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지역문화예술회관의 전시 활성화 방안 연구 : 한국소리문화의전당, 익산예술의전당, 군산예술의전당을 중심으로

        박정현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743

        현대인들은 문화예술을 통해 삶의 질이 향상되었고, 직접 경험과 체험을 통해 능동적인 참여를 하고 있다. 문화와 예술은 뗄 수 없을 정도로 사회 요소 중 크게 차지하고 있는데 이런 문화적 욕구를 해소하기 위해 1984년 ‘지방문화중흥 5개년' 근거로 문화예술회관이 전국 곳곳에 건립이 시작되었다. 되었다. 이러한 계기로 지역민들에게 문화적 수요를 반영하여 지역복합문화시설 기능이 확대되었다. 본 연구자는 선행 논문과 자료 등을 바탕으로 이론적 연구를 하였고, 지역문화예술회관의 역할과 성격에 대해 재정립하였다. 전라북도에 위치한 한국소리문화의전당, 익산예술의전당, 군산예술의전당을 사례 조사를 하여 현황 분석과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각 기관에서는 크고 작은 공연과 전시 프로그램을 꾸준히 선보이고 있으나 대부분 공연장을 찾는 관객들이 전시장을 찾는 관람객보다 많다. 대부분 문화예술회관은 공연장과 전시장이 동반되어 있으나 운영면에서는 차별성을 두어 관람객 개발에 한계점이 들어났다. 지역민들에게 균형잡힌 문화예술을 제공하기 위해 공연이 확산되어 있는 만큼 전시 또한 활성화 될 수 있는 방향으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첫째, 전문학예인력을 보충하여 해당 지자체와 기관에서는 전문적인 기획전시를 선보일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전문학예인력을 통한 자체 기획 프로그램은 전시 담당자의 기획력, 전문성, 연출력 등을 통해 기관의 성격도 파악 할 수 있다. 둘째, 지방에 위치한 문화예술회관의 지역성과 정체성 확립,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 및 목표 설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문화예술회관에서 운영되는 기획전시와 대관전시의 가동률을 보면 대관전시의 가동률이 높게 나온다. 즉, 기획전시 기간보다 대관전시 기간이 길어 기관의 정체성에 혼란을 빚어온다. 이를 극복하고자 기획전시와 대관전시의 기간을 균형을 잡을 수 있도록 노력해야한다. 넷째, 자체적으로 기획전시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전시 연계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적극적인 관람과 체험, 경험 등을 마련한다. 다섯째, 지역 문화예술회관과의 네트워크 형성하여 지역과 지역, 지역과 작가, 작가와 작가 같은 인적 네트워크, 물리적 네트워크 등을 통해 지역을 바탕으로 전라북도뿐만 아니라 전국적으로 교류를 목표로 삼을 수 있도록 한다. 결론적으로 한국소리문화의전당, 익산예술의전당, 군산예술의전당을 포함하여 전라북도에 위치한 문화예술회관 전시가 활성화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전문인력을 구축하여 지역을 연구 할 수 있도록 하며 지역 예술가들과 함께 자체 기획전시 프로그램을 구성할 수 있도록 제안한다.

      • <Perfect condition-환영(幻影)합니다> 전시기획 : 본인 기획전시를 중심으로

        박지혜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727

        This paper is a result of the exhibition of 《Perfect condition - Being in an Illusion》 held in the Post Territory Ujeongguk from 17 to 26 April 2020. It was planned as an interdisciplinary art project. Media art and performing art were shown at the same place within 240 hours (ten days) without stopping. New media artist Mr. Park Seong Jun and performing art group ‘Yulhyul Arts Group's the small tent in territory 5’ were participated to express ‘desire and illusion.’ Mr. Park's works highlight two main themes (desire and illusion) from various perspectives. Yulhyul Arts Group members continued on-site performance for 240 hours to drive audiences' participation. The audience could participate freely, and art performance and artworks transformed and progressed after an interaction. Also, their personal experience was projected to the exhibition and mixed with the authors intention. Desire and illusion were visualized by round the clock performance within ten days, 240 hours, and showed its relationship with reality. This exhibition was paralleled with online (social media) performance to stress its vibrant nature and cope with Novel coronavirus (COVID-19) pandemic. We uploaded photographs on social media regularly and communicated with online audiences through online video streaming services. Online-contents also worked as archiving data since it has accessibility. On the budget side, the curator paid all expenses herself and partially supported by Post Territory Ujeongguk's cooperative program for venue rental and PR costs. It took six months to prepare for the exhibition. Preparation started from the early-stage meeting to fix concept, general planning, developing contents with artists and performers, and hiring a designer and a public relations specialist. Maintaining in good order to ensures safety and hygiene to prevent COVID-19 were top priorities for the exhibit operation. At the entrance, the receptionist measured visitors' and performers' body temperature with an Infrared thermometer and asked them to leave an emergency contact number on the list to abide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s' guidelines. This effort allows the public health officer to track visitors immediately if a problematic situation happens. We destroyed collected personal information after we confirmed that there were no issues with the COVID-19. The total audience number for ten days was counted 12,626, Including live streaming viewers. 본 논문은 2020년 4월 17일부터 4월 26일까지 탈영역 우정국에서 개최된 전시 《Perfect condition-환영(幻影)합니다》의 결과물이다. 본 전시는 10일 동안 24시간 논-스톱(Non-stop)으로 운영된 실험적 전시이며 뉴미디어아트와 공연예술을 한자리에 모은 다원예술전시이다. 욕망과 환영을 주제로 한 본 전시에는 뉴미디어 아티스트 박성준 감독과 공연예술단체 열혈예술청년단 제5지대 스몰텐트가 참여했다. 욕망과 환영을 서로 다른 각도로 조명하는 박성준의 인터랙티브 설치 작품과 열혈예술청년단 제5지대 스몰텐트의 240시간 공연 작품은 관람객의 직접 참여를 바탕으로 상호작용하며 작품의 현상과 관람객의 경험이 매순간마다 변화한다는 특성을 지닌다. 10일 간 매일 24시간 진행되며 관람객에게 공개되는 전시와 공연은 끊임없는 작품의 실행 과정을 통해 우리가 인지하지 못하는 순간에도 쉬지 않고 작동하는 욕망과 환영을 가시화하며, 현실과의 관계를 물리적으로 드러낸다. 《Perfect condition-환영(幻影)합니다》는 24시간 운영의 역동성을 적극적으로 드러내기 위해 온라인 전시를 병행하였다. 동시에 이는 코로나-19에 대한 대응으로 비대면 관람이 가능한 새로운 전시형식의 시도이기도 하다. 본 전시 전용 페이스북 페이지와 인스타그램 계정을 개설하고 매일 다양한 작품 이미지를 업로드했으며 라이브 방송으로 실시간 소통을 하였다. 24시간 운영됨에 따라 변화하는 전시장의 풍경을 지속적으로 게시하여 전시장에 오지 못한 사람들에게 시간의 흐름에 따른 전개를 제시하였고, 동시에 전시장을 방문한 관람객의 경우 온라인 계정으로의 재방문을 유도했다. 전시가 종료된 이후에 본 전시의 SNS 계정은 누구나 접근할 수 있는 아카이빙 데이터로도 역할을 하였다. 기획자의 자부담 예산을 바탕으로 진행된 본 전시는 사전 미팅, 전시 기획, 작가 섭외, 전시장소 선정, 디자이너 및 홍보 담당자 섭외, 전시안내원 섭외 등 약 6개월간의 준비 과정을 거쳤으며 탈영역 우정국의 협력 대관 프로그램을 통해 대관료 조율과 홍보 일부를 지원받았다. 현장 운영에 있어서는 안전을 우선시하고 코로나-19를 대비하여 방역과 위생을 철저히 관리하고자 했다. 또한 탈영역 우정국에 들어오는 모든 관계자와 참여 작가들, 관람객들의 방문 일시와 연락처를 수집하였고 비접촉 체온계로 체온을 확인하였다. 수집된 개인정보는 전시를 마치고 2주 뒤 폐기하였다. 전시기간 10일 동안 관람객 수는 온라인 라이브 영상 관람자를 포함하여 총 12,626명으로 집계되었다.

