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의류 상표 자산에 따른 상표확장태도에 관한 연구

        홍신자 숙명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50703

        본 논문의 목적은 의류상표자산의 차원을 밝히고 이에 따른 상표확장태도를 규명하여 효율적인 의류상표자산 구축과 상표확장 전략을 수립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의류상표 모제품의 상표자산의 차원을 밝히고, 의류상표에 따라 상표자산의 차 이가 있는가를 밝힌다. 둘째, 의류상표관련 선행요인이 의류상표자산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이에 따라 의 류상표자산의 형성 모형을 제시한다. 셋째, 확장제품과 상표에 따른 상표확장태도의 차이가 있는가를 밝힌다. 넷째, 인구통계적 특성과 의복관여도에 따른 의류상표자산과 상표확장태도의 차이가 있는가를 밝힌다. 다섯째, 의류상표자산과 상표확장태도와의 관계를 살펴보고, 상표자산이 상표확장태도 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전체적인 관련성을 도출한다. 연구의 내용은 이론적 연구와 실증적 연구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이론적 연구는 첫째, 상표자산의 개념과 상표자산에 영향을 미치는 소비자, 상표관련 변인에 대한 내용들과 둘째, 상표확장전략과 상표확장 정보처리 모형에 근거하여 상표 확장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실증적 연구는 두 단계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1단계에서는 선행연구와 예비조사를 토대로 상표 및 확장제품 선정하였다. 2단계에서 는 설문지를 구성하였는데 의류상표자산을 측정하기 위하여 Aaker(1991) 등의 이론을 토대로 문항을 재구성하였으며, 2차 예비조사를 통해 문항의 신뢰도를 검증한 후 본 설 문에 사용하였다. 연구 대상은 20세에서 35세까지의 남녀 450명을 편의 추출하였으며, 설문조사는 2000 년 9월 15일부터 9월 30일까지 실시하여 회수된 설문지 중 응답이 불성실한 설문지를 제외한 411부가 최종 분석자료로 사용되었다. 연구의 자료는 SPSS 7.5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 처리하였으며, 자료 분석 방법으 로는 빈도, 백분율, 요인분석, 분산분석, LSD-test,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 등을 사용하 였다. 실증적 연구를 통해 밝혀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류상표자산은 이미지, 인지도, 지각된 품질, 신뢰도의 상표자산의 구성요소와 상표자산의 지표인 상표충성도로 구성된다. 상표별 의류상표자산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상표자산의 구성요소와 상표충성도에서 상표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소비 자가 지각한 의류상표자산은 상표P가 가장 높고, 상표B, 상표H 순으로 평가됨을 알 수 있다. 둘째, 상표관련 선행요인을 요인 분석한 결과 상표접근도와 준거집단으로 구분되었으 며 이에 따라 상표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상표접근도에서는 빈폴이, 준거집단의 영향에 서는 상표자산이 상대적으로 높게 평가된 폴로가 높게 평가되었다. 또한 의류상표관련 선행요인과 의류상표자산의 상관관계 분석한 결과 모든 요인에서 .34에서 .71의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특히 이미지와 지각된 품질, 상표접근도 및 준거 집단과 상표충성도, 이미지와 상표충성도는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의류상표자산 형성모형을 제시하기 위해 경로분석을 실시한 결과 상표접근도와 준거집단의 영향이 높 아질수록 상표자산의 구성요소에 미치는 영향은 17.4%에서 41.1%가 증가되며, 이와 같 이 형성된 상표자산의 구성요소에 대한 지각이 높아질수록 상표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은 26.3%에서 49.4%가 증가되었다. 셋째, 모제품에 확장제품의 지각된 유사성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가방과 언더웨어는 높고, 향수와 선글라스는 낮게 나타났으며 이에 따라 상표확장태도도 동일하게 나타났 다. 확장제품에 따라 상표확장태도를 알아 본 결과 상표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는데 폴로 는 가방, 향수, 언더웨어, 선글라스 순으로 빈폴은 가방, 언더웨어, 향수, 선글라스 순으 로, 헌트는 언더웨어, 가방, 향수, 선글라스 순으로 확장태도가 다름을 울 수 있다. 또한 상표확장태도의 상표별 차이를 분석한 결과 폴로가 빈폴, 헌트보다 품질지각, 명성지각, 구매의도에서 높게 평가되었다. 넷째, 인구통계적 특성 중 교육수준에 따라 상표자산의 구성요소인 인지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성별과 교육수준에 따라서는 여자가 남자보다 확장제품의 유사성을 높 게 지각하고 대학원이상에서 가방, 향수, 선글라스의 유사성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의복관여도를 요인분석한 결과 관심·상징성·유행·위험지각 4요인으로 나뉘며, 고 /저로 구분하여 의류상표자산과 상표확장태도를 알아본 결과 유행요인의 고/저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다섯째, 의류상표자산과 상표확장태도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언더웨어를 제외한 모든 확장제품에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이 중 상표이미지, 지각된 품질, 신뢰도 는 향수와 선글라스의 품질·명성·구매의도와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상표충성 도가 상표확장태도와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의류상표자산에 따른 상표확장태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표자산의 구성요소에 의해 형성된 상표자산을 설명변인으로 하고 상표확장제품의 품질지각과 구매의도를 각 각 종속변인으로 하여 경로분석을 실시한 결과 상표자산이 높아질수록 확장제품인 가 방, 향수, 선글라스의 품질지각과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의류상표자산의 차원들은 독립적인 것이 아니라 인과적 관계로 형성되며 구성 요소들 간에도 상호관계가 존재한다. 둘째, 상표확장제품을 선정할 때에는 모상표의 특성과 이미지 및 모제품과 확장제품 간의 지각된 유사성을 파악하여 이에 적합한 제품을 선정해야 할 것이다. 셋째, 상표자산이 높아질수록 확장제품의 품질지각과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업은 모상표의 특성과 이미지에 적합한 제품을 선정하 여 상표확장을 할 경우 기존의 상표자산에 의해 형성된 시장지위를 이용할 수 있음으로 소비자에게 친숙감을 주어 위험부담을 줄 일 수 있고 상표런칭에 드는 초기 투자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the clothing brand equity effectively and to establish a strategy for the brand extension by examining brand extension attitude based on all aspects of the clothing brand equity.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subjects were set up. First is the clarifying division of the brand equity of a certain product having clothing brand and the difference of brand equity based on the clothing brand. Second is the clarifying an effect which affect to the clothing brand equity by preceding factor associated with the clothing brand and the exhibition a construction model of the clothing brand equity based on the effect. Third, Is there any difference on the brand extension attitude that depends on the brand extension products and brand itself? Fourth, Is there any difference on the brand equity and brand extension attitude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variables and clothing involvements? Fifth is the researching of the relation of clothing brand equity, brand extension attitude and the computation of the overall relationship by the analysis of brand equity affect to brand extension attitude. This study is classified into the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study. In the theoretical study, I researched, firstly, the concepts of the brand equity and the consumers having an effect on the brand equity and the variables related with the brand, secondly, the strategy of the brand extension and the variables effecting the brand extension based on the model of the brand extension information transaction. The experimental study was divided into two parts. Firstly, the brand and the extension product were selected in based on the preceding study and preliminary examination, secondly, the questionnaire was constituted for observation of the clothing brand equity based on the Aakers theory (1991). It is applied in the question after the secondary preliminary examination for the confidence. The subjects were a random sample of 411 peoples in the age group 20~35s living in Seoul and Kyungki region during September 2000. SPSS package was used for data analysis and the method like Frequency, Percentage, Factor analysis, ANOVA, T-test, LSD-test,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were appli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the clothing brand equity consists of dimensions of the brand equity like image, awareness, perceived equality, trustworthiness and the brand royalty that is the indicator of brand equity. At the results of analysis for the difference of clothing brand equity by brand, there is the significant difference on a dimension of the brand equity and brand royalty in line with the brand. That is to say, the clothing brand equity of the Polo that was recognized by consumers was the highest and then the next was Bean Pole and the Hunt. Second, the preceding factor related with the brand was divided into brand-accesses and reference group at the result of the factor analysis. The Bean Pole and the Polo are estimated highly at the brand accesses and the effect of reference group, respectively, from the result of brands difference. Also the preceding factor, related with brand and the clothing brand equity were mutually connected in all its aspects, especially image- perceived equality, brand accesses and reference group-brand royalty. At the result of the path-analysis for the constructive model of clothing brand equity, as the effect of brand accesses and reference group became higher, their influence on the dimensions of the brand equity is increased from 17.4% to 41.4%. Then, as the recognition to the dimensions of the brand equity become higher, the effect to the brand royalty was increased from 26.3% to 49.4%. Third, perceived similarity between the original product and the extension product were high, but the perfume and sunglass were low, and the same result was connected on the brand extension attitude. There was a difference according to the extension item and brand extension attitude, the order is bag-perfume-underwear- sunglass, bag-underwear-perfume-sunglass, underwear-bag-perfume-sunglass in the case of the Polo, the Bean Pole and the Hunt respectively. Also the study on the brand extension attitude to each brand shows that, the Polo was estimated highly than the Bean Pole and the Hunt in quality, reputation and buying intension. Fourth, there was the considerable difference on the recognition, dimensions of the brand equity according to the education level at the demographic variables. Also, the female is superior than the male in recognition of the similarity of the extension item, and the graduated students perceive eminently the similarity of the extension item like bag, perfume and sunglass. The clothing involvement was divided into 4 dimension - namely, symbolism, fashion and perceived risk at the result of analysis. And according to the high and low in fashion involvement the brand equity and brand extension attitude were differenced. Fifth, there was relation in all kind of extension item except underwear from the result of analysis of the clothing brand equity and brand extension attitude. Among them all, brand image, perceived quality, trustworthiness indicated the high relationship with the quality, reputation and buying intension, the highest relationship with brand royalty in the brand extension attitude. The path analysis, practic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brand equity was independent variable and perceived quality of extension item and buying intension were dependent variable, shows that the large brand equity gives the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quality and consumers' intension to bag, perfume and sunglass, the extension items.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he dimensions of the clothing brand equity were not independent but formed in causal relation and also related each other. Second, brand extension item has to be selected on the basis of the original brand image and the recognized similarity between the original item and extension item. Third, as the brand equity became higher, there was positive effect to quality recognition of the extension item and buying intension. Therefore, Once the company expand the brand on the basis of the original brand image and the product specificity, they can minimize the primary investment expense for launching and reduce the risk through market position formed by existing brand equity.

