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간호사를 위한 QR code기반 의료기기 교육컨텐츠 개발 및 실무적용 평가 : 수술실·회복실을 중심으로

        박은우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35359

        본 연구는 수술실‧회복실 간호사의 효과적인 의료기기 사용을 위한 QR code기반 의료기기 교육컨텐츠를 개발하고, 이를 실무에 적용하여 효과를 분석한 방법론적인 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 소재 일개 대학부속병원의 수술실‧회복실 간호사 55명이 참여한 전수조사로 진행하였으며, ADDIE 모형의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의 5단계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선행연구와 문헌고찰을 통해 학습의 핵심 구성요소를 도출한 후 브레인스토밍 결과를 바탕으로 교수학습의 기본전략을 수립하였다. 사용자 분석과 정보요구도 조사 결과로 교육내용과 구성요소를 설계하였고, 이를 토대로 교육컨텐츠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QR code기반 의료기기 교육컨텐츠는 2014년 9월 15일부터 2014년 10월 24일까지 40일간 실무에 적용하였다. QR code기반 의료기기 교육컨텐츠의 실무적용 평가를 위한 자료 수집은 설문지를 이용한 자가 보고로 2014년 9월과 10월 두 차례에 걸쳐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목적에 따라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대응표본 T 검정(paired T-test)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QR code기반 의료기기 교육컨텐츠의 실무적용 전후 의료진이 사용 가능한 의료기기 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의료기기에 대한 태도 중 부정적인 태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스트레스는 감소하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간호실무능력은 실무적용 전후 증가하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사용자는 시스템 만족도, QR code 가치특성과 QR code 이용만족도에 대해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간호교육방법으로 QR code를 활용한 교육컨텐츠를 도입하는 것은 간호지식과 실무능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고, 질적인 간호를 제공하고 간호역량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methodological research developed QR code-based medical device educational contents for effective use of medical devices in operating room and recovery room by nurses, and applied the contents on practical tasks to analyzed the effect. Complete enumeration survey was conducted on 55 nurses of operating room and recovery room in a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Seoul, and developed a program into 5 steps as analysis, design, development, practice, and evaluation of ADDIE model. This study established basic strategy of teaching and learning based on the results of brainstorming after drawing core components of learning through precedent studies and literature review. Educational contents and components were designed based on the results of user analysis and information request investigation, and developed educational contents based on the findings. The developed QR code-based medical device educational contents were applied on actual business for 40 days from Sep 15 to Oct 24, 2014. Self-report using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wo times in September and October 2014 to evaluate practical application of QR code-based medical device educational content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mistake and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d paired T-test using SPSS 20.0 program according to the research purpose.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identified that the number of usable medical device by medical staffs before and after practical application of QR code-based medical device educational contents significantly increased statistically. For attitudes towards the medical device, negative attitude significantly decreased statistically, and stress decreased but did not show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 Nursing competency improved before and after the practical application but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Users responded positively for system satisfaction, value of QR code, and user satisfaction for QR code after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QR code-based medical device educational contents. For nursing education method, introducing educational contents using QR code is considered to be helpful in improving knowledge in nursing and practical business ability, to provide qualitative nursing, and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in nursing ability.

      •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직장-가정 갈등, 대처방식이 직무소진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구조모형

        최은희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35359

        While the medical service industry of the hospital reach a maturity, a medical institutes became enlarged, corporate and specialized and the competition between medical institutes is getting increasing. Furthermore, the competition is expected to be more serious because the entry of foreign medical industry is anticipated due to opening market of medical service. Living standards and the 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y and the aging of the population due to the increase in chronic diseases, rapidly increasing demand for health care. Also the demand of medical service is rapidly increasing due to the aging of the population and the increased chronic diseases caused by development for both living standard and medical technology. Along with this, the demand for nursing manpower is continuously increasing. In this trend of increased demand for nursing manpower, there are many cases for nurses to consider changing their job. According to Hospital nurses association, turnover rate of nurse is rapidly increasing from 9.8% in 2005 to 17.8% in 2008 and it keeps high turnover rate of 17.8% in 2011 as well. In this medical environment, nurse's turnover is becoming an important issue and for a precedence factor of turnover the turnover intention is being studied as a representative variable. Therefore, the study has been implemented to confirm the related variable of turnover intention and to find the intervention measures for decreasing the variable. For model construction to explain and expect the nurse's turnover intention, hypothetical model was constructed using Stress-Coping-Adaptation model from Lazarus and Folkman(1984) based on preceding research and literature review and it was verified the conformance with the collected data. Factors used in this study consist of total 6 of job stress, work-family conflict, active coping strategies, passive copying strategies, job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Also it consist of 13 of sub factors and 68 of questions and thee measurement tool was used after confirming validity and reliability.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July 1st to 31st targeting 440 nurses who agreed with written consent from general hospital having more than 500 sickbed in Seoul and Gyeongi-do. We analyzed the collected 423 questionnaire out of total 430 which excluded the faithless questionnaire. Before the study, we collected the data after getting approval from Institutional Review Board(IRB approval : KHSIRB-12-021(RA)  to protect the subjects.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structure model using AMOS 20.0 to check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whole factors, conformity of research model was χ²=126.60(df=39, p<.001), GFI=.95, AGFI=.91, RMR=.02, NFI=.94, CFI=.95, RMSEA=.07. And 6 out of total 14 hypothesis was adapted and 8 was dismissed. The details in this study are as below. 1) It was revealed that the job stress has the positive influence on the work-family conflict and the negative influence on the active coping but no influence on the passive coping. Job stress had the positive influence on the job burnout but no influence on the turnover intention. 2) Work-family conflict didn't influence the coping strategies and the turnover intention but had the positive influence on the job burnout. 3) Active coping strategies had the negative influence on the job burnout but no influence on the turnover intention. Passive copying strategies influence neither job burnout nor turnover intention. 4) The Job burnout had the positive influence on the turnover intention. Through these results, this model was confirmed as a proper model which can explain the turnover intention reflecting the nurse's characteristic. Especially, it was found that the active coping strategies which influence the nurse's turnover intention can be the way of intervention measure as a mediator effect. Also the verified variables as the influence factor in this study can be the factors to change through nursing intervention, therefore those variables can be used to develop the program for decreasing nurse's turnover intention. 병원의 의료서비스 산업은 성숙기에 이르면서, 의료기관의 대형화, 기업화, 전문화에 이르렀으며 의료기관간의 경쟁은 날로 증가되고 있다. 더욱이 의료서비스 분야에 대한 시장 개방으로 외국의료산업의 진입이 예상되고 있어 의료기관의 경쟁은 더욱 심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생활수준 및 의료기술의 발달에 기인한 인구의 노령화와 만성질환의 증가로 의료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간호 인력에 대한 수요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간호 인력 수요의 증가 추세 속에서 간호사는 이직을 생각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병원간호사회에 의하면 간호사의 이직은 2005년 9.8%에서 2008년 17.8%로 급증하는 추세이며, 2011년도에도 17.8%로 높은 이직률이 계속 유지되고 있다. 이러한 의료 환경 속에서 간호사의 이직은 중요한 쟁점으로 드러나고 있으며 이직의 선행요인으로 이직의도가 대표적인 변수로 연구되어지고 있다. 그러므로 이직의도의 관련변수를 확인하고 이를 감소시킬 수 있는 중재방안을 확인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간호사의 이직의도를 설명하고 예측하기 위한 모형을 구축하기 위하여 선행연구와 문헌고찰을 토대로 Lazarus와 Folkman(1984)의 스트레스-대처-적응 모형을 이용하여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고, 수집된 자료와의 적합성을 검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요인은 직무스트레스, 직장-가정 갈등, 적극적 대처방식, 소극적 대처방식, 직무소진, 이직의도로 총 6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13개의 하부요인, 총 68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었고, 측정도구는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한 후 사용하였다. 2013년 7월 1일부터 7월 31일까지 서울 및 경기도내 500병상 이상의 종합병원 근무 간호사를 대상으로 서면 동의한 440명에게 설문을 시행하고, 회수된 430부 중 불성실한 설문을 제외한 423부를 대상으로 분석 하였으며, 연구 대상자를 보호하기 위해 연구시작 전 윤리심의 위원회의 승인 후(KHSIRB-12-021(EA)) 자료 수집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최종적으로 전체 요인간의 인과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AMOS 20.0을 이용한 구조 모형을 검정한 결과 연구모형의 적합도는 χ²=126.60(df=39, p<.001), GFI=.95, AGFI=.91, RMR=.02, NFI=.94, CFI=.95, RMSEA=.07 였다. 그리고 총 14개의 가설 중에서 6개의 가설이 채택 되었고, 8개의 가설이 기각 되었다. 본 연구의 세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직무스트레스는 직장-가정갈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적극적 대처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소극적 대처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스트레스가 직무소진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났으며, 이직의도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2) 직장-가정 갈등은 대처방식과 이직의도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직무소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3) 적극적 대처방식은 직무소진에 부정적 영향을 주었으며 이직의도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소극적 대처방식은 직무소진과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4) 직무소진은 이직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본 모형은 간호사의 특성을 반영하여 이직의도를 설명할 수 있는 적절한 모형임이 확인되었다. 특히,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적극적 대처 방식의 매개효과로 중재방안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영향요인으로 검증된 변수들은 간호중재를 통하여 변화 시킬 수 있는 요인이므로 간호사의 이직의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될 수 있다고 본다.

