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약사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실천정도 및 관련요인

        이은주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50767

        본 연구는 개국 약사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실천정도와 관련요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서울 서초구, 서대문구, 영등포구에서 약국을 개설하였거나 개설약국에 근무하는 약사 중 임의로 표본 추출한 173명을 대상으로 2002년4월 9일부터 4월 18일까지 10일간 자기 기입식 설문조사 방법으로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SA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시술적통계, t-검정, 분산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들의 전체 건강증진 생활양식 실천정도의 평균은 2.53(± 0.37)이었고, 하위 영역별로는 영역별로는 영적 성장 영역이 2.83(± 0.48)으로 가장 높았으며, 건강책임 영역이 2.10(± 0.56)으로 가장 낮았다. 2. 일반적 특성과 경험별 건강증진 생활양식 실천정도와의 관계에서는 1일 근무시간과 지각된 건강상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전의 건강관련행위는 건강증진 생활양식의 모든 영역에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0.76, p<0.01)를 보였다. 3. 인지 및 감정요인, 행동계획 수립과 건강증진 생활양식 실천정도와의 관계에서는 자기효능감(r=0.48, p<0.01), 행위관련 감정(r=0.52, p<0.01),사회적 지지(r=0.42, p<0.01), 행동계획수립(r=0.54, p<0.01)이 건강증진 생활양식 실천정도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지각된 장애성(r=-0.33, p<0.01)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4. 대상자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실천정도에 관련된 주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연령, 성별, 결혼상태, 1일 근무시간, 1일 수면시간, 지각된 건강상태, 이전의 건강관련행위와 인지 및 감정요인을 포함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고, 이전의 건강관련해위가 회귀계수 0.48(p<0.01)로 가장 영향력 있는 요인이었으며 이전의 건강관련행위가 증가할 수록 건강증진 생활양식 실천정도는 증가하였다. 다음은 자기효능감으로 회귀계수는 0.13(p<0.01)이었으며 자기효능감이 증가할 수록 건강증진 생활양식 실천정도는 증가하였다. 전체 변수의 걸명력은 72.3%였다. 결론적으로 대상자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실천정도는 이전의 건강관련행위, 자기효능감과 관련이 있으므로 건강증진 생활양식 실천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건강관련행위를 하였을 때의 성취감을 통하여 자기효능감을 향상시켜야 할 것 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influencing factors of health-promoting lifestyle implementation among pharmacists working at community pharmacy setting in Korea.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conducted upon community pharmacists from 3 local areas - Seocho-Gu, Seodaemun-Gu, and Youngdeungpo-gu - in Seoul, from April 9 to April 18.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136 questions, which were categorized into 10 scales: general characteristics (12 questions), implementation of health-promoting lifestyles (46), prior related behavior (7), perceived benefit of health-promoting life styles (8), perceived barrier (10); self-efficacy (7); activity-related affect (11), social support (18), situational influence (5), and commitment to plan action (12).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 average score for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implementation scale was 2.53 on a 4-point scale, with the highest score for the subscale of spiritual growth (average score = 2.83) while the lowest score for health responsibility (2.10).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health-promoting lifestyle implementation according to daily working hours (p<0.05) and perceived health status (p<0.05). The Degree of health- promoting lifestyle implementat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prior related behavior(r=0.76, p<0.01), self-efficacy(r=0.48, p<0.01), activity-related affect(r=0.52, p<0.01), social support(r=0.42, p<0.01) and commitment to a plan action(r=0.54, p<0.01) while negatively related to perceived barrier(r=-0.33, p<0.01).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most influential and significant factor to affect the degree of health-promoting lifestyle implementation was prior related behavior(r=0.48, p<0.01), followed by self-efficacy(r=0.13, p<0.01). In conclusion, prior related behavior and self-efficacy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implementation of community pharmacists in Korea. Further research will be needed to see whether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replicated with different samples and whet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generalized to the entire group of community pharmacists.