      • 재능기부를 통한 문화예술 창작 및 향유 활성화 방안 연구

        김수진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727

        Talent, skill, and ability form the conceptual basis of terms to do with sharing such as talent donation, skill sharing, intelligence funding, smart volunteering, and pro-bono service. Talent donation is a volunteer service concerned with intangible donations. Furthermore, it goes beyond the provision of simple labor to provide individual talent, which allows individuals to contribute to the society in a novel fashion. Recently our society is experiencing a paradigm shift in volunteerism wherein donations based on talent are being emphasized. Various forms of media report on the talent donation activities of celebrities while the government is actively implementing policies where the focus of sharing is talent donation. The term ‘cultural art talent donation’ is concerned with both the cultural art domain and the social services domain. ‘Talent donation’ is a paradigm shift in social services and volunteerism methodology based on the conceptual basis of talent while as ‘cultural art talent donation’ can be seen as a voluntary movement which focuses this shift to the cultural art domain in order to bolster creativity. The ultimate goal of cultural welfare is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of its citizens by furthering their mental well-being. Talent donation is placed as an integral component of this effort as an attempt to promote the cultural arts by utilizing the resources of the private sector. Korea’s cultural art policy was initially focused on the artists’ activities but has expanded to incorporate the consumers of these arts. In current times, these policies have expanded further to develop from a one-sided consumption to a participatory cultural experience. Moreover, the drivers of cultural art policies are shifting from the government to the private sector with an emphasis on spontaneity. Talent donation activities are by nature spontaneous and thus are at the core of this trend. There are various forms of cultural art talent donation based on the agent and target, the members and tendencies of the groups involved, the purpose and size of donation, and the method of transference. An individual or a group can take voluntary action to participate in cultural art donations or corporations and governments may collaborate to set up projects. Moreover, members from various forms of arts may cooperate in these activities. This research classifies talent donation into arbitrary forms based on the agents and the method of transference. These classifications are as follows: ‘from cultural arts domain,’ ‘to the cultural arts domain,’ ‘brokerage by government or corporations,’ and ‘indirect donation.’ This paper will look into the relationships among the private sector, the government, and the cultural art sector by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lassification and by analyzing exemplary cases. Talent donation is being actively performed by various agents, and the government is focusing on talent donation in the cultural art policy domain as well. However, there are problems inherent in talent donation as it is being run as a public offering. The concept and scope of talent donation, the continuous execution and spontaneity of such activities, problems of the support structure, the quality of the programs, the dependency of professional artist groups on the government are the issues covered in this paper. In light of such issues, this paper suggests methods in which the private and public sectors can corporate to integrate more structure to talent donation. Firstly, the government should focus on the big-picture of institutionalization and continuation of talent donation through campaigns and social activities. Secondly, the governments’ talent donation support efforts should concentrate on public interest while being indirect. It should also aim to produce original and creative programs. Thirdly, the concept of talent dona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philanthropy but should be expanded to create an environment that promotes a horizontal exchange of talents. Fourthly, since the success of talent donation is anchored in continued support efforts, more local professional institutions that guarantees after service and