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실용음악 보컬 실기교육에 관한 연구

        배연희 동덕여자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34399

        이 논문에서는 실용음악 보컬 분야의 실기 지도 현황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현재 급속하게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는 대학에서의 실용음악계열 학과의 개설에 따라 실용음악 교육도 대중화가 되어가고 있는 상황이다. 대학에 실용음악 학과가 많이 개설됨에 따라 대학 입시를 목표로 하는 입시 학원들도 많이 증가했으며, 실용음악과를 졸업한 학생들이 이런 입시 학원에 취업을 하기 시작하면서 대학에서의 실용음악 교육이 다시 입시생들의 지도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특히 실용음악 보컬 분야에 있어서는 대중음악 시장의 성장과 함께 더 많은 가수 지망생 및 보컬 전공 학생들을 양산하게 되었는데, 대학에서도 다른 실용음악 기악 분야보다 보컬 정원을 더 많이 모집하는 경향이 생기고 있다. 이제 보컬전공 학생들 중에는 막연히 가수가 되고 싶어하는 학생들 이외에 체계적으로 실용음악 보컬에 대해 배우고 졸업한 후 강사가 되어 자신들도 잘 가르칠 수 있기를 바라고 있는 경우도 많이 늘어나고 있어 대학에서의 체계적 교육의 필요성이 많이 늘어난 상황이다. 이에 따라 실용음악 보컬 분야의 양적 증가에 맞춰 실기 지도 교육의 질적인 측면이 균형있게 ?

      • Keith Jarrett의 "Stella by Starlight", "Autumn Leaves" Intro 분석 : Counterpoint와 Reharmonization 기법연구를 중심으로

        이길호 동덕여자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34319

        모든 예술분야가 그러하듯 음악에도 여러 장르와 여러 기법들이 존재한다. 하지만 그것들은 따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에게 영향을 주고받으며 발전되어 간다. 하나의 음악작품 안에서도 여러 가지 기법들이 사용되며 그러한 기법들의 유기적인 연결로 인하여 음악적 완성도가 높은 작품이 탄생된다. 본 논문은 Keith Jarrett이 연주한 “Stella by Starlight"(1985)와, "Autumn Leaves”(1994)를 분석하였다. 원곡들이 가지는 특성들과의 비교분석을 위하여 원곡들의 분석은 비교적 간략하게 진행하였으며 Keith Jarrett의 연주에 사용된 Reharmonization과 Counterpoint 기법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tella by Starlight"의 원곡이 가지는 가장 중요한 특징은 Melodic Tension이 계류음(Suspension)으로 사용되어 화성진행의 변화로 해결되는 것이다. 이러한 원곡의 특징을 Keith Jarrett의 연주에도 발견 할 수 있었다. 둘째, Diminish Scale의 사용과 Upper Structure Triad의 사용, 그리고 해결화성에서 선율의 위치를 다르게 하여 전체적인 화성진행의 변화를 이루는 방법들이 관찰되었으며 주제선율의 동형진행과 변주에 맞추어 화성진행의 변화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각각의 화성이 가지고 있는 기능을 그대로 사용하지 않고 같은 Tonal Center안에서 화성의 성질(Quility)를 자유롭게 바꾸어 사용하는 기법이 관찰되었으며 원곡의 주제선율을 동기(Motif)로 사용하여 다양하게 변화시켜 발전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엄격한 대위법의 법칙들을 사용하지는 않았지만 화성의 틀 안에서 대위법의 쓰임을 알 수 있었다. 정선율(Cantus Firmus)을 모방하는 대선율(Counterpoint)의 사용과 독립적인 대선율의 쓰임이 있었으며, 같은 화성 안에서 내성을 움직여 반진행, 사진행, 병진행의 움직임을 만들었다. 위와 같은 기법들은 모두 독립적으로 사용된 것이 아니라 연주 전체를 통하여 서로 유기적인 연결을 가지며 발전되었다. 선율의 발전이 화성배치에 의해 힘을 얻고 색채가 변화하며 대위기법의 사용으로 선율적 풍부함이 더해진다. Reharmonization 기법은 재즈뿐 아니라 모든 음악장르에 중요한 음악기법이며 Counterpoint 기법 또한 중세의 교회음악에서 시작되어 현대음악에 이르기까지 클래식 음악의 중요한 기법으로 자리매김 하였다. 하지만 전문 연주자의 Reharmonization 기법 연구와 재즈 연주에서의 Counterpoint 기법 연구는 부족하다고 판단되어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There are many genres and techniques in music, like the other fields in the art. However, they do not exist separately, they are developed influencing each other. Many techniques are used in a musical work, and high-valued piece of music is created by organic connection of such techniques. This thesis analyzed “Stella by Starlight"(1985) and "Autumn Leaves ”(1994), played by Keith Jarrett. For the comparison analysis of original songs’ features, the analysis was processed simply, and it focused on Reharmonization and Counterpoint Technique used in Keith Jarrett’s playing. The results goes like this. Firstly, the most important feature of the original song is that melodic tension was used as suspension, so that it could be a resolution by chord progression. This kind of feature was seen in Keith Jarrett’s playing. Secondly, the way of changing whole harmony progression was observed by using diminish scale, upper structure triad, and shifting melody position. And I could know that harmony progression was done by subject melody, sequence, and variation. Thirdly, a technique was observed that changes freely harmony’s quality in the same tonal center, not by using its original function. And the songs developed it changing diversely using the original song’s subject melody as a motif. Lastly, I could find the use of counterpoint, even though strict rules were not applied in the songs. There were the uses of counterpoint imitating cantus firmus and independent counterpoint. And it made contrary motion, oblique motion, and parallel motion by moving tolerance in the same harmony. The above techniques were not used separately, but used in organic connection and developed through the whole playing. Shifting harmony’s position encouraged the development of melody and changed colors, and the use of counterpoint improved melodic fullness. Reharmonization is an important technique not only for Jazz but also for all music genres, and Counterpoint has become a key musical technique, starting from a church music of the Middle Age to the contemporary music. I conducted this analysis because I thought it is insufficient that a research for Rehamonization technique by professional musician and Counterpoint technique in Jazz playing.