      • 내시경실 간호사의 방사선 방어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홍선미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35343

        본 연구는 내시경실 간호사의 방사선 방어행위, 방어환경, 방어지식, 방어태도 정도와 방사선 방어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함으로써 내시경실 간호사의 효율적인 방사선 방어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서울∙경기지역과 광역시에 소재한 대학병원 내시경실 간호사 122명을 대상으로 2013년 9월 23일부터 2013년 10월 18일까지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방사선 방어행위는 75점 만점에 56.10점, 방사선 방어환경은 50점 만점에 36.03점, 방사선 방어지식은 10점 만점에 11.79점이었고, 방사선 방어태도는 75점 만점에 69.20점이었다. 2. 일반적 특성과 직무특성에 따른 방사선 방어행위의 차이검증 결과 서울·경기 지역 대학병원이 광역시 대학병원 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t=2.35, p=.020), 방사선 관련 교육이수횟수가 많을수록(F=7.64, p=.001), 방어용구 구비 종류수가 많을수록(F=4.63, p=.012), 방사선 관련 간호사 수가 많을수록(F=5.77, p=.004) 방사선 방어행위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방사선 방어행위와 제 변수와의 상관관계 분석에서 방사선 방어행위는 방어환경과 가장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r=.74, p<.001), 방사선 관련 교육이수횟수(r=.32, p<.001), 방어용구 구비 종류수(r=.28, p=.002), 방사선 관련 간호사수(r=.27, p=.003), 방사선 방어태도(r=.18, p=.048) 순으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4. 방사선 방어행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방사선 방어환경(β=.79, p<.001)으로 나타났으며, 기관형태(β=.18, p=.011), 결혼상태(β=-.13 p=.040)도 방사선 방어행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요인들은 내시경실 간호사의 방사선 방어행위를 58.0% 설명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내시경실 간호사의 효율적인 방사선 방어관리를 위해서는 방사선 방어시설 및 용구의 구비와 행정적 지원 등의 방어환경 개선이 선행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방사선 방어행위의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내시경실의 방사선 관련 설비확충을 위한 병원관리자 및 행정가의 노력이 필요하며, 방사선 방어 관련 정규 교육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하며, 방사선 업무를 담당하는 적정 간호 인력의 배치가 필요하다. 내시경실의 방사선 안전관리 체계 확립과 지속적인 관리를 위해 학회와 관련 정부기관은 내시경실의 방사선 방어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의료기관 인증평가에 내시경실의 방사선 방어관리 항목 신설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attempts to provide basic data that could be used for ensuring a safe environment for endoscopy nurses who work with radiation devises through exploring their protective behavior, environments and knowledge as well as defining factors that affect all these areas. This research was structured to follow a descriptive cause-and-effect method, with the period of data gathering spanning from September 23, 2013 to October 18, 2013. Those who were examined as subjects for this research were among the nursing staff who have an experience in radiation examination in 21 university-affiliated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Seoul, Gyeonggi Province and six metropolitan cities across the country. A total of 122 nurses were selected via convenience sampling among those who understood the aim of this research and agreed to participate and were examined by filling out a self-reporting questionnaire. The research tool used for this research was adjusted and modified by the researcher from the one that was developed by EunOK Han in 2009 over radiation exposure of medical radiation technologists and their behavior, environments and knowledge, and was verified by two nursing studies professors in relation to its validity in the field of endoscopy. The data used here were analyzed by the SPSS 18.0 program to calculate the real number, percentages, average values, standard deviations, t-test, ANOVA, Scheffe, th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 1) The safety level of the subjects' behavior against radiation exposure (score 15-75) was measured at 56.10(±7.98), the safety of their environment (15-75) at 36.03(±7.38), the level of their protective knowledge (0-15) 11.79(±1.65), and their protective attitude (15-75) was measured at 69.20(±2.55). 2) From the analysis of different protective behaviors in their general and professional aspects, the university-related hospital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showed significantly higher results (t=2.35, p=.020. Also, the more the number of training sessions the nursing staff received (F=7.64,p=.001), the number of protective devices (F=4.63, p=.012), and the availability of fellow nurses to share the radiation work (F=5.77, p=.004), the higher the safety levels of their behavior. 3) In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protective behavior and the variables, the protective behavior marked the highest level of correlation with a safe environment(r=.74, p<.001), followed by the number of training sessions(r=.32, p<.001), the number of protective devices(r=.28, p=.002), the number of fellow nurses(r=.27, p=.003), and finally, their protective attitude(r=.18, p=.048) 4) The biggest factor that affects their protective behavior against radiation exposure was a safe environment against radiation(β=.79, p<.001), while the type of their institution(β=.18, p=.011) and marital status (β=-.13, p=.040) also influenced their behavior, although to a lesser degree. These factors accounted for 58.0 percent of the safety behavior of endoscopy nurses against radiation exposure. Through this research, a conclusion is reached that the effective protection of endoscopy nurses from radiation exposure requires the improvement of their environment that would involve, among others, the provision of proper protective facilities and devices. Thus, it is imperative for hospital administrators and managers to make efforts to increase required facilities in their endoscopy departments that would be effective in reducing radiation exposure and provide educational training on a regular basis for the nursing staff to know and adhere to applicable requirements and. last but not least, to be equipped with a reasonable number of nursing staff in charge of radiation examinations.