      • 포스트 모더니즘 의류광고에 대한 소비자 반응연구

        원을지 숙명여자대학교 1999 국내석사

        RANK : 250703

        광고는 의류와 소비자와의 관계에서 떼어놓을 수 없는 대화의 수단이며 매체의 발달은 이를 가속화시켰다. 특히 영상세대를 살고있는 현대인에게 포스트 모더니즘의 등장은 부정적인 시각과 더불어 현시대를 바라보는 새 로운 시각으로 자리하고 있다. 현대 소비사회에서 포스트 모더니즘 광고 는 독창적이며 차별화된 형태로서 전통적인 광고에 익숙한 소비자에게 신 선하게 또는 당혹스럽게 다가서고 있다. 특히 의류 광고에 있어서 그 특 징(반 형식, 전통적 서술구조의 파괴, 다양한 장르의 혼재, 현실과 허구의 뒤섞임 등)과 성격들이 많이 반영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포스트 모더니즘 의류광고가 소비자의 의식(생 활방식)에는 어떻게 받아들여지고 상품구매 행위에 있어서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에 관한 연구를 함으로써 광고가 소비자의 정보원으로써 구매행동 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데 연구의 의의를 두었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의 인구통계적 특성과 의류광고의 활용매체 및 신뢰도 관심 여부를 알아본다. 둘째, 포스트 모더니즘 의류광고의 차별성과 표현인지를 알아본다. 셋째, 광고별 형식에 따른 소비자의 감정반응들을 유형화 하고자 한다. 넷째, 광고태도와 관련한 광고의 형식별 감정반응을 알아보고 광고태도와 구매의도의 관련성을 분석한다. 다섯째, 광고별 형식에 따른 소비자의 수용태도(생활방식)를 알아본다. 여섯째, 광고에 따른 소비자의 수용태도와 광고태도, 광고효과, 구매의도 와의 관련성을 인구통계적 특성과 함께 밝힌다. 본 연구대상은 서울`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만 18세에서 40세에 이르는 성 인 남녀 42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설문지는 선행연구와 예비 조사를 토대로 구성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를 이용하여 빈도(Frequency), 백분율(Percentage), 교 차분석, 평균분석(T-Test), 분산분석(Oneway Anova), 요인 분석(Factor Analysis), 카이자승 검증(Chi-Square Test), 회귀분석,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의류광고의 정보활용매체는 TV와 잡지가 높게 나타났다. TV는 남성이 잡지는 여성이 더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보이며 카탈로그의 활용도 여성 이 높게 나타났다. 광고에 대한 관심과 신뢰도 여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광고의 정보활용매체도 남성에 비해 다양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포스트 모더니즘 의류광고의 차별성과 표현인지 포스트 모더니즘 의류광고의 차별성을 인지하는데 있어서 인구통계적으로 모두 종래의 광고와 차이가 있다라고 대답했으며 집단간의 인지차이를 알아본 결과 연령별로는 10대와 20대가 30대에 비해 기존의 광고에 비해 더욱 흥미를 느낀다라고 대답함으로써 포스트 모더니즘 의류광고가 신세 대 젊은이들의 선호도를 반영한다고 할 수 있다. 표현인지에 있어서는 비교적 내용을 잘 이해하는 것으로 보이며 광고마 다 집단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광고의 내용에 있어서 소비자의 의식과의 부합도는 매우 낮은 것으로 나 타나 광고가 현실의 내용과는 다소 거리가 있다고 보여진다. 3.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감정반응에 변수를 투입하여 요인분석을 한 결과 5가지의 요인으로 분류되었으며 광고마다 각 요인의 명칭이 모두 긍정적, 부정적, 성적, 자극적, 구성적 측면으로 동일하게 나왔으며 구성적 측면은 포스트 모더니즘 광고의 특징들을 보이는 항목들로 구성되어있다. 4.광고의 감정반응과 관련한 광고태도의 관계를 살펴보면 광고별로 긍정 적 측면이 광고태도와 관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정적인 측면은 광고태도에 부정적인 관련성이 있으며 구성적 측면은 광고의 태도와 관 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고태도와 관련한 구매의도에서는 광고마다 비교적 강한 상호관련성을 보이고 있다. 5.광고별 소비자의 수용태도를 살펴보면 연령별, 직업별로는 유의한 차이 를 보이지 않으나 성별로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평균을 비교해본 결과 남성이 여성보다 평균에 있어서 약간씩 높은 점수를 갖는 것으로 보아 남성이 여성에 비해 광고와 관련한 일상생활에서의 영향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6.광고의 수용태도와 광고태도, 광고효과, 구매의도와의 관계를 살펴본 결 과 광고에 정서적으로 동감해서 모방하고 싶다와는 상호 관련성이 있으며 구매의도와도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광고가 마음에 들면 구매할 의사가 있으며 광고가 재미나 흥미 등 광고가 효과에 치중하 는 것도 구매의도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부정적인 경향으로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연령과 직업별로는 상호 관련이 적으며 성별 로는 약간의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즉 수용태도와 광고태도, 광고 효과, 구매의도와 연령이나 직업과는 상관이 없고 성별로는 광고에 정서 적으로 동감하거나 모방하고 싶다와는 부정적이며 광고효과에 대해서는 긍정적임을 알 수 있다.