      • 해외거주선교사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실천 관련 요인

        이미재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50767

        본 연구는 해외거주선교사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실천정도와 관련 요인을 구명하고, 건강증진을 위한 생활양식의 실천을 중재하며, 향후 선교사를 위한 건강증진프로그램의 기획에 활용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은 일 선교단체 소속의 선교사이며, e-mail을 통해 320명으로부터 수집한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SAS Window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량과 t-test, 분산분석(ANOVA), 상관관계분석(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하였으며,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증진 생활양식 실천정도는 평균 2.93점(최고 4점)이며, 연령이 높을수록, 미혼보다는 기혼의 경우,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평균수면시간이 길수록, 정확한 출퇴근 근무형태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건강증진 생활양식의 11개 하부 영역 중에서 실천정도가 높은 것은 위생적 생활, 조화로운 관계, 자아실현 순이었으며, 낮은 것은 전문적인 건강관리, 운동 및 활동, 자아조절 순이었다. 2. 인지-지각요인은 지각된 유익성이 3.53점(최고 4점), 지각된 장애성이 1.72점(최고 4점), 자기 효능감이 3.89점(최고 5점), 사회적 지지 2.96점(최고 4점), 지각된 건강상태는 2.88점(최고 4점)이었다. 3. 건강증진 생활양식 실천정도와 지각된 유익성, 장애성, 자기 효능감, 사회적 지지, 지각된 건강상태, 연령, 평균수면시간, 거주기간과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며, 특별히 건강증진 생활양식 실천정도와 사회적 지지는 통계적으로 가장 높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0.5632, p<.0001)가 있었다. 4. 건강증진 생활양식 실천정도와 관계있는 요인으로는 사회적 지지, 지각된 유익성, 지각된 건강상태, 자기 효능감, 연령과 평균수면시간이며, 이 요인들이 증가 할수록 건강증진 생활양식 실천정도도 증가하는 양의 관계가 있다. 또한 24시간 상근 및 기타의 근무형태가 정확한 출퇴근 근무에 비해, 또 비만(BMI 25이상)의 경우가 표준체중에 비해 건강증진 생활양식 실천정도가 감소하는 음의 관계에 있으며, 가장 관계있는 요인은 사회적 지지(R²=.3221, p<.0001)이며, 모든 변수들의 설명력은 49.73%이다. 따라서 선교사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실천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현지선교사와 긴밀한 네트웍을 형성하여 정기적이고, 지속적인 연락과 격려로 고립감이 없도록 하며, 현지에서는 소그룹을 형성하여 상호 협력 및 교통을 통한 관계성을 향상하여, 자존감을 높이도록 한다. 또한 긍정적인 건강증진 생활양식에 대한 정기적인 정보 제공 및 교육을 실시하며, 특별히 스트레스 대처나 자아조절, 운동, 안전관리 등의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실생활에서의 실천을 유도한다. 전문기관과 전담상담자를 통한 선교사종합관리시스템(Total member care system)을 구축하여, 선교사의 선발부터 은퇴까지 선교사의 건강관리 및 복지 혜택을 제공관리하며, 정확한 출퇴근 근무로 근무형태를 개선하도록 권장하며, 규칙적인 생활을 실천하도록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of overseas missionaries and to help them develop and practice such a lifestyle and also to use it in the health promoting program for missionaries. Missionaries from one mission organization have been targeted for this study. After getting 320 questionnaires answered via e-mail, we have calculated and have come up with a statistical data using the SAS Window program as well as the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targeted person''s general distinctive qualities, the rate for practicing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was 2.93 on average. Statistically, the older people, those who were married, and had high incomes, as well as the people with the average of longer sleeping hours in general showed to have a constant numeric data of working hours with accurate time from the start to the end of each day''s work. Out of the eleven ways of health promoting lifestyle, sanitary life, harmonious relationship and self-achievement were the three that were best practiced in health promoting lifestyle. The least practiced ones were professional health maintenance, exercise and activity and self-control. Second, measured datas as follows : the perceived benefits:3.53, perceived barriers:1.72, perceived self-efficacy:3.89, social support:2.96, perceived health status:2.88. Third, statistically, the amount of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being practiced, the perceived benefits, barriers, self-efficacy, social supports, perceived health status, age, average sleeping time, residing period and human relationships are meaningfully related. The amount of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being practiced and social support are highly related in meaningful ways.(r=0.5632, p<.0001) Fourth, social support, perceived benefits and health status, self-efficacy, age and average sleeping time are related to health promoting lifestyle. As these factors increase or improve, one''s health promoting lifestyle also gets better. Also, health promoting lifestyle worsen in one''s life when one works 24 hours a day each day compared to another working for a set amount of time. The same thing happens when one is over weighed (over BMI 25) compared to another with a standard weight. The most related factor to this is social support(R²=.3221, p<.0001) and the combination of that variable explained 49.73% of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of missionaries, it is important to form a tight network with the missionaries. They should make sure to create no isolation through continuous and regular contact and encouragement. On their mission fields, they should form a small group through which they can help each other and build relationships through fellowship which can improve their self-respect. They should start an education that will provide a regular and continuous information on health promoting lifestyle. It is important to prompt people to practice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by making programs on stress relieving, self-control, exercising and safety management. They should establish a total member care system with the help of professional organizations and counselors and provide a health welfare benefits to the missionaries from the time of their recruitment to retirement. They should also try to improve the working time by setting up an exact time for starting and finishing their work each day. It is important to let them live an orderly life.