assessment should be established. Fifthly, experts in other fields should be actively recruited to bolster the creative environment of the cultural arts sector. Such efforts will allow better management at cultural art institutions thereby aiding individuals to donate their cultural art talents. Cultural art talent donation is a utilization of private resources for the actualization of cultural welfare. Therefore it can be seen as an active participation in the cultural art domain. The goal of such talent donation is to voluntarily share one’s cultural art talents through the mechanism of donation and sharing. Simple and narrow-scoped public welfare policies or policies that are no more than public propaganda cannot rid of the partition and conflict in our society. The voluntary cultural arts sharing by the private sector allows individuals to experience the joy of expressing their creativity through direct participation. They will feel the joy of life and gain motivation through expressing their innate artistic qualities while understanding and merging with one another. Cultural art donation should become a joint effort of the private and public sectors to promote cultural art creation and enjoyment. Taking on this direction will allow the social integration of the civil society. 재능나눔, 능력기부, 지식지원, 영리한 자원봉사, 프로보노 등 나눔에 대한 다양한 용어들의 개념적 기반은 재능·기술·능력이다. 재능기부(Talent Donation)는 무형의 기부로서 자원봉사이다. 더 나아가 단순 노동력을 제공하는 자원봉사가 아닌‘재능’이라는 특수한 활동을 통해 개인이 갖고 있는 재능을 활용해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기부라고 할 수 있다. 요즘 우리 사회는 기부 패러다임의 변화 양상으로 이런 재능을 기반으로 하는 자원봉사 활동이 사회적 이슈로 자리 잡고 있다. 각종 미디어와 매체에서 유명인의 재능기부 활동에 관련한 기사를 흔히 찾아 볼 수 있고, 더불어 정책영역에서도 재능기부 및 나눔을 연계한 사업들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는 실정이다. ‘문화예술 재능기부’는 용어가 시사하는 바와 같이 복지 영역과 문화예술 영역을 넘나드는 개념이다.‘재능기부’는 재능을 개념적 기반으로 한 복지 분야의 기부 및 자원봉사 방법론에 대한 패러다임 전환이고, ‘문화예술 재능기부’는 이를 문화예술분야에 한정하여 창작과 향유를 활성화하고자 하는 자발적 활동이라 할 수 있다. 연장선상에서 살펴보면, 문화복지의 궁극적인 목표는 국민의 정신적 행복추구로서의 삶의 질 향상이고, 그 과정에 문화예술 창작 진흥과 향수 진작의 수단으로서 민간영역의 자원 활동인 문화예술 재능기부가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문화예술정책은 수월성에 입각한 예술진흥 중심에서 문화산업의 활성화로 수용지대가 확장되면서 수혜자 중심의 무게를 두게 되고, 현재에 와서는 수동적인 향유에서 벗어나 수용자가 직접 창조하며 이를 즐기려는 참여형 문화 활동을 강조하고 있다. 문화예술정책이 정부주도에서 민간영역의 자발성을 존중하는 성격으로 변화하고 있는바 재능기부 활동은 시민사회의 자발적 문화예술 활동 안에서 실천적 원리를 띠며 핵심적 역할로서 자리하게 된다. 문화예술 재능기부의 유형은 주체와 대상, 단체의 구성원 및 성격, 기부 목적과 규모, 재능기부 전달체계 등에 따라 그 형태를 달리한다. 개인 또는 단체가 자발적으로 재능기부활동을 하거나 기업과 정부가 서로 연계·화합하여 기획 사업을 하기도 한다. 또는 다양한 장르와 구성원들이 함께 협업의 형태로 활동을 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재능기부 사업의 주체와 전달체계에 따라‘문화예술분야의 재능기부’,‘문화예술분야에 대한 재능기부’,‘정부 중계기간 또는 기업의 기획사업으로서의 재능기부’,‘재능기부를 통한 간접기부’로 나누어 재능기부 유형을 임의 분류하였고, 각 유형별 특징과 대표적인 사례 분석을 통해 시민사회와 정부, 문화예술계가 기부 및 나눔 활동을 매개로 연결되는 관계망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렇듯 재능기부는 민간 자원의 활동인 만큼 다양한 주체에 의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고, 정부 또한 문화예술 정책영역에서 기부와 나눔을 매개로한 재능기부 정책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공모사업의 형태로 운영되고 있는 재능기부는 몇 가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재능기부 개념과 범위의 문제, 실천의 상시성과 자발성의 측면, 자원 활동에 대한 지원체계, 프로그램의 질적 측면, 전문예술단체의 정부 의존성 등 구체적인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문화예술 재능기부 활동이 앞으로 우리 사회에서 민간과 공공 영역의 협력에 의해 좀 더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몇 가지 방향성을 제시했다. 첫째, 정책 영역에서의 재능기부는 광의의 개념으로서 거시적인 관점에서 지속가능한 나눔 교육의 제도화와 재능기부 캠페인 및 사회운동을 추진해야 한다. 둘째, 정부의 재능기부 지원 사업은 공공성을 지향하는 선순환적 간접 지원방식을 택해야 하며, 독자적이고 창의적인 재능기부 프로그램을 생산해 내야 한다. 셋째, 재능기부의 개념을 자선적 차원에서 국한시키지 말고, 자발적이고 수평적인 재능의 상호 교환이 활성화 될 수 있도록 지역사회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넷째, 재능기부의 성공 핵심은 연계지원이기 때문에 재능기부자와 수요처를 성공적으로 연계하고 지속적인 사후 관리나 평가 등의 지속성을 담보하는 지역 거점의 전문 중계 기관을 증설해야 한다. 다섯째, 타 분야의 재능을 통해 문화예술 분야 창작 여건을 개선하여 그들의 문화 예술적 재능을 사회에 환원할 수 있도록 경영자생을 위한 재능기부 활성화 정책 마련을 해야 한다. 문화예술 재능기부는 민간자원을 활용한 문화복지사회의 구현 방법으로 적극적인 문화예술로의 참여활동이다. 문화예술 재능기부는 기부와 나눔이라는 매커니즘을 통해서 문화예술적 능력을 자발적으로 나누자는 것이다. 좁은 의미의 사회구호성 복지정책만으로 또는 국가의 문화복지 지원만으로 우리 사회가 안고 있는 분열과 갈등을 치유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시민사회의 자발적 문화예술 나눔은 문화생활의 직접적인 참여와 향유를 통해 창작의 기쁨을 맛보고, 자신 속에 잠재되어 있던 예술의 끼를 발산함으로써 삶의 의욕을 얻으며, 그 과정에서 서로를 이해하고 통합하는 경험들을 하게 된다. 결국 문화예술 재능기부는 시민사회의 자발적 문화 나눔 활동의 필요성과 실천적 원리를 지니며, 문화예술 재능기부가 민관협치의 방향으로 나아갈 때 적극적인 문화예술 창작과 향유를 실현하며 시민사회 사회통합의 기제로 나아갈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기업 메세나와 문화마케팅 사례 연구 - 아모레퍼시픽의 전통문화 예술활동을 중심으로 -