      • 의류점포 유형에 따른 고객 자발성 형성과정 연구

        정영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박사

        RANK : 250703

        본 연구는 의류점포의 서비스 품질 개선과 고객과의 만족스러운 관계유지를 위한 새로운 전략으로서 고객 자발성을 확인하고, 다양한 의류점포 유형에 따른 고객 자발성 형성과정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 품질, 관계 마케팅, 고객만족, 고객 자발성에 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서비스 품질 - 관계효익 - 고객만족 - 관계품질 - 고객 자발성으로 이어지는 경로모형을 구성하여 점포유형에 따른 각 변인들간의 영향력을 조사하고 의류점포에서의 고객 자발성 형성 모형을 검증하였다. 실증적 연구를 위하여 서울에 거주하는 20에서 40대까지의 여성소비자를 대상으로 2004년 3월 중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721부의 설문지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의 분석은 SPSS 8.0과 LISREL 8.12를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의류점포에서의 고객 자발성 관련 변인들의 요인을 조사하기 위해서 확증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의류점포의 서비스 품질은 점포의 신뢰성, 점포의 VMD, 판매원의 고객 지향성, 점포 유형성, 판매원의 전문성, 고객 편의성의 6개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관계효익은 사회적 효익, 위신적 효익, 경제적 효익, 심리적 효익의 4개 요인으로 분류되었으며 관계품질은 신뢰와 몰입 2개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의류점포에서의 고객 자발성은 협력, 능동적 구매, 능동적 참여의 3개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2. 의류점포 유형에 따른 고객만족에 대한 의류점포의 서비스 품질 및 관계효익의 영향력을 조사한 결과 의류점포 유형 모두에서 서비스 품질은 고객 만족 및 관계효익에 대해 유의한 정적 영향력을 나타냈다. 또한 백화점과 패션전문점/대리점에서는 서비스 품질이 관계효익 및 고객만족을 매개로 하여 관계품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고객만족 및 관계품질에 대한 관계효익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백화점, 패션전문점/대리점에서의 관계효익은 고객만족 및 관계품질에 유의한 정적 영향력을 나타냈다. 그러나 대형도매상가/할인점에서의 관계효익은 고객만족에 대해서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관계품질에 대해서는 부적 영향력을 나타냈다. 4. 고객 자발성에 대한 관계품질의 영향력을 조사한 결과 백화점과 패션전문점/대리점에서의 고객 자발성은 관계품질만이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대형도매상가/할인점에서의 고객 자발성은 고객만족만이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세 의류점포 유형 모두에서 고객 자발성에 대한 서비스 품질 및 관계효익의 직접적인 영향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의류점포에서의 고객 자발성은 반드시 고객만족이나 관계에 따른 신뢰와 몰입이 선행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5. 의류점포 유형에 따라 고객 자발성에 미치는 변수들의 영향력과 그 형성과정이 다른 것으로 밝혀졌다. 백화점에서의 고객 자발성은 의류점포의 서비스품질과 관계효익에 대한 고객만족만으로, 대형도매상가/할인점에서의 고객 자발성은 의류점포의 서비스품질에 대한 고객만족만으로 형성됨을 알 수 있었다. 반면 패션전문점/대리점에서의 고객 자발성은 의류점포의 서비스 품질 및 관계효익에 대한 고객만족과 그로 인한 관계품질의 결과로서 형성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고객 자발성이 의류점포에 대한 고객만족을 높히고 고객과 의류점포와의 지속적인 관계유지를 도모할 수 있는 새로운 행동변수임을 밝힘으로써 서비스 및 관계마케팅 전략으로서의 관리적 시사점을 제공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Customer Voluntary Performance as a new strategy to improve Service Quality and to maintain Relationship at apparel store, to understand the influences of Service Quality and Relationship Benefits on Customer Voluntary Performance. To pursue the above purposes, I designed the experimental model showing the working process like: Service Quality - Relationship Benefit - Customer Satisfaction - Relationship Quality - Customer Voluntary Performance. To accomplish the experimental study, I chose questionnaire method and targeted 20-40`s women living in Seoul. 721 questionnaires were used in last analysis. SPSS 8.0 and LISREL 8.12 were used in analysis of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Service Quality dimensions of apparel store were Reliability, VMD, Customer Orientation, Store Facilities, Sales persons Expertise, Customer Convenience. Relationship Benefit dimensions of apparel store were Personal Relationship, Prestigious, Psychological, Economic Benefit. Relationship Quality dimensions were Reliability, Immersion. Customer Voluntary Performance dimensions were Service Cooperation, Positive Purchase, Positive Participation. 2. It was found that Customer Satisfaction and Relationship Benefit were affected by Service Quality in all apprel store type(Department Store, Fashion Specialty Store/Road shop, Big Wholesale Market/ Discount Store). Especailly, it was found that Service Quality influenced on Relationship Quality through the medium of Relationship Benefit and Customer Satisfaction in Department Store and Fashion Specialty Store/Road Shop. 3. It was found that Relationship Benefit influenced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relationship Quality in Department Store and Fashion Specialty Store/Road Shop. But, in case of Big Wholesale Market/ Discount Store, it is appeared that Customer Satisfaction was not affected by Relationship Benefit and that Relationship Benefit influenced on Customer Satisfaction negatively. 4. It was found that Customer Voluntary Performance in Department Store and Fashion Specialty Store/Road Shop was only affected by Relationship Quality. Customer Voluntary Performance in Big Wholesale Market/Discount Store was only affected by Customer Satisfaction. And, it was found that Service Quality and Relationship Benefit influenced on Customer Voluntary Performance through the medium of Customer Satisfaction and Relationship Quality in every apparel store type. 5. It was found that the influence of variables on Customer Voluntary Performance at apparel store and a process of establishing Customer Voluntary Performance is different from apparel types. It was found that Customer Voluntary Performance in Department Store is built up by customer satisfaction on Service Quality and Relationship Benefit, that Customer Voluntary Performance in Fashion specialty store/Road shop is built up by customer Satisfaction and Relationship Quality on Service Quality and Relationship Benefit. And it was found that Customer Voluntary Performance in Big Wholesale Market/Discount Store is built up by Customer Satisfaction on Service Quality. Finally, this study has a important meaning that provides marketing strategy on satisfied relationship maintenance and customer satisfaction creation between apparel store and customer.

      • 온ㆍ오프라인 의류 점포 통합 마케팅 활성화 방안 연구

        김지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50703

        본 연구는 요즘 급성장하고 있는 전자상거래를 의류 마케팅에 접목시켜 오프라인 점포 판매와 온라인 점포 판매의 통합을 통한 의류 판매를 위한 마케팅을 활성화하고자 하는 방안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시도되었으며, 연구의 초점은 구매자의 선호 점포 형태에 따른 소비자 특성과 점포선택행동의 차이가 어떠한지를 분석하고자 한 것이다. 연구 대상은 10대-40대의 남녀로서 온라인과 오프라인 의류 점포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470명이었다. 연구 도구는 패션 제품을 구매하는 소비자의 특성, 구매행동, 인터넷 쇼핑몰에 대한 위험 지각, 브랜드 확장을 통한 효과, 점포에 따른 의류제품 구매특성 비교에 관한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본 연구자가 구성하고, 전문가의 내용 타당도를 거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이 질문지는 소비자의 의류구매행동, 온라인 점포에서의 구매성향, 점포선택행동, 소비자특성을 묻는 54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연구결과는 SPSS Win 프로그램 10.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백분율, 분산분석, t-test, 교차분석, Duncan test, ANOVA를 실시하였다. 전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오프라인 의류 점포와 온라인 의류 점포에서의 의류 구매행동 분석 및 비교를 한 결과 연령, 성별, 직업에 따른 구매 아이템으로 티셔츠류와 정장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20대는 오프라인과 온라인 점포 양방향에서 티셔츠류를 가장 많이 구입하는 아이템으로 나타났다. 오프라인과 온라인 점포에서 가장 큰 차이를 나타낸 아이템으로는 정장류로 ‘온라인 점포에서는 구입하지 않는다’가 큰 비율을 나타냈다. 전반적인 연령대에서 구매·선호 브랜드 스타일로 캐주얼웨어룩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10대는 온라인 상의 정보탐색에 비해 구매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온라인 점포에서의 비구매 이유로는 ‘신뢰성’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둘째, 선호 점포 형태별 집단의 온라인·오프라인 의류 점포에서의 구매행동과 점포선택행동에 대하여 알아본 결과 선호 오프라인 점포 형태에서 가장 많은 소비자가 선호하는 점포형태로는 백화점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백화점 선호 집단의 인구통계적 특성에서 소득수준이 네 집단 중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 남자보다 여자가 월등히 높았고 기혼보다 미혼이 높게 나타났다. 선호 점포 형태별 고개 집단의 오프라인 의류 점포에서의 구매행동에서는 점포에 대한 불만사항, 벌당 평균가격대, 연평균 의류 구매 비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점포에 대한 불만사항으로 백화점 선호 집단은 개폐점 시간대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전문점 선호 집단은 제품의 다양성이 높게 나타났다. 벌당 평균가격대로는 네 집단 모두 5-20만원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연평균 의류 구매 비용은 백화점 선호 집단이 100만원 이상으로 가장 높은 비용을 소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호 점포 형태별 집단의 구매 의복 아이템에서는 네 집단 모두 오프라인 점포에서 정장류를 구입하나 온라인 점포에서는 구입하지 않는 결과를 알 수 있었으며 청바지·면바지류는 백화점, 전문점 선호 집단이 오프라인 점포에서 가장 많이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티셔츠류의 경우는 오프라인 점포에서 보다 온라인 점포에서 구입한다는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선호 점포 형태별 집단의 온라인 점포에서의 의류 구매행동에서는 결제수단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결제 수단으로 신용 카드 결제가 월등히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온라인에서의 구매 의류 아이템으로는 스커트류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온라인 점포에서 스커트류를 구입한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온라인 의류 점포의 보완점으로는 백화점, 할인점 선호 집단에서 ‘정확한 정보 제공’이, 전문점, 보세매장 선호 집단에서는 ‘구매 후 처리’가 높게 나타났다. 선호 점포 형태별 점포선택행동에서는 ‘점포이미지’와 ‘서비스’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점포를 선택하는데 있어 점포이미지와 서비스에 대해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연구를 통해 오프라인과 온라인 의류 점포의 통합 마케팅 전략에 적용할 만한 의미 있는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그러므로 이 분야의 마케팅 관리자들은 소비자들의 오프라인과 온라인 점포에서의 소비자 행동과 점포선택행동을 분석·이해하고 이에 맞는 처세와 전략을 전개해 나가는데 기여할 것이라 생각한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a way to activate marketing of the clothing business that provides on-line/off-line total services by combining electronic commerce, which is developing rapidly these days, with marketing of the clothing business. To achieve the purpose,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in consumer choice behavior between online and offline store and in consumers’ properties, and if there were differences, what they were. Four hundred and seventy people in their teenage, twenties, thirties, and forties who had ever purchased clothing through on-line and off-line stores were sampled as subjects of this study.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based on previous literatures related to properties of consumers purchasing fashion goods, their purchasing behaviors, the perception on the danger of Internet shopping malls, the influence caused by brand extensions, and the differences of consumers’ choice to purchase goods according to types of store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fifty-four questions that were asking consumers’ behavior to purchase clothing, their purchasing trend in online stores, their choice behavior between online and traditional stores, and their properties, and the content validity of the questionnaire was verified by a professional. The data collected from the survey were analyzed by using frequency analysis, percent, analysis of variance, t-test, crosstabulation, Duncan test, and ANOVA with SPSS WIN 10.0.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l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related to consumers’ behavior to purchase clothing in online and offline stores based on the properties of statistics in population, T-shirts and suits as items to be purchased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 gender, and job. It was found that people in their twenties purchases T-shirts most in both online and offline stores. The item showing the greatest difference between the purchases in both stores was suits, and most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swered ‘I don’t purchase suits in online stores.’ Casual wear look was the most preferred brand style and items related to it were purchased most by subjects in all ages in general. In addition, the result indicated that teenagers purchased items in online stores more than they searched the net to get information of the items. The greatest number of subjects answered that, if they had not bought goods in online stores, it would have been because they could not have relied on ‘Reliability’ of online stores. Secondl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related to consumers’ purchasing and choice behavior between online and offline stores with regard to types of stores, it was found that department stores was chosen as the most preferred type of offline stores. People who preferred department stores to purchase goods showed following properties of statistics in population; firstly the level of their household income was the highest among four groups. Secondly, women showed much higher rate of purchasing at department stores than men. Finally, single people bought items there more than married people. Regarding to consumers’ purchasing behavio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plaints about stores, average price per suit, and an annual average expense for purchasing clothing. The most distinct complaint about stores that the group of people preferring department stores had was their business hours, and that of the group preferring specialty stores was lack of diversity of items. The average price per suit was revealed fifty thousands to two hundred thousands won in all four groups. It was also found that the annual average expense for purchasing clothing of the group of people preferring department stores was the highest, over one million w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while most people of the four groups had ever purchased suits in offline stores, they had never done or had not any intention to purchase suits in online stores. Jeans and trousers were the items purchased most in traditional stores by the group of people preferring department stores and specialty stores, and people bought T-shirts more in online stores than offline stor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 way to pay with regard to consumers’ purchasing behavior in online stores according to types of groups, and most people paid for with credit cards. Clothing items purchased in online store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kirts, and subjects answered they had often bought skirts in online stores. The subjects required department stores and discount stores ‘to provide with correct information,’ and specialty stores and retail stores ‘to provide with after service.’ Consumers’ choice behavior according to types of store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image of store’ and ‘service,’ and it was found that the subjects placed significance on the two variables when choosing a store for purchasing goods. In conclusion, the significant findings were acquired from this study for strategies to integrate marketing of online and offline clothing stores. Therefore, marketing administrators in this field should analyze and make out consumers’ purchasing and choice behavior in online and offline stores so that they can develop strategies in accordance with the patterns.