      • 공공임대아파트 거주 노인의 만성질환과 장애, 건강증진행위와 우울의 관련성

        정현정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751

        Background and Purpose The living problems of elderly households are interrelated with each other, such as health, welfare, medical care, education, and labor. In particular, the poverty problem of the elderly in the low-income class, where economic problems and health problems are complexly related, leads to a living environment, and the living environment is closely related to an individual's behavior. In this study, For the elderly living in public rental apartments in Gyeonggi-do, demographic and social characteristics, chronic diseases and disabilities,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were identified, and the relationship with depression was verified. Methods Secondary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survey data conducted by the Gyeonggi Welfare Foundation on elderly households living in public rental apartments in Gyeonggi-do. The sample size is 2,362 people. For the analysis method, descriptive statistic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Result As a result, The rate of depressive symptoms among the elderly living in public rental apartments in Gyeonggi-do was 21.8%. Diagnosed chronic diseases were hypertension, diabetes, and heart disease. 40% of the resident elderly had a disability. And Light physical activity was performed for an average of 2.81 days. in other words, The elderly living in public rental apartments had severe depression when they were in poor health.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in Elderly Residents of Public Rental Apartments in Gyeonggi-do are gender, age, number of chronic diseases treated, family history of chronic diseases, discomfort, daily living performance,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Conclusion in this study, The association with depressive symptoms was demonstrated in the elderly with high levels of health-promoting behaviors such as check-ups, nutritional management, and exercise. In the future, the need for social service policies and management to understand the situation of the elderly living in public rental apartments in Gyeonggi-do and integrate health and welfare services is raised. 경기도 공공임대아파트 거주 노인을 대상으로 인구․사회적인 특성과 만성질환과 장애, 건강증진 행위를 파악하고 우울과의 관련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공공임대아파트가 위치한 지역적인 특성이 다르더라도 지역 통합돌봄이 필요한 공공임대아파트 거주 노인의 공통적인 특성과 욕구를 파악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한 경기도 공공임대아파트단지 내 복지관의 보건복지프로그램 실천으로 건강한 노인을 더 건강하게 돌보는 지역사회 통합돌봄서비스의 보건복지 융합 실천 모델 개발 측면에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경기복지재단에서 경기도 소재 공공임대아파트에 거주하는 60세 이상의 노인 6,819가구를 대상으로 삶의 질 향상 요인 등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한 2,362명의 조사자료를 이차분석 하였으며, 기술통계 및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경기도 공공임대아파트 거주 노인의 우울 증상율은 21.8%, 진단받은 만성질환은 고혈압, 당뇨병, 심장병이었고, 거주 노인의 40%는 장애가 있었고, 가벼운 신체활동을 평균 2.81일 수행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경기도 공공임대아파트 거주 노인의 우울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 연령, 만성질환 치료개수, 만성질환 가족력, 불편 여부, 일상생활 수행능력, 건강증진행위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경기도 공공임대아파트 거주 노인의 검진, 영양관리, 운동 등 건강증진행위 수준이 높은 노인들이 우울 증상과의 관련성을 입증하였다. 이는 신체 건강 수준뿐만 아니라 건강증진행위 또한 우울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므로, 향후 경기도 공공임대아파트 거주 노인의 상황을 이해하고, 보건과 복지서비스를 통합할 수 있는 사회서비스 정책과 관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 국제신체활동설문도구로 측정한 신체활동도와 건강관련 삶의 질의 관련성