      • "What’s Going On"에서 나타난 James Jamerson의 베이스 연주 분석

        김종호 동덕여자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34319

        모타운은 Berry Gordy가 1959년 디트로이트에 세운 흑인 음악 회사로써 초기 파퓰러 음악시대에 미국에서 큰 성과를 거두었다. 모타운 음악은 애틀랜틱과 스택스 레이블의 소울음악보다 상업적인 양식을 내세워 백인음악과 흑인음악의 크로스오버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Jamerson은 1959-1973년까지 모타운 음반사 최고의 전성기 때 전속밴드인 Funk Brothers의 베이스기타 연주자로써 다른 베이스 연주자들과 차별화된 연주법으로 동시대의 베이스 연주자뿐 아니라 후대의 베이스 연주자들에게도 많은 영향을 주었다. 논자는 모타운 음반사의 발표 곡 중 Marvin Gaye의 “What’s Going On”에서 나타난 Jamerson의 베이스 연주를 연구하였다. 먼저, 리듬구조를 연구하기 위하여 한마디 단위로 이루어진 베이스 Motive리듬을 겹 점4분 음표 와 16분 음표 로 이루어진 앞 두 박자 부분을 a로, 8분 음표 4개로 이루어진 뒤 두 박자 부분을 b로 나누어 곡 전반에 걸쳐 ①, ②, ③단계로 분류 하였다. ①의 단계에서는 a와 b의 Rhythmic Variation을 세분화 하였고, ②의 단계에서는 ①의 단계에서 분류된 결과를 연구의 편의성을 위하여 A , B로 간소화 하였다. ③의 단계에서는 ②에서 분류한 결과를 토대로 한 마디단위로 재분류하였다. 단계별로 분류한 리듬구조와 베이스 선율을 중심으로 각 주제부 형식에서 나타난 특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Jamerson은 Verse 부분에서 선택, 반복, 변형 이라는 리듬구조의 일관된 규칙성을 토대로 Vocal 멜로디와의 상호작용을 통한 멜로디 중심의 연주를 지향하였음을 발견하였다. Call and Response 구조로 이루어진 Bridge와 Chorus부분에서 Jamerson은, 2박자 단위인 Vocal 멜로디의 Call and Response 구조와 대조적으로 한마디 단위의 독립적인 Call and Rsponse 구조를 만들어 Counter Melody를 연주하였다. Vocal 멜로디가 없는 Interlude와 Outro 부분에서는 Rhythmic Ostinato와 Melodic Ostinato를 사용하여 새로운 베이스 Riff를 만들었고 이를 지속적으로 반복하여 연주함으로 주선율의 역할을 하였다. 이와 같이 Jamerson은 반주형태의 연주에서 반복적인 Riff로 연주하던 대부분의 동시대 연주자들과는 차별화된 연주법을 제시하였다. Jamerson의 연주방식은 모타운 사운드의 초석(礎石)이 되어 초기 파퓰러음악 시대에 백인음악과 흑인음악의 크로스오버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Motown(Motown Record Corporation) is a black music company established by Berry Gordy in Detroit in 1959 and saw a great success in the early days of the popular music industry of America. Motown music pursued a more commercial form of the music compared to the soul music of Atlantic and the Stax, playing a significant role in the crossing-over between the white music and the black music. Jamerson was the bass guitar player in one of Motown’s own bands, Funk Brothers during the heydays of Motown, from 1959 to 1973. His unique play style was nothing like what other bass players of the day used, and this left a significant influence on not only other bass players in his days but also those who came up later. The author studied the bass playing of Jamerson which was featured in “What’s Going On” by Marvin Gaye, which is one of the Motown numbers. Firstly, in order to analyze the rhythm structure, the motive rhythm of the bass which was composed of a single bar was divided into two parts, with the first two beats of the motive that is composed of double dotted quarter notes and 16thnotes designated as ‘a,’ while the two beats that followed, composed of4 8th notes designated as ‘b.’ Then, the entire song was analyzed as segmented to phase ①, ② ,and ③. In phase ①, the rhythmic variation of ‘a’ and ‘b’ were further segmented, while the results of the segmentation in phase ① was simplified into A and B for convenience. In phase ③, the results of classifications in phase ② were reclassified by the unit of a bar. With a focus on the bass melody and the rhythmic structure in each phase ,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heme were analyzed. The result showed that Jamerson aimed for a melody-centered play style using the interaction with the vocal melody based on the regularity of the rhythmic structure, which was based on selection, repetition, and adaptation in the verse part. In the bridge and the chorus part which are constructed in a ‘call and response’ structure, Jamerson created an independent ‘call and response’ structure to play a counter melody, instead of the ‘call and response’ structure of the vocal melody that was composed of 2-beat units. In the interlude and outro part, which were without any vocal melodies, he used the rhythmic ostinato and the melodic ostinato to make a new base riff, which was repeated on and on as the main melody. As we can see, Jamerson presented a differentiated play style compared to other contemporary bass players who depended on repetitive riffs. The playing style of Jamerson formed the foundation of Motown’s sound and played an important role during the crossing-over between the white music and the black music.