      • 성인여성복 토르소원형 연구

        김지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20대 전반 성인여성 중 표준체형에 부합하는 신체밀착형의 토르소원형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20대 전반 성인여성의 표준치수를 설정하고, 토르소원형의 제도법을 제시함으로써 패턴전개 및 조작이 매우 용이하며 다목적 상의원형으로서 그 가치와 활용도가 높은 신체 밀착형의 토르소원형을 제시하였다. 1. 신체 밀착형 토르소원형 개발의 기초단계로서 성인여성의 표준체형 설정을 위해 선행연구 및 문헌자료들을 수집분석한 결과, 신체의 크기면에서 길이, 둘레, 너비, 두께 등의 신체부위별 치수가 평균값을 가지며 형태면에서 바르고 균형있는 평균적인 체형을 표준체형으로 정의하였다. 2. 20대 전반 성인여성의 표준치수설정을 위한 기초단계로서 체형관련 선행연구 및 ’97국민표준체위조사보고서의 인체계측자료, 의류브랜드에서 패턴제작시 사용하는 신체치수, 의류업계 모델리스트들의 제안치수를 상호 비교분석하여 평균 신체치수와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T-test, F-test, Duncan-test를 실시하여 유의성을 검증한 후 신체밀착형 토르소원형 설계시 필요한 상/하반신의 최소외포둘레를 고려하여 1차 표준 치수를 설정하였다. 3. 연구 토르소원형 제작을 위한 기초자료로는 ESMOD 38사이즈 토르소 원형 제도법 및 치수를 기초로 선정하였으며 착의실험을 통해 그 타당성을 검증한 결과, 전반적으로 낮은 적합도를 나타내 부적합을 나타낸 부위들에 대한 수정보완이 요구되었다. 이러한 기존 토르소원형 연구결과와 각종 신체치수 관련자료의 비교분석에 의해 추출된 1차 표준치수를 바탕으로 1차 연구 토르소원형을 제작 착의실험한 결과, 기존 토르소원형에 비해서는 향상된 결과를 보였다. 수정보완이 지적된 목앞점, 뒤어깨선, 뒤어깨다트량 및 길이, 옆선의 길이 등 4항목을 수정하여 새로운 제도법을 제시하여 2차 연구 토르소원형에 적용시켰다. 4. 1차 연구 토르소원형 연구결과 지적된 부적합한 부위를 수정보완하여 2차 표준치수를 제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2차 연구 토르소원형을 제작해 착의실험을 실시한 결과, 1차 착의실험 결과에 비해 월등하게 향상된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토르소원형 제도에 필요한 14개 항목 중 앞중심길이, 엉덩이길이, 목밑둘레, 엉덩이둘레 등의 4개 항목에서 다소 치수를 수정보완하여 최종의 표준치수를 설정하였다. 5. 토르소원형 개발을 위한 최종의 표준치수는 <표 4-12>와 같고, 기존 토르소원형과 1/2차 연구 토르소원형의 착의실험을 거쳐 수정보완되어 완성된 최종의 성인여성복 토르소원형의 제도법은 <그림 4-1>-<그림 4-2>에 제시하였다. 본 연구자는 한국 20대 전반 성인여성을 대상으로 표준체형을 설정하고 고감도의 맞춤형 의복설계를 위한 기초자료로서 전체적으로 외관과 맞음새가 우수한 신체밀착형 토르소원형을 개발하여 교육용 패턴제작 및 의류설계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 토르소원형 개발은 ‘의복원형이란 신체 그 자체를 그대로 반영한 모형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패턴설계시 인체와 의복간의 관계를 가장 합리적으로 이해 할 수 있는 첫걸음’이라는 기본 개념의 전제하에 연구가 시작된 것이므로 의복패턴을 배우고자 하는 초보자 및 기존의 모델리스트들에게 패턴전개 조작이 매우 용이하여 다목적 상의원형으로서 그 가치와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develop a close-fitting torso prototype that matches the standard body shape of Korean women in early 20 years of age. It presents a close-fitting torso prototype having high value and usage as multi-purpose torso. With this torso prototype, developing patterns and modifying them become very easy, as it is based on the standard measurements newly established for Korean women in their early 20s and offers a drafting method for designing torso prototype. 1. As a basic preparatory step for developing a tightly fitting torso prototype, data related to various previous research projects on Korean body shapes and reference material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o establish the standard body shape of the target adult female. The standard body shape was defined as a figure with average measurements in length, girth, width and thickness of all major body parts and also a typical upright and balanced shape. 2. As part of the primary stage for setting up the standard body measurements, various data were collected and cross-checked. They were available from previous research projects on body shapes, body measurement data from a report released in 1997 by National Anthropometric Survey of Korea, body measurements used by clothing manufactures for developing patterns, and standard measurements proposed by modelists in the apparel industry. The average body measurements and standard variations were acquired through the data obtained from the above comparative research. And then the preliminary standard measurements considering the girth of the least outer cover for the upper and lower part of a body, required for designing the torso prototype was established after verifying above statistics by going through T-test, F-test and Duncan-test. 3. The drafting method and measurements of ESMOD 38 size torso prototype were employed as base data for torso designs. However, dressing tests proved them having low validity and required modifications in the area of showing improper measurements. Based on the results of research regarding existing torso prototypes and comparative studies, the first preliminary standard size was developed. Through dressing tests using the preliminary torso prototype, the preliminary one was proved to be more suitable than existing ones. Newly modified method and four revised measurements, such as front neck point, rear shoulder line, rear shoulder dart and length, and side seam length were applied to the second torso prototype. 4. The second stage standard measurements were developed by modifying areas, which were discovered as unsuitable in the first trial prototype test. And then the second dressing test was conducted by using the second prototype, which showed much greater improvements over the first test results. Finally, the final standard measurements were established by correcting four measurements, front center line, hip length, neck bottom diameter, and hip diameter among the total 14 key measurements essential for designing a torso prototype. 5. The final standard measurements for designing the torso prototype are given in <Table 4-12>. <Figure 4-1> and <Figure 4-2> present the final torso prototype drafting method for adult women that it is corrected and modified through the research of the existing torso prototypes and the first and second tests.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the standard body measurements of Korean women in their early 20s and serve as base data for designing stylish custom-made suit. It is also intended to provide a guideline for making patterns and designing clothes by developing a close fit torso prototype, which offers excellent overall appearance and fitting. This torso prototype was developed under the premise of a basic concept that it is the starting point to understand the relations between the body and clothes most rationally in designing their patterns that the prototype for clothes should be the one which thoroughly reflects the body. Therefore, it is believed to be of high value and used as a multi-purpose torso prototype for both beginners and professional modelists of pattern making as it offers ease of use for pattern development and design.