        김소영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719

        본 연구는 제4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형 삶의 질 가중치 모형을 바탕으로 신체활동도와 건강관련 삶의 질의 상호관련성을 세부적으로 분석하여, 신체활동 장려와 건강관련 삶의 질 수준 파악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2007년과 2008년 시행된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19세 이상 10,412명의 피조사자들 중 설문응답이 부실한 723명을 제외한 9,68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은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신체활동도를 포함한 건강행태적 특성을 독립변수로, 건강관련 삶의 질을 종속변수로 하여 빈도분석 및 교차분석을 통해 각 변수간의 건강관련 삶의 질 차이를 비교하였으며,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위계적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이용하여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분석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12.0 for Windows를 이용하였으며 유의수준은 0.05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국제 신체활동설문도구에 의해 분류된 신체활동도는 비활동 그룹 75.3%, 최소한의 활동 그룹 23.5%, 건강증진형 활동 그룹 1.2%이고, 신체활동을 MET으로 환산한 결과 354.68±588.255 MET(min/week)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은 성별, 연령, 결혼상태, 교육수준, 주택소유여부, 가구소득, 직업, 음주, 현재 흡연여부, 신체활동도, 주관적 건강상태, 스트레스 인지, 우울증상 경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신체활동도는 건강관련 삶의 질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으며, 건강관련 삶의 질과 관련된 여러 요인들을 보정한 후 신체활동을 하는 그룹이 그렇지 않은 그룹에 비해 건강관련 삶의 질이 높게 나타났다. 향후 건강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국가 수준의 보건복지정책 수립이나 지역사회 수준의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시행할 때에 이에 영향을 미치는 신체활동도를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한국 성인의 소득수준과 치면세마필요자율 : 2008년, 2014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김미엘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0719