      • 한방병원 간호사의 한방간호 교육요구 : 혼합연구방법 적용

        이가영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5343

        한방 의료에 대한 수요공급의 증가, 발전과 더불어 한방간호의 양적, 질적 향상을 위한 노력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실제 임상현장의 한방병원 간호사가 양질의 한방간호를 제공하기에는 한방간호 교육 기회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는 임상현장의 적응을 위한 적절한 한방간호 교육이 제공되어야 함을 의미하며, 교육을 제공하기 전에 실제 현장에서 요구하는 교육에 대한 조사가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교육의 학습자인 한방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실무현장에서의 경험을 통해 필요하다고 인지한 실질적인 한방간호 교육요구를 알아봄으로써 학습자 관점의 현장 요구와 의견을 교육과정에 반영하여 실무현장과 교육현장의 격차를 줄이고, 실질적이고 효율적인 한방간호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50병상 이상의 한방병원 병동 또는 외래에서 환자 간호에 참여하는 한방병원 간호사이며, 연구방법은 먼저 질적 연구 방법을 진행하고 양적 연구를 진행하는 혼합연구방법 중 탐색적 순차 설계(Exploratory Sequential Design)를 활용하였다. 우선 한방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면담을 시행하여 질적 자료를 수집하였고 분석 과정을 거쳤으며, 질적 연구 결과를 토대로 작성한 설문 문항을 활용하여 다음 과정인 양적 자료 수집과 분석을 시행하였다. 질적 연구 과정의 자료 수집은 2020년 10월 15일부터 2020년 11월 4일까지 진행되었으며, 한방병원 간호사 11명이 참여하였다. 포커스 그룹 면담 2회, 개별 면담 1회 시행으로 질적 자료가 수집되었다. 자료 분석은 Morse & Field (1995)의 고전적 내용분석방법에 근거하였고 MAXQDA program을 사용하였다. 이후 한방간호 교육요구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설문지를 제작하였다. 양적 연구의 자료 수집은 2021년 3월 15일부터 2021년 3월 25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수도권 소재 50병상 이상 3개의 한방병원 간호사 9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양적 자료는 SPSS 25.0 program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와 ANOVA, Scheffe 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질적 연구 결과, 한방병원 간호사의 한방간호 교육요구에 대해 ‘한방 기초에 대한 이해’, ‘한의사와의 협력증진을 위한 한방진료용어 해석’, ‘한방약제 전반에 대한 학습’, ‘한방진료 및 처방에 대한 이해’, ‘한방치료요법의 실제’, ‘안전한 한방치료관리’, ‘한방간호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지원’의 7개 주제를 도출하였다. 2. 양적 연구 결과, Likert 5점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한 한방병원 간호사의 한방간호 교육요구 정도는 5점 만점에 평균 평점 3.81±0.53으로 나타났다. 주제별 한방간호 교육요구 정도는 ‘한방치료요법의 실제(3.94±0.60)’, ‘한방약제 전반에 대한 학습(3.85±0.58)’, ‘안전한 한방치료관리(3.79±0.69)’, ‘한방 기초에 대한 이해(3.76±0.69)’, ‘한의사와의 협력증진을 위한 한방진료용어 해석(3.75±0.52)’, ‘한방진료 및 처방에 대한 이해(3.72±0.63)’순으로 나타났다. 3. 주제7에 대한 양적 자료 분석 결과, 한방간호지식 자각정도와 한방간호지식에 대한 필요도 차이에서 본인의 지식보다 필요한 지식 정도를 더 높게 응답한 집단은 78.1%로 나타났다. 한방간호수행을 위한 지원 요구로 간호인력 40%,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 31.4%, 교육을 위한 공가 및 수당이 25.7%로 나타났다. 교육방법에 대한 요구는 사이버교육이 33.3%, 한방간호 의무교육화가 20.2%, 실습 및 견학이 18.2%, 실습과 강의의 병행이 15.2%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혼합연구방법의 탐색적 순차 설계를 활용하여 한방병원 간호사의 한방간호 교육요구에 대해 다각적, 다면적인 시각으로 고찰하였다. 또한 한방병원 임상현장에 근무하는 한방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여 실제 한방간호를 적용하는 임상현장 간호 수행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요구를 반영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본 연구 결과는 한방교육 수혜자의 실질적인 요구가 반영된 현실적인 한방간호 교육 과정을 마련하는 기초자료로써 근거가 될 것이다. 핵심어: 한방병원 간호사, 한방간호 교육요구, 혼합연구방법, 탐색적 순차 설계 In accordance with increased demands for Korean Medicine (KM),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improvements of KM nursing have been highly required. However, since there is a huge lack of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the KM nursing, an appropriate training system for KM nurses should be prepared, along with investigations of the required knowledge in clinical settings prior to provision of the training. Thus, the present study aimed to identify the actual educational needs of KM nursing among KM nurses in the practical sites using a mixed methods research, which can help to develop an efficient KM nursing education program with a minimized gap between the fields of practice and education. The study was designed based on exploratory sequential design, which is widely used in the mixed method research. Accordingly, a qualitative analysis, identifying experience for KM nursing educational needs, was first conducted, followed by an additional quantitative analysis of measuring a degree of KM nursing education. All participants in the present study are KM nurses working for inpatient or outpatient nursing in KM hospitals possessing more than 50 beds and locate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In detail, a data for the qualitative analysis was collected from 11 KM nurses after two focus group interviews and one individual interview, and it was analyzed based on Morse & Field (1995)'s classical content analysis method using the MAXQDA program. Then, based on the qualitative results, questionnaires for measuring degree of KM nursing education were designed and applied to data collection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The questionnaires were carried out from 15 March 2021 to 25 March 2021, targeting 96 KM nurses. Then, the data was analyzed using a set of statistical analyses including basic statistics, t-test, ANOVA test, and post-hoc test with Scheffe method. All quantitative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25.0 program. The main findings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Qualitative results found seven themes of educational needs, composed by 'Understanding Korean medicine fundamentals', 'Interpretation of Korean medicine terms to promote cooperation with Korean medicine doctor', ‘Learning about Korean herbal medication as a whole’, ‘Understanding Korean medicine treatment and prescription’, ‘Actual herbal treatment therapy’, ‘Supervising a safe Korean medicine treatment’, and ‘Educational supporting to strengthen Korean medicine nursing capacity.’ 2. Quantitative studies show that a degree of educational need for KM nursing among KM nurses was 3.81±0.53 out of the Likert 5-point scale. By subject, the highest educational need was shown in the subject of ‘Actual herbal treatment therapy (3.94±0.60)’, followed by ‘Learning about Korean herbal medication as a whole (3.85±0.58)’, ‘Supervising a safe Korean medicine treatment (3.79±0.69)’, 'Understanding Korean medicine fundamentals (3.76±0.69)', 'Interpretation of Korean medicine terms to promote cooperation with Korean medicine doctor (3.75±0.52)', ‘Understanding Korean medicine treatment and prescription (3.72±0.63)’. 3. According to quantitative data analysis results for Theme 7, 78.1% of the Korean medicine nurses showed that the necessary knowledge was greater than their own. Requested support for Korean medical nursing are as follows: nursing staff 40%, curriculum and program 31.4%, public leave and grants for education 25.7%. Requested support for education methods are as follows: online education 33.3%, mandatory Korean medicine nursing education 20.2%, practicum and field trip 18.2%, and balanced ratio of lecture to practicum 15.2%. In the present study, the educational needs for KM nursing among KM nurses were addressed with diverse and multifaceted perspectives by applying the exploratory sequential design of mixed methods research to the collected data. Furthermore, the study counts for a sufficient reflection of practical KM educational needs, by targeting KM nurses with experiences of applying KM to the clinical settings. Therefore, our study can provide insights into the practically required education of KM, and furthermore, main findings can be used as a basis of KM nursing curriculum. Key words : Korean medicine nurses, Educational need for Korean medicine nursing, Mixed methods research, Exploratory sequential design