      • 주5일 근무 직장인의 라이프스타일과 의복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최정원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50671

        주5일 근무제는 높아지는 생산력과 원활한 재생산을 담보하는 중요한 기제로 작용하여, 한 나라의 경제발전단계가 양적 성장단계에서 질적 성숙단계로 전환하는 시기에 도입이 요구되는 중요한 제도적 과제이다. 이에 본 연구는 주5일 근무제 도입에 따라 직장인의 라이프스타일과 의복구매행동의 유형을 분류하고, 유형별 특성과 인구통계적 특성의 관계를 밝혀 라이프스타일과 의복구매행동의 유형간의 관련성을 규명하여 본 연구를 바탕으로 주5일 근무제 도입에 대한 마케팅의 기초분석자료로써 달라진 고객의 라이프스타일과 의복구매행동의 변화를 인식하여 합리적인 마케팅 전략 수립에 도움을 주고, 의류업계의 나아갈 방향을 모색해 보려고 한다. 실증적 설문을 위한 설문은 서울시내에서 근무하는 주5일 근무를 실시하고 있는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2002년 10월 1일부터 10월 21일까지 실시하여, 총 600부를 배포하여 491부가 회수되었고, 그 중 응답이 불성실한 설문지를 제외한 421부가 최종 분석자료로 이용되었고, 표본은 편의추출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SPSS 10.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처리 하였으며, 자료분석 방법으로는 요인분석, 신뢰도 검증, 빈도분석, t-test, 분산분석, Scheffe-test, 상관분석, 회귀분석 등을 실시 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라이프스타일을 유형화한 결과 패션추구에 관해서는 패션지향 라이프스타일, 문화생활에 관해서는 사교지향 라이프스타일, 가족지향 라이프스타일, 여가지향 라이프스타일, 소비생활에 관해서는 유명상표구매지향 라이프스타일, 계획구매지향 라이프스타일, 비계획구매지향 라이프스타일, 사회적 가치관에 관해서는 전통적 가치관지향 라이프스타일, 남녀평등 가치관지향 라이프스타일로 분류되었으며, 인구통계적 변인에 따라서는 연령, 성별, 결혼여부, 교육수준, 월평균 총수입, 월평균 의복지출비, 의복 구매횟수, 의복구매장소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2. 의복구매행동을 유형화한 결과 정보원은 인적 정보원 요인, 비인적 정보원 요인으로 의류점포선택기준은 점포의 상품, 점포 편의성 요인, 점포 분위기 요인으로 의류제품선택기준은 제품의 심미성, 제품의 실용성으로, 구매후 만족·불만족은 제품의 만족·불만족, 점포의 만족·불만족으로 분류되었으며, 연령, 성별, 결혼여부, 교육수준, 월평균 총수입, 월평균 의복지출비, 의복 구매횟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주5일 근무제 실시기간에 따른 라이프스타일을 보면, 3년 이상 주5일 근무제를 실시한 경우에 가족지향 라이프스타일이 높게 나타났다. 근무업종에 따라서는 유통·무역업이 사교지향 라이프스타일을 더 지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5일 근무제 실시기간에 따른 의복구매행동을 보면, 3년 이상 주5일 근무제를 실시한 경우에 점포의 상품과 제품, 점포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제품의 만족도는 1년 이상 근무한 경우에도 높게 나타났다. 근무업종별로는 금융업과, 유통·무역업, 기타의 경우엔 제품의 만족·불만족이 높게 나타났다. 4. 주5일 근무 직장인의 라이프스타일과 의복구매행동 간의 회귀분석 결과 유명상표구매지향과 남녀평등 가치관지향 라이프스타일 일수록 인적 정보원을 더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패션지향과 계획구매지향, 비계획구매지향 라이프스타일 일수록 비인적 정보원을 더 많이 이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가지향과 비계획구매지향, 남녀평등 가치관지향 라이프스타일 일수록 점포의 상품에 더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라이프스타일 중 가족지향과 전통적 가치관지향 일수록 점포 편의성에 더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라이프스타일 중 가족지향과 남녀평등 가치관지향 라이프스타일 일수록 점포 분위기에 더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패션지향과 계획구매지향, 남녀평등 가치관지향 라이프스타일 일수록 제품의 심미성에 더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라이프스타일 중 계획구매지향, 남녀평등 가치관지향 라이프스타일 일수록 점포 편의성에 더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패션지향과 유명상표구매지향, 남녀평등 가치관지향 라이프스타일 일수록 제품의 만족도에 더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라이프스타일 중 유명상표구매지향, 비계획구매지향, 전통적 가치관지향, 남녀평등 가치관지향 라이프스타일 일수록 점포의 만족도에 더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five work day per week system will greatly help enhance productivity and smooth the reproduction process, which is essential for a countrys economic development stage to transform from quantity based to quality based. This study categorizes workers life styles under the five work day per week system, categorizes clothing consumption behavior, define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ategory and its relation to demographic information.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change in consumer life style and behavior under the five-work day per week system and should be used as a valuable tool for marketing tactics and provide a guideline for the future of clothing businesses. The survey was collected from a sample of workers working under the five-work day per week system in Seoul from Oct 1 2002 to Oct 21. 600 surveys were given out and 491 were collected, 421 surveys were us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Sampling was convenience based.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10.0, and the specific statistical methods that were used were factor analysis, reliability testing, frequency measures, t-tests, distributions, Scheffe-test, correlation, and regression. These are the results of the study. 1. The categorization of life styles is as follows. For pursuing fashion: fashion pursuing life style, for cultural life: socialization pursuing life style, family oriented life style, leisure life style, for consumer life: famous brand name purchasing life style, planned consumption life style, non-planned consumption life style, for social morals: traditional values life style, and western values life styl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y demographics for gender, age, martial status, education, monthly income, monthly expenses on clothing, number of times to purchase clothing, and place of clothing purchase. 2. The categorization of clothing purchasing behavior is as follows. For source of information: human source, non-human source, for criteria of choice of clothing store: brand of store, convenience of using store, atmosphere of store, for criteria of choosing clothing: beauty, utility, for satisfaction of product: satisfaction of product, and satisfaction of stor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y demographics for age, gender, martial status, education, monthly income, monthly expenses on clothing, and number of times to purchase clothing. 3. Varying the amount of time that the individual had worked under the five-work day per week system, the results showed that when working under the system for five or more years, family oriented life style scores turned out to be higher. For types of profession, merchandising and trading businesses had higher social interacting oriented life styles. The following is how the amount of time working under the system affected clothing purchasing behavior. Individuals working 3 years or more under the system had higher satisfaction for clothing stores and its products, and this remained true for individuals who had worked for 1 year or more. Banking, merchandising and trading businesses had high satisfaction in this category and other professions had low satisfaction. 4. Using a regression analysis for individuals working under the five work day per week system with clothing purchasing behavior, it was found that famous brand oriented consumer behavior and western values oriented life styl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using human resources for information. It was also found that fashion oriented, planned consumption, and non-planned consumption life styl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using non-human resources for information. Leisure life oriented and non-planned consumption behavior, western values oriented life styles were highly related with brand of store, and family oriented and traditional values oriented life styles were seen to be more highly related with convenience of using store. Family oriented and western value oriented life style was highly correlated with store atmosphere. Fashion and planned consumption, western value oriented life styles were high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products beauty, and planned consumption, western value oriented life styles were high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convenience of store. Fashion oriented, famous brand oriented, western value oriented life styles were mostly correlated with product satisfaction, and famous brand oriented, non-planned consumption, traditional value oriented, western value oriented life style was mostly correlated with store satisfaction.