        연구배경: 지속적인 경제성장과 의료보장의 확대로 평균수명이 연장되는 등 국민의 건강 수준이 향상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 구성원들 사이에 건강수준이나 건강증진의 혜택 면에서 상대적인 차이가 나는 사회경제적 계층별 건강 형평성의 문제는 심화되고 있다. 그 중 소득수준은 사회경제적 요인의 주요 지표로 구강건강 영역에서도 소득수준이 구강건강에서의 불평등과 연관되어 있다는 사실은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대부분의 성인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치주질환을 경험하게 되는데 이는 치아상실의 원인이기도 하며, 중요하게 관리해야 할 중대 구강병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 제4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Health Plan 2020)의 구강보건사업에 성인(35-44세)의 치면세마필요자율을 2008년 기준 71.4%에서 2020년 목표인 50.0%로 감소하기 위한 세부사업 지표가 제시되어 있다. 최근 구강보건사업의 지표들을 모니터링하는 연구가 보고되고 있으나 부족한 실정이며, 소득수준과 치면세마필요자율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소득수준과 치면세마필요자율의 관련성을 분석하고, 치면세마필요자율의 추이를 파악하여 지표를 모니터링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4기 2008년과 제6기 2014년의 자료를 이용하여 만 19세 이상 성인 중 치주조직검사를 실시하고 가구소득변수에 결측이 없는 9,122명을 대상으로 소득수준을 네 군(상, 중상, 중하, 하)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소득수준과 치면세마 필요 여부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혼란변수를 Model 1에서는 보정하지 않았고, Model 2에서는 연령, 성별, 교육 수준, 거주지, 의료보장 형태, 경제활동 여부, 흡연 여부, 하루 칫솔질 횟수, 구강건강용품 사용여부, 최근 1년간 구강검진여부를 보정하였으며, Model 3에서는 Model 2에 추가로 고혈압과 당뇨를 보정하여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을 시행하였다. 또한, 소득수준에 따른 치면세마필요자율의 추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가중치를 반영한 연도별 치면세마필요자율을 구한 후, 두 개년도의 절대적인 차이를 Period effects로 구하여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연구결과: 한국 성인의 소득수준과 치면세마필요자율의 관련성은 Model 1에서 소득수준이 상인 군에 비해 중상 군에서는 1.28배(95% Confidence Interval, CI: 1.11-1.47), 중하 군의 경우에는 1.37배(95% CI: 1.15-1.63), 하에 속한 경우 1.89배(95% CI: 1.52-2.34) 유의하게 높았다. Model 2에서는 소득수준이 상인 군에 비하여 중상인 군에서 1.18배(95% CI: 1.02-1.37) 유의하게 높았고, 하에 속한 경우 1.30배(95% CI: 1.01-1.67)로 유의하였다. Model 3에서는 소득수준이 상인 군에 비해 중상, 중하, 하에 속한 군 모두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치면세마필요자율의 그래프로 추이를 분석한 결과, 연구대상 연령계층 중 35-44세 성인의 치면세마필요자율은 2008년 평균 74.28%, 2014년 70.76%로 3.52% 감소한 것을 파악할 수 있으며, 소득수준 상위 세 군(상, 중상, 중하)의 치면세마필요자율은 2008년에 비해 2014년에서 줄어든 반면, ‘하’ 군은 7.74%로 늘어난 것을 볼 수 있었다. 결론: 소득수준이 상인 군에 비하여 하에 속한 군에서 치면세마 필요자가 될 위험이 유의하게 높았고, 거주지, 교육수준, 의료보장 형태와 같은 인구사회학적인 요인과 흡연, 하루 칫솔질 횟수, 구강건강용품 사용 여부, 최근 1년간 구강검진 여부와 같은 건강행태 및 상태 요인을 보정한 후에도 치면세마 필요자가 될 위험은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2008년과 2014년의 소득수준별 치면세마필요자율의 추이를 살펴보았을 때, 특히 35-44세의 연령에서 2008년에 비해 2014년 상과 하 두 군의 차이가 크게 늘어나 치주건강 불평등이 심화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한국 성인의 소득수준과 치면세마필요자율의 독립적인 관련성이 있음을 알아보았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향후 소득수준과 치면세마필요자율의 관련요인을 다각적으로 고려한 후속 연구와 치면세마필요자율 외의 다른 구강보건 지표들과 사회경제적 요인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구강건강 형평성의 심층적 연구를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Background of Study : Due to the steady economic growth and the expansion of medical security, the standard of national health has been improved with prolonged the average life span. Nevertheless, the issues of health inequity among the social members according to their socioeconomic status have been intensified. The level of income is one of the key indicators of socioeconomic factors related to the inequality of oral health. Since most of adults experience periodontal disease with age and it can cause problems such as tooth loss, it needs to be managed significantly. Thus, the oral health project in the fourth Korea Health Plan 2020 has their goals to decrease the rate of CPITN from 71.4% (2008) to 50% in 2020. Although a few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recently on monitoring the indexes of oral health projects, the study to examine the relevance of the rate of CPITN to the income level is still rare.