        이승희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의 목적은 아모레퍼시픽의 전통문화예술 활동을 기업 메세나와 문화마케팅 전략의 관점에서 살펴보는 것이다. 최근 메세나는 기업이 문화 예술을 마케팅전략에 통합하는 ‘문화마케팅’으로 진화하고 있다. 아모레퍼시픽은 문화 예술을 지원하는 메세나 활동을 통해 사회공헌에 기여하면서도 이를 마케팅 전략으로 통합하여 브랜드의 이미지와 소비자 관계를 강화하고 있다. 기업 메세나와 문화마케팅은 모두 기업이 문화 예술을 지원하는 활동을 포함하지만, 본질적으로 목적과 접근법에 차이가 있다. 메세나가 기업 이미지 향상과 사회적 공헌을 목표로 하여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데 목적을 둔다면, 문화마케팅은 기업이 문화 예술을 활용하여 브랜드의 이미지와 소비자 관계를 강화하여 경제적인 이익을 목표로한다. 최근 기업 메세나와 문화마케팅은 단순한 후원을 넘어 기업과 사회가 상호이익을 얻을 수 있는 전략적 활동으로 확장하고 있다. 아모레퍼시픽은 전통문화예술 활성화에 방점을 두고 기업 메세나와 문화마케팅을 상호 보완적으로 적절히 활용하여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수행하는 대표적 사례로 주목할 만하다. 아모레퍼시픽의 전통문화예술 활동 중에서 기업 메세나 활동의 대표적인 사례로는 《설화문화전》이며, 문화마케팅 사례로는 아모레퍼시픽 미술관의 《고미술 기획전》과 오설록티뮤지엄의 ‘차 문화 활동’을 들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의 II 장에서 기업 메세나의 개념, 역사, 발전 과정 등의 문헌을 고찰하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과 공유가치 창출(CSV)의 개념을 탐구한다. 이론적 논의를 통해 기업 메세나 활동이 사회적, 문화적, 경제적 맥락에서 미치는 영향과 역할을 분석하고 살펴본다. 또한 기업 메세나와 문화마케팅은 상호연결된 개념으로 단순히 경제적 이익을 넘어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브랜드가치를높이는 데 기여한다는 점을 논한다.III 장에서 아모레퍼시픽의 설화수 브랜드인 《설화문화전》과 아모레퍼시픽 미술관의 《고미술 기획전》, 그리고 오설록티뮤지엄의 ‘차 문화 활동’ 등 대표적인 전통문화예술 활동을 분석한다. 각 사례의 기획동기와 전개 과정, 그리고 그 효과를 탐구함으로써, 아모레퍼시픽이 어떻게 자신의 상품과 제품 인지도에 전통문화 예술을 접목했는지를 조명한다. 《설화문화전》은 전통적 요소와 현대적 기술을 결합하여 다양한 예술 작품을 통해 전통과 현대의 이질감을 조화롭게 풀어내고, 전통문화를 재해석하는 방식을 채택하였다. 이를 통해 아모레퍼시픽은 전통문화의 가치와 현대적 감각을 소비자에게 전달하면서, 자사 상품과의 연결을 통해 브랜드의 고유한 이미지를 강화했다. 《고미술 기획전》은 한국 고미술이 가지고 있는 역사적 의미를 재고하고, 아모레퍼시픽의 브랜드이미지와 전통과 역사에 대한 존중을 연결해 소비자들에게 기업이 문화유산을 보존하고 발전시키는 데 기여하는 긍정적인 이미지를 전달했다. 특히 젊은 세대도 흥미롭게 관람할 수 있도록 전시 구성의 변화를 주어 젊은 소비자들에게는 문화적 자긍심을 고취하는 데 일조했다. 오설록티뮤지엄의 ‘차 문화 활동’은 차 문화를 현대 사회에 재해석하고 적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지속 가능한 경영 이미지를 강화했다. 또한, 제주도의 주요 관광 명소로서, 차문화 활동을 통해 관광객들에게 독특한 경험을 제공하여 만족도를 높이고, 브랜드의 인지도를 높이는 데 이바지했다. 아모레퍼시픽의 전통문화예술 활동은 전통문화의 계승 및 발전에 기여했으며, 동시에 기업 이미지와 브랜드가치를 향상하는 데도 효과적이었다. 이러한 접근은 기업들이 사회적 책임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방법에 관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할 뿐만이 아니라, 문화 예술 지원을 통해 지역사회와의 관계를 강화하고, 궁극적으로는 사회적, 경제적 가치를 모두 향상하는 방식일 것이다.

      • ‘영산강국제설치미술제 2023’ 전시 기획 연구

        문예슬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논문은 <영산강국제설치미술제 2023> 의 전시 기획 연구로서 장소성을 반영한 미술 전시가 지역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여 시각예술을 매개로 지역의 문화예술 활성화를 위한 전시 기획 방법에 대한 연구이다. 일반적으로 장소라고 하면 지리적인 영역의 특성에 기반을 둔 개념이다. 하지만 장소성을 반영한 전시 기획에 있어서의 장소는 지리적 특성보다는 그 장소의 고유한 역사성을 살펴보고 작품과 연결 지어 추상적인 스토리텔링이 가능해지는 공간을 말한다. 이러한 특징을 바탕으로 본 연구자는 장소성의 여러 가지 이론들을 검토함으로써 장소를 이해하는 접근간의 다양성을 확인하여 지역과 공동체 를 기반으로 장소성을 강조한 전시 기획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2023년 10월 20일부터 11월 30일까지 전남 나주시 공공장소 10곳에서 개최된 전시 <영산강국제설치미술제 2023>의 큐레이터로 참여하여 전시 기획과 관련된 모든 진행을 수행하였다. <영산강국제설치미술제 2023>의 주제는 ‘흐름, 열 개의 탄성’이다. 이 주제의 의미처럼, 장소마다 놓인 작품을 바라보는 관객은 ‘탄성’을 울리듯 장소의 특성을 느낄 수 있으며 전시 공간별 흐름에 따라 장소의 의미를 함축하여 기획하였다. 그리고 <영산강국제설치미술제 2023>의 향후 발전 가능성을 제시하기 위하여 현대 미술의 전시 기획과 관련된 선행 연구들을 검토하였고 특히 장소성을 반영한 성공적인 국제 전시 사례들을 비교하여 성공 요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하나의 도시에 이루어진 성공적인 국제설치미술제는, 단지 조각적인 형식을 보여주거나 랜드 마크적 요소만이 아닌, ‘장소적 가치를 예술을 통해 부각’시키는 행위와 더불어 관객에게 예술적 공감대가 형성될 수 있도록 기획되는 것을 확인하게 되었다. 또한 역사적 의미가 깃든 전시 장소에 걸 맞는 설치 작품으로 스토리텔링하고, 시민들이 공감할 수 있는 다양한 매체의 작품 설치를 통해 도시의 문화 정체성도 새롭게 생성되고 확장하는 것을 보여주었다. <영산강국제설치미술제 2023>은 아직 1회를 치른 전시로서 전략적 모색을 통해 대안점을 찾고 지역 내에서 문화적으로 긍정적 역할을 지속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어린이의 주체적 예술 문화 형성을 위한 프로그램 연구 - 어린이 예술마켓을 중심으로 -