      • 대중음악에서 블루스기타의 사용과 특징에 관한 연구 : 2010 ~2021 가온차트를 중심으로

        최형남 가톨릭관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4303

        This paper studied the use and characteristics of blues guitar in Korean popular music. It cannot be denied that most guitarists, regardless of the world, were greatly influenced by the genre of blues.Therefore, research on the influence of blues guitar in popular music must be conducted. In order to ensure the accuracy of the sample, the music chart used in this study used the Gaon chart. As for the study subjects, from 2010 to June 2021 (first half of the year), the characteristics of blues guitar were searched and analyzed for the top 10 popular song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 use of pentatonic was the highest. The case where harmonious characteristics appeared and the case where blue notes were used was the same number of times. Second, when a song and blue note showing harmonious characteristics were used, pentatonic was always used. However, the use of slide-bars was used regardless of the use of pentatonic. Third, it was shown that the ratio of use in dance songs was low in terms of genre, and only three out of a total of 43 songs were dance song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urvey alone, it can be seen that the frequency of use of dance songs is very low. Fourth, when excluding the solo part, there was no case of using more than two bars. It indicated that there are restrictions on expression within the scope of K-pop in genre. Fifth, when all the years were combined, the ratio was 50.6%. 2019 showed the highest percentage (87.5%), followed by 75% in 2021 and 71.4% in 2018. Of the total 12-year survey period, the proportion was more than 50% from 7 to 50%. The above research results are an analysis of the use and characteristics of blues guitars in popular music.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blues-like approach is widely used in popular music. We hope that this paper will be helpful to guitar performers and further students studying popular music. 본 논문은 우리나라 대중음악에서 블루스 기타의 사용과 특징에 관하여 연구 하였다. 전 세계를 막론하고 대부분의 기타리스트들은 블루스라는 장르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는 사실을 부인할 수가 없을 것이다. 따라서 대중음악에서 블루스 기타의 영향에 대한 연구는 충분한 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표본의 정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 활용한 음악차트는 가온차트를 활용하였다, 연구대상으로는 2010년부터 2021년 6월(상반기)까지 대중가요 중 탑10곡을 대상으로 하여 블루스 기타의 특징들을 찾아보고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펜타토닉의 사용이 가장 높았다. 화성적 특징이 나타난 경우와 블루노트가 사용된 경우는 같은 횟수로 나타났다. 둘째, 화성적 특징이 나타난 곡과 블루노트가 사용된 경우에는 반드시 펜타토닉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슬라이드-바의 사용은 펜타토닉의 사용유무와 상관없이 사용되었다. 셋째, 장르적으로 댄스곡에서의 사용 비율이 낮음을 보여주었는데, 총43곡 중 3곡만이 댄스곡에 해당되었다. 이번조사의 결과만 놓고 보았을 때 댄스곡에서는 사용빈도가 매우 낮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솔로파트부분을 제외하고 보았을 때, 2마디 이상으로 사용 되는 경우는 없었다. 장르적으로 가요라는 범위 안에서 표현의 제약이 있음을 나타내었다. 다섯째, 모든 년도를 합쳐 보면 50.6%의 비율을 나타내었다. 2019년이 가장 높은 비율(87.5%)을 보여주었고, 2021년에는 75%, 2018년에는 71.4%의 순으로 나타났다. 총 12년의 조사기간 중에서 7년에서 50%가 넘는 비중을 보여주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대중음악에서 블루스 기타의 사용과 특징을 분석한 것이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블루스적인 접근 방식이 대중음악에서 많이 사용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논문이 기타연주자, 나아가서 대중음악을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도움이 될 것을 기대해본다.

