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아의 기하능력 평가활동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김민정 강릉원주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에서는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 탐구생활 영역의 기하교육과 관련된 내용을 근거로 유아의 기하능력을 평가하는 평가활동을 개발․적용해보고, 현장에서의 실제 사용 가능성과 평가도구로써의 적절성을 검토하여 유아 기하능력 평가도구 개발의 기초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다루어지는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 탐구생활 영역의 기하교육과 관련된 내용에 근거한 유아 기하능력 평가활동을 개발한다. 2.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 탐구생활 영역의 기하교육과 관련된 내용 에 근거한 유아 기하능력 평가활동을 검증한다. 2-1. 유아 기하능력 평가활동의 문항 양호도를 알아본다. 2-2. 유아 기하능력 평가활동의 양호도를 알아본다. 2-3. 유아 기하능력 평가활동을 적용하여 만 4세, 만 5세 유아의 기하능력을 알아본다. 본 연구의 연구 절차는 문헌고찰을 통해 유아 기하능력 평가활동 내용 및 평가영역을 설정하여 이에 적합한 유아 기하능력 평가활동을 선정, 유아 기하능력 평가활동을 제작하고 유아교육 전문가 및 유아교육기관의 교사에게 평가활동의 적절성을 검토하여 최종 시안을 구성하였다. 이 결과의 최종 시안을 만 4세, 만 5세 유아에게 시범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 탐구생활 영역의 기하교육과 관련된 내용에 근거한 유아 기하능력 평가활동을 개발하고자 유아 기하교육 관련 자료를 수집하여 적절한 기하교육 내용기준을 분석하였다. 유치원 교육과정에 따른 기하교육의 수준별 내용을 탐색하고 유아 기하능력 평가활동에서 다루어질 평가영역 및 평가내용을 설정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고찰과 자료 분석을 토대로 유아 기하능력 평가활동을 7개 영역으로 선정하였으며, 각 하위영역에 대한 평가내용은 각 영역에 포함되어 있는 내용적 요소 중 실제 평가가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평가활동을 제작하였다. 평가활동은 그 활동 결과가 평가 가능한 활동이며 본 연구의 평가활동 개발의 방향에 적합하게 5가지 활동을 선정하였고 선정된 평가활동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준거를 3가지 척도로 구성하였다. 유아 기하능력 평가활동에 대해 유아교육 전문가 및 유아교육기관 교사 24명에게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평가영역, 평가내용, 평가활동 및 평가활동에 따른 평가영역, 평가내용, 평가준거의 적절성을 검토하였다. 전문가들이 제시한 적절성 정도와 기타의견을 참고하여 평가활동을 수정·삭제하여 총 7개 영역, 총 8개 문항으로 유아 기하능력 평가활동의 최종 시안을 제작하였다. 2.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 탐구생활 영역의 기하교육과 관련된 내용에 근거한 유아 기하능력 평가활동의 최종안을 만 4세, 만 5세 유아 80명에게 시범 적용하여 문항 양호도, 도구 신뢰도, 성‧연령에 따른 유아 기하능력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2-1. 문항 양호도를 산출하기 위해서 문항 통과율과 문항 변별도룰 분석하였다. 문항 통과율을 살펴본 결과, 대부분의 문항에서 유아의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문항 통과율이 증가하고, 점수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항 변별도를 살펴본 결과, 유아 기하능력 총점에 대한 상집단과 하집단간에 7개의 하위 영역 및 대부분의 문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어 문항 변별력이 있음이 나타났다. 2-2. 평가도구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서 살펴본 본 검사도구에 대한 Cronbach ⍺계수는 0.68로 비교적 신뢰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검사와 유아그림수학능력 검사 중 기하부분과의 공인 타당도를 살펴본 결과, 전체 점수와 전체 점수간 r=.70으로 높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용 타당도를 살펴본 결과 평가도구의 7개의 모든 하위 요인에서 적절한 수준으로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3. 만 4세와 만 5세 유아의 기하능력의 발달경향을 살펴보기 위해서 유아의 연령과 성별에 따른 유아 기하능력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먼저 성별에 따른 기하능력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유아가 지닌 기하능력은 유아의 성별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유아의 연령에 따른 기하능력을 살펴본 결과, 유아의 연령에 따라서 유아의 기하능력에는 차이가 있었다. 즉, 유아의 연령이 높아지면서 기하능력도 높아져서 유아의 연령에 따른 기하능력의 발달경향을 볼 수 있었다.