        김태선 전남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9727

        최근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새로운 이념과 탈근대적 관점의 문화예술교육이 주목되고 있다. 문화와 예술은 어린이의 미래를 위한 대안적 주요 교육 수단으로 주목받으며, 문화예술교육 부문의 급격한 확산이 이루어져 오고 있다. 문화예술교육의 궁극적 취지는 예술적 표현기법의 배움을 떠나 자아를 표현하고 사회를 이해하는 보다 넓고 다양한 앎의 방식을 추구할 수 있는 교육을 지향한다. 한편 창의성 발달을 위한 교육과 문화예술교육 모두 어린이들의 주체적, 자발적 학습 동기 부여와 실천을 강조하고 있다. 많은 어린이들도 프로그램에 보다 주체적으로 참여하여 문화 콘텐츠를 직접 생산하고, 또래와 자유롭게 소통하고 공유할 수 있는 공동체의 장을 원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특정 장르의 기술 또는 이론 중심으로 진행되는 주입식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들은 전통적 교육방식과 크게 다르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또한 어린이들이 주체적으로 만들어가는 프로그램이 아닌 학습이 강조되어 정해진 규정이 있는 교육이 여전히 시행되고 있다. 기존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살펴보면 수동적인 수혜자의 간접 경험에서 벗어나 주체적으로 문화와 예술을 생산하고 향유, 응용하는 계기를 적극 창출하는 사례는 극히 드물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어린이들의 주체적인 예술 문화 형성을 가능하게 하는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예술마켓(Art Market)에 주목한다. 예술마켓은 인간의 기본적 요구와 욕구가 녹아있는 행태로 다차원적인 경험과 체험을 가능하게 하며 어린이들의 새로운 창의적 발현의 공간으로서 가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어린이의 삶에 긍정적 영감을 미칠 수 있으며, 문화와 예술이 일상적인 공간으로 확산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통해 어린이들의 주체성을 이끌어내는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새로운 접근방식으로 기능할 수 있다. 아울러 과거의 벼룩시장(Flea Market)과는 달리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는 창의적 공간으로서 문화 경험을 원하는 어린이들의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참여를 통해 어린이들의 새로운 문화 커뮤니티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예술마켓의 특징을 알고 교육적 가치 분석을 통해 어린이의 주체적 문화형성이 가능한 어린이 예술마켓(children's Art Market)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교육적 효과 창출을 위한 분석항목을 도출하고, 대표적인 국내의 어린이 대상 마켓을 선정해 조사 · 분석하였으며, 각 마켓의 기획자 ‧ 담당자의 견해를 인터뷰하였다. 예술마켓은 단순히 물건의 거래를 떠나 여러 가지 교육적 요소가 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어린이들이 주체적으로 예술에 접근할 수 있는 통로가 될 수 있는 좋은 교육적 매체이다. 또한 누구든지 참여와 교류가 가능한 문화예술 공간이며 어린이들이 수동적인 수혜자로서만 참여할 수 있었던 기존의 문화예술프로그램을 보완하여 어린이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한다. 어린이 예술마켓에는 일상을 기반으로 하는 시장의 원리가 있으며, 문제를 발견하고 스스로 해답을 찾아가며 전인적 교육과정의 체험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현재 직면한 상황에 있는 생각을 정리하고 실제 상황에서 능동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창의력 개발을 통해 행동을 강화한다. 어린이 예술마켓은 어린이들이 주체적으로 예술과 문화를 구축하고 경험할 수 있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교육 프로그램으로 어린이들의 자발적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다. 이에 ‘어린이’라는 주체적 개인에 대한 관심을 재조명하고 현대사회에서 요구되는 창의적이고 능동적인 인재를 양성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기대하며 본 연구를 제안한다. 어린이 예술마켓은 지성 중심 교육이 지배적인 현재에 어린이의 잠재력의 총체를 양성할 수 있는 넓은 의미의 문화 예술을 발현해 낼 수 있을 것이다.

      • 21세기 현대사회에서 커뮤니티 아트의 사회적 역할 연구

        박여진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711

        오늘날 자본주의 시장경제체제는 시장논리의 잣대로 가치를 재단하는 물신성의 팽배를 조장하고, 무한 경쟁의 사회구조로 사회구성원들의 삶의 가치까지도 자본화시키고 있다. 사회는 이제 개인은 물론 지구적 관점에서 해결해야할 문제들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현대사회의 풍조는 미학적 가치 또한 자본의 논리에 맞춰 형성하고 상품화한다. 자본의 시스템에서 특권화 된 예술은 ‘삶’과 ‘예술’을 더욱 분리시키고 있다. 그러나 자본화 되어가는 예술에 반하여 보다 예술의 본질적 역할에 집중하고, 그 역할을 실천함을 통해 현대사회가 갖는 동시대의 문제를 공감하고 해결하려는 예술적 움직임 또한 강하게 일어나고 있다. 또한 사회는 현 시대가 갖는 문제들을 해결하는데 있어서 갈등을 최소화 하고, 보다 유연하게 해결할 수 있는 측면에서 예술의 활용을 적극적으로 모색하고 있다. 커뮤니티 아트는 보다 생활에 밀착하여 사회구성원의 예술실천을 통해 예술과 비예술의 경계, 예술가와 비예술가의 경계를 넘나들며 예술과 삶의 통합을 지향하고, 보다 나은 삶을 추구하며 타자를 인정하고 수용하는 공동체적 삶을 지향하는 속에서 개인과 사회가 가져야할 가치들을 환기시키고 회복하려 한다. 커뮤니티 아트가 갖는 이와 같은 지향점은 현사회의 시대적 요구와 맞물려 현재 국내에서는 정책에 일환으로 커뮤니티 아트를 활성화 시켜 가고 있는 시점이기도 하다. 본 논문은 이러한 시점에서 커뮤니티 아트에 대한 학문적 연구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21세기 현대사회에서의 커뮤니티 아트에 사회적인 역할을 고찰한 연구이다. 본인은 커뮤니티 아트의 학문적인 고찰을 위해 커뮤니티 아트의 개념을 정의하고, 20세기 후반 사회 참여적 미술 및 공공미술에서 커뮤니티 아트로 전개되는 미술사적 배경을 연구하였다. 이 과정은 커뮤니티 아트 역시 늘 새로운 이념의 생산과 선언을 통해 기존의 가치를 전복하고, 새로운 시대를 개척하며 미학적 진보를 이루어 왔던 미술사의 한 흐름으로 해석하기 위함이며, 그 흐름 안에서 커뮤니티 아트를 보다 명확하게 바라보기 위함이다. 또한 국내?외 커뮤니티 아트의 사례조사를 통해 커뮤니티 아트의 근본적이고 미학적인 본질을 탐구하고, 그것이 현대사회에서 어떠한 의미로 작용하는지를 고찰하였다. 본 논의와 연구는 최근 몇 년새 질적 추구에 단계로 나아가기 위해 그 움직임을 활발히 하고 있는 커뮤니티 아트의 미학적 지평을 넓이고자 하는 것에 의의가 있으며, 나아가 21세기 현대사회가 상실한 것들에 대해 치유하고 회복하기 위한 방법가운데 예술이 가지는 사회적 역할을 고찰한다는 점에 그 의의를 갖고자 한다. Nowadays the capitalist market economy system fosters the flood tide of fetishism that judges values with the yardstick of market logic, and capitalizes even the value of society member’s life into the social structure of limitless competitions. So, the society is facing issues that have to be solved from the global prospective in addition to that of individuals. Such trend of modern times is formed and commercialized by esthetic, capitalist values. Privileged arts under the capitalist system are dividing ‘life’ and ‘arts’ further. However, an artistic movement is also being made strongly so as to concentrate in art’s essential roles more than capitalized arts, sympathize with contemporary problems kept in the modern times by practicing its roles, and thus resolve them. In addition, the society is grouping utilizations of arts positively from respects of minimizing conflicts in order to solve problems of current times, and letting them settled more flexibly. The community art adheres to living more, orients life integration between arts and life while frequently crossing the boundary of artists and non-artists, and tries to awaken and recover values that have to be kept to individuals and society from the community-oriented life in which better life is pursued, others are recognized and accepted. Such aiming directions of the community art are being activated as a part of policies in Korea on the other hand by being engaged with demands of the times at current society. This study recognized the necessity of academic research on the community art in this point, and became to look into social roles of the community art in 21st century modern society. Researcher defined the concept of community art in order to do academic consideration on it, and inquired into art historical background that was processed to community arts from social participatory art and public art in late 20th century. This process is to interpret the community art as one flow of art history that has overturned existing values through production and proclamation of new ideas, and made esthetic advances while cultivating new era, and also to look at the community art clearly in the stream. Besides, the study invested peculiarity of the community art through a case study, and inquired into how its peculiarity was worked meaningfully in modern society. This study and discussions have its meaning in widening esthetic horizons of the community art that is active for progressing toward qualitative pursues during recent several years, and further investigating social roles of arts among healing and recovering methods on lost things in 21st century modern society.