      • 스티비 원더의 작곡 기법 연구 : 『Innervisions』(1973) 앨범을 중심으로

        신지혜 가톨릭관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4303

        20세기의 미국 대중음악에서 대표적인 아티스트로 꼽히는 스티비 원더는 활동을 시작한 1960년대부터 최근까지 끊임없이 창작 활동을 해오며 대중적인 인기와 더불어 음악적으로도 좋은 평가를 받아왔다. 그는 가수, 연주자를 넘어서 작곡가, 편곡가, 프로듀서로 수많은 업적을 세우고 후대 아티스트들에게 많은 영향을 미쳤다. 본 논문에서는 스티비 원더의 대표작인 『Innervisions』 앨범의 분석을 통해 그의 작곡 기법을 연구한다. 이 앨범은 1973년에 빌보드 앨범차트 “빌보드 Top LP’s & Tape”에서 4위, “빌보드 소울 LP‘s”에서 1위를 기록했으며, 앨범 발매 다음 해인 1974년에 스티비 원더의 앨범 중 처음으로 그래미 어워드에서 “올해의 앨범 상”을 수상했다. 이 앨범은 수많은 평론가들에게 명반으로 손꼽히며 작품성을 인정받았으며, 동시에 대중적으로도 성공을 거둔 음반이다. 『Innervisions』 앨범에 수록 된 9곡 전곡을 분석하여 각 곡마다 나타나는 화성 기법과 특징적 요소를 나누어 정리하고, 그 작곡 기법에 나타나는 공통점과 특이점을 분석하였다. 이 앨범은 평행 진행, 동형 구조, 반음계적 접근, 모달 인터체인지, 전조 기법, 블루스, 도리안 모드, 라인 클리셰, 페달 포인트 등 다양한 기법을 사용한다. 이러한 기법의 사용으로 멜로디나 베이스의 움직임이 강조되고 역동적인 코드 진행이 나타난다. 특히 하나의 조성에 머무르기보다 조성을 일시적으로 바꾸거나 모호하게 하여, 계속해서 분위기의 변화를 주는 특징을 보여준다. 이러한 특징을 바탕으로 동요 ‘고향의 봄’을 재해석 하였으며, 자작곡인 ‘Siesta’와 ‘Move Away’에 연구 결과를 적용하여 이를 통해 얻어지는 효과와 특징을 정리하였다. 본 논문은 스티비 원더의 음악에 나타난 작곡 기법 중 화성적인 부분을 중점으로 연구하였으며, 작·편곡에서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제시한다. 이러한 아이디어는 대중음악뿐만 아니라 재즈, 영화음악에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고, 이 같은 작곡 기법의 연구가 음악의 대중성 및 다양성적인 발전에 이바지하기를 기대한다. Stevie Wonder, one of the leading artists in American pop music in the 20th century, has been constantly creative since the 1960s until recently, and has been well-received musically as well as popularity. He has made numerous achievements as a composer, arranger, and producer beyond singer and performer, and has influenced many later artists. In this paper, we study his composition technique through the analysis of Stevie Wonder's representative album, 『Innervisions』. The album reached number four on the Billboard Album Chart “Billboard Top LP's & Tape" in 1973 and number one on “Billboard Soul LP's" in 1973, the first of its kind to win "Album of the Year" at the Grammy Awards, the year after the album's release in 1974. The album has been recognized as a masterpiece by many critics and has been a popular success. All nine songs in the 『Innervisions』 album were analyzed, and the harmony techniques and characteristic elements that appeared in each song were divided and organized, and the commonalities and peculiarities