      • '탐구학습센터'에서의 과학활동경험이 유아의 과학과정기술과 과학활동 흥미도에 미치는 효과

        이수연 중앙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8831

        유아는 태어나면서 주변세계와 사물에 대해 끝없는 호기심을 갖고 탐구하려는 본능적인 탐구자이다(Duckworth, 1987; McCormark, 1981; McIntyre, 1984). 유아의 타고난 호기심을 활발하게 유지하도록 돕고, 격려해 주며, 유아가 자신이 살고 있는 세계에 대해 즐겁게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 이것이 바로 유아를 위한 과학교육인 것이다. Holt(1991)는 “과학은 유아들이 계속적으로 의문을 갖고, 알아내려고 시도하고, 알아내는 과정 즉, 생각하고 행하는 두 요인을 결합시켜 나가며 현재의 생활에 적응하고, 문제에 대처하며, 오늘과 내일을 위해 생을 즐길 수 있게 하는 것”이라고 했으며, Dietz & Sunal은 “과학은 과정과 결과가 서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이루어진다”고 말했다(김미경, 1997 재인용). 유아를 위한 과학교육을 어떻게 정의하느냐에 따라 McCormark와 Yager(1989)는 과학적 개념과 지식의 전달에 중점을 두는 결과론적 관점과 과학적 지식형성의 절차나 사고기능에 중점을 두는 과정론적 관점으로 과학을 크게 두 가지로 정의하고 있다. 과학을 지식과 사실들의 결과라고 정의하는 입장에서는 유아가 성취한 지식과 개념에 초점을 두고, 과정으로 정의하는 입장에서는 결과를 이끌어내는 절차나 사고과정에 목적을 두고 있다. Copple, Sigel과 Saunders(1984)등은 결과 중심의 과학교육이 빠른 시간 내에 과학적 지식을 습득할 수 있지만, 지식의 활용과 새로운 사실을 발견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음을 밝히고, 탐구하고 발견하는 과정중심의 과학교육이 급속하게 변화하고 있는 세계에 대처하고 새로운 지식을 형성하는데 효과적이라고 제안하고 있다. 과정중심의 과학교육에서는 과학적 지식의 전달보다는 과학적 사고, 과학적 태도 및 과학의 과정에 중심을 두어야 하며, 유아가 주변환경과 생활 속에서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통해 주변세계에 관한 과학적 지식과 정보를 획득하고 문제해결 능력을 길러가도록 돕는 것이 21세기를 살아갈 유아에게 적합한 과학교육이라고 말하고 있다. 2000년 3월부터 시행하고 있는 우리 나라 제 6 차 유치원 교육과정에서는 유아들의 보다 적극적인 탐구활동의 참여와 기회를 강조하기 위하여 기존의 ‘사고’중심에서 ‘탐구’중심 내용체계로 탐구생활영역을 개정하였다(교육부, 1998). 탐구 생활의 교육활동은 과학적, 수학적 현상과 관련된 어떤 정보나 지식 또는 개념을 학습하는데 중점을 두기보다는, 그 결과에 도달하기까지의 사고 과정이나 탐구 과정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는 것이다. Cabus와 Sund(1985)도 과학적 소양을 지닌 사람으로 교육하기 위해서는 유아기 때부터 과학적 사고와 태도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하였다. 유아 과학교육에서는 유아들이 직접 관찰하고 분류하며, 측정하고 의사 소통하는 과정을 통하여 능동적이고 탐구적으로 문제를 해결해 갈 수 있는 능력을 기르도록 과정을 중요시해야 한다는 것이다. 즉 과학적 사고, 과학적 태도, 과학적인 판단, 과학적인 문제해결, 자연세계에 대한 이해, 자연현상을 탐구하려는 태도를 기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것이다. 조형숙(1999)은 이러한 과학적 소양을 길러주기 위한 유아과학교육의 방법으로 유아들이 주변 사물과 자연현상에 대해 창의적인 시각과 방법으로 탐구해 보는 활동을 제공함으로써 유아 스스로 탐구과정에 몰입할 수 있는 기회를 주어야 하고, 과학과 기술․사회간의 유기적인 관계를 인식하고 문제해결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유아기 환경교육은 자연 친화적인 내용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고 하였다. 이를 위해 과학활동과정에 있어, 유아의 생각과 질문을 중시함으로써 단순히 손으로 직접 조작(hands-on)하는 것을 넘어 유아의 정신적 조작(minds-on)이 함께 이루어지도록 해야 하며, 새로운 과학교육이 모든 사람이 과학적 교양인이 될 것을 지향한다는 것을 염두 해 둘 때, 교사 자신의 과학적 소양을 키우고자하는 적극적 노력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결국 유아과학교육의 목적은 유아들로 하여금 보다 폭넓은 과학적 소양을 갖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다. 이러한 과학적 소양을 키우기 위해서는 유아들이 ‘왜?’, ‘어떻게?’라는 궁금증을 가지고 주변 환경과 현상을 관찰하고 탐구할 수 있도록 다양한 환경과 경험을 풍부하게 제공할 필요가 있으며 유아를 위한 탐구적인 환경을 마련해 주는 것은 유아와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며, 유아의 과학적 흥미를 유발할 수 있으며 유아는 스스로의 힘으로 새로운 사실을 쉽게 발견할 수 있게 된다. 유아들은 과학하는 과정에서 제공된 다양한 자료와 풍부한 경험을 통해 자극을 받고 도전감을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적극적 탐구활동을 위한 과학적 환경과 활동을 유아에게 제시해 주는 것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환경 가운데 Koch(1999)는 ‘탐구학습센터’에서의 교육적 가치와 유용성을 제시하였다. ‘탐구학습센터’는 유아 스스로가 과학적 탐구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고 몰입 할 수 있도록 풍부한 자료와 계획된 환경이 준비된 영역으로 유아의 다양한 소질과 잠재된 능력을 고려한 소집단을 구성하여 개별탐구활동을 전개할 수 있는 곳이다. 본 연구는 유아의 과학교육에서 제공되는 자료와 경험 등의 환경적 요인의 중요함을 강조하고 유아들이 스스로 어떤 것을 발견해 낼 수 있는 상황을 만들어 주기 위해 그들의 요구와 흥미에 기초를 둔 자료와 활동을 제공하는 ‘탐구학습센터’라는 별도의 환경 영역을 구성하여 본 연구를 통해 ‘탐구학습센터’의 과학활동경험이 유아의 과학과정기술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봄으로서 유아과학교육의 새로운 교수방법 적용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at effects scientific experience in The Inquiry Learning Center's have on young children's science process skills and interest, in change. The following are study questions and hypotheses: 1. How does The Inquiry Learning Center's scientific experience effect children's science process skills? 1-1. Children who has experienced The Inquiry Learning Center's scientific would score higher than children who has not. 2. How The Inquiry Learning Centers's scientific experience would effect on the interest of children's scientific activity? 2-1. It is expected that children who experienced scientific would participate more frequently in scientific activity. 2-2 It will take much longer for children who experienced scientific to continue scientific activity. The objects of this experiment are two groups composed of 30-four year old children in each group. They a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mparison group. The pre-examination of two groups science process skill showed the same result. It showed a difference in the interest level of science process skill and a scientific area activity between a group with 8 weeks experience of The Inquiry Learning Center's and a group that did not have the same experience. The results according to the study questions: 1. The Inquiry Learning Center's scientific experience improves children's science process skills. 2. The Inquiry Learning Center's scientific experience increases the interest of children's scientific. The result shows that various environments should be provided to children to experience a detailed and direct inquiry activity so that children can develop his/her science process skills and scientific problem solving ability. To do so, it is also necessary to provide a scientific educational environment and many ideas that could be suitable for children.