      • 20대 여성의 물질주의 성향 및 사회화 대행자의 태도가 의복의 상징적 소비에 미치는 영향

        고은경 숙명여자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50671

        Since 1960's, Korean society has achieved rapid conomic success by industrialization. The result of this economic development brings fertile environment and the people have interested in 'what to consume?'.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lement which influence the symbolic consumption in clothing. Materialism and agent of socialization have been studied and the affect of these two are also developed. In this study, the following subjects were set up. First, it was to subordinate parts of symbolic consumption in women's clothing. Second, it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symbolic consumption according to materialism and its subfactors. Third, it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symbolic consumption according to agent of socialization. Fourth, it was to examine the relative influences of variables affecting the symbolic consumption. The theoretical study and survey were used as a research method. The survey was administered to 426 women in the age group 19-30s living in Seoul and Kyungki region. SPSS packages were applied to find out the results of frequencies, percentages,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s, means, standard deviation, factor analysis. The main finding of this research as follows: First, the subordinate parts of symbolic consumption is devided into these three parts; fashion oriented consumption, brand oriented consumption, hedonic consumption. The average of hedonic consumption was higher than other subordinate parts of symbolic consumption. When women in twenties choose clothing, they considered style and design at first instead of quality or price. Second, symbolic consumption was seem to have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materialism and its subfactors. The subordinate parts of materialism is devided into three parts; possession-defined success, the pursuit of happiness, acquisition centrality. The higher materialism indicated, the higher symbolic consumption. Third, symbolic consumption proven to have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agent of socialization such as reference group and mas media. The higher the influence of the reference group and mass media was, the higher symbolic consumption was. Especially if the influence of the reference group and mass media was low, fashion oriented consumption was low. Fourth,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examing the relative influences of variables affecting symbolic consumption in clothing,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variables are in oder of ; the influence of the reference group, mass media and materialism. Among the subordinate parts of materialism, possession-defined success influences higher on the symbolic consumption than others. 최근의 한국사회는 고도의 경제성장을 이룩하여 왔고 이러한 경제 성장의 결과 풍요의 사회를 창출해 내게 되었으며, 경제적 풍요를 바탕으로 사람들은 '무엇을 소비할 것인가'에 관심을 기울이게 되었다. 풍요의 사회에서 사람들은 소비를 통해 자신을 나타내고자 하며, 이러한 상징적 소비는 사회전반에 점점 확산되었다. 그런 분위기 속에서 소비자들은 제품의 기능적인 측면보다는 제품이 지니고 있는 사회적, 주관적 의미를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자신을 표현하고 즐기기 위한 수단으로써 상징적으로 가장 많이 그리고 쉽게 소비될 수 있는 의복의 상징적 소비에 대한 연구는 의류업체에의 상품개발 및 광고전략의 수립에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의복의 상징적 소비현황을 파악하고 하위차원을 유형화한다. 둘째, 물질주의 성향에 따른 의복의 상징적 소비성향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한다. 셋째, 사회화대행자의 태도에 따른 의복의 상징적 소비성향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한다. 넷째, 각 의복의 상징적 소비성향관련변인들이 의복의 상징적 소비성향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을 알아본다. 본 연구의 방법은 이론적 고찰, 예비조사와 본조사를 통한 설문지법을 이용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Window 7.5를 사용하여 요인분석, 빈도, 백분율,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고찰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의복의 상징적 소비 요인분석결과 유행추구적 소비, 유명상표지향적 소비, 쾌락적 소비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20대 여성의 상징적 소비를 살펴본 결과 쾌락적 소비가 높게 나타나긴 했으나 다소 합리적인 소비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대 여성 소비자에게 의복은 기능적 측면으로서 뿐만 아니라 쾌락적 소비의 수단으로써 중요한 존재임을 알 수 있다. 둘째, 물질주의성향이 높을수록 의복의 상징적 소비와 하위요인의 성향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사회화대행자의 영향력을 많이 받을수록 의복의 상징적 소비성향과 하위요인인 유행추구적 ·유명상표지향적·쾌락적 소비성향이 높아졌다. 특히 사회화대행자의 영향을 적게 받을수록 유행추구적 소비는 현저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다중회귀분석결과 의복의 상징적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요인은 준거집단의 영향이었으며, 물질주의성향도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류제품은 어떤 집단이나 사회의 구성원들에게 폭넓게 공유되고 있는 의미를 지니는 상징적 제품으로서 그것을 구매, 소비하는 개인의 자아이미지나 개인적 속성에 관해 타인들에게 표현하고 전달하는 커뮤니케이션 수단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의류제품의 상징성은 물리적 기능과 함께 사회구성원에게 '무엇'인가를 더 의미하기 때문에 소비자 개인의 자아와 사회적 역할을 규정함으로써 그 행위의 지침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물질적 소유와 소비를 상징과 기쁨으로 여기고 많이 소유할수록 행복하다고 하는 물질주의성향이 의복의 상징적 소비 성향에 중요한 변인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의류제품이 심미적이고, 정서적이며 상징적 쾌락적 소비의 대상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 20대 여성의 패션잡지 활용과 의복구매행동연구