that appeared in the composition techniques were analyzed. The album uses a variety of techniques, including Parallel Progression, Constant Structure, Chromatic Approach, Modal Interchange, Modulation Techniques, Blues, Dorian mode, Line Cliché, and Pedal Points. The use of these techniques emphasizes the movement of the melody or bass, and dynamic code progression appears. In particular, rather than staying in one key, the key is temporarily changed or ambiguous, showing the characteristics of continuing to change the atmosphere.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the children's song ‘Spring of Home’ was reinterpreted, and the research results were applied to the self-composed songs ‘Siesta’ and ‘Move Away’ to summarize the effects and characteristics obtained through this. This paper focuses on the harmonious part of Stevie Wonder's music composition techniques and presents ideas that can be practically used in composition and arrangement. These ideas can be used not only in popular music but also in jazz and film music, and the study of such composition techniques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popularity and diversity of music.

      • 김경인의 졸업작품 「Monotone」 해설

        김경인 동덕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34303

        본 논문은 2015년 4월 24일 석사과정 이수를 위한 졸업 공연에서 연주된 4곡의 해설집으로 모든 곡의 형식, 선율, 화성구조와 음악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공연의 주제인 ‘Monotone’은 소리나 색의 단조로움을 뜻한다. 4곡을 반복되는 리프(Riff)중심의 일렉트로닉(Eletronic)음악으로 구성하였고, 시퀀싱(Sequencing)프로그램과 신디사이저(Synthersizer), 전자드럼 패드 등을 활용하여 주제에 어울리게 소리를 단순화 하였다. 발표한4곡은1곡의기성곡과3곡의 자작곡으로이루어져있다. 1곡의 기성곡은 여성듀오 ‘현경과 영애’의「그리워라」이고, 자작곡은「In My Dreams」,「Boys」,「아무 일도 없었던 것처럼」이다. 1)「그리워라」는 6/8박자의 가볍고 경쾌한 왈츠 풍의 노래를 느린 템포의발라드로바꾸고 보이스이펙터(Voice Effector)와 신디사이저를 사용해 일렉트로닉 음악으로 편곡하였다. 2)「In My Dreams」는 꿈의 다양한 느낌을 여러 음색의 신디사이저로 표현한 곡이다. 3)「Boys」는 강렬한 일렉트로닉 사운드를 표현하기 위해 사이드 체인(Side Chain)기법을 활용하여 리듬감을 부각시켰고 영상과 함께 연주하였다. 4)「아무 일도 없었던 것처럼」은 드럼과 베이스의 업비트(Upbeat)가 중심이 되는 곡으로 4곡 중 가장 빠른 곡이다. 신나고 경쾌한 느낌을 내기 위해 다양한 얼굴 이미지들을 드럼비트에 맞추고 알파벳들이 불꽃놀이처럼 터지는 영상을 제작하여 음악과 함께 사용하였다. 4곡의 졸업 작품에서 보여주고 싶었던 것은 반복적인 리프음악에 리듬과 사운드의 다양성을 가미하여 지루하지 않도록 변화를 준 것이다. 「그리워라」,「In My Dreams」는 리듬의 유무에 따라 대조되는 사운드를 만드는데 집중하였으며 「Boys」,「아무 일도 없었던 것처럼」은 시각적인 효과로 분위기를 전환시켜 공연을 인상적으로 마무리 하였다.