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 between the income level and the rate of CPITN, and provide the primary data to monitor the oral health indicators by understanding the progress of CPITN. Subjects and Methods of Study : In this study, 9,122 adults over the age of 19 years who had oral health examination were categorized into 4 groups according to their income levels. (upper, upper-middle, lower-middle, and lower) using the fourth and six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2008 and 2014). To figure out the relation between the income level and CPITN, three different models were built. While model 1 did not have any confinding factors, model 2 had factors such as age, gender, education level, residence, medical insurance, economic activity, the number of brushing in a day, use of oral health products, recent oral examination in a year, self-recognition of oral health status, and smoking. Model 3 included the medical history of subjects like high blood-pressure or diabetes in addition to the factors in model 2. Then they were analyzed through the multiple logistic analysis. Furthermore, the rates of CPITN by year with reflecting the weights were obtained to examine the progress according to the income level. Then the absolut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year (2008 and 2014) was calculated as the period effects and the results were represented with graphs. Result of Study : In model 1,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lation between the income level and CPITN was shown in upper-middle group with 1.28 times higher value (95% Confidence Interval, CI: 1.11-1.47), 1.37 times higher in lower-middle grout (95% CI: 1.15-1.63) and 1.89 times higher in lower group (95% CI: 1.52-2.34) than that of the upper group. In model 2, the upper-middle group and the lower group had 1.18 times (95% CI: 1.02-1.37) and 1.3 times higher (95% CI: 1.01-1.67) values than that of the upper group. In model 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upper-middle, the lower-middle, and the lower group compared to the upper group.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rogress of the rates of CPITN with graphs, the decrease of 3.52% in those of the age group between 35 and 44 was shown from average 74.28% in 2008 to 70.76% in 2014. While the total rate of CPITN of the top three income level groups (the upper, upper-middle and lower-middle) was decreased, the increment of 7.74% was found in the lower group. Conclusion : Compared to the upper group in income levels, the lower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risk for the necessity of oral prophylaxis. After the calibration with the socio-demographic factors such as residence, education level, and medical insurance, the factors of oral health behavior or conditions such as the number of brushing in a day and the use of oral health products, and the disease factors such as high blood pressure and diabetes, the risk for the CPITN was also significantly higher. In addition, when examining the changes of the rates of CPITN according to the income level in 2008 and 2014, the differences between the upper and lower groups was significantly widening, representing the increase in oral health inequality. This study had a significance revealing that there was a independent relation between income level and the rate of CPITN of Korean adults. The further studies including other relevant factors and oral health indexes rather than CPITN need to be considered and in-depth research on oral health equity analyzing its relevance to socioeconomic factors should be conducted with constant efforts