      • 전래놀이동요를 활용한 통합적 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사회·정서 능력 증진에 미치는 효과 분석

        윤미옥 가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831

        1990년대부터 전래놀이동요가 연구되어 유아의 신체, 표현, 언어, 사회, 정서 등의 증진에 효과 있음을 밝혀왔지만 전래놀이동요를 활용한 통합적 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사회·정서 능력 증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규명한 실증적 연구는 없는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래놀이동요를 활용한 통합적 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사회·정서 증진에 어떤 효과가 있는지를 규명하여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경상북도 K군에 소재하고 있는 유치원들 가운데에서 임의로 선정한 2개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4,5세에 해당하는 20명의 유아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통합적 활동 프로그램을 적용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무선 배치하여, 사전검사-사후검사로 진행하였다. 실험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종속변인으로서 내적통제, 동료와의 상호작용, 안정감, 성취동기, 호기심 등 5가지를 측정하였으며, 자료분석은 SPSS/win 을 이용하였다. 집단별로 사전검사 점수와 사후검사점수에 대해 2 X (2) 반복 측정식 변량분석을 적용하였다. 전래놀이동요를 활용한 통합적 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사회·정서 증진에 어떤 효과가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내적통제, 상호작용, 안정감, 성취동기, 호기심의 증진에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본 결과를 바탕으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래놀이동요를 활용한 통합적 활동 프로그램을 교육받은 집단의 유아가 전통적인 프로그램을 교육받은 집단의 유아보다 내적 통제증진에 더 효과적이다. 둘째, 전래놀이동요를 활용한 통합적 활동 프로그램을 교육받은 집단의 유아가 전통적인 프로그램을 교육받은 집단의 유아보다 동료와의 상호작용 증진에 더 효과적이다. 셋째, 전래놀이동요를 활용한 통합적 활동 프로그램을 교육받은 집단의 유아가 전통적인 프로그램을 교육받은 집단의 유아보다 안정감 증진에 더 효과적이다. 넷째, 전래놀이동요를 활용한 통합적 활동 프로그램을 교육받은 집단의 유아가 전통적인 프로그램을 교육받은 집단의 유아보다 성취동기 증진에 더 효과적이다. 다섯째, 전래놀이동요를 활용한 통합적 활동 프로그램을 교육받은 집단의 유아가 전통적인 프로그램을 교육받은 집단의 유아보다 유아의 호기심 증진에 더 효과적이다. 전체적으로 보아서, 전래놀이동요를 활용한 통합적 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사회·정서 능력 증진에 더 효과적이다. Since nineteen nineties, the effects of the child-song with traditional play on children's physical, expression, linguistic, social, and emotional ability has been studied. But there is no empirical study examining the effects of the integrated activity program using child-song with Korean traditional play on children's socio-emotional abilit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integrated activity program using child-song with Korean traditional play on children's socio-emotional abil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 5 year old 20 children in 2 Kindergartens randomly sampled from Kindergartens in K city in Kyungbook Province.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experimental group receiving integrated activity program and control group receiving any particular program. To test the hypotheses, internal control, peer interaction, stability, achievement motivation and curiosity level were measured as dependent variables. The data were analyzed via SPSS/win. 2(group;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X (2)(test; pre-test and post-test) repeated measure factorial design was used. The final conclusions were as follows; First. the integrated activity program using child-song with Korean traditional play improved the children's internal control level. Second, the integrated activity program using child-song with Korean traditional play improved the children's peer-interaction Third, the integrated activity program using child-song with Korean traditional play improved the children's stability. Fourth, the integrated activity program using child-song with Korean traditional play improved children's achievement motivation. Fifth, the integrated activity program using child-song with Korean traditional play improved children's curiosity. Overall, it revealed out that the integrated activity program using child-song with Korean traditional play improves children's socio-emotional ability.

