternative medicine techniques for patients. Therefore,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 that SUKI alternative medicine techniques effects for the pain and radialis ms with extra tension. The conclusion is that more systematic research is necessary and to be developing for SUKI alternative medicine techniques about the musculoskeletal disea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