      • 간호사의 감정노동, 사회적 지지, 분노표현 방식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김지은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35327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를 대상으로 감정노동, 사회적 지지, 분노표현 방식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간호사의 조직몰입을 증진 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시에 소재한 일개의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17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15년 1월 26일부터 2015년 2월 2일까지 였다. 측정도구는 조직몰입, 감정노동, 사회적 지지, 분노표현 방식을 사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2.O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Linear Regression으로 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조직몰입의 평점은 4.53±0.84점(7점 척도)로 나타났으며 감정노동은 3.40±0.58점(5점 척도), 상사의 지지는 3.38±0.69점(5점 척도), 동료의 지지는 3.54±0.69점(5점 척도), 분노억제는 2.51±0.41점(4점 척도), 분노표출은 2.13±0.44점(4점척도), 분노조절은 2.73±0.35점(4점 척도)으로 나타났다. 2) 간호사의 조직몰입과 감정노동, 사회적 지지, 분노표현 방식 간 상관관계 분석을 한 결과 조직몰입은 감정노동과 분노표출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상사의 지지, 동료의 지지와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3) 간호사의 조직몰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상사의 지지(β=.40), 감정노동(β=-.24), 동료의 지지(β=.15)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은 조직몰입을 35.0% 설명하였다(F= 16.36, p< .001). 이상과 같이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상사의 지지, 감정노동, 동료의 지지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가장 강력한 요인은 상사의 지지였다. 따라서 병원 간호사의 조직몰입을 높이기 위해서는 간호사들이 어려운 문제에 부딪쳤을 때 문제를 파악하여 해결할 수 있도록 상사의 지지가 가장 필요하고, 간호사의 감정노동에 대한 구체적인 중재와 개입을 통해 간호사들의 감정노동을 줄이고 감정노동 해소를 위한 프로그램 운영이 필요하다. 그리고 동료의 지지를 증가 시키기 위해서 동료간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다양한 병원 내 프로그램이 운영되어야 한다. 반면 분노표현 방식은 조직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간호사에게 보다 타당한 분노표현 방식 측정 도구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social support, and anger expression on nurs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rovide the basic data to improv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nurses. The study subjects were 175 nurses working at one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Seoul and the date collection period was from January 26, 2015 to February 2, 2015. The measurement tools were organizational commitment, emotional labor, social support, and anger expression. Using the program SPSS 22.2,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1). Nurse's average score for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4.53±0.84 points (7 point scale), emotional labor 3.40±0.58 points (5 point scale), supervisor’s support 3.38±0.69 (5 point scale), peer support 3.54±0.69 (5 point scale), anger suppression 2.51±0.41 (4 point scale), anger expression 2.13±0.44 (4 point scale), and anger control 2.73±0.35 (4 point scale). 2).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nurs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emotional labor, social support, and anger expression, nurse's organizational commitment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emotional labor and anger expression an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upervisor's support and peer support. 3).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n nurse's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supervisor's support (β=.40) followed by emotional labor (β=-.24) and peer's support (β=.15), which together explained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up to 35.0% (F= 16.36, p< .001). In short, the factors influencing nurse's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supervisor's support, emotional labor, and peer support, among which supervisor's support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Therefore, to improve nurse's organizational commitment, supervisor's support is urgently needed for understanding and solving problems when nurses are faced with difficult problems. To manage nurse's emotional labor,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provide guidelines or regulations for patient interactions to reduce emotional labor as much as possible and to operate a program to alleviate emotional labor. In addition, to increase peer support,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within the hospital should be implemented to increase the opportunities for communications among peers and for smooth communications among peers.