      • 전통놀이를 통한 일반·장애유아의 통합교육이 기초체력발달과 인식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임미경 동국대학교 2004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서구 문화의 다양한 운동놀이 대신에 우리 사회 고유의 지식 · 개념 · 가치를 포함하는 전통놀이가 일반 · 장애유아의 통합교육이 기초체력발달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일반 · 장애유아의 인식변화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위와 같은 목적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전통놀이를 통한 일반·장애유아의 통합교육이 기초체력발달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전통놀이를 통한 일반·장애유아의 통합교육이 인식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는 서울시 강남구에 소재한 구립 K어린이집 일반유아(혼합 만 4,5세) 16명과 장애유아(혼합 만4,5세) 4명 총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일반유아와 장애유아의 기초체력 측정은 문화체육부(1995)에서 제시한 근력 ·근지구력, 유연성, 민첩성, 평형성, 순발력에 대한 측정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일반유아를 대상으로 또래 관계 수용도인 상호적 관계를 웃는 얼굴, 찡그린 얼굴, 보통의 얼굴이 붙은 바구니에 넣도록 하여 이름이나 사진을 보고 그 친구에 대한 느낌이나 함께 놀고 싶은 정도를 평정하는 측정방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장애유아를 대상으로 행동 관찰을 강소연(1994)에 의해 수정, 보완된 Holloway 와 Reichhart-Erlckson(1988)의 또래와의 상호작용 범주를 바탕으로 긍정적, 의존적, 부정적 상호작용으로 나누어 또래와의 행동을 관찰기록 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일반유아와 장애유아의 기초체력을 측정한 결과의 평균을 산출하고 집단간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SPSS Program을 이용하였다. 일반유아를 대상으로 선호도검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선그래프로 비교 하였으며, 장애유아를 대상으로는 긍정적, 의존적, 부정적 상호작용으로 나누어 인식변화를 관찰하였다. 분석기법은 연구문제 1의 일반유아와 장애유아의 기초체력에 대한 차이 분석은 t-검증을 적용하였고, 연구문제 2의 인식의 변화 분석에서는 일반 유아를 대상으로 선그래프를 통한 차이 비교와 장애유아를 대상으로는 매회기 마다 또래와의 행동을 관찰하여 질적 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놀이를 통한 일반유아와 장애유아의 통합교육이 기초체력발달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둘째, 전통놀이를 통한 인식의 변화에서는 일반유아를 대상으로 선호도 검사를 측정한 결과 장애유아에 대한 인식이 모두 향상되었다. 또한 장애유아를 대상으로 또래와의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행동을 관찰한 결과 상호간에 대한 부정적인 측면보다는 행동적, 태도적인 측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받음으로써 인식이 변화 될 수 있다는 확신을 갖게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볼 때, 전통놀이를 통한 일반유아와 장애유아의 통합교육이 기초체력발달과 인식의 변화에 많은 영향을 준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위해서는 일반유아와 장애유아에게 물리적 환경을 조성해주어야 하며, 흥미를 가지고 함께 뛰어 놀 수 있는 전통놀이를 활용해 성취감을 느낄 수 있도록 격려 해 주는 것이 중요하다. Our traditional plays reflect the unique knowledge, concepts and values of our society, unlike the diverse plays with the Western cultural background. Thus, this study was aimed at analyzing the effects of an desegregated traditional war-game education on the basic physical development and perceptional change of normal and handicapped pre-school children. To this end, the following study points were set up for this study; First, would the desegregated war-game education have effects on normal and handicapped pre-school children's basic physical development? Second, what effects would such a desegregated education have on normal and handicapped pre-school children's perceptional change? In order to find answers to the above questions, the researcher sampled 16 normal children (aged 4 or 5) and 4 handicapped children (aged 4 or 5) attending 'K' public children's house in Kangnam, Seoul. In order to measure children's basic physical strength, the researcher used a scale of muscular strength, endurance, flexibility, agility, equilibrium and instant motor ability suggested by Ministry of Culture and Sports (1995). On the other hand, normal children's perceptional change was measured by observing their responses (sense of friendship, desire of playing together, etc) to the baskets with their friends' name tags or photos showing some facial expressions (smiling, wry or neutral). handicapped children's perceptional change was measured by using Holloway and Reichhart-Erickson's (1988) scale of mutual interactions with peers modified and complemented by Kang So-yeon (1994); the interactions were divided into positive, dependent and negative on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program for means of children's basic physical strength and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Normal children were tested for their preferences, and the results were expressed in a linear graph, while handicapped children's perceptional change was observed if it was positive, dependent or negative. T-test was used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basic physical strength between normal and handicapped children and thereby, test the study point 1. In order to test the study point 2, differences of perceptional change were analyzed by means of a linear graph in case of normal children, and by means of observing interactions with peers every round of the test in case of handicapped childre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desegregated traditional war-game education had some effects on both children's basic physical development. Second, normal children's perception of their handicapped counterparts was found to have changed positively as a result of the preference test. As a result of observing handicapped children's interactions with peers, it was confirmed that their perception could be changed positively because the interactions had not negative but positive effects on their behaviors and attitudes. Based on the above findings, it may well be concluded that the desegregated traditional war-game education had some significant effects on both children's basic physical development and perceptional change. Hence, for a successful desegregation education, a favorable physical environment needs to be created for both children, and in this vein, it may be important for teachers to encourage both children to be engaged in the traditional plays together and thereby, feel a sense of achievement.