        장승연 숙명여자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의 목적은 20대 여성의 패션잡지 구독실태를 살펴보고, 패션 정보원으로서 패션잡지가 성인여성의 의복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며, 또한 패션잡지의 기사, 화보, 광고가 의복구매의사결정과정에 미치는 영향력의 차이를 살피고 이와 관련된 소비자 특성에 대해 분석하는 것으로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20대 여성의 패션잡지 구독실태와 정보원으로서의 패션잡지 이용실태를 살피고, 패션잡지로부터 얻은 의류정보를 활용하는 방식에 대해 조사한다. 둘째, 패션잡지의 기사, 화보, 광고가 소비자의 의복구매의사결정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셋째, 소비자의 의복구매의사결정과정에서 패션잡지가 미치는 영향력 차이에 따라 이들 소비자를 세분화하고 이들 집단 간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이들의 패션잡지 영향력 및 정보활용의 차이를 가져오는 소비자 특성을 분석한다. 연구의 내용은 국내외의 관련 서적과 정기간행물, 선행연구 논문들을 통한 이론적 연구와 설문조사를 통한 실증적 연구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이론적 연구에서는 패션잡지의 개념 및 기능, 특징, 역사 및 현황, 구성에 관해 검토하였으며, 실증적 연구에서는 20대 여성을 대상으로 패션잡지의 구매실태와 이용실태, 의복구매시의 패션잡지 활용에 대해 살펴보았다. 패션잡지의 구매실태는 패션잡지를 보는 이유와 구독 횟수, 구독 잡지의 종류 등을 살핌으로써 조사하였으며, 의복구매시의 활용은 패션잡지의 기사, 화보, 광고가 의복구매의사결정과정에 미치는 영향력을 통해 알아보았다. 또한 의복구매의사결정과정에 미치는 패션잡지의 영향력 정도에 따라 집단을 세분화하여 각 집단간의 특성을 살폈으며, 이와 관련된 의복관여ㆍ의견 선도력ㆍ혁신성의 소비자 특성들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설문지 조사는 2000년 10월 4일부터 10월 14일까지 서울 시내 및 경기도 일대의 20대 여성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총 5백 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그 중 회수된 4백 54부가 회수되어 회수율 91%로 , 회수된 설문지 중 응답이 불완전한 설문지 4부를 제외하고 총 4백 50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의 자료는 SA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한 구체적인 통계방법은 빈도(Frequency), 백분율(Percentage), 표준편차 등을 통해 표본의 분포를 파악하였으며, 요인분석(Factor Analysis), 분산분석(Analysis of Variance), 신뢰도 검증(Duncan Test), 카이자승법(Chi-square Test), F 검증(F-test), 회귀분석(Regression), 군집분석 (Cluster Analysis) 등을 사용하였다. 실증적 연구를 통해 밝혀진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패션잡지 독자들의 패션잡지 구독실태와 정보원으로서의 패션잡지 이용현황, 의류정보의 활용방식을 살펴 본 결과, 20대 여성의 60% 이상이 2-3개월에 1권 이상의 패션잡지를 보는 것으로 나타나 패션잡지에 대한 매체 접촉 정도는 비교적 높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20대 여성이 주로 보는 패션잡지의 종류를 살펴 본 결과, 17.1%의 여성이 보그(Vogue)를 본다고 답하여 가장 선호하는 잡지임을 알 수 있었으며, 라이선스 패션지와 영패션지, 로컬지를 비교해 본 결과 대체로 라이선스 패션잡지를 더 많이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패션잡지를 보는 방법은 대개 미용실이나 카페에서 보거나 필요한 경우만 사서 보는 것이 우세하게 나타났으며, 구독실태에 있어서 특정 잡지를 정기 구독하거나 매달 사서 보는 경우, 대여점을 이용하는 경우가 상당수로 패션잡지의 구독에 있어서 20대 여성은 대체로 적극적 태도를 취함을 알 수 있었다. 20대 여성이 패션잡지를 보는 이유 중 가장 우세했던 것은 평소 의복상식과 유행경향을 알기 위해서 였으며, 여가시간 활용이나 새로운 상품에 관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도 패션잡지를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패션잡지의 정보원으로서의 이용은 매장진열이나 쇼 윈도우의 디스플레이 등과 함께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패션잡지에서의 의류제품 정보의 탐색 내용은 스타일, 색상, 아이템, 브랜드, 소재의 순이었다. 둘째, 소비자가 가지는 패션잡지 기사, 화보, 광고에 대한 관심의 차이를 살피고, 기사, 화보, 광고 각각이 소비자의 의복구매의사결정과정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 분석한 결과, 기사가 구매의사결정과정에 영향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화보의 영향력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기사의 경우는 구매에 미치는 영향력이 다른 과정에서의 영향력 보다 크게 나타났으며, 화보는 정보탐색에서 높게 나타났고, 광고는 구매 후 평가에서 높은 영향력을 나타냈다. 셋째, 패션잡지가 의복구매의사결정과정에 미치는 영향력 차이를 기준으로 소비자를 세분화한 결과, 적극적 반응집단, 정보향유집단, 실질적행동집단, 무관심 집단으로 구분되었으며, 이들 각 집단은 의복관여ㆍ의견 선도력ㆍ혁신성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The goal of this study has been made to look around the subscribing conditions for the fashion magazines, to search for the effect of fashion magazines as an information resource for the clothing purchase behavior, and to find out the difference of an influence of columns, visual contents, and advertisements of fashion magazine for the process of decision-making for purchase. To persuade the goal of this study, some research assignments below have set. At first, look around the subscribing and utilizing conditions of the fashion magazines as an information resource, for females at their 20's Secondly, analyse the influence of columns, visual contents, and advertisements of fashion magazines for "the process of decision-making for purchase" of a consumer. For third, classify consumer groups as they get effected by fashion magazines in their 'process of decision-making for purchase,' and compare the characters between different groups to analyse characteristics which brings variation in information utilization and perception for the influence of fashion magazines. This study has been proceeded in theoretical research through national/international related publishing, matters arranged for the fixed dates, academic thesis and practical research by collecting written survey. In theoretical research, general concept, function, special point, present condition, and composition of fashion magazines have examined, and in practical research, subscribing and utilizing conditions of fashion magazines have been searched by asking the main cause, subscribing interval, and the names of magazine, application of the fashion informations in clothing purchasing has been studied through the influence of columns, visual contents, and advertisements of fashion magazines. Also, consumer groups have been classified and compared the characters between different groups as their degree in influence of fashion magazines for their 'process of decision-making for purchase.' Participation in costume, leading power, and innovation have considered as well as other specific properties of consumer. The survey has been written from Oct. 4th to 14th, 2000 by females at their 20'th in Seoul and Kyungki-Do. From given 500 surveys, 454 pieces have returned which made roughly 91% ratio in total. Except incomplete 4 pieces, 450 answered surveys used. The data have been analysed with SAS statistics program. For specific statistical note, Frequency, percentage, and criterional margin have made utilize to find out the sample distribution, factor analysis, analysis o variance, Duncan test, Chi-Square test, F-test, Regression, and cluster analysis have for the verification. The consequence below has finalized via practical research. First of all, as the consequence of research for the subscribing and utilizing conditions, application patterns for the clothing information, more than 60% of answerer reading more than 1 fashion magazine in 2-3 month which made certain the media contact frequency for a fashion magazine is comparably high. For the most favorite magazine, 17,1% picked Vogue for their favorite. When it's came to be a comparison between licensed, young, local fashion magazine, roughly, licensed magazines have most frequent requests from their readers. As expected, many survey answerers usually read fashion magazines at hair salon or coffee shop, or it has to be a special occasion to buy the magazine, As subscribing condition, it was certain that many research objects has a positive attitude for they're subscribing certain specific magazines from mail subscription, a local bookstore or a book lent shop. For the most popular answer for the reason reading fashion magazine was to follow the fashion trends and tips for the coordination, and readers 're using fashion magazine for the newest product information and even for their free times. The objects were using fashion magazine frequently as other fashion information resources, like clerk suggestion or showcase display. They make prior the fashion information from magazines from style, color, item, brand names, to texture. Secondly, for the consequences from the analysis from the influence and consumer's interest for columns, visual contents, and advertisement, columns make greater effect for the process of decision-making for purchase than any other types of information. Information of columns related more to purchasing while the visual contents related information searching and advertisement connected more to the evaluation after purchasing. Finally, when consumers have been classified by the influence of fashion magazines for their process of the decision making for purchase, they divided as instant response group, information sharing group, practical act group, and indifferent group, each group objects had meaningful differences from participation in costume, leading, innovation.

      • 랩퍼(Rapper) 패션의 저항성 연구

        권혁주 숙명여자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50655

        Men express their emotion and thinking by means of clothing. Rappers also expressed their resistant emotion and thinking through the fashion of their costume.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how Afro-American resistance is showed up in the fashion through the study of rapper's fashion presented in singing rap music. In general, they are made up of Afro-Americans from black 'ghetto'. Afro-Americans have suffered continuous exploitation and oppression and had hard time to earn social status and wealth since slavery times. Therefore, they formed their own community, so called 'black ghetto'. Black music have been the tool of expression of pain and sorrow of their lives and included their resistant spirit. Rap music produced by the influence of black music also express the same sentiment. The lyrics of rap music elaborated their resistance and opposition toward the society. In the same way, rappers' fashion expressed their resistance. At this point, I categorized the resistant feature of rapper's fashion as two types in terms of the extent of expression. First, active resistance fashion. It is a style that shows self-pride and confidence as black under the influence of nationalism and radicalism. Second, passive resistance fashion. It is a style that expresses assimilating desire for white high-class society as the image of success. I classified each fashion types in terms of style, material, color, accessories and so forth. It is possible to classify these three styles as follows. The first one is Afrocentic style that was raised from longing for Africa. The second one is military style which contains an long-time enduring spirit of resistance against the society. The last one is hiphop style that violated the typical rule of dressing under the hiphop culture. These kinds of active resistance are also classified as material like blue jean showing black workers' resistance, color like black showing off superiority of 'black' and red, gold and green colors expressing black people's resistance, and other accessories like chains, cross and so on. Passive resistance fashion has several variations according to the style. There are Jazz style, Uniform style and Hiphop style. It is also categorized as high-tech materials, white color which is the expression of desire for white and luxurious accessories showing off wealth. Therefore, the study of resistance of rapper's fashion showed that Afro-American resistance was presented as active resistance fashion in a direct way and passive resistance fashion in an indirect way. 사람들은 패션을 통해 그들의 감정과 사상을 표현하기도 한다. 랩 퍼들 또한 그들의 사상과 감정들을 음악과 함께 패션을 통해 표출 하였다. 본 논문의 목적은 흑인 저항 의식을 담고 있는 대중음악 중 랩뮤직에서 랩퍼(Rapper)의 패션 연구를 통해 아프로-아메리칸 (Afro-Americans)들의 저항정신이 패션 속에 어떻게 표출되는지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그들은 일반적으로 흑인사회는 흑인게토 출신의 아프로-아메리칸 (Afro-Americans)으로 구성되어졌다. 아프로-아메리칸은 과거 아프리카 에서 노예로 팔려왔던 때부터 지금까지 지속적으로 백인 사회로부 터 착취와 억압을 받아왔다. 그러므로 그들은 사회적 지위와 부를 획득하기 어려웠고, 이에 따라 오늘날과 같이 흑인게토지구라는 흑 인빈민가를 형성하게 되었다. 흑인음악은 흑인의 삶에 대한 고통과 한을 표현하는 수단이 되었 으며, 그들의 저항의식을 담고 있다. 흑인음악의 영향을 받아 생성 된 랩뮤직 또한 이와 같은 맥락에서 파생된 음악장르 중의 하나로 저항성을 가지고 있다. 랩의 노랫말은 기존 사회에 대한 반발과 저항의식이 잘 나타나고 있는데, 랩퍼(Rapper)의 패션에서도 동일하게 저항성이 표현되고 있 다. 이 점에서 랩퍼 패션의 저항성을 그 표현방식에 의거하여 두 가 지로 범주화해 보았다. 첫째, 적극적 저항 패션은 흑인민족주의와 급진주의의 영향을 받아 흑인으로서의 자부심과 자긍심을 드러내는 패션형태이다. 둘째, 소극적 저항 패션은 백인상류사회에 대한 동화 를 표현하는 방식이다. 각 저항 패션은 스타일과 소재, 색상, 악세사 리, 기타 등으로 분류해 보았다. 적극적 저항 패션은 아프리카에 대한 동경심에서 발생된 아프로센 틱 스타일(Afrocentic Style), 과거부터 지속적으로 기존 사회에 대 한 저항의식을 내포하고 있던 밀리터리 스타일(Military Style), 현 재 힙합 문화에 영향을 받아 정형적인 착장 규칙을 위반한 힙합 스 타일(Hiphop Style)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 적극적 저항패션의 특징 은 Blue Jean을 통한 흑인 노동자들의 사회에 대한 저항을 나타내 는 소재와 흑인 우월성을 드러내는 블랙, 흑인저항이 드러나는 레 드, 골드, 그린으로 표현되어지는 색상 그리고 쇠사슬, 십자가의 악 세사리로 분류되었다. 소극적 저항 패션도 스타일별로 분류하면, 재즈 스타일(Jazz Style), 유니폼 스타일(Uniform Style), 힙합 스타일(Hiphop Style)로 나타난다. 이런 스타일들과 첨단소재를 이용한 패션, 백인에 대한 열망을 표현하는 화이트, 과시적 부를 나타내는 화려한 악세사리는 소극적 저항 패션의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결론적으로 랩퍼(Rapper) 패션의 저항성 연구를 통하여 아프로-아 메리칸의 저항성이 직접적으로 표현된 적극적 저항패션과 간접적으 로 표현된 소극적 저항 패션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연구하였다.