      • COVID-19 유행 전후 만 40세 생애전환기 건강진단 수검자의 우울감 관련 요인

        이정연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719

        배경 및 목적 2007년 4월부터 국민 건강을 증진을 목적으로 전국의 모든 만40세를 대상으로 신체검사뿐만 아니라 생활습관 진단이 포함된 생애 전환기 건강진단을 실시하고 있다. 건강검진을 통해서 본인의 건강상태를 체크하고, 지속적으로 관리를 하는 것을 통해 본인의 건강상태를 유지할 수 있었다. 하지만, 코로나로 사회적 거리두기를 실시하면서부터 외부 활동을 자제함에 따라 건강검진마저 자제하게 되었다. 또한,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인해 발생한 ‘코로나 블루’ 현상이 확산되어 우울감이나 무기력증을 경험하는 사람들이 증가했다. 생애전환기 검진인 만 40세의 코로나 발생 전과 후의 수검자의 건강특성을 비교해 보고, 우울감 관련 요인을 파악하려고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코로나 발생 이전인 2019년 7월부터 12월까지와 코로나 발생 이후 인 2020년 7월부터 12월까지 한국건강관리협회 강남지부에서 진행한 국민 건강검진을 진행한 수검 자료를 후향적으로 분석하는 이차분석 연구로서, 연세의료원 세브란스 병원 연구심의위원회로부터 심의를 받아 진행하였다. 만 40세 건강검진 수검자는 2019년에는 1,005명, 2020년에는 2,074명을 대상으로 코로나 팬더믹 선언 전과 후의 우울감 정도를 비교하고, 우울감 관련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PHQ-9의 평균값과 표준편차 확인을 위해 T-test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만 40세 대상자는 코로나 19 유행 전 2019년 남성은 439명, 여성 566명이었고, 유행 시점 2020년에는 남성 897명, 여성 1,177명이었다. 우울감은 여성에서 코로나 19 유행 전 77.9%, 유행 시점 80.6%였고, 고혈압에서 유행 전 79.4%, 유행 시점 83.6%, 식전혈당 126mg/dL 이상에서 유행 전 78.1%, 유행 시점 91.3%, 중성지방 200mg/dL 이상에서 유행 전 80.0%, 유행 시점 82.7%였다. 수검자의 우울감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을 보정한 다변수 분석에서 우울감 관련요인을 성별, 음주, 흡연, 운동을 보정하여 분석한 결과, 비흡연 대비 현재흡연은 2019년, 2020년 모두 OR(95% CI) 1.76 (1.09-2.85), 1.54 (1.07-2.21)로 높았으며, 고강도 신체활동 주 2-4일도 전후 모두 OR(95% CI) 0.56 (0.40-0.78), 0.70 (0.54-0.91)로 높았다. 음주 월 1-4회 [OR(95% CI) 1.36 (1.01-1.85)]는 2020년에만 유의하게 높았으며, LDL- 콜레스테롤 130 mg/dL 이상 160 mg/dL 미만은 2019년에만 우울감에 대한 오즈비가 유의하게 높았다[OR(95% CI) 1.48 (1.00-2.18)]. PHQ-9의 총점은 코로나 유행 전 12.215, 유행시점 12.446이었으며,‘피곤함, 기력이 저하됨’인 경우 유행 전과 유행 시점 평균값이 2.203, 2.214로 PHQ-9 설문 중에서 가장 높았다. 결론 코로나 19 발생으로 인한 만 40세 생애 전환기 수검자의 우울 정도에는 큰 변화는 없었으며, 우울감은 여성에서 높게 나타났다. 우울감 관련 요인으로는 음주, 체지량지수, 혈중 지질 수치, 음주 빈도, 흡연과 관련성이 있다는 점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자료를 바탕으로 신종 감염병 발생 시 건강증진 서비스 제공을 위한 대책 마련에 기초자료로서 본 연구의 결과가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한국성인 남녀의 '혼밥' 행위와 대사증후군의 관련성 :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 2차년도(2017) 자료분석