      • 공공병원 간호사의 심리적 자본, 간호업무환경이 직무착근도에 미치는 영향

        황선미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5327

        <ABSTRACT> The Influence of Psychological Capital and Nursing Work Environment on Job Embeddedness of Public Hospital Nurses by Hwang Sun Mi Department of Health Service Graduate School of Public Policy & Civic Engagement Kyung Hee University Advised by Professor Jang Mi Heui PhD, RN This study is descriptive survey study of nurses working in six public hospitals in Gyeonggi Province to ascertain the influence of psychological capitl and nursing working environment on job embeddeness.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25th to 31st, 2022 using questionnaires on psychological capital,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job embeddeness of 200 nurses working at public hospital in Gyeonggi Povin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4.0 program by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s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d tested with the Scheffé 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average psychological capital of nurses in public hospitals was 3.32 points, the average of the nursing work environment was 2.43 points, and the average of the job embeddeness was 3.14 points. 2. Psychological capital differed according to the subject's age(t=2.95, p=.304), marital status(F=4.29, p=.015), work experience in public hospitals(F=2.72, p=.031), and position(F=3.14, p=.046). The post-mortem examination showed that nurses over 50 years old had higher psychological capital than nurses under 30 years old and 30~39 years old,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marital status, work experience in public hospitals, and position. The nursing work environment differs according to the age of the subject, and the post-mortem test showed that nurses over the age of 50 years old have a more positive perception of their nursing work environment than nurses aged 30~39 years old. Job embeddeness varies according to the age (t=10.39, p<.001), marital status(F=5.24, p=.006), public hospital work experience (F=4.26, p=.003), and position(F=7.98, p<.001) of the subject, and post-test results showed that chief nurses has higher job embeddeness than aged 50 years old or older nurses, nurses with more than 20 years of work experience in public hospitals and staff nurses. 3. After checking the correlation between psychological capital and nursing work environment with job embeddeness, it was found that all four sub-factors of psychological capital, self-efficacy (r=.56, p<.001), optimism (r=.63, p<.001), hope (r=.68, p<.001), and resilience (r=.62,p<.001), which are sub-factors of psychological capital,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job embeddeness, a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job embeddeness, all five sub-factors of nurses' participation in hospital policies (r = .60, p<.001), adequacy of personnel and resources (r=.63, p<.001), foundation for quality nursing (r=.68, p<.001), nursing managers' competence, leadership and support (r=.58, p<.001), and nurse-physician partnerships (r=.49, p<.001)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job embeddeness. 4. In order to understand the effect on the subject's job embeddenes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which a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are age, marital status, public hospital experience, position and psychological capital, and all five nursing work environment sub-factors are put into independent variables.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gression analysis model of job embeddeness is less than 30 years old (β=-.28, p=.028) and 30~39 years old (β=-2.26, p=.025), adequacy of personnel and resources (β=.21, p=.005), the foundation for quality care (β=.18, p=.048), and hope (β=.30, p<.001), which could explain job satisfaction as 64.0%. The regression equ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 = 18.70, p<.001) As a result of the above study,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improve the job embeddeness of nurses in public hospitals is hope, a sub-factor of psychological capital, and active program development is needed to enable nurses to have hope within the organization and increase self-elasticity.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quality nursing, a sub-factor of the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to properly provide manpower and resources to improve the quality of nursing to create an environment in which nurses in public hospitals can remain in the organization. Key words public Hospital nurses, job embeddedness, psychological capital, nursing work environment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 6개 공공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심리적자본, 간호업무환경이 직무착근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2년 10월 25일부터 31일까지 경기도 소재 공공병원 근무하는 간호사 200명을 대상으로 심리적 자본, 간호업무환경, 직무착근도에 대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수집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one-way ANOVA, 피어슨 상관관계수(Pearson's correlations coefficient), 다중회귀분석(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고, Scheffé test로 검정하였고,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공공병원 간호사의 심리적 자본은 평균 3.32점, 간호업무환경 평균 2.43점, 직무착근도 평균 3.14점으로 나타났다. 2. 심리적 자본은 대상자의 연령(t=2.95, p=.034), 결혼상태(F=4.29, p=.015), 공 공병원 근무경력(F=2.72, p=.031), 직급(F=3.14, p=.046)에 따라 차이가 나타 났다. 사후검정 결과 30세 미만, 30~39세의 간호사보다 50세 이상의 간호사 들이 심리적 자본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결혼상태, 공공병원 근무경력, 직급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업무환경은 대상자의 연령 (t=6.22, p<.001)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으며, 사후 검정 결과, 50세 이상의 간호사들이 30~39세의 간호사들보다 자신의 간호업무환경을 긍정적으로 인 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착근도는 대상자의 연령(t=10.39, p<.001), 결혼상태(F=5.24, p=.006), 공공병원 근무경력(F=4.26, p=.003), 직급(F=7.98, p<.001)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후검정 결과 50세 이상 의 간호사, 공공병원 근무경력 20년 이상인 간호사, 일반간호사보다 수간호 사에서 직무착근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심리적 자본, 간호업무환경과 직무착근도와의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 대상 자의 심리적 자본은 직무착근도와의 관계에서 심리적 자본의 하부요인인 자 기효능감(r=.56, p<.001), 낙관성(r=.63, p<.001), 희망(r=.68, p<.001), 탄력성 (r=.62, p<.001)의 4가지 하부요인이 모두 직무착근도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업무환경과 직무착근도의 관계에서 간호업무환경 의 하부요인인 간호사의 병원정책참여(r=.60, p<.001), 인력과 자원의 적절성 (r=.63, p<.001), 양질의 간호를 위한 기반(r=.68, p<.001), 간호관리자의 능 력, 리더쉽과 지지(r=.58, p<.001), 간호사와 의사의 협력관계(r=.49, p<.001) 의 5가지 하부요인 모두가 직무착근도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4. 대상자의 직무착근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직무착근도에서 유의하게 차이가 난 일반적 특성인 연령과 결혼상태, 공공병원 경력, 직급과 심리적 자본 하위요인 4가지와 간호업무환경 하위요인 5가지를 모두 독립변수로 투입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직무착근도의 회귀분석 모형은 30세 미만(β=-.28, p=.028)과 30~39세(β=-2.26, p=.025), 인력과 자원의 적절성(β=.21, p=.005), 양질의 간호를 위한 기반(β=.18, p=.048), 희망(β=.30, p<.001)로 나타났으며, 이 모형은 직무만족도를 64.0%로 설명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방정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했다(F=18.70, p<.001) 이상의 연구 결과 공공병원 간호사의 직무착근도를 증진시키기 위해 가장 중요한 요인은 심리적 자본의 하위요인인 희망이며, 간호사가 조직 내에서 희망을 가질 수 있도록 하고 자아 탄력성을 높일 수 있는 적극적인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간호업무환경의 하부요인인 양질의 간호를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 인력과 자원의 적절한 공급을 통해 간호의 질을 높여 공공병원 간호사가 조직 내 잔류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주어야 할 것이다.