      • 유아체육 강사의 유아 신체발달과 체육활동에 대한 인식 및 유아체육 지도 실태

        안상춘 동덕여자대학교 2004 국내석사

        RANK : 248831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foundation data on physical education led by early childhood physical education instructors at many preschools these days in Korea. Particularly, this study focuses on the previous education of early childhood physical education instructors, their knowledge on young children's physical development and education, and their teaching practice. The following are the more specific inquiries addressed in this study: 1. What kinds of specialty do the early childhood physical education instructors have? 1-1. What kinds of special education and training have the instructors obtained? 1-2. What kinds of certificate do the instructors have? 2. What is the understanding of the early childhood physical education instructors on young children's physical development and education like? 2-1. What is the understanding of the instructors on young children's physical development like? 2-2. What kinds of perspectives do the instructors have on appropriate physical education activities for young children? 3. How do the early childhood physical education instructors approach their educational practice? 3-1. What are the contents of the teaching practice of the instructors? 3-2. What are the teaching methods of the instructors? The total of 207 early childhood physical education instructors participated in the survey conducted for this study. Among them, 84 were specially trained physical education instructors from various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located in Seoul; 122 were from institutions in Kyung-gi province; and 1 was a freelance physical education instructor. The total of 16 administrators of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participated in the interview conducted for this study. Among them, 7 were administrators of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in Seoul; 8 were administrators of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in Kyung-gi province; and 1 was a freelance instructor. The survey questions were adopted from the questionnaire used by california kindergarten association (2004) by Lee, Ok-Hee(1992) and Baek, Sue-Duak(1999). Data was collected from April 1, 2004 to April 30, 2004, and they were complied in percentage form. The following are brief statements of findings from the research. First, with regards to special education received by the instructors, while 92.7% majored in physical education at their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only 1.9% major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lso, not enough emphasis was put on having special training as only 42.5% of the instructors were certified/licensed physical education instructors. Second, with regards to type of special knowledge the instructors had about young children's physical development and appropriate physical activities, most of the instructors had general knowledge about child development, cognitive skills, and appropriate physical activities respective of children's ages. Also, the instructors understood the importance of physical activities to relieve children's stress, and the use of physical activities to develop cognitive skills. Last, concerning the teaching approach of the instructors', they used various apparatus for children to test their skills. The instructors modified the difficulty levels of required physical acts according to children's ages. Rubber mats and uni-bar were the most frequently used apparatus in physical activities. Also, the teaching methods used most often by the instructors were demonstrative instructions, instead of descriptive instructions. Further, the type of instruction plans used most often by the instructors were those designed and distributed by the Physical Education Associations . The following are brief statements of conclusions and recommendations from the present study: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early childhood physical education activities need to be reconsidered. This study focused only on specially trained physical education instructors from various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hence the result of this research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physical activities conducted by professional full-time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at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Here the problem lies in that over 90% of the instructors received training in physical educations and their respective lesson plans were provided by the associations of physical educators, not by the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themselves. As a result, their physical education practice did not always compliment regular curriculum applied at each institution. More research should be devoted to the effects of this disparity. Second, the early childhood physical education instructors should have more specialized training. An effective training for the instructors should include developing goals and objectives of the activities designed for young children, thorough understanding of underlying theory and description of the activities, and obtaining teaching techniques to achieve young children's best physical development. In order for the instructors to gain these techniques,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must include in their curriculum the courses concentrating on physical education for children. If the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stall in instituting such changes,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should conduct independent training for generally physical education instructors with early childhood education, emphasizing proper teaching methods for young children. Last, the results from this research may possess slight and unforeseen bias because the 207 instructors had been sampled from 15 training centers, which is relatively a small number. Hence, in future studies, the instructor subjects need to be selected from larger number of training centers to eliminate possible sampling bias. 본 연구는 유아교육 현장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기 위해 유아교육기관 및 기타 유아시설에서 유아의 체육활동을 지도하는 유아체육 강사의 전문성, 그들의 유아 신체발달 및 체육활동에 대한 인식, 그리고 유아체육 지도실태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교육기관 및 기타 유아시설에서 유아의 체육활동을 지도하는 유아체육 강사의 전문성은 어떠한가? 1-1. 유아교육기관 및 기타 유아시설에서 유아의 체육활동을 지도 하는 유아체육 강사가 받은 교육의 종류는 어떠한가? 1-2. 유아교육기관 및 기타 유아시설에서 유아의 체육활동을 지도 하는 유아체육 강사가 소지한 인증서는 어떠한가? 2. 유아교육기관 및 기타 유아시설에서 유아의 체육활동을 지도하는 유아체육 강사가 가지고 있는 유아의 신체발달 및 체육활동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2-1. 유아교육기관 및 기타 유아시설에서 유아의 체육활동을 지도 하는 유아체육 강사가 가지고 있는 유아의 신체발달에 대한 인 식은 어떠한가? 2-2. 유아교육기관 및 기타 유아시설에서 유아의 체육활동을 지도 하는 유아체육 강사가 가지고 있는 유아의 체육활동에 대한 인 식은 어떠한가? 3. 유아교육기관 및 기타 유아시설에서 유아의 체육활동을 지도하는 유아체육 강사의 지도현황은 어떠한가? 3-1. 유아교육기관 및 기타 유아시설에서 유아의 체육활동을 지도 하는 유아체육 강사의 지도내용은 어떠한가? 3-2. 유아교육기관 및 기타 유아시설에서 유아의 체육활동을 지도 하는 유아체육 강사의 지도방법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설문지 대상은 서울시 소재의 유아체육 전문기관에 소속된 유아체육 강사 84명, 경기도 소재의 유아체육 전문기관에 소속된 유아체육 강사 122명, 프리랜서로 일하는 유아체육 강사 1명, 총 207명이었고, 인터뷰 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유아체육 전문기관을 경영하는 기관장 7명, 경기도에 소재한 유아체육 전문기관을 경영하는 기관장 8명, 프리랜서 1명, 총 16명이었다. 본 연구의 주 연구도구로는 설문지이며 추가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인터뷰가 실시되었다. 사용된 설문지는 미국의 캘리포니아 유아교육 협회 자료(2004)와 선행 연구(이옥희, 1992; 백수덕,

      • 전통문화소재를 활용한 통합미술교육활동이 유아의 전통문화 인지와 선호도, 미적 반응, 미술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