      • 미술시장 발전을 위한 전문인력 영역의 확장과 전문성 강화방안 연구

        김태훈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711

        This research is dedicated to analyzing the current educational curriculum of the human resources in the field of art markets, and to investigating ways of promoting and nurturing these resources which form the backbone of our cultural industry today and tomorrow. This study analyses that 1) A rapid expansion of the recent art markets without fundamental infrastructure to match their development. 2) Both public and private support for the arts attach too much importance on the creative aspects of the agents despite the needs to nurture professionalism in that field have become more crucial than ever. Because acquiring professionalism in developing human resources based on cultural sensitivity and creativity is highly important in improving national competitiveness. This dissertation refers to precedent researches on analyzing occupational groups directly in connection to the visual arts, and takes fundamental approach to the concept behind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in the culture and arts sphere. Solidifying professional consists of a primary step of institutional education prior to practice in the actual work field and a secondary step which one develops and strengthens his or her talents on site. Assuming that the goal of the primary step is the preparation of a functional as well as social professionalist, the current graduate school curriculum for arts administration and planning focuses on developing efficiency and professionalism on the work field; however, the reality is that it lacks actual practicality. Despite various courses offered, the actual training applicable on the work field is absent. Thus, an active governmental support for nurturing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is extremely important in order to induce efficient production from the secondary step. This study suggests: 1) to provide government funded project, such as「Developing Professional Development Supporting Program」, long-term support for continual development and solidification of on-site experience and education, preparing for a systematic and practical model of nurturing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2) to build human resource policies upon a close-study of systematic and accurate statistics, 3) to provide long-term training for models for the balanced labor market, 4) to consider partnerships among educational institutions considering local human resource policies lack elementary material for administrating and executing human resources, 5) to enhance governmental support to improve the current state and expand it to a larger cultural industry, 6) to discern and adopt applicable foreign examples, as they possess a longer history and systematic course of development. Now is a critical moment for the role of professional man power to accommodate the rapid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art markets, and their aggressive and strategic desire for development is decidedly in need. This dissertation has referred to previous researches on the concept of professionals in the cultural and artistic spheres, local and international statistical materials, diverse academic seminars and publications in order to analyze the various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their structures and curriculum in relation to supporting and nurturing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Through this study a structured discussion concerning practical proposals for reformation and improvement in the current art markets and its professional man power will take place. 본 연구는 문화산업의 대표적 섹터로써의 미술시장을 구성하는 인적자원에 대한 교육경로 및 체계를 분석하고 미술시장의 전문화와 발전을 위한 필수동력으로서의 전문가 육성 방안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최근 문화예술과 산업 영역의 접점으로써, 미술시장의 양적 팽창을 경험하고 있으나, 미술시장을 위한 기본적인 인프라가 갖추어 지지 않은 상태에서 진행 된 시장의 확대에 따른 성장의 한계가 예측되고 있는 상황이다. 국가·공공의 문화예술분야 지원 역시 창작영역에 편중되어 창작과 소비 영역의 매개인력에 대한 육성 정책이 미흡한 실정이다. 한편, 문화적 감수성과 창의력을 근간으로 하는 문화의 세기, 문화예술분야 종사 인력의 전문성에 대한 요구는 국가 경쟁력 확보에 있어 그 어느 때 보다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전문직에 대한 원론적 접근을 통한 문화예술분야의 전문인력에 대한 개념과 최근의 미술시장과 직간접으로 연관되어 있는 시각예술분야의 관련 직군들에 관한 선행연구물을 참조하였다. 전문가 육성은 크게 현장에 진출하기 전 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는 1차적 단계와 현장에서 직업인으로서의 역량을 계발하고 강화하는 2차적 단계가 있을 것이다. 1차적 단계는 현장에서 직업인으로서 역할 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단계로써 기능해야 한다는 논리 하에, 현재 국내 예술기획·경영 대학원의 교과과정은 대부분 문화예술 관련 분야의 종사자를 위한 재교육을 목적으로 하며 현장에서의 효율성·전문화를 위한 전문인력 양성에 중점을 두고 있으나 실질적인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다양한 교과과목이 개설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실제적인 교육과정이 제공되고 있지 않다. 미술시장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전문가 육성 차원으로써의 2차적 단계는 국가적, 정책적 차원의 지원이 필요한 영역이다. 국가지원사업의 예로,「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 사업」은 현장교육 강화를 위한 단기·단편적인 지원이 아닌 중장기 지원체계를 통해 지속적인 발전의 방안을 모색하고 있어 향후 문화예술 분야의 전문인력 지원의 체계적 기반 구축을 기대해 보게 한다. 체계적이고 정확한 통계자료를 기반으로 하는 국외의 인력정책은 전문인력의 장기적인 역량개발 모델과 비전, 노동시장의 인력 수급에 균형을 유지하는데 효율적으로 대응하고 교육기관과의 파트너십이 중요하게 여긴다. 반면, 아직 국내의 경우는 기초자료의 부재 등 인력정책의 수립 및 실행에 있어 한계를 가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술시장의 순기능 확보와 더 나아가 문화산업시장이라는 보다 큰 지형으로 편입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지원역할이 중요한 시점이며 또한 우리의 미술시장과 달리 긴 역사와 체계적 발전과정을 거쳐 온 선진 사례는 선별적 차용이 필요하다. 급변하는 국제 미술시장 환경에 대해 보다 적극적이고 전략적인 발전의 의지가 요구 되는 국내 미술시장인 만큼, 전문인력의 역할이 절실히 요구되는 시점이기도 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전문직에 대한 개념과 문화예술분야의 선행 연구물, 국내·외 통계조사자료, 각종 학술세미나와 기사 등의 내용을 통해 전문인력 양성과 관련 국내 및 국외 교육기관 교육과정과 형태, 사례 등을 분석하고 문화예술 전문인력 사업의 내용들을 참고하였다. 이런 연구를 통해 미술시장의 전문인력에 대한 현실적인 대안과 개선방안, 발전 방안을 연구해 보고자 한다.