      • 수술실 간호사의 언어폭력 경험, 업무 스트레스, 회복탄력성과 의사소통능력 간 관계

        정혜정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35327

        본 연구는 수술실 간호사의 언어폭력 경험, 업무 스트레스, 회복탄력성과 의사소통능력 간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수술실간호사의 업무만족도를 높이며 수술환자안전문화 조성 및 효율적인 인력관리를 통해 간호 조직 및 병원 조직의 성과를 높이는 근거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경기 지역에 소재한 대학병원 및 종합병원 수술실 6곳에 근무하는 간호사 중 수간호사를 제외한 소독, 부소독 업무를 담당하는 간호사 136명이었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16년 5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였으며, 연구의 도구는 일반적 특성 및 직무관련 특성 15문항, 의사소통능력 15문항, 언어폭력 경험 17문항, 업무 스트레스 43문항, 회복탄력성 25문항의 총 115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program을 사용하여 연구목적에 따라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관련요인 간의 상관계수,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다. 1) 수술실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은 평균 평점 5점 만점에 3.46(±0.41)이었다. 언어폭력 경험의 하위 요인 중 의사로부터의 언어폭력 경험은 평균 평점 4점 만점에 2.06(±0.48)점, 간호사로부터의 언어폭력 경험은 1.97(±0.57)점이었다. 업무 스트레스의 하위요인 중 의사와의 갈등은 평균 평점 5점 만점에 3.99(±0.68)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간호업무 3.84(±0.48)점, 근무표 3.64(±0.68)점, 심리적 부담감 3.58(±0.58)점, 전문지식 및 기술부족 3.56(±0.58)점, 역할갈등 3.53(±0.55)점, 보호자와 환자 3.49(±0.71)점, 대인관계 3.41(±0.64)점, 간호사대우 3.27(±0.89)점 순이었다.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 중 지지는 평균 평점 4점 만점에 2.85±(0.52)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지속성 2.57(±0.50)점, 낙관주의 2.37(±.56)점, 강인성 2.29(±0.51)점, 영성2.19(±0.69)점 순이었다. 2) 의사소통능력과 언어폭력 경험, 업무 스트레스, 회복탄력성 간 상관관계를 분석 한 결과 의사소통능력은 언어폭력의 하위요인 중 의사로부터의 언어폭력 경험, 간호사로부터의 언어폭력 경험(r=-.23∼-.25, p<.01), 업무 스트레스의 하위요인 중 간호업무, 전문지식 및 기술부족, 근무표(r=-.19∼-.37, p<.01)와는 부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 중 강인성, 지속성, 낙관주의, 지지, 영성(r=.22∼.60, p<.01)과는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3) 수술실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회복탄력성 의 하위요인 중 지속성(β=.41)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 중 지지(β=.26)로 나타났다. 특히 의사소통능력과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 중 지속성, 지지는 긍정적으로, 업무 스트레스의 하위요인 중 전문지식 및 기술부족(β=-.19), 언어폭력 경험의 하위요인 중 간호사로부터의 언어폭력 경험(β=-.16)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요인들은 수술실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을 49.0% 설명하였다(F=30.95, p<.001).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수술실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은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 중 지속성과 지지가 높을수록, 업무 스트레스의 하위요인 중 전문지식 및 기술부족과 관련된 업무 스트레스가 낮을수록, 그리고 간호사로부터의 언어폭력 경험 정도가 낮을수록 의사소통능력이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의사소통에 대한 중요성과 필요성으로 수술실 간호사 대상의 많은 교육이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이러한 교육이 실무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으며 교육프로그램 또한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수술간호업무 중 응급상황에 원활하게 대처하고 업무를 빠르고 정확하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구성원 간의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보다 구체적이고 다양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또한 전문화된 업무수행능력 요구에 대한 스트레스를 감소하기 위해 최신 의학정보를 지속해서 습득할 수 있는 E-learning 프로그램 개발이 제공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crease the job satisfaction of operating room nurses by identifying the association among their verbal violence experience, job stress, and resilience and communication ability and to provide base for improving performance of nursing and hospital organizations by cultivating surgical patient safety culture and effective human resource management. The participants were 136 scrub and circulating nurses recruited from ones, excluding head nurses, working in operating rooms of six academic and general hospitals located at Seoul City and Gyeong-gi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1st to October 31th, 2016 and the instrument consists of 115 items including 15 items on job related characteristics, 15 items on communication ability, 17 items on verbal violence experience, 43 items on job stress, and 25 items on resilien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on frequency and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ssociation among related factors, stepwise multi-regression using SPSS 21.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average communication ability score(maximum 5) of operating room nurses was 3.46(±0.41). For the sub-items of verbal violence experience, verbal violence experience from physicians and nursers scores(maximum 4) were 2.06(±0.48) and 1.97(±0.57), respectively. For the sub-items of job stress, the highest score(maximum 5) was conflicts with physician (3.99±0.68), and followed by nursing work (3.84±0.48), working schedule (3.64±0.68), mental burden (3.58±0.58), lack of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 (3.56±0.58), role conflict (3.53±0.55), relationship with care provider (3.49±0.71), personal relation (3.41±0.64), and treatment for nurses (3.27±0.89). For the sub-items of Resilience, the highest score(maximum 4) was support (2.85±0.52), persistence (2.57±0.50), optimism (2.37±.56), rigidity (2.29±0.51), and spirituality (2.19±0.69). 2) The results of analysis of association between verbal violence experience, job stress, and resilience and communication ability showed that the communication ability has negative associations with verbal violence experience from physicians and nursers (r=-.23∼-.25, p<.01; sub-items of verbal violence experience) and nursing work, lack of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 and working schedule (r=-.19∼-.37, p<.01; sub-items of job stress) while positive associations with rigidity, persistence, optimism support, and spirituality ((r=.22∼.60, p<.01; sub-items of resilience). 3) It was found that the strongest influencing factor on communication ability of operating room nurses was persistence (β=.41) and followed by support (β=.26), both sub-items of resilience and that these two sub-items have positive influences on, and the lack of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 (β=-.19; sub-item of job stress) and verbal violence experience from nurse (β=-.16; sub-item of verbal violence experience) have negative influences on communication ability of operating room nurses. These sub-items explained 49.0% of communication ability of operating room nurses. These results, in combination, showed that the communication ability of operating room nurse increases with increasing of persistence and support sub-items of resilience and with decreasing of stresses related to lack of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 sub-item of job stress and level of verbal violence experience from nurses sub-item of verbal violence experience. There have been many educational programs for operating room nurses because of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communication ability, these educations have little influence on practice and quality of the programs are poor. It is suggested, therefore, that the more specific and various programs for effective communication among members should be developed to facilitate proper response to emergency during surgery and rapid and accurate performance. It is also suggested that the working-level education program using E-learning should be developed to update health informations for alleviation of stress caused by professional work performance.