      • Steve Gadd 솔로 앨범 『The Gadd Gang』(1986)의 드럼 연주 스타일에 관한 연구

        장수진 동덕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34303

        Modern music includes musical elements from various genres. This character had been more conspicuous since 70’s fusion jazz era. Therefore, players require extensive understanding and musicianship about various genres. The tune’s style, genre’s color, and elements affected from player’s capability due to difference of player’s expressing method and understanding aspects of tune. Steve Gadd is a drum player who distinguished at 1970~80s Fusion Jazz eras, while Pop and Jazz exchanges briskly. Steve Gadd put his musical root on Blues and Jazz, and developed himself in variety genres of music, such as Pop, Rock, and Jazz. Steve Gadd’s first solo album 『Gadd About』 (1984) which produced by David Matthews was not enough to relief his performing style. After this, he organized band "Gadd Gang" and released the second solo album 『The Gadd Gang』(1986), took part in producing. On the other hand, it turned up more improved and advanced form of drum playing style than previous album. Therefore, this analysis selects Steve Gadd’s band album, 『The Gadd Gang』(1986), comprehending characteristics of his drum play, and apply to modern contemporary music. Analysis methods of score are comprehending harmony, melody, and song forms from each tracks of the album, 『The Gadd Gang』. And also divide styles from performance to Rhythms, Fills, and Solos. Analysis results are abstracted as below. 1) The character of Rhythms playing style : While right hand playing Ride Cymbal, left foot plays pedal Hi-hat playing frequently which is derived from Jazz Swing Rhythm. Also, left hand plays Hi-hat or Ghost Notes, dividing beats continuously to subdividing rhythm prominently. On 8 Beat Rhythm, appeared method of playing Snare Drum using brush instead of Hi-hat to adjust drum’s volume, and also appeared character of putting accent to Up Beat. 2) The character of Fills : Uses rudiment to play Fill, and appeared character of Roll and Flam as a signal of section part’s Intro and Ending. Also, arranges Unison Rhythm Pattern at the Stop Time Fill position with the other instruments. 3) The character of Solos : Prominent usage of rudiment, which developed from ‘Second Line Style’, based on Jazz. And also shows character modes of drum solo using ‘Paradiddle’ from rudiment. Moreover, developed and transformed Afro-Cuban ‘Mozambique’ rhythm pattern universally, and using this rudiment and ‘Mozambique’ patterns as deployment method to various genres and tunes. 현대의 음악은 다양한 장르의 음악적 요소들을 담고 있다. 이러한 특징은 1970년대 퓨전재즈시대부터 더욱 두드러졌으며, 이로 인해 연주자들에게도 다양한 장르를 아우르는 폭넓은 이해도와 연주력이 필요해졌다. 또한, 연주자의 역량에 따라 곡의 스타일과 각 장르가 지닌 색채와 요소에 영향을 미치는데, 이는 연주자에 따라 곡 이해도와 연주 표현 방식이 다르기 때문이다. Steve Gadd은 팝과 재즈의 교류가 활발하기 시작한 1970~80년대의 퓨전재즈시대에 두각을 나타낸 드럼 연주자이다. Steve Gadd은 Blues와 Jazz에 음악적 뿌리를 두고 Pop, Rock, Jazz등 다양한 장르의 음악에서 자신의 드럼 연주 스타일을 발전시켜 나갔다. Steve Gadd의 솔로 앨범 중 David Matthews가 프로듀서로 참여한 첫 번째 솔로 앨범『Gadd About』(1984)은 Steve Gadd의 연주 스타일을 부각시키기에는 부족한 앨범이었다. 그런 반면, 밴드 “Gadd Gang"을 결성하여 Steve Gadd이 프로듀서로 참여한 두 번째 솔로 앨범『The Gadd Gang』(1986)은 전작에 비해 더욱 발전되고 진보된 형태의 드럼 연주 스타일이 나타났다. 따라서 본 논문은 Steve Gadd의 솔로 앨범 『The Gadd Gang』(1986)을 선정하여 그의 드럼 연주의 특징을 이해하고, 현대의 대중음악의 흐름에 맞게 응용하여 보고자 한다. 작품 분석은 『The Gadd Gang』앨범 수록곡들의 형식과, 화성 및 선율을 이해하고, 드럼 연주에 나타난 스타일을 리듬과 Fill, Solo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 리듬 연주 스타일에 나타난 특징은, 오른손이 Ride Cymbal을 연주할 때, 왼발은 재즈의 스윙리듬에서 차용된 Foot Hi-hat 연주를 자주 사용하였으며, 왼손 또한 비트를 계속 분할하여 Hi-hat이나 Ghost Note를 연주함으로써 리듬을 세분화하는 연주 방식이 두드러졌다. 또한, 8 Beat 리듬에서는 오른손이 Hi-hat 대신 Snare Drum에 Brush를 이용하여 드럼의 볼륨을 조절하는 연주방식이 나타났으며, 악센트를 Up Beat에 표현하는 특징도 나타났다. 2) Fill 연주 스타일에 나타난 특징은, Fill을 연주하기 위하여 Rudiment를 사용하거나, Roll과 Flam을 각 섹션 부분의 Intro와 Ending의 신호로 사용하는 특징이 나타났다. 또한, Stop Time을 Fill이 연주되는 위치에 Unison Rhythm Pattern으로 편곡하여 다른 악기들과 함께 연주한 특징도 나타났다. 3) Solo 연주 스타일에 나타난 특징은, 재즈에 기반을 둔 ‘Second Line Style’을 발전시킨 Rudiment의 활용이 두드러졌으며, Rudiment중 Paradiddle을 활용한 드럼 솔로 전개방식의 특징도 나타났다. 또한, Afro-Cuban의 ‘Mozambique’ 패턴을 대중적으로 변형, 발전 시켰으며, 이러한 Rudiment와 ‘Mozambique’ 패턴을 이용한 솔로 전개 방식을 장르를 불문한 여러 곡의 연주에 활용한 특징이 나타났다.