        백희숙 목포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박사

        RANK : 248831

        This research examines how do the integrated art education activities, using traditional cultural materials, effect young children's cognition and preference about traditional culture, aesthetic response and artistic expression ability. So this research aims at providing effective art educational methods for young children.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 1.How do the integrated art education activities, using traditional culture materials, effect young children's cognition and preference about traditional culture? 1)How do the integrated art education activities, using traditional culture materials, effect young children's cognition about traditional culture? 2)How do the integrated art education activities, using traditional culture materials, effect young children's preference about traditional culture? 2.How do the integrated art education activities, using traditional culture materials, effect young children's aesthetic response? 1)How do the integrated art education activities, using traditional culture materials, effect on young children's visual response? 2)How do the integrated art education activities, using traditional culture materials, effect young children's assumption response? 3)How do the integrated art education activities, using traditional culture materials, effect young children's evaluative response? 3.How do the integrated art education activities, using traditional culture materials, effect young children's artistic expression ability? 1)How do the integrated art education activities, using traditional culture materials, effect young children's representation level? 2)How do the integrated art education activities, using traditional culture materials, effect young children's search level? 3)How do the integrated art education activities, using traditional culture materials, effect young children's artistic level? In this research, 52 young children were sampled from S kindergarten in Gwang Ju city.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experimental group(18 boys and 10 girls) and one comparative group(11 boys and 13 girls). Integrated art education activities were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teacher-oriented usual art education activities were applied to the comparative group. But the same traditional culture materials were used in two groups. And the various measurement instruments were used to measure dependent variables in this research. The data, which were collected after the experimentation, were analyzed by t-test using SPSS program.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First, in the cognition and preference about traditional culture, the research shows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relating to the cognition of traditional culture aspect, however there wasn't difference about the preference of traditional culture aspect. In other words, the research found out that the integrated art education activities, using traditional culture materials, is a more effective way to increase young children's cognition of traditional culture. Second, in the aesthetic response aspect, there were som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the integrated art education activities, using traditional culture materials, is a more effective way to increase young children's aesthetic response ability. Third, in the artistic expression ability aspect, there were som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the integrated art education activities, using traditional culture materials, is a more effective way to increase young children's artistic expression ability. In conclusion, the integrated art education activities, using traditional culture materials, is a more effective way to increase young children's cognition of traditional culture, aesthetic response ability and artistic expression ability. Accordingly, we can use this integrated art education activities using traditional culture materials in young children's art education field as a effective teaching method. 본 연구는 한국전통문화에 대한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유아발달에 적합한 전통문화소재를 활용한 통합미술교육활동이 유아의 전통문화 인지와 선호도, 미적 반응, 미술표현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는 유아교육현장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유아미술 교수학습방법 모색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전통문화소재를 활용한 통합미술교육활동이 유아의 전통문화 인지와 선호도에 어떠한 효과가 있을 것인가? 1)전통문화소재를 활용한 통합미술교육활동이 유아의 전통문화 인지에 어떠한 효과가 있을 것인가? 2)전통문화소재를 활용한 통합미술교육활동이 유아의 전통문화 선호도에 어떠한 효과가 있을 것인가? 2.전통문화소재를 활용한 통합미술교육활동이 유아의 미적 반응에 어떠한 효과가 있을 것인가? 1)전통문화소재를 활용한 통합미술교육활동이 유아의 시각적 반응에 어떠한 효과가 있을 것인가? 2)전통문화소재를 활용한 통합미술교육활동이 유아의 가정적 반응에 어떠한 효과가 있을 것인가? 3)전통문화소재를 활용한 통합미술교육활동이 유아의 평가적 반응에 어떠한 효과가 있을 것인가? 3.전통문화소재를 활용한 통합미술교육활동이 유아의 미술표현능력에 어떠한 효과가 있을 것인가? 1)전통문화소재를 활용한 통합미술교육활동이 유아의 표상수준에 어떠한 효과가 있을 것인가? 2)전통문화소재를 활용한 통합미술교육활동이 유아의 탐색수준에 어떠한 효과가 있을 것인가? 3)전통문화소재를 활용한 통합미술교육활동이 유아의 예술성 수준에 어떠한 효과가 있을 것인가? 본 연구의 대상은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S유치원의 만 5세반 2개 학급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학급은 각각 실험집단(남: 18명, 여: 10명), 비교집단(남: 11명, 여: 13명)으로 배정하였으며, 참여유아는 총 52명이었다. 실험집단 유아들에게는 전통문화소재를 활용한 통합미술교육활동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은 전통문화소재를 활용하였으나 통합이 아닌 교사 주도적 미술활동을 실시하였다. 실험처치는 6주 동안 1주에 3회씩 총 18회에 걸쳐 이루어졌다. 유아의 전통문화에 대한 인지와 선호도를 측정하기 위해 전경화(2001)가 개발한 ‘전통문화 인지와 선호도’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유아의 미적 반응을 측정하기 위해 Acuff와 Sieber-Suppe가 개발하고 Cole(1986)과 Sharp(1982)가 사용한 ‘A Manual for Coding Descriptions, Interpretations, and Evaluations of Visual Art Forms'를 재구성하여 사용한 임수진·이정욱(1999)의 미적 반응 평가척도를 사용하였다. 유아의 미술표현능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정혜정(2003)이 사용한 Project Spectrum의 시각예술영역(Visual Arts Domain) 평가척도를 사용하였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유아들의 집단별 동질성을 알아보기 위한 사전검사 결과, 두 집단간의 전통문화 인지와 선호도, 미적 반응과 미술표현능력 검사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동질 집단으로 간주하였다.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후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증으로 집단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전통문화 인지와 선호도에 대해 실험집단과 비교집단간 차이를 검증한 결과 전통문화 인지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전통문화 선호도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전통문화소재를 활용하여 통합미술교육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전통문화 인지에서 높게 나타나 전통문화소재를 활용한 통합미술교육활동이 유아의 전통문화에 대한 인지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전통문화 선호도에 있어서는 실험집단이 비교집단간에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유아의 미적 반응에 대해 실험집단과 비교집단간 차이를 검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전통문화소재를 활용하여 통합미술교육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미적 반응에서 높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미적 반응의 하위요인인 시각적 정보에 기초한 반응과 평가적 반응에서 전통문화소재를 활용하여 통합미술교육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미적 반응이 높게 나타나 전통문화소재를 활용한 통합미술교육활동이 유아의 미적 반응의 증진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유아의 미술표현능력에 대해 실험집단과 비교집단간 차이를 검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전통문화소재를 활용하여 통합미술교육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미술표현능력에서 높게 나타났다. 또한 미술표현능력의 하위요인인 표상수준, 탐색수준, 예술성수준에서도 전통문화소재를 활용하여 통합미술교육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미술표현능력에서 높게 나타나 전통문화소재를 활용한 통합미술교육활동이 유아의 미술표현능력의 증진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전통문화소재를 활용한 통합미술교육활동이 유아의 전통문화에 대한 인지와 미적 반응, 미술표현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전통문화소재를 활용한 통합미술교육활동이 유아의 전통문화에 대한 인지와 미적 반응, 미술표현능력 증진을 위해 적절하고 의미 있는 교수방법으로 유아교육 현장에 활용해 볼 가치가 있음을 시사한다고 하겠다.