      • 과학-예술 융·복합 전시 활성화에 관한 연구 : 어린이 전시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임혜진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711

        본 논문은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과학과 예술분야의 융·복합 전시 활성화를 위한 전시기획에 관한 연구이다. 21세기 국내외에서 과학과 예술을 정책적으로 활성화 하려는 노력과 관심이 증폭하는 가운데 정부는 2009년 융합인재개발교육(STEAM)을 통해 어린이를 위한 융·복합 교육을 지향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 성인을 위한 융·복합 전시·교육프로그램보다 그 수가 적다. 그리고 전체 학습시간에서 체험학습과 실험 교육 시간의 비중은 매우 작다. 이러한 상황에서 어린이를 위한 융·복합 전시프로그램을 실제 사례를 통해 활성화할 수 있도록 활성화 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20세기에는 인터랙티브아트, 퍼블릭아트 ,비디오, 레이저, 홀로그래피와 같은 과학기술을 이용한 전시형태가 주된 것이었다. 그런데 21세기에 들어와 인공지능과 로봇 등을 활용한 전시가 늘어나고, 다양한 분야를 융합하여 스스로 만들고 창작하는 메이커시대가 되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과 더불어 창의적 인재개발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국내 어린이 박물관 및 과학관 전시는 기획전과 단기 교육 프로그램을 만들어 어린이들에게 과학과 예술에 대한 융·복합적 내용을 전달하고 있고, 특징없는 스토리위주의 비슷한 전시구성 형태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익스플로라토리움(Exploratorium)과 스위스의 테크노라마(Technorama) 등 해외사례에서는 예술과 과학의 융·복합 상설전시와 예술가와 과학자가 주도하는 장기 교육프로그램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었다. 융·복합 전시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전시 설계·제작·운영의 일체화, 연구인력의 확장, 부서 간, 민·관 협업 등 제도적인 뒷받침이 필요하다. 예술과 과학이 성공적으로 융·복합하기 위해서는 테마파크적 전시연출에서 벗어나야 한다. 그리고 어린이가 주체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전시환경을 조성한다. 또한 자연현상과 과학원리를 미술, 연극, 무용, 문학, 음악, 디자인 등 다양한 예술분야와 융·복합한 실험적인 전시시도가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어린이이게 예술가와 과학자가 전시 설계 및 제작자가 되어 실험적 전시환경을 조성해 줄 수 있는 전시 활성화 방안에 대해 제안하고자 하였다. This paper is for research on plan to activate converged science and art fields’ exhibition for children. In the 21st century, when efforts and concerns about activating science and art increase in worldwide, government orients converged education for children via 2009 converged education for human development(STEAM). However, the number of those programs for children is less than for adults, and proportion of field study and experimental education among total time of education is very small. In this situation, this paper focuses on ways for activating converged exhibition programs for children via actual cases. In the 20th century, the form of exhibition using science, technology such as interactive art, public art, video, laser, holography was major. However, in the 21st century, exhibitions using AI and robots increased and times have changed to maker age that people converge various fields and make and create products. With the flow of the age, interest in creative human development has increased. Domestic museums and science museums for kids transfer converged contents of science and art via exhibition and short-term education program, and showed story driven similar forms of exhibition that have no characteristics. However, like the Exploratorium and Technorama of Swiss, foreign countries run permanent exhibition of converged art and science, and artists and scientists-driven long-term education programs actively. To activate converged exhibition, institutional supports such as integrated design, making, operation of the exhibition, increment of researchers, interdepartmental, public-private cooperation are needed. To merge art and science successfully, people should escape from theme park-like exhibition, and compose the exhibition environment that children can independently experience. Also, attempts for converged experimental exhibition that merges scientific principles and natural phenomena with various fields such as art, play, dance, literature, music, and design. In conclusion, this paper suggests ways to activate exhibitions that can compose experimental exhibition environment for children by being artists, scientists, and designers and producers of the exhibition.