      • Keith Jarrett의 연주 “Danny Boy” 분석 : Tokyo Solo, DVD에서

        김태준 동덕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34303

        어떤 사회에서 역사나 문학작품, 법률 또는 지식들을 글이나 문자로 쓰지 않고 대대로 전승하는 방법을 구전(口傳)이라 한다. 그 대상이 음악일 경우 구전 음악이라 말 할 수 있을 것이다. 구전은 보편적으로 문자가 발명되기 전이나 글의 혜택에서 소외된 계층에서 이루어진 전승법인데 음악의 경우 우리가 흔히 부르는 구전 동요 같은 것들이 이에 해당된다. 누가 어디에서 처음 시작했는지 알 수 없는 구전 음악이 현재까지 전해 내려오는 것은 그만큼 세대를 이어 사랑을 받을 정도로 정서적으로, 음악적으로 공감되는 요소를 많이 담고 있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아일랜드의 구전 민요를 재즈의 요소들을 가지고 재해석하여 연주한 재즈 피아니스트 Keith Jarrett의 작품 “Danny Boy”를 분석하였다. Keith Jarrett의 “Danny Boy”는 2006년 발매된 DVD,「Tokyo Solo」에 수록된 곡이다. 본 작품에서 나타나는 연주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선율을 연주하면서 내성의 대선율을 연주하는 대위법적인 표현을 사용하였다. 이런 방식의 연주는 흡사 돌림 노래를 부르듯이 2개 이상의 멜로디를 독립적으로 연주하는 것 같은 효과를 내고 있다. 둘째, 단순하고 소박한 민요의 선율을 리하모니제이션을 통해 다양한 보이싱으로 표현함으로서 극적인 효과를 창출하고 있다. 같은 멜로디를 연주하더라도 그에 제시된 화성을 다양화 하여 연주의 기승전결을 만들어 내고 있다. 셋째, Keith Jarrett의 보이싱이다. 피아니스트들마다 자신이 선호하는 보이싱이 있는데 그는 “Danny Boy” 연주에서 특정 형태의 보이싱에 치중하기보다 Spread Voicing, Close Voicing, Cluster Voicing, Quartal Voicing 등 표현력을 넓히기 위해 다양한 보이싱을 활용하고 있으며 때로는 의도적인 불협화음정 (Dissonant Interval)도 함께 사용하여 연주하고 있다. 본 논문은 Keith Jarrett의 연주에서 나타나는 화성 구조, 대선율의 사용, 보이싱, 리하모니제이션을 중심으로 분석 하였다. 분석을 통해 드러난 그의 음악적 특징들을 통해 상당 부분 전 세대 재즈 피아니스트인 Bill Evans의 그것과 유사성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이런 의미에서 Keith Jarrett이 Bill Evans의 계보를 잇는 재즈 피아니스트라는 일부 평론가들의 평가에 공감할 수 있었다. 현대 재즈에서 그가 가지고 있는 위상이나 영향력에 비해 연구 사례가 빈약하다는 판단 하에 Keith Jarrett에 대한 연구의 초석을 마련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Danny Boy” is famous old Irish folk song, passed down through oral tradition. the exact date or the name of the composer is unknown. This thesis is an analysis of “Danny Boy” by Jazz Pianist Keith Jarrett, who gave his own rendition of Irish folk songs by blending elements of Irish folk songs with jazz and giving a new interpretation. Keith Jarrett’s ”Danny Boy” is a piece from the DVD「Tokyo Solo」 (2006).