      • 현대패션에 나타난 블랙 드레스의 이미지 변화에 관한 연구

        김기례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연구는 블랙 의상에 나타난 이미지를 이론적 배경으로 하여 샤넬의 리틀 블랙 드레스 이후, 수많은 여성들에게 패션의 고전(classic)으로 자리잡은 블랙 드레스가 각 시대의 사회/문화 배경과 패션경향에 따라 변화된 이미지를 고찰하고, 현대 패션 디자이너들의 블랙 드레스의 경향을 살펴봄으로써 형태와 소재에 따른 디자인 특징과 그에 내포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블랙 드레스에 새로운 미적 가치를 부여하고자 하였다. 1. 고대부터 근대까지 블랙 의상에는 상복의 비애감, 종교적 측면의 금욕주의와 절제, 왕의 힘과 위엄을 나타내는 이미지가 표현되고 있다. 2. 시대상황에 따른 현대 블랙 드레스의 이미지변화를 살펴보면, 20세기 초반에는 리틀 블랙 드레스처럼 기능성을 추구한 단순한 형태와 초현실주의에 영향을 받은 블랙 드레스가 선보였다. 20세기 중반에는 우아한 여성성을 강조한 블랙 드레스가 선보였고, 미니멀리즘을 반영한 블랙 드레스가 시스룩 소재와 함께 에로틱한 이미지로 표현되었다. 20세기 후반에는 의복구성의 형식을 파괴한 블랙 드레스가 선보였고, 여성의 성에 대한 인식변화로 바디 컨셔스 스타일의 블랙 드레스가 관능적 이미지로 표현되었다. 3. 현대 블랙 드레스의 실루엣은 단순형, 밀착형, 노출형의 세 가지 형태와 무광택(matte) 소재, 투명(transparent) 소재, 광택 소재(dazzling)로 분류되는 디자인 특징을 갖는다. 단순형의 블랙 드레스는 여성적 우아함을 강조하며 밀착형과 노출형의 블랙 드레스는 여성 신체 곡선을 드러내어 성적인 면이 부각된 에로틱한 이미지를 표현한다. 무광택 소재의 블랙 드레스는 주로 우아하고 품격있는 여성 이미지를 표현하고, 투명 소재와 광택 소재는 고급스러우면서 여성의 성적매력을 드러내는 에로틱한 관능미를 표현한다. 4. 현대 블랙 드레스에 표현된 미적 특성은 관능성, 단순성, 여성성, 현대성, 금욕성 이 5가지로 집약된다. 관능성은 인체곡선을 드러내는 밀착형, 특정부위의 노출형과 비치는 소재, 광택소재를 사용한 블랙 드레스를 통해 여성의 성적 매력을 부각시키고 있다. 단순성은 인위적인 구조선을 배제하여 형태의 단순화를 통해 본질을 추구하는 미니멀리즘과 유사한 개념으로 극도로 장식효과가 절제된 단순한 형태의 블랙 드레스를 통해 표현되고 있다. 여성성은 전통적 여성성에 기인 여성의 곡선미를 부각시켜 정숙하고 우아한 여성적 이미지를 강조하는 것으로 단순한 형태와 벨벳과 새틴소재를 사용한 블랙 드레스를 통해 여성적 화려함과 우아함이 잘 표현되고 있다. 현대성은 모던의 색으로 불리는 블랙과 단순성/기능성의 결합으로 기능적인 면을 강조하고 단순한 형태를 추구한 블랙 드레스를 통해 표현되고 있다. 금욕성은 개인의 육체적, 정신적 욕구를 억제하는 것으로 여성의 인체를 은폐시키는 무 장식의 단순한 형태와 인체의 곡선을 부정한 박스형 실루엣의 블랙 드레스를 통해 표현되고 있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1920년대에서 현재까지 블랙 드레스는 각 시대의 유행을 반영하고, 형태와 소재의 다양성을 통해 재창조되며 ‘변화’라는 패션의 특징 속에서도 여성복의 클래식(classic)으로 자리매김한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현대 패션에 나타난 블랙 드레스의 이미지 변화에 관한 연구는 패션을 통해 자아와 자신의 아름다움을 표현하고자 하는 현대 여성들과 이를 충족시키고자 하는 패션 트랜드와 디자인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Since Chanels Little Black Dress made appearance based on theoretical background of black-colored clothes images, black dress has become classic one for a lot of ladi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give new aesthetic values to black dress by doing followings: 1) research black dress images, which have changed depending upon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and fashion trends of each era, 2) examine black dress trend of modern fashion designers and analyze design characteristics and images depending upon forms and materials. 1. From ancient times to modern times, black-colored clothes have expressed peculiar images: mourning dress sorrow, stoicism and temperance from religious aspects, and kings power and dignity, etc. 2. Black dress images have changed depending upon situation of the times: In early 20th century, the black dress, which had simple form pursuing function like Little Black Dress or was influenced by surrealism, made appearance. In the middle of the 20th century, two types of the black dresses made appearance: one type which emphasized elegant and feminine beauty, and the other type which reflected minimalism and expressed erotic images together with see-through cloth materials. In the latter half of the 20th century, new style black dress made appearance to destroy clothes organization form: Body Conscious style of black dress expressed sensual images of women because of womens sex recognition changes. 3. Modern black dress silhouette may b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that is to say, simple type, close type and exposure type, and has design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s: matte, transparent and dazzling, etc. Simple type black dress emphasizes feminine elegance, while close type and exposure type black dresses disclose woman body curve to express erotic images having sexual characteristics. Matte materials made black dress expresses mainly elegant and dignified women images, while transparent materials and dazzling materials made dress does erotic and sensual beauty which discloses high quality and sexual attractiveness of the women. 4. Modern black dress aesthetic characteristics consist of sensualism, simplicity, femineity, modernism and ascetic practice, etc. Sensualism expresses sexual attractiveness of women through some kinds of black dresses: close type black dress showing human body curves, specific area exposure type black dress, and see-through materials and dazzling materials made black dress. Simplicity concept is similar to minimalism, which has excluded artificial structure lines and pursues essentials through simplified form: Extreme decoration effects are expressed through black dress having temperate and simple form. Femineity expresses characteristics of women curvaceousness being originated from traditional femineity to emphasize chaste, modest and elegant women images: The black dress, which is made of simple form, velvet and satin materials, can express feminine splendor and elegance well. Modernism combines black colour, which is called modern colour, with simplicity and function to express it through black dress which emphasizes function factors and pursues simple form. Ascetic practice controls mental and physical desire of the individuals and is expressed through following attempts: simple form without decoration covering up woman body and box type silhouette of black dress. The study evidences that from the 1920s to present time black dress has reflected each eras fashion and has been created again through diversified form and materials and has become classic style of women dress even under fashion characteristics of "changes". Therefore, the study on image changes of the black dress, which have made appearance at modern fashion, is thought to help develop fashion trends and design, through which modern women express themselves and their beau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