      • 다원예술 현황 및 활성화 방안 연구 : 서울프린지네트워크 중심으로

        안정희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711

        This study reviews the concept of interdisciplinary art emerging as the governmental business for the purpose of supporting Korea cultures and arts in 2006. Also, both the characteristics and current situation of interdisciplinary art will be addressed, based on artistic and social backgrounds through analyzing interdisciplinary art in the field of Korean culture and art. In addition, given that the concept of interdisciplinary art includes various flows of contemporary arts, this study will suggest strategies for the activation of interdisciplinary art in order to help establish it more efficiently in Korea culture and art. In all areas of contemporary Korean culture and art, there has been a noticeable to change in formal arts, such as cross-over, experimental, and future-forward style, and also changes of internal values for the population of non-mainstreamers, minorities, and people in indie or sub-groups since the last decade. Although there have been continuous trials for the establishment of new styles and modes since post modernism, it has been hard to actualize the acceptance of an overall phenomenon surrounding these contemporary arts. The trails to overcome the above mentioned limitations have fortunately begun to be actualized more intensely by the government and leading businesses in South Korea. These businesses have created new titles to reflect the continuously changing art environment since it began as the experimental art support business in 1997. In 2002, the Korean Culture and Art Foundation, which is now called the Arts Council Korea, changed the name of its business supporting the policy for a new artistic phenomenon to 'the pluralistic art support business'. With the appearance of the concept of interdisciplinary art, the business of the government has faced a new situation regarding arts since 2006.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the government- leading art policies and businesses, the Arts Council Korea shows active movements by directly accepting new art phenomenons, executing specific and realistic programs reflecting the phenomenon, and establishing 'Dao space' to facilitate the activation of an interdisciplinary art division. In this respect, this study analyzed the phenomenon of Korean interdisciplinary art, focusing on the alteration of the government-leading businesses. This study selected Seoul Fringe Network as the interdisciplinary art-related private organization and compared it with the government-leading business through intensively analyzing the network. In terms of a method, this study focused on interviews with professionals and influential people in the field of arts rather than depending only on existing data, given that there was lack of data regarding interdisciplinary art in South Korea. Furthermore, this study included various opinions as well as objective data through the above mentioned method. Based on the limitations and considerations revealed through the analysis of Korean interdisciplinary art,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strategies for the activation of interdisciplinary art.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theoretical foundation of interdisciplinary art. In addition, the development of Korean interdisciplinary art may be maximized when the government's support and private support collaborate. In other words, the active investment of the government on the aspect of hardware is required, which means building and expanding a physical foundation. Thus, it is required that specialized private organizations increase their abilities to activate the interdisciplinary art-related programs through various aspects of software. To do the expansion of interdisciplinary art areas through development of various programs, facilitating the development of new styles in interdisciplinary art, and having financial independence should also be considered. With the transition of decades, there have been continuous interactions between the social environment and its social, cultural, and philosophical factors. From these interactions, a new artistic concept which is called interdisciplinary art has appeared. However, this concept has yet to be well established in South Korea. Therefore, there should be further studies regarding interdisciplinary art. 본 연구는 한국문화예술위원회에 의해 2006년도부터 문예진흥기금 정기공모 지원 정책 사업으로 등장한 다원예술의 개념 고찰과 함께 한국 문화예술계에서의 다원예술의 현황을 분석하고 예술적·사회적 배경을 바탕으로 그 특성과 현상을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동시대 예술 조류의 다양한 양상을 적극적으로 포용하고 있는 개념인 만큼 우리 문화예술 지형도에서 보다 효율적인 정립을 도모하기 위해 활성화 방안 제안을 한다. 지난 세기 후반 이후 동시대 한국의 문화예술계 전반에서는 장르 교차적 현상과 실험적 예술 그리고 새로운 스타일의 미래지향적 성향이 두드러진 예술의 형식적 변화와 함께 비주류, 소수자 및 인디·언더 분야의 대상을 고려한 내적(內的)가치의 변화 양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포스트모더니즘 이후 새로운 스타일과 양식의 정립이 꾸준히 모색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컨템포러리 아트의 전반적 현상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시도는 현실화 되지 못하는 단계에서 머물렀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시도는 한국의 경우 다행스럽게도 정부기관을 중심으로 보다 집약적으로 현실화되어 갔다. 1997년‘실험예술 지원사업’으로 등장하여 변화하는 새로운 예술 환경을 능동적으로 반영하기 위해 매해 새로운 사업 명칭으로 재탄생 했다. 새로운 세기를 맞이한 이후 2002년에 접어들면서 구 문예진흥원의 새로운 예술 현상을 위한 지원 정책 사업의 명칭은‘다원적 예술 지원 사업’으로 변경되고 한동안의 시행착오를 끝으로‘다원예술’이라는 개념 등장과 함께 2006년 이후 예술 현장에 대한 정부의 대응은 새로운 국면에 접어든다. 그리고 정부 기관이 주도하는 예술 정책 및 사업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한국문화예술위원회는 예술 현장을 직접적으로 수용하고 이를 반영하여 지원사업의 실질적인 프로그램 실행과 다원예술계의 활성화를 촉진하기 위해 매개 공간을 설립하는 등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한국에서의 다원예술의 역사와 그 특성을 고려하여 정부 지원 사업의 변모를 중심으로 국내 다원예술의 현황을 분석한다. 본론에서 다루어질 다원예술 관련 전문 민간단체로 서울프린지네트워크를 선정하고 집중적으로 분석 연구하여 정부 현황의 비교 대상으로서 함께 제시한다. 앞의 내용을 바탕으로 국내 다원예술의 현황 분석에서 드러난 한계 및 시사점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활성화 방안을 제안한다. 우선 완충적, 대안적 개념인 다원예술의 이론적 기반 구축이 절실하다. 그리고 한국의 다원예술의 발전은 정부차원과 민간차원이 상호 유기적 화합을 이루어 갈 때 그 시너지 효과가 극대화 될 것이다. 다시 말해 정부의 하드웨어 측면의 적극적 투자가 요구된다. 이는 물리적 기반 구축 및 확장을 의미한다. 또한 다원예술 관련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진행해 오고 있는 전문 민간단체의 소프트웨어 측면의 활성화와 실천력 증대가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는 프로그램의 다각화를 통한 다원예술의 저변확대, 다원예술의 새로운 창작 형식 개발 유도 그리고 재정 자립도의 재고가 우선적으로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연구 진행의 방법에 있어서 기존 자료에 대한 의존 보다는 현장을 중심으로 문화예술계 전문가 또는 인사들과의 직접 인터뷰에 비중을 두었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객관적 자료뿐만 아니라 다양한 의견을 포괄적으로 수렴하였다. 이는 다원예술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안고 접근하는 본 연구의 특성과 불모지나 다름이 없는 다원예술 분야의 이론 및 담론의 실태를 고려하였기 때문이다. 세기의 전환을 경험하면서 급 변화된 사회 전반의 환경과 함께 이를 구성하는 사회적·문화적·철학적 요소들이 상호 긴밀한 영향을 주고받고 있다. 그 가운데 형성된 새로운 예술 개념, 다원예술. 다분히 척박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개념의 정립 부재로 인해 예술사에서의 기나긴 공백이 이어지고 있는 이 시점에서 이에 대한 연구 진행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