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formance featured in the work is as follows First, single or multiple counter melodies are juxtaposed while main melody is played. this style of interpretation has the effect of playing more than 2 melodies independently as if playing a canon song. Second, through re-harmonization of the simple and earthy folk songs, the music is taken into another level in diverse voicing, bringing dramatic effect to the piece. Even when playing the same melody, the interpretation allows for various harmonies to come together and making the overall repertoire, a well organized music. Third, Voicing of Keith Jarrett. Each pianist has his or her own voicing style that is highly preferred but in Keith’s case, instead of focusing on a particular type of voicing when performing “Danny Boy”, he exercises a variety of voicing such as Spread Voicing, Close Voicing, Cluster Voicing, Quartal Voicing, etc., to broaden the expressiveness. The focal point of this thesis is analyzing and understanding the structure of harmony, counterpoint, voicing and reharmonization techniques found in Keith Jarrett’s rendition of “Danny Boy”. The analysis shows that his musical characteristics and style have been influenced greatly by Bill Evans, as evidenced by the similar qualities to Evans who was a Jazz Pianist before Keith. considering Keith Jarrett's Influence and status as a major jazz pianist in the tradition of Bill Evans, in depth studies on Jarrett's style in academic context have been inadequate. This study is an attempt to provide a foundation for further understanding of Jarrett's work.

      • 졸업공연 작품의 해설

        임경아 동덕여자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34287

        본 논문은 석사과정 이수를 위한 졸업공연에서 연주한 네곡의 작품들을 작 곡의 작곡배경및 동기에 대한 설명과 아울러 음악적 특징을 분석한것이다. 또한 네곡 모두 보사노바 음악양식으로 작곡된것이로 보사노바의 역사적 배경과 특징, 그리고 보사노바의 대부라 일컬어지는 작곡자, 안토니오 카를로스 조빔의 생애와 업적에 대하서도 연구를 하였다.

      • 김병우의 졸업 작품 「노인과 바다」 해설

        김병우 동덕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34287

        본 논문은 석사과정 이수를 위한 졸업 공연에서 발표한 4곡의 작품을 분석한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각 작품의 창작 배경을 설명하고 편곡 구조와 형식, 선율전개, 화성진행을 분석함으로써 창작자의 작곡 의도와 음악적인 특징들을 설명하기 위함이다. 본 작품의 주제는「노인과 바다」이다. 본인은 취미생활로 낚시를 즐기던 중 헤밍웨이의 ‘노인과 바다’라는 소설을 읽고 감명을 받게 되었다. 낚시는 자연을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음악적으로 많은 영감을 준다. 소설 속 노인이 출항하며 바라보았을 바다에 대한 이미지, 꿈과 이상을 상징하는 청새치를 낚는 과정, 청새치에 이끌려 낯선 밤바다를 표류하는 조각배, 역경으로 다가오는 상어 떼와의 싸움, 불굴의 인간상으로 그려지는 헤밍웨이의 페르소나(Persona)이기도 한 노인의 모습 등을 상상하고 음악적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