      • 듣기교육 활동이 유아의 청음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양성연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듣기교육 활동을 활용한 실험집단과 듣기교육 활동을 활용하지 않은 비교집단간 유아의 청음능력의 차이를 알아봄으로써 듣기교육 활동이 유아 청음능력 증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유아기 청음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효과적인 그룹지도 방법을 통하여 유아기의 음악성을 향상시키고 체계적인 청음교육을 할 수 있는 교육방법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경기도의 A어린이집의 만 4세 유아를 대상으로 실험집단 25명과 비교집단 25명을 선정하여 2004년 4월 26일에서 7월 23일 까지 실시하였으며, 실험처치 지도안은 듣기교육 활동의 지도 내용과 방법으로 성경희(2001)의 "유아들의 음악 세계" 교수안에서 음악의 기본적인 개념인 셈여림, 음의 고저, 리듬, 음색 등의 내용을 지도하였다. 청음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는 이연섭(1990)의 "학습준비도 검사" 중 청각기능에 관련된 문항을 선별하여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통계프로그램인 Minitab Test를 통해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두 집단 간 비교를 위해서 t-test분석을 통하여 그 유의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문제에 따라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듣기교육 활동을 활용한 실험집단이 실시하지 않은 비교집단보다 청음능력 중 주위에서 들을 수 있는 소리를 구별 할 수 있는 능력을 증진시키기에 효과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듣기교육 활동을 활용한 실험집단이 실시하지 않은 비교집단보다 청음능력 중 리듬악기 소리를 구별 할 수 있는 능력을 증진시키기에 유의미한 차이를 주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듣기교육 활동을 활용한 실험집단이 실시하지 않은 비교집단보다 청음능력 중 빠른 소리와 느린 소리를 구별 할 수 있는 능력을 증진시키기에 유의미한 차이를 주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넷째, 듣기교육 활동을 활용한 실험집단이 실시하지 않은 비교집단보다 청음능력 중 박자 치기를 한번 듣고 따라 칠 수 있는 능력을 증진시키기에 효과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다섯째, 듣기교육 활동을 활용한 실험집단이 실시하지 않은 비교집단보다 청음능력 중 리듬악기 소리를 차례대로 구별 할 수 있는 능력을 증진시키기에 유의미한 차이를 주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상과 같이 유아 듣기교육 활동은 음악의 기본적인 셈여림, 음의 고저, 리듬, 음색 등의 내용을 바탕으로 유아의 청음능력 증진에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 교회학교 유치부 부모교육 활용을 위한 기독교 기관의 부모교육 프로그램 내용 연구 : 부모학교, 아버지학교, 마더와이즈를 중심으로

        김정선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교회학교에서 유치부 부모들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하여 현재 기독교기관에서 프로그램화되어 정기적으로 실시되고 있는 부모교육 프로그램들의 내용을 분석하여 부모참여를 증진시킬 수 있는 교회학교 유치부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활용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교회학교 유치부 부모교육의 내용은 무엇이어야 하는가? 2. 현재 실시되고 있는 기독교기관의 부모교육 프로그램 내용은 어떠한가? 1) 부모발달 영역에 대한 기독교기관의 부모교육 프로그램 내용은 어떠한가? 2) 유아발달 영역에 대한 기독교기관의 부모교육 프로그램 내용은 어떠한가? 3) 유아지도 영역에 대한 기독교기관의 부모교육 프로그램 내용은 어떠한가? 분석대상은 부모가 함께 참여하는 프로그램인 '부모학교'(기독교 가정사역 연구소), 아버지를 대상으로 실시하는 프로그램인 '아버지 학교'(두란노), 어머니만 참여하는 프로그램인 '마더 와이즈'(마더와이즈 코리아)의 프로그램의 교재를 조사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각 프로그램의 내용 분석을 위해 와이코프(Wyckoff)의 기독교 교육과정의 분류 기준을 사용한 김미선(2004)의 연구에서 제시한 기독교 부모교육과정의 내용의 준거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분석기준으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회학교 유치부 부모교육에 포함되어야 하는 내용은 부모발달영역, 유아발달 영역, 유아지도 영역으로 나눌 수 있다. 둘째, 기독교기관의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나타난 부모교육 내용을 부모발달 영역과 관련하여 분석한 결과 '부모학교' 프로그램은 부모 자신과 자녀 등 가정 이해와 역할을 심리학적인 측면에서 접근하여 실제양육 방법과 실천을 중심으로 내용이 구성되어 있으며, '아버지학교'는 부모자신의 자기 이해, 치유, 회복을 중심으로 가정에 대한 이해와 정체성 회복에 중점을 두고 있다. 또한 '마더와이즈'는 어머니의 신앙 회복을 강조하여 이를 통해 자녀관계의 회복과 어머니로서 생활 중 구체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방법들이 제시되어 있다. 셋째, 유아발달 영역과 관련하여 세 프로그램 모두 유아 발달에 대한 이해의 부분이 거의 포함되지 않거나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지도 영역과 관련하여 세 프로그램 모두 유아발달 영역과 마찬가지로 명확히 명시되지 않았으나 제시된 내용이 유아기 자녀의 지도 영역을 부분적으로 포함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부모학교'와 '아버지 학교'에서는 신앙지도, 대화, 행동지도, 생활지도, 놀이 지도가 언급되어 있으나 유아기 자녀 대상이라고 하기에는 그 적용범위가 넓고 내용도 부족함을 알 수 있다. '마더와이즈'는 특별히 유아기 자녀대상 부모에게 초점을 맞추지는 않았으나 유아기 자녀에게 적용할 만한 발달이해와 지도 영역에 관한 부분을 많이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기독교기관의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전체 내용을 비교해 볼 때, '부모학교'는 자녀 양육 방법과 전략, '아버지학교'는 부모의 치유와 회복, '마더와이즈'는 어머니의 신앙회복을 통한 어머니 역할의 가능성과 다양한 자녀교육의 구체적인 실천 방법이 제시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위의 결과해석에 기초하여 논의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독교기관의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은 각 프로그램의 목적과 교육 대상에 따라 내용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교회학교 유치부 부모교육의 활용하기 위해서는 공통적으로 세 프로그램 모두 자녀에 관한 부분을 유아기 자녀 발달에 대한 이해와 이에 따른 양육지도 방법들이 구체적으로 보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둘째, '부모학교' 프로그램을 교회학교 유치부 부모교육에 활용하기 위하여 성경에 근거한 부모자신의 이해와 치유, 기독교 부모와 가정의 정체성에 대한 내용이 추가되어야 하며, 그 외 교회-가정의 협력, 유아기 자녀 발달과 이해, 지도 내용 보완이 필요하다. 셋째, '아버지학교' 프로그램을 교회학교 유치부 부모교육에 활용하기 위하여 유아발달영역인 유아기 자녀 발달에 대한 이해와 유아지도 영역에 관한 구체적인 지도 방법들이 포함되어야 한다. 넷째, '마더와이즈' 프로그램을 교회학교 유치부 부모교육에 활용하기 위하여 유아 발달영역에 대한 부분이 보완되어야 한다. A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how comparative analytic data as a foundation or fundamental data for developing and utilizing kindergarteners' parents education programs by a church school, which can promote parents' participation. Analysis of contents of the parents education programs periodically conducted by Christian churches relected Institutes were conducted based on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1. Which contents are selected for christian parents education of the church school? 2. What are contents of parents education programs of christian institutes which are now conducted by the church school? 1) What are contents of parents education programs of christian institutes in an aspect of a parents development area? 2) What are contents of parents education programs of christian institutes in an aspect of an child development area? 3) What are contents of parents education programs of christian institutes in an aspect of an child guidance area? As objects for analysis and investigation, I selected study materials used in 'Parents School' which is a program in which parents and children participate together (Christian Family Ministry Research Institute), 'Father School' which is a program in which fathers participate (Tyranus), and 'Mother Wise' which is a program in which only mothers participate (MotherWise Korea). As a method of this study, to analyze the contents of each program, according to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 amended and supplemented the contents of a Christian parents education process suggested in the study by Kim Mi Seon (2004) which uses a classification standard of Wyckoff Christian education process. I used the amended and supplemented contents as an analysis standard. Through this study,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the contents to be included in the kindergarteners' parents education by the church school can be divided into a parents development area, an child development area, and an child guidance area. Second, as a result that the contents of the Christian parents education program was analyzed in relation with the parents development area, the program of 'Parents School' is focused to actual rearing methods and practices there of by approaching the family understanding and roles of parents and children in an aspect of psychology. The program of 'Father School' is focused to understanding of family and recovery of identity based on self-understanding, healing and recovery of parents. Furthermore, the program of 'Mother Wise' is focused to recovery of relations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and concretely practicable mother's life by emphasizing a recovery of mother's faith. Third, in relation with the child development area, all of the three programs little or a little include contents of understanding of child development. Fourth, in connection with the child guidance area, all of the three programs do not clarify it Iike the infant development area, but they partially include guidance of childrens. The programs of 'Parents School' and "Father School' mention about a faith guidance, conversation, a behavior guidance, a life guidance and a play guidance, but they are too wide in the applicable range and lack of the contents, and so, I think the child guidance area of the programs is not child-oriented. The program of 'Mother Wise' is not focused to parents who have childrens, but greatly include contents related with development understanding and guidance areas which are applicable to childrens. Fifth, comparing the entire contents of the Christian parents education programs, 'Parents School' presents children rearing methods and strategies, 'Father School' presents parents' healing and recovery, and 'Mother Wise' presents possibility of mother's role through recovery of mother's faith and various concretely practicable methods for children education. According to the understanding about the results as above, the arguing points based on it are following. First, the contents of parents' education programs by christian institutes differ with the objective of each program and objects for being educated. To utilize each program as kindergartener's parents education in church, each three program needs to be made up for the defects about the understanding of child developing and rearing guidance methods in the concrete. Second, to utilize 'Parents School' program as kindergartener's parents education in church, it has to be added the healing and recovery of parents based on the Bible, and the contents of identity of Christian parents and family. In addition, it needs to be complemented the mutual cooperation of church-family, the understanding of child developing and rearing contents. Third, to utilize 'Father School' program as kindergartener's parents education in church, it has to be included the understanding of child developing and the concrete rearing methods about child developing area. Fourth, to utilize 'Mother Wise' program as kindergartener's parents education in church, it also has to be added the parts about child developing area.