        강슬기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703

         "Hon-Bab", a term short for eating alone, is now a popular culture due to the increase of one-person households. A number of research have been published regard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ulture of eating alone and health issues, which includes increased depression prevalence, limited nutrition intake  and increased obesity prevalence. There are already prior studies using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which shows that eating alone is related to metabolic syndrome, but there is a limitation since they are not focused on the recent situation. Also, prior studies are based on basic groups, such as the number of eating alone in a day, marital status, and age group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the connection between eating alone and MetS using the most recently published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HANES), and to perform subgroup analysis by specific groups and to compare them. This study is a cross-sectional study using the seventh year (2017) data of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which represent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4,673 adult males and females aged 19 years or older, excluding outliers and missing values​​. SAS version 9.4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descriptive analysis, Rao-Scott chi-square test and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that reflects the survey characteristics was performed. Then subgroup analyses related to socio-demographic, health behavior and nutrition were conducted to compare to significant association by group. No significant relations occurred between eating alone and MetS for the participants over the age of 19. However, the risk of the prevalence of hypertension was statistically low (AOR 0.65, 95%CI=0.46-0.92) for the women who eat alone twice a day and on the contrary, the risk of low HDL cholesterolemia was significantly higher (AOR 1.33, 95%CI=1.03-1.73, AOR 1.63, 95%CI=1.07-2.49) for the groups who eat lunch alone once a day or  eat alone 3 times a day. The risk of abdominal obesity was significantly high (AOR 1.57, 95%CI=1.04-2.39) for men who eat alone and eating lunch and dinner alone a day showed significant high risk of low HDL cholesterolemia (AOR 1.68, 95%CI=1.02-2.77). Other result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Later, after studying the results of socio-demographic, health behavior and nutrition subgroup analysis conducted to metabolic syndrome associated with eating alone, it was possible to observe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degree of risk for metabolic syndrome and detailed diseases. In conclusion, there was no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eating alone and metabolic syndrome for Korean adults aged 19 and older. But eating alone had a different effect on metabolic syndrome and its components depending on gender and through subgroup analysis, eating alone had different effects on metabolic syndrome components according to various lifestyles. Therefore, the further prospective study to find out the risk of metabolic syndrome caused by eating alone will be needed . 1인가구의 급격한 증가와 함께 혼자서 밥을 먹는 혼밥은 이미 우리사회에 대중화가 된지 오래이다. 혼밥문화는 우울감의 증가, 영양섭취의 제한, 비만유병증가 등 건강에 밀접한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들이 발표되고 있다. 혼밥이 대사증후군에 관련성이 있다는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한 선행연구들이 있으나 최근상황을 반영하지 않고, 일 혼밥횟수, 배우자유무, 연령대의 기초 분야별집단에서의 관련성에만 초점을 두었다는 제한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가장 최근 발표된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하여 혼밥과 대사증후군의 관련성을 알아보고, 특정집단별 하부그룹분석을 시행, 집단별로 비교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한국인의 특성을 대표하는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KNHANES) 제 7기 2차년도(2017)자료를 이용한 단면조사연구이다. 만 19세이상 성인남녀 중 대상자 제외기준에 해당되거나 선정한 변수의 이상치 및 결측치를 제외한 총 4,673명을 대상으로 성별 혼밥행위와 대사증후군 및 세부질환, 대사증후군점수의 관련성에 대해 다변수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후 인구사회학적, 건강행동적, 식생활관련 하부그룹분석을 시행하여 집단별 유의한 관련성 정도를 비교하였다. 남녀 연구대상자 모두 혼밥과 대사증후군간 관련성은 없었다. 그러나 여자에서 하루 2끼혼밥 하는 경우 고혈압 유병교차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반면(AOR 0.65, 95%CI=0.46-0.92), 점심 1끼 혼밥하는 경우, 하루 3끼혼밥하는 경우에 저 HDL콜레스테롤혈증 유병위험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AOR 1.33, 95%CI=1.03-1.73, AOR 1.63, 95%CI=1.07-2.49). 남자에서 점심 1끼혼밥하는 경우 복부비만 유병위험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고(AOR 1.57, 95%CI=1.04-2.39), 점심-저녁 2끼 혼밥하는 경우 저 HDL콜레스테롤혈증 유병위험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AOR 1.68, 95%CI=1.02-2.77). 그 외 다른 결과들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후 인구사회학적, 건강행동적, 식생활관련 하부집단별 혼밥과 대사증후군 및 세부질환별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각 집단별 대사증후군 및 세부질환의 유병위험성 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다름을 관찰 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만 19세이상 한국 성인의 혼밥과 대사증후군의 관련성은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혼밥이 성별에 따라 대사증후군 세부질환에 각기 다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고, 하부그룹 분석을 통해 다양한 생활양식에 따른 혼밥이 대사증후군 및 세부질환에 각기 다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후 식생활습관을 고려한 혼밥행위에 따른 대사증후군 발생 위험에 대한 전향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