      • 수술실 간호사의 긍정심리자본, 조직문화 및 직무특성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윤미정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5327

        본 연구는 수술실 간호사의 긍정심리자본, 조직문화 및 직무특성 정도와 차이를 확인하고, 조직시민행동과 관련된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2019년 4월1일부터 2019년 5월 30일까지 상급 종합병원 및 종합병원 9곳에 근무하는 수술실 간호사로, 설문에 동의한 18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1.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대상자의 각 변수에 대한 기술통계와 각 변수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t-test ,일원 배치분산(ANOVA), 피어슨 상관 관계(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및 다중회귀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술실 간호사의 조직시민행동의 평균점수는 5점 중 3.62점(SD=0.37)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조직시민행동 하위 영역별 평균은 양심성 3.89점, 이타성 3.87점, 예의성 3.73점, 시민정신 3.44점, 스포츠맨쉽 3.14점 순으로 나타났다. 수술실 간호사의 긍정심리자본의 평균점수는 6점 중 3.88점(SD=0.54)으로 나 타났다. 구체적으로 긍정심리자본의 위영역의 평균을 살펴보면 낙관주의 4.02점, 자기효능감 3.97점, 복원력 3.80점, 희망 3.73점 순으로 나타났다. 수술실 간호사가 인식하는 조직문화 하위영역별 평균은 5점 중 위계문화 3.50점, 관계문화 3.21점, 혁신문화 3.13점, 업무문화 3.05점 순으로 나타났다. 수술실 간호사가 인식하는 직무특성 하위영역별 평균은 5점 중 직무중요성 3.52점, 피드백 3.49점, 직무정체성 3.40점, 직무자율성 3.21점, 기술다양성 3.0점순으로 나타났다. 2. 수술실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조직시민행동의 차이에서는 결혼여부 (t=-2.288, p=.023)와 직위(Z=-3.293, p=.001)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수술실 간호사의 긍정심리자본, 조직문화, 직무특성과 조직시민행동과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긍정심리자본(r=.578), 조직문화의 하위영역 중 관계문화(r=.508), 혁신문화(r=.288), 위계문화(r=.182), 업무문화(r=.214)와 직무특성의 하위영역 중 직무정체성(r=.398), 직무중요성(r=.469), 직무자율성(r=.392), 피드백(r=.488)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 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일반적 특성 중 연속 변수인 연령(r=.188), 현 부서경력(r=.196)의 경우도 양의 상관관계 가 나타났다. 4. 수술실 간호사의 조직시민행동 관련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일반적 특성 변수들 중 기혼, 책임간호사 이상을 더미 처 리하여 입력방식을 통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수술실 간호사의 조직시민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변수는 긍정 심리자본(β=.278, p<.001), 조직문화의 하위영역인 관계문화(β=.381, p<.001), 직무특성의 하위영역인 피드백 (β=.245, p=.002)인 것으로 나타났고 회귀분석의 설명력은 48.2%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F=14.165, p<.001). 이상의 결과를 통해, 수술실 간호사의 조직시민행동 정도는 수술실 간호사가 조직문화의 하위영역 중 관계문화를 높게 인식할수록, 긍정심리자본이 높을수록, 직무특성의 하위영역 중 피드백을 높게 인식할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수술실 간호사의 조직시민행동을 높이기 위하여 조직 구성원 간의 관계와 신뢰를 기반으로 하는 관계문화를 조성할 수 있는 환경과 리더쉽을 계발하고 수술실 간호사의 긍정심리자본을 계발하는 것과 함께 직무의 특성에서 피드백의 요소를 강화할 수 있는 것으로 직무를 재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핵심어: 수술실 간호사, 조직시민행동, 긍정심리자본, 조직문화, 직무특성

      • 한방 간호사의 업무복잡성, 역할갈등, 한방간호지식 및 그릿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지영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5327

        본 연구는 업무복잡성, 역할갈등, 한방간호지식 및 그릿이 한방간호사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2020년 9월 7일부터 2021년 2월 10일까지 서울, 경기, 부산 소재 병원급 이상 양 ∙ 한방 협진 한방병원 6곳의 한방간호사를 대상으로, 연구에 동의한 15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대상자의 각 변수에 대한 기술통계와 각 변수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t-test, 일원배치 분산(One Way ANOVA), 피어슨 상관관계(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및 다중회귀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한방간호사의 직무만족도 평균평점은 5점 만점에 2.87점(±0.24),으로 나타났다. 업무복잡성 평균평점은 5점 만점에 2.57점(±0.43), 역할갈등은 5점 만점에 2.33점(±0.69), 한방간호지식은 5점 만점에 2.76점(±0.66)이었으며, 그릿의 평균평점은 4점 만점에 2.08점(±0.42)으로 나타났다. 2. 한방간호사의 일반적 특성 ∙ 한방간호 교육 관련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 차이를 검증한 결과 나이가 많을수록(F=4.75, p=.010), 한방병원 경력이 3~5년 미만인 경우(F=3.19, p=.026)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한방간호사의 업무복잡성, 역할갈등, 한방간호지식, 그릿 및 직무만족도간의 상관관계 분석에서 직무만족도는 업무복잡성과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며(r=.40, p<.001). 한방간호지식과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r=.43, p<.001) 4. 한방간호사의 직무만족도의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한방간호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업무복잡성( =.325, p<.001), 한방간호지식( =.341, p<.001), 연령( =.170, p=.024), 한방병원경력( =.211, p=.015)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모형의 설명력은 31.4%이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F=9.76, p<.001). 이상의 결과를 통해 한방간호사의 직무만족도는 업무복잡성, 한방간호지식, 연령, 한방병원경력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한방간호사의 직무만족도 향상을 위하여 정규 및 임상에서의 한방관련교육의 활성화와 더불어 복잡한 업무를 수행하면서도 장기적인 직무만족을 할 수 있도록 동기 부여를 위한 병원 조직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그릿을 향상시키는 환경 조성과 프로그램 적용을 통하여 그릿의 향상에 따른 한방간호사의 직무만족도 변화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Background Nurses at oriental medical hospitals, which have to perform both Western & Oriental care at the same time, are diversifying and increasing in importance.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oriental medical car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job satisfaction of oriental medical nurses. Purpose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identify the effects of work complexity, role conflict, oriental nursing knowledge, and grit on the job satisfaction of oriental nurses.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7, 2020 to February 10, 2021 on 155 oriental medicine nurses who agreed to the study at six oriental medicine hospitals in Seoul, Gyeonggi and Busan. Using the SPSS statistics 26.0 program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and executed t-test, One 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to figuring out the descriptive statistics of each variable and the relevance between each variable. Findings The factors that significantly affect the job satisfaction of oriental medical nurses are age and experience in oriental medicine hospitals among work complexity, oriental medical nursing knowledge, and general characteristics. Conclusions To improve the job satisfaction of oriental medicine nurses, it is necessary to promote oriental medicine-related education in regular and clinical area. And in terms of hospital organization efforts should be made to motivate nurses in the hospital systematically so that they can still satisfying long-term tasks while perform complex tasks. Key words : Job satisfaction, Oriental medicine nurse, Work complexity, Role conflict, Knowledge in oriental nursing, Grit