      • 인성교육이 유아의 사회성발달과 공감능력에 미치는 효과: ‘배려’활동을 중심으로

        김효숙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831

        국 문 초 록 본 연구는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사회성 발달과 공감 능력에 미치는 효과: ‘배려’활동을 중심으로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1. 배려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효과가 있는가? 연구문제2. 배려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공감 능력에 효과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자는 만5세 유아로 Y시와 S시에 소재하고 있는 유치원 2곳에서 실험집단 30명, 비교집단 30명, 총 60명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처치는 2개월간 실험집단에게는 배려인성교육 프로그램을 참여 하였으며, 비교집단에게는 같은 기간 동안 일반적인 누리과정에 참여 하였다. 프로그램 전·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에게 측정한 연구도구는 유아의 사회성기술을 측정하기 위해 한국 아동 사회성 기술 검사(박민혜, 2013)를 사용하였으며, 유아의 공감능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유아의 공감 능력척도(최수랑, 2002)를 수정한 강민주(2010)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program을 이용하였고,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였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전 동질성 검증은 χ2-test, t-test로 분석하고, 프로그램 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종속변수의 차이는 ANCOVA로 분석하였다. 본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배려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 결과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회성 발달 전체 및 하위영역에서 부분적으로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동질하지 않는 집단이었다. 실험 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차이검증을 통해 두 집단의 사회성 전체점수와 하위영역의 모두 차이가 있지만 증가 폭은 상대적으로 비교집단에 비해서 실험집단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배려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사회성 발달의 하위영역인 정서표현, 문제해결, 질서의식, 자신감 증진에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둘째, 배려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공감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 결과 유아의 공감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 중 기쁨에서 실험집단 유아가 비교집단 유아보다 사전·사후검사 간의 높은 점수 차이를 보였으며, 이는 배려인성교육 프로그램이 다양한 감정을 수용하고 느끼는 과정이 유아의 공감능력 향상에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결론적으로 배려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사회적 발달과 공감 능력을 높이는데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유아의 올바른 인성을 형성 할 수 있도록 돕는 실천 중심의 으로 유아교육현장에서 인성교육 프로그램에 기초한 누리과정에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바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