      • 한방병원 간호사의 역할갈등 유형과 직무만족도 : 군집분석 적용

        이기진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5327

        본 연구는 군집분석을 활용하여 한방병원 간호사의 역할갈등 유형을 확인하고, 역할갈등 유형별 직무만족도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2021년 8월 9일부터 2021년 9월 17일까지 서울, 경기, 대구, 충북, 경남, 전북지역 소재의 보건복지부 지정 전문의 수련 한방병원 8곳의 간호사로 연구에 동의한 17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기술통계, K-mean 군집분석, ANOVA, Chi-square test, Scheffe’s test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역할갈등 평균점수는 3.56±0.63으로 나타났고, 하위요인별로 역할모호 3.75±0.71, 능력부족 3.42±0.70, 환경장애 3.69±0.83, 협조부족 3.19±0.77로 확인되었다. 대상자의 직무만족도 평균 점수는 3.00±0.39로 나타났다. 2.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의 역할갈등 유형을 군집분석한 결과 3가지 유형, 군집 1(전반적 역할혼돈형), 군집 2(중등도 업무갈등형), 군집 3(낮은 역할갈등형)으로 구분되었다. 군집 1(전반적 역할혼돈형)은 67명으로 역할갈등 하위요인 평균점수가 환경장애 4.37±0.45, 역할모호 4.19±0.43, 능력부족 3.94±0.56, 협조부족 3.80±0.46으로 세 집단 중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군집 2(중등도업무 갈등형)는 78명으로 역할갈등 하위요인 평균점수가 역할모호 3.65±0.46, 환경장애 3.33±0.57, 능력부족 3.21±0.36, 협조부족 2.93±0.46으로 세 집단 중 군집 1에 비해 낮게 군집 3에 비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군집 3(낮은 역할갈등형)은 15명으로 역할갈등 하위요인 평균점수가 환경장애 2.57±0.88, 역할모호 2.27±0.63, 능력부족 2.19±0.53, 협조부족 1.77±0.50으로 세 집단 중 가장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3. 대상자의 역할갈등 유형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일반적 특성은 최종학력, 직위, 총 근무경력으로 나타났다. 최종학력에서 군집 1은 대학교 졸업이 68.66%, 대학원 재학 이상이 19.40%로 대학교 졸업 이상이 상대적으로 많았으며, 군집 2는 전문대학 졸업이 28.21%, 대학교 졸업이 60.26%, 군집 3은 전문대학 졸업이 60.00%로 대학교 졸업 이하가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하였다(χ2=18.118, p=.001). 직위별로는 군집1은 일반 간호사 91.04%로 3개 군집 중 일반 간호사가 가장 많이 포함되었으며, 군집2는 수간호사 12.82%로 3개 군집 중 수간호사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χ2=10.195, p=.037). 총 근무경력(년차)은 군집1은 8.25년, 군집2는 11.73년, 군집3은 7.80년으로 군집2가 유의미한 차이로 총 근무경력(년차)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F=4.311, p=.015). 4. 한방병원 간호사의 역할갈등 유형별 직무만족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한방병원 간호사의 역할갈등 유형별 일반적 특성을 분석하여 객관적인 연구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역할갈등 해소를 위한 맞춤형 중재 마련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identify the role conflict types of nurses in Korean traditional medicine hospitals using cluster analysis and to determine 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role conflict type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nurses working at 8 specialized Korean traditional medicine hospitals in Seoul, Gyeonggi, Daegu, Chungbuk, Gyeongnam, and Jeonbuk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Of the 8 specialist training Korean traditional medicine hospitals, there were 2 oriental hospitals and 6 university-affiliated Korean traditional medicine hospitals. A total of 160 subjects were used as the final analysis sample, excluding 18 inappropriate questionnaires (non-return, non-response, insincere responses) among 178 respondent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e average score of the subjects was 3.56±0.63, 3.75±0.71, 3.42±0.70, 3.69±0.83, and 3.19±0.77 respectively. The average job satisfaction score of the target was 3.00±0.39. 2. In this study, the role conflict types of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types: cluster 1 (general role confusion), cluster 2 (moderate work conflict), and cluster 3 (low role conflict). cluster 1 (general role confusion) ranked first among the three groups with an average score of 4.19±0.43, a lack of ability 3.94±0.56, an environmental disability of 4.37±0.45, and a lack of cooperation of 3.80±0.46. cluster 2 (moderate work conflict) was 78 people, with 3.65±0.46, 3.21±0.36, environmental disability 3.33±0.57, and insufficient cooperation 2.93±0.46, lower than cluster 1 and higher than cluster 3. cluster 3 (low role conflict type) had 15 people, the lowest of the three groups, with 2.27±0.63, 2.19±0.53, 2.57±0.88 and 1.77±0.50. 3.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ole conflict and meaningful differences in different types of subjects are expressed by final academic background, position, and total work experience. Among the final educational backgrounds, 68.66 percent graduated from universities, and 60.26 percent graduated from universities. cluster 3 graduated from junior college with 60.00 percent. By position, cluster 1 accounted for 91.04% of the general nurses, the largest of the three, and cluster accounted for 12.82% of the total nurses, the highest proportion of the total nurses. The total work experience (annual) was 8.25 years for cluster 1, 11.73 years for cluster 2, and 7.80 years for cluster 3. 4. The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among nurses in oriental medicine hospital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As a result of first analyzing using K-mean cluster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160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clusters, and they were named as overall role confusion type, moderate work conflict type, and low role conflict type, respectively. As a result of the intergroup difference test through the analysis of variance,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educational level, the higher the experience of role conflict,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by role conflict group. Finally, the conclus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